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134B1 -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134B1
KR101962134B1 KR1020120118352A KR20120118352A KR101962134B1 KR 101962134 B1 KR101962134 B1 KR 101962134B1 KR 1020120118352 A KR1020120118352 A KR 1020120118352A KR 20120118352 A KR20120118352 A KR 20120118352A KR 101962134 B1 KR101962134 B1 KR 101962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gital device
image data
presen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338A (ko
Inventor
김용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8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134B1/ko
Priority to US13/683,405 priority patent/US9349350B2/en
Priority to PCT/KR2013/007488 priority patent/WO2014065495A1/en
Priority to EP13849678.1A priority patent/EP2912839B1/en
Publication of KR20140052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ixing or overlaying two or more graphic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for rolling or sc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되, 해당 이미지 데이터가 레코딩 된 지점 주변의 증강현실 정보를 함께 네비게이팅 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부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부가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의 레코딩시 레코딩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함;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버츄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준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방향에 대한 상기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의 방향 변화 정보를 디텍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방향 정보 및 상기 디텍트 된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의 방향 변화 정보에 기초한 타겟 방향의 버츄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nd a Digital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되, 해당 이미지 데이터가 레코딩 된 지점 주변의 증강현실 정보를 함께 네비게이팅 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증강현실이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버츄얼 정보를 겹쳐서 함께 보여주는 기술이다. 객체, 배경 및 환경 등이 모두 가상의 이미지로 이루어진 가상현실 기술과는 달리, 증강현실 기술은 실제 환경에 가상의 객체를 혼합하여 사용자가 실제 환경에서 보다 실감나는 부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길을 가다가 디지털 디바이스의 카메라로 주변을 비추게 되면, 카메라에 수집되는 영상에 포함된 건물의 정보, 도로 정보 등을 함께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은 최근 포터블 디바이스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더욱 주목 받고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때, 해당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증강현실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이미지 데이터가 레코딩 된 지점 주변의 증강현실 정보를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해 함께 네비게이팅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부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부가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의 레코딩시 레코딩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함;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버츄얼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버츄얼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점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증강현실 정보를 포함함;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준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방향에 대한 상기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의 방향 변화 정보를 디텍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방향 정보 및 상기 디텍트 된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의 방향 변화 정보에 기초한 타겟 방향의 버츄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의 명령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가 향하는 방향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상기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센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컨텐츠의 부가 데이터를 획득하되, 상기 부가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의 레코딩시 레코딩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버츄얼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버츄얼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점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증강현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준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 방향에 대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방향 변화 정보를 디텍트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방향 정보 및 상기 디텍트 된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의 방향 변화 정보에 기초한 타겟 방향의 버츄얼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에 의하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이미지 데이터와 이에 연관된 증강현실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저는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들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의 방향 변화에 기초하여, 이미지 데이터가 레코딩 된 지점 주변의 증강현실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유저는 마치 해당 이미지 데이터를 레코딩 한 현장에 있는 것처럼 주변의 증강현실 정보를 네비게이팅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데이터가 레코딩 될 때의 레코딩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지점의 증강현실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해 해당 지점 주변의 증강현실 정보를 제공 받을 때, 가장 최신의 증강현실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레코딩 디바이스가 이미지 데이터를 레코딩 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해 버츄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해 버츄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준 방향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준 방향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츄얼 정보를 갖는 이미지 프레임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를 나타낸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아닌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고, 해당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버츄얼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버츄얼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이미지 데이터가 레코딩 된 지점 주변의 버츄얼 정보를 네비게이팅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버츄얼 정보는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증강현실 정보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레코딩 디바이스(200)가 이미지 데이터(10)를 레코딩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레코딩 디바이스(200)는 구비된 카메라 유닛(미도시)을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10)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레코딩 할 수 있다. 이때, 레코딩 디바이스(200)에 의해 레코딩 되는 컨텐츠로는 사진, 동영상, 스틸 이미지 등이 될 수 있으며, 기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10)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저는 레코딩 디바이스(200)를 이용하여 특정 건물 또는 특정 거리 등 다양한 종류의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를 레코딩 할 수 있으며, 레코딩 된 이미지를 통해 본 발명의 이미지 데이터(10)가 생성된다.
