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846B1 -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846B1
KR101957846B1 KR1020120085346A KR20120085346A KR101957846B1 KR 101957846 B1 KR101957846 B1 KR 101957846B1 KR 1020120085346 A KR1020120085346 A KR 1020120085346A KR 20120085346 A KR20120085346 A KR 20120085346A KR 101957846 B1 KR101957846 B1 KR 101957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bean
extract
soybean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8725A (ko
Inventor
심진섭
박준성
강영규
황경환
박준호
염명훈
조준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085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846B1/ko
Publication of KR20140018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8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꼬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양모 촉진용 또는 두피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condition of hair and scalp containing extract of soybean pod}
본 발명은 콩꼬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양모 촉진용 또는 두피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자연적 과정들을 통해 발생하거나, 암과 같은 증상들을 경감시키기 위해 고안된 특정 치료 약물의 사용을 통하여 화학적으로 촉진되는 문제이다. 이러한 탈모는 부분적 또는 완전한 대머리를 유발하는 모발 재성장의 결여를 수반한다.
최근 환경 오염, 스트레스, 다이어트, 피로, 올바르지 않은 식습관 등으로 인해 탈모증을 가진 현대인이 많아짐에 따라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탈모를 억제하고 육모를 촉진시키는 물질, 이를 위하여 두피를 보호할 수 있는 물질을 찾는 것이 당업계의 과제이었다.
본 발명자들은 콩꼬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탈모 방지 또는 양모 촉진 또는 두피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탈모 방지용 또는 양모 촉진용 또는 두피 보호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콩꼬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콩꼬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보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자극을 완화시켜 가려움을 해소하고 비듬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두피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낭 모두유 세포를 증식할 수 있고, 칼륨 이온 채널의 오프너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서, 양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탈모 방지 또는 양모 촉진 또는 두피 보호에 있어서 콩 추출물보다 더 우수한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천연물로부터 얻어지는 자연 유래의 추출물을 포함하여 생물체에 자극이 거의 없다.
본 명세서에서 '콩'은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의 콩은 서리태, 서목태, 흑태, 청태, 황태, 울타리콩, 강낭콩, 얼룩강낭콩, 적두, 거두, 콩나물콩 및 대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콩꼬투리'는 콩을 포함하고 있는 과각 (果殼), 즉, 콩을 둘러싸고 있는 껍데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콩꼬투리 추출물'은 추출과정에 있어서 예를 들면, 세척하고 건조시킨 콩꼬투리 또는 이를 세말화한 콩꼬투리 가루를 물 또는 유기용매에 넣고 추출하여 침적시킨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콩꼬투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원료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30~70% 농도의 에탄올을 사용한다. 상기에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은 이후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으로 상온에서 냉침, 가열 및 여과하여 액상물을 얻을 수 있으며, 또는 추가로 용매를 증발,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콩꼬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모발”은 체모와 두발을 총칭하는 것으로 헤어(hair)로도 기재될 수 있다. 