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612B1 -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치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3612B1 KR101953612B1 KR1020170178279A KR20170178279A KR101953612B1 KR 101953612 B1 KR101953612 B1 KR 101953612B1 KR 1020170178279 A KR1020170178279 A KR 1020170178279A KR 20170178279 A KR20170178279 A KR 20170178279A KR 101953612 B1 KR101953612 B1 KR 1019536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ient
- panic disorder
- information
- training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61B5/0205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 and temperature
-
- A61B5/0476—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61M2021/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images, e.g. video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8—Other bio-electrical signals
- A61M2230/10—Electroencephalographic sig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을 적용한 영상콘텐츠를 이용하여 노출훈련을 행하여 공황장애를 극복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극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설정된 단계로 구분되는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를 입력받는 공황장애 경도 입력부; 상기 공황장애 경도에 대응되는 노출강도를 가진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가상현실 영상콘텐츠 생성부; 상기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상기 환자에게 노출하여 훈련시키는 공황장애 훈련부; 상기 공황장애 훈련부에 의해 상기 가상현실 영상콘텐츠에 노출되어 훈련하는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생체정보 수집부; 상기 생체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분석하는 환자상태 분석부; 및 상기 환자상태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공황장애 훈련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를 관리하는 훈련결과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치료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설정된 단계로 구분되는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를 입력받는 공황장애 경도 입력부; 상기 공황장애 경도에 대응되는 노출강도를 가진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가상현실 영상콘텐츠 생성부; 상기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상기 환자에게 노출하여 훈련시키는 공황장애 훈련부; 상기 공황장애 훈련부에 의해 상기 가상현실 영상콘텐츠에 노출되어 훈련하는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생체정보 수집부; 상기 생체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분석하는 환자상태 분석부; 및 상기 환자상태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공황장애 훈련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를 관리하는 훈련결과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치료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을 적용한 영상콘텐츠를 이용하여 노출훈련을 행하여 공황장애를 극복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극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상현실은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가상의 환경이나 상황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가상현실은 가상현실을 위한 영상, 소리, 촉감 등에 의한 가상의 환경이나 상황 등을 통해 사용자의 오감을 자극하여 실제와 유사한 공간적 및 시간적 체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자유롭게 드나들게 한다.
상기한 가상현실의 이점에 따라 인간 경험의 폭을 크게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료, 교육, 군사 등의 다양한 분양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가상현실은 실제와 같은 현실감을 제공하므로 환자들마다는 다르게 나타나지만 특정 장소나 상황에서 극단적인 불안 발작과 함께 이에 동반되는 신체 증상들이 아무런 예고 없이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공황장애(Panic Disorder)를 극복 및 치료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공황장애 극복 및 치료를 위해서는 환자의 심리적 안정이 매우 중요한 요인이나, 특정 장소나 상황에서는 심리적 안정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대부분의 환자는 약물을 이용한 치료방식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즉, 약물 치료에 의존하지 않고 공황장애를 효과적으로 극복 및 치료할 수 있는 수단으로 가상현실을 이용할 경우 그 효과가 뛰어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가상현실은 게임 등의 멀티미디어에만 집중적으로 이용되고 있을 뿐이고 가상현실을 어떠한 형태로 이용하여 공황장애를 극복에 도움을 줄 것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방법 내지 장치가 제시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공황장애를 극복 및 치료할 수 있는 방법 내지 장치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공황장애로 고통받는 환자가 약물 치료 없이 공황장애를 극복 및 치료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이용하여 공황장애 극복을 위한 노출훈련을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에 따라 훈련강도를 조절하면서 진행하여 약물 치료에 의존하지 않고 공황장애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극복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치료장치는 기설정된 단계로 구분되는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를 입력받는 공황장애 경도 입력부; 상기 공황장애 경도에 대응되는 노출강도를 가진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가상현실 영상콘텐츠 생성부; 상기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상기 환자에게 노출하여 훈련시키는 공황장애 훈련부; 상기 공황장애 훈련부에 의해 상기 가상현실 영상콘텐츠에 노출되어 훈련하는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생체정보 수집부; 상기 생체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분석하는 환자상태 분석부; 및 상기 환자상태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공황장애 