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127B1 - Facial mask - Google Patents

Facial 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127B1
KR101953127B1 KR1020180108412A KR20180108412A KR101953127B1 KR 101953127 B1 KR101953127 B1 KR 101953127B1 KR 1020180108412 A KR1020180108412 A KR 1020180108412A KR 20180108412 A KR20180108412 A KR 20180108412A KR 101953127 B1 KR101953127 B1 KR 101953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pace
mask
air
user
fre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4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경수
조범연
배은영
김학용
장성근
Original Assignee
비클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클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클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8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1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127B1/en
Priority to PCT/KR2019/002803 priority patent/WO202005493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62B7/04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and lung-controlled oxygen or ai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ial mask which is worn on respiratory organs of a user and is equipped with at least one flap valve which distinguishes between a first fluid space and a second fluid spa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acial mask in which the flap valve thereof communicates the first fluid space and the second fluid space when the user exhales, and closes and separates the first fluid space and the second fluid space when the user inhales, however, when the first fluid space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negative pressure or less, the flap valve urgently opens the first fluid space and the second fluid space.

Description

비상 밸브를 구비한 안면 마스크{FACIAL MASK}[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ial mask having an emergency valve,

본 발명은 안면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화 공기를 공급하도록 별도로 구비된 공기 정화 유닛과의 탈착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흡기 및 호기가 자연스러워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안면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e ma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ce mask in which detachment from an air cleaning unit separately provided for supplying purge air is facilitated and user's intake and exhaust are natural, .

일반적으로, 산업화는 유해물질을 배출하게 되며, 현대인은 일상생활에서 이러한 유해물질에 노출되어 있다.In general, industrialization produces harmful substances, and modern people are exposed to these harmful substances in daily life.

유해물질은 각종 매연이나 미세먼지는 물론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꽃가루, 황사 및 각종 세균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유해물질이 호흡기로 침투하게 되면 각종 호흡기 질환을 유발시키게 되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Hazardous substances can include all kinds of soot and fine dust as well as pollen, yellow dust and various bacteria that cause allergies. When these harmful substances penetrate into the respiratory tract, they cause various respiratory diseases and become a serious problem.

이에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각종 공기정화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기존의 공기정화장치는 정해진 공간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켜주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air purification apparatuses have been proposed as means for purifying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Conventional air purification apparatuses are used to purify the air inside a predetermined space.

그러나, 실외에서 활동하는 경우, 기존의 공기정화장치를 사용하기에는 공간적인 요인 및 주변 환경에 따른 요인으로 인하여 사용에 제약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using the air conditioner in an outdoor environment, the use of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is restricted due to a space factor and a surrounding environment facto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인이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의 일종으로 방독면이나 분진용 마스크가 있으나, 방독면의 경우, 크기가 크고 휴대가 불편하며, 사용이 간단하지 못하고, 착용한 상태에서 행동의 제약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분진 마스크의 경우, 휴대 및 착용이 간단하지만 정화능력에 한계가 있어 장시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is a masks for respirators and dust masks, which are used as an air purifier that can be carried by individuals. However, in the case of gas masks, they are large in size and inconvenient to carry, However, the dust mask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for a long tim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purification ability, although it is simple to carry and wear.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한국공개특허 제2016-012763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6-0127637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착용이 간편하고, 사용자의 흡기 및 호기가 용이한 안면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ace mask which is easy to wear by a user and which is easy to be sucked and exhaled by a user.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As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호흡기에 착용되고, 제1유체 공간과 제2유체 공간을 구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밸브를 구비한 안면 마스크로서, 상기 플랩 밸브는 사용자의 호기 시 상기 제1 유체 공간 및 제2 유체 공간을 연통시키고, 사용자의 흡기 시 상기 상기 제1 유체 공간 및 제2 유체 공간을 폐쇄 분리하되, 상기 제1 유체 공간이 소정 압력 이하로 감압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체 공간 및 상기 제2 유체 공간을 비상 개방하는 안면 마스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e mask, which is worn on a respirator of a user and has at least one flap valve for distinguishing between a first fluid space and a second fluid space, Wherein the first fluid space and the second fluid space are closed when the first fluid space and the second fluid spac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first fluid space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pressure or less, Thereby providing a face mask for emergency opening of the space.

또한, 상기 플랩 밸브는 사용자의 호기 시 상기 제1 유체 공간 및 제2 유체 공간을 연통시키고, 사용자의 흡기 시 상기 상기 제1 유체 공간 및 제2 유체 공간을 폐쇄 분리하는 호기 밸브와, 사용자의 흡기 시 상기 제1 유체 공간이 소정 압력 이하로 감압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체 공간 및 상기 제2 유체 공간을 비상 개방하는 비상 밸브를 포함하는 안면 마스크를 제공한다.The flap valve may include an exhalation valve for communicating the first fluid space and the second fluid space at the user's expiration time and closing and separating the first fluid space and the second fluid space at the time of inspiration of the user, And an emergency valve for urgently opening the first fluid space and the second fluid space when the first fluid space is depressurized to a predetermined pressure or less.

또한, 사용자의 호흡기에 착용되고, 내측면과 사용자의 호흡기 사이에 제1 유체 공간을 형성하는 마스크 몸체; 및 상기 마스크 몸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내측면 일부가 상기 마스크 몸체의 외면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제2 유체 공간을 형성하는 마스크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플랩밸브는 상기 마스크 몸체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안면 마스크를 제공한다.A mask body that is worn on a user &apos; s respirator and forms a first fluid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respiratory of the user; And a mask enclosure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sk body, the mask enclosure having a portion of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mask body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second fluid space through which air flows, A facial mask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또한, 상기 마스크 몸체에는, 상기 제1 유체 공간과 상기 제2 유체 공간을 연통시키는 호기 밸브용 일측 연통구 및 비상 밸브용 타측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플랩 밸브는, 상기 마스크 몸체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돌기가 형성된 플랩 바디; 상기 플랩 바디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일측 연통구를 덮도록 연장된 호기 밸브용 일측 자유 단부; 및 상기 플랩 바디의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타측 연통구를 덮도록 연장된 비상 밸브용 타측 자유 단부; 를 포함하는 안면 마스크를 제공한다.The mask body may further include a one-way communication port for the exhalation valve and a second communication port for the emergency valve communicating the first fluid space and the second fluid space, and the flap valve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A flap body having fixed fixing protrusions formed therein; A free end portion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flap body and extending to cover the one communication port; And a second free end portion for the emergency valve exte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flap body and extending to cover the other communication port; And a face mask.

또한, 상기 일측 자유 단부와 상기 타측 자유 단부는, 상기 제1유체 공간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마스크 외피의 내측면과 상기 마스크 몸체의 외측면 사이에서 휘어지는 가요성 플랩으로 구비된 안면 마스크를 제공한다.The one free end and the other free end provide a face mask having a flexible flap that flexes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mask shell and an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according to a change in pressure of the first fluid space .

또한, 상기 호기 밸브용 일측 연통구에는 상기 제1 유체 공간의 형성 감압이 상기 소정 압력 이하로 감압되어도 호기 밸브용 일측 자유 단부가 상기 제1 유체 공간 측으로 휘어져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 리브가 형성된 안면 마스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one-side communication port for the exhalation valve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ing rib for preventing the one free end of the exhalation valve from being bent toward the first fluid space to be opened even when the reduced pressure of the first fluid space is reduced to the predetermined pressure or less, Lt; / RTI &gt;

또한, 상기 제1 유체 공간의 형성 감압이 상기 소정 압력 이하로 감압되는 경우 비상 밸브용 타측 자유 단부가 상기 제1 유체 공간 측으로 휘어져 들어가 비상 개방되는 안면 마스크를 제공한다.When the reduced pressure of the first fluid space is reduced to the predetermined pressure or less, the other free end portion of the emergency valve is bent toward the first fluid space and is opened emergency.

또한, 상기 비상 밸브용 타측 자유 단부는 호기 밸브용 일측 자유 단부보다 두께가 두꺼운 안면 마스크를 제공한다.The other free end of the emergency valve is provided with a thicker face mask than the one free end for the exhalation valve.

또한, 상기 비상 밸브용 타측 자유 단부에는 상기 제1 유체 공간의 형성 감압이 상기 소정 압력을 초과하여 덜 감압되는 경우에도 비상 밸브용 타측 자유 단부가 상기 제1 유체 공간 측으로 휘어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강화 리브가 형성된 안면 마스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other free end of the emergency valve may be provided with a reinforcement for preventing the other free end of the emergency valve from bending toward the first fluid space, even if the reduced pressure of the first fluid space is reduced to less than the predetermined pressure, Provides a facial mask with ribs.

또한, 상기 마스크 몸체에는, 상기 제1 유체 공간의 일부가 외부로 관통되게 몸체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 관통부를 차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유체 공간 내의 습기 또는 냄새를 제거하는 흡착 필터를 더 포함하는 안면 마스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mask body may be provided with a body penetration portion through which a part of the first fluid space penetrates to the outside, and an adsorption filter disposed to shield the body penetration portion and for removing moisture or odor in the first fluid space Provide a facial mask that includes.

