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026B1 - 서랍전도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서랍장 - Google Patents

서랍전도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서랍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026B1
KR101959026B1 KR1020170098739A KR20170098739A KR101959026B1 KR 101959026 B1 KR101959026 B1 KR 101959026B1 KR 1020170098739 A KR1020170098739 A KR 1020170098739A KR 20170098739 A KR20170098739 A KR 20170098739A KR 101959026 B1 KR101959026 B1 KR 101959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main body
bracket
drawers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805A (ko
Inventor
박아름
Original Assignee
박아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아름 filed Critical 박아름
Priority to KR1020170098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0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50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 A47B88/57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preventing complete withdrawal of the dra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서랍전도 방지장치는, 다수 개의 서랍이 실장되는 서랍장본체의 내부공간 중 상기 서랍의 후방 또는 측방과 대응되는 지점에 결합되되, 상기 서랍장본체의 내측면에 밀착 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서랍장본체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체결부에 연결되며 각각의 서랍과 대응되는 지점에 인출공이 형성되는 이격부로 구성되는 본체브라켓; 각각의 서랍에 결합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걸림부를 구비하는 서랍브라켓; 상기 본체브라켓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서랍장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결합되되, 각각의 관통홀과 대응되는 부위가 해당 관통홀을 통해 상기 본체브라켓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각 걸림부의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연결되는 견인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견인와이어는, 어느 하나의 서랍이 사전에 설정된 거리까지 인출되고 나머지 서랍들이 완전히 인입되었을 때 긴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Description

서랍전도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서랍장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ing down of drewer and chest of drawer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서랍이 과도하게 인출되어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서랍장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서랍이 완전히 인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서랍의 후단측에 견인와이어가 연결되는 서랍전도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서랍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랍장은 옷가지 등을 수납하여 보관하기 위한 서랍을 갖는 것으로서, 2단 이상의 다단형 서랍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단형 서랍 구조로 이루어지는 서랍장은 서랍 내에 옷가지나 가정 잡화 등을 손쉽게 수납하여 보관하거나 꺼내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영유아나 아이들을 키우는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다단형 서랍 구조를 갖는 서랍장은 영유아나 아이들이 서랍을 손쉽게 열 수 있으므로, 상기 서랍이 과도하게 인출되어 빠짐으로써 영유아나 아이들이 서랍에 상해를 입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호기심이 많은 영유아나 아이들은 모든 서랍을 열어놓고 장난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서랍이 열려있는 상태에서는 무게중심이 앞으로 치우쳐 서랍장 전체가 앞으로 넘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영유아나 아이들이 열려있는 서랍에 올라타거나 턱걸이하듯이 잡더라도 서랍장이 넘어지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안전 서랍장(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94922호)이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 안전 서랍장은 서랍장 전체가 앞으로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뿐, 서랍이 과도하게 인출되어 빠지는 현상이나, 모든 서랍이 동시에 인출되는 현상까지는 방지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캐스터가 앞으로 인출되어 캐스터에 발이 끼거나 어린이 매트 등 바닥에 물건이 있는 경우에는 서랍 인출에 제한이 있다는 단점도 있다.
