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569B1 - 고액분리효율을 향상시킨 원심탈수기 - Google Patents

고액분리효율을 향상시킨 원심탈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569B1
KR101953569B1 KR1020180144990A KR20180144990A KR101953569B1 KR 101953569 B1 KR101953569 B1 KR 101953569B1 KR 1020180144990 A KR1020180144990 A KR 1020180144990A KR 20180144990 A KR20180144990 A KR 20180144990A KR 101953569 B1 KR101953569 B1 KR 101953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rum
inner drum
screw conveyor
push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Priority to KR1020180144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1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with discharging outlets in the plane of the maximum diameter of the bowl
    • B04B1/12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with discharging outlets in the plane of the maximum diameter of the bowl with continuous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2Continuous feeding or discharging;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5/00Other accessories for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2Casings; Lids
    • B04B7/04Casings facilitat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33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with feed accelerator inside the conveying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41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with baffles, plates, vanes or discs attached to the conveying screw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탈수기 내에서 고형물과 여액으로 분리되는 슬러지의 원심력을 보다 높여 고액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원심탈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측드럼과 내측드럼의 회전속도차에 의해 스크류컨베이어가 슬러지 중, 고형물을 고형물배출공으로, 여액을 여액배출공으로 이동시켜 분리하는 원심탈수기에 있어서, 내측드럼 내부의 토출공간의 측벽에는 슬러지를 내측드럼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의 일측에서 내측드럼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판면이 내측드럼의 둘레를 향하는 슬러지푸쉬판이 더 설치됨으로써, 슬러지가 토출구로부터 외측드럼을 향해 분출되는 과정에서, 내측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슬러지푸쉬판이 슬러지를 밀어 회전력을 더 부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액분리효율을 향상시킨 원심탈수기{Centrifugal Dehydrator improving efficiency of liquid and solid separation}
본 발명은 고액분리효율을 향상시킨 원심탈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출구로부터 분출되는 폐기물에 보다 큰 원심력을 부가하여 외측드럼의 내주면 측으로 공급함으로써 고형물과 여액으로 분리처리하는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원심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하수처리공정이나 축산폐수 등을 처리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물리적인 원심력에 의하여 농축탈수 가능하도록 원심탈수기에 주입하여 슬러지를 처리한다.
이러한 원심탈수기는 스크류컨베이어의 구동에 따라 주입된 슬러지가 처리되어지는 것으로서, 슬러지에 함유되어 있는 물과 고형물을 회전하는 드럼에 주입하여 적은 동력으로 원심력을 가함으로서 물과 고형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것으로, 다양한 구조가 개발되어 있다.
도 1은 그와 같은 종래 원심탈수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케이싱의 내측에 외측드럼(1)이 설치되고, 외측드럼(1)은 슬러지를 주입하여 농축탈수 및 분리하도록 원통부분(1a)과, 원추형으로 경사진 내면인 압착탈수부분(1b)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드럼(1)의 내면 중앙에는 스크류컨베이어(3)가 결합된 내측드럼(2)과, 내측드럼(2) 내로 슬러지를 분출하는 공급관(5)이 설치된다.
투입된 슬러지는 내측드럼(2) 외부로 토출구(4a)에 의해 분출되어 외측드럼(1) 내에서 고형물(케이크)과 그 고형물에서 탈수되는 여액으로 분리되고, 고형물은 외측드럼(1)의 전단에 있는 고형물배출구(6a)로 배출되고 여액은 외측드럼(1)의 후단에 있는 여액배출구(6b)로 배출된다.
