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007B1 - 지도 제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도 제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007B1
KR101959007B1 KR1020160128378A KR20160128378A KR101959007B1 KR 101959007 B1 KR101959007 B1 KR 101959007B1 KR 1020160128378 A KR1020160128378 A KR 1020160128378A KR 20160128378 A KR20160128378 A KR 20160128378A KR 101959007 B1 KR101959007 B1 KR 101959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input interface
input
image
scroll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7773A (ko
Inventor
조일영
고동일
Original Assignee
삼아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아항업(주) filed Critical 삼아항업(주)
Priority to KR1020160128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0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37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 G09B29/102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using electrical means
    • G09B29/104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using electrical means involving the optical projection of slides, microfilm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 G09B29/106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using electronic means

Abstract

지도 제작 시스템이 개시되며, 상기 지도 제작 시스템은, 입력된 좌표 정보에 따라 작업 영역에 객체를 생성하는 지도 제작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대상체를 포함하는 촬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 지시자가 상기 작업 영역 및 상기 촬영 이미지 상에서 연동하여 이동되며, 상기 작업 영역에 상기 좌표 정보 중 X좌표 값 및 Y좌표 값을 입력하도록 제공되는 제1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좌표 정보 중 Z좌표 값을 입력하도록 제공되는 제2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도 제작 시스템{MAP MAKING SYSTEM}
본원은 정밀 지도, 3D 지도 등과 같은 지도를 제작하는 시스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도 제작 시스템은 지도 제작 프로그램에 입력되는 3차원 좌표의 취득 장비로 핸드휠(HandWheel), 풋디스크(FootDisk)를 포함하는데, 작업자가 두 개의 핸드휠을 양손으로 각각 잡고 회전시켜 X좌표 값과 Y좌표 값을 입력할 수 있고, 풋디스크를 발로 조작함으로써 Z좌표 값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지도 제작 시스템은, 그 이용 방법이 어려워서, 작업자가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해 지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6개월 이상의 장시간 숙련이 필요했다.
또한, 종래에는 지도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해 지도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지도 제작 프로그램의 기능을 사용하거나 객체에 속성을 부여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기능이나 속성에 대응하여 명령어 입력이나 메뉴 선택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잦아, 작업의 연속성 및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시적으로, 지도 제작 프로그램에서 취득 대상 지형물(객체)을 형성한 후, 형성된 취득 대상 지형물의 종류를 지정해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상존하였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9671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숙달되지 않은 작업자라고 하더라도 작업의 연속성 및 효율성이 소정 이상 확보될 수 있어, 종래 방식 대비 지도 제작 작업에 대한 진입 장벽을 크게 낮추고 지도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지도 제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지도 제작 시스템은, 입력된 좌표 정보에 따라 작업 영역에 객체를 생성하는 지도 제작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대상체를 포함하는 촬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 지시자가 상기 작업 영역 및 상기 촬영 이미지 상에서 연동하여 이동되며, 상기 작업 영역에 상기 좌표 정보 중 X좌표 값 및 Y좌표 값을 입력하도록 제공되는 제1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좌표 정보 중 Z좌표 값을 입력하도록 제공되는 제2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X좌표 값 및 Y좌표 값은 제1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고, Z좌표 값은 제2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므로, 좌표 정보의 입력이 용이해, 지도가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제작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a는 지도 제작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해 지도 제작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제1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b는 제2 디스플레이부의 촬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해 촬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입력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4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휠을 설명하기 위해, 스크롤 휠 상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놓인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휠부 및 제2 휠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지도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도 제작 시스템(이하 '본 지도 제작 시스템'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지도 제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2a는 지도 제작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해 지도 제작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제1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도 2b는 제2 디스플레이부의 촬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해 촬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지도 제작 시스템은, 제1 디스플레이부(1)를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부(1)에는 입력된 좌표 정보에 따라 작업 영역(111)에 객체를 형성하는 지도 제작 프로그램(11)이 디스플레이 된다. 예시적으로, 도 2a를 참조하면, 지도 제작 프로그램(11)은 객체가 형성되는 작업 영역(111), 지도 제작 프로그램(11)에 대응하는 컨트롤(제어)과 관련된 메뉴 또는 버튼(1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도 제작 프로그램(11)이 입력 받는 좌표 값은 X좌표 값, Y좌표 값 및 Z좌표 값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X좌표 값과 Y좌표 값은 수평 좌표계의 2축 각각에 대한 좌표 값일 수 있고, Z좌표 값은 고도 값에 대응할 수 있다. 다만, X좌표 값, Y좌표 값 및 Z좌표 값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의되는 3축 좌표계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지도 제작 프로그램(11)은, CAD(Computer Aided Design)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지도 제작 시스템은, 제2 디스플레이부(2)를 포함한다.
