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538B1 -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porous polyurethane fo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porous polyurethane fo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6538B1 KR101956538B1 KR1020170089818A KR20170089818A KR101956538B1 KR 101956538 B1 KR101956538 B1 KR 101956538B1 KR 1020170089818 A KR1020170089818 A KR 1020170089818A KR 20170089818 A KR20170089818 A KR 20170089818A KR 101956538 B1 KR101956538 B1 KR 1019565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ts
- weight
- foam
- polyurethane foam
- conducti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픈셀과 클로즈셀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종래의 도전성 폼에 비해 충격 흡수력 및 복원력이 훨씬 우수하고, 전기전도도가 균일하며, 전자파 차폐 효율이 현격히 향상된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a porous polyuretha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lyurethane foam comprising an open cell and a closed cell, which is superior in shock absorbing and restoring force to a conventional conductive foam , An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a porous polyurethane foam having uniform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 remarkably improved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efficienc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공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도전성 폼에 비해 충격 흡수력 및 복원력이 훨씬 우수한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전기전도도가 균일하고, 전자파 차폐 효율이 현격히 향상된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a porous polyuretha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ous polyurethane foam which is superior in shock absorbing power and restoring force to a conventional conductive foam and has a uniform electric conductiv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a porous polyurethane foam having a remarkably improved efficiency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도전성 폼은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사용되며, 스마트폰 및 태블릿 등의 모바일 단말기, LED TV, OLED TV 등의 디지털 TV, 플랙서블 디스플레이 등의 부품 고정, 피착재와의 밀착성 향상, 충격 흡수, 정전 방전(electrostatic discharge, ESD), 열 확산, 전자파 차폐 및 접지(grounding)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Conductive foam is used in various electronic products. It is used for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s, digital TVs such as LED TVs and OLED TVs, fixing parts for flexible displays, improving adhesion with adhered materials, shock absorptio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thermal diffusion, electromagnetic shielding, and grounding.
종래의 도전성 폼은 마이크로 셀을 갖는 스펀지 구조의 우레탄 폼으로서, 이러한 사용 시 일정 수준으로 압축된 상태로 기기에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과정에서 영구적인 압축이 진행되면, 향후 압축 이완 시 복원률이 10% 이하 수준으로 매우 열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A conventional conductive foam is a urethane foam having a sponge structure having microcells. In general, when the compression is performed at a constant level during the compression, %, Which is known to be very poor.
또한,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어 왔던 폼과 패브릭 본딩 제품의 경우, 다이 커트(die-cut) 시 절단면의 버(burr)로 인해 제품의 외관을 해칠뿐만 아니라, 절단 잔사의 이탈로 인해 작업장 분진 발생 및 제품의 단락을 초래하는 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문제점은 제품의 수명 단축과 성능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제품의 수리 등으로 인한 분리 후 재조립 시 제품이 원상태로 복원되지 않아 고가의 부속품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oam and fabric bonding products which have been used in the prior art, not only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is deteriorated due to the burr of the cutting face at the time of die-cutting, Causing a problem that results in a short circuit of the product. These problems lead to shortening of the service life of the product and deterioration of performance. In addition, the product is not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during reassembly after detachment due to repair of the product, and expensive accessories often need to be replaced.
이러한 문제의 개선 요구는 오래 전부터 계속 되어 왔으나, 기존 마이크로 셀 스펀지 구조의 폼에 도금으로 진행되는 현 제품으로는 큰 기공 구조와 낮은 밀도, 열악한 기계적 강도 등에서 구조적으로 복원률의 개선을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 개선을 위해서는 폼 자체의 구조가 변경되어야 하고, 이에 따른 폼의 생산 기술 및 도금 기술이 함께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these problems has been going on for a long time, but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improvement of the structural restoration rate due to the large pore structure, low density, and poor mechanical strength in the existing products which are plated on the foam of the existing microcell sponge structure . 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foam itself, and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 production technology and the plating technology of the foam should be developed together.
본 발명은 충격 흡수력 및 복원력이 훨씬 우수한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전기전도도가 균일하고, 전자파 차폐 효율이 현격히 향상된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a porous polyurethane foam having uniform electrical conductivity and remarkably improved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efficiency by using a porous polyurethane foam having much better shock absorbing power and restoring forc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오픈셀과 클로즈셀을 모두 포함하는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에 의해 상하 통전 기능과 함께 향상된 충격 흡수력을 부여하여 부착 시 구성 부품을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nction of safely protecting constituent parts from impact by attaching an up-down energizing function and an improved impact absorbing power by a porous polyurethane foam including both an open cell and a closed cell.
또한, 본 발명은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atisfy the demand for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of a product by using a porous polyurethane foam.
또한, 본 발명의 도전 폼은 종래 기술에서 폼과 패브릭 본딩 제품의 경우, 다이 커트(die-cut) 시 절단면의 버(burr)로 인해 제품의 외관을 해치고, 절단 잔사의 이탈로 인해 작업장 분진 발생 및 제품의 단락을 초래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커트 시에도 기공 구조가 파괴되지 않고 원하는 두께로 제작할 수 있는 도전성 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oam and the fabric-bonded product of the prior art, the conductive foam of the present invention damages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due to the burr of the cut surface at the time of die-cutting,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ductive foam which can solve the problem of causing a short circuit of a product and which can be manufactured to a desired thickness without breaking the pore structure even when cut.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은 오픈셀과 클로즈셀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폴리우레탄 폼,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하부에 코팅되는 본딩 접착제, 상기 본딩 접착제에 접착되는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직조된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패브릭층,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되는 스킨층 및 상기 패브릭층 및 상기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는 도전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전점착층의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the porous polyurethane fo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urethane foam formed by mixing an open cell and a closed cell, a bonding adhesive coated on the lower part of the polyurethane foam,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 conduc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fabric layer and the skin layer.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abric layer and the skin layer. And a release paper for protecting the adhesive surface of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상기 등방성 도전 폼을 구성하는 폴리우레탄 폼, 패브릭층 및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는 도금액에 함침되어 표면에 도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polyurethane foam, the fabric layer and the skin layer constituting the isotropic conductive foam may be impregnated with a plating solution to form a plating layer on the surface.
상기 패브릭층은 알루미늄, 금, 은, 구리, 니켈 및 탄소나노 튜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박막 필름으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abric layer may be replaced with a thin film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gold, silver, copper, nickel, and carbon nanotubes.
