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051B1 - Fixing method by pipe bush with separated flange for electronic vehicles - Google Patents

Fixing method by pipe bush with separated flange for electronic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051B1
KR101959051B1 KR1020180140687A KR20180140687A KR101959051B1 KR 101959051 B1 KR101959051 B1 KR 101959051B1 KR 1020180140687 A KR1020180140687 A KR 1020180140687A KR 20180140687 A KR20180140687 A KR 20180140687A KR 101959051 B1 KR101959051 B1 KR 101959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electric vehicle
battery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6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한
박호순
Original Assignee
삼위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위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위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05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0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01M2/1083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x a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flange-separable pipe bush for fixing a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which can be easily welded and can precisely adjust horizontality of a flange by mutually fixing a mutually separated pipe and the flange by electric pressure welding, and a fixing method of a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using the same.

Description

플랜지 분리형 파이프 부시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 배터리 고정 방법{FIXING METHOD BY PIPE BUSH WITH SEPARATED FLANGE FOR ELECTRONIC VEHICLES}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fixing an electric vehicle battery using a flange-separated pipe bush,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상호 분리된 파이프와 플랜지를 전기 압접 용접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하여, 용접하기 용이하고 플랜지의 수평을 정밀하게 맞출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을 위한 플랜지 분리형 파이프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 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for fixing an electric automobile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fix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which can be easily welded and can precisely align the level of the flange by mutually fixing the mutually separated pipes and flanges by electric- A method of fixing a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using a flanged detachable pipe.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B)는 전기 자동차 내부 일 측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부시(10)를 이용한다. 상기 파이프 부시(10)는 중공의 파이프(11)와 상기 파이프(11)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는 플랜지(12)를 포함한다. 상기 파이프(11) 내부에는 개방부(11-2)가 형성되는 중공 형상이고, 플랜지(12)의 중앙에 개방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각 개방부(11-2,12-2)는 상호 연통된다.Generally, the electric vehicle battery (B) is fixed to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electric vehicle. To this end, the pipe bushing 10 shown in FIG. 1 is used. The pipe bushing 10 includes a hollow pipe 11 and a flange 12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ipe 11. An opening 12-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lange 12 and an opening 11-2 is formed in the pipe 11. The openings 11-2 and 12- 2 are mutually communicated.

이러한 파이프(11)와 플랜지(12)를 고정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1)와 플랜지(12)의 각 개방부(11-2,12-2)의 내부 접촉부(C)를 일반적인 아크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용접하여 플랜지(12)와 파이프(11)를 용접하였다.In order to fix the pipe 11 and the flange 12 to each other, the pipe 11 and the inner contact portion C of each of the openings 11-2 and 12-2 of the flange 12, ) Were welded by a general arc welding method or the like to weld the flange 12 and the pipe 11 together.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종래 기술의 경우 상기 내부 접촉부(C)측으로 용접부를 삽입하여 용접하는 관계로 용접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First,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lding efficiency is inferior due to the difficulty in welding due to the welding by inserting the welding portion into the inner contact portion (C) side.

둘째, 종래 기술의 경우 플랜지를 파이프에 용접할 때 상기 플랜지의 수평이 정확하게 유지되지 않아 용접 후 플랜지의 수평이 맞지 않게 되고 이에 의해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역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를 안전하게 고정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Secondly, in the case of the related art, when the flange is welded to the pipe, the flange is not accurately held in the horizontal position, so that the flange is not leveled horizontally after the welding. Therefore, the battery for the electric vehicle is also inclined, .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호 분리된 파이프와 플랜지를 전기 압접 용접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하여 용접하기 용이하고 플랜지의 수평을 정밀하게 맞출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을 위한 플랜지 분리형 파이프 부시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anged separator for fixing a battery for an electric automobile which can be welded easily by aligning mutually separated pipes and flanges by electric pressure weld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fixing a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using a pipe bush.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았으나 아래 수단들 또는 실시예상의 구체적인 구성에 따른 다른 목적 들은 그 기재로부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tention is not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but that the invention may also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will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의 외곽면을 관통하고 전기 자동차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를 고정하는 파이프 부시(100)로서, 상기 파이프 부시(100)는 중공의 파이프(120)와 상기 파이프(120) 상하면에 각각 고정되고 중앙 일부는 개방되어 상기 파이프(120)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플랜지(110)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120)와 플랜지(110)는 전기 압접 용접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을 위한 플랜지 분리형 파이프 부시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pe bushing (100) penetrating the outer surface of a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and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electric vehicle to fix the battery for the electric vehicle, And a flange 110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of the pipe 120. The pipe 120 and the flange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ipe 120, A flange-separated pipe bush for fixing a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the pipe bush being mutually fixed by electric pressure welding.

