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138B1 -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자전거의 스탬 - Google Patents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자전거의 스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138B1
KR101958138B1 KR1020180010295A KR20180010295A KR101958138B1 KR 101958138 B1 KR101958138 B1 KR 101958138B1 KR 1020180010295 A KR1020180010295 A KR 1020180010295A KR 20180010295 A KR20180010295 A KR 20180010295A KR 101958138 B1 KR101958138 B1 KR 101958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tem
bicycle
pieces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주
배재용
김진환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0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자전거의 스탬에 관한 것으로, 헤드파이프(121), 포크(122), 주파이프(123), 다운파이프(124), 받침파이프(125), 체인지지대(126)가 결합되어 형성된 파이프 몸체(120)와; 상기 포크(122)에 결합된 앞바퀴(130)와; 상기 체인지지대(126)에 결합된 뒷바퀴(140)와; 상기 포크(122)에 결합되며 앞바퀴(130)를 멈추는데 사용되는 앞 브레이크와; 상기 체인지지대(126)에 결합되며 뒷바퀴(140)를 멈추는데 사용되는 뒤 브레이크와; 상기 헤드파이프(121)에 결합되는 스탬(110)과; 상기 스탬(110)에 결합되며 쉬프터(151) 및 브레이크 레버가 구비된 핸들바(150)와; 상기 핸들바(150)에서 앞 브레이크와 뒤 브레이크에 각각 연결된 브레이크 케이블과; 상기 받침파이프(125)에 삽입되어 돌출되되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 안장기둥(160)과; 상기 안장기둥(160)에 결합되는 안장(170); 으로 이루어지는 자전거(100)는 스탬(110)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자전거의 헤드파이프와 핸들바 사이에 결합되는 스탬은 핸들바 결합부와 헤드파이프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자전거의 스탬 { Stem of a bicycle that is easy to combine and separate }
본 발명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자전거의 스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헤드파이프와 핸들바 사이의 스탬을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자전거의 스탬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056948호의 자전거용 조명 모듈에 있어서, 자전거용 조명 모듈에 있어서, 전면에 전면 조명부와 전면 양측에 전면 방향 지시부 및 테두리 부에 가이드 조명부가 구비되며 후면에 디스플레이부와 전원버튼이 구비되고 후면 하측에 자전거 핸들바 중앙에 결합하는 브라켓이 구비되며, 양 측면에 측면 방향 지시부가 구비되는 모듈 프레임;과 버튼전지가 내장되어 핸들바 양측 중 한 곳에 탈착되는 방향 지시 스위치;와 버튼전지가 내장되어 포크에 결합하는 송신부;와 스포크에 결합하는 자석;과 상기의 모듈 프레임에 내장되어 상기의 전면 조명부를 점멸하며, 상기의 방향 지시 스위치에서 발생하는 펄스 전파를 통하여 전면 방향 지시부와 측면 방향 지시부를 각각 선택적으로 점멸하며, 상기의 송신부에서 발생하는 펄스 전파를 통하여 상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자전거의 속도를 표시하는 메인PCB; 및 상기의 모듈 프레임에 내장되는 2차 전지와 상기의 모듈 프레임 상측에 충전단자가 구비되는 전원 공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조명 모듈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096429호의 핸드폰을 이용한 자전거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자전거 보관대; 상기 자전거 보관대의 전방부에 장착되며, 제어신호에 의해 락 또는 언락 동작되는 락장치; 각각의 상기 락장치에 마련되며, 무선통신을 통해 쌍방향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무선통신모듈과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는 라우터; 공중망에 연결되며, 상기 라우터와 무선통신을 행하는 서버; 상기 서버와 연동되는 핸드폰 앱;을 포함하여 핸드폰 앱을 이용하여 상기 락장치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자전거제어시스템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탬은 기존의 자전거에 스탬이 별도의 가공없이 장착 및 분리되지 못하며, 상기 스탬에 의해 디바이스에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자전거의 헤드파이프와 핸들바 사이에 결합되는 스탬은 핸들바 결합부와 헤드파이프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자전거의 스탬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자전거의 스탬에 관한 것으로, 헤드파이프(121), 포크(122), 주파이프(123), 다운파이프(124), 받침파이프(125), 