상기 폴리우레탄 폼과 패브릭층은 전해 또는 무전해 도금액으로 도금되어 도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lyurethane foam and the fabric layer are characterized by being plated with an electrolytic or electroless plating solution to be conductive.
상기 도금액은 구리, 니켈, 금, 은, 주석,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및 코발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lating solu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pper, nickel, gold, silver, tin, aluminum, stainless steel, and cobalt.
상기 도전점착층은 아크릴, 우레탄, 실리콘 및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urethane, silicone, and synthetic rubber.
상기 도전점착층은 구리, 니켈, 은, 금, 텅스텐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금속파우더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pper, nickel, silver, gold, tungsten, and aluminum.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의 제조방법은 이형지의 이면에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오픈셀과 클로즈셀이 혼합되도록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이면에 본딩 접착제를 코팅하는 단계, 상기 본딩 접착제에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직조된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패브릭층을 합지하는 단계, 상기 이형지를 떼어내고 스킨층을 코팅하는 단계, 도금액을 형성하여 전도성을 갖는 등방성 도전 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등방성 도전 폼의 이면에 도전점착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for producing an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porous polyurethane fo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foaming polyurethane on the back surface of release paper to form a polyurethane foam so as to mix open cells and closed cells, Coating the adhesive layer with a fabric layer of a woven polyester fabric so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bonding adhesive, removing the release layer and coating the skin layer, forming a plating solution to form a conductive isotropic layer And a step of laminating a conductive adhesive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isotropic conductive foam.
클로즈셀과 오픈셀의 부피 비율이 1:0.1 내지 3이 되도록 제조하고, 상기 도전점착층의 적층 이후, 도전점착층의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해 이형지를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Forming a volume ratio of the closed cell and the open cell to 1: 0.1 to 3; and laminating the release paper after lamination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to protect the adhesive surface of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본 발명의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은 종래의 도전성 폼에 비해 충격 흡수력 및 복원력이 훨씬 우수한 박막 우레탄 폼으로 다공성 폼에 전기전도 특성을 부여하여 등방성 도전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The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the porous polyurethane fo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in film urethane foam superior in shock absorbing power and restoring forc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onductive foam, and has an excellent isotropic conductivity by imparting electrical conductivity to the porous foam.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전하를 띄는 금속파우더를 포함하는 도금액에 함침하는 방식에 의해 오픈셀(open cell)을 도금액으로 일정 부분 채움으로써, 상하 통전 구조의 다공성 폼으로 충격 흡수 및 복원력의 저하 없이 제작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filling a certain portion of an open cell with a plating solution by impregnating a plating solution containing a metal powder having an electric charge to form a porous foam of a vertically energized structure, There is a possible effect.
마이크로 셀 구조의 도전성 폼으로 고밀도 박막 폼의 우수한 충격 흡수 및 복원력을 유지하면서 높은 등방성 전기 전도성을 가짐으로써, 종래의 마이크로 셀 스펀지 구조의 도전 폼을 대체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충격 흡수와 열 전도에 의한 열 확산 기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It is a microcellular conductive foam that has high isotropic electrical conductivity while maintaining excellent shock absorption and restitution of high density thin foams, thereby not only replacing the conductive foam of the conventional microcell sponge structure but also providing excellent shock absorption and heat conduction The heat diffusion function is excellent.
또한, 본 발명은 충격 흡수와 광 차폐, 도전 및 확산을 동시에 구현 가능한 소재로서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atisfying the demand for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of a product as a material capable of simultaneously implementing shock absorption, light shielding, and conductivity and diffus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a porous polyurethane fo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a porous polyurethane fo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n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porous polyurethane fo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n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a porous polyurethane fo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the same or functionally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ccordingly, althoug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not mentioned or described in the drawings, they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Further, even if the reference numerals are not shown, they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 의 단면도이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전 폼(100)은 오픈셀과 클로즈셀이 혼합되도록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110),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하부에 코팅된 본딩 접착제(120), 상기 본딩 접착제에 접착되는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직조된 패브릭층(130), 상기 패브릭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도전점착층(140),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상부에 형성된 스킨층(150) 및 상기 도전점착층의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a porous polyurethane fo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A, the
상기 폴리우레탄 폼(110)은 원료 수지를 이형지 위에 발포시킴으로써 형성하며, 이때 이형지는 폴리우레탄 폼 형성 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폴리우레탄 폼의 취급성 및 가공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이형지는 PET 필름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종이, 부직포, 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면에 박리성을 높이기 위해 불소, 실리콘, 왁스류와 같은 이형제가 코팅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The
폴리우레탄 폼(110)의 다공성은 오픈셀(open cell)과 클로즈셀(closed cell)이 혼용되어 형성되는데 오픈셀의 부피비가 커지면 전기전도도 효율이 높아지고, 클로즈셀의 부피비가 커지면 충격 흡수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클로즈셀과 오픈셀의 부피 비율이 1:0.1 내지 3이 되도록 제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2의 부피 비율을 갖도록 제조할 수 있다. 오픈셀의 부피 비율이 0.1 미만이면, 오픈셀을 포함함으로써 얻는 전기전도도 효율이 낮아지고, 3 이상이면 클로즈셀을 포함함으로써, 얻는 충격 흡수 효과의 증대를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렵고,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The porosity of the
본 발명에 따른 도전 폼(100)은 다공성을 갖기 때문에 테이프에 높은 내충격성을 부여하고, 압축 후 복원력이 높으며, 전기전도도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폼(110)의 재질은 폴리우레탄에 한정하지 않고, 실리콘 폼, 아크릴 폼 및 폴리올레핀 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폼층의 두께는 10 내지 3000 ㎛로 제조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0 ㎛ 수준이 더 적당하다. 10 ㎛ 미만이면 내충격성 및 복원력이 낮아지고, 3000 ㎛ 초과 시 더 이상의 복원력 증가를 얻기 어렵고, 너무 두꺼워 물체간의 접착이 용이하지 않으며,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Since the
상기 폴리우레탄 폼(110)은 발포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테르 폴리올 30 내지 8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30 내지 8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중량부로 구성되며, 가교제 5 내지 10 중량부, 촉매 1 내지 3 중량부, 정포제 1 내지 5 중량부, 경화제 5 내지 15 중량부, 블랙안료 1 내지 5 중량부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혼합 후 진공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탈포 처리하고, 공기 또는 질소가스와 같은 불활성 기체를 상기 조성물 부피 100에 대하여 20 내지 30 부피비율로 투입하여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혼합한다. 이 혼합물을 발포장치를 통해 이형지에 발포하여 폼을 제작한다. 질소가스를 상기 조성물 부피 100에 대하여 20 내지 30 부피%로 투입 시 클로즈셀 부피 1에 대하여 오픈셀의 부피 비율이 1 내지 2로 제조할 수 있고, 질소가스를 증가시키면, 클로즈셀 부피에 대하여 오픈셀의 부피비가 늘어나게 되는데 30 내지 40 부피% 투입 시, 클로즈셀과 오픈셀의 부피 비율이 1:2 내지 3이 되고, 10 내지 20 부피% 투입 시, 1:0.1 내지 1이 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The
상기 가교제는 관능기 2가의 가교제로 글리콜계 또는 아민계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교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펜타에리트리톨,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메틸렌오르토클로르아닐린, 4,4-디페닐메탄디아민, 2,6-디클로로-4,4-디페닐메탄디아민, 2,4-톨루엔디아민, 2,6-톨루엔디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발포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 미만인 경우 폴리우레탄 폼의 밀도가 떨어지고, 10 초과인 경우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밀도가 증가하여 경제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As the cross-linking agent, a glycol-based or amine-based cross-linking agent may be used. Specifically, the crosslinking agen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1,4-butanediol, 1,6-hexanediol, pentaerythritol, diethanolamine, triethanolamine, ethylenediamine, Tetraamine, methyleneorthochloraniline, 4,4-diphenylmethanediamine, 2,6-dichloro-4,4-diphenylmethanediamine, 2,4-toluenediamine, 2,6-toluenediamine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crosslinking agent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5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foaming composition. When the crosslinking agent is less than 5, the density of the polyurethane foam falls. When the crosslinking agent is more than 10, the density of the polyurethane foam increases, have.
