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179B1 - 칠판 시스템 - Google Patents

칠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179B1
KR101959179B1 KR1020180147102A KR20180147102A KR101959179B1 KR 101959179 B1 KR101959179 B1 KR 101959179B1 KR 1020180147102 A KR1020180147102 A KR 1020180147102A KR 20180147102 A KR20180147102 A KR 20180147102A KR 101959179 B1 KR101959179 B1 KR 101959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board
rail
guides
wat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연
Original Assignee
이성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연 filed Critical 이성연
Priority to KR1020180147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01Wall mounting or suspension arrangement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31/00Writing implement receptacles functioning as, or combined with, writ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1/00Blackboard or slate clean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22Sl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12Embedded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칠판 시스템은,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며, 하부에 폭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과, 상부에 폭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3 레일 및 제4 레일을 갖는 칠판 프레임과, 상기 칠판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2 레일과 상기 제4 레일의 후방에서, 판서면이 상기 칠판 프레임에 의해 한정되는 후방 영역의 전체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주 칠판과,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3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제2 레일과 상기 제4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칠판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좌측 끝에서 우측 끝까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보조 칠판과, 상기 제1 레일 내지 상기 제4 레일 중, 상기 보조 칠판이 설치되지 않은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칠판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좌측 끝에서 우측 끝까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을 포함하며, 사용시, 상기 주 칠판의 판서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 상기 보조 칠판의 판서면의 전체 영역 및 상기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의 주면의 전체 영역이 동시에 노출되는 제1 사용 모드와, 상기 보조 칠판의 판서면의 전체 영역 및 상기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의 주면의 전체 영역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주 칠판의 판서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동시에 노출되는 제2 사용 모드를 갖는다.

Description

칠판 시스템{BOARD SYSTEM}
본 발명은 칠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주 칠판의 활용 영역을 넓히고, 보조 칠판 및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물분필을 사용하는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칠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학원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형적인 흑판, 화이트보드 등과 같은 기존의 칠판 구조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1286호(2006.03.07.)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게시판 형태의 구조물이 설치된 형태이다. 이러한 종래의 칠판 구조에서는, 메인 칠판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게시판의 후방으로 보조 칠판을 밀어 넣은 상태로 사용한다. 보조 칠판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게시판의 후방에 위치한 보조 칠판을 빼내어 메인 칠판 영역의 앞으로 배치한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양측에 게시판을 구비한 기존의 칠판 구조에서는, 메인 칠판의 사용 가능 폭이 매우 좁다. 즉, 게시판에 의해 가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게시판에 의해 가려져 있는 부분에는 메인 칠판의 판서면 자체가 설치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기존 칠판들의 경우 보조 칠판의 좌우 이동이 원활하지 않아, 게시판의 후방에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따라서, 메인 칠판의 사용 가능 영역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기존의 분필의 단점을 보완하여 물분필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물분필의 사용 환경에 적합하도록 칠판 시스템도 변경될 필요가 있다. 물분필이나 이를 지우기 위한 물칠판, 그리고 물칠판 지우개의 사용으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 예컨대, 분필함에 물분필이 투입되는 경우 물분필에 함유된 수분으로 인해 물분필들끼리 서로 엉겨붙거나 물분필의 재사용이 불가능해지기도 하고, 분필함의 내부를 오염시켜 분필함 내부 청소나 관리를 어렵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물칠판에 분필함을 부착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불편함도 또한 초래된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1286호(2006.03.07.)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136813호(1998.10.3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양측에 게시판을 구비한 기존의 칠판 구조에서는, 메인 칠판의 사용 가능 폭이 매우 좁은 단점을 해결하고, 보조 칠판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개선된 칠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칠판 시스템에서, 물분필(물백분)을 수용하기 위해 물칠판의 하단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분필함 내에서 물분필에 함유된 수분으로 인해 물분필들끼리 서로 엉겨붙어 물분필의 재사용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분필함 내부를 오염시켜 분필함의 내부 청소나 관리를 어렵게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개선된 칠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물칠판지우개를 사용한 후 칠판 하단의 걸이대 등에 그대로 둠으로 인해, 물칠판지우개에 기인한 수분이 물분필에 영향을 미치거나, 물칠판지우개의 통풍이 원활하지 않음으로 인해, 물칠판지우개가 오염되거나 미관상 좋지 않게 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개선된 칠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칠판 시스템은,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며, 하부에 