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026B1 - Alarm device for overspeed in automobile - Google Patents

Alarm device for overspeed in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026B1
KR101961026B1 KR1020170122134A KR20170122134A KR101961026B1 KR 101961026 B1 KR101961026 B1 KR 101961026B1 KR 1020170122134 A KR1020170122134 A KR 1020170122134A KR 20170122134 A KR20170122134 A KR 20170122134A KR 101961026 B1 KR101961026 B1 KR 101961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ignal
switch
circuit
relay switch
over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1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만
최재영
Original Assignee
박성만
최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만, 최재영 filed Critical 박성만
Priority to KR1020170122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0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0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ressway overspeed warning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an accident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ressway overspeed warning system comprises: an expressway entrance tollgate device (41); an expressway service area entrance tollgate device (11); an expressway exit tollgate device (31); an overspeed warning-only wireless terminal (100) checking an average speed to check overspeed in all section of an expressway; a warning system (200) to output a warning sound to a driver; and an automatic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1000) to transfer a communication signal of the overspeed warning-only wireless terminal to the warning system.

Description

고속도로 과속 경보 시스템 및 방법{Alarm device for overspeed in automobi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device for overspeed in automobile,

본 발명은 고속도로 과속 경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속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 속도를 고속도로 전체에 걸쳐서 산정하고 고속도로 전체에 걸쳐서 과속여부를 파악하며, 과속으로 판단된 경우에 경보 알림을 지속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고속도로상에서 과속을 하지 못하도록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도로 과속 경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way speeding alarm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ghway speeding alarm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 driving speed of a vehicle running on a highway over an entire highway,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is overspeed over the entire highway, To prevent a driver from over speeding on the expressway,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from occurring.

종래의 고속도로 통행 차량의 과속 단속은 스피드건에 의한 과속 단속, 특정 구간의 평균 속도를 측정하는 구간단속, 고속 도로 톨게이트의 입출 시간을 이용한 과속 단속 등이 있다.The overspeed control of a conventional highway traffic vehicle includes overspeed interception by a speed gun, section interception of an average speed of a specific section, and overspeed interception by using an entry / exit time of a highway toll gate.

고속도로 톨게이트의 입출 시간을 이용한 과속 단속은 고속도로 통행요금 징수설비(Toll Collection System)를 활용하여 고속도로 이용차량의 통행요금 정산과 더불어 해당 차량의 과속 여부를 판단한다.Speed control using highway toll gate entry / exit time uses the toll collection system to determine the speed of the vehicle in addition to the fare adjustment of the highway car.

이경우, 고속도로 이용차량의 과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고속도로 이용차량의 통행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근거로 주행 거리에 따른 주행속도를 다시 산출하여 기설정된 구간 속도와 비교하는 방법을 취한다.In this case, the traveling time of the vehicle using the highway is calculat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speeding on the highway, and the traveling speed according to the traveling distance is again calculated based on the travel time, and the traveling speed is compared with the predetermined section speed.

그러나 고속도로 이용차량의 통행시간은 입구 톨게이트에서부터 출구 톨게이트까지 주행하는 데 소요되는 총시간을 산출한 것으로, 이는 해당 차량이 휴게소에 머문 시간이 반영되지 않은 것이다.However, the traffic time of a motorway vehicle is calculated as the total time required from the entrance to the toll gate to the exit toll gate.

따라서, 이를 근거로 고속도로 이용차량의 주행 속도를 산출하는 것은 불합리하며, 정확한 주행 속도를 산출하여 속도 위반시 과징금을 징수하는 것으로 고속도로 이용차량의 과속을 단속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어긋나게 된다.Therefore, it is unreasonable to calculate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using the highway on the basis thereof, and it is out of the aim of controlling the overspeed of the vehicle using the highway by calculating the accurate traveling speed and collecting the fines in the case of the speeding violation.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특허문헌 0001) KR 10-2011-0139474(Patent Document 0001) KR 10-2011-0139474

(특허문헌 0002) KR 10-2005-0085481(Patent Document 0002) KR 10-2005-008548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 고속도로 이용차량의 직전 휴게소 진출시간 또는 고속도로 진입시간과 현 휴게소 진입시간 또는 고속도로 진출시간에 근거하여 휴게소 진입시간을 차감한 나머지 구간의 평균속도를 파악하고, 상기 평균속도에 근거하여 과속을 판단하며, 과속시에 계속적으로 경보시스템에 알려서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의 속도를 줄이도록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 highway vehicle using a highway, The speed is determined based on the average speed, and the speed is continuously informed to the warning system at the time of overspeed to induce the driver to reduce the speed of the vehic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차량이 고속도로 입구에 위치하면 현재 차량이 고속도로에 진입하였음을 통신신호로 알려주기 위한 고속도로 입구 톨게이트 장치(41)와; 차량이 휴게소 입구에 위치하면 현재 차량이 휴게소에 진입하였음을 통신신호로 알려주기 위한 휴게소 입구 게이트 장치(11)와; 차량이 휴게소 출구에 위치하면 현재 차량이 휴게소를 빠져 나감을 통신신호로 알려주기 위한 , 휴게소 출구 게이트 장치(21)와; 차량이 고속도로를 빠져 나가면 현재 차량이 고속도로를 빠져나가는 것을 통신신호로 알려주기 위한 고속도로 출구 톨게이트 장치(31)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며, 광역 위치파악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내며, 차량 내부의 위치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고 위성에서 송신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거리 대비 차량 속도를 이용하여 평균속도를 산출함으로써 차량의 과속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고속도로 입구 톨게이트 장치(41)와, 휴게소 입구 게이트 장치(11)와, 휴게소 출구 게이트 장치(21) 및, 고속도로 출구 톨게이트 장치(31)로부터 위치신호를 입력받아 휴게소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의 이용시간을 계산하여 평균속도를 파악함으로서 고속도로 전구간에 대한 과속여부를 파악하는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100)와; 상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로부터 과속신호를 전달받아 운전자에게 경보음을 출력하기 위한 경보 시스템(200)과; 상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와 경보 시스템 사이에 설치되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통신신호를 경보시스템에 전달하기 위한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way entrance toll gate device (41) for informing a communication signal that a vehicle has entered a highway when a vehicle is located at an entrance of the highway; A resting place entrance gate device (11) for informing that a present vehicle has entered a rest area when the vehicle is located at a resting place entrance; A rest stop exit gate device (21) for informing a communication signal that the current vehicle has left the rest area when the vehicle is located at a rest area exit; A highway exit toll gate device 31 for informing a communication signal that the current vehicle exits the highway when the vehicle leaves the highway; I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uses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atellite to find the exact location of the car. Using the location database inside the ca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overspe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speed by using the vehicle speed.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overspeed or not by using the highway entrance toll gate device 41, the rest stop entrance gate device 11, the rest stop exit gate device 21, (100), which receives a position signal from a mobile terminal (31) and calculates a use time of a remaining section excluding a rest area and grasps an average speed to thereby determine whether the speed is over the entire highway area; An alarm system (200) for receiving an overspeed signal from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and outputting an alarm sound to a driver; And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installed between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and the alarm system for transmit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of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to the alarm system.