상기 촉매는 아민계 우레탄 촉매 또는 금속계 우레탄 촉매를 사용할 수 있는데 아민계 우레탄 촉매는 아민 성분이 직접 반응에 참여함으로써 최종 발포체 내에 유해물질을 검출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즉, 종래 아민계 촉매를 사용하는 발포체 조성물의 경우 발포체 내 아민 성분이 남아있어 유기화학물질이 검출되었으나, 본 발명의 발포용 조성물은 반응형 아민계 우레탄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유해물질이 남아있지 않아 환경친화적인 장점이 있다. 상기 반응형 아민계 우레탄 촉매는 발포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촉매반응이 지연되고, 폴리우레탄 폼의 밀도가 너무 낮거나 높은 문제가 생기고, 경화 불량으로 품질이 저하된다. The catalyst may be an amine-based urethane catalyst or a metal-based urethane catalyst. The amine-based urethane catalyst acts to prevent the harmful substances from being detected in the final foam by the amine component directly participating in the reaction. That is, in the case of the foam composition using the conventional amine catalyst, the amine component in the foam remained and organic chemical substances were detected. However, since the foam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reactive amine-based urethane catalyst, Friendly. The reactive amine-based urethane catalyst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foaming. Outside this range, the catalytic reaction is delayed and the density of the polyurethane foam is too low or too high And quality deteriorates due to poor curing.
상기 정포제는 실리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폴리우레탄 폼의 성형 상태를 잘 유지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실리콘 정포제는 원료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고, 발포용 조성물의 표면 장력을 낮춰 기포 생성을 높이며, 우레탄 셀 막을 안정화시켜서 우레탄 셀의 파괴 및 폼의 꺼짐 현상을 막는다. 상기 실리콘 계면활성제는 발포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폴리우레탄 폼의 성형 상태의 유지가 힘들고, 기포 불안정화로 인해 우레탄 셀이 파괴되는 문제가 생긴다.The foam stabilizer may use a silicone surfactant, which serves to maintain the molding state of the polyurethane foam well. In addition, the silicone foam stabilizer facilitates the mixing of raw materials, lowers the surface tension of the composition for foaming to increase bubble generation, and stabilizes the urethane cell membrane to prevent the breakdown of the urethane cell and the foam off. The silicone surfactant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foaming. If the silicone surfactant is out of the rang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molded state of the polyurethane foam and the urethane cell is broken due to bubble destabilization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폼은 빛샘차단 효과를 위해 블랙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랙안료는 카본블랙, 산화철, 산화구리, 산화주석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블랙안료를 포함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빛을 흡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질을 높이고, 점착된 면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차광 효과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lyurethane fo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black pigment for light blocking effect. The black pig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 black, iron oxide, copper oxide, tin oxide, and mixtures thereof. By including the black pig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ght from leaking from the display panel and to absorb the light from the outside, thereby enhancing the image quality of the display panel and having a shading effect that prevents the tacky surface from being seen.