훈련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를 관리하는 훈련결과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상현실 영상콘텐츠 생성부는 배경영상, 객체영상 및 소음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상현실 영상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공황장애 경도에 대응되는 노출강도를 갖도록 상기 배경영상의 명도, 상기 객체영상의 개수 및 상기 소음정보를 이루는 주파수와 데시벨을 조정하여 상기 가상현실 영상콘텐츠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정보는 혈압정보, 맥박정보, 체온정보, 뇌파정보, 진동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상태 분석부는 상기 생체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혈압정보, 상기 맥박정보, 상기 체온정보, 상기 뇌파정보, 상기 진동정보 중의 하나가 기설정된 기준시간 내에서 기설정된 허용변화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적응상태인 것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상태 분석부의 분석결과가 적응상태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훈련결과 관리부는 상기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를 이전보다 약한 상위단계로 상등시켜 노출훈련을 하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상태 분석부는 상기 생체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혈압정보, 상기 맥박정보, 상기 체온정보, 상기 진동정보 중의 하나가 기설정된 기준시간 내에서 기설정된 허용변화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공황발작상태인 것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상태 분석부의 분석결과가 공황발작상태인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훈련결과 관리부는 상기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를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심한 하위단계로 하등시켜 노출훈련을 하도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통해 상기 환자가 공황장애 훈련에 임하는 중에 상기 환자와 관리자가 음성으로 대화를 주고받아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상기 환자의 음성을 통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 관리자 간 음성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통해 상기 환자가 공황장애 훈련에 임하는 중에 상기 환자 또는 관리자가 상기 환자의 안전을 위해 상기 공황장애 훈련부를 정지시켜 상기 공황장애 훈련을 강제로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공황장애 훈련 중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에 대응되는 노출강도를 가진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이용하여 공황장애 극복을 위한 노출 훈련을 진행함으로써 노출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노출훈련에 따른 노출강도를 환자가 극복하여 적응하면 이전의 공황장애 경도를 낮추고 추후 노출강도를 증대시킨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로 노출훈련을 진행함으로써 공황장애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노출훈련 중에 환자와 관리자 간의 대화가 가능함에 따라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라 노출훈련을 중단하거나 또는 계속 진행함으로써 환자의 공황발작을 미연에 방지하여 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극복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가상현실을 적용한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통해 노출훈련을 수행하여 공황장애를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극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극복 장치는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에 따라 노출훈련의 강도를 조절하면서 진행함으로써공황장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 큰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치료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치료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황장애 경도 입력부(10), 가상현실 영상콘텐츠 생성부(20), 공황장애 훈련부(30), 생체정보 수집부(40), 환자생태 분석부(50) 및 훈련결과 관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공황장애 경도 입력부(10)는 공황장애를 앓고 있는 환자의 공황장애를 진단하여 얻을 수 있는 공황장애 진단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는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가 입력되는 구성이다.
이때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는 기설정된 복수 개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즉, 공황장애 경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순서부터 상대적으로 강한 순서까지 복수 개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단,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를 기설정된 복수 개의 단계 중의 하나로 결정하는 것은 전문의에 의해 환자의 공황장애를 직접 진단하여 얻을 수 있는 진단결과를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전문의에 의한 진단결과에 의해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가 기설정된 복수 개의 단계 중의 하나로 결정되면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에 대응되는 노출강도를 가진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통해 노출훈련을 수행 가능하여 공황장애 치료를 위한 노출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상현실 영상콘텐츠 생성부(20)는 공황장애 경도 입력부(10)에 입력된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에 대응되는 노출강도를 가진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때 가상현실 영상콘텐츠 생성부(20)는 배경영상, 객체영상 및 소음정보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가상현실 영상콘텐츠 생성부(20)는 배경영상을 생성하는 배경영상 설정부(21), 객체영상을 생성하는 객체영상 생성부(22), 소음정보를 생성는 소음정보 생성부(23) 및 객체영상 생성부(21)와 객체영상 생성부(22)와 소음정보 생성부(23)에 의해 생성된 배경영상과 객체영상과 소음정보를 합성하여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영상 음성 합성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에 대응되도록 배경영상 생성부(21)는 배경영상의 종류를 선택하고 배경영상의 평균명도를 조절하여 생성하며, 객체영상 생성부(22)는 배경영상에 나타나는 사람이나 사물을 의미하는 객체영상의 개수를 조절하여 생성하고, 소음정보 생성부(23)는 소음정보를 이루는 주파수와 데시벨을 조절하여 생성한다.
