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488B1 - Locking device for seat rail - Google Patents

Locking device for seat ra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488B1
KR102071488B1 KR1020180075674A KR20180075674A KR102071488B1 KR 102071488 B1 KR102071488 B1 KR 102071488B1 KR 1020180075674 A KR1020180075674 A KR 1020180075674A KR 20180075674 A KR20180075674 A KR 20180075674A KR 102071488 B1 KR102071488 B1 KR 102071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ocking
release lever
bracket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6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2311A (en
Inventor
최영일
서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180075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488B1/en
Publication of KR20200002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3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4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25Location of the latch out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with pin alignment systems, e.g.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ocking pins always aligned w.r.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in-receiv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리스 레버의 회전과 연동하여 록킹 핀에 대한 잠금상태의 해제를 방지하도록 동작하는 블록킹 브라켓트를 추가함으로써 레일로크 조립체의 작동 감성의 저하를 방지함과 더불어 다양한 방향에서 제공되는 충격에도 레일로크 조립체의 정상적인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는 상부레일(10)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트(110),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록킹 핀(140)의 구속을 해제하는 릴리스 레버(120),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에 대해 릴리스 레버(120)를 잠금방향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인장스프링(130),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회전과 연동하여 록킹 핀(140)을 구속 또는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블록킹 브라켓트(170), 및 상기 릴리스 레버(120)에 대해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를 잠금방향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180)을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deterioration of the operation sensitivity of the rail lock assembly by adding a blocking bracket which operates to prevent release of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i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Disclosed is a locking device for a seat rail capable of maintaining a normal locked state of an assembly.
The locking device of the seat rail described above is a mounting bracket 110 which is fixed to the upper rail 10, a release lever 120 that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racket 110 to release the locking pin 140. The tension spring 130 elastically supports the release lever 120 in the lock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racket 110, and locks the locking pin 140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120. A blocking bracket 170 for releasing and a torsion spring 18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locking bracket 170 in a lock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lease lever 120 are provided.

Description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Locking device for seat rail}Locking device for seat rails

본 발명은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릴리스 레버의 회전과 연동하여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블록킹 브라켓트를 매개로 록킹 핀의 잠금상태에 대한 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시트 레일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for a seat rail, and more particularly, to locking of a seat rail that can prevent the release of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in through a blocking bracket moving in a linear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Relates to a devic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차실내에서 탑승자의 상체부위에 대한 하중을 지지하는 시트 백과, 엉덩이와 허벅지 등의 하체부위에 대한 하중을 지지하는 시트 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시트 백과 시트 쿠션의 배치는 탑승 자세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한다.In general, the seat of the vehicle includes a seat back for supporting the load on the upper body of the occupant in the cabin, and a seat cushion for supporting the load on the lower body such as the hips and thighs. In this case, the arrangement of the seat back and the seat cushion should be implemented to keep the riding posture in an optimal state.

또한,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자의 체형 및 실내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구간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시트 레일이다. 또한, 시트 레일은 통상 자동차의 실내 바닥면에 해당하는 플로워 패널에 대해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레일과, 하부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면서 시트쿠션의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레일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seat of the vehicle is installed to be slidably mov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passenger's body shape and the interior space, the seat rail to perform this role. In addition, the seat rail is a lower rail that is fixedly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the floor panel corresponding to the interior floor of the vehicle, and the upper rail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while being coupled to slide along the lower rail It is composed.

이 경우, 상부레일은 하부레일을 따라 일정구간 이동한 후 그 위치에서 고정위치를 규제받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시트레일은 하부레일에 대한 상부레일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록킹장치로서 레일로크 조립체를 구비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upper rail is configured to be regulated at a fixed position at that position after moving a certain section along the lower rail. To this end, the seat rail is provided with a rail lock assembly as a locking device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rail relative to the lower rail.

종래, 등록특허 제10-1671644호에 개시된 레일로크 조립체(100)는 상부 레일(10)에 고정되고 하부 레일(20)의 체결구멍과 교통 가능한 체결구멍을 갖춘 마운팅 브라켓트(110), 마운팅 브라켓트(110)에 대해 힌지 결합되는 릴리스 레버(140), 마운팅 브라켓트(110)에 대해 릴리스 레버(140)를 잠금위치로 탄발 지지하는 리턴스프링(130), 릴리스 레버(140)의 선회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하고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체결구멍을 거쳐 하부 레일(20)의 체결구멍에 삽입 가능한 록킹 핀(150), 및 록킹 핀(150)을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체결구멍(112)을 지나 하부 레일(20)의 체결구멍(22)에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160)을 구비하고, 마운팅 브라켓트(110)는 릴리스 레버(140)의 요크부(148)에 대한 위치 규제를 위해 상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걸림돌기(120)를 형성하며, 릴리스 레버(140)는 록킹 핀(150)의 승강과 회전위치를 각각 구속하여 규제하기 위한 릴리스 및 회전구속용 수용홈(146)을 갖춘 요크부(148)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Conventionally, the rail lock assembly 100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671644 has a mounting bracket 110 and a mounting bracket fixed to the upper rail 10 and having a fastening hole communicating with a fastening hole of the lower rail 20. The release lever 140 hinged to the 110, the return spring 130 to support the release lever 140 in a locked position relative to the mounting bracket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swing of the release lever 140 Locking pin 150 which can be elevated and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lower rail 20 via the fastening hole of the mounting bracket 110, and the locking pin 150 through the fastening hole 112 of the mounting bracket 110. It has a return spring 160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2 of the rail 20, and the mounting bracket 110 is used for positioning of the yoke portion 148 of the release lever 140. To form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120 protruding in the direction , Release lever 140 is comprised of a structure having a locking pin 150 is elevated and released to the respective restraint control the rotational position and accommodated for rotation restraining groove 146, the yoke portion 148 with the.

