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593B1 -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 - Google Patents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593B1
KR101956593B1 KR1020180030383A KR20180030383A KR101956593B1 KR 101956593 B1 KR101956593 B1 KR 101956593B1 KR 1020180030383 A KR1020180030383 A KR 1020180030383A KR 20180030383 A KR20180030383 A KR 20180030383A KR 101956593 B1 KR101956593 B1 KR 101956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lider
auxiliary
guide rai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찬솔
Original Assignee
안찬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찬솔 filed Critical 안찬솔
Priority to KR1020180030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593B1/ko
Priority to PCT/KR2019/002888 priority patent/WO2019177359A1/ko
Priority to US16/981,269 priority patent/US1151044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42B1/0184Peaks or visors detachable or movable, e.g. rotatable
    • A42B1/064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42B1/20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3Inflatable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는, 하단 가장자리에 안내부를 구비한 크라운과 상기 안내부와 결합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챙을 포함하는 모자로서, 상기 안내부는 모자의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안내면과 상기 안내면의 끝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형성한 안내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가 삽입되는 슬라이더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슬라이더몸체에 회전체수용구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수용구에는 회전이 자유롭게 회전체를 삽입하되, 삽입된 회전체의 일부가 상기 안내레일 쪽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모자의 챙은 슬라이딩부가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주챙과, 한쪽 모서리부는 상기 주챙에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고, 다른 한쪽 모서리부는 상기 안내부에 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는 보조챙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Cap with Position Adjustable Visor}
본 발명은 회전 챙을 구비한 모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챙의 위치를 좌우로 가변시킬 때,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구성의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머리를 감싸는 덮개인 크라운과 이 크라운의 밑 부분에 재봉되는 햇빛 차단 챙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야외 활동이나 운동을 할 때, 얼굴이 햇빛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려고 캡(cap) 타입 모자를 많이 쓰는데, 이 캡 타입의 모자를 쓴 사용자는 햇빛 방향이 바뀌면 모자를 고쳐 써서 챙의 방향을 바꾸는 방식으로 햇빛을 가리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햇빛 방향에 따라 모자를 계속 고쳐 쓰는 일은 대단히 불편하므로, 모자를 고쳐 쓰지 않고 챙만 좌우로 돌려 햇빛을 가릴 수 있도록 하는 챙 회전식 모자가 다수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실용신안등록 제0390299호 및 공개특허 제2000-0037084호 등에 나타나 있다.
이 종래기술들에 개시된 모자는, 크라운과 챙의 연결부를 각각 슬라이딩 돌기와 슬라이드 홈으로 형성하여 크라운과 챙이 연결부를 따라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슬라이딩 돌기와 슬라이드 홈이 직접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챙 회전 시 마찰 저항이 발생하여 회전이 부드럽게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한편, 사람 머리 둘레는 완전한 원형이 아니라 이마에서 후두부까지는 길이가 길고 측두부 사이의 길이는 짧은 타원 형태가 일반적이다. 즉 이마에서 측두부와 후두부로 넘어가는 둘레의 곡률은 변화한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과 같은 모자들을 쓰면 모자의 크라운 하단 테두리가 머리 형태에 맞춰 타원 형태로 변형되므로, 챙을 회전시킬 때 이마와 측두부 및 후두부 사이의 곡률이 변하는 부분에서 회전이 부드럽게 되지 않는 문제도 발생한다.
실용신안등록 제20-0390299호 공개특허 제2000-003708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챙과 크라운 사이에서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부의 구조를 챙 회전 시 마찰저항이 최소화되도록 개선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또한, 사람의 머리 형태에 관계없이 착모한 상태에서 챙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챙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해결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는, 하단 가장자리에 안내부를 구비한 크라운과 상기 안내부와 결합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한 챙을 포함하는 모자이다.
상기 안내부는 모자의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안내면과 상기 안내면의 끝 부분 두께를 두껍게 하여 형성한 안내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가 삽입되는 슬라이더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더는, 슬라이더몸체에 회전체수용구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수용구에는 회전이 자유롭게 회전체를 삽입하되, 삽입된 회전체의 일부가 상기 안내레일 쪽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하우징은, 상기 안내면과 안내레일이 좌우로 통과하는 통로를 사이에 두고 하우징상부체와 하우징하부체로 구분된다.