체인지지대(126)가 결합되어 형성된 파이프 몸체(120)와; 상기 포크(122)에 결합된 앞바퀴(130)와; 상기 체인지지대(126)에 결합된 뒷바퀴(140)와; 상기 포크(122)에 결합되며 앞바퀴(130)를 멈추는데 사용되는 앞 브레이크와; 상기 체인지지대(126)에 결합되며 뒷바퀴(140)를 멈추는데 사용되는 뒤 브레이크와; 상기 헤드파이프(121)에 결합되는 스탬(110)과; 상기 스탬(110)에 결합되며 쉬프터(151) 및 브레이크 레버가 구비된 핸들바(150)와; 상기 핸들바(150)에서 앞 브레이크와 뒤 브레이크에 각각 연결된 브레이크 케이블과; 상기 받침파이프(125)에 삽입되어 돌출되되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 안장기둥(160)과; 상기 안장기둥(160)에 결합되는 안장(170); 으로 이루어지는 자전거(100)는 스탬(110)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전거의 헤드파이프와 핸들바 사이에 결합되는 스탬은 핸들바 결합부와 헤드파이프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디바이스를 이용한 자전거 통합관리 방법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디바이스를 이용한 자전거 통합관리 방법의 스탬의 실시예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 디바이스를 이용한 자전거 통합관리 방법의 각종 등을 제공하며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자전거 통합관리 방법의 파지법 대응되는 핸들바의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센서정보를 통해 트레이닝 데이터를 수신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응급상황에 대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난방지모드에 대한 개념도
도 8 내지 10은 브레이크 잠금장치에 대한 개념도
본 발명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자전거의 스탬에 관한 것으로, 헤드파이프(121), 포크(122), 주파이프(123), 다운파이프(124), 받침파이프(125), 체인지지대(126)가 결합되어 형성된 파이프 몸체(120)와; 상기 포크(122)에 결합된 앞바퀴(130)와; 상기 체인지지대(126)에 결합된 뒷바퀴(140)와; 상기 포크(122)에 결합되며 앞바퀴(130)를 멈추는데 사용되는 앞 브레이크와; 상기 체인지지대(126)에 결합되며 뒷바퀴(140)를 멈추는데 사용되는 뒤 브레이크와; 상기 헤드파이프(121)에 결합되는 스탬(110)과; 상기 스탬(110)에 결합되며 쉬프터(151) 및 브레이크 레버가 구비된 핸들바(150)와; 상기 핸들바(150)에서 앞 브레이크와 뒤 브레이크에 각각 연결된 브레이크 케이블과; 상기 받침파이프(125)에 삽입되어 돌출되되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 안장기둥(160)과; 상기 안장기둥(160)에 결합되는 안장(170); 으로 이루어지는 자전거(100)는 스탬(110)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탬(110)은 하드웨어 등의 부품이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스탬몸체(111)와, 핸들바에 결합되는 핸들바 결합부(112)와, 파이프 몸체의 헤드파이프의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파이프 결합부(1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디바이스를 이용한 자전거 통합관리 방법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디바이스를 이용한 자전거 통합관리 방법의 스탬의 실시예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 디바이스를 이용한 자전거 통합관리 방법의 각종 등을 제공하며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디바이스를 이용한 자전거 통합관리 방법의 파지법 대응되는 핸들바의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센서정보를 통해 트레이닝 데이터를 수신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응급상황에 대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난방지모드에 대한 개념도, 도 8 내지 10은 브레이크 잠금장치에 대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본 발명은 디바이스를 이용한 자전거 통합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바이스(300)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디바이스(300)와 자전거(100)에는 각각 통신모듈이 구비되되, 각각의 통신모듈을 통해 자전거의 제어부와 디바이스의 제어부가 서로 통신을 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길안내, 자전거의 주행데이터, 및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통신모듈은 블루투스모듈 또는 와이파이모듈을 사용하는 무선통신모듈을 사용하거나, 또는 디바이스에 결합되는 디바이스 전력공급부의 데이터도 송수신할 수 있는 입출력장치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자전거와 디바이스는 서로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길안내는 원하는 장소에 도달할 때까지, 자전거의 이동이 편한길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안내해주는 것이다.
