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857B1 -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측량기준점의 공간정보 현장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측량기준점의 공간정보 현장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857B1
KR101953857B1 KR1020180109447A KR20180109447A KR101953857B1 KR 101953857 B1 KR101953857 B1 KR 101953857B1 KR 1020180109447 A KR1020180109447 A KR 1020180109447A KR 20180109447 A KR20180109447 A KR 20180109447A KR 101953857 B1 KR101953857 B1 KR 101953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guide
unit
injection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윤채
Original Assignee
남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윤채 filed Critical 남윤채
Priority to KR1020180109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02Details
    • G01C3/06Use of electric means to obtain final indication
    • G01C3/08Use of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에서 정확한 거리산출을 위한 레이저(320') 거리측정기, 대상물과 시준선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초준렌즈, 기포관이 허용 반지름 안에 들어올 때 자동으로 기포관을 표정하는 자동수준장치, 적정거리를 관측자에게 표시해주는 액정표시장치,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연결케이블, 관측을 위한 접안렌즈, 거리데이터를 계산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장치 및 거리계산과 속성정보처리를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표척에 대응하여 관측 값을 얻기 위한 시준선장치 및 원거리 대상물을 가까이 보기 위한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공지의 등거리관측을 이용한 국가수준 기준점 측량장치(310')로서, 상기 측량장치(310')는 출사된 레이저(320')를 반사시켜 정확한 위치 측량이 가능하도록 하는 측량용 타켓을 포함하되, 상기 측량용 타켓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결부재(100'); 일단부의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00')에 결합되어 측량 대상물을 지시하는 지침부와, 상기 지침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프레임(220')과, 상기 프레임(220')의 전면에 구비되고 측량 기준점이 표시되어 있는 반사판(230')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부재(200');로 구성되고, 상기 반사판(230')은 소정의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통해 오염방지 처리되는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측량기준점의 공간정보 현장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측량기준점의 공간정보 현장지원 시스템{FIELD SUPPORTING SYSTEM OF SPATIAL INFORMATION WITH SURVEY CONTROL POINT USING NFC TAG}
본 발명은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예: 스마트폰 모바일 리더기 기반 등)를 이용한 측량기준점의 공간정보 현장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통신이 자유로운 엔에프시 방식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측량된 기준점에 관한 정보를 현장지원 시스템에 전송하여 현장지원시 공간정보를 신속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측량기준점의 공간정보 현장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측지측량(geodesic surveying)이란 한 국가의 기본지형도의 기준점 좌표를 결정하는 측량을 말하며, 삼각점의 좌표를 결정하는 삼각측량, 수준점의 표고를 결정하는 수준측량, 그에 부수하는 천문, 기선(基線), 검조(檢潮) 등의 여러 관측들이 포함된다. 이때, 삼각측량은 최근 광파측거의(光波測距儀)에 의한 삼변측량(三邊測量)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고, 또 지구의형(形)이나 지오이드의 기복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중력측량이나 위성측지법, 여기에 지자기편각(地磁氣偏角)을 부여하는 것으로 자기측량 등을 추가하는 것도 있다. 한편, 국가수준 기준점 측량(leveling, plane survey)은 3차원 좌표에서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표면에 있는 여러 점들 사이의 고저차 또는 표고를 관측한다. 이때, 국가수준 기준점 측량의 기준은 평균해수면(지오이드)이며, 수준측량의 결과는 지도제작, 설계 및 시공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중요한 정보로, 도로, 철도, 운하의 설계, 계획된 높이의 건설구조물 설치, 배수특성조 사, 지도제작 등의 분야에서 기준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국가수준 기준점 측량은 건설교통부고시 제2002-177호 제3장 수준측량 제39조 및 40조를 준용하여 작업계획, 선점, 측량표의 설치, 관측, 계산, 성과정리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0564145호(2006.03.20.)에 의한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 시스템"이가 있다. 한편, 정보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하드웨어, DBMS 및 GIS와 같은 소프트웨어의 생명 주기가 짧아지고 있다. 따라서 GIS 엔진이나 공간 DBMS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도록 공간정보가 구축되어야 하나, 현실적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공간 정보 수집에 많은 중복 투자가 발생하고 있다. 아울러, 국가지리정보체계(NSDI: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구축 사업으로 국내 공간 정보의 양이 계속 증가하면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으며, 복잡한 기능을 요구하는 소프트웨어보다는 손쉬운 공간정보 서비스를 원하는 뷰어(Viewer) 시장의 잠재력이 증대하고 있다. 지형도, 주제도, 지적도 등의 공간 정보를 이용한 원격 민원 서비스 및 행정 서비스의 제공을 요구하는가 하면, 디지털 지도 생산자에 의해서 유통기구(Clearinghouse)를 통한 검증되고 정제된 공간 정보의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분산 환경을 바탕으로 하는 공간 정보는 방대할 뿐만 아니라 매우 복잡하며, 또한 서로 다른 S/W나 H/W환경에서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형화된 형태로 정보를 표현하기가 어렵다. 이에 대해, 공간 정보의 상호 운용을 위한 연구로 국제 표준화 기구 기술 위원회(ISO/TC 211), OpenGIS Consortium(OGC) 등이 중심이 되어 공간 정보의 메타 데이터 뿐만 아니라 모델의 제안과 데이터 포맷에 대한 기술의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특히 OGC의 개방형 GIS 데이터는 이질적인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공간 정보의 상호 운용을 위하여 객체 기술에 기초한 추상 명세(Abstract Specification)와 CORBA, OLE/COM 등의 분산 환경에서의 구현 명세(Implementation Specification)를 제시하고, 공통된 표준 명세인 GML(Geography MarkupLanguage)로써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측량기준점의 공간정보 현장 지원이 미약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근거리 통신이 자유로운 엔에프시(NFC) 기술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신속하게 지원가능한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구조적 개선의 필요성에 의하여 창출된 것으로, 근거리 통신이 자유로운 엔에프시 방식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측량된 기준점에 관한 정보를 현장지원 시스템에 전송하여 현장지원시 공간정보를 신속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측량기준점의 공간정보 현장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격에서 정확한 거리산출을 위한 레이저(320') 거리측정기, 대상물과 시준선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초준렌즈, 기포관이 허용 반지름 안에 들어올 때 자동으로 기포관을 표정하는 자동수준장치, 적정거리를 관측자에게 표시해주는 액정표시장치,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연결케이블, 관측을 위한 접안렌즈, 거리데이터를 계산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장치 및 거리계산과 속성정보처리를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표척에 대응하여 