KR101962304B1 - Air Flow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Air Flow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304B1
KR101962304B1 KR1020170054626A KR20170054626A KR101962304B1 KR 101962304 B1 KR101962304 B1 KR 101962304B1 KR 1020170054626 A KR1020170054626 A KR 1020170054626A KR 20170054626 A KR20170054626 A KR 20170054626A KR 101962304 B1 KR101962304 B1 KR 101962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nsing
bypass
flow rat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6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20523A (en
Inventor
지석준
김영구
최우진
김경엽
손원무
정순철
이동현
Original Assignee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4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304B1/en
Publication of KR20180120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5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3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1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taking out the product in the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17D1/04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for distribution of g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류에서 하류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유량조절기능을 가진 유량계(30), 서로 다른 가스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가스 감지기(40-1; 40-2), 압력센서(60), 및 펌프(70)가 설치되고 배출관로(80)가 연결된 감지용 배관(10);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류 중 상기 유량계(30)의 입구 앞에서 바이패스하여 상기 압력센서(60)의 앞의 합류 지점(J1)에서 상기 감지용 배관(10)에 합류하고 밸브(20)를 구비한 제1 바이패스 배관(11); 및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유량계(30)와 상기 가스 감지기(40-1)의 사이 또는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가스 감지기(40-2)와 상기 합류 지점(J1)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량을 정류하는 유량정류장치(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흐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w meter 30 having a flow rate control function sequentially from the upstream to the downstream, a plurality of gas sensors 40-1 and 40-2 for sensing different gases, a pressure sensor 60, 70) and connected to a discharge pipe line (80); The control valve 20 bypasses the upstream of the sensing pipe 10 in front of the inlet of the flow meter 30 and joins the sensing pipe 10 at the confluence point J1 in front of the pressure sensor 60, A first bypass pipe (11) having a first bypass pipe And the gas sensor (40-2) of the sensing pipe (10) and the gas sensor (40-1) of the sensing pipe (10) And a flow rate regulating device (50)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Description

공기흐름 제어시스템{Air Flow Control System}[0001] Air Flow Control System [0002]

본 발명은 상류에서 하류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유량조절기능을 가진 유량계(30), 서로 다른 가스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가스 감지기(40-1; 40-2), 압력센서(60), 및 펌프(70)가 설치되고 배출관로(80)가 연결된 감지용 배관(10);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류 중 상기 유량계(30)의 입구 앞에서 바이패스하여 상기 압력센서(60)의 앞의 합류 지점(J1)에서 상기 감지용 배관(10)에 합류하고 밸브(20)를 구비한 제1 바이패스 배관(11); 및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유량계(30)와 상기 가스 감지기(40-1)의 사이 또는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가스 감지기(40-2)와 상기 합류 지점(J1)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량을 정류하는 유량정류장치(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흐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w meter 30 having a flow rate control function sequentially from the upstream to the downstream, a plurality of gas sensors 40-1 and 40-2 for sensing different gases, a pressure sensor 60, 70) and connected to a discharge pipe line (80); The control valve 20 bypasses the upstream of the sensing pipe 10 in front of the inlet of the flow meter 30 and joins the sensing pipe 10 at the confluence point J1 in front of the pressure sensor 60, A first bypass pipe (11) having a first bypass pipe And the gas sensor (40-2) of the sensing pipe (10) and the gas sensor (40-1) of the sensing pipe (10) And a flow rate regulating device (50)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본 발명은 공기흐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flow control system.

샘플링 개소 내의 공기 중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특정 가스 성분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스 감지기는 원거리에 존재하는 샘플링 개소(예컨대, 선박 내의 탱크나 격실) 내의 공기를 복수의 배관과 펌프를 통해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서로 다른 특정 가스 성분을 각각 감지한다. A plurality of gas detectors for detecting different specific gas components present in the air in the sampling location are configured to inhale air in sampling locations (e.g., tanks or compartments in a vessel) at remote locations through a plurality of piping and pumps, And detects different specific gas components contained in the air, respectively.