제2 디스플레이부(2)는 객체에 대응하는 대상체를 포함하는 촬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된다. 예시적으로, 촬영 이미지는 항공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부(2)는 촬영 이미지를 작업자가 3차원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3차원 관찰을 가능하게 하는 이미지 제공 방법으로는 다양한 알려진 기술들이 활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제2 디스플레이부(2)는 대상체를 포함하는 촬영 영역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촬영한 촬영 이미지 복수 개를 함께 나열하여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촬영 영역 내 존재하는 대상체가 건물인 경우, 항공 촬영시 해당 건물의 측면들 중 일부 측면은 가려져 확인이 어려운 음영 영역(폐쇄 영역)에 속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2)는 촬영 영역 내 대상체의 음영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각도(둘 이상의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를 복수개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음영 영역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음영 영역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하자면, 일반적으로 대상물의 3차원 모델링 및 영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주로 항공 사진이 이용되는데, 이러한 항공 사진에는 건물과 같은 지상지물의 높이에 비례하여 작업자가 파악하기 어려운 폐쇄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폐쇄 영역을 음영 영역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지도 제작 시스템은, 제1 입력 인터페이스(3)를 포함한다.
제1 입력 인터페이스(3)에 따른 지시자(pointer)는 작업 영역(111) 및 촬영 이미지 상에서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작업자가 제2 디스플레이부(2)에 표시된 촬영 이미지 상에서 대상체의 윤곽을 따라 지시자(예를 들면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키며 클릭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부(1)의 작업 영역(111) 상에 상기 대상체의 윤곽에 대응하는 객체(예를 들면 line 객체 또는 polyline 객체)가 생성될 수 있다. 즉, 제1 입력 인터페이스(3)는 제2 디스플레이부(2) 상에 표시된 촬영 이미지 상의 대상체에 대응하는 객체를 제1 디스플레이부(1) 상의 작업 영역(111)에 생성할 수 있도록 제1 디스플레이부(1) 및 제2 디스플레이부(2)와 연동 관계(예를 들면,제1 디스플레이부(1) 상에 오프되어 있는CAD 프로그램에서 pline 또는 line 명령을 입력한 다음 제2 디스플레이부(2)에서 3점 클릭을 수행하고 close 하면 CAD 프로그램의 작업 영역(111) 상에 상기 3점에 대응하는 삼각형 객체가 생성될 수 있다)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입력 인터페이스(3)는 작업 영역(111)에 좌표 정보 중 X좌표 값 및 Y좌표 값이 입력되도록 제공된다. 예시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제1 입력 인터페이스(3)는 마우스(mouse) 타입일 수 있다. 또한, 지시자는 커서, 인디케이터 등일 수 있다.