관측 값을 얻기 위한 시준선장치 및 원거리 대상물을 가까이 보기 위한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공지의 등거리관측을 이용한 국가수준 기준점 측량장치(310')로서, 상기 측량장치(310')는 출사된 레이저(320')를 반사시켜 정확한 위치 측량이 가능하도록 하는 측량용 타켓을 포함하되, 상기 측량용 타켓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결부재(100'); 일단부의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00')에 결합되어 측량 대상물을 지시하는 지침부와, 상기 지침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프레임(220')과, 상기 프레임(220')의 전면에 구비되고 측량 기준점이 표시되어 있는 반사판(230')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부재(200');로 구성되고, 상기 반사판(230')은 소정의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통해 오염방지 처리되는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측량기준점의 공간정보 현장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근거리 통신이 자유로운 엔에프시(NFC)를 이용하여 측량된 기준점에 관한정보를 현장지원 시스템에 신속하게 전송하여 현장지원시 측량된 기준점의 공간정보를 정확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위생적이고 청결한 취급과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타켓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작동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 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며, "나"는 반사부재의 결합 횡단면도이고, "다"는 반사부재의 작동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5 의 "가"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의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횡단면도이며, "다"는 작동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도 6 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타켓이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량용 타켓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엔에프시 태그의 예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9 내지 도 34은 본 발명의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장지원시스템은 이와 근거리통신, 즉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를 구비하면서 통신가능한 측량용 타켓을 포함하는데, 상기 측량용 타켓은 크게 연결부재(100) 및 상기 연결부재(100)에 결합되어 있는 반사부재(2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지지대(110), 부착판(120) 및 결합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대(110)는 빔고정노브(118)에 의해 결합되어 각도 조절되되 끝단에 볼하우징(116a,116b)이 각각 구비된 제1,2각도조절빔(112,11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일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하우징(116b)은 후술할 결합부재(130)의 볼(132)이 삽착될 수 있는 반구형 형상의 삽착홈(117)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삽착홈(117)에 후술할 결합부재(130)의 볼(132)이 조인트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2각도조절빔(112,114)에 각각 구비된 볼하우징(116a,116b)은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기에서는 제2각도조절빔(114)에 구비된 볼하우징(116b)을 대표적으로 확대도시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부착판(120)은 상기 제1각도조절빔(112)의 볼하우징(116a)에 사방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볼(122) 조인트 결합되는 것으로, 금속성분으로 이루어진 곳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내부에 자성체(12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130)는 상기 제2각도조절빔(114)의 볼하우징(116b)에 사방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볼(132) 조인트 결합되는 것으로, 상측에는 후술할 반사부재(200)의 지침부(210)를 결합하기 위해 상측으로 절개된 결합공(134)이 구비됨과 동시에 결합공(134)을 압착하여 결합된 지침부(21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볼트(136)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부재(100)는 도 3과 같이 작동된다. 즉, 도 3을 참조로 하면, 우선 지지대(110)의 제2각도조절빔(114)은 상기 도 2와 달리 빔고정노브(118)를 축으로 후방으로 회전되어 각도 조절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빔고정노브(118)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제1,2각도조절빔(112,114)에 대한 결속력을 완화시키게 되면 두 각도조절빔(112,114)은 자유스럽게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각도 조절이 완료되고 나면 빔고정노브(118)를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결속하게 되면 고정되므로 손쉽게도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각도조절빔(112)의 하측에 구비된 볼하우징(116a)에 볼(122) 조인트 결합된 부착판(120)과 제2각도조절빔(114)의 상측에 구비된 볼하우징(116b)에 볼(132) 조인트 결합된 결합부재(130) 역시 도 2와는 다른 각도로 조절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각도조절빔(112,114)의 볼하우징(116a,116b)에 각각 결합된 부착판(120)과 결합부재(130)는 볼(122,132) 조인트 결합되어 있으므로 지지대(110)와 달리 사방(전/후/좌/우측)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재(130)의 결합공(134)으로는 후술할 반사부재(200)의 지침부(210)가 결합되는데, 이 결합작동 역시 간단하다. 즉, 결합공(134)의 상측에 구비된 체결볼트(136)를 일측으로 돌려 결합공(134)에 대한 압착력을 완화시킨 후 지침부(210)를 삽입한 뒤 체결볼트(136)를 반대로 돌려 결합공(134)을 압착하게 되면 결합 완료된다.
이렇듯, 상기 연결부재(100)는 제1,2각도조절빔(112,114)으로 구성된 지지대(110)는 물론이고 상기 제1,2각도조절빔(112,114)에 볼(122,132) 조인트 결합된 부착판(120)과 결합부재(130)가 각각 각도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지지대(110) 대신에 미도시 하였지만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된 연결봉을 사용하고, 그 상하부에 결합부재(130) 및 부착판(120)을 각각 구비시켜 유연하게 각도 조절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음은 너무나 명백하다. 그럼,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반사부재(200)는 도 4의 "가"와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의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재(100)의 결합부재(130)에 결합되어 측량 대상물을 지시하는 지침부(210)와, 상기 지침부(21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프레임(220)과, 상기 프레임(220)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측량 기준점(231)이 전면에 표시되어 있는 반사판(2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반사판(230) 전면에 표시된 기준점(231)은 측량자가 위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적어도 세 점 이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반사판(230)은 프레임(220)에 고정 부착되는 것보다 장애물을 피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즉, 상기 프레임(220)의 상하측에는 레일턱(222a,222b)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판(230)의 후면에는 상기 레일턱(222a,222b)으로 삽입되는 대칭된 한 쌍의 레일홈(232)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시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상기 반사판(230)이 일정 간격 즉, 단계적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220)의 전면에는 탄성부재(226)에 탄성 지지된 제1볼(224)을 구비하고, 상기 반사판(230)의 후면에는 상기 제1볼(224)이 삽착되는 복수개의 삽착홈(234)을 간헐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일측에 뒤집어서 도시된 반사판 참조).