KR 10-1694922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서랍이 과도하게 인출되어 빠지지 아니하고, 하나 이상의 서랍이 동시에 인출될 수 없는 서랍전도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서랍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서랍전도 방지장치에 의하면, 다수 개의 서랍이 실장되는 서랍장본체의 내부공간 중 상기 서랍의 후방 또는 측방과 대응되는 지점에 결합되되, 상기 서랍장본체의 내측면에 밀착 결합되며, 다수 개의 체결공이 구비된 체결부와, 상기 서랍장본체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체결부에 연결되며 각각의 서랍과 대응되는 지점에 인출공이 형성되는 이격부로 구성되는 본체브라켓; 각각의 서랍 후단측 중 상기 인출공과 대응하는 지점에 결합되되, 'ㄷ'자, "ㄱ"자, "I"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서랍의 후방측 상단 또는 측판 상단에 결합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걸림부를 구비하는 서랍브라켓; 상기 본체브라켓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서랍장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결합되어 상기 서랍의 인출거리를 한정하되, 각각의 관통홀과 대응되는 부위가 해당 관통홀을 통해 상기 본체브라켓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각 걸림부의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연결되는 견인와이어; 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브라켓은 상기 다수 개의 서랍 배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이격부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견인와이어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서랍장본체의 상판에 체결된 와이어 길이조절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견인와이어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본체브라켓의 하부에 고정되는 서랍전도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서랍장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길이조절브라켓은 견인와이어의 길이방향 일단이 상향으로만 당겨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견인와이어는, 어느 하나의 서랍이 사전에 설정된 거리까지 인출되고 나머지 서랍들이 완전히 인입되었을 때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되, 상기 견인와이어를 설치하는 경우, 견인와이어의 끝단을 인출공을 통해 본체브라켓 전방으로 인출시키고, 상기 걸림부를 관통시킨 후, 다시 상기 인출공을 통해 본체브라켓의 후방으로 인입시키는 과정을 서랍의 개수만큼 반복한 다음, 상기 견인와이어의 길이방향 양단을 고정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서랍전도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서랍장을 이용하면, 서랍이 과도하게 인출되지 아니하므로 서랍의 탈거로 인해 발생되는 상해를 방지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서랍이 동시에 인출될 수 없으므로 서랍장이 넘어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서랍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서랍장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본체브라켓과 견인와이어의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서랍장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서랍브라켓과 본체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서랍전도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서랍장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서랍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서랍장의 수직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본체브라켓과 견인와이어의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서랍전도 방지장치는, 서랍장의 서랍(200)이 과도하게 인출되어 서랍장본체(10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다수 개의 서랍장 전체가 기준치 이상으로 인출되지 못하도록 서랍(200)의 인출거리를 제한한다는 점에 기능상의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서랍전도 방지장치가 장착된 서랍장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서랍장본체(100)와, 상기 서랍장본체(100)의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다수 개의 서랍(200)을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하되, 서랍(200)의 인출거리를 한정하기 위한 서랍전도 방지장치 즉, 본체브라켓(300)과 서랍브라켓(400)과 견인와이어(600)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때 본체브라켓(300)과 서랍브라켓(400)과 견인와이어(600)는, 서랍장본체(100) 및 서랍장 제조 시 일체로 장착될 수도 있고, 서랍장과 별도로 제공되어 종래의 서랍장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브라켓(300)은, 다수 개의 서랍(200)이 실장되는 서랍장본체(100)의 내부공간 중 상기 