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057B1 -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057B1
KR101958057B1 KR1020160034690A KR20160034690A KR101958057B1 KR 101958057 B1 KR101958057 B1 KR 101958057B1 KR 1020160034690 A KR1020160034690 A KR 1020160034690A KR 20160034690 A KR20160034690 A KR 20160034690A KR 101958057 B1 KR101958057 B1 KR 101958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electronic device
voltage
usb
supply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4530A (ko
Inventor
유이치 하기와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4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002Switches for altering the measuring range or for multites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04Voltage divi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1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 G05F1/4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4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semiconductor devices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04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 G06F13/4221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being an input/output bus, e.g. ISA bus, EISA bus, PCI bus, SCSI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904Arrangements for supplying power to different circuits or for supplying power at different lev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부와 전압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원부는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전압 보상 회로는, 정보 처리 장치에 제1 전자 디바이스가 접속될 경우에, 전원부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승압시키고, 승압된 출력 전압을 강압시키고 강압된 출력 전압을 제2 전자 디바이스에 공급하도록, 출력 전압을 제2 전자 디바이스에 공급하기 위한 전력 경로를, 제1 전력 공급 경로로부터, 강압 소자를 포함하는 제2 전력 공급 경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원부로부터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원부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전자 디바이스들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원부와 전자 디바이스들을 접속하는 케이블에 있어서의 전압 강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회로(전자 디바이스)에 공급되는 전압은 5V±5% (4.75V 내지 5.25V) 내로 규격화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전원부로부터의 출력 전압은 전원부와 USB 인터페이스 회로 사이의 케이블에서의 전압 강하를 고려하여, 5V보다 더 높아야 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74641호 공보에는 DC-DC 컨버터(전원부)와 전자 디바이스를 접속하는 케이블에 있어서의 전압 강하를 고려하여, DC-DC 컨버터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조정하는 전원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74641호 공보에 개시된 전원 유닛에는 케이블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센서를 제공한다. 전류 센서가 전류를 검출할 때, 출력 전원 제어 유닛이 DC-DC 컨버터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조정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74641호 공보에는 전원부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단일의 전자 디바이스에 공급되는 예가 개시되어 있지만, 전원부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들에 공급될 어떤 경우들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74641호 공보와 같이, 케이블에 있어서의 전압 강하를 고려하여, 전원부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특정 전자 디바이스를 위해 올려버리면, 다른 전자 디바이스에 공급되는 전압들도 올려버리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부와 전압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전원부는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전압 보상 회로는, 정보 처리 장치에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가 접속될 경우에, 전원부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승압시키고, 승압된 출력 전압을 강압시키고 강압된 출력 전압을 제2 전자 디바이스에 공급하도록, 출력 전압을 제2 전자 디바이스에 공급하기 위한 전력 경로를, 제1 전력 공급 경로로부터, 강압 소자를 포함하는 제2 전력 공급 경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 유닛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압 보상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압 보상 회로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1)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는 복수의 USB 디바이스들을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USB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1)의 배면측에는 배면측 USB 인터페이스(17a)가 제공된다.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방면측에는 전방면측 USB 인터페이스(21)가 설치된다. 높은 빈도수로 부착 및 분리되는 USB 디바이스들은 전방면측 USB 인터페이스(21)에 접속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낮은 빈도수로 부착 및 분리되는 백업용의 스토리지 등의 USB 디바이스들은 배면측 USB 인터페이스(17a)에 접속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상 형성 장치(1)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유닛(10)은 화상 형성 장치(1)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컨트롤러 유닛(10)은 화상 형성 장치(1)의 케이싱으로부터 USB 디바이스의 접속 단이 노출되는 배면측 USB 인터페이스(17a)를 포함한다. 컨트롤러 유닛(10)은 내부 USB 인터페이스(17b)를 더 포함한다. 내부 USB 인터페이스(17b)는 USB 케이블(60)의 일 단에 접속되고, 전방면측 USB 인터페이스(21)는 USB 케이블(60)의 타 단에 접속된다.
