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264B1 - Extensible apparatus for seat cushion in vehicle - Google Patents

Extensible apparatus for seat cushion in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264B1
KR101956264B1 KR1020170143340A KR20170143340A KR101956264B1 KR 101956264 B1 KR101956264 B1 KR 101956264B1 KR 1020170143340 A KR1020170143340 A KR 1020170143340A KR 20170143340 A KR20170143340 A KR 20170143340A KR 101956264 B1 KR101956264 B1 KR 101956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ushion
main
hing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3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우석
곽해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170143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2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2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apparatus to extend a cushion part of a vehicle seat, which selectively moves a part of the front side of a seat surface of a cushion portion from a cushion frame of the seat toward a front side in accordance with the body shape of a passenger who sits on the seat to widely extend the seat surface so as to stably support a femoral region among body portions of the passenger, and applies a dual locking structure of a double row type between a protruding part and a coupling hole to improve structural rigidity for a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to extend a cushion part of a seat comprises: a fixed member (40) coupled to a cushion frame (5); a moving member (20) coupled to the fixed member (40) to support a moving type cushion part (9)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 operation member (30) rotationally installed on the moving member (20); a link member (50) linked with the operation member (30) to be dislocated, and adjusting coupling and decoupling of the moving member (20) with respect to the fixed member (40); and a coupling member (60) to be linked through a contact with a tilted surface part (54a) of the link member (50) and installed to be able to be inserted into a coupling portion of the fixed member (40). The fixed member (40) includes a plurality of main coupling holes (43) and an auxiliary insertion protruding part (44) in a front/rear direction, and the coupling member (60) includes a main insertion protruding part (62) coupled to the main coupling hole (43) and an auxiliary coupling hole (63) coupled to the auxiliary insertion protruding part (44).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Extensible apparatus for seat cushion in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nsible apparatus for a seat cushion in a vehicle,

본 발명은 시트에 착좌하는 탑승자의 체형에 맞춰 쿠션부위의 좌면 중 일부를 쿠션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좌면을 보다 넓게 확장시킴으로써 탑승자의 대퇴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돌기부와 체결구멍 사이에 복열 방식의 이중 록킹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결합부위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cushion for an automotive vehicle which can selectively support a part of a seat surface of a cushion part forwardly from a cushion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body shape of a passenger seated on the se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shion part expansion device for an automobile seat which can improve the structural rigidity of a joint part by applying a dual lock type double locking structure between a protrusion part and a fastening hol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는 시트는 쿠션의 전후방향 길이가 일정한 형태로 제작되어 있어 탑승자의 체형과 같은 신체적 특성에 맞춰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체형이 큰 탑승자의 경우에는 하체부위 중에서 대퇴부의 하중을 쿠션부위에서 상대적으로 덜 받기 때문에 많은 불편함이 있게 된다. Generally, a seat installed in an automobile interior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length of the cush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constant, so that it can not be variably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body shape of the occupant. Accordingly, in the case of a passenger with a large body, there is a great inconvenience because the load of the thigh is relatively less at the cushion portion in the lower body portion.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시트의 쿠션부위에 대한 넓이를 보다 넓게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는바, 일례로 공개특허 제10-2015-0114053호에 개시된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는 쿠션 프레임(5)에 설치되고 고정식 쿠션부(7)에 대해 이동식 쿠션부(9)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쿠션 프레임(5)에 결합되는 고정부재(40),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해 가이드부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이동식 쿠션부(9)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부재(20), 상기 이동부재(20)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부재(30), 상기 조작부재(30)와 연동하여 변위되는 경사면부(54)를 갖추고서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결합과 해제를 조절하는 링크부재(50), 및 상기 링크부재(50)의 경사면부(54)와의 접촉을 통해 연동 가능하고, 상기 고정부재(40)의 체결부위에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부재(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variety of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more widely use the area of the cushion portion of the seat. For example, in the cushion extender of the automobile seat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114053, A fixing member 40 mounted on the cushion frame 5 and movably supporting the movable cushion part 9 forward relative to the fixed cushion part 7, , A movable member (20) coupled to the movable cushion part (9) through a guide part to movably support the movable cushion part (9) forward, an operating member (30) pivotally installed on the movable member (20) A link member 50 having an inclined surface portion 54 which is displac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ng member 30 to adjust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movable member 20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40, 50 to the inclined face portion 54 It can be interlocked, and consists of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the fastening member 60 is inserted can be installed on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40).

이 경우, 체결부재(60)와 결합되는 고정부재(40)의 체결구멍(43)은 각각 1열 구조임에 따라, 전방 충돌시 탑승자의 대퇴부에 의해 이동식 쿠션부(9)에 가해지는 타격에 의해 체결구멍(43)으로부터 체결부재(60)가 이탈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므로, 이들 사이의 결합부위에 대한 구조적 강성이 취약한 문제가 있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fastening holes 43 of the fastening member 40 engaged with the fastening member 60 each have a one-row structure, the impact applied to the movable cushion part 9 by the thigh of the occupa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joint between the fastening members 60 is deteriorated.

