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082B1 -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082B1
KR101960082B1 KR1020170148275A KR20170148275A KR101960082B1 KR 101960082 B1 KR101960082 B1 KR 101960082B1 KR 1020170148275 A KR1020170148275 A KR 1020170148275A KR 20170148275 A KR20170148275 A KR 20170148275A KR 101960082 B1 KR101960082 B1 KR 101960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member
housing
lid
locking devic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민더블유엔피 (W&P)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민더블유엔피 (W&P)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민더블유엔피 (W&P)
Priority to KR1020170148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0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14Applications of locks, e.g. of permutation or key-controlled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48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용 잠금장치는 상측 개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내부 공간에 담으며 상측 개구 둘레를 따라 플랜지가 형성된 함체와 함체의 상측 개구를 여닫도록 함체에 힌지 결합되는 뚜껑을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에 채용되어, 뚜껑을 함체에 대해 잠그거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결속부재와, 제2 결속부재, 및 자물쇠를 포함한다. 제1 결속부재는 뚜껑의 상면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제2 결속부재는 제1 결속부재를 관통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부와, 승강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승강부의 승강에 따라 제1 결속부재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되며 제1 결속부재에 대해 접근한 상태에서 함체의 플랜지에 걸려 뚜껑의 열림 동작을 제한하는 걸림부를 구비한다. 자물쇠는 제2 결속부재를 제1 결속부재에 잠그거나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용 잠금장치{Locking device of food garbage box}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에 채용되어 수거함의 뚜껑을 잠그거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량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중량에 해당하는 수거비용이 정확히 정산될 수 있고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여, 효율적이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 감소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종량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중량을 개량한 후 비용을 정산하면 자동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수거함에 투하되어 수집되고, 수거함에 수집된 음식물 쓰레기가 적정량 쌓이면 관리자에게 교체시기임을 전달하여 새로운 수거함으로 교체하게 된다.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의 주변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채워져 회수 대기중인 수거함과 교체를 위해 대기중인 수거함이 보관된다. 이로 인해, 음식물 쓰레기 배출자가 정상적인 비용정산을 통하지 않고 보관중인 수거함의 뚜껑을 임의로 개방하여 해당 수거함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음식물 쓰레기 배출자가 회수 대기중인 수거함에 음식물 쓰레기를 추가 투입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넘쳐 흐르게 되어 매우 비위생적이며, 교체 대기중인 수거함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의 실시 목적이 상실되고 효율적인 시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평상시에 수거함의 뚜껑을 잠금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가, 필요에 따라 관리자만이 수거함의 뚜껑을 개방할 수 있게 하는 잠금장치가 요구된다.
등록특허 제10-0886327호(2009.02.27. 공고)
본 발명의 과제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뚜껑을 수거함의 함체에 대해 편리하게 잠그거나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용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용 잠금장치는 상측 개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내부 공간에 담으며 상측 개구 둘레를 따라 플랜지가 형성된 함체와 함체의 상측 개구를 여닫도록 함체에 힌지 결합되는 뚜껑을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에 채용되어, 뚜껑을 함체에 대해 잠그거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결속부재와, 제2 결속부재, 및 자물쇠를 포함한다. 제1 결속부재는 뚜껑의 상면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제2 결속부재는 제1 결속부재를 관통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부와, 승강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승강부의 승강에 따라 제1 결속부재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되며 제1 결속부재에 대해 접근한 상태에서 함체의 플랜지에 걸려 뚜껑의 열림 동작을 제한하는 걸림부를 구비한다. 자물쇠는 제2 결속부재를 제1 결속부재에 잠그거나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뚜껑을 수거함의 함체에 대해 편리하게 잠그거나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뚜껑은 수거함의 함체에 대해 잠금 처리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관리자에 의해서만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그 결과, 수거함의 주변은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가 효율적으로 시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용 잠금장치에 채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잠금장치가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을 잠금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용 잠금장치에 채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잠금장치가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을 잠금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10)은 함체(11)와 뚜껑(12)을 구비한다.