즉, 배경영상 생성부(21)는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에 대응되는 배경영상의 종류를 선택하고, 선택된 RGB 포맷의 배경영상 원영상을 HSI 포맷으로 변환한 후 I(명도)값을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에 대응되게 감소시킨 변환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변환영상을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배경영상 원영상과 교대로 표출되도록 설정하여 배경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객체영상 생성부(22)는 배경영상 생성부(21)에 의해 생성된 배경영상의 종류와 대응되는 객체영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객체영상의 개수를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에 대응되게 결정하여 객체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소음정보 생성부(23)는 생활소음에 준하는 주파수 대역과 데시벨을 가진 기본소음정보를 생성하고,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에 대응되도록 상기 기본소음정보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와 데시벨을 가진 순간소음정보를 생성하여 순간소음정보를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시간간격으로 기본소음정보와 교대로 출력되도록 소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기본소음정보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와 데시벨을 가진 순간소음정보는 소프라노가 낼 수 있는 높은 음의 주파수에 대응되는 가장 높은 가청주파수 대역인 1kHz~20kHz의 주파수와 불쾌한 소음으로 인지되는 110~140dB을 가진 것이다.
예를 들어,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가 가장 심한 단계인 경우 배경영상은 상대적으로 장소가 넓은 운동장 영상으로 설정하고 배경영상 원영상에서 명도값을 1~3단계(먼셀표색계 기준) 낮추어 변환영상으로 설정하여 변환영상을 수십초 간격으로 배경영상 원영상에 표출되도록 하고, 객체영상의 개수를 수개 미만이 되도록 하며, 소음정보는 기본소음정보에 1~5khz의 주파수와 40~60dB의 데시벨을 가진 순간소음정보를 수십초 간격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가 가장 약한 단계인 경우 배경영상은 상대적으로 좁은 장소에 대한 엘리베이터 영상으로 설정하고 배경영상 원영상에서 명도값을 5~7단계 낮춘 변환영상으로 설정하여 변환영상을 수초 간격으로 배경영상 원영상에 표출되도록 하고, 객체영상의 개수를 수십개 이상이 되도록 하고, 소음정보는 기본소음정보에 10~20kHz 이상의 주파수와 110~140dB의 데시밸을 가진 순간소음정보를 수초 간격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에 따라 대응되는 배경영상, 객체영상 및 소음정보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생성 가능함에 따라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에 맞는 노출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황장애 훈련부(30)는 가상현실 영상콘텐츠 생성부(20)에서 생성된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환자에게 노출시켜 환자로 하여금 공황장애 극복을 위한 노출훈련을 행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공황장애 훈련부(30)는 환자가 공황장애 극복을 위한 노출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상에 존재하여 공황장애 극복을 위한 노출훈련에 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황장애 훈련부(30)는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환자에게 노출시킬 수 있도록 영상정보 표시부(31)와 소음정보 출력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황장애 훈련부(30)는 환자가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영상정보 표시부(31)와 소음정보 출력부(32)가 구비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공황장애 훈련부(30)는 노출공간을 내부에 두고 노출공간의 상하전후좌우를 영상정보 표시부(31)가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노출공간의 일측에 소음정보 출력부(32)가 설치된 사각형 또는 구형으로 이루는 설치물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생체정보 수집부(40)는 공황장애 훈련부(30)에 의해 가상현실 영상콘텐츠에 노출되어 노출훈련을 수행하는 환자로부터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이때 생체정보 수집부(40)에 의해 수집되는 환자의 생체정보는 혈압정보, 맥박정보, 체온정보, 뇌파정보, 근육의 경련에 의한 진동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한 혈압정보, 맥박정보, 체온정보, 뇌파정보, 진동정보 등은 환자가 공황장애로 인해 공황발작(panic attack)을 일으킬 때 변화가 나타나는 신체적 정보이다.
따라서 공황장애 극복을 위한 노출훈련시 혈압정보, 맥박정보, 체온정보, 뇌파정보, 진동정보 등을 수집하고 그 변화를 통해 통해 환자의 현재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환자상태 분석부(50)는 생체정보 수집부(40)에 의해 수집된 상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상태정보를 분석하는 구성이다.
