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607B1 - Test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Test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607B1
KR101957607B1 KR1020170158186A KR20170158186A KR101957607B1 KR 101957607 B1 KR101957607 B1 KR 101957607B1 KR 1020170158186 A KR1020170158186 A KR 1020170158186A KR 20170158186 A KR20170158186 A KR 20170158186A KR 101957607 B1 KR101957607 B1 KR 101957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information
module
result
managem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1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기
Original Assignee
김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기 filed Critical 김현기
Priority to KR1020170158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60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6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7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quality surveillance of prod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management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system capable of integrated management and operation control to easily register and use test information of tests taken at institutions, schools, research institutes, and companies during various tes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st management system comprises: a terminal unit to input and output information of a test to allow a plurality of users to take and operate the test and check information; and a main server unit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via a network to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of the test by cloud-based operation. The test management system can easily manage information of a tester. Also, information of a test source can be easily managed. Also, information of test results can be easily managed. Also, test-related full information can be easily accessed and used.

Description

시험 관리 시스템{Test management system}Test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시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시험(TEST) 시, 기관, 학교, 연구소, 회사 등에서 실시하는 시험의 시험정보 등록 및 활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통합 관리 및 운영제어가 가능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management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grated management and operation control system capable of easily registering and utilizing test information of an examination conducted at an institution, a school, a laboratory, Lt; / RTI >

일반적으로, 연구소를 보유한 기관이나 회사 등은 시험과정 및 시험결과에 대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Generally, institutions or companies with institutes require management of test procedures and test results.

또한,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는 소재에 대한 시험 시, 다양한 품질 기준 정보 요구 및 환경 관련 법 준수에 대한 요구가 증가 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various quality standard information requirements and compliance with environment-related laws when testing various materials.

하지만, 시스템 구축 시, 높은 도입비용으로 인해 실시가 어려운 상황이라 할 수 있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system because of high introduction cost.

이에 따라, 시험정보 관리 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의 플랫폼으로 구축하여 연구소를 보유한 기관 및 회사 등의 중소업체로 하여금 저렴한 비용으로 시험정보 관리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an be constructed as a cloud-based platform, and it can be a basis for establish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 tes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an be used at a low cost by a small company such as an institution or a company having a research institute.

상기와 같은 시스템이 필요한 이유는, 산업이 성장하여 성숙기 또는 포화기에 접어들어 품질에 대한 소비자들의 눈높이가 더욱 높아짐에 따라 제조사들 간의 품질 경쟁이 심화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제품 기능 및 품질에 대한 관리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The reason why the above-mentioned system is necessary is that as the industry grows and matures or saturates, the quality of the consumers becomes higher and the quality competition among the manufacturers becomes more intense. It is strengthening.

또한, 이러한 사회적 추세에 따라 현대/기아 자동차등 글로벌 업체의 경우 기술 5Star, 품질 5Star등 자체 품질 관리 기준을 만들어 협력업체로 자동 전이하여 품질에 대한 판정의 근거가 되는 제품 시험 결과에 대한 전산화를 요청하고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social trend, global companies such as Hyundai / Kia Motors have established their own quality control standards such as 5Star and 5Star, and they are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a partner company to request computerization of product test results .

하지만 상대적으로 자본력이 약한 2, 3차 중소기업의 경우 제품 시험 결과에 대한 전산 환경 구축에 대하여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시험 결과를 엑셀이나 워드 등 Off-Line 문서로 관리하고 있어 시험 데이터의 손/망실 및 보안에 대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econd and third SMEs, which have relatively low capital strength,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the computer environment for the product test results. The test results are managed as off-line documents such as Excel and Word, And are exposed to security risks.

또한, 환경 및 안전 관리 기준 강화로 인해, 미세먼지, 수질 오염 등 심각한 환경 관련 문제가 국제적인 이슈로 부각되며 글로벌 규약 체계 신설 등 환경 개선을 위한 지구촌의 노력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strengthening of environmental and safety management standards,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fine dust and water pollution are becoming an international issue, and global efforts to improve the environment,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 global code system, are continuously required.

이에 따라, 우리 정부도 환경 관련 규제 및 검사 법안을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개정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감시 및 보완 정책을 펼치고 있는 실정이다.As a result,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actively monitoring and supplementing various industry sectors by revising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inspection laws more systematically and specifically.

1차 원재료를 수입하여 가공 제품을 주력으로 하는 우리나라 중소업체의 경우 정부의 감사 및 현장 조사에 대응하기 위한 시험 결과를 보관하여야 하나 시험 결과 데이터 손/망실로 인하여 피해를 입는 경우가 빈번하며, 필요에 따라 재 시험 등의 인적, 물적 자원에 대한 손실이 발생한다.In case of Korea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hich mainly import raw materials and processing products, it is necessary to keep the test results in order to respond to the audit and field survey by the government. However, , There is a loss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such as retest.