함체(11)는 상측 개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내부 공간에 담도록 형성된다. 함체(11)는 상측 개구 둘레를 따라 플랜지(11a)가 형성된다. 플랜지(11a)는 함체(11)의 앞면 및 옆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플랜지(11a)의 단부는 하방으로 구부러져 함체(11) 바깥 측면과의 사이에 하측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뚜껑(12)은 함체(11)의 상측 개구를 여닫도록 함체(11)에 힌지 결합된다. 뚜껑(12)은 함체(11)의 후방 부위에 힌지 축으로 결합되어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함체(11)의 상측 개구를 여닫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100)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10)에 채용되어 뚜껑(12)을 함체(11)에 대해 잠그거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한다. 즉, 잠금장치(100)는 평상시에 뚜껑(12)을 함체(11)에 대해 잠금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가, 필요에 따라 관리자만이 뚜껑(12)을 함체(11)에 대해 개방할 수 있게 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잠금장치(100)는 제1 결속부재(110)와, 제2 결속부재(120), 및 자물쇠(130)를 포함한다.
제1 결속부재(110)는 뚜껑(12)의 상면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예컨대, 제1 결속부재(110)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10)의 정면을 기준으로, 뚜껑(12)의 중앙 쪽에 가깝게 배치되는 후단 부위로부터 좌우로 각각 돌출되게 연장되어 뚜껑(12)의 상면과 밀착되는 연장 블록부(111)를 구비할 수 있다. 연장 블록부(111)는 하면에 뚜껑(12)의 상면과 밀착되는 복수의 밀착 돌기(112)들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밀착 돌기(112)들은 각각 좌우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뚜껑(12)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결속부재(110)는 뚜껑(12)의 가장자리 쪽에 가깝게 배치되는 전단 부위에 제2 결속부재(120)의 승강부(121)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 지지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승강 지지부(116)는 승강부(121)를 관통시켜 승강부(121)의 승강을 지지하는 승강 지지홀(117)을 갖는다.
승강 지지부(116)는 제1 결속부재(110)의 중앙 하면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더 연장되어 승강부(121)의 승강을 더욱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승강 지지홀(117)은 승강부(121)와 헐거운 끼워맞춤(movable fit)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헐거운 끼워맞춤은 승강부(121)가 승강 지지홀(117) 내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정도의 끼워맞춤이다.
제1 결속부재(110)는 내부 공간을 갖고 하측이 개구된 케이스(110a)와, 케이스(110a)의 하측 개구를 덮는 커버(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a)는 상면에 자물통(131)의 열쇠 구멍을 노출시킨 상태로 커버(110b)와의 내부 공간에 자물통(131)을 수용한다. 케이스(110a)는 커버(110b)와의 내부 공간에 작동대(132)의 회전 동작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작동대(132)를 수용한다.
케이스(110a)는 후단 부위에 상측 연장 블록부(111a)가 형성된다. 상측 연장 블록부(111a)는 내부 공간을 갖고 하측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110a)는 전단 부위에 승강 지지홀(117)의 상측 영역을 한정하는 상측 승강 지지부(116a)를 갖는다. 상측 승강 지지부(116a)는 상하단이 개구되며, 상단 개구가 케이스(110a)의 상면을 통해 노출된 상태로 케이스(110a)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다.
커버(110b)는 후단 부위에 하측 연장 블록부(111b)가 형성된다. 하측 연장 블록부(111b)는 상측 연장 블록부(111a)의 하측 개구를 덮도록 형성되어 연장 블록부(111)를 구성하게 된다. 하측 연장 블록부(111b)의 하면에 밀착 돌기(11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110b)는 케이스(110a)의 하측 개구를 덮은 상태에서 케이스(110a)와 볼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커버(110b)는 전단 부위에 승강 지지홀(117)의 하측 영역을 한정하는 하측 승강 지지부(116b)를 갖는다. 하측 승강 지지부(116b)는 상하단이 개구되며, 상단 개구가 커버(110b)의 상면을 통해 노출된 상태로 커버(110b)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다. 커버(110b)가 케이스(110a)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측 승강 지지부(116b)는 상측 승강 지지부(116a)와 맞닿아 연결됨으로써 승강 지지부(116)를 구성하게 된다. 커버(110b)의 하부에는 하측 승강 지지부(116b)를 강건하게 지지하도록 복수의 보강 리브(118)들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110b)는 케이스(110a)와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출입할 수 있게 복수의 통공(119)들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구조의 케이스(110a)와 커버(110b)는 사출 성형 등에 의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속부재(120)는 승강부(121) 및 걸림부(126)를 구비한다. 승강부(121)는 제1 결속부재(110)를 관통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승강부(121)는 제2 결속부재(120)의 상측 영역에 위치된다. 승강부(121)는 최외곽 둘레가 사각 형태를 이루되, 각 코너가 라운딩 처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승강 지지홀(117)은 내주면이 사각 형태를 이루되, 각 코너가 라운딩 처리된 형태로 이루어져, 승강부(121)와 헐거운 끼워맞춤될 수 있다.