상기 하우징상부체는 상기 통로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안내레일의 상부가 걸리는 상부이탈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하부체는 통로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슬라이더를 삽입하는 슬라이더수용부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몸체에는 상기 회전체수용구 아래쪽으로 판스프링수용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수용부에는 판스프링부를 수용하되, 상기 판스프링부에는 회전체안착부를 구비한 탄성편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체수용구에 삽입된 회전체의 하부가 회전체안착부에 안착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안내레일이 걸려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돌출턱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통로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우징하부체에는 상기 안내레일의 하부가 걸리는 하부이탈방지턱을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몸체의 외부 측면에는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딩하우징에 형성된 슬라이더수용부의 내부 측벽에는 슬라이더결합홈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출부가 상기 슬라이더결합홈에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더하우징에 슬라이더가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의 챙은 슬라이딩부가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주챙과, 한쪽 모서리부는 상기 주챙에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고, 다른 한쪽 모서리부는 상기 안내부에 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는 보조챙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챙은, 상기 주챙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부보조챙과 상기 주챙의 하면에 위치하는 하부보조챙을 상하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된 상부보조챙과 하부보조챙 사이에는 주챙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틈새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주챙에는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챙은 상기 상부보조챙과 하부보조챙 중 어느 하나에 체결구멍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체결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체결돌기로 상기 삽입틈새에 삽입된 주챙의 결합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구멍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주챙과 보조챙을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챙에는 보조챙이 상대이동 할 때 진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안내하는 장공 형태의 안내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챙에는 상기 안내구멍에 삽입되는 중간안내돌기를 삽입틈새의 안쪽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부는 모자의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된 안내면과 상기 안내면의 끝 부분 두께를 두껍게 하여 형성한 안내레일을 구비하므로, 상기 안내부와 보조챙의 결합은, 상기 안내부의 안내레일이 상기 보조챙의 안내돌기부 내측으로 삽입된 후 걸림으로써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크라운의 안내부와 이 안내부에 결합 되어 회전하는 챙의 슬라이딩부 사이에서 회전체에 의한 구름운동이 일어나므로, 마찰저항이 감소하여 챙의 회전이 부드럽고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더를 별도의 부품 형태로 조립하여 슬라이더 하우징에 끼워 결합하는 방식으로 슬라이딩부를 형성하므로, 비숙련자도 제품 제조 작업을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착모한 상태에서 챙을 회전시킬 때, 보조챙과 주챙이 상대 이동하므로, 머리 둘레 곡률의 변화에 맞추어 챙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부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상부에서 본 주요부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 분해사시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판스프링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슬라이더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챙의 슬라이딩부를 후방에서 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보조챙 하부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상부보조챙의 내면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부보조챙의 내면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챙이 정면을 향할 때 보조챙 상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챙이 45도 정도 회전했을 때 보조챙 상태도이다.
도 13은 도 9의 챙이 90도 정도 회전했을 때 보조챙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편의상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사용한 용어 중에는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용어는 설계자나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내용을 참작하여 합리적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앞', '뒤', '좌, '우', '선단', '전방', '후단', '후방'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일반적으로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이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체결' 등이 되었다고 기재한 경우는, 중간 매개 구성요소를 통한 간접적 방법으로 이루어진 '연결', '결합' 또는 '체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파악할 수 있는 외형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 모자에서 챙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해 챙과 크라운이 상대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과 도 8 내지 도 13에는 모자를 착용한 사람의 머리 둘레 곡률에 관계없이 챙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모자의 챙과 크라운의 상대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본 발명 실시례의 주요 구성과 작용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먼저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자를 상부에서, 도 2는 하부에서 사시로 본 상태를 각각 그린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챙(20)과 보조챙(30)을 분리한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 실시례의 모자는 머리 덮개(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와 머리 덮개의 하단 테두리에 설치된 안내부(10)를 포함하는 크라운(1)과, 주챙(20)과 보조챙(30)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챙(2)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자는, 머리 둘레에 밀착하는 안내부(10)를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머리의 앞뒤길이(L)가 좌우 폭(S)보다 긴 타원 형태로 형성한다. 안내부(10)는 착용하는 사람의 두형에 따라 어느 정도 변형 가능하도록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람 머리가 앞뒤길이가 좌우폭보다 큰 것이 보통이지만 인종별, 개인별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도 1에는 안내부(10)의 A-A선 확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확대 단면도의 안내부(10)를 보면, 머리 둘레를 둘러싸는 지지테(11)와 상기 지지테(11)의 하단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안내면(12), 그리고 연장된 안내면(12)의 끝부분 두께를 안내면 두께보다 두껍게 하여 형성한 안내레일(13)로 구분되고, 안내면(12)과 안내레일(13)의 단면 형상은 철도 레일 형태와 유사하다.
지지테(11)는 길이가 길고 폭이 대략 10mm 되는 밴드 형태로 형성한다. 지지테(11)의 하단에는 바깥쪽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안내면(12)을 형성하며, 윗부분에는 점선으로 도시된 머리덮개를 재봉이나 접착 등의 방법으로 부착한다.
상기 안내면(12)은 후술하는 슬라이딩부(40)의 회전체(50)가 접촉하며 구름 운동하는 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안내면(12)을 지지테(11)의 전 둘레를 따라 형성하나, 필요한 경우 지지테(11)의 일부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안내면(12)의 폭은 대략 5mm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면(12)의 끝 부분에 형성한 안내레일(13)은, 후술하는 주챙(20)이 슬라이딩부(40) 및 보조챙(30)의 안내돌기부(34)와 이동이 자유롭게 결합하여, 챙(30)이 안내부(10)를 따라 회전할 때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것처럼, 안내레일(13)은 안내면의 끝 부분에서 안내면(12)을 위아래로 두께를 늘려 형성한 형태이다. 필요한 경우 안내면(12)을 위나 아래 중 어느 한쪽으로만 두께를 늘려 형성할 수도 있다. 안내레일(12)의 폭은 대략 2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챙(2)의 후단부, 즉 크라운(1) 쪽 단부에는 슬라이딩부(40)가 형성된다. 슬라이딩부(40)는 상기 안내레일(13)이 좌우로 관통하며 결합되며, 슬라이딩부(40)를 이용하여 챙(2)을 안내레일(13)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 실시례의 슬라이딩부(40) 구성을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 분해사시도다.