따라서 저 비용 고 효율의 시험 관리 체계 도입 필요하다. 이러한 중,소 업체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체계적이며 표준화된 시험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SAAS 기반의 혁신적인 저비용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중소 업체로 하여금 저렴한 비용으로 시험관리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est management system with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small companies, we developed a systematic and standardized test management system and provided innovative and low cost customized services based on SAAS, thereby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SMEs can use test management system at low cost .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테스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5912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테스트의 범위가 한정적이고, 적용범위가 넓지 않아 실질적으로 적용되는 시험 과정 및 시험결과에 대한 관리 시스템으로 사용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Regarding the related art, a 'tes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35912. However, since the scope of the test is limited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s not so wide, There is a problem of lack of usability as a management system for process and test result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5912호 (2013.12.02)Korean Patent No. 10-1335912 (December 3, 201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험기의 정보 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easily managing information of a tester.

또한, 본 발명은 시험원의 정보 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that facilitates information management of a test center.

또한, 본 발명은 시험 결과의 정보 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easily managing information of a test result.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운영 서버에 의해, 시험 관련 전방위적 정보를 용이하게 접근 및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by which a cloud operating server can easily access and utilize omnidirec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a tes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here,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따른 시험 관리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가 시험의 실시, 운영, 정보확인을 실시할 수 있도록 시험의 정보를 입력 및 출력을 실시하는 단말부 및 상기 단말부에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클라우드 기반의 운영을 통해 상기 시험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를 실시하는 메인서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es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s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erminal unit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test information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can conduct tests, And a main server unit connected to the network through the network for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of the test through cloud-based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시험 관리 시스템은, 시험기의 정보 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es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acilitating the information management of the tester.

또한, 시험원의 정보 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management of the test center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시험 결과의 정보 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re is an effect that information management of the test result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클라우드 운영 서버에 의해, 시험 관련 전방위적 정보를 용이하게 접근 및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loud operating server can easily access and utilize omnidirec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te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관리 시스템의 메인서버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 관리 시스템의 메인시험관리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관리 시스템의 기준정보관리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관리 시스템의 시험관리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 관리 시스템의 시험결과조회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 관리 시스템의 결과활용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관리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관리 시스템의 결과등록관리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 관리 시스템의 시험결과관리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 관리 시스템의 결과시스템관리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of a tes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of a main server unit of a tes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of a main test management module of a tes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reference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of the tes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of a test management module of the tes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of a test result inquiry module of the tes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of a result utilization module of the tes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management module of the tes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result registration management module of the tes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test result management module of the tes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of a result system management module of the tes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시험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가 시험의 실시, 운영, 정보확인을 실시할 수 있도록 시험의 정보를 입력 및 출력을 실시하는 단말부(100) 및 상기 단말부(100)에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클라우드 기반의 운영을 통해 상기 시험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를 실시하는 메인서버부(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es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unit 100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test information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can conduct tests, And a main server unit 1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100 via a network and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of the test through cloud-based operation.

먼저, 상기 단말부(100)는, 복수의 사용자가 시험의 실시, 운영, 정보확인을 실시할 수 있도록 시험의 정보를 입력 및 출력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된다.First, the terminal unit 100 is provided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can input and output information of the test so that the test can be performed, operated, and confirmed.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부(100)는, 관리자단말부, 연구원단말부, 시험원단말부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erminal unit 100 may include an administrator terminal unit, a researcher terminal unit, and a test center terminal unit.

상기 관리자단말부는, 상기 시험의 관리를 실시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부(100)로 데스크탑, 모바일단말기, 테블릿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정보의 생성 및 운영을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된다.The administrator terminal un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generate and operate information using one of a desktop, a mobile terminal, and a tablet in a terminal unit 100 used by a user who manages the test.

상기 연구원단말부는, 시험의 실시 및 시험의 결과를 분석할 수 있도록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부(100)로 데스크탑, 모바일단말기, 테블릿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정보의 생성 및 정보의 이용을 실시할 수 있고, 그 외 다양하게 마련되는 시험기가 상기 연구원단말부로 사용되어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출할 수 있게 마련된다.The researcher terminal unit uses the desktop,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ablet as the terminal unit 100 used by the user for research purposes so as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test and the test, And a variety of other testing apparatuses can be used as the researcher terminal unit to directly generate and transmit data.

상기 시험원단말부는, 시험의 실시를 주로 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부로 데스크탑, 모바일단말기, 테블릿 중 하나를 이용하여 정보의 생성 및 정보의 이용을 실시할 수 있고, 그 외 다양하게 마련되는 시험기가 상기 시험원단말부로 사용되어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출할 수 있게 마련된다.The test center terminal unit can generate information and use information by using one of a desktop, a mobile terminal, and a tablet as a terminal unit used by a user who mainly performs tests, and a variety of other test apparatuses And is used as the test terminal unit to directly generate and transmit data.

