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168B1 - 세면기 팝업 밸브 - Google Patents

세면기 팝업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168B1
KR101953168B1 KR1020170071403A KR20170071403A KR101953168B1 KR 101953168 B1 KR101953168 B1 KR 101953168B1 KR 1020170071403 A KR1020170071403 A KR 1020170071403A KR 20170071403 A KR20170071403 A KR 20170071403A KR 101953168 B1 KR101953168 B1 KR 101953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oreign matter
drain
hole
operat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1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848A (ko
Inventor
김종필
김정아
Original Assignee
김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필 filed Critical 김종필
Priority to KR1020170071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168B1/ko
Priority to PCT/KR2017/011644 priority patent/WO2018080111A1/ko
Priority to EP17863395.4A priority patent/EP3533942A4/en
Priority to US16/316,552 priority patent/US20200181897A1/en
Priority to CN201780078026.XA priority patent/CN110121580A/zh
Publication of KR2018004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actuation force being transmitted to the plug via rigi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2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combined with outlet st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 팝업 밸브는, 배수구를 개폐하는 헤드부: 및 배수구에 부합하는 폭으로 상기 헤드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면기 팝업 밸브{POP-UP VALVE FOR WASHSTAND}
본 발명은 세면기의 배수구를 개폐하는 세면기 팝업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기는 얼굴, 손 등을 씻을 수 있도록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이다. 세면기는 벽에 부착되거나 스탠드형으로 세워진 구조일 수 있다. 세면기는 위생 도기로 제작되어 욕실이나 화장실의 벽에 설치된다. 이러한 세면기에는 세면기의 배수구를 막아 물을 가두어두거나, 배수구를 열어서 세면기의 물이 빠지도록 하는 팝업 밸브(Pop-up Valve)가 세면기 배수구에 장착된다. 이러한 팝업 밸브는 배수구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팝업 밸브는 작동레버와 연결된다. 작동레버의 작동에 의해 팝업 밸브의 헤드부가 상승하면 배수구가 개방된다. 구체적으로 작동레버와 연결된 연결대를 누르면 작동레버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팝업 밸브를 밀어올려 헤드부가 상승함에 따라 배수구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다시 헤드부를 배수구 쪽으로 밀어 넣으면 팝업 밸브와 연결된 작동레버는 원위치하고 배수구는 헤드부에 의해 닫히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팝업 밸브는 배수구 내부에 위치하는 작동레버 부위를 감싸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배수과정에서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이 배수구 내부에서 노출된 지렛대 부위에 걸려 배수구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일례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0063호는 "세면기용 배수밸브를 개시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수구 내부에서 노출되는 작동레버 부위를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로 감싸 세면기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이 작동레버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세면기 팝업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 팝업 밸브는 또한, 배수구를 개폐하는 헤드부: 및 배수구에 부합하는 폭으로 상기 헤드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 하부에 작동레버를 감싸는 커버부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는 작동레버 위쪽에서 양 갈래로 갈라지면서 배수구 내부에서 노출되는 작동레버 부위를 감싸고, 상기 커버부는 제1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에 대향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와 제2 커버 사이에는 작동레버의 작동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제1 커버 안쪽 면에는 제1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지지부에 대향하여 상기 제2 커버 안쪽 면에는 제2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지지부에는 작동레버의 일측 절반을 감싸는 제1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구멍에 대향하여 상기 제2 지지부에는 작동레버의 타측 절반을 감싸는 제2 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의 상부와 커버부의 연결 부위는, 물이 잘 흘러내릴 수 있도록 곡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의 양측면에는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와 "+"와 같은 형태를 이루도록 배수구의 내벽 면에 근접하는 날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 팝업 밸브에 의하면, 배수구 내부에서 노출되는 작동레버 부위를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로 감싸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이 작동레버에 걸리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 배수구에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날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 팝업 밸브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 팝업 밸브는 헤드부(20), 헤드부(20) 아래에 위치하는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30) 및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30)와 십자 형태를 이루는 날개(6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헤드부(20)는 세면기의 배수구(51)를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헤드부(20)는 배수구(51)를 막을 수 있도록 배수구(51)에 부합하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헤드부(20) 측면에는 배수구(51)의 밀폐를 위한 일반 탄성 패킹이 결합될 수 있다.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30)는 배수구에 부합하는 폭으로 형성된다.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30)는 헤드부(20)의 저면(21)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된다.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30)는 작동레버(40)에 이물질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30)는 작동레버(40)와 연결된다.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30) 하부에는 작동레버(40)를 감싸는 커버부(300)가 구비된다. 커버부(300)는 작동레버(40)의 위쪽에서 양 갈래로 갈라지면서 세면기(50)의 배수구(51) 내부에서 노출되는 작동레버(40) 부위를 감싼다.