또한, 상기 프레임(220)의 후면에는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 제1고정볼트(228)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반사판(230)을 구속하여 무단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20)의 후면에는 상기 지침부(210)와 동일 방향으로 길게 뻗은 보조결합대(24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보조결합대(240)는 상기 연결부재(100)의 결합부재(130)에 지침부(210) 대신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지침부(210)를 측량 대상물에 더욱 근접시키고자 할 때 혹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지침부(210) 대신에 결합해서 사용할 수 있게 구현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반사부재(200)의 반사판(230)은 "다"와 같이 슬라이딩 작동된다. 즉, 프레임(220)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결합되어 반사판(230)을 구속하고 있는 제1고정볼트(228)를 먼저 회전시켜 구속을 해제하고, 반사판(230)을 도면상 왼쪽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되는데, 이때 상기 반사판(230) 후면에 형성된 삽착홈(234)이 프레임(220)의 전면에 구비된 제1볼(224)에 삽착되므로 단계적으로 슬라이딩될 것이다. 결국, 상기 반사판(230)이 프레임(220)을 매개로 좌우 슬라이딩되므로 장애물을 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반사판(230)이 장애물에 의해 엄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반사판이 슬라이딩 되는 전술한 구성외의 다른 방법도 있다. 즉,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의 사시도이고, "나"는 "가"의 횡단면도이며, "다"는 작동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먼저, 도 5의 "가"와 "나"를 참조로 하면, 다른 실시예의 반사부재(200') 역시 크게 지침부(210), 프레임(220) 및 반사판(230)으로 구성되어 전술한 반사부재(200)와 같은 구성이나 지침부(210)가 프레임(220)의 일단에 형성된 슬라이드공(229a)으로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지침부(210)의 무단 슬라이딩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220)의 일측에 제2고정볼트(229d)를 구비하여 지침부(210)를 구속하도록 하는 것이 차이점이다. 한편, 상기 지침부(210)의 슬라이딩시 단계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공(229a) 내부에는 탄성부재(229c)에 의해 탄성 지지된 제2볼(229b)이 구비되고, 상기 지침부(210)의 외주연에는 상기 제2볼(229b)에 삽착되는 복수개의 환홈(212)이 간헐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다른 실시예의 반사부재(200')는 "다"와 같이 작동된다. 즉, 프레임(220)의 일측에 체결되어 있는 제2고정볼트(229d)를 회전시켜 지침부(210)에 대한 구속을 해제한 뒤 지침부(210)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침부(210)의 외주연에 간헐적으로 형성된 환홈(212)이 슬라이딩공 내부에 있는 제2볼(229b)에 삽착되면서 슬라이딩되므로 단계적으로 슬라이딩됨은 물론이고 나아가 슬라이딩된 거리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와 같이 지침부(210)를 슬라이딩 되게 구현하면 반사부재(200') 전체의 길이 변화를 초래하게 되므로 반사판(230)이 장애물에 의해 엄폐될 경우 길이를 조절하여 엄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측량용 타켓에 대한 사용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타켓이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측량용 타켓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먼저, 도 6의 "가"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측량용 타켓은 측량자가 위치한 곳으로부터 측량 대상물(300)까지의 높이나 거리를 측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연결부재(100)의 하측에 구비된 부착판(120)을 매개로 측량대상물(300)에 인접한 곳에 구비된 금속판에 측량용 타켓을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는 연결부재(100)의 제1,2각도조절빔(112,114) 혹은 상기 제1,2각도조절빔(112,114)에 볼(122,132) 조인트 결합된 부분을 절곡하거나 회동시켜 반사부재(200)의 지침부(210)가 측량 대상물(300)을 지시하도록 하여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그런 뒤, 측량자는 측량장치(310)로부터 레이저(320)를 발산시키되 레이저(320)가 반사판(230)의 기준점(231)에 도착하도록 발산시켜 정확한 높이 혹은 거리를 측량하게 된다. 만약, 상기와 같은 측량시 반사판(230)이 파선으로 도시된 장애물(330)에 의해 엄폐되었다고 가정하면, "나"와 같이 반사판(230)을 슬라이딩시켜 장애물(330)에 의해 엄폐되지 않도록 하면 손쉽게 측량이 가능하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판(230)을 구속하고 있는 제1고정볼트(228)를 회전시켜 반사판(230)에 대한 구속을 해제한뒤 반사판(230)이 장애물(330)에 가려지지 않도록 슬라이딩시켜 제1고정볼트(228)를 다시 반대로 회전시켜 반사판(230)을 구속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여기서는 미도시 하였지만 지침부(210)를 슬라이딩시켜 반사판(230)이 장애물(330)을 피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음은 너무나 명백하다. 그리고, 도 7을 참조로 하면, 연결부재(100)의 결합부재(130)에 지침부(210) 대신 보조결합대(240)가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측량자가 현장에서 필요시 선택하게 되는 것으로, 지침부(210)를 측량 대상물에 더욱 근접시키거나 지침부(210)가 장애물에 부딪히게 될 경우 이를 피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측량용 타켓에 의하면, 자성체(124)가 내장된 부착판(120)을 측량 대상물(300)에 인접하게 부착하면 설치가 완료되고, 반사부재(200)의 지침부(210)는 다양한 각도로 절곡되는 연결부재(100)에 의해서 측량 대상물(300)에 쉽게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함은 물론이고 반사판(120) 혹은 지침부(210)가 슬라이딩 작동되므로 각종 장애물에 의해 반사판(230)이 엄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므로 측량 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8과 같은 구조의 엔에프시(NFC) 태그를 볼하우징(116b)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현장지원시스템과 근거리 통신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실시간 측량기준점에 대한 공간정보를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8과 같은 구조의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20)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20)는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0657996호(2006.12.08.) "착탈식 엔에프씨 모듈"에 개시된 구성을 포함하는데, 이를 테면 하우징(21)의 내측에 고정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11)와, 상기 PCB(11)와 간섭 받지 않도록 설치되는 안테나 방사체(13)를 포함한다.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PCB(11)상에는 TAMA, Smart IC, OSC 및 기타 수동 소자 등과 같은 NFC용 소자가 SMD(Surface Mounted Device) 형태로 실장될 것이며, 상기 안테나 방사체(13)는 약 13.56MHz 대역의 저주파수용 패턴(12)이 형성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PCB(11)에는 상기와 같은 다수의 소자 중에서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소자가 상기 측량타켓의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측량기준점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정보를 현장지원시스템과 통신하여 현장지원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 공간정보로 확인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시스템 자체를 구현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구현성을 가진 소자 혹은 유닛을 상호 결합 고정하는 것에 특징이 있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PCB(11)가 고정되는 수단이 제공된다. 즉, 상기 하우징(21)의 내면(24)에는 일정 길이의 이격된 리브가 돌출 설치되어 소정의 소켓(25)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21) 내부에 구비된 슬릿(26)에는 상기 PCB(11)를 삽입시켜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타 공지의 고정 수단이 사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안테나 방사체(13)는 가요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를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가요성 인쇄회로의 경우 엔에프시용으로 동작하기 위한 방사 패턴(12)을 형성하기 쉽고, 방사 패턴(12)이 형성된 후에도 유동성이 있어 안정성이 증대되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안테나 방사체(13)는 하우징(21)내에 약간 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엔에프시용 방사체(13)가 일정 크기 이상(적어도 30×50mm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하우징(21)내에서 휘어지도록 설치되면 좀더 큰넓이를 갖는 방사체가 적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1)의 내측면(27)에는 상기 휘어지도록 설치되는 방사체(13)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브(28)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9와 같은 소켓(25) 접속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로서, 상기 제2각도조절빔(114)을 고정지지하도록 구비된 볼하우징(116b)의 일부에 상기 소켓(25)을 접속함과 동시에 고정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TM)를 구비한 예를 보인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접속단자(TM)는 리드선(L)을 통해 본 발명 측량용 타켓 상에 구비된 제어부(CT)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상기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20)의 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전원(30), 즉 PCB(11)의 일측에 실장된 배터리 전원을 공유하여 측량용 타켓의 제어부(CT)도 구동될 수 있게 되므로 측량용 타켓을 외부에 설치하더라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20)는 착탈식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배터리를 갈아 끼울 수 있으므로 전원(30) 공급이 용이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에서는 상기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20)를 착탈식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엔에프시태그(20) 구동 전원을 공유하여 측량용 타켓에 구비된 제어부(CT)도 별도의 자체 전원을 구비하지 않고 함께 구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화를 추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좀 더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볼하우징(116b)의 일부에는 접속단자(TM)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단자(TM)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CT)와 접속된 리드선(L)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TM)는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20)를 고정지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구멍 형태로 이루어지며, 리드선(L)을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하므로 단자 형태를 갖는다. 