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782B1 - 다목적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782B1
KR101957782B1 KR1020170162925A KR20170162925A KR101957782B1 KR 101957782 B1 KR101957782 B1 KR 101957782B1 KR 1020170162925 A KR1020170162925 A KR 1020170162925A KR 20170162925 A KR20170162925 A KR 20170162925A KR 101957782 B1 KR101957782 B1 KR 101957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ed
press
cap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887A (ko
Inventor
장창훈
Original Assignee
장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창훈 filed Critical 장창훈
Priority to PCT/KR2017/01416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13410A1/ko
Publication of KR20190006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82Details
    • A41D19/0093Retaining means, e.g. loops for hanging the gl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는 사용자가 고정 대상물을 착용할 때에는 고정 대상물에 결합된 상태로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고정 대상물에 결합되고, 고정 대상물이 건조될 때에는 펼쳐지거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 대상물에 결합된다. 이러한 다목적 고정 장치는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프레임, 하나의 고정돌기를 압입시키는 제 1 고정캡 및 다른 하나의 고정돌기를 압입시키는 제 2 고정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목적 고정 장치{MULTIPURPOSE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가 고정 대상물을 착용할 때에는 고정 대상물에 결합된 상태로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고정 대상물에 결합되고, 고정 대상물이 건조될 때에는 펼쳐지거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 대상물에 결합되는 다목적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방의 싱크대, 화장실의 세면대, 욕조 및 변기 등 물의 사용이 빈번한 장소는 물기를 충분히 건조시키지 않을 경우, 유해 미생물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 유해 미생물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것은 상기 장소에 한정되지 않는다. 주방에서 사용되는 고무장갑이나 물에 흠뻑 젖은 우비, 장화 등은 그 물기를 건조시키지 않으면, 상기 장소와 마찬가지로 유해 미생물에게 노출되어 유해 미생물이 서식하는 유해 미생물 서식지로 돌변할 우려가 있다. 진드기 및 곰팡이 등의 유해 미생물은 면역력이 약한 임산부, 노약자 및 영유아에게 특히나 조심해야할 대상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종래에는 고무장갑, 우비 및 장화 등 고정 대상물의 물기를 건조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고정 고리 등의 용품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용품은 고정 대상물의 끝단부만을 겨우 지지하였기 때문에 고정 대상물이 넓은 단면적으로 펼쳐지거나 차단된 공간이 개방되도록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고정 대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문헌(1) 내지 문헌(4)와 같이, 고리 구조를 포함한 선행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고정 대상물, 예컨대 고무장갑을 거치하는 구조만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고정 대상물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선행기술을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고정 대상물 중에서도 고무장갑은 사용자가 설거지와 청소 등 활발한 활동을 하게 되면, 고무장갑의 개방된 부분이 사용자의 신체부위에서 흘러내려, 물이나 세제가 고무장갑의 내부로 유입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종래의 선행기술이 이를 해결하지는 못 하였다.
따라서 고무장갑, 우비 및 장화 등 고정 대상물의 물기가 건조되도록 단면적을 넓히거나 차단된 공간이 개방되도록 함과 더불어, 사용자가 고정 대상물을 착용 시에도 물이나 세제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적용 가능한 다목적 고정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9399호(공고일자 2015년11월16일)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7078호(공고일자 2006년11월23일)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936호(공고일자 2013년09월12일)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386호(공고일자 2011년12월16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고정 대상물을 착용할 때에는 고정 대상물에 결합된 상태로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고정 대상물에 결합되고, 고정 대상물이 건조될 때에는 펼쳐지거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 대상물에 결합되는 다목적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다른 다목적 고정 장치는 프레임, 제 1 고정캡 및 제 2 고정캡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고정돌기가 전면에 형성된다. 제 1 고정캡은 흘러내림 방지를 위한 고정 대상물의 일측면에 하나의 상기 고정돌기가 밀착되게 위치하면, 하나의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 대상물의 타측면에 위치하여 하나의 상기 고정돌기를 중간에 압입시킨다. 제 2 고정캡은 상기 고정 대상물의 일측면에 다른 하나의 상기 고정돌기가 밀착되게 위치하면, 다른 하나의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 대상물의 타측면에 위치하여 다른 하나의 상기 고정돌기를 중간에 압입시킨다. 상기 제 1 고정캡은 적어도 2 개의 제 1 손잡이부 및 후크고리를 포함한다. 적어도 2 개의 제 1 손잡이부는 상기 제 1 고정캡의 둘레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후크고리는 상기 제 1 고정캡의 일측에 위치한다. 상기 프레임은 걸림돌기를 포함한다. 걸림돌기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하나의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제 1 고정캡의 중간에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고정캡이 회전하면, 적어도 2 개의 상기 제 1 손잡이부 사이에 형성된 사잇각만큼 상기 제 1 고정캡이 회전되도록 회전 범위를 제한한다.
