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622B1 -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이중 단열 및 방수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이중 단열 및 방수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4622B1 KR101954622B1 KR1020180052607A KR20180052607A KR101954622B1 KR 101954622 B1 KR101954622 B1 KR 101954622B1 KR 1020180052607 A KR1020180052607 A KR 1020180052607A KR 20180052607 A KR20180052607 A KR 20180052607A KR 101954622 B1 KR101954622 B1 KR 1019546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low
- air
- pressure
- insulating 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이중 단열 및 방수구조는 상기 베이스 층부 상부에 단열 소재의 층으로 형성되는 단열층부; 상기 단열층부 상부에 구비되는 저압 단열층 저층부과, 상기 저압 단열층 저층부 상부에 구비되는 저압 단열층 중층부와, 상기 저압 단열층 중층부 상부에 구비되는 저압 단열층 상층부와, 상기 저압 단열층 저층부와 상기 저압 단열층 중층부 사이의 제1층에 구비되고 동시에 상기 저압 단열층 중층부와 상기 저압 단열층 상층부 사이의 제2층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저압 단열층 상층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저압 단열층; 상기 저압 단열층을 저압으로 유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저압 단열층 상부에 구비되는 방수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압 단열층은, 상기 저압 단열층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기 배출부; 상기 저압 단열층 내의 환기를 단속하는 환기부; 및 상기 환기부를 통하여 상기 저압 단열층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 주차장의 바닥에 형성되는 방수층 아래의 지지층에서 습기 또는 누수에 의한 물기를 강제적으로 배출하도록 함과 아울러, 실질적으로 습기가 존재하지 않도록 실시간으로 건조시키는 공동주택 지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은 각종 건물의 옥외, 지상, 옥내, 지하에 시공되거나 별도의 주차빌딩으로 시공되며, 그 바닥은 콘크리트, 모르타르 또는 철판 등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주차장 바닥은 물기로 철판이나 철근이 부식되거나 아래층으로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방수바닥재 처리가 되어야 하며, 차량의 주행소음을 줄이고, 차량의 주행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처리되어야 함과 동시에,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처리되어야 한다.
예컨대, 물의 유동특성, 방수재료의 특성, 콘크리트 상태, 외부환경 요건에 따라 주차장 바닥에 대한 방수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바닥의 함수율이 높으면 방수층이 바닥에 부착되어 재료의 성능을 발휘하는데 나쁜 영향을 끼치며, 시공후 온도변화나 충격 등에 의한 수축 및 팽창에 의하여 바닥과 방수층 사이에 에어 포켓(Air P ocket)이 생기거나 방수층에 핀홀이 생기고, 방수층이 찢기거나 파단되는 형상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이 나타나면, 보수공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동일한 방수공법으로 보수가 이루어지더라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나타나, 주차장 바닥의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들게 되므로, 이를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3168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방수구조"(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를 들 수 있다.
다만, 선행기술의 경우에도 진공층의 실질적인 진공의 형성이 어려워 진공층 내에서의 습도가 증가하고 결로가 발생하여 위생적인 못한 환경이 조성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누수 배출 및 방수 처리를 효율적으로 하면서도 단열 효과 또한 증대시킬 수 있는 방수 및 단열구조를 구비하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질적인 진공의 형성이 어려운 상황하에서도 단열 및 배수를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습기가 집중될 수 있는 공간의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지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이중 단열 및 방수구조는 상기 베이스 층부 상부에 단열 소재의 층으로 형성되는 단열층부; 상기 단열층부 상부에 구비되는 저압 단열층 저층부과, 상기 저압 단열층 저층부 상부에 구비되는 저압 단열층 중층부와, 상기 저압 단열층 중층부 상부에 구비되는 저압 단열층 상층부와, 상기 저압 단열층 저층부와 상기 저압 단열층 중층부 사이의 제1층에 구비되고 동시에 상기 저압 단열층 중층부와 상기 저압 단열층 상층부 사이의 제2층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저압 단열층 상층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저압 단열층; 상기 저압 단열층을 저압으로 유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저압 단열층 상부에 구비되는 방수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압 단열층은, 상기 저압 단열층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기 배출부; 상기 저압 단열층 내의 환기를 단속하는 환기부; 및 상기 환기부를 통하여 상기 저압 단열층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물기 배출부는 상기 저압 단열층 중 상기 제1층의 물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층의 물기를 상기 제1층으로 유입시키는 배수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부는 상기 가열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가열된 에어를 상기 저압 단열층 내로 공급하는 에어 유입관과, 상기 저압 단열층 내를 순환하는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유입관은 상기 저압 단열층의 모서리 부분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유입관은 상기 제1층에 에어를 유입시키는 제1 에어 유입관과, 상기 제2층에 에어를 유입시키는 제2 에어 유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배출관은 상기 제1층으로부터 에어를 배출시키는 제1 에어 배출관과, 상기 제2층으로부터 에어를 배출시키는 제2 에어 배출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에어 유입관과 상기 제2 에어 유입관으로 공급되는 에어를 각각 단속하는 에어분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수 배출 및 방수 처리를 효율적으로 하면서도 단열 효과 또한 증대시킬 수 있는 방수 및 단열구조를 구비하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 및 배수를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습기가 집중될 수 있는 공간의 습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방수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단열층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방수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실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분배기의 모습 및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단열층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방수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실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분배기의 모습 및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방수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방수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방수구조는 베이스 층부(100), 상기 베이스 층부(100) 상부에 단열 소재의 층으로 형성되는 단열층부(200), 저압 단열층(300) 및 방수층(400)을 포함한다.
