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915B1 - A supplying water and hot water system of washbowl counter - Google Patents
A supplying water and hot water system of washbowl coun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5915B1 KR101955915B1 KR1020180082142A KR20180082142A KR101955915B1 KR 101955915 B1 KR101955915 B1 KR 101955915B1 KR 1020180082142 A KR1020180082142 A KR 1020180082142A KR 20180082142 A KR20180082142 A KR 20180082142A KR 101955915 B1 KR101955915 B1 KR 1019559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coil spring
- counter
- hot water
- wate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provisions against scalding, e.g. temperature limiting devices, external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 및 보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오염에 강한 구성품이 탑재되는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system of a washstand cou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system of a washstand count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easily perform installation and repair at low cost, Piping system.
화장실에는 세면기, 변기 및 욕조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설치품들은 모두 급수배관 또는 급수 및 급탕배관과 연결되어 냉온수를 공급받아 각각의 용도에 따라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화장실의 급수 및 급탕배관 시스템은 그 배관구조가 복잡하고, 복합공정으로 시공이 어려우며, 최근에는 세면기 카운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세면기 카운터에 한정하여 기술되지만 본 발명이 세면기 카운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용이한 변경에 의해서 여러 형태의 세면기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양지하기 바란다. 도 1은 종래의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 구조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욕실배관과 세면기 카운터, 변기 및 욕조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도시하는 도식도이고, 도 3은 콘크리트 벽체일때 종래의 세면기 카운터를 설치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벽돌 벽체일 때 종래의 세면기 카운터를 설치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5는 조립식 욕실일 때 종래의 세면기 카운터를 설치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6은 종래의 세면기 카운터에 대한 배관보수공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의 세면기 카운터(a)는 그 제조원료에 따라 아크릴, 마블 등과 같이 다양한 재료로 성형될 수 있으며, 상면 일측에는 냉온수 꼭지(c)가 설치된 세면부(b)가 형성되고, 타측은 테이블과 같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잡기 등을 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하측에는 변기(d)의 수조부가 배치되고, 욕실 타측에는 욕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면기 카운터(a)의 세면부(b)와 변기(d)의 수조부와 욕조(h)에 냉온수를 급수하기 위한 배관은 벽체(e)내에 매립되어 있는 급수 및 급탕배관(f)(g)으로부터 해당되는 각각의 배관을 분기시켜 연결 파이프로 연결함으로써 각각의 위생설비에 대한 급수 및 급탕배관 시스템이 완료된다. 첨부도면중 도면부호 z는 천장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세면기 카운터(a)는 벽체(e)의 구조에 따라 급수 및 급탕배관의 설치공정에 차이가 있는데 벽체가 콘크리트인 경우에는 먼저 벽체를 콘크리트로 타설하기 전에 설계된 배관의 경로를 따라 설치홈을 형성 시키기 위해 급수 및 급탕배관용 철제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소정시간 양생시킨다. 콘트리크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철제 거푸집을 제거하고 벽체에 형성되어 있는 설치홈을 따라 급수 및 급탕배관을 설치한 후 설치홈에 모르타르를 채워 배관을 벽체내에 매입시키고 방수 및 타일시공을 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공정이 완료되면, 벽체(e)에 세면기 카운터, 변기 및 욕조를 고정설치하고, 그 다음 세면기, 변기 및 욕조의 냉온수꼭지(c)와 급수 및 급탕배관(f)(g)을 연결 파이프로 연결시킴으로써 설치공정이 완료된다. 상기 벽체(e)가 벽돌을 경우에는 먼저 벽체를 벽돌로 쌓고, 완성된 벽체에 급수 및 급탕배관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홈을 설계된 경로를 따라 형성시킨다. 상기 설치홈이 완성되면, 급수 및 급탕배관을 설치홈에 설치한 후 모르타르로 설치홈을 채워 급수 및 급탕배관을 벽체내에 매입하고 방수 및 타일시공을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벽체(e)내에 급수 및 급탕 배관이 매설치된 벽체(e)에 상기 콘크리트 벽체인 경우와 같이 세면기 카운터, 변기 및 욕조를 고정설치하고, 그 다음 세면기 카운터, 변기 및 욕조의 냉온수꼭지(c)와 급수 및 급탕배관(f)(g)을 연결 파이프로 연결시킴으로써 설치공정이 완료된다. 또한, 조립식 욕실인 경우에는 일면이 개방된 공간에 패널을 조립하고 내부에 세면기 카운터, 변기 및 욕조를 설치한 후세면기 카운터, 변기 및 욕조의 냉온수꼭지(c)와 급수 및 급탕배관(f)(g)을 연결파이프로 연결시키고 개방된 패널외측의 개방된 면을 벽돌쌓기에 의해 벽체를 형성시킴으로써 설치공정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종래의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에 하자가 발생되었을 때에는 벽체(e)를 파손하여 배관(f)(g)을 벽체로 부터 드러나게한 후 배관(f)(g)의 하자부분을 확인하여 배관보수를 실시한 후 보수가 완료되면 벽체(e)를 보수하고 벽체(e)의 외관에 대한 미장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완료된다.The toilet is equipped with a wash bowl, a toilet, a bathtub, etc. All of the fittings ar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or a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e, and are supplied with cold and hot water to be used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uses. The toilet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ing system as described above has complicated piping structure and is difficult to be constructed by a combined process, and recently, a washstand counter has been widely spread. It should be noted that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only in the case of a washstand count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washstand counter but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washstand by easy modification.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oilet bowl counter,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conventional bathroom piping, a toilet bowl counter, a toilet bowl and a bathtub,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conventional basin counter when the basin is a brick wall, FIG.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conventional basin counter, FIG.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iping repair process for a conventional toilet bowl counter. FIG.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iping repair process for a conventional toilet bowl counter. Referring to FIGS. 1 to 6, the conventional toilet bowl counter a can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crylic and marble according to the raw materials of the toilet bowl, and a toilet bowl b having a cold / hot water tap (c)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in the same plane as the table so as to be able to arrange catches and the like, the water tank of the toilet bowl (d) is arranged on the lower side, the bathtub is provided on the bathroom bath side, The piping for supplying cold and hot water to the washing section of the toilet section b and the toilet bowl d and the bathtub h i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f (g) The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system for each sanitary facility is completed. 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 z denotes a ceiling.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wall (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In the case of the concrete, the wall of the washer counter (a) The steel mold for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is installed to form an installation groove along the path, and concrete is cured and cur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uring of concrete is completed, the iron formwork is removed and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are installed along the installation grooves formed on the wall, and mortar is fi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s, the pipe is embedded in the wall, and waterproofing and tile construction are performed. After completing the series of processes as described above, a washstand counter, a toilet and a bathtub are fixedly mounted on the wall (e), and then the hot and cold water faucets (c) and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es (f) The connection process is completed. When the wall (e) is a brick, the wall is firstly bricked, and an installation groove is formed along the designed path for installing the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on the completed wall. When the installation groove is completed, the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ar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groove, and the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are filled in the wall by filling the installation groove with mortar, and waterproofing and tile construction are performed. The toilet bowl, the toilet and the bathtub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wall e provided with the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e in the wall e as in the case of the concrete wall, and then the toilet bowl, c) and the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f) (g)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ipe. In the case of a built-in bathroom, a panel is assembled in an open space, and a wash bowl counter, a toilet, and a bathtub are installed in the room, and then a hot water tap (c) g is connected by a connecting pipe and the open side of the open panel is bricked to form a wall, thereby completing the installation process. When a fault occurs in the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of the conventional toilet bowl counter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wall f is broken and the pipe f is exposed from the wall, And repairing the pipe after completion of the repair, and repairing the wall (e) and finishing the exterior of the wall (e).
본 발명은 비용이 매우 저렴하면서도 설치 및 보수가 매우 용이하고 설치기능 공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품질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system of a toilet bowl counter which is very easy to install and repair, and which can provide uniform quality irrespective of the skill of the installer.
