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731B1 - PDTR including an apparatus for preventing steam condensation - Google Patents

PDTR including an apparatus for preventing steam condens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731B1
KR101953731B1 KR1020170067029A KR20170067029A KR101953731B1 KR 101953731 B1 KR101953731 B1 KR 101953731B1 KR 1020170067029 A KR1020170067029 A KR 1020170067029A KR 20170067029 A KR20170067029 A KR 20170067029A KR 101953731 B1 KR101953731 B1 KR 101953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reactor
coal
water jacket
solid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0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30873A (en
Inventor
라호원
윤상준
서명원
문태영
문지홍
김용구
윤성민
이재구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67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731B1/en
Publication of KR20180130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8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7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02Fixed-bed gasification of lump fuel
    • C10J3/06Continuous processes
    • C10J3/10Continuous processes using external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02Fixed-bed gasification of lump fuel
    • C10J3/20Apparatus; Plants
    • C10J3/30Fuel charg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723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gasification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78High-pressur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200/00Details of gasification apparatus
    • C10J2200/09Mechanical details of gasifi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eal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 응축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PDTR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상기 스팀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스팀 응축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PDTR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팀노즐 부근만은 지엽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상부체결부재나 상부실링부재의 손상, 누수, 파손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스팀의 응축에 의한 반응기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특히 장시간의 운전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반응기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DTR including a steam supply device for supplying steam to a PDTR including a steam condensation prevention device and a steam condensation prevention device including the steam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the reactor due to condensation of steam without damaging, leaking or damaging the upper fastening member or the upper sealing member by locally heating only the vicinity of the steam nozzle. In particular, despite the long operation time, damage of the reactor, which may occur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did not occur.

Description

스팀 응축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PDTR{PDTR including an apparatus for preventing steam condensation}[0002] A PDTR including a steam condensation prevention device (PDTR including an apparatus for preventing steam condensation)

본 발명은 가압조건에서 고체연료 반응성의 연속적 측정을 위한 장치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상기 스팀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가압조건에서 고체연료 반응성의 연속적 측정을 위한 장치, 더욱 구체적으로는 석탄 반응성의 연속적 측정을 위한 PDTR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상기 스팀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석탄 반응성의 연속적 측정을 위한 PDTR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supply device for supplying steam to an apparatus for continuous measurement of solid fuel reactivity under pressurized conditions and to an apparatus for continuous measurement of solid fuel reactivity under pressurized conditions including the steam supply apparatus, And a PDTR for continuous measurement of coal reactivity including the steam supply device.

석탄 가스화는 석탄을 수증기, 산소, 수소, 탄산가스 등의 가스화제와 반응시켜 CO, H2, CO2, CH4 등의 가스로 변환시키는 것으로서 석탄 가스화의 성능은 석탄의 물성, 가스화기 설계 및 운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Coal gasification is the conversion of coal into gas such as CO, H 2 , CO 2 , and CH 4 by reacting it with a gasifier such as water vapor, oxygen, hydrogen or carbonic acid gas. The performance of coal gasification depends on the properties of the coal, It depends on the operating conditions.

석탄은 가연성분과 질소, 유황 및 각종 광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은 탄종에 따라 다른 비율을 지니고 있다. 석탄은 탄종에 따라 물리적 구조도 다르기 때문에 모든 석탄에 대한 가스화 특성을 일률적으로 해석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Coal contains combustible minerals, nitrogen, sulfur and various minerals, and these components have different propor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coal. Since coal has different physical structure depending on the type of coal,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interpret the characteristics of gasification for all coal.

한편, 석탄 가스화는 운전조건에 따라서 반응경로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가스화 생성물 및 반응 성능도 차이를 보인다. 그렇지만, 가스화기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석탄을 가스상으로 전환시키고, 원하는 성상의 가스를 얻음과 동시에 석탄 중 회재성분(회분)을 안정적으로 반응기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가스화기 내부에서 일어나는 현상파악 및 운전조건 제어가 매우 중요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al gasification not only changes the reaction path depending on the operating conditions but also shows differences in gasification products and reaction performance. However,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the gasifier is to convert the coal into a gaseous phase, to obtain a desired gas, and at the same time to discharge the component (ash) of the coal stably out of the reactor. For this purpose, it is very important to grasp the phenomenon occurring inside the gasifier and to control the operating conditions.

다양한 상업화 가스화기가 운전되고 있지만, 탄종별 최적 운전조건 도출을 위해서는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고 있다. 이미 설계 제작되어 운전중인 플랜트에서도 반응성을 적절하게 측정 및 예측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이다.Various commercialized gasifiers have been operated, but many trials and errors have been made to derive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for each type of coal. It is still a difficult task to properly measure and predict reactivity in already designed and operating plants.