전술한 종래의 원심탈수기의 경우,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슬러지 내의 고형물 및 여액의 분리효율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동일한 장치구조에 있어서도 슬러지에 부가되는 원심력을 증가시킴으로써 고액분리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처리구조나 방법에 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9932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270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심탈수기 내에서 고형물과 여액으로 분리되는 슬러지의 원심력을 보다 높여 고액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원심탈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측부에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경사진 내면이 형성되고 그 내면의 단부에 고형물배출공이 설치되며 후측부에 여액배출공이 설치된 외측드럼과, 상기 외측드럼의 내부에 상기 외측드럼과 길이방향이 같도록 배치되고 외면에 스크류컨베이어가 그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슬러지가 공급되는 토출공간이 형성된 내측드럼과, 상기 토출공간에 슬러지를 공급하도록 상기 내측드럼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는 공급관과, 상기 외측드럼과 상기 내측드럼을 각각 회전시키는 모터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외측드럼과 상기 내측드럼의 회전속도차에 의해 상기 스크류컨베이어가 상기 슬러지 중, 고형물을 상기 고형물배출공으로, 여액을 상기 여액배출공으로 이동시켜 분리하는 원심탈수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간의 측벽에는 상기 슬러지를 상기 내측드럼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내측드럼의 외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토출구의 일측에서 상기 내측드럼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판면이 상기 내측드럼의 둘레를 향하는 슬러지푸쉬판이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슬러지가 상기 토출구로부터 상기 외측드럼을 향해 분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내측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슬러지푸쉬판이 상기 슬러지를 밀어 회전력을 더 부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러지푸쉬판이 상기 내측드럼의 둘레방향에서 회전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러지푸쉬판이 상기 내측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측으로 가면서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소정각으로 경사지게 상기 내측드럼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슬러지푸쉬판의 전단부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슬러지푸쉬판에 의해 상기 슬러지에 회전력이 부가되면서 상기 슬러지푸쉬판의 경사에 의해 상기 슬러지가 미끄러져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의 표면을 타고 상기 외측드럼을 향해 진행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의 양면 중, 전면에는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의 외주부 끝단에서 상기 내측드럼 측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차단루프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의 외주부의 전면에서 강제 이동하는 고형물이, 상기 토출구에서 분사되는 상기 슬러지와의 충돌에 의해 분리된 여액과 교반되지 않도록 보호받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단루프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에서 상기 토출구가 설치된 부분에 대응하도록 일부분에 띠형상으로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의 나선궤적을 따라 설치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원심탈수기는 내측드럼의 외면에서 토출구의 일측에 내측드럼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판면이 내측드럼의 둘레를 향하는 슬러지푸쉬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러지푸쉬판이 토출구에서 분출되는 슬러지에 강한 회전력을 부가시킴으로써,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시점에서 슬러지의 고형물과 여액의 분리가 보다 신속하게 진행되어 많은 양의 고형물을 조기에 분리시키고, 여액배출공이 있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고형물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심탈수기에 의한 슬러지의 고액분리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러지푸쉬판이 내측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측으로 가면서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소정각으로 경사지게 내측드럼에 부착되고, 슬러지푸쉬판의 전단부와 스크류컨베이어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토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슬러지가 분리되고 있는 고형물과 여액을 강하게 때리지 않고, 스크류컨베이어의 표면 중 후면을 타고 슬러지가, 비교적 부드럽게 분리되고 있는 고형물과 여액에 합류할 수 있다. 이는 토출구가 설치된 부근에서, 분리되고 있는 고형물과 여액의 고액분리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해소 또는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류컨베이어의 양면 중, 전면에는 스크류컨베이어의 외주부 끝단에서 내측드럼 측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차단루프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스크류컨베이어의 외주부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강제 이동하고 있는 고형물이 슬러지가 분출되는 토출구의 주위 영역을 지날 때, 토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슬러지가 분리되고 있는 고형물과 충돌하는 것을 차단루프가 보호함으로써, 고액분리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해소 또는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원심탈수기의 일반적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탈수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탈수기에서 슬러지푸쉬판이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탈수기에서 슬러지푸쉬판이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구성도
도 5는 도 3의 슬러지푸쉬판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토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슬러지의 유동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심탈수기에서 변형된 슬러지푸쉬판이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심탈수기에서 차단루프가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탈수기는, 전측부에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경사진 내면(11)이 형성되고 그 내면(11)의 단부에 고형물배출공(12)이 설치되며 후측부에 여액배출공(13)이 설치된 외측드럼(10)과, 상기 외측드럼(10)의 내부에 외측드럼(10)과 길이방향이 같도록 배치되고 외면에 스크류컨베이어(22)가 그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슬러지가 공급되는 토출공간(23)이 형성된 내측드럼(20)과, 상기 토출공간(23)에 슬러지를 공급하도록 내측드럼(20)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는 공급관(30)과, 상기 외측드럼(10)과 내측드럼(20)을 각각 회전시키는 모터장치(7a,8a)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따라, 외측드럼(10)과 내측드럼(20)의 회전속도차에 의해 스크류컨베이어(22)가 슬러지 중, 고형물(61)을 고형물배출공(12)으로, 여액(62)을 여액배출공(13)으로 이동시켜 분리한다.
