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996A - Mask with a flap - Google Patents

Mask with a fl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9996A
KR20210149996A KR1020200066825A KR20200066825A KR20210149996A KR 20210149996 A KR20210149996 A KR 20210149996A KR 1020200066825 A KR1020200066825 A KR 1020200066825A KR 20200066825 A KR20200066825 A KR 20200066825A KR 20210149996 A KR20210149996 A KR 20210149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mask
filter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8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74964B1 (en
Inventor
박종석
Original Assignee
박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석 filed Critical 박종석
Priority to KR1020200066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964B1/en
Publication of KR20210149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99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9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The disclosed example relates to a mask having a flap. According to the disclosed example, provided is a mask having a flap. The mask having a flap comprises: a body part mounted on the face and including a through-hole; a frame part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 and attached and connected to the body part; a flap detachable from the frame part and opened and closed depending on the user's breathing; and a flap opening limiting part connected to the frame part to limit the opening of the flap due to the breathing. The flap opening limiting part includes: a rotary shaft; and a first member extending to the flap about the rotary shaft. The first member is formed to support the flap from an upper side of the flap. The first member includes a circular member which minimizes a contact area of the flap and the firs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closing of the mask can be easily adjusted.

Description

플랩을 구비한 마스크 {MASK WITH A FLAP}MASK WITH A FLAP

본 발명은 플랩(flap)이 구비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들숨과 날숨에 맞추어 호흡을 편안하게 할 수 있는 플랩을 구비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having a flap,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sk having a flap that can comfortably breathe according to the inhalation and exhalation of the wearer.

최근 추위나 햇빛 또는 미세먼지를 피하며 야외에서 활동하기 위한 마스크가 많이 판매되고 있다. 이들 마스크는 공통된 문제점으로서 코와 입 주변의 공간을 덮는 천이나 부직포 등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특히 날숨 시 공기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마스크 내부에 습기가 차고 배출된 공기를 다시 흡입함으로써 답답하며 건강 상에도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Recently, a lot of masks for outdoor activities while avoiding the cold, sunlight, or fine dust are on sale. As these masks are a common problem, they are made of cloth or non-woven fabric that covers the space around the nose and mouth. revealing the problem.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착용자의 들숨 및 날숨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되는 플랩을 구비한 마스크가 개발 (한국 등록특허 제10-2035719호, 한국 등록특허 제10-2059923호)되었으나 주로 들숨 및 날숨의 타이밍만을 측정할 수 있었고 호흡량을 비교적 저렴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은 제시된 바가 없다. To solve this problem, a mask having a flap that opens and closes according to the wear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has been developed (Korean Patent No. 10-2035719, Korean Patent No. 10-2059923), but mainly measures only the timing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It was possible to do it, and there is no means to measure the respiration volume in a relatively inexpensive way.

또한, 마스크 배면에 점착제를 사용하여 마스크와 피부 접촉 부위의 틈새를 밀폐시키려는 시도가 기존 발명(한국 등록 특허 10-1569139)에서 제시된 바가 있으나 날숨 시 플랩과 같은 별도의 배출 공간을 확보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틈새를 막아 버림으로써 마스크 내부에 체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과도하게 쌓이게 됨으로써 오히려 호흡이 크게 불편하게 되어 이 같은 마스크를 실제 사용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있다. In addition, an attempt to seal the gap between the mask and the skin contact area using an adhesive on the back of the mask has been suggested in the existing invention (Korean Patent No. 10-1569139), but in a state where a separate discharge space such as a flap is not secured during exhalation. By blocking the gap,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ody inside the mask is excessively accumulated, which makes breathing rather inconvenient, and it is difficult to actually use such a mask.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들숨과 날숨에 맞추어 호흡을 편안하게 할 수 있는 플랩이 구비된 마스크에서 들숨과 날숨의 타이밍과 호흡량을 측정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It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the timing and volume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in a mask provided with a flap that can comfortably breathe according to the wearer's inhalation and exhalation. to provide a mas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들숨 시 외부공기가 마스크 외곽을 따라 새어 들어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capable of preventing a phenomenon in which external air leaks along the periphery of the mask during inhal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스크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that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mask.