상기에서, 상기 플랜지(110)는 중앙에 개방부(112)가 형성되는 판체 형상의 플랜지 본체(111)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120)는 중앙에 개방부(122)가 형성되는 파이프 본체(121)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 본체(111) 중 상기 파이프(120) 방향 측면에는 특정 곡률로 돌출된 접합 돌기(113)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본체(121)의 상면 및 하면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된 접합 홈(123)이 형성되며, 상기 접합 돌기(113)가 접합 홈(123)에 삽입되고 전기 압접 용접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The flange 110 includes a flange body 111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n opening 112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 pipe 120 has a pipe body And a joint protrusion 113 protruding with a specific curvature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flange body 111 in the direction of the pipe 120.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pipe body 121 are provided with grooves And the bonding protrusions 113 are inserted into the bonding grooves 123 and fixed to each other by electric pressure welding.

상기에서, 상기 접합 돌기(113)의 직경은 상기 접합 홈(12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In the above, the diameter of the bonding protrusion 113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nding groove 123.

상기에서, 상기 접합 돌기(113)는 상기 플랜지 본체(111)의 개방부(112)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접합 홈(123)은 상기 개방부(122)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접합 돌기(113)와 접합 홈(123)의 중심은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The joining protrusions 113 are formed around the opening 112 of the flange body 11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joining groove 123 is formed around the opening 122, And the centers of the bonding protrusions 113 and the bonding grooves 123 are arranged on the same line.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플랜지 분리형 파이프 부시를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를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파이프 부시(100)의 파이프(120)를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의 외곽면을 관통시키고, 상기 파이프(120)의 상부와 하부에 플랜지(110)를 각각 배치하되, 상기 플랜지(110)의 접합 돌기(113)를 파이프(120)의 접합 홈(123)에 삽입한 후, 상기 플랜지(110)와 파이프(120)를 전기 압접 용접하여 상기 플랜지(110)와 파이프(120)를 상호 고정하는 분리형 파이프 부시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fixing a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using the above-described flanged separable pipe bushing, wherein the pipe of the pipe bushing is pass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The flange 110 of the flange 110 is inserted into the joint groove 123 of the pipe 120 and the flange 110 of the pipe 110 is inserted into the joint groove 123 of the pipe 120,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fixing a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using the separable pipe bushing in which the flange 110 and the pipe 120 are fixed to each other by electric pressure welding.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Prior to that,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its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Also,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over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a meaning or an overly reduced meaning.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more, the singular forms " a "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ing" or "comprising" or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the various elem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may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and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echnical thought.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용접하기 용이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용접시 플랜지의 수평을 정밀하게 맞출 수 있어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welding can be easily performed, the work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level of the flange can be precisely adjusted during welding, so that the battery can be stably fixed.

도 1은 일반적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고정하기 위한 부시 파이프의 사시도 및 확대도,
도 2는 일반적인 부시 파이프의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부시 파이프에 대한 개략도 및 확대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view of a bush pipe for fixing a battery of a general electric vehicle,
Figure 2 is a schematic view of a typical bush pipe,
Figures 3 and 4 are schematic and enlarged views of a bush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erely as exemplification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et forth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echnical idea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that include components replaceable as equivalents in the elemen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분리형 파이프 부시(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의 외곽면을 관통하고 전기 자동차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 부시(100)는 중공의 파이프(120)와 상기 파이프(120) 상하면에 각각 고정되고 중앙 일부는 개방되어 상기 파이프(120)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플랜지(110)를 포함한다.3 and 4, the flange-separated pipe bush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an electric vehicle through an outer surface of an electric vehicle battery, The pipe bushing 100 includes a hollow pipe 120 and a flange 110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ipe 120 and partially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portion of the pipe 120 .

