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236B1 - 여닫이문의 하부 기밀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문의 하부 기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236B1
KR101957236B1 KR1020180164886A KR20180164886A KR101957236B1 KR 101957236 B1 KR101957236 B1 KR 101957236B1 KR 1020180164886 A KR1020180164886 A KR 1020180164886A KR 20180164886 A KR20180164886 A KR 20180164886A KR 101957236 B1 KR101957236 B1 KR 101957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ll bar
lower roll
accommodation spac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억
Original Assignee
한백건설안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백건설안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백건설안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4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문의 하부 기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문짝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와 내부의 수용공간을 각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어 여닫이문의 개폐에 따른 문짝의 회전시 바닥면에 접하여 함께 회전하는 하부롤봉과,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어 여닫이문의 개폐에 따른 문짝의 회전시 하부롤봉의 상부면에 좌우로 각 접하여 함께 회전하는 제1상부롤봉 및 제2상부롤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은 문짝의 외면과 동일한 평면을 가지는 외판과, 문짝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외판과 함께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을 폐쇄시키는 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는 외판과 내판의 각 내면에는 고정밀착패드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롤봉의 외경은 제1,2상부롤봉의 외경보다 크고, 수용공간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고정밀착패드와 수용공간 중심축 사이의 거리는 하부롤봉의 반경보다는 크고 하부롤봉의 외경보다는 작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롤봉과 제1,2상부롤봉의 각각은 다수 개의 단위롤로 이루어지되, 각 단위롤은 내측의 중량체와 외측의 회동밀착패드로 이루어지고, 각 단위롤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베어링홈이 구비된 회전판이 부착되어 단위롤들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하부롤봉과 제1,2상부롤봉의 각 단위롤 연결부위는 서로 어긋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여닫이문의 하부 기밀장치{AIRTIGHT DEVICE FOR LOWER PART OF HINGED DOOR}
본 발명은 여닫이문의 하부 기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의 현관문 등의 여닫이문을 닫았을때 바닥면과 문짝 사이의 틈을 밀폐시켜 실내의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뿐 아니라, 외부 소음이 차단되어 쾌적한 사용환경을 도모할 수 있는 여닫이문의 하부 기밀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현관문으로는 통상적으로 여닫이문이 사용된다. 이러한 여닫이문은 문짝이 레일을 타고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미닫이문과는 달리 경첩 등의 축을 기준으로 하여 문짝이 회전하도록 밀거나 잡아 당기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여닫이문은 제작 및 시공이 간편하고 하자가 발생할 여지도 거의 없어 회전공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라면, 현관 뿐만 아니라 건축물 내부에 독립적으로 구획된 각 실을 출입하기 위한 출입문에도 대다수 여닫이문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여닫이문은 경첩 등의 축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문짝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그 하단은 건축물의 바닥면으로부터 약간 이격될 수 밖에 없다.
그런데 문짝의 하단과 바닥면 사이의 틈은 실내외 사이에 공기를 유통시킴으로서, 실내 에너지의 중요한 손실 통로가 될 뿐 아니라, 실외의 소음 및 먼지 등을 실내로 유입시켜 건축물 사용자의 쾌적한 주거환경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도 작용한다. 따라서 여닫이문의 문짝 하부에 기밀성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내지 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며, 그 예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44722호의 '여닫이문의 틈새 커버용 테이프' 및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22546호의 '여닫이식 출입문용 기밀장치'가 있다.