도 3은 제2 입력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4는 스크롤 휠을 설명하기 위해, 스크롤 휠 상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높인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도 5는 제1 휠부 및 제2 휠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지도 제작 시스템은, 제2 입력 인터페이스(4)를 포함한다. 제2 입력 인터페이스(4)는 좌표 정보 중 Z좌표 값을 입력하도록 제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입력 인터페이스(4)는 스크롤 휠(41)을 포함할 수 있다. Z좌표 값은 스크롤 휠(41)의 회전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종래의 지도 제작 시스템은 작업자가 발로 풋디스크를 조작하여 Z좌표 값을 입력하였는데, 적어도 반년 이상 숙달되지 않고서는 능숙한 조작을 하기가 극히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지도 제작 시스템에 따르면,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스크롤 휠(41)을 회전만 시키면 Z좌표 값이 입력되므로, Z좌표 값 입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4을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스크롤 휠(41)은 제1 휠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휠부(411)는 제1 디스크(4111) 및 제1 디스크(4111)의 둘레로부터 일측 방향(도 5 기준 대략 3시 방향)으로 구부러지며 제1 디스크(41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테두리(4112)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스크롤 휠(41)은 제2 휠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휠부(412)는, 제2 디스크(4121) 및 제2 디스크(4121)의 둘레로부터 타측 방향(도 5 기준 대략 9시 방향)으로 구부러지며 제2 디스크(412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 테두리(4122)를 가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크롤 휠(41)에 있어서, 이러한 제1 휠부( 411) 및 제2 휠부(412)는 제1 테두리부(4112) 및 제2 테두리부(4122)가 간격(a)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테두리부(4112) 및 제2 테두리부(4122)는 작업자의 스크롤 휠 조작 시, 서로 이격된 간격(a)과 연계하여 소정의 쿠션감을 제공하도록, 휨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테두리부(41112) 및 제2 테두리부(4122)가 휨 탄성을 갖는 재질이므로, 작업자는 스크롤 휠(41)을 회전시킬 때, 쿠션감을 느낄 수 있다. 그에 더해, 제1 휠부(411) 및 제2 휠부(412)가 간격(a)을 두고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1 테두리부(41112) 및 제2 테두리부(4122)는 서로 분리된 캔틸레버(cantilever; 외팔보) 구조를 가지게 되어 더욱 부드러운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원의 스크롤 휠(41)은 제1 휠부(411)와 제2 휠부(412) 각각의 테두리부를 실리콘과 같은 소정의 휨 탄성 내지 휨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고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함으로써, 이들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조합되어 스크롤 휠(41)을 회전시키는 작업자에게 적정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따라, 작업자가 스크롤 휠(41)을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는데 있어서, 작업자의 손가락에 지속적으로 누적되는 스트레스 내지 피로가 크게 낮추어질 수 있다.
참고로, 휨 탄성을 갖는 재질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는데, 예시적으로, 제1 테두리부(4112) 및 제2 테두리부(4122)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 스크롤 휠(41)은, 작업자의 스크롤 휠 조작 시 원하는 쿠션감에 대응하여 간격(a)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휠부(411)와 제2 휠부(412) 상의 이격 간격(a)과 그 재질이 유기적으로 조합되어 작업자(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데, 작업자마다 원하는 쿠션감(예를 들면 반복적인 작업에 있어 피로를 덜 느끼는 쿠션감)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간격(a)에 조절될 수 있도록 스크롤 훨(41)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션감(완충 효과)을 높이고자 하는 사용자는 제1 휠부(411)와 제2 휠부(412) 사이의 간격을 보다 넓힐 수 있을 것이고, 쿠션감을 보다 낮추어 다소 단단한 조작감을 원하는 사용자는 반대로 이격 간격을 보다 좁힐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간격 조절 구조는 장치기구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다양한 구성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스크롤 휠(41)은, 높이(b) 조절(상향 돌출 정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는 스크롤 휠(41) 중 손가락이 접촉되는 상단 부분이 제2 입력 인터페이스(4)의 상면보다 다소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거나 반대로 다소 아래쪽으로 함몰되어 있을 때 편안한 조작감을 느낄 수 있다. 또는, 다른 사용자는 스크롤 휠(41) 중 손가락이 접촉되는 상단 부분이 제2 입력 인터페이스(4)의 상면과 비슷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 편안한 조작감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작업자별 개인차를 고려하여 제2 입력 인터페이스(4) 기준 스크롤 휠(41)의 상대적인 높이(b)가 조절 가능하도록 스크롤 휠(4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제2 입력 인터페이스(4)는 펑션 키보드(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펑션 키보드(42)는 지도 제작 프로그램(11)의 복수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단축 키가 집합된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펑션 키보드(42)는 복수 개의 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키 버튼은 작업자가 지도 제작 프로그램(11)과 관련하여 자주 사용하는 단일 기능 또는 복수의 기능들의 조합을 실행하는 매크로(macro)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키 버튼에 대한 매크로는 작업자가 자신의 필요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자신이 맡은 반복적인 작업들에 대응하는 기능을 키 버튼에 할당하여 둠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지도 제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지도 제작 시스템은, 보드부(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드부(9)는 제1 입력 인터페이스(3)를 통해 입력되는 X좌표 값과 Y좌표 값 및 제2 입력 인터페이스(4)를 통해 입력되는 Z좌표 값을 한 쌍으로 동기화하여 지도 제작 프로그램에 입력할 수 있다.
