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286B1 -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286B1
KR101956286B1 KR1020170165524A KR20170165524A KR101956286B1 KR 101956286 B1 KR101956286 B1 KR 101956286B1 KR 1020170165524 A KR1020170165524 A KR 1020170165524A KR 20170165524 A KR20170165524 A KR 20170165524A KR 101956286 B1 KR101956286 B1 KR 101956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traffic
g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주홍
윤준호
강지수
Original Assignee
(주)에이텍티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텍티앤 filed Critical (주)에이텍티앤
Priority to KR1020170165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3Payments by cards read by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승객이 대중교통 하차 시 교통카드를 태깅하지 않고 하차를 하면, 자동으로 승객 하차를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확하게 승차요금을 결제하여 교통카드 미 태깅에 따른 부당한 승차요금 결제를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모바일 교통카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승차 단말기에 태깅을 하여 결제를 위한 교통카드 정보를 제공하고, 하차 단말기에 미 태깅 후 하차를 하면 자동으로 제공되는 하차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태깅이 이루어지면, 제공되는 교통카드 정보를 수신하고 영상 인식을 통해 사용자 영상을 인식한 후 교통카드 정보와 사용자 인식정보를 저장하며, 영상인식을 통해 자동으로 사용자 하차를 인식하고 요금 산정을 수행하는 교통 단말기 및 통신을 통해 교통카드 정보 및 인식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승차 요금을 정산하며, 요금 정산 정보를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한 후 하차 요금을 정산하는 요금결제서버를 포함하여,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Automatic get off payment system of public transport by image recogni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객이 대중교통(특히, 버스) 하차 시 교통카드를 태깅하지 않고 하차를 하면, 자동으로 승객 하차를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확하게 승차요금을 결제하여 교통카드 미 태깅에 따른 부당한 승차요금 결제를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에는 승객의 카드를 판독하고, 승차요금을 차감하여 기록하거나 노변 기지국 장치와 통신을 통해 버스 운행 정보를 받아 기록하기 위해, 승하차 단말기와 운전자단말기(버스 단말기 또는 교통 단말기라고도 부름)가 탑재되며, 하차 승객을 위해 하차 벨이 탑재된다.
상기 운전자단말기는 승객의 교통카드로부터 요금을 징수할 때마다 그 거래 내용을 저장하며, 이를 무선랜 또는 램 팩 등을 통해 정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정산 서버는 취합한 거래내역들을 버스별 및 운수회사별로 정산을 수행한다.
아울러 운전자단말기는 정류장의 안내 방송 기능을 통해 정류장에 도달하면 해당 정류장을 안내해주어, 승객이 목적지 정류장에서 하차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해준다.
버스 승객은 안내방송을 이용하거나 육안으로 하차 지점을 인식하고, 하차 지점에 근접하면 하차 벨을 누른다. 아울러 교통 요금 정산이나 환승을 위해 교통 카드를 하차 단말기에 태깅을 한다.