본 실시예의 USB 케이블(60)은 화상 형성 장치(1)의 케이싱 내에 라우트되지만, USB 케이블(60)은 화상 형성 장치(1)의 케이싱 밖에 있을 수 있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1)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는 컨트롤러 유닛(10), 조작 유닛(20), 프린터 유닛(30), 및 스캐너 유닛(40)을 구비하고 있다.
컨트롤러 유닛(10)은 컨트롤러 유닛(10)에 접속되는 조작 유닛(20), 프린터 유닛(30), 및 스캐너 유닛(40)을 제어한다. 프린터 유닛(30)은 디지털 화상을 용지에 출력한다. 스캐너 유닛(40)은 원고부터 광학적으로 화상을 판독해서 디지털 화상으로 변환한다.
조작 유닛(20)은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각종 버튼들 및 표시 유닛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 유닛(20)은 USB 디바이스를 접속하기 위한 전방면측 USB 인터페이스(이하, "전방면측 USB I/F"로서 지칭함)(21)를 포함한다.
이어서, 컨트롤러 유닛(10)의 상세를 설명할 것이다.
컨트롤러 유닛(10)은 CPU(11), RAM(12), ROM(13),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14)를 포함한다. 또한, 컨트롤러 유닛(10)은 조작 유닛 인터페이스(조작 유닛 I/F)(15)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이하, "NIC"로서 지칭함)(16)를 포함한다. 컨트롤러 유닛(10)은 내부 USB 인터페이스(이하, "내부 USB I/F"로서 지칭함)(17b) 및 배면측 USB 인터페이스(이하, "배면측 USB I/F"로서 지칭함)(17a)를 더 포함한다. 컨트롤러 유닛(10)은 프린터 유닛 인터페이스(이하, "프린터 유닛 I/F"로서 지칭함)(18) 및 스캐너 유닛 인터페이스(이하, "스캐너 유닛 I/F"로서 지칭함)(19)를 더 포함한다. 컨트롤러 유닛(10)의 컴포넌트들은 하나 또는 복수의 기판 상에 실장된다.
CPU(11)는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다양한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다. CPU(11)는 시스템 버스(10a)에 접속되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RAM(12)은 CPU(11)가 동작하기 위한 DRAM 등의 메인 메모리이다. ROM(13)은 시스템 부트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HDD(14)는 이차 스토리지이며,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NIC(16)를 통해 수신된 프린트 잡 등을 저장한다.
본 실시예의 CPU(11)는 USB 컨트롤러의 기능을 갖고 있다. CPU(11)는 배면측 USB I/F(17a) 및 전방면측 USB I/F(21)를 통해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고, 배면측 USB I/F(17a) 및 전방면측 USB I/F(21)에의 버스 파워의 공급을 제어한다. 이 실시예는 CPU(11)가 USB 컨트롤러의 기능을 갖는 예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CPU(11)와는 상이한 칩이 USB I/F들(17a, 21)을 통해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할 수 있고, USB I/F들(17a, 21)에의 버스 파워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NIC(16)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프린터 유닛 I/F(18)는 프린터 유닛(30)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스캐너 유닛 I/F(19)는 스캐너 유닛(40)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조작 유닛 I/F(15)는 조작 유닛(20)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내부 USB I/F(17b)는 전방면측 USB I/F(21)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USB 케이블(60)의 일 단에 접속된다. 배면측 USB I/F(17a)는 접속된 USB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배면측 USB I/F(17a)는 백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드 디스크 또는 USB 메모리 등에 접속된다.
전원 유닛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1)의 전원 유닛(5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전원 유닛(50)은 화상 형성 장치(1)의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유닛이다. 전원 유닛(50)은 AC-DC 컨버터(51), AC-DC 컨버터(52), DC-DC 컨버터(전원부)(53), 및 전압 보상 회로(54)를 포함한다.