석탄 가스화는 크게 두 가지 단계로 구성되는데, 첫 번째 단계는 석탄이 고온하에서 매우 빠르게 열분해하는 탈휘발화 반응으로서, CO2, CO, H2O, H2 및 CH4를 주성분으로 하는 가스상 물질과 타르라고 불리는 액상물질, 분해 잔재물인 촤(char)를 생성한다. 열분해 반응의 차이로 인한 초기 생성물에는 큰 차이가 없으나, 열분해 생성물은 계속적인 열분해, 그리고 각종 가스와의 추가 반응으로 인해 차이가 있다. 특히 분류층 가스화기에서는 열분해 자체가 매우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는 급속 열분해이기 때문에 저속가열특성과는 생성물 분포나 휘발화 정도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된다.Coal gasification is composed of two steps. The first step is the decomposition of coal, which decomposes very rapidly at high temperature. It is a gaseous material composed mainly of CO 2 , CO, H 2 O, H 2 and CH 4 A liquid substance called tar, and a decomposition residue, cha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itial products due to the difference in pyrolysis reaction, but pyrolysis products are different due to continuous pyrolysis and additional reaction with various gases. Especially, in the cracked bed gasifier, since pyrolysis itself is a rapid pyrolysis which occurs at a very high rate, there is a grea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roduct distribution and volatilization from the low rate heating characteristic.

분류층 반응기는 석탄과 가스화제를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이송하면서 회분의 용융점 이상 온도(1400℃)에서 가스화 반응을 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Shell, GE, KT, E-gas 공정 등이 있다. 덩어리 상태의 원료탄을 200mesh 이하의 입자가 70% 이상이 되도록 분말형태로 분쇄한 미분탄을 수증기, 산소와 함께 가스화기에 공급하면 가스화기 내에서 석탄과 가스가 현탁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The stratified bed reactor is a gasification reaction at a temperature exceeding the melting point of the ash (1400 ° C) while simultaneously transporting the coal and the gasifying agent in the same direction. Typically, there are Shell, GE, KT and E-gas processes. Coal and gas are suspended in the gasifier when pulverized coal pulverized in the form of powder is supplied to the gasifier together with water vapor and oxygen so that the mass of the cullet having a size of 200mesh or less is 70% or more.

가스화기 내부에서는 가급적 미반응 탄소가 가스화기를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석탄 입자가 반응기를 빠져나가기 전에 가스화를 완료시켜야 한다. 빠른 반응 속도유지를 위해 석탄입자 미분화, 높은 반응온도 유지, 가스화를 위한 반응물간 혼합도 증가 및 체류시간 확보 등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고려한 가스화기 설계 및 운전이 이루어져야 한다.Inside the gasifier, the gasification must be completed before the coal particles escape from the reactor to prevent as much unreacted carbon from escaping the gasifier as possible. In order to maintain the rapid reaction rate,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coal particles are undifferentiated, maintaining a high reaction temperature, mixing of reactants for gasification, securing of residence time, and so on.

가스화 반응 속도가 빠른 분류층 가스화 방식이 복합발전에 이용될 경우 부하 변동에 민감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빠른 반응 속도가 특징인 분류층 가스화 방식은 고온 반응이기 때문에 타르나 페놀 등이 생성되지 않으며 사용할 수 있는 탄종의 범위가 넓다. 또한, 조작이 단순하고 고정층이나 유동층 방식보다 상대적으로 소규모 가스화기로도 다량의 고온 가스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 전체의 열 손실이 크고 용융된 회의 배출장치가 다소 복잡하여 설비의 내열성이 확보되어야 한다.When the gasification reaction is performed at a high speed, it is possible to cope with load fluctuations sensitively. Because of the high-temperature reaction, the classification layer gasification system, which is characterized by a rapid reaction rate, does not generate tar and phenol, and has a wide range of usable seeds. Also, a large amount of hot gas can be produced with a simple operation and relatively smaller gasifier than a fixed bed or fluidized bed system. However, the heat loss of the entire system is large, and the molten meeting discharging device is somewhat complicated, so that the heat resistance of the equipment must be secured.

분류층 가스화 방식은 급속 열분해 다음 과정에 촤 가스 반응이 이루어지는데, 촤 가스 반응과 관련하여 1990년 이전까지 연구결과로 보면, 1,000℃ 이하 운전온도에서 가스화 반응은 운전조건인 온도, 압력, 석탄의 물성에 해당하는 석탄 등급, 기공 구조, 무기물 함량, 열분해 조건 및 촤의 활성점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As a result of the study, the gasification reaction at the operation temperature below 1,000 ℃ is considered to be the operating condition of temperature, pressure and coal It has been reported that it depends on the coal grade, pore structure, mineral content, pyrolysis conditions,

탄종에 따른 이와 같은 인자들의 관계는 반응성을 일률적으로 표현하기에는 명확하지 않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고체 반응에서는 반응이 고온화됨에 따라 율속단계가 화학반응으로부터 물질전달로 변화하지만, 현재까지 발표된 바로는 고온 조건 하에서도 탄종 차이에 의한 화학적 반응성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ccording to the bull species is not clear enough to express reactivity uniformly. Generally, in the gas-solid reaction, the rate-controlling step changes from chemical reaction to mass transfer as the reaction gets higher in temperature. However, it is know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chemical reactivity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the noble metal even under high-

1990년 이후로는 IGCC에 의한 전력생산이 가장 효율적이고 청정한 방식이라는 것이 입증되면서, 부하추종성이 우수하고 대형화가 용이한 분류층 석탄 가스화 방식이 개발되었다. 그에 따라 석탄 가스화 반응성 연구도 점차 분류층 가스화기에서 전형적으로 운전되는 2.5~3.0MPa 및 회융점 이상 온도인 최대 1,500℃ 조건하에서 이루어지게 되었다.Since 1990, it has been proved that IGCC power generation is the most efficient and clean method. As a result, studies on coal gasification reactivity were gradually made under the conditions of 2.5 ~ 3.0MPa, which is typically operated in the gasifier, and maximum temperature of 1,500 ℃, which is higher than the reflux point.