이러한 종래의 가스 감지기와 관련하여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감지기 시스템의 다이아그램이다.1 is a diagram of a gas sensor system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ior art in connection with such a conventional gas sensor.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가스감지기 시스템은 상류에서 하류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가스 감지기(40-1'), 유량계(30'), 압력센서(60)', 및 펌프(70')가 설치되고 배출관로(80')가 연결된 감지용 배관(10'); 및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류 중 상기 가스 감지기(40-1')의 입구 앞에서 바이패스하여 상기 압력센서(60')의 앞에서 상기 감지용 배관(10')에 합류하고 밸브(20')를 구비한 바이패스 배관(11')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펌프(70')의 작동 시에 샘플링 개소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그 대부분(예, 95%)의 유량이 바이패스 배관(11')을 통해 배출관로(80')로 배출되며 샘플링 개소로부터 흡입된 나머지 일부(예컨대, 5%)의 공기에 포함된 특정 가스 성분을 감지하기 위해 감지용 배관(10')을 통해 상기 나머지 일부의 공기가 흡입되면서 가스 감지기(40-1')가 상기 특정 가스 성분을 감지한 후 유량계(30')를 거쳐 계량되고 나서 배출관로(80')로 배출된다.1, a gas sensor system of the prior art includes a gas sensor 40-1 ', a flow meter 30', a pressure sensor 60 ', and a pump 70' sequentially from upstream to downstream A sensing pipe 10 'installed and connected to a discharge line 80'; And bypasses in the upstream of the sensing pipe 10 'in front of the inlet of the gas sensor 40-1' to join the sensing pipe 10 'in front of the pressure sensor 60' And a bypass pipe 11 'provided with a bypass pipe 11'.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ir is sucked from the sampling location during operation of the pump 70 ', and the flow rate of the majority (for example, 95%)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80' through the bypass pipe 11 '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air is sucked through the sensing pipe 10 'to detect a specific gas component contained in the air of the remaining part (for example, 5%) sucked from the sampling point, and the gas sensor 40-1' Is measured through the flow meter 30 'after sensing the specific gas component, and then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line 80'.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가스감지기 시스템에 있어서는, 펌프(70')의 작동 시에 샘플링 개소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그 일부의 공기가 감지용 배관(10')으로 흡입되면서 가스 감지기(40-1')가 상기 특정 가스 성분을 감지한 후 유량계(30')를 거쳐 계량되고 나서 배출관로(80')로 배출되도록만 구성되어 있을 뿐이어서 샘플링 개소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에 와류(swirl)이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 단면이 비대칭(non-symmmetry)이거나 또는 완전발달유동(pseudo fully developed flow)인 경우에 가스 센서가 이들의 특정 부분의 가스 성분이 나머지 부분의 가스 성분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특정 가스 성분의 감지 시에 정확한 감지를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gas sensor system, when the pump 70 'is operated, air is sucked from the sampling point and a part of the air is sucked into the sensing pipe 10', and the gas sensor 40-1 'Is only configured to be metered through the flow meter 30' after sensing the specific gas component and then discharged to the discharge line 80 ', so that swirl is included in the air sucked from the sampling point Or the flow cross-section of the flowing air is either non-symmetric or pseudo fully developed flow, the gas sensor may be different from the rest of the gas component because the gas component of these particular parts may be different There is a problem that accurate detection can not be performed when detecting a specific gas componen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0111호(2016.04.01).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10111 (2014.04.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샘플링 개소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와류(swirl) 또는 비대칭유동 또는 완전발달유동을 제거하여 유동을 안정화시킴으로써 가스 흡입 시 와류 또는 비대칭 유동 또는 완전발달유동이 가스 감지기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것이다.Specific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s detector which is capable of stabilizing the flow by eliminating the swirl or asymmetric flow or fully developed flow contained in the air sucked from the sampling location, To reduce their impac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흐름 제어시스템은 상류에서 하류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유량조절기능을 가진 유량계(30), 서로 다른 가스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가스 감지기(40-1; 40-2), 압력센서(60), 및 펌프(70)가 설치되고 배출관로(80)가 연결된 감지용 배관(10);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류 중 상기 유량계(30)의 입구 앞에서 바이패스하여 상기 압력센서(60)의 앞의 합류 지점(J1)에서 상기 감지용 배관(10)에 합류하고 밸브(20)를 구비한 제1 바이패스 배관(11); 및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유량계(30)와 상기 가스 감지기(40-1)의 사이 또는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가스 감지기(40-2)와 상기 합류 지점(J1)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량을 정류하는 유량정류장치(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ir flow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w meter 30 having a flow rate control function sequentially from upstream to downstream, a plurality of gas sensors 40- 1, 40-2, a pressure sensor 60, and a pump 70, and connected to a discharge pipe line 80; The control valve 20 bypasses the upstream of the sensing pipe 10 in front of the inlet of the flow meter 30 and joins the sensing pipe 10 at the confluence point J1 in front of the pressure sensor 60, A first bypass pipe (11) having a first bypass pipe And the gas sensor (40-2) of the sensing pipe (10) and the gas sensor (40-1) of the sensing pipe (10) And a flow rate regulating device (50)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상기 유량정류장치(50)는 상기 감지용 배관(10) 내에 설치되고, 상기 유량정류장치(50)의 외주면은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내경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ow rate regulating