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492B1 - 튜브연결용 피팅장치 - Google Patents

튜브연결용 피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492B1
KR101954492B1 KR1020160084161A KR20160084161A KR101954492B1 KR 101954492 B1 KR101954492 B1 KR 101954492B1 KR 1020160084161 A KR1020160084161 A KR 1020160084161A KR 20160084161 A KR20160084161 A KR 20160084161A KR 101954492 B1 KR101954492 B1 KR 101954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pe
tube
connection
sealing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4517A (ko
Inventor
태동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4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492B1/ko
Publication of KR20180004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25B41/0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2Preventing,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of refrigeration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튜브연결용 피팅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연결대상이 되는 한 쌍의 튜브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튜브와 연결되는 제1유로 및 제1유로와 연결되는 삽입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1연결관과; 연결대상이 되는 한 쌍의 튜브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고, 튜브와 연결되는 제2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삽입공간에 직선방향으로 삽입되어 제1유로와 제2유로가 연결되도록 제1연결관과 연결되는 제2연결관과;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 중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게 마련되는 걸림돌기와;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며, 걸림돌기가 직선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삽입부, 및 삽입부에 삽입된 걸림돌기와 간섭되어 걸림돌기의 직선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간섭돌기를 포함하는 위치구속부; 및 직선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연결관의 내측 단부와 제2연결관의 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삽입공간에 구비되는 제1실링부;를 포함하고, 제1실링부는, 걸림돌기를 간섭돌기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이 가해지도록 제1연결관의 내측 단부와 제2연결관의 단부 사이를 벌리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튜브연결용 피팅장치{FITTING APPARATUS FOR CONNECTING TUBE}
본 발명은 튜브연결용 피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분리된 한 쌍의 튜브를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튜브연결용 피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저장실로서 음식물 또는 음료 등과 같은 식품 또는 그외 저장물을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저장물을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근래에는 생활의 편리성 및 저장공간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대형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냉장고는 냉동실이 상부에 마련되는 일반형과, 냉동실이 좌우 일측에 마련되는 양문형과, 냉동실이 하부에 마련되는 혼합형 등 종류가 다양해 지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 중에는 도어의 전면 쪽에서 음용수를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나 저장실 내에서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제빙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냉장고는 도어 전면 쪽의 디스펜서나 냉동실의 제빙장치 쪽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시스템 뿐 아니라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수필터와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정수필터 및 물탱크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마련되며, 물탱크는 주로 냉장실 후방에 배치되고, 정수필터는 저장실 상부 일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정수를 이송시키는 호스가 다양한 필터 사이, 필터와 정수탱크 사이 등에 설치되며, 호스와 호스의 연결 부위는 피팅(Fittng)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피팅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푸시 인(Push-in) 방식의 피팅(30)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데, 이러한 피팅(30)은 바디(34), 날카로운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콜릿(Collet;32) 및 오링(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피팅(30)에 호스(24)를 연결하기 위해, 호스(24)를 콜릿(32)의 구멍을 통하여 삽입하면, 삽입된 호스(24)는 상기 콜릿(32)의 돌기(31)에 의해 빠지지 않게 고정되고, 오링(33)에 의해 누수가 방지되며, 상기 콜릿(32)은 바디(34)과 소정의 간격(e)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피팅(30)에 결합된 호스(24)를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콜릿(32)의 노출된 단부표면(32a)을 피팅(30)의 내측방향으로 누르거나, 별도의 제거기를 콜릿(32)으로 삽입하여 호스(24)와 돌기(31)의 맞물림을 해제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콜릿(32)의 노출된 단부표면(32a)은 그 지름이 일반적으로 바디(34)의 지름보다도 작은(약 2~5㎜)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콜릿(32)의 단부표면(32a)을 누르는 방법은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이용하기 불편하며, 별도의 제거기를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별도의 제거기를 항상 소지하고 다녀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식의 피팅(30)에 따르면, 콜릿(32)의 돌기(31)로 인해 호스(24)에 손상이 발생될 위험성이 있고, 호스(24)의 손상으로 인해 누수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높은 기밀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튜브의 연결 작업, 또는 해체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튜브연결용 피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튜브의 연결 또는 분리 과정에서 튜브에 손상이 발생될 위험이 적고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튜브연결용 피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연결용 피팅장치는: 연결대상이 되는 한 쌍의 튜브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제1유로 및 상기 제1유로와 연결되는 삽입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1연결관과; 연결대상이 되는 한 쌍의 튜브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제2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에 직선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1연결관과 연결되는 제2연결관과; 상기 제1연결관과 상기 제2연결관 중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게 마련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제1연결관과 상기 제2연결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직선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걸림돌기와 간섭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상기 직선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간섭돌기를 포함하는 위치구속부; 및 상기 직선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연결관의 내측 단부와 상기 제2연결관의 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삽입공간에 구비되는 제1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실링부는,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간섭돌기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제1연결관의 내측 단부와 상기 제2연결관의 단부 사이를 벌리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위치구속부는, 상기 