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101B1 -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 - Google Patents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101B1
KR101958101B1 KR1020170098579A KR20170098579A KR101958101B1 KR 101958101 B1 KR101958101 B1 KR 101958101B1 KR 1020170098579 A KR1020170098579 A KR 1020170098579A KR 20170098579 A KR20170098579 A KR 20170098579A KR 101958101 B1 KR101958101 B1 KR 101958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d
winding
glasses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737A (ko
Inventor
임동혁
Original Assignee
임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혁 filed Critical 임동혁
Priority to KR1020170098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1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14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7Means for attaching eyewea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2Sanitary or disposable, e.g. for use in hospitals or food industry
    • A42B1/043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by headge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에 관한 것으로, 수술용 모자의 전방부에 구성되는 고정패드; 상기 고정패드에 다수개로 구성되며, 내부에 제1 및 제2고정홈이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고정패드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접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안경의 연결테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안경을 수술용 모자에 고정시키고, 형상 기억 소재로 구성되는 탈착패드; 및 상기 탈착패드에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 구성되어 상기 탈착패드가 상기 고정패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고정홈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고정돌기가 형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Surgical cap with eyeglass fastening means}
본 발명은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수술자가 안경의 흘러내림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지 않아 수술에만 집중할 수 있고, 안경의 위치를 바꾸기 위한 번거로운 과정이 불필요함에 따라 수술 시간이 지연되거나, 수술의 흐름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안경에 상재하는 균에 의해 수술 부위의 감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의 수술실에 비치된 각종 수술도구 등은 수술시 환자가 병원균 등에 의해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독처리하게 되고, 의사나 간호사는 수술시 환자의 혈액이나 분비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독처리된 수술복 및 수술모자를 착용하게 된다.
특히 모자는 부직포와 면직물 등을 이용하여 진공포장하여 세균이 오염되지 않는 무균 일회용 모자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모자는 이마와 접촉되는 부위에 흡수성이 좋지 않은 비닐지 또는 천지 등으로 이루어진 모자를 그대로 착용한 상태에서 장시간 수술할 경우, 이마로부터 발생되는 땀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이마에서 흘러내리는 땀이 모자에 흡수되지 못하고 안면으로 흘려 집중력을 현저히 저하시키게 되고, 또한 안면으로 흐르는 땀이 각종 수술도구 등의 주변으로 비산(飛散)되지 못하도록 보조 간호사가 수시로 안면을 닦아주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0-0000027호에는, 조임끈을 가진 커버몸체와, 상기 커버몸체의 하단 둘레에 표면과 이면을 동시 감싸주도록 재봉되는 마감띠와, 상기 커버몸체의 하단 둘레측 이면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이마에 직접 닿아 땀을 흡수하는 땀흡수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흡수부재가 부착된 모자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은, 수술자가 안경을 착용한 경우 수술 중 땀이 나거나 심리적인 요인의 변화로도 수술에 참여한 의료인의 머리에서 땀이 나 안경이 흘러내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수술 부위에 따른 머리의 자세 변화에 따라 수술 중 안경이 흘러 내리거나 멸균 소독된 환자의 수술 부위로 떨어질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수술전 안경과 수술 모자를 테잎으로 붙여서 고정하거나 감염의 위험으로 본인의 양 손을 쓸 수 없어 주변의 간호사에게 안경을 올려달라고 부탁하거나 멸균 거즈를 사이에 두고 안경을 올려 위치를 바꾸면서 수술을 진행하고 있으나, 주변의 간호사에게 부탁하는 경우, 수술이 지연되고 정확히 본인이 원하는 위치로 안경의 위치를 바꿀 수가 없어 수술의 원활한 진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멸균 거즈를 사용하는 경우, 멸균된 장갑과 균이 상재하는 안경 사이가 완벽히 차단되지 않아 감염의 위험이 있고 거즈를 사이에 두고 조절하는 경우 안경을 원하는 위치로 변경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2297호에는,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안경이 밑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안경이 결합되는 모자가 개시된 바 있으나, 이는 모자의 차양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수술용 모자와 같이 특수한 상황에서 착용하는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002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2297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수술자가 안경의 흘러내림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지 