또한,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이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10 for applying power by its own power supply; A first relay switch (RY1) provided on one side of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second relay switch (RY2)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unit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third relay switch RY3 coupl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lay switch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A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control unit 1150 ") that serves to induce a communication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1150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sw2);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so as to induce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witched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upply switch are switched and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 communication that serves to maintain the communication state by continu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configured to switch the relay switch,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imultaneously turned off and the first relay switch to be interlocked, A control unit 1120; A circuit-operating iron piece (1131) which contacts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o relay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relay switch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And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ch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nd which connects the power supply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en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is turned on, Iron pieces 1132;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and at the lower end thereof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First self-sustaining means 1133 for guiding the electric power to be maintained in the off-state at all time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having an S pole at the lower end and a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he operating piece 1131 is pulled up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actuated so that the S pole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N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S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holding means 1133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switched, the state of attachment of the circuit-operating ferrule 1131 continues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is stopped, And a second magnetic switch that is operated to automatically output the communication signal when the wire for operating the circuit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Maintenance means 1134;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circuit board 113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lower end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ifted from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maintain the circuit breaker state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an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owered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for holding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not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but are held in a constant gap while being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 spacing agent 1134a for inducing the first self-sustaining means and the second self-sustaining means to naturally separate from each other at the time of disassemb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by turning off the wire for the circuit operation and the wire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mmunication wire for interrupt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for stopping the communication signal so that the communication signal is no longer outputted.

또한, 상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에는 요부 냉각수단(400)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요부 냉각수단(400)은, 알루미늄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일단에 위치하는 냉각패널(410)과; 상기 냉각패널의 하부에 부착되며 외부 전기공급에 따라 냉각패널에 냉각열을 전달하여 함체 내부를 급속냉각시키는 열전소자(420)와; 상기 열전소자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고 열전소자의 작용에 의해서 발생된 열을 포집하는 방열패널(430)과; 상기 방열패널에 부착되며 팬의 회전에 의해서 방열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을 빠른 속도로 외부로 전달시켜 방열패널을 식히는 역할을 하는 방열 송풍팬(440)과; 상기 냉각패널에 연결하되 스크류로 연결하여 자체 회전에 의해서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를 필요한 지점으로 이송하여 그 부분을 급속 냉각시키는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 이송부(450)와; 상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온도가 기준이상 높은 부분이 있는가를 파악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온도감지부(460)와; 상기 온도감지부의 정보 결과를 토대로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 이송부를 구동하여 좀더 냉각이 필요한 지점에 위치되어 그부분을 냉각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7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overspeed announcement wireless terminal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cooling means (400), wherein the recessed portion cooling means (400) is made of aluminum metal and includes a cooling panel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420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panel and transferring cooling heat to a cooling panel according to an external electric power supply to rapidly cool the interior of the enclosure; A heat dissipation panel 430 slidably joi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nfigured to collect heat generated by the ac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 heat dissipating fan 440 attached to the heat dissipating panel and serving to cool the heat dissipating panel by rapidly transferring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dissipating panel to the outside by rotation of the fan; A cooling panel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transferring part 450 for connecting the cooling panel to the cooling panel and transferring the cooling panel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a required point by self rotation to rapidly cool the part; A temperature sensing unit 460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to detect whether a temperature is higher than a reference temperature and transmit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470 for controlling the cooling panel and the thermoelectric-element transfer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result of the temperature-sensing unit so that the cooling-panel and the thermoelement-transferring unit are located at a point requiring further cooling and cooling the part.

또한, 상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100)에는 먼지 제거수단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먼지 제거수단은,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표면에 존재하는 먼지를 감지하기 위한 발광수단(110)과; 상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타측에 설치되어 발광수단의 빛을 수광하여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표면에 존재하는 먼지를 감지하기 위한 수광수단(120)과; 상기 발광수단으로부터 수광수단에 전달되는 빛의 양을 분석하여 먼지가 기준이상이면 먼지 제거를 위한 송풍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송풍 제어기(130)와; 상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송풍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표면으로 송풍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송풍기(1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The overspeed announcement wireless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dust removing means. The dust removing means includes a light emitting means (11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for detecting dust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A light receiving means (12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for receiv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means and detecting the dust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A blowing controller 130 for analyzing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to the light receiving means and outputting a blowing control signal for removing dust if the dust is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a blower 14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and blowing dust to the surface of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blow controller.