본 발명은, 바닥에 수평하게 놓여져서 전체를 지탱하여 주는 사각형상의 바닥함체와, 상기 바닥함체의 4변의 테두리에 접합되어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벽체와 상기 벽체의 상부를 덮어주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지붕으로 구성 되고, 그 내측에 변기 및 세면기 등이 설치되는 조립식 수세식 간이 화장실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cover comprising: a rectangular bottomed housing which is placed horizontally on the floor to support the entire body; a wall vertically joined to the edges of the four sides of the bottom housing and a downward inclination relative to the central portion to cover the top of the wall; The toilet is provided with a toilet, a toilet and the like on the inside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수세식 간이 화장실에 의하면 간이 화장실(1) 내측에는 다수개의 양변기, 소변기, 세면기, 전기시설, 환풍장치 등이 설치되도록 하므로서, 비록 조립식이지만 그 전체적인 형상은 일반건축물 화장실처럼 구조적으로 안정된 조립식 수세식 간이 화장실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flush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oilets, a urinal, a washstand, an electric facility, a ventilator, and the like are installed inside the
도 1은 종래의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구조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욕실배관과 세면기 카운터, 변기 및 욕조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도시하는 도식도이다.
도 3은 콘크리트 벽체일때 종래의 세면기 카운터를 설치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벽돌 벽체일때 종래의 세면기 카운터를 설치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조립식 욕실일 때 종래의 세면기 카운터를 설치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세면기 카운터에 대한 배관보수공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카운터를 적용한 욕실의 배관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도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카운터에 장착되는 급수 및 급탕배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클램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고정클램프에 의해 상호 소정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되는 본 발명의 급수 및 급탕배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카운터 본체의 하면에 급수 및 급탕배관이 고정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클램프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클램프의 다른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 및 급탕배관의 분기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카운터의 설치공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카운터의 보수공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도 12에 따른 구성을 진공증착하기 위한 진공증착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따른 A 방향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따른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21은 도 도 18에 따른 B 방향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18에 따른 주요부인 타겟에 의해 피가공물 표면에 증착 코팅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18에 따른 구성을 진공증착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증착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4 내지 17은 도 23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1 내지 도 33은 도 23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4는 도 23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도 23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은 도 23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도 23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은 도 23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0a와 도 40b, 도 41a와 도 4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3a 내지 도 4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가 다양한 베이스몸체부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5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oilet bowl counter.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conventional bathroom piping, a washstand counter, a toilet, and a bathtub.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conventional basin counter when a concrete wall is used.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conventional basin counter when the brick wall is used.
Fig.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conventional toilet bowl counter when it is a modular bathroom.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iping repair process for a conventional basin counter.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structure of the washstand cou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iping structure of a bathroom to which a washstand cou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installed in a washstand cou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fixed and hel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a fixed clamp.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ing are fixedly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a count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ixing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upling structure of the fixing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specifically showing a branch structure of a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washstand cou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pair process of the wash basin cou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vacuum deposition apparatus for vacuum deposition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FIG.
Fig. 19 is a side view in the direction A in Fig. 18;
20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according to Fig.
Fig. 21 is a side view in the direction B in Fig. 18; Fig.
FIG. 22 is a side view conceptually showing a process of being deposited on a surface of a workpiece by a main target according to FIG. 18; FIG.
23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vacuum depos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or vacuum deposition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FIG.
Figs. 24 to 17 are views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23. Fig.
31 to 33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FIG. 3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23. FIG.
Fig. 3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23. Fig.
FIG. 3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23. FIG.
FIG. 3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23. FIG.
FIG. 3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23. FIG.
3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on-absorbing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0A and 40B and Figs. 41A and 41B are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showing a vibration-absorbing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2 is a state of use showing a vibration-absorbing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3A to 43D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ibration-absorbing damp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tted in various base body parts.
4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on-absorbing dam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on-absorbing dam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art of the arrangements according to FIG. 45;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 부호로 표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카운터를 적용한 욕실의 배관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도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카운터에 장착되 는 급수 및 급탕배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클램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고정클램프 에 의해 상호 소정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되는 본 발명의 급수 및 급탕배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카운터 본체의 하면에 급수 및 급탕배관이 고정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고 정클램프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클램프의 다른 결합구조를 도시하 - 4 - 등록특허 10-0320082 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 및 급탕배관의 분기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카운터의 설치공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 기 카운터의 보수공정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카운터(10)는 개략적으로 카운터 본체(11)와 급수 및 급탕배관 (12)(13)과 고정클램프(14)를 구비한다. 상기 카운터 본체(11)는 상면 일측에는 냉온수 꼭지(11a)가 설치되어 있는 세면부(11b)가 요부지게 형성되고 타측은 평면으로써 잡기 등을 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면 타측의 하측에는 변기(20)의 수조가 배치되고, 하면부 소정위 치에는 다수개의 결합돌부(11c)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결합돌부(11c)는 원뿔대 형상을 갖고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소정직경 및 깊이를 갖는 나사공(11d) 을 갖는다. 상기 급수 및 급탕배관(12)(13)은 스테인레스강관, 동관, 합성수지관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중 동관을 사용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을 사용하여 소정형상으로 절곡형성시키고, 소정위치에 연결구 또는 분기구를 장착하여 연결 및 분기되어 다 수개의 고정클램프(14)에 의해 상기 카운터 본체(11)의 하면부에 고정설치되고, 각 분기구중 하나는 상기 냉온수 꼭 지(11a)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고정클램프(14)는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써 양단부 소정위치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공 (14a)과, 중앙부에 소정크기로 관통형성되는 장공(14b)과, 상기 나사공과 장공 사이의 소정위치에는 일방으로 만곡지 게 절곡형성된 복수개의 관배치부(14c)(14d)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 및 급탕배관을 사이에 두고 상하 대칭되게 조립 된 후 결합수단에 의해 급수 및 급탕배관(12)(13)을 파지하도록 상호결합되고, 고정수단(15)에 의해 장공이 상기 결 합돌부(11c)에 고정설치됨으로써 카운터 본체(10)의 하면에 고정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클램프(14)의 관배치부 (14c)(14d)의 내측면과 급수 및 급탕배관(12)(13)의 외주면에 사이에는 고무패킹(21)이 끼움조립되어 상기 배관( 12)(13)을 따라 흐르는 유수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전달을 차단한다. 상기 결합수단으로는 볼트(16)와 너트(17)를 사용하거나 합성수지 성형물인 스냅결합구(18)를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스냅결합구(18)는 일단부에 헤드부(18a)와 타단부에 스냅돌기(18b)를 일체로 갖고 상기 고정클램프(14)의 겹 쳐진 결합공(14a)에 끼움조립되어 상기 고정클램프(14)를 결합시킨다. 상기 고정수단(15)은 볼트로써 상기 고정클램프(14)의 겹쳐진 장공(14b)에 끼워져서 상기 결합돌부(11c)의 나사공 (11d)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고정클램프(14)를 상기 세면기 본체(11)의 하면에 고정 설치시킨다. 