이 때 단열층부(200)는 복수의 단열판을 배열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압 단열층(300)은 저압을 유지하여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는 기능과 배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선행문헌의 경우 상부에 배수층을 형성하고, 배수층의 하단에 진공 단열층을 형성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실질적인 진공 환경의 조성이 어렵고 실질적인 진공 환경의 조성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이에 투입되는 자원 및 에너지가 과도하여 패시브 하우스의 추세에는 적합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선행문헌의 경우 진공 단열층에 실질적인 누수 및 습기의 유입이 발생하게 되어 관리가 더욱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압의 단열층을 형성하여 이를 통하여 배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지하주차장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습기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압 단열층(300)은 단열층부(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저압 단열층 저층부(310)과, 상기 저압 단열층 저층부(3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저압 단열층 상층부(315)와, 상기 저압 단열층 저층부(310)와 상기 저압 단열층 상층부(315)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저압 단열층 상층부(315)를 통하여 전달되는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20)를 구비한다. 이 때 지지부재(320)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580)은 저압 단열층(300)을 저압으로 유지시키도록 기압을 제어하며, 필요 시 저압 단열층(300)의 기밀을 단속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580)는 저압 단열층(300) 내를 저압으로 유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상태와, 환기부(500)를 제어하여 저압 단열층(300) 내를 가열된 공기로 환기 시킨 후 상기 제1 제어상태로 회귀하는 제2 제어상태와, 물기 배출부(600)를 제어하여 저압 단열층(300) 내의 물기를 제거하고, 상기 제2 제어상태를 수행한 후 다시 상기 제1 제어상태로 회귀하는 제3 제어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방수층부(400)는 상기 저압 단열층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방수층 부(400)에는, 외부의 열원에 의하여 가열되는 격자 형상의 철근(410)이 배설될 수 있다.
저압 단열층(300)은, 내부의 수분을 물기 배출관(6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물기 배출부(600)와, 저압 단열층(300) 내의 환기를 단속하는 환기부(500) 및 환기부(500)를 통하여 저압 단열층(300)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597)를 포함한다.
환기부(500)는 가열부(597)를 통하여 유입되는 가열된 에어를 저압 단열층(300) 내로 공급하는 에어 유입관(590)과, 저압 단열층(300) 내를 순환하는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 배출관(5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단열층의 구획 구조 및 구획 부재를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저압 단열층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획 부재는 제1 구획부재(710)와 제2 구획부재(720)로 구분된다. 제1 구획부재(71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양 지지부재에 각각 밀착 접촉하여 고정시키는 제1 접촉부(715)와, 상기 제1 접촉부들(715)의 중앙측들을 연결하는 제1 막이부(713)을 포함한다. 제1 막이부(713)는 인접하는 지지부재간을 가로막아 구획하는 기능을 한다.