또한, 마스크의 좌우 양측에는 사용자 머리에의 착용을 위한 착용 밴드 또는 사용자 귀에의 착용을 위한 착용 고리가 결착되는 결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착부는, 결착부 커버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차폐되는 안면 마스크를 제공한다.Further,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sk, there is provided a binding portion for binding a wearing band for wearing to a user's head or a wearing ring for wearing to a user's ear, and the bind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ace mask which is shielded from the outside by a binding portion cover do.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가 구비된 마스크 몸체;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정화 유닛; 상기 공기 정화 유닛과 상기 공기 유입구를 연통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과 상기 공기 유입구를 자성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관 탈착부를 더 포함하는 안면 마스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ask comprising: a mask body having at least one air inlet; An air purification unit for supplying purified air; A connection pipe communicating the air purifying unit and the air inlet; And a connection pipe detachment unit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connection pipe and the air inlet in a magnetically detachable manner.

또한, 상기 연결관 탈착부에는 제1 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에는 상기 제1 자성체와 자성 결합되는 제2 자성체가 구비되는 안면 안면 마스크를 제공한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cial face mask having a first magnetic body on the connector detachment portion and a second magnetic body 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first magnetic body on the air inlet.

또한, 상기 연결관 탈착부는, 내부가 비어 있는 탈착 본체; 상기 연결관이 연결되는 연결관 연결부; 및 상기 공기 유입구에 삽입되도록 절곡된 절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에는 환형의 제1 자성체가 구비되는 안면 마스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tube detachment unit may include a detachable body having an inner space; A connection pipe connection part to which the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And a bent portion bent to be inserted into the air inlet; Wherein the bend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n annular first magnetic body.

또한, 상기 절곡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자성체가 억지 끼움되도록 상기 제1 자성체의 중공 내경보다 큰 끼움 리브가 형성된 안면 마스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bent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tting rib larger than the hollow inner diameter of the first magnetic body so that the first magnetic body can be interference fit.

또한,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는,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자성 결합되는 안면 마스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in a mutually spaced state.

또한,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사이에 제2 자성체 형상 대비 보다 타원형인 삽입체가 형성된 안면 마스크를 제공한다.Also, a face mask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wherein an insert, which is more elliptical than the shape of the second magnetic body, is formed.

또한, 상기 삽입체는 제2 자성체를 고정하고,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커버하기 위해 마스크 몸체와 연결된 제2 자성체 고정 커버인 안면 마스크를 제공한다.The insert also provides a face mask, which is a second magnetic stationary cover connected to the mask body for securing and partially or wholly covering the second magnetic body.

또한, 상기 마스크 몸체에는, 상기 공기 유입구에 대응되는 공기 연통구가 구비된 이너 실리콘 패드가 개재되고, 상기 공기 연통구는 제1 자성체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 유입이 차단되도록 실링시키는 안면 마스크를 제공한다. The mask body may be provided with an inner silicone pad having an air communication port corresponding to the air inlet, and the air communication port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magnetic member,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달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facial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various effects can be achieved.

첫째, 외부 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하는 공기 정화 유닛과 함께 사용자 신체에 간편하게 착용하여 실외 활동이 가능하므로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First, since the outdoor air can be easily worn on the user's body together with the air purification unit for purifying and supplying the outdoor air, outdoor activity can be performed, thereby improving usability and convenience.

둘째, 사용자 착용 중 많은 양의 흡기가 요구되거나, 공기 정화 유닛으로부터 공기의 유입에 문제가 발생하는 등 긴급한 상황 발생 시 사용자의 흡기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유체 공간 내의 감압 정도에 따라 비상밸브가 개방되어 비상 흡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사 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Second, when an urgent situation such as a large amount of intake during wear of the user is required or a problem occurs in the inflow of air from the air purification unit, the emergency valve is ope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ssure reduction in the first fluid space provided by the user's intak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imilar safety accidents.

셋째, 사용자의 호흡기가 인접하는 부분의 공기(제1 유체 공간) 중의 습기 및 냄새를 제거함으로써 사용자 감성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Third, it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user's sensibility by removing the moisture and odor in the air (the first fluid space) adjacent to the respirator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일 실시예와 공기 정화 유닛의 연결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공기 정화 유닛을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공기 정화 유닛을 보다 상세하게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전원부를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외부 공기가 정화되어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일 실시예로 이동되는 과정을 예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공기 정화 유닛의 구성 중 공기흡입구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7의 구성 중 마스크 몸체 및 플랩 밸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7의 B-B선을 따라 취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of an air purifying unit and an embodiment of a fac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purification unit of the configuration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ir purifying unit of Fig. 2 in more detail,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Fig. 1,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external air is purified and moved to an embodiment of the fac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inlet port of the air purifying unit,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ac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7,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7,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sk body and a flap valv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7,
1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7,
12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ac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difference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conclusive.

본 발명의 실시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일 실시예와 공기 정화 유닛의 연결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공기 정화 유닛을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공기 정화 유닛을 보다 상세하게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전원부를 예시한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외부 공기가 정화되어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일 실시예로 이동되는 과정을 예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공기 정화 유닛의 구성 중 공기흡입구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ac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nection of an air purifying unit,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ir purifying unit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FIG. 1, showing a power supply unit,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ce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inlet of the air purifying unit. FIG.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별도로 구비되되,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는 공기 정화 유닛(1)으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공급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경량으로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착용이 가능함은 물론, 보다 높은 정화율로 정화된 공기를 제공받음으로써 외부 활동을 안심하고 수행할 수 있다.1 to 6, an embodiment of the facial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separately, and 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purified air is supplied from an air purifying unit 1 for purifying external air by sucking external air, do. Therefore, the wearer can wear the facial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anufactured with a lighter weight, and can receive the purified air at a higher purification rat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erform external activities reliably.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공기 정화 유닛(1)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air purifying unit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FIG.

공기 정화 유닛(1)은,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구동부(10), 확산부(20), 정화부(30), 제어부(50) 및 전원부(60)가 포함되는 본체(1a)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본체(1a)와 연결되어 정화부(30)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이동되는 연결관(90)과, 그러한 연결관(90)에 연결되어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호흡기로 이동되도록 보조해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 마스크(100)와, 연결관(90)에 연결되어 목에 감싸지면서 본체(1a)를 지지해주는 걸이부재(200)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에 대해 예시된 도면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2, the air purifying unit 1 includes a main body 1a including a driving unit 10, a diffusion unit 20, a purifying unit 30, a control unit 50, and a power supply unit 60 Lt; / RTI &gt; A connection pipe 9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a to move purified air through the purge section 30 and a connection pipe 9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90 for supporting purified air to be transferred to the user's respirator A face mas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hook member 20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90 to support the main body 1a while being wrapped around the neck,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본체(1a)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구동부(10)와, 그러한 구동부(1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확산시켜주는 확산부(20)와, 확산부(20)에 의해 확산된 공기를 정화시켜주는 정화부(30)와, 구동부(10) 및 장치의 작동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 및 제어부(50)의 제어를 받으면서 구동부(10)를 작동시키는 전원부(60)가 수용되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정화시켜 필요한 곳으로 토출시켜주는 역할을 한다.The main body 1a includes a driving unit 10 for sucking outside air, a diffusion unit 20 for diffusing the air sucked by the driving unit 10, an air diffused by the diffusion unit 20, A control part 5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part 10 and a display part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device and a power part for operating the driving part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part 50 60) is accommodated and purifies the outside air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and discharges it to a necessary place.

본체(1a)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보면 전술한 구동부(10), 확산부(20), 정화부(30), 표시부, 제어부(50), 전원부(60)를 감싸주기 위해 하우징이 구비되며,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2)과 그러한 상부 하우징(2)에 탈착되는 하부 하우징(4)으로 구성된다.The housing 1a is provided with a housing for covering the driving unit 10, the diffusion unit 20, the purifier unit 30,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50, and the power source unit 60 And the housing is constituted by an upper housing 2 and a lower housing 4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housing 2.

하부 하우징(4)은 저면에 외부의 공기를 본체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공기흡입구(6)가 형성되며, 상부 하우징(2)의 저면은 공기흡입구(6)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을 위하여 관통된 상태로 구성된다.The lower housing 4 is formed with an air intake port 6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body and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2 is connected to the air intake port 6 for movement of air And is formed in a penetrated state.

공기흡입구(6)의 표면에는 공기흡입구(6)를 차단하지 않는 상태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는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점의 형태나 선의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ir intake port 6 in a state in which the air intake port 6 is not blocked. The protrusions may have various patterns and may have a shape of a dot or a line. .

이러한 돌기는 하부 하우징(4)이 바닥면 등에 놓여 사용될 때 바닥면에 공기흡입구(6)가 막히지 않고 돌기에 의해 바닥면에서 소정 간격으로 부상됨에 따라 부상된 틈새로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흡입구(6)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lower housing 4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4, the air intake port 6 is not clogged and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floating gap as the float is lif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bottom surface by the projection, ). &Lt; / RTI &gt;

상부 하우징(2)은 상측 전면에 출입공(5)이 형성되며, 상부 하우징(2)으로부터 하부 하우징(4)을 분리시키면 전술한 출입공(5)이 외부로 노출되고, 이러한 출입공(5)을 통해 상부 하우징(2) 내부로 정화부(30)의 필터(33)를 탈착시킬 수 있다.When the lower housing 4 is detached from the upper housing 2, the access hole 5 described abov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access hole 5 The filter 33 of the purifying section 30 can be detached from the upper housing 2 through the opening 33a.