폭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 -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제2 레일의 전방에 위치함 - 과, 상부에 폭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3 레일 및 제4 레일 - 상기 제3 레일은 상기 제4 레일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레일은 상기 제1 레일의 직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4 레일은 상기 제2 레일의 직상에 위치함 - 을 갖는 칠판 프레임과, 상기 칠판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2 레일과 상기 제4 레일의 후방에서, 상기 칠판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2 레일과 상기 제4 레일의 후방에서, 판서면이 상기 칠판 프레임에 의해 한정되는 후방 영역의 전체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주 칠판;과,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3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제2 레일과 상기 제4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칠판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좌측 끝에서 우측 끝까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보조 칠판과, 상기 제1 레일 내지 상기 제4 레일 중, 상기 보조 칠판이 설치되지 않은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칠판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좌측 끝에서 우측 끝까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을 포함하며, 사용시, 상기 주 칠판의 판서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 상기 보조 칠판의 판서면의 전체 영역 및 상기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의 주면의 전체 영역이 동시에 노출되는 제1 사용 모드와, 상기 보조 칠판의 판서면의 전체 영역 및 상기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의 주면의 전체 영역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주 칠판의 판서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동시에 노출되는 제2 사용 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 칠판 및 상기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 각각은,
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및 한 쌍의 제2 가이드,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휠,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휠을 포함하고, 상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3 가이드 및 한 쌍의 제4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칠판의 한 쌍의 제1 가이드와 한 쌍의 제2 가이드는 상기 제1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보조 칠판의 한 쌍의 제3 가이드와 한 쌍의 제4 가이드는 상기 제3 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의 한 쌍의 제1 가이드와 한 쌍의 제2 가이드는 상기 제2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의 한 쌍의 제3 가이드와 한 쌍의 제4 가이드는 상기 제4 레일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 칠판 및 상기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 각각의 한 쌍의 제1 가이드, 한 쌍의 제2 가이드, 한 쌍의 제3 가이드, 및 한 쌍의 제4 가이드 각각에서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4 레일 중 대응되는 레일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 칠판 및 상기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의 폭 방향으로의 이동시, 흔들림 및 탈선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가이드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칠판 시스템은, 상기 칠판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물칠판용 분필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칠판용 분필함은, 상기 물칠판의 하단에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서 전진 및 후퇴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전방에 물분필을 삽입하기 위한 물분필 삽입구가 형성되는, 외측 통과, 상기 외측 통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외측 통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높이에서 상기 물분필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물분필을 지지하며, 복수 개의 통기홀들을 갖는, 물분필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분필 지지부는 상기 물분필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물분필이 후방으로 굴러내려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칠판 시스템은, 상기 칠판 프레임의 하단에서 고정판에 의해 결합되며, 물칠판용 분필함과 물칠판 지우개 수납함을 갖는 물칠판용 수납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칠판용 분필함은,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서 전진 및 후퇴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전방에 물분필을 삽입하기 위한 물분필 삽입구가 형성되는, 외측 통과, 상기 외측 통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외측 통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높이에서 상기 물분필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물분필을 지지하며, 복수 개의 통기홀들을 가지며, 상기 물분필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물분필이 후방으로 굴러내려가도록 경사를 갖는, 물분필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칠판지우개 수납함은,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 고정되고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는 물칠판지우개 거치통과, 상기 물칠판지우개 거치통 내에서 상기 물칠판지우개 거치통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유지되며, 상기 물칠판지우개를 지지하고, 복수 개의 통기홀들이 형성되는 물칠판지우개 지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정판은, 상기 외측 통이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서 전진 및 후퇴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판의 양측에 형성된 요홈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통은,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상기 요홈부들에 삽입되어 상기 요홈부들을 따라 전진 및 후퇴가능하도록 상기 외측 통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레일들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은, 상기 고정판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외측 통이 전진할 때, 상기 외측 통이 상기 고정판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전진용 스토퍼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물분필 