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101B1 - 방열 효율이 우수한 태양광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방열 효율이 우수한 태양광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101B1
KR101962101B1 KR1020170120310A KR20170120310A KR101962101B1 KR 101962101 B1 KR101962101 B1 KR 101962101B1 KR 1020170120310 A KR1020170120310 A KR 1020170120310A KR 20170120310 A KR20170120310 A KR 20170120310A KR 101962101 B1 KR101962101 B1 KR 101962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ng
protrusion
main plate
protrusions
heat dissip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천
장성우
최광환
최휘웅
추승엽
안병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야베스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야베스,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야베스
Priority to KR1020170120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2Cool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2Cooling mean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integrated Peltier elements for active cooling or heat sink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02S40/345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with cool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electrical connection means, e.g. cooling means associated with or applied to the junction bo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열 효율이 우수한 태양광 발전 장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부면에 등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되,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방열 돌기와,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면을 가지되,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내주면에 일렬로 배치되되,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방열 돌기 및 상기 제 2 방열 돌기보다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솔라 패널 솔라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열 효율이 우수한 태양광 발전 장치{A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with excellent heat dissipation efficiency}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 전지 패널의 방열효과를 상승시켜 결과적으로 발전 효율을 개선한 방열 효율이 우수한 태양광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는 수단으로는 태양광에 반응하는 전지모듈, 즉 솔라 패널을 이용하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햇빛을 직류전기로 바꾸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태양광 발전은 크게 계통 연계형과 독립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계통 연계형은 주전력 공급처와 설비가 가정에 연결되어 발전량만큼 전기세를 감면받고 추가 발전량을 이월할 수 있도록 하며, 독립형의 경우 주전력공급처와 독립되어 전기를 축전기에 저장하고 이를 사용하는 방식이며, 주로 전신주가 없는 산간지방 등에서 사용된다.
태양광 발전 장치는 터빈이 필요한 다른 발전 장치와는 달리 유지 보수비용이 비교적 적은 편이며 에너지 수급이 쉬워 부지 제약이 적을 뿐만 아니라 신재생 에너지 발전 중에서는 일반인들이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세계시장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 장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를 가동시, 햇빛의 일사량과 태양광에 의한 발전량은 서로 비례하는 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과도한 일사량에 의한 태양광 발전 장치의 과열로 인해 태양광 발전 장치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인 솔라 패널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발전 효율이 급격하게 하락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특히, 계절 변화에 따라 일사량이 많은 시기인 여름철에는 과다한 온도 상승으로 인해 발전 효율의 최대치 대비 3% 내지 15%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오히려, 여름철보다는 봄, 가을철에 발전 효율이 최대치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태양광 발전 장치에 냉매를 포함한 냉각 수단을 구비하여, 발열로 인한 발전 효율의 하락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개발도 일부 진행되기는 하였으나, 냉매는 일반적으로 환경에 유해한 경우가 많고, 이는 친환경 발전 장치인 태양광 발전 장치의 취지에도 위배될 뿐만 아니라 대면적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 장치를 냉각하기 위한 다량의 냉매를 처리하는 부분에 있어서도 많은 환경적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번호 제 10 - 2010 - 0081840호의 하나의 판재를 절첩시켜 다수개의 방열 핀으로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의 방열장치가 출원되었으나 상기 방열 장치의 경우, 방열핀이 변형되는 경우, 방열 효율이 낮아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태양광 발전 효율이 낮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방열 장치를 구성하는 방열핀으로 구성된 방열판 전체를 교체하여야 함에 따라 경제적으로도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태양광 발전 장치에 방열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방열 수단을 구비하되, 공냉식으로 냉각과정을 진행하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고, 상기 방열 수단을 구성하는 방열체의 교체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방열 수단의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사용중인 태양광 발전 장치에도 방열 수단을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범용성을 부여한 방열 효율이 우수한 태양광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방열 효율이 우수한 태양광 발전 장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부면에 등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되,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방열 돌기와,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면을 가지되,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사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내주면에 일렬로 배치되되,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방열 돌기 및 상기 제 2 방열 돌기보다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솔라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방열 돌기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제 2 방열 돌기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 1 방열 돌기가 구비된 방향으로 돌출되되,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열 효율이 우수한 태양광 발전 장치는 냉매와 같은 요소를 사용하지 않고 공냉식으로 태양광 발전 장치의 냉각을 실시하여 방열 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해, 메인 플레이트에 제 1 방열 돌기와 사이드 플레이트에 제 2 방열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방열 돌기 및 제 2 방열 돌기에 의해 우수한 방열 효과를 가지면서 상기 제 1 방열 돌기 및 제 2 방열 돌기 중, 교체가 필요한 방열 돌기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의 유지 및 보수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플레이트 및 사이드 플레이트의 규격을 태양광 발전 장치를 구성하는 솔라 패널의 규격에 상응하도록 제작하여 범용성을 부여하여 기존에 사용중인 태양광 발전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방열 효율이 우수한 태양광 발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메인 플레이트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사이드 플레이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방열 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방열 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장치에 송풍팬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방열 효율이 우수한 태양광 발전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태양광 발전 장치(100)는 메인 플레이트(10), 제 1 방열 돌기(11), 사이드 플레이트(20), 제 2 방열 돌기(21) 및 솔라 패널(30)를 포함한다.