상부 하우징(2)은 상면 또는 전면에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표시부는 상부 하우징(2)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부(50)의 제어를 받아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면서 사용자에게 장치의 상태를 안내하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The upper housing 2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on a top surface or a front surface thereof.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to the outside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50 installed inside the upper housing 2, The device can be controlled.

표시부는 전원의 온/오프를 작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 및 구동부(10)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표시부에는 전원부(60)의 상태 및 필터(33)의 교체 알림, 각종 경고표시, 구동부(10)의 풍량 등이 단계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switch capable of turning on / off the power source and a switch capable of adjusting the air volume of the driving unit 10. The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status of the power source unit 60, Warning display, air volume of the driving unit 10,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stepwise.

본체(1a)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위쪽으로 구동부(10)와 확산부(20)와 정화부(30)와 제어부(50)와 전원부(60)가 순차적으로 수용되며, 구동부(10)는 상부 하우징(2)의 내부에서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며, 구동부(10)는 구동모터(12)와 그러한 구동모터(12)의 하측에 연결되어 구동모터(12)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구동팬(13)으로 구성될 수 있고, 구동팬(13)이 회전되면 외부의 공기가 하부 하우징(4)의 공기흡입구(6)를 거쳐 상부 하우징(2)의 아래쪽 관통된 부위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A driving unit 10, a diffusion unit 20, a purifier unit 30, a control unit 50 and a power supply unit 60 are sequentially housed in the main body 1a from the bottom up, And the driving unit 10 is located below the inside of the driving motor 12. The driving unit 10 includes a driving motor 12 and a driving fan 13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driving motor 12 and rot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12. [ And when the driving fan 13 is rotated, the outside air is moved upward through the lower penetrating portion of the upper housing 2 through the air inlet opening 6 of the lower housing 4.

확산부(20)는 전술한 구동부(10)의 위쪽에 위치하여 구동부(1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측의 정화부(30)로 확산시켜 정화부(30)에 공기가 균일하게 이동되도록 해준다.The diffusion unit 20 is positioned above the driving unit 10 and diffuse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driving unit 10 into the upper purification unit 30 to uniformly move the air to the purification unit 30 .

확산부(20)는 중앙에 구동모터(12)가 관통되도록 축공이 형성되고, 외측둘레를 따라 구동부(10)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측으로 확산시켜주는 복수의 날개가 구비된 디퓨저(22)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ffuser 20 includes a diffuser 22 having a shaft hole formed at its center so as to penetrate the drive motor 12 and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for diffusing the air sucked from the drive unit 10 upward along the outer periphery Lt; / RTI &gt;

여기서, 축공과 외측둘레는 방사형의 리브살로 연결될 수 있으며, 디퓨저(22)는 구동부(10)의 진동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구동부(10)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측을 향하여 고르게 이동되도록 해줄 수 있다.Here, the shaft hole and the outer periphery may be connected to a radial rib, and the diffuser 22 may move the air sucked from the driving part 10 evenly upward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vibration of the driving part 10 .

정화부(30)는 전술한 확산부(20)의 상측에 위치하여 확산부(20)로부터 확산되어 이동된 공기를 정화시켜 준다.The purifying unit 30 is located above the diffusion unit 20 to purify the air that has been diffused from the diffusion unit 20 and moved.

정화부(30)는 디퓨저(22)의 형상과 상응할 수 있으며, 예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원형의 디퓨저(22)에 대응될 수 있도록 케이싱과 필터지로 이루어진 원형의 필터(33)로 구성될 수 있다.The purifier 30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diffuser 22 and may comprise a circular filter 33 of casing and filter paper to correspond to the circular diffuser 22, have.

전술한 구동부(10)와 확산부(20)와 정화부(30)는 상하가 관통되는 구동부 커버(11)와 확산부 커버(21)와 정화부 커버(31)를 통해 각각 감싸져 설치되고, 구동부 커버(11)와 확산부 커버(21)와 정화부 커버(31)는 서로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됨으로써, 구동부(10)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불필요하게 누설되지 않고 확산부(20)를 거쳐 정화부(30)를 통해 정화되어 필요한 곳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driving unit 10, the diffusion unit 20 and the purifier unit 30 are enclosed by the driving unit cover 11, the diffusion unit cover 21 and the purifying unit cover 31, The driving unit cover 11 and the diffusion unit cover 21 and the purifying unit cover 31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maintain airtightness with each other. Thus,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driving unit 10 does not leak unnecessarily, And is purified through the purifying unit 30 to be moved to a necessary place.

또한, 정화부 커버(31)의 상측에는 상향 돌출된 배출구(32)가 형성되면서 필터(33)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배출구(32)로 안내되어 이동되며, 이러한 배출구(32)는 후술되는 연결관(90)으로 정화된 공기를 보내주게 된다.In addition, an upwardly projecting discharge port 32 is formed on the purifier cover 31, and the purified air is guided to the discharge port 32 through the filter 33. The discharge port 32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And the purified air is sent to the pipe 90.

예시된 도면에서 배출구(32)는 정화부 커버(31) 상측의 대향된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본체(1a) 양측에 위치하여 상부 하우징(2)의 내부로 결합되는 후술될 연결관(90)과 연결되어 배출구(32)에서 배출되는 정화된 공기는 연결관(90)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discharge port 32 protrudes from opposite sides on the upper side of the purifier cover 31 and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pipe 90 to be described later, which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a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housing 2. [ And the pur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32 is mov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 90.

정화부 커버(31)의 내부에는 정화부(30)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후술되는 연결관(90)으로 이동되기 전, 정화된 공기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는 공기온도조절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An air temperature regulating member (not shown) which can heat or cool the purified air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disposed inside the purifying unit cover 31 before the purified air through the purifying unit 30 is moved to the connection pipe 90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공기온도조절부재는 화학반응 또는 전자장치에 의한 흡열 및 발열을 통해 정화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Here, the air temperature control member can regulate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air through a chemical reaction or heat absorption by the electronic device and heat generation.

제어부(50)는 후술될 전원부(60)를 제어하면서 전술한 구동부(10)의 구동을 제어하고, 전원부(60)의 상태를 확인하여 충전이 필요한 경우 표시부를 통해 안내하며, 전원부(60)에 외부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전원부(60)의 충전 및 구동부(10)를 작동시키고, 정화부(30)의 사용시간이나 오염상태를 판단하여 표시부를 통해 정화부(30)의 교체안내 또는 경고 등을 표시하며, 구동부(1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표시부를 통해 안내하고, 구동부(10)를 제어하여 구동팬(13)의 회전속도를 단계별로 제어하면서 단계별로 제어된 구동팬(13)에 의한 풍량의 상태를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driving unit 10 to control the power unit 60 to be described later and checks the state of the power unit 60 to guide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when charging is required. When the external power is applied, the charging and driving unit 10 of the power source unit 60 is operated to determine the use time or the contaminated state of the purifier unit 30,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10 to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fan 13 in stages so that the driving fan 13 is controlled in a stepwise manner, The user can be informed of the state of the air volume by the display unit.

전원부(60)는 전술한 제어부(50)의 제어를 받으면서 구동부(10)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며, 전원부(60)는 일 예로 리튬이온배터리가 될 수 있고, 전원부(60)는 상부 하우징(2)으로부터 출입시켜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어댑터를 통해 외부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USB를 이용하여 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60 applies power to the driving unit 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 The power supply unit 60 may be a lithium ion battery and the power supply unit 60 may be a lithium- And may be configured to be supplied with external power via an adapter, or to be charged using USB.

한편, 연결관(90)은 전술한 본체(1a)의 내부에서 정화되어 배출되는 공기를 필요한 부위로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관로가 형성된 소정 크기의 내경을 가지는 관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nection pipe 90 serves to move the pur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a to a required site, and may have a shape of a tub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a predetermined size formed with a channel .

이러한 연결관(90)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가요성을 가지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의 관이나 형상기억합금 재질의 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ipe 90 may be a flexible synthetic resin pi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r a tube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material.

연결관(90)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부 하우징(2)의 상면 대향된 양측에 일단이 각각 관통되어 연결될 수 있고, 상부 하우징(2)의 상면을 통해 관통된 연결관(90)의 일단은 전술한 정화부 커버(31)의 배출구(32)와 연결 또는 근접되어 배출구(32)로부터 배출된 정화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One end of the connection pipe 90, which is penetrat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2,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housing 2, The cleaned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32 can be supplied to the cleaner cover 31 connected to or close to the discharge port 32 of the cleaner cover 31 described abov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 마스크(100)는 일단이 본체(1a)와 연결되는 전술한 연결관(90)의 타단과 연결되어 연결관(90)을 통해 토출되는 정화된 공기가 사용자의 입 또는 코 또는 입과 코를 통해 동시에 흡입될 수 있도록 해준다.Meanwhile, the face mas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90,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a, and the purifi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 90 And can be sucked in through the mouth or nose of the user or through the mouth and nose simultaneously.