상기 급수 및 급탕배관(12)(13)의 일단부는 급수 및 급탕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플렉시블관 등을 사용하여 연결되 고, 타단부에는 욕조(22)용 냉온수꼭지(22a)에 연결되며, 변기(20)의 수조 등에는 급수 및 급탕배관(12)(13)의 소 정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분기구에 플렉시블관(23)을 연결시켜 급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세면기 카운터(10)는 설치시 카운터 본체(11)를 화장실의 벽체(도시되지 않음)에 고정설치시킨 후 상기 급수 및 급탕배관(12)(13)의 일단부를 급수 및 급탕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파이프로 간단히 연통되게 연결시킴으로써 완료된다. 또한, 급수 및 급탕배관(12)(13)에 대한 하자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작업자는 카운터 본체(11)의 하측을 살펴 배관의 하자를 확인한 후 배관에 대한 하자를 보수하는 것만으로 배관보수를 간단히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Hereinafter, a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arts identical to those of the conventional structure described in Figs. 1 to 6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structure of a washstand cou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iping structure of a bathroom to which a washstand cou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ixing clamp is fix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y a fixing clamp,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ing of a count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3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ixing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shows another coupling structure of a fixing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specifically showing a branching structure of a water supply and hot water supply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ep of installing a washstand cou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pair process of the toilet bowl cou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to 17, a
한편, 전술한 구성 중 적어도 일부 예컨데 볼트 등은 진공증착장치에 의하여 진공증착이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진공증착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도 1에 따른 구성을 진공증착하기 위한 진공증착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따른 A 방향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따른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21은 도 18에 따른 B 방향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18에 따른 주요부인 타겟에 의해 피가공물 표면에 증착 코팅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On the other hand, in at least some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for example, the vacuum deposition is performed by a vacuum deposition apparatus. Hereinafter, a vacuum deposition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8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vacuum deposition apparatus for vacuum deposition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FIG. Fig. 19 is a side view in the direction A in Fig. 18; 20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according to Fig. Fig. 21 is a side view in the direction B in Fig. 18; Fig. FIG. 22 is a side view conceptually showing a process of being deposited on the surface of a workpiece by a main target according to FIG. 18; FIG.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증착장치는 중앙의 진공챔버(110) 양쪽 위치에 증착을 위한 피가공물(즉, 구성 전체 또는 구성 일부(예 : 볼트(B) 등에 해당 됨.)이 진입되는 투입부(120)가 구비되고, 피가공물은 이송수단에 의해 한 쌍의 투입부(120)를 통해 진공챔버(110)에 연속적으로 투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진공챔버(110)는 중앙부의 제1진공챔버(118)를 포함하며, 제1진공챔버(118)의 양쪽 위치에는 한 쌍의 이온소스구간(116)이 배치되고, 각 이온소스구간(116)에는 한 쌍의 버퍼구간(112)이 이어지며, 각각의 버퍼구간(112)과 투입부(120) 사이에는 제2진공챔버(114)가 배치되어, 증착 코팅될 피가공물이 양쪽에서 제1진공챔버(118)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구성된다. 18 to 22, the vacuum deposition apparatus has a structure in which a workpiece for deposition (that is, a whole structure or a part of a structure (e.g., a bolt (B) or the like) enters at both sides of a
상기 투입부(120)는 진공챔버(110)를 기준으로 피가공물(11) 이송라인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된다. 투입부(120)에는 이송수단(컨베이어 벨트 등)이 설치되어, 지그(또는, 파렛트)에 장착된 피가공물(11)이 이송수단에 의해 투입부(120)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투입부(120)는 실린더 등의 승강작동수단(124)에 의해 상하로 개폐되는 챔버도어(124)에 의해 진공챔버(110)의 투입구를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진공챔버(110)는 중앙부의 제1진공챔버(118)와, 이 제1진공챔버(118)의 양측에 배치되어 제1진공챔버(118)와 한 쌍의 투입부(120)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제2진공챔버(11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진공챔버(118)와 제2진공챔버(114)는 사각 챔버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1진공챔버(118)는 상측부에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패널(118)이 구비되어, 이 회동패널(118)의 저면에 후술할 제3타겟(146)과 제4타겟(148)이 장착되어 있다. 제1진공챔버(118)의 양쪽 위치에는 한 쌍의 이온소스구간(116)이 이어지고, 이온소스구간(116)에는 한 쌍의 버퍼구간(112)이 이어지며, 버퍼구간(112)의 내부로는 진공장치가 연결되어, 진공장치에 의해 버퍼구간(112)과 이온소스 구간(116) 및 제1진공챔버(118)가 베이스 진공 상태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 버퍼구간(112)의 내부에는 저진공장치(126)와 중진공장치(128) 및 고진공장치(130)에 의해 진공 상태로 유지되어, 이온소스구간(116)은 물론 제1진공챔버(118)의 내부에 최적화된 베이스 진공이 잡히도록 한다. 상기 제2진공챔버(114)도 사각 챔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각각의 버퍼구간(112)과 각각의 투입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제2진공챔버(114)가 제1진공챔버(118)의 양쪽 위치에 배치된 구조를 이룬다. The
바람직하게, 제2진공챔버(114)의 내부는 저진공장치(126)와 중진공장치(128)에 의해 진공 상태가 유지되어, 제2진공챔버(114) 내부의 진공도가 제1진공챔버(118)의 진공도보다 낮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진공챔버(114)와 버퍼구간(112) 사이에는 승강작동수단(132)에 의해 베큐업 게이트(1Vacuum gate)(134)가 상하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베큐엄 게이트(134)를 닫으면 제1진공챔버(118)와 버퍼구간(112) 및 이온소스구간(116)이 베이스 진공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수단은 한쪽의 제2진공챔버(114)에서 제1진공챔버(118)의 내부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된 한 쪽의 콘베이어 벨트와, 반대쪽의 제2진공챔버(114)에서 제1진공챔버(118)의 내부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설치된 다른 쪽의 콘베이어 벨트 등으로 구성된다. 즉, 이송수단을 구성하는 콘베이어 벨트 등이 제1진공챔버(118)를 기준으로 좌우 한 쌍으로 배열된 구성을 이룬다. 또한, 각각의 콘베이어 벨트는 피가공물(11)을 제1진공챔버(118)에 투입하고 제1진공챔버(118)에서 다시 인출하기 위해 정역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The interior of the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지그(또는, 팔레트)에 장착된 피가공물(11)이 한 쪽의 이송수단에 의해 한 쪽의 투입부(120)로 투입되면, 챔버 도어(124)가 열리면서 제2진공챔버(114)의 내부로 피가공물(11)이 투입되고 계속해서 버퍼구간(112)으로 투입된다. 동시에, 다른 쪽의 이송수단에 의해 피가공물(11)이 반대쪽의 투입부(120)로 투입되면, 다른 쪽의 챔버 도어(124)가 열리면서 제2진공챔버(114)를 지나서 다른 쪽의 버퍼구간(112)으로 투입된다. 이어서, 한 쪽의 프로세스 구간(1즉, 한 쪽의 투입부(120)와 제2진공챔버(114) 및 버퍼구간(112))에서 제1진공챔버(118) 내부로 피가공물(11)이 투입되고, 상기 타겟(140)에 의해 스퍼터링되는 증착용 재료가 피가공물(11) 표면에 증착됨으로써, 피가공물(11) 표면에 증착 코팅막을 형성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한편, 다른 쪽 프로세스 구간(1즉, 다른 쪽의 투입부(120)와 제2진공챔버(114) 및 버퍼구간(112))에서의 피가공물(11)은 한 쪽 프로세스 구간의 피가공물(11)이 증착 코팅되는 동안 제2진공챔버(114)에서 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 다음, 한 쪽 프로세스 구간에서의 피가공물(11)의 증착 코팅이 완료되면, 이송수단의 한 쪽 컨베이어 벨트가 역회전하여 증착 코팅된 피가공물(11)을 다시 제1진공챔버(118)와 이온소스구간(116) 및 제2진공챔버(114)를 거쳐 한쪽의 투입부(120) 방향으로 인출한다. 동시에, 다른 쪽 프로세스 구간의 제2진공챔버(114)에 대기하고 있던 피가공물(11)이 이송수단에 의해 다른 쪽의 버퍼구간(112)과 이온소스구간(116)을 거쳐 제1진공챔버(118)의 내부로 투입되어 표면에 증착 코팅막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쪽 프로세스 구간의 피가공물(11)이 증착 코팅이 완료되어 다시 인출될 때, 동시에 다른쪽 프로세스 구간의 피가공물(11)이 진공챔버(110)로 투입되어 증착 코팅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테면, 본 발?명은 진공챔버(110)를 중심으로 피가공물(11)의 양쪽으로의 투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새로운 피가공물(11) 투입을 하기 위한 대기 시간 등에 의해 작업이 중단되는 경우 없이 계속적으로 코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증가되는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상기 제1진공챔버(118)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타겟(140)이 설치되고, 타겟(140)은 피가공물(11)의 이송 방향에 대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타겟(140)은 피가공물(11) 이송 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제1타겟(142)과, 제1타겟(142)에 대해 대칭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제2타겟(144)과, 제1타겟(14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피가공물(11)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제3타겟(146)과, 제3타겟(146)에 대해 대칭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제4타겟(14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1타겟(142) 내지 제4타겟(148)으로 이루어진 타겟(140)이 피가공물(11)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연속되도록 배열된다. 이에 따라, 제1타겟(142) 내지 제4타겟(148)을 기울어지도록 설치함으로써, 고품질의 증착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아울러, 제1타겟(142)과 제2타겟(144)은 하측에 배치되고, 제3타겟(146)과 제4타겟(148)은 상측에 배치되어, 이송라인의 상하측 위치에 타겟(140)을 동시에 설치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피가공물(11)의 양면을 동시에 증착 코팅할 수 있기 때문에, 피가공물(11)의 상면을 먼저 코팅하고 피가공물(11)의 저면을 다시 코팅하였던 종래에 비하여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두께가 있는 사각형 피가공물(11)을 증착 코팅하는 경우, 제1타겟(142)과 제2타겟(144)에 의해 피가공물(11)의 저면과 전후 좌우측 둘레부가 균일하게 증착 코팅되고, 제3타겟(146)과 제4타겟(148)에 의해 피가공물(11)의 저면과 전후 좌우측 둘레부가 균일하게 증착 코팅되므로, 피가공물(11)의 형상에 관계없이 피가공물(11) 전체면에 대해 균질한 증착 코팅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나아가, 제1타겟(142) 내지 제4타겟(148)으로 이루어진 타겟(140) 유닛이 피가공물(11) 이송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연속되도록 배열되므로, 피가공물(11) 표면에 대한 증착 코팅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피가공물(11)의 고품질을 더욱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게 된다. A plurality of
또한, 상기 제1진공챔버(118)의 내부로 투입되는 피가공물(11) 표면에 이온을 공급하는 이온소스구간(116)이 더 구비되어, 공정가스(예를 들어, Ar) 주입 후에 이온소스(116)(1Ion source)를 이용하여 피가공물(11) 표면의 유기물을 제거하고 동시에 표면 개질(1표면 개선)을 실시하여 증착 코딩막(1layer)의 부착력을 더욱 높여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증착 코팅 제품의 신뢰도를 더욱 높이는 효과가 있다. The plasma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도 23은 도 18에 따른 주요부인 타겟에 의해 피가공물 표면에 증착 코팅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4 내지 17은 도 23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FIG. 23 is a side view conceptually showing a process of being deposited on the surface of a workpiece by a main target according to FIG. 18; FIG. Figs. 24 to 17 are views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23. Fig.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mainly of a portion having a constitutional characteristic.