않아 수술에만 집중할 수 있는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안경의 위치를 바꾸기 위한 번거로운 과정이 불필요함에 따라 수술 시간이 지연되거나, 수술의 흐름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안경에 상재하는 균에 의해 수술 부위의 감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용 모자의 전방부에 구성되는 고정패드; 상기 고정패드에 다수개로 구성되며, 내부에 제1 및 제2고정홈이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고정패드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접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안경의 연결테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안경을 수술용 모자에 고정시키고, 형상 기억 소재로 구성되는 탈착패드; 및 상기 탈착패드에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 구성되어 상기 탈착패드가 상기 고정패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고정홈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고정돌기가 형성된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탈착패드 및 고정패드에는 각각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테와 상기 탈착패드 및 고정패드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탄성시트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술용 모자에는 양측부에 구성되어 안경의 다리부가 고정되며, 땀에 의해 상기 다리부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땀 흡수부재가 구성된 다리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에 있어서, 수술용 모자의 전방부에 구성되는 천 재질의 고정패드; 안경의 연결테와 끼움 결합 방식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에 구성되는 길이 조절부; 하단부가 상기 길이 조절부와 연결되며, 형상 기억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의 위치를 전,후,좌,우에 대한 방사형으로 조절하는 연결끈 부재; 상기 연결끈 부재의 상부에 연결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권취수단; 상기 권취수단의 상단부가 고정되고, 소정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권취수단의 권취 여부 및 권취량을 조절하며, 상기 안경이 고정된 결합부재를 상시 수술용 모자에 연결하여 상기 안경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수술용 모자의 양측부에 연결되며, 안경의 다리부가 고정되고, 땀에 의해 상기 다리부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땀 흡수부재가 구성되는 다리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동부재는,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권취 손잡이와; 상기 권취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 지지수단과;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고정패드에 결합하는 연결패드와; 상기 회전 지지수단에 구성되며, 상기 권취 손잡이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 지지수단은, 상기 권취 손잡이와 연결되며, 상기 권취수단의 상단부가 삽입 및 고정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원주면을 따라 상기 스토퍼 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회전 권취축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술자가 안경의 흘러내림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지 않아 수술에만 집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안경의 위치를 바꾸기 위한 번거로운 과정이 불필요함에 따라 수술 시간이 지연되거나, 수술의 흐름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안경에 상재하는 균에 의해 수술 부위의 감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에서 안경을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고정수단의 결합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고정수단의 결합부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에서 안경을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고정수단의 결합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고정수단의 결합부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술용 모자(10)의 전방부에 안경 고정수단(100)이 구성되어 수술자가 착용한 안경의 위치를 고정시켜 안경이 수술 도중에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수술의 진행이 보다 원활하기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안경 고정수단(100)은 수술용 모자(10)의 전방부에 일체로 구성되는 고정패드(110)와, 고정패드(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구성되는 고정부재(120)와, 고정패드(110)의 하단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수술자가 착용한 안경의 렌즈를 연결하는 연결테(20)를 감싸면서 연결테(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탈착패드(130) 및 탈착패드(130)에 구성되며, 고정부재(12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패드(110)는 수술용 모자(10)의 전방부, 즉 수술자의 이마 부분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수술용 모자(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도록 천 재질로 이루어져 재봉 박음질 등을 통해 수술용 모자(10)의 전방부에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패드(110)는 탈착패드(130) 상에 구성된 결합부재(14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수술용 모자(10)에 안경의 연결테(2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120)가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로 결합된다.