이러한 안면 마스크(100)의 형상은 어느 하나로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설치될 수 있다. 안면 마스크(100)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연결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안면 마스크(100)의 어느 한쪽에 통기장치가 더 구비되거나 별도의 정화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The shape of the face mask 100 does not need to be determined in any way, but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installed on the user's face. The face mask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member that can be fixed to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The face mask 100 may further include a ventilation device or a separate purifying device have.

안면 마스크(100)는 냉감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자외선 차단 코팅 처리된 복층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복층원단으로 구성되면서 복층원단 사이에는 전술한 연결관(90)과 연결되는 에어노즐로 이루어진 연결관 탈착부(160, 도 8 참조)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The face mask 100 may be composed of a cold feeling material and may be composed of a multi-layered fabric treated with an ultraviolet shielding coating. The face mask 100 may be composed of a multi-layered fabric and an air nozzle connected between the multi- A connector detachable portion 160 (see FIG. 8) may be further provided.

한편, 걸이부재(200)는 전술한 연결관(90)의 어느 한 지점에 연결되면서 사용자의 신체에 감싸지게 구성되어 본체(1a)의 무게로 인해 연결관(90)이 늘어지거나 안면 마스크(100)로부터 연결관(90)이 불필요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준다.The hook member 200 is connected to a point of the connection pipe 90 so as to be wrapped around the user's body so that the connection pipe 90 is stretched due to the weight of the main body 1a, Thereby preventing the connector tube 90 from being unnecessarily detached from the connector tube 90.

걸이부재(200)의 실시 예로는 사용자의 목과 연결되는 몸통의 뒷부분에 위치하는 넥부(210)와, 그러한 넥부(210)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전술한 연결관(90)과 커넥터(430)를 통해 연결되면서 사용자의 어깨에 놓여지게 되는 연장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hooking member 200 include a neck 210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body connected to the neck of the user and a connector 230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neck 210 and described above via the connector 90 and connector 430 And an extension part 220 to be placed on the shoulder of the user while being connected.

넥부(210)는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중앙부위가 이분되어 분리되면서 자석이나 후크나 벨크로테입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neck portion 210 may be detachable through a coupling member such as a magnet, a hook, or a Velcro tape while the central portion is divided into two parts for convenience of use.

상기와 같이 연장부(220)가 사용자의 어깨에 놓여지게 되고, 넥부(210)가 사용자의 목과 연결되는 몸통의 뒷부분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연장부(220)의 저면이 사용자의 어깨에 위치하게 되므로 걸이부재(200)와 연결된 본체(1a)로부터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사용자의 근골격에 부담을 감소시킨다.The extension 220 is placed on the shoulder of the user and the bottom of the extension 220 is positioned on the shoulder of the user as the neck 210 is positioned on the back of the body connected to the user's neck The load applied to the user from the main body 1a connected to the hooking member 200 is dispersed to reduce the burden on the user's musculoskeletal system.

그리고, 연장부(220)가 어깨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완충기능 및 신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연장부(220)는 예를 들어, 그 일부가 주름부(221)로 구성되어 신축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extension portion 220 from slipping on the shoulder and to have a buffering function and elasticity, the extension portion 220 is formed of, for example, a wrinkle portion 221, May vary.

연장부(220)는 플렉시블한 넓은 간격을 가지는 띠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장치의 무게를 어깨로 분산시켜준다. 필요에 따라 연장부(220)의 일부에는 신체와 닿는 안쪽면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실리콘 등의 미끄럼방지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The extension 220 may be configured in a flexible, wide-spaced band shape to distribute the weight of the device to the shoulders. If necessary, a portion of the extension 220 may be provided with an anti-slip member such as silicone to prevent slipping on the inner surface contacting the body.

한편, 본체(1a)가 지지될 수 있도록 전술한 걸이부재(200)와 함께 본체(1a)의 어느 한쪽에 고리나 벨트 등의 홀더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홀더부재를 피복을 이용하거나 허리 등의 신체 어느 한 부위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걸이부재(200)와 함께 본체를 더욱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으며, 홀더부재가 구비되는 경우, 연결관(90)으로부터 걸이부재(200)를 제거한 상태에서 본체(1a)를 홀더부재만을 이용하여 피복이나 신체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 holder member such as a ring or a belt may be further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main body 1a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hooking member 200 so that the main body 1a can be supported,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support the main body together with the hooking member 200 when the hooking member 200 is removed from the coupling tube 90. [ The main body 1a may be fixed to the cover or the body by using only the holder member.

한편, 공기 정화 유닛(1)은 상술한 구성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purifying unit 1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xample, but can be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also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seen as belonging.

예를 들어, 공기 정화 유닛(1)은 공기흡입구(6)가 이물과 접촉되더라도 외부 공기가 본체로 유입될 수 있게 흡기 유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를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For example, the air purifying unit 1 may be provided with an intake passage so that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even if the air intake opening 6 is in contact with foreign matter.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흡입구(6)는 그 표면에 흡기 유로가 마련되어 하부 하우징(4)의 하부가 이물과 접촉하여도 흡기 유로를 통해 외부 공기가 공기흡입구(6)를 거쳐 본체(1a)로 유입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ir intake port 6 is provided with an intake passage on the surface thereof, so that even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4 contacts the foreign matter, external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take port 6, ).

부연하자면, 본체(1a)가 걸이부재(200)에 의해 사용자의 몸통 앞부분에 위치하게 될 때 사용자가 착용한 의복, 목도리 등과 같은 이물이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공기흡입구(6)와 접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in body 1a is position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user's body by the hooking member 200, a foreign object such as clothes, a scarf, etc. worn by the user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air inlet 6 formed in the lower housing.

이와 같이 이물이 공기흡입구(6)과 접촉하더라도 외부 공기가 본체(1a)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공기흡입구(6)는 그 표면에 흡기 유로가 마련된다.In this way, even if the foreign object comes in contact with the air intake port 6, the air intake port 6 is provided with an intake flow path on its surface so that external air can flow smoothly into the main body 1a.

이러한 흡기 유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구(6)의 표면에 요철구조를 갖는 복수의 돌기(6a) 및 홈(6b)을 형성하고, 상기 홈(6b)은 본체(1a)의 내부와 연통되어 이물이 공기흡입구(6)와 접촉하더라도 돌기(6a)가 이물을 부상시켜 홈(6b)을 통해 외부 공기가 본체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호흡할 수 있다. 6, a plurality of projections 6a and grooves 6b having a concavo-convex structure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ir inlet 6, and the grooves 6b ar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a Even if the foreign object contacts the air intake port 6, the protrusion 6a floats the foreign object and smoothly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groove 6b, so that the user can easily brea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ac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일 실시예(100)는, 도 1 내지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마스크 몸체(110)와, 마스크 외피(120) 및 마스크 몸체(110)와 부분적으로 결착되어, 마스크 몸체가 사용자의 안면 피부와 직접 접촉을 방지하고, 외부 공기가 틈새로 스며들지 못하도록 실링하는 이너 실리콘 패드(130)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100 of a facial mask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sk body 110 and a mask body 120 partially bonded to the mask body 110 and to the mask body 110, And an inner silicone pad 130 sealing the mask body to prevent direct contact with the user &apos; s facial skin and to prevent external air from penetrating into the crevice.

마스크 몸체(110)는, 도 7 및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골격을 이루면서, 후술하는 제1 유체 공간(S1) 및 제2 유체 공간(S2)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제2유체 공간(S2)은 제1 유체 공간(S1)과 구별되는 영역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될 수 있다.7 and 8, the mask body 110 defines a skeleton of the fac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defines a first fluid space S1 and a second fluid space S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second fluid space S2 can be widely interpreted as a region different from the first fluid space S1.

마스크 몸체(110)는, 사용자의 안면 중 호흡기를 덮도록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고, 사용자의 호흡기와의 사이에 제1 유체 공간(S1)을 형성하도록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될 수 있다.The mask body 110 may be worn on the face of the user to cover the respirator among the user's face and be spaced apart from the face of the user to form a first fluid space S1 between the respirator of the user.

여기서, 제1 유체 공간(S1)을 이루는 마스크 몸체(110)의 내측면과 사용자의 안면과의 이격 거리는 제한되지 않으나 사용자의 호기 및 흡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거리일 수 있다.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110 forming the first fluid space S1 and the face of the user is not limited, but may be a distance that can provide a space where the user's breath and intake can be easily performed. have.

마스크 몸체(110)에는, 부분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몸체 관통부(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좋기로는 몸체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몸체(110)에는 후술하는 제2 유체 공간(S2)과 연통되도록 구비된 연통구(115)가 형성될 수 있다.The mask body 110 may have a body through-hole 111 partially open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dy. In addition, the mask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hole 115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fluid space S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연통구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가요성 플랩 밸브가 결합될 수 있다. 가요성 플랩 밸브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가요성 플랩 밸브는 호기 밸브 또는 비상 밸브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두 가지 역할을 겸할 수도 있다.At least one or more communication holes may be formed, and a flexible flap valve may be engaged. At least one flexible flap valve may also be provided. The flexible flap valve may serve as an exhalation valve or an emergency valve and may also serve two roles.