이와 같은 종래 레일로크 조립체는 하부레일(20)에 대한 상부레일(10)의 위치 구속이 전적으로 하부레일(20)의 체결구멍으로 삽입되는 록킹 핀(150)에 의한 체결작용에 의존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 레일에 부가되는 하중을 록킹 핀(150)이 가진 강성만으로 흡수할 수밖에 없었다.Since the conventional rail lock assembl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on restraint of the upper rail 10 with respect to the lower rail 20 depends entirely on the fastening action of the locking pin 150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lower rail 20. In the event of a crash of the vehicle, the load added to the rails was forced to absorb only the rigidity of the locking pin 150.

이에 따라 종래에는 충돌시 록킹 핀(1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레일(20)의 체결구멍으로 삽입이 이루어지는 록킹 핀(150)의 하단측 테이퍼진 부위에 대한 압력각을 작게 설정하였다. 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the locking pin 150 from being separated during the collision, the pressure angle with respect to the tapered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pin 15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lower rail 20.

즉, 종래 레일로크 조립체에서 록킹 핀(150)의 압력각은 크게 설정할수록 하부레일(20)의 체결구멍으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반면에 충돌시 이탈 방지를 위한 록킹 핀(150)의 강성은 저하되는 구조이므로, 록킹 핀(150)의 압력각을 작게 설정하면 충돌을 대비한 적정 강성의 확보는 가능하지만, 하부레일(20)의 체결구멍으로 삽입될 때 빈번한 충돌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충돌은 레일로크 조립체의 작동 감성을 크게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록킹후 하부레일(20)의 체결구멍과의 끼임발생으로 인해 이탈을 어렵게 하는 부가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rail lock assembly, the larger the pressure angle of the locking pin 150 is set, the easier it is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lower rail 20, while the rigidity of the locking pin 150 for preventing separation in the event of a collision is achieved. Since the structure is deteriorated, if the pressure angle of the locking pin 150 is set small, it is possible to secure proper rigidity in preparation for a collision, but frequent collision occurs when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lower rail 20. This not only significantly lowers the operation sensitivity of the rail lock assembly, but also causes additional problems that make it difficult to detach due to a jamming of the lower rail 20 with the fastening hole.

또한, 최근 들어 차량의 자율주행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차실내에서 탑승자의 착좌 방향이 보다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는 시트의 개발이 수반되는 데, 이러한 경우에는 충돌사고의 발생시 시트레일의 록킹부위에 대해 다양한 방향으로 충격력이 전달된다. In addition, as the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of vehicles has recently been developed, the development of seats in which the occupant's seating direction can be more freely adjusted in a vehicle cabin is involved. Impact force is transmitted.

이에 따라 록킹 핀(150)의 압력각을 작게 설정함에 따라 기인하는 작동 감성의 저하없이도 레일로크 조립체(100)에서 록킹 핀(150)의 이탈을 완벽하게 방지함으로써 자율주행 차량에도 함께 적용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시트레일 록킹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Accordingly, a new form that can be applied to an autonomous vehicle by completely preventing the locking pin 150 from being released from the rail lock assembly 100 without deteriorating the operating sensitivity caused by setting the pressure angle of the locking pin 150 small.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the seat rail locking device is required.

등록특허 제10-1671644호Patent Registration No. 10-167164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릴리스 레버의 회전과 연동하여 록킹 핀에 대한 잠금상태의 해제를 방지하도록 동작하는 블록킹 브라켓트를 추가함으로써 레일로크 조립체의 작동 감성의 저하를 방지함과 더불어 다양한 방향에서 제공되는 충격에도 레일로크 조립체의 정상적인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시트 레일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operation sensitivity of the rail lock assembly by adding a blocking bracket that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to prevent the release of the locking state to the locking pin in various directions It is to provide a locking device of the seat rail that can maintain the normal locking state of the rail lock assembly even with the impact provided.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의 쿠션부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레일, 상기 상부레일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차실내의 플로워 패널에 고정되는 하부레일, 및 상기 상부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레일에 대한 상기 상부레일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레일로크 조립체를 포함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로크 조립체는 상부레일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트,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록킹 핀의 구속을 해제하는 릴리스 레버,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에 대해 릴리스 레버를 잠금방향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인장스프링, 상기 릴리스 레버의 회전과 연동하여 록킹 핀을 구속 또는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블록킹 브라켓트, 및 상기 릴리스 레버에 대해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를 잠금방향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rail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of the seat, the upper rail to support the movable, the lower rail fixed to the floor panel in the vehicle, and installed in the upper rail A locking device for a seat rail comprising a rail lock assembly to fix a position of the upper rail relative to the lower rail, wherein the rail lock assembly is a mounting bracket fixed to the upper rail, and rotatably mounted to the mounting bracket. A release lever installed to release the restraining of the locking pin, a tension spring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lease lever in a lock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racket, and a blocking bracket to restrain or release the locking pi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And lock the blocking bracket relative to the release lever.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torsion spring that elastically supports in posi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의 힌지조립부와 상기 릴리스 레버의 힌지부에 대해 힌지핀을 매개로 힌지지점을 공유하는 힌지부를 구비하되,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핀에 대해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bracket is provided with a hinge portion sharing a hinge support point via a hinge pin with respect to the hinge assembly of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hinge portion of the release lever, the hinge portion to the hinge pin It is preferable to be comprised so that a movement with respect to a linear direction is possib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릴리스 레버는 해제방향 회전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에 작용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가압부와 접촉 가능한 연동 작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lever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for providing an acting force to the blocking bracket in the rotation of the release direction, the blocking bracke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interlocking action portion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or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릴리스 레버의 잠금방향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록킹 핀의 해제방향 변위를 구속하는 잠금 작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bracket preferably includes a locking action for restraining the displacement of the locking pin in the release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locking direction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잠금 작용부는 상기 록킹 핀의 스토퍼의 상단부를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locking ac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to constrain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of the locking pi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토션스프링과의 접촉을 위한 수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압부는 양측에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bracket is provided with a pressure receiving portion for contact with the torsion spring, and the pressure receiving portion preferably has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on both sid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상부레일과 접촉하는 부위에 댐퍼를 설치하고,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댐퍼의 장착을 위한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댐퍼는 관통구멍으로의 삽입을 위한 돌출몸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bracket is provided with a damper in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upper rail, the blocking bracket has a through hole for mounting the damper, the dampe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It is preferable to have a protruding body fo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인장스프링은 양단부가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의 조립구멍, 및 상기 릴리스 레버의 조립구멍에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on spring is preferably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fixed to the assembling hole of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assembling hole of the release lever, respectivel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토션스프링은 일단부가 상기 릴리스 레버의 수용구멍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의 수압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rsion spring is preferably installed so that one end is fixed to the receiving hole of the release lever,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hydraulic part of the blocking bracke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는 릴리스 레버의 잠금방향 위치로의 회전과 연동하여 직선방향으로 이동하여 록킹 핀의 잠금상태를 구속하도록 동작되는 블록킹 브라켓트를 추가함으로써 록킹 핀의 압력각을 작게 설정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레일로크 조립체의 작동 감성을 압력각의 설정과 무관하게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locking device of the seat rai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ssure angle of the locking pin by adding a blocking bracket which is operated to restrain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in by moving in a linear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to the locking direction pos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locking state without setting the small,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operating sensitivity of the rail lock assembly at a constant level irrespective of the setting of the pressure angle.