승강부(121)는 상단의 좌,우측에 이탈방지 후크(12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 후크(122)는 승강 지지홀(117)을 통과한 상태에서 승강 지지홀(117)의 상단 주변에 걸리도록 승강부(121)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승강부(121)는 이탈방지 후크(122)와의 사이에 상단으로부터 홈이 절개됨으로써, 이탈방지 후크(122)의 하측에 탄성 변형부(123)가 형성될 수 있게 한다. 탄성 변형부(123)는 이탈방지 후크(122)가 승강 지지홀(117)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며, 이탈방지 후크(122)가 승강 지지홀(117)을 통과한 후 복원된다. 따라서, 이탈방지 후크(122)는 승강 지지홀(117)을 원활히 통과하여 승강 지지홀(117)의 상단 주변에 걸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승강부(121)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10)의 전방에 배치된 기준으로, 앞면 부위에 홈들이 좌우로 배열되고 각각 상하로 길게 연장됨으로써, 홈들 사이에 레일(121a)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레일(121a)들은 승강 지지홀(117)에 대한 승강부(121)의 접촉 면적을 줄여 승강부(121)의 승강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홈들은 걸림부(126)의 앞면 부위와 돌출부(127)의 앞면 부위 및 하면 부위까지 연장되어 제2 결속부재(120)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승강부(121)는 뒷면 부위에 복수의 홈들이 형성되어 승강 지지홀(117)과의 접촉 면적을 줄임과 아울러 제2 결속부재(120)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걸림부(126)는 승강부(121)의 하측에 형성되어 승강부(121)의 승강에 따라 제1 결속부재(110)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된다. 걸림부(126)는 제1 결속부재(110)에 대해 접근한 상태에서 함체(11)의 플랜지(11a)에 걸려 뚜껑(12)의 열림 동작을 제한한다.
예컨대, 걸림부(126)는 승강부(121)보다 후방으로 돌출된 걸림 몸체(126a)와, 걸림 몸체(126a)의 좌,우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돌출된 한 쌍의 걸림 돌기(126b)들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 돌기(126b)들은 제1 결속부재(110)가 뚜껑(12)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2 결속부재(120)가 상승함에 따라 함체(11)의 플랜지(11a) 하측 공간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걸림 돌기(126b)들은 걸림 몸체(126a)의 후단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걸림 돌기(126b)는 상측 부위의 뒷면이 절개되어 하측 부위보다 전후 폭이 좁게 됨으로써, 함체(11)의 플랜지(11a) 하측 공간에 원활하게 걸릴 수 있다. 걸림 몸체(126a)와 걸림 돌기(126b)들은 각 뒷면에 홈들이 형성되어 제2 결속부재(120)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제2 결속부재(120)는 돌출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27)는 걸림부(126)가 함체(11)의 플랜지(11a)에 걸린 상태에서 함체(11)의 바깥 측면과 맞닿도록 걸림부(126)의 하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부(127)는 함체(11)의 바깥 측면에 맞닿아 걸림부(126)가 함체(11)의 플랜지(11a)에 걸린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돌출부(127)는 걸림부(126)의 뒷면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부(127)는 뒷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함체(11)의 바깥 측면과 맞닿는 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돌출부(127)는 뒷면에 홈들이 형성되어 제2 결속부재(120)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의 제2 결속부재(120)는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자물쇠(130)는 제2 결속부재(120)를 제1 결속부재(110)에 잠그거나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한다. 예컨대, 자물쇠(130)는 자물통(131)과, 작동대(132), 및 잠금홀(13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물통(131)은 제1 결속부재(110)의 상면에 열쇠 구멍(131a)이 노출되도록 제1 결속부재(110)에 장착된다. 