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200B1 - 필기 공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리고 필기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필기 공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리고 필기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200B1
KR101957200B1 KR1020170068398A KR20170068398A KR101957200B1 KR 101957200 B1 KR101957200 B1 KR 101957200B1 KR 1020170068398 A KR1020170068398 A KR 1020170068398A KR 20170068398 A KR20170068398 A KR 20170068398A KR 101957200 B1 KR101957200 B1 KR 101957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writing
information
sharing device
blackboard
handwrit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1817A (ko
Inventor
허경용
이임건
진효남
강상욱
김가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68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20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1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필기 공유 장치는 칠판에 필기하기 위한 필기 부재, 상기 필기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칠판에 설치된 신호송출기 출력된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의 센싱 결과에 기초한 모션 정보 및 상기 위치신호에 기초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필기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필기 정보는 외부 단말기로 전송되어 상기 외부 단말기에 표시되는 필기 공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기 공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리고 필기 공유 방법{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haring Writ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필기 공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리고 필기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칠판 상의 필기 공유 장치의 모션을 인식하여 단말기에 자동으로 필기가 기록될 수 있도록 한 장치 및 시스템이다.
빛의 반사에 따라 칠판의 일부 영역이 잘 시인되지 않는 현상, 칠판 상의 글씨가 작거나 칠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서 필기 정보를 명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 강의의 내용을 이해하며 필기를 동시에 진행하기 어려운 문제 등, 강의 시간 중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칠판 상의 필기 정보를 명확히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1-0012217호에서는 프로젝터로 투사된 스크린 영역 상에서 강의자가 전자펜을 이용해 판서하는 경우 전자펜에 형성된 압전센서에 의해 필기를 인식하고 위치를 판독하여 필기된 내용을 저장하고, 학습자가 인식된 필기 내용의 글자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전자펜을 이용한 필기 인식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종래 기술은 칠판의 전 영역이 프로젝터가 투사되는 영역과 불일치(일반적으로 프로젝터의 투사 영역이 더 적음)하여 자동으로 필기를 인식할 수 있는 영역이 프로젝터의 투사 영역으로 제한되고, 프로젝터로부터 출력되는 광이 강의자를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7-0060580호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3차원 상의 움직임을 해석하여 문자 입력과 인식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강의자가 여러 개의 장치(예를 들어 서로 다른 색깔별로 구분되는 복수개의 장치)를 파지하고 그 중에 하나의 장치만을 이용하여 판서를 하는 경우, 다른 장치들 각각에서도 움직임이 검출되는 문제가 있다.
KR 10-2011-0012217 A1 KR 10-2007-0060580 A1 KR 10-2015-0021187 A1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내부 및/또는 외부 환경에 따라 칠판의 글씨가 잘 시인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칠판에 작성된 필기 내용을 정확히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 필기 공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리고 필기 공유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 필기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여 강의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 필기 공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리고 필기 공유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 칠판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칠판에 작성된 필기 내용을 정확히 공유할 수 있는 필기 공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리고 필기 공유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필기 작성자로 하여금 자신의 필기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필기 공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리고 필기 공유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필기 작성자가 복수의 분필 홀더를 소지한 경우 필기를 위해 사용되는 분필 홀더를 정확히 구분할 수 있는 필기 공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리고 필기 공유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실시예에 따른 필기 공유 장치는 칠판에 필기하기 위한 필기 부재; 상기 필기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칠판에 설치된 신호송출기 출력된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의 센싱 결과에 기초한 모션 정보 및 상기 위치신호에 기초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필기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필기 정보는 외부 단말기로 전송되어 상기 외부 단말기에 표시되는 필기 공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칠판의 모서리 영역 각각에 설치된 제1 내지 제4 신호송출기 각각으로부터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필기 공유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센싱부는,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압력이 미검출 또는 기 설정 시간 동안 위치가 고정되는 경우 상기 외부 단말기로 상기 필기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는 필기 공유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칠판의 영역별로 매칭되는 복수의 영역위치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위치신호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가 수신한 영역위치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필기 공유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칠판의 영역별로 매칭되는 복수의 영역위치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위치신호를 프로젝터로 전송하여 상기 프로젝터의 상기 필기 정보를 포함한 영상의 조사 영역을 