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626B1 - 휴대용 전기히터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기히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626B1
KR101954626B1 KR1020160062830A KR20160062830A KR101954626B1 KR 101954626 B1 KR101954626 B1 KR 101954626B1 KR 1020160062830 A KR1020160062830 A KR 1020160062830A KR 20160062830 A KR20160062830 A KR 20160062830A KR 101954626 B1 KR101954626 B1 KR 101954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ember
heating sheet
smart device
control module
flexibl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386A (ko
Inventor
박장웅
장지욱
현병관
조은진
안병완
정운형
Original Assignee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2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626B1/ko
Publication of KR20170132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기히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축성 기판과, 상기 신축성 기판의 일면 상의 설정 중앙 영역에 방사된 전도부재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형성된 투명 전극 및 상기 신축성 기판의 일면 상의 설정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 인터커넥트 전극을 포함하여, 상기 인터커넥트 전극을 통해 전압 인가 시 상기 투명 전극으로 전류가 흐르면서 상기 설정 중앙 영역이 발열되는 발열시트부재; 및 상기 인터커넥트 전극을 통해 상기 발열시트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인터커넥트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고, 별도의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명령을 전송받아 상기 발열시트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기히터장치{Portable electric heater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전기히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성이나 유연성을 갖는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을 이용하며,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어 스마트기기를 통해 조작할 수 있는 휴대용 전기히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 및 실외에서 난로 또는 조리용, 보온용으로 사용하는 가스히터의 경우, 불씨를 사용하기 때문에 화상 및 화재의 위험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기히터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사용하는 히팅수단으로서, 대부분이 전기가 통전됨으로 인해 전기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는 히팅코일을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히팅코일이 사용되는 종래의 전기히터는 상기 히팅코일을 통상의 절연체로 권취 또는 장착 고정하여 그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자연대류에 의해 열풍을 제공하여 히팅하는 방식과 상기 히팅코일의 열을 반사판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열풍을 제공하는 방식 및 히팅코일의 열을 송풍팬 등을 이용하여 송부하는 방식 등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히터에 있어서는 대부분이 취급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휴대 용로로서의 사용이 불가능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서만 사용할 수밖에 없는 조건부적으로 사용이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전력 소모량이 적으며 가스히터보다 안전성이 높고 가벼우면서 휴대가 용이한 전기히터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최근에는 사물 인터넷(IoT)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므로,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로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히터와 스마트 기기를 연동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52237호
본 발명은 신축성이나 유연성을 갖는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을 이용하며, 스마트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어 스마트기기를 통해 조작할 수 있는 휴대용 전기히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축성 기판과, 상기 신축성 기판의 일면 상의 설정 중앙 영역에 방사된 전도부재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형성된 투명 전극 및 상기 신축성 기판의 일면 상의 설정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 인터커넥트 전극을 포함하여, 상기 인터커넥트 전극을 통해 전압 인가 시 상기 투명 전극으로 전류가 흐르면서 상기 설정 중앙 영역이 발열되는 발열시트부재; 및 상기 인터커넥트 전극을 통해 상기 발열시트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인터커넥트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고, 별도의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명령을 전송받아 상기 발열시트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기히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직사각형 형태의 신축성 기판과, 상기 신축성 기판의 일면 상의 설정 중앙 영역에 방사된 전도부재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형성된 투명 전극 및 상기 신축성 기판의 일면 상의 설정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 인터커넥트 전극을 포함하여, 상기 인터커넥트 전극을 통해 전압 인가 시 상기 투명 전극으로 전류가 흐르면서 상기 설정 중앙 영역이 발열되는 발열시트부재; 내부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커넥트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유닛;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무선통신 유닛; 및 상기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커넥트 전극, 상기 배터리 유닛 및 상기 무선통신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상기 무선통신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배터리 유닛의 전원을 온/오프 하거나, 상기 발열시트부재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발열시트부재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시트부재는 상기 인터커넥트 전극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되,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을 둘러 감싸며 구비되는 휴대용 전기히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기히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발열시트부재가 신축성 기판 상에 방사된 전도부재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형성된 투명 전극을 포함하여, 신축성 및 유연성을 가져 휴대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둘째, 발열시트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모듈이 무선통신에 의해 스마트 기기와 연결될 수 있어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스마트 기기를 통해 원격으로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기히터장치가 간략하게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휴대용 전기히터장치의 발열시트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휴대용 전기히터장치의 제어모듈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 따른 발열시트부재의 전압과 온도의 관계가 도시된 사진 및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1 따른 휴대용 전기히터장치와 스마트 기기의 연결관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에 다른 휴대용 전기히터장치와 스마트 기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기히터장치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기히터장치에 대해 설명하여 보면, 상기 휴대용 전기히터장치(1000)는 발열시트부재(100) 및 제어모듈(300)을 포함한다. 