한편, 이미지 데이터(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는 이에 대응하는 버츄얼 정보(20a, 20b)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버츄얼 정보(20a, 20b)는 이미지 데이터(10)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증강현실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버츄얼 정보(20a, 20b)는 이미지 데이터(10) 상의 특정 상점의 이름, 업종, 영업 시간 등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만약, 레코딩 디바이스(200)가 증강현실 기능을 제공할 경우, 상기 버츄얼 정보(20a, 20b)는 이미지 데이터(10)와 함께 레코딩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 유닛(220) 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코딩 디바이스(200)는 이미지 데이터(10)의 레코딩 시, 상기 이미지 데이터(10)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버츄얼 정보(20a, 20b)를 함께 레코딩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코딩 디바이스(200)는 이미지 데이터(10)를 레코딩할 때, 해당 레코딩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P)를 디텍트 한다. 상기 레코딩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P)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상에서 상기 레코딩 디바이스(200)가 놓인 지점의 위치 정보가 될 수 있다. 레코딩 디바이스(200)는 구비된 GPS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P)를 디텍트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레코딩 디바이스(200)는 상기 레코딩 디바이스(200)와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레코딩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P)를 간접적으로 디텍트 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레코딩 디바이스(200)는 이미지 데이터(10)를 레코딩할 때, 해당 레코딩 디바이스(200)의 방향 정보(θ, 0)를 함께 디텍트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레코딩 디바이스(200)의 방향 정보(θ, 0)는 레코딩 디바이스(200)의 패닝(panning) 각도 정보 및 틸팅(tilting) 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패닝 각도 정보 및 틸팅 각도 정보는 레코딩 디바이스(200)가 향하는 방향이 임의의 제 1 기준 방향과 이루는 각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레코딩 디바이스(200)가 향하는 방향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레코딩 디바이스(200)의 카메라 유닛이 레코딩 하는 방향을 상기 레코딩 디바이스(200)가 향하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기준 방향은 특정 방위(예를 들면, 북쪽 방향), 고도(예를 들면, 고도 0˚),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레코딩 디바이스(200)는 특정 방위, 즉 북쪽(N)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레코딩 디바이스(200)가 패닝 된 각도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레코딩 디바이스(200)는 특정 고도, 즉 고도 0˚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레코딩 디바이스(200)가 틸팅된 각도를 디텍트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레코딩 디바이스(200)는 제 1 기준 방향에 대하여 θ의 패닝 각도 및 0˚의 틸팅 각도를 갖는다. 따라서, 도 1에서 레코딩 디바이스(200)의 방향 정보는 (θ, 0)이 된다.
레코딩 디바이스(200)는 콤파스 센서 및 자이로스코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으며,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레코딩 디바이스(200)의 패닝 각도 정보 및 틸팅 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텍트 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제 1 기준 방향 및 레코딩 디바이스(200)가 향하는 방향은 본 발명의 레코딩 디바이스(200)의 방향 정보(θ, 0)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이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의 레코딩 디바이스(200)는 이미지 데이터(10)를 레코딩할 때 디텍트 된 상기 위치 정보(P) 및 방향 정보(θ, 0)를 저장한다.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1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컨텐츠는, 각각의 이미지 데이터(10)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P) 및 방향 정보(θ, 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P) 및 방향 정보(θ, 0)는 해당 컨텐츠의 부가 데이터로 함께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이미지 데이터(10)의 방향 정보에는 레코딩 디바이스(200)의 패닝 각도 정보 및 틸팅 각도 정보뿐만 아니라 레코딩 디바이스(200)의 고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코딩 디바이스(200)가 동일한 지점 P에서 동일한 패닝 각도 및 틸팅 각도를 갖더라도, 상기 레코딩 디바이스(200)가 서로 다른 고도상에 위치한다면, 해당 레코딩 디바이스(200)에 레코딩 되는 이미지 데이터(10)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레코딩 디바이스(200)는 이미지 데이터(10)가 레코딩 될 때의 레코딩 디바이스(200)의 고도 정보를 디텍트 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10)의 방향 정보에 상기 디텍트 된 고도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코딩 디바이스(200)는 레코딩 디바이스(200)의 고도 정보를 디텍트 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10)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으로 이미지 데이터(1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10)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도 1의 레코딩 디바이스(200)와 동일한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도 1에서 설명한 레코딩 과정을 통해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상기 컨텐츠를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상기 컨텐츠와 함께 상기 컨텐츠의 부가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부가 데이터는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10)의 레코딩시 레코딩 디바이스(200)의 위치 정보(P) 및 방향 정보(θ, 0)를 포함한다. 만약,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도 1의 레코딩 디바이스(200)와 동일한 디바이스라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도 1에서 설명한 디텍트 과정을 통해 상기 위치 정보(P) 및 방향 정보(θ, 0)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P) 및 방향 정보(θ, 0)를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1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데이터(10)에 대응하는 버츄얼 정보(20a, 20b, 20c)를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10)의 위치 정보(P)를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20a, 20b 및 20c를 포함하는 버츄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데이터(10)의 위치 정보(P)를 서버에 송신하고, 서버로부터 해당 위치 정보(P)에 대응하는 버츄얼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되는 버츄얼 정보는 해당 위치 정보(P)에 대응하는 지점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증강현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신되는 