개시하는 실시예는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일 실시예는 안면에 장착되며 관통구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에 부착되어 연결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되어 사용자의 호흡에 따라 개폐되는 플랩(flap); 및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상기 호흡에 따른 상기 플랩의 개방을 제한하는 플랩 개방제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플랩 개방제한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플랩 상으로 연장되는 제1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는 상기 플랩 상측에서 플랩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 상에 상기 플랩과 상기 제1부재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원형 부재를 포함하는, 플랩을 구비한 마스크를 제공한다.The disclosed embodiment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ne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face and includes a body portion including a through hole; a frame part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and attached to and connected to the body part; a flap that is detached from the frame and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user's breathing; and a flap opening limiting part connected to the frame part to limit the opening of the flap according to the respiration; including, wherein the flap opening limiting portion includes a rotation shaft and a first member extending on the flap about the rotation shaft, the first member being formed to support the flap from an upper side of the flap, the first member There is provided a mask having a flap, comprising a circular member configured to minimize a contact area between the flap and the first member on the flap.

상기 플랩은 상기 플랩의 일단에 상기 플랩이 상기 프레임부에 접촉하도록 하는 플랩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ap may include a flap attachment part at one end of the flap so that the flap contacts the frame part.

상기 플랩은 필터링이 가능한 소재의 다수 필터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 필터들은 멜트브로운(meltblown filter) 필터 및 스펀본드(spunbond)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lap is made of a plurality of filters made of a filterable material, and the plurality of filters may include a meltblown filter and a spunbond filter.

상기 스펀본드(spunbond) 필터는 상기 플랩의 일면을 이루고, 상기 스펀본드 필터 상에 플랩부착부가 구비되어 상기 플랩부착부가 상기 프레임부에 탈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punbond filter may form one surface of the flap, and a flap attachment part may be provided on the spunbond filter so that the flap attachment par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ame part.

상기 플랩은 스펀본드(spunbond) 필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랩의 수평방향과 상기 스펀본드 필터의 롤투롤(Roll to Roll) 방향이 일치할 수 있다. The flap may be formed of a spunbond filter, and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lap may coincide with a roll to roll direction of the spunbond filter.

상기 플랩은, 상기 플랩의 일면에 상기 플랩의 필터 방향과 수평인 수평융착부, 상기 플랩의 필터 방향과 수직인 수직융착부, 상기 플랩의 주위에 형성된 주변융착부, 또는 상기 플랩 일면에 형성된 원판융착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융착부, 상기 수직융착부, 상기 주변융착부, 또는 상기 원판융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직선 또는 면의 형태로 융착이 상기 플랩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lap is a horizontal fusion part horizontal to the filter direction of the flap on one surface of the flap, a vertical fusion part perpendicular to the filter direction of the flap, a peripheral fusion part formed around the flap, or a disk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lap I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usion part, and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fusion part, the vertical fusion part, the peripheral fusion part, or the disc fusion part may be fused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or a surface on one surface of the flap. have.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플랩의 개폐를 제어하는 플랩잠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랩잠금장치는, 핸들, 잠금면 및 잠금축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잠금축을 중심으로 상기 핸들을 제어하여 상기 잠금면이 상기 플랩과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플랩을 개폐시킬 수 있다.The frame unit may include a flap lock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lap. The flap locking device includes a handle, a locking surface, and a locking shaft, and a user controls the handle around the locking shaft so that the locking surfac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ap to open and close the flap.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랩이 구비된 마스크로서 호흡이 편안하며 들숨 및 날숨의 타이밍과 날숨 시의 배기량을 측정함으로써 총 호흡량을 계산하고 이를 통해 평상 시나 운동 시의 호흡 상황을 파악하고 체력과 상황에 맞는 바람직한 호흡법을 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mask provided with a flap, breathing is comfortable, and the total respiratory amount i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timing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and the amount of exhaust during exhalation. Breathing techniques can be suggested.