공개특허 제10-2015-0114053호Published Patent No. 10-2015-011405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트에 착좌하는 탑승자의 체형에 맞춰 쿠션부위의 좌면의 전방측 일부를 시트의 쿠션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좌면을 보다 넓게 확장할 수 있게 함으로써 탑승자의 신체부위 중 대퇴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에 있어, 돌기부와 체결구멍 사이에 복열 방식의 이중 록킹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결합부위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t cushion for a passenger who is seated on a seat, in which a front portion of a seat surface of a cushion portion is selectively moved forward from a seat cushion frame, In a cushion part expansion device for an automobile seat that can support a thigh part of a body part more stably, a dual locking type double locking structure is applied between a protrusion part and a fastening hole to improve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joint part And to provide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쿠션 프레임에 설치되고 고정식 쿠션부에 대해 이동식 쿠션부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쿠션부 확장장치로서, 상기 쿠션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가이드부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이동식 쿠션부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부재, 상기 조작부재와 연동하여 변위되는 경사면부를 갖추고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의 결합과 해제를 조절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의 경사면부와의 접촉을 통해 연동 가능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체결부위에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전후방향으로 다수의 메인 체결구멍과 보조 삽입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메인 체결구멍과 결합 가능한 메인 삽입돌기부와 상기 보조 삽입돌기부와 결합 가능한 보조 체결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ushion unit expansion device that is installed in a cushion frame of a car seat and supports a movable cushion part movably forward with respect to a fixed cushion part, A movable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fixed member via a guide portion to movably support the movable cushion portion forwardly, an operating member which is pivotal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movable member, and an inclined surface portion that is displac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ng member, And a fastening member interlockable with the slanting face portion of the link member to adjust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mov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fastening member and insertable into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 The fixing member has a plurality of main fastening holes and an auxiliary insertion protruding portion Ratio, and the coupl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ary fastening hole engageable with the projection inserted into the main and the side insertion projection engageable with the main fastening hol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메인 체결구멍과 상기 메인 삽입돌기부는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에 대해 각각 복열식 다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fastening hole and the main insertion projecting part are formed in a reheat multi-row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fastening member, respectively.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보조 삽입돌기부는 상기 메인 체결구멍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 체결구멍은 상기 메인 삽입돌기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insertion projections are disposed between the main fastening holes, and the auxiliary fastening holes are disposed between the main insertion projections.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메인 가이드부,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스프링을 수용하는 보조 가이드부, 상기 이동부재의 저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하향 돌출되어 상기 메인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메인 결합부, 및 상기 이동부재의 저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하향 돌출되어 상기 보조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으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는 보조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ortion may include a main guide portion formed concav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an auxiliary guide portion formed concav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A main engag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member to be coupled to the main guide portion; and a main engag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member, And an auxiliary coupling portion.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메인 결합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갖춘 오목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걸림홈과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cave guide rail having an engaging groov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engaging portion to limit the moving displacement of the moving member relative to the fixing member, And a hooking jaw which is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hook.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조작부재와의 힌지 결합을 위해 돌출되는 한 쌍의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힌지부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1힌지부, 및 상기 링크부재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2힌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member has a pair of hinge portions protruded for hinge-linking with the operating member, the operating member includes a first hinge portion for hinge-linking with the hinge portion, And a second hinge part for hinge coupling with the first hinge part.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제2힌지부와의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부, 상기 힌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가이드 돌기를 수용하여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을 형성하는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로부터 상기 경사면부를 사이에 두고 단차지게 연장되는 지지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 member may include a hinge portion for hinge coupling with the second hinge portion, a flat plate portion extending from the hinge portion and forming a guide slot for receiving the guide projection of the moving member and guiding movement, And a support surface portion that extends stepwise from the flat plate portion with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체결부재는 내부에 상기 링크부재와의 접촉을 위해 하향 돌출되는 가압돌기, 및 상부에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고정부재를 향해 상기 체결부재를 가압하는 리턴 스프링을 장착하며,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커버부재에 의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projection projecting downwardly for contact with the link member, and a support projection projecting outwardly, wherein the support projection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member And a return spring for pressing the member is mounted, and the return spring is restrained by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movable member.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커버부재는 양단부에 체결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체결돌기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member is provided with fastening protrusions at both ends thereof, and the moving member is provided with fastening grooves for engaging with the fastening protrusions.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체결부재의 상하방향 이동을 위한 중공의 수용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블록은 내주면에 상기 체결부재의 전 둘레부위와의 유격 유지를 위해 상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축방향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member includes a hollow receiving block for vertically moving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receiving block is vertically protru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in order to maintain a clearance with the front peripheral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And has a plurality of axial projections.

본 발명은 시트의 쿠션 프레임 중 특정의 부위를 전방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쿠션 프레임에 설치되는 쿠션부위도 이분화하여 함께 이동할 수 있으므로, 시트에 착좌하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쿠션부위의 전방측 좌면의 일부를 쿠션 프레임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좌면의 넓이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탑승자의 신체부위 중 대퇴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은 시트의 쿠션부위 중에서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부위에 의해 설정되는 시트 착좌면의 넓이 확장을 매개로 다양한 신체적 특성을 가지는 탑승자의 체형에 맞춰 최적의 안착 및 지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portion of the cushion frame of the seat is configured to be movable forward, and the cushion portion provided on the cushion frame can also be differentiated and moved together. Therefore, depending on the body shape of the occupant seated on the seat,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cushion frame can be selectively moved forward from the cushion frame so that the width of the seating surface can be widened to provide a more stable support of the thigh in the body part of the occupant.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n optimum seating and supporting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the body shape of the occupant having various physic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seat seating surface, which is set by a portion movable forward in the cushion portion of the seat Effect.

특히, 본 발명은 시트의 쿠션부 확장을 위한 장치에 있어, 돌기부와 체결구멍 사이에 복열 방식의 이중 록킹구조를 적용하고 이중 록킹구조에 의한 고정부재와 이동부재의 삽입돌기와 체결구멍을 각각 저피치의 설계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결합부위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in the apparatus for expanding a cushion portion of a seat, a double-locking type double-locking structure is appli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hole, and the insertion protrusions and fastening holes of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shifting member by the doubl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joint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이동부재와 체결부재 사이의 접촉을 하향 돌출구조의 가압돌기를 이용한 점접촉으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접촉부위의 최소화에 따른 작동력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tact between the moving member and the fastening member can be realized by point contact using the downwardly projecting pushing projec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operating force according to the minimization of the contact area.

또한, 본 발명은 이동부재의 수용블록 내주면에 축방향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체결부재의 상하방향 이동시 부품 사이의 유격 발생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상하방향의 상대이동이 보다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xial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block of the shifting member, so that clearance between the parts can be reduced while moving the coupling memb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moreover, the relative movemen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can be made more free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에 대한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에 대한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에서 안착부재를 분리시켜 제외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를 저면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에서 이동부재를 분리시켜 제외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종단면 부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로서, 체결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의 결합부위를 저면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n automobi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ushion part expand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member is removed from the cushion unit expansion device of the automobile seat shown in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ushion extender of the automobile seat shown in Fig. 2;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ushion extender of the automobile seat shown in Fig. 2 from the bottom.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member is removed from the cushion extender of the automobile seat shown in FIG. 2; FI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ongitudinal section of FIG. 2.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enlargedly showing a coupling portion between a fastening member and a fixing member on a bottom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로 하면, 자동차의 시트는 차실내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좌면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탑승자의 상체부위를 지지하는 시트 백(1)과, 탑승자의 하체부위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3)으로 구분된다. 상기 시트 백(1)은 내부에 백 시트의 지지를 위한 백 프레임(미도시)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 쿠션(3)은 내부에 쿠션 시트의 지지를 위한 쿠션 프레임(5)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 a seat of an automobile is provided in a passenger compartment to secure a passenger seat. The passenger seat has a seat bag 1 for supporting a passenger's upper body portion, And a seat cushion (3). The seat back 1 has a back frame (not shown) for supporting a back sheet. The seat cushion 3 has a cushion frame 5 for supporting a cushion sheet therein.

