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461B1 - 수동식 도어락에 부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전동 도어락 장치 및 그 전동 도어락 장치의 기능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수동식 도어락에 부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전동 도어락 장치 및 그 전동 도어락 장치의 기능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461B1
KR101958461B1 KR1020180043238A KR20180043238A KR101958461B1 KR 101958461 B1 KR101958461 B1 KR 101958461B1 KR 1020180043238 A KR1020180043238 A KR 1020180043238A KR 20180043238 A KR20180043238 A KR 20180043238A KR 101958461 B1 KR101958461 B1 KR 101958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door lock
coupling
hol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훈
백영현
신요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Priority to KR1020180043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461B1/ko
Priority to JP2018092995A priority patent/JP6607998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4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for alternative use on the right-hand or left-hand side of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1Retrofittable electric locks, e.g. an electric module can be attached to an existing manual 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수동식 도어락에 부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전동 도어락 장치 및 그 전동 도어락 장치의 기능 설정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동 도어락 장치의 제1 썸턴 블록과 제2 썸턴 블록은 독립되어 단독으로 회전할 수 있는 형태로 결합하고, 결합핀이 제1 썸턴 블록과 제2 썸턴 블록을 연결하여 형성된 핀홀에 삽입되거나 탈착된다. 결합핀이 탈착된 상태에서 제1 썸턴 블록 또는 제2 썸턴 블록을 회전하여 기능을 설정/변경하고, 결합핀이 핀홀에 장착됨으로써 제1 썸턴 블록과 제2 썸턴 블록은 단독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연결된다.

Description

수동식 도어락에 부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전동 도어락 장치 및 그 전동 도어락 장치의 기능 설정방법{Electric Door Lock Attached Manual Door Lock Capable of Opening Door and Function Sett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문에 설치되어 데드볼트(Dead Bolt)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문을 개폐하는 수동식 도어락(Manual Door Lock)에 장착하여 수동식 잠금장치의 썸턴을 제어하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좌수/우수 설정을 포함하는 각종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에 삽입 설치된 데드볼트(Dead Bolt)를 이용하여 문을 개폐하는 도어락(Door Lock)은 전동식과 수동식이 있다.
수동식이건 전동식이건 관계없이, 문틀에 형성된 홈에 데드볼트를 끼우는 방식으로 잠그고, 홈에서 데드볼트를 빼는 방식으로 잠금을 해제한다. 다만, 수동식 도어락은 문 안쪽에 마련된 썸턴(Thumb Turn)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데드볼트를 구동하고, 전동 도어락은 모터 등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데드볼트를 구동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종래에 문에 설치된 수동식 도어락을 전동식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1) 수동식 도어락 전체를 제거하고 전동식 도어락을 설치하거나, (2) 수동식 도어락에 전동식 도어락을 부착해야 한다. 방식 (1)의 전동식 도어락은 내부에 데드볼트를 갖추고 있다. 방식 (2)의 전동식 도어락은 수동식 도어락의 썸턴에 연결하여 수동식 도어락의 데드볼트를 그대로 사용한다. 따라서 이 방식의 전동 도어락은 자체 데드볼트를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문에 기설치된 수동식 도어락을 분리하지 않아도 되는 점에서 공사도 편리한 부분이 있다.