이때, 상기 파이프(120)와 플랜지(110)는 전기 압접 용접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pipe 120 and the flange 110 are mutually fixed by electric pressure welding.

상기 전기 압접 용접이라고 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접합부를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여, 이에 기계적 압력을 가하여 접합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전기 압접 용접에 의하면 일반적인 용접 방법보다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electric pressure welding" as used herein means a method of heating a joint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hereto. According to such electric connection welding, higher strength can be obtained than a general welding method.

종래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플랜지의 수평을 맞추기가 어려워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압접 용접을 위한 용접 장치(W)가 플랜지(110)의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가압하게 되어 상기 플랜지(110)의 수평을 정밀하게 맞출 수 있다.Conventionally, as described above, since it is difficult to align the flange horizontally, it is difficult to stably fix the battery.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welding apparatus W for the electric connection welding is pres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flange 110, The level can be precisely adjusted.

또한, 종래에는 플랜지(110)와 파이프(120)의 개방부(112,122) 내부에 용접 장치를 삽입하여 용접하는 관계로 용접하기 어려워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상술된 바와 같이 전기 압접 을 위한 용접 장치를 상하측에서 각각 가압하면 용접이 이루어지므로 용접이 용이하여 종래 기술보다 용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 problem that welding efficiency is inferior due to difficulty in welding because the welding apparatus is inserted into the openings 112 and 122 of the flange 110 and the pipe 120 to weld them.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is problem. As described above, since welding is performed by pressing the welding apparatus for electric pressure wel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welding is facilitated, and weld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more than in the prior art.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10)는 중앙에 개방부(112)가 형성되는 판체 형상의 플랜지 본체(111)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120)는 중앙에 개방부(122)가 형성되는 파이프 본체(121)를 포함한다.3 and 4, the flange 110 includes a flange body 111 in the shape of a plate having an opening 112 at the center thereof. The pipe 120 has an opening 122 And a pipe body 121 formed with a pipe.

이때, 상기 플랜지 본체(111) 중 상기 파이프(120) 방향 측면에는 특정 곡률로 돌출된 접합 돌기(113)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본체(121)의 상면 및 하면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된 접합 홈(123)이 형성된다. 이러한 접합 돌기(113)가 접합 홈(123)에 삽입되고 전기 압접 용접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즉, 상기 접합 돌기(113)가 접합 홈(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기 압접 용접되면 상기 접합 돌기(113)와 접합 홈(123)이 상호 융착되어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a joining protrusion 113 protruding with a specific curvature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lange body 111 in the direction of the pipe 120, and a joining groove 113 having a specific curvatur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ipe body 121 123 are formed. These bonding projections 113 are inserted into the bonding grooves 123 and fixed to each other by electrical pressure welding. That is, when the bonding protrusions 113 are inserted into the bonding grooves 123, the bonding protrusions 113 and the bonding grooves 123 are fused to each other to be stably bonded.

이때, 상기 접합 돌기(113)의 직경(R1)은 상기 접합 홈(123)의 직경(R2)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접합 돌기(113)가 접합 홈(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되면 상기 접합 홈(123)이 변형되면서 접합 돌기(113)가 강제 끼움되어 보다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해 진다.At this time, the diameter R1 of the joining protrusion 113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R2 of the joining groove 123.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bonding protrusion 113 is pressed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bonding groove 123, the bonding groove 123 is deformed and the bonding protrusion 113 is forcedly fitted, so that more stable bonding is possible.

이러한 접합 돌기(113)는 상기 플랜지 본체(111)의 개방부(112)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접합 홈(123)은 상기 개방부(122)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합 돌기(113)와 접합 홈(123)의 중심은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110)와 파이프(120)가 상호 가압될 때 상술된 바와 같이 접합 돌기(113)가 접합 홈(123)과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융착된다.The joint protrusions 113 are formed around the open portion 112 of the flange body 11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joint groove 123 is formed around the open portion 122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flange 110 and the pipe 120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joint protrusion 113 and the joint groove 123 are arranged in the same line, 123 in a mutual contact state.