또한 마스크 주변부의 배면에 점착부를 두어 마스크와 피부 접촉 부위의 틈새를 통해 걸러지지 않은 상태로 흡입되는 공기를 차단하여 미세먼지가 특히 많은 상황이나 작업장같이 외부 공기가 극히 나쁜 경우에도 더욱 안전하게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lacing an adhesive on the back of the mask periphery to block the unfiltered air inhal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mask and the skin contact area, it protects the respiratory system more safely even in situations where there is a lot of fine dust or when the outside air is extremely bad, such as in a workplace can do.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 개폐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pening and closing of the mask can be easily adjus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과 플랩보호부 및 호흡측정부가 구비된 마스크의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구에 배치된 프레임부와 센서부의 정면도를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와 센서부의 상세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측정부의 회로부를 예시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및 플랩 개방 제한부의 들숨 시의 상태도를 예시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예시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보호부 및 그 내부에 설치된 센서부를 예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방 제한부의 정면도를 예시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보호부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층이 구비된 마스크의 배면도의 실시 예를 예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측정부 및 연장부의 구조도를 예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및 플랩의 다양한 구조도를 예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과 플랩보호부가 구비된 마스크의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도 (a) 및 측면도 (b)를 각각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위에서 설명한 스펀본드(spunbond; SB) 필터와 플랩의 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플랩에 대한 상세한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플랩잠금장치와 그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ask provided with a flap and a flap protection unit and a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front view of a frame unit and a sensor unit disposed in a through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a frame unit and a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llustrates the circuit portion of the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 state diagram at the time of inspiration of a flap and a flap opening restri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 flap protection unit and a sensor unit installed there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a front view of a flap opening restri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llustrates a side view of a flap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rear view of a mask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llustrate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and the ex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llustrates various structural diagrams of a frame and a fl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llustrate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ask provided with a flap and a flap pro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each illustrating a front view (a) and a side view (b)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unbond (SB) filter and the flap described above.
16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exemplary view of the flap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ap locking device for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n operation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과 플랩보호부 및 호흡측정부가 구비된 마스크의 구성도를 예시한다.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ask provided with a flap and a flap protection unit and a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는 마스크의 플랩(130), 및 호흡측정부(160)를 포함하고 플랩(130)을 보호하는 플랩보호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e embodiment includes a flap 130 of the mask, and a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160, and may further include a flap protection unit 170 for protecting the flap 130.

상세하게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는, 사용자의 얼굴 안면에 장착되며 관통구가 형성된 몸체부(110), 관통구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부(120), 프레임부(120)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플랩(130)을 포함한다. In detail, the mas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user's face and opened and closed by the body portion 110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the frame portion 120 install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and the frame portion 120 . It includes a flap 130 that is installed to be possible.

그리고 일 실시예는, 플랩(130)의 개방도를 제한하는 플랩 개방제한부(150), 플랩(130)의 전면에 위치하며 프레임부(120)에 체결되는 플랩보호부(170), 몸체부(110)의 배면에 위치하며 돌기 형상의 센서부(161,162,163) 및 지지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in one embodiment, the flap opening limiting part 150 for limit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ap 130, the flap protection part 170 positioned in front of the flap 130 and fastened to the frame part 120, the body part It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110 and may further include protrusion-shaped sensor parts 161 , 162 , 163 and a support part 190 .

그리고 일 실시예의 호흡측정부(160)는, 지지부(190)를 이용하여 몸체부(110) 및 프레임부(120) 일부를 관통하여 프레임부(12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면서 플랩(130)의 왕복운동에 따라 호흡을 측정할 수 있다. And the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160 of one embodiment,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frame portion 120 by using the support portion 190 penetrates a portion of the flap 130 while attach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ame portion 120. Respiration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tion of

몸체부(110)는, 착용자의 안면을 감싸며 미세먼지, 황사 등의 외부 대기오염 물질들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필터 소재, 일례로 부직포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방한이나 스포츠용도 등의 마스크에서는 천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착용자의 들숨을 배출할 수 있는 관통구가 정면 중앙부에 위치한다.The body 110 may be formed of a filter material, for example, a non-woven material, to surround the wearer's face and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air pollutants such as fine dust and yellow sand, and is made of cloth in a mask for cold protection or sports can be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10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wearer can breathe in and is located in the front central portion.

프레임부(120)는, 몸체부(110)에 형성된 관통구의 둘레에 배치된다.The frame part 120 is disposed around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dy part 110 .