먼저, 메인 플레이트(10)는 금속 재질을 절삭하여 제작하되,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일정 두께를 가지도록 하며, 2m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제작하며, 경량성을 부여하기 위해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상기 메인 플레이트(10)를 제작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메인 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방열 돌기(11)가 서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하여 부착되게 되며, 상기 제 1 방열 돌기(11)의 배치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여 공기를 포함한 유체의 이동 경로를 연장시켜 방열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10) 일측에 형성된 유체 순환구(12)와 타측에 형성된 열 방출 슬릿(13)에 의해 외부에서 유입된 유체가 방출되어 태양광 발전장치의 솔라 패널(30)이 냉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1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사이드 플레이트(20)가 결합 되는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0) 하단에 제 1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결합홈에 메인 플레이트(10)가 삽입되어 결합 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0)는 메인 플레이트(10)와 동일한 금속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열 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0)가 메인 플레이트(1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0)의 내주면에 제 2 방열 돌기(21)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 2 방열 돌기(21)의 배치는 방열 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솔라 패널(30)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10)에 구비된 제 1 방열 돌기(11)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0)에 구비된 제 2 방열 돌기(21)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방열 돌기(21)보다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되, 사이드 플레이트(20)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속하여 태양광 발전 장치 사용중에 제 1 방열 돌기(11) 및 제 2 방열 돌기(21)의 교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메인 플레이트(10)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인 도 2 를 참조하여 상기 메인 플레이트(1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알아보도록 한다.
먼저, 메인 플레이트(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2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소재를 이용하되,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과 같은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10) 상부면에 다수개의 타공을 형성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방열 돌기(11)를 손쉽게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메인 플레이트(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체 순환구(12)와 타측에 형성되는 열 방출 슬릿(13)에 의해 공기를 포함한 유체가 순환되어 공냉식 냉각 과정이 진행되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10) 상부면으로의 유체의 유입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유체 순환구(12)가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10)의 일측면을 경사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 타공 형성 시, 일렬로 타공하여 상기 제 1 방열 돌기(11)를 결속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지그재그 형태로 타공하여 상기 제 1 방열 돌기(11)를 결속시킬 수도 있으며, 유체가 원활하게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하되, 유체의 이동 경로를 증대시킬 수 있는 패턴을 가지도록 상기 타공을 형성하도록 하며, 복수개의 제 1 방열 돌기(11)가 결속될 때, 각각 등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방열 돌기(11)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결속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사이드 플레이트(20)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여 사이드 플레이트(20)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이드 플레이트(20)의 일면 하단에는 제 1 결합홈(23)이 형성되고, 일면 상단에 제 2 결합홈(24)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 1 결합홈(23)에 상술한 메인 플레이트가 일부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2 결합홈(24)에는 솔라 패널이 일부 삽입되어 결합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방열 돌기를 탈부착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타공의 배치는 일렬로 배치 시킬 수 있으며, 다수개의 상기 제 2 방열 돌기가 결합 되었을 때, 제 2 방열 돌기 각각이 접촉하기 않도록 일정 거리 이격시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0)에 다수개의 타공을 형성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제 2 방열 돌기가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0)에 일렬로 타공을 형성할 때, 유체가 순환하는 방향과 상응하도록 타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0)의 재질은 금속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고, 그 두께는 2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도록 하여 외력에 의한 변형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0)에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태양광 발전 장치의 솔라 패널을 일부 삽입시켜 결속 가능하도록 하거나, 토글 클램프와 같은 결속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여 솔라 패널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0)를 결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 1 방열 