슬라이딩부(40)는 크게 슬라이더하우징(41)과 슬라이더(60)로 구분되며, 슬라이더(60)는 슬라이더몸체(45)와 회전체(50) 및 판스프링부(51)로 세분할 수 있다.
슬라이더하우징(41)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주챙(2)과 일체로 형성되며 하우징상부체(42)와 하우징하부체(43)로 구분된다. 하우징상부체(42)와 하우징하부체(43) 사이는 상기 안내부(10)의 안내면(12)과 안내레일(13)이 끼워져 좌우로 통과할 수 있는 통로(P)를 형성한다.
하우징상부체(42)는 통로(P)의 위쪽에 위치하여, 착모 시 챙(2)의 상면에서 보이는 부분이다. 크라운(1) 쪽을 향하는 하우징상부체(42)의 후단에는 상부이탈방지턱(42-1)이 좌우로 길게 아래로 돌출하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통로(P)의 좌우측으로 안내레일(13)을 삽입했을 때, 챙(2)이 전방으로 당겨져도 안내레일(13) 상부가 상부이탈방지턱(42-1)에 걸리므로 쉽게 빠지지 않는다.
하우징하부체(43)는 통로(P)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착모 시 챙(2)의 밑면에서 보이는 부분이다.
하우징하부체(43)에는 슬라이더(60)를 삽입하는 슬라이더수용부(44)를 형성하고, 슬라이더수용부(44)의 좌우측 상부 쪽 하우징하부체(43)에는 안내레일(13)의 하부가 걸리는 하부이탈방지턱(43-1)을 각각 형성한다.
이 하부이탈방지턱(43-1)은 앞서 설명한 상부이탈방지턱(42-1)과 동일한 작용을 한다. 즉, 통로(P)에 안내레일(13)을 삽입했을 때, 챙(2)이 전방으로 당겨져도 안내레일(13) 하부가 하부이탈방지턱(43-1)에 걸려 쉽게 빠지지 않는다.
슬라이더수용부(44)는 슬라이더(60)를 끼워 맞춰 넣을 수 있도록, 삽입될 슬라이더(60)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실시례의 슬라이더수용부(44) 형상은, 상부가 상기 통로(P) 쪽으로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이며, 하부 좌우측 하우징하부체(43)에 슬라이더결합홈(44-1)을 더 형성한 형태이다.
이러한 슬라이더수용부(44) 형상은 후술하는 본 발명 실시례의 슬라이더(60) 형상에 맞추어 형성한 것이며, 슬라이더 형상을 설계 변경하면 상기 슬라이더수용부 형상도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례의 슬라이더(60)는, 도 4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에 가까운 형상인 슬라이더몸체(45)와 이 슬라이더몸체(45) 내장되는 판스프링부(51) 및 상기 슬라이더몸체(45)와 판스프링부(51) 사이에 끼워 설치되는 회전체(50)를 포함한다.
슬라이더몸체(45) 상부에는 회전체수용구(47)를 형성하며, 이 회전체수용구(47) 아래쪽에는 판스프링부(51)를 수용할 수 있는 판스프링부 수용공간(49)이 몸통 내측으로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더몸체(45)의 상면에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안내레일(13)이 걸려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돌출턱(46)을 좌우로 길게 형성한다.
슬라이더몸체(45)를 슬라이더수용부(44)에 끼워 결합하였을 때, 이 돌출턱(46)을 상기 하부이탈방지턱(43-1)과 동일 선상에 동일 형상으로 위치하도록 구성하면, 안내레일(13)을 따라 슬라이딩부(40)의 좌우이동을 더욱 부드럽게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턱(46)과 하부이탈방지턱(43-1)은 동일한 크기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하면 슬라이더몸체(45)를 슬라이더수용부(44)에 끼워 결합했을 때,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돌출턱(46)과 하부이탈방지턱(43-1)은 동일 선상에 동일 형상의 이탈방지턱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처럼 된다.
상기 돌출턱(46)과 상기 하부이탈방지턱(43-1)은 모두 안내레일(13)의 이탈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므로, 필요하다면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더몸체(45)의 외부 양쪽 측면에는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출부(48-1)를 형성하여, 하우징하부체의 슬라이더결합홈(44-1)에 끼워 맞출 수 있게 구성한다.
슬라이더몸체(45)의 상부에 형성한 회전체수용구(47)에는 회전체(50)를 수용하며, 이 회전체(50)는 회전체 수용구 안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자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회전체(50)로 구형 볼을 사용하는데, 자유롭게 좌우로 회전할 수 있는 원통형 롤러 같은 기계요소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회전체(50)는 강철이나 고강도 플라스틱 같은 재료로 매끄러운 표면을 갖도록 형성한다.
회전체수용구(47)는 상기 안내레일(13)이 통과하는 통로(P)를 향하여 열려있도록 한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례의 회전체수용구(47)는, 수용되는 회전체(50)의 상부 일부가 상기 통로(P) 쪽으로 노출될 수 있는 형태로 슬라이더몸체(45)를 관통하여 형성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더몸체(45) 상면으로 보이는 회전체수용구(47)의 구멍지름을 회전체(5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하며, 슬라이더몸체(45) 내부로 갈수록 회전체수용구(47)의 지름을 크게 형성한다. 예를 들면 회전체수용구(47)는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원뿔형 구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슬라이딩부(40)의 투시 단면처럼, 회전체(50)는 상부 일부가 슬라이더몸체(45) 상면 위로 약간 돌출되고, 완전히 통과하지는 않는다.