한편, 문에는 좌수형(左手形)과 우수형(右手形)이 있다. 문제는 데드볼트의 진출방향이 좌수형과 우수형에 따라 바뀌기 때문에, 데드볼트를 구동하는 구동 축(또는 모터)의 회전 방향(전동 도어락을 기준)도 좌수형과 우수형에 맞추어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a)는 우수형이고 (b)는 좌수형이다. 문의 안쪽인 실내에 위치한 출입자가 볼 때, 우수형은 경첩이 오른쪽에 위치한 문(1a)이기 때문에 오른손을 사용해서 개방해야 한다. 따라서 도어락(10a)도 데드볼트(11a)가 왼쪽으로 돌출되도록 우수형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문의 안쪽인 실내에 위치한 출입자가 볼 때, 좌수형은 경첩이 왼쪽에 위치한 문(1b)이기 때문에 왼손을 사용해서 개방해야 한다. 따라서 도어락(10b)은 데드볼트(11b)가 오른쪽으로 돌출되도록 좌수형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종래의 대부분의 전동 도어락이 설정 변경을 통해 우수형과 좌수 형을 바꿀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우수 설정에 따라 모터의 회전 방향을 바꾸고 문 열림 또는 문 닫힘에 대응하는 데드볼트의 위치를 다르게 인식하는 방법으로, 좌수형 또는 우수형으로 동작할 수 있다. 좌우수 설정방법은 설정 스위치 조작을 사용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일반 사용자도 손쉽게 설정을 바꿀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본 등록특허 제6062649호가 제시하는 락 장치는 문에 기설치된 수동 도어락 장치의 조작부재에 연결되는 썸턴 코어와, 새로 설치되는 썸턴에 연결되는 썸턴 베이스와, 썸턴 코어와 썸턴 베이스를 개별적으로 회전할 수 없는 형태로 연결하는 전환축을 구비한다. 전환축은 썸턴 코어와 썸턴 베이스 사이에 분리할 수 없는 형태로 내장되며, 함께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다. 락 장치의 후면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전환축을 눌러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썸턴 코어와 썸턴 베이스 사이의 연결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공구를 회전시켜 썸턴 코어만을 회전시킴으로써 좌우수를 설정하는 방식이다. 공구를 제거하면, 압축되었던 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슬라이드된 전환축도 원래 위치로 복원하여 썸턴 코어와 썸턴 베이스 사이의 연결도 복원된다. 이 특허의 방법은 유용하고 편리한 측면이 있다. 다만, 내부에 스프링과 전환축을 구비하는 등 그 구조가 복잡한 측면이 있고 따라서 스프링이나 전환축의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수리도 불편하다.
[관련 기술 문헌]
1. 일본 등록특허 제6062649호 (락 장치 및 락 장치의 기능 설정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문에 미리 설치된 수동식 도어락(Manual Door Lock)에 결합되는 도어락 장치로서, 관리자는 간단하게 기능(예를 들어 좌수/우수 설정)을 설정할 수 있지만 사용자는 쉽게 설정을 변경할 수 없도록 구성한 전동 도어락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동 도어락 장치에서의 기능 설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도어락 장치는 문에 기설치된 수동식 도어락과 연결축으로 결합하여 수동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동 도어락 장치는 수동 도어락의 기존썸턴을 대체하는 대체썸턴이 연결된 제1 썸턴 블록과; 일단이 결합축 상에서 상기 제1 썸턴 블록과 독립되어 단독으로 회전할 수 있는 형태로 결합하고 타단에 상기 연결축이 삽입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제2 썸턴 블록을 포함한다. 제2 썸턴 블록에는 상기 연결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홈과 연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전동 도어락 장치에는 상기 연결홀을 통해 상기 결합홈과 관통홀이 형성하는 핀홀에 삽입되거나 탈착되는 결합핀을 포함한다. 핀홀에 끼워진 결합핀은 상기 제1 썸턴 블록과 제2 썸턴 블록을 단독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연결한다.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전동 도어락 장치는 상기 결합핀이 삽입된 후에 상기 연결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결합핀과 연결축 사이에서 상기 결합핀이 상기 결합홈과 관통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결합핀에 형성된 스프링-홈에 일단이 수용되는 스프링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전동 도어락 장치는 상기 스프링의 중심에 끼워져 상기 스프링의 압축을 가이드하는 스프링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스프링의 중심이 끼워지는 기둥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의 일 측을 상기 몸체에 고정하는 돌기; 및 상기 몸체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이 상기 몸체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헤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동 도어락 장치의 기능 설정방법에도 미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결합핀이 탈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홀을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제2 썸턴 블록을 제2 위치로 회전하거나, 상기 대체썸턴을 회전하여 상기 제1 썸턴 블록을 상기 제2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하여 기능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기능을 변경하는 단계 후에 상기 결합핀을 상기 연결홀을 통해 상기 핀홀에 삽입하여 상기 설정 변경을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변경을 고정한 후에 상기 연결축을 상기 연결홀에 끼워 상기 수동식 도어락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동 도어락 장치는 문에 기설치된 수동 도어락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전동으로 수동 도어락에 내장된 데드볼트를 구동할 수 있다.