지지부는, 상기 외측 통으로부터 상기 물분필 지지부를 분리할 경우 손잡이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물분필 삽입구를 통해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물분필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물분필을 지지하며 상기 복수 개의 통기홀들이 형성되는 통기홀 형성부와, 상기 통기홀 형성부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물분필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물분필이 상기 통기홀 형성부의 아래로 이탈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이탈방지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기홀 형성부는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이탈방지판 방향으로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외측 통은, 상기 고정판에 형성된 상기 요홈부들에 상기 측면레일들이 삽입된 상태로 후퇴할 때, 상기 외측 통이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후퇴용 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개선된 칠판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양측에 게시판을 구비한 기존의 칠판 구조에서는, 메인 칠판의 사용 가능 폭이 매우 좁은 단점을 해결하고, 보조 칠판의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칠판 시스템에서, 물분필(물백분)을 수용하기 위해 물칠판의 하단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분필함 내에서 물분필에 함유된 수분으로 인해 물분필들끼리 서로 엉겨붙어 물분필의 재사용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분필함 내부를 오염시켜 분필함의 내부 청소나 관리를 어렵게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물칠판지우개를 사용한 후 칠판 하단의 걸이대 등에 그대로 둠으로 인해, 물칠판지우개에 기인한 수분이 물분필에 영향을 미치거나, 물칠판지우개의 통풍이 원활하지 않음으로 인해, 물칠판지우개가 오염되거나 미관상 좋지 않게 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판 시스템(1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칠판 시스템(10)에서 칠판 프레임(14)에 결합되는 보조 칠판(12) 또는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칠판 시스템(10)에서 칠판 프레임(14)의 구조와 칠판 프레임(14)의 후방에 배치되는 주 칠판(11)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I-I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II-II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I-I 단면에서 보조 칠판(12)과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의 단면을 더 고려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II-II 단면에서 보조 칠판(12)과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의 단면을 더 고려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칠판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칠판 시스템(10)에서 물칠판용 분필함(100)을 더 구비한 칠판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칠판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칠판 시스템(10)에서 물칠판용 수납 장치(200)를 더 구비한 칠판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칠판 시스템에서 물칠판용 분필함(100)의 분해도로서, 고정판(110), 외측 통(120) 및 물분필 지지부(130)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칠판 시스템에서 물칠판용 수납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의 물칠판용 분필함(100)의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물칠판용 분필함(100)의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측단면도에서 물분필(1)이 삽입되거나 물분필(1)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감안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판 시스템(10)의 제1 사용 모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판 시스템(10)의 제1 사용 모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판 시스템(10)의 제2 사용 모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판 시스템(10)의 제2 사용 모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판 시스템(10)의 제2 사용 모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양측에 게시판을 구비한 기존의 칠판 구조가 갖는 단점들, 예컨대, 메인 칠판의 사용 가능 폭이 매우 좁은 단점을 해결하고, 보조 칠판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개선된 칠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물분필을 사용하는 환경에서 물칠판용 분필함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개선된 칠판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판 시스템(1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칠판 시스템(10)에서 칠판 프레임(14)에 결합되는 보조 칠판(12) 또는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칠판 시스템(10)에서 칠판 프레임(14)의 구조와 칠판 프레임(14)의 후방에 배치되는 주 칠판(11)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I-I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II-II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I-I 단면에서 보조 칠판(12)과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의 단면을 더 고려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II-II 단면에서 보조 칠판(12)과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의 단면을 더 고려한 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판 시스템(10)은, 칠판 프레임(14), 주 칠판(11), 보조 칠판(12) 및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을 포함한다.
칠판 프레임(14)은, 소정의 폭(x축 방향으로의 길이)과 높이(y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지며, 하부에 폭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 레일(14a) 및 제2 레일(14b)을 갖는다. 제1 레일(14a) 및 제2 레일(14b)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레일(14a)이 제2 레일(14b)의 전방에 위치한다. 본 명세서 내에서는 편의상 전방과 후방이라는 용어로 간단히 사용하고 있는데, 여기서 후방은 칠판 시스템이 설치되는 상황을 고려할 때 설치벽(미도시)과 가까워지는 방향이고, 전방은 학생들이나 청중들 측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또한, 칠판 프레임(14)은 위의 제1 레일(14a) 및 제2 레일(14b) 각각에 대응되게 상부에는 폭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3 레일(24a) 및 제4 레일(24b)을 갖는다. 제3 레일(24a)은 제4 레일(24b)의 전방에 위치하며, 각각 제1 레일(14a) 및 제2 레일(14b)에 대응되는 것들이므로, 제1 레일(14a)의 직상(directly on)에 제2 레일(24a)이 설치되고, 제2 레일(14b)의 직상에 제4 레일(24b)이 설치된다.