현재까지 다양한 가스화기 개발이나 실증 플랜트에서 운전조건 최적화를 위한 막대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이유는 세계적으로 매우 다른 물성을 지닌 석탄들이 매장되어 있고, 이를 채굴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은 발전용 연료인 석탄을 여러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기 때문에 CRIEPI, MHI 등 고온, 가압조건에서 반응성 연구에 대한 많은 결과물을 보유하고 있는데, 향후 국내에서도 이와 같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Until now, huge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 various gasifiers and to optimize the operating conditions in demonstration plants because the coals with very different properties are buried in the world and they are used and mined. Since Japan imports coal, which is a fuel for power generation, from many foreign countries, it has a lot of results for reactivity research under high temperature and pressurization conditions such as CRIEPI and MHI.

이와 같이 석탄 사용량 증가에 따른 다양한 석탄 탄종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반응기 설계와 운전조건 도출을 위해서는 이에 맞는 반응성 측정자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가스화 반응기 수치 모사를 위해서는 탄종별 가스화 반응에 대한 키네틱(kinetic) 자료 확보 또한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상용급 가스화 장치는 대부분 가압조건에서 운전되고 있어서, 가압조건에서 석탄의 반응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즉, 고온, 고압, 급속 가열의 실증 플랜트 운전 조건하에서 석탄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In this way, a variety of coal fodder has been u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coal used. Therefore, reactivity measurement data for the reactor design and operating conditions are necessary. In order to simulate the gasification reactor, it is also necessary to obtain kinetic data for the coal gasification reaction. Especially, commercial gasification equipment is operated under most pressurized conditions, and a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reactivity of coal under pressurized conditions is needed. That is, it is necessary to secure data on coal under operating conditions of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and rapid-heating demonstration plants.

대표적인 석탄 반응성 측정 장치인 TGA는 저속 가열 및 상압조건에서 운전되어 실제 공정을 모사하기 위한 자료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TGA, which is a typical coal reactivity measuring device, is operated at low-speed heating and atmospheric pressure conditions and is not suitable as data for simulating actual processes.

PDTR(Pressurized Drop Tube Reactor) 장치는 소형의 반응기에서 대표적인 상용급 가스화 장치인 분류층 가스화 장치를 모사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 PDTR 반응기(1)의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가열로(31)가 개방된 상태의 PDTR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The Pressurized Drop Tube Reactor (PDTR) device can simulate a classifying bed gasifier as a typical commercial gasifier in a small reactor. Figure 1 shows a photograph of a conventional PDTR reactor (1). Fig. 2 shows a photograph of the PDTR in a state in which the heating furnace 31 is ope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PDTR 반응기(1)는 가열로(31)와 가열로(31) 내에 구비되는 관형태의 반응기(30), 반응기(30)의 상부로 석탄과 산화제를 공급하는 석탄공급부(10), 회분(Ash)이 포집되는 회분 탱크(2), 반응기(30)와 석탄 공급부(10) 사이에 구비되어, 반응기(30) 유입부 측으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공급수단(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1 and 2, a conventional PDTR reactor 1 includes a tubular reactor 30 provided in a heating furnace 31 and a heating furnace 31, and an upper portion of the reactor 30, The ash is collected between the reactor 30 and the coal supply unit 10 to supply the steam to the inlet of the reactor 30, (Not shown), and the like.

도 3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가압조건에서 고체연료 반응성 측정을 위한 회분샘플링장치를 이용한 반응성 측정 장치(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특허문헌 1의 상부고정장치(20) 부분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active measurement apparatus 100 using a batch sampling apparatus for solid fuel reactivity measurement under the conventional pressurization condition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upper fixing device 20 of Patent Document 1. 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회분샘플링장치(50)를 이용한 고체연료 반응성 측정 장치(100)는 고체연료공급부(10), 상부고정장치(20), 반응기(30), 가열로(31), 하부고정장치(40), 회분샘플링장치(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반응기(30)는 관형태이고 상부로 산화제와 고체연료가 투입되어 가스화 반응에 의해 하부로 회분이 토출된다. 반응기(30)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가열로(31)가 구비되어 반응기(30) 내부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승온,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열로(31)는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어 반응기(3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solid fuel reactivity measuring apparatus 100 using the ash sampling apparatus 50 includes a solid fuel supply unit 10, an upper fixing unit 20, a reactor 30, a heating furnace 31, a lower fixing unit 40, A sampling device 50, and the like. The reactor (30) is in the form of a tube, the oxidant and the solid fuel are injected into the upper part, and the ash is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by the gasification reaction. A heating furnace 31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reactor 30 to raise and mainta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actor 30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heating furnace 31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30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10.