설치자는 본 발명의 전동 도어락을 설치할 때 전동 도어락의 기능(또는 동작)과 관련하여 복수 개의 선택 사항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치자는 수동 도어락과 연결하기 전에 썸턴을 회전하는 방법으로 전동 도어락이 좌수용으로 동작할 지 우수용으로 동작할 지를 설정할 수 있다. 일단 설치된 후에는 다시 분해하지 않는 한 그 설정을 변경할 수 없으므로, 일반 사용자는 그 선택을 쉽게 변경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 도어락은 결합핀을 핀홀에서 제거한 상태에서 기능 설정을 설정하, 기능 설정 후에 비로소 결합핀을 삽입하기 때문에, 결합핀이 도어락 장치의 내부에서 기능 고장을 일으킬 위험이 없고, 기능 고장에서도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좌수형 및 우수형 문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전동 도어락 장치의 외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동 도어락 장치의 부분 단면도(수동 도어락과 결합하기 전),
도 4는 수동 도어락과 결합한 상태의 전동 도어락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제1 썸턴블록, 제2 썸턴 블록 및 결합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수 설정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도어락 장치의 부분 단면도, 그리고
도 8은 도 7에 적용된 스프링-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동 도어락 장치(100)는 문(30)에 기설치된 수동 도어락(10)과 결합하며, 수동 도어락(10)의 데드볼트(11)를 구동하여 문(30)을 개폐한다. 여기서, 수동 도어락(10)은 외력에 의해 기존썸턴(15)이 회전하면서 내부의 데드볼트(11)가 문(30)에 설치된 스트라이크(미도시)에 삽입되는 형태로 문(30)을 개폐하는 종래의 잠금장치다. 수동 도어락(10)의 기존썸턴(15)은 본 발명의 전동 도어락 장치(100)와 결합할 때 제거되며, 대신에 전동 도어락 장치(100)가 대체썸턴(101)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전동 도어락 장치(100)와 수동 도어락(10) 사이의 연결은 연결축(17)을 사용한다. 전동 도어락 장치(100)의 본체(103) 후면에는 연결축(17)을 삽입하기 위한 연결홀(105)이 마련되어 있다. 연결홀(105)의 단면은 원이어서는 안되며, 예를 들어 도시된 것처럼 십자형이나 다각형이어야 한다. 우선, 수동 도어락(10)의 기존썸턴(15)을 제거하여 오뚜기모양-홈(13)에이 개방되면, 연결축(17)의 일단은 수동 도어락(10)의 오뚜기모양-홈(13)에 끼우고, 타단은 전동 도어락 장치(100)에 끼운다. 연결홀(105)과 오뚜기모양-홈(13)이 모두 원형의 구멍이 아니므로, 연결축(17)은 전동 도어락 장치(100) 및 수동 도어락(10)과 일체로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전동 도어락 장치(100)와 수동 도어락(10) 어느 것도 단독으로 회전할 수 없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동 도어락 장치(100)는 본체(103)의 전면에 기존썸턴(15)을 대신하는 대체썸턴(101)이 있으며, 본체(103)에는 제1 썸턴 블록(110), 제2 썸턴 블록(130) 및 센서부(150)가 내장되고, 결합핀(171)과 지지부재가 결합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지지부재로 스프링(173)을 사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밖에도, 전동 도어락 장치(100)도, 종래의 전동 도어락처럼, 회전력을 만드는 모터(미도시)와, 모터의 회전력을 연결축(17)에 전달하는 기어계통(미도시)을 가지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필수적인 것이 아니므로 도시하지 않고 그 설명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대체썸턴(101)은 제1 썸턴 블록(110)에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대체썸턴(101)을 회전시키면 제1 썸턴 블록(110)도 동일하게 회전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전동 도어락 장치(100)가 수동 도어락(10)에 설치되면 제1 썸턴 블록(110)과 제2 썸턴 블록(130) 각각은 단독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되므로, 대체썸턴(101)의 회전력은 제1 썸턴 블록(110)을 통해 제2 썸턴 블록(130)으로 동일하게 전달된다.