상기 커뮤니티는 다수의 대상이 하나의 커뮤니티에 접속하여, 같이 달리는 대상의 경로이탈, 멈춤, 거리멀어짐 등의 이상감지 상황을 알려주는 것으로, 함께 달리는 사람들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달받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자전거의 헤드파이프와 핸들바 사이에 위치하는 스탬(110)은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자전거는 헤드파이프(121), 포크(122), 주파이프(123), 다운파이프(124), 받침파이프(125), 체인지지대(126)가 결합되어 형성된 파이프 몸체(120)와; 상기 포크(122)에 결합된 앞바퀴(130)와; 상기 체인지지대(126)에 결합된 뒷바퀴(140)와; 상기 포크(122)에 결합되며 앞바퀴(130)를 멈추는데 사용되는 앞 브레이크와; 상기 체인지지대(126)에 결합되며 뒷바퀴(140)를 멈추는데 사용되는 뒤 브레이크와; 상기 헤드파이프(121)에 결합되는 스탬(110)과; 상기 스탬(110)에 결합되며 쉬프터(151) 및 브레이크 레버가 구비된 핸들바(150)와; 상기 핸들바(150)에서 앞 브레이크와 뒤 브레이크에 각각 연결된 브레이크 케이블과; 상기 받침파이프(125)에 삽입되어 돌출되되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 안장기둥(160)과; 상기 안장기둥(160)에 결합되는 안장(170); 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탬(110)은 하드웨어 등의 부품이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스탬몸체(111)와, 핸들바에 결합되는 핸들바 결합부(112)와, 파이프 몸체의 헤드파이프의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파이프 결합부(11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스탬의 전방에는 핸들바 결합부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헤드파이프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스탬의 전방에 결합되는 핸들바는 핸들바 결합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고, 스탬의 후방에 결합되는 헤드파이프는 헤드파이프 결합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핸들바 결합부(112)는 스탬몸체(111)의 전방끝단에서 좌, 우측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원호형상의 좌, 우측지지편(112-1, 112-2)과, 상기 좌, 우측지지편에 각각 결합되는 원호형상의 좌, 우측결합편(112-3, 11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 우측지지편과 좌, 우측결합편이 서로 결합되면 구멍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는 핸들바가 삽입된다. 이에, 상기 핸들바 결합부에 핸들바가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좌, 우측지지편의 양단에는 나사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좌, 우측결합편의 양단에도 나사결합구멍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좌, 우측지지편과 좌, 우측결합편은 각각의 나사결합구멍을 일치 시킨 후, 나사결합구멍에 볼트를 삽입하고 볼트의 끝단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헤드파이프 결합부(113)는 스탬몸체(111)의 후방끝단에서 상, 하부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상, 하부지지편(113-1, 113-2)과, 상기 상, 하부지지편에 각각 결합되는 원호형상의 상, 하부결합편(113-3, 11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 하부지지편과 상, 하부결합편이 서로 결합되면 구멍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는 헤드파이프가 삽입된다. 이에, 상기 헤드파이프 결합부에 헤드파이프가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 하부지지편의 양단에는 나사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 하부결합편의 양단에도 나사결합구멍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상, 하부지지편과 상, 하부결합편은 각각의 나사결합구멍을 일치 시킨 후, 나사결합구멍에 볼트를 삽입하고 볼트의 끝단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탬(110)에는 제어부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부와,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며, 상기 자전거에는 센서 및 버튼이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는 자전거에 설치된 센서 및 버튼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저장부는 주행기록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16GB 이상의 micro SD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배터리는 일체형 배터리 또는 장착형 배터리인 것이다.
상기 일체형 배터리는 실사용시간 10시간 이상, 충전전압 5V, 충전전류 1A이상 2A이하, 출력전압 5V 또는 12V, 출력전류 2A, 입출력장치로 USB Micro 5Pin, 충전 및 방전 반복 2000회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장착형 배터리는 실사용시간 6시간 이상, 충전전압 5V, 충전전류 1A, 출력전압 5V, 출력전류 1A, 입출력장치로 USB Micro 5Pin, 충전 및 방전 반복 2000회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스탬(110)에는 장착형 배터리를 삽입할 수 있는 배터리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삽입구 내부에는 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삽입구에 장착형 배터리를 삽입하면, 배터리의 단자와 스탬(110)의 단자가 접촉하여 장착형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장착형 배터리를 간단히 교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착형 배터리의 실시예로서, 장착형 배터리는 내부에 건전지가 삽입된 것이며, 상기 건전지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센서는 케이던스센서 및 속도센서인 것인 것으로, 상기 케이던스센서는 1분당 페달을 밟는 횟수를 측정하기 위해 페달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속도센서는 자전거 중에서 앞바퀴 또는 뒷바퀴의 바퀴살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튼은 핸들바에 구비되어 제어부에 원하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이며, 상기 버튼은 브레이크레버와 회전조절부인 것으로, 상기 회전조절부는 변속레버처럼 회전방식을 사용하여 다수 개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되, 회전에 따라 기능이 달라지는 것이다.
상기 스탬(110)에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를 제어하여, 자전거의 탑승자에게 화면 및 소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되는 화면에는 현재주행속도, 이동한주행거리, 남은 이동가능주행거리 등의 주행중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스탬(110)에는 전조등이, 상기 안장기둥 상단에 형성되는 안장레인에는 후미등, 브레이크등, 및 방향지시등이 더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각각의 등으로 다른 대상에게 정보를 알려줄 수 있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안장레일에 후미등, 브레이크등, 및 방향지시등이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안장레인의 안장후단에는 후미등, 브레이크등, 및 방향지시등이 포함된 후방등 출력장치가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후방등 출력장치를 통해 후미등, 브레이크등, 및 방향지시등의 역할을 모두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조등을 통해 전방의 어둠을 밝혀주는 등(lamp)이며, 상기 후미등은 뒤에서 오는 대상이 확인할 수 있도록 알리는 등(lamp)이며, 상기 브레이크등은 브레이크를 할 시 뒤에서 오는 대상이 브레이크를 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알리는 등(lamp)이며, 상기 방향지시등은 이후에 어느 방향으로 이동할 것인지 뒤에서 오는 대상에게 미리 알려주는 등(lamp)인 것이다.