고정부재(120)는 결합부재(140)가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전방측 선단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결합홈(122)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122)의 내주면을 따라 결합부재(140)의 제1 및 제2고정돌기(144, 146)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고정홈(124, 126)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고정홈(124, 126)은 제1 및 제2고정돌기(144, 146)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재(120)는 고정패드(110)에 열융착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며, 수술용 모자(10)를 관통하지 않도록 하여 이 수술용 모자(10)의 내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 수술용 모자(10)의 착용시 고정부재(120)에 의해 착용감이 저하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탈착패드(130)는 안경의 연결테(20)의 외면을 감싸면서 고정패드(110)와 고정부재(12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안경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탈착패드(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패드(110)의 하측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접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수술용 모자(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수술용 모자(10)에 결합시 탈착 가능하게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탈착패드(130)는 통상의 끈 부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착용자가 임의적으로 탈착패드(130)의 굽힘 정도를 조절하여 안경의 연결테(20)가 탈착패드(130)에 감싸지게 구성될 수 있도록 형상 기억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탈착패드(130)는 안경의 연결테(20)와 접촉을 이루는 내면부에 안경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수술 도중에 안경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시트(15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탄성시트(15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탈착패드(130)가 연결테(20)의 외면을 감쌀 때, 이 연결테(20)의 외면 하부와 전방부에 밀착되면서 탈착패드(130)와 연결테(2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탄성시트(150)는 탈착패드(130)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바람직하게는 탈착패드(130) 및 고정패드(110) 모두에 형성되어 연결테(20)의 고정력을 더욱 강화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탈착패드(130)에는 고정부재(1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합부재(140)가 더 구성되어 안경의 연결테(20)와 수술용 모자(10)가 안경 고정수단(100)에 의해 서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수술 도중에도 안경이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결합부재(140)는 탈착패드(130)에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 구성되어 다수개의 고정부재(120)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결합됨으로써, 탈착패드(130)와 고정패드(110) 간의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결합부재(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단부에 제1 및 제2고정돌기(144, 146)가 형성된다.
이때, 제1고정돌기(144)는 결합부재(140)와 고정부재(120) 간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결합부재(140)의 원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안경 고정수단(100)은 안경의 연결테(20)를 탈착패드(130)가 감싼 상태에서 수술용 모자(20)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고정패드(110)와 결합됨으로써, 안경이 수술용 모자(20)에 연결되게 되어 수술 도중에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탄성시트(150)와 연결테(20)의 밀착력으로 인하여 안경의 위치가 수술 도중에 변경되지 않아 수술시 안경의 위치를 바꿀 필요 없게 되어 수술 시간의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고정부재(120) 및 결합부재(140)는 돌기 및 홈의 결합 방식에 의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벨크로 테이프와 같이 접착되는 방식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상기 고정부재(120)와 결합부재(14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질 수만 있다면 어떠한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안경 고정수단(100)은 결합부재(14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수술전 안경의 위치를 조절하여 수술용 모자(10)에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140)는 클립의 형태로 구성되어 안경의 연결테(20)와 끼움 결합 방식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결합부재(140)는 그 상부로 안경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 조절수단과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길이 조절수단은 연결끈 부재(210), 권취수단(220), 작동부재(230) 및 길이 조절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길이 조절부(240)는 결합부재(140)의 상부면에 구성되어 연결끈 부재(210)의 하측 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길이 조절수단에 결합부재(14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끈 부재(210)는 하단부가 길이 조절부(240)와 연결되고, 상단부가 권취수단(220)과 연결되게 구성되며, 형상 기억 합금과 같은 소재로 구성되어 결합부재(14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연결끈 부재(210)는 안경의 연결테(20)가 끼움 결합된 상태의 