상기 본딩 접착제(120)는 상기 폴리우레탄 폼(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본딩 접착제(12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크릴, 고무, 우레탄, 에폭시 및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작되어 점착 또는 접착을 통해 폴리우레탄 폼과 패브릭층을 본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본딩 접착제(120)의 두께는 접착 특성에 따라 1 내지 50 ㎛로 제작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으로 제작될 수 있다. The
상기 패브릭층(130)은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직조된 것으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형성되어 상기 폴리우레탄 폼(110)의 지지층으로 작용할 수 있다. 천연 또는 인조섬유를 직조하여 형성되며, 이때 사용되는 실의 종류에는 드로텍스처사(Draw Textured Yarn, DTY), 프로듀서텍스처사(Producer Textured Yarn, PTY), 연신업자텍스처사(Throwster’s Textured Yarn, TTY), 인터레이싱텍스처사(Interlacing Textured Yarn, ITY), 에어텍스처사(Air Textured Yarn, ATY), 마이크로미라클사(Micro Miracle Yan, M2) 및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원사의 굵기는 0.01 내지 1,000 데니어(denier) 수준의 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1 내지 500 데니어 굵기가 적당하다. 직조되어 형성된 구멍 크기는 통상 메시(mesh)로 표현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도전 폼(100)의 패브릭층의 메시는 80 내지 350 메시가 바람직하다. 패브릭층의 두께는 1 내지 3,000 ㎛로 제작할 수 있고, 10 내지 150 ㎛ 두께가 더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yarn may be 0.01 to 1,000 denier, preferably 1 to 500 denier. The hole size formed by weaving is usually expressed by a mesh, and the mesh of the fabric layer of the
상기 패브릭층(130)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대신에 알루미늄, 금, 은, 구리, 니켈 및 탄소나노 튜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박막 필름으로 대체될 수 있다.The
상기 도전점착층(140)은 도 1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패브릭층(130)의 하부에 형성되거나, 도 1의 (c)와 같이 상기 스킨층(150)의 상부에도 형성되어 양면 점착테이프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도전점착층(140)은 아크릴, 우레탄, 실리콘 및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점착제는 전술한 열 경화성 점착제 외에 광 경화성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에 고무나 다른 수지를 혼합하여 만든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1 (a), the conductive
이때 아크릴계 수지로써는 메텔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아크릴아미드,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등으로 이루어진 단량체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acrylic resin include acrylates such as methyl methacrylate,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hexyl acrylate, n-octyl acrylate, isooct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isobornyl acrylate, Acrylic acid, acrylic acid, acrylamide, 2-hydroxyethyl acrylate, 2-hydroxypropyl acrylate, 2-hydroxybutyl acrylate, methacrylic acid, itaconic acid, maleic acid and the like Or more, and preferably a polymer resin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2-ethylhexyl acrylate monomer can be used.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점착층의 응집력이 우수하고 과도한 점착력 향상을 억제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뿐만 아니라 각종 전자기기, 하우징, 금속, 유리 등에 대해 양호한 밀착성과 재박리성 및 재작업성이 우수한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polymer resin containing the 2-ethylhexyl acrylate monomer is used,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excellent and the excessive increase in the adhesion strength can be suppressed, so that the good adhesion to the display panel as well as various electronic devices, housings, metals, It is possible to form an adhesive layer excellent in adhesion, re-peeling property and reworkability.
상기 도전점착층(140)의 두께는 5 내지 100 μm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μm일 수 있다. 두께가 5 μm 이하인 경우, 구조적 강도가 매우 떨어지며, 반대로 100 μm 이상인 경우 점착력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여, 전기전도도의 큰 효과 증진을 기대할 수 없고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상기 도전점착층(140)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써,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산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또한, 상기 도전점착층(140)은 니켈, 구리, 은, 금, 텅스텐 및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금속파우더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금속 파우더의 크기는 10 내지 150 ㎛ 사이가 바람직하며, 금속 입자의 크기 분포는 단분산, 다분산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금속 파우더 투입량은 점착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20 중량부로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점착 특성을 고려할 때 5 내지 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금속파우더 투입량이 3 미만이면 전기전도도 효과를 얻기 어렵고, 20 초과이면 파우더 간의 뭉침 현상으로 인해 원하는 효과를 얻기 어렵다. The conductive
상기 스킨층(150)은 도 1의 (a)와 같이 상기 폴리우레탄 폼(1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도 1의 (b)와 같이 상기 폴리우레탄 폼(110)의 상부와 하부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이형지에 폴리우레탄 폼(110)을 형성한 후, 작업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폴리우레탄 폼(110)의 이면에 상기 스킨층(15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이형지를 떼어내고 대신 스킨층(150)을 코팅하여 상기 폴리우레탄 폼(110)의 양면에 스킨층(150)을 형성할 수 있다. The
상기 스킨층(150)은 UV 코팅 또는 폴리우레탄(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PU)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UV 코팅층은 UV 도료를 바르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극히 짧은 시간 내에 경화시켜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 폼(100)은 스킨층(150)을 포함함으로써, 작업에 용이하고 표면강도 및 인장력을 높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The
상기 이형지(160)는 도전점착층(140)의 점착면 보호를 위한 것으로 사용 시 떼어낸다. PET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종이, 부직포, 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면에 점착층으로부터의 박리성을 높이기 위해 불소, 실리콘, 왁스류와 같은 이형제가 코팅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The
도 1의 등방성 도전 폼은 도금액에 함침되어 도금층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 폼(110)에 본딩 접착제(120)를 코팅하여 패브릭층(130)을 합지한 후 도금액에 넣어서 도금함으로써, 도금액이 층 내부로 침투하여 통전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폴리우레탄 폼(110)과 패브릭층(130)을 각각 도금액에 넣어서 도금한 후 본딩 접착제(120)을 이용하여 합지할 수도 있다. The isotropic conductive foam of Fig. 1 may be impregnated into the plating solution to form a plating layer between at least one layer. The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 폼은 폴리우레탄 폼(110)의 상부에 패브릭층(130)과 도전점착층(140)을 더 포함하여 양면 점착테이프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폼(110)의 상부에 본딩 접착제(120)를 형성하고, 패브릭층(130)을 합지한 후, 상기 패브릭층(130)의 상부에 도전점착층(140)을 형성하여 두 물체 사이에 부착되어 접지 및 통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a porous polyurethane fo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conductive fo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의 제조방법은 이형지의 이면에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오픈셀과 클로즈셀이 혼합되도록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하는 단계(S310),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이면에 본딩 접착제를 코팅하는 단계(S320), 상기 본딩 접착제에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직조된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패브릭층을 합지하는 단계(S330), 상기 이형지를 떼어내고 스킨층을 코팅하는 단계(S340), 도금액을 마련하여 상기 (S340)단계에서 형성된 다층을 도금하여 등방성 도전 폼을 제조하는 단계 (S350) 및 상기 등방성 도전 폼의 이면에 도전점착층을 적층하는 단계(S360)를 포함한다. 3 is a view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n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porous polyurethane fo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porous polyurethane foam includes forming polyurethane foam so as to mix open cells and closed cells by foaming polyurethane on the back surface of a release paper sheet (S310) A step S330 of coating a bonding adhesive on the back surface of the foam S320, a fabric layer of a woven polyester fabric so as to form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the bonding adhesive S330, removing the release paper, coating the skin layer A step S350 of forming an isotropic conductive foam by plating a multilayer formed in the step S340 by providing a plating liquid and a step S360 of laminating a conductive adhesive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isotropic conductive foam do.
