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594B1 - 의료용 카테터 - Google Patents

의료용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594B1
KR101956594B1 KR1020170062859A KR20170062859A KR101956594B1 KR 101956594 B1 KR101956594 B1 KR 101956594B1 KR 1020170062859 A KR1020170062859 A KR 1020170062859A KR 20170062859 A KR20170062859 A KR 20170062859A KR 101956594 B1 KR101956594 B1 KR 101956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ubating
fluid
swollen
intubation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7743A (ko
Inventor
한세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디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디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디씨티
Priority to KR1020170062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594B1/ko
Publication of KR20180127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61M16/0436Special fillings therefor
    • A61M16/0438Liquid-fi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34Cuffs
    • A61M16/0443Special cuff-wal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1Means for forcing inflation fluid into the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1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 A61M2025/02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삽관(揷管)되기 위한 삽관부;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팽창하는 팽축부; 및 상기 삽관부 및 상기 팽축부 각각에 결합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팽창한 팽축부가 상기 삽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삽관부 및 상기 팽축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 카테터{Medical Catheter}
본 발명은 기관내삽관, 요도삽관 등을 위한 의료용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카테터는 환자의 신체 내 기관(器官)과 외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예컨대, 의료용 카테터는 기도를 유지하고 기도 내 분비물을 흡인하기 위해 기관내관에 삽관되거나 방광이나 요도에 질환이 있어 자가 소변 배출이 어려운 환자의 소변 배출 유도를 위해 요도에 삽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00)는 삽관부(110) 및 팽축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삽관부(110)는 환자의 신체 내 기관과 외부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삽관부(110)는 기관내관, 요도 등(이하, '관'이라 한다)에 삽관됨으로써, 환자의 폐, 방광 등과 외부를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삽관부(110)는 내부에 형성된 유체통로를 통해 공기의 유입 및 배출기능, 소변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기능, 약품을 공급하는 공급기능 등을 수행한다.
상기 팽축부(120)는 관에 삽관된 상기 삽관부(110)가 환자의 움직임이나 갑작스런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팽축부(120)는 상기 삽관부(110)의 외부에 결합된다.
상기 팽축부(120)는 유체가 유입되면 팽창하고 유체가 배출되면 수축한다. 상기 삽관부(110)가 관에 삽관되면, 상기 팽축부(120)는 외부로부터 상기 삽관부(110)를 통해 전달된 공기 등의 유체가 유입되어 팽창한다. 이에 따라, 상기 팽축부(120)는 관의 내벽에 접촉되어 상기 삽관부(110)가 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상기 삽관부(110)를 통해 공기의 유출입, 소변 배출, 약품 공급 등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면, 상기 팽축부(120)는 공기 등의 유체가 배출됨에 따라 수축함으로써 원래의 직경으로 복원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삽관부(110)는 기관내관, 요도 등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00)는 상기 삽관부(110)의 유체통로를 통과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약품, 공기, 소변 등으로부터 상기 팽축부(120)에 저장된 유체가 열을 전달받으면, 상기 팽축부(120)에 저장된 유체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팽축부(120)가 기관내관, 요도 등의 내벽에 접촉된 이후에도 더 팽창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00)는 상기 팽축부(120)가 상기 삽관부(1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압박력보다 더 큰 압박력으로 관의 내벽을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00)는 환자의 고통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팽축부(120) 내의 유체를 일부 배출하는 별도의 처치가 요구됨에 따라 삽관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국제공개특허공보 제2014-162842호(2014.10.09.자 공개)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6-052447호(2016.04.14.자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기관내관, 요도 등의 내벽에 가해지는 압박력을 감소시키는 의료용 카테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는 삽관(揷管)되기 위한 삽관부;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팽창하는 팽축부; 및 상기 삽관부 및 상기 팽축부 각각에 결합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팽창한 팽축부가 상기 삽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삽관부 및 상기 팽축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팽축부에 비해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는 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유체통로가 형성된 삽관부; 상기 유체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도록 상기 삽관부에 결합된 지지부; 및 상기 유체통로와 상기 지지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결합된 팽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체통로를 