변경시키는 필기 공유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른 필기 공유 방법은 칠판에 설치된 신호송출기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센싱부로부터 모션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위치신호 및 상기 모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필기 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압력이 검출되면 상기 위치신호와 상기 모션 데이터에 기초한 자신의 위치 정보 및 모션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단말기에서 상기 필기 정보가 디스플레이 및/또는 저장 되도록 상기 단말기로 상기 필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필기 공유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칠판의 영역별로 매칭되는 복수의 영역위치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위치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수신한 영역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서로 다른 페이지가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필기 공유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내부 및/또는 외부 환경에 따라 칠판의 글씨가 잘 시인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칠판에 작성된 필기 내용을 정확히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 필기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여 강의에 집중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칠판을 디지털 칠판으로 변경하지 않아도 되고, 본 발명이 개시하는 장치를 기존 칠판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고 칠판에 작성된 필기 내용을 정확히 공유할 수 있다.
또한, 필기 작성자가 프로젝터로부터의 출력 광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도 자신의 필기 내용을 피드백 받을 수 있다.
또한, 필기 작성자가 복수의 분필 홀더를 소지한 경우라도 필기를 위해 사용되는 분필 홀더를 정확히 구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 공유 시스템의 일 예시도이다.
도 2는 필기 공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다른 측면에서의 필기 공유 시스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필기 공유 장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일 예시도이다.
도 5는 필기 공유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 공유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7는 칠판의 여러 영역 중 필기 공유 장치가 위치하는 영역에 따라 단말기에 새로운 페이지가 생성되거나 이전에 작성한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도 8은 필기 공유 장치의 위치에 따른 프로젝터의 조사 방향을 달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복수의 필기 공유 장치를 모두 파지한 상태에서 그 중 어느 하나의 필기 공유 장치를 이용하여 필기를 하는 경우 필기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관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 공유 시스템의 일 예시도이고, 도 2는 필기 공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 공유 장치(100)는 필기 부재(180)와 필기 부재(180)를 수납하는 하우징(19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90)은 칠판(1)에 설치된 신호송출기(300)로부터 출력된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110), 센싱부(140), 센싱부(140)의 센싱 결과에 기초한 필기 공유 장치(100)의 모션 정보와 위치신호에 기초한 필기 공유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필기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120) 그리고 필기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에 의해 생성된 필기 정보는 단말기(500)로 전송되어 단말기(500)의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 및/또는 필기 내용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DSP들), 주문형 집적회로들 (ASIC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PGA들), 개별 로직 회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메모리(130)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들 또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명령들과 같은 명령들(예를 들어, 실행가능 명령들)을 포함한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들 각각에 의해서와 같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들로 하여금 센싱부(140)의 센싱 결과를 이용하여 필기 공유 장치(100)의 모션 정보 생성 그리고 신호송출기(300)로부터의 수신한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필기 공유 장치(100)의 위치정보 생성 그리고 모션정보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필기 정보 생성 그리고 영역위치신호 생성 및 생성한 신호를 전송 등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들에 의해 실행가능 할 수도 있다.
또한, 신호송출기(300)는 예를 들어 비콘(Beacon) 신호를 주기적으로 필기 공유 장치(100)로 전송하는 장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신호송출기(300)가 전송한 위치신호인 비콘 신호를 수신하면 송출신호크기, 신호의 세기 등에 기초하여 필기 공유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500)는 컴퓨터,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등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기(500), 프로젝터(70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압력 센서,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및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모션 정보에 대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가속도 센서(141), 자이로스코프 센서(142)를 포함한 센싱부(140)의 센싱 결과를 이용하여 필기 공유 장치(100)의 모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하우징(190)에 설치되어 필기시 칠판(1)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반작용으로 필기 부재(180)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143)를 구비한 센싱부(140)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필기 정보의 생성 및/또는 생성한 필기 정보를 단말기(500)로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70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방식,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필기 공유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필기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조사할 수 있고, 필기 공유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영역위치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의 조사 영역을 변경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떤 것이든 가능하다.