부연하자면, 본 발명은 릴리스 레버의 회전과 연동하여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즉 릴리스 레버의 잠금방향 위치에서 록킹 핀을 구속하고 릴리스 레버의 해제방향 위치에서 록킹 핀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는 블록킹 브라켓트를 추가함으로써 록킹 핀의 잠금상태에 대한 해제를 더욱 견고하게 방지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충돌을 대비하여 록킹 핀의 압력각을 작게 설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로 인해 레일로크 조립체에 대한 작동 감성의 저하를 보다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ocking bracket which moves in a linear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that is, the locking pin can be restrained at the locking direction position of the release lever and release of the locking pin at the release direction position of the release lever. It is possible to more firmly prevent the locking pin from unlocking by adding a, and above all, it is not necessary to set the pressure angle of the locking pin small in case of a collision, thereby reducing the operational sensitivity to the rail lock assembly. You can be more proactive.

또한, 본 발명은 릴리스 레버의 회전과 연동하여 록킹 핀의 해제를 보다 적극으로 방지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방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에 대해서도 레일로크 조립체의 정상적인 잠금상태를 보장할 수 있으므로, 시트의 착좌 방향이 보다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는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된 차량의 시트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actively prevent the release of the locking pi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thereby ensuring the normal locking state of the rail lock assembly against the shock that may occur in various directions, It will also be actively used in the seat of the vehicle to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which can adjust the seating direction more free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에 대한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에서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을 각각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에 대한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레일로크 조립체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레일로크 조립체에 대한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릴리스 레버와 블록킹 브라켓트 사이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동작 상태로서, 상부레일의 개구부를 통해 릴리스 레버의 가압단부와 블록킹 브라켓트의 잠금 작용부가 상부레일의 내부로 진입하여 록킹 핀의 스토퍼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locking device for a seat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upper rail and the lower rail in the locking device for the seat rai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locking device for a seat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rail lock assembly separately separated from FIG. 2.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components of the rail lock assembly illustrated in FIG. 4.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release lever and the blocking bracket illustrated in FIG. 5 as a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end of the release lever and the locking actuation portion of the blocking bracket enter the inside of the upper rail through the opening of the upper rail and are position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stopper of the locking pin, respectively. One perspective view.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는 시트의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레일(10), 차실내의 플로워패널에 고정되는 하부레일(20), 및 상기 상부레일(10)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레일(20)에 대한 상부레일(10)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고정 가능하게 하도록 트랙 레버(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연동하여 작동되는 레일로크 조립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o 3, the locking device of the seat r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pper rail 1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the lower rail 20 is fixed to the floor panel in the vehicle compartment, and The rail lock is installed on the upper rail 10 so as to move the position of the upper rail 10 with respect to the lower rail 20 to a desired position so as to be fix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ssembly (100).

상기 상부레일(10)은 시트의 쿠션부 하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부재의 전장에 걸쳐 적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구멍(12)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레일(20)은 차실내의 플로워 패널에 고정되는 것으로, 부재의 전장에 걸쳐 적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구멍(22)을 구비한다. The upper rail 10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ushion portion of the seat,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appropriate intervals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member. The lower rail 20 is fixed to the floor panel in the vehicle compartmen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2 formed to be spaced apart at appropriate intervals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member.

이 경우, 상기 상부레일(10)은 상기 하부레일(20)과의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을 통해 상기 하부레일(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상부레일(10)과 상기 하부레일(20) 사이의 결합은 양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부재(30)를 이용하는 구조로서, 상기 하부레일(20)에 대해 상기 상부레일(10)이 베어링부재(30)를 매개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이루어진다. In this case, the upper rail 10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to move in the front / rear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rail 20 through the sliding coupling with the lower rail 20. That is, the coupling between the upper rail 10 and the lower rail 20 is a structure using a bearing member 30 is installed between both ends, the upper rail 10 with respect to the lower rail 20 It is made of a stat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ia the bearing member (30).

상기 레일로크 조립체(100)는 상기 상부레일(10)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레일(20)에 대한 상기 상부레일(10)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The rail lock assembly 100 is installed on the upper rail 10 and is configured to serve to fix the position of the upper rail 10 with respect to the lower rail 20 at a desired position.