하차 벨이 눌러지면 운전기사는 이를 인식하고 정류장에서 차량을 정차시키고, 문을 개방하여 승객이 하차하도록 한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수단에서 승차 및 하차를 관리하는 종래의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승차요금 결제정보 및 하차지점 정보를 적외선에 실어 송출하고 자신의 하차지점을 알리는 SMS메시지 기능을 설정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출된 승차요금 결제정보 및 하차지점 정보를 이용하여 구간요금을 과금하고, 그 과금 정보를 실시간으로 이동통신망으로 전송시키는 교통수단에 탑재되는 승하차 관리장치, 상기 승하차 관리장치로부터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전송되는 개별 승객의 과금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금 관리서버로 이루어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수단의 승차/하차 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교통수단 내에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단말기정보를 검출하여 과금 및 승차/하차 정보로 가공한 다음, 그 과금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해당 서버로 전송함과 더불어 승객 하차시에는 자동으로 하차 벨을 작동시킴으로써, 단말기를 소유한 승객 및 교통수단의 운전자에게 정밀한 교통정보를 알려주어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게 하므로, 교통수단의 승객관리 특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94433호(2006.06.21. 등록)(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수단의 승차/하차 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승객이 하차시 교통카드를 하차 단말기에 태깅하지 않고 하차를 하게 되면, 별도로 승객의 하차를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가장 먼 거리를 기준으로 교통요금을 정산하기 때문에, 승객입장에서는 추가요금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승객이 대중교통 하차 시 교통카드를 태깅하지 않고 하차를 하면, 자동으로 승객 하차를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확하게 승차요금을 결제하여 교통카드 미 태깅에 따른 부당한 승차요금 결제를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은, 모바일 교통카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승차 단말기에 태깅을 하여 결제를 위한 교통카드 정보를 제공하고, 하차 단말기에 미 태깅 후 하차를 하면 자동으로 제공되는 하차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태깅이 이루어지면, 제공되는 교통카드 정보를 수신하고 영상 인식을 통해 사용자 영상을 인식한 후 교통카드 정보와 사용자 인식정보를 저장하며, 영상인식을 통해 자동으로 사용자 하차를 인식하고 요금 산정을 수행하는 교통 단말기; 상기 교통 단말기와 통신을 통해 교통카드 정보 및 인식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승차 요금을 정산하며, 요금 정산 정보를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한 후 하차 요금을 정산하는 요금결제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교통 단말기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고, 안면 영상을 인식하여 사용자 인식정보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교통 단말기와 요금결제서버는 하차 요금 정산이 이루어지면, 상기 교통카드 정보와 사용자 인식정보를 삭제하여 보안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는 영상 인식을 통한 자동 하차 요금 결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요금결제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승차 정보와 하차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승차 정보 및 하차 정보를 기초로 요금을 처리하는 요금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교통 단말기는 모바일 교통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인식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 승객의 승차시 영상을 통해 사용자 인식정보를 획득하고, 승객의 하차시 영상을 통해 사용자 하차를 인식하고 사용자 인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인식부; 상기 카드 인식부를 통해 승객의 승차가 인식되면 승차 요금을 처리하고, 하차 단말기에 의해 사용자 모바일 교통카드가 인식되거나 상기 사용자 인식부에 의해 승객의 하차가 인식되면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차 요금을 처리하는 요금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교통 단말기는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하차 단말기에 의해 승객 하차가 인식되거나 상기 요금결제서버를 통해 하차 요금 정산이 이루어지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삭제하는 보안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요금결제서버는 버스 위치 정보를 실시간 관리하는 버스위치 정보서버; 상기 교통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저장하고, 영상인식을 통해 하차가 인식되면 하차 요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하차 요금 정산이 이루어지면 저장한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삭제하는 사용자 인식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방법은, (a)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에서 모바일 교통카드 애플리케이션(APP)을 실행하고, 승차 단말기에 태깅을 하는 단계; (b) 대중교통에 구비된 교통 단말기에서 교통카드 정보를 인식하고, 영상 인식을 통해 사용자 인식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교통 단말기에서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요금결제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요금결제서버에서 탑승정보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교통 단말기에서 영상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하차가 인식되면, 승하차 위치 정보와 교통카드 정보를 통해 요금을 산정하여 요금결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요금결제서버에서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 