제1연결관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위치구속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연결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돌기 형태로 상기 제2연결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직선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삽입공과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1연결관과 상기 간섭돌기 사이로 삽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2삽입공이 "ㄴ"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삽입공은, 상기 걸림돌기의 길이에 대응되는 폭의 통로가 마련되도록 상기 제1연결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연결관의 내측 단부에는 상기 제1실링부가 안착되는 제1실링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실링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연결관의 단부 측을 향해 상기 제1실링홈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탄성재질의 오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연결관의 내주면과 상기 제2연결관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공간에 구비되는 제2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연결관 또는 상기 제2연결관을 상기 튜브와 연결시키는 압착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착연결부는, 상기 튜브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상기 제1연결관 또는 상기 제2연결관의 외측 단부로부터 돌출되게 연장되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압착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끼움부의 외부에 끼워진 상기 튜브를 외부에서 감싸며 상기 튜브와 밀착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연결관 또는 상기 제2연결관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상기 제1연결관 또는 상기 제2연결관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밀착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연결관 또는 상기 제2연결관과 상기 끼움부 사이의 경계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경계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1결합부의 단부가 상기 경계면과 간섭되어 상기 밀착커버의 일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상기 제1연결관 또는 상기 제2연결관과 상기 제2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밀착커버의 타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튜브연결용 피팅장치에 따르면, 별도의 도구 없이도 연결관을 끼워 돌리거나 돌려 빼는 것만으로 튜브의 연결 및 연결 해제가 이루어지므로, 튜브의 연결 작업, 또는 해체 작업을 쉽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고, 냉장고나 정수기 내부와 같이 협소하고 여러 부속품들이 배치되어 복잡한 공간에서도 튜브의 연결 작업, 또는 해체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발명은 튜브의 연결과 분리가 튜브가 직접 연결된 부분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의 결합 부분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루어도록 함으로써, 튜브의 연결 또는 분리 과정에서 튜브에 손상이 발생될 위험이 적고, 튜브의 손상으로 인해 누수가 발생될 위험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실링부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과 걸림돌기와 위치구속부 간의 걸림 결합에 의한 가압력의 상호 작용에 의해 기밀 성능 향상과 연결관의 결합력 상승효과가 함께 제공되므로, 높은 구조적 안정성과 향상된 기밀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피팅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연결용 피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연결용 피팅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튜브연결용 피팅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연결용 피팅장치의 조립 전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연결관이 제2연결관에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연결용 피팅장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1연결관이 제2연결관에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1연결관이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튜브연결용 피팅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연결용 피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연결용 피팅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튜브연결용 피팅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2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의 "Ⅵ"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5의 "Ⅶ"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튜브연결용 피팅장치(100)는,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과 걸림돌기(121)와 위치구속부(111) 및 제1실링부(130)를 포함한다.
제1연결관(110)은, 연결대상이 되는 한 쌍의 튜브(10,20) 중 어느 하나(이하 "제1튜브(10)"라 한다)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관(110)은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측이 개방된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연결관(110)의 내부에는 제1튜브(1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와 연결되는 제1유로(a)가 형성된다.
제1연결관(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유로(a)의 일측은 제1연결관(110) 내부의 삽입공간과 연통되고, 이러한 제1유로(a)의 타측은 제1연결관(110)의 연결대상이 되는 제1튜브(10)의 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관(120)은. 연결대상이 되는 한 쌍의 튜브(10,20) 중 다른 하나(이하 "제2튜브(20)"라 한다)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연결관(120)은 제1연결관(11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2연결관(120)의 내부에는 제2튜브(2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와 연결되는 제2유로(b)가 형성된다.
제2연결관(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유로(b)의 일측은 제1연결관(110) 내부의 삽입공간에서 제1유로(a)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유로(b)의 타측은 제2연결관(120)의 연결대상이 되는 제2튜브(20)의 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제2연결관(120)은, 제1연결관(110)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공간에 직선방향(l)으로 삽입되어 제1연결관(110)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제1연결관(110) 내부의 제1유로(a)와 제2연결관(120) 내부의 제2유로(b)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대상이 되는 한 쌍의 튜브(10,20)가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 간의 연결을 매개로 서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되는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연결 상태의 고정은, 걸림돌기(121)와 위치구속부(111)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돌기(121)는,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 중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걸림돌기(121)와의 걸림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121)가 제2연결관(120)에 마련되고 위치구속부(111)가 제1연결관(110)에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이때 걸림돌기(121)는 제2연결관(12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걸림돌기(121)가 제1연결관(110)에 마련되고 위치구속부(111)가 제2연결관(120)에 마련되는 형태로 걸림돌기(121) 및 위치구속부(111)의 형성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때 걸림돌기(121)는 제1연결관(11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구속부(111)는, 삽입부(112) 및 간섭돌기(113)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1연결관(110)에 마련된다.