도 3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면, 상기 레일로크 조립체(100)는 상기 상부레일(10)의 측부에 대해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트(110),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에 대해 힌지결합되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릴리스 레버(120),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에 대해 상기 릴리스 레버(120)를 잠금방향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인장스프링(130),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하여 상기 하부레일(20)의 체결구멍(2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부레일(20)에 대한 상기 상부레일(10)의 위치를 해제 또는 구속하는 록킹 핀(140),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내부 일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록킹 핀(140)의 승강이동을 안내하는 로크 가이드(150), 상기 상부레일(10)에 대해 상기 록킹 핀(140)을 잠금위치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록킹 핀(140)의 외주면에 상기 상부레일(10)의 내측면과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스프링(160),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해제방향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록킹 핀(140)의 구속을 해제하는 블록킹 브라켓트(170), 및 상기 릴리스 레버(120)에 대해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를 잠금방향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3 to 6, the rail lock assembly 100 is hinged to the mounting bracket 110 and the mounting bracket 110 fixed to the side of the upper rail 10 so as to be pivotable. The release lever 120 to be installed, the tension spring 13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lease lever 120 in the lock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racket 110, the elev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120 Of the locking pin 140 and the mounting bracket 110 to release or restrain the position of the upper rail 10 with respect to the lower rail 20 by being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2 of the lower rail 20. The locking guide 150 coupl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inner side surface to guide the lifting movement of the locking pin 140, the locking pin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cking pin 140 in the lock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rail (1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n 140 Compression spring 160 i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rail 10 and the stopper 142 of the locking pin 140, the locking pin 140 in conjunction with the release direction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120 It comprises a blocking bracket 170 for releasing the restraint, and a torsion spring 18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locking bracket 170 in a lock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lease lever 120.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는 상기 상부레일(10)의 상측부에 대해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힌지결합을 통해 상기 릴리스 레버(12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는 상기 상부레일(10)과의 결합을 위한 메인 몸체부(112), 상기 메인 몸체부(112)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서브 몸체부(114), 및 상기 릴리스 레버(120)와의 힌지결합을 위해 상기 서브 몸체부(114)의 좌우 양측의 이격된 부위에서 상호 대향되도록 절곡되는 힌지조립부(116)를 구비한다. The mounting bracket 110 is coupled to be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rail 10, and serves to rotatably install the release lever 120 through a hinge coupling. To this end, the mounting bracket 110 has a main body 112 for coupling with the upper rail 10, a sub body 114 extending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112, and The hinge assembly 116 is bent to face each other at spaced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b-body portion 114 for hinge coupling with the release lever 120.

이 경우, 상기 힌지조립부(116)는 힌지핀(118)의 설치를 위한 조립홀(116a)을 형성하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홀(116a)은 상기 힌지핀(118)의 설치를 돕기 위해 일측에 개구되는 개구형 슬롯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조립홀(116a)은 이에 한정되는 형상이 아니라 상기 힌지핀(118)의 지지가 가능한 것이라면 어떤 형태라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립홀(116a)은 상기 힌지핀(118)의 장착후 외력을 가해 입구부위를 좁게 함으로써 힌지핀(118)의 이탈을 억제함은 물론이다.In this case, the hinge assembly 116 forms an assembly hole 116a for installation of the hinge pin 118,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hole 116a is formed of the hinge pin 118. It is made in the form of an open slot which is opened on one side to help the installation. However, the assembling hole 116a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the hinge pin 118 may be supported,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assembly hole 116a suppresses the detachment of the hinge pin 118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after mounting the hinge pin 118 to narrow the inlet part.

또한,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메인 몸체부(112)는 상기 록킹 핀(140)의 상하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다수의 관통구멍(112a)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멍(112a)의 양측에는 상기 상부레일(10)과의 리벳팅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한 결합을 위해 체결구멍(112b)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서브 몸체부(114)는 중앙부위에 상기 인장스프링(130)의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조립구멍(114a)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portion 112 of the mounting bracket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2a for allow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ocking pin 140, an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s 112a. A fastening hole 112b is provided for coupling by fastening means such as riveting with the upper rail 10. In addition, the sub-body portion 114 of the mounting bracket 110 is provided with an assembly hole 114a for fixing one end of the tension spring 130 at the central portion.

상기 릴리스 레버(120)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힌지조립부(116)에 대해 힌지핀(118)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트랙 레버의 조작시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으로, 일단부에 위치한 조작단부(122)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일측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조작단부(122)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가압단부(124)는 상기 록킹 핀(140)의 승강을 위해 포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레일(10)의 개구부(14)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의 하단부와 접촉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도 7 참조)The release lever 1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assembly 116 of the mounting bracket 110 via a hinge pin 118 to be raised or lower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track lever. The operation end 122 positioned at is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from one side of the mounting bracket 110, the pressing end 124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ration end 122 is to raise and lower the locking pin 140 In order to be formed in a fork shape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opening 14 of the upper rail 10 is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stopper 142 of the locking pin 140 (see Fig. 7).

또한, 상기 릴리스 레버(120)는 부재의 중앙측 양단부에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힌지조립부(116)와의 힌지결합을 위해 절곡된 형태의 힌지부(126)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126)에는 상기 힌지핀(118)의 삽입을 위한 관통구멍(126a)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release lever 120 has a hinge portion 126 having a bent shape for hinge engagement with the hinge assembly 116 of the mounting bracket 110 at both ends of the central side of the member, the hinge portion ( The through hole 126a for inserting the hinge pin 118 is formed in 126.

또한, 상기 릴리스 레버(120)는 중앙부위에 상기 인장스프링(130)의 타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부재를 관통하는 형태의 조립구멍(120a)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릴리스 레버(120)는 상기 조립구멍(120a)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토션스프링(180)의 일단부를 고정시켜 지지하기 위해 부재를 관통하는 형태의 수용구멍(120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elease lever 120 has an assembly hole 120a that passes through the member to fix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spring 130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In addition, the release lever 12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eceiving hole (120b) through the member to secure the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180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assembly hole (120a). .

또한, 상기 릴리스 레버(120)는 회전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에 대해 이동을 위한 작용력을 제공하기 위한 가압부(128)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부(128)는 상기 힌지부(126)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가압부(128)는 이에 한정되는 형상이 아니라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이동에 필요로 하는 작용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할 것이다.In addition, the release lever 120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128 for providing an action force for movement against the blocking bracket 170 when rotating.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ortion 128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hinge portion 126. However, the pressing unit 128 may be any shape as long as the pressing unit 128 may provide an action force required for the movement of the blocking bracket 170.