또한, 상기 단계(S360)에서 적층된 도전점착층의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해 이형지를 합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laminating the releasing paper to protect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tacked conductive adhesive layer in step S36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의 또 다른 제조방법으로 이형지의 이면에 폴리우레탄을 발포하여 오픈셀과 클로즈셀이 혼합되도록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하는 단계(S410),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이면에 스킨층을 형성하는 단계(S420), 상기 이형지를 떼어내고 스킨층을 코팅하는 단계(S430),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직조된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패브릭층을 준비하는 단계(S440), 상기 폴리우레탄 폼과 패브릭층을 도금액에 함침하여 각각 도금한 후 합지하여 전도성을 갖는 등방성 도전 폼을 제조하는 단계(S450) 및 상기 등방성 도전 폼의 이면에 도전점착층을 적층하는 단계(S460)를 포함한다.4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method for producing an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a porous polyurethane fo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urethane foam is foa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release paper to form a polyurethane foam so as to mix open cells and closed cells (S410) (S430) forming a skin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polyurethane foam, removing the release paper and coating the skin layer (S430), preparing a woven polyester fabric layer to form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S440), the polyurethane foam and the fabric layer are impregnated with a plating solution, plated and lapped to produce an isotropic conductive foam having conductivity (S450), and a step of laminating a conductive adhesive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isotropic conductive foam (S460).
또한, 상기 단계(S460)에서 적층된 도전점착층의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해 이형지를 합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laminating the releasing paper to protect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tacked conductive adhesive layer in step S460.
따라서, 본 발명의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은 종래의 도전성 폼에 비해 충격 흡수력 및 복원력이 훨씬 우수한 박막 우레탄 폼으로 다공성 폼에 전기전도 특성을 부여하여 등방성 도전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the porous polyurethane foa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in-film urethane foam superior in shock absorbing power and restoring forc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onductive foam, and has an excellent isotropic conductivity by imparting electrical conductivity to the porous foam.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전하를 띄는 금속파우더를 포함하는 도금액에 함침하는 방식에 의해 오픈셀(open cell)을 일정 부분 채움으로써, 상하 통전 구조의 다공성 폼으로 충격 흡수 및 복원력의 저하 없이 제작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orous foam having a top-bottom energized structure by filling an open cell with a certain amount by impregnating a plating liquid containing a metal powder having electric charge, .
마이크로 셀 구조의 도전성 폼으로 고밀도 박막 폼의 우수한 충격 흡수 및 복원력을 유지하면서 높은 등방성 전기 전도성을 가짐으로써, 종래의 마이크로 셀 스펀지 구조의 도전 폼을 대체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충격 흡수와 열 전도에 의한 열 확산 기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It is a microcellular conductive foam that has high isotropic electrical conductivity while maintaining excellent shock absorption and restitution of high density thin foams, thereby not only replacing the conductive foam of the conventional microcell sponge structure but also providing excellent shock absorption and heat conduction The heat diffusion function is excellent.
또한, 본 발명은 충격 흡수와 광 차폐, 도전 및 열 확산을 동시에 구현 가능한 소재로서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atisfying the demand for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of a product as a material capable of simultaneously implementing shock absorption, light shielding, conductive and heat diffusion.
또한, 본 발명의 도전 폼은 종래 기술에서 폼과 패브릭 본딩 제품의 경우, 다이 커트(die-cut) 시 절단면의 버(burr)로 인해 제품의 외관을 해치고, 절단 잔사의 이탈로 인해 작업장 분진 발생 및 제품의 단락을 초래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커트 시에도 기공 구조가 파괴되지 않고 원하는 두께로 제작할 수 있는 도전성 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oam and the fabric-bonded product of the prior art, the conductive foam of the present invention damages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due to the burr of the cut surface at the time of die-cuttin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ductive foam which can solve the problem of causing a short circuit of the product and can be manufactured to a desired thickness without breaking the pore structure even when cut.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하며, 이로써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의 제작<Examples> Production of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Porous Polyurethane Foam
실시예 1Example 1
폴리우레탄 발포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테르 폴리올 수지 50 중량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50 중량부, 가교제로서 디프로필렌 글리콜 5 중량부, 촉매로서 니켈 아세틸아세톤 2 중량부, 실리콘 정포제 3 중량부, 경화제로서 MDI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10 중량부, 카본블랙 3 중량부를 진공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혼합하고, 탈포 처리 후 교반/발포장치를 이용하여 질소 기체를 20 내지 30 부피% 투입하여 혼합 후 PET 필름에 발포하여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제작하였다. 상기 폴리우레탄 폼은 두께가 400 ㎛가 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이면에 본딩 접착제를 코팅한 후 여기에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직조된 패브릭층을 합지하였다. 구리를 포함하는 도금액을 준비하여 합지된 폴리우레탄 폼-패브릭층을 도금하였다. 상기 패브릭층의 이면에 아크릴 수지와 구리파우더를 사용하여 제조한 도전점착층을 적층하였는데 열 경화방식으로 경화하였고, 두께가 25 ㎛가 되도록 제작하였다. 50 parts by weight of a polyether polyol resin, 50 parts by weight of a polyester polyol, 5 parts by weight of dipropylene glycol as a crosslinking agent, 2 parts by weight of nickel acetylacetone as a catalyst, 3 parts by weight of a silicone foam stabilizer as a catalyst, , 10 parts by weight of MDI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as a curing agent, and 3 parts by weight of carbon black were mixed using a vacuum stirrer. After degassing treatment, 20 to 30% by volume of nitrogen gas was introduced into the mixture using a stirring / And then foamed on a PET film to prepare a porous polyurethane foam. The polyurethane foam wa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400 mu m. A bonding adhesive was co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olyurethane foam, followed by laminating a fabric layer woven with polyester fibers. A plating solution containing copper was prepared and a laminated polyurethane foam-fabric layer was plated. A conductive adhesive layer prepared by using acrylic resin and copper powd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fabric layer was laminated. The conductive adhesive layer was cured by a thermal curing method and was made to have a thickness of 25 μm.
실시예 2Example 2
폴리우레탄 폼의 두께가 10 ㎛가 되도록 제작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도전 폼을 제작하였다.A conductive foa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urethane foam had a thickness of 10 mu m.
실시예 3Example 3
폴리우레탄 폼의 두께가 3,000 ㎛가 되도록 제작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도전 폼을 제작하였다.A conductive foa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urethane foam had a thickness of 3,000 mu m.
실시예 4Example 4
질소 기체를 30 내지 40 부피% 투입하여 오픈셀: 클로즈셀의 부피비가 변경되도록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도전 폼을 제작하였다.A conductive foa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volume ratio of open cells to closed cells was changed by adding nitrogen gas at 30 to 40 volume%.