하차정보를 전송하고, 하차요금을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b)단계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고, 안면 영상을 인식하여 사용자 인식정보로 사용하며, 사용자 인식정보는 승차시와 하차시에 각각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방법은 (f) 상기 (e)단계를 통해 하차 요금의 결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요금결제서버에서 저장한 교통카드 정보와 사용자 인식정보를 삭제하여 보안 처리를 하고, 요금 결제 정보를 상기 교통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교통 단말기는 요금 결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한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삭제하여 보안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객이 대중교통 하차 시 교통카드를 태깅하지 않고 하차를 하면, 자동으로 승객 하차를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확하게 승차요금의 결제를 처리함으로써, 교통카드 미 태깅에 따른 부당한 승차요금 결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교통 단말기와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대중교통(특히, 버스)(200)에 장착된 교통 단말기(210), 상기 대중교통(200)에서 이용 요금을 모바일 카드로 결제하기 위한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20), 요금결제를 수행하는 요금결제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20)는 모바일 교통카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승차 단말기에 태깅을 하여 결제를 위한 교통카드 정보를 제공하고, 하차 단말기에 미 태깅 후 하차를 하면 자동으로 제공되는 하차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20)는 스마트폰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깅을 통해 결제를 위한 교통카드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카드부(221), 교통카드 정보와 요금 결제 애플리케이션, 승하차 정보, 위치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225), 영상 인식을 통한 자동 하차 요금 결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227), 승차 정보 및 하차 정보를 기초로 요금을 처리하는 요금 처리부(222), 통신을 위한 통신부(226), GPS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인식부(22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교통 단말기(210)는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20)로부터 태깅이 이루어지면, 제공되는 교통카드 정보를 수신하고 영상 인식을 통해 사용자 영상을 인식한 후 교통카드 정보와 사용자 인식정보를 저장하며 승차 요금 산정을 수행하고, 영상인식을 통해 자동으로 사용자 하차를 인식하고 요금 산정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교통 단말기(210)는 대중교통(200) 수단인 버스 등에 탑재된다. 여기서 교통 단말기(21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고, 안면 영상을 인식하여 사용자 인식정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교통 단말기(2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교통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인식부(211), GPS 모듈을 통해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215), 승객의 승차시 영상을 통해 사용자 인식정보를 획득하고, 승객의 하차시 영상을 통해 사용자 하차를 인식하고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인식부(213), 상기 카드 인식부(211)를 통해 승객의 승차가 인식되면 승차 요금을 처리하고, 하차 단말기에 의해 사용자 모바일 교통카드가 인식되거나 상기 사용자 인식부(213)에 의해 승객의 하차가 인식되면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차 요금을 처리하는 요금 처리부(2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교통 단말기(210)는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16), 상기 하차 단말기에 의해 승객 하차가 인식되거나 상기 요금결제서버(300)를 통해 하차 요금 정산이 이루어지면 상기 저장부(216)에 저장한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삭제하는 보안 처리부(217), 통신을 위한 통신부(214), 정보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218)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요금결제서버(300)는 통신망(100)을 통해 상기 교통 단말기(210)와 통신을 통해 교통카드 정보 및 인식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요금 정산 정보를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20)에 전송한 후 승차 요금 및 하차 요금을 정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요금결제서버(300)는 버스 위치 정보를 실시간 관리하는 버스위치 정보서버(310), 상기 교통 단말기(220)에서 전송되는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저장하고, 영상인식을 통해 하차가 인식되면 하차 요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20)로 전송하고, 하차 요금 정산이 이루어지면 저장한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삭제하는 사용자 인식서버(320), 교통카드 정보를 처리하는 교통카드 정보서버(330)를 포함한다.
상기 교통 단말기(210)와 요금결제서버(300)는 하차 요금 정산이 이루어지면, 상기 교통카드 정보와 사용자 인식정보를 삭제하여 보안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중교통(200)인 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은 하차 요금 자동 결제를 위한 요금 결제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20)의 자동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대중교통(200)에 탑승하여 승차 단말기에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20)를 접촉시킨다.
이때, 승차단말기의 카드 리더기는 정해진 판독 방식을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20)의 모바일 카드부(221)를 통해 교통카드 정보를 판독한다. 이렇게 판독한 교통카드 정보는 교통 단말기(210)에 전달된다.