제1 썸턴 블록(110)은 대체썸턴(101)의 회전에 따라 가상의 결합축(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지만, 결합축(x)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슬라이드 하지 않는다. 제1 썸턴 블록(110)의 일단은 대체썸턴(10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썸턴 블록(130)과 결합한다. 제1 썸턴 블록(110)은 결합핀(171)에 의해 상호 연결되기 전에는 제2 썸턴 블록(130)과 별개로 단독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썸턴 블록(130)과 결합하는 타단 부분은 제2 썸턴 블록(130)의 원형의 제1 수용홀(131)에 삽입되는 원기둥 형상이며, 결합축(x)을 따라 결합핀(171)이 삽입되는 결합홈(113)이 형성된다. 도 3에서처럼, 제1 썸턴 블록(110)은 외주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111)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홈(113)은 제2 썸턴 블록(130)의 관통홀(135)과 함께 결합핀(171)을 수용하는 핀홀(115)을 형성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결합홈(113)은 원기둥의 형상이 아니므로, 제1 썸턴 블록(110)이 결합홈(113)에 삽입된 결합핀(171)과 독립되어 단독으로 회전할 수 없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결합홈(113)이 정사각형의 단면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육각형의 단면을 가진 결합홈(113)도 가능하다. 결합홈(113)의 단면은 관통홀(135)과 동일하거나, 관통홀(135) 내에 포함됨으로써, 연결홀(105)을 통해 삽입되는 결합핀(171)이 관통홀(135)과 결합홈(113)에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 족하다.
제2 썸턴 블록(130)은 제1 썸턴 블록(110)과 동일한 결합축(x) 상에 배치되어, 일단은 제1 썸턴 블록(110)과 결합하고 타단은 연결축(17)과 결합한다. 제2 썸턴 블록(130)에는 모터(미도시)에 연동하는 기어 조합(미도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2 썸턴 블록(130)은 모터의 회전에 따라 일정 회전구간을 회전하게 되고, 연결축(17)이 동일하게 회전한다. 연결축(17)의 회전에 따라, 수동 도어락(10)은 데드볼트(11)를 움직인다.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2 썸턴 블록(130)에는 센서부(150)가 마련된다. 예컨대, 센서부(150)는 제2 썸턴 블록(130)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자석(151)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자석(151)을 감지하는 홀 센서(Hall Sensor)(153)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제2 썸턴 블록(130)의 일단에는 결합축(x)을 따라 제1 썸턴 블록(110)을 수용하기 위한 원형의 제1 수용홀(131)이 형성된다. 만약,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썸턴 블록(110)에 가이드(111)가 있으면, 직경이 더 큰 제2 수용홀(133)이 제1 수용홀(131)과 함께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홀(131)의 중심에는 가상의 결합축(x)을 중심선으로 가지는 관통홀(135)이 형성된다. 관통홀(135)의 일단은 결합홈(113)과 접하고 타단은 연결홀(105)과 접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관통홀(135)은 원형이 아닌 단면을 가짐으로써, 결합핀(171)이 관통홀(135)에 삽입된 후에는 제2 썸턴 블록(130)이 결합핀(171)과 독립되어 단독으로 회전할 수 없어야 한다. 또한, 관통홀(135)은 적어도 결합홈(113)과 동일한 모양의 단면을 가지거나 결합홈(113)의 단면을 포함하는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5에는 결합홈(113)과 동일한 정사각형 단면을 가진 관통홀(135)이 형성된 예를 보인다.
결합핀(171)은 결합홈(113)과 관통홀(135)이 형성하는 핀홀(115)에 내접하는 형태로 삽입되기 때문에, 핀홀(115)의 모양이 결합핀(171)의 모양이 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처럼 결합핀(171)은 핀홀(115)의 모양을 따라 사각기둥 형상이다. 결합핀(171)은 핀홀(115)에 삽입되었을 때에 결합홈(113)과 관통홀(135)에 동시에 걸쳐질 수 있는 정도의 길이가 되어야 한다. 제1 썸턴 블록(110)과 제2 썸턴 블록(130) 각각은 단독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되지만, 결합핀(171)이 결합홈(113)과 관통홀(135)이 형성하는 핀홀(115)에 삽입된 후에는 단독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때, 결합핀(171)이 삽입되어 제1 썸턴 블록(110)과 제2 썸턴 블록(130)이 결합되기 위해서는 결합홈(113)의 입구와 관통홀(135)의 입구가 맞추어진 하나의 핀홀(115)을 형성해야 한다. 만약, 핀홀(115)의 단면이 정사각형이면, 제1 썸턴 블록(110)과 제2 썸턴 블록(130)은 4개의 상대 회전각(0°, 90°, 180°, 270°)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대 회전각은 특정 기능의 선택 가능한 항목에 대응될 수 있다. 만약, 제2 썸턴 블록(130)을 고정한 상태에서 대체썸턴(101)으로 제1 썸턴 블록(110)을 회전시켜 기능을 설정하되, 대체썸턴(101)의 회전각을 최대 90°로 제한한다고 할 경우, 90° 차이가 나는 2개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좌수 또는 우수를 설정한다고 할 경우, 제2 썸턴 블록(130)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썸턴 블록(110)을 90°만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좌수 또는 우수를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기능 설정을 위해, 제2 썸턴 블록(130)을 고정한 상태에서 대체썸턴(101)으로 제1 썸턴 블록(110)을 회전시키는 경우 이외에도, 제1 썸턴 블록(110)을 고정한 상태에서 연결홀(105)을 통해 삽입한 별도의 도구로 제2 썸턴 블록(130)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때 도구의 끝단은 관통홀(135)에 내접하는 형상이어야 한다.