상기 모발은 사람 및 동물의 것을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양모 촉진”은 새로운 모발의 생성을 촉진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존 모발이 굵고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고, 비듬을 감소시키고 피부 가려움을 완화시켜서 탈모를 방지하거나 양모를 촉진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모낭 모두유 세포를 증식시키거나 칼륨 이온 채널의 오프너로서, 칼륨 이온 채널을 활성화시켜서 탈모를 방지하거나 양모를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콩꼬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자극, 특히 피부 가려움을 완화시킬 수 있고, 비듬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의 가려움을 동반하는 아토피, 건선 등의 질병의 치료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의 콩 꼬투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콩꼬투리 추출물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탈모 방지 또는 양모 촉진 효과 또는 두피 보호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를 초과하면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5~9.5중량%, 0.01~9중량%, 0.03~8.5중량%, 0.05~8중량%, 0.07~7.5중량%, 0.09~7중량%, 0.1~6.5중량%, 0.3~6중량%, 0.5~5.5중량% 또는 0.7~5중량%의 콩꼬투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콩은 서리태 (Seoritae, Glycin max MERR), 서목태 (Seomoktae, Rhynchosia Nolubilis), 흑태 (Black soybean, Glycine max(L.) Merr.), 청태 (blue bean, Glycime max MERR ), 황태 (yellow bean, Glycime max MERR), 울타리콩 (field bean, Vicia faba), 강낭콩 (kidney bean, Phaseolus vulgaris), 얼룩강낭콩 (pinto bean, Phaseolus vulgaris L.), 적두 (small red bean, Vigna angularis), 거두 (small black bean, Phaseolus angularis W.F. WIGHT. ), 콩나물콩 (sprouting bean, Glycine max (L.) Merr.) 및 대두 (soybean, Glycine ma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두피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듬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샴푸, 린스, 헤어토닉, 포마드,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로션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각종 제형에 따라 또는 최종 목적에 적합하게 통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가종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화장료의 형태로 제형화 할 경우,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에센스 또는 팩 등의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제 혹은 비경구 투여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서는 정제, 환제, 과립제, 캡슐제, 산제, 세립제, 분제, 유탁제, 시럽제, 펠렛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 패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 성분은 투여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병리 상태 및 그 심각도,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용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1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 mg/kg/일 내지 50 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식품 첨가제 또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효유, 치즈, 요구르트, 주스, 생균제제, 정제, 과립제, 드링크제, 캐러멜, 다이어트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고, 통상적인 차 잎 형태나 티백 및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유화제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해초 엑기스 등의 보조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분들의 첨가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0.01~3 중량%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타블렛, 분말 등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단순 음용, 주사 투여, 스프레이 방식 또는 스퀴즈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제조예 1] 콩꼬투리 추출물의 제조
콩꼬투리 1.5 kg을 믹서기로 분쇄한 뒤 80% 에탄올 수용액 7 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콩꼬투리 추출물 252 g을 얻었다.
[ 비교예 1] 콩 추출물의 제조
콩 1.5 kg을 믹서기로 분쇄한 뒤 80% 에탄올 수용액 7 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콩 추출물 343 g을 얻었다.