상기 단말부는, 상기 관리자단말부, 연구원단말부, 시험원단말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고, 생성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erminal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dministrator terminal unit, the researcher terminal unit, and the test center terminal unit, and may be configured to check the generated information in real time.

상기 관리자단말부, 연구원단말부, 시험원단말부는 기설정되어져 부여되는 권한에 의해 관리되고, 승인 시, 승인되는 조건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The administrator terminal unit, the researcher terminal unit, and the test center terminal unit can be managed according to a preset authority granted, and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pproved conditions upon approval.

다음으로, 상기 메인서버부(1)는, 상기 단말부에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클라우드 기반의 운영을 통해 상기 시험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를 실시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main server unit 1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via a network, and is capable of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of the test through cloud-based operation.

상기 메인서버부(1)는, 상기 단말부로부터 생성되는 정보를 저장 후, 모듈별로 분류하여 기설정된 명령에 의해 상기 정보를 운영한다.The main server unit 1 stores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terminal unit, classifies the information into modules, and operates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mand.

이때, 상기 메인서버부(1)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운영되며, 상기 단말부의 요청에 의해 정보의 공유가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main server unit 1 is operated in a cloud-based manner and information can be shared by the terminal unit.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서버부(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시험관리모듈(10) 및 결과등록관리모듈(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main server unit 1 includes a main test management module 10 and a result registration management module 20, as shown in FIG.

먼저, 상기 메인시험관리모듈(10)은, 클라우드 기반으로 상기 시험을 운용할 수 있게 마련된다.First, the main test management module 10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test on a cloud basis.

상기 메인시험관리모듈(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정보관리모듈(11), 시험관리모듈(12), 시험결과조회모듈(13), 결과활용모듈(14), 시스템관리모듈(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3, the main test management module 10 includes a reference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1, a test management module 12, a test result inquiry module 13, a result utilization module 14, And a module 15.

상기 기준정보관리모듈(11)은, 시험기, 시험법, 시험원, 공통코드 및 시험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된다.The reference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1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control information on a testing machine, a test method, a test center, a common code, and a test product.

구체적으로, 상기 기준정보관리모듈(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기관리모듈(111), 시험법관리모듈(112), 시험원관리모듈(113), 공통코드관리모듈(114), 시험제품관리모듈(1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4, the reference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1 includes a tester management module 111, a test method management module 112, a test center management module 113, a common code management module 114, , And a test product management module (115).

먼저, 상기 시험기관리모듈(111)은, 시험을 실시할 수 있는 시험기의 운용을 위한 정보와 검정 및 교정을 위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First, the tester management module 111 can manage information for operation of the tester capable of performing tests and information for calibration and calibration.

상기 시험기관리모듈(111)은, 상기 시험기와 관련된 정보라면 어떠한 정보라도 저장되어 요청 명령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ester management module 111 preferably stores any information related to the tester and is controlled by a request command.

다음으로, 상기 시험법관리모듈(112)은, 각 시험방법의 정보를 운용한다.Next, the test method management module 112 operates the information of each test method.

또한, 상기 시험법관리모듈(112)은, 상기 시험기에 따른 시험법의 정보를 운용할 수 있다. Also, the test method management module 112 can operate the information of the test method according to the tester.

다음으로, 상기 시험원관리모듈(113)은, 시험을 실시하는 시험원의 정보를 운용한다.Next, the test center management module 113 operates the information of the test center performing the test.

상기 시험원관리모듈(113)은, 시험원의 추가 및 제외를 실시할 수 있고, 각 시험원의 담당 시험기, 시험주제, 시험법 등을 매칭하여 정보를 운용할 수 있다.The test center management module 113 can add and exclude test centers, and can operate information by matching test machines, test subjects, test methods, and the like of each test center.

다음으로, 상기 공통코드관리모듈(114)은, 시험의 측정 항목, 시험조건 등 시험과 관련된 세부조건에 해당하는 항목을 코드화 하여 상기 코드의 정ㅈ보를 운용한다.Next, the common code management module 114 codes the items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conditions related to the test such as the test items, the test conditions, and the like, and operates the code information of the codes.

다음으로, 상기 시험제품관리모듈(115)은, 시험을 실시하는 대상의 제품 및 소재에 대한 정보를 운용한다.Next, the test product management module 115 manages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s and materials to be tested.

다음으로, 상기 시험관리모듈(12)은, 시험의뢰, 시험접수 및 접수완료 건에 대한 시험배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어가능하게 마련된다.Next, the test management module 12 is controllably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perform test assignment for the test request, test acceptance, and acceptance completion.

구체적으로, 상기 시험관리모듈(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의뢰모듈(121), 시험접수모듈(122), 작업배정모듈(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5, the test management module 12 includes a test request module 121, a test acceptance module 122, and a task assignment module 123, as shown in FIG.

