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761B1 -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 - Google Patents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761B1
KR101957761B1 KR1020180073949A KR20180073949A KR101957761B1 KR 101957761 B1 KR101957761 B1 KR 101957761B1 KR 1020180073949 A KR1020180073949 A KR 1020180073949A KR 20180073949 A KR20180073949 A KR 20180073949A KR 101957761 B1 KR101957761 B1 KR 101957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weight
rear end
delete delete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싱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싱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싱랩
Priority to KR1020180073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761B1/ko
Priority to PCT/KR2018/007331 priority patent/WO202000468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낚싯대 투척 시 낚싯대를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방출부재가 방출되도록 하여 낚싯대를 사용자의 몸쪽으로 잡아당기는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채비의 비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낚싯대의 후단에 결합되는 설치부재와, 상기 낚싯대의 투척 시 상기 설치부재의 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추가 구비되는 방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 {The butt cap of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싯대 투척 시 낚싯대를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방출부재가 방출되도록 하여 낚싯대를 사용자의 몸쪽으로 잡아당기는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채비의 비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싯대는 다수의 로드가 텔레스코프식으로 다단 중첩가능하게 연결되어 길이가 신장 또는 신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낚싯대의 로드들이 다단 중첩되는 상태에서는 가장 큰 직경을 가지는 로드의 후방단부를 통해 내부의 로드들이 이탈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로드가 다단 중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낚싯대의 후방단부에는 로드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낚싯대용 버트캡이 결합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174189호에는 낚싯대 로드들의 절첩시 후방으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한 낚싯대용 버트캡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의 끝단과 나사결합되고, 중앙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홀을 갖는 삽입캡과, 상기 낚싯대와 상기 삽입캡 사이에 삽입되어 방수역할을 하는 방수패킹과, 상기 삽입캡과 나사결합되도록 볼트가 돌출형성된 마감캡과, 상기 삽입캡과 상기 마감캡 사이에 위치되어 낚싯대의 무게 밸런스를 조절하는 조절와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버트캡이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낚싯대용 버트캡의 경우에는, 낚싯대와 분해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무게 밸런스도 조절할 수 있게 한 장점이 있었다.
한편, 물고기를 어획하기 위해서는 낚시대를 어군이 있는 위치로 멀리, 정확하게 던져야 하며, 이러한 투척 방식을 원거리 투척 낚시(이하, 원투낚시)라 한다.
이러한 원투낚시를 할 때에는 원거리로 투척할 수 있도록 낚싯대의 낚싯줄에 무거운 추를 달아 채비가 멀리까지 날아갈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채비를 보다 원거리로 투척하기 위해 무게추의 무게를 늘리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은 없었으며, 무게추의 무게를 늘리는 것에도 낚싯대의 로드에 따라 한계가 있어 투척 거리를 늘리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버트캡을 사용하는 경우, 버트캡에 따른 무게 증가에 따라 투척 거리가 다소 증가하기도 하지만, 단순히 고정된 무게추의 구조상 그 효과가 미비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20-0174189호 특허문헌 2: 등록특허 제10-10444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싯대 투척 시 낚싯대를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방출부재가 방출되도록 하여 낚싯대를 사용자의 몸쪽으로 잡아당기는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채비의 비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싯대의 후단에 연결 설치하여 낚싯대의 후단 웨이트를 증가시킴으로써 낚싯대 투척 시 비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낚싯대의 후단에 결합되는 설치부재와, 상기 낚싯대의 투척 시 상기 설치부재의 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방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설치부재는 내부에 상기 방출부재가 삽입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결합되고, 낚싯대의 후단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부재의 설치공간은 후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출부재는 상기 설치부재에 삽입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결합되도록 끼움구가 형성된 마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출부재는 몸체부의 내부에 유동가능하게 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출부재는 몸체부의 내부에 추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출부재는 내주면에 링 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어 추의 이동을 차단하는 이동방지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출부재의 내측에는 추의 전후방에 위치하도록 고무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마개부의 끼움구에는 결합링이 결합되고, 상기 설치부재의 본체부 후단에는 상기 결합링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낚싯대 투척 시 낚싯대를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방출부재가 방출되도록 하여 낚싯대를 사용자의 몸쪽으로 잡아당기는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채비의 비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낚싯대의 후단에 연결 설치하여 낚싯대의 후단 웨이트를 증가시킴으로써 낚싯대 투척 시 비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낚싯대 투척 시 낚싯대를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방출부재가 방출되도록 하여 낚싯대를 사용자의 몸쪽으로 잡아당기는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채비의 비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싯대(10)의 후단에 결합되는 설치부재(110)와 상기 설치부재(110)의 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방출부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설치부재(110)는 내부에 상기 방출부재(120)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설치공간(112a)이 형성되는 본체부(112)와, 상기 