주 칠판(11)은 칠판 프레임(14) 내에서 제2 레일(14b) 및 제4 레일(24b)의 후방에서, 칠판 프레임(14)에 의해 한정되는 후방 영역의 전체를 커버하도록 칠판 프레임(14)에 고정 설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칠판(11)은 하부 고정부재(15) 및 상부 고정부재(25)에 의해 프레임(14)에 고정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메인 칠판의 경우 양측에 게시판이 존재함으로 인해, 게시판의 후면에는 주 칠판(구체적으로는 주 칠판의 판서면)이 게시판의 후면까지 확장 설치될 필요가 없었으나, 본 발명의 칠판 시스템에 있어서는, 보조 칠판(12) 및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23)을 양측 끝까지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주 칠판에서 기존의 게시판의 후면에 해당하는 부분까지 판서면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여 주 칠판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있다.
도면들 상에서는 보조 칠판(12)이 제1 레일(14a)과 제3 레일(24a)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이 제2 레일(14b)과 제4 레일(24b)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바꿔 설치될 수도 있다(도 19 참조).
이와 같이, 보조 칠판(12)은 제1 레일(14a)과 제3 레일(24a)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거나 제2 레일(14b)과 제4 레일(24b)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칠판 프레임(14)의 폭 방향으로(x축 방향으로) 왼쪽 끝에서 오른쪽 끝까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은 제1 레일 내지 제4 레일(14a, 14b, 24a, 24b) 중, 보조 칠판(12)이 설치되지 않은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제1 레일(14a)과 제3 레일(24a)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보조 칠판(12)이 설치된 경우,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은 제2 레일(14b)과 제4 레일(24b)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2 레일(14b)과 제4 레일(24b)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보조 칠판(12)이 설치된 경우,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은 제1 레일(14a)과 제3 레일(24a)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의 경우에도 보조 칠판(12)과 마찬가지로, 칠판 프레임(14)의 폭 방향으로(x축 방향으로) 좌측 끝에서 우측 끝까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보조 칠판(12)과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은 서로 이동 경로에서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칠판 프레임(14) 내에 설치됨으로써, 보조 칠판(12),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의 활용도, 그리고 주 칠판(11)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칠판 시스템(10)은, 사용시, 주 칠판(11)의 판서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 보조 칠판(12)의 판서면의 전체 영역 및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의 주면의 전체 영역이 동시에 노출되는 제1 사용 모드와, 보조 칠판(12)의 판서면의 전체 영역 및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의 주면의 전체 영역 중 어느 하나와, 주 칠판(11)의 판서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동시에 노출되는 제2 사용 모드를 갖는다. 이에 관하여는 이후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주 칠판(11) 및 보조 칠판(12)의 설명에서 판서면은, 분필 등의 필기 수단을 이용하여 글씨나 그림을 쓸 수 있는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구조에서 외곽의 프레임을 제외한 부분이므로, 실질적으로는 주 칠판(11)의 판서면, 보조 칠판(12)의 판서면은, 각각 주 칠판(11), 보조 칠판(12)으로 간주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의 경우에는 판서를 하지 않고 영상 자료를 투사(projection)하므로, 그러한 의미에서 판서면으로 명명하지 않고 주면(main surface)으로 명명하였다.