버츄얼 정보는 해당 위치 정보(P)에 대응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주변(surrounding) 오브젝트들의 증강현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오브젝트들은 상기 지점을 중심으로 사방에 위치한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츄얼 정보가 수신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데이터(10)의 방향 정보(θ, 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디스플레이 할 버츄얼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상기 위치 정보(P)에 대응하는 버츄얼 정보 중, 지점 P를 기준으로 (θ, 0) 방향에 위치한 버츄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유닛(120)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 데이터(10)와 이에 대응하는 버츄얼 정보(20a, 20b, 20c)를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데이터(10)의 위치 정보(P)를 이용하여 버츄얼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데이터(10)의 레코딩 당시 존재하던 버츄얼 정보 20a, 20b 뿐만 아니라, 레코딩 이후에 업데이트 된 버츄얼 정보 20c를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의 레코딩 디바이스(200)는 이미지 데이터(10)의 레코딩 시 버츄얼 정보(20a, 20b)를 함께 레코딩 할 수 있으며, 도 2 의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상기 레코딩 된 버츄얼 정보(20a, 20b)를 이미지 데이터(10)와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10)의 주변 정보를 네비게이팅 할 수 있다. 즉, 유저는 이미지 데이터(10)가 레코딩 된 지점 P 주변의 증강현실 정보를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네비게이팅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특정 시점에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기준 방향(R)을 설정한다. 상기 기준 방향(R)은 특정 시점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향하는 방향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향하는 방향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향하는 방향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20)이 이미지 데이터(10)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이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20)을 바라보는 방향을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향하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기준 방향(R)을 설정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방향(R)이 설정되는 시점은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10)가 호출된 시점에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향하는 방향을 기준 방향(R)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데이터(10)의 주변 정보를 네비게이팅 하기 위한 별도의 유저의 입력이 수신된 시점에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향하는 방향을 기준 방향(R)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기준 방향(R)이 설정되면, 상기 기준 방향(R)은 이미지 데이터(10)의 방향 정보 (θ, 0)와 동기화 될 수 있다. 즉, 기준 방향(R)을 향하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마치 이미지 데이터(10)의 레코딩 지점 P에서 (θ, 0) 방향을 향하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상기 기준 방향(R)을 향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지점 P에서 (θ, 0) 방향을 향할 때의 버츄얼 오브젝트 20a, 20b 및 20c를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디스플레이 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상기 기준 방향(R)에 대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방향 변화 정보를 디텍트 한다. 상기 방향 변화 정보는 기준 방향(R)에 대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패닝 각도 정보 및 틸팅 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상기 기준 방향(R)을 본 발명의 제 2 기준 방향으로 하여,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향하는 방향이 상기 기준 방향(R)과 이루는 패닝 각도 및 틸팅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디텍트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콤파스 센서 및 자이로스코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으며,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패닝 각도 정보 및 틸팅 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텍트 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데이터(10)의 ?향 정보(θ, 0) 및 상기 디텍트 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방향 변화 정보에 기초한 타겟 방향의 버츄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데이터(10)의 방향 정보(θ, 0)에 상기 디텍트 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패닝 각도 정보 및 틸팅 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보상하여 타겟 방향을 획득한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버츄얼 정보 중 상기 타겟 방향에 위치하는 영역의 버츄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유닛(120)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지점 P를 중심으로 한 주변 버츄얼 정보 중 상기 타겟 방향에 위치하는 영역의 버츄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향하는 방향이 기준 방향(R)으로부터 변화할 때,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지점 P의 (θ, 0)방향에서 방향 변화가 이루어진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방향 변화 정보에 따라 버츄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6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통해 버츄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기준 방향(R)이 설정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상기 기준 방향(R)에 대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방향 변화 정보를 디텍트 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유저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우측으로 꺾을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준 방향(R)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α의 각도로 패닝 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텍트 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방향 변화 정보 α를 이미지 데이터(10)의 방향 정보(θ, 0) 중 패닝 각도 정보 θ에 보상하여, (θ+α, 0)의 타겟 방향을 획득한다. 