상기 인장스프링(130)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에 대해 상기 릴리스 레버(120)를 잠금방향 위치로 탄력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서브 몸체부(114)에 형성되는 조립구멍(114a)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중앙부위에 형성되는 조립구멍(120a)에 고정된다. 즉, 상기 인장스프링(130)은 상기 록킹 핀(140)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때 팽창 변형된 다음,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조작단부(122)에 가해진 작동력의 해제시 상기 릴리스 레버(120)를 원래의 복원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상기 조작단부(122)에 대해 선회방향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릴리스 레버(120)를 원래의 복원위치로 선회될 수 있게 해 준다. The tension spring 130 is install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release lever 120 in the lock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racket 110, one end of which is attached to the sub-body portion 114 of the mounting bracket 110. The assembling hole 114a to be formed is fixed,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assembling hole 120a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lease lever 120. That is, the tension spring 130 is expanded and deformed when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in 140, and then releases the release lever 120 when the operating force applied to the operation end 122 of the release lever 120 is released. ) By turning the release lever 120 to the original restoring position by providing a pivotal elastic force with respect to the operating end 122 in a direction capable of rotating the back to the original restoring position.

상기 록킹 핀(140)은 상기 압축스프링(160)으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레일(20)의 체결구멍(22)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압받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핀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록킹 핀(140)은 상기 압축스프링(160)의 설치에 따른 복원력을 제공받기 위해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의 스토퍼(142)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스토퍼(142)의 하단부는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가압단부(124)와의 접촉을 통해 제공되는 작용력을 매개로 상기 록킹 핀(140)을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The locking pin 14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pin members which are installed to be pressed in the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2 of the lower rail 20 by the elastic force provided from the compression spring 160. In addition, the locking pin 140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stopper 142 protruding to the outside in order to receive a restoring forc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the compression spring 160. In this case, the lower end of the stopper 142 pushes up the locking pin 140 upward through an action force provided through contact with the pressing end 124 of the release lever 120.

이에 따라, 상기 록킹 핀(140)은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회전에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레일(10)과 상기 하부레일(20) 사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복원 회전시 상기 압축스프링(160)에 의한 복원력을 매개로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부레일(20)의 체결구멍(22)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부레일(10)과 상기 하부레일(20) 사이의 위치를 잠금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록킹 핀(140)은 상기 하부레일(20)에 대한 상기 상부레일(10)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Accordingly, the locking pin 140 is moved upwar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120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between the upper rail 10 and the lower rail 20, the release lever During the restoration rotation of the 120, the upper rail 10 and the lower rail (by being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2 of the lower rail 20 by moving downward through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160). 20) to keep the position between the locked state. That is, the locking pin 140 serves to fix the position of the upper rail 10 with respect to the lower rail 20 at a desired position.

상기 로크 가이드(150)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판 형상의 절곡된 부재로서, 상기 록킹 핀(140)의 승강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삽입구멍(152)을 갖추도록 구성된다. The lock guide 150 is a plate-shaped bent member coup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mounting bracket 110,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152 for guid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locking pin 140. It is configured to have.

상기 압축스프링(160)은 상기 록킹 핀(140)의 외주에 끼워지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일단부가 상기 상부레일(10)의 관통구멍(12)을 지나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관통구멍(112a)의 내측면 가장자리 부위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하측의 일단부가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코일 스프링(160)은 상기 록킹 핀(140)에 대해 잠금위치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compression spring 160 is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cking pin 140, and as shown in FIG. 3, one end of the upper portion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2 of the upper rail 10 and the mounting bracket 110. It is installed so as to be seated in the edg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2a of the bottom), and the lower e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142 of the locking pin 140. Accordingly, the coil spring 160 serve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pin 140 in the locked position.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는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잠금방향 위치에서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의 상단부 위치를 규제함으로써 상기 록킹 핀(14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해제방향 위치에서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의 상단부에 대한 위치를 규제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록킹 핀(140)의 잠금상태를 해제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는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잠금방향과 해제방향으로의 회전과 각각 연동하여 상기 록킹 핀(140)에 대한 구속 또는 구속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blocking bracket 170 maintains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in 140 by regulat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142 of the locking pin 140 in the locking direction position of the release lever 120, and the release It is configured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in 140 by not restricting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in 140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142 in the release direction position. That is, the blocking bracket 170 is configured to release the restraint or restraint state with respect to the locking pin 140 in association with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120 in the locking direction and the release direction, respectively.

이를 위해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는 상기 토션스프링(180)과의 접촉을 통해 탄성력을 제공받는 메인 몸체부(171), 상기 메인 몸체부(171)의 양측에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힌지조립부(116)와의 힌지결합을 위해 절곡되는 힌지부(172)를 갖춘 서브 몸체부(173), 상기 서브 몸체부(173)의 일측에서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가압단부(124)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록킹 핀(140)의 잠금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연동 작용부(174), 및 상기 메인 몸체부(171)의 일측에서 상기 록킹 핀(140)을 향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에 대한 잠금상태를 구속하기 위해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잠금방향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록킹 핀(140)의 해제방향 변위를 구속함으로써 잠금작용을 수행하는 잠금 작용부(175)를 구비한다. To this end, the blocking bracket 170 has a main body portion 171 which is provided with elastic force through contact with the torsion spring 180, and hinge assembly of the mounting bracket 110 at both sides of the main body portion 171. Sub body portion 173 having a hinge portion 172 that is bent for hinge coupling with the portion 116, the interlocking with the pressing end 124 of the release lever 120 on one side of the sub body portion 173 Interlocking action portion 174 for maintaining or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in 140 through, and protrudes outward toward the locking pin 140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71 the locking pin 140 Locking actuation portion 175 which performs a locking action by constraining the release direction displacement of the locking pin 140 in conjunction with the locking direction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120 in order to restrain the locking state of the stopper 142. ).