상기 교통 단말기(210)는 교통카드 정보를 수신하고, 동시에 사용자 인식부(213)의 승차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고, 획득한 안면 영상 정보를 사용자 인식정보로 획득한다.
이어, 위치 인식부(215)를 통해 위치 정보를 인식하고, 요금 처리부(212)를 통해 승차 요금을 처리하고, 승차 요금 정보,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저장부(216)에 저장한다. 아울러 상기 저장부(216)에 저장한 교통카드 정보, 사용자 인식정보 및 승차 요금 정보를 통신부(214)를 통해 요금결제서버(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승차 요금 정보 등은 디스플레이부(218)를 통해 디스플레이되어, 운전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요금결제서버(300)의 사용자 인식서버(320)는 승차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저장하고, 교통카드 정보서버(330)는 교통카드 정보를 저장 및 처리하고, 승차 요금을 처리한다.
승차 요금 정보의 처리 결과는 네트워크(통신망)(100)를 통해 상기 교통단말기(210) 및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20)로 전송한다.
상기 교통 단말기(210)의 통신부(214)는 승차 요금 정보의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부(218) 및 저장부(216)에 전달하게 되고, 디스플레이부(218)는 승차 요금 처리 결과 정보를 표시해주고, 저장부(216)는 전달되는 승차 요금 처리 결과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정상적으로 승차 요금을 처리한 상태에서, 사용자 인식부(213)는 하차 카메라를 통해 하차 승객을 촬영하여 하차 승객의 안면 영상을 획득한다. 하차 승객의 안면 정보가 획득되면 이를 사용자 정보로 요금 처리부(212)에 전달한다. 요금 처리부(212)는 하차 단말기를 통해 하차 승객이 교통카드를 태깅하면, 기존과 같은 방식으로 하차 요금을 처리하고, 하차 요금에 대하여 요금결제서버(300)와 연동을 통해 하차 요금 정산을 수행한다. 승객이 하차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깅한 후 이루어지는 하차 요금 정산 과정은 기존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요금 처리부(212)는 하차 단말기에 의해 교통카드 정보가 수신되지 않고 하차 승객 인식정보가 수신되면, 위치 인식부(215)를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이어, 획득한 위치 정보를 하차 위치 정보로 결정하고, 하차 위치 정보와 저장부(216)에 저장된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 정보를 통신부(214)를 통해 요금결제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요금결제서버(300)의 버스위치 정보서버(310)는 버스 위치 정보를 처리하게 되고, 교통카드 정보서버(330)는 수신한 교통카드 정보와 하차 요금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20)로 하차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승객은 교통카드를 하차 단말기에 태깅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하차 요금이나 하차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요금결제서버(300)의 교통카드 정보서버(330)는 정상적으로 하차 요금에 대해 결제를 수행하고, 하차 요금에 대해 결제가 완료되면 사용자 인식서버(320)에 이를 전달한다.
사용자 인식서버(320)는 하차 요금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결제가 진행되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승객의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삭제하여, 사용자의 보안성 향상을 도모한다.