돌기(11)를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열 돌기(11)는 하방이 넓고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 1 방열 돌기(11)와 유체와의 충돌면적을 확장시켜 방열 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해, A-A'의 길이가 B-B'의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1 방열 돌기(11)의 하면부에는 상술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에 형성된 타공과 결속하기 위해 돌출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1 방열 돌기(11)의 하면부 형상은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방열 돌기(11)에 미세한 천공부를 형성하는 등, 제 1 방열 돌기(11)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유체로 인한 냉각작용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 1 방열 돌기(11)의 소재로써,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소재인 필라티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필라티늄을 사용하되, 3D 프린터를 이용해 간편하게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 1 방열 돌기(11)가 메인 플레이트에 결합될 때, 상기 제 1 방열 돌기(11) 각각이 접촉하지 않도록 제작되어 그 간격이 서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배치될 수 있도록 크기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방열 돌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열 돌기(21)는 기본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하되, 상기 제 2 방열 돌기(21)의 일면에 돌출구를 형성시켜, 상술하였던 사이드 플레이트에 구비된 타공에 삽입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속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방열 돌기(21)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뿐만 아니라 반구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할 수도 있으며, 원뿔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도 있으며, 유체와의 접촉 면적을 늘리되,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 2 방열 돌기(21)에 미세한 천공부를 형성하는 등, 제 2 방열 돌기(21)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유체로 인한 냉각작용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 2 방열 돌기(21)의 소재로써,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소재인 필라티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필라티늄을 사용하되, 3D 프린터를 이용해 간편하게 제작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 2 방열 돌기(21)가 사이드 플레이트에 결합될 때, 상기 제 2 방열 돌기(21) 각각이 접촉하지 않도록 제작되어 그 간격이 서로 등간격을 이루면서 배치될 수 있도록 크기를 조절한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장치에 송풍팬이 결합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 6을 참조하여, 태양광 발전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장치(100)에서는 솔라 패널(3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1 방열 돌기(미도시) 및 제 2 방열 돌기(미도시)에 의해 상기 솔라 패널(30)의 냉각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공냉식으로 상기 냉각 과정이 수행되는 만큼, 원활한 유체 순환을 위해 별도의 송풍팬(40)이 구비된다.
특히, 산성을 가지는 빗물이 태양광 발전 장치(100)의 상술하였던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일측에 형성되는 유체 유입구와 메인 플레이트의 타측에 형성되는 열 방출 슬릿을 통해, 제 1 방열 돌기 및 제 2 방열 돌기가 위치한 부분에 유입되어 부식을 진행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 유체 유입구가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미도시)의 일측에 유체 유입 하우징(41)이 별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열 방출 슬릿이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의 타측에 위치에 유체 배출 하우징(42)이 별도로 형성되어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 배출 하우징(42)의 하부에 유체 배출관(43)을 구비하여 상기 유체 유입구로 유입된 외기가 상기 열방출 슬릿으로 배출 되도록 하며, 상기 유체 배출관(43)과 송풍팬(40)을 연결하여, 상기 송풍팬(40)의 작동을 통해 제 1 방열 돌기 및 제 2 방열 돌기를 통과한 열기를 포함한 유체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구비한다.
특히, 상술한 열기를 포함한 유체를 별도로 회수하여 겨울철 난방 및 여름철 냉방에 이용할 수 있으며, 여름철 냉방에 회수한 상기 유체를 이용할 때에는 제습냉방에 필요한 흡습제를 재생하기 위한 열원으로써 상기 열기를 포함한 유체를 사용 가능하다.
이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메인 플레이트 상부면에 복수개의 제 1 방열 돌기를 부착하고, 사이드 플레이트 내주면에 복수개의 제 2 방열 돌기를 부착하되, 상기 제 1 방열 돌기는 삼각 기둥형상을 지니되, 삼각 기둥의 사각면을 부착면으로 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되 복수개의 상기 제 1 방열 돌기가 서로 등간격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2 방열 돌기는 원기둥 모양을 지니되, 사이드 플레이트 내주면에 일렬로 배치되어 상기 제 2 방열 돌기가 서로 등간격을 이룰 수 있도록 한 태양광 발전 장치를 구비한 이후에, 11시부터 15시까지 매시간 마다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가 가지는 PV 효율(photovoltaic efficiency)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본 발명의 메인 플레이트 상부면에 복수개의 제 1 방열 돌기를 부착하고, 사이드 플레이트 내주면에 복수개의 제 2 방열 돌기를 부착하지 않고, 상기 제 1 방열 돌기는 삼각 기둥형상을 지니되, 삼각 기둥의 사각면을 부착면으로 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되 복수개의 상기 제 1 방열 돌기가 서로 등간격을 이룰 수 있도록 한 태양광 발전 장치를 구비한 이후에, 11시부터 15시까지 매시간 마다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가 가지는 PV 효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메인 플레이트 및 사이드 플레이트에 제 1 방열 돌기 및 제 2 방열 돌기를 부착하지 않은 태양광 발전 장치를 구비한 이후에, 11시부터 15시까지 매 시간 마다 상기 태양광 발전 장치가 가지는 PV 효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 에 기재하였다.