device 50 is installed in the sensing pipe 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w regulating device 50 is supported by the inner diameter of the sensing pipe 1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기흐름 제어시스템은,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가스 감지기(40-2)와 상기 합류 지점(J1)의 사이의 바이패스 지점(J2)에서 분기하여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유량계(30)와, 상기 유량계(30)와 상기 가스 감지기(40-1)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유량정류장치(50)의 사이에서 상기 감지용 배관(10)에 합류하는 제2 바이패스 배관(12); 상기 바이패스 지점(J2)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90); 및 상기 제2 바이패스 배관(12)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가스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가스 감지기(40-3; 40-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ir flow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ranch at the bypass point J2 between the gas sensor 40-2 of the sensing pipe 10 and the junction point J1 The flow rate meter 30 is connected to the sensing pipe 10 between the flow meter 30 of the sensing pipe 10 and the flow rate regulating device 50 located between the flow meter 30 and the gas sensor 40-1. A second bypass pipe (12) joining the second bypass pipe (12); A solenoid valve 90 provided at the bypass point J2; And a plurality of gas detectors (40-3, 40-4) installed in the second bypass pipe (12) and detecting different gases, respectivel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기흐름 제어시스템은,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가스 감지기(40-2)와 상기 합류 지점(J1)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유량정류장치(50)와 상기 합류 지점(J1)의 사이의 바이패스 지점(J2)에서 분기하여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유량계(30)와 상기 가스 감지기(40-1)의 사이에서 상기 감지용 배관(10)에 합류하는 제2 바이패스 배관(12); 상기 바이패스 지점(J2)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90); 및 상기 제2 바이패스 배관(12)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가스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가스 감지기(40-3; 40-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ir flow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flow rate regulating device 50 provided between the gas sensor 40-2 and the confluence point J1 of the sensing pipe 10, Is branched at the bypass point (J2) between the sensing pipe (10) and the junction point (J1) and between the flow meter (30) of the sensing pipe (10) and the gas sensor A second bypass pipe (12) joining the second bypass pipe (12); A solenoid valve 90 provided at the bypass point J2; And a plurality of gas detectors (40-3, 40-4) installed in the second bypass pipe (12) and detecting different gases, respectivel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샘플링 개소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와류(swirl) 또는 비대칭유동 또는 완전발달유동을 제거하여 유동을 안정화시킴으로써 가스 흡입 시 와류 또는 비대칭 유동 또는 완전발달유동이 가스 감지기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swirl or asymmetric flow or the completely developed flow contained in the air sucked from the sampling point to stabilize the flow, so that the vortex or asymmetric flow or the fully developed flow on the gas suction affects the gas detector .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effects mentioned above and that other technical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There will be.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감지기 시스템의 다이아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흐름 제어시스템의 다이아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흐름 제어시스템의 다이아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흐름 제어시스템의 다이아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흐름 제어시스템의 다이아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흐름 제어시스템에 설치되는 유량정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감지용 배관과 이런 감지용 배관 내에 설치된 도 6의 유량정류장치의 단면도이다.
1 is a diagram of a gas sensor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ior art.
2 is a diagram of an airflow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of an airflow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of an airflow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of an airflow control system in accordance with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 rate regulating device installed in the air flow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ow rate regulating device of Fig. 6 provided in the sensing pipe and the sensing pip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size, line thickness, and the lik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aggerated somewhat. 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customs,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is term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specification as a whol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fully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It is no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각 구성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step of the inven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all design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manner It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concept of the term can be properly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흐름 제어시스템의 다이아그램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흐름 제어시스템에 설치되는 유량정류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7은 감지용 배관과 이런 감지용 배관 내에 설치된 도 6의 유량정류장치의 단면도이다.FIG. 2 is a diagram of an air flow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 rate regulating device installed in the air flow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flow rate restricting device in Fig.