도 3은 다른 측면에서의 필기 공유 시스템에 대한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필기 공유 장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일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신호송출기(300)는 제1 내지 제4 신호송출기(310, 320, 330, 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신호송출기(310, 320, 330, 340) 각각은 칠판(1)의 서로 다른 모서리 4 곳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신호송출기(310, 320, 330, 340) 각각은 위치신호를 필기 공유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로부터 수신한 제1 내지 제4 신호송출기(310, 320, 330, 340) 각각으로부터의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20)는 제1 내지 제4 신호송출기(310, 320, 330, 340) 각각으로부터의 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필기 공유 장치(100)와 신호송출기(300) 사이의 수학식 1을 충족하는 거리(D1, D2, D3, D4)를 이용하여 필기 공유 장치(100)의 y축 상의 좌표를 계산하고 수학식 2를 충족하는 거리(D5, D6)을 이용하여 ㅊ축 상의 좌표를 계산하여 계산된 거리에 따라 필기 공유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나, 필기 공유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학식 1]
Figure 112017052506415-pat00001
Figure 112017052506415-pat00002
Figure 112017052506415-pat00003
Figure 112017052506415-pat00004
Figure 112017052506415-pat00005
R1은 칠판(1)의 폭(x축 상의 길이)이고, R2는 칠판(1)의 높이(y축 상의 길이)이다.
[수학식 2]
Figure 112017052506415-pat00006
Figure 112017052506415-pat00007
도 5는 필기 공유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필기 공유 장치(100)의 메모리(130)는 명령들을 포함하고, 명령들은 프로세서(120)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가능 하고, 동작들은 신호송출기(300)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10), 센싱부(140)의 센싱 값을 수신하는 단계(S120), 현재 센싱부(140)의 제1 센싱 값과 이전 센싱부(140)의 제2 센싱 값을 서로 비교하는 단계(S130), 제1 및 제2 센싱 값의 차이가 있으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센싱부(140)의 압력 센서(143)로부터 압력 센싱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 기 설정 시간 동안 압력 센싱 신호가 검출되면 위치신호와 현재 센싱 값에 기초한 위치 정보 및 모션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50), 생성한 필기 정보를 단말기(500)로 전송하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신호송출기(300)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10)에서 통신부(110)는 제1 내지 제4 신호송출기(310, 320, 330, 340) 각각으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어 송출신호크기와 위치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필기 공유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신호송출기(300)로부터 출력된 위치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센싱부(140)의 센싱 값을 수신하는 단계(S120)에서, 프로세서(120)는 센싱부(140)가 센싱한 모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20)는 센싱부(140)의 가속도 센서(141)와 자이로스코프 센서(142)의 센싱 값을 얻을 수 있다. 가속도 센서(141)와 자이로스코프 센서(142)의 센싱 값을 이용하여 칠판(1)에 필기하는 동안 하우징(190)의 국소 영역에서의 이동 방향, 이동 속도 검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필기 공유 장치(100)의 모션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현재 센싱부(140)의 제1 센싱 값과 이전 센싱부(140)의 제2 센싱 값을 서로 비교하는 단계(S130)에서, 프로세서(120)는 제1 센싱 값에 따른 필기 공유 장치(100)의 모션 정보와 제2 센싱 값에 따른 필기 공유 장치(100)의 모션 정보가 서로 차이가 나는 경우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필기 공유 장치(100)가 움직임이 있다면 모션 정보의 비교 결과 차이가 나고, 움직임이 없다면 모션 정보는 동일하게 나타난다.