도 23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증착장치는 상기 진공증착장치의 하방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부(B)와, 상기 지지부(B)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210)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상에서 상기 지지부(B)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B)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부재(22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220)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 상에서 상기 지지부(B)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221)와, 상기 바닥부(22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22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상에서 지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B), 상기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2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220)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 상에서 설정범위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221)와, 상기 바닥부(22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222)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체(222)는 상기 바닥부(221)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하단유동체(2221)와,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상단유동체(2223)와,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와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 사이에 구비되는 중단유동체(2222)를 포함한다.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 및 상기 중단유동체(2222)의 상기 지지부(B)를 향하는 내측면부에는 자성이 부여되는 자성층(ML)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B) 상에 자성 결합되되, 상기 유동체(222)는 내부에 수평형 완충공간(s1)이 다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완충공간(s1) 상에는 바(Bar) 형상 탄성체(L)가 복수 구비된다. 상기 탄성체(L)는 상기 지지부(B) 기준으로 직교방향으로 위치된다. 상기 자성층(ML)에 후단측에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부(EL)와, 히팅을 위한 히팅부(HL)가 구비된다. 상기 자성층(ML)은 외부 제어수단(미도시) 제어 하에 (예: 전력원 공급 여부 등)에 따라 동작이 on 또는 off 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부(HL), 상기 초음파 진동부(EL), 상기 자성층(ML)의 동작은 외부 제어수단의 제어 하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순서로 동작되거나, 동시적으로 동작된다.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진퇴형 노즐(N)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B)를 향해 접착액을 토출한 뒤 상기 자성층(ML) 내부로 후퇴한다. 또한, 상기 노즐(N)이 상기 지지부(B)와 접촉함으로써 접착액을 토출하며 후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동체(222)는, 상기 완충공간(s1)들 사이에 높이방향으로 충진물이 충진되고 외주면 또는 내주면 상에는 상기 충진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되는 다수의 충진체(FU)가 구비되며, 상기 충진체(FU)는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충진물을 토출하여 인접하는 상기 완충공간 상에 충진물이 충진되도록 하고, 상기 충진물은 용융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분사액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체(222)는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 상에 구비되어,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2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의 상부에는 완충패드(223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220)은, 한 쌍 또는 두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면이 상하 방향 상으로 소정의 함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B)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함입부는 횡단면 기준으로 다각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체(222)는, 상기 중단유동체(2222)는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은 상기 중단유동체(2222)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2222)와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한다.23 to 30, the vacuum deposition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B provided below the vacuum deposition apparatus, a predetermined
도 23은 도 18에 따른 주요부인 타겟에 의해 피가공물 표면에 증착 코팅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4 내지 17은 도 23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IG. 23 is a side view conceptually showing a process of being deposited on the surface of a workpiece by a main target according to FIG. 18; FIG. Figs. 24 to 17 are views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23. Fig.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mainly of a portion having a constitutional characteristic.
도 23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증착장치는 상기 진공증착장치의 하방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부(B)와, 상기 지지부(B)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210)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상에서 상기 지지부(B)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B)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부재(22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220)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 상에서 상기 지지부(B)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221)와, 상기 바닥부(22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22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상에서 지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B), 상기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2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220)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 상에서 설정범위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221)와, 상기 바닥부(22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222)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체(222)는 상기 바닥부(221)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하단유동체(2221)와,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상단유동체(2223)와,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와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 사이에 구비되는 중단유동체(2222)를 포함한다.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 및 상기 중단유동체(2222)의 상기 지지부(B)를 향하는 내측면부에는 자성이 부여되는 자성층(ML)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B) 상에 자성 결합되되, 상기 유동체(222)는 내부에 수평형 완충공간(s1)이 다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완충공간(s1) 상에는 바(Bar) 형상 탄성체(L)가 복수 구비된다. 상기 탄성체(L)는 상기 지지부(B) 기준으로 직교방향으로 위치된다. 상기 자성층(ML)에 후단측에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부(EL)와, 히팅을 위한 히팅부(HL)가 구비된다. 상기 자성층(ML)은 외부 제어수단(미도시) 제어 하에 (예: 전력원 공급 여부 등)에 따라 동작이 on 또는 off 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부(HL), 상기 초음파 진동부(EL), 상기 자성층(ML)의 동작은 외부 제어수단의 제어 하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순서로 동작되거나, 동시적으로 동작된다.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진퇴형 노즐(N)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B)를 향해 접착액을 토출한 뒤 상기 자성층(ML) 내부로 후퇴한다. 또한, 상기 노즐(N)이 상기 지지부(B)와 접촉함으로써 접착액을 토출하며 후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동체(222)는, 상기 완충공간(s1)들 사이에 높이방향으로 충진물이 충진되고 외주면 또는 내주면 상에는 상기 충진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되는 다수의 충진체(FU)가 구비되며, 상기 충진체(FU)는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충진물을 토출하여 인접하는 상기 완충공간 상에 충진물이 충진되도록 하고, 상기 충진물은 용융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분사액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체(222)는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 상에 구비되어,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2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의 상부에는 완충패드(223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220)은, 한 쌍 또는 두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면이 상하 방향 상으로 소정의 함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B)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함입부는 횡단면 기준으로 다각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체(222)는, 상기 중단유동체(2222)는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은 상기 중단유동체(2222)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2222)와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필요에 따라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한다.23 to 30, the vacuum deposition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B provided below the vacuum deposition apparatus, a predetermined
도 31 내지 도 33은 도 23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1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상기 유동체(322)는 상기 중단유동체(3222)는 상기 최하단유동체(3221)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10동체(3223)는 상기 중단유동체(3222)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3222)와 상기 최상단유동체(3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필요에 따라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한다.31 to 33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the technical features. 31 to 33, the interrupted fluid 3222 flows in the fluid 322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도 34는 도 23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을 참조하면, 상기 최하단유동체(3221), 상기 중단유동체(3222), 상기 최상단유동체(3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는 전방이 후방과 상호 반전되도록 회전되며, 각 후단부 상에는 상기 지지부 상에 접촉되도록 하기위한 내부와 외부 간에 전진 및 후진 가능한 흡착모듈(I)이 구비된다. 상기 흡착모듈(I)은 제1 흡착모듈(I1)과, 상기 제1 흡착모듈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2 흡착모듈(I2)와, 상기 제2 흡착모듈(I2)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3 흡착모듈(I3)을 포함한다. FIG. 3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23. FIG. 34, the