본 발명이 적용되는 좌면의 확장을 위한 시트 쿠션(3)은 전체 좌면 중 상기 시트 백(1)과 인접한 부위에서 상기 쿠션 프레임(5)에 대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식 쿠션부(7)와, 전체 좌면 중 상기 고정식 쿠션부(7)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쿠션 프레임(5)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식 쿠션부(9)로 구분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식 쿠션부(7)와 상기 이동식 쿠션부(9) 사이는 주름진 외장재를 매개로 그 위치를 연장 가능한 부위로 이동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연장시 사이의 공간을 외부로부터 은폐시킬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The seat cushion 3 for extending the seating surfa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fixed cushion portion 7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fixed to the cushion frame 5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seat back 1 of the entire seating surface, And a movable cushion part 9 which is installed movably forward with respect to the cushion frame 5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stationary cushion part 7 in the seat surface. In this case, between the fixed cushion portion 7 and the movable cushion portion 9, the position can be moved to the extendable portion via the corrugated outer casing, and the space between the fixed cushion portion 7 and the movable cushion portion 9 can be concealed from the outside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는 상기 쿠션 프레임(5)에 대해 상기 이동식 쿠션부(9)를 고정식 쿠션부(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전방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동작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chanism for movably moving the movable cushion part 9 with respect to the cushion frame 5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ed cushion part 7, .

이를 위해, 쿠션부 확장장치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식 쿠션부(9)의 하부에 결합되어 이동식 쿠션부(9)를 지지하는 안착부재(10), 상기 안착부재(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식 쿠션부(9)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부재(20), 상기 이동부재(20)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재(30), 상기 이동부재(20)의 하부에서 상기 쿠션 프레임(5)에 대해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이동부재(20)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재(40), 상기 조작부재(30)와 연동하여 변위되어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결합과 해제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링크부재(50), 상기 링크부재(50)와의 접촉을 통해 연동 가능하고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해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부재(60), 및 상기 이동부재(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40)와 상기 체결부재(60) 사이의 정상적인 결합을 유도하는 커버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to 8, the cushion unit expansion device includes a seating member 1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cushion unit 9 to support the movable cushion unit 9, 10) for guiding movement of the movable cushion part (9)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 operating member (30) pivotally mounted on the moving member (20) and operated by a passenger, A fixing member 40 directly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cushion frame 5 at a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member 20 and adapted to guide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2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A link member (50) displaced in conjunction with the link member (50) and selectively adjusting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movable member (20) with respect to the fixed member (40)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And a cover member 7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member 20 and guiding normal engagement between the fixing member 40 and the coupling member 60. [

상기 안착부재(10)는 상기 이동식 쿠션부(9)의 저면부위 전체를 하부에서 직접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평판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안착부재(10)는 쿠션부 확장장치의 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식 쿠션부(7)에 대해 상기 이동식 쿠션부(9)를 전방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eat member 10 is made of a plate-shaped member provided to directly support the entire bottom portion of the movable cushion unit 9 from below. That is, the seat member 10 serves to move the movable cushion unit 9 toward the fixed cushion unit 7 by the operation of the cushion unit expansion device.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안착부재(10)의 저면에서 안착부재(10)의 전체부위 중에서 중앙에 위치한 일부에 한정된 부위만을 직접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하부에 위치한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해 가이드부를 매개로 정해진 경로에 걸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식 쿠션부(9)의 전후방향 이동을 간접적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고정부재(40)와의 정해진 경로에 한정된 이동 가능한 결합을 위해 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하향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The moving member 20 directly supports only a part of the seating member 10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entire part of the seating member 10 at the bottom and directly contacts the fixing member 40 located at the bottom Rearward movement of the movable cushion part 9 over a predetermined path through the guide part to indirectly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able cushion part 9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is end, the movable member 20 has a pair of guide portions protruding downward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a movable coupling defined in a predetermined path with respect to the fixed member 40.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동부재(20)의 저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하향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재(4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40)로부터 상기 이동부재(20)의 이동변위를 한정적 구간에 한해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메인 결합부(21), 및 상기 이동부재(20)의 저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하향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재(40)와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탄력적인 길이방향 이동을 위해 설치되는 스프링(80)으로부터 직접적인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구성되는 보조 결합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guide portion is protruded dow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able member 20 to be detachably engaged with the fixed member 40 and restricts the displacement of the movable member 20 from the fixed member 40 to a limited And a fixing member 40 which is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40 and protruded dow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bottom surface of the movable member 20, And an auxiliary coupling portion 22 configured to receive a direct elastic force from a spring 80 installed for elastic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20.

또한, 상기 이동부재(20)는 저면에 상기 링크부재(50)의 전후방향 이동변위를 안내하기 위해 하부를 향해 외부로 돌출된 십자형태의 가이드 돌기(23)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보조 결합부(22)는 자유단부에 상기 스프링(80)으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기 위해 스프링(80)의 일측 자유단부에 삽입되도록 부재의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22a)를 형성한다. In addition, the movable member 20 integrally has a cross-shaped guide protrusion 23 protruding downward to downwardly guide the movable member 2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auxiliary coupling portion 22 forms a coupling protrusion 22a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ember so as to be inserted into one free end of the spring 80 to receive an elastic force from the spring 80 at a free end.