AC-DC 컨버터(51)는 교류 전압으로부터 직류 전압(예를 들어, 5.0V)을 생성하고, CPU(11), ROM(13), RAM(12), HDD(14), 조작 유닛 I/F(15), NIC(16), 프린터 유닛 I/F(18), 및 스캐너 유닛 I/F(19)에 전력을 공급한다.
AC-DC 컨버터(52)는 교류 전압으로부터 직류 전압(예를 들어, 12.0V 및 24.0V)을 생성하고, 프린터 유닛(30) 및 스캐너 유닛(40)에 전력을 공급한다.
DC-DC 컨버터(53)는 스위칭 DC-DC 컨버터이다. DC-DC 컨버터(53)는 AC-DC 컨버터(52)에 의해 생성된 직류 전압을 내려서 직류 전압(예를 들어, 5.0V)을 생성한다. DC-DC 컨버터(53)에 의해 생성된 직류 전압은 배면측 USB I/F(17a), 내부 USB I/F(17b), 및 전방면측 USB I/F(21)에 공급된다. DC-DC 컨버터(53)는 소정의 전압(예를 들어, 0.8V)이 피드백되게 구성된다. 피드백되는 전압이 소정의 전압(예를 들어, 0.8V)보다 높은 경우, DC-DC 컨버터(53)는 출력 전압을 내리게 제어한다. 피드백되는 전압이 소정의 전압보다 낮은 경우, DC-DC 컨버터(53)는 출력 전압을 올리게 제어한다.
전압 보상 회로(54)는 배면측 USB I/F(17a)에 접속되는 USB 디바이스 및 전방면측 USB I/F(21)에 접속되는 USB 디바이스에 규정된 범위의 전압이 공급되도록, 출력 전압을 조정한다.
전압 보상 회로
도 4는 전압 보상 회로(54)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보상 회로(54)는 전류 검출 회로(70), 전압 제어 회로(80), 및 전환 회로(90)를 포함한다. 전압 보상 회로(54)에 의해 조정된 전압은 USB 케이블(60)을 통해 전방면측 USB I/F(21)에 공급된다. USB 케이블(60)은 두 개의 데이터 선들(도시되지 않음)과, 두 개의 전원 선들(V-BUS, GND)을 포함한다. 이 두 개의 전원 선들 각각이 저항기 R0를 갖기 때문에, 전방면측 USB I/F(21)에 공급되는 전압에 대해서는 두 개의 전원 선들의 저항기들 R0에서의 전압 강하를 고려해야 한다. USB 케이블(60)은 컨트롤러 유닛(10)의 컴포넌트들이 실장되는 기판에 접속된다.
전류 검출 회로(70)는 전방면측 USB I/F(21)를 통해 소정 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회로이다. 전류 검출 회로(70)는 하이 사이드 스위치(71), 저항기들 R1 내지 R5, 및 비교기(72)를 포함한다. 하이 사이드 스위치(71)는 CPU(11)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V-BUS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하이 사이드 스위치(71)는 V-BUS의 온/오프 제어 외에도, 소정 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V-BUS를 강제적으로 턴 오프하는 과전류 보호의 기능을 더 갖는다.
비교기(72)는 플러스 단자(입력 단자)의 입력 전압과 마이너스 단자(입력 단자)의 입력 전압을 비교하고, 플러스 단자의 입력 전압이 마이너스 단자의 입력 전압보다 높으면, 비교기(72)는 하이(High)를 출력하고, 낮으면, 비교기(72)는 로우(Low)를 출력한다. 전방면측 USB I/F(21)에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고 저항기 R1을 통해 전류가 흐를 경우, 저항기 R1에서의 전압 강하로 인해, 비교기(72)의 플러스 단자에서의 전압이 마이너스 단자에서의 전압보다 높아진다. 이에 의해, 비교기(72)가 하이를 출력한다. 저항기 R1은 DC-DC 컨버터(53)와 전방면측 USB I/F(21) 사이에 배치된다. 비교기(72)의 플러스 단자는 저항기 R1의 일 단에 접속되고, 마이너스 단자는 저항기 R1의 타 단에 접속된다.