상기 스탬(110)에는 디바이스(300)를 거치하는 디바이스 거치부와, 디바이스(300)에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하는 디바이스 전력공급부가 더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디바이스 거치부는 상부와, 전방이 개구된 박스 형상으로, 하판과, 상기 하판의 좌,우측에서 상부로 돌출된 좌,우측판과, 상기 하판의 하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후판으로 이루어지되, 좌,우측판과 후판은 서로 연결되어 '
Figure 112018009575818-pat00001
'형상이 되고, 상기 좌,우측판과 후판의 전방에는 내부 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돌출부가 이루어진다.
상기 디바이스(300)는 디바이스 거치부의 상부에서 하판 방향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하면, 돌출부에 의해 디바이스(300)가 전방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디바이스 거치부의 하면에는 디바이스 전력공급부가 형성되거나, 또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홀에 디바이스 전력공급부가 삽입되어 디바이스(300)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디바이스 전력공급부를 디바이스 거치부에 거치된 디바이스(300)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 전력공급부는 디바이스(300)에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HUD, LCD, LED, 또는 OLED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LED를 사용하는 경우, 다수 개의 LED를 스탬(110)에 일정간격씩 이격되게 배치시키고, 제어부는 각각의 LED를 제어하는 것이며, 각각의 LED는 별도로 제어되면서 사용자에게 어떠한 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려주는 역활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대신하여 빔프로젝터를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빔프로젝트를 통해 화면을 출력하여 보여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에는 조도센서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조도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주변조도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주변조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밝기가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달라짐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고 어두울 때는 밝기가 줄어듦에 따라 탑승자의 전방시야에 방해가 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최저밝기를 0, 최대밝기를 100으로 하고, 상기 조도센서는 CDS센서를 사용하여 주변조도를 판단하되, 상기 조도센서에서 획득하는 저항은 0~1024Ω으로 입력되며, 저항값을 이용하여 주변조도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초기에 조도감응 값을 설정하되, 주변조도 값과, [조도감응 값인 a = 100 / 특정된 주변조도값인 Y] 을 이용하여 조도감응 값인 a를 계산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들면, 주변조도 값이 900으로 측정된 경우, [a = 100/900 = 약 0.11] 로 계산된다.
그리고 주변감응 값이 설정되면, 현재 주변조도 값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결정하는 것으로, 현재 주변조도 값과, [조도감응 값인 a * 주변조도 값인 Y = 디스플레이 밝기 ] 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밝기를 변경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 밝기가 최대밝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최대밝기로 하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크기가 조절될 시, 디스플레이부의 크기에 따라 적용이 되는 최대 해상도가 변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스탬(110)에 디스플레이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스탬(110)의 크기가 조절될 필요가 있으며,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의 크기는 필요한 해상도를 기준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크기는, 해상도가 최대 가로 240 pixel * 세로 320 pixel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스탬(110)은 내부에 내장된 하드웨어에 손상을 방지하도록 내부로 공기가 통하는 틈에 고무 등으로 패킹하거나, 또는 CNC를 활용한 제조방식에 따라 틈을 최소화하여, 방습과 방진이 되는 것이며, 방진방습등급은 IP55이상이 되는 것이다.
상기 스탬(110)은 알류미늄 합금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방열판이 설치되어, 상기 방열판이 흡수한 내부열을 알류미늄 합금 재질인 스탬(110)으로 전달되고, 상기 스탬(110)에서 외부로 열을 전달하는 것으로, -20℃~45℃ 범위가 되도록 전력소비 없이 온도조절을 하는 것이며, 방열판에 의해 내부온도가 감소됨에 따라 스탬(110) 내부에 설치된 하드웨어가 열에 의해 손상을 입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알류미늄 합금 재질은 알류미늄, 마그네슘, 및 실리콘의 합금인 6000계열, 또는 알류미늄, 아연, 및 마그네슘의 합금인 7000계열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핸들바에는 쉬프터와 브레이크 레버가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로부터 입출력장치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되, 상기 입출력장치는 음극에 연결된 선과 양극에 연결된 선, 즉 2가닥의 선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입출력장치는 전력공급과 데이터수집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것이며, 커넥터로 2.5파이 3극 커넥터를 사용하며, Power 출력으로 5V 또는 12V를 사용하며, I/O 종류로 5 PowerOnly & PowerData이거나 12 PowerOnly를 추가한 것을 사용하며, PowerOnly I/O 갯수로 6개 이상을 사용하며, PowerData I/O 갯수로 4개 이상을 사용하며, 방진방습을 고려하여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마개를 사용한다.