실시예 5Example 5
질소 기체를 10 내지 20 부피% 투입하여 오픈셀: 클로즈셀의 부피비가 변경되도록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도전 폼을 제작하였다.A conductive foa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volume ratio of the open cell to the closed cell was changed by introducing nitrogen gas in an amount of 10 to 20% by volum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폴리우레탄 폼의 두께가 5 ㎛가 되도록 제작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도전 폼을 제작하였다.A conductive foa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urethane foam had a thickness of 5 占 퐉.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폴리우레탄 폼의 두께가 3,500 ㎛가 되도록 제작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도전 폼을 제작하였다.A conductive foa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urethane foam had a thickness of 3,500 탆.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질소 기체를 41 내지 50 부피% 투입하여 오픈셀: 클로즈셀의 부피비가 변경되도록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도전 폼을 제작하였다.A conductive foa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volume ratio of the open cell to the closed cell was changed by introducing nitrogen gas in an amount of 41 to 50% by volume.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질소 기체를 1 내지 9 부피% 투입하여 오픈셀: 클로즈셀의 부피비가 변경되도록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도전 폼을 제작하였다.A conductive foa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volume ratio of the open cell to the closed cell was changed by adding nitrogen gas in an amount of 1 to 9% by volum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실험예 1. 두께 변화에 따른 복원력 테스트 결과Experimental Example 1. Results of Resistance Test According to Thickness Chan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의 두께 변화에 따른 복원력을 테스트 하였다. The restorative force of the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the porous polyurethane fo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tested.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및 2에 따라 제작된 테이프를 프레스를 통해 가압하여 이후의 복원력을 시험하였다. 여기서 복원력은 ○(좋음), △(보통), X(나쁨)으로 구분하였다. The tape produced according to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as pressed through a press to test the restoring force thereafter. Here, restitution power was divided into ○ (good), △ (normal), and X (poor).
테스트 결과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의 테이프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해 매우 높은 복원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우레탄 폼의 두께가 5 ㎛인 비교예 1은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복원력이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하였고, 3,500 ㎛인 비교예 2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복원력이 다소 감소하여 폴리우레탄 폼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복원력도 향상되나, 3,000 ㎛ 초과 시에는 더 이상의 복원력 증가를 얻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Test results Referring to Table 1, the tapes of Examples 1 to 3 were found to have a much higher resilience than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Comparative Example 1 having a polyurethane foam thickness of 5 탆 had a comparatively smaller restitution force tha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having a surface roughness of 3,500 탆 showed a somewhat reduced restoring force as compared with Example 1, The thicker it is, the more the resilience is improved.
실험예 2. 클로즈셀:오픈셀의 부피 변화에 따른 복원력 테스트 결과EXPERIMENTAL EXAMPLE 2 Closed-cell: Resilience test result according to volume change of open cel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의 클로즈셀과 오픈셀의 부피 변화에 따른 복원력을 테스트 하였다. 실시예 1, 4, 5와 비교예 3, 4에 따라 제작된 테이프를 프레스를 통해 가압하여 이후의 복원력을 시험하였다. 여기서 복원력은 ○(좋음), △(보통), X(나쁨)으로 구분하였다. The closed cell of the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the porous polyurethane fo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ilience according to the volume change of the open cell were tested. The tape produced according to Examples 1, 4 and 5 and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was pressed through a press to test the restoring force thereafter. Here, restitution power was divided into ○ (good), △ (normal), and X (poor).
(N/m(N / m
22
))
테스트 결과 표 2를 참조하면, 비교예 3에 비해 실시예 1, 4 및 5의 테이프는 매우 높은 복원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픈셀과 클로즈셀의 부피% 비율이 1:0.001~0.09인 비교예 4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복원력이 유사하였고, 1: 3.1 이상인 비교예 3은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복원력이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하여 오픈셀의 부피비가 일정 비율 초과 시에는 클로즈셀의 충격 흡수 효과에 의한 복원력을 얻기 어려워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est results Referring to Table 2, the tapes of Examples 1, 4 and 5 were found to have a very high restoring forc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4 in which the volume percentages of the open cells and the closed cells are 1: 0.001 to 0.09 has similar resilience to that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3 having a volume ratio of 1: 3.1 or more has relatively higher resilience And when the volume ratio of the open cell exceeds a certain ratio,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restoration force due to the shock absorption effect of the closed cell, resulting in an economic loss.
실험예 3. 클로즈셀:오픈셀의 부피 변화에 따른 충격 흡수 테스트 결과Experimental Example 3: Closed-cell: Impact absorption test result according to volume change of open cel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의 클로즈셀과 오픈셀의 부피 변화에 따른 충격 흡수력을 테스트 하였다. A closed cell of an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a porous polyurethane fo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hock absorbing capacity according to a volume change of an open cell were tested.
실시예 1, 4, 5와 비교예 3, 4에 따라 제작된 테이프를 각각 5개의 시편을 준비하고, 낙구 충격 테스트기(Ball Drop Tester)를 이용하여 500 mm의 높이에서 55 g의 추를 사용하여 시편에 충돌시킨 후 충격에너지에 의한 시편의 충격 완충지수를 측정하였다. Five specimens were prepared for each of the tape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1, 4 and 5 and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and were weighed using a ball drop tester using a weight of 55 g at a height of 500 mm After impacting the specimen, the impact buffer index of the specimen was measured by the impact energy.
(g/cm(g / cm
33
))
1 : 2~3
1: 2 ~ 3
1 : 0.1~1
1: 0.1 to 1
테스트 결과 표 3을 참조하면, 비교예 3 및 4에 비해 실시예 1, 4, 5 에서 매우 우수한 충격 흡수의 특성을 보였으며, 클로즈셀의 부피 비율이 높을수록 충격 흡수도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Test results Referring to Table 3, the shock absorbing properties of Examples 1, 4 and 5 were superior to those of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and the higher the volume ratio of the closed cells, the higher the shock absorbency.
오픈셀과 클로즈셀의 부피% 비율이 1:0.001~0.09인 비교예 4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충격 흡수가 다소 감소하였고, 1: 3.1 이상인 비교예 3은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충격 흡수가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하여 오픈셀의 부피비가 일정 비율 초과 시에는 클로즈셀로 인한 충격 흡수 효과를 얻기 어려워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omparative Example 4 in which the volume% ratio of the open cell and the closed cell was 1: 0.001 to 0.09 showed a slight decrease in shock absorption as compared with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3 having a volume ratio of 1: It is found that when the volume ratio of the open cells exceeds a certain ratio,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shock absorbing effect due to the closed cell, resulting in an economic loss.