저항기 R2 및 R3은 저항기 R1을 통해 소정의 전류가 흐르지 않을 경우에, 비교기(72)의 플러스 단자에서의 전압이 마이너스 단자에서의 전압보다 낮아지도록 배치되는 분압 저항기들이다. 저항기들 R4 및 R5는 DC-DC 컨버터(5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발생하는 리플들로 인해, 비교기(72)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노이즈 제거용 저항기들이다.
전압 제어 회로(80)는 DC-DC 컨버터(53)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이다. 전압 제어 회로(80)의 출력은 DC-DC 컨버터(53)의 피드백 단자(53a)에 입력된다. 전압 제어 회로(80)는 n채널 FET(Field Effect Transistor,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81)와 저항기들(R6 내지 R8)을 포함한다.
저항기들 R6 및 R7은 DC-DC 컨버터(53)의 피드백 단자(53a)에 입력되는 전압을, 기준 전압(0.8V)까지 강하시키기 위한 분압 저항들이다. DC-DC 컨버터(53)는 기준 전압보다 피드백 단자(53a)에 입력되는 전압이 높은 경우에, 출력 전압을 내리게 제어하고, 기준 전압보다 그 전압이 낮은 경우에, 출력 전압을 올리게 제어한다.
n채널 FET(81)는 비교기(72)의 출력이 하이가 되었을 경우에, 턴 온된다. n채널 FET(81)가 턴 온되면, 분압 저항들 R7 및 R8의 저항(저항기 R7과 저항기 R8의 합성 저항)이 작아지고, 피드백 단자(53a)에 입력되는 전압이 떨어진다. 따라서, DC-DC 컨버터(53)는 출력 전압을 올리게 제어한다.
USB 케이블(60)을 통해 소정의 전류 I가 흐를 경우, DC-DC 컨버터(53)로부터의 출력 전압은 ΔV (= I x (R0 + R1 + Rsw))만큼 강하하고, 여기서 R0는 USB 케이블(60)의 저항이며, Rsw는 하이 사이드 스위치(71) 내의 저항기의 저항값이다. 따라서, 저항기 R8의 저항값은 DC-DC 컨버터(53)의 출력 전압이 ΔV만큼 승압되게 조정된다. 기판의 배선 패턴들의 저항 및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커넥터의 접촉 저항에 기인한 전압 강하를 고려하지 않았지만, 전술한 저항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전환 회로(90)는 p 채널 FET(반도체 스위치)(91), 쇼트키(Schottky) 다이오드(강압 소자, 이하, "다이오드"로서 지칭함)(92), 및 하이 사이드 스위치(93)를 포함한다. 전환 회로(90)는 비교기(72)의 출력이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비교기(72)의 출력이 하이가 될 경우에, 배면측 USB I/F(17a)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경로가, p 채널 FET(91)측의 전력 공급 경로로부터, 다이오드(92)측의 전력 공급 경로로 전환된다.
p 채널 FET(91)는 비교기(72)의 출력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된다. p 채널 FET(91)는 비교기(72)의 출력이 하이인 경우에 턴 오프되고, 비교기(72)의 출력이 로우인 경우에 턴 온된다. 쇼트키 다이오드(92)는 전류를 일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다이오드 소자이다. 쇼트키 다이오드(92)는 일반적인 다이오드들보다 순방향의 전압 강하가 낮다. 하이 사이드 스위치(93)는 CPU(11)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V-BUS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V-BUS의 온/오프 제어 외에도, 하이 사이드 스위치(93)는 사전 설정된 전류보다 큰 전류가 흐를 경우에, V-BUS를 강제적으로 턴 오프하는 과전류 보호의 기능을 갖는다.