가압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반응기(30) 내부 압력을 설정된 압력으로 승압,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가압수단 역시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어 반응기(30) 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회분샘플링장치(50)를 이용한 가압조건에서 연속적 고체연료 반응성 측정 장치(100)는 반응기(30) 상부 측에 고체연료공급부(10)를 구비하여 반응기(30) 내로 고체연료와 산화제를 유입시킨다. 반응기(30) 내로 고체연료와 산화제의 유입은 별도의 라인을 통해서도 가능하며, 산화제공급수단과 고체연료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제어부(110)에 의해 투입되는 산화제의 양과 고체연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Not shown) so as to raise and mainta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reactor 30 to a predetermined pressure. Such a pressurizing means is also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10 so as to control the pressure in the reactor 30 do. The continuous solid fuel reactivity measuring apparatus 100 at the pressurizing condition using the ash sampling apparatus 50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provided with the solid fuel supply unit 10 at the upper side of the reactor 30, The oxidant is introduced. The introduction of the solid fuel and the oxidant into the reactor 30 can be performed through a separate line, and the amount of the oxidant and the amount of solid fuel introduced by the control unit 110, including the oxidant supply means and the solid fuel supply means,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기(30) 상단측과 고체연료공급부(10)를 연결하는 연결단 외측으로 상부고정장치(20)가 구비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부고정장치(20)는 반응기(30) 상단측와 고체연료공급부(10)는 감싸도록 내부공간을 갖는 관형태로 구성되며, 반응기(30) 상단 외면과 상부고정장치(20) 하단 내면 사이에 상부체결부재(24)에 의해 체결되며, 상부 실링부재(25)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되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upper fixing device 20 is provided outside the connection end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reactor 30 and the solid fuel supply part 10. The upper fixing unit 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ube having an inner space to surround the upper end of the reactor 30 and the solid fuel supply unit 10 and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end upper surface of the reactor 30 and the lower end inner surface of the upper fixing unit 20. [ Is fastened by the upper fastening member (24), and tightly fastened by the upper sealing member (25).

상부고정장치(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공급라인(22)과 연결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스팀공급라인(22)은 상부고정장치(20)를 관통하여 끝단이 고체연료공급부(10)의 하부 끝단과 연결되어, 반응기(30) 상단 유입부로 스팀을 공급하여 가스화 조건 구현, 부분산화반응을 유도, 조절하게 된다. 상부고정장치(20)에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공급라인(22) 측에 스팀히팅수단(114)을 구비하여, 스팀이 응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The upper fixing device 20 is connected to the steam supply line 22 as shown in FIG. That is, the steam supply line 22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olid fuel supply unit 10 through an upper fixing unit 20, and supplies steam to the upper end inlet of the reactor 30 to realize a gasification condition, Thereby inducing and controlling the reaction. As shown in FIG. 4 or 5, the upper fixing unit 20 includes a steam heating unit 114 on the side of the steam supply line 22 so as to prevent the steam from being condensed and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Respectively.

특허문헌 1의 상부고정장치(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워터자켓(21)과 제2워터자켓(23)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제1워터자켓(21)은 스팀공급라인(22)의 상단측 상부고정장치(20) 내부 공간에 냉각수를 유입,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워터자켓(23)은 스팀공급라인(22)의 하단측 상부고정장치(20) 내부 공간에 냉각수를 유입,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워터자켓(21)과 제2워터자켓(23)은 냉각수 유입부와 토출부를 갖고, 냉각수 공급수단을 제어부(110)가 제어하여 제1워터자켓(21)과 제2워터자켓(23) 내를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부고정장치(20)는 이러한 제1워터자켓(21)과 제2워터자켓(23)을 구비하게 됨으로써, 반응기(30) 상단을 냉각하여 상부측의 상부체결부재(24)나 상부실링부재(25)의 손상, 누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하부고정장치(4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기(30)의 하단에 체결되어 반응기(30)에서의 회분이 유입되게 된다. 상부고정장치(20)와 하부고정장치(40)는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반응기(30)는 세라믹 재질 등으로 구성되게 된다. 하부고정장치(40)의 하단에 연결되어 가압, 고온 상태에서 연속적 샘플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분샘플링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upper fixing device 20 of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first water jacket 21 and a second water jacket 23. The first water jacket 21 is configured to allow the cooling water to flow into and discharge from the upper space of the upper fixing device 20 of the steam supply line 22. The second water jacket 23 is configured to allow the cooling water to flow into and discharge from the lower space of the lower fixing device 20 of the steam supply line 22. The first water jacket 21 and the second water jacket 23 have a cooling water inflow portion and a discharge portion and the cooling water supply means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portion 110 and the first water jacket 21 and the second water jacket 23 The flow rate of the cool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pipe can be adjusted. The upper fixing device 20 is provided with the first water jacket 21 and the second water jacket 23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reactor 30 is cooled and the upper fastening member 24 and the upper sealing member 25, 25, or the like can be prevented. As shown in FIG. 3, the lower fixing device 40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reactor 30, and the ash from the reactor 30 is introduced. The upper fixing device 20 and the lower fixing device 40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reactor 30 is made of a ceramic material or the like. And a batch sampling device 5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fixing device 40 for enabling continuous sampling at a high pressure and a high temperature.