[ 실시예 1~4 및 비교예 2, 3] 샴푸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 비율로 샴푸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계면활성제와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를 정제수에 첨가하여 80℃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교반하에 40℃까지 서서히 냉각시키고, 상기 혼합물에 본 발명에 따른 콩꼬투리 추출물과 방부제, 점도 조절제, 향료, 모발 컨디셔닝제를 투입하여 혼합한 후, 교반하에 실온까지 냉각시켜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2 비교예 3
라우릴황산암모늄 10 10 10 10 10 1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암모늄 5 5 5 5 5 5
코코아미도프로필베타인 2 2 2 2 2 2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1.5 1.5
코코일 모노에탄올아미드 0.8 0.8 0.8 0.8 0.8 0.8
콩꼬투리 추출물 1.0 2.0 3.0 5.0 - -
콩 추출물 - - - - 5.0 -
폴리쿼터늄-10 0.2 0.2 0.2 0.2 0.2 0.2
청색1호 0.0002 0.0002 0.0002 0.0002 0.0002 0.0002
황색4호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메칠파라벤 0.1 0.1 0.1 0.1 0.1 0.1
향료 0.8 0.8 0.8 0.8 0.8 0.8
구연산 0.1 0.1 0.1 0.1 0.1 0.1
디메치콘 1.0 1.0 1.0 1.0 1.0 1.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 시험예 1] 자극완화 효능시험
샴푸 자극에 의한 자극완화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쥐(mouse)를 이용한 MEST법을 응용하였으며,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6주령의 BALB/c mouse를 구입하여 10일간의 검역 및 적응 기간을 갖고 시험계를 구성하였다. 쥐의 복부 부위에 털을 제거하고, 2.5% 파라페닐렌디아민(Paraphenylenediamine;PPD)을 3~5일간 적용하였다. 1주일간 휴지기를 두고 난 후 샴푸를 쥐의 귀에 도포하고 30분 후에 닦아내었다. 다시 1주일의 휴지기를 가진 다음,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2, 3의 조성물을 1시간 간격으로 2회 적용하였다. 다시 샴푸를 도포하고 24시간 후에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2, 3 조성물을 2회 적용하였다. 24시간 후 귀의 무게를 측정하고, H&E 염색법에 의해 병리조직한 귀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귀 무게(mg) 귀 두께(μm)
실시예 1 9.83 ± 0.91 277.42 ± 24.52
실시예 2 9.61 ± 0.84 253.24 ± 22.61
실시예 3 9.22 ± 0.99 249.98 ± 24.32
실시예 4 8.16 ± 1.65 238.54 ± 29.85
비교예 2 12.90 ± 1.04 431.13 ± 5.473
비교예 3 14.90 ± 1.609 454.26 ± 11.583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4의 조성물로 전처리한 경우 귀 무게와 귀 두께가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에 비하여 실시예 1~4의 조성물로 처리한 경우 더 우수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모발 및 두피상태 개선용 조성물이 샴푸에 의한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2] 항비듬력 평가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2, 3의 항비듬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이때 시험 균주로는 비듬균인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orum Ovalae (ATCC 12078))를 사용하였다. 항균력 측정방법은 피부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였다. 피부 디스크 확산법(skin disc diffusion method; SDDM)은 소비자의 사용습관에 가장 근접한 방법으로, 사람 피부와 유사한 기니픽(guinea pig)의 피부를 대상으로 항균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기니픽 피부(guinea pig skin)를 벗긴 후 70% 에탄올을 처리하여 균일하게 펴 말린 후, 일정 크기로 절단된 피부 디스크를 사용하였다. 멸균 처리된 피부 디스크를 샴푸 희석용액에 3분 동안 담궈 두었다가, 흐르는 물로 세정하였다. 그런 다음, 피부 디스크를 시험균이 접종된 고체배지 위에 올려놓은 후 시험균을 배양하였다. 배양 후 균의 증식이 억제된 투명대(clear zone)의 크기를 측정하여 상대적인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치는 3회 측정한 결과의 평균값으로 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억제대 크기(mm)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2 비교예 3
비듬균 억제환 크기 3.2 3.5 4.5 4.9 1.1 0
상기 표 3을 보면,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3의 경우에는 비듬균 감소 효과가 없으나,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4의 경우에는 효과적으로 비듬균을 감소시켰다. 또한 비교예 2에 비하여 실시예 1~4의 경우 더욱 우수한 비듬균 감소 효과를 알 수 있었다.
[ 시험예 3] 비듬감소 효과 시험