서랍(200)의 후방 또는 측방과 대응되는 지점에 결합되되, 상기 서랍장본체(100)의 내측면에 밀착 결합되는 체결부(310)와, 상기 서랍장본체(100)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체결부(310)에 연결되는 이격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310)에는 체결나사(S) 체결을 위한 체결공(312)이 다수 개 구비되고, 상기 이격부(320) 중 서랍(200)과 대응되는 지점에는 견인와이어(600) 인출이 가능한 인출공(32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12)의 개수는 체결나사(S)의 개수에 맞춰 형성되며, 상기 인출공(322)의 개수는 서랍(200)의 개수에 맞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랍브라켓(400)은 각각의 서랍(200) 후단측 중 상기 인출공과 대응되는 지점에 결합되며, 견인와이어(600) 통과가 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걸림부(41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부(410)가 하나의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걸림부(410)는 사용자가 견인와이어(600)를 쉽게 걸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구조의 링 형상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 가능한 링은 가구 및 문구 분야에 널리 상용화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랍브라켓(400)이 서랍(200)의 후방에 장착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서랍브라켓(400)은 서랍의 측방이나 레일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견인와이어(600)는 각 서랍(200)들이 과도하게 인출되지 못하도록 서랍(200)의 인출거리를 한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본체브라켓(30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서랍장본체(1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결합되되, 각각의 관통홀과 대응되는 부위가 해당 관통홀을 통해 상기 본체브라켓(300)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각 걸림부(410)의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견인와이어(600)의 길이방향 양단은 서랍장본체(10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와이어(600)의 길이방향 일단(도 2에서는 상단)은 서랍장본체(100)의 상판에 체결된 별도의 와이어 길이조절브라켓(500)에 고정되고, 상기 견인와이어(600)의 길이방향 타단(도 2에서는 하단)은 본체브라켓(300)의 하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와이어 길이조절브라켓(500)은 견인와이어(600)의 길이방향 일단이 상향으로는 당겨질 수 있지만 하향으로는 빠지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와이어 길이조절브라켓(500)은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액자걸이와이어 등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상기 와이어 길이조절브라켓(500)의 내부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상기 견인와이어(600)의 길이방향 양단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만 있다면, 상기 견인와이어(600)의 길이방향 양단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방식 이외에 어떠한 방식으로도 서랍장본체(100)나 본체브라켓(3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견인와이어(600)의 길이방향 양단이 먼저 고정된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확대도와 같이 견인와이어(600)의 중단을 걸림부(410)에 삽입시킬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견인와이어(600)를 설치할 때에는, 견인와이어(600)의 끝단을 인출공(322)을 통해 본체브라켓(300) 전방으로 인출시키고 상기 걸림부(410)를 관통시킨 후, 다시 상기 인출공(322)을 통해 본체브라켓(300)의 후방으로 인입시키는 과정을 서랍(200)의 개수만큼 반복한 다음, 상기 견인와이어(600)의 길이방향 양단을 고정시킴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서랍장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서랍(200)을 잡아당겨 인출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인출되는 서랍(200)(도 4에서는 가장 상측에 위치한 서랍(200))의 걸림부(410)에 걸려 있던 견인와이어(600)도 서랍(200)을 따라 인출된다. 이때, 각 서랍(200)의 걸림부(410)에는 하나의 견인와이어(600)가 연결되는바, 사용자에 의해 인출되는 서랍(200)이 사전에 설정된 거리까지 인출되고 나머지 서랍(200)들이 완전히 인입되었을 때 상기 견인와이어(600)는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서랍전도 방지장치가 설치된 서랍장은, 어느 하나의 서랍(200)을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 인출시켰을 때 상기 견인와이어(600)가 팽팽하게 긴장되는바, 상기 서랍(200)을 더 이상 인출시킬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서랍(200)이 서랍장본체(100)로부터 완전히 빠지지 아니하므로, 서랍(200)의 추락에 의해 영유아나 어린이가 다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한다.