종래의 PDTR 반응기에 대해 자세한 설명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바, 이에 대해 추가의 설명은 생략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a conventional PDTR reactor i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nd a further explan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반응성 측정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고정장치(20) 스팀공급라인(22) 측에 스팀히팅수단(114)을 구비하여, 스팀이 응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However, as shown in FIG. 5, the reactivity measuring apparatus 100 of Patent Document 1 is equipped with a steam heating means 114 on the side of the steam supply line 22 of the upper fixing device 20 to prevent condensation of steam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can be controlled.

스팀 공급시 응축으로 인해 반응기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에 의해서 고안된 스팀히팅수단(114)이 구비됨에도 장시간의 운전에서는 반응기의 파손이 계속 발생하였다. 도 6 및 도 7은 PDTR 스팀 공급시 응축으로 인한 알루미나 반응기 및 인코넬 반응기가 파손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actor is broken due to condensation during the supply of stea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e steam heating means 114 designed by the present applicant is provided, but the reactor continues to be damaged in a long time of operation. FIGS. 6 and 7 show that the alumina reactor and the inconel reactor due to condensation during PDTR steam supply are broken.

반응기(30) 상단을 냉각하여 상부측의 상부체결부재(24)나 상부실링부재(25)의 손상, 누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2워터자켓(23)에 의한 냉각수는 반응기 상단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냉각으로 인해서 실제 고온으로 공급된 스팀이 반응기 상단에서 응축되어 반응기를 손상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The cooling water by the second water jacket 23 provided to cool the upper end of the reactor 30 and prevent damage, leakage, breakage, and the like of the upper side upper coupling member 24 and the upper side sealing member 25, And it is analyzed that the steam supplied to the actual high temperature due to such cooling is condensed at the upper end of the reactor to damage the reactor.

특허문헌 1에서는 스팀을 가열하기 위한 스팀히팅수단(114)을 구비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으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스팀히팅수단(114)을 사용하여 스팀공급라인(22)을 포함하는 주변의 온도를 높이는 경우 오히려 상부체결부재(24)나 상부실링부재(25)의 손상으로 인해서 누수, 파손 등이 발생하는 추가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the patent document 1, the steam heating means 114 for heating the steam is provided. However, such a configuration can not solve the above problem.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s including the steam supply line 22 is increased by using the steam heating means 114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Breakage or the like occurr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78201호Korean Patent No. 167820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체결부재(24)나 상부실링부재(25)의 손상, 누수, 파손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스팀의 응축에 의한 반응기(30)의 파손을 막을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steam from being damaged by condensation of steam in a reactor without causing damage, leakage or breakage of the upper fastening member 24 or the upper sealing member 25 30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1양태는 스팀 응축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PDTR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에 있어서, 고체연료공급부 하단에 위치하며 스팀을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스팀노즐; 상기 스팀노즐의 측면에 위치하며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라인; 상기 스팀을 가열하기 위한 다수의 내장가열체가 상기 스팀노즐을 둘러싸고 있는 스팀가열부;를 포함하는 가압조건에서 석탄 반응성의 연속식 측정을 위한 장치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am supply device for supplying steam to a PDTR including a steam condensation prevention device, the steam suppl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steam Nozzle; A steam supply line located at a side of the steam nozzle for supplying steam; And a steam heating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built-in heating elements for heating the steam surround the steam nozzle. The steam supply unit supplies steam to the apparatus for continuous measurement of coal reactivity under a pressurizing condition.

본 발명에 따른 제2양태는 상기 스팀노즐은 고체연료공급부 하단의 고체연료공급관 말단을 중심으로 둘러싸고 있는 가압조건에서 석탄 반응성의 연속식 측정을 위한 장치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를 제공한다.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am supply apparatus for supplying steam to an apparatus for continuous measurement of coal reactivity under a pressurizing condition surrounding the solid fuel supply pipe end at the lower end of the solid fuel supply unit.

본 발명에 따른 제3양태는 상기 스팀가열부는 상기 스팀노즐과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며 상기 스팀노즐을 둘러싸며 근접된 다수의 연장홀이 마련되고, 상기 연장홀 내부에 발열체가 구비된 가압조건에서 석탄 반응성의 연속식 측정을 위한 장치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am heating unit, a plurality of extension holes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steam nozzle, the steam nozzle surrounds the steam nozzle, and a heating element is provided in the extension hole, A steam supply device for supplying steam to a device for continuous measurement of coal reactivity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제4양태는 관형태이고, 상부로 산화제와 고체연료가 투입되어 가스화 반응에 의해 하부로 회분이 토출되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 상부 측으로 고체연료와 산화제를 유입시키는 석탄공급부; 상기 석탄공급부와 상기 반응기의 상단 연결부 측에 구비되며, 상기 석탄공급부의 토출단 측을 냉각시키기 위한 제1워터자켓 및 상기 제1워터자켓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반응기 유입단으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스팀공급장치를 갖는 상부고정장치; 상기 반응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로; 상기 반응기 내를 가압시키기 위한 가압수단; 상기 반응기의 하단에 체결되며, 상기 반응기에서 토출되는 회분을 냉각시키기 위한 하부워터자켓을 갖는 하부고정장치; 및 상기 하부고정장치의 하단에 연결되며 가압조건에서 연속적 석탄 반응성 측정을 위한 회분샘플링장치;를 포함하는 가압조건에서 석탄 반응성의 연속식 측정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In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uel cell system comprising: a reactor in the form of a tube, in which an oxidant and a solid fuel are injected into the upper part and the ash is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by gasification reaction; A coal supply unit for introducing the solid fuel and the oxidant into the upper side of the reactor; A first water jacket provided on the coal supply part and a top connection part side of the reactor for cooling the discharge end side of the coal supply part and a second water jacket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water jacket, An upper fixing device having a steam supply device; A heating furnace for heating the reactor; A pressing means for pressing the inside of the reactor; A lower fixing device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reactor and having a lower water jacket for cooling the ash discharged from the reactor; And an ash sampling device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lower fixing device and for continuous coal reactivity measurement under a pressurized condition, the device for continuous measurement of coal reactivity under pressurized conditions.