도 2를 참조하여 보조 칠판(12)과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보조 칠판(12) 및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은 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12c1) 및 한 쌍의 제2 가이드(12c2), 상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3 가이드(12c3) 및 한 쌍의 제4 가이드(12c4)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에는 한 쌍의 제1 가이드(12c1)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휠(도 6에서 12e로 표시됨)과, 한 쌍의 제2 가이드(12c2)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휠(별도의 참조부호로 표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제1 휠 및 제2 휠은 제1 레일(14a) 및 제2 레일(14b)를 따라 보조 칠판(12)과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이 좌우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보조 칠판(12)의 한 쌍의 제1 가이드(12c1)와 한 쌍의 제2 가이드(12c2)는 제1 레일(14a)에 결합되고, 보조 칠판(12)의 한 쌍의 제3 가이드(12c3)와 한 쌍의 제4 가이드(12c4)는 제3 레일(24a)에 결합된다. 그리고,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의 한 쌍의 제1 가이드(12c1)와 한 쌍의 제2 가이드(12c2)는 제2 레일(14b)에 결합되고,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의 한 쌍의 제3 가이드(12c3)와 한 쌍의 제4 가이드(12c4)는 제4 레일(24b)에 결합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보조 칠판(12) 및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 각각의 한 쌍의 제1 가이드(12c1), 한 쌍의 제2 가이드(12c2), 한 쌍의 제3 가이드(12c3) 및 한 쌍의 제4 가이드(12c4) 각각에서 제1 내지 제4 레일(14a, 14b, 24a, 24b) 중 대응되는 레일과 마주하는 면에는 보조 가이드들(12d, 22d)이 형성된다. 이들 보조 가이드들(12d, 22d)은 보조 칠판(12) 및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을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흔들림을 방지하고, 프레임으로부터 탈선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6 및 도 7에서 각각 'A'와 'B'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칠판(12)의 제1 가이드(12c1) 및 제2 가이드(12c2)의 내측에 보조 가이드(12d)가 형성되어 제1 레일(14a)의 측면과 접촉하고, 보조 칠판(12)의 제3 가이드(12c3) 및 제4 가이드(12c4)의 내측에 보조 가이드(22d)가 형성되어 제3 레일(24a)의 측면과 접촉하게 된다.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의 경우에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칠판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서 도 1에 도시된 칠판 시스템(10)에서 물칠판용 분필함(100)을 더 구비한 칠판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칠판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서 도 1에 도시된 칠판 시스템(10)에서 물칠판용 수납 장치(200)를 더 구비한 칠판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칠판 시스템에서 물칠판용 분필함(100)의 분해도로서, 고정판(110), 외측 통(120) 및 물분필 지지부(130)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칠판 시스템에서 물칠판용 수납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의 물칠판용 분필함(100)의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물칠판용 분필함(100)의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측단면도에서 물분필(1)이 삽입되거나 물분필(1)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감안한 도면이다.
우선,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칠판 시스템은, 칠판 프레임(14)의 하단에 결합되는 물칠판용 분필함(100)을 더 포함한다. 물칠판용 분필함(100)은, 고정판(110), 외측 통(120) 및 물분필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고정판(110)은, 칠판 프레임(14)의 하단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스크류(미도시) 등의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홀들을 통하여 물칠판의 하단에 유동하지 않도록 결합된다. 고정판(110)은 그 하부에서 외측 통(120)이 전진 및 후퇴가능하도록 양측에 하나씩 형성된 요홈부(112)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내에서 외측 통(120)의 동작과 관련하여 전진은, 고정판(110)의 하부에서 외측 통(120)을 고정판(11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경우를 의미하고, 후퇴는 고정판(110)의 하부에서 외측 통(120)을 고정판(11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는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10)은, 그 하면에 형성되어 외측 통(120)이 전진할 때, 외측 통(120)이 고정판(110)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전진용 스토퍼(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측 통(120)은 고정판(110)의 하부에서 전진 또는 후퇴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물분필 지지부(1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외측 통(120)의 전방에는 물분필을 삽입할 수 있도록 물분필 삽입구(128)가 형성된다. 외측 통(120)은, 고정판(110)에 형성된 요홈부들(112)에 삽입되는 측면레일들(122)을 포함한다. 측면레일들(122)은 요홈부들(112)에 삽입되어(즉, 좌측 레일은 좌측 요홈부에 삽입되고, 우측 레일은 우측 요홈에 삽입되어), 요홈부들(112)을 따라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하여, 외측 통(120)이 고정판(1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전진 또는 후퇴 동작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통(120)은, 고정판(110)에 형성된 요홈부들(112)에 측면레일들(122)이 삽입된 상태로 후퇴할 때, 외측 통(120)이 고정판(1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후퇴용 스토퍼(129)를 포함한다.