상기 본 발명은 트레이닝을 위한 기능이 되는 것으로, 상기 자전거에는 센서가 설치되어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되, 상기 센서는 케이던스센서 및 속도센서인 것이며, 상기 제어부는 센서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통해 케이던스(cadence) 및 가속도를 포함하는 트레이닝 데이터를 판단한 후,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한다.
그리고 스마트워치를 통해서 심박수, 혈중산소포화도, 혈압을 포함하는 인바디 데이터를 측정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자전거의 무선통신부에 신호로 보내면, 인바디 정보가 제어부에 전달되되, 상기 제어부는 인바디 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취합하여 정보로 변환한 후 디스플레이부에 보여주거나, 디바이스에 트레이닝 데이터 및 인바디 데이터를 전달하여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취합하여, 정보로써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디바이스에는 나이와 성별이 초기에 사용자에 의해 저장되며, 트레이닝 데이터와 인바디 데이터를 제공하되, 사용자의 나이와 성별에 맞는 최적화된 데이터를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디바이스는 수신한 트레이닝 데이터와 인바디 데이터를 통해, 응급상황 대처를 할 수 있는 것으로, 과도한 트레이닝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인바디 데이터를 통해 상태가 이상하다고 판단되면 디바이스를 통해 운동강도를 조절할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상태가 이상하다고 판단한 상태에서 일정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응급상황으로 판단하여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를 하는 것이다.
이때,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를 위해 디바이스는, 경고음 재생 및 인바디 데이터를 통한 적절한 응급대처 정보를 화면을 통해 주변의 사람들에게 제공하며, 디바이스에서 119 안전신고센터에 신고요청을 하며, 자전거에 무선통신으로 위급신호를 보내어, 상기 자전거의 각종 등을 조절하여 위급상황임을 주변의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이다.
한편, 상기 디바이스(30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전거의 도난방지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디바이스(3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도난방지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디바이스(300)는 자전거(100)의 제어부에 도난방지 신호를 보내게 되고, 상기 자전거(100)의 제어부는 브레이크 작동 대기상태로 하며, 상기 브레이크 작동 대기상태에서 도난방지모드가 되는 것이며, 반대로 브레이크 작동 대기상태에서 자전거가 이동중에 있으면, 도난방지모드가 되지 않고, 브레이크 작동 대기상태도 곧바로 해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난방지모드인 경우, 디바이스와 자전거의 제어부는 서로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무선통신을 확인하며, 서로간의 무선통신이 끊어지는 경우, 도난상황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은 WiFi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도난방지모드 중에, 도난상황으로 판단한 자전거(100)의 제어부는 등(lamp)과, 스피커를 제어하여 경고함으로써 주변에 도난경보를 하며, 도난상황으로 판단한 디바이스(300)에서는 도난경보를 하여 사용자에게 도난경보를 하는 것이며, 도난상황으로 판단되는 중에, 무선통신이 재연결되면 도난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을 변경하며, 도난경보를 멈추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난방지모드 중에, 상기 디바이스(300)로 도난방지모드의 설정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자전거(100)와 디바이스(300)는 멀어져도 경고를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도난방지모드가 작동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자전거의 브레이크 잠금장치(400)가 작동되고, 도난방지모드가 해제되면, 자전거의 브레이크 잠금장치(400)의 작동이 해제되는 것이다.
또한, 자전거의 앞바퀴 또는 뒷바퀴의 브레이크에는 스탬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브레이크 잠금장치(400)가 더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도난방지모드에서 제어부는 자전거 잠금장치를 제어하여 브레이크 잠금장치(400)에 의해 브레이크가 바퀴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며, 브레이크가 바퀴에 걸리게 됨에 따라 바퀴는 회전되지 못하므로, 도난 상황시, 도둑이 쉽게 가져가지 못하는 것이다.