즉, 환자상태 분석부(50)는 환자가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통해 공황장애 극복을 위한 노출훈련을 임하는 중에 환자의 생체정보 변화를 통해 환자의 현재상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때 환자상태 분석부(50)는 생체정보 수집부(40)에 의해 수집되는 환자의 생체정보인 혈압정보, 맥박정보, 체온정보, 뇌파정보, 진동정보 중의 하나가 기설정된 기준시간 내에서 기설정된 허용변화범위를 벗어나면 환자의 상태정보를 공황발작상태로 분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환자상태 분석부(50)는 생체정보 수집부(40)에 의해 수집되는 환자의 생체정보인 혈압정보, 맥박정보, 체온정보, 뇌파정보, 진동정보 중의 하나가 기설정된 기준시간 내에서 기설정된 허용변화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 환자의 상태정보를 적응상태로 분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훈련결과 관리부(60)는 환자상태 분석부(50)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환자의 공황장애 훈련결과를 저장하고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를 관리하는 구성이다.
이때 훈련결과 관리부(60)는 환자상태 분석부(50)의 분석결과에 따라 환자의 상태정보가 적응상태인 것으로 분석되면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를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상위단계로 상등시켜 관리할 수 있다.
그러면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는 이전보다 공황장애가 상대적으로 약한 상위단계로 변경 조정되면서 그 상위단계에 준하는 노출강도를 가진 노출훈련을 할 수 있다.
즉,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가 상위단계로 변경 조정됨에 따라 이후의 노출훈련시에는 상대적으로 노출강도가 강한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노출시켜 노출훈련할 수 있고 환자의 상태정보 분석을 위한 기준시간과 허용변화범위도 늘려가면서 환자의 상태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한편, 훈련결과 관리부(60)는 환자상태 분석부(50)의 분석결과에 따라 환자의 상태정보가 공황발작상태인 것으로 분석되면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를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심한 하위단계로 하등시켜 관리할 수 있다.
그러면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는 이전보다 공황장애가 상대적으로 심한 하위단계로 변경 조정되면서 그 하위단계에 준하는 노출강도를 가진 노출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가 하위단계로 변경 조정됨에 따라 이후의 노출훈련시에는 상대적으로 노출강도가 약한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노출시켜 노출훈련할 수 있고 환자의 상태정보 분석을 위한 기준시간과 허용변화범위도 줄여가면서 환자의 상태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노출강도는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구성하는 배경영상의 종류와 평균명도, 객체영상의 개수와 평균명도, 소음정보의 주파수와 데시벨에 의해 결정되므로 훈련결과 관리부(60)에 의해 관리되는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에 대응되도록 배경영상과 객체영상 및 소음정보에 변화를 주면서 조절할 수 있다.
그러면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는 이전보다 공황장애가 상대적으로 심한 하위단계로 변경 조정되면서 그 하위단계에 준하는 노출강도를 가진 노출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치료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관리자 간 음성통신부(70)와 공황장애 훈련 중단부(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환자 관리자 간 음성통신부(70)는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통해 환자가 공황장애 훈련에 임하는 중에 환자와 관리자가 음성으로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환자 관리자 간 음성통신부(70)를 통해 관라자가 환자의 상태정보를 환자의 음성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환자 관리자 간 음성통신부(70)를 통해 환자의 음성을 직접 수신함에 따라 환자의 상태정보가 환자상태 분석부(50)를 통하지 않고도 극복상태인지 또는 공황발작상태인지를 판단하여 대응할 수 있다.
상기 공황장애 훈련 중단부(80)는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통해 환자가 공황장애 훈련에 임하는 중에 환자의 안전을 위해 공황장애 훈련을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환자가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통해 노출훈련을 임하는 중에 환자의 상태정보가 공황발작으로 판단된 경우 또는 관리자가 환자와의 대화를 통해 공황발작으로 판단된 경우 또는 환자가 노출훈련을 견디기 어려운 상황인 경우에 관리자 또는 환자에 의해 공황장애 훈련부(30)를 강제로 중지시켜 노출훈련을 중단할 수 있다.