등록번호 10-0644722호의 '여닫이문의 틈새 커버용 테이프'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탄성공간(30)을 형성하는 탄성지지부재(20)와; 상기 탄성지지부재(2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돌기부재(45)와; 상기 탄성지지부재(20)의 양 외측에 연이어 구비되면서 접착면(11)에 의해 여닫이문(1)에 접착되는 접착부(10); 및 상기 탄성지지부재(20)와 접착부(10)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접착부(10)의 폭간격을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주지지평판(5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여닫이문(1)의 틈새 커버용 테이프는 도 1의 (b)에서와 같이 여닫이문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상기의 '여닫이문의 틈새 커버용 테이프'는 탄성변형에 의해 기밀성을 유지시키는 것이므로 고무 등의 연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데, 장기적인 반복 사용시 노화와 피로하중에 의해 탄성력이 떨어지면서 소성변형 내지 갈라짐이 발생하면서 기밀성이 저하된다. 더욱이 문짝을 여닫을 때 바닥면과의 마찰로 인하여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하게 될 뿐 아니라, 문짝의 원활한 회전을 방해하게 된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22546호의 '여닫이식 출입문용 기밀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24)에는 폭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라인형 돌기(34) 및 라인홈(35)이 반복 형성된 밀봉틀(30)이 장착되고, 출입문의 하부프레임(14)에는 플렉시블 고무발(44)이 하부로 돌출된 플렉시블 고무부재(40)를 설치하여, 출입문을 닫았을 때 각 라인형 돌기(34)의 사이공간에 형성된 라인홈(35)에 플렉시블 고무부재(40)의 플렉시블 고무발(44)의 하단끝이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22546호의 '여닫이식 출입문용 기밀장치' 역시 플렉시블 고무발(44)의 탄성력에 의해 기밀성이 유지되는 구조여서, 장기간의 반복 사용시 노후화 및 피로하중에 의한 플렉시블 고무발(44)의 변형은 충분히 예견되는 것이므로, 이 역시 내구성이 떨어지며 여닫을 때 마찰 및 소음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등록번호 10-0644722호의 것과 별반 다르지 않다. 아울러 밀봉틀(30)의 설치를 위하여 지면을 파내어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번거롭고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아니하여 많은 시공 및 관리비용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644722 B1 KR 10-1122546 B1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밀부재에 피로하중이 발생하지 않고 문짝의 회전시 바닥면에 대한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원활한 회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쾌적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 장수명의 여닫이문의 하부 기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여닫이문에도 적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있고, 설치 및 유지관리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인 여닫이문의 하부 기밀장치를 제공함에도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문짝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문짝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와 내부의 수용공간을 각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어 여닫이문의 개폐에 따른 문짝의 회전시 바닥면에 접하여 함께 회전하는 하부롤봉과,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어 여닫이문의 개폐에 따른 문짝의 회전시 하부롤봉의 상부면에 좌우로 각 접하여 함께 회전하는 제1상부롤봉 및 제2상부롤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은 문짝의 외면과 동일한 평면을 가지는 외판과, 문짝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외판과 함께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을 폐쇄시키는 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는 외판과 내판의 각 내면에는 고정밀착패드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롤봉의 외경은 제1,2상부롤봉의 외경보다 크고, 수용공간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고정밀착패드와 수용공간 중심축 사이의 거리는 하부롤봉의 반경보다는 크고 하부롤봉의 외경보다는 작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롤봉과 제1,2상부롤봉의 각각은 다수 개의 단위롤로 이루어지되, 각 단위롤은 내측의 중량체와 외측의 회동밀착패드로 이루어지고, 각 단위롤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베어링홈이 구비된 회전판이 부착되어 단위롤들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하부롤봉과 제1,2상부롤봉의 각 단위롤 연결부위는 서로 어긋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하부 기밀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하부롤봉은 여닫이문 내측단을 향하여 단면의 외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하고, 이와 반대로 제1,2상부롤봉은 여닫이문 외측단을 향하여 단면의 외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시킬 수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수용공간의 상부에 위치한 내판에 제1하부롤봉과 제2하부롤봉의 각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톱바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중에 의해 바닥면 또는 수용공간 내면에 밀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피로하중이 발생할 여지가 거의 없어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고, 기밀구조가 롤봉으로 이루어져 있어 문짝의 회전에 따라 함께 굴러가기 때문 문짝을 여닫을 때 마찰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여닫음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3중의 기밀구조에 의해 2중의 단열공간이 형성되는 바, 문짝 하부를 통한 열손실이 최소화될 뿐 아니라, 외부 소음을 완벽히 차단시켜준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하부 기밀장치는 건축물의 바닥면과는 무관하게 단순히 문짝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기밀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므로, 설치비용이 적게 들뿐 아니라 기존 문짝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있으며, 부품의 일부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관리비용이 적게 든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여닫이문의 틈새 커버용 테이프의 사시도 및 그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또 다른 종래기술의 여닫이식 출입문용 기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부 기밀장치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하부 기밀장치가 설치된 미닫이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하부 기밀장치를 구성하는 수용공간과 롤봉들 사이의 규격 관계와, 이들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는 각 개념도이다.