이어, 통신망(100)을 통해 교통단말기(210)로 하차 요금 정산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교통단말기(210)의 통신부(214)는 이를 수신하면 보안 처리부(217) 및 요금 처리부(212)에 각각 전달한다. 요금 처리부(212)는 하차 요금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하차 요금이 정산된 것을 인지하고 하차 요금 처리 결과정보를 저장부(216)에 저장한다. 아울러 보안 처리부(217)는 하차 요금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처리된 결과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안면 영상)를 삭제하여, 사용자의 보안성 향상을 도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승객이 교통카드를 하차 단말기에 태깅하지 못하고 하차한 경우, 사용자 영상 인식을 통해 자동으로 하차를 인식한 후 하차 요금을 처리해준다. 이로써 사용자가 하차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깅하지 않아도 기존과 같이 하차 위치와는 무관하게 최대 거리로 환산하여 추가요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a)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20)에서 모바일 교통카드 애플리케이션(APP)을 실행하고, 승차 단말기에 태깅을 하는 단계(S101 ~ S102), (b) 대중교통(200)에 구비된 교통 단말기(300)에서 교통카드 정보를 인식하고, 영상 인식을 통해 사용자 인식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단계(S103 ~ S105), (c) 상기 교통 단말기(210)에서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요금결제서버(300)로 전송하면, 상기 요금결제서버(300)에서 탑승정보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20)로 전송하는 단계(S106), (d) 상기 교통 단말기(210)에서 영상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하차가 인식되면, 승하차 위치 정보와 교통카드 정보를 통해 요금을 산정하여 요금결제서버(300)에 전송하는 단계(S107 ~ S109), (e) 상기 요금결제서버(300)에서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20)로 하차정보를 전송하고, 하차요금을 결제하는 단계(S110 ~ S11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방법은 (f) 상기 (e)단계를 통해 하차 요금의 결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요금결제서버(300)에서 저장한 교통카드 정보와 사용자 인식정보를 삭제하여 보안 처리를 하고, 요금 결제 정보를 상기 교통 단말기(210)로 전송하는 단계(S113), (g) 상기 교통 단말기(210)는 요금 결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한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삭제하여 보안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S114)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 S101 및 S102에서 대중교통(200)인 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승객은 하차 요금 자동 결제를 위한 요금 결제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20)의 자동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대중교통(200)에 탑승하여 승차 단말기에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20)를 접촉시킨다.
이때, 승차단말기의 카드 리더기는 정해진 판독 방식을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20)의 모바일 카드부(221)를 통해 교통카드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교통카드 정보를 교통 단말기(210)에 전달한다(S103).
상기 교통 단말기(210)는 단계 S104에서 교통카드 정보를 수신하고, 동시에 사용자 인식부(213)의 승차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고, 획득한 안면 영상 정보를 사용자 인식정보로 획득한다.
이어, 단계 S105에서 위치 인식부(215)를 통해 위치 정보를 인식하고, 요금 처리부(212)를 통해 승차 요금을 처리하고, 승차 요금 정보,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저장부(216)에 저장한다. 아울러 상기 저장부(216)에 저장한 교통카드 정보, 사용자 인식정보 및 승차 요금 정보를 통신부(214)를 통해 요금결제서버(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승차 요금 정보 등은 디스플레이부(218)를 통해 디스플레이되어, 운전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요금결제서버(300)의 사용자 인식서버(320)는 단계 S105에서 승차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저장하고, 교통카드 정보서버(330)는 교통카드 정보를 저장 및 처리하고, 승차 요금을 처리한다. 승차 요금 정보의 처리 결과는 단계 S106에서 네트워크(통신망)(100)를 통해 상기 교통단말기(210) 및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20)로 전송한다.
한편, 교통 단말기(210)의 통신부(214)는 승차 요금 정보의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부(218) 및 저장부(216)에 전달하게 되고, 디스플레이부(218)는 승차 요금 처리 결과 정보를 표시해주고, 저장부(216)는 전달되는 승차 요금 처리 결과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정상적으로 승차 요금을 처리한 상태에서, 단계 S107 ~ S108에서 사용자 인식부(213)는 하차 카메라를 통해 하차 승객을 촬영하여 하차 승객의 안면 영상을 획득한다. 하차 승객의 안면 정보가 획득되면 이를 사용자 정보로 요금 처리부(212)에 전달한다.
요금 처리부(212)는 하차 단말기를 통해 하차 승객이 교통카드를 태깅하면, 기존과 같은 방식으로 하차 요금을 처리하고, 하차 요금에 대하여 요금결제서버(300)와 연동을 통해 하차 요금 정산을 수행한다. 승객이 하차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깅한 후 이루어지는 하차 요금 정산 과정은 기존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요금 처리부(212)는 단계 S109에서 하차 단말기에 의해 교통카드 정보가 수신되지 않고, 하차 승객 인식정보가 수신되면, 위치 인식부(215)를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이어, 획득한 위치 정보를 하차 위치 정보로 결정하고, 단계 S110에서 하차 위치 정보와 저장부(216)에 저장된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 정보를 통신부(214)를 통해 요금결제서버(300)로 전송한다.