삽입부(112)는, 제2연결관(120)이 직선방향(l)을 따라 제1연결관(110)의 내부로 삽입될 때, 제1연결관(110)을 따라 직선방향(l)으로 이동되는 걸림돌기(121)가 직선방향(l)을 따라 삽입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삽입부(112)는 제1연결관(110)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고, 걸림돌기(121)는 위치구속부(111), 즉 삽입부(112)를 통과하여 제1연결관(11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돌기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간섭돌기(113)는, 삽입부(112)에 삽입된 걸림돌기(121)와 간섭되어 걸림돌기(121)의 직선방향(l)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부(112)는, 걸림돌기(121)가 직선방향(l)을 따라 삽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삽입공(112a)과, 걸림돌기(121)가 제1연결관(110)과 간섭돌기(113) 사이로 삽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2삽입공(112b)이 "ㄴ"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연결관(110)의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제1연결관(110)의 일부분이 직선방향(l)으로 절개되어 제1삽입공(112a)이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제1삽입공(112a)과 제2삽입공(112b)이 "ㄴ"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도록 제1연결관(110)의 일부분이 제1연결관(1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절개됨으로써 제2삽입공(112b)이 형성되며, 삽입부(112)는 이러한 제1삽입공(112a)과 제2삽입공(112b)이 "ㄴ"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간섭돌기(113)는, 제2삽입공(112b)의 직선방향(l) 배후측에 제2삽입공(112b)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된 돌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위치구속부(111)가 마련된 제1연결관(110)과 걸림돌기(121)가 마련되는 제2연결관(120) 간의 결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걸림돌기(121)의 위치와 제1삽입공(112a)의 위치가 직선방향(l)을 따라 일직선을 이루도록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위치를 정렬시킨 상태에서 제2연결관(120)을 제1연결관(110) 내부의 삽입공간으로 삽입시키면, 걸림돌기(121)가 제1삽입공(112a)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1삽입공(112a)과 제2삽입공(112b)의 교차지점에 걸림돌기(121)가 도달될 때까지 제2연결관(120)의 삽입이 이루어진 후, 제2연결관(120)을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면 걸림돌기(121)가 제2삽입공(112b)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된 걸림돌기(121)는, 걸림돌기(121)를 중심으로 직선방향(l) 일측에 위치한 간섭돌기(113)와 그 반대편에 위치한 제2연결관(120)의 측벽 사이에 걸려 직선방향(l) 움직임이 구속되고, 이에 따라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직선방향(l)과 나란한 방향에 따른 걸림돌기(121)의 치수를 걸림돌기(121)의 길이, 직선방향(l)과 직교되는 방향에 따른 걸림돌기(121)의 치수를 걸림돌기(121)의 폭이라고 했을 때, 제2삽입공(112b)은, 걸림돌기(121)의 길이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둘레방향의 통로가 마련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걸림돌기(121)는 간섭돌기(113)와 제2연결관(120)의 측벽 사이에서 흔들림 없이 고정되어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 간의 결합이 더욱 단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걸림돌기(121)의 유동 및 외부 충격으로 인한 걸림돌기(121)의 이탈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아울러 제1삽입공(112a)은 걸림돌기(121)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직선방향(l)의 통로가 마련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제2삽입공(112b)에 삽입된 상태인 걸림돌기(121)가 정확한 회전 동작 없이는 제1삽입공(112a) 측으로 빠져 나오기가 어렵게 되므로,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결합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 등으로 인해 걸림돌기(121)와 위치구속부(111) 간의 걸림 상태가 임의적으로 해제되고, 이로써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결합 상태가 임의적으로 해제되는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실링부(130)는 제1연결관(1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직선방향(l)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연결관(110)의 내측 단부와 제2연결관(120)의 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삽입공간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1연결관(110)의 내측 단부에는, 제1실링부(130)가 안착되는 제1실링홈부(115)가 형성된다.
제1실링부(130)는 제1연결관(110)의 내부에 형성된 제1유로(a)와 제2연결관(120)의 내부에 형성된 제2유로(b) 간의 연결 부위를 둘러쌀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1실링홈부(115)는 제1실링부(1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1연결관(110)의 내측 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실링홈부(115)는, 제1실링홈부(115)의 외측에서 외측벽을 형성하는 외측벽부와, 제1실링홈부(115)의 내측에서 내측벽을 형성하는 내측벽부, 및 제1실링홈부(115)의 함몰된 부분에서 외측벽부와 내측벽부를 잇는 지지면부에 의해 둘러싸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실링부(130)는 이와 같이 오목하게 형성된 제1실링홈부(115)에 안착되어 그 설치위치가 안내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링부(130)는 제1연결관(110)의 내부에 형성된 제1유로(a)와 제2연결관(120)의 내부에 형성된 제2유로(b) 간의 연결 부위를 둘러쌀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탄성재질의 오링(O-ring)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때 오링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일부분이 제2연결관(120)의 단부 측을 향해 제1실링홈부(115)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오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실링부(130)는,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결합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일부분이 제1실링홈부(115)의 내부에 삽입되고 다른 일부분은 제1실링홈부(115)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제1실링홈부(115)에 삽입된 제1실링부(130)는, 제1실링홈부(115)의 외측벽부와 내측벽부 및 지지면부에 의해 3면이 둘러싸여 직선방향(l)을 제외한 다른 방향으로의 변형 및 움직임이 제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걸림돌기(121)와 위치구속부(111) 간에 이루어지는 걸림 결합에 의해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제1연결관(110)의 내측 단부와 제2연결관(120)의 단부 사이에서 제1실링부(130)가 가압되어 눌리면서 제1실링부(130)의 형상이 압축 상태로 변형된다. 이때 제1실링부(130)는 제1실링홈부(115)의 외측벽부와 내측벽부 및 지지면부에 의해 3면이 둘러싸여 직선방향(l)을 제외한 다른 방향으로의 변형 및 움직임이 제한된 상태이므로, 이와 같이 압축 상태로 변형된 제1실링부(130)는 직선방향(l)으로의 탄성력을 집중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압축 상태에서는 제1실링부(130)의 탄성력이 강하게 작용하게 되므로, 제1연결관(110)의 내측 단부와 제1실링부(130)의 밀착, 그리고 제1실링부(130)와 제2연결관(120)의 단부의 밀착이 더욱 높은 수준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유로(a)와 제2유로(b)의 연결 부위에 대한 기밀성능이 더욱 높은 수준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튜브연결용 피팅장치(100)는, 제2실링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실링부(140)는, 제1연결관(110)의 내주면과 제2연결관(120)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삽입공간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1연결관(110)의 내주면과 맞닿는 제2연결관(120)의 외주면에는, 제2실링부(140)가 안착되는 제2실링홈부(125)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2실링부(140)는, 제1실링부(130)와 마찬가지로 탄성재질의 오링(O-ring)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제2실링홈부(125)에 의해 그 설치위치가 안내되며 제2연결관(12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실링부(140)는, 제1연결관(110)의 내경과 제2연결관(120)의 외경보다는 수 mm 정도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제2실링부(140)는, 제1연결관(110)의 내주면과 제2연결관(120)의 외주면 사이의 틈을 실링하는 작용을 수행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튜브연결용 피팅장치(10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연결부(117,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착연결부(117,127)는 제1연결관(110) 또는 제2연결관(120)을 튜브(10,20)와 연결시키도록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 모두에 압착연결부(117,127)가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하에서는 압착연결부(117,127) 중 제1연결관(110)에 마련되는 것을 제1압착연결부(117)로, 제2연결관(120)에 마련되는 것을 제2압착연결부(127)로 지칭하기로 한다.