제2 구획부재(72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양 지지부재에 각각 접촉하여 고정시키는 제2 접촉부(725)와, 제2 접촉부(725)들의 양측 단부측들을 연결하는 제2 막이부(723)을 포함한다. 제2 막이부(723)는 인접하는 지지부재간을 가로막는 기능을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구획부재(710)는 저압 단열층 (300) 내의 공간 중 모서리 및 중앙측 (R2)을 구획하도록 구비되고, 제2 구획부재(720)는 저압 단열층 내의 공간 중 꼭지점에 인접하는 위치 (R1)에 구비된다. 그 결과 구획부재에 의하여 구획되는 유로는 종단면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적이 상기 저압 단열층의 꼭지점, 모서리 및 중앙측의 순으로 적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누수나 습기에 가장 많이 노출되는 지점인 사각형상 중 꼭지점 부분과 모서리 부분에서 에어의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습기 관리가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된다.
환기부는 상기 가열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가열된 에어를 상기 저압 단열층 내로 공급하는 에어 유입관(591)과, 저압 단열층(300) 내를 순환하는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 배출관(592)을 포함한다. 이 때 에어 유입관(591)은 상기 저압 단열층(300)의 모서리 부분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획부재(710, 720)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는 에어 유입관(591)이 연결된 지점으로부터 저압 단열층(300)의 외곽을 일주한 후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에어 유입관이 연결된 지점과 인접한 지점에서 에어 배출관(592)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추후 에어 분배기에 의한 에어의 유입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이중 단열 및 방수구조를 설명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방수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압 단열층(300)은 제1층(300a) 및 제2층(300b)의 이중층으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저압 단열층(300)은 저압 단열층 저층부(310)와 저압 단열층 상층부(315) 사이에 중층부가 더 게재되며, 제1층(300a)과 제2층(300b) 사이에는 각각 복수의 지지부재(320)들이 구비된다.
이외의 구성들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큰 차이가 없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제2층(300b)으로부터 물기를 제1층(300a)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배수로(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층(300a)에만 물기 배출부(600)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 환기를 위한 에어분배기(500)의 면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단열 및 방수구조를 위한 환기시스템을 위한 에어분배기를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실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9 내지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분배기의 모습 및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에어분배기(500)는 가열된 에어를 보내기 위한 팬 등의 구성부 이외에도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린더 타입의 분배기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압 실린더실(520)는 쇼바(521)과 연결암(522)과 피스톤(525)를 포함한다. 연결암(522)은 쇼바(521)의 작동에 따라 왕복운동을 하게 되며, 그 결과 피스톤(525)이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이 때 피스톤(525)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총 4개의 패스(Pt1, Pt2, Pt3, Pt4)가 형성된다. 각 패스들은 피스톤(5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 때 연결암(522)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패스(Pt1), 제2 패스(Pt2), 제3 패스(Pt3) 및 제4 패스(Pt4)라 한다. 이 때 각 패스들은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에어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로서 기능한다. 제1 패스(Pt1) 및 제3 패스(Pt3)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패스(Pt2) 및 제4 패스(Pt4)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고 동시에 중앙측으로부터 일 측면을 향하여 관통된 T자형 유로를 형성한다.
즉, 에어분배기는, 내측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실린더실(510) 및 상기 실린더실 내를 왕복하는 피스톤(525)을 포함한다. 다만, 이 때 피스톤(525)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실)510)의 내측 공간은 상기 피스톤(525)과 형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 및 실린더를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현실적으로 대형의 정확한 원형의 피스톤을 제작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실린더와 피스톤을 제조하는 것이 정밀도의 향상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유입관은 [가열부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는 주에어 유입관(597)], [제2 에어 유입관(591b)] 및 [제1 에어 유입관(591a)]로 구분된다. 또한 에어 배출관은 [제1 배출관(592a)], [제2 배출관(592b)] 및 [제1 배출관(592a) 및 제2 배출관(592b)이 합류되는 주 에어 배출관(597)]로 구분된다.
실린더실(510)에는 길이 방향의 일 지점으로부터 인접하는 3면에 각각 [가열부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는 주에어 유입관(597)], [제2 에어 유입관(591b)] 및 [제1 에어 유입관(591a)]이 연결 및 연통되고, 이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지점에서 인접하는 3면에 각각 [제1 배출관(592a)], [제2 배출관(592b)] 및 [제1 배출관(592a) 및 제2 배출관(592b)이 합류되는 주 에어 배출관(597)]이 연결 및 연통된다.