이때, 상기 견인와이어(600)의 전체 길이가 너무 길면 서랍장본체(100)로부터 서랍(200)이 완전히 빠질 수 있고, 상기 견인와이어(600)의 전체 길이가 너무 짧으면 서랍(200)이 충분히 인출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견인와이어(600)의 전체 길이는 사용자에 의해 적절히 조절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견인와이어(600)가 당겨질 때에는 상기 견인와이어(600)와 본체브라켓(300)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되고, 상기 견인와이어(600)와 서랍브라켓(400) 사이에도 큰 마찰력이 발생되는바, 상기 견인와이어(600)는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끊어지지 아니하도록 강선 등과 같이 강도가 높은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견인와이어(600)가 강선으로 제작되면, 견인와이어(600)가 서랍브라켓(400)의 걸림부(410)나 본체브라켓(300)의 인출공(322)을 관통하는 부위에서 큰 소음이 발생될 뿐만아니라 마찰력이 크게 발생되어 서랍(200) 인출에 많은 힘이 요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서랍브라켓(400)의 걸림부(410)나 본체브라켓(300)의 인출공(322)에는 견인와이어(600)와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별도의 베어링이 추가로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베어링은 본원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상용화된 기계부품이므로, 상기 베어링의 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견인와이어(600)가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에서 완전히 인입되어 있던 서랍(200) 중 어느 하나의 서랍(200)(본 실시예에서는 두 번째 서랍(200))을 인출시키면, 상기 견인와이어(600) 중 두 번째 서랍(200)의 걸림부(410)에 걸려있던 부위가 전방으로 당겨지고, 첫 번째 서랍(200)의 걸림부(410)에 걸려있던 부위는 후방으로 당겨진다. 즉,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두 번째 서랍(200)을 인출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서랍(200)이 인출되는 거리만큼 첫 번째 서랍(200)이 인입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서랍(200)을 끝까지 인출시켰을 때에는 첫 번째 서랍(200)이 끝까지 자동으로 인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서랍전도 방지장치가 설치된 서랍장은, 둘 이상의 서랍(200)이 최대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전체적인 무게 중심이 앞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 즉, 서랍장이 전방으로 넘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랍장에 수납된 물품을 찾기 위해서는 서랍(200)을 하나씩 열었다가 닫아야 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서랍전도 방지장치가 설치된 서랍장은 열려 있는 서랍장을 닫을 필요가 없으므로 즉, 닫혀 있던 서랍(200)을 여는 조작만으로 열려있던 서랍(200)이 자동으로 닫히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해진다는 장점도 있다.
도 7 및 도 8은 서랍브라켓(400)과 본체브라켓(3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서랍(200)을 견인하는 견인와이어(600)는 본체브라켓(300)과 서랍브라켓(400)에 걸쳐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본체브라켓(300)과 서랍브라켓(400)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랍브라켓(4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ㄱ"자, "I"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서랍(200)의 후방측 상단 또는 측판 상단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서랍브라켓(400)이 'ㄷ'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되면, 견인와이어(600)의 장력에 의해 서랍(200)을 견인할 때 서랍브라켓(400)이 서랍(200)으로부터 탈거될 우려가 매우 적어지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서랍브라켓(400)이 'ㄷ'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도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 하나 이상의 체결나사(S)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브라켓(3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격부(320)와 체결부(310)가 직각으로 연결된 'ㄴ'자형 절곡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서랍(200)의 후방 또는 측방과 대응되는 지점에 하나씩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브라켓(300)이 다수 개의 'ㄴ'자형 절곡플레이트로 제작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제조비용이 현저히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서랍장본체 200 : 서랍
300 : 본체브라켓 310 : 체결부
312 : 체결공 320 : 이격부
322 : 인출공 400 : 서랍브라켓
410 : 걸림부 500 : 와이어 길이조절브라켓