물분필 지지부(130)는, 외측 통(1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외측 통(12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높이에서 물분필 삽입구(128)를 통해 삽입된 물분필을 지지하고, 복수 개의 통기홀들(13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물분필 지지부(130)는 물분필 삽입구(128)를 통해 삽입된 물분필이 후방으로 굴러내려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물분필 지지부(13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특히, 도 10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물분필 지지부(130)는, 돌출부(134), 통기홀 형성부, 이탈방지판(136)을 포함한다. 돌출부(134)는 물분필 삽입구(128)를 통해 약간 돌출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외측 통(120)으로부터 물분필 지지부(130)를 분리할 경우, 사용자가 용이하게 분리 작업할 수 있도록 물분필 지지부(130)로서의 기능을 하는 부분이다. 통기홀 형성부는, 돌출부(134)에 연결되고 돌출부(134)에 의해 지지되며, 물분필 삽입구(128)를 통해 삽입된 물분필을 아래에서 지지하며, 복수 개의 통기홀들(132)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통기홀들(132)은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분필들이 서로 엉겨붙지 않도록 분필들에서 나오는 수분이 아래로 빠져나가도록 하고, 분필들이 잘 건조될 수 있도록 아래에서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한다. 이탈방지판(136)은 통기홀 형성부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물분필 삽입구(128)를 통해 삽입된 물분필이 통기홀 형성부를 벗어난 외측 통(120)의 내부 영역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물분필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통기홀 형성부는 돌출부(134)에서 이탈방지판(136) 방향, 즉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도면들에서 물분필 지지부(130)의 상세 구조에 관하여 예시되어 있으나, 물분필 지지부(130)의 구조는 이와 같은 도면들에 도시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칠판 시스템은, 칠판 프레임(14)의 하단에서 물칠판용 분필함(220, 230)과 물칠판지우개 수납함(240, 250)이 하나의 고정판(210)에 의해 결합된다.
고정판(210)은 칠판 프레임(14)의 하단에서 스크류 등의 결합 수단을 통해 결합하기 위한 구성요소이고, 물칠판용 분필함(220, 230) 뿐만이 아니라 물칠판지우개 수납함(240, 250)까지 유지시켜야 하므로 물칠판용 분필함(220, 230)과 물칠판지우개 수납함(240, 250)의 길이를 감안하여 적절한 길이로 제작되어야 한다.
물칠판용 분필함(220, 230)은, 고정판(210)의 하부에서 전진 및 후퇴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전방에는 물분필을 삽입하기 위한 물분필 삽입구가 형성되는 외측 통(220)과, 외측 통(2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외측 통(22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높이에서 물분필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물분필이 후방으로 굴려내려가도록 경사를 갖는 물분필 지지부(230)를 포함한다. 물칠판용 분필함(220, 230)의 구조에서 외측 통(220)과 물분필 지지부(230)의 구조는 앞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물칠판용 분필함(100)에서의 대응되는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물칠판지우개 수납함(240, 250)은, 고정판(210)의 하부에 고정되고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는 물칠판지우개 거치통(240)과 물칠판지우개 거치통(240) 내에서 물칠판지우개 거치통(24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유지되며, 물칠판지우개를 지지하고, 복수 개의 통기홀들이 형성되는, 물칠판지우개 지지부(250)를 포함한다. 종래 물칠판의 사용환경에서 물칠판지우개를 사용한 후 물칠판 하단에 길게 형성된 거치대에 물칠판을 랜덤하게 거치함으로 인해 물분필이 수분을 함유하게 되는 주요 원인이 되어 왔으나,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물칠판용 수납 장치(200)에 물칠판지우개 수납함(240, 250)을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물칠판용 분필함(100)에서 외측 통(120)을 이동시켜, 후퇴용 스토퍼(도 13의 129)가 고정판(110) 및 요홈부들에 맞닿도록 한 상태(도 13 참조)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이 끝나거나 추후 사용 예정인 물분필(1)을 물분필 삽입구(128)를 통해 삽입하게 되면, 물분필 지지부(130)의 돌출부를 지나 통기홀 형성부 측으로 굴러들어가서 수납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로 유지되게 되는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기홀 형성부에는 복수 개의 통기홀들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내부에 삽입된 물분필(1)들에서 나오는 수분이 외측 통(120)의 바닥부 측으로 배출되고, 물분필(1)들의 하부가 공기와 접촉함으로써, 물분필(1)들끼리 서로 엉겨붙지 않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한편, 물칠판용 분필함의 내부를 청소할 필요가 있는 경우, 외측 통(120)을 전진시켜, 물분필 지지부(130)만 빼내어, 물분필 지지부(130)를 털어내거나, 외측 통(120)에 고인 물을 제거함으로써, 물분필 성분과 수분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으므로, 내부 청소나 관리가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판 시스템(10)의 제1 사용 모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판 시스템(10)의 제1 사용 모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판 시스템(10)의 제2 사용 모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판 시스템(10)의 제2 사용 모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칠판 시스템(10)의 제2 사용 모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칠판 