제1압착연결부(117)는, 제1튜브(1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제1연결관(110)의 외측 단부로부터 돌출되게 연장되는 끼움부(c), 및 끼움부(c)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압착돌기(d)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압착연결부(127)는, 제2튜브(2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제2연결관(120)의 외측 단부로부터 돌출되게 연장되는 끼움부(c), 및 끼움부(c)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압착돌기(d)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압착연결부(117)에서는, 끼움부(c)에 제1튜브(10)가 끼워지되, 끼움부(c)의 외주면에 제1튜브(10)의 내주면이 밀착되는 형태로 제1연결관(110)과 제1튜브(1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압착연결부(127)에서는, 끼움부(c)에 제2튜브(20)가 끼워지되, 끼움부(c)의 외주면에 제2튜브(20)의 내주면이 밀착되는 형태로 제2연결관(120)과 제2튜브(2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각 튜브(10,20)가 끼워지는 각각의 끼움부(c)의 외주면에 둘출되게 형성된 압착돌기(d)의 존재로 인해 끼움부(c)와 튜브(10,20) 간의 밀착력 및 결합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압착연결부(117,127)와 튜브(10,20)의 연결 부위에 대한 기밀 성능이 향상되며, 압착연결부(117,127)와 튜브(10,20) 간의 결합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튜브연결용 피팅장치(100)는, 밀착커버(150,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밀착커버(150,160)는 제1압착연결부(117) 측과 제2압착연결부(127) 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각각의 밀착커버(150,160)는, 제1결합부(151,161)와 제2결합부(153,163)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 제1결합부(151,161)는, 밀착커버(150,160)의 내부에 위치한 구성에 해당되는 것이며, 끼움부(c)의 외부에 끼워진 튜브(10,20)를 외부에서 감싸며 튜브(10,20)와 밀착되게 결합됨으로써, 튜브(10,20)와 압착연결부(117,127) 간의 밀착도가 더욱 상승되도록 튜브(10,20)를 외부에서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결합부(153,163)는, 제1결합부(151,161)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되며, 제1연결관(110) 또는 제2연결관(120)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제1연결관(110) 또는 제2연결관(120)과 결합됨으로써, 밀착커버(150,160)가 목적된 위치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밀착커버(150,160)는, 내부에 위치한 구성인 제1결합부(151,161)가 튜브(10,20)를 외부에서 감싸며 튜브(10,20)와 밀착되게 결합되고 외부에 위치한 구성인 제2결합부(153,163)가 연결관(110,120)에 결합되는 2중 결합 구조를 갖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밀착커버(150,160)는, 압착연결부(117,127)와 튜브(10,20)의 연결 부위를 외부에서 감싸며 압착연결부(117,127)와 튜브(10,20)의 연결 부위에 대한 압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압착연결부(117,127)와 튜브(10,20)의 연결 부위에 대한 기밀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밀착커버(150,160)는, 튜브(10,20)와 압착연결부(117,127)의 연결을 위해 튜브(10,20)가 압착연결부(117,127)에 끼워지는 방향과 나란한 일방향을 따라 압착연결부(117,127) 및 연결관(110,120)에 끼워짐으로써 압착연결부(117,127) 및 연결관(110,120)과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관(110,120)과 끼움부(c) 사이의 각 경계면에는 단차가 형성되는데, 상기와 같이 밀착커버(150,160)가 압착연결부(117,127) 및 연결관(110,120)에 끼워지다가, 연결관(110,120)과 끼움부(c) 사이의 경계면에 제1결합부(151,161)의 단부가 맞닿게 되면 상기 경계면과 제1결합부(151,161)의 단부 간의 간섭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연결관(110,120)과 끼움부(c) 사이의 경계면과 제1결합부(151,161)의 단부 간의 간섭이 발생되면, 밀착커버(150,160)의 일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면서 밀착커버(150,160)의 설치 위치가 안내된다.