상기 외측드럼(10)은 내부가 빈 원통형상을 이루고 전측부에서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경사진 내면(11)이 형성된다. 그 경사진 내면(11)의 끝단에는 고형물배출공(12)이 설치되어 스크류컨베이어(22)에 의해 이송되어 온 고형물(61)이 배출된다.
상기 외측드럼(10)의 후측부에는 여액배출공(13)이 형성되어 공급된 슬러지에서 분리된 여액(62)이 배출된다. 여액(62)은 슬러지에서 슬러지가 탈수되어 분리된 액체를 의미한다.
상기 내측드럼(20)은 외측드럼(10)의 내부에서 외측드럼(10)의 길이방향과 같이 배치되고 회전축이 서로 일치하도록 설치된다. 내측드럼(20)의 외면에는 공급된 슬러지에서 고형물(61)을 이송시키기 위한 스크류컨베이어(22)가 내측드럼(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상으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내측드럼(20)이 외측드럼(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면 스크류컨베이어(22)가 내측드럼(20)과 외측드럼(10) 사이에 위치하는 슬러지의 고형물(61)을 고형물배출공(12)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내측드럼(20)의 내부에는 공급관(30)에서 공급되는 슬러지 및 응집제를 혼합되고 공급관(30)에 의해 공급된 슬러지가 내측드럼(20)의 회전력을 받아 토출구(24)로 토출되기 전의 공간인 토출공간(23)이 형성된다.
상기 공급관(30)은 내측드럼(20)의 내부에서 내측드럼(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토출공간(23)에 슬러지 및 응집제를 공급하고 있다.
슬러지는 파쇄된 입자가 소정의 농도로 포함된 액상으로 공급되고, 응집제는 고분자(폴리머) 성분으로 공급관(30)에 연통되도록 분기된 응집제투입관을 통해 투입된다.
상기 토출공간(23)은 공급관(30)으로부터 공급된 슬러지 및 응집제가 혼합되는 곳으로, 측벽에는 슬러지 및 응집제가 내측드럼(2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24)가 둘레를 따라 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모터장치(7a,8a)는 외측드럼모터(7a)와 내측드럼모터가(8a)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외측드럼(10)과 내측드럼(20)의 회전수에 차이가 나도록 구동시킴으로써, 내측드럼(20)의 외면에 고정된 스크류컨베이어(22)가 외측드럼(1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이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2)의 상대적 회전은, 외측드럼(10)의 내주면에 원심력에 의해 붙은 고형물(61)을 전방측으로 연속적으로 밀어 이송시킨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토출공간(23)의 측벽에는 슬러지를 내측드럼(2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24)가 설치되고, 내측드럼(20)의 외면에서 토출구(24)의 일측에 슬러지푸쉬판(40)이 설치된다.
상기 슬러지푸쉬판(40)은 내측드럼(20)의 외면 중 토출구(24)의 일측에서 내측드럼(20)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판면이 내측드럼(20)의 둘레를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슬러지푸쉬판(40)은 내측드럼(2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토출구(24)에 각각 대응하도록 내측드럼(2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슬러지푸쉬판(40)이 설치된다. 또한, 토출구(24)를 사이에 둔 스크류컨베이어(22)의 양측 부분을, 슬러지푸쉬판(40)이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내측드럼(20)의 둘레방향에서 회전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을 가진다.
즉, 도 4를 참고하면, 슬러지푸쉬판(40)은 굴곡진 판상으로 형성되어, 전단부(43)와 후단부가 스크류컨베이어(22)에 부착되고, 하단부(42)는 내측드럼(20)의 외주면에 내측드럼(20)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것이다.