실린더실(510)은, 피스톤(525)의 이동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패스(Pt1) 또는 제2 패스(Pt2)가 [상기 가열부로부터 에어가 공급되는 주에어 유입관], [제2 에어 유입관] 및 [제1 에어 유입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 패스(Pt3) 또는 제4 패스(Pt4)가 [제1 배출관(592a)], [제2 배출관(592b)] 및 [제1 배출관(592a) 및 제2 배출관(592b)이 합류되는 주 에어 배출관(597)]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525)이 제2 위치에서 제2 패스(Pt2)가 주에어 유입관(596)에 연통되는 개구부(512), 제1 에어 유입관(591a)에 연통되는 개구부(514), 제2 에어 유입관(591b)에 연통되는 개구부(516)들 사이를 연통시키고, 제4 패스(Pt4)가 주 제어 배출관(597)에 연통되는 개구부(511), 제1 에어 배출관(592a)에 연통되는 개구부(513), 제2 에어 배출관(592b)에 연통되는 개구부(515)들 사이를 연통시킨다.
피스톤(525)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1 패스(Pt1)가 주에어 유입관(596)과 제1 에어 유입관(591a) 사이를 연통시키고 제2 에어 유입관(591b)는 폐쇄된 상태가 되며, 제3 패스(Pt3)가 주 에어 배출관(597)과 제1 에어 배출관(592a) 사이를 연통시키고, 제2 에어 배출관(592b)는 폐쇄시키게 된다.
에어분배기는 상기 제1 에어 유입관을 통하여 에어를 공급하는 제1 공급상태와, 상기 제1 에어 유입관 및 상기 제2 유입관을 통하여 에어를 함께 공급하는 제2 공급상태로 에어를 공급하며, 제1 에어 배출관을 통하여 에어를 배출하는 제1 배출상태와, 상기 제1 에어 배출관 및 상기 제2 배출관을 통하여 에어를 함께 공급하는 제2 배출상태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상기 저압 단열층 내를 저압으로 유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상태; 상기 환기부를 제어하여 상기 저압 단열층 내를 가열된 공기로 환기 시킨 후 상기 제1 제어상태로 회귀하는 제2 제어상태; 상기 물기 배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저압 단열층 내의 물기를 제거하고, 상기 제2 제어상태를 수행한 후 상기 제1 제어상태로 회귀하는 제3 제어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제1층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제2 제어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2층은 일정 습도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제2 제어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를 통하여 환기 및 습기의 제거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제1층의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 이상인 경우 및 상기 제1층으로 유입된 누수량이 일정 이상인 경우 상기 제3 제어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제어상태는 상기 제1층 및 제2층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0: 베이스층
200: 단열층
300: 저압 단열층
400: 방수층
500: 에어분배기
200: 단열층
300: 저압 단열층
400: 방수층
500: 에어분배기
Claims (5)
- 베이스 층부;
상기 베이스 층부 상부에 단열 소재의 층으로 형성되는 단열층부;
상기 단열층부 상부에 구비되는 저압 단열층 저층부과, 상기 저압 단열층 저층부 상부에 구비되는 저압 단열층 중층부와, 상기 저압 단열층 중층부 상부에 구비되는 저압 단열층 상층부와, 상기 저압 단열층 저층부와 상기 저압 단열층 중층부 사이의 제1층에 구비되고 동시에 상기 저압 단열층 중층부와 상기 저압 단열층 상층부 사이의 제2층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저압 단열층 상층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저압 단열층;
상기 저압 단열층을 저압으로 유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저압 단열층 상부에 구비되는 방수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압 단열층은,
상기 저압 단열층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기 배출부;
상기 저압 단열층 내의 환기를 단속하는 환기부;
상기 환기부를 통하여 상기 저압 단열층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지지부재 사이를 가로막아 상기 저압 단열층 내측 공간을 에어가 순환하는 일련의 유로를 형성하는 구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재에 의하여 구획되는 유로는 종단면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적이 상기 저압 단열층의 꼭지점, 모서리 및 중앙측의 순으로 적게 형성되고,
상기 구획부재는,
인접하는 양 지지부재에 각각 접촉하여 고정시키는 제1 접촉부와, 상기 제1 접촉부들의 중앙측들을 연결하여 상기 인접하는 지지부재간을 가로막는 제1 막이부를 포함하는 제1 구획부재; 및
인접하는 양 지지부재에 각각 접촉하여 고정시키는 제2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들의 양측 단부측들을 연결하는 상기 인접하는 지지부재간을 가로막는 제2 막이부를 포함하는 제2 구획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막이부는 상기 저압 단열층 내의 공간 중 꼭지점에 인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막이부는 상기 저압 단열층 내의 공간 중 모서리 및 중앙측을 구획하도록 구비되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이중 단열 및 방수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기 배출부는 상기 저압 단열층 중 상기 제1층의 물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이중 단열 및 방수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의 물기를 상기 제1층으로 유입시키는 배수로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이중 