통해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팽축부에 비해 더 작은 체적을 갖도록 팽창되어서 상기 팽축부를 상기 삽관부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삽관부 및 상기 팽축부 사이에서 상기 삽관부 및 상기 팽축부 각각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관내관, 요도 등의 내벽을 필요 이상의 압박력으로 압박함에 따라 발생하는 환자의 고통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유체를 일부 배출하는 별도의 처치를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삽관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가 기관내관에 삽관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개념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에 있어서, 팽축부가 추가적으로 팽창함에 따라 관의 내벽을 압박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에 있어서, 팽축부가 수축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에 있어서, 팽축부가 팽창하여 관의 내벽에 접촉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에 있어서, 팽축부가 추가적으로 팽창함에 따라 삽관부 쪽으로 팽창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에 있어서, 지지부가 팽축부에 비해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에 있어서, 보강부가 지지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환자의 신체 내 기관(器官)과 외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비뇨기과, 외과, 내과, 산부인과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환자의 기관내관, 요도 등(이하, '관'이라 한다)에 삽관(揷管)됨으로써, 환자의 폐, 방광 등과 외부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관에 삽관되면, 관에 고정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환자의 기도를 유지하고 기도 내 분비물을 흡인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환자의 소변 배출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뇨장치(1)는 삽관되기 위한 삽관부(2),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팽창하는 팽축부(3), 및 상기 삽관부(2) 및 상기 팽축부(3) 각각에 결합된 지지부(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4)는 상기 팽축부(3)가 상기 삽관부(2)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삽관부(2) 및 상기 팽축부(3)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지지부(4)가 상기 팽축부(3)를 상기 삽관부(2)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삽관부(2) 및 상기 팽축부(3) 사이에 상기 팽축부(3)가 추가적으로 팽창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관에 접촉된 후에도 상기 팽축부(3)가 상기 삽관부(2)를 통과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약품, 공기, 소변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열로 인해 추가적으로 팽창하는 경우, 상기 팽축부(3)가 관의 내벽 쪽으로 팽창하여 관을 압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삽관부(2) 쪽을 향해 팽창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팽축부(3)가 상기 삽관부(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압박력보다 더 큰 압박력으로 관의 내벽을 압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팽축부(3)가 관의 내벽을 압박함에 따라 발생하는 환자의 고통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팽축부(3) 내의 유체를 일부 배출하는 별도의 처치를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삽관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삽관부(2), 상기 팽축부(3), 및 상기 지지부(4)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삽관부(2)는 관에 삽관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삽관부(2)는 도뇨, 기도의 확보 등 다양한 의료적 목적으로 관에 삽관될 수 있다. 상기 삽관부(2)가 관에 삽관됨에 따라, 환자의 신체 내 기관은 상기 삽관부(2)를 통해 외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삽관부(2)는 관에 삽관되어 공기, 소변, 약품 등의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삽관부(2)는 공기, 소변, 약품 등의 유체가 환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누출된 소변, 약품 등으로 인해 환부 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청결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삽관부(2)는 상기 지지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관부(2)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형이 용이하고 신축성이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재질이면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삽관부(2)는 이중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삽관부(2)는 연결통로(21), 및 유체통로(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통로(21)는 폐, 방광 등 환자의 신체 내 기관과 외부 각각에 연통된 것이다. 상기 연결통로(21)를 통해 환자의 신체 내 기관은 외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통로(21)는 환자의 방광으로부터 외부로 소변이 이동하거나, 외부로부터 주입된 약품, 공기 등이 환자의 신체 내 기관으로 이동하는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연결통로(21)는 상기 삽관부(2)의 본체를 삽관방향(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관방향(X축 방향)은 상기 삽관부(2)가 관에 삽입되는 방향이다. 