상기 브레이크 잠금장치(400)는 몸체(410)와, 스테핑모터(421)에 의해 브레이크 케이블을 고정 해제하는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해제부(420)와, 브레이크 케이블의 일부분에 결합되어 브레이크 케이블을 고정하는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부(4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레이크 잠금장치(400)의 몸체(410)는 브레이크에 일단이 결합되며, 제어케이블 관통홀(411)과, 브레이크 케이블 관통홀(412)이 형성되되, 상기 제어케이블 관통홀(411)에는 제어부와 스테핑모터(421) 사이의 제어케이블이 통과하며, 상기 브레이크관통홀에는 핸들바와 브레이크를 연결하는 브레이크 케이블이 통과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해제부(420)와,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부(430)의 사이에는 칸막이(413)가 형성되되, 상기 칸막이(413)의 일부분에만 중앙 관통홀(414)이 형성되는 것이며,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부(43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하이동가이드 홈(415)이 형성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해제부(420)는 스테핑모터(421)와, 상기 스테핑모터(421)에 의해 회전되며 나선형으로 길게 홈이 형성된 스크류막대(422)와, 상기 스크류막대(422)와 평행하게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가이드막대(423)와, 상기 가이드막대(423)에 결합되되 일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돌출부가 스크류에 형성된 나선 모양의 홈에 삽입되며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상하이동부(424)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자전거의 스탬의 제어부와 스테핑모터(421)는 제어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어케이블을 통해 제어부가 스테핑모터(421)에 전원공급 및 제어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부(430)는 브레이크 케이블의 일부분에 결합되며 몸체(410)의 상하이동가이드 홈(415)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브레이크 케이블 결합부(431)와,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 결합부(431)의 일단에 토션스프링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하며 상부로 이동시 일부가 중앙 관통홀(414)에 삽입되어 걸쳐지는 고정용막대(433)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 결합부(431)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의 측면에는 나사가 삽입된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를 통해 브레이크 케이블의 일부분에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용막대(433)가 중앙 관통홀(414)에 걸쳐지기 위해, 상기 고정용막대(433)의 중앙 관통홀(414) 방향의 일면에는 걸침부(433-2)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용막대(433)의 끝단은 중앙 관통홀(414)에 삽입된 후, 상하이동부(424)에 닿을 수 있도록 돌출부(433-1)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돌출부(433-1)가 상하이동부(424)에 닿는 면은 반원 형상인 것이다.
상기 고정용막대(433)가 회동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 결합부(431)의 일단에는 측방향으로 힌지봉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막대(433)의 일단에는 좌우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힌지봉이 관통하며, 상기 힌지봉은 관통홀을 지나 더 돌출되되, 토션스프링이 감겨지는 것이며,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은 힌지봉에 결합되며, 타단은 고정용막대(433)에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용막대(433)가 회동되면, 토션스프링에 의해 원래대로 돌아가려고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고정용막대(433)와 브레이크 케이블 결합부(431)가 서로 각도가 120? 차이가 나도록 결합하되, 서로 90°가 되도록 하면, 30°의 차이에 의해서 토션스프링이 외부로 회전되려는 성질이 생기게 된다.
특히,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이 상부로 이동되면,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에 결합된 브레이크 케이블 결합부(431)도 상부로 이동되며, 고정용막대(433)가 토션스프링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고정용막대(433)의 일단이 상하이동가이드 홈(415)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주행상태에 따라, 고정용막대(433)가 삽입될 수 있는 상하이동가이드 홈(415)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제어부는 자전거가 이동중에 있으면,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해제부(420)의 상하이동부(424)가 중앙 관통홀(414)을 막는 상태가 되게 움직이도록 스테핑모터(421)를 제어하고, 반대로, 자전거가 멈추어 있으면,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해제부(420)의 상하이동부(424)가 중앙 관통홀(414)을 막지 않는 상태가 되게 움직이도록 스테핑모터(421)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브레이크 잠금장치(400)를 통해, 도난방지모드를 구현하는 것으로, 자전거가 멈추어 있을 때, 도난방지모드를 설정하면 중앙 관통홀(414)이 막히지 않게 되며, 브레이크 작동 대기상태가 되고, 브레이크 레버를 당기면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부(430)의 걸침부(433-2)가 중앙 관통홀(414)에 삽입되어 걸쳐지며, 브레이크가 된 상태가 브레이크 레버를 당기지 않아도 유지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브레이크가 되어 있는 자전거를 도둑이 가져가기 힘들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브레이크 작동 대기상태를 해제하면,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해제부(420)의 상하이동부(424)가 이동되어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부(430)의 돌출부(433-1)를 중앙 관통홀(414)의 밖으로 밀어내는 것으로, 브레이크가 해제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전거의 주인인 사용자는 자전거를 