슬러지푸쉬판(40)이 내측드럼(20)의 둘레방향에서 회전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을 가지는 것은, 토출구(24)에서 분출되는 슬러지를 파지하여 보다 강하게 회전력을 부가하기 위한 것이다. 즉, 회전해가는 방향으로 만곡지게 굽어 있어, 슬러지를 잡아챌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내측드럼(20)과 슬러지푸쉬판(40)은 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내측드럼(20)의 회전속도로 복수의 슬러지푸쉬판(40)도 회전하고 있다.
그러한 슬러지푸쉬판(40)은 슬러지가 원심력에 의해 토출구(24)로부터 외측드럼(10)을 향해 분출되는 과정에서, 슬러지푸쉬판(40)이 토출되는 슬러지와 부딪히면서 그 회전하는 방향으로 슬러지를 잡아채 강하게 밀어 회전시킨다.
도 3을 참고하면, 슬러지푸쉬판(40)이 슬러지를 잡아채 밀어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슬러지에는 강한 원심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회전력이 부가되면서도 슬러지푸쉬판(40)의 표면을 따라 외측으로 벗어나기 위해 진행하여 외측드럼(10)의 내주면까지 결국 도달하게 된다.
그러한 과정에서 슬러지에 강한 회전력이 부가되고 외측드럼(10)의 내주면 부근에 도달한 시점에서도 빠른 회전속도를 유지하고 외측드럼(10)의 회전속도에 근접한 빠른 회전속도에 신속히 순응할 수 있다.
원심탈수기에서 슬러지로부터 고형물(61)과 여액(62)을 분리하는 과정은, 원심력에 의해 고형물(61)이 여액(62)보다 더 외측드럼(1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외측드럼(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여액(62)과 분리되는 과정이므로, 원심력이 높을수록 그 과정이 신속히 발생한다.
또한, 토출구(24)에서 분출되는 슬러지가 더 큰 원심력을 받으면, 고형물(61)과 여액(62)으로 분리되는 과정이 보다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고, 토출구(24)가 위치하는 부근에서 보다 많은 양의 고형물(61)을 조기에 분리시킬 수 있으며, 스크류컨베이어(22)가 전방으로 밀어감으로써, 여액배출공(13)이 있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고형물(61)의 양이 줄어든다.
이에 따라, 원심탈수기에 의한 슬러지의 고액분리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5를 참고할 때, 슬러지푸쉬판(40)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토출구(24)에서 분출되는 슬러지가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외측드럼(10)의 내주면 측에 도달하기까지 회전속도가 충분하지 못하고 외측드럼(10)의 내주면에 쌓인 후에 외측드럼(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력이 부가되기 시작할 것이다.
이는 본 실시예에 비해 토출구(24)에서 분출된 슬러지의 회전속도가 낮고, 그에 따라 슬러지의 고형물(61)이 받는 원심력도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므로, 슬러지의 고액분리효율이 본 실시예의 구성보다 낮을 수밖에 없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푸쉬판(40)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슬러지푸쉬판(40)은 내측드럼(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측으로 가면서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소정각(α)으로 경사지게 내측드럼(20)에 부착되고, 슬러지푸쉬판(40)의 전단부(43)와 스크류컨베이어(22) 사이에는 간격(45)이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슬러지가 토출구(24)로부터 분출된 후, 외측드럼(10)의 내주면에 원심력으로 밀착되어 분리되고 있는 고형물(61)과 여액(62)을 강하게 때림으로써, 분리된 고형물(61)과 여액(62)을 다시 섞어, 고액분리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슬러지푸쉬판(40)에 의해 슬러지에 회전력이 부가됨과 함께, 슬러지푸쉬판(40)의 경사에 의해 슬러지푸쉬판(40)에서 슬러지가 미끄러져 도 6의 화살표(64)의 경로와 같이, 스크류컨베이어(22)의 표면을 타고 외측드럼(10)을 향해 진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토출구(24)로부터 분출되는 슬러지가 분리되고 있는 고형물(61)과 여액(62)을 강하게 때리지 않고, 스크류컨베이어(22)의 표면 중 후면을 타고 비교적 부드럽게 고액분리되고 있는 고형물(61)과 여액(62)에 합류할 수 있다.