시스템(10)의 제1 사용 모드는, 주 칠판(11)의 판서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 보조 칠판(12)의 판서면의 전체 영역 및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의 주면의 전체 영역이 동시에 노출되는 모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맨 좌측에 보조 칠판(12)이 위치하고, 맨 우측에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이 위치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보조 칠판(12)과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의 위치가 서로 바뀔 수도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사용 모드는, 보조 칠판(12)의 판서면의 전체 영역과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의 주면의 전체 영역이 동시에 노출되도록 하면서, 좌측으로 밀착시킨 상태일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칠판 시스템(10)의 제2 사용 모드는, 보조 칠판(12)의 판서면의 전체 영역과 주 칠판(11)의 판서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동시에 노출되는 상태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이 보조 칠판(12)에 의해 가려진 상태이며, 전체 판서면이 보조 칠판(12)의 판서면과 주 칠판(11)의 판서면이 합쳐진 상태이므로, 칠판의 판서면을 넓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사용 모드가 보조 칠판(12)이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에 의해 가려진 상태가 되도록 칠판 프레임 내에 보조 칠판(12)과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13)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선된 칠판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러한 칠판 시스템은 양측에 게시판을 구비한 기존의 칠판 구조가 갖는 단점들, 예컨대, 메인 칠판의 사용 가능 폭이 매우 좁은 단점을 해결하고, 보조 칠판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물분필을 사용하는 환경에서 물칠판용 분필함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 칠판 시스템
11 : 주 칠판
12 : 보조 칠판
13 :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
14 : 칠판 프레임
100 : 물칠판용 분필함
200 : 물칠판용 수납 장치.

Claims (5)

  1.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며, 하부에 폭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1 레일 및 제2 레일 -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제2 레일의 전방에 위치함 - 과, 상부에 폭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3 레일 및 제4 레일 - 상기 제3 레일은 상기 제4 레일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레일은 상기 제1 레일의 직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4 레일은 상기 제2 레일의 직상에 위치함 - 을 갖는 칠판 프레임;
    상기 칠판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2 레일과 상기 제4 레일의 후방에서, 판서면이 상기 칠판 프레임에 의해 한정되는 후방 영역의 전체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주 칠판;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3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제2 레일과 상기 제4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칠판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좌측 끝에서 우측 끝까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보조 칠판;
    상기 제1 레일 내지 상기 제4 레일 중, 상기 보조 칠판이 설치되지 않은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칠판 프레임의 폭 방향으로 좌측 끝에서 우측 끝까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 및
    상기 칠판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물칠판용 분필함을 포함하며,
    사용시, 상기 주 칠판의 판서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 상기 보조 칠판의 판서면의 전체 영역 및 상기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의 주면의 전체 영역이 동시에 노출되는 제1 사용 모드와, 상기 보조 칠판의 판서면의 전체 영역 및 상기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의 주면의 전체 영역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주 칠판의 판서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동시에 노출되는 제2 사용 모드를 가지며,
    상기 물칠판용 분필함은,
    상기 물칠판의 하단에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하부에서 전진 및 후퇴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부 공간을 가지며 전방에 물분필을 삽입하기 위한 물분필 삽입구가 형성되는 외측 통과, 상기 외측 통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외측 통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높이에서 상기 물분필 삽입구를 통해 전방에서 삽입된 물분필을 지지하며 복수 개의 통기홀들을 갖는 물분필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분필 지지부는, 상기 외측 통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분리가능하고, 상기 물분필 삽입구를 통해 전방에서 삽입된 물분필이 후방으로 굴러내려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 통의 내부 공간에 수용시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물분필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물분필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탈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칠판 및 상기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 각각은,