이에, 상기 접속단자(TM) 내부는 서로 단차져 직경이 다른 제1단자(T1)와 제2단자(T2)가 형성되고, 상기 제1,2단자(T1,T2) 사이에는 절연체(I)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단자(TM)에는 접속구(TR)가 끼워져 고정되는데, 상기 접속구(TR)는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며, 후단에는 소켓단자(ST)가 구비되어 상술한 소켓(25)에 접속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소켓(25)을 통해 PCB(11)와 연결되어 제어 가능하게 되며, 특히 상기 PCB(11)에는 배터리 전원(30)이 더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배터리 전원(3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배터리 전원(30)과의 연결을 위해 +,-단자가 필요한데, 상기 접속구(TR)는 상기 제1,2단자(T1,T2)에 대응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그 형상은 각각 제1삽입단(60), 제2삽입단(64)을 구성하게 되며, 제1,2삽입단(60,64) 각각의 외주면 일부에는 각각 제1,2단자홀(61,65)이 형성되고, 상기 제1,2단자홀(61,65)에는 각각 'U' 형상의 탄성을 갖는 제1,2접속단자(62,66)가 각각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제1,2삽입단(60,64)이 각각 제1,2단자(T1,T2)에 삽입되면 자연스럽게 제1,2접속단자(62,66)가 각단자에 탄성접속되면서 통전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되며, 동시에 고정 기능도 갖추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20)를 장착시키는 것과 동시에 전원 공급되 가능한 구조를 갖춤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나아가 측량타켓에서 측량된 기준점 정보를 실시간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전송하여 현장지원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유용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오염방지 가공수단 1>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방지 가공수단를 도시한 도면이다.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가공대상물(즉, 예컨데 전술한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로서 예컨데 반사판(230') 등') 에 인접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분사유닛(10')과, 분사유닛(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21', 22')과, 상기 지지유닛(21', 22')을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30')을 포함한다. 분사유닛(10')은 경사지게 설치된 가공대상물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분사유닛(10')에는 오염방지 코팅물질이 저장된 저장탱크(13')가 연결되며, 저장탱크(13')의 오염방지 코팅물질이 공급펌프(14')의 펌핑에 의해 분사유닛(10')으로 공급된다. 이에, 분사유닛(10')은 저장탱크(13')로부터 공급된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분사유닛(10')의 일측에는 간격감지센서(15')가 설치되어 분사유닛(10')과 가공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함으로써 분사유닛(10')과 가공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지지유닛(21', 22')은 분사유닛(10')을 지지함과 더불어, 분사유닛(10')을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지지유닛(21', 22')은 가공대상물의 표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25')와, 가이드부(25')의 하단에 형성된 피벗부(26')와, 이 피벗부(26')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27')를 가진다. 가이드부(25')의 일면(즉, 가공대상물의 표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25A)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레일(25A)에는 가이드블록(11')이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설치되며, 가이드블록(11')에는 분사유닛(10')이 장착됨에 따라 분사유닛(10')은 가이드부(25')를 따라 가공대상물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피벗부(26')는 후술하는 가이드유닛(30')의 수직폴대(31')의 상단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에 가이드부(25')는 가공대상물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그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다. 연장부(27')는 피벗부(26')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고, 연장부(27')는 가이드부(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연장부(27')의 단부에는 중심추(28', weight)가 설치되고, 이러한 중심추(28')에 의해 지지유닛(21', 22')은 그 무게 중심이 균형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25')에는 하나 이상의 처짐방지용 와이어(23')가 연결되고, 이러한 처짐방지용 와이어(23')에 의해 가이드부(25')가 가공대상물의 표면을 향해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처짐방지용 와이어(23')의 일단부는 가이드부(25')에 고정되고, 처짐방지용 와이어(23')의 타단부는 지지체(24')의 지지롤러(24A)에 조절가능 하게 설치된다. 지지체(24')는 연장부(27')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지지롤러(24A)는 지지체(24')의 도중에 설치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21', 22')은 가공대상물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상부공간(TA) 및 하부공간(LA)으로 구획하여 각 분사유닛(10')이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독립적으로 분사하도록 2개의 지지유닛(21', 22')으로 구성된다. 제1지지유닛(21')은 가공대상물의 상부공간(TA)에만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하도록 분사유닛(10')이 가이드부(25')의 상부 일정구간에서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제2지지유닛(22')은 가공대상물의 하부공간(LA)에만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하도록 분사유닛(10')이 가이드부(25')의 하부 일정구간에서만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유닛(21', 22')이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대해 상부공간(TA)과 하부공간(LA)으로 구획하여 독립적으로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분사함으로써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대한 코팅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방지 코팅물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가이드유닛(30')은 지지유닛(21', 22')의 피벗부(26')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31')와, 수직폴대(31')가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32')와, 홀더(32')를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33')를 포함한다. 수직폴대(31')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34')가 형성되고, 이 피벗연결부(34')에는 지지유닛(20')의 피벗부(26')가 피벗축(35')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직폴대(31')는 홀더(32')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유닛(21', 22')의 피벗부(26')와 수직폴대(31')의 피벗연결부(34')에는 복수의 통공(26A, 34A)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피벗축(35')을 중심으로 피벗부(26')가 일정각도로 피벗팅한 이후에 다울핀(36')이 피벗부(26') 및 피벗연결부(34')의 서로 맞춰진 통공(26a, 34A)들에 끼워짐으로써 지지유닛(21', 22')의 회전된 위치가 고정되고, 이에 지지유닛(21', 22')의 가이드부(25')는 가공대상물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그 경사각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홀더(32')는 상단이 개방된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고, 홀더(32')의 중공부에는 수직폴대(31')가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되며, 홀더(32')의 하단에는 가이드블럭(32b')이 마련된다. 수직폴대(31')와 홀더(32')에는 복수의 통공(31a, 32A)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수직폴대(31')가 홀더(32')의 중공부에 높이가 적절히 조절되어 삽입된 이후에 다월핀(dowel pin, 38')이 수직폴대(31') 및 홀더(32')의 서로 맞춰진 통공(31a, 32A)들에 끼워짐으로써 수직폴대(31')는 홀더(32')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레일(33')은 가공대상물이 설치된 바닥에 설치되고,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된다. 가이드레일(33')에는 홀더(32')의 가이드돌기(32b')가 가이드됨에 따라 수직폴대(31'), 홀더(32') 및 지지유닛(21', 22')은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특히, 회전스크류(미도시')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블럭(32b')이 가이드레일(33')을 따라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홀더(32'), 수직폴대(31'), 지지유닛(21', 22')은 길이방향 이송속도가 매우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가이드유닛(30')의 수직폴대(31') 및 홀더(32')가 가이드레일(33')을 통해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됨에 따라 지지유닛(21', 22')들을 개별적으로 가공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지지유닛(21', 22')에서 각 분사유닛(10')을 개별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분사유닛(10')은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오염방지 코팅물질을 길이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매우 신속하고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다.