도 35는 도 23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몸체부(310) 상에서 일정 범위로 유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321)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가압모듈(P1)과, 상기 제1 가압모듈(P1)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하단유동체(3221)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가압모듈(P2)과, 상기 제2 가압모듈(P2)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중단유동체(3222)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3 가압모듈(P3)과, 상기 제3가압모듈(P3)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상단유동체(3223)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4 가압모듈(P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모듈(P1)은 상방에 상기 제1 가압모듈(P1)을 상기 베이스몸체부(31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조임모듈(L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모듈(P2)은 상방에 상기 제2 가압모듈(P2)을 상기 제1 가압모듈(P1)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조임모듈(L2)이 구비되고, 상기 제3 가압모듈(P3)은 상방에 상기 제3 가압모듈(P3)을 상기 제2 가압모듈(P2)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3 조임모듈(L3)이 구비된다. 상기 제4 가압모듈(P4)은 상방에 상기 제4 가압모듈(P4)을 상기 제3 가압모듈(P3)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4 조임모듈(L4)이 구비되고, 상기 제1가압모듈(P1) 내지 상기 제4 가압모듈은(P4)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수동방식으로 동작되거나, 외부의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자동방식으로 동작되되,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동작된다.FIG. 3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23. FIG. Referring to FIG. 35, a first pressing module P1, which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a predetermined range on the
도 36은 도 23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가압모듈(P2) 내지 상기 제4 가압모듈(P4)은, 각각 상기 최하단유동체(3221) 내지 상기 최상단유동체(3223) 상에 바(Bar)형상체로 결속되어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바 형상체로부터 상방과 하방간에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상기 제2 가압모듈(P2)은 상기 제1 가압모듈(P1)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최하단유동체(3221)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제3 가압모듈(P2)이 상기 제2 가압모듈(P2)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중단유동체(3222)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고, 상기 제4 가압모듈(P4)이 상기 제3 가압모듈(P2)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최상단 유동체(3223)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제2 가압모듈(P2) 내지 제4 가압모듈(P4)이 하방으로 유동되면 상기 제1 조임모듈(L1) 내지 상기 제4 조임모듈(L4)을 통해 상호 결속된다.FIG. 3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23. FIG. 36, the second pressing module P2 to the fourth pressing module P4 are bound to a bar-like body on the lowermost fluid 3221 to the
도 37은 도 23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부(223) 상에는 상기 지지부(B)를 항하여 진퇴 가능한 플레이트부(223a)와,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접착액을 토출하기 위한 분사노즐(223b)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223b)은 상기 플레이트부(223a)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223)와 상기 지지부(B) 사이의 형성되는 소정의 충진공간(FS) 상에 접착액을 분사하여 토출시킨다. 상기 각 자성층(ML)의 내부에는 길이방향 상으로 소정의 관통공(FH)이 형성되며, 상기 분사노즐(223b)로부터 분사된 접착액은 상기 관통공(FH)에 유입되어, 상기 지지부(B)가 상기 고정부재(220)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각 자성층(ML) 상호간을 결속시켜 상기 고정부재(220)과 상기 지지부(B) 상호간의 결속을 강화시킨다. 상기 완충패드(2231) 상면부에는 상기 완충패드(2231)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되는 본체부(2231a1)와, 상기 본체부(2231a1)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접착액을 토출하는 토출부(2231a2)를 포함하는 제2 분사노즐(2231a)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분사노즐(2231a)은 자체적 또는 외부접촉에 기반하여 접착액을 토출한다. 상기 바닥부(221)는 하방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체(221a)와, 수평방향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상기 제2 가압체(221b)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몸체부(210)는, 상방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제3 가압체(221c)가 구비된다. 상기 바닥부(221)는, 상기 제1 가압체(221a)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압체(221a)와 상기 바닥부(221)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3 분사노즐(AN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체(221b)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압체(221b)와 상기 바닥부(221)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4 분사노즐(AN2)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몸체부(210)는, 상기 제3 가압체(221c)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3 가압체(221c)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5 분사노즐(AN3)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몸체부(210)는, 저면부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6 분사노즐(211)이 구비되며, 상기 제6 분사노즐(211)은 상기 베이스몸체부(210)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되는 제2 본체부(211b)와, 제2 본체부(211b)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접착액을 토출하는 제2 토출부(211a)를 포함한다. 상기 제6 분사노즐(211)은 자체적 또는 외부접촉에 기반하여 접착액을 토출한다.FIG. 3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23. FIG. 37, a
도 38은 도 23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8를 참조하면, 전술한바와 같이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복수의 진퇴형 노즐(N)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진퇴형 노즐(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부(B)에 대하여 접착액 토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지지부(B)와 접촉에 기반하여 후퇴되면서 접착액을 토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는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복수의 진퇴형 노즐(N)이 구비되며, 상기 진퇴형 노즐(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접착액(예: 에폭시 등) 토출하며, 상기 진퇴형 노즐(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상기 접착액과 혼합을 위한 유체(예: 경화제, 첨가제, 기타 등)가 토출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상기 진퇴형 노즐(N)을 수용하도록 소정형상의 믹싱모듈(MX)이 구비되며, 상기 믹싱모듈(MX)은 상기 진퇴형 노즐(N)로부터 토출되는 접착액과 유체를 믹싱하여 믹싱 용액을 분사노즐(N2)을 통해 상기 지지부(B)에 토출한다. 상기 믹싱모듈(MX)은 상기 혼합액과 상기 유체가 충진되며 충진되는 충진액을 믹싱 용액으로 믹싱하되, 상기 충진액과 상기 유체를 설정 온도 값으로 유지한 채, 초음파 진동을 가한다. 상기 믹싱모듈(MX)은 상기 자성층(ML) 상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진퇴 가능하도록 구비되거나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FIG. 3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art of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23. FIG.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mainly on the portions having the constitutional features. 38, at the front end of the magnetic layer ML, a plurality of advancing / retreating nozzles N may be provided. At least one of the advancing / retreating nozzles N may be provided in the supporting portion B, And may be one for ejecting the adhesive liquid while being retracted on the basis of the contact with the support portion (B). In another modification, a plurality of advancing / retracting nozzles N are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magnetic layer ML, at least one of the advancing / retracting nozzles N discharges the adhesive liquid (e.g., epoxy) Type nozzles N may be one in which a fluid (for example, a hardening agent, an additive, etc.) for mixing with the adhesive liquid is ejected. A mixing module MX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provided at a front end portion of the magnetic layer ML to receive the advancing / retreating nozzle N, and the mixing module MX is disposed in the forward / And the adhesive solution and the fluid are mixed and the mixing solution is discharged to the support portion (B)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N2). The mixing module MX mixes the mixed liquid and the filling liquid filled with the fluid into a mixing solution while applying the ultrasonic vibration while maintaining the filling liquid and the fluid at a set temperature value. The mixing module MX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or backward from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magnetic layer ML.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0a와 도 40b, 도 41a와 도 4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3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on-absorbing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0A and 40B and Figs. 41A and 41B are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showing a vibration-absorbing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2 is a state of use showing a vibration-absorbing dam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9 내지 도 42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몸체부(210)를 거치하도록 지면 상에 구비되는 소정의 진동 흡수 댐퍼(410)를 개시한다.Referring to FIGS. 39 to 42, a predeterm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410)는 코일스프링(4100)과 하부하우징(4200), 하부지지체(4300), 상부하우징(4400) 및 상부지지체(4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코일스프링(4100)은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하우징(4200)은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코일스프링(4100)의 하부가 수용된다. 