상기 연결통로(21)는 상기 삽관부(2)의 본체에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관부(2)가 이중 관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연결통로(21)는 상기 삽관부(2)의 이중 관 중에서 내측 관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연결통로(21) 중에서 외부에 연통된 부분에는 역류방지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환자의 외부로부터 상기 삽관부(2)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통로(21)로 주입된 약품 등의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유체통로(22)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상기 팽축부(3)로 이동되거나, 상기 팽축부(3)의 내부 공간에 저장된 유체가 다시 외부로 이동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유체통로(22)는 상기 팽축부(3)를 팽축시키기 위한 유체가 유동하는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환자의 외부에서 유입된 유체를 환자의 신체 내 기관에 배치된 상기 팽축부(3)로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유체통로(22)는 환자의 외부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유체통로(22)는 상기 삽관부(2)의 본체에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관부(2)가 이중 관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유체통로(22)는 상기 삽관부(2)의 이중 관 중에서 외측 관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유체통로(22) 중에서 외부에 연통된 부분에는 역류방지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환자의 외부로부터 상기 삽관부(2)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유체통로(22)로 주입된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팽축부(3)는 상기 지지부(4)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팽축부(3)는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팽창하고 유체가 배출됨에 따라 수축할 수 있다. 상기 팽축부(3)의 내부 공간은 상기 지지부(4)를 통하여 상기 유체통로(2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팽축부(3)는 상기 유체통로(22)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가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팽창하고, 내부의 유체가 상기 유체통로(22)로 배출되어 외부로 유동함에 따라 수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상기 팽축부(3)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팽축부(3)는 내부의 압력이 증가되어 팽창할 수 있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팽축부(3)는 직경이 증가하여 기관내관의 내벽에 접촉하여 마찰을 형성하거나 방광 입구에 걸림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삽관부(2)가 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약품 주입, 소변 배출 등의 의료적 목적을 달성한 후, 상기 팽축부(3) 내부의 유체가 배출되면, 상기 팽축부(3)는 내부의 압력이 감소되어 수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팽축부(3)는 직경이 감소되어 관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팽축부(3)는 상기 삽관부(2)가 관에 삽관된 후에 팽창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상기 삽관부(2)가 관으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기 삽관부(2)를 통해 행해지는 약품 주입, 소변 배출 등 의료 처치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안정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삽관부(2)가 이탈 후 재삽입되는 빈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의사 및 간호사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삽관부(2)가 이탈될 때 누출될 수 있는 소변, 약품 등으로 인해 환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팽축부(3)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팽축부(3)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관의 내벽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이 용이하고 신축성이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재질이면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팽축부(3)는 상기 삽관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관부(2)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팽축부(3)는 압박면(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면(31)은 상기 삽관부(2)가 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면(面)이다. 상기 압박면(31)은 상기 팽축부(3)가 팽창함에 따라 관의 내벽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팽축부(3)는 상기 압박면(31)을 통해 관의 내벽을 압박할 수 있다. 상기 압박면(31)이 관의 내벽을 압박함에 따라, 상기 팽축부(3)는 상기 삽관부(2)가 관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압박면(31)은 상기 팽축부(3)가 수축함에 따라 관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팽축부(3)는 상기 압박면(31)을 통해 관의 내벽을 압박하는 것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압박면(31)이 관의 내벽에 대한 압박을 해제함에 따라, 상기 삽관부(2)는 관으로부터 이탈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압박면(31)은 상기 팽축부(3)에서 관의 내벽 쪽을 향하는 일면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압박면(31)은 상기 팽축부(3)가 팽창한 정도에 따라 관의 내벽에 접촉되는 면적이 변동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팽축부(3)가 팽창하면, 상기 압박면(31) 중 관의 내벽에 접촉되는 면적은 증대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팽축부(3)가 수축하면, 상기 압박면(31) 중 관의 내벽에 접촉되는 면적은 감소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삽관부(2) 및 상기 팽축부(3) 각각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삽관부(2) 및 상기 팽축부(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는 상기 팽축부(3)에 비해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는 상기 팽축부(3)가 팽창하는 경우, 상기 팽축부(3)가 상기 삽관부(2)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팽축부(3)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지지부(4)가 상기 팽축부(3)를 상기 삽관부(2)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삽관부(2) 및 상기 팽축부(3) 사이에 상기 팽축부(3)가 추가적으로 팽창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팽축부(3)가 상기 삽관부(2)를 통과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약품, 공기, 소변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열로 인해 추가적으로 팽창하는 경우에도 상기 삽관부(2) 쪽을 향해 팽창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팽축부(3)가 관의 내벽을 압박함에 따라 발생하는 환자의 고통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삽관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4)는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팽창한 팽축부(3)를 상기 삽관부(2)로부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삽관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하되, 상기 삽관부(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다. 