먼저, 상기 시험의뢰모듈(121)은, 각 시험에 대한 시험 의뢰 명령 정보를 수집하여 시험 의뢰 정보를 생성한다.First, the test request module 121 collects test request command information for each test and generates test request information.

다음으로, 상기 시험접수모듈(122)은, 상기 시험 의뢰 시, 의뢰된 상기 시험을 접수를 위한 명령 정보를 생성한다.Next, the test acceptance module 122 generates command information for accepting the requested test at the time of the test request.

다음으로, 상기 작업배정모듈(123)은, 상기 시험의 접수 시, 상기 시험의 대상이 될 수 있는 시험기, 시험원, 시험법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험 작업의 배정을 위한 명령 정보를 생성한다.Next,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test, the task assignment module 123 generates command information for assignment of the test work based on the data of the tester, the test center, and the test method that can be the object of the test.

다음으로, 상기 시험결과조회모듈(13)은, 단위시험, 종합시험에 대한 결과를 조회하고, 시험상태를 워크플로우 형태로 제어하며, 시험의 진행 대장을 조회하고, 시험의뢰 및 실적을 조회하고, 시험기 및 시험원의 수행실적을 조회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test result inquiry module 13 inquires the result of the unit test and the comprehensive test, controls the test state in the form of a work flow, inquires the progress lead of the test, , Tester, and test center.

구체적으로, 상기 시험결과조회모듈(1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보고서모듈(131), 종합보고서모듈(132), 워크플로우관리모듈(133), 시험대장모듈(134), 시험실적표모듈(135), 실적모듈(1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6, the test result inquiry module 13 includes a unit report module 131, a comprehensive report module 132, a workflow management module 133, a test ledger module 134, A test result table module 135, and a performance module 136. [

먼저, 상기 단위보고서모듈(131)은, 시험 시, 개별 단위로 발생되는 시험에 대한 결과를 조회할 수 있다.First, the unit report module 131 can inquire results of tests generated in individual units at the time of testing.

다음으로, 상기 종합보고서모듈(132)은, 상기 개별 단위로 발생되는 시험에 대한 결과를 종합하여 종합 시험 결과에 대한 결과 정보를 생성 및 조회할 수 있다.Next, the comprehensive report module 132 can generate and inquire result information on the comprehensive test results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the tests generated in the individual units.

다음으로, 상기 워크플로우관리모듈(133)은, 상기 시험 진행 시, 시험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워크플로우(work flow)형태의 정보를 생성하여 운용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workflow management module 133 is configured to generate and operat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work flow in the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test process.

다음으로, 상기 시험대장모듈(134)은, 상기 시험의 진행 대장을 조회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test colon module 134 is arranged to inquire the progress register of the test.

다음으로, 상기 시험실적표모듈(135)은, 상기 시험의 의뢰 및 상기 시험의 실시된 실적에 대한 모든 정보를 조회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test performance table module 135 is configured to be able to inquire all the information on the request for the test and the performance of the test.

다음으로, 상기 실적모듈(136)은, 상기 시험 시, 시험기 및 시험원의 수행 실적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performance module 136 is configured to inquire information on the performance of the testing machine and the test center during the test.

다음으로, 상기 결과활용모듈(14)은, 단일 재료에 대한 결과 추이를 조회하고, 여러 건의 시험에 대한 로데이터를 비교 분석하고, 선택재료에 대한 종합 결과를 조회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result utilization module 14 is configured to inquire result trends for a single material, to compare and analyze the data for several tests, and to inquire the comprehensive results of the selected materials.

구체적으로, 상기 결과활용모듈(1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추이도모듈(141), 결과비교모듈(142), 종합결과표모듈(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result utilization module 14 includes a result transition diagram module 141, a result comparison module 142, and a comprehensive result table module 143, as shown in FIG.

먼저, 상기 결과추이도모듈(141)은, 상기 시험 시, 시험에 사용되는 개별 소재에 대한 시험결과 추이 정보를 생성 및 조회할 수 있게 마련된다.First, the result transition diagram module 141 is configured to generate and inquire test result transition information for individual materials used in the test at the time of the test.

다음으로, 상기 결과비교모듈(142)은, 상기 개별 소재에 대한 시험결과 추이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건의 시험에 대한 로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로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정보를 생성여 운용한다.Next, the result comparison module 142 generates log data for a plurality of tests based on the test result transition information for the individual material, and generates and manages inform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og data.

다음으로, 상기 종합결과표모듈(143)은, 상기 결과추이도모듈(141) 및 결과비교모듈(142)의 정보를 취합하여 종합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운용한다.Next, the comprehensive result table module 143 collects information of the result transition diagram module 141 and the result comparison module 142, and generates and manages integrated result information.