이때, 이미지 데이터(10)가 레코딩 된 지점 P에서 상기 타겟 방향(θ+α, 0)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버츄얼 정보 20b와 20d가 존재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상기 타겟 방향(θ+α, 0)에 위치하는 버츄얼 정보 20b 및 20d를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실제 지점 P에서 (θ+α, 0) 방향을 바라볼 때와 같은 버츄얼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우측으로 패닝 될 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 데이터(10)를 디스플레이 유닛(120)의 좌측으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패닝 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10)를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10)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기준 방향(R)에 고정된 것처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패닝이 이루어질 때 버츄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틸팅이 이루어 질 때,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틸팅 및 패닝이 함께 이루어질 때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버츄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통해 버츄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 정보(P)에 대응하는 서라운딩 뷰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타겟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서라운딩 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라운딩 뷰 데이터는 상기 위치 정보(P)에 대응하는 지점에서 주변을 바라본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P)에 대응하는 서라운딩 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우측으로 꺾으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준 방향(R)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α의 각도로 패닝 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방향 변화 정보 α를 디텍트 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텍트 된 상기 방향 변화 정보 α를 이미지 데이터(10)의 방향 정보(θ, 0) 중 패닝 각도 정보 θ에 보상하여 (θ+α, 0)의 타겟 방향을 획득한다. 이때, 이미지 데이터(10)가 레코딩 된 지점 P에서 상기 타겟 방향(θ+α, 0)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버츄얼 정보 20b와 20d가 존재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상기 타겟 방향(θ+α, 0)에 위치하는 버츄얼 정보 20b 및 20d를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디스플레이 한다.
한편,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서라운딩 뷰 데이터 중 상기 타겟 방향(θ+α, 0)에 위치하는 영역의 뷰 데이터(14)를 디스플레이 유닛(120)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상기 타겟 방향(θ+α, 0)의 뷰 데이터(14)와 타겟 방향(θ+α, 0)의 버츄얼 정보 20b 및 20d를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실제 지점 P에서 (θ+α, 0) 방향을 바라볼 때와 같은 뷰 이미지 및 이에 대응하는 버츄얼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좌측으로 꺾으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준 방향(R)에 대하여 반 시계 방향으로 β의 각도로 패닝 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방향 변화 정보 β를 디텍트 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텍트 된 상기 방향 변화 정보 β를 이미지 데이터(10)의 방향 정보(θ, 0) 중 패닝 각도 정보 θ에 보상하여, (θ-β, 0)의 타겟 방향을 획득한다. 이때, 이미지 데이터(10)가 레코딩 된 지점 P에서 상기 타겟 방향(θ-β, 0)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버츄얼 정보 20e와 20f가 존재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상기 타겟 방향(θ-β, 0)에 위치하는 버츄얼 정보 20e 및 20f를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서라운딩 뷰 데이터 중 상기 타겟 방향(θ-β, 0)에 위치하는 영역의 뷰 데이터(14)를 상기 버츄얼 정보 20e 및 20f와 함께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시계 방향으로의 패닝을 패닝 각도 정보의 양의 보상,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반 시계 방향으로의 패닝을 패닝 각도 정보의 음의 보상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그 반대로도 적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패닝 각도 정보뿐만 아니라 틸팅 각도 정보를 디텍트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상측으로 꺾으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준 방향(R)에 대하여 상측으로 γ의 각도로 틸팅 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방향 변화 정보 γ를 디텍트 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텍트 된 상기 방향 변화 정보 γ를 이미지 데이터(10)의 방향 정보(θ, 0) 중 틸팅 각도 정보 0˚에 보상하여, (θ, γ)의 타겟 방향을 획득한다. 이때, 이미지 데이터(10)가 레코딩 된 지점 P에서 상기 타겟 방향(θ, γ)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버츄얼 정보 20g가 존재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상기 타겟 방향(θ, γ)에 위치하는 버츄얼 정보 20g를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수신된 서라운딩 뷰 데이터 중 상기 타겟 방향(θ, γ)에 위치하는 영역의 뷰 데이터(14)를 상기 버츄얼 정보 20g와 함께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에서 이미지 데이터(10)의 방향 정보는 패닝 각도 정보가 θ이고 틸팅 각도 정보가 0˚인 것을 가정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미지 데이터(10)의 방향 정보는 다양한 각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데이터(10)의 방향 정보는 레코딩 디바이스의 패닝 각도 정보 및 틸팅 각도 정보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코딩 디바이스의 패닝 각도 정보와 틸팅 각도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데이터(10)의 방향 정보는 레코딩 디바이스의 고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버츄얼 정보(20)는 다양한 종류의 증강현실 정보를 포함한다. 즉, 20a, 20b, 20d 및 20e와 같이 버츄얼 정보는 특정 건물 또는 상점 등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해당 상점의 이름, 업종, 영업 시간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20c 및 20f와 같이 특정 건물에 대하여 유저 또는 유저의 팔로워(follower) 등이 남긴 메시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20g와 같이 버츄얼 정보는 해당 지점 P의 현재 날씨 정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10) 주변의 버츄얼 정보(20)를 네비게이팅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저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10) 주변의 뷰 데이터(14)도 함께 네비게이팅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유저가 마치 지점 P에 위치하여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통해 주변을 둘러 보는 것과 같은 현장감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10)에 대응하는 영역 주변의 버츄얼 정보(20)를 네비게이팅 하기 위해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기준 방향(R)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데이터(10)가 호출된 시점의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방향을 기준 방향(R)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컨텐츠는 사진, 동영상, 스틸 이미지 등을 포함하며, 