상기 발열시트부재(100)는 신축성 기판(110), 투명 전극(미표기) 및 인터커넥트 전극(150)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 전극(미표기)은 상기 신축성 기판(110) 상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도부재(130)가 상기 신축성 기판(110)의 일면 상의 설정 중앙 영역에 방사되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전도부재(130)는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특히, 상기 전도부재(130)는 그물망(mesh) 형상, 웹(web) 형상 또는 일 방향으로 정렬(aligned)된 형상으로 배열되어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상기 투명 전극(미표기)은 예시적으로 전기 방사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의 기 출원된 특허 제10-2013-0152814호 및 제10-2013-0150530호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의 전기 방사 방법을 통해 상기 투명 전극(미표기)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 출원된 특허 제10-2013-0152814호 및 제10-2013-0150530호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투명 전극(미표기)을 형성하는 예로 들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투명 전극(미표기)을 형성하는 방법은 전술한 전기 방사 방법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투명 전극(미표기)은 상기 전도부재(130)를 상기 신축성 기판(110) 상에 직접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투명 전극(미표기)을 형성하는 상기 전도부재(130)는 금속 나노선(nanowire), 나노트로프(nanotrough) 또는 금속 나노섬유(nanofiber) 형상을 갖는다. 한편, 전술에서는 상기 전도부재(130)가 선(wire) 또는 섬유(fiber)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래핀, 전도성 와이어와 그래핀의 하이브리드, 인듐 주석 산화물과 같이 쉽게 부러지는 전도성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신축성 기판(110)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의 형태로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필름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축성 기판(110)을 형성하는 투명 플라스틱은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또는 폴리아닐린(P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신축성 기판(110)이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신축성 또는 유연성을 갖는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신축성 기판(110)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세라믹 기판과 유연성 또는 신축성을 갖는 필름을 조합과 같이 다양한 실시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발열시트부재(100)는 상기 투명 전극(미표기)을 형성하는 상기 전도부재(130)의 밀도 또는 양에 따라 저항이 달라진다. 즉, 상기 전도부재(130)의 밀도 또는 양이 적으면 저항이 커지고, 상기 전도부재(130)의 밀도 또는 양이 많으면 저항이 작아진다.
상기 발열시트부재(100)는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전도부재(130)에 의해 형성된 상기 투명 전극(미표기)으로 전류가 흐르면서 발열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전도부재(130)의 밀도 또는 양은 상기 발열시트부재(100)의 발열 온도에 영향을 준다.
도 4 내지 도 6에는 상기 발열시트부재(100)로 인가되는 전압과 발열 온도의 관계와, 동일한 전압의 인가 시 저항에 따른 발열 온도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시트부재(100)에 인가되는 전압이 클수록 상기 발열시트부재(100)의 발열 온도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발열시트부재(100)에 동일한 전압이 인가되는 될 때 면저항이 다르면 상기 발열시트부재(100)의 발열 온도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약 4.5V의 동일한 전압이 인가될 때, 면저항이 5Ω/sq이면 상기 발열시트부재(100)의 발열 온도는 약 100℃ 이지만, 면저항이 0.5Ω/sq이면 상기 발열시트부재(100)의 발열 온도는 약 180℃ 이다. 즉, 동일한 전압일 때 면저항이 작을수록 상기 발열시트부재(100)의 발열 온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상기 투명 전극(미표기)을 형성하는 상기 전도부재(130)의 밀도 또는 양을 조절하여 상기 발열시트부재(100)의 발열 온도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인터커넥트 전극(1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성 기판(110)의 일면 상의 설정 가장자리 영역에 구비된다. 상기 발열시트부재(100)는 후술되는 상기 제어모듈(3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데, 상기 투명 전극(미표기)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도부재(130)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어모듈(300)과 상기 투명 전극(미표기)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전원 공급이 수월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300)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수월하도록 상기 신축성 기판(110)의 일면 상의 설정 가장자리 영역에 상기 인터커넥트 전극(150)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인터커넥트 전극(150)은 상기 설정 가장자리 영역에만 상기 전도부재(130)를 더 방사하여 상기 설정 중앙 영역보다 좀 더 촘촘하게 네트워크 연결되며 형성될 수도 있고, 전기 전도도가 높은 금속 물질 예를 들면 은(Ag)과 같은 금속 물질을 상기 설정 가장자리 영역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발열시트부재(100)는 부착부재(170)를 더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성 기판(110)의 타면에 상기 부착부재(170)가 구비된다. 상기 부착부재(170)는 예시적으로 상기 신축성 기판(110)의 타면에 자성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자성물질이 시트 또는 필름의 형태로 제공되어 상기 신축성 기판(110)의 타면에 접착되며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성물질은 예시적으로 코발트(Cobalt)가 적용된다. 상기 부착부재(170)에 의해 상기 발열시트부재(100)는 후술되는 상기 제어모듈(300)의 상기 하우징(310)에 부착되며, 휴대가 용이해진다.