다음으로, 상기 시스템관리모듈(15)은, 시스템 사용자 정보, 시스템 사용 부서 정보, 결과추출 방법 정보, 의뢰 및 결과에 대한 결재 정보, 시스템 메뉴 별 화면 정보, 사용자 및 사용그룹별 권한 정보를 관리 및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system management module 15 manages and manages the system user information, the system use department information, the result extraction method information, the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request and the result, the screen information for each system menu, Controllable.

구체적으로, 상기 시스템관리모듈(15)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관리모듈(151), 부서관리모듈(152), 프로그램관리모듈(153), 결제관리모듈(154), 화면관리모듈(155), 권한관리모듈(1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8, the system management module 15 includes a user management module 151, a department management module 152, a program management module 153, a payment management module 154, A module 155, and a rights management module 156.

먼저, 상기 사용자관리모듈(151)은,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한다.First, the user management module 151 manages user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단말부를 통해 권한을 부여받아 상기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이다.Specifically, the user is a user authorized to use the system through the terminal unit.

상기 사용자관리모듈(151)은, 상기 사용자의 인적사항 외, 시험을 실시할 수 있는 역량과 관련된 정보 및 경력 정보를 생성하여 운용할 수 있다.The user management module 151 may generate and operate career information and information related to competence to perform the test in addition to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다음으로, 상기 부서관리모듈(152)은, 상기 사용자관리모듈(151)을 통해 관리되는 상기 사용자의 직책 및 편입된 부서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운용한다.Next, the department management module 152 generates and manages the title of the user managed by the user management module 151 and the incorporated department related information.

다음으로, 상기 프로그램관리모듈(153)은, 본 시스템의 결과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운영 미치 제어한다.Next, the program management module 153 generates information on how to extrac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ystem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ystem.

다음으로, 상기 결제관리모듈(154)은, 시험의 의뢰 및 결과에 대한 난이도 수준을 기설정된 조건에 맞춰 분류하고, 이에 따른 결재정보를 생성하여 운용한다.Next, the billing management module 154 classifies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request for test and the result according to predetermined conditions, and generates and operates the settlement information accordingly.

다음으로, 상기 화면관리모듈(155)은, 상기 단말기에 출력되는 메뉴의 화면 정보를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screen management module 155 is provided to control screen information of a menu output to the terminal.

다음으로 상기 권한관리모듈(156)은, 시험원, 연구원, 관리자와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의 권한 및 그룹을 형성하여 그룹별 권한을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rights management module 156 is configured to form rights and groups of all users who use a system such as a test center, a researcher, and an administrator to control the rights of each group.

다음으로, 상기 결과등록관리모듈(20)은, 상기 메인시험관리모듈(10)을 통해 생성되는 상기 시험의 결과물 정보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result registration management module 20 is configured to manage and control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test generated through the main test management module 10 in a cloud-based manner.

상기 결과등록관리모듈(20)은, 상기 메인시험관리모듈(10)과 연동되어, 상기 메인시험관리모듈(10)을 통해 시행된 시험 정보를 바탕을 결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운용할 수 있게 마려된다.The result registration management module 20 is interlocked with the main test management module 10 so that the result registration management module 20 can make the result information database based on the test information conducted through the main test management module 10, do.

구체적으로, 상기 결과등록관리모듈(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결과관리모듈(21) 및 결과시스템관리모듈(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result registration management module 20 includes a test result management module 21 and a result system management module 22, as shown in FIG.

먼저, 상기 시험결과관리모듈(21)은, 로그인한 시험원에게 배정된 작업을 조회하고, 시험수행 후 결과를 최종 등록하고, 등록한 시험 결과를 조회하고, 시험기의 로데이터를 등록하고, 시험기에서 생성된 파일을 등록할 수 있게 마련된다.First, the test result management module 21 inquires the job assigned to the logged-in test worker, finally registers the result after performing the test, inquires the registered test result, registers data of the tester, So that the registered file can be registered.

구체적으로, 상기 시험결과관리모듈(2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정작업조회모듈(211), 시험결과등록모듈(212), 시험종합결과조회모듈(213), 로데이터관리모듈(214), 파일관리모듈(2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0, the test result management module 21 includes an assignment task inquiry module 211, a test result registration module 212, a test result inquiry module 213, a data management module (214), and a file management module (215).

먼저, 상기 배정작업조회모듈(211)은, 상기 연구원단말부 및 시험원단말부의 권한을 부여 받은 사용자가 로그인 시, 시험의 실시가 가능한 시험원에게 배정된 작업을 조회할 수 있게 마려된다.First, the assignment task inquiry module 211 allows the user who has been granted the authority of the researcher terminal unit and the testee terminal unit to inquire the task assigned to the test center capable of conducting the test at the time of login.