커버부(300)는 제1 커버(310) 및 제1 커버(310)에 대향하는 제2 커버(320)를 포함한다. 제1 커버(310)와 제2 커버(320) 사이에는 작동레버(40)의 작동에 필요한 공간(340)이 마련된다. 제1 커버(310)와 제2 커버(320)는 작동레버(40)를 감싸 머리카락 등과 같이 이물질이 작동레버(4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커버(310)의 안쪽 면에는 제1 지지부(311)가 마련된다. 제1 지지부(311)에 대향하여 제2 커버(320) 안쪽 면에는 제2 지지부(321)가 마련된다. 제1 지지부(311)에는 작동레버(40)의 좌, 우 측면 중 일측면 절반을 감싸는 제1 구멍(312)이 구비된다. 제1 구멍(312)은 반원일 수 있다. 제1 구멍(312)에 대향하여 제2 지지부(321)에는 작동레버(40)의 좌, 우 측면 중 타측면 절반을 감싸는 제2 구멍(322)이 구비된다. 제2 구멍(322)은 반원일 수 있다. 제1 구멍(312)과 제2 구멍(322)이 맞닿아 하나의 원을 이룬다.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30)와 커버부(300)의 연결 부위는 물 또는 이물질이 잘 흘러내릴 수 있도록 곡면(330)으로 설계된다.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30)의 전후 양측에는 날개(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30)는 헤드부(20)에 용접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헤드부(20)와 일체형 구조일 수 있다.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30)의 전후 양측 면에는 날개(60)가 구비된다. 날개(60)는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30)와 "+"와 같은 형태를 이룬다. 날개(60)는 세면기(50)의 배수구(51)의 내벽 면에 근접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날개(60)는 배수구(51)를 통과하는 물이 잘 흐를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과 동시에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30)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리브(rib)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60)의 모양을 변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날개(60)의 하부가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3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3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 팝업 밸브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와 같이 헤드부(20)가 배수구(51)를 막은 상태에서 작동레버(40)와 연결된 연결대를 누르면 연결대의 작동에 의해 작동레버(40)가 힌지축(7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팝업 밸브를 밀어올린다. 팝업 밸브가 상승하면서 배수구(51)를 막고 있던 헤드부(20)가 배수구(51)를 벗어나 배수구(51)의 개방 상태가 이루어진다.
배수구(51)가 개방 상태에서 배수구(51)를 통해 물과 머리카락 등과 같은 이물질이 배출된다. 이때, 배수구(51) 내부에서 노출되는 작동레버(40) 부위는 제1 커버(311) 및 제2 커버(312)에 의해 가려져 있기 때문에 배수구(51)를 따라 흐르는 이물질이 배수구(51) 내부의 작동레버(40)의 노출 부위에 걸리지 않고 배수구(51)를 따라 바로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물질은 제1 커버(311) 및 제2 커버(312)의 외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흘러 배수구(51)로 배출된다.
헤드부(20)를 배수구(51) 쪽으로 밀어 넣으면 작동레버(315)는 원위치하고 열려있던 배수구(51)는 헤드부(20)에 의해 막히게 된다.