상기 요금결제서버(300)의 버스위치 정보서버(310)는 단계 S111에서 버스 위치 정보를 처리하게 되고, 교통카드 정보서버(330)는 수신한 교통카드 정보와 하차 요금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20)로 하차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승객은 교통카드를 하차 단말기에 태깅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하차 요금이나 하차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요금결제서버(300)의 교통카드 정보서버(330)는 단계 S112에서 정상적으로 하차 요금에 대해 결제를 수행하고, 하차 요금에 대해 결제가 완료되면 사용자 인식서버(320)에 이를 전달한다.
사용자 인식서버(320)는 단계 S113에서 하차 요금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결제가 진행되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승객의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삭제하여, 사용자의 보안성 향상을 도모한다.
이어, 통신망(100)을 통해 교통단말기(210)로 하차 요금 정산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교통단말기(210)의 통신부(214)는 단계 S113 및 S114에서 이를 수신하면 보안 처리부(217) 및 요금 처리부(212)에 각각 전달한다. 요금 처리부(212)는 하차 요금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하차 요금이 정산된 것을 인지하고 하차 요금 처리 결과정보를 저장부(216)에 저장한다. 아울러 보안 처리부(217)는 하차 요금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처리된 결과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안면 영상)를 삭제하여, 사용자의 보안성 향상을 도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승객이 교통카드를 하차 단말기에 태깅하지 못하고 하차한 경우, 사용자 영상 인식을 통해 자동으로 하차를 인식한 후 하차 요금을 처리해준다. 이로써 사용자가 하차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깅하지 않아도 기존과 같이 하차 위치와는 무관하게 최대 거리로 환산하여 추가요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은 대중교통인 버스에 탑재된 교통 단말기에서 승객이 하차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접촉하지 않고 하차한 경우, 자동으로 하차 처리를 하고 하차 요금을 정상적으로 결제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100: 통신망(네트워크) 200: 대중교통(버스)
210: 교통 단말기 211: 카드 인식부
212: 요금 처리부 213: 사용자 인식부
214: 통신부 215: 위치 인식부
216: 저장부 217: 보안 처리부
218: 디스플레이부 220: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
221: 모바일 카드부 222: 요금 처리부
223: 보안 처리부 224: 위치 인식부
225: 저장부 226: 통신부
227: 애플리케이션 실행부 300: 요금결제서버
310: 버스위치 정보서버 320: 사용자 인식서버
330: 교통카드 정보서버

Claims (10)

  1. 영상인식을 통해 대중교통의 하차시 자동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시스템으로서,
    모바일 교통카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승차 단말기에 태깅을 하여 결제를 위한 교통카드 정보를 제공하고, 하차 단말기에 미 태깅 후 하차를 하면 자동으로 제공되는 하차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태깅이 이루어지면, 제공되는 교통카드 정보를 수신하고 영상 인식을 통해 사용자 영상을 인식한 후 교통카드 정보와 사용자 인식정보를 저장하며, 영상인식을 통해 자동으로 사용자 하차를 인식하고 요금 산정을 수행하는 교통 단말기; 및
    상기 교통 단말기와 통신을 통해 교통카드 정보 및 인식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승차 요금을 정산하며, 요금 정산 정보를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한 후 하차 요금을 정산하는 요금결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교통 단말기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고, 안면 영상을 인식하여 사용자 인식정보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상기 교통 단말기와 요금결제서버는 하차 요금 정산이 이루어지면, 상기 교통카드 정보와 사용자 인식정보를 삭제하여 보안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
  4. 청구항 1에서,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는 영상 인식을 통한 자동 하차 요금 결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요금결제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승차 정보와 하차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승차 정보 및 하차 정보를 기초로 요금을 처리하는 요금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
  5. 청구항 4에서, 상기 교통 단말기는 모바일 교통카드를 인식하는 카드 인식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 승객의 승차시 영상을 통해 사용자 인식정보를 획득하고, 승객의 하차시 영상을 통해 사용자 하차를 인식하고 사용자 인식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인식부; 상기 카드 인식부를 통해 승객의 승차가 인식되면 승차 요금을 처리하고, 하차 단말기에 의해 사용자 모바일 교통카드가 인식되거나 상기 사용자 인식부에 의해 승객의 하차가 인식되면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차 요금을 처리하는 요금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