또한, 고속도로 이용차량이 고속도로(60) 진입시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가 고속도로 입구 톨게이트 장치(41)로부터 톨게이트 정보를 입력받아 진입시간 정보를 기록하고, 고속도로를 운행하는 중에 과속하는지를 파악하여 과속상태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단계와; 고속도로 이용차량이 고속도로 휴게소(50)에 진입한 경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가 휴게소 입구 게이트 장치(11)로부터 휴게소 입구 정보를 입력받아 운행 시간 기록에서 제외시키는 단계와; 고속도로 이용차량이 고속도로 휴게소(50)로부터 진출시,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가 휴게소 출구 게이트 장치(21)로부터 휴게소 출구 정보를 입력받아 운행시간을 다시 카운트하며, 고속도로 출구 톨게이트장치(31)를 통과할때까지 휴게소에 머문시간을 제외하고 과속하는지를 계속적으로 계산하여 과속상태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단계와; 과속으로 판단될 경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100)가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통해 경보 시스템(200)에 과속 상태를 출력하여 운전자가 운행속도를 늦추도록 유도하며;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이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In addition, when the highway-use vehicle enters the highway 60, the wireless terminal dedicated to the speed-of-speed notification receives the tollgate information from the highway entrance tollgate device 41 and records the entry time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it is overspeed during operation of the highway. ; A step in which the speeding-only dedicated wireless terminal receives the rest area entrance information from the rest area entrance gate device 11 and excludes it from the driving time recording when the expressway-use vehicle enters the rest area 50 of the expressway; When the highway-use vehicle leaves the highway rest area 50, the speeding-only wireless terminal receives the resting-place exit information from the resting-place exit gate device 21 and counts the travel time again.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highway exit tollgate device 31 A step of continuously calculating whether the vehicle is overspeed except the time remaining at the rest stop, and notifying the overspeed state in real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overspeed,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100 outputs the overspeed state to the alarm system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to induce the driver to slow down the traveling speed;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outputting unit 10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10 for applying power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1000 by its own power supply; A first relay switch (RY1) provided on one side of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second relay switch (RY2)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unit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third relay switch RY3 coupl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lay switch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A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control unit 1150 ") that serves to induce a communication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1150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sw2);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so as to induce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witched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upply switch are switched and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 communication that serves to maintain the communication state by continu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configured to switch the relay switch,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imultaneously turned off and the first relay switch to be interlocked, A control unit 1120; A circuit-operating iron piece (1131) which contacts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o relay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relay switch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And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ch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nd which connects the power supply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en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is turned on, Iron pieces 1132;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and at the lower end thereof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First self-sustaining means 1133 for guiding the electric power to be maintained in the off-state at all time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having an S pole at the lower end and a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he operating piece 1131 is pulled up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actuated so that the S pole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N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S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holding means 1133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switched, the state of attachment of the circuit-operating ferrule 1131 continues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is stopped, And a second magnetic switch that is operated to automatically output the communication signal when the wire for operating the circuit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Maintenance means 1134;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circuit board 113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lower end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ifted from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maintain the circuit breaker state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an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owered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for holding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not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but are held in a constant gap while being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 spacing agent 1134a for inducing the first self-sustaining means and the second self-sustaining means to naturally separate from each other at the time of disassemb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by turning off the wire for the circuit operation and the wire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mmunication wire for interrupt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for stopping the communication signal so that the communication signal is no longer output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속도로 이용차량의 직전 휴게소 진출시간 또는 고속도로 진입시간과 현 휴게소 진입시간 또는 고속도로 진출시간에 근거하여 휴게소 진입시간을 차감한 나머지 구간의 평균속도를 파악하고, 상기 평균속도에 근거하여 과속을 판단하며, 과속시에 계속적으로 경보시스템에 알려서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의 속도를 줄이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verage speed of a remaining section obtained by subtracting a rest area entry time from a rest area advance time or a highway entry time and a current rest area entry time or a highway advance time of a highway user vehicle is obtained, The speed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based on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when the vehicle is overspeed, the warning system continuously informs the alarm system, thereby inducing the driver to reduce the speed of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도로 과속 경보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을 위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냉각수단 설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 냉각수단을 상승시킨 동작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 냉각수단을 하강시킨 동작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 냉각수단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부분 냉각장치 회로구성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단말기의 먼지 제거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highway overspeed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diagram of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circui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ing the recessed portion cool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n operation drawing of the recessed portion cool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recessed portion cool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lowered;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cessed portion cool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of a partial cooling device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dust removal of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a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described.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that have been used in the prior art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that are not show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components ad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essential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properly modify the term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by no means limit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도로 과속 경보 시스템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highway overspeed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을 위한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3 is a circuit diagram of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circui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냉각수단 설치 예시도.Fig.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ing the recessed portion cool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 냉각수단을 상승시킨 동작도면.FIG. 7 is an operation drawing of the recessed portion cool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 냉각수단을 하강시킨 동작도면.8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recessed portion cool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lowered;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 냉각수단 분해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cessed portion cool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부분 냉각장치 회로구성 블록도.10 is a block diagram of a partial cooling device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단말기의 먼지 제거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로서,1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dust removal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고속도로 입구 톨게이트 장치와 고속도로 출구 톨게이트 장치 사이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행 속도 범위를 지정하고, 차량이 휴게소를 들르지 않고 통과시에 최대 시간범위를 미리 지정한다.The present invention specifies a range of speeds of a vehicle traveling between a highway entrance tollgate device and a highway exit tollgate device and specifies a maximum time range when the vehicle passes through without stopping at a rest stop.

즉, 서울에서 부산까지 휴게소를 들르지 않고 차량을 운행시에 전체 운행 최대시간이 4시간이면, 4시간 이내에 차량이 고속도로 출구 톨게이트 장치를 통과하면 과속으로 판단하며, 이때 본 발명은 휴게소를 들르는 시간을 모두 제외하고 순수하게 고속도로를 운행한 시간만을 계산한다.In other words, if the vehicle does not stop at a resting place from Seoul to Busan and the vehicle travels within 4 hours and the maximum time is 4 hours, the vehicle is judged to be overspeed when it passes through the tollgate of the highway exit. All but the purely highway running time is calculated.

그리고, 차량의 운행거리 대비 시간을 속도로 환산하여 차량이 넘지 않아야될 차량의 속도를 제시하고, 운전자가 그 속도를 넘게되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운전자가 고속도로를 주행시에는 항상 지정된 속도범위 미만으로만 운행하도록 유도한다.When the driver is over the speed, the driver outputs an alarm signal so that the driver is always within the designated speed range at the time of driving the expressway. .

본 발명은 자동차가 휴게소를 들르는 시간은 계산에서 제외시키도록 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고속도로 과속 경보 시스템은 고속도로 입구 톨게이트 장치(41)와, 휴게소 입구 게이트 장치(11)와, 휴게소 출구 게이트 장치(21) 및, 고속도로 출구 톨게이트 장치(31)를 포함한다.The highway overspeed ala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ighway entrance toll gate device 41, a rest stop entrance gate device 11, a rest stop exit gate device 21, and a highway exit toll gate device 31.

그리고, 본 발명의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100)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며, 광역 위치파악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내며, 차량 내부의 위치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고 위성에서 송신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거리 대비 차량 속도를 이용하여 평균속도를 산출함으로써 차량의 과속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고속도로 입구 톨게이트 장치(41)와, 휴게소 입구 게이트 장치(11)와, 휴게소 출구 게이트 장치(21) 및, 고속도로 출구 톨게이트 장치(31)로부터 위치신호를 입력받아 휴게소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의 이용시간을 계산하여 평균속도를 파악함으로서 고속도로 전구간에 대한 과속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The overspeed notification dedicated wireless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detects the exact position of the vehicle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atellite, And can calculate the average speed by using the vehicle speed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stance by us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atellites.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overspeed or not, and the highway entrance toll gate device 41, the rest stop entrance gate device 11 The resting place exit gate device 21 and the highway exit toll gate device 31 to calculate the use time of the rest of the area excluding the rest area so that the speed of the entire highway can be grasped.