다음으로, 상기 시험결과등록모듈(212)은, 상기 시험원이 시험 수행 후, 시험 결과를 등록 및 업로드 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test result registration module 212 is provided so that the test taker can register and upload the test result after the test is performed.

다음으로, 상기 시험종합결과조회모듈(213)은, 업로드 되어 있는 상기 시험 결과를 조회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test synthesis result inquiry module 213 is configured to be able to inquire the test result uploaded.

다음으로, 상기 로데이터관리모듈(214)은, 시험기의 로데이터를 정보화 하여 등록 가능하게 마련된다.Next, the log data management module 214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register and register the log data of the tester.

다음으로, 상기 파일관리모듈(215)은, 상기 시험기에서 생성된 파일을 등록 및 업로드 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file management module 215 is configured to register and upload a file generated by the tester.

다음으로, 상기 결과시스템관리모듈(22)은, 사용자의 개인 환경을 설정하고, 로그인 유지 시간을 설정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result system management module 22 is configured to set a personal environment of a user and set a login holding time.

구체적으로, 상기 결과시스템관리모듈(2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설정모듈(221) 및 세션관리모듈(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result system management module 22 includes an environment setting module 221 and a session management module 222, as shown in FIG.

먼저, 상기 환경설정모듈(221)은, 상기 사용자의 개인 환경을 설정할 수 있게 마련된다.First, the environment setting module 221 is configured to set the personal environment of the user.

다음으로, 상기 세션관리모듈(222)은,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접속 시, 로그인 유지 시간을 설정할 수 있게 마련된다.Next, the session management module 222 is configured to set a login holding time when the user logs in.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equivalent concept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메인서버부
10 : 메인시험관리모듈
11 : 기준정보관리모듈
111 : 시험기관리모듈
112 : 시험법관리모듈
113 : 시험원관리모듈
114 : 공통코드관리모듈
115 : 시험제품관리모듈
12 : 시험관리모듈
121 : 시험의뢰모듈
122 : 시험접수모듈
123 : 작업배정모듈
13 : 시험결과조회모듈
131 : 단위보고서모듈
132 : 종합보고서모듈
133 : 워크플로우관리모듈
134 : 시험대장모듈
135 : 시험실적표모듈
136 : 실적모듈
14 : 결과활용모듈
141 : 결과추이도모듈
142 : 결과비교모듈
143 : 종합결과표모듈
15 : 시스템관리모듈
151 : 사용자관리모듈
152 : 부서관리모듈
153 : 프로그램관리모듈
154 : 결제관리모듈
155 : 화면관리모듈
156 : 권한관리모듈
20 : 결과등록관리모듈
21 : 시험결과관리모듈
211 : 배정작업조회모듈
212 : 시험결과등록모듈
213 : 시험종합결과조회모듈
214 : 로데이터관리모듈
215 : 파일관리모듈
22 : 결과시스템관리모듈
221 : 환경설정모듈
222 : 세션관리모듈
100 : 단말부
1: main server section
10: Main test management module
11: Reference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111: Tester Management Module
112: Test method management module
113: Test Management Module
114: Common code management module
115: Test product management module
12: Test management module
121: Test Request Module
122: Test accepting module
123: Task Assignment Module
13: Test result inquiry module
131: Unit Report Module
132: Comprehensive report module
133: Workflow Management Module
134: Test colon module
135: Test Scoring Module
136: Performance module
14: Result utilization module
141: Result Transition Module
142: Results comparison module
143: Overall Results Table Module
15: System management module
151: user management module
152: department management module
153: Program management module
154: Payment Management Module
155: Screen management module
156: Rights Management Module
20: Result Registration Management Module
21: Test result management module
211: Assignment task inquiry module
212: Test results registration module
213: Module for inquiry of test result
214: Data management module
215: file management module
22: Results System Management Module
221: Configuration module
222: Session Management Module
100:

Claims (3)