일실시예로서, 연통구(115)는, 가운데를 중심으로 정면에서 바라본 경우 우측에 형성된 호기 밸브용 일측 연통구(116)와 좌측에 형성된 비상 밸브용 타측 연통구(117)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 연통구(116)와 타측 연통구(117) 사이에는 후술하는 플랩 바디(153)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부(118)가 구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port 115 may include a one-way communication port 116 for the exhalation valve formed on the right side when viewed from the front with the center as the center, and a second communication port 117 for the emergency valve formed on the left side . Between the one communication port 116 and the other communication port 117, a fixing groove 118 for fixing a flap body 153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아울러, 마스크 몸체(110)의 좌우 양단에는 공기 연통구(134)가 제1 유체 공간(S1)과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공기 연통구(134)는, 후술하는 공기 정화 유닛(1)으로부터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air communicating hole 134 may b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mask body 1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fluid space S1. The air communication port 134 serves as an inlet through which purified air from the air purification unit 1 described later flows.

한편, 마스크 외피(120)는, 마스크 몸체(110)의 외측면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마스크 외피(120)는, 그 내측면과 마스크 몸체(110)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제2 유체 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스크 몸체(110)의 외측면과 마스크 외피(120)의 내측면은 제2 유체 공간(S2)이 차지하는 부피만큼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ask shell 120 shields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110. In addition, the mask envelope 120 may form a second fluid space S2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envelope 1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110. To this e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envelope 120 may be spaced apart by the volume occupied by the second fluid space S2.

마스크 외피(120)의 하측에는 사용자의 호기에 따른 공기가 제2 유체 공간(S2)으로부터 배출되도록 배출 슬릿(125)이 좌우로 길게 하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체 공간(S1)으로부터 제2 유체 공간(S2)으로 유입된 사용자의 호기는 마스크 외피(120)의 하측으로 하향 배출되는 바, 사용자의 호기가 사용자의 눈이 위치된 상측으로 습기가 곧바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ischarge slit 125 may be formed downward to the left and right so as to discharge the air according to the user's expiration from the second fluid space S2. Therefore, the user's breath flowing into the second fluid space S2 from the first fluid space S1 is discharged downward to the lower side of the mask envelope 120, and the user's breath is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where the user's eyes are positione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immediately.

마스크 외피(120)의 좌우 양단부에는, 사용자 머리(특히 후두부 전체를 감싸도록)에의 착용을 위한 착용 밴드 또는 사용자 귀에의 착용을 위한 착용 고리가 결착되는 결착부(124)가 구비될 수 있다. 결착부(124)는, 마스크 외피(120)의 외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결착부 커버(142)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mask sheath 120, there may be provided a fastening portion 124 for fastening a wear band for wearing to the user's head (in particular, covering the entire back of the head) or a wear ring for wearing to the user's ear. The binding portion 124 can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by a binding portion cover 142 detachab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covering 120. [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마스크 몸체(110) 및 마스크 외피(120)는 별도의 체결부재 또는 이너 실리콘 패드(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별도의 체결부재라 함은 홈과 돌기로 구성된 체결방식,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구 등을 의미한다.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마스크 몸체(110) 및 마스크 외피(120)가 결합할 때에도 이너 실리콘 패드(130)가 마스크 몸체(110)의 외측면과 마스크 외피(12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제2 유체 공간(S2)이 상술한 배출 슬릿(125) 및 연통구(115)를 제외하고 외부와 완전 밀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mask body 110 and the mask sheath 12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t least one of the separate fastening members or the inner silicon pads 130. Here, the separate fastening member means a fastening system composed of a groove and a projection, a fastener such as a screw or a bolt, and the like. Even when the mask body 110 and the mask sheath 120 are coupled by the separate fastening members, the inner silicon pads 130 are hel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sheath 120, The fluid space S2 may be provided so as to be completely sealed with the outside except for the discharge slit 125 and the communication hole 115 described above.

즉, 이너 실리콘 패드(130)는, 일부가 마스크 몸체(110)의 내측면으로 연장되어, 마스크 몸체(110)의 내측면이 아닌 이너 실리콘 패드(130)의 연장면이 사용자의 안면에 직접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너 실리콘 패드(130)는, 테두리 부위 일부가 동시에 마스크 몸체(110) 및 마스크 외피(12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구비됨으로써 마스크 몸체(110) 및 마스크 외피(120)를 상호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이너 실리콘 패드(130)는,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외측 테두리 부위의 외관을 형성함으로써 독특한 디자인감을 부여하는 부가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inner silicone pad 130 partially extend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110 so that the extended surface of the inner silicon pad 130, not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110, So that the wearer's comfort can be improved. The inner silicone pad 130 is provided so that a part of the rim of the inner silicon pad 130 simultaneously surrounds the rim of the mask body 110 and the mask shell 120 to thereby mutually connect the mask body 110 and the mask shell 120 You may. In addition, the inner silicone pad 130 may play an additional role in providing a unique design feeling by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fac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너 실리콘 패드(130)의 상단부는 대략 사용자의 콧등 부위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간 부분은 마스크 몸체(110)와 마스크 외피(12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유체 공간(S1) 및 제2 유체 공간(S2)의 상호 연통을 위해 커다란 중공부(131)가 형성되며, 좌우 양단부에는 상술한 공기 유입구(113)에 대응되는 공기 연통구(134)가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inner silicone pad 130 may be formed to substantially cover the nose of the user and the middl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fluid space S1 formed between the mask body 110 and the mask shell 120, A large hollow portion 131 is formed for mutual communication of the two fluid spaces S2 and an air communication opening 134 corresponding to the air inlet 113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일 실시예(100)는, 마스크 몸체(110)의 외측면과 마스크 외피(12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되, 사용자의 호기 또는 흡기에 따라 형성되는 제1 유체 공간(S1)의 압력에 따라 제1 유체 공간(S1) 및 제2 유체 공간(S2)을 개폐하는 플랩 밸브(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ace mas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sk body 110 disposed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110 and an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120, And a flap valve 1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fluid space S1 and the second fluid space S2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fluid space S1.

여기서, 사용자의 호기라 함은, 사용자의 날숨에 의하여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말하고, 사용자의 흡기라 함은, 사용자의 들숨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공기를 말한다.Here, the user's breath refers to the air discharged from the user by the user's breath, and the user's breath refers to the air supplied to the user by the user's breath.

도 9는 도 7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사용자의 흡기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는, 도 1 및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일 실시예(100)와는 별도로 구비된 공기 정화 유닛(1)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일 실시예(100)는, 오염된 외부 공기의 정화를 위하여 별도의 필터는 요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흡기 작용에 의하여 공기 정화 유닛(1)에 의해 미리 정화된 공기가 제1 유체 공간(S1)으로 유입되어 곧바로 사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된다.The air supplied by the user's inspiration is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purifying unit 1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embodiment 100 of the fac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9.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facial mas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filter is not required for purifying contaminated outside air, and air (air) previously purified by the air purifying unit 1 Flows into the first fluid space S1 and immediately flows into the user's respirator.

공기 정화 유닛(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여 확산시켜주면서 정화시키는 정화부(30)가 구비될 수 있고, 정화된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는 공기온도조절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정화부(30)는, 유입된 외부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미세먼지나 꽃가루, 황사 및 각종 세균 등을 걸러주는 필터 부재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purifying unit 1 may be provided with a purifier 30 for purifying the outside air while diffusing the outside air into the inside thereof, and there is provided an air temperature adjusting member for heating or cooling the purified air . The purifying unit 30 may be a filter member that filters fine dust, pollen, yellow sand, and various bacteria while passing the introduced outside air.

한편, 마스크 몸체(110)에는 공기 정화 유닛(1)에 의하여 정화된 정화 공기가 공급되도록 제1 유체 공간(S1)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air inlet 113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uid space S1 may be formed in the mask body 110 so that purified air purified by the air purifying unit 1 is supplied.

공기 유입구(113)는, 도 1 및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마스크 몸체(110)의 좌우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공기 정화 유닛(1)으로부터 정화된 공기가 공기 유입구(113)로 공급되도록 각각 연결관(90)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관(90)은 공기 유입구(113)에 연결관 탈착부(160)에 의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1 and 9, the air inlet 113 is provided at each of right and left ends of the mask body 110, and air purified from the air purifying unit 1 is supplied to the air inlet 113 The connection pipe 9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the connection pipe 9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ir inlet 113 by the connection pipe detachment unit 160.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관 탈착부(160)는,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탈착 본체(161)와, 연결관(90)이 연결되는 연결관 연결부(162)와, 공기 유입구(113)에 삽입되도록 절곡된 절곡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9, the connector detachable portion 160 includes a detachable main body 161 having an inner space, a connection tube connection portion 162 to which the connection tube 90 is connected, And a bent portion 163 bent to be inserted into the inlet 113.

여기서, 연결관 탈착부(160)의 절곡부(163)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간편한 착탈이 이루어지도록 제한되지 않으나 환형의 제1 자성체(166)가 구비되고, 공기 유입구(113)에는 제1 자성체(166)와 자성 결합되는 제2 자성체(167)가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bent portion 163 of the coupling pipe detachment portion 160 is not limited so as to be easily detachable by the user but is provided with an annular first magnetic body 166, and the air inlet 113 is provided with a first magnetic body And a second magnetic body 167 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second magnetic body 166.