<오염방지 가공수단 2>
이하에서는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전술한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분사유닛(10')과, 상기 분사유닛(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21', 22')과, 상기 지지유닛(21', 22')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3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21', 22')은 소정의 가이드부(25')와, 상기 가이드부(25')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유닛(30')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피벗부(26')와, 상기 피벗부(26')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27')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유닛(30')은 상기 지지유닛(21', 22')의 피벗부(26')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31')와, 상기 수직폴대(31')가 높이조절가능 하게 설치되는 홀더(32')와, 상기 홀더(3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33')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폴대(31')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벗연결부에는 상기 지지유닛(21', 22')의 피벗부(26')가 피벗축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더(32')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33')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블럭(32b')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25')는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가이드부(25A)와, 상기 하부가이드부(25A)으로 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의 동작 및 진퇴 동작을 수행하는 상부가이드부(25b')로 구비된다. 상기 분사유닛(10')은 상기 하부가이드부(25A) 상에 구비되는 하부분사유닛(10A)과, 상기 상부가이드부(25b') 상에 구비되는 상부분사유닛(10b')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가이드부(25b')는 상호 간에 틸팅 가능한 복수의 마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가이드부(25b') 상의 상기 상부분사유닛(10b') 둘레부 적어도 일부 상에는 분사제어모듈(40')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분사유닛(10b')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 용량을 제어한다.
상기 분사제어모듈은(40'), 상기 하부가이드부(25A)의 길이방향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분사제어모듈(41')과, 상기 하부가이드부(25A)의 길이방향 단부 상에서 틸트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분사제어모듈(42')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41')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1 실린더모듈(S1),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2 실린더모듈(S2),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로부터 출몰되는 제1 피스톤모듈(P1), 상기 제2 실린더모듈(S2)로부터 출몰되는 제2 피스톤모듈(P2)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42')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3 실린더모듈(S3),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4 실린더모듈(S4'),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로부터 출몰되는 제3 피스톤모듈(P3), 상기 제4 실린더모듈(S4')로부터 출몰되는 제4 피스톤모듈(P4)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은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은 상호간에 대향하며, 상기 제2 실린더모듈(S2)과 상기 제4 실린더모듈(S4')은 상호간에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피스톤모듈(P1) 내지 상기 제4 피스톤모듈(P4)은 상호간에 출몰 거리 설정을 통해 상기 상부분사유닛(10b')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용량을 제어한다. 상기 제1, 2 실린더모듈(S1, S2')은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41')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3, 4 실린더모듈(S3, S4')은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42')의 단부 길이방향 상에서 소정 범위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41')의 단부 상에는 제1 집게형 파지부(CL1')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42')의 단부 상에는 제2 집게형 파지부(CL2)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25')는 상기 제1 집게형 파지부(CL1')와 상기 제2 집게형 파지부(CL2)를 통해 오염방지 처리를 위한 상기 반사판(230')을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소정의 제1 유동모듈(50A) 상에 위치되고, 가공 대상물인 상기 반사판(230')는 소정의 제2 유동모듈(50b')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50A)은 , 최하단 제1-1 유동부(50a1')와, 상기 제1-1 유동부(50a1')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2 유동부(50a2')와, 상기 제1-2 유동부(50a2')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1-3 유동부(50a3')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50a1')는 하방에 소정의 제1 마감패널(50a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3 유동부(50a3')는 상방에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이 거치되는 제1 거치패널(50a3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모듈(50b')은, 최하단 제2-1 유동부(50b1')와, 상기 제2-1 유동부(50b1')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2 유동부(50b2')와, 상기 제2-2 유동부(50b2')의 상단에 위치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는 제2-3 유동부(50b3')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유동부(50b1')는 하방에 소정의 제2 마감패널(50b11')이 구비되며, 상기 제2-3 유동부(50b3')는 상방에 상기 가공 대상물이 거치되는 제2 거치패널(50b3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50A)과 상기 제2 유동모듈(50b') 사이에는 완충모듈(6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동모듈(50A)과 상기 제2 유동모듈(50b')은 상호 간에 이격 방향 또는 충돌 방향을 향해 유동됨에 있어, 상기 완충모듈(60')과 의 접촉을 매개로 상호 가속유동되거나 완충유동된다.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의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내측 단부 상에는 제1 자성수단(M1')이 구비되고,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의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내측 단부 상에는 제2 자성수단(M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60')의 일측에는 제3 자성수단(M3')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대향하는 상기 완충모듈(60')의 타측에는 제4 자성수단(M4')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가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3 자성수단(M3')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가 상기 완충모듈(60')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1 자성수단(M1')과 상기 제3 자성수단(M3')은 상호 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킨다.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가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제3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은 상호 간에 상이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키고,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가 상기 완충모듈(60')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4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자성수단(M2')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은 상호 간에 동일한 극성을 띠도록 설정되어,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시킨다.
상기 완충모듈(60')은 상기 제3 자성수단(M3')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 사이에 탄성수단(C')이 구비되어, 상기 제3 자성수단(M3')과 상기 제4 자성수단(M4')을 통해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완충모듈(60')은,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며,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며,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상기 제1-1 유동부(50a1') 내지 상기 제1-3 유동부(50a3')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3 자성수단(M3')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1 유동부(50b1') 내지 상기 제2-3 유동부(50b3')의 상기 제4 방향으로의 유동을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4 자성수단(M4')에 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상기 제1 거치패널(50a31')의 단부에는 제1-1 돌기부(50a31T)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상기 제1 마감패널(50a11')의 단부에는 제1-2 돌기부(50a11T)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상기 제2 거치패널(50b31')의 단부에는 제2-1 돌기부(50b31T)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모듈(60')을 향하는 상기 제2 마감패널(50b11')의 단부에는 제2-2 돌기부(50b11T)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모듈(60')은, 상기 제3 자성수단(M3') 및 상기 제4 자성수단(M4')의 상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1-1 돌기부(50a31T)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1-2 돌기부(50a11T)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61')이 구비되고, 상기 제3 자성수단(M3') 및 상기 제4 자성수단(M4')의 하방에는 일측으로 상기 제2-1 돌기부(50b31T)를 가고정 시키고, 타측으로 상기 제2-2 돌기부(50b11T)를 가고정 시키기 위한 제2 고정수단(62')이 구비된다.