하부하우징(4200)의 상단 외주면에는 바깥으로 하부플랜지(4210)가 돌출되고, 하부하우징(4200)의 외주면과 하부플랜지(4210)는 서로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단차가 하부플랜지(4210)의 하단에서 하부하우징(4200)의 외주면까지 하방으로 테이퍼진 경사곡면(4211)으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부하우징(4200)의 바닥 하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더 포함되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방지부재는 시중에서 널리 사용되는 흡착판을 사용할 수 있고,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또는 재질로 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하부지지체(4300)는 하부하우징(4200)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4100)의 하단을 받치고, 하부지지체(4300)는 하부하우징(4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하부지지체(4300)와 하부하우징(4200)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지지체(4300)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하부받침돌부(4310)가 돌출되고, 하부받침돌부(4310)는 코일스프링(4100)의 하측 내부에 삽입되어 코일스프링(4100)을 받쳐서 지지하며 코일스프링(4100)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코일스프링(4100)의 하측 내부에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하부받침돌부(4310)가 삽입되어 하부받침돌부(4310)의 외주면이 접하므로 코일스프링(4100)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도면에 도시되었다시피 하부받침돌부(4310) 역시 하부지지체(4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지지체(4300)와 하부받침돌부(4310)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 등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우레탄이나 고무 등 탄성재질로도 형성가능하고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에서 언급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은 요약공업재료 또는 구조재료로 사용되는 강도 높은 플라스틱으로, 강철보다도 강하고 알루미늄보다도 전성(展性)이 풍부하며 금·은보다도 내약품성이 강해 금속을 대체할 수 있고, 내열온도 230℃이상, 강도 129㎫이상, 굽힘탄성계수 2.4㎬ 이상의 물성을 갖는 고분자 구조의 수지이다. 따라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은 강도·탄성뿐만 아니라, 내충격성·내마모성·내열성·내한성·내약품성·전기절연성 등이 뛰어나다. 또한 일반 플라스틱은 절연성을 특징으로 삼고 있었는데,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은 분자의 조립법에 따라서 도전성을 지니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을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등과 혼합시킨 섬유강화플라스틱은 더욱 강력한 특성을 발휘한다. 상부하우징(4400)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측에 코일스프링(4100)의 상부가 수용되고, 하부하우징(4200)의 상부에서 하부하우징(4200)을 커버한다. 상부하우징(4400)의 하단 외주면에는 바깥으로 상부플랜지(4410)가 돌출되고,상부하우징(44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4420)이 형성된다. 또한 도 42를 참조하면 상부하우징(4400)이 베이스몸체부(1110)과 결합했을 때, 베이스몸체부(1110)의 하면은 상부플랜지(4410)의 상면과 마주보고, 베이스몸체부(1110)의 하면과 상부플랜지(4410)의 상면과 서로 맞닿았을 때 상부플랜지(4410)는 베이스몸체부(1110)가 하방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상부플랜지(4410)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편(4411)이 설치되고, 볼트(4412)가 고정편(4411)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관통하며 상부플랜지(4410)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복수개의 고정편(4411)이 상부플랜지(44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설치 방식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고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복수개의 고정편(4411)은 하부하우징(4200)을 향한 내측 끝단이 호선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개의 고정편(4411)의 내측 끝단의 곡률반경은 하부하우징(4200)의 곡률반경과 하부플랜지(4210)의 곡률반경의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개의 고정편(4411)은 본 발명이 수평면에 놓여있을 때 단차가 형성된 위치, 즉경사곡면(4211)의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편(4411)이 상부하우징(4400)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하우징(4200)과 상부하우징(4400)은 서로 이탈이 방지되고, 복수개의 고정편(4411)이 제거되어야 하부하우징(4200)과 상부하우징(4400)은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고정편(4411)은 경사곡면(4211)에 맞닿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스프링(4100)은 상부하우징(4400)과 상부지지체(4500)의 하중에 의해 자유로운 상태가 아니라 압박을 받고 있으므로, 고정편(4411)과 경사곡면(4211)이 맞닿아 있으면 본 발명을 보관시 또는 운반시에 상부하우징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코일스프링(4100)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편(4411)의 재질은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플라스틱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며 다양한 재질로 형성가능하다. 도 42 내지 도 43을 참조하면, 상부하우징(4400)이 베이스몸체부(1110)에 형성된 관통공 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에 삽입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예컨대, 나사결합 등)하고, 수평이 아닌 바닥에서 상부하우징(440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부하우징(44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4420)에 의해 베이스몸체부(111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므로 수평을 맞추기 용이하다.The
도 43(a)는 상부하우징(4400)의 상부에 베이스몸체부(1110)가 놓여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 경우 베이스몸체부(1110)와 상부하우징(4400)이 별도의 결합수단 예컨대, 흡착판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43(b) 내지 도 43(d)는 베이스몸체부(1110)과 상부하우징(4400)이 별도의 브래킷(420)에 의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지만, 본 상세한 설명에는 베이스몸체부(1110)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부하우징(4400)이 삽입되어 직접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브래킷(42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설치 또는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부지지체(4500)는 상부하우징(44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코일스프링(4100)의 상단을 지지한다. 상부지지체(4500)의 하면에는 코일스프링(4100)의 상측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받침돌부(4510)가 포함되어 설치되되, 상부받침돌부(4510)는 상부지지체(45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43A shows a state in which the base body portion 1110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도 39 내지 도 41에 도시된 것처럼, 코일스프링(4100)의 상측 내부에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상부받침돌부(4510)가 삽입되어 코일스프링(4100)의 상측 내부와 상부받침돌부(4510)의 외주면이 접하므로 코일스프링(4100)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상부지지체(4500)와 상부받침돌부(4510)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 하지만,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부하우징(4400)의 천장에는 원뿔형으로 오목한 오목부(4430)가 형성되고, 상부지지체(4500)의 상부에 오목부(4430)의 꼭지각보다 좁은 각도로 원뿔형의 볼록부(4520)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오목부(4430)에 볼록부(4520)가 삽입되되 각각의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룬다. 또는 상부하우징(4400)의 천장에는 원뿔형의 볼록부(4440)가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부지지체(4500)의 상면에는 볼록부(4440)의 꼭지각보다 넓은 각도로 원뿔형의 오목부(4530)가 형성되어, 오목부(4530)에 볼록부(4440)가 삽입되되 각각의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룬다. 오목부(4430, 5530)와 볼록부(4440, 520)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겠으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금속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서로 점접촉을 하여 진동을 흡수하기 때문에 접점에서 마찰이 발생하는 것은 필연적이며, 이로 인해 접점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내구성이 요구되고, 따라서 상기에서 언급한 오목부(4430, 5530)와 볼록부(4440, 520) 중 적어도 하나는 열처리 또는 표면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본 발명이 설치된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 측정이나 관측을 위한 장비가 놓여진다면 본 발명이 기울어지는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코일스프링(4100)이 좌굴되면(휘어지면) 진동 흡수가 원활하지 않으므로, 코일스프링(410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설치된 하부받침돌부(4310)와 상부받침돌부(4510)에 의해 일차적으로 코일스프링(4100)의 좌굴을 방지하고, 본 발명이 측정장비나 관측장비의 무게에 의해 기울어지더라도 상부하우징(4400)의 내부 천정과 상부지지체(4500)의 점접촉을 통해 진동이 연직(4鉛直)방향으로 코일스프링(4100)에 전달되므로 진동흡수가 코일스프링(41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는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사용된다. 먼저 상단이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인 하부하우징(4200)의 바닥 상면에 하부지지체(4300)를 설치하고, 바닥 하면에 미끄럼방지부재(4220)를 설치한다 하부하우징(4200)의 상단 외주면에는 하부플랜지(4210)가 바깥으로 돌출되며, 하부플랜지(4210)는 하부하우징(4200)의 외주면과 단차를 이루되, 상기 단차는 하부플랜지(4210)의 하단과 하부하우징(4200)의 외주면을 하방으로 테이퍼진 경사곡면(4211)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압축 코일스프링(4100)을 하부하우징(4200)에 수용시키되, 하부지지체(43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미리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된 하부받침돌부(4310)가 코일스프링(4100)의 하단에서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코일스프링(4100)의 하부 내측과 하부받침돌부(4310)의 외주면은 서로 맞닿으며 코일스프링(4100)의 이동 및 기울어짐은 방지된다. 39 to 41, an upper