결합핀(171)이 핀홀(115)에 삽입하여 기능 설정을 완료한 다음에, 지지부재 즉 스프링(173)이 연결홀(105)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핀(171)을 지지한다. 연결축(17)이 연결홀(105)에 삽입되는 길이가 문(30)의 두께 또는 수동 도어락(10)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전동 도어락 장치(100)를 수동 도어락(10)에 설치를 완료한 후에도 핀홀(115)에 삽입된 결합핀(171)과 연결축(17) 사이에 간격이 생길 수 있다. 이처럼 결합핀(171)과 연결축(17) 사이가 벌어짐에 따라 결합핀(171)이 핀홀(115)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재가 끼워진다. 도 3에는 지지부재로 스프링(173)을 사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스프링(173)을 대신하는 스페이서(Spacer) 등을 지지부재로 사용할 수 있다.
스프링(173)을 사용하는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핀(171)에는 스프링(173)의 일단이 삽입되기 위한 스프링-홈(171a)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스프링-홈(171a)의 내면에 암나사가 가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정을 다시 변경할 필요가 있어서 핀홀(115)에 삽입된 결합핀(171)을 다시 빼내려고 할 때,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도구를 스프링-홈(171a)에 나사 결합하여 결합핀(171)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기능 설정방법
이하에서는 기능 설정의 한 예로서, 도 6을 참조하여 좌우수 설정방법을 설명한다. 핀홀(115)의 단면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형이고, 좌수와 우수 설정은 제1 썸턴 블록(110)과 제2 썸턴 블록(130)의 상대 회전각이 각각 0°와 90°로 결합된 상태에 대응된다.
센서부(150)의 홀 센서(153)는 데드볼트(11)데드볼트(11)어를 위해 90°만큼 이격된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제2 썸턴 블록(130)의 회전을 인식하도록 구성되었다고 가정한다. 출입문(30)은 좌수형이라고 가정한다.
<설정의 확인: S601>
결합핀(171)이 핀홀(115)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 설치자가 전동 도어락 장치(100)의 현재 좌우수 설정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단면이 사각형인 공구를 관통홀(135)과 결합홈(113)에 삽입한 상태에서 대체썸턴(101)을 조작해 봄으로써 전동 도어락 장치(100)의 현재 좌우수 설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전동 도어락 장치(100)의 현재 설정이 현재 출입문의 좌우수 상태와 일치하면 그대로 조립하면 된다.
<설정의 변경: S603, S605>
전동 도어락 장치(100)의 현재 설정이 현재 출입문 상태와 일치하지 않으면 설정을 변경해야 한다(S603).
결합핀(171)이 결합하기 전이므로, 제1 썸턴 블록(110)과 제2 썸턴 블록(130) 각각은 단독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설정 변경을 위해, 제2 썸턴 블록(130)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설치자가 대체썸턴(101)을 90°만큼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대체썸턴(101)의 회전을 통해 제1 썸턴 블록(110)이 90°만큼 회전하여 다시 핀홀(115)을 맞춤으로써 전동 도어락 장치(100)의 동작이 우수로 전환된다. 도 4의 (a)와 같은 상태가 된다(S605).