제1 입력 인터페이스(3)를 통해 입력되는 X, Y값과 제2 입력 인터페이스(4)를 통해 입력되는 Z값이 보드부(9)에 의한 동기화 없이 개별적으로 지도 제작 프로그램에 전송되는 경우, X, Y값과 Z값이 상호 명확하게 매칭되지 못하고 그와 시간 상으로 전후에 인접하는 값들과 혼동되는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제1 입력 인터페이스(3)에 의한 입력과 제2 입력 인터페이스(4)에 의한 입력이 완벽히 동일한 시간에 이루어지기 어려워 서로 입력 시간차가 생기기 때문에 발생되는 오류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작업 영역(111) 상에 제1 지점, 제2 지점, 제3 지점, 제4 지점, 제5 지점을 짧은 시간 간격을 두고 연속하여 지정하며 작업을 이어 나갈 때, 제3 지점에 대해 제1 입력 인터페이스(3)를 통해 입력한 X, Y값이 제3 지점이 아닌 제4 지점에 대해 제2 입력 인터페이스(4)를 통해 입력한 Z값과 한 셋트를 이루는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에 의하면, 제1 입력 인터페이스(3) 및 제2 입력인터페이스(4) 각각에서 입력되는 좌표 값들이 보드부(9)를 경유하면서 동기화되어 한 셋트(한 쌍)로 지도 제작 프로그램에 입력되므로, 상기와 같은 오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지도 제작 시스템은, 3D 안경(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디스플레이부(2)에 도시되는 촬영 이미지는 3D 안경(5)에 의해 입체 이미지로 인식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3D 안경(5)은 좌안 글래스, 우안 글래스 및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가 장착되는 안경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좌안 글래스 및 우안 글래스 각각은 촬영 이미지가 정상적인 입체 이미지의 역상 형태로 보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호 위치 교환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3D 안경은,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난 사람의 좌안 시선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좌안이 인식하도록 하고, 사람의 우안 시선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우안이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입체감(깊이감)을 갖는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위 설명과는 반대로, 개인에 따라 우안이 좌안 시선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인식하고 좌안이 우안 시선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인식하게 되는 사람이 존재한다. 이러한 사람은 3D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이미지 내에서 양각으로 돌출될게 보여야 할 부분이 음각으로 함몰되어 보이게 되고, 음각으로 보여야 할 부분이 양각으로 보이게 되는 역상 형태의 인식을 하게 된다.. 본원의 발명자는 3D 안경 사용자 중 일부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사용 곤란성이 발생할 수 있음을 미리 인지하여, 역상 형태의 인식을 하는 사람들에 대한 맞춤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의 위치를 상호 교환 가능하도록 3D 안경이구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지도 제작 시스템에 의하면, 3D 안경(5)의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의 위치가 상호 교환 가능하므로, 입체 이미지가 역상 형태로 보이는 일부 작업자는, 3D 안경(5)의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를 상호 교환하여 장착한 후 촬영 이미지를 응시함으로써, 입체 이미지를 역상이 아닌 정상 형태로 인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좌안 글래스 및 우안 글래스 각각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안경 프레임에 대해 착탈(장착 및 탈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좌안 글래스 및 우안 글래스 각각은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안경 프레임으로부터 탈거(분리)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좌안 글래스는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우안 글래스는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각각이 안경 프레임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도 7은 안경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지도 제작 시스템은, 안경 거치대(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안경 거치대(6)는, 3D 안경(5)이 촬영 이미지를 향하는 작업자의 시선 상에 위치하도록, 3D 안경(5)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안경 거치대(6)는 기둥부(61) 및 암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암부(62)는 3D 안경(5)이 거치되며, 거치되는 3D 안경(5)이 제1 디스플레이(1)를 향하는 작업자의 시선 상에서 제거 가능하도록, 스윙 구동 가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암부(62)는 도 7을 참조하면, α 방향(연직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방향)으로 스윙 구동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암부(62)의 스윙 구동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부(62)는 다양한 방향으로 스윙 구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암부(62)는 전후 방향(β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방향으로 스윙 구동할 수 있다. 