평소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자전거가 이동 중일 때, 도난방지모드를 설정하면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해제부(420)의 상하이동부(424)가 움직이지 않도록 제어부가 제어함에 따라 중앙 관통홀(414)이 막혀있는 상태가 유지되며, 브레이크 레버를 당겼다가 나두어도 도난방지모드가 설정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전거가 이동 중에는 도난방지모드가 설정되지 못하고, 평소대로 사용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디바이스를 이용한 자전거 통합관리 방법은 자전거의 헤드파이프와 핸들바 사이에 스탬을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이며, 상기 스탬에는 제어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자전거에 센서를 결합하여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며,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등의 출력장치에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스탬에 디바이스 거치부와 디바이스 전력공급부가 구비되어 디바이스를 거치 및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 자전거 110 : 스탬
111 : 스탬몸체 112 : 핸들바 결합부
112-1 : 좌측지지편 112-2 : 우측지지편
112-3 : 좌측결합편 112-4 : 우측결합편
113 : 헤드파이프 결합부
113-1 : 상부지지편 113-2 : 하부지지편
113-3 : 상부결합편 113-4 : 하부결합편
120 : 파이프 몸체 121 : 헤드파이프
122 : 포크 123 : 주파이프
124 : 다운파이프 125 : 받침파이프
126 : 체인지지대
130 : 앞바퀴 140 : 뒷바퀴
150 : 핸들바 151 : 쉬프터
160 : 안장기둥 170 : 안장
300 : 디바이스
400 : 브레이크 잠금장치 410 : 몸체
411 : 제어케이블 관통홀 412 : 브레이크 케이블 관통홀
413 : 칸막이 414 : 중앙 관통홀
415 : 상하이동가이드 홈 420 :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해제부
421 : 스테핑모터 422 : 스크류막대
423 : 가이드막대 424 : 상하이동부
430 : 브레이크 케이블 고정부 431 : 브레이크 케이블 결합부
433 : 고정용막대 433-1 : 돌출부
433-2 : 걸침부

Claims (2)

  1. 헤드파이프(121), 포크(122), 주파이프(123), 다운파이프(124), 받침파이프(125), 체인지지대(126)가 결합되어 형성된 파이프 몸체(120)와; 상기 포크(122)에 결합된 앞바퀴(130)와; 상기 체인지지대(126)에 결합된 뒷바퀴(140)와; 상기 포크(122)에 결합되며 앞바퀴(130)를 멈추는데 사용되는 앞 브레이크와; 상기 체인지지대(126)에 결합되며 뒷바퀴(140)를 멈추는데 사용되는 뒤 브레이크와; 상기 헤드파이프(121)에 결합되는 스탬(110)과; 상기 스탬(110)에 결합되며 쉬프터(151) 및 브레이크 레버가 구비된 핸들바(150)와; 상기 핸들바(150)에서 앞 브레이크와 뒤 브레이크에 각각 연결된 브레이크 케이블과; 상기 받침파이프(125)에 삽입되어 돌출되되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 안장기둥(160)과; 상기 안장기둥(160)에 결합되는 안장(170); 으로 이루어지는 자전거(100)는 스탬(110)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자전거의 스탬에 있어서,
    상기 스탬(110)은 하드웨어가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스탬몸체(111)와, 핸들바에 결합되는 핸들바 결합부(112)와, 파이프 몸체의 헤드파이프의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파이프 결합부(113)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탬(110)의 전방에는 핸들바 결합부(112)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헤드파이프 결합부(113)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스탬(110)의 전방에 결합되는 핸들바(150)는 핸들바 결합부(112)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고, 스탬의 후방에 결합되는 헤드파이프(121)는 헤드파이프 결합부(113)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핸들바 결합부(112)는 스탬몸체(111)의 전방끝단에서 좌, 우측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원호형상의 좌, 우측지지편(112-1, 112-2)과, 상기 좌, 우측지지편(112-1, 112-2)에 각각 결합되는 원호형상의 좌, 우측결합편(112-3, 112-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좌, 우측지지편(112-1, 112-2)과 좌, 우측결합편(112-3, 112-4)이 서로 결합되면 구멍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멍에는 핸들바(150)가 삽입됨으로, 상기 핸들바 결합부(112)에 핸들바(150)가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좌, 우측지지편(112-1, 112-2)의 양단에는 나사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좌, 우측결합편(112-3, 112-4)의 양단에도 나사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좌, 우측지지편(112-1, 112-2)과 좌, 우측결합편(112-3, 112-4)은 각각의 나사결합구멍을 일치 시킨 후, 나사결합구멍에 볼트를 삽입하고 볼트의 끝단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헤드파이프 결합부(113)는 스탬몸체(111)의 후방끝단에서 상, 하부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상, 하부지지편(113-1, 113-2)과, 상기 상, 하부지지편(113-1, 113-2)에 각각 결합되는 원호형상의 상, 하부결합편(113-3, 113-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상, 하부지지편(113-1, 113-2)과 상, 하부결합편(113-3, 113-4)이 서로 결합되면 구멍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멍에는 헤드파이프(121)가 삽입됨으로, 상기 헤드파이프 결합부(113)에 헤드파이프(121)가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상, 하부지지편(113-1, 113-2)의 양단에는 나사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 하부결합편(113-3, 113-4)의 양단에도 나사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상, 하부지지편(113-1, 113-2)과 상, 하부결합편(113-3, 113-4)은 각각의 나사결합구멍을 일치 시킨 후, 나사결합구멍에 볼트를 삽입하고 볼트의 끝단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스탬(110)에는 제어부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부와,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며, 상기 자전거에는 센서 및 버튼이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는 자전거에 설치된 센서 및 버튼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것이며,