기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10)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100) 상에서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10)를 호출하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사진일 경우, 복수의 사진 중 해당 이미지 데이터(10)의 사진을 선택하는 유저 입력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10)가 호출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가 동영상일 경우, 동영상 재생 중에 해당 이미지 데이터(10)의 프레임에서 동영상을 일시 정지(pause)하는 유저 입력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10)가 호출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텐츠가 동영상일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동영상을 일시 정지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여 이미지 데이터(10)를 호출하고, 해당 이미지 데이터(10)에 대응하는 버츄얼 정보(20)의 네비게이팅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재생 중에 해당 동영상을 일시 정지하는 유저 입력이 수신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이미지 데이터(1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이미지 데이터(10)를 디스플레이 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10)가 레코딩 된 지점 주변의 버츄얼 정보(20)를 탐색할 수 있는 네비게이팅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동영상을 일시 정지하는 상기 유저 입력이 수신될 때의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방향을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기준 방향(R)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설정된 기준 방향(R)에 대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패닝 각도 정보 및 틸팅 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텍트 하고, 이에 대응하여 이미지 데이터(10)에 대응하는 영역 주변의 버츄얼 정보(2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8은 이미지 데이터(10)에 대응하는 영역 주변의 버츄얼 정보(20)를 네비게이팅 하기 위해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기준 방향(R)을 설정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버츄얼 정보(20)의 네비게이팅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팅 모드 전환 인터페이스(30)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네비게이팅 모드 전환 인터페이스(30)에 대한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이미지 데이터(10)를 디스플레이 한 상태에서 상기 네비게이팅 모드 전환 인터페이스(30)에 대한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팅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상기 유저 입력이 수신될 때의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방향을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기준 방향(R)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설정된 기준 방향(R)에 대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패닝 각도 정보 및 틸팅 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텍트 하고, 이에 대응한 타겟 방향의 버츄얼 정보(20)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버츄얼 정보(20)를 갖는 이미지 프레임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40a, 40b, 40c)를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 상에 제공되는 컨텐츠가 동영상일 경우, 상기 동영상은 복수의 이미지 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의 각 이미지 프레임은 본 발명의 이미지 데이터(10)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상기 동영상 중 버츄얼 정보(20)를 갖는 이미지 데이터(10)의 프레임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40a, 40b, 40c)를 동영상의 타임라인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각 인디케이터(40a, 40b, 40c)는 해당 인디케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10)가 적어도 하나의 버츄얼 정보(20)를 포함함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이미지 데이터(10)의 레코딩 시점 이후로 갱신된 버츄얼 정보가 있을 경우, 상기 갱신된 버츄얼 정보를 갖는 이미지 프레임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40b)를 동영상의 타임라인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 이미지 데이터(10)는 해당 이미지 데이터(10)의 레코딩 시점 이후로 갱신된 버츄얼 정보 20c를 포함한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10)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40b)를 타임라인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갱신된 버츄얼 정보를 갖는 이미지 프레임의 인디케이터 40b만을 타임라인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인디케이터 40b를 다른 이미지 프레임의 인디케이터 40a, 40c 등과 함께 디스플레이 하되, 인디케이터 40b의 디스플레이 속성을 인디케이터 40a 및 40c의 디스플레이 속성과 다르게 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동영상이 버츄얼 정보를 갖는 이미지 데이터(10)가 많을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는 이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40)의 디스플레이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 설정된 양 이상의 버츄얼 정보를 갖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서,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40)를 타임라인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하드웨어 계층, 운영체제 계층,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하드웨어 계층은 프로세서(110), 디스플레이 유닛(120), 센서 유닛(130), 커뮤니케이션 유닛(140), 및 스토리지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프로세서(11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또는 프로세서(11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2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의해 실행되는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와 이에 대응하는 버츄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센서 유닛(13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주위 환경을 디텍트하고 이를 프로세서(1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30)은 본 발명의 유저 입력을 디텍트하고 이를 프로세서(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 유닛(130)은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및 터치 센서 등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유닛(13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및 사용자의 환경을 센싱하여, 프로세서(110)가 그에 따른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뮤니케이션 유닛(140)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1)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커뮤니케이션 