그리고 상부지지체(450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된 상부받침돌부(4510)가 코일스프링(4100)의 상단에서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코일스프링(4100)의 상부 내측과 상부받침돌부(4510)의 외주면은 서로 맞닿으며 코일스프링(4100)의 이동 및 기울어짐은 방지된다. 다음으로 하단이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인 상부하우징(4400)이 하부하우징(4200)을 커버하도록 덮으며, 코일스프링(4100)의 상부와 상부지지체(4500)는 당연히 상부하우징(4400)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부하우징(4400)은 하부하우징(4200)의 하부플랜지(421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부하우징(4400)의 하단 외주면에는 바깥으로 돌출된 상부플랜지(4410)가 형성되며, 상부플랜지(4410)의 상방으로 상부하우징(44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4420)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플랜지(4410)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편(4411)이 설치되되, 고정편(4411)에 관통공(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상부플랜지(4410)의 하면에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홈(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이 형성 되어 볼트(4412)에 의한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고정편(4411)은 상부플랜지(4410)의 하면에 기타 다른 방식(4예컨대, 접착 등)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개의 고정편(4411)은 하부하우징(4200)의 경사곡면(4211)을 향한 내측 단부가 하부하우징(4200)의 곡률반경과 하부플랜지(4210)의 곡률반경 사이의 값을 갖는 호선형이고 내측 단부가 경사곡면(4211)을 바라보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고정편(4411)은 경사곡면(4211)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하부하우징(4200)과 상부하우징(440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하우징(4400)의 천장에 원뿔 형태로 오목한 오목부(4430)가 형성되고, 오목부(4430)보다 작은 꼭지각을 갖는 볼록부(4520)가 상부지지체(4500)의 상면에 마련되어 삽입되며, 오목부(4430)와 볼록부(4520)가 각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룬다. 따라서 본 발명이 기울어지게 되더라도 오목부(4430)와 볼록부(4520)가 각 꼭지점에서 점접촉을 하므로 접점을 통해 연직방향으로 코일스프링(4100)에 진동이 전해져서 코일스프링(4100)은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상부하우징(4400)의 천장에 원뿔 형태로 볼록한 볼록부(4440)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볼록부(4440)보다 큰 꼭지각을 같는 오목부(4530)가 상부지지체(4500)의 상면에 마련되어 볼록부(4440)가 오목부(4530)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다음으로 베이스몸체부(1110)에 형성된 관통공(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음)에 상부하우징(4400)을 하측에서 상방으로 삽입한다. 상기 베이스몸체부(1110)의 관통공은 상부하우징(4400)의 나사산(4420)과 대응하여 형성되므로 베이스몸체부(1110)과 상부하우징(4400)은 나사결합하고, 이로 인해 수평이 아닌 바닥면에서도 상부하우징(4400)의 회전을 통해 베이스몸체부(11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베이스몸체부의 수평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 측정이나 관측을 위한 장비를 올려놓고 측정 또는 관측을 수행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410)에 의해 진동이 흡수되므로 더욱 정밀한 측정 또는 관측이 실시될 수 있다.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 측정이나 관측을 위한 장비를 올려놓게 되면, 그 하중에 의해 상부하우징(4400)은 하방으로 압력을 받아 코일스프링(4100)은 압축되고, 고정편(4411)은 경사곡면(4211)이 아닌 하부하우징(4200)의 외면까지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부하우징(4400)이 장비의 하중에 의해 기울어지게 되면 오목부(4430, 5530)와 볼록부(4440, 520)의 점접촉으로 인해 복수개의 고정편(4411) 중 일부가 하부하우징(4200)의 외면 또는 경사곡면(4211)에 닿게 되어 상부하우징(4400)이 더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하우징(4200)의 외면 또는 경사곡면(4211)에 맞닿은 고정편(4411)이 오목부(4430, 5530)와 볼록부(4440, 520)의 접점을 기준으로 낮아지는 만큼 마주하는 고정편(4411)은 들려지게 된다. 만약 측정이나 관측을 위한 장비가 베이스몸체부(1110) 상에서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되었다고 하더라도, 오목부(4430, 5530)와 볼록부(4440, 520)가 점접촉을 이루어 하중과 진동은 연직방향으로 전달되므로 코일스프링(4100)의 탄성계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효과적인 진동 흡수가 가능하다.Next, the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4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코일스프링(4100)과,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코일스프링(4100)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4200)과, 상기 하부하우징(4200) 내부에 설치되고, 상단이 개구되며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하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코일스프링 장착홈(4320)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 장착홈(4320)의 바닥면에서 세로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홀(4330)이 형성된 하부지지체(4300)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측에 코일스프링(4100)의 상부가 수용되고, 하부하우징(4200)의 상부에서 하부하우징(4200)을 커버하는 상부하우징(4400)과, 상기 상부하우징(44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상단을 지지하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내부를 관통하고 상기 하부지지체(4300)의 가이드홀(433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상부받침돌부(4510)가 형성된 상부지지체를 포함한다.In the oth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elements as those in the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are omitted. 44,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부지지체(4300)의 상단이 개구된 코일스프링 장착홈(4320)이 형성되고 코일스프링 장착홈(4320)의 바닥에서 하방으로 가이드홀(4330)이 형성되므로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부지지체(450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상부받침돌부(4510)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코일스프링(4100) 내부를 관통하고, 하부지지체(4300)에 형성된 가이드홀(4330)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하므로, 상부받침돌부(4510)가 가이드홀(4330)에 지지되고 코일스프링(4100)은 상부받침돌부(4510)에 의해 지지되어 코일스프링(4100)의 좌굴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같이 상부하우징(4400)의 천장에는 원뿔형으로 오목한 오목부(4430)가 형성되고, 상부지지체(4500)의 상부에 오목부(4430)의 꼭지각보다 좁은 각도로 원뿔형의 볼록부(4520)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오목부(4430)에 볼록부(4520)가 삽입되되 각각의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룰 수 있다. 또는 상부하우징(4400)의 천장에는 원뿔형의 볼록부(4440)가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부지지체(4500)의 상면에는 볼록부(4440)의 꼭지각보다 넓은 각도로 원뿔형의 오목부(4530)가 형성되어, 오목부(4530)에 볼록부(4440)가 삽입되되 각각의 꼭지점에서 접점을 이룰 수 있다.A coil spring mounting groove 4320 having an opened upper end of the
도 4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4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45 is a view showing a vibration-absorbing
도 45를 참조하면, 상기 진동 흡수 댐퍼(410)는, 코일스프링(4100)과,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4200)과, 상기 하부하우징(4200)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하단을 받치는 하부지지체(4300)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측에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상부가 수용되고, 상기 하부하우징(4200)의 상부에 서 상기 하부하우징(4200)을 커버하는 상부하우징(4400)과, 상기 상부하우징(44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지지체(4500)를 포함한다.45, the vibration-absorbing
상기 하부지지체(43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하측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받침돌부(4310)와, 상기 상부지지체(450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스프링(4100)의 상측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받침돌부(45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받침돌부(4310)는 소정의 제1 중앙몸체(4311)와, 상기 제1 중앙몸체(4311) 양측으로 제1 브릿지(4312)를 매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측면몸체(4313)를 포함한다. A lower
상기 제1 측면몸체(4313)는 외부 제어하에 상기 제1 중앙몸체(4311)로부터 진퇴 유동되며, 상기 상부받침돌부(4510)는 소정의 제2 중앙몸체(4511)와, 상기 제2 중앙몸체(4511) 양측으로 제2 브릿지(4512)를 매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측면몸체(451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측면몸체(4513)는 외부 제어하에 상기 제2 중앙몸체(4511)로부터 진퇴 유동된다.The
상기 코일스프링(4100)은 최상단층 코일스프링과, 최하단층 코일스프링과, 상기 최상단층 코일스프링 및 상기 최하단층 코일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중단층 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The
상기 최상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1 편형상체(4111)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되며, 상기 최하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2 편형상체(4112)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된다.A plurality of predetermined
상기 중단층 코일스프링 상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3 편형상체(4113)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 구비된다. 각각 우측에 제1-1 자력부(4110m1)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1-2 자력부(4111m2)가 구비된다.On the intermediate layer coil spr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상기 제1 편형상체(4111)는 상기 제1-1 자력부(4110m1)가 상기 제1-2 자력부(4111m2)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1 자력부(4110m1)와 상기 제1-2 자력부(4111m2)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된다.The
상기 제2 편형상체(4112)는 각각 우측에 제2-1 자력부(4112m1)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2-2 자력부(4112m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편형상체(4112)는 상기 제2-1 자력부(4112m1)가 상기 제2-2 자력부(4112m2)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된다.The
상기 제2-1 자력부(4112m1)와 상기 제2-2 자력부(4112m2)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편형상체(4113)는 각각 우측에 제3-1 자력부(4113m1)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3-2 자력부(4113m2)가 구비된다.The second-1 magnetic force part 4112m1 and the second -2 magnetic force part 4112m2 are provided so as to have mutually different polarities, and the third
상기 제3 편형상체(4113)는 상기 제3-1 자력부(4113m1)가 상기 제3-2 자력부(4113m2)가 상호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1 자력부(4113m1)와 상기 제3-2 자력부(4113m2)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비된다.The
상기 제3-1 자력부(4113m1) 상에는 소정의 제1 이격거리감지센서(SN1)가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제2-3 자력부(4112m3) 상에는 소정의 제2 이격거리감지센서(SN2)가 하나 이상 구비된다.At least one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sensing sensor SN1 is provided on the third-first magnetic force part 4113m1 and a predetermined second distance sensing sensor SN2 is provided on the second and third magnetic force parts 4112m3. .