즉, 고속도로 이용차량은 고속도로(60) 진입시, 고속도로 입구 톨게이트 장치(41)를 통해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100)가 인식한다. 상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100)에는 진입한 고속도로 입구 톨게이트 식별번호(예컨대, 고속도로 톨게이트 1번)와 진입 시간(예컨대, 2008년 11월 15일 오전 10시 15분)을 포함한 정보가 기록된다.That is, when the motorway-using vehicle arrives at the highway 60, the speeding-up announcement-only radio terminal 100 recognizes it through the highway entrance toll gate device 41. [ The speeding announcement dedicated wireless terminal 100 records information including the entering highway entrance tollgate identification number (for example, highway toll gate number 1) and the entry time (for example, 10:15 am on November 15, 2008).

고속도로 이용차량이 고속도로(60) 주행 중, 여러 고속도로 휴게소 중 어느 한 휴게소(50)에 진입할 경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100)가 휴게소 입구 게이트(10)에 설치된 휴게소 입구 게이트 장치(11)를 인식하여 고속도로 운행시간에서 제외시킨다.When the motor vehicle for use in highway enters the rest area 50 of any of the resting places of various expressways while driving on the expressway 60, the speeding announcement exclusive wireless terminal 100 is installed in the rest area entrance gate device 11 installed at the rest area entrance gate 10, And excludes them from the expressway operation time.

그리고, 고속도로 휴게소(50)에 머문 차량이 다시 고속도로(60)로 진입할 경우, 휴게소 출구 게이트(20)에 설치된 휴게소 출구 게이트 장치(21)를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100)가 인식하여 고속도로 운행시간을 다시 시작한다.When the vehicle staying at the highway rest area 50 enters the highway 60 again, the speeding announcement radio terminal 100 recognizes the resting gate exit gate device 21 installed at the rest stop gate 20, Start time again.

고속도로 이용차량이 고속도로(60) 진출시, 고속도로 출구 톨게이트(30)에 설치된 고속도로 출구 톨게이트 장치(31)를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가 인식하여 휴게소에서 머문 시간을 차감한 시간을 계산하여 고속도로 평균속도를 구한다.When the vehicle using the highway advances to the highway 60, the speeding announcement wireless terminal recognizes the toll gate device 31 at the highway exit toll gate 30 installed at the highway exit toll gate 30, calculates the time taken to subtract the time spent at the resting place, I ask.

그리고,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100)는 산출된 주행 시간 및 획득한 거리 정보에 근거하여 고속도로 이용차량의 구간별 속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속도정보가 과속상태인지를 파악하고, 과속으로 판단된 경우에 경보출력 시스템(200)에 무선 출력한다.Then, the speed-and-speed announcement-only wireless terminal 100 generates speed information for each section of the expressway vehicle based on the calculated travel time and the obtained distance information, determines whether the generated speed information is overspeed, And outputs it to the alarm output system 200 in a wireless manner.

물론, 상기 고속도로 입구 톨게이트 장치(41)와, 휴게소 입구 게이트 장치(11)와, 휴게소 출구 게이트 장치(21) 및, 고속도로 출구 톨게이트 장치(31)로부터 차량의 번호를 판독하고 과속여부를 파악하여 경찰청에 자료를 넘겨서 차주에게 벌금을 부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고속도로 상에서 운전자가 과속범위를 초과하였음을 미리 알려서 과속에 따른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더 역점을 두고 개발된 것이다.Of course, the vehicle number is read from the highway entrance toll gate device 41, the rest stop entrance gate device 11, the rest stop gate device 21 and the highway exit toll gate device 3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is informed in advance that the speed range of the driver has exceeded the speed range on the highway,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with more emphasis on preventing the risk of accidents due to speeding.

즉, 고속도로 전구간을 통과하는 차량에 있어서 휴게소를 머문시간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간에서의 과속여부를 판단하여 과속으로 판단될 경우 벌금을 부여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과속여부를 파악후에 경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서 과속에 따른 사고 발생 위험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That is, in a vehicle passing through an entire highway,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overspeed in a remaining section except for the time spent at a rest area. In this case, By detecting the overspeed by using the terminal, it informs the driver by using the alarm system to prevent the risk of accidents due to speeding.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고속도로 이용차량이 고속도로(60) 진입시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가 고속도로 입구 톨게이트 장치(41)로부터 톨게이트 정보를 입력받아 진입시간 정보를 기록하고, 고속도로를 운행하는 중에 과속하는지를 파악하여 과속상태를 실시간으로 알려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a motor vehicle is traveling on a highway 60, the wireless terminal dedicated to overspeed notification receives the toll gate information from the highway entrance toll gate device 41 and records the entry time information, And informs the overspeed state in real time.

고속도로 이용차량이 고속도로 휴게소(50)에 진입한 경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가 휴게소 입구 게이트 장치(11)로부터 휴게소 입구 정보를 입력받아 운행 시간 기록에서 제외시킨다.When the highway-use vehicle enters the highway rest area 50, the speed-only announcement wireless terminal receives the resting place entrance information from the rest stop entrance gate device 11 and excludes it from the running time recording.

고속도로 이용차량이 고속도로 휴게소(50)로부터 진출시,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가 휴게소 출구 게이트 장치(21)로부터 휴게소 출구 정보를 입력받아 운행시간을 다시 카운트하며, 고속도로 출구 톨게이트장치(31)를 통과할때까지 휴게소에 머문시간을 제외하고 과속하는지를 계속적으로 계산하여 과속상태를 실시간으로 알려준다.When the highway-use vehicle leaves the highway rest area 50, the speeding-only wireless terminal receives the resting-place exit information from the resting-place exit gate device 21 and counts the travel time again.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highway exit tollgate device 31 Except for the time spent at the rest stop, it will continuously calculate whether you are overspeed and notify the overspeed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은 알림상황이 발생하면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가 과속상태를 파악하고 통신신호 자동출력부(1000)를 통해 경보 시스템(200)으로 과속 알림상황을 전달하여 빠른 시간내에 속도를 줄여서 해결토록 유도하는바,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전원부(1110)와,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제 2 회로 연결 스위치(sw2)와, 통신 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lert condition occurs, the overspeed notification dedicated wireless terminal grasps the overspeed state and transmits the overspeed notification status to the alarm system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10, a first relay switch RY1, a second relay switch RY2, a third relay switch RY3, 1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 second circuit connection switch sw2, and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20. [

상기 전원부(111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킨다.The power source unit 1110 applies power to its own power source.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RY1)는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킨다.The first relay switch RY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to switch the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RY2)는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킨다.The second relay switch RY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to switch the power source unit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RY3)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The third relay switch RY3 is coupl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lay switch and generates a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performs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by pulling the iron piece by the third relay switch.