제1 자성체(166)와 제2 자성체(167)가 형성하는 자력은, 사용자가 연결관 탈착부(160)의 절곡부(163)를 공기 유입구(113)에 근접되게 이동시키면 상기 자력에 의하여 스스로 연결관 탈착부(160)의 절곡부(163)가 공기 유입구(113) 측으로 삽입 가능한 정도의 자력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gnetic force formed by the first magnetic body 166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67 is such that when the user moves the bent portion 163 of the connection pipe detachable portion 160 close to the air inlet 113, It is preferable that a magnetic force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the air inlet 113 side is formed in the bent portion 163 of the coupling pipe detachable portion 160.

한편, 제1 자성체(166)는, 절곡부(163)의 외주면에 억지 끼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절곡부(163)의 외주면에는, 공기 유입구(113)에 대한 연결관 탈착부(160)의 삽입 압력 또는 탈거 압력에 의하여는 제1 자성체(166)가 분리되지 않도록 제1 자성체(166)의 중공 내경보다 큰 끼움 리브(164)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magnetic body 166 can be constrain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ent portion 163. The first magnetic body 166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nt portion 163 to prevent the first magnetic body 166 from being separated by the insertion pressure or the removal pressure of the coupling tube detachment portion 160 with respect to the air inlet 113. [ The inner diameter of the fitting rib 164 may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portion.

이와 같은 제1 자성체(166)와 제2 자성체(167)는, 공기 유입구(113)에 연결관 탈착부(160)의 절곡부(163)가 삽입될 때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자성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magnetic body 166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67 may b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bent portion 163 of the coupling tube detachable portion 160 is inserted into the air inlet 113 .

이는, 제1 자성체(166)와 제2 자성체(167)는 공기 정화 유닛(1)으로부터 공급되는 정화 공기를 공급하는 통로에 구비되는 구성이므로, 잦은 탈거 동작에 의한 제1 자성체(166) 및 제2 자성체(167)가 맞부딪쳐 도금 또는 자성체 가루가 발생되어 사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first magnetic body 166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67 are provided in the passage for supplying purified air supplied from the air purifying unit 1 and therefore the first magnetic body 166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67 The two magnetic bodies 167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prevent plating or magnetic powder from being generated and flowing into the user's respiratory system.

이를 위해, 제1 자성체(166)와 제2 자성체(167) 사이에 삽입체(168)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체(168)는 제2 자성체를 고정하기 위해 마스크 몸체와 연결된 제2 자성체 고정 커버일 수 있다. 상기 삽입체(168)는 제2 자성체(167)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를 커버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커버할 경우 제2 자성체의 형상 대비 보다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체(168)의 타원은, 가장 큰 직경이 제2 자성체의 외경과 같거나 크고, 가장 작은 직경이 제2자성체의 외경 또는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purpose, an insert 168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magnetic body 166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67, and the insert 168 may include a second magnetic body 166 connected to the mask body for fixing the second magnetic body, It may be a fixed cover. The insert 168 may partially or wholly cover the second magnetic body 167 and, when partially covered, may be formed to be more elliptical than the shape of the second magnetic body 167.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lipse of the insert 168 is formed so that the largest diameter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magnetic body, and the smallest diameter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r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magnetic body.

또한, 이너 실리콘 패드(130)의 공기 연통구(134)는 제1 자성체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탈착부의 삽입시 제1 자성체와 이너 실리콘 패드의 공기 연통구 내주면이 맞닿게 되고, 제1자성체의 외경 크기로 이너 실리콘 패드의 공기 연통구가 확장, 밀착되어 외부 공기를 차단하는 실링 역할을 할 수 있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air communication port 134 of the inner silicon pad 13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magnetic body. The first magnetic body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ommunicating hole of the inner silicon pad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detachable portion is inserted and the air communicating port of the inner silicon pad expands and adheres to the outside diameter size of the first magnetic body, have.

한편, 마스크 몸체(110)의 일부 영역에, 바람직하게는 하측에 형성된 몸체 관통부(111)에는 흡착 필터(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흡착 필터(170)는, 제1 유체 공간(S1) 내의 습기 또는 냄새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필터일 수 있다. 아울러, 흡착 필터(170)는, 사용자의 호흡기에 인체 무해한 천연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성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Meanwhile, a suction filter 170 may be further provided on a part of the mask body 110, preferably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enetration part 111. The adsorption filter 170 may be a filter serving to remove moisture or odor in the first fluid space S1. In addition, the adsorption filter 170 can enhance the emotional quality of the user by providing natural harmless harmless to the user's respiratory apparatus.

보다 상세하게는, 흡착 필터(170)는 몸체 관통부(111)를 차폐하여, 제1 유체 공간(S1)과 제2 유체 공간(S2)이 상술한 연통구(115) 외에는 상호 연통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dsorption filter 170 shields the body through-hole 111 so that the first fluid space S1 and the second fluid space S2 are disposed so as not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except the above- .

도 10은 도 7의 구성 중 마스크 몸체(110) 및 플랩 밸브(15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7의 B-B선을 따라 취한 절개 사시도이다.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sk body 110 and the flap valve 150 in the configuration of FIG. 7, and FIG. 11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사용자의 호기에 의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도 7 및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 유체 공간(S1)으로부터 플랩 밸브(150)에 의하여 개방된 제2 유체 공간(S2)으로 이동한 후 배출 슬릿(12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air discharged by the user's breath moves from the first fluid space S1 to the second fluid space S2 opened by the flap valve 150 as shown in Figs. 7 and 8,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lit 125.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일 실시예(100)는, 플랩 밸브(150)는, 사용자의 흡기 작용 시 폐쇄되어 공기 정화 유닛(1)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만이 사용자의 호흡기에 공급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호기 작용 시 개방되어 사용자의 호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일방향 밸브로만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us, in an embodiment of the face mas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p valve 15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ly air that is closed during the inspiration action of the user and purified by the air purification unit 1 is supplied to the user &apos; Way valve that opens when the user exhales and exhales the user's breath.

그러나, 공기 정화 유닛(1)으로부터 공급되는 정화 공기가 연결관(90)의 고장 또는 사용자에게 더 많은 흡기가 요구되는 상태인 비상 상황일 경우에는 일방향 밸브로 이루어진 플랩 밸브(150)는 사용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일 실시예(100)를 강제 탈거하게 하는 불편함을 제공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purified air supplied from the air-cleaning unit 1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the connection pipe 90 malfunctions or the user needs more intake air, the flap valve 150, which is a one-way valv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inconvenience of forcibly removing the face mas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일 실시예(100)에서, 플랩 밸브(150)는, 제1 유체 공간(S1)에 형성되는 감압의 정도에 따라 제1 유체 공간(S1) 및 제2 유체 공간(S2)을 비상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in an embodiment of the face mas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p valve 150 is configured to allow the first fluid space S1 and the second fluid &lt; RTI ID = 0.0 &gt; And to open the space S2 in an emergency.

일례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랩 밸브(150)는,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마스크 몸체(11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돌기(154)가 형성된 플랩 바디(153)와, 플랩 바디(153)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일측 연통구(116)를 덮도록 연장된 호기 밸브용 일측 자유 단부(151)와, 플랩 바디(153)의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타측 연통구(117)를 덮도록 연장된 비상 밸브용 타측 자유 단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10, the flap valve 150 includes a flap body 153 having a fixing protrusion 154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110, A free end portion 151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flap body 153 and extending to cover the one communication port 116 and a free end portion 151 exte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flap body 153, And a second free end 152 for the emergency valve that extends to cover the free end of the emergency valve.

여기서, 일측 자유 단부(151)와 타측 자유 단부(152)는, 제1 유체 공간(S1)의 압력 변화에 따라 제2 유체 공간(S2)에서 마스크 외피(120)의 내측면과 마스크 몸체(110)의 외측면 사이에서 휘어지는 가요성 플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일측 자유 단부(151)와 타측 자유 단부(152)는 끝 부위(선단부) 일부만이 휘어지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One side free end 151 and the other free side end 152 ar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shell 1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body 110 in the second fluid space S2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of the first fluid space S1.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one free end 151 and the other free end 152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that only a part of the end portion (tip end portion) is bent.

따라서, 사용자의 호기에 의하여 제1 유체 공간(S1)의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일측 연통구(116)와 타측 연통구(117)를 마스크 몸체(110)의 외측면에서 덮고 있는 일측 자유 단부(151)와 타측 자유 단부(152)의 끝 부분이 동시에 들리면서 사용자의 호기 공기가 제1 유체 공간(S1)에서 제2 유체 공간(S2)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되고, 제2 유체 공간(S2)으로 유동된 공기는 마스크 외피(120)에 구비된 배출 슬립을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여기서, 비상 밸브용 타측 자유 단부(152)는 일측 자유 단부 대비 가요성이 약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호기시 개방될 수도 있으며,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Therefore, when the pressure of the first fluid space S1 increases due to the user's exhalation, one side communication hole 116 and the other side communication hole 117 are connected to one side free end portion covering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mask body 110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free end 152 and the free end 152 of the second free end 152 can simultaneously flow into the second fluid space S2 from the first fluid space S1 and the second fluid space S2 May be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an exhaust slip provided in the mask shell 120. [ Here, the other free end 152 for the emergency valve may be configured to have a low flexibility with respect to the free end of one side, and thus may be opened during the exhalation or may maintain the closed state.