상기 제1 고정수단(61')은 상기 제1-3 유동부(50a3')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1 돌기부(50a31T)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61')은 상기 제2-3 유동부(50b3')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1 돌기부(50b31T)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62')은 상기 제1-1 유동부(50a1')가 상기 제1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1-2 돌기부(50a11T)를 가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62')은 상기 제2-1 유동부(50b1')가 상기 제3 방향 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제2-2 돌기부(50b11T)를 가고정하며, 상기 제1 고정수단(61')은 상기 제1-1 유동부(50a1')를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1 돌기부(50a31T)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1 고정수단(61')은 상기 제2-1 유동부(50b1')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1 돌기부(50b31T)의 가고정을 해제하며, 상기 제2 고정수단(62')은 상기 제1-2 유동부(50a2')의 상기 제2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2 돌기부(50a11T)의 가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2 고정수단(62')은 상기 제2-2 유동부(50b2')의 상기 제4 방향 유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2 돌기부(50b11T)의 가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제1-3 유동부(50a3') 및 상기 제1-1 유동부(50a1')는 상기 완충모듈(60')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된다. 상기 제2-3 유동부(50b3') 및 상기 제2-1 유동부(50b1')는 상기 완충모듈(60')의 탄성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제4 방향으로 가속화되어 유동되며, 상기 가고정은 강제끼움, 자성결합, 공압식 가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에 기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모듈(50A)의 하부에는 제1 운송모듈(70')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동모듈(50A)을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시키고, 상기 제2 유동모듈(50b')의 하부에는 제2 운송모듈(80')이 구비되어, 상기 제1 유동모듈(50A)을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시키며,
상기 제1 운송모듈(70')은, 제1-1 베이스부(71')와, 상기 제1-1 베이스부(71')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는 제1-2 베이스부(72')와, 상기 제1-2 베이스부(72')와 상기 제1 유동모듈(50A)의 상기 제1-1 유동부(50a1')를 결속시켜 상기 제1 유동모듈(50A)과 상기 제1 운송모듈(7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제1 연동부(7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운송모듈(80')은, 제2-1 베이스부(81')와, 상기 제2-1 베이스부(81')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는 제2-2 베이스부(82')와, 상기 제2-2 베이스부(82')와 상기 제2 유동모듈(50b')의 상기 제2-1 유동부(50b1')를 결속시켜 상기 제2 유동모듈(50b')과 상기 제2 운송모듈(8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제2 연동부(83')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베이스부(71')는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향할수록 점차 저감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2 베이스부(72')는 상기 제1-1 베이스부(71')와 대응하여 형합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제1-1 베이스부(71')로부터 상기 제2 방향 과 상기 제1 방향 간에 진퇴 유동되며, 상기 제2-1 베이스부(81')는 상기 제4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을 향할수록 점차 저감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2 베이스부(82')는 상기 제2-1 베이스부(81')와 대응하여 형합되는 형상으로서, 상기 제2-1 베이스부(81')로부터 상기 제4 방향 과 상기 제3 방향 간에 진퇴 유동된다.
상기 제2 거치패널(50b31') 상에는 상기 가공 대상물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모듈(90')이 구비되며 상기 가공 대상물은 상기 거치모듈(90') 상에 거치되며, 상기 거치모듈(90')은, 상기 제2 거치패널(50b31') 상에 구비되는 패널부(91')와, 상기 패널부(91') 상에 연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 거치패널(50b31')의 길이방향 및 높이 방항으로 각기 유동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기둥부(92')가 구비되며, 상기 기둥부(92')의 내측면 높이방향 상에는 고정돌기(92A)가 다수로 형성되어 상기 가공 대상물을 가고정 시킨다.
도 17 내지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오염방지 가공이후에 2차 적인 오염방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가공대상물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에 배치되는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샤프트와, 상기 센터 샤프트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된 상방 수평보와, 상기 상방 수평보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된 사이드 수직바와, 가공대상물에 도포되는 도포액를 공급받아 분사구에 의해 가공대상물에 분사하는 스프레이건(1050)을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는 하부에 소정의 지지대(1010a)가 다수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1010a)은 하단부가 소정의 체결모듈에 수용되어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1010a)는, 하방을 향하는 기둥부(1010a1)와, 상기 기둥부(1010a1)의 상방 제1 영역과 하방 제2 영역(L2) 사이의 측면부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모듈은, 소정의 제1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기둥부(1010a1)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둥부(1010a1)의 제2 영역(L2)부를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가압부가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는 소정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기둥부(1010a1)의 상기 제2 영역(L2)를 향하여 진퇴유동 되는 가압체(1120)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는, 제1 본체(1111)와, 상기 제1 본체(1111) 하방의 제2 본체(1112)와, 상기 제2 본체(1112) 하방의 제3 본체와, 상기 제1 본체(1111)와 상기 제2 본체(1112) 사이에 위치되는 제1 수용부(C1)와, 상기 제2 본체(1112)와 상기 제3 본체 사이에 위치되는 제2 수용부(C2)가 구비되며, 상기 스프레이건(1050)의 전단부 상에는 소정의 분사부(1052)와, 상기 분사부(1052)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일정범위로 틸트 유동되는 벽체 또는 바 형상인 하나 이상의 가변부(1091)가 구비되어 상기 분사부(1052)로부터 분사되는 도포액의 분사범위를 조절한다.
상기 가변부(1091)의 내측면 상에는 다수의 석션부(SH)구비되어 상기 분사부(1052)로부터 분사되는 도포액 적어도 일부를 흡입하며, 상기 가변부(1091)의 외측면 상에는 에어 분사를 위한 다수의 에어 분사부(1052)가 구비되며, 상기 스프레이건(1050)의 상기 가변부(1091)은 전체적 또는 개별적으로 정회전 동작 하거나 역회전 동작되며, 상기 스프레이건(1050)의 후단부 상에는 상기 분사부(1052)의 토출에 기반하는 반동을 상쇄시키기 위한 에어를 분사하는 역분사부(1092)가 구비되며, 상기 스프레이건(1050)의 하단부 상에는 상기 분사부(1052) 및 상기 역분사부(1092)의 동작에 기반하는 반동을 상쇄시키기 위한 제2 역분사부(1093)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일정 범위로 유동 가능한 소정의 가이드 수단(GM)과, 상기 가이드 수단(GM)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차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차단몸체(1094)와, 상기 차단몸체(1094)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출몰부(1095)와, 상기 차단몸체(1094)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출몰부(1096)와, 상기 차단몸체(1094)로부터 좌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출몰부(1097)와, 상기 차단몸체(1094)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4 출몰부(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차단몸체(1094)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2 출몰부(1096)를 통해 상기 컨베이어(1000) 상의 가공대상물을 상호 일정하게 이격 시킨다.