다음은 작동레버와 이물질 방지 커버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기존에는 작동레버(40)를 구멍에 정확히 맞추어 끼워 넣는 방식으로 작동레버(40)를 결합했기 때문에 작동레버(40)의 결합이 쉽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동레버(40)를 제1 커버(310)와 제2 커버(320) 사이로 밀어넣는 방식으로 작동레버(315)를 한 번에 쉽게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레버(315)를 제1 커버(310)와 제2 커버(320) 사이로 밀어넣으면 제1 커버(310)와 제2 커버(320) 사이가 자연스럽게 벌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작동레버(315)를 제1 커버(310)와 제2 커버(320) 사이로 밀어넣으면 근접해 있던 제1 지지부(311)와 제2 지지부(321) 사이가 작동레버(315)가 진입할 수 있도록 벌어지고, 벌어진 틈을 통해 작동레버(315)가 제1 구멍(312)과 제2 구멍(322)에 위치한다. 작동레버(315)가 제1 구멍(312)과 제2 구멍(322)에 위치하는 순간 벌어져 있던 제1 지지부(311)와 제2 지지부(321) 사이가 다시 좁혀지면서 작동레버(315)의 결합 상태가 이루어진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 팝업 밸브는, 배수구 내부에서 노출되는 작동레버 부위를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로 감싸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이 작동레버에 걸리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동레버를 구멍에 끼워 넣는 기존의 작동레버의 결합방식과 달리 제1 구멍과 제2 구멍에 작동레버를 밀어넣는 방식으로 작동레버를 한 번에 손쉽게 결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헤드부
21:저면
30: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
40:작동레버
50:세면기
51:배수구
60:날개
70:힌지축
300:커버부
310:제1 커버
311:제1 지지부
312:제1 구멍
320:제2 커버
321:제2 지지부
322:제2 구멍
330:곡면
340:공간

Claims (3)

  1. 배수구를 개폐하는 헤드부: 및
    배수구에 부합하는 폭으로 상기 헤드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 하부에 작동레버를 감싸는 커버부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부는 작동레버 위쪽에서 양 갈래로 갈라지면서 배수구 내부에서 노출되는 작동레버 부위를 감싸고,
    상기 커버부는 제1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에 대향하는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와 제2 커버 사이에는 작동레버의 작동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제1 커버 안쪽 면에는 제1 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지지부에 대향하여 상기 제2 커버 안쪽 면에는 제2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지지부에는 작동레버의 좌, 우 측면 중 일측면 절반을 감싸는 제1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구멍에 대향하여 상기 제2 지지부에는 작동레버의 좌, 우 측면 중 타측면 절반을 감싸는 제2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와 커버부의 연결 부위는 물이 잘 흘러내릴 수 있도록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팝업 밸브.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의 양측면에는,
    이물질 걸림 방지 커버와 "+"와 같은 형태를 이루도록 배수구의 내벽 면에 근접하는 날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팝업 밸브.
KR1020170071403A 2016-10-08 2017-06-08 세면기 팝업 밸브 KR101953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1403A KR101953168B1 (ko) 2016-10-28 2017-06-08 세면기 팝업 밸브
PCT/KR2017/011644 WO2018080111A1 (ko) 2016-10-28 2017-10-20 세면기 팝업 밸브
EP17863395.4A EP3533942A4 (en) 2016-10-28 2017-10-20 RETRACTABLE LAVATORY SHUTTER
US16/316,552 US20200181897A1 (en) 2016-10-08 2017-10-20 Washbasin pop-up valve
CN201780078026.XA CN110121580A (zh) 2016-10-28 2017-10-20 洗手盆弹跳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42105 2016-10-28
KR1020160142105 2016-10-28
KR1020170071403A KR101953168B1 (ko) 2016-10-28 2017-06-08 세면기 팝업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848A KR20180046848A (ko) 2018-05-09
KR101953168B1 true KR101953168B1 (ko) 2019-02-28

Family

ID=62025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1403A KR101953168B1 (ko) 2016-10-08 2017-06-08 세면기 팝업 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181897A1 (ko)