상기 팽축부(3)가 상기 지지부(4)에 의해 상기 삽관부(2)로부터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됨에 따라, 상기 삽관부(2) 및 상기 팽축부(3)의 사이에는 이격홈(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홈(41)은 상기 팽축부(3)가 관에 접촉된 이후에도 추가적으로 팽창하는 경우, 상기 삽관부(2) 쪽을 향해 팽창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여유 공간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삽관부(2)를 통과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약품, 공기, 소변 등으로부터 상기 팽축부(3)로 열이 전달되는 거리가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으로 증대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삽관부(2)를 통과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약품, 공기, 소변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저감시킴으로써, 상기 팽축부(3)가 추가적으로 팽창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팽축부(3)가 관의 내벽을 필요 이상의 압박력으로 압박함에 따라 발생하는 환자의 고통을 더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삽관작업의 효율성을 더 증대시킬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유체통로(22)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도록 상기 삽관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체통로(22)로부터 상기 지지부(4)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지지부(4)는 팽창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4)는 상기 팽축부(3)에 비해 더 작은 체적을 갖도록 팽창되어서 상기 팽축부(3)를 상기 삽관부(2)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지지부(4)가 상기 유체통로(22)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는 경우에도 상기 팽축부(3)를 상기 삽관부(2)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삽관부(2) 및 상기 팽축부(3) 사이에 상기 팽축부(3)가 추가적으로 팽창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팽축부(3)가 상기 삽관부(2)를 통과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약품, 공기, 소변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열로 인해 추가적으로 팽창하는 경우에도 상기 삽관부(2) 쪽을 향해 팽창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팽축부(3)가 관의 내벽을 압박함에 따라 발생하는 환자의 고통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삽관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4)는 상기 팽축부(3)에 비해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팽축부(3)가 관의 내벽을 압박함에 따라, 상기 팽축부(3)로부터 전달되는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4)가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변형되는 정도가 저감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이격홈(41)의 크기가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감소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팽축부(3)가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팽창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유체통로(22)를 통해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4) 및 상기 팽축부(3)가 팽창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4)가 상기 팽축부(3)에 비해 더 작은 체적만큼 팽창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지지부(4)가 팽창함에 따라 상기 이격홈(41)의 크기가 감소되는 정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상기 팽축부(3)가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팽창하기 위한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는 상기 팽축부(3)에 비해 더 큰 강성(Rigidity)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성은 재료의 단위 신장에 대한 외력의 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가 상기 팽축부(3)에 비해 강성이 크다는 것은, 상기 지지부(4)에 상기 팽축부(3)에 가해진 힘과 동일한 힘이 가해졌을 때 상기 지지부(4)가 상기 팽축부(3)에 비해 변형되는 정도가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팽축부(3)가 관의 내벽을 압박함에 따라, 상기 팽축부(3)로부터 전달되는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4)가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변형되는 정도가 저감되도록 구현된다.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이격홈(41)의 크기가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감소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팽축부(3)가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팽창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는 상기 팽축부(3)에 대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삽관부(2)에 대해 상기 외측방향(ED 화살표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는 상기 삽관부(2) 및 상기 팽축부(3)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4)는 연통공(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공(42)은 상기 팽축부(3)의 내부 및 상기 유체통로(22)를 연통시키는 것이다. 