상기 스프레이건(1050)은, 상기 스프레이건(1050)의 전단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소정의 암모듈(RB)이 구비되며, 상기 암모듈 둘레부 적어도 일부영역 상에 소정의 제1 함입홈(RH1)이 형성되며, 상기 암모듈(RB)은 소정의 관절형 가이드부(GM1)와 상기 가이드부(GM1)로부터 연장되는 본체모듈(BM)이 구비되며, 상기 암모듈(RB)은 상기 제1 함입홈(RH1)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제1 함입홈(RH1)의 내부에는 상기 제1 함입홈(RH1) 깊이 이상으로 소정의 제2 함입홈(RH2)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암모듈(RB)의 상기 가이드부(GM1)은 상기 제2 함입홈(RH2) 상에 삽입되어 거치되며, 상기 암모듈(RB)의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제1 함입홈(RH1)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가이드부(GM)의 단부에 위치되는 히팅부(HM)와 상기 히팅부(HM)의 상방을 개폐시키는 계폐형 촬영부로 구비되며, 상기 촬영부는 제1 촬영부(CM1) 및 제2 촬영부(CM2)로 구비되어 회동을 통해 상기 히팅부(HM)의 상면을 폐쇄 또는 노출시키며, 상기 히팅부(HM)과 마주하는 상기 제1 촬영부(CM1)의 저면부 상에는 제1 단열패널(CH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촬영부(CM2)의 저면부 상에는 제2 단열패널(CH2)이 구비되고, 상기 히팅부(HM)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5 단열패널(CH5)이 구비되며, 회동 시 상기 히팅부(HM)의 상기 제5 단열패널(CH5)과 마주접하게 되는 상기 제1 촬영부(CM1)의 둘레부 상에는 제3 단열패널(CH3)이 구비되고, 상기 히팅부(HM)의 둘레부 제2 영역(L2)에는 제6 단열패널(CH6)이 구비되며, 회동 시 상기 히팅부(HM)의 상기 제6 단열패널(CH6)과 마주접하게 되는 상기 제2 촬영부(CM2)의 둘레부 상에는 제3 단열패널(CH3)이 구비된다.
상기 스프레이건(1050)은, 상기 스프레이건(1050)의 전단부를 향하여 유동되는 소정의 제2 암모듈(RB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 둘레부 적어도 일부영역 상에 소정의 제3 함입홈(RH3)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소정의 관절형 제2 가이드부(GM2)와 상기 제2 가이드부(GM2)로부터 연장되는 제2 본체(1112)모듈(BM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제3 함입홈(RH3)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제3 함입홈(RH3)의 내부에는 상기 제3 함입홈(RH3) 깊이 이상으로 소정의 제4 함입홈(RH4)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의 상기 제2 가이드부(GM2)은 상기 제4 함입홈(RH4) 상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의 상기 제2 본체(1112)모듈(BM2)은 상기 제3 함입홈(RH3) 상에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기 본체모듈(BM)은 상기 제1 함입홈(RH1)에 대응하여 커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암모듈(RB2)은 상기 제3 함입홈(RH3)에 대응하여 커브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9 내지 도 34은 본 발명의 오염방지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9 내지 도 34을 참조하면, 전술한 제1 운송수단(70‘‘) 또는 제2 운송수단(8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대(L‘); 및 상기 지지대(L‘)에 결속되어,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고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멀티 범퍼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대를 거치하기 위한 제1 범퍼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은, 상기 지지대의 단부 일영역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1112‘)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가압부(1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1113‘)가 구비되는 제1-1 범퍼모듈(1110‘)과, 상기 지지대의 단부 타영역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부(2112‘)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가압부(2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부(2113‘)가 구비되는 제1-2 범퍼모듈(2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부(1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안착부(1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가압부(1112‘)의 상기 제1 안착부(1111‘) 대향면 상에는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와,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압부(2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안착부(2111‘) 대향면 상에는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와,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 및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과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 한다.
상기 지지대는 바(bar‘) 형상체이며, 상기 지지대(L‘)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방에서 하방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한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CM‘)으로 연동되어 수평방향 간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사이에서 내부로 가압되어 안착되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는 각각 내부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향하는 경사면의 외부로 출몰되는 돌기(O‘)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O‘)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O‘)에 의하여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적어도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접하는 접촉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O‘)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O‘)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 상에는 각각 높이방향 상으로 유동되는 승하강 수단(UP‘)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상기 제1 회전부(1113‘)와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상면부 제1 수평영역 상에는 상기 지지대를 향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고정수단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안착부(1111‘) 및 상기 제2 안착부(2111‘) 상에 안착된 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의 상방 노출면인 제2 수평영역 적어도 일부 가압하도록 유동되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수단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빗변이 상기 지지대 반대편을 향하도록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직삼각형상체이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바 또는 플레이트 형상체로서, 챔퍼가 형성된 하단부로 둘레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고정수단의 상방을 가압하되,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하단부가 상기 고정수단의 빗변 적어도 일부와 형합하도록 접촉하여 가압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 범퍼모듈(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범퍼모듈(2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3 안착부(3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3 회전부(3113‘)가 구비되는 제2-1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4 안착부(4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일정영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4 회전부(4113‘)가 구비되는 제2-2 범퍼모듈(4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는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적어도 경사면 일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하방에는 상방과 하방간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펌핑모듈(PM‘)이 구비되며, 상기 펌핑모듈(PM‘)은, 하판부(BL‘)와,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가 거치되며, 상기 하판부(BL‘)로부터 탄성수단 및 폄핑수단을 매개로 상방과 하방 간에 유동 가능한 상판부(UL‘)를 포함한다.