상기 고정돌기는 연장부 및 압입부를 포함한다. 연장부는 상기 프레임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고정캡이 상기 고정 대상물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면, 외측면에 상기 고정 대상물을 위치시킨다. 압입부는 상기 연장부보다 넓은 단면적으로 상기 연장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고정캡의 중간에 압입되어 상기 고정 대상물을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에 위치시킨다. 상기 압입부의 둘레 방향에는 빗면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고정캡은 제 1 압입홀을 포함한다. 제 1 압입홀은 상기 제 1 고정캡의 중간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압입부를 압입시키고, 상기 압입부가 중간에 압입되면, 상기 연장부의 둘레면에 위치하여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에 위치한 상기 고정 대상물을 고정시킨다.
상기 제 2 고정캡은 제 2 압입홀을 포함한다. 제 2 압입홀은 상기 제 2 고정캡의 중간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압입부를 압입시키고, 상기 압입부가 중간에 압입되면, 상기 연장부의 둘레면에 위치하여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에 위치한 상기 고정 대상물을 고정시킨다.
상기 프레임의 일측단부에는 제 1 날개 및 제 2 날개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는 고정 대상물이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때에 고정 대상물에 결합되어 고정 대상물이 사용자의 신체부위 일부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 대상물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는 고정 대상물이 건조될 때에 고정 대상물에 결합되어 고정 대상물이 보다 넓은 단면적으로 펼쳐지거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건조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고정 대상물을 고정시키는 종래의 고정 고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가 고정 대상물에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게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벽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 상에 있어서 층과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 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 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미리 배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는 사용자가 고무장갑, 우비 및 장화 등 물에 노출되기 쉬운 고정 대상물을 착용할 때에는 고정 대상물에 결합된 상태로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제 1 고정캡(200)과 제 2 고정캡(300)이 고정 대상물을 사이에 두고 프레임(100)의 고정돌기(110) 각각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는 고정 대상물이 건조될 때에는 펼쳐지거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1 고정캡(200)과 제 2 고정캡(300)이 고정 대상물을 사이에 두고 프레임(100)의 고정돌기(110) 각각에 결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는 고정 대상물의 착용이나 고정 대상물의 건조, 즉 고정 대상물의 사용 상태에 따라 고정 대상물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는 프레임(100), 제 1 고정캡(200) 및 제 2 고정캡(300)을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일정 길이의 일자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며, 고정 대상물(1)을 사이에 두고 전면의 일부가 제 1 고정캡(200)과 제 2 고정캡(300)에 압입되어 고정 대상물(1)을 고정시킨다. 프레임(100)은 고정돌기(110)를 포함한다.
고정돌기(110)는 프레임(100)의 전면에 형성되고, 복수로 구비되어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복수의 고정돌기(110)는 고정 대상물(1)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제 1 고정캡(200)과 제 2 고정캡(300) 각각에 압입됨으로써, 고정 대상물(1)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돌기(110)는 적어도 2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개수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감이 가능하다. 이러한 고정돌기(110)는 연장부(111)와 압입부(112)를 포함한다.