결합부재(14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연결끈 부재(210)의 굽힘 정도를 조절하여 결합부재(140)의 위치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특히 결합부재(140)의 위치 조정시 전,후,좌,우에 대한 방사형으로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결끈 부재(210)의 상부에 연결 구성된 권취수단(220)은 작동부재(230)에 연결 구성되어 작동부재(230)의 작동 여부에 따라 권취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결합부재(140)의 상,하 높이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작동부재(230)는 권취수단(220)의 상측 단부가 삽입 및 결합되어 안경이 고정되는 결합부재(140)를 수술용 모자(10)와 연결하고, 이와 동시에 권취수단(220)의 권취 여부 및 권취량을 제어하여 결합부재(140)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작동부재(230)는 권취수단(220)의 권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권취 손잡이(232)와, 이 권취 손잡이(23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권취수단(220)의 권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권취 손잡이(232)의 회전 작동을 지지하는 회전 지지수단(234)과, 작동부재(230)를 고정패드(110)에 결합하여 결합부재(140)와 수술용 모자(10)를 연결하는 연결패드(236)와, 권취 손잡이(232)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부재(2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 지지수단(234)은 권취수단(220)의 권취가 이루어지도록 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는 회전 권취축(234a)과, 회전 권취축(234a)의 원주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권취수단(220)의 상단부가 삽입 및 고정되는 삽입홀(234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회전 권취축(234a)은 전방측 선단부가 권취 손잡이(232)와 연결 구성될 수 있도록 회전 지지수단(234)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 권취 손잡이(232)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통해 권취수단(220)의 권취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회전 권취축(234a)에는 권취수단(220)의 권취량을 제어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만 권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토퍼 부재(238)가 돌출되게 구성되며, 이 스토퍼 부재(238)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스토퍼 부재(238)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홈(238a)이 형성되고, 스토퍼 홈(238a)은 회전 지지수단(234)의 내주면을 따라 링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작동부재(230)는 전술한 고정부재(120)와의 결합을 통해 직접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열융착에 의해 고정부재(120)와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안경 고정수단(100)에는 안경의 다리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다리 고정부(25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다리 고정부(250)는 수술용 모자(10)의 양측부에 위치하며, 안경의 다리가 삽입된 상태에서 수술자의 귀에 안착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전술한 작동부재(230) 및 권취수단(220)에 의해 수술용 모자(10)에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다리 고정부(250) 역시 작동부재(230)의 작동 여부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또한, 다리 고정부(250)의 내면에는 수술자의 귀 부근에서 흐르는 땀을 흡수하여 안경의 다리에 대한 위치가 땀에 의해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면과 같은 천 재질로 이루어지는 땀 흡수부재(26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결합부재(140)가 수술용 모자(10)의 외면에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방으로 안경의 연결테(20)를 전술한 고정 방법을 통해 고정하면서 상단부에 접착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을 통하여 수술자의 이마에 직접 접착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안경 고정수단 110: 고정패드
120: 고정부재 130: 탈착패드
140: 결합부재 150: 탄성시트
210: 연결용 끈 220: 권취수단
230: 작동부재 240: 길이 조절부
250: 다리 고정부 260: 땀 흡수부재

Claims (7)

  1. 수술용 모자의 전방부에 구성되는 고정패드;
    상기 고정패드에 다수개로 구성되며, 내부에 제1 및 제2고정홈이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고정패드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되거나, 또는 접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안경의 연결테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안경을 수술용 모자에 고정시키고, 형상 기억 소재로 구성되어 굽힘 정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탈착패드; 및
    상기 탈착패드에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 구성되어 상기 탈착패드가 상기 고정패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고정홈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고정돌기가 형성된 결합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전방측 선단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고정돌기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부에 구성되는 길이 조절부;
    하단부가 상기 길이 조절부와 연결되며, 형상 기억 소재로 구성되어 굽힘 정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위치를 전,후,좌,우에 대한 방사형으로 조절하는 연결끈 부재;
    상기 연결끈 부재의 상부에 연결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권취수단;