또한, 상기 이동부재(20)는 전방측 자유단부에 상기 조작부재(30)를 선회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 한 쌍으로 돌출된 형태의 힌지부(24)를 구비한다. 상기 힌지부(24)는 상기 조작부재(30)의 제1힌지부(31)와의 선회 가능한 결합을 위해 힌지핀(25)을 설치한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재(20)의 힌지부(24)와 상기 조작부재(30)의 제1힌지부(31)는 각각 상기 힌지핀(25)의 설치를 위한 관통구멍을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조작부재(30)의 제1힌지부(31)와 상기 이동부재(20)의 힌지부(24) 사이에 위치한 상기 힌지핀(25)에 의한 힌지 결합부위에는 토션 스프링(26)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조작부재(30)는 토션 스프링(26)에 의한 탄력적인 복원 선회력을 제공받아 비작동시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체결부재(60)의 위치를 결합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The shifting member 20 has a hinge portion 24 protruding in a pair to allow the operating member 30 to be pivotally mounted on the front free end. The hinge portion 24 is provided with a hinge pin 25 for pivotal engagement with the first hinge portion 31 of the operating member 30. [ In this case, the hinge portion 24 of the movable member 20 and the first hinge portion 31 of the operating member 30 form through holes for mounting the hinge pin 25, respectively. In this process, the hinge-linking portion of the hinge pin 25 located between the first hinge portion 31 of the operating member 30 and the hinge portion 24 of the moving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torsion spring 26 The operating member 30 is provided with a resilient restoring turning force by the torsion spring 26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member 60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40 in a non- .

또한,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체결부재(6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 중공의 수용블록(20a)을 구비하는 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블록(20a)은 내주면에 상기 체결부재(60)의 전 둘레부위와의 일정한 유격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60)의 상하방향 이동을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한 다수의 축방향 돌기(20b)를 구비한다. 즉, 상기 체결부재(60)는 상기 이동부재(20)의 수용블록(20a)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특히 상기 축방향 돌기(20b)를 매개로 상기 수용블록(20a) 내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하방향의 이동이 보다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movable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hollow receiving block 20a for vertically movably receiving the fastening member 60. The receiving block 20a has a hollow receiving block 20a, And a plurality of axial projections 20b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member 6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moothly by maintaining a constant clearance with the front peripheral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60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at is, the fastening member 60 is assembl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in the receiving block 20a of the moving member 20, and in particular, the fastening member 60 is mounted in the receiving block 20a via the axial direction projection 20b. So that the vertical movement can be made more freely.

상기 조작부재(30)는 상기 이동부재(20)의 힌지부(24)와의 힌지결합을 위한 상기 제1힌지부(31)의 형성과 함께 상기 링크부재(50)와의 힌지결합을 위해 제2힌지부(32)를 각각 별도의 위치에 독립적으로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조작부재(30)의 제2힌지부(32)와 상기 링크부재(50) 사이의 힌지결합 부위에는 선회 가능한 결합을 위해 연결핀(33)이 설치된다. The operating member 30 is provided with a first hinge portion 31 for hinge engagement with the hinge portion 24 of the movable member 20 and a second hinge portion 31 for hinge engagement with the link member 50, And the supporting portions 32 are independently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is case, a connecting pin 33 is provided on the hinge-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second hinge portion 32 of the operating member 30 and the link member 50 for pivotally engaging.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쿠션 프레임(5)에 대해 직접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재(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이동부재(20)의 메인 결합부(21)와의 결합을 위해 대응하는 상측 부위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파인 형태의 메인 가이드부(41)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메인 가이드부(41)는 상기 이동부재(20)의 메인 결합부(21)의 저면부에 형성되는 오목한 형태의 가이드 레일(27)의 걸림홈(27a)과 상호 대응하는 부위에서 걸림작용을 수반하기 위해 일단부의 상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턱(41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이동변위를 설정된 범위 내에서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걸림턱(41a)은 상기 메인 가이드부(41)로부터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 결합부(21)의 하부에 위치한 가이드 레일(27)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홈(27a)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전방을 향한 변위의 정도를 한정된 범위 내에서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fixing member 40 is directly fixed to the cushion frame 5 to guide the moving member 20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To this end, the fixing member 40 is formed with a main guide portion 41 having a recessed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corresponding upper portion for engagement with the main engaging portion 21 of the moving member 20 . In this case, the main guide portion 41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groove 27a of the concave guide rail 27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of the main engaging portion 21 of the movable member 20 The movable displacement of the movable member 20 relative to the fixed member 40 can be limited within a set range by forming the stopping protrusion 41a protruding out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one end in order to carry out the locking action . The engaging protrusion 41a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main guide part 41 and has an engaging groove 27a formed at one end of the guide rail 27 located below the main engaging part 21,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limiting the degree of displacement of the movable member 20 toward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fixed member 40 within a limited range.

또한, 상기 고정부재(40)는 상부에 상기 이동부재(20)의 보조 결합부(22)와의 결합을 위해 대응하는 부위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파인 형태의 보조 가이드부(42)를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보조 가이드부(42)는 상기 이동부재(20)의 보조 결합부(22)에 대한 전진방향으로는 개구된 형태를 이루는 반면에, 상기 보조 결합부(22)의 수용방향에 해당하는 후진방향으로는 상기 스프링(80)의 자유단부에 대한 지지를 위해 폐쇄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보조 가이드부(42)는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전진방향에 국한하여 개방된 형상을 이루는 일단부 폐쇄형 슬롯의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fixing member 4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with an auxiliary guide portion 42 having a concav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corresponding portion for coupling with the auxiliary coupling portion 22 of the moving member 20 . In this case, the auxiliary guide portion 42 is opened in the advanc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coupling portion 22 of the movable member 20, And is closed in order to support the free end of the spring 80 in the backward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auxiliary guide unit 42 is formed in the form of a one-end closed slot having a shape open to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20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40.

또한, 상기 고정부재(40)는 이동부재(20)의 진행방향과 상응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메인 체결구멍(43)을 형성하고 있는 바, 상기 메인 체결구멍(43)은 상기 체결부재(60)의 하부에 위치한 메인 삽입돌기부(62)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 가변적으로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메인 체결구멍(43)은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해 복열식 다열 구조로 형성된다.A plurality of main fastening holes 43 are formed in the fixing member 4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20. The main fastening holes 43 are formed in the fastening member 60 to the main insertion protrusions 62. The movable insert 20 is fixed to the fixed member 40 in a desired position. In this case, the main fastening hole 43 is formed in a reheat multi-row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40.