연장부(111)는 프레임(100)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 1 고정캡(200)과 제 2 고정캡(300)이 고정 대상물(1)을 사이에 두고 고정돌기(110)와 결합되면, 연장부(111)의 외측면에 고정 대상물(1)을 위치시킨다.
압입부(112)는 연장부(111)의 일측에 위치한다. 또한 압입부(112)는 고정 대상물(1)을 제 1 고정캡(200)과 제 2 고정캡(300)의 사이에 두고 제 1 고정캡(200)과 제 2 고정캡(300) 각각의 중간에 압입되면, 제 1 고정캡(200)과 제 2 고정캡(300)이 일정 힘 미만에서는 고정돌기(1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제 1 고정캡(200)과 제 2 고정캡(300) 각각의 일측면을 지지하기 위해 단면적이 연장부(111)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압입부(112)의 둘레 방향에는 제 1 고정캡(200) 및 제 2 고정캡(300)에 용이하게 압입되기 위해 빗면(112a)이 형성된다. 즉, 빗면(112a)은 압입부(112)의 둘레 방향에 위치하고, 마치 원뿔 형태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로써, 압입부(112)는 빗면(112a)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제 1 고정캡(200)과 제 2 고정캡(300)에 압입 가능한 다른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물론 압입부(112)는 제 1 고정캡(200) 및 제 2 고정캡(300)과의 반복되는 결합 및 분리를 위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은 걸림돌기(140)와 방향표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140)는 프레임(100)의 일측에 위치하고, 프레임(1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돌기(140)는 복수의 고정돌기(110) 중 하나의 고정돌기(110)가 제 1 고정캡(200)의 중간에 압입된 상태에서 제 1 고정캡(200)이 회전하더라도 제 1 고정캡(200)의 둘레면 외측을 지지하여 제 1 고정캡(20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돌기(140)는 고정돌기(110)와 제 1 고정캡(200)의 사이에 끼움 고정된 고정 대상물(1)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방향표시(150)는 고정 대상물(1)이 다목적 고정 장치(10)에 끼움 고정될 때, 결합되는 방향이 혼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화살표 형태로 프레임(100)의 일측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프레임(100)의 타측면에는 다목적 고정 장치(10)의 회사 로고 또는 회사 홈페이지 주소를 표시하여 제품의 홍보를 도울 수도 있다.
제 1 고정캡(200)은 복수의 고정돌기(110) 중 하나의 고정돌기(110)를 중간에 압입시켜 고정 대상물(1)의 타측면 일부를 고정하고, 빨랫줄, 헹거 및 턱이 있는 물체 등의 건조대에 고정되어 다목적 고정 장치(10)에 결합된 고정 대상물(1)을 거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 1 고정캡(200)은 제 1 압입홀(210), 제 1 손잡이부(220) 및 후크고리(230)를 포함한다.
제 1 압입홀(210)은 제 1 고정캡(200)의 중간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돌기(110), 즉 압입부(112)가 압입되도록 한다. 또한 제 1 압입홀(210)은 압입부(112)가 중간에 압입되면, 연장부(111)의 둘레면에 위치하여 연장부(111)의 외측면에 위치한 고정 대상물(1)을 고정시킨다.