이처럼 스윙 구동 방식으로 암부(62)가 구비됨으로써, 3D 안경(5)을 사용하지 않고 작업하는 경우에도 안경 거치대(6)가 작업에 방해를 주지 않는 상태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암부(62)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암부(62)는 그에 대하여 3D 안경(5)이 전후 방향(β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그의 필요에 맞추어 편리하게 3D 안경(5)을 통해 촬영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경을 착용한 작업자에게 적정한 3D 안경(5)의 전후 방향 위치와, 안경 미착용 작업자에게 적정한 3D 안경(5)의 전후 방향 위치는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의 안경 착용 여부 와 같은 신체적 특징, 작업자의 촬영 이미지를 응시하는 자세 등에 따라 작업자가 원하는 3D 안경(5)의 전후 방향 최적 위치는 개인차가 있을 수 있다. 본 지도 제작 시스템에 의하면, 3D 안경(5)을 암부(62)에 대하여 전후 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하므로, 작업자에게 보다 높은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암부(62)는, 3D 안경(5)의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기둥부(61)에 대해 상하 방향(γ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작업자의 신체적 특징, 작업자의 촬영 이미지를 응시하는 자세 등에 따라 작업자가 원하는 3D 안경(5)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지도 제작 시스템에 의하면, 암부(62)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통해 3D 안경(5)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작업자에 대한 편리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암부(62)는, 암부(62)에 대하여 3D 안경(5)이 좌우 방향 축을 중심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도 7 참조, δ 방향으로의 각도 조절),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자신에게 최적이라 생각되는 고개의 각도(고개를 들거나 숙이는 각도)에 맞추어 3D 안경(5)의 δ 방향으로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지도 제작 시스템은, 제3 입력 인터페이스(7)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입력 인터페이스(7)는 그 지시자(예를 들면 마우스 포인터)가 제2 디스플레이부(2) 상에 도시되는 촬영 이미지와 연동되지 않은 상태로 지도 제작 프로그램(11) 상에서 이동 가능하며, 지도 제작 프로그램(11)에 대응하는 컨트롤을 입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입력 인터페이스(7)는 지시자를 이동시켜, 지도 제작 프로그램(11)의 메뉴란(112) 내에서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1 입력 인터페이스(3)는 제1 디스플레이부(1)의 작업 영역(111)과 제2 디스플레이부(2)의 촬영 이미지와 연동하여 지시자가 이동되거나 명령이 입력되는 인터페이스인 반면, 제3 입력 인터페이스(7)는 제2 디스플레이부(2)와의 연동 없이 제1 디스플레이부(1) 내의 다양한 명령 입력이나 기능 실행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라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제3 입력 인터페이스(7)는 마우스 형태의 입력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제1 입력 인터페이스(3)는 마우스 형태의 입력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본 지도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도 1을 참조하면, 제1 입력 인터페이스(3) 및 제3 입력 인터페이스(7)는 작업자의 왼손 및 오른손 중 어느 한 손이 사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제2 입력 인터페이스(4)는 나머지 한 손이 사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입력 인터페이스(3) 및 제3 입력 인터페이스(7)를 사용하는 작업자의 어느 한손에는, 작업자가 주로 사용하는 손이 할당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2 입력 인터페이스(4)의 경우, 작업자는 제2 입력 인터페이스(4)를 평면 상에서 이동시킬 필요없이 단순히 스크롤 휠(41)을 회전하는 것만으로도 Z좌표 값이 입력되므로, 제1 및 제3 입력 인터페이스(3, 7)를 조작하는 것보다 정교한 조작이 덜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3 입력 인터페이스(3, 7)는 작업자의 양 손 중, 주로 사용하는 손에 의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제2 입력 인터페이스(4)는 다른 한 손에 의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작업자가 오른손잡이라면, 제1 및 제3 입력 인터페이스(3, 7)는 작업자의 오른 손에 의해 조작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제2 입력 인터페이스(4)는 작업자의 왼 손에 의해 조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지도 제작 시스템은 음성을 인식하도록 제공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마이크(microphon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지도 제작 시스템은, 인식된 음성에 따른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테면, 객체의 종류(건물, 도로, 등고선 등) 및 객체의 종류를 지정하기 위한 명령어가 사전에 제어부에 등록되어 있을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작업자는 음성을 통해 객체의 종류를 지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작업자가 "건"이라는 1음절을 음성 인식 장치에 입력하는 경우 객체의 종류가 "건물"로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명령어는 명령어간 혼동(인식 오류)이 최대한 저감될 수 있는 방향으로 설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제1 디스플레이부 11: 지도 제작 프로그램