또한, 사용자의 흡기에 의하여 제1 유체 공간(S1)이 감압되는 경우에는, 일측 연통구(116)와 타측 연통구(117)는, 일측 자유 단부(151)와 타측 자유 단부(152)가 마스크 몸체(110)의 외측면에서 덮으면서 폐쇄되고, 별도로 구비된 공기 정화 유닛(1)의 정화 공기가 공기 유입구(113)를 통해 제1 유체 공간(S1)으로 유입되게 된다.When the first fluid space S1 is depressurized by the user's suction, one side communication port 116 and the other side communication port 11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one side free end 151 and the other side free side 152, The purified air of the air purifying unit 1 which is separately provided is flowed into the first fluid space S1 through the air inlet 113. [

그러나, 갑작스런 호흡 곤란이나, 산소 부족, 공기 정화 유닛의 문제 발생 등으로, 제1 유체 공간(S1)의 압력이 소정 압력 이하로 비상 감압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제1 유체 공간(S1)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 정화 유닛(1)에 의하여 공급되는 정화 공기 뿐만 아니라, 연통구(115)를 통해서도 유입되어야 하는 비상 상황일 수 있으며, 비상 밸브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소정 압력이란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사용자가 급작스럽게 흡기하여 급감된 압력일 수 있다.However,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pressure in the first fluid space S1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pressure or lower due to a sudden dyspnea, a lack of oxygen, a problem in an air purification unit,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fluid space S1 may be an emergency state in which not only the purified air supplied by the air-cleaning unit 1 but also the communication hole 115 is opened, and the emergency valve is opened Needs to be. Here, the predetermined pressure is not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 sudden pressure that the user suddenly sucks.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일 실시예(100)는,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술한 비상 상황시 비상 밸브용 타측 자유 단부(152)의 선단이 제1 유체 공간(S1) 측으로 휘어져 들어가 비상 개방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6, the tip of the other free end 152 for the emergency valve is bent toward the first fluid space S1 side in the above-described emergency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allow emergency opening.

호기 밸브용 일측 자유 단부는 호기시 손쉽게 휘어져 개방되어야 하고, 흡기시 신속히 폐쇄되어야 하므로, 플랩 밸브의 가요성이 높아야 한다. 이를 위해 비상 밸브용 플랩 밸브보다는 얇은 두께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일상적인 흡기시에나 비상 상황에서도 호기 밸브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이를 위해 상기 호기 밸브용 일측 연통구에는 상기 제1 유체 공간의 형성 감압이 상기 소정 압력 이하로 감압되어도 호기 밸브용 일측 자유 단부가 상기 제1 유체 공간 측으로 휘어져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 리브(116a)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리브(117a)는, 타측 연통구(117)를 상하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One free end for the exhalation valve must be easily bent and opened at the time of exhalation and must be quickly closed upon intake, so that the flexibility of the flap valve should be high. For this purpose, it is recommended that the flap valve is made thinner than the emergency valve flap valv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xhalation valve is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even during normal intake or emergency situations. To this end, even if the reduced pressure of forming the first fluid space is reduced to the predetermined pressure or less in one side communication port for the exhalation valve, A support rib 116a for preventing the free end portion from being bent toward the first fluid space side may be formed. The supporting ribs 117a may be formed so as to cross the other communication hole 117 vertically.

비상 밸브용 타측 자유 단부는 일상적인 흡기시에 비상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호기 밸브용 일측 자유 단부보다는 가요성이 낮아야 하며, 상기 비상 밸브용 타측 자유 단부는 호기 밸브용 일측 자유 단부보다 두께가 두껍게 구성될 수 있다. The other free end for the emergency valve should be less flexible than one free end for the exhalation valve to prevent emergency opening during routine intake and the other free end for the emergency valve should be thicker than one free end for the exhalation valve Lt; / RTI &gt;

일상적 흡기시에의 비상 개방을 더욱 방지하기 위해, 상기 비상 밸브용 타측 자유 단부의 일영역에는 강화 리브(15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화 리브는 상기 제1 유체 공간의 형성 압력이 상기 소정 압력을 초과하여 덜 감압되는 경우에는 비상 밸브용 타측 자유 단부가 상기 제1 유체 공간 측으로 휘어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rib 152a may be formed in one region of the other free end portion of the emergency valve to further prevent the emergency opening during the normal intake. The reinforcing rib may prevent the other free end portion of the emergency valve from being bent toward the first fluid space when the forming pressure of the first fluid spac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pressure.

도 12는 가요성 플랩 밸브가 하나 존재하는 또 다른 일실시예의 경우로서, 호기시 플랩 밸브가 제2 유체 공간 방향으로 휘어져 개방되고 흡기시 폐쇄되는 호기 밸브의 역할을 수행하며, 만일 상기 제1 유체 공간이 소정 음압 이하로 감압되는 비상 상황의 경우에는 가요성 플랩 밸브가 연통구를 통해 제1 유체 공간으로 휘어져 말려들어가 상기 제1 유체 공간 및 상기 제2 유체 공간을 비상 개방하여 흡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비상밸브의 역할을 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igure 12 is a case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re is one flexible flap valve, in which the flap valve acts as an exhalation valve that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fluid space and closed at the time of inspiration, The flexible flap valve is bent into the first fluid space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to be opened so that the first fluid space and the second fluid space can be opened to allow intake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serve also as an emergency valv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일 실시예(100)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하는 공기 정화 유닛과 함께 사용자 신체에 간편하게 착용하여 실외 활동이 가능하므로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사용자 착용 중 많은 양의 흡기가 요구되거나, 공기 정화 유닛으로부터 공기의 유입에 문제가 발생하는 등 긴급한 상황 발생 시 사용자의 흡기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유체 공간 내의 감압 정도에 따라 비상밸브가 개방되어 비상 흡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사 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사용자의 호흡기가 인접하는 부분의 공기(제1 유체 공간) 중의 습기 및 냄새를 제거함으로써 사용자 감성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face mas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usability and convenience because it can be easily worn on a user's body together with an air purification unit for purifying and supplying outside air, , The emergency valve is ope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ssure reduction in the first fluid space provided by the user's intake when an urgent situation occurs such that a large amount of intake is required during wear of the user or a problem occurs in the inflow of air from the air purification uni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at the time of a similar accident by allowing an emergency intak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user's sensibility by removing moisture and odor in the air (first fluid space) .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안면 마스크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of the fac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공기 정화 유닛 90: 연결관
100: 안면 마스크 110: 마스크 본체
111: 몸체 관통부 113: 공기 유입구
115: 연통구 116: 일측 연통구
116a: 지지 리브 117: 타측 연통구
118: 고정홈부 120: 마스크 외피
125: 배출 슬릿 130: 이너 실리콘 패드
131: 중공부 134: 공기 연통구
142: 결착부 커버 150: 플랩 밸브
151: 일측 자유 단부 152: 타측 자유 단부
152a: 강화리브
153: 플랩 바디 154: 고정 돌기
160: 연결관 탈착부 161: 탈착 바디
162: 연결관 연결부 163: 절곡부
164: 끼움 리브 166: 제1 자성체
167: 제2 자성체 168: 삽입체
170: 흡착 필터
1: air purification unit 90: connection pipe
100: face mask 110: mask body
111: body penetration part 113: air inlet
115: communication hole 116: one side communication hole
116a: Support rib 117: The other side communication hole
118: fixing groove portion 120: mask sheath
125: discharge slit 130: inner silicon pad
131: hollow part 134: air communication port
142: Binder cover 150: Flap valve
151: one free end 152: the other free end
152a: reinforced rib
153: flap body 154: fixing projection
160: connection pipe detachment part 161: detachable body
162: connector connecting portion 163:
164: fitting rib 166: first magnetic body
167: second magnetic body 168: insert
170: Adsorption filter

Claims (11)