600 : 견인와이어 S : 체결나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다수 개의 서랍(200)이 실장되는 서랍장본체(100)의 내부공간 중 상기 서랍(200)의 후방 또는 측방과 대응되는 지점에 결합되되, 상기 서랍장본체(100)의 내측면에 밀착 결합되며, 다수 개의 체결공이 구비된 체결부(310)와, 상기 서랍장본체(100)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체결부(310)에 연결되며 각각의 서랍(200)과 대응되는 지점에 인출공(322)이 형성되는 이격부(320)로 구성되는 본체브라켓(300); 각각의 서랍(200) 후단측 중 상기 인출공과 대응하는 지점에 결합되되, 'ㄷ'자, "ㄱ"자, "I"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서랍(200)의 후방측 상단 또는 측판 상단에 결합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걸림부(410)를 구비하는 서랍브라켓(400); 상기 본체브라켓(30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서랍장본체(1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결합되어 상기 서랍(200)의 인출거리를 한정하되, 각각의 관통홀과 대응되는 부위가 해당 관통홀을 통해 상기 본체브라켓(300)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각 걸림부(410)의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연결되는 견인와이어(600); 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브라켓(300)은 상기 다수 개의 서랍(200) 배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이격부(320)의 폭방향 양측에 상기 체결부(310)가 구비되고, 상기 견인와이어(6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서랍장본체(100)의 상판에 체결된 와이어 길이조절브라켓(500)에 고정되며, 상기 견인와이어(6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본체브라켓(300)의 하부에 고정되는 서랍전도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서랍장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길이조절브라켓(500)은 견인와이어(600)의 길이방향 일단이 상향으로만 당겨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견인와이어(600)는, 어느 하나의 서랍(200)이 사전에 설정된 거리까지 인출되고 나머지 서랍(200)들이 완전히 인입되었을 때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되,
    상기 견인와이어(600)를 설치하는 경우, 견인와이어(600)의 끝단을 인출공(322)을 통해 본체브라켓(300) 전방으로 인출시키고, 상기 걸림부(410)를 관통시킨 후, 다시 상기 인출공(322)을 통해 본체브라켓(300)의 후방으로 인입시키는 과정을 서랍(200)의 개수만큼 반복한 다음, 상기 견인와이어(600)의 길이방향 양단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전도 방지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70098739A 2017-08-03 2017-08-03 서랍전도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서랍장 KR101959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739A KR101959026B1 (ko) 2017-08-03 2017-08-03 서랍전도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서랍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739A KR101959026B1 (ko) 2017-08-03 2017-08-03 서랍전도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서랍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805A KR20190014805A (ko) 2019-02-13
KR101959026B1 true KR101959026B1 (ko) 2019-03-15

Family

ID=65366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739A KR101959026B1 (ko) 2017-08-03 2017-08-03 서랍전도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서랍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0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8916B1 (ko) 2020-11-23 2022-12-20 주식회사 일룸 서랍전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서랍장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95433A1 (en) * 2009-05-25 2010-11-25 Matthew Peter Randall Safety storage uni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837A (ja) * 1995-04-05 1996-10-22 Toshio Yamanishi くさり型引留具
KR200483430Y1 (ko) * 2015-04-07 2017-05-15 정홍기 이중프레임 캠핑용 의자
KR101694922B1 (ko) 2016-08-29 2017-01-10 박희준 안전 서랍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95433A1 (en) * 2009-05-25 2010-11-25 Matthew Peter Randall Safety storage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805A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808B1 (ko) 선반 장착용 슬라이딩 레일
US20130087675A1 (en) Furniture or appliance tipping restraint
US3221678A (en) Shelf structure
EP3435821B1 (en) Suspension system
US2936146A (en) Detachable supporting rail for receptacles, etc.
KR102168388B1 (ko) 전도방지 기능을 갖는 서랍장
JP2002514955A (ja) 可撓性係止タブを具備した引出しスライダアンダーマウントブラケット
KR101959026B1 (ko) 서랍전도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서랍장
JP2013533033A (ja) 引抜き部分を有するキャビネット家具
JP6467413B2 (ja) 引出しのための引出しガイド
DE202004021747U1 (de) Fachboden für ein Kältegerät
KR101771929B1 (ko) 서랍장 가구의 안전 잠금장치
US3033639A (en) Drawer guides
US3472476A (en) Slide lock
US3406883A (en) Garment hanger
US3227412A (en) Hook for apertured panel
US3129042A (en) Drawer guide
KR20180018896A (ko) 서랍 가이드레일용 고정장치
KR102478916B1 (ko) 서랍전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서랍장
US3796474A (en) Molded plastic drawer
KR101715081B1 (ko) 트레이 이탈방지 레버가 구비된 슬라이딩 레일
CN103129511B (zh) 用于安全带的安全带导向扣
KR200474593Y1 (ko) 경량 시스템 서랍장
KR101087747B1 (ko) 복합 캐비닛의 서랍 로킹장치
US2887291A (en) Brack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