111: 작업 영역 112: 메뉴
2: 제2 디스플레이부 3: 제1 입력 인터페이스
4: 제2 입력인터페이스 41: 스크롤 휠
411: 제1 휠부 4111: 제1 디스크
4112: 제1 테두리 412: 제2 휠부
4121: 제2 디스크 4122: 제2 테두리
5: 3D 안경 6: 안경 거치대
61: 기둥부 62: 암부
7: 제3 입력 인터페이스 9: 보드부

Claims (17)

  1. 지도 제작 시스템으로서,
    입력된 좌표 정보에 따라 작업 영역에 객체를 생성하는 지도 제작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대상체를 포함하는 촬영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
    지시자가 상기 작업 영역 및 상기 촬영 이미지 상에서 연동하여 이동되며, 상기 작업 영역에 상기 좌표 정보 중 X좌표 값 및 Y좌표 값을 입력하도록 제공되는 제1 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좌표 정보 중 Z좌표 값을 입력하도록 제공되는 제2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X좌표 값과 Y좌표 값 및 상기 제2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Z좌표 값을 한 쌍으로 동기화하여 상기 지도 제작 프로그램에 입력하는 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 인터페이스는, 스크롤 휠을 포함하되,
    상기 Z좌표 값은, 상기 스크롤 휠의 회전 정도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스크롤 휠은,
    제1 디스크 및 상기 제1 디스크의 둘레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제1 디스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 테두리부를 갖는 제1 휠부; 및
    제2 디스크 및 상기 제2 디스크의 둘레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구부러지며 상기 제2 디스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 테두리부를 갖는 제2 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휠부 및 상기 제2 휠부는 상기 제1 테두리부 및 상기 제2 테두리부가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스크롤 휠은 사용자의 스크롤 휠 조작 시 원하는 쿠션감에 대응하여 상기 간격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인, 지도 제작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두리부 및 상기 제2 테두리부는, 사용자의 스크롤 휠 조작 시 서로 이격된 간격과 연계하여 쿠션감을 제공하도록 휨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인, 지도 제작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휠은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인, 지도 제작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지도 제작 프로그램의 복수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단축 키가 집합된 펑션 키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지도 제작 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좌안 글래스, 우안 글래스 및 상기 좌안 글래스와 상기 우안 글래스가 장착되는 안경 프레임을 갖는 3D 안경을 더 포함하되,
    상기 촬영 이미지는 상기 3D 안경에 의해 입체 이미지로 보이도록 제공되는 것인, 지도 제작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 글래스 및 상기 우안 글래스 각각은 상기 촬영 이미지가 정상적인 입체 이미지의 역상 형태로 보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호 위치 교환 가능한 것인, 지도 제작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3D 안경이 상기 촬영 이미지를 향하는 사용자의 시선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3D 안경의 위치를 설정하는 안경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지도 제작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거치대는,
    기둥부; 및
    상기 3D 안경이 거치되며, 거치되는 상기 3D 안경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향하는 사용자의 시선 상에서 제거 가능하도록, 스윙 구동 가능한 암부를 포함하는 것인, 지도 제작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그에 대하여 상기 3D 안경이 전후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인, 지도 제작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상기 3D 안경의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둥부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것인, 지도 제작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그에 대하여 상기 3D 안경이 좌우 방향 축을 중심으로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인, 지도 제작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지시자가 상기 촬영 이미지와 연동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지도 제작 프로그램 상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지도 제작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컨트롤을 입력하도록 제공되는 제3 입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지도 제작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왼손 및 오른손 중 어느 한 손이 사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입력 인터페이스는 나머지 한 손이 사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인, 지도 제작 시스템.