자물통(131)은 해당 열쇠가 열쇠 구멍(131a)에 삽입되어 인식 성공하면, 해당 열쇠의 회전에 따라 내부의 가동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자물통(131)은 승강 지지부(116)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자물통(131)은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주에서 공지의 자물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작동대(132)는 열쇠 구멍(131a)에 해당 열쇠가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하 축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한다. 작동대(132)는 사각형 막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대(132)는 한쪽 단이 자물통(131)의 가동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작동대(132)는 경질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잠금홀(133)들은 제2 결속부재(120)의 승강부(121)에 일정 간격으로 상하로 배열되어 승강부(121)의 상하 위치에 따라 작동대(132)와 선택적으로 대응되며, 작동대(132)의 회전 동작에 따라 작동대(132)를 끼우거나 분리한다.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10)은 크기나 종류 등에 따라 뚜껑(12)의 상면으로부터 함체(11)의 플랜지(11a) 단부까지 간격이 변경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결속부재(110)가 뚜껑(12)의 상면에 밀착되고 제2 결속부재(120)가 걸림부(126)에 의해 함체(11)의 플랜지(11a) 하측 공간에 걸린 상태에서 승강부(121)의 상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승강부(121)의 상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잠금홀(133)들 중 어느 하나가 승강부(121)의 상하 위치에 따라 작동대(132)와 대응되어 작동대(132)를 끼움으로써, 제1,2 결속부재(110, 120)를 잠금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잠금장치(100)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10)의 크기나 종류 등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잠금홀(133)들은 작동대(132)의 회전 중심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각각의 잠금홀(133)은 승강부(121)의 한쪽 측면과 뒷면에 걸쳐 함몰 형성되며, 승강부(121)의 반대쪽 측면과 앞면에 걸쳐 막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작동대(132)는 승강부(121)의 한쪽 측면과 뒷면에 걸쳐 함몰된 잠금홀(133)의 개구를 통해 출입할 수 있게 된다. 작동대(132)는 해당 잠금홀(133)에 끼워진 상태에서 잠금 홀(133)의 상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제2 결속부재(120)가 제1 결속부재(110)에 잠금 처리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잠금장치(100)의 작용 예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잠금장치(100)를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10)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물쇠(130)를 해정해서 제2 결속부재(120)를 제1 결속부재(110)에 대해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시켜둔다. 이때, 작동대(132)는 잠금홀(133)들 모두로부터 벗어나도록 위치된다.
또한, 제1 결속부재(110)가 뚜껑(12)의 상면에 놓일 때 제2 결속부재(120)의 걸림부(126)가 함체(11)의 플랜지(11a) 단부보다 충분히 낮게 위치할 수 있도록 제2 결속부재(120)의 승강부(121)를 제1 결속부재(110)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준비한다. 그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속부재(110)를 뚜껑(12)의 상면에 안치시킨 후, 제2 결속부재(120)의 승강부(121)를 상승시켜 제2 결속부재(120)의 걸림부(126)를 함체(11)의 플랜지(11a)에 걸리게 한다. 이때, 걸림부(126)의 걸림 돌기(126b)들이 함체(11)의 플랜지(11a) 하측 공간으로 삽입된다. 돌출부(127)는 함체(11)의 바깥 측면에 맞닿아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자물통(131)의 열쇠 구멍(131a)에 해당 열쇠를 삽입시켜 회전시킴에 따라 작동대(132)를 회전시켜 해당 잠금홀(133)에 끼운 후, 자물통(131)의 열쇠 구멍으로부터 해당 열쇠를 분리시킨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대(132)는 해당 잠금홀(133)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제2 결속부재(120)의 승강부(121)는 제1 결속부재(110)의 승강 지지부(116)에 대한 승강 이동이 구속되므로, 제2 결속부재(120)는 제1 결속부재(110)에 대해 잠금 처리될 수 있다. 그 결과,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10)은 함체(11)에 대한 뚜껑(12)의 열림 동작이 제한된다.