상기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is driven by the third relay switch so that power is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to induce a communication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1150 It plays a role.

상기 통신 제어부(1120)는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20 switches the second relay switch to induce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witched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upply switch are switched, The thir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nd at the same time, the switching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relay switch is maintained, It plays a role to sustain.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통신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간극제(1134a)와,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ircuit board 1131 for operating the circuit, a wire piece 1132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for opera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control unit, a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Means 1133a, a gap 1134a,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As shown in Fig.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킨다.The circuit-operating piece 1131 contacts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rela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relay switch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상기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power connection iron piece 1132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ircuit operation iron piece 1131. When the circuit operation iron piece 1131 is turned on, power is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Thereby inducing the communication device to operate.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and has a lower end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sw1 and the circuit-operating iron piece 1131 are always kept in the off-state.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has a bar magnet shape having an S pole at the upper end and a first magnet holding The circuit breaker 1133 is pushed to push the circuit breaker 1131 up to maintain the electrically turned off state an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pulled up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operated so that the S The N pole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nd the N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S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When the first relay switch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while the first relay switch is in the close position and the first relay switch is turned on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is stopped, State And then maintains the power supply state through the first relay switch. At this time, when the wire for circuit operation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the wire for connecting the power o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part is automatically operated so that the communication signal is outputted to the outside.

상기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The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s a lower end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ifted from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keep the circuit in a disconnected state while the third relay switch is in operation, The operating wire 1131 is lowered to maintain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특히,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은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이 망실되더라도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에 영향을 미치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Particularly, the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affects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even i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blinded, so that the off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during the third relay switch non- And is 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to maintain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상기 간격제(1134a)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제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몸체와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몸체가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간격제를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The gap 1134a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1134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re not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y are magnetically coupled, So that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can be separated more naturally from each other by the action of the spacing agent at the time of disassembly. If the spacing agent is not present, the body of the first self-holding means and the body of the second self-holding means are directly attached to each other, so that mutual separation becomes difficult later.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spacers are provided so that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can be easily separated.

그리고, 상기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 주변에만 설치하는 이유는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분리되어 있어야 하며, 이때 제 1 자기유지수단의 S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상호 마주보게 되어 분리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만약에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까지 감싸게 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간격제의 방해에 의해서 밀치는 강도가 약해지므로 이격상태 유지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The reason why the spacing agent is provided only around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is that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mus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Pole and the S-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separated state can be easily maintained. If the spacing agent is wrapped to the S-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the strength of the S-poles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is weakened by the interference of the spacers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The maintenance of the separation state may become unstable.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에만 간격제를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하고, 자기적으로 결합시에는 인접한 서로다른 극의 배치로 인하여 상호 용이하게 자기적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였다. 실제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상호 결합되게 되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N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바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자기적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도라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강상태가 지속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rs are provided only on the N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when magnetic coupling is performed, So that the magnetically coupled state can be easily maintained. In practice, when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N pole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S pole of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come close to each other and are strongly magnetically coupled Even if the relay switch is turned off, the fall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1131 is maintained, so that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can be maintained.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오프되어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The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is connected to a wire for circuit operation and a wire for connection to a power supply for outputting a communication signal. When the user operates the wire to interrupt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is stopped so that the communication signal is no longer output.

이하에서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will be described.

먼저, 통신신호 출력을 위한 제어관계를 살펴보면, 통신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통신신호가 출력된다.First, a control relation for outputting a communication signal will be described. In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the third relay switch is operated by applying power to the second relay switch. As a resul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are turned on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and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is powered to output a communication signal.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통신 제어부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activated, the communication control section interrupt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relay switch to cut off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and simultaneously operates the first relay switch.

한편, 만약 작업자가 통신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통신 제어부에서 이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통신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operator turns of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in the middle of output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the communication control section grasps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operated to operate the third relay switch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losed circuit while moving the iron piece and at the same time return the power outputt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 control part 1140 to continuously operate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art 1150.

즉, 본 발명은 알림 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통신신호를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알림 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notification factor is not solved, the communication signal is continuously output to induce the notification factor to be solved.

즉, 통신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 및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면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통신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알림 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통신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통신신호의 발생원인을 확실하게 해결토록 유도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applies the switching signal to the second relay switch and the first relay switch, the communication signal is automatically output by returning the power source again, thereby failing to recognize that the notification situation is completely eliminated, So that the operator can reliably solve the cause of the communication signal.

만약에 통신 제어부에서 더이상 통신신호의 출력이 필요없다고 인정되면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더이상 전원신호를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수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통신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no longer needs to output the communication signal, the power supply signal is no longer applied to the first relay switch and the second relay switch. In this case, the user manually operates the manual switch 1135 to manually transmit the communication signal .

한편,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100)는 기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과열이 발생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100)의 주변에 요부 냉각수단(400)을 설치하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여 필요한 부분을 냉각시킨다.However, since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1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board, overheating may occur. In the present invention, a recessed portion cooling means 400 i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100, And senses heat generated in the dedicated wireless terminal 100 to cool the required portion.

이하에서 요부 냉각수단(4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recessed portion cooling means 4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요부 냉각수단(400)은 냉각패널(410)과, 열전소자(420)와, 방열패널(430)과, 방열 송풍팬(440)과,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 이송부(450)와, 온도 감지부(460)와, 제어부(470)로 이루어진다.The recessed portion cooling means 400 includes a cooling panel 410, a thermoelectric element 420, a heat dissipation panel 430, a heat dissipation fan 440, a cooling panel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transfer portion 450, (460), and a control unit (470).

상기 냉각패널(410)은 알루미늄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일단에 위치한다.The cooling panel 410 is made of aluminum metal and is located at one end of a speed-only announcement wireless terminal.

상기 열전소자(420)는 냉각패널의 하부에 부착되며 외부 전기공급에 따라 냉각패널에 냉각열을 전달하여 함체 내부를 급속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420 is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panel and transmits cooling heat to the cooling panel according to external electric power supply to rapidly cool the inside of the enclosure.