상기 연통공(42)은 상기 지지부(4)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공(42)을 통해, 유체는 상기 유체통로(22) 및 상기 팽축부(3)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다. 유체가 상기 유체통로(22)로부터 상기 연통공(42)을 통과하여 상기 팽축부(3)의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팽축부(3)는 팽창할 수 있다. 유체가 상기 팽축부(3)의 내부로부터 상기 연통공(42)을 통과하여 상기 유체통로(22)로 배출되면, 상기 팽축부(3)는 수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지지부(4)가 상기 삽관부(2)로부터 상기 팽축부(3)를 이격시킴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4)에 형성된 상기 연통공(42)을 통해 상기 삽관부(2) 및 상기 팽축부(3) 사이에서 유체가 유동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별도의 구성 없이 상기 지지부(4)가 상기 팽축부(3)를 지지하는 지지기능 및 유체를 유동시키는 유동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현되므로, 간결한 구조를 통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 등의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연통공(42)은 상기 지지부(4)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통공(42)에는 유체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연통공(42)을 통해 상기 팽축부(3) 내부에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팽축부(3) 내부의 압력과 상기 유체통로(22)의 압력이 동일해지면, 상기 연통공(42)에도 유체가 수용되어 상기 지지부(4)는 팽창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부(4)는 결합면(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면(43)은 상기 지지부(4) 중에서 상기 삽관부(2)에 결합된 면(面)이다. 상기 결합면(43)은 상기 지지부(4)에서 상기 삽관부(2) 쪽을 향하는 일면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결합면(43)은 상기 압박면(31)에 비해 더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삽관부(2)로부터 전달되는 열로 인해 상기 팽축부(3)가 추가적으로 팽창하는 경우, 상기 팽축부(3)가 상기 삽관부(2) 쪽으로 팽창 가능한 공간이 증대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팽축부(3)가 관의 내벽 쪽으로 팽창되는 정도를 더 감소시켜 환자의 고통을 더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삽관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삽관부(2)를 통과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약품, 공기, 소변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상기 팽축부(3) 쪽으로 전달되는 면적이 감소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팽축부(3)가 추가적으로 팽창하는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면(43)은 상기 삽관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압박면(31)에 비해 더 작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삽관부(2)로부터 전달되는 열로 인해 상기 팽축부(3)가 추가적으로 팽창하는 경우, 상기 팽축부(3)가 상기 삽관부(2) 쪽으로 팽창 가능한 공간이 상기 삽관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더 증대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팽축부(3)가 관의 내벽 쪽으로 팽창되는 정도를 더 감소시켜 환자의 고통을 더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삽관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보강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5)는 상기 지지부(4)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보강부(5)는 상기 지지부(4)를 보강하여 상기 지지부(4)와 함께 상기 팽축부(3)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부(5)는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팽창한 팽축부(3)를 상기 삽관부(2)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보강부(5)가 상기 팽축부(3)로부터 전달되는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분산시키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지지부(4)가 상기 가압력에 의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변형되는 정도가 더 저감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카테터(1)는 상기 이격홈(41)의 크기가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감소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팽축부(3)가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팽창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5)는 상기 지지부(4)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5)는 상기 삽관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팽축부(3)를 지지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부(5)는 상기 지지부(4)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5)는 상기 지지부(4)에 비해 더 큰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5)는 상기 팽축부(3)에 비해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의료용 카테터 2 : 삽관부
3 : 팽축부 4 : 지지부
5 : 보강부 21 : 연결통로
22 : 유체통로 31 : 압박면
41 : 이격홈 42 : 연통공
43 : 결합면

Claims (11)

  1. 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유체통로가 형성된 삽관부;
    상기 유체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도록 상기 삽관부에 결합된 지지부; 및