이는 토출구(24)가 설치된 부근에서 분리되고 있는 고형물(61)과 여액(62)의 고액분리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해소 또는 경감시키고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차단루프(50)가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2)의 양면 중, 전면에 스크류컨베이어(22)의 외주부 끝단에서 내측드럼(20) 측으로 소정간격(d)을 두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차단루프(50)가 설치된다.
상기 차단루프(50)는 토출구(24)로부터 분출되는 슬러지가 분리되고 있는 고형물(61)과 여액(62)을 강하게 때림으로써, 분리된 고형물(61)과 여액(62)을 다시 섞어, 고액분리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토출구(24)가 설치된 영역의 부근에서 발생하므로, 차단루프(50)는 스크류컨베이어(22)에서 토출구(24)가 설치된 부분에 대응하도록 일부분에 띠형상으로 스크류컨베이어(22)의 나선궤적을 따라 설치된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차단루프(50)의 설치로 인해, 원심력에 의한 고액분리작용으로 스크류컨베이어(22)가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고형물(61)이 토출구(24)가 설치된 영역을 지날 때, 토출구(24)에서 강하게 분출되는 슬러지로부터 이동하는 고형물(61)을 덮어 보호하고 있다.
즉, 스크류컨베이어(22)의 외주부(22a)의 전면(22b)에서 전방으로 강제 이동하고 있는 고형물(61)이, 슬러지가 분출되는 토출구(24)의 주위 영역을 지날 때, 토출구(24)로부터 분출되는 슬러지가 차단루프(50)에 충돌하게 되고, 차단루프(50)의 하측에 위치하는 고형물(61)은 보호되어 슬러지와의 충돌에 의한 여액(62)과의 교반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 고형물(61)이 토출구(24)의 주위영역을 통과하여 고형물배출공(12)까지 원활히 이동할 수 있으므로, 고액분리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거나 위와 같은 문제로 고액분리효율이 저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7a,8a; 모터장치 10; 외측드럼
11; 내면 12; 고형물배출공
13; 여액배출공 20; 내측드럼
22; 스크류컨베이어 22a; 외주부
23; 토출공간 24; 토출구
30; 공급관 40; 슬러지푸쉬판
50; 차단루프 61; 고형물
62; 여액

Claims (5)

  1. 전측부에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경사진 내면(11)이 형성되고 그 내면(11)의 단부에 고형물배출공(12)이 설치되며 후측부에 여액배출공(13)이 설치된 외측드럼(10)과,
    상기 외측드럼(10)의 내부에 상기 외측드럼(10)과 길이방향이 같도록 배치되고 외면에 스크류컨베이어(22)가 그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슬러지가 공급되는 토출공간(23)이 형성된 내측드럼(20)과,
    상기 토출공간(23)에 슬러지를 공급하도록 상기 내측드럼(20)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는 공급관(30)과,
    상기 외측드럼(10)과 상기 내측드럼(20)을 각각 회전시키는 모터장치(7a,8a)를 포함하여,
    상기 외측드럼(10)과 상기 내측드럼(20)의 회전속도차에 의해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2)가 상기 슬러지 중, 고형물(61)을 상기 고형물배출공(12)으로, 여액(62)을 상기 여액배출공(13)으로 이동시켜 분리하는 원심탈수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간(23)의 측벽에는 상기 슬러지를 상기 내측드럼(2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24)가 설치되고,
    상기 내측드럼(20)의 외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토출구(24)의 일측에서 상기 내측드럼(20)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판면이 상기 내측드럼(20)의 둘레를 향하는 슬러지푸쉬판(40)이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슬러지가 상기 토출구(24)로부터 상기 외측드럼(10)을 향해 분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내측드럼(20)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슬러지푸쉬판(40)이 상기 슬러지를 밀어 회전력을 더 부가시키는 것이고,
    상기 슬러지푸쉬판(40)은 상기 내측드럼(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측으로 가면서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소정각으로 경사지게 상기 내측드럼(20)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슬러지푸쉬판(40)의 전단부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2)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슬러지푸쉬판(40)에 의해 상기 슬러지에 회전력이 부가되면서 상기 슬러지푸쉬판(40)의 경사에 의해 상기 슬러지가 미끄러져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2)의 표면을 타고 상기 외측드럼(10)을 향해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탈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푸쉬판(40)은 상기 내측드럼(20)의 둘레방향에서 회전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탈수기