상기 발열시트부재(100)는 상기 제어모듈(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모듈(300)은 상기 발열시트부재(100)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전원을 공급하고, 별도로 구비되는 스마트 기기(1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10)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상기 발열시트부재(1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모듈(300)은 하우징(310), 배터리 유닛(330), 제어회로기판(350) 및 무선통신 유닛(37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은 내부공간(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부공간(미도시)에 상기 배터리 유닛(330), 상기 제어회로기판(350) 및 상기 무선통신 유닛(370)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310)이 내부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본 실시예에서만 적용되는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은 금속 소재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발열시트부재(100)에 상기 부착부재(17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310)이 금속 소재로 형성되면, 상기 발열시트부재(100)가 상기 부착부재(170)의 자성에 의해 상기 하우징(31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발열시트부재(100)는 상기 신축성 기판(110)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310)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310)에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착부재(170)에 의해 상기 발열시트부재(100)가 상기 하우징(310)의 외측을 감싸며 부착되어 구비되는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부착부재(170)를 생략하고, 상기 발열시트부재(100)를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10)이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것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일 뿐이다. 따라서 상기 부착부재(170)가 생략된다면, 상기 하우징(310)도 금속 소재가 아닌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유닛(330)은 상기 발열시트부재(100)에 전압을 인가되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 유닛(330)은 예시적으로 리튬이온 배터리가 적용되어 충전을 통해 다수 회 재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배터리 유닛(330)은 리튬이온 배터리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 모듈(350)은 상기 휴대용 전기히터장치(1000)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기기(1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무선통신 모듈(350)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또는 NF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무선통신 모듈(350)이 블루투스로 적용된다. 상기 제어모듈(300)에 상기 무선통신 모듈(350)이 포함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어모듈(300)을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상기 스마트 기기(10)를 통해 상기 발열시트부재(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10)는 예시적으로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또는 스마트 워치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10)에는 상기 휴대용 전기히터장치(10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기기(10)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전기히터장치(10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유닛(330)의 전원을 온(on)/오프(off) 하거나, 상기 발열시트부재(100)의 발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기판(350)은 상기 인터커넥트 전극(150), 상기 배터리 유닛(330) 및 상기 무선통신 유닛(3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기기(10)를 조작하여 전송한 명령을 상기 무선통신 유닛(370)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회로기판(350)은 상기 무선통신 유닛(370)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기기(10)로부터의 명령을 수신한다. 이렇게 수신한 명령에 따라 상기 배터리 유닛(33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발열시트부재(100)에 전압이 인가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10)로부터 수신한 명령에 따라 상기 발열시트부재(100)로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발열시트부재(100)의 발열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제어모듈(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device)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300)의 일부 구성이 고장 또는 손상되더라도 상기 휴대용 전기히터장치(1000)를 교체할 필요 없이, 고장 또는 손상된 구성만을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휴대용 전기히터장치
100: 발열시트부재 110: 신축성 기판
130: 전도부재 150: 인터커넥트 전극
170: 부착부재 300: 제어모듈
310: 하우징 330: 배터리 유닛
350: 제어회로기판 370: 무선통신 유닛
10: 스마트 기기

Claims (15)

  1. 신축성 기판과, 상기 신축성 기판의 일면 상의 설정 중앙 영역에 방사된 전도부재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형성된 투명 전극 및 상기 신축성 기판의 일면 상의 설정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된 인터커넥트 전극을 포함하여, 상기 인터커넥트 전극을 통해 전압 인가 시 상기 투명 전극으로 전류가 흐르면서 상기 설정 중앙 영역이 발열되는 발열시트부재; 및