비듬이 비교적 많은 19~35세의 남성 72명을 선정하여 각 실시예 1~4 및 비교예 2, 3의 샴푸에 대하여 12명씩 6개 그룹으로 1개월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하게 한 후 비듬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시험 개시전에 보통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세발 후 2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과 각 실시예 1~4 및 비교예 2, 3의 샴푸로 2일에 한번씩 세발하여 시험종료 후 2일간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때 누적된 비듬은 진공 흡입 장치로써 두피로부터 직접 채집하여,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비듬 감소율을 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112012062360464-pat0000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2 비교예 3
비듬감소율
(%)
56.18 74.66 78.65 84.74 6.74 0.7
71.3 60.59 82.32 86.42 8.55 -0.5
54.6 72.98 64.79 92.93 6.55 -1.1
54.29 63.63 86.73 79.91 6.51 1.5
62.27 55.55 83.79 73.71 7.47 2.2
71.93 68.15 75.29 86.42 8.63 1.3
52.61 63.11 69.3 78.96 6.31 6.3
71.19 66.05 66.57 79.07 8.54 3.6
55.97 67.52 78.96 89.78 6.71 3.3
63.11 59.64 82.53 90.41 7.57 4.6
64.47 69.83 78.12 84.42 7.73 3.7
54.39 73.92 70.14 79.49 6.52 4.2
평균값 61.03 66.30 76.43 83.86 7.32 2.48
SD 7.36 6.03 7.20 5.71 0.88 2.19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1~4의 경우 우수한 비듬방지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콩 추출물을 함유한 비교예 2에 비하여 더욱 우수한 비듬방지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4] 두피 가려움증 방지 효과 시험
비교적 두피 가려움을 심하게 느끼는 25세~45세의 남녀 72명을 선정하여 12명씩 6개 그룹으로 나누어 각 실시예 4 및 비교예 2, 3의 샴푸를 3일에 1회씩 2주간 사용하게 한 후 두피 가려움 방지 효과를 하기 평가기준을 통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매우 우수하다 - 5점
우수하다 - 4점
보통이다 - 3점
불량하다 - 2점
매우 불량하다 - 1점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2 비교예 3
두피의 가려움증 제거효과 3.3 3.5 4.1 4.8 2.5 2.3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1~4의 경우가 두피 가려움증을 방지하는데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콩 추출물을 함유한 비교예 2에 비하여 더욱 우수한 두피 가려움증 방지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5] 모낭 모유두 세포 증식 효과
모발을 구성하는 케라틴 단백질은 모근부 케라틴형성세포 (keratinocyte)에서 생성되며, 이 케라틴형성세포는 모유두 세포로부터 분화된다. 본 조성물의 모유두 세포를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DP6(rat immortalized dermal papilla cell) 세포주를 사용하였다(Wendy Filsell, Journal of Cell Science 107, 1761-1772 (1994)). 본 모유두 세포주는 수컷 PVG 래트 수염의 모근에서 현미해부(microdissection) 방법으로 분리하여 배양한 세포주이며, 10% FBS(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BRL, Gaithersburg, MD, USA)에서 5% CO2, 37℃가 유지되는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DP6을 96 웰 플레이트에 넣고 24시간 동안 37℃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본 콩꼬투리 추출물을 각각 10ppm, 50ppm및 100pp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약물 처리 24시간 경과 후에 WST-1 키트(Roche)를 사용하여 세포 증식능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세포 증식능(%)
무처리 대조군(Control) 100
콩꼬투리 추출물(10ppm) 112
콩꼬투리 추출물(50ppm) 127
콩꼬투리 추출물(100ppm) 148
콩 추출물(10ppm) 101
콩 추출물(50ppm) 105
콩 추출물(100ppm) 112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콩꼬투리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모유두 세포의 증식이 증가하며, 이는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 있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콩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보다 더욱 우수한 모유두 세포의 증식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6] 칼륨 이온 채널 활성 증가 효과 평가
탈모 치료제인 미녹시딜은 잠재적인 미토콘드리아 칼륨 이온 채널 오프너(KATP channel opener)로 알려져 있으며, 안드로겐성 탈모의 치료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약물이다. 이러한 미녹시딜의 기작을 평가하기 위해서 두피의 진피를 구성하는 섬유아 세포에서 KATP 채널을 막는 톨부타미드(SIGMA AlDRICH, T0891)를 처리하여 세포증식을 억제하고, 다시 칼륨 이온 채널을 열어 세포증식이 회복되는 시험법을 사용하였다.