이때 경계면과 제1결합부(151,161)의 단부 간의 간섭이 발생되는 위치는, 제1결합부(151,161)가 튜브(10,20)와 끼움부(c) 간의 연결 부위를 충분히 감싸면서도 그 해당 부위에 대한 적절한 압박을 가할 수 있을 정도로 끼워졌을 때의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경계면과 제1결합부(151,161)의 단부 간의 간섭이 발생되어 밀착커버(150,160)의 설치 위치가 안내된 상태에서는, 제1연결관(110) 또는 제2연결관(120)과 제2결합부(153,163) 사이에 걸림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결합부(153,163)의 단부에 걸림 후크(165)가 마련되고 제2결합부(153,163)와 맞닿는 연결관(10,20)의 외주면에 후크홈(129)이 마련될 수 있으며, 걸림 후크(165)와 후크홈(129)의 걸림 결합에 의해 연결관(10,20)과 제2결합부(153,163) 간의 걸림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연결관(10,20)과 제2결합부(153,163) 간의 걸림 결합에 의해 밀착커버(150,160)의 타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구속되며, 이에 따라 밀착커버(150,160)는 경계면과 제1결합부(151,161)의 단부 간의 간섭, 그리고 연결관(10,20)과 제2결합부(153,163) 간의 걸림 결합에 의해 그 결합 위치가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연결용 피팅장치의 조립 전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연결관이 제2연결관에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튜브연결용 피팅장치(10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튜브연결용 피팅장치(100)는, 두 부분의 연결체, 즉 제1튜브(10)와 제1연결관(110)이 연결된 연결체와 제2튜브(20)와 제2연결관(120)이 연결된 연결체로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연결관(110)의 압착연결부(117)에 제1튜브(10)가 압착 방식으로 끼워져 연결되고, 이와 같이 연결된 압착연결부(117)와 제1튜브(10)의 연결 부위 외측에 밀착커버(150)가 씌워져 결합됨으로써, 제1연결관(110)의 연결체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별도로 제2연결관(120)의 압착연결부(127)에 제2튜브(20)가 압착 방식으로 끼워져 연결되고 이와 같이 연결된 압착연결부(127)와 제2튜브(20)의 연결 부위 외측에 밀착커버(160)가 씌워져 결합됨으로써, 제2연결관(120)의 연결체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 별도로 마련된 제1연결관(110)의 연결체 및 제2연결관(120)의 연결체가 서로 연결되어 튜브연결용 피팅장치(100)의 조립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조립은 삽입공간이 형성된 제1연결관(110)의 내부에 제2연결관(120)이 삽입되어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이 서로 연결되게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연결관(110)의 내측 단부와 제2연결관(120)의 단부 사이에는 제1실링부(130)가 개재(介在)되고, 제1연결관(110)의 내주면과 제2연결관(120)의 외주면 사이에는 제2실링부(140)가 개재된다.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결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121)의 위치와 제1삽입공(112a)의 위치가 직선방향(l)을 따라 일직선을 이루도록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위치를 정렬시킨 상태에서 제2연결관(120)을 제1연결관(110) 내부의 삽입공간으로 삽입시키면, 걸림돌기(121)가 제1삽입공(112a)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1삽입공(112a)과 제2삽입공(112b)의 교차지점에 걸림돌기(121)가 도달될 때까지 제2연결관(120)의 삽입이 이루어진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관(120)을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면 걸림돌기(121)가 제2삽입공(112b)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된 걸림돌기(121)는, 걸림돌기(121)를 중심으로 직선방향(l) 일측에 위치한 간섭돌기(113)와 그 반대편에 위치한 제2연결관(120)의 측벽 사이에 걸려 직선방향(l) 움직임이 구속되고, 이에 따라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에 따라 제1연결관(110) 내부의 제1유로(a)와 제2연결관(120) 내부의 제2유로(b)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이로써 제1유로(a)에 연결된 제1튜브(10)와 제2유로(b)에 연결된 제2튜브(2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제1연결관(110)을 제2연결관(120)에 삽입시킨 후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매우 간단한 조립 과정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결합 및 연결대상이 되는 한 쌍의 튜브(10,20) 간의 연결이 완료될 수 있게 되므로, 튜브(10,20)의 연결 작업, 또는 해체 작업을 쉽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고, 냉장고나 정수기 내부와 같이 협소하고 여러 부속품들이 배치되어 복잡한 공간에서도 튜브(10,20)의 연결 작업, 또는 해체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관(110)의 내측 단부, 즉 제1실링홈부(115)의 지지면부와 제2연결관(120)의 단부 사이에서 제1실링부(130)가 가압되어 눌리면서 제1실링부(130)의 형상이 압축 상태로 변형된다. 이때 간섭돌기(113)와 걸림돌기(121)는, 서로 걸림 결합될 때 제1실링홈부(115)의 외부로 제1실링부(130)의 돌출된 일부분을 제2연결관(120)의 단부가 직선방향(l)으로 눌러 제1실링부(130)를 지지면부 및 제2연결관의 단부와 각각 밀착시킬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된다. 그리고 제1실링부(130)는,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결합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일부분이 제1실링홈부(115)의 내부에 삽입되고 다른 일부분은 제1실링홈부(115)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제1실링홈부(115)에 삽입된 제1실링부(130)는, 제1실링홈부(115)의 외측벽부와 내측벽부 및 지지면부에 의해 3면이 둘러싸여 직선방향(l)을 제외한 다른 방향으로의 변형 및 움직임이 제한된 상태가 된다.