또한,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메인 체결구멍(43) 사이에서 전후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보조 삽입돌기부(44)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보조 삽입돌기부(44)는 상기 체결부재(60)와의 치결합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위치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삽입돌기부(44)는 상기 복열식의 메인 체결구멍(43)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The fixing member 40 has auxiliary insertion protrusions 44 formed between the main fastening holes 4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auxiliary insertion protruding portion 44 serves to more firmly fix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20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40 through a teeth connection with the fastening member 6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insertion protrusions 44 are set to be located between the reclosable main fastening holes 43.

상기 링크부재(50)는 상기 조작부재(30)의 제2힌지부(32)와의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부(51), 상기 힌지부(51)로부터 길게 연장되고 상기 이동부재(20)의 십자형 가이드 돌기(23)를 수용하여 이동을 안내하는 십자형 가이드 슬롯(52)을 형성하는 평판부(53), 및 상기 평판부(53)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체결부재(60)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체결부재(60)의 상하방향 이동을 상기 조작부재(30)와 연동하는 링크부재(50)의 이동에 따라 종속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하향 경사진 형태의 경사면부(54a)를 갖춘 지지면부(54)를 구비한다. The link member 50 includes a hinge portion 51 for hinge engagement with the second hinge portion 32 of the operation member 30 and a hinge portion 51 extending from the hinge portion 51, A flat plate portion 53 which forms a cruciform guide slot 52 for accommodating the guide protrusion 23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guide protrusion 23 and a flat plate portion 53 which is bent downwardly from the flat plate portion 53 a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astening member 60 A supporting surface portion 54 having an inclined surface portion 54a inclined downwardly in order to control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astening member 60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link member 50 interlocking with the operating member 30, Respectively.

상기 체결부재(60)는 상기 링크부재(50)의 지지면부(54)를 내부에 수용하는 박스 형태의 중공 구조물로서, 내부에 상기 링크부재(50)의 지지면부(54)와의 접촉을 위해 하향 돌출되는 가압돌기(61)를 구비하고, 하측 저면부위에 상기 고정부재(40)의 메인 체결구멍(43)과의 결합을 위해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다수의 메인 삽입돌기부(62)를 구비하며, 하부에 상기 고정부재(40)의 보조 삽입돌기부(44)와의 결합을 위해 부재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보조 체결구멍(63)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가압돌기(6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50)의 지지면부(54)를 향해 하향 돌출됨으로써 상기 지지면부(54)를 비롯하여 상기 경사면부(54a)와 상기 평판부(53)와의 점접촉을 통해 작동시 접촉부위의 최소화에 따른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동력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삽입돌기부(62)는 상기 체결부재(60)의 저면부에서 복열식 다열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체결구멍(63)은 상기 복열식의 메인 삽입돌기부(6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The fastening member 60 is a box-shaped hollow structure for internally receiving the supporting surface portion 54 of the link member 50 and has a downwardly directed downward contact with the supporting surface portion 54 of the link member 50, And a plurality of main insertion protrusions 62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for engaging with the main fastening holes 43 of the fastening member 40 at a lower bottom portion thereof,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fastening holes (63) formed through the member for engagement with the auxiliary insertion protrusions (44) of the fastening member (40). 7, the pressing protrusion 61 protrudes downward toward the supporting surface portion 54 of the link member 50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54a including the supporting surface portion 54,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the minimization of the contact portion during operation through the point contact with the flat plate 53 and to improve the operating force. The main insertion projections 62 are formed in a reheat multi-row structure at the bottom of the fastening member 60, and the auxiliary fastening holes 63 are positioned between the re-heating main insertion projections 62 Respectively.

또한, 상기 체결부재(60)는 상부에 상기 커버부재(70)와의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고정부재(40)와의 결합을 위해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리턴 스프링(64)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체결부재(60)는 상부에 상기 리턴 스프링(64)의 장착을 위해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지지돌기(61a)를 일체로 구비한다.The fastening member 60 has a return spring 64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o provide an elastic force for engagement with the fixing member 40 in a space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60 and the cover member 70. In this case, the fastening member 60 integrally includes a support protrusion 61a protruding toward the outside for mounting the return spring 64 on the upper portion.

이에 따라, 상기 가압돌기(61)는 상기 조작부재(30)의 선회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50)가 후방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지지면부(54)와 상기 경사면부(54a)를 순차적으로 거친 다음 상기 평판부(53)와 접촉함으로써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고정부재(40)의 메인 체결구멍(43)과 상기 체결부재(60)의 메인 삽입돌기부(62) 사이의 결합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40)의 보조 삽입돌기부(44)와 상기 체결부재(60)의 보조 체결구멍(63)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다. When the link member 50 moves backward according to the turning of the operating member 30, the pressing projection 61 sequentially ropes the supporting surface portion 54 an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54a, The engagement between the main fastening hole 43 of the fixing member 40 and the main insertion protruding portion 62 of the fastening member 60 is released The engagement between the auxiliary insertion projections 44 of the fixing member 40 and the auxiliary fastening holes 63 of the fastening member 60 is released.

상기 커버부재(70)는 상기 이동부재(2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리턴 스프링(64)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부재(70)는 상기 이동부재(20)와의 조립을 위해 양단부에 체결돌기(71)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체결돌기(71)와의 결합을 위해 오목한 형태의 체결홈(28)이 구비된다.The cover member 70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moving member 20 and supports the upper end of the return spring 64. The cover member 70 integrally includes fastening protrusions 71 at both ends for assembling with the moving member 20 and the moving member 20 has a concave shape for engaging with the fastening protrusions 71 Shaped fastening groove 28 is provid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에 대한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ushion extender of the car sea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초기의 작동 전 단계에서 이동식 쿠션부(9)를 지지하는 안착부재(10)는 시트 백(1)과 인접한 후방위치에서 고정식 쿠션부(7)와 인접한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탑승자의 의지에 따라 상기 이동식 쿠션부(9)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상기 힌지핀(25)을 중심으로 상기 조작부재(30)를 들어 올려 전방으로 선회하게 되면, 상기 조작부재(30)와 연결핀(33)을 매개로 힌지 결합된 상기 링크부재(50)는 후방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조작부재(30)의 상방향 선회에 따라 후방을 향한 상기 링크부재(50)의 이동이 종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The seat member 10 supporting the movable cushion unit 9 is position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tationary cushion unit 7 at a rear position adjacent to the seat back 1 in the initial stage of operation. In this state, when the operating member 30 is lifted and turned forward about the hinge pin 25 so as to move the movable cushion unit 9 forward according to the occupant's will, 30 and the link pin 33 are moved rearward. That is, the link member 50 moves rearward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turning of the operating member 30.