본 조성물의 KATP 채널 오프너로서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섬유아세포주인 NIH3T3(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 line)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본 세포주는 NIH 스위스 마우스 배아(Swiss mouse embryo)에서 분리한 섬유아 세포주를 3T3 프로토콜로 자연 불멸화시킨 세포주이다. 상기 세포주는 10% FBS가 함유된 DMEM(Gibco BRL, Gaithersburg, MD, USA)에서 5% CO2, 37℃가 유지되는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NIH3T3을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24시간 동안 37℃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2.5mM 톨부타미드를 처리하고, 10분 뒤에 양성대조군인 미녹시딜 10μM과 콩꼬투리 추출물을 각각 10ppm, 50ppm 및 100ppm의 농도로 처리하며, 약물 처리 48시간 경과 후에 WST-1 키트(Roche)를 사용하여 세포 증식능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세포 증식능 (%)
무처리 대조군 (Control) 100
미녹시딜 133
콩꼬투리 추출물(10ppm) 114
콩꼬투리 추출물(50ppm) 123
콩꼬투리 추출물(100ppm) 135
콩 추출물(10ppm) 102
콩 추출물(50ppm) 105
콩 추출물(100ppm) 106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콩꼬투리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섬유아 세포의 증식이 회복되고, 세포 증식능이 처리한 콩꼬투리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함으로 알 수 있으며, 콩꼬투리 추출물을 100ppm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미녹시딜 수준으로 섬유아 세포의 증식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콩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콩꼬투리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더욱 우수한 섬유아 세포의 증식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5 및 비교예 4, 5]
하기 표 8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크림 제형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배합성분 실시예 5 비교예 4 비교예 5
Labrafac 23 23 23
Tween 80 10.5 10.5 10.5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4.0 4.0 4.0
스테아르산 7.0 7.0 7.0
세틸 알코올 2.0 2.0 2.0
프로필렌 글리콜 9.0 9.0 9.0
글리세롤 모노올리에이트 3.5 3.5 3.5
콩꼬투리 추출물 1 - -
콩 추출물 - 1 -
40 40 41
[ 시험예 7] 콩꼬투리 추출물의 양모 효과
ICR 마우스의 등의 털을 제모기로 제모한 후, 제모크림(비트크림)을 사용하여 털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대조군(normal군)을 제외한 다른 2개 군에 대해 1% DNCB로 200㎕씩 피부에 1일1회 도포하여 피부 염증을 3일간 유도 시켰다. 이 방법으로 피부염증을 유발함으로써 피부내 스트레스 조건을 설정하여 털의 생장을 최대로 저하시키고, 본 발명 조성물의 모발 재생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콩꼬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상기 실시예 5 및 비교예 2, 3의 크림을 처치하며, 처치일수에 따른 발모된 털의 길이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처치일수(일) 털 길이(cm)
실시예 5 처치 비교예 4 처치 비교예 5 처치
0 0.1 0.1 0.1
6 0.2 0.1 0.1
9 0.5 0.2 0.1
12 0.9 0.3 0.1
상기 표 9를 보면, 실시예 5의 크림 제형을 처치한 군의 털의 길이는 비교예 4, 5의 크림 기재를 처치한 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고, 처치 일수에 따라 길이가 증가하여 제12일째 되는 날의 경우 약 0.9cm 정도가 되어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4, 5의 크림 기재를 처치한 군에 비하여 실시예 5의 크림 기재를 처치한 군의 털의 길이가 더 길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콩꼬투리 추출물이 피부 스트레스 하에 형성된 모발 재생억제 조건하에서도 모발 재생을 촉진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콩꼬투리 추출물은 스트레스 하에서 탈모된 모발에 대한 재생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콩추출물에 비하여 콩꼬투리 추출물은 탈모된 모발에 대한 재생 기능이 더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 예를 설명하나,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연질캅셀제
콩꼬투리 추출물 150 mg, 팜유 2 mg, 팜경화유 8 mg, 황납 4 mg 및 레시틴 6 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캡슐당 400 mg씩 충진하여 연질캅셀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
콩꼬투리 추출물 150 mg, 포도당 100 mg, 홍삼추출물 50 mg, 전분 96 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4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4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로 타정하였다.
[제제예 3] 과립제
콩꼬투리 추출물 150 mg, 포도당 100 mg, 홍삼추출물 50 mg 및 전분 600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10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다음 포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1 g으로 하였다.
[제제예 4] 드링크제
콩꼬투리 추출물 150 mg, 포도당 10 g, 홍삼추출물 50 mg, 구연산 2 g 및 정제수 187.8 g을 혼합하고 병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용량은 200 ml로 하였다.