    상기 인터커넥트 전극을 통해 상기 발열시트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인터커넥트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고, 별도의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명령을 전송받아 상기 발열시트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전극은 전기 방사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어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커넥트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유닛;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무선통신 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커넥트 전극, 상기 배터리 유닛 및 상기 무선통신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상기 무선통신 유닛으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배터리 유닛의 전원을 온/오프 하거나, 상기 발열시트부재로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발열시트부재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시트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어모듈에 설치되되,
    상기 발열시트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신축성 기판의 타면에는 상기 신축성 기판과 함께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고, 자성을 가지는 코발트(Cobalt)로 이루어진 부착부재가 코팅 또는 접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발열시트부재가 상기 제어모듈에 설치될 경우, 상기 부착부재와 접촉되는 상기 하우징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발열시트부재는 자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모듈에 부착 가능한, 휴대용 전기히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재는 그물망(mesh) 형상, 웹(web) 형상 또는 일 방향으로 정렬(align)된 형상으로 배열되는 휴대용 전기히터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기판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투명 플라스틱은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Polydimethylsiloxane),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또는 폴리아닐린(PA)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기히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부재는 금속 나노선, 나노트로프(nanotrough) 또는 금속 나노섬유(nanofiber) 형상을 가지는 휴대용 전기히터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유닛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또는 NFC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기히터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062830A 2016-05-23 2016-05-23 휴대용 전기히터장치 KR101954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830A KR101954626B1 (ko) 2016-05-23 2016-05-23 휴대용 전기히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830A KR101954626B1 (ko) 2016-05-23 2016-05-23 휴대용 전기히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386A KR20170132386A (ko) 2017-12-04
KR101954626B1 true KR101954626B1 (ko) 2019-03-07

Family

ID=6092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830A KR101954626B1 (ko) 2016-05-23 2016-05-23 휴대용 전기히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62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3041A (ja) * 2008-10-27 2010-05-06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透明フィルムヒーター、ヒーター機能付きガラス、ヒーター機能付き合わせガラスおよび自動車用窓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494B1 (ko) * 2009-03-20 2015-10-1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가요성 투명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210539B (zh) * 2010-11-17 2016-01-20 乐金华奥斯有限公司 具有散热和发热功能的电池组件
KR20130020178A (ko) * 2011-08-19 2013-02-2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발열 의류의 온도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온도제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된 모바일단말 및 그 제어방법
KR101452237B1 (ko) 2013-02-19 2014-10-23 (주) 파루 투명기판을 이용한 히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3041A (ja) * 2008-10-27 2010-05-06 Konica Minolta Holdings Inc 透明フィルムヒーター、ヒーター機能付きガラス、ヒーター機能付き合わせガラスおよび自動車用窓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386A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365062U (zh) 独立受控的ptc加热器和装置
CN205624475U (zh) 连接器及包含该连接器的供电电源、雾化器、电子烟
WO2013106682A1 (en) Printed circuit board with embedded heater
KR20120053476A (ko) 방열과 발열 기능을 가지는 전지 조립체
CN105433679B (zh) 电热毯
KR101260624B1 (ko) 스탠드형 및 휴대형 겸용 면상전열기
KR101954626B1 (ko) 휴대용 전기히터장치
US20080056692A1 (en) Heating device
CN105433722B (zh) 晾衣架
CN105451380B (zh) 加热垫
CN105433464B (zh) 护腰
EP3466196A1 (en) Heating element having a cnt coating
KR101220115B1 (ko) 온풍-온수 발생 장치
KR101263803B1 (ko) 난방장치가 내장된 책상
KR101540654B1 (ko) 스테인리스 후막형 히터의 패턴구조
CN105433466B (zh) 护膝
CN210004502U (zh) 一种远红外线辐射式取暖器
KR102204135B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테이프 원단의 점착액 건조장치
CN202323517U (zh) 一种方便电熨斗
CN207113117U (zh) 一种红外加湿装置及空调
KR102005797B1 (ko) 판상 발열체가 구비된 온열치료기
CN105434099B (zh) 暖手宝
CN204908097U (zh) 帽子
CN205041599U (zh) 暖手宝
KR101586571B1 (ko) 전극 플레이트를 이용한 열간성형용 소재 가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