또한, 상기 메인 몸체부(171)는 일측에 상기 토션스프링(180)과의 접촉을 통해 탄성력을 제공받는 수압부(176)를 구비하는 바, 상기 수압부(176)는 상기 토션스프링(180)의 일단부에 대한 외부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 양측부위에 외측을 향해 돌출된 구조의 이탈방지용 돌기부(176a)를 형성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71 has a pressure receiving portion 176 that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through contact with the torsion spring 180 on one side, the pressure receiving portion 176 is the torsion spring 180 In order to suppress the external detachment to one end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s 176a of the structure protruding outwards on both sides are formed.

상기 힌지부(172)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110)의 힌지조립부(116)에 대해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힌지부(126)와 함께 힌지결합되면서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힌지부(126)에 대해 직선방향으로 여유공간을 두고 힌지결합되도록 슬롯 형태의 장공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부(172)는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회전시 상기 힌지핀(118)을 중심으로 장공의 길이만큼 자유롭게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됨으로써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에 대해 잠금상태의 유지 또는 잠금상태의 해제 작용을 위한 이동 스트로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e hinge portion 172 is hinged with the hinge portion 126 of the release lever 120 to the hinge assembly portion 116 of the mounting bracket 110, the hinge portion 126 of the release lever 120 It is composed of slot-type holes to hinge the space with a free space in a linear direction. Accordingly, the hinge part 172 is freely movable in the linear direction by the length of the long hole about the hinge pin 118 when the release lever 120 rotates, so that the stopper 142 of the locking pin 14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ving stroke for maintaining the locked state or releasing the locked state.

상기 연동 작용부(174)는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해제방향 회전에 따른 연동을 통해 상기 록킹 핀(14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동 작용부(174)는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가압부(128)와의 접촉을 통해 작용력을 전달받도록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interlocking action part 174 is configured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in 140 through interlock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120 in the release dire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locking action part ( 174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to receive the action force through the contact with the pressing portion 128 of the release lever 120.

상기 잠금 작용부(175)는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잠금방향 회전에 따른 연동을 통해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의 상단부에 대해 잠금상태의 구속력을 제공하기 위해 외부를 향해 분지되는 포크 형태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레일(10)의 개구부(14)를 통해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잠금 작용부(175)는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해제방향 회전시 상기 상부레일(10)의 내부를 향해 진입한 다음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의 상단부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에 대해 잠금작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도 7 참조)The locking action portion 175 is branched outwardly to provide a restraining force for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142 of the locking pin 140 through the interlocking movement of the release lever 120 in the locking direction. To protrude in the form of a fork, it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opening 14 of the upper rail (10). That is, the locking action part 175 enters the inside of the upper rail 10 when the release lever 120 rotates in the release direction, and then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142 of the locking pin 14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ocking action to the stopper 142 of the locking pin 140 (see FIG. 7).

상기 수압부(176)는 상기 토션스프링(180)의 일단부와 접촉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잠금 작용부(175)에 의한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에 대한 구속력이 지속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이탈방지용 돌기부(176a)는 상기 토션스프링(180)의 일단부에 대한 외부 이탈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상기 토션스프링(180)에 의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안정적인 탄성지지를 가능하게 해 준다.The hydraulic pressure portion 176 is a constraint force on the stopper 142 of the locking pin 140 by the locking action portion 175 by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maintaining the contact state with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180. It plays a role in making this sustainable. In this case, the detachment preventing protrusion 176a may suppress external detachment with respect to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180 to enable stable elastic support of the blocking bracket 170 by the torsion spring 180. Do it.

또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는 상기 상부레일(10)의 외측면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 흡수를 위해 완충성 소재로 이루어진 댐퍼(177)를 구비하는 바, 상기 댐퍼(177)는 상기 메인 몸체부(171)의 전면에 대해 착탈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토션스프링(180)에 의한 탄성력을 매개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잠금 작용부(175)가 상기 상부레일(10)의 내부로 진입할 때 발생하는 상기 메인 몸체부(171)와 상기 상부레일(10)의 외측면 사이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충격에 의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메인 몸체부(171)는 상기 댐퍼(177)의 장착을 위한 관통구멍(171a)을 구비하고, 상기 댐퍼(177)는 상기 관통구멍(171a)으로의 삽입을 위한 돌출몸체부(177a)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blocking bracket 170 is provided with a damper 177 made of a buffer material for absorbing shock genera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rail 10, the damper 177 is the main It is installed in a removable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front of the body portion 171 and the locking action portion 175 of the blocking bracket 170 to the inside of the upper rail 10 via the elastic force by the torsion spring (180). The impact caus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main body portion 17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rail 10 generated when the entry is buffered and at the same time minimizes the noise generated by the impact. To this end, the main body 171 of the blocking bracket 170 has a through hole 171a for mounting the damper 177, and the damper 177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71a. It has a protruding body portion (177a) for.

상기 토션스프링(180)은 상기 릴리스 레버(120)에 대해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를 잠금방향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힌지핀(118)의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단부가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수용구멍(120b)에 삽입되어 지지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수압부(176)에 접촉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176a)에 의해 외부로의 이탈이 억제되도록 설치된다.The torsion spring 180 elastically supports the blocking bracket 170 with respect to the release lever 120 in a lock direction. One end portion of the torsion spring 180 is fitt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pin 118. While being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receiving hole 120b of the c), the other end is contacted with the hydraulic pressure portion 176 of the blocking bracket 170 so that the departure to the outside is suppressed by the protrusion 176a. Is installed.