한편, 사용자가 잠금장치(100)를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10)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전술한 과정들을 역순으로 진행한다. 즉, 자물통(131)의 열쇠 구멍(131a)에 해당 열쇠를 삽입시켜 회전시킴에 따라 작동대(132)를 회전시켜 해당 잠금홀(133)로부터 분리시킨 후, 자물통(131)의 열쇠 구멍(131a)으로부터 해당 열쇠를 분리시킨다. 그러면, 제2 결속부재(120)의 승강부(121)는 제1 결속부재(110)의 승강 지지부(116)에 대한 승강 이동이 자유롭게 되므로, 제2 결속부재(120)는 제1 결속부재(110)에 대해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결속부재(120)의 승강부(121)를 하강시켜 제2 결속부재(120)의 걸림부(126)를 함체(11)의 플랜지(11a)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때, 걸림부(126)의 걸림 돌기(126b)들이 함체(11)의 플랜지(11a) 하측 공간으로부터 분리된다. 그 다음, 제1,2 결속부재(110, 120)를 뚜껑(12)과 함체(11)로부터 분리시키면,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10)은 함체(11)에 대한 뚜껑(12)의 열림 동작이 자유롭게 된다.
이와 같이, 잠금장치(100)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평상시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10)의 뚜껑(12)을 수거함(10)의 함체(11)에 대해 잠금 처리할 수 있게 하며, 필요에 따라 관리자만이 수거함(10)의 뚜껑(12)을 수거함(10)의 함체(11)에 대해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회수 대기중이거나 교체 대기중인 수거함(10)의 뚜껑(12)을 잠금장치(100)에 의해 수거함(10)의 함체(11)에 대해 잠금 처리해둘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 배출자가 정상적인 비용정산을 통하지 않고, 회수 대기중이거나 교체 대기중인 수거함(10)의 뚜껑을 임의로 개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회수 완료된 수거함(10)에 대해 잠금장치(100)를 해정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거나, 교체된 수거함(10)에 대해 잠금장치(100)를 해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수거함(10)의 주변은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가 효율적으로 시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11..함체
11a..플랜지 12..뚜껑
110..제1 결속부재 111..연장 블록부
116..승강 지지부 117..승강 지지홀
120..제2 결속부재 121..승강부
126..걸림부 126a..걸림 몸체
126b..걸림 돌기 127..돌출부
130..자물쇠 131..자물통
132..작동대 133..잠금홀

Claims (3)

  1. 삭제
  2. 상측 개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내부 공간에 담으며 상측 개구 둘레를 따라 플랜지가 형성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상측 개구를 여닫도록 상기 함체에 힌지 결합되는 뚜껑을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에 채용되어, 상기 뚜껑을 상기 함체에 대해 잠그거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장치로서,
    상기 뚜껑의 상면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제1 결속부재;
    상기 제1 결속부재를 관통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1 결속부재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되며 상기 제1 결속부재에 대해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함체의 플랜지에 걸려 상기 뚜껑의 열림 동작을 제한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제2 결속부재; 및
    상기 제2 결속부재를 상기 제1 결속부재에 잠그거나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하는 자물쇠;를 포함하며,
    상기 자물쇠는,
    상기 제1 결속부재의 상면에 열쇠 구멍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1 결속부재에 장착되는 자물통과,
    상기 열쇠 구멍에 해당 열쇠가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하 축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는 작동대, 및
    상기 제2 결속부재의 승강부에 일정 간격으로 상하로 배열되어 상기 승강부의 상하 위치에 따라 상기 작동대와 선택적으로 대응되며 상기 작동대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작동대를 끼우거나 분리하는 잠금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용 잠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속부재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함체의 플랜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함체의 바깥 측면과 맞닿도록 상기 걸림부의 하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용 잠금장치.