    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및 한 쌍의 제2 가이드,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휠,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2 가이드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휠을 포함하고,
    상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3 가이드 및 한 쌍의 제4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칠판의 한 쌍의 제1 가이드와 한 쌍의 제2 가이드는 상기 제1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보조 칠판의 한 쌍의 제3 가이드와 한 쌍의 제4 가이드는 상기 제3 레일에 결합되며,
    상기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의 한 쌍의 제1 가이드와 한 쌍의 제2 가이드는 상기 제2 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의 한 쌍의 제3 가이드와 한 쌍의 제4 가이드는 상기 제4 레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칠판 및 상기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 각각의 한 쌍의 제1 가이드, 한 쌍의 제2 가이드, 한 쌍의 제3 가이드, 및 한 쌍의 제4 가이드 각각에서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4 레일 중 대응되는 레일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 칠판 및 상기 영상 교육용 보조 칠판의 폭 방향으로의 이동시, 흔들림 및 탈선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가이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 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47102A 2018-11-26 2018-11-26 칠판 시스템 KR101959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02A KR101959179B1 (ko) 2018-11-26 2018-11-26 칠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102A KR101959179B1 (ko) 2018-11-26 2018-11-26 칠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179B1 true KR101959179B1 (ko) 2019-03-15

Family

ID=6576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102A KR101959179B1 (ko) 2018-11-26 2018-11-26 칠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1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780B1 (ko) * 2019-10-22 2019-12-26 이성연 Tv를 포함하는 물칠판
CN110757996A (zh) * 2019-11-29 2020-02-07 济南市济阳区仁风镇中心小学 一种隔绝粉尘的黑板自动擦拭装置
CN112339475A (zh) * 2020-11-21 2021-02-09 吉林工程技术师范学院 一种英语教学用互动式教学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449Y1 (ko) * 1993-11-30 1996-04-24 한국흑판교재 주식회사 칠판용 분필 보관함
KR0136813B1 (ko) 1995-10-20 1998-04-28 장창호 개폐칠판의 보조부재 구동장치
KR19980025991U (ko) * 1996-11-04 1998-08-05 김민자 곡면 칠판
KR200411286Y1 (ko) 2005-10-17 2006-03-13 이상홍 다목적 물 그린 사이버칠판
KR101588555B1 (ko) * 2015-06-23 2016-01-28 박찬화 미닫이 칠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449Y1 (ko) * 1993-11-30 1996-04-24 한국흑판교재 주식회사 칠판용 분필 보관함
KR0136813B1 (ko) 1995-10-20 1998-04-28 장창호 개폐칠판의 보조부재 구동장치
KR19980025991U (ko) * 1996-11-04 1998-08-05 김민자 곡면 칠판
KR200411286Y1 (ko) 2005-10-17 2006-03-13 이상홍 다목적 물 그린 사이버칠판
KR101588555B1 (ko) * 2015-06-23 2016-01-28 박찬화 미닫이 칠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780B1 (ko) * 2019-10-22 2019-12-26 이성연 Tv를 포함하는 물칠판
CN110757996A (zh) * 2019-11-29 2020-02-07 济南市济阳区仁风镇中心小学 一种隔绝粉尘的黑板自动擦拭装置
CN112339475A (zh) * 2020-11-21 2021-02-09 吉林工程技术师范学院 一种英语教学用互动式教学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179B1 (ko) 칠판 시스템
US9809049B2 (en) Tablet with interconnection features
JP2014058135A (ja) 黒板装置
KR20160104345A (ko) 푸시앤풀 칠판
KR100529795B1 (ko) 전자칠판의 좌우 이동이 용이한 데이터 트랙 레일장치를탑재한 전자칠판시스템
JP2011143725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保持部材
KR20120003363U (ko) 자료의 배경화면 기능을 가지는 화이트보드
JP4886542B2 (ja) ホワイトボード
KR101973912B1 (ko) 물칠판용 분필함 및 물칠판용 분필함에 일체화된 물칠판지우개 수납함을 포함하는 물칠판용 수납 장치
KR20110065072A (ko) 슬라이드식 벽면티브이를 구비한 칠판
KR101595081B1 (ko) 유리칠판
KR102572671B1 (ko) 전자칠판용 다용도 커버
KR101500153B1 (ko) 수세식 유리칠판조립체
KR100582844B1 (ko) 유지보수구조를 갖는 전자칠판장치
KR102059780B1 (ko) Tv를 포함하는 물칠판
JP4414730B2 (ja) 筆記可能なボード装置
KR100852474B1 (ko) 자석을 이용한 필기보드
CN211441722U (zh) 一种推拉黑板
KR200398215Y1 (ko) 칠판
KR200350334Y1 (ko) 다목적 후면투사형 사이버 컴퓨터 칠판
JPH1029398A (ja) 罫引装置
JPH06143889A (ja) 電子黒板
CN216184066U (zh) 一种具备防划能力的智能黑板
CN213815158U (zh) 一种初中英语教学用单词拼写板
JP2597033B2 (ja) 黒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