걸림돌기(121)와 위치구속부(111) 간에 이루어지는 걸림 결합에 의해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제1연결관(110)의 내측 단부와 제2연결관(120)의 단부 사이에서 제1실링부(130)가 가압되어 눌리면서 제1실링부(130)의 형상이 압축 상태로 변형된다. 이때 제1실링부(130)는 제1실링홈부(115)의 외측벽부와 내측벽부 및 지지면부에 의해 3면이 둘러싸여 직선방향(l)을 제외한 다른 방향으로의 변형 및 움직임이 제한된 상태이다. 이와 같이 압축 상태로 변형된 제1실링부(130)는 직선방향(l)으로의 탄성력을 집중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압축 상태에서는 제1실링부(130)의 탄성력이 강하게 작용하게 되므로, 제1연결관(110)의 내측 단부와 제1실링부(130)의 밀착, 그리고 제1실링부(130)와 제2연결관(120)의 단부의 밀착이 더욱 높은 수준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유로(a)와 제2유로(b)의 연결 부위에 대한 기밀성능이 더욱 높은 수준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압축 상태로 변형된 제1실링부(130)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력은, 제1연결관(110)의 내측 단부와 제2연결관(120)의 단부 사이를 벌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결국 걸림돌기(121)를 간섭돌기(113)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력은 걸림돌기(121)가 간섭돌기(113)를 누르는 힘이 증가시켜 걸림돌기(121)와 간섭돌기(113) 간의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작용하고, 걸림돌기(121)와 간섭돌기(113) 간의 마찰력이 증가됨에 따라 걸림돌기(121)와 위치구속부(111) 간의 걸림 결합이 더욱 공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걸림돌기(121)와 위치구속부(111) 간의 걸림 결합에 의해 제1실링부(130)가 눌려져 제1연결관(110)의 내측 단부와 제1실링부(130)의 밀착, 그리고 제1실링부(130)와 제2연결관(120)의 단부의 밀착이 더욱 높은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이와 같이 눌려진 제1실링부(13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기(121)와 간섭돌기(113) 간의 마찰력이 증가되는 상호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일어나는 상호 작용에 의해, 제1유로(a)와 제2유로(b)의 연결 부위에 대한 기밀성능이 더욱 높은 수준으로 향상되는 효과, 그리고 걸림돌기(121)와 위치구속부(111) 간의 걸림 결합 강도가 상승되어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 간의 결합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실링부(130)와 제2실링부(140)에 의해 이루어지는 기밀 구조를 살펴보면, 제1실링부(130)와 제2실링부(14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의 기밀 구조를 이루게 된다.
즉 제1실링부(130)는 제1유로(a)와 제2유로(b)의 연결 부분에서 직선방향(l)과 교차되는 방향으로의 틈을 밀폐하는 기밀 구조를 이루며, 제2실링부(140)는 이와 다른 위치인 제1연결관(110)의 내주면과 제2연결관(120)의 외주면 사이에서 직선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틈을 밀폐하는 기밀 구조를 이룬다.
이와 같이 복수의 지점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의 기밀 구조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더욱 향상된 기밀 성능을 제공하여 튜브(10,20)의 연결 부위에서의 누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실링부(140)는, 제1연결관(110)의 내주면과 제2연결관(120)의 외주면 사이의 틈을 실링하는 작용을 수행하는 한편, 제1연결관(110)의 내주면과 제2연결관(120)의 외주면 간의 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 간의 결합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돌기(121)와 위치구속부(111) 간의 걸림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되므로,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연결 부위에 어느 정도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 튜브(10,20)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을 결합시킬 때와 반대방향으로 제1연결관(110)을 회전시켜 걸림돌기(121)와 위치구속부(111) 간의 걸림 결합을 해제시킨 후 제2연결관(120)을 제1연결관(110)으로부터 빼내기만 하면,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이 서로 분리되고, 이에 따라 서로 연결된 튜브(10,20)의 연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즉 제2연결관(120)을 돌려 제1연결관(110)으로부터 빼내기만 하면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분리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튜브(10,20)에 어떠한 힘도 가해짐 없이 튜브(10,20)의 연결 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튜브(10,20)의 연결과 분리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튜브(10,20)에 손상이 발생될 위험이 적고, 튜브(10,20)의 손상으로 인해 누수가 발생될 위험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튜브연결용 피팅장치(100)에 따르면, 별도의 도구 없이도 연결관(110,120)을 끼워 돌리거나 돌려 빼는 것만으로 튜브(10,20)의 연결 및 연결 해제가 이루어지므로, 튜브(10,20)의 연결 작업, 또는 해체 작업을 쉽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고, 냉장고나 정수기 내부와 같이 협소하고 여러 부속품들이 배치되어 복잡한 공간에서도 튜브(10,20)의 연결 작업, 또는 해체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튜브연결용 피팅장치(100)에 따르면, 튜브(10,20)의 연결과 분리가 튜브(10,20)가 직접 연결된 부분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결합 부분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튜브(10,20)의 연결 또는 분리 과정에서 튜브(10,20)에 손상이 발생될 위험이 적고, 튜브(10,20)의 손상으로 인해 누수가 발생될 위험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튜브연결용 피팅장치(100)에 따르면, 제1실링부(13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과 걸림돌기(121)와 위치구속부(111) 간의 걸림 결합에 의한 가압력의 상호 작용에 의해 기밀 성능 향상과 연결관(110,120)의 결합력 상승 효과가 함께 제공되므로, 높은 구조적 안정성과 향상된 기밀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튜브연결용 피팅장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연결용 피팅장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1연결관이 제2연결관에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1연결관이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연결용 피팅장치(200)는 제1연결관(210)과 제2연결관(120)을 포함하되, 제1연결관(210)에 마련되는 