본체부(112)의 전방에 결합되고, 낚싯대(10)의 후단에 결합되도록 전방에 나사부(114a)가 형성되는 연결부(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부(114)의 후단에는 돌출구가 형성되어 본체부(112)의 내측에 나사결합되거나 억지끼움 등 공지의 방법에 의해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방출부재(120)는 상기 설치부재(110)에 삽입되는 몸체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22)의 후단에 결합되는 끼움구(124a)가 형성된 마개부(124)가 구비되어, 설치부재(110)에 일정길이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122) 및 마개부(124)의 끼움구(124a)는 서로 나사결합 또는 억지끼움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설치부재(110)의 설치공간(112a)은 후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방출부재(120)의 몸체부(122)는 외경이 상기 설치공간(112a)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후단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112a)의 후단부 내경이 몸체부(122)의 전단부 외경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방출부재(120)가 상기 설치부재(110)로부터 일정길이 이상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100)는 상기 낚싯대(10)의 후단에 연결부(114)의 나사부(114a)가 삽입되어 체결되고, 본체부(112)의 연결부(114)측 관통부를 통해 설치공간(112a)에 상기 방출부재(120)의 몸체부(122)를 삽입하고, 상기 본체부(112)에 연결부(114)를 결합하며, 상기 몸체부(122)의 후단에 마개부(124)를 결합하여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100)에 따르면, 낚싯대(10)를 캐스팅할 때, 낚싯대(10)의 후단에 결합되는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100)의 무게에 의해 낚싯대 후단에 작용하는 힘이 증가하여 낚싯대(10) 투척 시 낚싯대 전방에 구비되는 채비의 비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100)에 의하면, 캐스팅동작에 의해 낚싯대(10)가 회전함에 따라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100)의 방출부재(120)가 설치부재(110)로부터 일정길이 방출되며 낚싯대(10)의 후방측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어 그 반작용으로 채비의 비거리를 보다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100)는 사용하지 않을 때 방출부재(120)가 상기 설치부재(110)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출부재(120)의 마개부(124)의 끼움구(124a)에 결합되는 결합링(128)을 구비하고, 상기 설치부재(110)의 본체부(112)의 후단에는 상기 결합링(128)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결합구(112b)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링(128)은 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112b)는 상기 결합링(128)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방출부재(120)를 설치부재(110) 내측으로 최대한 밀어넣어 결합링(128)이 결합구(112b)에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된 상태가 되어 방출부재(120)가 방출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마개부(124)의 전단 및 설치부재(110)의 본체부(112) 후단에 서로 대응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미도시)를 각각 형성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사용할 때에는 체결부(미도시)간의 체결을 해제하여 방출부재(120)가 방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설치부재(110)의 연결부(114)에는 상기 설치공간(112a)과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관통공(114b)이 형성되어 상기 방출부재(120)가 방출될 때 설치부재(110)의 설치공간(112a) 내부에 공기압이 유지되도록 하여 방출부재(120)의 원활한 방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설치부재(110)의 나사부(114a)에 관통공(114b)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설치부재(110)의 설치공간(114) 내부압력에 의해 낚싯대(10) 캐스팅 시 방출부재(120)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방출부재(120)가 방출된다하더라도 방출부재(120)의 방출 시 설치부재(110)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설치부재(110)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인데 비해, 나사부(114a)의 전단면에 관통공(114b)을 형성하여 낚싯대(10)와 설치부재(110)의 설치공간(112a)이 서로 연통되어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방출부재(120)의 방출 시 설치부재(110)의 설치공간(112a) 내부로 낚싯대(10)측의 공기가 유입되며 설치공간(112a) 내부압력이 유지되어 방출부재(120)의 방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설치부재(110)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방출부재(120)는 내부에 추(126)가 구비되어 무게를 증가시킴으로써 방출부재(120)의 방출 시 작용하는 힘을 보다 증가시켜 채비의 비거리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추(126)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출부재(120)의 몸체부(122) 내부에 유동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고,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22)의 내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며,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래서, 추(126)가 유동식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캐스팅동작에 따라 상기 추(126)가 상기 몸체부(122)의 후단측으로 이동하며 방출부재(120)가 설치부재(110)의 후방으로 방출될 때 더욱 큰 힘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추(126)가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출부재(120')의 내주면 추(126)의 전방에 링 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이동방지구(122a)를 형성하여 이동방지구(122a)에 의해 추(126)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100")의 방출부재(120")의 내측에 상기 추(126)의 전후방에 고무링(129)을 구비하여 추(126)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추(126)는 상기 방출부재(120)의 내측 후방에 나사 결합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접착 설치되는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100,100',100")에 의하면, 낚싯대(10) 투척 시 낚싯대(10)를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방출부재(120,120',120")가 방출되도록 하여 낚싯대(10)를 사용자의 몸쪽으로 잡아당기는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그 반작용으로서 채비의 비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낚싯대(10)의 후단 웨이트를 증가시킴으로써 낚싯대(10) 투척 시 비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싯대 투척 시 낚싯대를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방출부재가 방출되도록 하여 낚싯대를 사용자의 몸쪽으로 잡아당기는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채비의 비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에 관한 것이다.