또한, 필기 작성자가 필기 공유 장치(100)를 파지한 상태이지만 현재 필기용으로 쓰지 않고 있는 경우라면 필기 공유 장치(100)의 모션에 따른 필기 정보가 생성되는 현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는 기 설정 시간 동안 센싱부(140)의 압력 센서(143)로부터 압력 센싱 신호가 검출되었는지를 판단(S140)할 수 있다.
기 설정 시간 동안 압력 센싱 신호가 검출되면 위치신호와 현재 센싱 값에 기초한 위치 정보 및 모션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150, S160)에서, 필기 공유 장치(100)의 움직임이 검출되고 기 설정 시간 동안 필기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면 위치신호와 현재 센싱 값에 기초한 위치 정보 및 모션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한 필기 정보를 단말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500)는 수신한 필기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단말기(500)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페이지 상에 쓰여질 글자의 위치를 지정하고, 모션 정보에 따라 인식된 글자를 해당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기 공유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필기 공유 장치(100)의 메모리(130)는 명령들을 포함하고, 명령들은 프로세서(120)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가능 하고, 동작들은 신호송출기(300)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10), 위치신호로부터 필기 공유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20), 현재 위치 정보와 이전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S230), 현재 위치 정보와 이전 위치 정보의 차이가 나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센싱부(140)의 압력 센서(143)로부터 압력 센싱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40), 기 설정 시간 동안 압력 센싱 신호가 검출되면 현재 위치신호와 센싱 값에 기초한 위치 정보 및 모션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50), 생성한 필기 정보를 단말기(500)로 전송하는 단계(S26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신호송출기(300)로부터 위치신호를 수신하고(S210), 위치신호로부터 필기 공유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S220), 현재 위치 정보와 이전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S230)에서 필기 공유 장치(100)의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필기 공유 장치(100)가 움직임이 있다면 위치 정보의 비교 결과 차이가 나고, 움직임이 없다면 위치 정보는 동일하게 나타난다.
또한, 필기 작성자가 필기 공유 장치(100)를 파지한 상태이나 필기를 하지 않는 경우라면 필기 공유 장치(100)의 움직임에 따른 필기 정보가 생성되는 현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기 설정 시간 동안 센싱부(140)의 압력 센서(143)로부터 압력 센싱 신호가 검출되었는지를 판단(S240)할 수 있다.
필기 공유 장치(100)의 움직임이 검출되고 기 설정 시간 동안 필기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면 센싱 값에 기초한 모션 정보와 생성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정보를 생성하고(S250), 생성한 필기 정보를 단말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500)는 수신한 필기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는 칠판의 여러 영역 중 필기 공유 장치가 위치하는 영역에 따라 단말기에 새로운 페이지가 생성되거나 이전에 작성한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이다.
다른 측면에서, 프로세서(120)는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칠판(1)의 복수의 영역 중 필기 공유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위치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기(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10)는 칠판(1)은 복수의 영역에 대한 좌표 정보를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저장된 복수의 영역에 대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필기 공유 장치(100)가 칠판(1)의 복수의 영역 중 위치하는 영역이 어디인지를 나타내는 영역위치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500)는 영역위치신호를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되는 페이지를 변경할 수 있고, 필기 정보는 변경된 페이지 상에 자동으로 기록될 수 있다.
이는 대형 칠판(1)의 전 영역에 작성되는 필기 내용을 단말기(500)의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모두 나타내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복수의 영역 별로 단말기(500)에 새로운 페이지가 생성되고 새로운 페이지에 필기 내용이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필기 작성자가 필기 공유 장치(100)의 위치를 이전 영역으로 옮겨 해당 영역의 여백에 필기를 하는 경우에도 단말기(500)는 이전 영역에 대응하는 페이지를 표시하면서 자동으로 필기 내용을 기록하는 형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자동으로 기록된 필기 내용은 모두 저장될 수 있다.