[제제예 5] 건강 식품의 제조
콩꼬투리 추출물 .............................. 1000 ㎎
비타민 혼합물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 ............................................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6] 건강 음료의 제조
콩꼬투리 추출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율을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콩꼬투리 추출물 0.1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콩꼬투리 추출물 0.1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영양크림
배합 성분 함량(중량%)
콩꼬투리 추출물 0.1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마사지 크림
배합 성분 함량(중량%)
콩꼬투리추출물 0.1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4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바세린 3.0
파라핀 1.5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팩
배합 성분 함량(중량%)
콩꼬투리 추출물 0.1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노닐 페닐에테르 0.4
폴리솔베이트 60 1.2
에탄올 방부제 6.0적량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6] 연고
배합 성분 함량(중량%)
콩꼬투리 추출물 0.1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7] 샴푸
배합성분 함량(중량%)
라우릴황산암모늄 1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암모늄 5
코코아미도프로필베타인 2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1.5
코코일 모노에탄올아미드 0.8
콩꼬투리 추출물 5.0
폴리쿼터늄-10 0.2
청색1호 0.0002
황색4호 0.0001
메칠파라벤 0.1
향료 0.8
구연산 0.1
디메치콘 1.0
to 100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콩꼬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듬개선 또는 두피 가려움증 개선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의 콩 꼬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콩은 서리태 (Seoritae, Glycin max MERR), 서목태 (Seomoktae, Rhynchosia Nolubilis), 흑태 (Black soybean, Glycine max(L.) Merr.), 청태 (blue bean, Glycime max MERR ), 황태 (yellow bean, Glycime max MERR), 울타리콩 (field bean, Vicia faba), 강낭콩 (kidney bean, Phaseolus vulgaris), 얼룩강낭콩 (pinto bean, Phaseolus vulgaris L.), 적두 (small red bean, Vigna angularis), 거두 (small black bean, Phaseolus angularis W.F. WIGHT. ), 콩나물콩 (sprouting bean, Glycine max (L.) Merr.) 및 대두 (soybean, Glycine ma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두피 자극을 완화시키는,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탈모 방지 또는 양모 촉진용인,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조성물.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식품 조성물인, 조성물.
KR1020120085346A 2012-08-03 2012-08-03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957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346A KR101957846B1 (ko) 2012-08-03 2012-08-03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346A KR101957846B1 (ko) 2012-08-03 2012-08-03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725A KR20140018725A (ko) 2014-02-13
KR101957846B1 true KR101957846B1 (ko) 2019-03-15

Family

ID=50266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346A KR101957846B1 (ko) 2012-08-03 2012-08-03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8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4119A (ja) * 1998-11-19 2000-06-06 Kureha Chem Ind Co Ltd 発毛育毛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2723A (ja) * 2003-12-01 2005-06-23 Shohachi Yashima 毛髪栄養液剤
KR100733841B1 (ko) * 2005-09-22 2007-07-03 이영진 탈모방지용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1205031B1 (ko) * 2010-01-04 2012-11-26 김영철 대두 메탄올을 이용한 육모 및 백모예방 개선제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4119A (ja) * 1998-11-19 2000-06-06 Kureha Chem Ind Co Ltd 発毛育毛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725A (ko)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07935B2 (ja) 皮膚外用剤
KR102175249B1 (ko) 인삼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42934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5356B1 (ko)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017197A (ko)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232310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20531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60040969A (ko) 알파인 웜우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957845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973638B1 (ko) 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38612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60040968A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957846B1 (ko)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52517B1 (ko)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564361B1 (ko) 진세노사이드 f5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63504B1 (ko) 가공한 인삼 및 녹차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3542700B2 (ja) 頭部用組成物
KR102101951B1 (ko)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67403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6002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30108010A (ko) 두피 보호 및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40076B1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보습 증진효과를 갖는 백양 상사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275550B1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20168041A (ko) 지루성 피부염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220168037A (ko) 지루성 피부염 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