EP (1) EP3533942A4 (ko)
KR (1) KR101953168B1 (ko)
CN (1) CN110121580A (ko)
WO (1) WO201808011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800Y1 (ko) * 2000-04-14 2000-09-15 김형식 세면대용 배수 밸브장치
KR200241131Y1 (ko) * 2001-04-26 2001-10-12 오세영 세면기의 팝업밸브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3667A (en) * 1966-10-07 1969-07-08 Young Stephen A Drain valve connecting means
JPH07197502A (ja) * 1993-12-30 1995-08-01 Inax Corp 浴槽用排水栓
KR200174141Y1 (ko) * 1997-06-23 2000-03-02 정인상 세면기의 배수밸브용 승강구
JP2000120129A (ja) * 1998-10-15 2000-04-25 Maruichi Kk 遠隔操作式排水装置
JP4016181B2 (ja) * 2002-03-28 2007-12-05 丸一株式会社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KR200400063Y1 (ko) 2005-08-19 2005-11-02 김정기 세면기용 배수밸브
KR200448972Y1 (ko) * 2008-08-04 2010-06-14 김아라 세면기의 팝업밸브 인출장치
KR100977139B1 (ko) * 2008-09-24 2010-08-20 양선웅 배수관의 밸브 개폐를 위한 폽업 장치
KR100995928B1 (ko) * 2009-01-07 2010-11-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세면대 배수구의 팝업밸브
KR20100101342A (ko) * 2009-03-09 2010-09-17 조춘현 세면대의 배수밸브 개폐장치
RU2518654C2 (ru) * 2010-01-20 2014-06-10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Тосиба Труба с двойными стенкам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убы с двойными стенками и парогенератор
CN105971075B (zh) * 2010-02-01 2019-11-19 Pf水务工程公司 弹出式排放组件
KR101282869B1 (ko) * 2011-05-18 2013-07-05 김태경 배수밸브 및 이를 채용한 배수구 개폐장치
KR20130001435A (ko) * 2011-06-27 2013-01-04 원 배 이 세면기용 탈착식 배수장치
CN202194238U (zh) * 2011-07-12 2012-04-18 姜成旭 方便清理淤塞物的双过滤地漏
KR200463984Y1 (ko) * 2012-07-11 2012-12-06 이재윤 분수 노즐을 갖는 세면기 밸브
KR101469690B1 (ko) * 2013-01-09 2014-12-05 김현 세면대의 배수밸브 개폐유닛
KR20140101126A (ko) * 2013-02-08 2014-08-19 지해정 세면대용 배수구
US9499962B2 (en) * 2013-04-23 2016-11-22 Douglas S Joseph Pop-up drain valve stopper with strainer cup
KR200474840Y1 (ko) * 2014-02-20 2014-10-16 이재윤 분수 노즐을 갖는 세면기 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800Y1 (ko) * 2000-04-14 2000-09-15 김형식 세면대용 배수 밸브장치
KR200241131Y1 (ko) * 2001-04-26 2001-10-12 오세영 세면기의 팝업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81897A1 (en) 2020-06-11
CN110121580A (zh) 2019-08-13
WO2018080111A1 (ko) 2018-05-03
EP3533942A1 (en) 2019-09-04
EP3533942A4 (en) 2020-06-03
KR20180046848A (ko)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81896A1 (zh) 一种长效全封闭水封防臭存水弯
KR100500132B1 (ko) 악취방지용 위생덮개
KR200385876Y1 (ko) 욕실바닥용 봉수트랩의 개선구조
KR101953168B1 (ko) 세면기 팝업 밸브
KR200422379Y1 (ko) 청소용 도어를 가진 교량의 배수 시스템
JP4709981B2 (ja) 排水トラップ
KR101844474B1 (ko) 팝업 밸브
KR102083469B1 (ko) 배수용 트랩
KR200462565Y1 (ko) 싱크볼의 배수유닛
KR200460004Y1 (ko) 이물질 여과기능을 가진 세면대용 배수밸브
JP6454841B2 (ja) 捕集部材を備えた排水口構造
JP2006265971A (ja) 流水ボールオーバーフロー管の逆流防止構造
JP6488456B2 (ja) 管トラップ及び管トラップの製造方法
JP3879743B2 (ja) 排水トラップ
KR20140088429A (ko) 배수 트랩
KR200465597Y1 (ko) 소변기용 감지 센서의 감지기능 차단장치
KR20100008003U (ko) 세면대용 배수 개폐장치
KR20190002939U (ko) 세면기용 배수밸브 장치
JP2009030325A (ja) 浴槽のポップアップ排水栓構造
KR102183571B1 (ko) 세면대 팝업 밸브
JP6884330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その洗浄水タンク装置を備えた水洗大便器
JP6908839B2 (ja) 浴槽排水部構造
KR100995928B1 (ko) 세면대 배수구의 팝업밸브
JP6666578B2 (ja) 排水弁装置、この排水弁装置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この洗浄水タンク装置を備えた水洗大便器
KR101722359B1 (ko)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