회전체수용구(47) 아래쪽으로 몸통 내부에 형성하는 판스프링부 수용공간(49)은 판스프링부(51)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 실시례의 판스프링부(51)는 양쪽에 다리가 달린 책상 형태이므로, 이에 대응하여 판스프링부 수용공간(49)의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더몸체(45) 내부를 직육면체 형상으로 파낸 형태가 된다.
따라서 판스프링부 수용공간(49)의 좌우측에는 슬라이더몸체 다리(48)가 형성되며, 이 슬라이더몸체 다리(48) 내면으로 판스프링 다리(54)가 밀착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판스프링부(51)는 강철판과 같이 탄성이 있는 얇은 판재를 ‘ㄷ’자 형태로 구부려 형성하고, 상면에는 말굽 형태로 타공부(55)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타공부(55) 안쪽으로 돌출편 형태의 탄성편(52)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며, 구부려 형성한 판스프링부(51)의 양 측면은 판스프링 다리(54)가 된다. 상기 탄성편(52)은 일단이 고정단으로 되므로, 이 고정단을 중심으로 상하로 탄성 운동할 수 있다.
탄성편(52)의 중앙 부위에는 회전체(50)가 위치할 수 있는 구멍 형상으로 회전체안착부(53)를 형성한다. 이때 회전체안착부(53)의 구멍지름은 회전체가 밑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회전체(50) 지름보다 작아야 한다. 회전체안착부(53)의 위치는 슬라이더몸체(45)의 회전체수용구(47)의 위치와 일치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도 5와 도 6에는 회전체안착부(53)가 완전히 뚫려 있는 구멍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회전체(50)가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6은 슬라이더몸체(45)에 회전체(50)와 판스프링부(51)를 결합한 상태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회전체(50)의 하부는 판스프링부(51)의 회전체안착부(53) 상면에 놓이고, 회전체(50)의 상부는 슬라이더몸체(45)의 회전체수용구(47)로 수용된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체(50)는 판스프링부(51)의 탄성력을 받아 상방으로 밀려 오르고, 슬라이더몸체(45) 상면 위쪽의 안내면(3)과 안내레일(13)이 지나는 통로(P)로 일정부분 노출되어 안내면(3)과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안내부(10)를 통로(P)에 삽입하고 챙을 좌우로 회전시키면, 회전체(50)와 안내면(3) 사이에는 구름마찰이 일어나므로 챙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슬라이더몸체(45)의 상부에 형성한 회전체수용구(47)는 안내레일(13)이 통과하는 통로(P)를 향하여 열려있는 홈 형태로 만들어, 수용되는 회전체(50)의 상부 일부가 상기 통로(P) 쪽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회전체수용구(47)는 슬라이더몸체(45)를 관통하는 구멍 형태로 하지 않고, 슬라이더몸체(45) 상면을 오목하게 한 홈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슬라이더 몸통 내부에 형성하는 판스프링부 수용공간(49) 및 판스프링부(51)의 구성이 필요 없다.
이 경우에는 슬라이더(60)의 구성이 간단해지는 장점은 있으나, 회전체(50)가 오목한 홈 형태의 회전체수용구 안에서 회전할 때, 홈 내면과 회전체(50) 표면 사이에서 미끄럼마찰력이 크게 발생하므로 회전 작용을 덜 부드럽게 되는 단점이 있다.
다음은 도 3 및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례의 챙(2)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례의 챙(2)은 주챙(20)과 주챙에 결합되는 보조챙(30)을 포함한다.
주챙(20)의 중앙 부분은 일단에 슬라이딩부(40)가 형성되고, 좌우측 부분은 보조챙(30)이 결합하는 가변면(21)이 된다.
가변면(21)은 도 1과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주챙(20)의 중앙 부분에 비해 두께를 얇게 형성하므로, 가변면(21)과 중앙 부분 사이에는 이동제한턱(22)이 형성된다.
가변면(21)의 두께를 얇게 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보조챙(30) 결합 시 전체 두께가 너무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미관을 좋게 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가변면(21)을 얇게 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때는 이동제한턱(22)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례에서는 이동제한턱(22)을 주챙(20) 상면에 형성하나, 필요에 따라 주챙(20) 하면에, 또는 상하 양면에 설치 할 수도 있다.
주챙(20)의 좌우측 가변면(21)에는 보조챙(30)이 결합된다. 이 결합을 위해,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가변면(21)의 슬라이딩부(40)쪽 모서리에 보조챙(30) 결합구멍(23)을 형성한다. 또한 주챙(20)의 좌우측 가변면(21)에는 보조챙(30)이 상대이동 할 때 진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안내하는 장공 형태의 안내구멍(24)을 형성한다. 이 안내구멍(24)에는,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보조챙(30) 삽입틈새(33)의 안쪽에 에 형성한 중간안내돌기(34-3)를 결합한다.