상기 펌핑수단은 유체의 내장 및 토출을 위하여 유체가 내장되는 내장체(I‘)와, 외부 가압힘 또는 진동에 기반하여 상기 내장체(I‘) 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어, 상기 내장체(I‘)의 상기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체(P‘)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는 상호간에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각각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체(I‘)는 수평방향 단부 상으로 분사노즐(N‘)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되,상기 유체는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이거나, 유색을 띠는 기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 상에 1차 안착되되, 상기 제1 회전부(1113‘) 및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되거나, 기 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연결부재
110 : 지지대
112 : 제1각도조절빔
114 : 제2각도조절빔
116a,116b : 볼하우징
118 : 빔고정노브
120 : 부착판
122 : 볼
124 : 자성체
130 : 결합부재

Claims (1)

  1. 원격에서 정확한 거리산출을 위한 레이저(320') 거리측정기, 대상물과 시준선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초준렌즈, 기포관이 허용 반지름 안에 들어올 때 자동으로 기포관을 표정하는 자동수준장치, 적정거리를 관측자에게 표시해주는 액정표시장치,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연결케이블, 관측을 위한 접안렌즈, 거리데이터를 계산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장치 및 거리계산과 속성정보처리를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표척에 대응하여 관측 값을 얻기 위한 시준선장치 및 원거리 대상물을 가까이 보기 위한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기준점 측량장치(310')로서,
    상기 측량장치(310')는 출사된 레이저(320')를 반사시켜 정확한 위치 측량이 가능하도록 하는 측량용 타켓을 포함하되, 상기 측량용 타켓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연결부재(100'); 일단부의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00')에 결합되어 측량 대상물을 지시하는 지침부와, 상기 지침부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프레임(220')과, 상기 프레임(220')의 전면에 구비되고 측량 기준점이 표시되어 있는 반사판(230')으로 이루어지는 반사부재(200');로 구성되고, 상기 반사판(230')은 소정의 오염방지 가공수단을 통해 오염방지 처리되며,
    상기 오염방지 가공수단은,
    분사유닛(10')과, 상기 분사유닛(10')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유닛(21', 22')과, 상기 지지유닛(21', 22')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3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21', 22')은 소정의 가이드부(25')와, 상기 가이드부(25')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유닛(30')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피벗부(26')와, 상기 피벗부(26')에서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부(25')에 대해 일정각도로 교차되게 연장된 연장부(27')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유닛(30')은 상기 지지유닛(21', 22')의 피벗부(26')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수직폴대(31')와, 상기 수직폴대(31')가 높이조절가능 하게 설치되는 홀더(32')와, 상기 홀더(3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33')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폴대(31')의 상단에는 피벗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벗연결부에는 상기 지지유닛(21', 22')의 피벗부(26')가 피벗축을 매개로 피벗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더(32')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33')을 따라 가이드되는 가이드블럭(32b')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25')는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가이드부(25a')와, 상기 하부가이드부(25a')으로 부터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의 동작 및 진퇴 동작을 수행하는 상부가이드부(25b')로 구비되며,
    상기 분사유닛(10')은 상기 하부가이드부(25a') 상에 구비되는 하부분사유닛(10a')과, 상기 상부가이드부(25b') 상에 구비되는 상부분사유닛(10b')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가이드부(25b')는 상호 간에 틸팅 가능한 복수의 마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가이드부(25b') 상의 상기 상부분사유닛(10b') 둘레부 적어도 일부 상에는 분사제어모듈(40')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분사유닛(10b')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 용량을 제어하며,
    상기 분사제어모듈은(40'),
    상기 하부가이드부(25a')의 길이방향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 분사제어모듈(41')과,
    상기 하부가이드부(25a')의 길이방향 단부 상에서 틸트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 분사제어모듈(42')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제어모듈(41')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1 실린더모듈(S1'),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2 실린더모듈(S2')과,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로부터 출몰되는 제1 피스톤모듈(P1'), 상기 제2 실린더모듈(S2')로부터 출몰되는 제2 피스톤모듈(P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제어모듈(42')은 내측면 상에 진퇴형 제3 실린더모듈(S3'),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과 이웃하는 진퇴형 제4 실린더모듈(S4')과,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로부터 출몰되는 제3 피스톤모듈(P3'), 상기 제4 실린더모듈(S4')로부터 출몰되는 제4 피스톤모듈(P4')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실린더모듈(S1')은 상기 제3 실린더모듈(S3')은 상호간에 대향하며, 상기 제2 실린더모듈(S2')과 상기 제4 실린더모듈(S4')은 상호간에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피스톤모듈(P1') 내지 상기 제4 피스톤모듈(P4')은 상호간에 출몰 거리 설정을 통해 상기 상부분사유닛(10b')의 코팅물질 분사범위 및 분사용량을 제어하는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측량기준점의 공간정보 현장지원 시스템.
KR1020180109447A 2018-09-13 2018-09-13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측량기준점의 공간정보 현장지원 시스템 KR101953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447A KR101953857B1 (ko) 2018-09-13 2018-09-13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측량기준점의 공간정보 현장지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447A KR101953857B1 (ko) 2018-09-13 2018-09-13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측량기준점의 공간정보 현장지원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073A Division KR101944446B1 (ko) 2018-04-20 2018-04-20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측량기준점의 공간정보 현장지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857B1 true KR101953857B1 (ko) 2019-03-04

Family

ID=6576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447A KR101953857B1 (ko) 2018-09-13 2018-09-13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측량기준점의 공간정보 현장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8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7635A (zh) * 2020-09-14 2020-11-17 河北建筑工程学院 一种用于地图测绘的全站仪及调平方法
CN114594483A (zh) * 2022-02-25 2022-06-07 国网内蒙古东部电力有限公司信息通信分公司 一种基于数据处理与计算的电力光路信息监测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9152A (ko) * 2011-02-01 2012-08-09 (주)코세코 컴퓨터 지원 설계방식 기반의 좌표변환 방법
KR200462233Y1 (ko) * 2012-02-03 2012-09-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엔에프씨와 큐알 코드를 이용한 위치 정보 표지구
KR20160057057A (ko) * 2014-11-13 2016-05-23 대진기술정보 (주) Nfc태그가 내장된 측량용 표시말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9152A (ko) * 2011-02-01 2012-08-09 (주)코세코 컴퓨터 지원 설계방식 기반의 좌표변환 방법
KR200462233Y1 (ko) * 2012-02-03 2012-09-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엔에프씨와 큐알 코드를 이용한 위치 정보 표지구
KR20160057057A (ko) * 2014-11-13 2016-05-23 대진기술정보 (주) Nfc태그가 내장된 측량용 표시말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7635A (zh) * 2020-09-14 2020-11-17 河北建筑工程学院 一种用于地图测绘的全站仪及调平方法
CN114594483A (zh) * 2022-02-25 2022-06-07 国网内蒙古东部电力有限公司信息通信分公司 一种基于数据处理与计算的电力光路信息监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38453B (zh) 智能定位模块
US10890446B2 (en) Surveying device comprising height measuring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 height
US9255798B2 (en) Survey device
US10162057B2 (en) Portable distance measuring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relative positions
US20150204976A1 (en) Hand-held distance-measuring device having an angle-determining unit
US8310535B2 (en) Surveying system
US9746324B1 (en) Adjustable high precision surveying device
KR101953857B1 (ko)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측량기준점의 공간정보 현장지원 시스템
US20220283327A1 (en) Measurement method, measurement systems and auxiliary measurement instruments
CN106716061B (zh) 测设信息标示装置、测设信息标示方法
CN106959450A (zh) 勘测杆
KR20130069790A (ko) 원격 제어 유닛에 통합된 카메라를 가진 측지 측량 시스템
US9939265B2 (en) Tracking method and tracking system
US20140298666A1 (en) Surface determination for objects by means of geodetically precise single point determination and scanning
US20170219710A1 (en) Tracking Method and Tracking System
US9417062B2 (en) Forensic mapping instrument
US8720074B2 (en) Robotic leveling
US20220011105A1 (en) Geodetic instrument comprising a base and a geodetic surveying and/or projection module
JP2022544002A (ja) 少なくとも一つのスキャン装置のためのフレームと少なくとも一つのスキャン装置を備える空間検出装置
US20210132195A1 (en) Mobile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an object space
US20220172406A1 (en) Measurement method, measurement systems and auxiliary measurement instruments
KR101944446B1 (ko) 엔에프시 또는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측량기준점의 공간정보 현장지원 시스템
ES2323009T3 (es) Dispositivo de implantacion por marcado con punzon de referencias predeterminadas sobre una pared de una cara de cuba de almacenamiento.
KR101850546B1 (ko)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입체 이미지 확보장치
KR101574517B1 (ko)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