한편,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 파이프(120)가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플랜지(110)는 원판 형상이되 개방부(112)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대상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상기 플랜지(110)와 파이프(120)가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3 and 4, the pipe 120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flange 110 has a disc shape, and the opening 112 has a rectangular shape. However, Even if the flange 110 and the pipe 120 have different shapes, they are 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3 및 도 4에서는 전기 압접 용접 장치(W)를 개략적인 도형으로 표시하였으며, 이는 상기 전기 압접 용접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구성이기 때문이다.3 and 4, the electric welding apparatus W is shown in a schematic diagram, because the electric welding apparatus itself is well known.

이하 상기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조하여 상술된 플랜지 분리형 파이프 부시(100)를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를 고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fixing a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using the flange-separated pipe bush 1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will be described.

우선, 파이프 부시(100)의 파이프(120)를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의 외곽면을 관통시킨다(도 1참조) 이후, 상기 파이프(120)의 상부와 하부에 플랜지(110)를 각각 배치하되, 상기 플랜지(110)의 접합 돌기(113)를 파이프(120)의 접합 홈(123)에 삽입한다.First, the pipe 120 of the pipe bushing 100 is pass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see FIG. 1). Then, a flange 110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ipe 120, The joint protrusion 113 of the flange 110 is inserted into the joint groove 123 of the pipe 120. [

이후, 상기 플랜지(110)와 파이프(120)를 전기 압접 용접하여 상기 플랜지(110)와 파이프(120)를 상호 고정한다.Then, the flange 110 and the pipe 120 are welded to each other by electric pressure welding to fix the flange 110 and the pipe 120 together.

이때, 상기 파이프(120)의 하측에 배치된 플랜지를 먼저 용접한 후 파이프(120)의 상측에 배치된 플랜지를 용접하는 것도 가능하고 반대의 순서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flang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pipe 120 may be welded first, then the flang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ipe 120 may be welded, and the reverse sequence is also possible.

이상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described in the foregoing specifica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nges and equivalents thereof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파이프 부시 110 : 플랜지
111 : 플랜지 본체 112 : 개방부
120 : 파이프 121 : 파이프 본체
122 : 개방부
100: Pipe Bush 110: Flange
111: flange body 112:
120: pipe 121: pipe body
122: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의 외곽면을 관통하고 전기 자동차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를 고정하는 파이프 부시(100)로서, 상기 파이프 부시(100)는 중공의 파이프(120)와 상기 파이프(120) 상하면에 각각 고정되고 중앙 일부는 개방되어 상기 파이프(120)의 중공부와 연통되는 플랜지(110)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120)와 플랜지(110)는 전기 압접 용접에 의해 상호 고정되며,
상기 플랜지(110)는 중앙에 개방부(112)가 형성되는 판체 형상의 플랜지 본체(111)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120)는 중앙에 개방부(122)가 형성되는 파이프 본체(121)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 본체(111) 중 상기 파이프(120) 방향 측면에는 특정 곡률로 돌출된 접합 돌기(113)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본체(121)의 상면 및 하면에는 특정 곡률로 요홈된 접합 홈(123)이 형성되며,
상기 접합 돌기(113)의 직경은 상기 접합 홈(12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접합 돌기(113)는 상기 플랜지 본체(111)의 개방부(112)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접합 홈(123)은 상기 개방부(122)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접합 돌기(113)와 접합 홈(123)의 중심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을 위한 플랜지 분리형 파이프 부시의 고정 방법으로서,
파이프 부시(100)의 파이프(120)를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의 외곽면을 관통시키고,
상기 파이프(120)의 상부와 하부에 플랜지(110)를 각각 배치하되, 상기 플랜지(110)의 접합 돌기(113)를 파이프(120)의 접합 홈(123)에 삽입한 후,
전기 압접 을 위한 용접 장치를 상하측에서 각각 가압하여 용접하되,
상기 플랜지(110)와 파이프(120)를 전기 압접 용접하여 상기 플랜지(110)와 파이프(120)를 상호 고정하고
상기 접합 돌기(113)가 접합 홈(123)에 삽입되고 전기 압접 용접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플랜지 분리형 파이프 부시를 이용한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 방법.
A pipe bushing (100) penetrating the outer surface of an electric vehicle battery and installed at one side of an electric vehicle to fix the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wherein the pipe bushing (100) includes a hollow pipe (120) And a flange 110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of the pipe 120. The pipe 120 and the flange 110 are mutually fixed by electric pressure welding,
The flange 110 includes a flange body 111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n opening 112 at the center thereof and the pipe 120 has a pipe body 121 having an opening 122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joint protrusion 113 protruding at a specific curvature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flange body 111 in the direction of the pipe 120.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ipe body 121 are provided with joint grooves (123)
The diameter of the splicing protrusion 113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plicing groove 123 and the splicing protrusion 113 is spaced circumferentially around the opening 112 of the flange body 111 Formed,
The joining recess 123 is formed around the opening 12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center of the joining protrusion 113 and the joining recess 123 are arranged in the same line, A method of securing a flanged separable pipe bushing
The pipe 120 of the pipe bushing 100 is pass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for the electric vehicle,
A flange 110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pipe 120. After the joint protrusion 113 of the flange 110 is inserted into the joint groove 123 of the pipe 120,
A welding apparatus for electrical pressure welding is pressuriz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The flange 110 is welded to the pipe 120 by electric pressure welding to fix the flange 110 and the pipe 120 together
Wherein the joint protrusions (113) are inserted into the joint grooves (123) and are mutually fixed by electric pressure welding.
KR1020180140687A 2018-11-15 2018-11-15 Fixing method by pipe bush with separated flange for electronic vehicles KR1019590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687A KR101959051B1 (en) 2018-11-15 2018-11-15 Fixing method by pipe bush with separated flange for electronic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687A KR101959051B1 (en) 2018-11-15 2018-11-15 Fixing method by pipe bush with separated flange for electronic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051B1 true KR101959051B1 (en) 2019-03-18