구분 측정시간(7월)
11:00 12:00 13:00 14:00 15:00 평균 PV 효율
실시예 1 13.90% 14.59% 14.78% 14.28% 0.25% 11.56%
실시예 2 13.81% 14.15% 14.18% 8.3% 0.71% 10.23%
비교예 1 12.38% 13.91% 13.41% 6.5% 0.01% 9.24%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2 의 평균 PV 효율이 비교예 1 의 평균 PV 효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일조량이 가장 많으면서 온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14시의 PV 효율을 살펴보면 메인 플레이트 및 사이드 플레이트에 제 1 방열 돌기 및 제 2 방열 돌기를 부착한 실시예 1의 PV 효율이 방열 돌기를 부착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제 1 방열 돌기만을 부착한 실시예 2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방열 돌기를 부착하는 것이 태양광 발전 장치의 발전 효율에 상당히 유리하게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방열 효율이 우수한 태양광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메인 플레이트
11 : 제 1 방열 돌기
12 : 유체 유입구
13 : 열 방출 슬릿
20 : 사이드 플레이트
21 : 제 2 방열 돌기
23 : 제 1 결합홈
24 : 제 2 결합홈
30 : 솔라 패널
40 : 송풍팬
41 : 유체 유입 하우징
42 : 유체 배출 하우징
43 : 유체 배출관
100 : 태양광 발전 장치

Claims (3)

  1.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 상부면에 등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되,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보유하면서,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방열 돌기;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면을 가지되,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사이드 플레이트;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내주면에 일렬로 배치되면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 1 방열 돌기가 형성된 방향을 향해, 상기 제 1 방열 돌기의 돌출 방향과 상호 수직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며, 원기둥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방열 돌기; 및
    상기 제 2 방열 돌기보다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솔라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방열돌기와 상기 제 2 방열돌기의 돌출 방향은 상호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1 방열돌기의 형상과 상기 제 2 방열돌기의 형상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효율이 우수한 태양광 발전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70120310A 2017-09-19 2017-09-19 방열 효율이 우수한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962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310A KR101962101B1 (ko) 2017-09-19 2017-09-19 방열 효율이 우수한 태양광 발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310A KR101962101B1 (ko) 2017-09-19 2017-09-19 방열 효율이 우수한 태양광 발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101B1 true KR101962101B1 (ko) 2019-03-26

Family

ID=65949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310A KR101962101B1 (ko) 2017-09-19 2017-09-19 방열 효율이 우수한 태양광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1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223A (ko) * 1998-09-09 2000-04-06 김규현 반도체 장치
KR20120134776A (ko) * 2011-06-03 2012-12-12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KR101623351B1 (ko) * 2015-01-12 2016-05-2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식 태양광열 복합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223A (ko) * 1998-09-09 2000-04-06 김규현 반도체 장치
KR20120134776A (ko) * 2011-06-03 2012-12-12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광 반도체 기반 조명장치
KR101623351B1 (ko) * 2015-01-12 2016-05-2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식 태양광열 복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11779B (zh) 一种锂电池包混合散热装置
US20140007919A1 (en) Hybrid solar panel
CN102566722A (zh) 一种cpu水冷散热器及其应用方法
CN106784496A (zh) 电池模块
CN205430848U (zh) 一种散热器
CN207604129U (zh) 一种pcb电路板机箱散热装置
KR101178101B1 (ko) 대류 냉각형 변압기
KR101600554B1 (ko)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태양전지모듈 냉각장치
CN202218494U (zh) 带有独立风道设计的机柜内部降温散热结构
KR101962101B1 (ko) 방열 효율이 우수한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211947B1 (ko) 태양전지와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수 가열 기능을 갖는 발전 시스템
CN202405815U (zh) 充电机
CN212435573U (zh) 一种电力机车用可快速散热逆变器
RU144011U1 (ru) Радиатор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полупроводниковых и микроэлектронных компонент
CN208690460U (zh) 一种电池模组的加热装置
CN203415636U (zh) 软包电池支架
CN205069619U (zh) 一种igbt散热结构及电饭煲
CN210609040U (zh) 一种管式晶硅perc电池
CN208581170U (zh) 一种光伏逆变器散热结构
CN211509704U (zh) 一种新型的散热模块
CN220653234U (zh) 一种光伏发电储能机构
CN211457843U (zh) 电气用电力柜降温装置
CN212846328U (zh) 一种地铁广告投影仪散热结构
CN210351984U (zh) 一种利用温差发电散热的新型节能机柜
CN211456383U (zh) 一种具有高效散热结构的开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