상기 방열패널(430)은 열전소자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고 열전소자의 작용에 의해서 발생된 열을 포집한다.The heat dissipation panel 430 is sliding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is made of aluminum and collects heat generated by the ac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s.

상기 방열 송풍팬(440)은 방열패널에 부착되며 팬의 회전에 의해서 방열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을 빠른 속도로 외부로 전달시켜 방열패널을 식히는 역할을 한다.The heat-dissipating blower fan 440 attaches to the heat-dissipating panel and transfers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dissipating panel to the outsid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fan to cool the heat-dissipating panel.

상기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 이송부(450)는 냉각패널에 연결하되 스크류로 연결하여 자체 회전에 의해서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를 필요한 지점으로 이송하여 그 부분을 급속 냉각시킨다.The cooling panel and the thermoelectric-element transferring unit 450 are connected to a cooling panel, which is connected with a screw. The cooling panel and the thermoelectric-element transferring unit 450 transfer the cooling panel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a required point by self-

상기 온도감지부(460)는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온도가 기준이상 높은 부분이 있는가를 파악하여 정보를 전달한다.The temperature sensing unit 46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temperature higher than a reference temperature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상기 제어부(470)는 온도감지부의 정보 결과를 토대로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 이송부를 구동하여 좀더 냉각이 필요한 지점에 위치되어 그부분을 냉각시키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470 drives the cooling panel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transfer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result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controls the cooling unit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transfer unit so as to be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cooling is required to cool the part.

제어부(470)는 온도감지부의 정보에 따라 필요 구간을 냉각시키는바, 구동모터(450b)를 작동하여 스크류(450a)를 회전시킴으로서 냉각패널(410) 및 열전소자(420)를 필요한 지점으로 이송시킨다. The control unit 470 cools the required sec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and drives the driving motor 450b to rotate the screw 450a to transfer the cooling panel 410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420 to a required point .

그러면 상기 냉각패널(410)과 열전소자(420)가 존재하는 부분은 냉각이 이루어져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cooling panel 410 and the portion where the thermoelectric element 420 is present are cooled,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due to overheating.

즉, 냉각패널(410)과 열전소자(420)가 위치한 부분에 냉각열이 전달되어 급속히 냉각되고, 열전소자(420)에서 발생되는 열은 방열패널(430)을 통해 이동하게 되며, 방열패널(430)에 부착된 방열 송풍팬(440)에 의해서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어 보다 더 강력하게 부분 냉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the cooling heat is transferred to the portion where the cooling panel 410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420 are positioned and rapidly cooled. Heat generated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420 is moved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panel 430, The heat is dissipated to the outside by the heat-dissipating blower fan 440 attached to the heat exchanger 430 to maintain the partially cooled state more strongly.

상기에서 열전소자(420)가 방열패널을 보다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도록하기 위해 방열패널(430)에 레일(430a)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상응하여 열전소자(420)의 표면은 레일홈(420a)을 형성하여 상기 열전소자(420)가 레일(430a)을 타고 보다 자연스럽게 좌우 유동이 가능토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레일(430a) 및 레일홈(420a)은 다수개를 형성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rail 430a on the heat dissipation panel 430 so that the thermoelectric module 420 can slide the heat dissipation panel more easily. In this case, th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420 corresponds to the rail groove So that the thermoelectric element 420 can flow more smoothly from side to side on the rail 430a. Of course, the rails 430a and the rail grooves 420a can form a plurality of pieces.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100)에 먼지 제거수단을 더 설치하여 구성한다.In the mean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further installing dust removing means in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100).

상기 먼지 제거수단은,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표면에 존재하는 먼지를 감지하기 위한 발광수단(110)과; 상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타측에 설치되어 발광수단의 빛을 수광하여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표면에 존재하는 먼지를 감지하기 위한 수광수단(120)과; 상기 발광수단으로부터 수광수단에 전달되는 빛의 양을 분석하여 먼지가 기준이상이면 먼지 제거를 위한 송풍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송풍 제어기(130)와; 상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송풍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표면으로 송풍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송풍기(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ust removing means includes a light emitting means (11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for detecting dust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A light receiving means (12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for receiv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means and detecting the dust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A blowing controller 130 for analyzing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to the light receiving means and outputting a blowing control signal for removing dust if the dust is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an air blower 14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and blowing dust to the surface of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air flow controller.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에 존재하는 먼지를 제거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고, 장시간 사용가능하게 유도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dust present in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and inducing it to be used for a long time.

10 : 휴게소 입구 게이트
11 : 휴게소 입구 게이트 장치
20 : 휴게소 출구 게이트
21 : 휴게소 출구 게이트 장치
30 : 고속도로 출구 톨게이트
31 : 고속도로 출구 톨게이트 장치
40 : 고속도로 입구 톨게이트
41: 고속도로 입구 톨게이트 장치
50 : 고속도로 휴게소
60 : 고속도로
100: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
200: 경보 시스템
1000: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10: Resting area entrance gate
11: rest stop entrance gate device
20: Resting area exit gate
21: resting place exit gate device
30: Highway exit toll gate
31: Highway exit toll gate device
40: Highway entrance toll gate
41: Highway entrance toll gate device
50: Highway rest area
60: Highway
100: speed-only notification wireless terminal
200: Alarm system
1000: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Claims (5)