비교기(72)의 출력이 로우인 경우에는, p 채널 FET(91)가 턴 온되어, 배면측 USB I/F(17a)에는 p 채널 FET(91)를 통해 전력이 공급된다. 비교기(72)의 출력이 하이인 경우에는, p 채널 FET(91)가 턴 오프되어, 배면측 USB I/F(17a)에는 쇼트키 다이오드(92)를 통해 전력이 공급된다. 이때, 쇼트키 다이오드(92)에는 순방향의 전압 강하가 발생하여, 배면측 USB 인터페이스(17a)의 전압은 DC-DC 컨버터(53)의 출력 전압으로부터 순방향의 전압 강하 분만큼 내려간다.
쇼트키 다이오드(92)에서의 순방향의 전압 강하는 전류에 따라 변동한다. 특히, 전류가 흐르지 않을 경우에는, 쇼트키 다이오드(92)에서 전압 강하가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더미 부하 저항을 이용하여 전류를 의도적으로 흘릴 수 있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전압 보상 회로(54)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전방면측 USB I/F(21)에 외장형 HDD(14) 등의 낮은 전류가 필요한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면, USB 케이블(60)의 저항기들 R0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한다. 그때, 저항기들 R0에서의 전압 강하에 의해, 비교기(72)가 하이를 출력한다. 전압 제어 회로(80)는 비교기(72)의 출력이 하이가 되면, DC-DC 컨버터(53)의 출력 전압을 올리게 제어한다.
이에 의해, USB 케이블(60)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하더라도, 전압 강하 분에 대응하는 양만큼 DC-DC 컨버터(53)의 출력 전압이 올라가서, 전방면측 USB I/F(21)에 규정된 전압(5V ± 5%)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환 회로(90)는 비교기(72)의 출력이 하이가 되면, 배면측 USB I/F(17a)에 다이오드(92)를 통해 전력을 공급한다. 쇼트키 다이오드(92)에서의 순방향의 전압 강하는, 승압된 DC-DC 컨버터(53)의 출력 전압을 내린다.
따라서, DC-DC 컨버터(53)의 출력 전압이 올라가더라도, 쇼트키 다이오드(92)에서의 전압 강하에 의해, 배면측 USB I/F(71a)에 규정된 전압(5V±5%)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면측 USB I/F(21) 및 배면측 USB I/F(17a) 각각에 규정된 전압들을 공급한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압 보상 회로(154)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압 보상 회로(154)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쇼트키 다이오드 대신 LDO(Low Drop-Out,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강압 소자)를 사용한다. 다른 컴포넌트들은 제1 실시예의 것들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제2 실시예의 전환 회로(190)는 비교기(72)의 출력이 하이가 될 경우에, 배면측 USB I/F(17a)에 출력되는 전압을 전환한다. 전환 회로(190)는 p 채널 FET(91), LDO 레귤레이터(192), 및 하이 사이드 스위치(93)를 포함한다. LDO 레귤레이터(192)는 강압만 가능한 정전압 DC 전원 소자이며,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간의 차가 매우 작은 레귤레이터이다.