도 6은 상기 하부 기밀장치를 구성하는 제1,2상부롤봉의 각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들을 예시한 각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롤봉들의 분해 사시도 및 롤봉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롤봉의 구성에 관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롤봉의 구성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부 기밀장치(100)의 절개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하부 기밀장치(100)가 설치된 미닫이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하부 기밀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D)의 하부에 설치되어 건축물에 설치되는 여닫이문의 하부를 밀폐시켜, 실 내외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실내의 에너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소음 및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여 실내 환경의 쾌적성을 도모한다.
이러한 하부 기밀장치(100)는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과 3개의 롤봉(121,122a,122b)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하우징(110)은 하부 기밀장치(100)를 문짝(D)에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111a)와, 상기의 롤봉(121,122a,122b)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13)을 각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은 문짝(D)의 외면과 동일한 평면을 가지는 외판(111)과, 상기 외판(111)의 상부쪽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문짝(D)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판(112)으로 이루어지며, 외판(111)의 내면과 내판(112)의 내면은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을 폐쇄시켜 롤봉(121,122a,122b)들이 삽입되는 수용공간(113)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수용공간(113)을 형성시키는 외판(111)과 내판(112)의 각 내면에는 고정밀착패드(114)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밀착패드(114)는 롤봉(121,122a,122b)들과 접하면서 실 내외 사이에 다중의 기밀구조가 형성되게 한다. 이러한 고정밀착패드(114)는 탄성을 가지면서 기밀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롤봉(121,122a,122b)은 대구경을 가지는 하부롤봉(121)과 소구경을 가지는 2개의 상부롤봉(122a,122b)으로 구성된다.
하부롤봉(121)은 수용공간(113) 내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여닫이문의 개폐에 따라 문짝(D)이 회전할 때 외면이 바닥면(F)에 접하여 함께 회전한다. 아울러 하부롤봉(121)은 단면이 수용공간(113)의 폭보다 작게 구성되는 바, 문짝(D)의 여닫음에 따라 수용공간(113)의 폭방향으로 자유롭게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문짝(D)을 여닫을 때 기밀수단에 의한 저항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원활한 여닫음이 확보됨과 함께 바닥면(F)에 대한 마찰음 등의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5는 수용공간(113)의 폭과 각 롤봉(121,122a,122b)들의 단면 크기 및 이들의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각 개념도이다.
하부롤봉(121)의 외경(2r)은 2개의 상부롤봉(122a,122b)의 각 외경(2r')보다 크게 구성되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공간(113)의 폭(d)보다는 작게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13)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고정밀착패드(114)와 수용공간(113) 중심축(O-O) 사이의 거리(d/2)는 하부롤봉(121)의 반경(r)보다 크고 하부롤봉(121)의 외경(2r)보다는 작다.
수용공간(113)에 수용되는 또 다른 2개의 상부롤봉(122a,122b)은 여닫이문의 개폐에 따른 문짝(D)의 회전시 하부롤봉(121)의 상부면에 좌우로 각 접하여 함께 회전하는 제1상부롤봉(122a)과 제2상부롤봉(122b)으로 나뉘어진다.
이들 상부롤봉(122a,122b)들은 하부롤봉(12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자중으로 하부롤봉(121)의 좌측 또는 우측을 눌러줌으로써 하부롤봉(121)이 하우징(110) 내면의 어느 하나에 밀착되게 하여 하부롤봉(121)과 고정밀착패드(114) 사이에 1차 기밀구조(P1)를 가지게 하는 한편, 상부롤봉(122a,122b) 자신들도 고정밀착패드(114)와 접하여 또 다른 이중의 기밀구조(P2,P2',P3,P3')를 가지게 하여 3중의 기밀구조를 형성시킨다.