제 1 손잡이부(220)는 제 1 고정캡(200)의 둘레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압입부(112)가 제 1 압입홀(210)에 압입되거나 압입부(112)가 제 1 압입홀(210)에서 분리될 때에 제 1 압입홀(210)이 회전되도록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손잡이부(220)는 적어도 2 개 마련되어 2 개의 제 1 손잡이부(220) 사이 공간만큼 제 1 고정캡(200)이 회전 가능하도록 걸림돌기(140)에 의해 회전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즉, 제 1 손잡이부(220)는 2 개의 제 1 손잡이부(220) 사이에 형성된 사잇각만큼 제 1 고정캡(200)이 회전되도록 걸림돌기(140)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 대상물(1)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후크고리(230)는 제 1 고정캡(200)의 일측에 위치한다. 또한 후크고리(230)는 'S'자 형태로 굴곡지거나 'ㄱ'자 형태로 꺾인 형성되고, 건조대에 끼움 고정되어 다목적 고정 장치(10)에 끼움 고정된 고정 대상물(1)을 거치시킬 수 있다. 특히 'S'자 형태로 형성된 후크고리(230)는 건조대에 끼워지면, 일정 힘 이하에서는 건조대의 상측으로 다목적 고정 장치(10)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는 도 2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에 제 1 날개(120)와 제 2 날개(130)가 형성됨으로써, 고무장갑 등의 고정 대상물이 건조될 때에 고정 대상물의 내측면 양측을 지지하여 고정 대상물의 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는 도 2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와 동일한 구성과 동일한 부호를 갖되, 제 1 날개(120)와 제 2 날개(13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날개(120)는 프레임(100)의 상단 또는 하단의 일측단부에 프레임(100)과 수직 내지 일정 각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2 날개(130)는 연질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다목적 고정 장치(10)를 착용하더라도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 2 날개(130)는 제 1 날개(120)와 대칭되도록 프레임(100)의 일측단부에 프레임(100)과 수직 내지 일정 각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2 날개(130)는 제 1 날개와 마찬가지로, 연질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다목적 고정 장치(10)를 착용하더라도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는 제 1 날개(120) 및 제 2 날개(1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도 2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와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의 나머지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도 2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는 도 3에 나타낸 제 1 날개(120)와 제 2 날개(130)가 상호 밀착되거나 분리됨으로써, 용도에 따라 '1'자 혹은 'T'자 형태로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는 도 2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와 동일한 구성과 동일한 부호를 갖되, 도 2에 나타낸 제 1 날개(120) 및 제 2 날개(130)가 용도에 따라 '1'자 혹은 'T'자 형태로 형상이 변형되도록 하기 위해 제 1 날개(120) 및 제 2 날개(130) 각각의 세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날개(120)는 도 3에 나타낸 제 1 날개(12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를 갖되, 축 회전에 따라 프레임(100)과 수직 내지 일정 각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고정되거나 제 2 날개(130)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날개(120)는 회전축(121)과 제 1 자성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21)은 제 1 날개(120)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 1 날개(120)가 축 회전 가능하도록 프레임(100) 일측단부의 중심에 위치한다. 특히 회전축(121)은 제 2 날개(130)의 일측에 삽입 체결되어 제 2 날개(130)가 제 1 날개(120)와 더불어 축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제 1 자성체(122)는 제 1 날개(120)의 타측에 형성되고, 예컨대 자석과 같이 자기적인 성질을 띄는 자성을 갖는다. 제 1 자성체(122)는 회전축(121)이 축 회전함에 따라 제 2 날개(130)의 타측에 밀착되거나 제 2 날개(130)의 타측으로부터 분리되어 다목적 고정 장치(10)가 용도에 따라 '1' 자 혹은 'T'자 형태로 그 형상이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제 2 날개(130)는 도 3에 나타낸 제 2 날개(13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를 갖되, 축 회전에 따라 프레임(100)과 수직 내지 일정 각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고정되거나 제 1 날개(120)와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날개(130)는 회전홈(131)과 제 2 자성체(13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홈(131)은 제 2 날개(130)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 2 날개(130)가 축 회전 가능하도록 프레임(100) 일측단부의 중심에 위치한다. 특히 회전홈(131)은 내부에 회전축(121)이 삽입 체결되어 제 1 날개(120)와 더불어 제 2 날개(130)가 축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제 2 자성체(132)는 제 2 날개(130)의 타측에 형성되고, 제 1 자성체(122)와 인력이 발생되는 자성을 갖는다. 제 2 자성체(132)는 회전홈(131)이 회전축(121)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함에 따라 제 1 날개(120)의 타측, 즉 제 1 자성체(122)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자성체(132)는 축 회전에 따라 제 1 자성체(122)와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제 1 자성체(122)와 더불어 다목적 고정 장치(10)의 형상이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는 제 1 날개(120), 제 2 날개(130) 그리고 제 1 날개(120) 및 제 2 날개(130) 각각의 세부적인 구성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이 도 2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와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의 나머지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도 2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가 고정 대상물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가 고정 대상물에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는 고정 대상물(1)의 일측면과 타측면 각각을 고정하여 고정 대상물(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110)는 고정 대상물(1)의 일측면에 위치하여 고정 대상물(1)의 타측면 방향으로 밀착된다. 