<설정상태의 고정: S607~ S611>
결합홈(113)의 입구와 관통홀(135)의 입구가 맞추어져 핀홀(115)이 형성되면, 설치자는 도 4의 (b)에서처럼 결합핀(171)을 본체(103)의 후면에 개방되어 있는 연결홀(105)을 통해 핀홀(115)에 삽입한다. 결합핀(171)이 핀홀(115)에 삽입되면, 제1 썸턴 블록(110)과 제2 썸턴 블록(130)을 이용한 설정변경이 고정된다. 결합핀(171)이 핀홀(115)에 삽입된 이후에는 제1 썸턴 블록(110)과 제2 썸턴 블록(130) 각각은 단독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S607).
이후에, 도 4의 (b)에서처럼, 스프링(173)을 결합핀(171)의 스프링-홈(171a)에 삽입하고(S609), 연결축(17)의 일단을 연결홀(105)에 삽입함으로써 기존썸턴(15)이 제거된 수동 도어락(10)과 결합한다(S611).
실시 예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동 도어락 장치(100)는 스프링(173)의 중심에 끼워져 스프링(173)의 압축을 가이드하고 지지하는 스프링 홀더(7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스프링 홀더(710)는 스프링(173)에 끼워지는 기둥 형상(예컨대 원기둥)의 몸체(711)와, 몸체(711)에 일측에 마련되어 스프링(173)을 걸어 몸체(711)에 고정하는 돌기(713, 또는 후크)와, 몸체(711)의 일단에 마련되어 스프링(173)의 이탈을 방지하는 헤더(715)를 구비한다. 몸체(711)의 길이는 스프링(173)이 최대 압축된 상태의 길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S607 단계에서 스프링(173)을 결합핀(171)의 스프링-홈(171a)에 삽입하기 전에, 스프링(173)을 스프링 홀더(710)의 몸체(711)에 결합하고 돌기(713)와 헤드(715) 사이에 끼워 고정한다. 이후에 스프링 홀더(710)에 결합된 상태의 스프링(173)을 결합핀(171)의 스프링-홈(171a)에 삽입하는 것이다.
스프링 홀더(710)는 스프링(173)의 압축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정상 압축을 방지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조립된 상태에서 결합핀(171)과 연결부재(17) 사이의 이격 거리는 문의 두께나 수동 도어락 장치(10)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프링(173)의 길이는 결합핀(171)과 연결부재(17)가 이격되는 것을 고려하여 충분히 길어야 한다. 이때 스프링(173)의 종횡비(직경 대비 길이)가 일정한 배수 이상으로 커지면 스프링(173)이 압축 과정에서 정상적으로 압축되지 않을 수 있다. 스프링 홀더(710)는 스프링(173)에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173)을 지지함으로써 스프링(173)의 압축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프링 홀더(710)는 설치과정에서 스프링(173)의 분실을 방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수동 도어락 11: 데드볼트
17: 연결축 30: 문
100: 전동 도어락 장치 101: 대체썸턴
103: 본체 105: 연결홀
110: 제1 썸턴 블록 111: 가이드
113: 결합홈 115: 핀홀
130: 제2 썸턴 블록 131: 제1 수용홀
133: 제2 수용홀 135: 관통홀
150: 센서부 151: 자석
153: 홀센서 171: 결합핀
173: 스프링 710: 스프링 홀더
711: 몸체(스프링 홀더) 713: 돌기(스프링 홀더)
715: 헤드(스프링 홀더)

Claims (6)

  1. 문에 기설치된 수동식 도어락과 연결축으로 결합하는 전동 도어락 장치로서,
    대체썸턴에 연결되고 결합홈이 형성된 제1 썸턴 블록;
    일단이 결합축 상에서 상기 제1 썸턴 블록과 독립되어 단독으로 회전할 수 있는 형태로 결합하고 타단에 상기 연결축이 삽입되는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홈과 연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2 썸턴 블록; 및
    상기 연결홀을 통해 상기 결합홈과 관통홀이 형성하는 핀홀에 삽입되거나 탈착되며, 상기 핀홀에 삽입되면 상기 제1 썸턴 블록과 제2 썸턴 블록을 단독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연결하는 결합핀;
    상기 결합핀이 삽입된 후에 상기 연결홀을 통해 상기 결합핀에 형성된 스프링-홈에 일단이 수용되어, 상기 결합핀과 연결축 사이에서 상기 결합핀이 상기 결합홈과 관통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중심에 끼워져 상기 스프링의 압축을 가이드하는 스프링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홀더는,
    상기 스프링의 중심이 끼워지는 기둥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의 일 측을 상기 몸체에 고정하는 돌기; 및
    상기 몸체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스프링이 상기 몸체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헤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도어락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전동 도어락 장치의 기능 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이 상기 핀홀에서 탈착된 상태에서, 상기 대체썸턴을 회전하여 상기 제1 썸턴 블록을 제2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기능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기능을 변경하는 단계 후에 상기 결합핀을 상기 연결홀을 통해 상기 핀홀에 삽입하여 상기 설정 변경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 변경을 고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스프링을 상기 스프링 홀더의 몸체를 끼우고 돌기와 헤드 사이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스프링을 스프링 홀더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프링 홀더에 고정한 스프링을 상기 연결홀을 통해 상기 결합핀의 스프링-홈에 삽입한 다음, 상기 연결축을 상기 연결홀에 끼워 상기 수동식 도어락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도어락 장치의 기능 설정방법.