이와 더불어 제1,2상부롤봉(122a,122b) 중 어느 하나는 하부롤봉(121)의 외면과 고정밀착패드(114)에 동시 접하여 제1단열공간(IS1)을 형성시키고, 나머지 상부롤봉(122a,122b)과 함께 제2단열공간(IS2)을 형성시킨다. 이를 위한 제1,2상부롤봉(122a,122b)은 그 외경(2r')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롤봉(121)의 반경(r)보다 작게 구성된다
제1,2상부롤봉(122a,122b)에 의한 상기의 단열공간 형성 및 다중의 기밀구조 형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부롤봉(122a,122b)들은 수용공간(113) 중심축(O-O)을 기준으로 각각 좌우 어느 한쪽의 범위 내에서만 움직이도록, 예컨대 제1상부롤봉(122a)은 수용공간(113) 중심축(O-O)의 좌측 공간에서만 좌우 이동할 수 있고, 제2상부롤봉(122b)은 수용공간(113) 중심축(O-O)의 우측 공간에서만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각 상부롤봉(122a,122b)의 이동범위를 제한시킬 필요가 있다.
도 6은 제1,2상부롤봉(122a,122b)의 각 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들을 예시한 것으로서, (a)는 수용공간(113)의 상부에 위치한 내판(112)에 하향 돌출된 스토퍼(140)를 구비시켜 제1상부롤봉(122a)과 제2상부롤봉(122b)의 각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수용공간(113)의 높이를 낮추어 각 상부롤봉(122a,122b)들이 수용공간(113) 중심축(O-O)을 넘어가지 못하도록 한 실시예이다.
후자의 경우는 바닥면(F)으로부터 수용공간(113) 상부까지의 높이(L)를 하부롤봉(121)의 외경과 상부롤봉(122a,122b)의 외경을 합한 길이(r+r')보다 작게 구성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전자의 경우도 바닥면(F)으로부터 스토퍼(140)의 하단까지의 길이는 하부롤봉(121)의 외경과 상부롤봉(122a,122b)의 외경을 합한 길이{2(r+r')}보다 작아야 한다.
한편, 여닫이문의 문짝(D)은 경첩에 의해 형성되는 힌지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인 바, 힌지축에 위치한 여닫이문의 내측단과 그 반대쪽의 외측단에서의 각 회동거리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내측단에 위치한 하부롤봉(121)은 회동거리가 짧기 때문에 회동수가 적게 되고, 외측단에 위치한 하부롤봉(121)은 긴 회동거리로 인하여 회동수가 많게 된다.
이러한 회동수의 차이는 하부롤봉(121)의 원활한 회전을 방해하여 문짝(D)을 여닫을 때 바닥면(F)과의 불필요한 마찰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하부 기밀장치(100)는 상기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부롤봉(121)과 제1,2상부롤봉(122a,122b) 모두에 대하여 각각 다수 개의 단위롤(130)로 이루어지게 한다.
아울러 각 단위롤(130)들은 인접한 단위롤(130)의 회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회동하게 한다.
도 7은 각 단위롤(130)의 구성과 이들 다수개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각 단위롤(130)들을 분리한 사시도 및 롤봉(121,122a,122b)의 길이방향에 대한 단면도이다.
상기 단위롤(130)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의 중량체(132)와 외측의 회동밀착패드(131) 및, 측면의 회전판(134)으로 이루어진다.
회동밀착패드(131)는 하우징(110) 내면의 고정밀착패드(114)와 또 다른 롤봉(121,122a,122b)의 회동밀착패드(131)와 밀착됨으로써 이들 사이에 기밀구조가 형성되도록 하며, 내측의 중량체(132)는 상기 회동밀착패드(131)를 압착시켜 상기 기밀구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중량체(132)는 각 단위롤(130) 사이의 연결부위의 회동밀착패드(131)를 압착시켜 수평방향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연결부위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회동밀착패드(131)는 고정밀착패드(114)와 마찬가지로 탄성을 가지면서 기밀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중량체(132)는 그 길이를 회동밀착패드(131)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하여 회동밀착패드(131)의 양측 단부와의 사이에 내측으로 단차진 형상이 되도록 설치되며, 단면의 중심에는 축봉(133)이 삽입되는 축홈(132a)이 구비된다.