실험예 4. 클로즈셀:오픈셀의 부피 변화에 따른 CFD(compression force deflection, unit: Mpa) 테스트 결과EXPERIMENTAL EXAMPLE 4. Closed-cell: Compression force deflection (unit: Mpa) test result according to the volume change of the open cel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의 클로즈셀과 오픈셀의 부피 변화에 따른 충격 흡수력을 테스트 하였다. A closed cell of an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a porous polyurethane fo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hock absorbing capacity according to a volume change of an open cell were tested.
실시예 1, 4, 5와 비교예 3, 4에 따라 제작된 테이프를 각각 5개의 시편을 준비하고, ASTM D3574 표준시험법에 따라 25%(표 4)와 50%(표 5) 압축한 상태에서 폼이 반발하는 힘을 측정하였다. Five tape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s 1, 4 and 5 and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were prepared and compressed to 25% (Table 4) and 50% (Table 5) according to ASTM D3574 Standard Test Method The force repelled by the foam was measured.
(g/cm(g / cm
33
))
1 : 2~3
1: 2 ~ 3
1 : 0.1~1
1: 0.1 to 1
(g/cm(g / cm
33
))
1 : 2~3
1: 2 ~ 3
1 : 0.1~1
1: 0.1 to 1
테스트 결과 표 4 및 5를 참조하면, 비교예 3 및 4에 비해 실시예 1, 4, 5에서 매우 우수한 CFD를 얻었으며, 클로즈셀의 부피 비율이 높을수록 CFD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Test results Referring to Tables 4 and 5, excellent CFDs were obtained in Examples 1, 4, and 5 as compared with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volume ratio of the closed cells, the higher the CF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every respect.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set forth below,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100: 도전성 폼 110: 폴리우레탄 폼
120: 본딩 접착제 130: 패브릭층
140: 도전점착층 150: 스킨층
160: 이형지100: conductive foam 110: polyurethane foam
120: bonding adhesive 130: fabric layer
140: conductive adhesive layer 150: skin layer
160: release paper
Claims (11)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하부에 코팅되는 본딩 접착제;
상기 본딩 접착제에 접착되는 다수 개의 통공이 80 내지 350 메시 크기로 형성되도록 직조된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패브릭층;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되는 스킨층; 및
상기 패브릭층 및 상기 스킨층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형성되는 도전점착층을 포함하는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클로즈셀과 오픈셀의 부피 비율은,
발포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테르 폴리올 30 내지 80 중량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30 내지 80 중량부, 가교제 5 내지 10 중량부, 촉매 1 내지 3 중량부, 정포제 1 내지 5 중량부, 경화제 5 내지 15 중량부 및 블랙안료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 상기 발포용 조성물을 탈포 처리하고, 질소가스를 상기 발포용 조성물 부피 100 에 대하여 20 내지 30 부피비율로 투입하여 혼합한 혼합물을 발포하여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폴리우레탄 폼 및 패브릭층은 전기 전하를 띄는 구리 및 니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파우더를 포함하는 도금액에 함침되어 오픈셀이 부분적으로 채워진 도금층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점착층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면서, 점착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50㎛ 크기의 니켈 금속파우더를 3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며 두께는 2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
A polyurethane foam in which the volume ratio of the closed cell and the open cell is 1: 1 to 2;
A bonding adhesive coated on the lower part of the polyurethane foam;
A fabric layer of a woven polyester fabric so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dhered to the bonding adhesive are formed to have a size of 80 to 350 mesh;
A skin layer coa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urethane foam; And
And a conduc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fabric layer and the skin layer, the isotropic conductive foam comprising a porous polyurethane foam,
The volume ratio of the open cells to the closed cells of the polyurethane foam is preferably in the range
30 to 80 parts by weight of a polyether polyol, 30 to 80 parts by weight of a polyester polyol,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1 to 3 parts by weight of a catalyst, 1 to 5 parts by weight of a foaming agent, To 15 parts by weight of a black pigment and 1 to 5 parts by weight of a black pigment is degassed and nitrogen gas is introduced at a rate of 20 to 30 parts by volume per 100 parts by volume of the foaming composition to foam the mixture, ,
Wherein the polyurethane foam and the fabric layer comprise a plating layer partially filled with an open cell impregnated with a plating solution containing at least one or more metal powders of copper and nickel,
Wherein the electrically conductiv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comprises a polymer resin containing a 2-ethylhexyl acrylate monomer, and comprises 3 to 20 parts by weight of a nickel metal powder having a size of 10 to 150 탆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resin, Lt; RTI ID = 0.0 > g / m. ≪ / RTI >
상기 패브릭층은 알루미늄, 금, 은, 구리, 니켈 및 탄소나노 튜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박막 필름으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bric layer can be replaced with a thin film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gold, silver, copper, nickel and carbon nanotubes.
(b)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이면에 본딩 접착제를 코팅하는 단계;
(c) 상기 본딩 접착제에 접착되는 다수 개의 통공이 80 내지 350메시 크기로 형성되도록 직조된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패브릭층을 합지하는 단계;
(d) 상기 이형지를 떼어내고 스킨층을 코팅하는 단계;
(e) 전기 전하를 띄는 구리 및 니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파우더를 포함하는 도금액에 함침되어 오픈셀이 부분적으로 채워진 전도성을 갖는 등방성 도전 폼을 제조하는 단계; 및
(f) 상기 등방성 도전 폼의 적어도 일면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면서, 점착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50㎛ 크기의 니켈 금속파우더를 3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도전점착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의 제조방법.
(a) 30 to 80 parts by weight of a polyether polyol, 30 to 80 parts by weight of a polyester polyol,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1 to 3 parts by weight of a catalyst, 1 to 5 parts by weight of a foaming agent, , 5 to 15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and 1 to 5 parts by weight of a black pigment was subjected to defoaming treatment using a vacuum stirrer and nitrogen gas was introduced at a ratio of 20 to 30 parts by volume per 100 parts by volume of the foamable composition Forming a polyurethane foam such that the mixture of the closed cells and the open cells is mixed in a volume ratio of 1: 1 to 2;
(b) coating a bonding adhesive on the back surface of the polyurethane foam;
(c) laminating a woven polyester fabric layer so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dhered to the bonding adhesive are formed in a size of 80 to 350 mesh;
(d) removing the release paper and coating the skin layer;
(e) fabricating an isotropic conductive foam having conductivity that is partially filled with the plating liquid impregnated with a plating solution containing at least one of copper and nickel, which is electrically charged, and contains the metal powder; And
(f) 3 to 20 parts by weight of a nickel metal powder having a size of 10 to 150 탆,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of a polymer resin containing 2-ethylhexyl acrylate monom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isotropic conductive foam And a step of laminating a conductive adhesive layer on the conductive polyurethane foam.