위치구속부(211)의 삽입부(212)는, 제1삽입공(112a)과 제2삽입공(112b)에 더하여 제3삽입공(212c)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제3삽입공(212c)은 제2삽입공(112b)에 삽입된 걸림돌기(121)가 직선방향(l) 배후측을 향해 이동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며, 이러한 제3삽입공(212c)을 포함하는 삽입부(212)는 제1삽입공(112a)과 제2삽입공(112b) 및 제3삽입공(212c)이 J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위치구속부(211)가 마련된 제1연결관(110)과 걸림돌기(121)가 마련되는 제2연결관(120) 간의 결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걸림돌기(121)의 위치와 제1삽입공(112a)의 위치가 직선방향(l)을 따라 일직선을 이루도록 제1연결관(110)과 제2연결관(120)의 위치를 정렬시킨 상태에서 제2연결관(120)을 제1연결관(110) 내부의 삽입공간으로 삽입시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121)가 제1삽입공(112a)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1삽입공(112a)과 제2삽입공(112b)의 교차지점에 걸림돌기(121)가 도달될 때까지 제2연결관(120)의 삽입이 이루어진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관(120)을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면 걸림돌기(121)가 제2삽입공(112b)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2삽입공(112b)과 제3삽입공(212c)의 교차지점에 걸림돌기(121)가 도달될 때까지 상기와 같은 회전이 이루어지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121)는 제3삽입공(212c)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따라 직선방향(l) 배후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3삽입공(212c)은 걸림돌기(121)의 일부분만이 제3삽입공(212c)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3삽입공(212c)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따라 이동된 걸림돌기(121)는, 제3삽입공(212c)이 형성된 제1연결관(210) 내벽과의 간섭으로 인해 제2삽입공(112b) 측을 향한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구속되고, 이에 따라 제1연결관(210)과 제2연결관(120)의 결합이 완료된다.
제3삽입공(212c)에 형성된 통로를 향한 걸림돌기(121)의 움직임은, 제1실링부(13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촉진될 수 있다.
즉 걸림돌기(121)와 위치구속부(211) 간의 결합 부위에는 제1실링부(13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이 직선방향(l) 배후측으로 강하게 작용되고 있으므로, 걸림돌기(121)가 제2삽입공(112b)과 제3삽입공(212c)의 교차지점에 도달되기만 하면, 상기와 같이 작용되는 탄성력에 의해 걸림돌기(121)의 위치가 제3삽입공(212c) 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3삽입공(212c)에 삽입된 상태에서의 걸림돌기(121)에는 제1실링부(13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이 계속해서 작용되므로, 그 탄성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한 걸림돌기(121)가 제3삽입공(212c)에서 이탈되기는 어렵게 된다.
이로써 제1연결관(210)과 제2연결관(120)의 결합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 등으로 인해 걸림돌기(121)와 위치구속부(211) 간의 걸림 상태가 임의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되므로, 제1연결관(210)과 제2연결관(120) 간의 결합 상태를 더욱 공고하게 유지하면서 높은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200 : 튜브연결용 피팅장치
110,210 : 제1연결관
111,211 : 위치구속부
112,212 : 삽입부
112a : 제1삽입공
112b : 제2삽입공
113 : 간섭돌기
115 : 제1실링홈부
117 : 제1압착연결부
120 : 제2연결관
121 : 걸림돌기
125 : 제2실링홈부
127 : 제2압착연결부
129 : 후크홈
130 : 제1실링부
140 : 제2실링부
150,160 : 밀착커버
151,161 : 제1결합부
153,163 : 제2결합부
165 : 걸림 후크
212c : 제3삽입공
a : 제1유로
b : 제2유로
c : 끼움부
d : 압착돌기

Claims (10)

  1. 연결대상이 되는 한 쌍의 튜브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제1유로 및 상기 제1유로와 연결되는 삽입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1연결관;
    연결대상이 되는 한 쌍의 튜브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튜브와 연결되는 제2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에 직선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1연결관과 연결되는 제2연결관;
    상기 제1연결관과 상기 제2연결관 중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게 마련되는 걸림돌기;
    상기 제1연결관과 상기 제2연결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직선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위치구속부; 및
    상기 직선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연결관의 내측 단부와 상기 제2연결관의 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삽입공간에 구비되는 제1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관의 내측 단부에는, 제1실링부가 안착되는 제1실링홈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실링홈부는, 상기 제1실링홈부의 외측에서 외측벽을 형성하는 외측벽부와, 상기 제1실링홈부의 내측에서 내측벽을 형성하는 내측벽부, 및 상기 제1실링홈부의 함몰된 부분에서 상기 외측벽부와 상기 내측벽부를 잇는 지지면부에 의해 둘러싸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실링부는, 상기 제1실링홈부의 내부에 삽입되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연결관의 단부 측을 향해 상기 제1실링홈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탄성재질의 오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실링홈부에 삽입된 제1실링부는, 상기 외측벽부와 상기 내측벽부 및 상기 지지면부에 둘러싸여 상기 직선방향을 제외한 다른 방향으로의 변형 및 움직임이 제한되고,