    상기 유체통로와 상기 지지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결합된 팽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체통로를 통해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팽축부와 상기 삽관부의 사이에 이격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삽관부가 삽관되는 방향에 대해 평행한 삽관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팽축부에 비해 더 작은 길이로 팽창되며,
    상기 팽축부는 상기 유체통로와 상기 지지부를 통해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팽창되어서 관에 접촉된 이후에 추가적으로 팽창하는 경우, 상기 이격홈을 통해 상기 삽관부 쪽으로 팽창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축부는 상기 삽관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압박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삽관부에 결합된 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면은 상기 삽관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압박면에 비해 더 작은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축부는 상기 삽관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압박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삽관부에 결합된 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면은 상기 압박면에 비해 더 작은 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팽창한 팽축부가 상기 삽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팽축부에 비해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팽창한 팽축부가 상기 삽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팽축부에 비해 더 큰 강성(Rigidity)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
  6. 제1항에 있어서,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팽창한 팽축부가 상기 삽관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에 결합된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팽축부의 내부 및 상기 유체통로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팽축부에 비해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유체통로를 통해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팽축부에 비해 더 작은 체적을 갖도록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카테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062859A 2017-05-22 2017-05-22 의료용 카테터 KR101956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859A KR101956594B1 (ko) 2017-05-22 2017-05-22 의료용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859A KR101956594B1 (ko) 2017-05-22 2017-05-22 의료용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743A KR20180127743A (ko) 2018-11-30
KR101956594B1 true KR101956594B1 (ko) 2019-03-12

Family

ID=6456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859A KR101956594B1 (ko) 2017-05-22 2017-05-22 의료용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5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41955B (zh) * 2021-03-16 2022-05-20 山东第一医科大学附属肿瘤医院(山东省肿瘤防治研究院、山东省肿瘤医院) 一种用于急性放射性食管炎的食管局部给药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3988A (ja) 2009-05-29 2010-12-09 Olympus Corp カテーテル
JP2012165901A (ja) 2011-02-15 2012-09-06 Asahi Intecc Co Ltd 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20130237965A1 (en) 2006-01-25 2013-09-12 Leonard Pinchuk Stretch Valve Balloon Catheter and Methods for Producing and Using Same
WO2014162842A1 (ja) * 2013-04-02 2014-10-09 テルモ株式会社 バルーンカテーテル、およびバルーンカテーテルの製造方法
JP2016052447A (ja) * 2014-09-04 2016-04-14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7965A1 (en) 2006-01-25 2013-09-12 Leonard Pinchuk Stretch Valve Balloon Catheter and Methods for Producing and Using Same
JP2010273988A (ja) 2009-05-29 2010-12-09 Olympus Corp カテーテル
JP2012165901A (ja) 2011-02-15 2012-09-06 Asahi Intecc Co Ltd バルーンカテーテル
WO2014162842A1 (ja) * 2013-04-02 2014-10-09 テルモ株式会社 バルーンカテーテル、およびバルーンカテーテルの製造方法
JP2016052447A (ja) * 2014-09-04 2016-04-14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ーテ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743A (ko) 201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2914B2 (ja) カラーを利用した自己位置合わせ式気管チューブ汚れ取り装置
US4141364A (en) Expandable endotracheal or urethral tube
US4772260A (en) Rectal catheter
US3734100A (en) Catheter tubes
JP2020171821A (ja) カテーテルの動的先端閉塞
CN109475718A (zh) 安全导尿管及制造方法
JP2006314479A (ja) 直腸カテーテル装置
TW201726201A (zh) 人工氣道裝置
EP3691601B1 (en) Catheter with balloon valve
KR101956594B1 (ko) 의료용 카테터
US11135407B2 (en) Expandable intubation assemblies
KR20190115773A (ko) 요도 협착 억제장치
KR101487594B1 (ko) 전립선 치료용 벌룬 카테터
US7124489B2 (en) Process for producing a catheter
KR102516178B1 (ko) 도뇨장치
US8663159B2 (en) Endoscopic device
KR102118932B1 (ko) 이중 띠 기관내관
US20030153881A1 (en) Medical instrument with tampon-like section
KR102393312B1 (ko) 의료용 카테터
CN110548210B (zh) 一种防止失压所形成的棱角损伤尿道的导尿管
CN218739839U (zh) 一种直肠球囊导管装置
CN211798188U (zh) 前列腺扩张导管
KR101916215B1 (ko) 삽관 유도장치 및 의료용 카테터
CN218651768U (zh) 一种小肠镜检查用外套管
CN210583328U (zh) 一种经胆道内外双重引流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