Family

ID=65949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687A KR101959051B1 (en) 2018-11-15 2018-11-15 Fixing method by pipe bush with separated flange for electronic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05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9662A (en) * 1999-09-14 2001-03-27 Oishi Kogyo:Kk Equipment for welding metallic flange to metallic pipe end
KR20160005894A (en) * 2014-07-08 2016-01-18 주식회사 신영 Battery module mount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KR101642639B1 (en) * 2015-01-21 2016-07-27 박노진 A Dowel for Mol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9662A (en) * 1999-09-14 2001-03-27 Oishi Kogyo:Kk Equipment for welding metallic flange to metallic pipe end
KR20160005894A (en) * 2014-07-08 2016-01-18 주식회사 신영 Battery module mount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KR101642639B1 (en) * 2015-01-21 2016-07-27 박노진 A Dowel for Mol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9419A (en) Vibratory welding of battery components
US6654995B1 (en) Method for joining tubular members
JP2013098573A5 (en)
CN103038017B (en) The method be connected with wheel hub axle by welding current and press-in and axle and wheel hub are by this device connected and composed
US7300536B1 (en) Method for attaching intersecting tubes
JP2018530429A (en) Sonotrode,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junctions
MX2013013335A (en) Resonator.
CN103561897B (en) For storing up equipment and the method for the agitating friction welding of the assembly of electricity
JP2006500220A (en) Deformation resistance welding method for metal sheet, pipe and similar shaped member
KR101959051B1 (en) Fixing method by pipe bush with separated flange for electronic vehicles
KR101119399B1 (en) Secondary battery with the cap plate compressed into a can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5183360A (en) Square batter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524348B1 (en) Clamp for connecting pipes
US2931888A (en) Welding
KR200246835Y1 (en) Coupling Device of Plastics Pipe
KR102581715B1 (en) Gas purge cap
CN212517377U (en) Sheet metal box
KR100502625B1 (en) Structure for mounting of flangeless type fuel tank
JPH11153274A (en) Tubular joint
JP2015196260A (en) Clamp for electrofusion coupling
JP4293512B2 (en) Sealed battery
JP6520113B2 (en) Weld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elding member
KR200313866Y1 (en) Connecting structure of branch pipe of synthetic resin
JP3749062B2 (en) Thermoplastic tube connection method and connection structure
JP4422828B2 (en) Fusion bonding method for resin pi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