  6. 삭제
KR1020180043238A 2018-04-13 2018-04-13 수동식 도어락에 부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전동 도어락 장치 및 그 전동 도어락 장치의 기능 설정방법 KR101958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238A KR101958461B1 (ko) 2018-04-13 2018-04-13 수동식 도어락에 부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전동 도어락 장치 및 그 전동 도어락 장치의 기능 설정방법
JP2018092995A JP6607998B2 (ja) 2018-04-13 2018-05-14 手動錠に取り付けてドアを開閉する電動錠装置及びその電動錠装置の機能設定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238A KR101958461B1 (ko) 2018-04-13 2018-04-13 수동식 도어락에 부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전동 도어락 장치 및 그 전동 도어락 장치의 기능 설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461B1 true KR101958461B1 (ko) 2019-03-14

Family

ID=65759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238A KR101958461B1 (ko) 2018-04-13 2018-04-13 수동식 도어락에 부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전동 도어락 장치 및 그 전동 도어락 장치의 기능 설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607998B2 (ko)
KR (1) KR1019584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4394B (zh) * 2020-12-09 2023-10-13 北方信息控制研究院集团有限公司 光电转台的柔性锁定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3485A (ja) * 2005-02-23 2006-09-07 Miwa Lock Co Ltd 扉用錠前
JP2013209856A (ja) * 2012-03-30 2013-10-10 Miwa Lock Co Ltd 錠装置及び錠装置の機能設定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3485A (ja) * 2005-02-23 2006-09-07 Miwa Lock Co Ltd 扉用錠前
JP2013209856A (ja) * 2012-03-30 2013-10-10 Miwa Lock Co Ltd 錠装置及び錠装置の機能設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07998B2 (ja) 2019-11-20
JP2019183606A (ja)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7127B1 (en) Electric door lock
KR100989001B1 (ko) 도어 실린더락
US6471257B1 (en) Electric door lock
KR102371873B1 (ko) 래치볼트와 데드볼트 사이의 간격 조정이 가능한 직접 구동식 연동형 록
PT1574643E (pt) Cilindro de fecho electromecânico
US20030071471A1 (en) Electric door lock
WO1998002630A1 (en) Lockset with motorized system for locking and unlocking
US20160153213A1 (en) Lock Device with a Electric Locking Function
KR20050047100A (ko) 안전 교실 기능의 잠금 기구
KR102042596B1 (ko) 방화도어용 도어록
TW200427915A (en) Electric cylinder for actuating a door lock and a cylinder door lock
EP2599943B1 (en) Electronic door lock device for connecting clutch easily
US6708538B1 (en) Doorknob lock apparatus operable by combination or key
CN212529919U (zh) 锁紧机构及具有其的车辆
KR101958461B1 (ko) 수동식 도어락에 부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전동 도어락 장치 및 그 전동 도어락 장치의 기능 설정방법
KR101977369B1 (ko) 도어 안전 잠금장치
CA2733454A1 (en) Shutter with removable louvres
CN109138638B (zh) 锁具及钥匙系统
WO1998016706A1 (en) Adjustable lock assembly
US20140157843A1 (en) Door lock assembly with re-keyable rotor
CA2678805A1 (en) Lock device
KR200456973Y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JP2018513930A (ja) ロック体
KR20160067896A (ko) 직선 운동과 회전 운동의 변환 기구
EP1476619B1 (en) Spring latch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