이때 공황장애 훈련 중단부(80)에 의해 환자의 노출훈련이 중단된 경우 훈련결과 관리부(60)는 환자의 상태정보에 따라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를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심한 하위단계로 하등시켜 관리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공황장애 경도 입력부
20: 가상현실 영상콘텐츠 생성부
21: 배경영상 생성부
22: 객체영상 생성부
23: 소음정보 생성부
24: 영상 음성 합성부
30: 공황장애 훈련부
31: 영상정보 표시부
32: 소음정보 출력부
40: 생체정보 수집부
50: 환자생태 분석부
60: 훈련결과 관리부
70: 환자 관리자 간 음성통신부
80: 공황장애 훈련 중단부
20: 가상현실 영상콘텐츠 생성부
21: 배경영상 생성부
22: 객체영상 생성부
23: 소음정보 생성부
24: 영상 음성 합성부
30: 공황장애 훈련부
31: 영상정보 표시부
32: 소음정보 출력부
40: 생체정보 수집부
50: 환자생태 분석부
60: 훈련결과 관리부
70: 환자 관리자 간 음성통신부
80: 공황장애 훈련 중단부
Claims (10)
- 기설정된 단계로 구분되는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를 입력받는 공황장애 경도 입력부;
배경영상, 객체영상 및 소음정보를 이용하여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생성하는 가상현실 영상콘텐츠 생성부;
상기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상기 환자에게 노출하여 훈련시키는 공황장애 훈련부;
상기 공황장애 훈련부에 의해 상기 가상현실 영상콘텐츠에 노출되어 훈련하는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생체정보 수집부;
상기 생체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상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분석하는 환자상태 분석부; 및
상기 환자상태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의 공황장애 훈련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를 관리하는 훈련결과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상현실 영상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공황장애 경도에 대응되는 노출강도를 갖도록 상기 배경영상의 종류를 선택하고 상기 배경영상의 명도를 조절하여 상기 배경영상을 생성하는 배경영상 생성부와, 상기 배경영상에 나타나는 상기 객체영상의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객체영상을 생성하는 객체영상 생성부와, 상기 소음정보를 이루는 주파수와 데시벨을 조절하여 상기 소음정보를 생성하는 소음정보 생성부로 구성되며,
상기 훈련결과 관리부는
상기 환자상태 분석부의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를 이전보다 약한 상위단계로 상등시켜 노출훈련하도록 관리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 분석을 위한 기준시간과 허용변화범위도 상대적으로 늘려가면서 환자의 상태정보를 분석 가능하게 하거나, 상기 환자의 공황장애 경도를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심한 하위단계로 하등시켜 노출훈련하도록 관리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 분석을 위한 기준시간과 허용변화범위도 상대적으로 줄여가면서 환자의 상태정보를 분석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치료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혈압정보, 맥박정보, 체온정보, 뇌파정보, 진동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치료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상태 분석부는
상기 생체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혈압정보, 상기 맥박정보, 상기 체온정보, 상기 뇌파정보, 상기 진동정보 중의 하나가 기설정된 기준시간 내에서 기설정된 허용변화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적응상태인 것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치료장치. - 삭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상태 분석부는
상기 생체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되는 상기 혈압정보, 상기 맥박정보, 상기 체온정보, 상기 진동정보 중의 하나가 기설정된 기준시간 내에서 기설정된 허용변화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공황발작상태인 것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치료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통해 상기 환자가 공황장애 훈련에 임하는 중에 상기 환자와 관리자가 음성으로 대화를 주고받아 상기 환자의 상태정보를 상기 환자의 음성을 통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 관리자 간 음성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치료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영상콘텐츠를 통해 상기 환자가 공황장애 훈련에 임하는 중에 상기 환자 또는 관리자가 상기 환자의 안전을 위해 상기 공황장애 훈련부를 정지시켜 상기 공황장애 훈련을 강제로 중단할 수 있도록 하는 공황장애 훈련 중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치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8279A KR101953612B1 (ko) | 2017-12-22 | 2017-12-22 |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치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8279A KR101953612B1 (ko) | 2017-12-22 | 2017-12-22 |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치료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3612B1 true KR101953612B1 (ko) | 2019-03-04 |
Family
ID=65760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8279A KR101953612B1 (ko) | 2017-12-22 | 2017-12-22 |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치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361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5239B1 (ko) * | 2023-05-24 | 2023-08-11 |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공황 장애 상태를 경험한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