이 과정에서 상기 체결부재(60)의 가압돌기(61)는 상기 링크부재(50)의 지지면부(54)와 경사면부(54a)를 거쳐 평판부(53)와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이동부재(20)의 수용블록(20a) 내에서 상기 체결부재(60)는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60)의 메인 삽입돌기부(62)는 상기 고정부재(40)의 메인 체결구멍(43)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벗어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체결부재(60)의 보조 체결구멍(63)은 상기 고정부재(40)의 보조 삽입돌기부(44)로부터 상방향을 벗어나게 되므로,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구속은 체결상태에서 해제상태로 전환된다. The pressing protrusion 61 of the fastening member 6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at plate portion 53 via the supporting surface portion 54 an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54a of the link member 50, The fastening member 60 moves upward in the receiving block 20a of the fastening member 20 so that the main insertion projection 62 of the fastening member 60 is inserted into the main fastening hole 40a of the fastening member 40, The auxiliary fastening hole 63 of the fastening member 60 is displaced upward from the auxiliary insertion projecting portion 44 of the fastening member 40, The restraint of the movable member 20 to the released state is switched from the engaged state to the released state.

즉, 상기 링크부재(50)의 지지면부(54)에 형성되는 경사면부(54a)는 상기 체결부재(60)의 가압돌기(61)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체결부재(60)는 가압돌기(61)와 상기 링크부재(50)의 경사면부(54a) 사이의 접촉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20)의 수용블록(20a) 내에서 상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구속상태는 해제상태로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54a formed on the supporting surface portion 54 of the link member 50 is moved in a direction to contact the pressing protrusion 61 of the coupling member 60, Is moved upward in the receiving block 20a of the movable member 20 by the contact between the pressing projection 61 an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54a of the link member 50, The restraining state of the movable member 20 is released.

특히, 상기 수용블록(20a)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축방향 돌기(20b)는 상기 이동부재(20)의 상방향 이동시 접촉되는 부위를 최소화하여 마찰에 의한 동작 불량 등의 문제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부재(20)의 상방향 이동을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the plurality of axial projections 20b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block 20a minimizes the contact portion when the moving member 20 moves upward, thereby preventing a problem such as operation failure due to friction It is possible to precisely guide the upward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20 at the same time.

이어,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구속이 해제되면, 상기 고정부재(40)의 보조 가이드부(42) 내에 설치된 상기 스프링(80)은 상기 이동부재(20)의 보조 결합부(22)의 자유단부에 위치한 결합돌기(22a)에 대해 탄력적인 복원력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고정부재(40)로부터 전방으로 벗어나 상기 시트 쿠션(3)의 좌면을 전방을 향해 확장시키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restraint of the movable member 20 to the fixing member 40 is released, the spring 80 installed in the auxiliary guide portion 42 of the fixing member 40 moves in a direction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is applied to the engaging projection 22a located at the free end of the auxiliary engaging portion 22 so that the shifting member 20 is displaced forward from the fixing member 40,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position for extending the seat surface of the seat back toward the front.

이 과정에서 상기 이동부재(20)의 메인 결합부(21)와 보조 결합부(22)는 각각 상기 고정부재(40)의 메인 가이드부(41)와 보조 가이드부(42)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안내를 받게 되므로,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변위는 정상적인 전개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게 된다. The main engaging portion 21 and the auxiliary engaging portion 22 of the movable member 2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main guide portion 41 and the auxiliary guide portion 42 of the fixing member 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splacement of the movable member 20 relative to the fixing member 40 can be guided in the normal expansion direction.

또한,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재(40)의 메인 가이드부(41)에 형성된 걸림턱(41a)은 상기 이동부재(20)의 저면에 위치한 가이드 레일(27)에 형성된 걸림홈(27a)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전진방향 이동범위를 설정된 범위 내에서 제한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완전한 이탈은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The engaging protrusions 41a formed in the main guide portion 41 of the fixing member 40 are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27a formed in the guide rail 27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member 20, It is possible to limit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20 in the for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member 40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so that the movable member 20 relative to the fixed member 40 20 can be originally prevented.

한편, 상기 조작부재(30)에 가해졌던 작동력이 해제되면, 상기 링크부재(50)는 상기 조작부재(30)의 복원 선회에 의해 연동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체결부재(60)의 가압돌기(61)는 상기 링크부재(50)의 평판부(53)에서 경사면부(54a)를 지나 지지면부(54)와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체결부재(60)에 가해졌던 상승력은 사라지고 상기 리턴 스프링(6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60)는 원래의 상태로 하강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ng force applied to the operating member 30 is released, the link member 50 moves forward by interlocking with the restoring turning of the operating member 30. [ The pressing protrusions 61 of the coupling member 60 come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ing surface portion 54 from the flat plate portion 53 of the link member 50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54a, The fastening member 60 is lower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 64. [