10: 낚싯대 100,100',100":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
110: 설치부재 112: 본체부
112a: 설치공간 112b: 결합구
114: 연결부 114a: 나사부
114b: 관통공 120,120',120" 방출부재
122: 몸체부 124: 마개부
124a: 끼움구 126: 추
128: 결합링 129: 고무링

Claims (10)

  1. 낚싯대의 후단에 결합 설치되어 낚싯대 투척 시 채비의 비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에 있어서,
    내부에 후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설치공간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결합되고, 낚싯대의 후단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설치부재와,
    상기 설치부재의 설치공간에 삽입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유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낚싯대 투척 시 상기 몸체부의 전단측에서 후단측으로 이동하는 추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결합되도록 끼움구가 형성된 마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낚싯대 투척 시 낚싯대를 회전시키는 힘에 의해 상기 설치부재의 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되어 채비의 비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설치공간과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방출부재의 방출 시 설치공간의 내부로 낚싯대 측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설치공간 내부압력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마개부의 끼움구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결합링이 결합되고, 상기 설치부재의 본체부 후단에는 상기 결합링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결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73949A 2018-06-27 2018-06-27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 KR101957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949A KR101957761B1 (ko) 2018-06-27 2018-06-27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
PCT/KR2018/007331 WO2020004687A1 (ko) 2018-06-27 2018-06-28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949A KR101957761B1 (ko) 2018-06-27 2018-06-27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761B1 true KR101957761B1 (ko) 2019-03-15

Family

ID=6576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949A KR101957761B1 (ko) 2018-06-27 2018-06-27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7761B1 (ko)
WO (1) WO20200046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09410A (zh) * 2021-11-29 2022-02-08 陈光伟 一种可分离式的鱼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04852C1 (ru) * 2019-02-07 2019-10-31 Игорь Нажмитдинович Багаутдин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алансировки рыболовного удилищ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9396A (ja) * 1998-04-24 1999-11-02 Shimano Inc 釣 竿
KR200174189Y1 (ko) 1999-09-02 2000-03-15 신우상사주식회사 낚시대의 버트캡
JP2003038071A (ja) * 2001-07-30 2003-02-12 Shimano Inc 釣 竿
KR101044484B1 (ko) 2008-12-22 2011-06-27 김진동 릴 낚싯대의 웨이트 밸런스 캡
KR20160062969A (ko) * 2014-11-26 2016-06-03 주식회사유정피싱 릴낚시대용 가변형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를 포함하는 릴낚시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6008Y2 (ja) * 1990-03-27 1997-02-12 株式会社シマノ 伸縮式元竿構造
JP4068388B2 (ja) * 2002-02-07 2008-03-26 メガバス株式会社 釣り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9396A (ja) * 1998-04-24 1999-11-02 Shimano Inc 釣 竿
KR200174189Y1 (ko) 1999-09-02 2000-03-15 신우상사주식회사 낚시대의 버트캡
JP2003038071A (ja) * 2001-07-30 2003-02-12 Shimano Inc 釣 竿
KR101044484B1 (ko) 2008-12-22 2011-06-27 김진동 릴 낚싯대의 웨이트 밸런스 캡
KR20160062969A (ko) * 2014-11-26 2016-06-03 주식회사유정피싱 릴낚시대용 가변형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를 포함하는 릴낚시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09410A (zh) * 2021-11-29 2022-02-08 陈光伟 一种可分离式的鱼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04687A1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761B1 (ko) 낚싯대용 임팩트 웨이트
US7775918B2 (en) Soft projectile
EP1630517A2 (en) Toy projectile
US8007382B1 (en) Expandable arrow broadhead with two-piece folding cutting blades
US3945642A (en) Arrow
US6454623B1 (en) Ring wing toy
US20060179631A1 (en) Automatic suction and repelling device for rivet gun
EP0531386A1 (en) NOCK ADAPTER.
CA2628496A1 (en) Rear mounted penetration limiter for bow-fired projectiles
US20160339315A1 (en) Game system including ring on a string and target
US3693275A (en) Fishing lure
US20070142137A1 (en) Electronic game tracking system
US5919105A (en) Arrow nock system
US4274220A (en) Fishing lure
US5830029A (en) Toy bow-in-arrow bubble shooter system
US4978130A (en) Dart flight rotation shaft and flight rotation shaft assembly
US8123637B1 (en) Stun projectile for a blow gun
WO2006091232B1 (en) A finless training projectile with improved flight stability over an extended range
US5465980A (en) Arrow with deployable snare
JP5497670B2 (ja) 航空機チャフ散布器及び航空機
US20150157001A1 (en) Long-distance delivery system for fishing devices
US20140357382A1 (en) Reversible Expandable Baton
US20190154419A1 (en) Dart having a latched stabilizer for blowgun
US9827468B2 (en) Anchor fitting for hollow ball
US6199313B1 (en) Mechanical clicking we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