    상기 스탬(110)에는 장착형 배터리를 삽입할 수 있는 배터리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삽입구 내부에는 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삽입구에 장착형 배터리를 삽입하면, 배터리의 단자와 스탬(110)의 단자가 접촉하여 장착형 배터리의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장착형 배터리를 교환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버튼은 핸들바에 구비되어 제어부에 원하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브레이크레버와 회전조절부인 것으로, 상기 회전조절부는 회전방식을 사용하여 다수 개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되, 회전에 따라 기능이 달라지는 것이며,
    상기 스탬(110)에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를 제어하여, 자전거의 탑승자에게 화면 및 소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자전거의 스탬
  2. 삭제
KR1020180010295A 2018-01-27 2018-01-27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자전거의 스탬 KR101958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295A KR101958138B1 (ko) 2018-01-27 2018-01-27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자전거의 스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295A KR101958138B1 (ko) 2018-01-27 2018-01-27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자전거의 스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138B1 true KR101958138B1 (ko) 2019-03-13

Family

ID=6576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295A KR101958138B1 (ko) 2018-01-27 2018-01-27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자전거의 스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1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243B1 (ko) * 2020-07-07 2020-11-04 주식회사 티오텍 자전거 보조핸들의 탈착이 용이한 자전거
KR102191512B1 (ko) * 2020-08-19 2020-12-15 주식회사 티오텍 보조핸들의 높이 조절 및 탈착이 용이한 자전거
KR20210132469A (ko) 2020-04-27 2021-11-04 윈엔윈(주) 기능성 핸들바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8192B1 (en) * 2001-03-26 2002-08-06 Pao-Liang Chen Adjustable front lamp for a bicycle
KR20090003149U (ko) * 2007-09-28 2009-04-01 참좋은레져 주식회사 속도계를 내장한 자전거용 핸들스템
US9457859B2 (en) * 2014-04-17 2016-10-04 Shimano Europe B.V. Bicycle top cap
US20170137081A1 (en) * 2015-11-13 2017-05-18 Yuan-Hung WEN Cable arranging system for bicy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8192B1 (en) * 2001-03-26 2002-08-06 Pao-Liang Chen Adjustable front lamp for a bicycle
KR20090003149U (ko) * 2007-09-28 2009-04-01 참좋은레져 주식회사 속도계를 내장한 자전거용 핸들스템
US9457859B2 (en) * 2014-04-17 2016-10-04 Shimano Europe B.V. Bicycle top cap
US20170137081A1 (en) * 2015-11-13 2017-05-18 Yuan-Hung WEN Cable arranging system for bicy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469A (ko) 2020-04-27 2021-11-04 윈엔윈(주) 기능성 핸들바 모듈
KR102174243B1 (ko) * 2020-07-07 2020-11-04 주식회사 티오텍 자전거 보조핸들의 탈착이 용이한 자전거
KR102191512B1 (ko) * 2020-08-19 2020-12-15 주식회사 티오텍 보조핸들의 높이 조절 및 탈착이 용이한 자전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138B1 (ko)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자전거의 스탬
US10926824B2 (en) Bicycle system
KR100910402B1 (ko)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US7490965B2 (en) Bicycle lighting apparatus with mountable display
US8643722B2 (en) Rear-view display system for a bicycle
US10661851B2 (en) Lighting device for an at least partially muscle-powered vehicle by means of light-guiding elements
EP3056415A1 (en) Bicycle having an intelligent system
US9592874B2 (en) Intelligent bicycle
AU2014223307B2 (en) Bicycle camera
EP2868556A1 (en) Signalling device for a vehicle
KR101469835B1 (ko) 자전거 잠금장치
US9408422B2 (en) Illuminated garment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207759B2 (en) Detachable multimedia control apparatus
KR101976311B1 (ko) 자전거의 브레이크 장금장치
TW201902767A (zh) 自行車智能剎車把手系統
KR102016244B1 (ko)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바이스를 이용한 자전거 도난방지 방법
CN104802895A (zh) 智能安全辅助装置
CN215399093U (zh) 一种能提高摩托车行车安全的导航及行车记录多功能装置
CN104960617A (zh) 一种智能自行车
WO2021005350A1 (en) Improved bicycle
KR101994033B1 (ko) 디바이스를 이용한 자전거 통합관리 방법
KR101625498B1 (ko) 이륜 차량용 상황 모니터링 장치
WO2017024830A1 (zh) 一种头灯控制方法及自行车
KR20110136540A (ko) 자전거용 전후방주시장치
CN205769760U (zh) 一种自行车警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