또한 제 1 고정캡(200)과 제 2 고정캡(300)은 고정 대상물(1)의 타측면에 위치하여 복수의 고정돌기(110) 각각을 압입시킨다. 따라서 고정 대상물(1)은 복수의 고정돌기(110)가 일측면에 위치하고, 복수의 고정돌기(110) 각각을 압입시키는 제 1 고정캡(200) 및 제 2 고정캡(300)이 타측면에 위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에 결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1 날개(120)와 제 2 날개(130)는 사용되는 상태에 따라 고정 대상물(1)의 입구를 개방시키거나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알맞게 휘어질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 1 날개(120) 및 제 2 날개(130)가 고정 대상물(1)에 위치하는 지점을 나타내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에 포함시켰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존재의 유무가 결정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의 사용 목적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는 사용자가 고정 대상물(1)을 착용할 때, 고정 대상물(1)의 일측면과 타측면 각각에 위치하여 고정 대상물(1)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목적 고정 장치(10)는 사용자의 팔(3)에 고정 대상물(1)이 착용되면, 사용자의 팔(3)에서 고정 대상물(1)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 대상물(1)의 펼쳐진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다목적 고정 장치(10)는 다른 실시예로써 제 1 날개(120)와 제 2 날개(130)가 제 1 자성체(122) 및 제 2 자성체(132)에 의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팔(3)이 움직이는 것에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는 물에 적셔진 고정 대상물(1)이 다목적 고정 장치(10)에 의해 그 형태가 유지되도록 고정되면, 후크고리(230)가 빨랫줄, 헹거 및 턱이 있는 물체 등 건조대(2)에 끼움 고정되어 고정 대상물(1)이 넓은 단면적을 유지함으로써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다목적 고정 장치(10)는 제 1 날개(120)와 제 2 날개(130)가 프레임(100)과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어 고정 대상물의 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다목적 고정 장치(10)는 고정 대상물(1)과 결합되는 위치가 고정 대상물(1)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경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고정 장치(10)는 물에 노출된 고정 대상물(1)의 단면적을 최대한 넓혀 그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고정 대상물(1)의 차단된 입구를 개방하여 건조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 된다.
10 : 다목적 고정 장치
100 : 프레임 200 : 제 1 고정캡
110 : 고정돌기 210 : 제 1 압입홀
111 : 연장부 220 : 제 1 손잡이부
112 : 압입부 230 : 후크고리
112a : 빗면 300 : 제 2 고정캡
120 : 제 1 날개 310 : 제 2 압입홀
130 : 제 2 날개 320 : 제 2 손잡이부
140 : 걸림돌기
150 : 방향표시
1 : 고정 대상물 2 : 건조대

Claims (5)

  1.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고정돌기가 전면에 형성된 프레임;
    흘러내림 방지를 위한 고정 대상물의 일측면에 하나의 상기 고정돌기가 밀착되게 위치하면, 하나의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 대상물의 타측면에 위치하여 하나의 상기 고정돌기를 중간에 압입시키는 제 1 고정캡; 및
    상기 고정 대상물의 일측면에 다른 하나의 상기 고정돌기가 밀착되게 위치하면, 다른 하나의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 대상물의 타측면에 위치하여 다른 하나의 상기 고정돌기를 중간에 압입시키는 제 2 고정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캡은,
    상기 제 1 고정캡의 둘레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2 개의 제 1 손잡이부; 및
    상기 제 1 고정캡의 일측에 위치한 후크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하나의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제 1 고정캡의 중간에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고정캡이 회전하면, 적어도 2 개의 상기 제 1 손잡이부 사이에 형성된 사잇각만큼 상기 제 1 고정캡이 회전되도록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프레임과 수직 내지 일정 각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제 1 날개 및 제 2 날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프레임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고정캡이 상기 고정 대상물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면, 외측면에 상기 고정 대상물을 위치시키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보다 넓은 단면적으로 상기 연장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고정캡의 중간에 압입되어 상기 고정 대상물을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에 위치시키는 압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입부의 둘레 방향에는,
    빗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고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캡은,
    상기 제 1 고정캡의 중간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압입부를 압입시키고, 상기 압입부가 중간에 압입되면, 상기 연장부의 둘레면에 위치하여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에 위치한 상기 고정 대상물을 고정시키는 제 1 압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고정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캡은,
    상기 제 2 고정캡의 중간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압입부를 압입시키고, 상기 압입부가 중간에 압입되면, 상기 연장부의 둘레면에 위치하여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에 위치한 상기 고정 대상물을 고정시키는 제 2 압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고정 장치.