KR1020160128378A 2016-10-05 2016-10-05 지도 제작 시스템 KR101959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378A KR101959007B1 (ko) 2016-10-05 2016-10-05 지도 제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378A KR101959007B1 (ko) 2016-10-05 2016-10-05 지도 제작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842A Division KR101959005B1 (ko) 2018-06-15 2018-06-15 개선된 스크롤 휠 구조를 이용한 지도 제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773A KR20180037773A (ko) 2018-04-13
KR101959007B1 true KR101959007B1 (ko) 2019-03-18

Family

ID=61974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378A KR101959007B1 (ko) 2016-10-05 2016-10-05 지도 제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0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575A (ko) 2018-12-31 2020-07-08 최준호 구매 여정 추적을 이용한 복수의 홍보자에 대한 보상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719B1 (ko) * 2012-07-19 2012-11-07 태양정보시스템(주) 도화프로그램의 메뉴키 자동 전환 방법
JP2013025312A (ja) * 2011-07-20 2013-02-04 Tpv Display Technology (Xiamen) Co Ltd 調節可能偏光式3d及び2dの互換性を有する3d眼鏡及びその調節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1351B2 (ja) * 1994-11-21 2005-0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立体図形データの記録方法
KR20120105767A (ko) * 2011-03-16 2012-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차원 안경 거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5312A (ja) * 2011-07-20 2013-02-04 Tpv Display Technology (Xiamen) Co Ltd 調節可能偏光式3d及び2dの互換性を有する3d眼鏡及びその調節方法
KR101196719B1 (ko) * 2012-07-19 2012-11-07 태양정보시스템(주) 도화프로그램의 메뉴키 자동 전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773A (ko)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1951B2 (en) 3D digital painting
KR101541803B1 (ko) 화상인식장치 및 조작판정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CN103365411B (zh) 信息输入设备、信息输入方法
US10922870B2 (en) 3D digital painting
US90133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by an actor in the virtual reality environment
US11662594B2 (en) Head-mounted display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for interpupillary distance adjustments
JPH075978A (ja) 入力装置
CN108027705A (zh) 用于按钮/键和“手指书写”混合型输入的装置和方法以及基于手的低外廓/可变几何形状控制器
JP2014056462A (ja) 操作装置
JP6805524B2 (ja) 入力装置、入力プログラム、及び入力方法
JP7245167B2 (ja) 表示情報及び/又はデータの同時多機能操作を可能とする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スマートデバイス
KR101959007B1 (ko) 지도 제작 시스템
JP7454818B2 (ja) アニメーション制作方法
KR101959005B1 (ko) 개선된 스크롤 휠 구조를 이용한 지도 제작 시스템
KR101708455B1 (ko) 핸드 플로트 입체 메뉴 시스템
Nakazato et al. A desktop 3D modeling system controllable by mid-air interactions
JP2018036942A (ja) 3次元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および3次元操作用プログラム
JP2004524624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4186742B2 (ja) 仮想空間内位置指示装置
KR102664782B1 (ko) 가상 현실 공간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 시스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3159606A1 (zh) 触觉反馈控制方法、触觉反馈控制装置及存储介质
US20240103626A1 (en) Haptic ring
WO2024075565A1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WO2017079910A1 (zh) 基于手势的虚拟现实人机交互方法和系统
KR20230049520A (ko) 가상 현실 공간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 시스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