본 발명에 따른 제5양태는 상기 반응기 유입단 외주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응기 유입단 측을 냉각시키기 위한 제2워터자켓을 더 포함하는 스팀 응축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PDTR를 제공한다.A fifth asp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DTR including a steam condensation prevention devic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reactor inlet e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water jacket for cooling the reactor inlet end side.

본 발명에 따른 제6양태는 상기 상부고정장치와 상기 반응기 상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고정장치와 상기 반응기 사이를 실링시키는 상부실링부재와, 상기 하부고정장치와 상기 반응기 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고정장치와 상기 반응기 사이를 실링시키는 하부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스팀 응축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PDTR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uel cell system including an upper seal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fixing device and the upper end of the reactor for sealing between the upper fixing device and the reactor, and a lower seal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lower fixing device and the lower end of the reactor, And a lower sealing member for sealing between the lower fixing device and the reactor.

본 발명에 따른 제7양태는 상기 고체연료, 상기 산화제, 상기 스팀의 공급량, 및 상기 제1워터자켓, 상기 제2워터자켓, 상기 가압수단, 상기 가열로, 상기 하부워터자켓, 상기 스팀가열부, 상기 회분샘플링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스팀 응축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PDTR를 제공한다.A seventh asp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am generator, comprising the steps of: supplying the solid fuel, the oxidizer, the steam, and the first water jacket, the second water jacke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ash sampling apparatus and the steam condensation preven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상부체결부재(24)나 상부실링부재(25)의 손상, 누수, 파손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스팀의 응축에 의한 반응기(30)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특히 장시간의 운전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반응기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amage to the reactor (30) due to condensation of steam without causing damage, leakage, or breakage of the upper fastening member (24) or the upper sealing member (25). In particular, despite the long operation time, damage of the reactor, which may occur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did not occur.

도 1은 기존 PDTR 반응기의 사진이다.
도 2는 기존 가열로가 개방된 상태의 PDTR 사진이다.
도 3 종래 발명에 따른 가압조건에서 석탄 반응성 측정을 위한 회분샘플링장치를 이용한 반응성 측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 발명에 따른 상부고정장치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 발명에 따른 알루미나 반응기의 파손에 대한 사진이다.
도 7은 종래 발명에 따른 인코넬 반응기의 파손에 대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고정장치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hotograph of a conventional PDTR reactor.
2 is a photograph of the PDTR in a state where the existing heating furnace is opened.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activity measuring apparatus using a batch sampling apparatus for measuring coal reactivity under a pressurizing cond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pper fixture por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6 is a photograph of breakage of the alumina rea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7 is a photograph of breakage of the Inconel rea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pper fixture por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an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Further,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plan views that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the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shapes that are produc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the etched area shown at right angles may be rounded or may have a shape with a certain curvature. Thus,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have attribut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forms of regions of the ele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have been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have only been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exemplified herein also include their complementary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have been set forth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greater detail and to assist in understanding it.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such specific details. In some instances, it should be noted that portions of the invention that are not commonly kn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vention do not describe confusing reasons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조건에서 고체연료 반응성 측정을 위한 회분샘플링장치를 이용한 반응성 측정 장치(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reactivity measuring apparatus 100 using the ash sampling apparatus for solid fuel reactivity measurement under the pressurizing con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고정장치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9 도 8의 A-A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pper fixtur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스팀 응축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PDTR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는 고체연료공급부 하단에 위치하며 스팀을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스팀노즐(122), 상기 스팀노즐(122)의 측면에 위치하며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라인(22), 상기 스팀을 가열하기 위한 다수의 내장가열체(121)가 상기 스팀노즐을 둘러싸고 있는 스팀가열부(120)으로 구성된다.The steam supply device for supplying steam to the PDTR including the steam condensation prevention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steam nozzles 122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solid fuel supply part for spraying steam, a steam nozzle 122 disposed at the side of the steam nozzle 122, A steam supply line 22 for supplying steam, and a plurality of built-in heating elements 121 for heating the steam, the steam heating unit 120 surrounding the steam nozzle.