이 과정에서 상기 체결부재(60)의 메인 삽입돌기부(62)는 최초 위치보다 전방에 위치한 특정 위치에 있는 메인 체결구멍(43)과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체결부재(60)의 보조 체결구멍(63)도 역시 최초 위치보다 전방에 위치한 특정 위치에 있는 보조 삽입돌기부(44)와 결합되므로,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위치를 구속상태로 전환시키게 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전방을 향한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The main insertion projections 62 of the fastening members 60 are engaged with the main fastening holes 43 at a predetermined position located forward of the initial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auxiliary fastening holes 63 of the fastening members 60 are fastened, Is also engaged with the auxiliary insertion protruding portion 44 located at a specific position located forward of the initial position so that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20 relative to the fixing member 40 is switched to the restricting state, 40 of the movable member 20 can be freely chang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구속이 상기 체결부재(60)의 메인 삽입돌기부(62)와 상기 고정부재(40)의 메인 체결구멍(43) 사이의 결합과 상기 체결부재(60)의 보조 체결구멍(63)과 상기 고정부재(40)의 보조 삽입돌기부(44) 사이의 결합을 통한 이중 록킹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전방 충돌시 탑승자의 대퇴부에 의한 이동식 쿠션부(9)의 타격으로부터 기인하는 잠금부위의 이탈에 의한 해제 문제를 돌기부와 체결구멍 사이의 삽입부위에서 수반되는 끼임 현상을 통해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돌기부와 체결구멍 사이의 삽입부위에서 수반되는 끼임 현상은 상기 메인 삽입돌기부(62)와 메인 체결구멍(43) 사이의 결합과 상기 보조 체결구멍(63)과 보조 삽입돌기부(44) 사이의 결합에 의한 이중 록킹구조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외력의 작용시 서로 다른 결합부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위에서 수반되는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와 상기 이동부재(20) 사이의 이중 록킹구조에 의해 삽입돌기와 체결구멍을 각각 저피치의 설계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traint of the movable member 20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40 is performed between the main insertion hole 62 of the fastening member 60 and the main fastening hole 43 of the fixing member 40 Locking structure through the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member 60 and the auxiliary coupling hole 63 of the coupling member 60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auxiliary insertion hole 44 of the fixing member 40, It is possible to solve the disengagement problem caused by the detachment of the lock portion due to the impact of the movable cushion portion 9 by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hole by the pincer phenomenon accompanied by the insertion portion between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hole. In this case, a phenomenon of entanglement accompanying the insertion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hole may be caused by the coupling between the main insertion hole 62 and the main fastening hole 43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auxiliary fastening hole 63 and the auxiliary insertion hole 44 Locking structure due to bonding, and is generated by deformation involving at least one bonding site among different bonding sites when an external force acts. In addition, the double locking structure between the fixing member 40 and the moving member 20 enables the insertion protrusions and the fastening holes to be realized with a low-pitch design.

아울러,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과 상반되는 고정식 쿠션부(7)에 대한 이동식 쿠션부(9)의 확장방향 이동과 반대되는 복원방향의 이동은 상기 조작부재(30)의 선회에 따른 상기 체결부재(60)에 의한 상기 이동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40) 사이의 구속력을 해지시킨 상태에서 이동부재(20)에 강제적인 외력을 가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조작부재(30)를 복원시켜 상기 고정부재(40)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20)의 위치를 최초의 수납위치로 전환시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movement of the fixed cushion portion 7 in the restoring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ement of the movable cushion portion 9 in the extending direction, which is contrary to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sses, A forced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hifting member 20 in a state wher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shifting member 20 and the fixing member 40 is released by the shifting member 60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movable member 20 relative to the fixing member 40 may be switched to the initial storage posi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particular details of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시트 백 3-시트 쿠션
5-쿠션 프레임 7-고정식 쿠션부
9-이동식 쿠션부 10-안착부재
20-이동부재 20a-수용블록
20b-축방향 돌기 21-메인 결합부
22-보조 결합부 23-가이드 돌기
24-힌지부 25-힌지핀
26-토션 스프링 27-가이드 레일
27a-걸림홈 28-체결홈
30-조작부재 31-제1힌지부
32-제2힌지부 33-연결핀
40-고정부재 41-메인 가이드부
41a-걸림턱 42-보조 가이드부
43-메인 체결구멍 44-보조 삽입돌기부
50-링크부재 51-힌지부
52-가이드 슬롯 53-평판부
54-지지면부 54a-경사면부
60-체결부재 61a-지지돌기
61-가압돌기 62-메인 삽입돌기부
63-보조 체결구멍 64-리턴 스프링
70-커버부재 71-체결돌기
80-스프링
1-Seat Back 3-Seat Cushion
5-Cushion Frame 7-Fixed Cushion Part
9-Movable cushion part 10-Seating member
20-moving member 20a- receiving block
20b-axial projection 21-main coupling portion
22-auxiliary coupling portion 23-guide projection
24-hinge 25-hinge pin
26 - Torsion spring 27 - Guide rail
27a-fastening groove 28-fastening groove
30-Operation member 31-First hinge part
32-second hinge portion 33-connecting pin
40-fixing member 41-main guide portion
41a-jaw 42-auxiliary guide portion
43-Main fastening hole 44-Second insertion insertion projection
50-link member 51-hinge portion
52-guide slot 53-
54-Support surface portion 54a-
60-fastening member 61a-supporting projection
61-pressing projection 62-main insertion projection
63- Auxiliary fastening hole 64-Return spring
70-cover member 71-fastening projection
80-spring

Claims (10)