즉, 상기 토션스프링(180)은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해제방향 회전시 수축 변형되었다가 상기 릴리스 레버(120)의 잠금방향으로의 복원 회전시 팽창함으로써,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잠금 작용부(175)에 의한 상기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의 상단부가 잠금상태의 구속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해 준다.That is, the torsion spring 180 contracts and deforms when the release lever 120 rotates in the release direction and expands when the torsion spring 180 rotates in the lock direction of the release lever 120, thereby locking the blocking bracket 170.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142 of the locking pin 140 by the part 175 allows to receive the restraining force of the locked state.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는 릴리스 레버(120)의 회전과 연동하여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는 블록킹 브라켓트(170)를 매개로 록킹 핀(140)에 대한 잠금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locking device of the seat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more firmly locked to the locking pin 140 via the blocking bracket 170 that moves in a linear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120. Can be guaranteed.

특히, 충돌을 대비하여 록킹 핀(140)의 압력각을 작게 설정하지 않아도 되므로, 하부레일(20)의 체결구멍(22)에 대한 록킹 핀(14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레일로크 조립체(100)에 대한 작동 감성의 저하를 보다 적극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it is not necessary to set the pressure angle of the locking pin 140 in preparation for the collision,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the locking pin 140 to the fastening hole 22 of the lower rail 20, through It is possible to more actively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operational sensitivity to the raillock assembly 100.

즉, 본 발명은 릴리스 레버(120)의 잠금방향 위치에서 토션스프링(180)에 의한 탄성력을 매개로 상부레일(10)의 개구부(14)를 통해 내부로 진입하는 블록킹 브라켓트(170)를 매개로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의 상단부가 잠금 작용부(175)에 의해 견고하게 구속될 수 있으므로, 록킹 핀(140)의 압력각을 작게 설정하지 않고도 시트레일에 대한 안정적인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bracket 170 may enter through the opening 14 of the upper rail 10 through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180 in the locking direction position of the release lever 120. Since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142 of the locking pin 140 can be firmly constrained by the locking action part 175, a stable locking state to the seat rail can be maintained without setting the pressure angle of the locking pin 140 small. It becomes possible.

이 과정에서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서브 몸체부(173)에 위치한 장공 형태의 힌지부(172)는 힌지핀(118)에 대해 그 위치를 직선방향 전방으로 전이될 수 있으므로, 마운팅 브라켓트(110)에 대한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직선방향 전진이동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long hinge-shaped hinge portion 172 located in the sub-body portion 173 of the blocking bracket 170 may be shifted to a straight forwar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pin 118, so that the mounting bracket 110 It is possible to allow a straight forward movement of the blocking bracket 170 with respect to.

또한,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메인 몸체부(171)의 전면에 부착된 댐퍼(177)는 상부레일(10)의 외측면과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으므로, 동작 소음의 발생을 보다 적극적으로 배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damper 177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71 of the blocking bracket 170 can cushion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rail 10 in contact with,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operating noise. You can rule out more actively.

한편, 본 발명은 릴리스 레버(120)의 잠금방향 위치에서 해제방향 위치로 전환될 때, 릴리스 레버(120)의 가압단부(124)와 접촉되는 연동 작용부(174)를 매개로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직선방향 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잠금 작용부(175)에 의한 록킹 핀(140)의 스토퍼(142)에 대한 구속작용이 자연스럽게 해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트레일의 전후방향 위치는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when switching from the locking direction position of the release lever 120 to the release direction position, the blocking bracket 170 via the interlocking action portion 174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end 124 of the release lever 120. Since the reverse direction of) can be achieved, the restraining action of the locking pin 140 on the stopper 142 by the locking action portion 175 of the blocking bracket 170 can be naturally released, thereby The front and rear position can be freely adjusted.

이 과정에서도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서브 몸체부(173)에 위치한 장공 형태의 힌지부(172)는 힌지핀(118)에 대해 그 위치를 직선방향 후방으로 전이될 수 있으므로, 마운팅 브라켓트(110)에 대한 블록킹 브라켓트(170)의 직선방향 후진이동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In this process, since the hinge portion 172 of the long hole shape located in the sub-body portion 173 of the blocking bracket 170 may be shifted to the rear of the hinge pin 118 in a linear direction, the mounting bracket 110 It is possible to allow a straight backward movement of the blocking bracket 170 with respect to.

아울러, 본 발명은 릴리스 레버(120)의 회전과 연동하는 블록킹 브라켓트(170)를 매개로 록킹 핀(140)의 해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다양한 방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에 대해서도 레일로크 조립체의 정상적인 잠금상태를 보장할 수 있으므로, 시트의 착좌 방향이 보다 자유롭게 조정될 수 있는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된 차량의 시트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actively prevent the release of the locking pin 140 through the blocking bracket 170 that interlocks with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120, and particularly against impacts that may occur in various directions. Since the normal lock state of the rail lock assembly can be ensured, the seat lock of the rail lock assembly can be actively used in the seat of the vehicle to which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can be adjusted more freel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상부레일 12-관통구멍
14-개구부 20-하부레일
22-체결구멍 30-베어링부재
100-레일로크 조립체 110-마운팅 브라켓트
112-메인 몸체부 114-서브 몸체부
116-힌지조립부 118-힌지핀
120-릴리스 레버 122-조작단부
124-가압단부 126-힌지부
128-가압부
130-인장스프링
140-록킹핀 142-스토퍼
150-로크 가이드 152-삽입구멍
160-압축스프링
170-블록킹 브라켓트 171-메인 몸체부
172-힌지부 173-서브 몸체부
174-연동 작용부 175-잠금 작용부
176-수압부 177-댐퍼
180-토션스프링
10-Top Rail 12-Through Hole
14-opening 20-lower rail
22-tightening hole 30-bearing member
100-raillock assembly 110-mounting bracket
112-main body 114-sub body
116-Hinge Assembly 118-Hinge Pins
120-release lever 122-operating end
124-Pressure end 126-Hinge end
128-pressure unit
130-tensile spring
140-locking pin 142-stopper
150-lock guide 152-insertion hole
160-compression spring
170-blocking bracket 171-main body
172-Hinge 173-Sub Body
174-interlocking effect 175-locking effect
176-hydraulic section 177-damper
180-torsion spring