  6. 청구항 5에서, 상기 교통 단말기는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하차 단말기에 의해 승객 하차가 인식되거나 상기 요금결제서버를 통해 하차 요금 정산이 이루어지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삭제하는 보안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
  7. 청구항 1에서, 상기 요금결제서버는 버스 위치 정보를 실시간 관리하는 버스위치 정보서버; 상기 교통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저장하고, 영상인식을 통해 하차가 인식되면 하차 요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하차 요금 정산이 이루어지면 저장한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삭제하는 사용자 인식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
  8.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의 하차시 결제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에서 모바일 교통카드 애플리케이션(APP)을 실행하고, 승차 단말기에 태깅을 하는 단계;
    (b) 대중교통에 구비된 교통 단말기에서 교통카드 정보를 인식하고, 영상 인식을 통해 사용자 인식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교통 단말기에서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요금결제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요금결제서버에서 탑승정보를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교통 단말기에서 영상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하차가 인식되면, 승하차 위치 정보와 교통카드 정보를 통해 요금을 산정하여 요금결제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요금결제서버에서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 하차정보를 전송하고, 하차요금을 결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고, 안면 영상을 인식하여 사용자 인식정보로 사용하며, 사용자 인식정보는 승차시와 하차시에 각각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방법.
  9. 삭제
  10. 청구항 8에서, (f) 상기 (e)단계를 통해 하차 요금의 결제가 이루어지면, 상기 요금결제서버에서 저장한 교통카드 정보와 사용자 인식정보를 삭제하여 보안 처리를 하고, 요금 결제 정보를 상기 교통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교통 단말기는 요금 결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한 교통카드 정보 및 사용자 인식정보를 삭제하여 보안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방법.

KR1020170165524A 2017-12-05 2017-12-05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56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524A KR101956286B1 (ko) 2017-12-05 2017-12-05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524A KR101956286B1 (ko) 2017-12-05 2017-12-05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286B1 true KR101956286B1 (ko) 2019-03-08

Family

ID=65800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524A KR101956286B1 (ko) 2017-12-05 2017-12-05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28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594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큐버 상황인지형 스마트 키오스크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추천 블록체인 시스템
KR102381671B1 (ko) * 2021-09-24 2022-04-04 주식회사 에이치투테크 안면인식 기반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CN114944020A (zh) * 2022-05-17 2022-08-26 海信集团控股股份有限公司 乘车信息的验证方法及设备
KR102498017B1 (ko) * 2022-03-04 2023-02-10 (주)씨유박스 인증방법 및 시스템
KR102503891B1 (ko) * 2022-03-04 2023-02-27 (주)씨유박스 결제를 위한 인증방법 및 시스템