도 8은 필기 공유 장치의 위치에 따른 프로젝터의 조사 방향을 달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프로세서(120)는 필기 정보와 영역위치신호를 프로젝터(7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젝터(700)는 영역위치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조사 방향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기 작성자가 칠판(1)의 좌측 편에 위치하여 칠판(1)에 필기를 하는 경우 프로젝터(700)는 영상을 필기 작성자의 맞은 편(예로 칠판의 우측 편에 설치된 보드판 등)에 조사할 수 있고, 필기 작성자가 칠판(1)의 우측 편에 위치하여 칠판(1)에 필기하는 경우 프로젝터(700)는 영상을 필기 작성자의 맞은 편(예로 칠판의 좌측 편)에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필기 작성자는 단말기(500)에서 자동으로 표시될 필기 정보를 프로젝터(700)의 영상으로부터 자신도 바로 확인할 수 있어 필기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필기 작성자의 위치에 따라 프로젝터(700)의 영상 조사 영역이 변경 되므로 프로젝터(700)로부터 출력되는 광이 필기 작성자에게 방해를 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복수의 필기 공유 장치를 모두 파지한 상태에서 그 중 어느 하나의 필기 공유 장치를 이용하여 필기를 하는 경우 필기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에 관한 개념도이다.
또한, 다른 측면에서, 필기 작성자는 제1 및 제2 필기 공유 장치(101, 102)를 파지한 상태에서 그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칠판(1)에 필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필기 공유 장치(101, 102)를 파지하고, 제2 필기 공유 장치(102)를 이용하여 칠판(1)에 필기하는 경우, 제2 필기 공유 장치(102)의 프로세서는 제2 필기 공유 장치(102)에 가해지는 압력과 움직임 변경을 모두 센싱하게 되므로 제2 필기 공유 장치(102)로부터 생성된 필기 정보를 단말기(500)로 전송되고, 제1 필기 공유 장치(101)의 프로세서는 제1 필기 공유 장치(101)의 움직임 변경은 검출되나 압력이 검출되지 않으므로 제1 필기 공유 장치(101)로부터 단말기(500)로 전송되는 필기 정보를 없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500)에는 제2 필기 공유 장치(102)로부터 생성된 필기 정보에 따라 필기 내용일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필기 작성자가 제2 필기 공유 장치(102)를 이용하여 필기를 하다가 제1 필기 공유 장치(101)로 변경되는 경우 소정의 시간(압력 센서로부터 압력 센싱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및 제2 필기 공유 장치(101, 102) 각각으로부터의 필기 정보가 동시에 단말기(5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500)는 제2 필기 공유 장치(102)로부터 필기 정보를 수신 중 제1 필기 공유 장치(101)로부터 필기 정보가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 제1 필기 공유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필기 정보만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칠판(1), 필기 공유 장치(100)
제1 필기 공유 장치 (101), 제2 필기 공유 장치 (102)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센싱부(140), 가속도 센서(141), 자이로스코프 센서(142)
압력센서(143), 필기 부재(180)
하우징(190), 신호송출기(300)
제1 신호송출기(310), 제2 신호송출기(320)
제3 신호송출기(330), 제4 신호송출기(340)
단말기(500), 프로젝트(700)

Claims (7)

  1. 칠판에 필기하기 위한 필기 부재;
    상기 필기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칠판에 설치된 신호송출기 출력된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의 센싱 결과에 기초한 모션 정보 및 상기 위치신호에 기초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필기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필기 정보는 외부 단말기로 전송되어 상기 외부 단말기에 표시되는 것이고
    상기 센싱부는,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압력이 미검출 또는 기 설정 시간 동안 위치가 고정되는 경우 상기 외부 단말기로 상기 필기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중단하는 것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칠판의 영역별로 매칭되는 복수의 영역위치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위치신호를 프로젝터로 전송하여 상기 프로젝터의 상기 필기 정보를 포함한 영상의 조사 영역을 변경시키는 것인
    필기 공유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칠판의 모서리 영역 각각에 설치된 제1 내지 제4 신호송출기 각각으로부터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필기 공유 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칠판의 영역별로 매칭되는 복수의 영역위치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위치신호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가 수신한 영역위치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필기 공유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68398A 2017-06-01 2017-06-01 필기 공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리고 필기 공유 방법 KR101957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398A KR101957200B1 (ko) 2017-06-01 2017-06-01 필기 공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리고 필기 공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398A KR101957200B1 (ko) 2017-06-01 2017-06-01 필기 공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리고 필기 공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817A KR20180131817A (ko) 2018-12-11