호흡측정부(160)는 돌기 형상의 지지부(190)을 사용하여 기구적으로 몸체부(110)를 관통하여 프레임부(120)와 체결된다. 지지부(190)는 탄력이 있으며 유연한 재질로 사용하여 여러 번 탈착을 반복하여도 그 성질이 변하지 않으며 용이하게 탈부착하면서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Respiratory measurement unit 160 is mechanically through the body portion 110 by using the protrusion-shaped support portion 190 is fastened with the frame portion (120). The support part 190 is made of a flexible and elastic material so that its properties do not change even after repeated detachment and detachment several times, and it does not easily detach while being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플랩 개방제한부(150)는, 프레임부(120)와 연결되는 회전축(151)과 상기 회전축(151)에서 연장되는 제1부재(153) 및 제2부재(155), 제2부재(155)의 일단에 설치되는 중량체(157)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The flap opening limiting part 150 includes a rotation shaft 151 connected to the frame part 120 and a first member 153 and a second member 155 and a second member 155 extending from the rotation shaft 151 . It may include a weight body 157 installed at one end of the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통구에 배치된 프레임부와 센서부의 정면도를 예시한다.2 illustrates a front view of a frame unit and a sensor unit disposed in a through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플랩(130)은 착용자의 날숨 및 들숨에 따라 몸체부(110)를 통해 기체가 통과하는 관통구를 개폐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그 형상은 관통구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들숨 시에는 몸체부(110)와 함께 관통구를 폐쇄한다. 플랩(130)은 필터 기능 또한 수행하며 필터 소재, 일례로 부직포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방한이나 스포츠용도 등의 마스크에서는 천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flap 130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gas passes through the body portion 110 according to the wearer's exhalation and inhalation, and the shape thereof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rough hole, and upon inhalation, the body The through hole is closed together with the part 110 . The flap 130 also performs a filter function and may be formed of a filter material, for example, a non-woven material, and may be made of cloth in a mask for cold protection or sports use.

여기서, 플랩(130)은 착용자의 얼굴 자세에 따라 중력의 영향을 다르게 받게 되고, 결과적으로 플랩(130)이 개방된 이후 다시 폐쇄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이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폐쇄력은 착용자의 들숨에 의한 흡입력, 플랩(130)의 탄성력, 한 쌍 이상의 자석이 프레임부(120)와 플랩(130) 사이에 구비될 경우에는 자력 등에 좌우되는 데, 흡입력은 착용자마다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Here, the flap 130 is differently affected by gravity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wearer's face, and as a result, the force required to close the flap 130 again after opening is changed. Such a closing force is dependent on the wearer's suction force due to inhalation, the elastic force of the flap 130, and magnetic force when one or more pairs of magnets are provided between the frame part 120 and the flap 130, and the suction force is different for each wearer. may occur.

특히, 흡입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어린이나 여성, 노약자의 경우, 폐쇄력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어 흡기시의 플랩(130)의 완전한 폐쇄를 위한 수단을 필요로 하게 된다. 특히, 플랩의 중력에 의한 영향을 상쇄시키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플랩 개방제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hildren, women, and the elderly having a relatively small suction force, the closing force becomes relatively small, and thus a means for completely closing the flap 130 during inhalation is required. In particular, a means to offset the effect of gravity of the flap may be required, and for this purpose, the flap opening limiting unit 150 may be included.

플랩 개방제한부(150)는, 회전축(151)과, 회전축(151)에서 연장되는 제1부재(153) 및 제2부재(155), 제2부재(155)의 일단에 설치되는 중량체(157)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회전축(151)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제1부재(153) 및 제2부재(155)가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제2부재(155)는 상황에 따라 그 무게를 증가시켜 중량체(157)의 역할을 같이 수행하게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The flap opening limiting unit 150 includes a rotating shaft 151 and a weight body ( 157), the first member 153 and the second member 155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about the rotation shaft 151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lever are configured to operate in conjunction.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second member 155 according to circumstances so as to perform the role of the weight body 157 together.