Claims (10)

시트의 쿠션부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레일, 상기 상부레일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차실내의 플로워 패널에 고정되는 하부레일, 및 상기 상부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레일에 대한 상기 상부레일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레일로크 조립체를 포함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로크 조립체는
상부레일에 고정되는 마운팅 브라켓트;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록킹 핀의 구속을 해제하는 릴리스 레버;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에 대해 릴리스 레버를 잠금방향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인장스프링;
상기 릴리스 레버의 회전과 연동하여 록킹 핀을 구속 또는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블록킹 브라켓트; 및
상기 릴리스 레버에 대해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를 잠금방향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의 힌지조립부와 상기 릴리스 레버의 힌지부에 대해 힌지핀을 매개로 힌지지점을 공유하는 힌지부를 구비하되,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핀에 대해 직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An upper rail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of the seat, a lower rail movably supporting the upper rail, and fixed to a floor panel in a vehicle room, and an upper rail installed on the upper rail to position the upper rail relative to the lower rail. In the locking device of the seat rail comprising a rail lock assembly for fixing,
The rail lock assembly is
A mounting bracket fixed to the upper rail;
A release lever rotatably installed relative to the mounting bracket to release the locking pin;
A tension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a release lever in a lock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bracket;
A blocking bracket configured to restrain or release the locking pin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And
A torsion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locking bracket in a lock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lease lever,
The blocking bracket is provided with a hinge portion for sharing the hinge point of the hinge assembly of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hinge lever of the release lever via a hinge pin, wherein the hinge portion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 lin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pin Locking device of the seat rail,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레버는 해제방향 회전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에 작용력을 제공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가압부와 접촉 가능한 연동 작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lease lever is a locking device of the seat rail,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for providing an action force to the blocking bracket when rotating in the release direction, the blocking bracket has an interlocking action to contact the pressing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릴리스 레버의 잠금방향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록킹 핀의 해제방향 변위를 구속하는 잠금 작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ocking bracket is a locking device of the seat rail,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locking action for restraining the displacement in the release direction of the locking pin in conjunction with the locking direction rotation of the release lev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작용부는 상기 록킹 핀의 스토퍼의 상단부를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nd the locking action is configured to constrain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of the locking pi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토션스프링과의 접촉을 위한 수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압부는 양측에 외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ocking bracket is provided with a pressure receiving portion for contact with the torsion spring, the pressure receiving portion locking device of the seat rail,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rojection protruding outward on both sid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상부레일과 접촉하는 부위에 댐퍼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locking bracket is a locking device of the seat rail, characterized in that for installing a damper in contact with the upper rail.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는 상기 댐퍼의 장착을 위한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댐퍼는 관통구멍으로의 삽입을 위한 돌출몸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blocking bracket has a through hole for mounting the damper, and the damper has a protruding body portion for insertion into the through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장스프링은 양단부가 상기 마운팅 브라켓트의 조립구멍, 및 상기 릴리스 레버의 조립구멍에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nsion spring is locking device of the seat rail,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are installed so as to be fixed to the assembly hole of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assembly hole of the release lever, respectivel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은 일단부가 상기 릴리스 레버의 수용구멍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블록킹 브라켓트의 수압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orsion spring is fixed to the receiving hole of the release lever, one end of the seat rail lo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is installed so as to support the hydraulic portion of the blocking bracket.
KR1020180075674A 2018-06-29 2018-06-29 Locking device for seat rail KR1020714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674A KR102071488B1 (en) 2018-06-29 2018-06-29 Locking device for seat r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674A KR102071488B1 (en) 2018-06-29 2018-06-29 Locking device for seat ra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11A KR20200002311A (en) 2020-01-08
KR102071488B1 true KR102071488B1 (en) 2020-01-30

Family

ID=69154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674A KR102071488B1 (en) 2018-06-29 2018-06-29 Locking device for seat ra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4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262B1 (en) * 2020-09-15 2021-03-15 정찬우 Advanced pipe line open and close indicating device in visibility, operability and stabili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123B1 (en) * 2012-02-10 2012-11-12 대원정밀공업(주) Locking device for seat track
KR101671644B1 (en) * 2015-08-25 2016-11-01 주식회사다스 Locking device for seat rai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123B1 (en) * 2012-02-10 2012-11-12 대원정밀공업(주) Locking device for seat track
KR101671644B1 (en) * 2015-08-25 2016-11-01 주식회사다스 Locking device for seat ra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11A (en)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824B1 (en) Locking System of Longitudinal Adjusting for Motor Vehicle Seat Track
US9475407B2 (en) Folding vehicle seat
US6279982B1 (en) Vehicle seat storing device
US20130119723A1 (en) Vehicle seat
JP6217501B2 (en) Slide rail
US10518672B2 (en) Vehicle seat
KR101671644B1 (en) Locking device for seat rail
KR102071504B1 (en) Locking device for seat rail
US20050067873A1 (en) Seat structure for vehicle
KR102071488B1 (en) Locking device for seat rail
JP2003252086A (en) Seat slide device
KR101165221B1 (en) Easy Entry Mid-Memory System
US11993183B2 (en) Seat slide device
CN215904355U (en) Car seat slide rail locking means
KR101956264B1 (en) Extensible apparatus for seat cushion in vehicle
KR20090025601A (en) Seat track lock means of seat for vehicle
JP3942084B2 (en) Vehicle seat
KR102402993B1 (en) Locking structure for manual cushion extension apparatus
KR101986137B1 (en) Locking device for seat rail
CN108569171B (en) Hinge locking mechanism for seat back
KR101585265B1 (en) Apparatus for locking of seat rail
KR102493493B1 (en) Device for preventing lock noise of seat-rail
JP3462117B2 (en) Lock structure of seat slide device
JP4307345B2 (en) Fully open stopper structure for vehicle sliding doors
US20180170221A1 (en) Anti-rattle bumper for vehicle armres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