KR101957200B1 true KR101957200B1 (ko) 2019-03-12

Family

ID=64672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398A KR101957200B1 (ko) 2017-06-01 2017-06-01 필기 공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리고 필기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558B1 (ko) 2019-01-02 2020-12-1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필기 내용을 공유하는 강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66951B1 (ko) * 2021-06-21 2024-05-17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문자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23229156A1 (ko) * 2022-05-25 2023-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4432055A1 (en) 2022-05-25 2024-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receiving application screen from external device and displaying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3830A (ja) * 1998-08-18 2002-07-30 デジタル インク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絶対的および相対的な位置決めのための検出センサを有する手書き用デバイス
JP2013097809A (ja) * 2011-11-04 2013-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タッチ地点認識方法及びタッチシステム、並びに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107B1 (ko) 2005-12-09 2007-11-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문자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077005B1 (ko) 2009-07-30 2011-10-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펜을 이용한 필기 인식 시스템
KR20150021187A (ko) 2013-08-20 2015-03-02 (주)원니스텍 문자 인식 및 필기 획 정보 입력과 스마트 보드 공유에 의한 소셜 네트워크 의사 소통 방법
KR101681691B1 (ko) * 2015-02-23 2016-12-01 박범준 화면 분할을 통한 다중 접속이 가능한 전자 칠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3830A (ja) * 1998-08-18 2002-07-30 デジタル インク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絶対的および相対的な位置決めのための検出センサを有する手書き用デバイス
JP2013097809A (ja) * 2011-11-04 2013-05-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タッチ地点認識方法及びタッチシステム、並びに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817A (ko) 201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200B1 (ko) 필기 공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리고 필기 공유 방법
CN107003994B (zh) 用于修正手写字符的方法和设备
KR102482850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필체 교정 기능 제공 방법
KR102240279B1 (ko) 컨텐트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5136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evice
US9229541B2 (en) Coordinate detec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carrier medium
EP3155501B1 (en) Accessibility detection of content properties through tactile interactions
US20140002338A1 (en) Techniques for pose estimation and false positive filtering for gesture recognition
US20140108993A1 (en) Gesture keyboard with gesture cancellation
US2014035171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WO2022016654A1 (zh) 点阵书写内容的记录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19033655A1 (zh) 一种防误触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40118253A1 (en) Input apparatus and input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9119995A1 (zh) 触摸信号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6141887B2 (ja) 書き込まれた内容のための空間的に関係する注釈の表示
KR100945521B1 (ko) 문서 정보 입력 방법 및 시스템
US11294481B2 (en) Detection of pen location relative to an electronic device
KR101533603B1 (ko) 인식방법 및 인식장치
US100736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ly weighted user input elements for performing critical actions
US20150138077A1 (en) Display system and display controll device
US20120176321A1 (en) Touch-Enabled Personal Mobile Whiteboard Tablet
KR101452355B1 (ko) 닷패턴 인식 장치 및 컨텐츠 실행 장치
US20180129466A1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system
KR102547386B1 (ko) 답안 처리 방법 및 시스템
TW201823939A (zh) 觸控筆及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