도 2, 6,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흐름 제어시스템은 감지용 배관(10), 제1 바이패스 배관(11), 및 유량정류장치(flow conditioner)(50)를 포함한다.2, 6 and 7, an air flow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pipe 10, a first bypass pipe 11, and a flow conditioner 50, .

상기 감지용 배관(10)은 상류에서 하류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유량조절기능을 가진 유량계(30), 서로 다른 가스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가스 감지기(40-1; 40-2), 압력센서(60), 및 펌프(70)가 설치되고 배출관로(80)가 연결되어 있다. The sensing pipe 10 includes a flow meter 30 having a flow control function sequentially from the upstream to the downstream, a plurality of gas sensors 40-1 and 40-2 for sensing different gases, a pressure sensor 60 And a pump 70 are installed, and a discharge pipe passage 80 is connected.

상기 제1 바이패스 배관(11)은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류 중 상기 유량계(30)의 입구 앞에서 바이패스하여 상기 압력센서(60)의 앞의 합류 지점(J1)에서 상기 감지용 배관(10)에 합류하고 밸브(20)를 구비하고 있다. The first bypass pipe 11 is bypassed from the upstream of the sensing pipe 10 in front of the inlet of the flow meter 3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detection pipe 10 at a junction point J1 in front of the pressure sensor 60, (10) and has a valve (20).

상기 유량정류장치(50)는,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유량계(30)와 상기 가스 감지기(40-1)의 사이 또는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가스 감지기(40-2)와 상기 합류 지점(J1)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량을 정류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용 배관(10) 내에서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유량정류장치(50)의 외주면은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내경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The flow rate regulating device 50 is connected between the flow meter 30 and the gas sensor 40-1 of the sensing pipe 10 or between the gas sensor 40-2 of the sensing pipe 10, And the flow rate regulating device 50 is installed in the sensing pipe 10 between the junction point J1 and the junction point J1 to rectify the flow rate. As shown in Fig.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가스 흡입 시 와류 또는 비대칭 유동 또는 완전발달유동이 가스 감지기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above configuration can reduce the influence of the vortex or the asymmetric flow or the fully developed flow on the gas detector upon gas suc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흐름 제어시스템의 다이아그램이다.3 is a diagram of an airflow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량정류장치(50)가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가스 감지기(40-2)와 상기 합류 지점(J1)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량을 정류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흡입된 가스의 유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the flow rate regulating device 50 is provided between the gas sensor 40-2 of the sensing pipe 10 and the confluence point J1 to rectify the flow rate And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Fig.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flow of the sucked gas can be stabilized.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흐름 제어시스템의 다이아그램이다.4 is a diagram of an airflow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흐름 제어시스템은,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가스 감지기(40-2)와 상기 합류 지점(J1)의 사이의 바이패스 지점(J2)에서 분기하여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유량계(30)와, 상기 유량계(30)와 상기 가스 감지기(40-1)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유량정류장치(50)의 사이에서 상기 감지용 배관(10)에 합류하는 제2 바이패스 배관(12); 상기 바이패스 지점(J2)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90); 및 상기 제2 바이패스 배관(12)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가스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가스 감지기(40-3; 40-4)를 더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다.4, the air flow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4 includes a bypass point J2 between the gas sensor 40-2 and the confluence point J1 of the sensing pipe 10, ) Between the flow meter (30) of the sensing pipe (10) and the flow rate regulating device (50) located between the flow meter (30) and the gas sensor (40-1) A second bypass pipe (12) joining the drag pipe (10); A solenoid valve 90 provided at the bypass point J2; And a plurality of gas sensors (40-3; 40-4) installed in the second bypass pipe (12) and sensing different gases, respectively, as in the embodiment of FIG. 2 Do.