복수의 사용자가 시험의 실시, 운영, 정보확인을 실시할 수 있도록 시험의 정보를 입력 및 출력을 실시하며, 관리자단말부와 연구원단말부 및 시험원단말부로 구성되는 단말부;
상기 단말부에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클라우드 기반의 운영을 통해 상기 시험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를 실시하는 메인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서버부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상기 시험을 운용하는 메인시험관리모듈; 및
상기 메인시험관리모듈을 통해 생성되는 상기 시험의 결과물 정보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관리 및 제어하는 결과등록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시험관리모듈은,
시험기, 시험법, 시험원, 공통코드 및 시험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어하는 기준정보관리모듈;
시험의뢰, 시험접수 및 접수완료 건에 대한 시험배정을 실시할 수 있게 제어하는 시험관리모듈;
단위시험, 종합시험에 대한 결과를 조회하고, 시험상태를 워크플로우 형태로 제어하며, 시험의 진행 대장을 조회하고, 시험의뢰 및 실적을 조회하고, 시험기 및 시험원의 수행실적을 조회하는 시험결과조회모듈;
단일 재료에 대한 결과 추이를 조회하고, 여러 건의 시험에 대한 로데이터를 비교 분석하고, 선택재료에 대한 종합 결과를 조회하는 결과활용모듈; 및
시스템 사용자 정보, 시스템 사용 부서 정보, 결과추출 방법 정보, 의뢰 및 결과에 대한 결재 정보, 시스템 메뉴 별 화면 정보, 사용자 및 사용그룹별 권한 정보를 관리 및 제어하는 시스템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시험결과조회모듈은,
시험 시, 개별 단위로 발생되는 시험에 대한 결과를 조회할 수 있게 마련되는 단위보고서모듈;
상기 개별 단위로 발생되는 시험에 대한 결과를 종합하여 종합 시험 결과에 대한 결과 정보를 생성 및 조회할 수 있게 마련되는 종합보고서모듈;
상기 시험 진행 시, 시험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워크플로우(work flow)형태의 정보를 생성하여 운용할 수 있게 마련되는 워크플로우관리모듈;
상기 시험의 진행 대장을 조회할 수 있게 마련되는 시험대장모듈;
상기 시험의 의뢰 및 상기 시험의 실시된 실적에 대한 모든 정보를 조회할 수 있게 마련되는 시험실적표모듈;
상기 시험 시, 시험기 및 시험원의 수행 실적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게 마련되는 실적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결과등록관리모듈은,
로그인한 시험원에게 배정된 작업을 조회하고, 시험수행 후 결과를 최종 등록하고, 등록한 시험 결과를 조회하고, 시험기의 로데이터를 등록하고, 시험기에서 생성된 파일을 등록할 수 있게 마련되는 시험결과관리모듈;
사용자의 개인 환경을 설정하고, 로그인 유지 시간을 설정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결과시스템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시험결과관리모듈은,
상기 연구원단말부 및 시험원단말부의 권한을 부여 받은 사용자가 로그인 시, 시험의 실시가 가능한 시험원에게 배정된 작업을 조회할 수 있게 마련되는 배정작업조회모듈;
상기 시험원이 시험 수행 후, 시험 결과를 등록 및 업로드 할 수 있게 마련되는 시험결과등록모듈;
업로드 되어 있는 상기 시험 결과를 조회할 수 있게 마련되는 시험종합결과조회모듈;
시험기의 로데이터를 정보화 하여 등록 가능하게 마련되는 로데이터관리모듈;
상기 시험기에서 생성된 파일을 등록 및 업로드 할 수 있게 마련되는 파일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관리 시스템.
A terminal unit configured to input and output test information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can conduct tests, operate, and verify information, and comprises an administrator terminal unit, a researcher terminal unit, and a test center terminal unit;
And a main server unit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via a network and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of the test through cloud-based operation,
The main server unit,
A main test management module for operating the test based on the cloud; And
And a result registration management module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the result information of the test generated through the main test management module on a cloud basis,
Wherein the main test management module comprises:
A reference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for controlling information on the tester, the test method, the test source, the common code, and the test product;
A test management module that controls the test assignment, the test acceptance, and the completion of the acceptance test;
View the results of the unit test and comprehensive test, control the test status in the form of workflow, inquire the test progress, inquire the test commission and performance, module;
A result utilization module for inquiring result trends for a single material, comparing and analyzing data for multiple tests, and querying comprehensive results for selected materials; And
And a system management module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the system user information, the system use department information, the result extraction method information, the approval information for the request and the result, the screen information for each system menu,
The test result inquiry module,
A unit report module which is able to inquire results of tests generated in individual units at the time of testing;
A comprehensive report module capable of generating and inquiring result information on the comprehensive test result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the tests generated in the individual units;
A workflow management module that is configured to generate and operat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work flow in the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test process;
A test colon module provided to inquire the progress colon of the test;
A test achievement module provided to inquire all the information on the request for the test and the performance of the test;
And a performance module provided to inquire information on performance of the testing machine and the test center during the test,
Wherein the result registration management module comprises:
Test result management that is able to inquire the assigned work to the logged in test worker, to register the result after the test is performed, to inquire the registered test result, to register the data of the tester, and to register the file generated by the tester module;
A result system management module configured to set a personal environment of a user and set a login holding time;
The test result management module includes:
A assignment task inquiry module provided to allow a user who has been granted the authority of the researcher terminal unit and the testee terminal unit to inquire a task assigned to a test center capable of performing an examination at the time of login;
A test result registration module, in which the test person is allowed to register and upload the test result after the test is performed;
A test result module for inquiring the test results uploaded;
A data management module for registering and registering data of the tester;
And a file management module for registering and uploading the file generated by the tes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58186A 2017-11-24 2017-11-24 Test management system KR1019576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186A KR101957607B1 (en) 2017-11-24 2017-11-24 Test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186A KR101957607B1 (en) 2017-11-24 2017-11-24 Test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607B1 true KR101957607B1 (en) 2019-03-13