  3. 삭제
  4. 전측부에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경사진 내면(11)이 형성되고 그 내면(11)의 단부에 고형물배출공(12)이 설치되며 후측부에 여액배출공(13)이 설치된 외측드럼(10)과,
    상기 외측드럼(10)의 내부에 상기 외측드럼(10)과 길이방향이 같도록 배치되고 외면에 스크류컨베이어(22)가 그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슬러지가 공급되는 토출공간(23)이 형성된 내측드럼(20)과,
    상기 토출공간(23)에 슬러지를 공급하도록 상기 내측드럼(20)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는 공급관(30)과,
    상기 외측드럼(10)과 상기 내측드럼(20)을 각각 회전시키는 모터장치(7a,8a)를 포함하여,
    상기 외측드럼(10)과 상기 내측드럼(20)의 회전속도차에 의해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2)가 상기 슬러지 중, 고형물(61)을 상기 고형물배출공(12)으로, 여액(62)을 상기 여액배출공(13)으로 이동시켜 분리하는 원심탈수기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간(23)의 측벽에는 상기 슬러지를 상기 내측드럼(2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24)가 설치되고,
    상기 내측드럼(20)의 외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토출구(24)의 일측에서 상기 내측드럼(20)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판면이 상기 내측드럼(20)의 둘레를 향하는 슬러지푸쉬판(40)이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슬러지가 상기 토출구(24)로부터 상기 외측드럼(10)을 향해 분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내측드럼(20)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슬러지푸쉬판(40)이 상기 슬러지를 밀어 회전력을 더 부가시키는 것이고,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2)의 양면 중, 전면(22b)에는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2)의 외주부 끝단에서 상기 내측드럼(20) 측으로 소정간격(d)을 두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차단루프(50)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2)의 외주부의 전면에서 강제 이동하는 고형물(61)이, 상기 토출구(24)에서 분사되는 상기 슬러지와의 충돌에 의해 분리된 여액(62)과 교반되지 않도록 보호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탈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루프(50)는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2)에서 상기 토출구(24)가 설치된 부분에 대응하도록 일부분에 띠형상으로 상기 스크류컨베이어(22)의 나선궤적을 따라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탈수기
KR1020180144990A 2018-11-22 2018-11-22 고액분리효율을 향상시킨 원심탈수기 KR101953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990A KR101953569B1 (ko) 2018-11-22 2018-11-22 고액분리효율을 향상시킨 원심탈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990A KR101953569B1 (ko) 2018-11-22 2018-11-22 고액분리효율을 향상시킨 원심탈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569B1 true KR101953569B1 (ko) 2019-03-04

Family

ID=6575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990A KR101953569B1 (ko) 2018-11-22 2018-11-22 고액분리효율을 향상시킨 원심탈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56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5655A (zh) * 2019-09-30 2020-01-10 朱文科 一种用于基因测序中样品过满开盖防溢出的冷冻离心机
CN110863543A (zh) * 2019-11-16 2020-03-06 孙若荃 一种厨房垃圾脱水装袋器
KR102086681B1 (ko) 2019-10-17 2020-03-09 원진기계 주식회사 원심력을 이용한 슬러지와 응집제 혼합부를 구비한 원심탈수기