    상기 위치구속부는, 상기 제1연결관과 상기 제2연결관 중 다른 하나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 결합될 수 있게 돌출된 간섭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돌기와 상기 걸림돌기는, 서로 걸림 결합될 때 제1실링홈부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제1실링부의 일부분을 상기 제2연결관의 단부가 상기 직선방향으로 눌러 상기 제1실링부를 상기 지지면부 및 상기 제2연결관의 단부와 각각 밀착시킬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면부와 상기 제2연결관의 단부 사이에서 눌려진 상기 제1실링부는,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간섭돌기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제1연결관의 내측 단부와 상기 제2연결관의 단부 사이를 벌리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튜브연결용 피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구속부는, 상기 제1연결관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위치구속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연결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돌기 형태로 상기 제2연결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튜브연결용 피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은,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직선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삽입공과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1연결관과 상기 간섭돌기 사이로 삽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2삽입공이 "ㄴ"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튜브연결용 피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공은, 상기 걸림돌기의 길이에 대응되는 폭의 통로가 마련되도록 상기 제1연결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튜브연결용 피팅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관의 내주면과 상기 제2연결관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삽입공간에 구비되는 제2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튜브연결용 피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관 또는 상기 제2연결관을 상기 튜브와 연결시키는 압착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착연결부는, 상기 튜브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상기 제1연결관 또는 상기 제2연결관의 외측 단부로부터 돌출되게 연장되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압착돌기를 포함하는 튜브연결용 피팅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의 외부에 끼워진 상기 튜브를 외부에서 감싸며 상기 튜브와 밀착되게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연결관 또는 상기 제2연결관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상기 제1연결관 또는 상기 제2연결관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밀착커버를 더 포함하는 튜브연결용 피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관 또는 상기 제2연결관과 상기 끼움부 사이의 경계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경계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1결합부의 단부가 상기 경계면과 간섭되어 상기 밀착커버의 일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상기 제1연결관 또는 상기 제2연결관과 상기 제2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밀착커버의 타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걸림 결합이 이루어지는 튜브연결용 피팅장치.
KR1020160084161A 2016-07-04 2016-07-04 튜브연결용 피팅장치 KR101954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161A KR101954492B1 (ko) 2016-07-04 2016-07-04 튜브연결용 피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161A KR101954492B1 (ko) 2016-07-04 2016-07-04 튜브연결용 피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517A KR20180004517A (ko) 2018-01-12
KR101954492B1 true KR101954492B1 (ko) 2019-03-05

Family

ID=61000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161A KR101954492B1 (ko) 2016-07-04 2016-07-04 튜브연결용 피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4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186B1 (ko) * 2004-12-16 2005-04-14 라기천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장치
JP2011080595A (ja) * 2009-10-06 2011-04-21 Tianjin Daehwa Electric Machinery Co Ltd パイプジョイントアセンブリー及びこれを用いた温水ボイラー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8127B2 (ja) * 1994-03-31 2003-07-22 和田ステンレス工業株式会社 カップリング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186B1 (ko) * 2004-12-16 2005-04-14 라기천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장치
JP2011080595A (ja) * 2009-10-06 2011-04-21 Tianjin Daehwa Electric Machinery Co Ltd パイプジョイントアセンブリー及びこれを用いた温水ボイラー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517A (ko) 2018-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542B1 (ko) 아이스 메이커를 갖는 냉장고 및 급수유닛
CA2413613C (en) Connector for a compressed-gas canister and a fastening appliance
EP1843072A3 (en) Pipe connecting structure
US11131499B2 (en) Valve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00067470A (ko) 제빙실을 구비한 냉장고
KR101954492B1 (ko) 튜브연결용 피팅장치
WO2020199728A1 (zh) 制冷系统管路的密封方法
JP4614673B2 (ja) 冷却貯蔵庫の管継手接続構造
KR101153412B1 (ko) 공기 조화기용 서비스밸브
KR20120059028A (ko) 파이프 접속 조인트
KR102195462B1 (ko) 극저온 배관용 단열 베이오넷형 커플링
CN110953808B (zh) 冰箱的门体及其制造方法
KR100798644B1 (ko) 그랩링을 이용한 파이프 연결구
KR20150073571A (ko) 공기조화기용 서비스 밸브 어셈블리
KR100748618B1 (ko) 냉,난방용 체결 시스템에 구비된 연결장치
EP3677825B1 (en) Pipeline adapter
KR100830235B1 (ko) 밀폐형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100346634B1 (ko) 냉동기기용 서비스밸브
JP2007198549A (ja) 冷凍サイクルの配管用継手
KR200396604Y1 (ko) 농업용 분기관 연결구
JP2016098871A (ja) プラグカバー
KR20070010870A (ko) 냉장고
KR102062153B1 (ko) 액화가스 배관용 커플링 어세이
KR102269483B1 (ko) 냉매 배관용 커넥터
KR101663737B1 (ko) 호스 연결을 위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