유닛(140)은 네트워크(3)를 통해 서버(1) 또는 클라우드에 접속하여, 디지털 데이터, 예를 들면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커뮤니케이션 유닛(140)은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버츄얼 정보를 서버(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스토리지 유닛(150)은, 비디오, 오디오, 사진, 문서,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유닛(150)은 플래시 메모리, RAM(Random Access Memory),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공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토리지 유닛(150)은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 유닛(150)은 커뮤니케이션 유닛(140)이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세서(110)는 스토리지 유닛(150)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신된 컨텐츠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디지털 디바이스(100)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110)는 컨텐츠 제공 모듈(200)을 구동하고, 컨텐츠 제공 모듈(20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유닛(12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프로세서(110)는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각 유닛들을 제어하며, 유닛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운영체제 계층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각 유닛들을 컨트롤 하는 운영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애플리케이션이 하드웨어 계층의 각 유닛을 제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운영체제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각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준비한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특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운영체제의 도움을 받아 하드웨어 계층의 리소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모듈(180)을 구비한다. 상기 컨텐츠 제공 모듈(18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되,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버츄얼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모듈(18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방향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 주변의 버츄얼 정보를 제공한다. 즉, 컨텐츠 제공 모듈(180)은 이미지 데이터의 방향 정보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방향 변화 정보에 기초한 타겟 방향의 버츄얼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 제공 모듈(18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운영체제 계층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컨텐츠 제공 모듈(18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운영체제 계층에 내장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가 될 수 있으며,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포함되는 소프트웨어가 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준 방향(R)을 설정하고 방향 변화 정보를 디텍트하는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은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도 11의 각 단계는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컨텐츠 제공 모듈(18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프로세서(110)가 도 11의 각 단계를 제어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디지털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획득한다(S111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컨텐츠는 사진, 동영상, 스틸 이미지 등을 포함하며, 기타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도 1의 레코딩 디바이스(200)와 동일한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도 1에서 설명한 레코딩 과정을 통해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컨텐츠를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는 컨텐츠의 부가 데이터를 획득한다(S1120). 상기 부가 데이터는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의 레코딩시 레코딩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레코딩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는 레코딩 디바이스의 GPS 상의 위치 정보이며, 상기 레코딩 디바이스의 방향 정보는 레코딩 디바이스의 패닝 각도 정보 및 틸팅 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레코딩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대한 실시예는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다. 만약, 디지털 디바이스가 도 1의 레코딩 디바이스(200)와 동일한 디바이스라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도 1에서 설명한 디텍트 과정을 통해 상기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외부 디바이스 또는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는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버츄얼 정보를 획득한다(S1130). 상기 버츄얼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점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증강현실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획득되는 버츄얼 정보는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주변(surrounding) 오브젝트들의 증강현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오브젝트들은 상기 지점을 중심으로 사방에 위치한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르면, 버츄얼 정보는 다양한 종류의 증강현실 정보를 포함한다. 즉, 버츄얼 정보는 특정 건물 또는 상점 등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해당 상점의 이름, 업종, 영업 시간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건물에 대하여 유저 또는 유저의 팔로워(follower) 등이 남긴 메시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버츄얼 정보는 해당 지점의 현재 날씨 정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버츄얼 정보를 서버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버츄얼 정보는 레코딩 디바이스가 이미지 데이터를 레코딩 할 때 함께 수집될 수도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레코딩 디바이스에 의해 수집된 버츄얼 정보를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는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S1140).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버츄얼 정보를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는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준 방향을 설정한다(S1150). 