    상기 권취수단의 상단부가 고정되고, 소정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권취수단의 권취 여부 및 권취량을 조절하며, 상기 안경이 고정된 결합부재를 상시 수술용 모자에 연결하여 상기 안경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수술용 모자의 양측부에 연결되며, 안경의 다리부가 고정되고, 땀에 의해 상기 다리부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땀 흡수부재가 구성되는 다리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패드 및 고정패드에는 각각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테와 상기 탈착패드 및 고정패드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탄성시트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권취 손잡이와;
    상기 권취 손잡이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 지지수단과;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고정패드에 결합하는 연결패드와;
    상기 회전 지지수단에 구성되며, 상기 권취 손잡이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수단은,
    상기 권취 손잡이와 연결되며, 상기 권취수단의 상단부가 삽입 및 고정되는 삽입홀과, 원주면을 따라 상기 스토퍼 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회전 권취축과, 회전 지지수단의 내주면을 따라 링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부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부재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홈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단부에 접착수단을 구성하여 수술자의 이마에 직접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
KR1020170098579A 2017-08-03 2017-08-03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 KR101958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579A KR101958101B1 (ko) 2017-08-03 2017-08-03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579A KR101958101B1 (ko) 2017-08-03 2017-08-03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737A KR20190014737A (ko) 2019-02-13
KR101958101B1 true KR101958101B1 (ko) 2019-03-13

Family

ID=65366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579A KR101958101B1 (ko) 2017-08-03 2017-08-03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1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15486A1 (en) * 2018-12-26 2022-01-20 Dong Hyuk IM Surgical cap equipped with means for fixing eyeglasses
CN110123426B (zh) * 2019-06-03 2024-04-12 北京奥达智声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超声介入穿刺导航系统及穿刺架
CN110101439B (zh) * 2019-06-03 2024-04-05 北京奥达智声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超声介入穿刺导航系统及穿刺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535Y1 (ko) * 2002-10-12 2003-05-09 조광준 안경보관기능을 갖는 모자
US20040231030A1 (en) * 2003-05-19 2004-11-25 Dean Ferrara Sport cap
KR200468100Y1 (ko) * 2013-05-10 2013-08-07 김해인 썬캡
KR101550444B1 (ko) * 2014-12-10 2015-09-09 구연욱 와이어를 이용한 조임용 회전 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62017A1 (en) * 2004-03-02 2005-09-15 Broadmark, Inc. Utility holder for headwear
KR20100000027U (ko) 2008-06-24 2010-01-06 최진영 땀흡수부재가 부착된 모자
KR200462297Y1 (ko) 2010-04-30 2012-09-06 조양호 안경이 결합되는 모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535Y1 (ko) * 2002-10-12 2003-05-09 조광준 안경보관기능을 갖는 모자
US20040231030A1 (en) * 2003-05-19 2004-11-25 Dean Ferrara Sport cap
KR200468100Y1 (ko) * 2013-05-10 2013-08-07 김해인 썬캡
KR101550444B1 (ko) * 2014-12-10 2015-09-09 구연욱 와이어를 이용한 조임용 회전 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737A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6846B1 (en) Visor-type face shield for dentist
KR101958101B1 (ko) 안경 고정수단이 구비된 수술용 모자
JPH05154173A (ja) 医療用アイマスク
KR101365593B1 (ko) 착용이 용이한 수술가운
WO2014189364A1 (en) Disposable surgical face shield
CA2947855A1 (en) Protective apparel system with impervious protection
US9603749B2 (en) Nasal drip pad
JP2022529125A (ja) 使い捨て手術用ドレープ
KR200240801Y1 (ko) 안면보호용 실드프레임
WO2020070662A1 (en) Visor for protection from ionizing radiation for use in surgical operations
CN104783346A (zh) 医用防护屏头罩
US10792193B2 (en) Nasal drip pad
US20220015486A1 (en) Surgical cap equipped with means for fixing eyeglasses
CN211356177U (zh) 一种眼科手术护理装置
KR101629952B1 (ko) 치과용 소공포 안치구
KR20210115496A (ko) 치과 수술용 수술포
CN204925534U (zh) 医用防护镜
CN201290801Y (zh) 一种眼科手术面罩
CN209347411U (zh) 眼科术后一次性防护眼罩
WO2015185617A1 (en) Thyroid protector
CN208144512U (zh) 防感染手术防护装置
WO2014164691A1 (en) Patient-supported ophthalmic platforms
CN215018896U (zh) 眼科专用手术的一次性立体垫巾
CN212308198U (zh) 一种医用角膜屈光手术后眼部保护装置
CN217391017U (zh) 一种可以固定鼻导管的防护性眼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