도 8은 주챙(20)의 좌우측 가변면(21)에 결합되는 보조챙(30)의 저면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보조챙(30)은 주챙(20)에 결합시켰을 때 주챙(20)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부보조챙(31)과 하면에 위치하는 하부보조챙(32)으로 구분된다. 상부보조챙(31)과 하부보조챙(32)을 결합하면, 그 사이에 주챙(20) 좌우측의 가변면(21)이 진퇴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틈새(33)가 형성된다.
본 발명 실시례의 보조챙(30)은 전체적으로 삼각형을 닮은 형태로 형성한다. 이 삼각형 한쪽 모서리부에는 체결구멍(35)과 체결돌기(36)를 형성하고, 다른 한쪽 모서리부에는 상기 안내돌기부(34)를 형성한다.
그리고 보조챙(30)이 주챙(20)과 결합될 때, 체결구멍(35)과 체결돌기(36)를 형성한 모서리부는 상기 주챙(20)의 결합구멍(23)에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고, 안내돌기부(34)를 형성한 다른 한쪽 모서리부는 상기 안내부(10)에 이동이 자유롭게 결합된다.
도 9는 상부보조챙(31)의 내면 쪽 평면도와 그 측면도를, 도 10은 하부보조챙(32)의 내면 쪽 평면도와 그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상부보조챙(31)의 내면 쪽 한쪽 모서리부에 체결돌기(36)를 형성하고, 하부보조챙(32) 내면 쪽 한쪽 모서리부에 체결구멍(35)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부보조챙(31)과 하부보조챙(32)을 서로 내면이 마주보는 하여 결합시키면, 체결돌기(36)가 체결구멍(35)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기 체결돌기(36)가 체결구멍(35)은 상부보조챙(31)과 하부보조챙(32)에 반대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 실시례의 체결돌기(36)는 기둥 끝 부분에 바깥쪽으로 걸림턱을 형성한 4개의 돌출 기둥을 원형으로 배치하여 형성하였다. 이 돌출 기둥들이 상기 체결구멍(35)을 관통하면 상기 걸림턱이 체결구멍의 테두리에 걸려 체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주챙(20)에 보조챙(30)을 결합시킬 때는, 상기 체결돌기(36)를 삽입틈새(33)에 삽입된 주챙(20)의 결합구멍(23)과 상기 체결구멍(35)을 차례로 관통하여 체결한다.
한편, 체결돌기(36)는 걸림턱이 없는 단순한 원통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엔 하부보조챙(32)의 체결구멍(35)을 관통 형성하지 않고 홈 형태로 형성하여, 후술하는 보조챙 결합돌기(38-1)와 보조챙 결합홈(39-1)처럼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 실시례의 안내돌기부(34)는 상부보조챙(31)과 하부보조챙(32)의 한쪽 모서리에 각각 형성한 작은 돌기인 상부안내돌기(34-1)와 하부안내돌기(34-2)로 이루어진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이 상부안내돌기(34-1)와 하부안내돌기(34-2)는, 보조챙(30)과 주챙(20)을 결합할 때 각각 안내면(12)의 상면과 하면에 위치하게 설치된다. 즉, 안내부(10)의 안내레일(13)이 상기 보조챙(30)의 안내돌기부(34)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걸리므로, 챙(2) 회전 시 보조챙(30)이 안내부(10)에서 빠지지 않고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다.
상부보조챙(31)과 하부보조챙(32) 내면의 가장자리 일부에는 각각 소정높이로 틈새형성턱(38, 39)를 형성한다.
상부보조챙(31)의 틈새형성턱(38)과 하부보조챙(32)의 틈새형성턱(39)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부보조챙(31)과 하부보조챙(32)을 결합하면, 상기 한 쌍의 틈새형성턱(38, 39)이 마주 접하며 소정 높이로 상부보조챙(31)과 하부보조챙(32)의 내면을 서로 벌려 놓게 된다. 이렇게 벌어진 간격은 주챙(20)의 가변면(21)이 삽입되는 삽입틈새(33)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상부보조챙(31)의 틈새형성턱(38) 주변에 다수의 보조챙 결합돌기(38-1)를 설치하고, 하부보조챙(32)에는 상기 보조챙 결합돌기(38-1)와 대응하는 위치에 보조챙 결합홈(39-1)을 설치한다.
보조챙 결합돌기(38-1)와 보조챙 결합홈(39-1)은 서로 끼워맞춤 될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챙 결합돌기(38-1)와 보조챙 결합홈(39-1) 및 틈새형성턱(38, 39)은, 보조챙(30)과 이에 삽입된 가변면(21)이 서로 상대 이동하는 영역에 속하지 않는 곳으로 제한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보조챙(30) 삽입틈새(33)의 안쪽에는 중간안내돌기(34-3)를 형성한다. 중간안내돌기(34-3)는 주챙의 가변면(21)에 형성한 안내구멍(24)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한다.