상기의 구성에 의해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흐름 제어시스템은 유량정류장치(50)에 의해 정류된 공기에 포함된 특정 가스 성분을 솔레노이드 밸브(90)의 절환에 의해 제2 바이패스 배관(12)으로 피드백시켜 가스 감지기(40-3; 40-4)로 다시 한번 더 감지하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특정 가스 성분 감지에 대한 정확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4, the specific gas component contained in the air rectified by the flow rate regulating device 50 is supplied to the second bypass pipe (not shown) by switching the solenoid valve 90 12) to be detected again by the gas sensor (40-3; 40-4), so that the accuracy of detection of different specific gas components is further enhanced.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흐름 제어시스템의 다이아그램이다.Figure 5 is a diagram of an airflow control system in accordance with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흐름 제어시스템은,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가스 감지기(40-2)와 상기 합류 지점(J1)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유량정류장치(50)와 상기 합류 지점(J1)의 사이의 바이패스 지점(J2)에서 분기하여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유량계(30)와 상기 가스 감지기(40-1)의 사이에서 상기 감지용 배관(10)에 합류하는 제2 바이패스 배관(12); 상기 바이패스 지점(J2)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90); 및 상기 제2 바이패스 배관(12)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가스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가스 감지기(40-3; 40-4)를 더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다.5, the air flow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includes the flow rate regulating device 40-2 provided between the gas sensor 40-2 and the confluence point J1 of the sensing pipe 10 (30) between the flow meter (30) of the sensing pipe (10) and the gas sensor (40-1) at a bypass point (J2) between the sensing point (50) A second bypass pipe (12) joining the pipe (10); A solenoid valve 90 provided at the bypass point J2; And a plurality of gas detectors (40-3, 40-4) installed in the second bypass pipe (12) and sensing different gases, respectively, as in the embodiment of FIG. 3 Do.

상기의 구성에 의해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흐름 제어시스템은 유량정류장치(50)에 의해 정류된 공기에 포함된 특정 가스 성분을 솔레노이드 밸브(90)의 절환에 의해 제2 바이패스 배관(12)으로 피드백시켜 가스 감지기(40-3; 40-4)로 다시 한번 더 감지하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특정 가스 성분 감지에 대한 정확성이 높아지게 된다.5, the specific gas component contained in the air rectified by the flow rectifying device 50 is supplied to the second bypass pipe (not shown) by switching the solenoid valve 90 12), and the gas detector 40-3 (40-4) detects the gas detector 40-3 again, thereby improving accuracy in detection of different specific gas components.

도 3의 실시예와 도 5의 실시예에 있어서 유량정류장치(50)는 가스 감지기(40-2)와 합류 지점(J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가 제1 바이패스 배관(11)을 지난 후 감지용 배관(10)으로 역류하려고 하는 경우 그 역류 가스량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3 and the embodiment of Fig. 5, since the flow rate regulating device 50 is provided between the gas sensor 40-2 and the confluence point J1, the gas flows through the first bypass pipe 11, The flow rate of the backflow gas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다른 추가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량정류장치(50)가 감지용 배관(10)에서 제1 바이패스 배관(11)이 분기하는 부분의 앞에 설치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low rate regulating device 5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branch portion of the first bypass pipe 11 in the sensing pipe 10 Of course.

그리고, 상기 모든 실시예들에 있어서 가스 감지기(40-1; 40-2)와 가스 감지기(40-3; 40-4)가 각각 2개씩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스 감지기(40-1; 40-2)와 가스 감지기(40-3; 40-4)는 둘 이상의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Although only two gas detectors 40-1 and 40-2 and two gas detectors 40-3 and 40-4 are shown and described in all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possible that two or more gas detectors 40-1 (40-2) and gas detectors 40-3 (40-4) are installed.