  5. 삭제
KR1020170162925A 2017-07-11 2017-11-30 다목적 고정 장치 KR101957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14169 WO2019013410A1 (ko) 2017-07-11 2017-12-05 다목적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87817 2017-07-11
KR1020170087817 2017-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887A KR20190006887A (ko) 2019-01-21
KR101957782B1 true KR101957782B1 (ko) 2019-03-13

Family

ID=6527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925A KR101957782B1 (ko) 2017-07-11 2017-11-30 다목적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7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703Y1 (ko) 2000-02-11 2000-08-16 신정철 고무장갑 걸이 클립
JP3096211B2 (ja) * 1994-12-15 2000-10-10 コーセル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KR101480246B1 (ko) * 2013-09-06 2015-01-09 강한모 접이식 옷걸이
KR101569399B1 (ko) 2014-06-26 2015-11-16 김현구 주방용 고무장갑 걸이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078B1 (ko) 2004-12-31 2006-11-23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주방용품 거치대
KR200457386Y1 (ko) 2008-04-25 2011-12-16 신오성 고무장갑 걸이
KR200468936Y1 (ko) 2011-07-19 2013-09-12 안희덕 고무장갑걸이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211B2 (ja) * 1994-12-15 2000-10-10 コーセル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KR200191703Y1 (ko) 2000-02-11 2000-08-16 신정철 고무장갑 걸이 클립
KR101480246B1 (ko) * 2013-09-06 2015-01-09 강한모 접이식 옷걸이
KR101569399B1 (ko) 2014-06-26 2015-11-16 김현구 주방용 고무장갑 걸이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887A (ko) 201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67408A1 (en) Dry Cup
KR200489156Y1 (ko) 유아용 식탁 턱받이
US5778769A (en) Rice rinsing system
KR101957782B1 (ko) 다목적 고정 장치
US2131111A (en) Protective shield for kitchen sinks and the like
US6467105B1 (en) Drain stopper to soak feet in a tub and shower
US20090260199A1 (en) Sanitary Clip Assembly
JP6169349B2 (ja) スナップボタン
KR101288368B1 (ko) 거품을 형성하는 고무장갑
US20170127891A1 (en) Device for cleaning a slat of a shutter having a specific lateral profile
KR200485109Y1 (ko) 고무장갑용 속장갑
KR102403894B1 (ko) 영유아용 욕조
WO2019013410A1 (ko) 다목적 고정 장치
US20100107303A1 (en) Glove with stationary arrangement
JP5350877B2 (ja) ズボン
JP3214180U (ja) 固定用バンド
US20060105138A1 (en) Exercise apparatus towel cover
CN213640681U (zh) 一种简易式搓澡装置
JP3213976U (ja) 袖口濡れ防止腕カバー
US20120278988A1 (en) Bilaterally collapsible bathing receptacle
JP3022810U (ja) ビニール手袋及び靴下等の乾燥具
KR101648681B1 (ko) 고무장갑
KR200271348Y1 (ko) 미끄럼을 방지한 음용수컵 받침부재
JP6397749B2 (ja) バスボード
JP5001121B2 (ja) フット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