본 발명 실시례에서는 보조챙 결합돌기(38-1)와 보조챙 결합홈(39-1) 및 틈새형성턱(38, 39)의 설치 위치를 보조챙(30)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하되 안내돌기부(34)에서 바깥쪽 가장자리 전체 길이의 절반 정도까지로 제한한다. 이러한 설치 위치 제한으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챙(2) 회전 시 보조챙(30)과 가변면(21)이 상대 이동하면서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중간안내돌기(34-3)와 안내구멍(24)은,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주챙(20)이 모자 정면 위치에 왔을 때 중간안내돌기(34-3)가 안내구멍(24)의 왼쪽 끝 부분에 위치하고, 주챙(20)이 모자 옆면 위치에 왔을 때 중간안내돌기(34-3)가 안내구멍(24)의 오른쪽 끝 부분(도 13에서는 아래쪽 끝 부분이 된다,)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례의 챙(2)을 회전시킬 때 머리 둘레 곡률에 따라 챙(2)의 전체적인 형태가 변화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의 설명에서 사용한 '정면', '오른쪽', '왼쪽' 등의 방향성 용어는 모자를 착용한 사용자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도 11은 챙(2)이 크라운(1)의 안내부(10)에 정면을 향하여 결합된 상태로서, 주챙(20)의 좌우에 한 쌍으로 설치된 보조챙(30)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한 쌍의 보조챙(30)은 주챙(20)의 이동제한턱(22)으로부터 기본이격거리 d만큼 동일하게 떨어져 있다. 그리고 보조챙(30)의 중간안내돌기(34-3)는 이동제한턱(22)에서 가장 먼 안내구멍(24)의 거의 끝 부분에 위치한다(다만, 착용 시 두형에 따른 오차를 고려하여 끝부분과 약간의 유격이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보조챙(30)과 이동제한턱(22) 사이의 이격거리는 슬라이딩부(40)과 안내돌기부(34) 사이의 안내부(10)가 이루는 곡률에 따라 변화한다. 즉 안내부(10) 곡률이 크면 상기 이격거리는 좁아지고, 곡률이 작으면 이격거리는 커진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일반적으로 챙(2)이 모자 정면을 향할 때, 슬라이딩부(40)과 안내돌기부(34) 사이의 안내부(10)가 이루는 곡률이 가장 작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기본이격거리 d가 가장 큰 이격거리이지만, 이는 제작하는 모자의 형태에 따라 변경 설계할 수도 있다.
도 12는 안내부(10)를 따라 챙(2)을 오른쪽으로 약 40도 정도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는 슬라이딩부(40)와 오른쪽 보조챙 안내돌기부(34) 사이의 안내부(10)가 이루는 곡률이 슬라이딩부(40)와 왼쪽 보조챙 안내돌기부(34) 사이의 안내부(10)가 이루는 곡률보다 크다.
따라서 오른쪽 보조챙의 보조챙측면(37)과 이동제한턱(22) 사이의 이격거리 d2가 왼쪽 보조챙의 보조챙측면(37)과 이동제한턱(22) 사이의 이격거리 d1보다 좁아진다.
이때, 왼쪽 보조챙(30)의 중간안내돌기(34-3)는 도 11에 도시된 안내구멍(24)의 끝 부분에서 구멍을 따라 이동제한턱(22) 쪽으로 약간 이동한다. 그리고 오른쪽 보조챙(30)의 중간안내돌기(34-3)는 왼쪽 보조챙(30)의 중간안내돌기(34-3)보다 안내구멍(24)에서 이동제한턱(22) 쪽으로 조금 더 이동한다.
도 13은 챙(2)을 안내부(10)를 따라 오른쪽으로 약 90도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는 슬라이딩부(40)와 양쪽 보조챙 안내돌기부(34) 사이의 안내부(10)가 이루는 곡률이 동일하다. 그리고 이 위치에서 안내부(10) 곡률이 모자 전체의 안내부(10) 곡률 중에 제일 크다.
따라서 양쪽 보조챙(30)과 이동제한턱(22) 사이는 동일하게 최소이격거리 d3가 된다.
그리고 이때, 양쪽 보조챙(30)의 중간안내돌기(34-3)는 이동제한턱(22) 쪽에 가장 가까운 안내구멍(24) 끝부분으로 이동한다.
그런데 보조챙(30)이 안내부(10)에서 빠지지 않고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부(10)의 안내레일(13)이 보조챙(30)의 안내돌기부(34)의 내측으로 삽입된 후 걸려 있으나, 안내레일(13)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챙(2)을 안내부(10)를 따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안내돌기부(34)가 안내레일(13)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는 보조챙(30)의 중간안내돌기(34-3)로 주챙(20)과 가변면(21)의 바깥쪽에서 결합시키고, 결합돌기(35)로는 주챙(20)과 가변면(21)의 안쪽에서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결합 구성은 삼각형 형상의 보조챙(30)을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양쪽에서 지지하는 형태가 되므로, 도 11 내지 도 13의 챙 회전 과정에서 보조챙(30)의 안내돌기부(34)가 안내레일(13)로부터 이탈되어 벗겨지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 실시례의 모자를 착모할 때, 사람의 두형에 따라 안내부(10)의 모양이 변하므로, 안내부(10)가 이루는 곡률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타원 형태의 안내부(10)의 곡률과는 다르게 형성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안내부(10)의 곡률이 어떻게 변화하더라도, 그 변화된 곡률에 맞춰 보조챙(30)이 이동제한턱(22)과의 이격거리를 자동으로 변화시키면서 안내부(10)를 따라 움직인다. 따라서 본 발명 모자의 챙(2)은 사람의 두형에 관계없이 안내부(10)를 따라 부드럽게 회전한다.