또한, 감지용 배관(10), 제1 바이패스 배관(11), 및 제2 바이패스 배관(12)은 각각 또는 모두 금속 배관 또는 플렉시블 호스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Further, the sensing pipe 10, the first bypass pipe 11, and the second bypass pipe 1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metal pipe or a flexible hose, respectively.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변형 및 개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will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 : 감지용 배관
11 : 제1 바이패스 배관
12 : 제2 바이패스 배관
20 : 밸브
30 : 유량계
40-1, 40-2, 40-3, 40-4 : 가스 감지기
50 : 유량정류장치
60 : 압력센서
70 : 펌프
80 : 배출관로
90 : 솔레노이드 밸브
J1 : 합류 지점
J2 : 바이패스 지점
10: Detection piping
11: First bypass piping
12: Second bypass piping
20: Valve
30: Flowmeter
40-1, 40-2, 40-3, and 40-4: gas detectors
50: Flow regulator
60: Pressure sensor
70: Pump
80: to discharge pipe
90: Solenoid valve
J1: junction point
J2: Bypass point

Claims (4)

상류에서 하류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유량조절기능을 가진 유량계(30), 서로 다른 가스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가스 감지기(40-1; 40-2), 압력센서(60), 및 펌프(70)가 설치되고 배출관로(80)가 연결된 감지용 배관(10);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류 중 상기 유량계(30)의 입구 앞에서 바이패스하여 상기 압력센서(60)의 앞의 합류 지점(J1)에서 상기 감지용 배관(10)에 합류하고 밸브(20)를 구비한 제1 바이패스 배관(11);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유량계(30)와 상기 가스 감지기(40-1)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량을 정류하는 유량정류장치(50);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가스 감지기(40-2)와 상기 합류 지점(J1)의 사이의 바이패스 지점(J2)에서 분기하여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유량계(30)와, 상기 유량계(30)와 상기 가스 감지기(40-1)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유량정류장치(50)의 사이에서 상기 감지용 배관(10)에 합류하는 제2 바이패스 배관(12);
상기 바이패스 지점(J2)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90); 및
상기 제2 바이패스 배관(12)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가스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가스 감지기(40-3; 40-4)를 포함하는 공기흐름 제어시스템.
A flow meter 30 having a flow rate regulating function sequentially from upstream to downstream, a plurality of gas sensors 40-1 and 40-2 for sensing different gases, a pressure sensor 60, and a pump 70 A sensing pipe 10 installed and connected to a discharge pipe line 80;
The control valve 20 bypasses the upstream of the sensing pipe 10 in front of the inlet of the flow meter 30 and joins the sensing pipe 10 at the confluence point J1 in front of the pressure sensor 60, A first bypass pipe (11) having a first bypass pipe
A flow rate regulating device (50) installed between the flow meter (30) of the sensing pipe (10) and the gas sensor (40-1) and for rectifying the flow rate;
Is branched at the bypass point (J2) between the gas sensor (40-2) and the confluence point (J1) of the sensing pipe (10) and connected to the flow meter (30) of the sensing pipe (10) A second bypass pipe (12) joining the sensing pipe (10) between the flow meter (30) and the flow regulator (50) positioned between the gas sensor (40-1);
A solenoid valve 90 provided at the bypass point J2; And
And a plurality of gas detectors (40-3; 40-4) installed in the second bypass pipe (12) and detecting different gases, respectively.
상류에서 하류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유량조절기능을 가진 유량계(30), 서로 다른 가스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가스 감지기(40-1; 40-2), 압력센서(60), 및 펌프(70)가 설치되고 배출관로(80)가 연결된 감지용 배관(10);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류 중 상기 유량계(30)의 입구 앞에서 바이패스하여 상기 압력센서(60)의 앞의 합류 지점(J1)에서 상기 감지용 배관(10)에 합류하고 밸브(20)를 구비한 제1 바이패스 배관(11);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가스 감지기(40-2)와 상기 합류 지점(J1)의 사이에 설치되어 유량을 정류하는 유량정류장치(50);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가스 감지기(40-2)와 상기 합류 지점(J1)의 사이에 설치된 상기 유량정류장치(50)와 상기 합류 지점(J1)의 사이의 바이패스 지점(J2)에서 분기하여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상기 유량계(30)와 상기 가스 감지기(40-1)의 사이에서 상기 감지용 배관(10)에 합류하는 제2 바이패스 배관(12);
상기 바이패스 지점(J2)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90); 및
상기 제2 바이패스 배관(12)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가스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가스 감지기(40-3; 40-4)를 포함하는 공기흐름 제어시스템.
A flow meter 30 having a flow rate regulating function sequentially from upstream to downstream, a plurality of gas sensors 40-1 and 40-2 for sensing different gases, a pressure sensor 60, and a pump 70 A sensing pipe 10 installed and connected to a discharge pipe line 80;
The control valve 20 bypasses the upstream of the sensing pipe 10 in front of the inlet of the flow meter 30 and joins the sensing pipe 10 at the confluence point J1 in front of the pressure sensor 60, A first bypass pipe (11) having a first bypass pipe
A flow rate regulating device 50 installed between the gas sensor 40-2 and the confluence point J1 of the sensing pipe 10 for rectifying the flow rate;
A bypass point J2 between the flow rate regulating device 50 provided between the gas sensor 40-2 and the junction point J1 of the sensing pipe 10 and the junction point J1, A second bypass pipe (12) branching from the sensing pipe (10) and joining the sensing pipe (10) between the flow meter (30) of the sensing pipe (10) and the gas sensor (40-1);
A solenoid valve 90 provided at the bypass point J2; And
And a plurality of gas detectors (40-3; 40-4) installed in the second bypass pipe (12) and detecting different gases, respectivel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정류장치(50)는 상기 감지용 배관(10) 내에 설치되고, 상기 유량정류장치(50)의 외주면은 상기 감지용 배관(10)의 내경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흐름 제어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regulating device (50) is installed in the sensing pipe (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w regulating device (50) is supported by the inner diameter of the sensing pipe (10) .
삭제delete
KR1020170054626A 2017-04-27 2017-04-27 Air Flow Control System KR1019623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626A KR101962304B1 (en) 2017-04-27 2017-04-27 Air Flow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626A KR101962304B1 (en) 2017-04-27 2017-04-27 Air Flow Contro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523A KR20180120523A (en) 2018-11-06
KR101962304B1 true KR101962304B1 (en) 2019-03-26