Family

ID=65761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186A KR101957607B1 (en) 2017-11-24 2017-11-24 Test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607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003B1 (en) * 2020-05-07 2020-10-15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Brokerage transaction method of operating technology of test equipment
CN111784285A (en) * 2020-06-19 2020-10-16 上海华力集成电路制造有限公司 Engineering experiment scheme management system
CN112231227A (en) * 2020-11-04 2021-01-15 上海科技大学 Full life cycle management and analysis system for analyzing test data
KR20210088794A (en) * 2020-01-06 2021-07-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vulnerability test results in consideration of industrial control system operating environment
KR20220074699A (en)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시큐어넷 Curation system of certification test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KR20220154861A (en) *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시큐어넷 Management system of certification test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CN116362444A (en) * 2023-04-06 2023-06-30 上海海关机电产品检测技术中心 Instrument and equipment management system for detection mechanis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868A (en) * 2003-10-15 2003-11-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Test integrated administration method
KR20130017338A (en) * 2011-08-10 2013-02-20 동희오토주식회사 A system for managing integrated quality control for a car
KR101335912B1 (en) 2012-12-05 2013-12-02 (주)아이지오 The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test
KR20150001192A (en) * 2013-06-26 2015-01-06 권동채 The battery function testing system for the battery cell modules of E-bik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868A (en) * 2003-10-15 2003-11-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Test integrated administration method
KR20130017338A (en) * 2011-08-10 2013-02-20 동희오토주식회사 A system for managing integrated quality control for a car
KR101335912B1 (en) 2012-12-05 2013-12-02 (주)아이지오 The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test
KR20150001192A (en) * 2013-06-26 2015-01-06 권동채 The battery function testing system for the battery cell modules of E-bike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794A (en) * 2020-01-06 2021-07-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vulnerability test results in consideration of industrial control system operating environment
KR102378989B1 (en) * 2020-01-06 2022-03-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vulnerability test results in consideration of industrial control system operating environment
KR102166003B1 (en) * 2020-05-07 2020-10-15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Brokerage transaction method of operating technology of test equipment
CN111784285A (en) * 2020-06-19 2020-10-16 上海华力集成电路制造有限公司 Engineering experiment scheme management system
CN112231227A (en) * 2020-11-04 2021-01-15 上海科技大学 Full life cycle management and analysis system for analyzing test data
CN112231227B (en) * 2020-11-04 2023-09-19 上海科技大学 Full life cycle management and analysis system for analyzing test data
KR20220074699A (en)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 시큐어넷 Curation system of certification test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KR102546085B1 (en) * 2020-11-27 2023-06-22 주식회사 시큐어넷 Curation system of certification test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KR20220154861A (en) *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시큐어넷 Management system of certification test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KR102532852B1 (en) * 2021-05-14 2023-05-17 주식회사 시큐어넷 Management system of certification test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CN116362444A (en) * 2023-04-06 2023-06-30 上海海关机电产品检测技术中心 Instrument and equipment management system for detection mechanis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607B1 (en) Test management system
Krishnaiah et al. Applied design of experiments and Taguchi methods
CN106339850A (en) Automatic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of contract approval process
CN106325988B (en) Method for scheduling task and device
CN107247864A (en) Clinical drug trials and subject'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rnes et al. The canadian tissue repository network biobank certification and the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biorepository accreditation programs: two strategies for knowledge dissemination in biobanking
Memon et al. Comparative study of testing tools Blazemeter and Apache JMeter
Shi et al. A Grey Model for Evaluation of Information Systems Security.
Cheng et al. Development of a construction quality supervision collaboration system based on a SaaS private cloud
Resende et al. Factor analysis on innovation inductors in high performance organizations
CN109191062A (en) A kind of power distribution network Computer Aided Design and project management control system
CN112015715A (en) Industrial Internet data management service testing method and system
Steinmann IFC certification of BIM software
Liu et al. A formal approach to testing programs in practice
CN107544305B (en) Vibration laborator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Tomchik et al. External Access to the TREXR Database
JP2020095493A (en) Facility inspection support program, facility inspection support method, and facility inspection support system
JP7142791B2 (en) Work management device, work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Dubey et al. Laboratory information and management system: A tool to increase laboratory productivity
WO2015056361A1 (en) Adaptive management system
JP6235676B2 (en) Remote examin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mote examination method, and remote examination program
JP6235675B2 (en) Remote examin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mote examination method, and remote examination program
O’REILLY et al. Fiscal Year 2021 Cybersecurity & Privacy Annual Report
KR20100026318A (en) Integrated test system
Kumar et al. Cron Based Dashboard Design for Oem Equipment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