차량이 고속도로 입구에 위치하면 현재 차량이 고속도로에 진입하였음을 통신신호로 알려주기 위한 고속도로 입구 톨게이트 장치(41)와;
차량이 휴게소 입구에 위치하면 현재 차량이 휴게소에 진입하였음을 통신신호로 알려주기 위한 휴게소 입구 게이트 장치(11)와;
차량이 휴게소 출구에 위치하면 현재 차량이 휴게소를 빠져 나감을 통신신호로 알려주기 위한 , 휴게소 출구 게이트 장치(21)와;
차량이 고속도로를 빠져 나가면 현재 차량이 고속도로를 빠져나가는 것을 통신신호로 알려주기 위한 고속도로 출구 톨게이트 장치(31)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며, 광역 위치파악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내며, 차량 내부의 위치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고 위성에서 송신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거리 대비 차량 속도를 이용하여 평균속도를 산출함으로써 차량의 과속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고속도로 입구 톨게이트 장치(41)와, 휴게소 입구 게이트 장치(11)와, 휴게소 출구 게이트 장치(21) 및, 고속도로 출구 톨게이트 장치(31)로부터 위치신호를 입력받아 휴게소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의 이용시간을 계산하여 평균속도를 파악함으로서 고속도로 전구간에 대한 과속여부를 파악하는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100)와;
상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로부터 과속신호를 전달받아 운전자에게 경보음을 출력하기 위한 경보 시스템(200)과;
상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와 경보 시스템 사이에 설치되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통신신호를 경보시스템에 전달하기 위한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이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도로 과속 경보 시스템.
A highway entrance toll gate device 41 for informing a communication signal that the current vehicle has entered the highway when the vehicle is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highway;
A resting place entrance gate device (11) for informing that a present vehicle has entered a rest area when the vehicle is located at a resting place entrance;
A rest stop exit gate device (21) for informing a communication signal that the current vehicle has left the rest area when the vehicle is located at a rest area exit;
A highway exit toll gate device 31 for informing a communication signal that the current vehicle exits the highway when the vehicle leaves the highway;
I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uses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atellite to find the exact location of the car. Using the location database inside the ca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overspe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speed by using the vehicle speed.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overspeed or not by using the highway entrance toll gate device 41, the rest stop entrance gate device 11, the rest stop exit gate device 21, (100), which receives a position signal from a mobile terminal (31) and calculates a use time of a remaining section excluding a rest area and grasps an average speed to thereby determine whether the speed is over the entire highway area;
An alarm system (200) for receiving an overspeed signal from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and outputting an alarm sound to a driver;
And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installed between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and the alarm system for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signal of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to the alarm system;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A power supply unit 1110 for applying a power supply by its own power supply;
A first relay switch (RY1) provided on one side of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second relay switch (RY2)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unit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third relay switch RY3 coupl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lay switch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A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control unit 1150 ") that serves to induce a communication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1150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sw2);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so as to induce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witched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upply switch are switched and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 communication that serves to maintain the communication state by continu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configured to switch the relay switch,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imultaneously turned off and the first relay switch to be interlocked, A control unit 1120;
A circuit-operating iron piece (1131) which contacts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o relay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relay switch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And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ch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nd which connects the power supply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en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is turned on, Iron pieces 1132;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nd at the lower end thereof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First self-sustaining means 1133 for guiding the electric power to be maintained in the off-state at all time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having an S pole at the lower end and a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he operating piece 1131 is pulled up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actuated so that the S pole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N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S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holding means 1133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switched, the state of attachment of the circuit-operating ferrule 1131 continues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is stopped, And a second magnetic switch that is operated to automatically output the communication signal when the wire for operating the circuit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Maintenance means 1134;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circuit-operating iron piece 1131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by a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whose upper end is an S pole,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ifted from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maintain the circuit breaker state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an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owered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for holding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not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but are held in a constant gap while being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 spacing agent 1134a for inducing the first self-sustaining means and the second self-sustaining means to naturally separate from each other at the time of disassemb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by turning off the wire for the circuit operation and the wire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mmunication wire for interrupt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for stopping the output of the communication signal so as to stop outputting a communication signal.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100)에는 요부 냉각수단(400)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요부 냉각수단(400)은,
알루미늄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일단에 위치하는 냉각패널(410)과;
상기 냉각패널의 하부에 부착되며 외부 전기공급에 따라 냉각패널에 냉각열을 전달하여 함체 내부를 급속냉각시키는 열전소자(420)와;
상기 열전소자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고 열전소자의 작용에 의해서 발생된 열을 포집하는 방열패널(430)과;
상기 방열패널에 부착되며 팬의 회전에 의해서 방열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을 빠른 속도로 외부로 전달시켜 방열패널을 식히는 역할을 하는 방열 송풍팬(440)과;
상기 냉각패널에 연결하되 스크류로 연결하여 자체 회전에 의해서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를 필요한 지점으로 이송하여 그 부분을 급속 냉각시키는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 이송부(450)와;
상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온도가 기준이상 높은 부분이 있는가를 파악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온도감지부(460)와;
상기 온도감지부의 정보 결과를 토대로 냉각패널 및 열전소자 이송부를 구동하여 좀더 냉각이 필요한 지점에 위치되어 그부분을 냉각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7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도로 과속 경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verspeed announcement wireless terminal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cess cooling means (400)
The recessed portion cooling means (400)
A cooling panel 410 made of aluminum metal and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overspeed announcement wireless terminal;
A thermoelectric element 420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panel and transferring cooling heat to a cooling panel according to an external electric power supply to rapidly cool the interior of the enclosure;
A heat dissipation panel 430 slidably joi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nfigured to collect heat generated by the ac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 heat dissipating fan 440 attached to the heat dissipating panel and serving to cool the heat dissipating panel by rapidly transferring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dissipating panel to the outside by rotation of the fan;
A cooling panel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transferring part 450 for connecting the cooling panel to the cooling panel and transferring the cooling panel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a required point by self rotation to rapidly cool the part;
A temperature sensing unit 460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to detect whether a temperature is higher than a reference temperature and transmit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470) for controlling the cooling panel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transfer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result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so as to be located at a point requiring further cooling and cooling the part.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100)에는 먼지 제거수단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먼지 제거수단은,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표면에 존재하는 먼지를 감지하기 위한 발광수단(110)과;
상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타측에 설치되어 발광수단의 빛을 수광하여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표면에 존재하는 먼지를 감지하기 위한 수광수단(120)과;
상기 발광수단으로부터 수광수단에 전달되는 빛의 양을 분석하여 먼지가 기준이상이면 먼지 제거를 위한 송풍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송풍 제어기(130)와;
상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송풍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의 표면으로 송풍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송풍기(1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도로 과속 경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dust removing means;
The dust removing means comprises:
A light emitting means (11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for detecting dust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A light receiving means (120)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for receiv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means and detecting the dust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A blowing controller 130 for analyzing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ans to the light receiving means and outputting a blowing control signal for removing dust if the dust is higher than a reference value;
And an air blower (14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and blowing dust to the surface of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air flow controller.
고속도로 이용차량이 고속도로(60) 진입시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가 고속도로 입구 톨게이트 장치(41)로부터 톨게이트 정보를 입력받아 진입시간 정보를 기록하고, 고속도로를 운행하는 중에 과속하는지를 파악하여 과속상태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단계와;
고속도로 이용차량이 고속도로 휴게소(50)에 진입한 경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가 휴게소 입구 게이트 장치(11)로부터 휴게소 입구 정보를 입력받아 운행 시간 기록에서 제외시키는 단계와;
고속도로 이용차량이 고속도로 휴게소(50)로부터 진출시,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가 휴게소 출구 게이트 장치(21)로부터 휴게소 출구 정보를 입력받아 운행시간을 다시 카운트하며, 고속도로 출구 톨게이트장치(31)를 통과할때까지 휴게소에 머문시간을 제외하고 과속하는지를 계속적으로 계산하여 과속상태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단계와;
과속으로 판단될 경우 과속 알림 전용 무선 단말기(100)가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통해 경보 시스템(200)에 과속 상태를 출력하여 운전자가 운행속도를 늦추도록 유도하며;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이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도로 과속 경보 방법.
When a highway-use vehicle enters a highway 60, a wireless terminal dedicated for speed-and-speed notification receives the tollgate information from the highway entrance toll gate device 41 and records the entry time information. When the vehicle is overseeing the highway, Gt;
A step in which the speeding-only dedicated wireless terminal receives the rest area entrance information from the rest area entrance gate device 11 and excludes it from the driving time recording when the expressway-use vehicle enters the rest area 50 of the expressway;
When the highway-use vehicle leaves the highway rest area 50, the speeding-only wireless terminal receives the resting-place exit information from the resting-place exit gate device 21 and counts the travel time again. The vehicle passes through the highway exit tollgate device 31 A step of continuously calculating whether the vehicle is overspeed except the time remaining at the rest stop, and notifying the overspeed state in real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s overspeed, the overspeed notification exclusive wireless terminal 100 outputs the overspeed state to the alarm system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to induce the driver to slow down the traveling speed;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A power supply unit 1110 for applying a power supply by its own power supply;
A first relay switch (RY1) provided on one side of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second relay switch (RY2)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unit for switching a power source unit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third relay switch RY3 coupl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lay switch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w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A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control unit 1150 ") that serves to induce a communication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1150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third relay switch sw2);
The second relay switch is switched so as to induce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witched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upply switch are switched and then the second relay switch is turned off, A communication that serves to maintain the communication state by continu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configured to switch the relay switch, the third relay switch to be simultaneously turned off and the first relay switch to be interlocked, A control unit 1120;
A circuit-operating iron piece (1131) which contacts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o relay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relay switch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And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ch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nd which connects the power supply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en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is turned on, Iron pieces 1132;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nd at the lower end thereof in the form of a bar magnet having an S pole, First self-sustaining means 1133 for guiding the electric power to be maintained in the off-state at all time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having an S pole at the lower end and a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The operating piece 1131 is pulled up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actuated so that the S pole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body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The N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S pole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holding means 1133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switched, the state of attachment of the circuit-operating ferrule 1131 continues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is stopped, And a second magnetic switch that is operated to automatically output the communication signal when the wire for operating the circuit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hird relay switch, Maintenance means 1134;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is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circuit-operating iron piece 1131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1133 by a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whose upper end is an S pole,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ifted from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o maintain the circuit breaker state when the third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an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lowered Auxiliary magnetic holding means 1133a for holding the ON state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the second magnetic holding means and the first magnetic holding means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not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but are held in a constant gap while being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 spacing agent 1134a for inducing the first self-sustaining means and the second self-sustaining means to naturally separate from each other at the time of disassemb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by turning off the wire for the circuit operation and the wire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mmunication wire for interrupt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for stopping the output of the communication signal so as to stop the communication signal from being output any more.
KR1020170122134A 2017-09-21 2017-09-21 Alarm device for overspeed in automobile KR1019610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134A KR101961026B1 (en) 2017-09-21 2017-09-21 Alarm device for overspeed in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134A KR101961026B1 (en) 2017-09-21 2017-09-21 Alarm device for overspeed in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026B1 true KR101961026B1 (en) 2019-03-21