상기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는 도 2 내지 도 10에서 이미지 데이터(10)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가리킨다. 상기 기준 방향은 특정 시점에서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가 향하는 방향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가 향하는 방향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방향이 설정되는 시점은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이미지 데이터가 호출된 시점에 상기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가 향하는 방향을 기준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디지털 디바이스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 주변의 버츄얼 정보를 네비게이팅 하기 위한 별도의 유저의 입력이 수신된 시점에 상기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가 향하는 방향을 기준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는 상기 기준 방향에 대한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의 방향 변화 정보를 디텍트 한다(S1160). 상기 방향 변화 정보는 기준 방향에 대한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의 패닝 각도 정보 및 틸팅 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콤파스 센서 및 자이로스코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으며, 구비된 센서를 이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의 패닝 각도 및 틸팅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디텍트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는 이미지 데이터의 방향 정보 및 상기 디텍트 된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의 방향 변화 정보에 기초한 타겟 방향의 버츄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S1170). 더욱 구체적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는 이미지 데이터의 방향 정보에 상기 디텍트 된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의 패닝 각도 정보 및 틸팅 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보상하여 타겟 방향을 획득한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수신된 버츄얼 정보 중 상기 타겟 방향에 위치하는 영역의 버츄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디지털 디바이스는 핸드폰, PDA, 태블릿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그 외 각종 포터블 디바이스 등,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속한 사람이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10 : 이미지 데이터 14 : 뷰 데이터
20 : 버츄얼 정보 100 : 디지털 디바이스
120 : 디스플레이 유닛 200 : 레코딩 디바이스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디지털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의 명령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가 향하는 방향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상기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센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컨텐츠의 부가 데이터를 획득하되, 상기 부가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의 레코딩시 레코딩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버츄얼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버츄얼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점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증강현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기준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 방향에 대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방향 변화 정보를 디텍트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방향 정보 및 상기 디텍트 된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의 방향 변화 정보에 기초한 타겟 방향의 버츄얼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 하고,
    동영상 중 상기 버츄얼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프레임을 동영상의 타임라인 상에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일정 양 이상의 버츄얼 정보를 갖는 이미지 데이터에 한해서면 상기 인디케이터를 타임라인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컨텐츠는 동영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방향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방향 정보에 상기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의 방향 정보를 보상한 방향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버츄얼 정보 중 상기 타겟 방향에 위치하는 영역의 버츄얼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방향 변화 정보는 상기 기준 방향에 대한 상기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의 패닝 각도 정보 및 틸팅 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호출된 시점의 상기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의 방향을 상기 기준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 주변의 버츄얼 정보를 네비게이팅 하기 위한 유저 입력이 수신된 시점의 상기 현재 디지털 디바이스의 방향을 상기 기준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레코딩 디바이스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상의 위치 정보이며,
    상기 방향 정보는 상기 레코딩 디바이스의 패닝 각도 정보 및 틸팅 각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정보는 상기 레코딩 디바이스의 고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사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20118352A 2012-10-24 2012-10-24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 KR101962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352A KR101962134B1 (ko) 2012-10-24 2012-10-24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
US13/683,405 US9349350B2 (en) 2012-10-24 2012-11-21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long with virtual information and a digital device for the same
PCT/KR2013/007488 WO2014065495A1 (en) 2012-10-24 2013-08-21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nd a digital device for the same
EP13849678.1A EP2912839B1 (en) 2012-10-24 2013-08-21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nd a digital device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352A KR101962134B1 (ko) 2012-10-24 2012-10-24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338A KR20140052338A (ko) 2014-05-07
KR101962134B1 true KR101962134B1 (ko) 2019-07-17

Family

ID=5048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352A KR101962134B1 (ko) 2012-10-24 2012-10-24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49350B2 (ko)