상기 제3 편형상체(4113)는, 상측에 제3-3 자력부(4113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3-4 자력부(4113m4)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편형상체(4111) 내지 상기 제3 편형상체는 상호 대응하는 열로 구비된다.The
상기 코일스프링(4100)은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제1-4 자력부(4111m4)와 상기 제3-3 자력부(4113m3)는 상호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4 자력부(4113m4)는 상기 제2-3 자력부(4112m3)와 상호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어, 척력이 작용되는 제1 모드로 유지된다.The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4100)은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제1-4 자력부(4111m4)와 상기 제3-3 자력부(4113m3)는 상호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4 자력부(4113m4)는 상기 제2-3 자력부(4112m3)와 상호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구비되어, 인력이 작용되는 제2 모드로 유지된다.The
상기 제1 편형상체(4111)는 상측에 제1-3 자력부(4111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1-4 자력부(4111m4)가 구비되고, 상기 제2 편형상체(4112)는, 상측에 제2-3 자력부(4112m3)가 구비되며 하측에 제2-4 자력부(4112m4)가 구비된다. The
상기 제3-1 자력부(4113m1) 상에는 소정의 제1 이격거리감지센서(SN1)가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제2-3 자력부(4112m3) 상에는 소정의 제2 이격거리감지센서(SN2)가 하나 이상 구비된다.At least one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sensing sensor SN1 is provided on the third-first magnetic force part 4113m1 and a predetermined second distance sensing sensor SN2 is provided on the second and third magnetic force parts 4112m3.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세면기 카운터 11: 카운터 본체
12: 급수배관 13: 급탕배관
14: 고정클램프 15: 고정수단
16: 볼트 17: 너트
18: 스냅결합구 20: 변기
21: 고무패킹 22: 욕조
22c: 냉온수 꼭지 23: 플렉시블관
EM1 : 결속부재 SN1 : 제1 이격거리감지센서
SN2 : 제2 이격거리감지센서
* 10: Wash basin counter 11: Counter body
12: water supply pipe 13: hot water supply pipe
14: fixing clamp 15: fixing means
16: bolt 17: nut
18: snap fitting 20: toilet seat
21: Rubber packing 22: Bathtub
22c: cold / hot water tap 23: flexible tube
EM1: binding member SN1: first separation distance sensor
SN2: Second separation distance sensor
Claims (1)
상기 진공증착장치는,
내부가 진공장치에 의해 베이스 진공이 형성되도록 된 진공챔버와, 상기 진공챔버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챔버의 양측에서 피가공물을 투입하고 배출하도록 된 한 쌍의 투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공챔버는 소정의 구조물에 의하여 거치되며,
상기 구조물의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베이스몸체부를 거치하도록 구비되는 소정의 진동 흡수 댐퍼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흡수 댐퍼는,
코일스프링과,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부가 수용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을 받치는 하부지지체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으로, 내측에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부가 수용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 서 상기 하부하우징을 커버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을 지지하는 상부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지지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측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받침돌부와,
상기 상부지지체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측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받침돌부를 더 포함하는 세면기 카운터의 급수 및 급탕배관 시스템.
In the washstand counter, the washstand counter includes a water supply pipe fixedly mounted on the counter body to supply cold water to a plurality of pipe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pe mechanism and a connector; And a hot water pipe fixedly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ounter body to supply hot water to the plurality of pipes, The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are fixe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nter body by fixing means, and the fixing means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Which is vacuum-deposited by a vacuum deposition apparatus as a bolt,
The vacuum deposition apparatus includes:
A vacuum chamber in which a base vacuum is formed by a vacuum device, and a pair of charging portion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acuum chamber and adapted to inject and discharge a workpiece from both sides of the vacuum chamber, Is mounted by a predetermined structure,
At least a pair of fixing members provided to abut on at least a part of a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on the base body portion to fix the support portion and a base body portion for supporting the base body portion And a vibration absorbing damper,
Wherein the fixing member includes a bottom portion provided on the base body por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ortion and a fluid body provided on the bottom portion and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ructures that are slidingly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to contact the support portion,
The vibration-
A coil spring, a lower housing in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coil spring is received, a lower suppor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housing to support a lower end of the coil spring, An upper housing accommodating an upper portion of the coil spring in an inner side and covering the lower housing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a lower housing housed in the upper housing, And an upp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upper support,
A lower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and inserted into a lower side of the coil spring,
Further comprising an upper support hole portion projecting downward from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and inserted into an upper side of the coil spr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2142A KR101955915B1 (en) | 2018-07-16 | 2018-07-16 | A supplying water and hot water system of washbowl coun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2142A KR101955915B1 (en) | 2018-07-16 | 2018-07-16 | A supplying water and hot water system of washbowl counte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84246A Division KR101880527B1 (en) | 2017-12-29 | 2017-12-29 | A supplying water and hot water system of washbowl coun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5915B1 true KR101955915B1 (en) | 2019-03-08 |
Family
ID=6580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2142A KR101955915B1 (en) | 2018-07-16 | 2018-07-16 | A supplying water and hot water system of washbowl coun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5915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66592A (en) * | 1997-12-08 | 1999-06-22 | Kumikawa Tekkosho:Kk | Base isolation body |
KR100320082B1 (en) * | 1998-07-02 | 2002-02-19 | 오시덕 |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system of wash basin counter |
KR100879379B1 (en) * | 2008-04-28 | 2009-01-20 | 정도화 | Inline type vacuum coating apparatus |
KR101670277B1 (en) * | 2014-09-25 | 2016-10-28 | 조양근 | Damper |
-
2018
- 2018-07-16 KR KR1020180082142A patent/KR10195591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66592A (en) * | 1997-12-08 | 1999-06-22 | Kumikawa Tekkosho:Kk | Base isolation body |
KR100320082B1 (en) * | 1998-07-02 | 2002-02-19 | 오시덕 | Water supply and hot water piping system of wash basin counter |
KR100879379B1 (en) * | 2008-04-28 | 2009-01-20 | 정도화 | Inline type vacuum coating apparatus |
KR101670277B1 (en) * | 2014-09-25 | 2016-10-28 | 조양근 | Damp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2832B1 (en) | Earthquake-proof Steel Frame Structure | |
CN104937159A (en) | Appliance apparatus including a bonded bracket | |
CN212129695U (en) | Adjustable floor slab reinforcing steel bar protective layer thickness and floor slab thickness control device | |
KR101568957B1 (en) | Shower faucet device having pottery shelf | |
KR101955915B1 (en) | A supplying water and hot water system of washbowl counter | |
KR101954071B1 (en) | A supplying water and hot water system of washbowl counter | |
KR101930675B1 (en) | A supplying water and hot water system of washbowl counter | |
KR101880527B1 (en) | A supplying water and hot water system of washbowl counter | |
US20230279649A1 (en) | Bathtub drain connection systems | |
KR101928702B1 (en) | Asesmbly jig for modular housing | |
CN207397109U (en) | A kind of automatically controlled liquid distribution | |
CN115326668A (en) | Anti-rust and anti-permeability experimental detection equipment for environment-friendly building material and method thereof | |
KR100801546B1 (en) | Waterproof panel in bathroom having maintenance hole | |
RU2582396C2 (en) | Method for producing manhole cover and manhole cover obtained using said method | |
KR101880042B1 (en) | connect module assembly apparatus | |
KR101869210B1 (en) | Evaporation method for locking handle assembly using vacuum evaporation apparatus | |
KR101869209B1 (en) | Locking handle assembly by vaccum deposition apparatus | |
KR101933871B1 (en) | Method improving earthquake resistant capacity of eisting walls using steel plates | |
KR101826190B1 (en) | Reinforcing frame with length regulating means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101947958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insulated exterior wall panel of eco-friendly apartment | |
KR101913073B1 (en) | Constructing method for using the connection equipment of ceiling panel | |
KR101931055B1 (en) | Constructing method for extension of undergroundparking lot in apartment by using of precast concrete | |
KR101915934B1 (en) | PC-SF Method for Construction Duration Reduction of Typical Floor | |
KR101743590B1 (en) | Floor panel with self-leveling | |
CN211289024U (en) | Ground heating coil installation built-in fitt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