상기 스팀노즐(122)은 고체연료공급부(10) 하단의 고체연료공급관(도면 미도시) 말단을 중심으로 둘러싸고 있다. 이때 상기 스팀가열부(120)는 상기 스팀노즐(122)과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며 상기 스팀노즐(122)을 둘러싸며 근접된 다수의 연장홀이 마련되고, 상기 연장홀 내부에 발열체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발열체는 스팀노즐(122) 근처에서만 국부적으로 주요 열이 발생하여 스팀에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상부체결부재(24)나 상부실링부재(25)의 손상이 거의 없이 스팀을 응축시키지 않은 상태로 반응기에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종래 가열 수단에서는 결코 얻을 수 없었던 것으로서, 본원 발명자는 각고의 노력 끝에 스팀노즐(122)에 가장 가까운 부분만을 가열했을 때 본원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가 얻어짐을 알 수 있었다.The steam nozzle 122 surrounds the solid fuel supply pipe 10 at the distal end of the solid fuel supply pipe (not shown). At this time, the steam heating unit 120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steam nozzle 122 and has a plurality of adjacent extended holes surrounding the steam nozzle 122, and a heating element is provided in the extended hole . Particularly, the heating element locally generates heat locally only near the steam nozzle 122 and directly affects steam only. So that the steam can be supplied to the reactor in a state in which steam is not condensed with little damage to the upper fastening member 24 or the upper sealing member 25. [ This effect can never be obtained by the conventional heating mean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the desire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when only the portion closest to the steam nozzle 122 is heated after the endeavor.

1:종래 PDTR 반응기
2;회분탱크
10:고체연료공급부
20:상부고정장치
21:제1워터자켓
22:스팀공급라인
23:제2워터자켓
24:상부체결부재
25:상부실링부재
30:반응기
31:가열로
40:하부고정장치
50:회분샘플링장치
100:회분샘플링장치를 이용한 가압조건에서 연속적 고체연료 반응성 측정 장치
110:제어부
114:스팀히팅수단
120: 스팀가열부
121: 내장가열체
122: 스팀노즐
1: Conventional PDTR reactor
2; ash tank
10: Solid fuel supply
20: upper fixing device
21: First water jacket
22: Steam supply line
23: Second water jacket
24: upper fastening member
25: Upper sealing member
30: Reactor
31: heating furnace
40: lower fixing device
50: Batch sampling device
100: Continuous solid fuel reactivity measuring device under pressurized condition using batch sampling device
110:
114: Steam heating means
120: Steam heating section
121: Built-in heating element
122: Steam nozzle

Claims (7)

스팀 응축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PDTR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에 있어서,
고체연료공급부 하단에 위치하며 스팀을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스팀노즐;
상기 스팀노즐의 측면에 위치하며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라인;
상기 스팀을 가열하기 위한 다수의 내장가열체가 상기 스팀노즐을 둘러싸고 있는 스팀가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스팀노즐은 고체연료공급부 하단의 고체연료공급관 말단을 중심으로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스팀가열부는 상기 스팀노즐과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며 상기 스팀노즐을 둘러싸며 근접된 다수의 연장홀이 마련되고, 상기 연장홀 내부에 발열체가 구비되고,
상기 발열체는 스팀노즐 근처에서만 국부적으로 열이 발생하며,
상기 고체연료공급부의 말단은 상기 스팀노즐보다 아래로 더 연장된 가압조건에서 석탄 반응성의 연속식 측정을 위한 장치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
1. A steam supply device for supplying steam to a PDTR including a steam condensation prevention device,
A plurality of steam nozzles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solid fuel supply unit and injecting steam;
A steam supply line located at a side of the steam nozzle for supplying steam;
A steam heating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built-in heating members for heating the steam surrounds the steam nozzle;
/ RTI >
The steam nozzle surrounds the solid fuel supply pipe at the lower end of the solid fuel supply unit,
The steam heating unit is disposed on the same plane as the steam nozzl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adjacent extension holes surrounding the steam nozzle,
The heat generating element locally generates heat only in the vicinity of the steam nozzle,
Wherein the end of the solid fuel supply unit supplies steam to a device for continuous measurement of coal reactivity under a pressurized condition that extends further below the steam nozzle.
삭제delete 삭제delete 관형태이고, 상부로 산화제와 고체연료가 투입되어 가스화 반응에 의해 하부로 회분이 토출되는 반응기;
상기 반응기 상부 측으로 고체연료와 산화제를 유입시키는 석탄공급부;
상기 석탄공급부와 상기 반응기의 상단 연결부 측에 구비되며, 상기 석탄공급부의 토출단 측을 냉각시키기 위한 제1워터자켓 및 상기 제1워터자켓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반응기 유입단으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제1항에 따른 스팀공급장치를 갖는 상부고정장치;
상기 반응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로;
상기 반응기 내를 가압시키기 위한 가압수단;
상기 반응기의 하단에 체결되며, 상기 반응기에서 토출되는 회분을 냉각시키기 위한 하부워터자켓을 갖는 하부고정장치; 및
상기 하부고정장치의 하단에 연결되며 가압조건에서 연속적 석탄 반응성 측정을 위한 회분샘플링장치;
를 포함하는 가압조건에서 석탄 반응성의 연속식 측정을 위한 장치.
A reactor in which an oxidant and a solid fuel are injected into the upper part and the ash is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by gasification reaction;
A coal supply unit for introducing the solid fuel and the oxidant into the upper side of the reactor;
A first water jacket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al supply part and an upper end connection part of the reactor for cooling the discharge end side of the coal supply part and a second water jacket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water jacket, An upper fixing device having a steam suppl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 heating furnace for heating the reactor;
A pressing means for pressing the inside of the reactor;
A lower fixing device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reactor and having a lower water jacket for cooling the ash discharged from the reactor; And
A batch sampling devic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fixture for continuous coal reactivity measurement under pressurized conditions;
For a continuous measurement of coal reactivity under pressurized condition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유입단 외주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응기 유입단 측을 냉각시키기 위한 제2워터자켓을 더 포함하는 가압조건에서 석탄 반응성의 연속식 측정을 위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second water jacket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reactor inlet end for cooling the reactor inlet end si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장치와 상기 반응기 상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고정장치와 상기 반응기 사이를 실링시키는 상부실링부재와,
상기 하부고정장치와 상기 반응기 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고정장치와 상기 반응기 사이를 실링시키는 하부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가압조건에서 석탄 반응성의 연속식 측정을 위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 upper seal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fixing device and the upper end of the reactor for sealing between the upper fixing device and the reactor,
And a lower seal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lower fixing device and the lower end of the reactor for sealing between the lower fixing device and the react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연료, 상기 산화제, 상기 스팀의 공급량, 및 상기 제1워터자켓, 상기 제2워터자켓, 상기 가압수단, 상기 가열로, 상기 하부워터자켓, 상기 스팀가열부, 상기 회분샘플링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가압조건에서 석탄 반응성의 연속식 측정을 위한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t least one of the first water jacket, the second water jacket, the pressurizing means, the heating furnace, the lower water jacket, the steam heating unit, and the ash sampl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ne of the plurality of coal reactors.
KR1020170067029A 2017-05-30 2017-05-30 PDTR including an apparatus for preventing steam condensation KR1019537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029A KR101953731B1 (en) 2017-05-30 2017-05-30 PDTR including an apparatus for preventing steam condens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029A KR101953731B1 (en) 2017-05-30 2017-05-30 PDTR including an apparatus for preventing steam condens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873A KR20180130873A (en) 2018-12-10
KR101953731B1 true KR101953731B1 (en) 2019-03-04