이러한 중량체(132)는 그 재질을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회동밀착패드(131)을 압축시킬 수 있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롤봉(121,122a,122b)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단위롤(130)들이 축봉(13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그런데 상호 인접한 각 단위롤(130)들은 서로의 간섭없이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어야 하나, 이를 위하여 단위롤(130)들 사이에 간극을 형성시키게 되면 상기 간극은 공기의 유동 통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축봉(133)을 이용하여 연속된 단위롤(130)들을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일체화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가압이 지나치게 되는 경우에는 인접한 단위롤(130) 사이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각 단위롤(130)들의 독립적인 회동이 어렵게 된다.
이때 회전판(134)은 축봉(133)에 의한 가압의 정도를 제한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다.
회전판(134)에는 중심에 중량체(132)의 축홈(132a)에 연통되는 관통홈(134a)이 구비되고, 이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형성되는 베어링홈(134b)이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판(134)은 단위롤(130)의 회전밀착패드로부터 단차진 중량체(132) 단부면에 부착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판(134)은 회전밀착패드의 단부로부터 안쪽으로 들어간 곳에 위치하게 되며, 인접한 단위롤(130)의 각 회전판(134)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공간에는 두 개의 회전판(134)이 상호 간섭없이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한 공간을 유지시켜주는 베어링(135)이 베어링홈(134b)에 삽입된 상태로 놓여진다.
회전밀착패드 상호간에 접하게 되는 두 개의 롤봉(121,122a,122b) 사이, 즉 하부롤봉(121)과 제1상부롤봉(122a) 사이 및, 하부롤봉(121)과 제2상부롤봉(122b) 사이에는 각 단위롤(130)의 연결부위(a,b,c)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예컨데 하부롤봉(121)의 연결부위(a)와 제1상부롤봉(122a)의 연결부위(b), 하부롤봉(121)의 연결부위(a)와 제2상부롤봉(122b)의 연결부위(c)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어긋나게 배치됨으로써 설령 연결부위(a,b,c)에 이물질 끼임현상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롤봉(121,122a,122b)의 구성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닫이문의 문짝(D)의 회동시 내측단과 외측단이 각 회동거리에는 많은 차이가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회동거리에 대응하도록 단면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는 원뿔대형상의 하부롤봉(121)이 구비된다.
이러한 단면형상의 하부롤봉(121)은 각 단위롤(130)들이 비슷한 회전수를 가지게 하며, 이에 따라 각 단위롤(130)의 길이를 좀더 길게 하여 연결부위(a,b,c)의 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한다.
이때 하부롤봉(121) 상부에 놓여지는 제1,2상부롤은 하부롤봉(121)의 단면 변화방향과는 반대로 여닫이문의 내측단에서 외측단을 향하여 단면의 외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단위롤(130)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양 측단에서 롤봉(121,122a,122b)들이 수용공간(113)에서 차지하는 전체적인 단면의 크기가 비슷하게 유지되므로, 길이방향으로 수용공간(113) 내지 하우징(110)의 규격을 변화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하부 기밀장치 110; 하우징
111; 외판 111a; 체결부
112; 내판 113; 수용공간
114; 고정밀착패드 121; 하부롤봉
122a; 제1상부롤봉 122b; 제2상부롤봉
130; 단위롤 131; 회동밀착패드
132; 중량체 132a; 축홈
133; 축봉 134; 회전판
134a; 관통홈 134b; 베어링홈
135; 베어링 140; 스토퍼

Claims (3)

  1. 건축물에 설치되는 여닫이문의 하부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문짝(D)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문짝(D)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111a)와 내부의 수용공간(113)을 각 구비한 하우징(110)과,
    상기 수용공간(113) 내에 수용되어 여닫이문의 개폐에 따른 문짝(D)의 회전시 바닥면(F)에 접하여 함께 회전하는 하부롤봉(121)과,
    상기 수용공간(113) 내에 수용되어 여닫이문의 개폐에 따른 문짝(D)의 회전시 하부롤봉(121)의 상부면에 좌우로 각 접하여 함께 회전하는 제1상부롤봉(122a) 및 제2상부롤봉(122b)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110)은 문짝(D)의 외면과 동일한 평면을 가지는 외판(111)과, 문짝(D)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외판(111)과 함께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을 폐쇄시키는 내판(1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공간(113)을 형성시키는 외판(111)과 내판(112)의 각 내면에는 고정밀착패드(114)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롤봉(121)의 외경은 제1,2상부롤봉(122a,122b)의 외경보다 크고, 수용공간(113)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고정밀착패드(114)와 수용공간(113) 중심축 사이의 거리는 하부롤봉(121)의 반경보다는 크고 하부롤봉(121)의 외경보다는 작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롤봉(121)과 제1,2상부롤봉(122a,122b)의 각각은 다수 개의 단위롤(130)로 이루어지되, 각 단위롤(130)은 내측의 중량체(132)와 외측의 회동밀착패드(131)로 이루어지고, 각 단위롤(130)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베어링홈(134b)이 구비된 회전판(134)이 부착되어 단위롤(130)들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하부롤봉(121)과 제1,2상부롤봉(122a,122b)의 각 단위롤(130) 연결부위는 서로 어긋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하부 기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롤봉(121)은 여닫이문 내측단을 향하여 단면의 외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단위롤(130)이 형성되고, 제1,2상부롤봉(122a,122b)은 하부롤봉(121)에 대응하여 여닫이문 외측단을 향하여 단면의 외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단위롤(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하부 기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113)의 상부에 위치한 내판(112)에는 제1하부롤봉(121)과 제2하부롤봉(121)의 각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톱바가 하향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하부 기밀장치.