앞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한 사항에 의하여만 파악되어야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라면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1 : 크라운 2 : 챙
10 : 안내부 11 : 지지테
12 : 안내면 13 : 안내레일
20 : 주챙 21 : 가변면
22 : 이동제한턱 23 : 결합구멍
24 : 안내구멍
30 : 보조챙 31 : 상부보조챙
32 : 하부보조챙 33 : 삽입틈새
34 : 안내돌기부 34-1 : 상부안내돌기
34-2 : 하부안내돌기 34-3 : 중간안내돌기
35 : 체결구멍 36 : 체결돌기
37 : 보조챙측면 38, 39 : 틈새형성턱
38-1 : 보조챙 결합돌기 39-1 : 보조챙 결합홈
40 : 슬라이딩부 41 : 슬라이더하우징
42 : 하우징상부체 42-1 : 상부이탈방지턱
43 : 하우징하부체 43-1 : 하부이탈방지턱
44 : 슬라이더수용부 44-1 : 슬라이더결합홈
45 : 슬라이더몸체 46 : 돌출턱
47 : 회전체수용구 48 : 슬라이더몸체 다리
48-1 : 결합돌출부 49 : 판스프링부 수용공간
50 : 회전체 51 : 판스프링부
52 : 탄성편 53 : 회전체안착부
54 : 판스프링 다리 60 : 슬라이더

Claims (11)

  1. 하단 가장자리에 안내부(10)를 구비한 크라운(1)과 상기 안내부(10)와 결합되는 슬라이딩부(40)를 구비한 챙(2)을 포함하는 모자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10)는 모자의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안내면(12)과 상기 안내면의 끝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형성한 안내레일(13)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부(40)는 슬라이더(60)와 상기 슬라이더(60)가 삽입되는 슬라이더하우징(41)을 구비하되,
    상기 슬라이더(60)는,
    슬라이더몸체(45)에 회전체수용구(47)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체수용구(47)에는 회전이 자유롭게 회전체(50)를 삽입하되,
    상기 삽입된 회전체(50)의 일부가 상기 안내레일(13) 쪽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하우징(41)은,
    상기 안내면(12)과 안내레일(13)이 좌우로 통과하는 통로(P)를 사이에 두고 하우징상부체(42)와 하우징하부체(43)로 구분되며,
    상기 하우징상부체(42)는 상기 통로(P)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안내레일(13)의 상부가 걸리는 상부이탈방지턱(42-1)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하부체(43)는 통로(P)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슬라이더(60)를 삽입하는 슬라이더수용부(4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몸체(45)에는 상기 회전체수용구(47) 아래쪽으로 판스프링수용부(49)를 형성하며,
    상기 판스프링수용부(49)에는 판스프링부(51)를 수용하되,
    상기 판스프링부(51)에는 회전체안착부(53)를 구비한 탄성편(52)을 형성하여,
    상기 회전체수용구(47)에 삽입된 회전체(50)의 하부가 회전체안착부(53)에 안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몸체(45)의 상면에는 상기 안내레일(13)이 걸려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돌출턱(4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로(P)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우징하부체(43)에는 상기 안내레일(13)의 하부가 걸리는 하부이탈방지턱(43-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몸체(45)의 외부 측면에는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출부(48-1)를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더하우징(41)의 내부 측벽에는 슬라이더결합홈(44-1)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출부(48-1)가 상기 슬라이더결합홈(44-1)에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더하우징에 슬라이더(6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
  7. 하단 가장자리에 안내부(10)을 구비한 크라운(1)과, 상기 안내부(10)에 결합된 후 안내부(10)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부(40)를 형성한 챙(2)을 포함하는 모자에 있어서,
    상기 챙(2)은,
    상기 슬라이딩부(40)가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주챙(20)과, 한쪽 모서리부는 상기 주챙(20)에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되 다른 한쪽 모서리부는 상기 안내부(10)에 이동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는 보조챙(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조챙(30)은,
    상기 주챙(20)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부보조챙(31)과 상기 주챙(20)의 하면에 위치하는 하부보조챙(32)을 상하로 결합하여 형성하며,
    상기 결합된 상부보조챙(31)과 하부보조챙(32) 사이에는 주챙(20)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삽입틈새(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주챙(20)에는 결합구멍(23)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챙(30)은 상기 상부보조챙(31)과 하부보조챙(32) 중 어느 하나에 체결구멍(35)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체결구멍(35)에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돌기(36)를 형성하여,
    상기 체결돌기(36)로 상기 삽입틈새(33)에 삽입된 주챙(20)의 결합구멍(23)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구멍(35)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주챙(20)에는 보조챙(30)이 상대이동 할 때 진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안내하는 장공 형태의 안내구멍(24)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챙(30)에는 상기 안내구멍(24)에 삽입되는 중간안내돌기(34-3)를 삽입틈새(33)의 안쪽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10)는 모자의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된 안내면(12)과 상기 안내면(12)의 끝 부분 두께를 두껍게 하여 형성한 안내레일(13)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10)와 보조챙(30)의 결합은, 상기 안내부(10)의 안내레일(13)이 상기 보조챙(30)의 안내돌기부(34) 내측으로 삽입된 후 걸림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