Family

ID=6467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029A KR101953731B1 (en) 2017-05-30 2017-05-30 PDTR including an apparatus for preventing steam condens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73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614B1 (en) 2014-09-05 2015-10-30 현대건설 주식회사 Fuel injection device for Coal Gasifier and Coal gasification facility comprising the same
KR101678201B1 (en) * 2015-04-27 2016-11-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oal reactivity using ash sampling unit under press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813Y2 (en) * 1989-07-20 1995-09-20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Burner for coal gasification
KR101536743B1 (en) * 2013-10-11 2015-07-15 주식회사 포스코 Feed mixer for coal gasifi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614B1 (en) 2014-09-05 2015-10-30 현대건설 주식회사 Fuel injection device for Coal Gasifier and Coal gasification facility comprising the same
KR101678201B1 (en) * 2015-04-27 2016-11-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oal reactivity using ash sampling unit under pres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873A (en)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648B1 (en) High-temperature gasification process using biomass to produce synthetic gas and system therefor
KR101336945B1 (en) High temperature gasifying process with biomass and system thereof
US9481839B2 (en) Hot oxygen nozzle and uses thereof in gasifiers
CN100366710C (en) Multi-nozzle coal water mixture or fine coal gasifying furnace and its industrial application
AU2011203614B2 (en) Gas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fuel injectors
KR101336950B1 (en) High temperature gasifying process with biomass and system thereof
RU2002116221A (en) Hydrogen production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CN101668833A (en) By the equipment that generates product gas such as the fuel of biomass
CN103160328B (en) Coal dry powder gasification device
CN104178227B (en) A kind of fluidized bed dry distillation method and device of coal dust
KR101336920B1 (en) High temperature gasifying process with biomass and system thereof
KR101953731B1 (en) PDTR including an apparatus for preventing steam condensation
KR1016782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coal reactivity using ash sampling unit under pressure
US20140241949A1 (en) Radiant heat tube chemical reactor
CN102851080B (en)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power generation system and gasifying reactor and method
KR101782003B1 (en) Ash Sampl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Solid fuel reactivity Continuous Measurement under Pressur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solid fuel reactivity using the same
CN108431181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gas
JP5827511B2 (en) Coal gas production method and methane production method
KR101858776B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producing coke during indirectly heated gasification
US8858660B2 (en) Cooled gasifier vessel throat plug with instrumentation cavity
US8529645B2 (en) Hydrogasification reactor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CN206219524U (en) Pot destroying process hydrocarbon gas combine coal gasification preparing synthetic gas apparatus and system
CN211896818U (en) Shell gasification furnace for eliminating annular space temperature fluctuation
WO2023148784A1 (en) An oxygen enriched air blown pilot scale pressurized fluidized bed refractory lined gasifier
KR101537058B1 (en) Apparatus for gasification of refuse derived fuel and method for gasification of refuse derived fuel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