다른 실시예들
상기의 실시예들은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류 검출 회로(70)를 포함하는 예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전압을 검출하기 위해 전압 감시 IC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는 하이 사이드 스위치(71)와는 별도로 저항기 R1을 포함하지만, 저항기 R1 대신 하이 사이드 스위치(71) 내의 저항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실시예는 저항기 R1을 사용함으로써 고정밀도로 전류 검출을 행할 수 있지만, 저항기 R1의 존재는 쓸데없는 전압 강하 및 비용 상승을 초래해버린다. 그로 인해, 저항기 R1을 사용하지 않고, 하이 사이드 스위치(71) 내의 저항기를 사용해서 전류가 검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이 사이드 스위치(71)는 V-BUS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해 내부에 FET를 갖고, 약 100mΩ의 내부 저항을 갖는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500mA 내지 1A의 전류가 흐를 경우에, 비교기(72)를 턴 온하도록 구성된 회로는 저항기 R1 없이 전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소정의 저항을 갖는 저항기 R8을 사용하는 예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USB 케이블(60)의 길이 및 USB 케이블(60)의 배선 로드들의 굵기에 따라 전압 강하의 양이 변화하기 때문에, 저항기 R8은 가변 저항기일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컨트롤러 유닛(10)에 실장되는 인터페이스들로서 USB 규격의 인터페이스들을 채택하지만, 컨트롤러 유닛(10)에 실장되는 인터페이스들은 USB 규격의 인터페이스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IEEE 1394 규격의 인터페이스들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컨트롤러 유닛(10)에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로서 USB 규격의 인터페이스를 채택하지만,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는 USB 규격의 인터페이스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IEEE 1394 규격의 인터페이스들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화상 형성 장치(1)에 적용하는 예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전원 유닛은 전원부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각각의 복수의 전자 디바이스들에 특정 범위 내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또한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예를 들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판독하고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들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 마이크로 프로세싱 유닛(MPU), 또는 다른 회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별개의 컴퓨터들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들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및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는 그러한 변형들 및 등가의 구조들 및 기능들을 모두 포함하도록 최광의의 해석에 따라야 한다.

Claims (15)

  1. 정보 처리 장치로서,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전원부, 및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가 접속될 경우에,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승압시키고, 승압된 상기 출력 전압을 강압시키고 강압된 출력 전압을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공급하도록, 상기 출력 전압을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경로를, 제1 전력 공급 경로로부터 강압 소자를 포함하는 제2 전력 공급 경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압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가 접속되기 전에, 상기 전압 보상 회로는 상기 전원부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상기 제1 전력 공급 경로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공급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가 접속된 후에, 상기 전압 보상 회로는 상기 전원부의 승압된 출력 전압을 상기 제2 전력 공급 경로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에 공급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공급 경로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가 접속될 경우에 턴 오프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p 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압 소자는 쇼트키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압 소자는 저전압 강하(low drop-out)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전압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기판에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보상 회로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가 접속된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전류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검출 회로는,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저항기,
    상기 저항기의 일 단에 접속된 입력 단자와 상기 저항기의 타 단에 접속된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비교기, 및
    하이 사이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보상 회로는 상기 비교기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공급 경로를 상기 제1 전력 공급 경로로부터 상기 제2 전력 공급 경로로 전환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는 상기 하이 사이드 스위치 내의 저항기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은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프린터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KR1020160034690A 2015-03-24 2016-03-23 정보 처리 장치 KR101958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61689A JP6537316B2 (ja) 2015-03-24 2015-03-24 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JP-P-2015-061689 2015-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530A KR20160114530A (ko) 2016-10-05
KR101958057B1 true KR101958057B1 (ko) 2019-03-13

Family

ID=56814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690A KR101958057B1 (ko) 2015-03-24 2016-03-23 정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96146B2 (ko)
JP (1) JP6537316B2 (ko)
KR (1) KR101958057B1 (ko)