KR1020180030383A 2018-03-15 2018-03-15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 KR101956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383A KR101956593B1 (ko) 2018-03-15 2018-03-15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
PCT/KR2019/002888 WO2019177359A1 (ko) 2018-03-15 2019-03-13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
US16/981,269 US11510449B2 (en) 2018-03-15 2019-03-13 Cap having position-variable vi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383A KR101956593B1 (ko) 2018-03-15 2018-03-15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593B1 true KR101956593B1 (ko) 2019-03-11

Family

ID=6575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383A KR101956593B1 (ko) 2018-03-15 2018-03-15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10449B2 (ko)
KR (1) KR101956593B1 (ko)
WO (1) WO20191773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3429B1 (fr) * 2018-07-05 2021-07-16 Christophe Baptista Couvre-chef tel qu'une casquett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049Y1 (ko) 2001-05-24 2001-10-15 조승현 차양이 회전 및 분리되는 모자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1684A (en) * 1993-10-19 1995-12-05 Rally Cap, Inc. Convertible sports cap with sliding brim
US5533211A (en) * 1994-06-02 1996-07-09 Mehrens; Douglas W. Slidably repositionable hat
US5715534A (en) * 1996-02-23 1998-02-10 Mobley; Gwennette Q. Hats and caps with moveable bills or brims
US5870772A (en) * 1997-04-21 1999-02-16 Sprouse; Charles B. Flexible tracking assembly for a sports cap having a rotatable visor or the like
KR19980056034U (ko) 1998-06-27 1998-10-07 남기복 차양이 확대되는 모자
WO2000074513A1 (en) * 1999-06-04 2000-12-14 Davis Gwennette Q Improved means for moveable bills or brims of caps and hats
KR20000037084A (ko) * 2000-04-07 2000-07-05 유성일 챙이 회전하는 모자
KR200213373Y1 (ko) * 2000-04-24 2001-02-15 박홍재 가변형 모자
CN1925762B (zh) * 2002-08-26 2011-04-20 3斯科思迪创新有限公司 具有可旋转帽沿的帽子
US7240373B2 (en) * 2002-08-26 2007-07-10 3Sixty Innovations, Llc Simplified and stable hat construction with rotatable brim
US20040040067A1 (en) * 2002-09-03 2004-03-04 Juni Pong Cap with assemble rail for accessory
WO2004110196A1 (en) * 2003-06-13 2004-12-23 Young Chan No Multi-functional cap
KR200390299Y1 (ko) 2005-04-19 2005-07-25 정진열 회전모자
US20070017003A1 (en) * 2005-07-08 2007-01-25 Harris William C Cap with removable and rotatable visor
KR101046695B1 (ko) * 2009-07-22 2011-07-05 김성규 가변 차양을 갖는 차양모
KR20120000242U (ko) * 2010-07-01 2012-01-09 최수환 모자 몸체에서 모자 챙이 분리, 조립이 가능한모자
US20150296916A1 (en) * 2014-04-16 2015-10-22 II Abdalesis Olivera Hat with rotatable and removable brim
US10219569B2 (en) * 2014-04-16 2019-03-05 II Abdalesis Olivera Hat with rotatable and removable brim
US10362825B2 (en) * 2017-11-15 2019-07-30 Clayton Judge Rotatable brim cap with stabilized track transition interface
US20210145102A1 (en) * 2019-11-18 2021-05-20 Skyden Guang-Ming Tang Cap with Rotatable Bill Around Crow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049Y1 (ko) 2001-05-24 2001-10-15 조승현 차양이 회전 및 분리되는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7359A1 (ko) 2019-09-19
US11510449B2 (en) 2022-11-29
US20210045484A1 (en)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8349B2 (en) Protective helmet for hair worn in a pony tail
JP5013559B2 (ja) 裾周りの長さ調整機構
US8261374B2 (en) Protection helmet with improved adjustable neckband
KR101274672B1 (ko) 버클
JP3080764U (ja) 紫外線遮断用サンバイザー
WO2014061364A1 (ja) 通気性を有する帽子
JPH04244105A (ja) 顎紐用バックル
US11974624B2 (en) Mask clips for hat
KR101886998B1 (ko) 챙 교체형 모자
KR101956593B1 (ko) 위치가변 챙을 구비한 모자
KR101418787B1 (ko) 착용이 용이하고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마스크
KR101210003B1 (ko) 사이즈 조절장치를 구비한 모자
JP2011120862A (ja) 裾周りの長さ調整機構
US9615617B2 (en) Baseball style cap with interchangeable bill or crown portion
KR100739464B1 (ko) 선글라스 홀더
KR101163379B1 (ko) 통기성을 향상시킨 모자
JP5466748B1 (ja) 通気性を有する野球帽タイプの帽子
US11871807B1 (en) Cap
TWI797745B (zh) 水中面罩
JP2014088631A (ja) スライドアジャスタを備えた帽子
KR200185145Y1 (ko) 모자용 조절구
JP2015117443A (ja) 通気性を有する野球帽タイプの帽子
JP4889881B2 (ja) ヘアーピース
KR200424248Y1 (ko) 비접촉공간을 구비한 모자
KR101534143B1 (ko) 양면모자용 곡면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