KR1020170148275A 2017-11-08 2017-11-08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용 잠금장치 KR101960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275A KR101960082B1 (ko) 2017-11-08 2017-11-08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275A KR101960082B1 (ko) 2017-11-08 2017-11-08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082B1 true KR101960082B1 (ko) 2019-03-19

Family

ID=6590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275A KR101960082B1 (ko) 2017-11-08 2017-11-08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082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327B1 (ko) 2008-11-14 2009-02-27 손미숙 쓰레기 배출용 칩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통 개폐 장치
KR200456329Y1 (ko) * 2011-05-12 2011-10-26 박윤근 쓰레기통 뚜껑 잠금장치
KR200460587Y1 (ko) * 2012-01-18 2012-06-04 일월정밀 주식회사 쓰레기통의 잠금장치
KR200464070Y1 (ko) * 2012-06-12 2012-12-11 신석호 쓰레기 수거함의 잠금장치
KR101222702B1 (ko) * 2012-09-04 2013-01-16 김경남 쓰레기통 잠금장치
KR101320679B1 (ko) * 2013-04-01 2013-10-29 (주)그린시스템테크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뚜껑 잠금장치
KR101324496B1 (ko) * 2013-06-29 2013-11-01 (주)그린시스템테크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뚜껑 잠금장치
KR20140144985A (ko) * 2013-06-12 2014-12-22 김경남 쓰레기통의 잠금장치
KR101473151B1 (ko) * 2014-04-15 2014-12-24 주식회사 대성에코 음식물 쓰레기통 뚜껑의 잠금장치
KR101551619B1 (ko) * 2015-05-06 2015-09-09 (주)그린시스템테크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뚜껑 잠금장치
KR20150144531A (ko) * 2014-06-17 2015-12-28 정한테크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용 잠금장치
KR20170045891A (ko) * 2015-10-20 2017-04-28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수거통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327B1 (ko) 2008-11-14 2009-02-27 손미숙 쓰레기 배출용 칩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통 개폐 장치
KR200456329Y1 (ko) * 2011-05-12 2011-10-26 박윤근 쓰레기통 뚜껑 잠금장치
KR200460587Y1 (ko) * 2012-01-18 2012-06-04 일월정밀 주식회사 쓰레기통의 잠금장치
KR200464070Y1 (ko) * 2012-06-12 2012-12-11 신석호 쓰레기 수거함의 잠금장치
KR101222702B1 (ko) * 2012-09-04 2013-01-16 김경남 쓰레기통 잠금장치
KR101320679B1 (ko) * 2013-04-01 2013-10-29 (주)그린시스템테크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뚜껑 잠금장치
KR20140144985A (ko) * 2013-06-12 2014-12-22 김경남 쓰레기통의 잠금장치
KR101324496B1 (ko) * 2013-06-29 2013-11-01 (주)그린시스템테크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뚜껑 잠금장치
KR101473151B1 (ko) * 2014-04-15 2014-12-24 주식회사 대성에코 음식물 쓰레기통 뚜껑의 잠금장치
KR20150144531A (ko) * 2014-06-17 2015-12-28 정한테크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용 잠금장치
KR101551619B1 (ko) * 2015-05-06 2015-09-09 (주)그린시스템테크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뚜껑 잠금장치
KR20170045891A (ko) * 2015-10-20 2017-04-28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수거통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2777B1 (en) Internal ballastable rodent bait station
EP2436492B1 (en) Container assembly
US5423450A (en) Disposable sharps container and mounting bracket
JP2014520497A (ja) 公共格納室蓋のための蓋持ち上げ穴ライナー及び封じ込め箱、並びにそれらを備える公共格納室蓋
US3230844A (en) Service box structure
US11172777B1 (en) Mobile expandable hard sided package security drop box
KR101960082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용 잠금장치
US10660306B2 (en) Device for securing feed or water bucket
KR200460838Y1 (ko) 부분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
KR101320679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뚜껑 잠금장치
KR101324496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뚜껑 잠금장치
KR101551619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의 뚜껑 잠금장치
US1980715A (en) Receptacle
US3640451A (en) Receptacle device
US3214090A (en) Receptacle with detachable unit
US3075692A (en) Wall hung trash receptacle
KR200362223Y1 (ko) 음식물 쓰레기통의 지지장치
KR200474822Y1 (ko) 재활용품수거함
KR20130023919A (ko) 공공용 쓰레기통
KR102276378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통 잠금장치
KR102063312B1 (ko) 복수의 분리수거통의 고정대
CN211750575U (zh) 轮椅储物箱和轮椅
US2315345A (en) Box trap for catching many animals at one setting
CN209087055U (zh) 防水防虫售卖展示格间和自动售货机
KR102044899B1 (ko)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