Family

ID=64329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626A KR101962304B1 (en) 2017-04-27 2017-04-27 Air Flow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30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204B1 (en) * 2020-09-11 2021-03-16 이용걸 Air intake type smoke and gas detection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5202A (en) * 2014-03-03 2015-09-17 株式会社オーバル Perforated plate for flow straightener, flow straightener and flow rate measurem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0664B1 (en) * 1997-09-30 1999-07-15 양재신 Apparatus for sampling automotive exhaust gas
KR101165754B1 (en) * 2010-02-23 2012-07-18 국방과학연구소 Generating device of air pressure for launching test using a prescribed pressure contour, test system having the same and generating method of air pressure for launching test
KR101610111B1 (en) 2014-08-07 2016-04-08 (주)가온테크 Nitrogen oxide measurement device of the Ship for SCR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5202A (en) * 2014-03-03 2015-09-17 株式会社オーバル Perforated plate for flow straightener, flow straightener and flow rate measure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523A (en)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5599B2 (en) Suction type leak detector
JP6147082B2 (en) Exhaust gas analysis system, exhaust gas sampling device, and exhaust gas leak detection method
US7958794B2 (en) Device for sensing the contents of a fluid in a duct with a tubular body extending into the duct
US8490645B2 (en) Pressure sensor, pressure-differential flow rate meter, and flow rate controller
JP6389524B2 (en) Self-cleaning particle filter in olfactory probe
JP2012529097A5 (en)
KR20090101085A (en) Smoke sensing device
CN104721909B (en) Syringe pump air empties detection means
KR101962304B1 (en) Air Flow Control System
JP2016529502A5 (en)
EP2133680A3 (en) Device for detecting water leaks
JP6477195B2 (en) Flow measuring device
EP2852870A1 (en) Sampling point for a particle detector
US20130247674A1 (en) Fluid Flow Testing System
JP2016205961A (en) Flow rate measurement device
JP2006162417A (en) Total pressure/static pressure measuring venturi system flow measuring device
CN107167194B (en) A kind of gas pipeline rectifier
JP2019138707A (en) Physical quantity measuring device
CN214011217U (en) Water quality detection device and water purifier
JP2009245138A (en) Smoke sensor
JPS62159016A (en) Flow rate detector
US11408757B2 (en) Flow meter device according to the vortex measuring principle, measuring tube for same,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r the flow speed of a medium
JP2013029528A (en) Air flow measurement device
US20160091356A1 (en) Air flow meter
CN111256766A (en) Apparatus for measuring fluid flow through a pipe of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