CN110883933A (zh) * 2019-12-13 2020-03-17 德阳市华鑫环保有限责任公司 一种利用钻井固废制备烧结砖的装置与方法
KR20210109295A (ko) 2020-02-27 2021-09-06 원진기계 주식회사 원심력을 이용한 유체혼합부가 내장된 원심탈수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733U (ja) * 1993-02-24 1994-09-13 栗田工業株式会社 汚泥の遠心脱水機
KR20100035283A (ko) * 2008-09-26 2010-04-05 주식회사 로얄정공 스크류 컨베이어에 형성된 이단가속 토출커버를 구비한 스크류데칸터형 원심분리기
KR200459173Y1 (ko) * 2010-07-02 2012-03-22 주식회사 로얄정공 방향성 분사각을 가진 분사노즐로 구성된 데칸더형 원심분리기의 스크류컨베이어
KR101127015B1 (ko) 2012-02-01 2012-03-26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교반회전체를 구비하는 원심분리기
KR101599328B1 (ko) 2015-09-14 2016-03-03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하수 또는 폐수 슬러지의 탈수용 원심분리기
KR101867534B1 (ko) * 2017-12-05 2018-06-15 강동석 체류시간 증대원리에 의하여 탈수성능을 향상시킨 원심탈수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4733U (ja) * 1993-02-24 1994-09-13 栗田工業株式会社 汚泥の遠心脱水機
KR20100035283A (ko) * 2008-09-26 2010-04-05 주식회사 로얄정공 스크류 컨베이어에 형성된 이단가속 토출커버를 구비한 스크류데칸터형 원심분리기
KR200459173Y1 (ko) * 2010-07-02 2012-03-22 주식회사 로얄정공 방향성 분사각을 가진 분사노즐로 구성된 데칸더형 원심분리기의 스크류컨베이어
KR101127015B1 (ko) 2012-02-01 2012-03-26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교반회전체를 구비하는 원심분리기
KR101599328B1 (ko) 2015-09-14 2016-03-03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하수 또는 폐수 슬러지의 탈수용 원심분리기
KR101867534B1 (ko) * 2017-12-05 2018-06-15 강동석 체류시간 증대원리에 의하여 탈수성능을 향상시킨 원심탈수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5655A (zh) * 2019-09-30 2020-01-10 朱文科 一种用于基因测序中样品过满开盖防溢出的冷冻离心机
KR102086681B1 (ko) 2019-10-17 2020-03-09 원진기계 주식회사 원심력을 이용한 슬러지와 응집제 혼합부를 구비한 원심탈수기
CN110863543A (zh) * 2019-11-16 2020-03-06 孙若荃 一种厨房垃圾脱水装袋器
CN110883933A (zh) * 2019-12-13 2020-03-17 德阳市华鑫环保有限责任公司 一种利用钻井固废制备烧结砖的装置与方法
KR20210109295A (ko) 2020-02-27 2021-09-06 원진기계 주식회사 원심력을 이용한 유체혼합부가 내장된 원심탈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569B1 (ko) 고액분리효율을 향상시킨 원심탈수기
KR101127015B1 (ko) 교반회전체를 구비하는 원심분리기
US4298160A (en) Solid bowl decanter centrifuges
KR102323606B1 (ko) 디캔터형 원심분리기 및 디캔터형 원심분리기의 운전방법
KR101599328B1 (ko) 하수 또는 폐수 슬러지의 탈수용 원심분리기
WO2018179569A1 (ja) スクリュー型分離装置及び排水処理システム
CN112876028B (zh) 一种含油污泥绿化分离机及其分离工艺
KR100916032B1 (ko) 축산폐수 침전 슬러지 탈수용 원심탈수기
US5948256A (en) Centrifuge with cake churning
JPH04193363A (ja) デカンタ型遠心分離機
KR100443050B1 (ko) 하폐수 슬러지 및 양돈분뇨의 고액분리장치 및 이를이용한 고액분리방법
JP4247794B2 (ja) 排泥処理用混練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排泥処理方法
KR102086681B1 (ko) 원심력을 이용한 슬러지와 응집제 혼합부를 구비한 원심탈수기
JP5275720B2 (ja) 回転ドラム式乾燥機
EP0629424A1 (en) Sedimentation type solid-liquid separator
JP2013193057A (ja) 固液分離装置
KR102331030B1 (ko) 원심력을 이용한 유체혼합부가 내장된 원심탈수기
KR101795640B1 (ko) 드럼 농축기
GB1602601A (en) Solid bowl decanter centrifuges
KR20000051926A (ko) 연속분리식 원심분리기
GB1403096A (en) Solid-jacket centrifuge with a slurry accelerator body
KR100521228B1 (ko) 습식비중차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세척과폴리올레핀계(pe, pp) 및 고비중 물질(abs, ps, pet,pvc)을 선별하는 장치
KR20000014468A (ko)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JPS63194760A (ja) 遠心脱水装置
KR20020075048A (ko) 고농도 유기폐수의 고액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