KR102529309B1 (ko) * 2022-11-30 2023-05-08 주식회사 알에스팀 자동 하차 태깅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240A (ko) * 1999-12-03 2001-07-02 박재우 인터넷/인트라넷 기반 하에서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사용자인증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594433B1 (ko) 2003-10-16 200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수단의 승,하차 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16917B1 (ko) * 2005-10-24 2007-05-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교통 요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59875B1 (ko) * 2012-10-18 2013-05-03 주식회사 모바일허브 버스 하차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70044841A (ko) * 2015-10-16 2017-04-26 노환기 무임승차권 부정사용 방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240A (ko) * 1999-12-03 2001-07-02 박재우 인터넷/인트라넷 기반 하에서의 생체정보를 이용한 사용자인증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594433B1 (ko) 2003-10-16 200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수단의 승,하차 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16917B1 (ko) * 2005-10-24 2007-05-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교통 요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59875B1 (ko) * 2012-10-18 2013-05-03 주식회사 모바일허브 버스 하차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70044841A (ko) * 2015-10-16 2017-04-26 노환기 무임승차권 부정사용 방지 장치 및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1594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큐버 상황인지형 스마트 키오스크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추천 블록체인 시스템
KR102302293B1 (ko) * 2019-10-31 2021-09-14 주식회사 큐버 상황인지형 스마트 키오스크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추천 블록체인 시스템
KR102381671B1 (ko) * 2021-09-24 2022-04-04 주식회사 에이치투테크 안면인식 기반 버스 요금 자동 결제 시스템
KR102498017B1 (ko) * 2022-03-04 2023-02-10 (주)씨유박스 인증방법 및 시스템
KR102503891B1 (ko) * 2022-03-04 2023-02-27 (주)씨유박스 결제를 위한 인증방법 및 시스템
WO2023167481A1 (ko) * 2022-03-04 2023-09-07 (주)씨유박스 인증방법 및 시스템
WO2023167482A1 (ko) * 2022-03-04 2023-09-07 ㈜씨유박스 결제를 위한 인증방법 및 시스템
CN114944020A (zh) * 2022-05-17 2022-08-26 海信集团控股股份有限公司 乘车信息的验证方法及设备
KR102529309B1 (ko) * 2022-11-30 2023-05-08 주식회사 알에스팀 자동 하차 태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286B1 (ko) 영상인식을 통한 대중교통 하차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274495A (zh) 一种无人值守的路边停车收费系统
EP1975884A1 (en) Mobile object charging system and mobile object charging method by mobile object charging system
CN104992476A (zh) 一种基于手机拍照车牌识别的停车收费方法
JP2017204274A (ja) 車両番号と車両番号から認識された車種に基づいた車両入出場管理方法及び車両入出場管理システム
KR20180093773A (ko) 주차 영역 접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4282046A (zh) 一种基于nfc的路边停车缴费系统及方法
CN105139460A (zh) 一种通过手机扫描二维码实现停车场收费管理的方法
CN102129724A (zh) 用双卡双待手机定位的黔东南州道路自动收费系统和方法
JP6960279B2 (ja) 車載装置、基地局装置、映像情報提供システム、映像情報提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970937B1 (ko) 핸드폰을 이용하여 주차요금을 결제하는 주차관리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WO2016201867A1 (zh) 一种m2m车联网的识别方法和装置
KR101819568B1 (ko) 전기차 및 하이패스 인식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 운영 방법
KR20170115932A (ko) 외부 서비스와 연동된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0783479B1 (ko) 차량 번호인식을 이용한 고속도로 통행료 징수시스템 및 그방법
CN114005188A (zh) 无人值守收费站全车型车辆放行方法、装置、系统及介质
KR20140127423A (ko) 주차관리 시스템 및 주차료 결제방법
CN111476916B (zh) 一种基于无感支付的车辆通行方法、系统和计算机设备
US20210358297A1 (en) Violator identification device, violator identification system, violator iden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JP2014056412A (ja) 車両通行制御システム、車載器、通行料金処理装置
CN115036036A (zh) 一种基于obu电子标签的健康码信息识别方法及系统
CN114067489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WO2019083443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PARKING MANAGEMENT
KR102142392B1 (ko) 유료 도로에서의 실시간 차량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1202543A (ja) 通行車両課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