단열 및 방수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부는 상기 가열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가열된 에어를 상기 저압 단열층 내로 공급하는 에어 유입관과, 상기 저압 단열층 내를 순환하는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유입관은 상기 저압 단열층의 모서리 부분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이중 단열 및 방수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유입관은 상기 제1층에 에어를 유입시키는 제1 에어 유입관과, 상기 제2층에 에어를 유입시키는 제2 에어 유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배출관은 상기 제1층으로부터 에어를 배출시키는 제1 에어 배출관과, 상기 제2층으로부터 에어를 배출시키는 제2 에어 배출관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에어 유입관과 상기 제2 에어 유입관으로 공급되는 에어를 각각 단속하는 에어분배기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이중 단열 및 방수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2607A KR101954622B1 (ko) | 2018-05-08 | 2018-05-08 |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이중 단열 및 방수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2607A KR101954622B1 (ko) | 2018-05-08 | 2018-05-08 |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이중 단열 및 방수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4622B1 true KR101954622B1 (ko) | 2019-03-06 |
Family
ID=65760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2607A KR101954622B1 (ko) | 2018-05-08 | 2018-05-08 |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이중 단열 및 방수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462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9864B1 (ko) | 2020-08-19 | 2021-06-30 | 주식회사 예준엘앤씨 | 건축용 단열 배수판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3168B1 (ko) * | 2016-03-14 | 2016-09-01 | 주식회사 서원종합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방수구조 |
JP6009662B2 (ja) * | 2012-06-12 | 2016-10-19 | エレクトリシテ・ドゥ・フランス | 断熱装置及び断熱装置を管理する方法 |
-
2018
- 2018-05-08 KR KR1020180052607A patent/KR1019546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09662B2 (ja) * | 2012-06-12 | 2016-10-19 | エレクトリシテ・ドゥ・フランス | 断熱装置及び断熱装置を管理する方法 |
KR101653168B1 (ko) * | 2016-03-14 | 2016-09-01 | 주식회사 서원종합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방수구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9864B1 (ko) | 2020-08-19 | 2021-06-30 | 주식회사 예준엘앤씨 | 건축용 단열 배수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64338B2 (en) | Building designs and heating and cooling systems | |
KR101653168B1 (ko) |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방수구조 | |
KR101954622B1 (ko) |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이중 단열 및 방수구조 | |
KR101954621B1 (ko) |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방수구조 | |
KR101944712B1 (ko) |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방수구조를 위한 저압 단열층 구조 | |
KR101944709B1 (ko) | 공동주택 단열 및 방수구조를 위한 환기 제어시스템 | |
KR101944710B1 (ko) | 공동주택 단열 및 방수구조를 위한 환기시스템 | |
KR100698021B1 (ko) | 유출지하수 및 지열원 열펌프를 이용한 건물냉난방시스템 | |
KR101653519B1 (ko) | 지열을 이용한 이격공간 단열주택 | |
US10563394B2 (en) | Building unit and building | |
KR20130085675A (ko) | 중앙식 건물환기장치 | |
JP2003336910A (ja) | 建物の空調装置 | |
JP5094637B2 (ja) | 建物の暖冷房を備えた給排気装置 | |
US20210095896A1 (en) | Building Designs and Heating and Cooling Systems | |
JP3787599B2 (ja) | クリーンルーム建築物 | |
KR101344030B1 (ko) | 냉동 저온 창고 건축물 | |
KR20140063172A (ko) | 바닥 난방 시스템 | |
JP2003056885A (ja) | 免震建物における熱利用システム | |
KR200360533Y1 (ko) | 평탄한 외면을 갖는 히팅 패널 | |
Yost et al. | Basement insulation systems | |
KR100521329B1 (ko) | 평탄한 외면을 갖는 히팅 패널 | |
FI20216214A1 (fi) | Rakennusmoduulijärjestelmä ja rakennusmoduuli | |
KR20130099388A (ko) | 냉,난방이 가능한 온돌패널 | |
CA3079327A1 (en) | Portable residential building for placement without foundation | |
KR102013339B1 (ko) | 건식 온돌 바닥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