CN (1) CN20556607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6260B (zh) * 2018-04-02 2022-05-10 广州慧智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功率放大器的电源电路
US10802564B2 (en) * 2018-10-09 2020-10-13 Quanta Computer Inc. Method and system for chassis voltage drop compens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21219A1 (en) 2007-07-17 2009-01-22 Seiko Epson Corporation Power reception control device, power reception device,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stem, charge control device, battery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US20120065807A1 (en) 2009-05-26 2012-03-1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apparatus, an on-vehicle device and a system
US20130009470A1 (en) 2011-07-06 2013-01-10 Htc Corporation System power integrated circuit and architecture, management circuit, power supply arrangement, and portable apparatus
US20150333514A1 (en) 2014-05-14 2015-11-19 Green Solution Technology Co., Ltd. Cable drop compensation circuit and power circuit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4641A (ja) * 2002-03-12 2003-09-26 Ricoh Co Ltd 電源装置
JP2004166343A (ja) * 2002-11-11 2004-06-10 Casio Comput Co Ltd 電源回路および電子機器
US7061214B2 (en) * 2003-11-25 2006-06-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ingle inductor dual output buck converter with frequency and time varying offset control
JP2009151415A (ja) * 2007-12-19 2009-07-09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およびusbデバイスの認識方法
JP2012080698A (ja) * 2010-10-04 2012-04-19 Rohm Co Ltd 電源装置
EP2480049A3 (en) * 2011-01-20 2013-07-03 OSRAM GmbH Power supply device for light sources
JP5901241B2 (ja) * 2011-11-18 2016-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Usbハ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システム
JP5981723B2 (ja) * 2012-01-26 2016-08-31 ローム株式会社 電源装置
US9823719B2 (en) * 2013-05-31 2017-11-21 Intel Corporation Controlling power delivery to a processor via a bypass
JP6194419B2 (ja) * 2013-10-08 2017-09-06 テキサス インスツルメン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シリアルバス電圧補償
US9971395B2 (en) * 2014-08-20 2018-05-15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Low power connection detect method and system for USB charg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21219A1 (en) 2007-07-17 2009-01-22 Seiko Epson Corporation Power reception control device, power reception device,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stem, charge control device, battery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US20120065807A1 (en) 2009-05-26 2012-03-1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apparatus, an on-vehicle device and a system
US20130009470A1 (en) 2011-07-06 2013-01-10 Htc Corporation System power integrated circuit and architecture, management circuit, power supply arrangement, and portable apparatus
US20150333514A1 (en) 2014-05-14 2015-11-19 Green Solution Technology Co., Ltd. Cable drop compensation circuit and power circuit using the sa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I Application Report. "Step-Down Converter with Cable Voltage Drop Compensation". 20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37316B2 (ja) 2019-07-03
US20160282931A1 (en) 2016-09-29
US9996146B2 (en) 2018-06-12
KR20160114530A (ko) 2016-10-05
CN205566078U (zh) 2016-09-07
JP2016182009A (ja)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1851B2 (en) Start-up circuit and method thereof
US20150061757A1 (en) Low dropout linear regulators and starting methods therefor
US7343503B2 (en) System for supplying operating voltage to CPU
US9829900B2 (en) Voltage regulator
US20200366183A1 (en) Optimized gate driver for low voltage power loss protection system
JP2008197892A (ja) シリーズレギュレータ
US20200153242A1 (en) Prebiasing circuitry for fast settlement of switching converter in a power loss protection system
US20180115237A1 (en) Power supply connecting board with variable output voltage levels
US10811875B2 (en) Power supply apparatus
US6366475B2 (en) Power control method and circuit, and power supply unit
JP4538349B2 (ja) 電源装置および電源システム
US20140312855A1 (en) Multi-purpose power management chip and power path control circuit
TWI362166B (en)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a slew rate of inrush current associated with a field-effect transistor
US10594216B2 (en) Configurable voltage drop compens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oltage regulators
JP2018160224A (ja) デュアル入力電力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958057B1 (ko) 정보 처리 장치
US9176556B2 (en) Serial bus voltage compensation
EP3098074A1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5181959B2 (ja) 直流電源装置および電源制御用半導体集積回路
KR100940028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 아이씨의 입력 전압 자동 조절장치
US20220163935A1 (en) Smart switch system
JP2007304986A (ja) 過電流制御回路
JP2013158211A (ja) 放電回路及び放電回路を備えた電源
KR20060090879A (ko) 전자장치
JP2008131716A (ja) 電源バックア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