Family

ID=6603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134A KR101961026B1 (en) 2017-09-21 2017-09-21 Alarm device for overspeed in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02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513B1 (en) * 1984-03-05 1989-11-10 쥐케이엔 오토모티브 콤포넌쯔 인코오포레이티드 Independent wheel suspension system
JP2002122433A (en) * 2000-10-13 2002-04-26 Seiko Epson Corp Navigation device
KR20080080691A (en) * 2007-03-02 2008-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notification of speed limit of navigation terminal
KR101297326B1 (en) * 2013-04-02 2013-08-14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Hi-pass combination lane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513B1 (en) * 1984-03-05 1989-11-10 쥐케이엔 오토모티브 콤포넌쯔 인코오포레이티드 Independent wheel suspension system
JP2002122433A (en) * 2000-10-13 2002-04-26 Seiko Epson Corp Navigation device
KR20080080691A (en) * 2007-03-02 2008-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notification of speed limit of navigation terminal
KR101297326B1 (en) * 2013-04-02 2013-08-14 주식회사 스마트비전 Hi-pass combination lane contro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2289B2 (en)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a driver in driving his vehicle into and out of a parking space in a parking facility
KR101499520B1 (en) Signal change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of traffic light using learning experience data of a driver
KR101666086B1 (en) traffic light control and rest time indicate control apparatus
KR200485570Y1 (en) Alarm device for overspeed in automobile
JP4982138B2 (en) Vehicle shut-off device
JP5958159B2 (en) Vehicle driving support device and vehicle driving support method
KR2015003308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afety of pedestrian on crosswalk
KR20140046953A (en) Device and method for warning collision
KR101682061B1 (en) The road alarm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6298041A (en) Operation support system for vehicle
KR101961026B1 (en) Alarm device for overspeed in automobile
US20110137521A1 (en) Vehicular traffic enforcement system
KR200413236Y1 (en) Alarming system for prevent traffic accident for traffic calming
KR20160128169A (en) Method and system of danger warning at intersection
BR112014023970A2 (en) TRAIN CONTROL SYSTEM
KR20180135227A (en) Converse Driving Prevention System
KR20130138446A (en) Traffic signal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vehicle and traffic signal appratus associated with external transportation device
JP2011192193A (en) Railroad cross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railroad cross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7092009B2 (en) A processing device, an electric mobility equipped with the processing device, a control device, a remote control system, and a remote control method.
KR20210119093A (en) Method and System for crosswalk safety walking support for visually impaired using Vehicle to Everything
JP7312862B2 (en) Method, control circuit and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current collector of a vehicle that collects power from the track line of an electric road system
JP4770848B2 (en) Transportation system and central equipment
CN209912137U (en) Device for warning motor vehicle avoidance by pedestrian through sidewalk
JP3314092B2 (en) On-vehicle position detection device
KR20150110099A (en) Bollard having Traffic Surveilla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