자동차 시트의 쿠션 프레임에 설치되고 고정식 쿠션부에 대해 이동식 쿠션부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쿠션부 확장장치로서,
상기 쿠션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가이드부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이동식 쿠션부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부재;
상기 조작부재와 연동하여 변위되는 경사면부를 갖추고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의 결합과 해제를 조절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의 경사면부와의 접촉을 통해 연동 가능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체결부위에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전후방향으로 다수의 메인 체결구멍과 보조 삽입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메인 체결구멍과 결합 가능한 메인 삽입돌기부와 상기 보조 삽입돌기부와 결합 가능한 보조 체결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체결부재의 상하방향 이동을 위한 중공의 수용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블록은 내주면에 상기 체결부재의 전 둘레부위와의 유격 유지를 위해 상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축방향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A cushion extender installed in a cushion frame of an automobile seat and movably supporting a movable cushion part with respect to a fixed cushion part,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cushion frame;
A moving member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via a guide portion to movably support the movable cushion portion forward;
An operating member pivotal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moving member;
A link member having an inclined surface portion which is displaced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ng member and regulates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movable member with respect to the fixed member; And
And a fastening member interlocked with the inclined face portion of the link member through contact therewith, the fastening member being insertable into a fastening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Wherein the fixing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main fastening holes and an auxiliary insertion protruding por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the fastening member has a main insertion projection portion engageable with the main fastening hole and an auxiliary fastening hole engageable with the auxiliary insertion projection portion,
Wherein the moving member includes a hollow receiving block for vertically moving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receiving block includes a plurality of axial projections, which are vertically protru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in order to maintain a clearance with the front- Wherein the cushion part extension device compri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체결구멍과 상기 메인 삽입돌기부는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에 대해 각각 복열식 다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fastening hole and the main insertion projecting portion are formed in a reheat multi-layer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fastening member, respectivel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삽입돌기부는 상기 메인 체결구멍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 체결구멍은 상기 메인 삽입돌기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uxiliary insertion projections are disposed between the main fastening holes and the auxiliary fastening holes are disposed between the main insertion projectio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메인 가이드부,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스프링을 수용하는 보조 가이드부, 상기 이동부재의 저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하향 돌출되어 상기 메인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메인 결합부, 및 상기 이동부재의 저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하향 돌출되어 상기 보조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으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는 보조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main guide portion rec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an auxiliary guide portion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and receiving a spring therein, And an auxiliary coupl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member and coupled to the auxiliary guide portion and being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from the spring, And the cushion part extension device of the automobile se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메인 결합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갖춘 오목한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걸림홈과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cave guide rail having an engaging groov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engaging portion so as to restrict a movement displacement of the moving member relative to the fixing member, and a guide rail formed o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groove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Further comprising: a cushion extension part for extending the cushion part of the car se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조작부재와의 힌지 결합을 위해 돌출되는 한 쌍의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힌지부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1힌지부, 및 상기 링크부재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2힌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vable member has a pair of hinge portions protruding for hinge engagement with the operating member, the operating member includes a first hinge portion for hinge engagement with the hinge portion, and a second hinge portion for hinge engagement with the link member And a second hinge portion for supporting the cushion of the vehicle sea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제2힌지부와의 힌지결합을 위한 힌지부, 상기 힌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가이드 돌기를 수용하여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을 형성하는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로부터 상기 경사면부를 사이에 두고 단차지게 연장되는 지지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link member includes a hinge portion for hinge engagement with the second hinge portion, a flat plate portion extending from the hinge portion and forming a guide slot for receiving the guide projection of the moving member and guiding movement, And a support surface portion extending stepwise with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내부에 상기 링크부재와의 접촉을 위해 하향 돌출되는 가압돌기, 및 상부에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고정부재를 향해 상기 체결부재를 가압하는 리턴 스프링을 장착하며,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커버부재에 의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further includes a pressing projection projecting downwardly for contact with the link member, and a support projection projecting outwardly from the upper portion, wherein the support projection is configured to return to the fixing member by pressing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return spring is restrained by a cover member coupled to the shifting memb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양단부에 체결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체결돌기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ver member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at both ends thereof, and the moving member has a fastening groove for engagement with the fastening protrusion.


삭제delete
KR1020170143340A 2017-10-31 2017-10-31 Extensible apparatus for seat cushion in vehicle KR1019562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340A KR101956264B1 (en) 2017-10-31 2017-10-31 Extensible apparatus for seat cushion i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340A KR101956264B1 (en) 2017-10-31 2017-10-31 Extensible apparatus for seat cushion in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264B1 true KR101956264B1 (en) 2019-03-11

Family

ID=65758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340A KR101956264B1 (en) 2017-10-31 2017-10-31 Extensible apparatus for seat cushion in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26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2688A (en) * 2022-06-20 2022-09-13 浙江俱进汽摩配件有限公司 Automobile seat leg support
DE102021119910A1 (en) 2021-07-30 2023-02-02 Grammer Aktiengesellschaft Vehicle seat with seat depth adjust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4033A (en) * 2007-01-30 2008-08-14 Imasen Electric Ind Co Ltd Slide rail apparatus
KR20150114053A (en) 2014-03-31 2015-10-12 주식회사다스 Extensible apparatus for seat cushion in vehicle
KR101662461B1 (en) * 2015-09-25 2016-10-04 주식회사다스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4033A (en) * 2007-01-30 2008-08-14 Imasen Electric Ind Co Ltd Slide rail apparatus
KR20150114053A (en) 2014-03-31 2015-10-12 주식회사다스 Extensible apparatus for seat cushion in vehicle
KR101662461B1 (en) * 2015-09-25 2016-10-04 주식회사다스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19910A1 (en) 2021-07-30 2023-02-02 Grammer Aktiengesellschaft Vehicle seat with seat depth adjustment
US11827127B2 (en) 2021-07-30 2023-11-28 Grammer Aktiengesellschaft Vehicle seat with seat depth adjustment
CN115042688A (en) * 2022-06-20 2022-09-13 浙江俱进汽摩配件有限公司 Automobile seat leg suppo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7161B1 (en) Vehicle seat assembly and floor rail for lateral seat shuttling
KR101991252B1 (en) Extensible apparatus for seat cushion in vehicle
US8226165B2 (en) Vehicle seat
US7828358B2 (en) Storable seat for vehicle
EP2415629B1 (en) Seat slide apparatus for vehicle
US7159922B2 (en) Seat structure for vehicle
JPH0585240A (en) Seat controller
KR20000077288A (en) Seat structure for a vehicle
KR101671644B1 (en) Locking device for seat rail
KR101956264B1 (en) Extensible apparatus for seat cushion in vehicle
JP5087962B2 (en) Vehicle seat
JP2002200934A (en) Locking system for automotive seat rail
KR102071504B1 (en) Locking device for seat rail
KR101815449B1 (en) Extensible apparatus for seat cushion in vehicle
KR20190057903A (en) Locking structure for manual cushion extension apparatus
US5083735A (en) Vehicle seat
KR102071488B1 (en) Locking device for seat rail
JP2001039267A (en) Shock absorbing member and shoulder anchor height adjuster
KR20190057904A (en) Hinge structure for manual cushion extension apparatus
JP2017052308A (en) Slide rail
JP5965705B2 (en) Air suspension type seat support device for vehicles
JP3430860B2 (en) Tray mounting device
JP4253554B2 (en) Vehicle seat slide device
JPH037215Y2 (en)
US20240010110A1 (en) Vehicle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