(b)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이면에 스킨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이형지를 떼어내고 스킨층을 코팅하는 단계;
(d) 다수 개의 통공이 80 내지 350메시 크기로 형성되도록 직조된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패브릭층을 준비하는 단계;
(e) 상기 폴리우레탄 폼과 패브릭층을 전기 전하를 띄는 구리 및 니켈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파우더를 포함하는 도금액에 각각 함침하여 오픈셀이 부분적으로 채워진 도금층을 포함하도록 도금한 후 합지하여 전도성을 갖는 등방성 도전 폼을 제조하는 단계; 및
(f) 상기 등방성 도전 폼의 적어도 일면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면서, 점착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50㎛ 크기의 니켈 금속파우더를 3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도전점착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등방성 도전 폼의 제조방법.
(a) 30 to 80 parts by weight of a polyether polyol, 30 to 80 parts by weight of a polyester polyol, 5 to 10 parts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1 to 3 parts by weight of a catalyst, 1 to 5 parts by weight of a foaming agent, , 5 to 15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and 1 to 5 parts by weight of a black pigment was subjected to defoaming treatment using a vacuum stirrer and nitrogen gas was introduced at a ratio of 20 to 30 parts by volume per 100 parts by volume of the foamable composition Forming a polyurethane foam such that the mixture of the closed cells and the open cells is mixed in a volume ratio of 1: 1 to 2;
(b) forming a skin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polyurethane foam;
(c) removing the release paper and coating the skin layer;
(d) preparing a fabric layer of a woven polyester fabric so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a size of 80 to 350 mesh;
(e) impregnating the polyurethane foam and the fabric layer with a plating liquid containing at least one or more metal powders of copper and nickel electrically charged to form a plated layer partially filled with the open cells, Preparing an isotropic conductive foil hav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foam; And
(f) 3 to 20 parts by weight of a nickel metal powder having a size of 10 to 150 탆,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of a polymer resin containing 2-ethylhexyl acrylate monom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isotropic conductive foam And a step of laminating a conductive adhesive layer on the conductive polyurethane foa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9818A KR101956538B1 (en) | 2017-07-14 | 2017-07-14 |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porous polyurethane fo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9818A KR101956538B1 (en) | 2017-07-14 | 2017-07-14 |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porous polyurethane fo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8006A KR20190008006A (en) | 2019-01-23 |
KR101956538B1 true KR101956538B1 (en) | 2019-03-11 |
Family
ID=6532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9818A KR101956538B1 (en) | 2017-07-14 | 2017-07-14 |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porous polyurethane fo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653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5334B1 (en) * | 2019-05-30 | 2021-03-09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Waterproof tape for mobile device |
CN112210307B (en) * | 2020-10-14 | 2022-06-17 | 苏州盛达飞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Conductive fo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2709695B1 (en) * | 2022-11-04 | 2024-09-26 | 한국화학연구원 | Multilayer Film for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9272B1 (en) * | 2009-12-14 | 2010-08-31 | 최철수 | Conductive gaske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KR101562521B1 (en) * | 2014-06-10 | 2015-10-23 | 최철수 | Thin electro-conductive gasket having an excellent restoring forc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5973B1 (en) | 2006-10-19 | 2007-04-13 | 주식회사 에스테크 | Sheet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101175346B1 (en) | 2010-01-29 | 2012-08-20 | 주식회사 이송이엠씨 | Conductive p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pad |
KR101445709B1 (en) * | 2012-08-08 | 2014-10-01 | (주)티지테크 | Heat radiation sheet having emi shielding and shock absorbing |
KR101685835B1 (en) * | 2014-12-10 | 2016-12-12 | 주식회사 나노인터페이스 테크놀로지 | Conductive thin poly-urethane fo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17
- 2017-07-14 KR KR1020170089818A patent/KR10195653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9272B1 (en) * | 2009-12-14 | 2010-08-31 | 최철수 | Conductive gaske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KR101562521B1 (en) * | 2014-06-10 | 2015-10-23 | 최철수 | Thin electro-conductive gasket having an excellent restoring for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8006A (en) | 2019-0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6538B1 (en) | Isotropic conductive foam using porous polyurethane fo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01605842B (en) | Conductive polymer foams,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 |
JP6326147B2 (en) | Adhesive tape having foamed resin subst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KR101002454B1 (en) | Foamed member, layered product including foamed member, and electrical/electronic appliance employing foamed member | |
KR102292340B1 (en) | Double-sided adhesive tape and electronic device | |
EP2799505B1 (en) |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 |
TWI520830B (en) | Resin foam with conductivity | |
WO2007019261A1 (en) | Heat-transferring adhesive tap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 |
TW201434956A (en) | Resin foam body and foam member | |
KR101149013B1 (en) | Seal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CN102686652A (en) | Conductive polymer foams,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 |
CN101309993A (en) | Adhesive composition, circuit connecting material, connecting structure and circuit member connecting method | |
CA2656609A1 (en) |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gasket having elasticity and adhesiveness | |
EP2792706A1 (en) | Non-slip material, and temporary fixing material | |
KR20040020271A (en) | High polymer microcellular foam conductive gasket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 |
CN111133041A (en) | Impact absorbing sheet | |
KR101685835B1 (en) | Conductive thin poly-urethane fo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TW201406835A (en) | Resin foam, foam member, foam member laminate, and 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
CN102007190B (en) | Adhesive material tape and adhesive material tape wound body | |
KR20140002717A (en) | Foam laminated body for electrical or electrionic equipment | |
CN112219264B (en) | Die-cut/die-bond integrated film,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 | |
KR101562521B1 (en) | Thin electro-conductive gasket having an excellent restoring force | |
KR20190099202A (en) | Adhesive tap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JP2013072038A (en) | Method for producing thermoplastic resin foam | |
JP2008105353A (en) | Manufacturing process of reaction molded art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