KR102610255B1 (ko) * | 2023-07-14 | 2023-12-06 |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 공황장애의 증상 개선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
KR102610261B1 (ko) * | 2023-07-14 | 2023-12-07 |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 공황장애의 증상 개선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5030A (ko) * | 2002-02-25 | 2002-05-09 | (주)블루미디어텍 | 정신 질환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가상 환경 시스템과 상기시스템을 이용한 치료방법 |
KR20160035318A (ko) | 2014-09-23 | 2016-03-31 | 서울대학교병원 | SampEn를 이용한 공황장애도 측정 방법 |
KR20170130204A (ko) * | 2016-05-18 | 2017-11-28 | 주식회사 메딕션 | 가상현실 지원 콘텐츠와 생체신호 분석 결과를 활용한 정신 질환 개선 시스템 |
-
2017
- 2017-12-22 KR KR1020170178279A patent/KR1019536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35030A (ko) * | 2002-02-25 | 2002-05-09 | (주)블루미디어텍 | 정신 질환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가상 환경 시스템과 상기시스템을 이용한 치료방법 |
KR20160035318A (ko) | 2014-09-23 | 2016-03-31 | 서울대학교병원 | SampEn를 이용한 공황장애도 측정 방법 |
KR20170130204A (ko) * | 2016-05-18 | 2017-11-28 | 주식회사 메딕션 | 가상현실 지원 콘텐츠와 생체신호 분석 결과를 활용한 정신 질환 개선 시스템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5239B1 (ko) * | 2023-05-24 | 2023-08-11 |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공황 장애 상태를 경험한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
KR102610255B1 (ko) * | 2023-07-14 | 2023-12-06 |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 공황장애의 증상 개선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
KR102610261B1 (ko) * | 2023-07-14 | 2023-12-07 |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 공황장애의 증상 개선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2471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reality-based mindfulness therapy | |
KR101953612B1 (ko) | 가상현실을 이용하는 노출훈련을 통한 공황장애 치료장치 | |
US20180064375A1 (en) | Auditory stimulus for auditory rehabilitation | |
Wightman et al. | Children’s detection of pure-tone signals: Informational masking with contralateral maskers | |
Patel |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statement contrast in severe dysarthria due to cerebral palsy | |
Searchfield et al. | Object identification and attention training for treating tinnitus | |
CN104363865A (zh) | 用于口吃减轻的方法和装置 | |
CN110613459B (zh) | 一种基于共享云计算平台的耳鸣耳聋检测验配及治疗系统 | |
CN110013594A (zh) | 一种听力语言智能康复设备及线上康复平台 | |
Durette et al. | Visuo-auditory sensory substitution for mobility assistance: testing TheVIBE | |
Smith et al. | Contributions of auditory and somatosensory feedback to vocal motor control | |
WO2020100270A1 (ja) | 耳鳴治療器および耳鳴治療プログラム | |
JP4009202B2 (ja) | 個人情報配信システム | |
Hillman et al. | The efficac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intervention: voice disorders | |
US20210038123A1 (en) | Prosthetic cognitive ability increaser | |
CN113194829A (zh) | 人体精神压力测试方法及系统 | |
Tisdelle et al. | Social skills training to enhance the interpersonal adjustment of a speech and hearing impaired adult | |
Borovikova et al. | Voice signal's acoustic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cochlear implants | |
US20220036751A1 (en) | A method and a device for providing a performance indication to a hearing and speech impaired person learning speaking skills | |
CN106355969A (zh) | 一种纯声音反馈和连续力控制任务结合的注意力训练系统 | |
Weiss | Quality of Life and Participation Survey Outcome Measures Before and After Speak Out!® & Loud Crowd!® Treatment on Individuals with Parkinson’s Disease | |
Hoffmann et al. | Analysis of the drilling sound in maxillo facial surgery | |
Lelo de Larrea-Mancera | Perceptual Learning: Assessment and Training Across the Mechanical Senses | |
de Larrea-Mancera | Perceptual Learning: Assessment and Training Across the Mechanical Senses | |
WO2024079246A1 (en) | System for reducing hypersensitivity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evice that outputs a stimulus to a subjec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