사용자의 호흡기에 착용되고, 제1유체 공간과 제2유체 공간을 구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랩 밸브를 구비한 마스크 몸체를 포함하는 안면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몸체에는, 상기 제1 유체 공간과 상기 제2 유체 공간을 연통시키는 호기 밸브용 일측 연통구 및 비상 밸브용 타측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플랩 밸브는,
상기 마스크 몸체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돌기가 형성된 플랩 바디;
상기 플랩 바디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일측 연통구를 덮도록 연장되고, 사용자의 호기 시 상기 제1 유체 공간 및 제2 유체 공간을 연통시키고, 사용자의 흡기 시 상기 제1 유체 공간 및 제2 유체 공간을 폐쇄 분리하는 호기 밸브용 일측 자유 단부; 및
상기 플랩 바디의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타측 연통구를 덮도록 연장되고, 사용자의 흡기 시 상기 제1 유체 공간이 소정 압력 이하로 감압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체 공간 및 상기 제2 유체 공간을 비상 개방하는 비상 밸브용 타측 자유 단부; 를 포함하는 안면 마스크.
1. A facial mask comprising a mask body that is worn on a user's respirator and has at least one flap valve that separates the first fluid space and the second fluid space,
Wherein the mask body is formed with one side communication port for the exhalation valve and the other side communication port for the emergency valve communicating the first fluid space and the second fluid space,
Wherein the flap valve comprises:
A flap body having a fixing protrusion fix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A second fluid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uid space and the second fluid space at the user's expiration time, the first fluid space and the second fluid space at the time of inspiration of the user, One free end for an exhalation valve for closing and separating the fluid space; And
Wherein the first fluid space and the second fluid space are extended to the other side of the flap body and extend to cover the other communication port and when the first fluid space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pressure or less at the time of user's suction, The other free end for emergency valve opening emergency; / RTI &g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몸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내측면 일부가 상기 마스크 몸체의 외면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제2 유체 공간을 형성하는 마스크 외피;를 포함하는 안면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ask enclosure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sk body, the mask skin forming a second fluid space through which air flows by a part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mask bod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자유 단부와 상기 타측 자유 단부는, 상기 제1유체 공간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마스크 외피의 내측면과 상기 마스크 몸체의 외측면 사이에서 휘어지는 가요성 플랩으로 구비된 안면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ne free end and the other free end are provided as flexible flaps bent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mask shell and an outer surface of the mask body according to a pressure change of the first fluid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기 밸브용 일측 연통구에는 상기 제1 유체 공간의 형성 감압이 상기 소정 압력 이하로 감압되어도 호기 밸브용 일측 자유 단부가 상기 제1 유체 공간 측으로 휘어져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 리브가 형성된 안면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ne side communication port for the exhalation valve is provided with a support rib for preventing one free end of the exhalation valve from being bent toward the first fluid space to be opened even when the reduced pressure of the first fluid space is reduced to the predetermined pressure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공간의 형성 감압이 상기 소정 압력 이하로 감압되는 경우 비상 밸브용 타측 자유 단부가 상기 제1 유체 공간 측으로 휘어져 들어가 비상 개방되는 안면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ther free end portion of the emergency valve is bent toward the first fluid space side when the reduced pressure of the first fluid space is reduced to the predetermined pressure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밸브용 타측 자유 단부는 호기 밸브용 일측 자유 단부보다 두께가 두꺼운 안면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ther free end portion for the emergency valve is thicker than the one free end portion for the exhalation val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밸브용 타측 자유 단부에는 상기 제1 유체 공간의 형성 감압이 상기 소정 압력을 초과하여 덜 감압되는 경우에도 비상 밸브용 타측 자유 단부가 상기 제1 유체 공간 측으로 휘어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강화 리브가 형성된 안면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inforcing rib is formed at the other free end of the emergency valve for preventing the other free end of the emergency valve from being bent toward the first fluid space even when the reduced pressure of the first fluid space is reduced to less than the predetermined pressure Facial mas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몸체에는, 상기 제1 유체 공간의 일부가 외부로 관통되게 몸체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 관통부를 차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유체 공간 내의 습기 또는 냄새를 제거하는 흡착 필터를 더 포함하는 안면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sk body is formed with a body penetrating portion such that a part of the first fluid space penetrates to the outside,
Further comprising an adsorption filter disposed to shield the body penetration, the adsorption filter removing moisture or odor in the first fluid space.
제1항에 있어서,
마스크의 좌우 양측에는 사용자 머리에의 착용을 위한 착용 밴드 또는 사용자 귀에의 착용을 위한 착용 고리가 결착되는 결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착부는, 결착부 커버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차폐되는 안면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sk has a binding portion for binding a wear band for wearing on the user's head or a wear ring for wearing on the user's ear,
Wherein the binding portion is shielded from the outside by a binding portion cover.
KR1020180108412A 2018-09-11 2018-09-11 Facial mask KR1019531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412A KR101953127B1 (en) 2018-09-11 2018-09-11 Facial mask
PCT/KR2019/002803 WO2020054932A1 (en) 2018-09-11 2019-03-11 Facial mask including emergency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412A KR101953127B1 (en) 2018-09-11 2018-09-11 Facial ma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127B1 true KR101953127B1 (en) 2019-03-05

Family

ID=6576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412A KR101953127B1 (en) 2018-09-11 2018-09-11 Facial mask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3127B1 (en)
WO (1) WO2020054932A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978A (en) * 2018-09-11 2020-03-19 비클시스템주식회사 Facial mask for using in vehicle indoor
WO2020055108A1 (en) * 2018-09-11 2020-03-19 비클시스템주식회사 Face mask
WO2020055105A1 (en) * 2018-09-11 2020-03-19 비클시스템주식회사 Facial mask
KR102106987B1 (en) * 2020-01-07 2020-05-06 박종석 Mask having a flap
CN111330178A (en) * 2020-04-01 2020-06-26 科特亚照明(上海)有限公司 Sterilizing mask
WO2020243838A1 (en) * 2019-06-07 2020-12-10 Whitby Peter Lionel Apparatus for connecting a face mask to an air hose
KR20200138924A (en) 2019-06-03 2020-12-11 김종민 Face Mask
WO2021141344A1 (en) * 2020-01-07 2021-07-15 박종석 Mask provided with flap
KR20210149996A (en) * 2020-06-03 2021-12-10 박종석 Mask with a flap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1273A (en) * 2005-12-22 2009-06-0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Filtration face mask with a one-way valve with a rigid, unbiased flexible flap
KR100993497B1 (en) * 2010-05-11 2010-11-10 (주)씨앤투스 The dustproof mask
US20130276784A1 (en) * 2008-04-16 2013-10-24 Stephen Donald Flynn, SR. Multipurpose therapeutic face mask
KR101619494B1 (en) * 2016-02-17 2016-05-10 (주)대성엠텍 Functional mask
KR101630369B1 (en) * 2015-10-21 2016-06-15 (주)대현엔텍 Air supply type mask
KR20180044219A (en) * 2016-10-21 2018-05-02 비클시스템주식회사 Multifunctional wearable type air purification device
KR20180075345A (en) * 2016-12-26 2018-07-04 박래전 Respiration train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1273A (en) * 2005-12-22 2009-06-0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Filtration face mask with a one-way valve with a rigid, unbiased flexible flap
US20130276784A1 (en) * 2008-04-16 2013-10-24 Stephen Donald Flynn, SR. Multipurpose therapeutic face mask
KR100993497B1 (en) * 2010-05-11 2010-11-10 (주)씨앤투스 The dustproof mask
KR101630369B1 (en) * 2015-10-21 2016-06-15 (주)대현엔텍 Air supply type mask
KR101619494B1 (en) * 2016-02-17 2016-05-10 (주)대성엠텍 Functional mask
KR20180044219A (en) * 2016-10-21 2018-05-02 비클시스템주식회사 Multifunctional wearable type air purification device
KR20180075345A (en) * 2016-12-26 2018-07-04 박래전 Respiration training apparatu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978A (en) * 2018-09-11 2020-03-19 비클시스템주식회사 Facial mask for using in vehicle indoor
WO2020055108A1 (en) * 2018-09-11 2020-03-19 비클시스템주식회사 Face mask
WO2020055105A1 (en) * 2018-09-11 2020-03-19 비클시스템주식회사 Facial mask
KR102344686B1 (en) 2018-09-11 2021-12-30 비클시스템주식회사 Facial mask for using in vehicle indoor
KR20200138924A (en) 2019-06-03 2020-12-11 김종민 Face Mask
WO2020243838A1 (en) * 2019-06-07 2020-12-10 Whitby Peter Lionel Apparatus for connecting a face mask to an air hose
KR102106987B1 (en) * 2020-01-07 2020-05-06 박종석 Mask having a flap
WO2021141344A1 (en) * 2020-01-07 2021-07-15 박종석 Mask provided with flap
CN111330178A (en) * 2020-04-01 2020-06-26 科特亚照明(上海)有限公司 Sterilizing mask
KR20210149996A (en) * 2020-06-03 2021-12-10 박종석 Mask with a flap
KR102374964B1 (en) * 2020-06-03 2022-03-16 박종석 Mask with a fl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4932A1 (en)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127B1 (en) Facial mask
KR102065707B1 (en) Facial mask
JP6612390B2 (en) Electric exhaust system for personal protective breathing devices
ES2900864T3 (en) Enhanced Breathing Apparatus (PAPR)
US4573464A (en) Filter respirator for protection against smoke and toxic gases
US20180133524A1 (en)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pollutants
CN106267614B (en) Have exhaust valve on nose cup removes micronic dust ventilator
KR102173429B1 (en) Oxygen-Enhanced Fine Dust Removal Mask
KR20070042720A (en) Mask of dustproof
KR102333134B1 (en) A Mask for Preventing Contaminant Inhalation with Sensor
KR100828132B1 (en) Exercising fine dust-protection apparatus minimizing respiratory resistance
KR20200104780A (en) Air control mask
KR20180044219A (en) Multifunctional wearable type air purification device
KR101914642B1 (en) Facial mask
KR102069369B1 (en) Multi Functional Mask
KR102484402B1 (en) Powered air-purifying respirator
EP3797837A1 (en) Powered exhaust apparatus for a personal protection respiratory device
KR101672697B1 (en) Dustproof mask
KR102272032B1 (en) facial area air purifying respirator
KR102415234B1 (en) Mask having filter module
CN212651245U (en) Air suction and exhaust filtering mask
US20220023680A1 (en) Face shield
CN213313015U (en) Personal fresh air device
KR102222516B1 (en) Portable Fitering Mask
KR20200116620A (en) Nose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