EP (1) EP2912839B1 (ko)
KR (1) KR101962134B1 (ko)
WO (1) WO20140654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0251B2 (en) 2010-02-08 2016-08-16 Nikon Corporation Imaging device and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in which an acquired image and associated information are held on a display
WO2014085823A1 (en) * 2012-12-02 2014-06-05 Bachir Babale Virtual decals for precision alignment and stabilization of motion graphics on mobile video
JP2015090553A (ja) * 2013-11-05 2015-05-11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端末装置、付加情報管理装置、および付加情報管理方法
US10057511B2 (en) 2016-05-11 2018-08-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raming enhanced reality overlays using invisible light emitters
CN108010394B (zh) * 2017-12-20 2020-11-03 杭州埃欧哲建设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基于vr的虚拟教学方法、控制终端、虚拟教学系统
KR102628276B1 (ko) * 2018-08-24 2024-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클러스터 제어방법
US11893698B2 (en) * 2020-11-04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R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ata transfer interval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9104A1 (en) * 2003-03-10 2004-09-16 Charles Benton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system
US20090278948A1 (en) 2008-05-07 2009-11-12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esentation apparatus,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imag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US20110193985A1 (en) 2010-02-08 2011-08-11 Nikon Corporation Imaging device,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and program
US20120122491A1 (en) * 2009-07-30 2012-05-17 Sk Planet Co., Lt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er for same, and portab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8864B1 (en) * 1998-06-11 2001-07-31 Presenter.Com, Inc. Linking a video and an animation
US20070238981A1 (en) 2006-03-13 2007-10-11 Bracco Imaging Spa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cording and reviewing surgical navigation processes
US8307286B2 (en) * 2006-05-07 2012-11-06 Wellcomemat Llc Methods and systems for online video-based property commerce
US20080147325A1 (en) 2006-12-18 2008-06-19 Maassel Paul W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KR101667715B1 (ko) 2010-06-08 2016-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US20120224060A1 (en) 2011-02-10 2012-09-06 Integrated Night Vision Systems Inc. Reducing Driver Distraction Using a Heads-Up Display
TWI431250B (zh) 2011-03-01 2014-03-21 Navigation device for integrating traffic image recording and navigation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9104A1 (en) * 2003-03-10 2004-09-16 Charles Benton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system
US20090278948A1 (en) 2008-05-07 2009-11-12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esentation apparatus,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imag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US20120122491A1 (en) * 2009-07-30 2012-05-17 Sk Planet Co., Lt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er for same, and portable terminal
US20110193985A1 (en) 2010-02-08 2011-08-11 Nikon Corporation Imaging device,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5495A1 (en) 2014-05-01
EP2912839A4 (en) 2016-10-26
KR20140052338A (ko) 2014-05-07
US9349350B2 (en) 2016-05-24
EP2912839B1 (en) 2020-01-15
EP2912839A1 (en) 2015-09-02
US20140111543A1 (en)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134B1 (ko)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
EP3677021B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display system, and operation method
US83519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user input from inertial sensors
EP3540571A1 (en) Method and device for editing virtual scen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8682606B2 (en) Generating virtual buttons using motion sensors
US20180286098A1 (en) Annotation Transfer for Panoramic Image
US11636644B2 (en) Output of virtual content
US8994785B2 (en) Method for generating video data and image photographing device thereof
JP7248304B2 (ja) 画像表示方法、電子デバイス、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00020144A1 (en) Server, user terminal,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607654B2 (en) Video editing
US10939068B2 (en) Image capturing device, image captur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5477059B2 (ja) 電子機器、画像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26375A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445911B2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device
EP3460633A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120012259A (ko) 로드뷰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0991260B (zh) 场景标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369684B (zh) 目标跟踪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40087157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WO2024145939A1 (e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program
CN110633335B (zh) 获取poi数据的方法、终端和可读存储介质
KR20160009212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