KR1020180164886A 2018-12-19 2018-12-19 여닫이문의 하부 기밀장치 KR101957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886A KR101957236B1 (ko) 2018-12-19 2018-12-19 여닫이문의 하부 기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886A KR101957236B1 (ko) 2018-12-19 2018-12-19 여닫이문의 하부 기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236B1 true KR101957236B1 (ko) 2019-03-12

Family

ID=65800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886A KR101957236B1 (ko) 2018-12-19 2018-12-19 여닫이문의 하부 기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2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3093A (en) * 1975-08-18 1978-02-14 Yoshida Kogyo K.K. Soundproof door
JPS5771694U (ko) * 1980-10-17 1982-05-01
JPH0385438U (ko) * 1989-07-28 1991-08-29
KR100644722B1 (ko) 2005-03-18 2006-11-10 최중경 여닫이문의 틈새커버용 테이프
KR101122546B1 (ko) 2011-12-02 2012-03-16 김순석 여닫이식 출입문용 기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3093A (en) * 1975-08-18 1978-02-14 Yoshida Kogyo K.K. Soundproof door
JPS5771694U (ko) * 1980-10-17 1982-05-01
JPH0385438U (ko) * 1989-07-28 1991-08-29
KR100644722B1 (ko) 2005-03-18 2006-11-10 최중경 여닫이문의 틈새커버용 테이프
KR101122546B1 (ko) 2011-12-02 2012-03-16 김순석 여닫이식 출입문용 기밀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85438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399B1 (ko) 출입문의 손 끼임 방지장치
KR101589054B1 (ko) 단열 방화문 설치구조
KR101957236B1 (ko) 여닫이문의 하부 기밀장치
KR20110035338A (ko) 행거도어가 연동하도록 결합된 미닫이 창호 및 이를 이용한 포켓문
US6931761B2 (en) Laundry dryer
KR102064632B1 (ko) 창호용 필링피스
JP2022180950A (ja) 建具装置
JP5608910B2 (ja) サッシ
JP2017180038A (ja) ドア
KR200248932Y1 (ko) 환기창의 루버 밀폐장치
KR20190050615A (ko) 연창 구조를 구비한 창틀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102032341B1 (ko) 기밀 미서기 창호
JP6677562B2 (ja) ドア
KR101083772B1 (ko) 내측틀과 외측틀을 갖는 창틀
JP3095885B2 (ja) サッシ枠と窓枠との水密パッキン
KR101451819B1 (ko) 안전도어
KR101017581B1 (ko) 환기창용 각도조정레버의 멈춤장치
JP2003013672A (ja) 扉の止水構造
JP3512858B2 (ja) 防護ドア装置
KR102091186B1 (ko) 기밀성 및 내풍압성이 향상되는 창호문짝 스토퍼가 적용된 창세트
CN220522378U (zh) 辅助装置及推拉门窗
KR102274768B1 (ko) 개선된 복원 구조를 가지는 유동 방지형 미서기 창호
JPH0243186Y2 (ko)
JP2023137336A (ja) 止水装置
JPH023903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