플랩 개방제한부(150)는, 착용자의 머리가 아래를 향한 경우에도 플랩이 중력을 이기고 약한 호흡에서도 안정적으로 폐쇄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상세히 예시한다.The flap opening limiting unit 150 provides a means for the flap to overcome gravity and to be stably closed even with weak breathing even when the wearer's head is facing down. This is exemplified in detail in FIG. 5 .

상측 프레임부(123)에 플랩(130)의 상측 에지(edge)가 부착되어 플랩(130)이 상기 에지(edge)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며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The upper edge of the flap 130 is attached to the upper frame part 123 so that the flap 130 is opened and closed while rotating around the edge.

여기서, 프레임부(120)는 소정 두께를 갖는 강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프레임부(120)가 부착된 몸체부(110)의 관통구 주변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개폐되는 플랩(130)과의 접촉면을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플랩(130) 개폐시의 밀착도가 일정해지도록 한다.Here, the frame part 120 may be formed of a rigid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hape around the through hole of the body part 110 to which the frame part 120 is attached, and also to be opened and closed. By maintaining a uniform contact surface with the flap 130, the degree of adhesion dur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flap 130 is constant.

프레임부(120)는 몸체부(110)에 형성된 관통구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측, 상측, 좌측, 우측에 위치한 4개의 프레임부재(121, 123, 125, 127)의 단부들이 각각 결합된 4각형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rame portion 1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body portion 11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 frame members 121 located on the lower side, the upper side,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 123, 125, 127) may be configured as a rectangular frame in which the ends are respectively coupled.

이 도면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호흡측정부(160)는 기구적으로 몸체부(110)의 배면에 위치하며 몸체부(110)과 프레임부(120)에 탈착 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호흡측정부(160)은 크게 들숨 및 날숨의 타이밍과 그 호흡량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부(161,162,163)와 이 신호를 받아서 내용을 해석하고 이를 착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로 가공하도록 하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As illustrated in this figure, the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160 is mechanically loca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unit 110 and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unit 110 and the frame unit 120 . Respiratory measurement unit 160 largely includes sensor units (161, 162, 163) capable of sensing the timing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and the amount of respiration, and a circuit unit for receiving this signal, interpreting the contents, and processing it into useful information for the wearer.

또한, 호흡측정부(160)는 정밀한 센서부, 전기 회로 및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으며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160 has a built-in precision sensor unit, an electric circuit and a battery, and can be used semi-permanently.

그러나 몸체부(110) 및 플랩(130)은 부직포로 제작될 경우 일회용으로 사용되며 천으로 사용 될 때에는 세탁이 가능하다. 따라서 호흡측정부(160)는 몸체부(110)와 프레임부(120)에서 탈착하게 구성하므로 서 사용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도모한다. However, the body part 110 and the flap 130 are disposable when made of non-woven fabric, and can be washed when used as a cloth. Therefore, the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16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from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frame portion 120, thereby promoting convenience and economy of use.

이 도면에서 예시한 센서부(161,162,163)는 플랩(130)과 중량체(157)의 움직임에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s 161 , 162 , and 163 illustrated in this figure may detect signals from the movement of the flap 130 and the weight 157 .

예시한 센서부(161,162,163)는 호흡측정부(160)에 기구적으로 설치되는 플랩(130)에 부착되는 금속판(161a) 및 반사판(163a)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제2부재 연장부(158) 혹은 중량체(157)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 도면에서 후술한다. Exemplary sensor units (161, 162, 163) may include a metal plate (161a) and a reflecting plate (163a) attached to the flap 130 that is mechanically installed in the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160, the second member extension 158) Alternatively, the weight body 157 may be includ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follow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와 센서부의 상세 단면도를 예시한다.3 illustrate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a frame unit and a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이 도면은 3개의 센서부(161,162,163)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In order to describe one embodiment in more detail, this figure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three sensor units 161 , 162 , and 163 .

여기서와 같이 센서부(161,162,163)는 호흡측정부(160)에 기구적으로 설치되는 전극(161b, 162b) 및 광 송수신부(163b)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61,162,163)의 실시예는 플랩(130)에 부착되는 금속판(161a) 및 반사판(163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부재 연장부(158) 및 중량체(157)에 설치되는 금속판(162a)을 이용해 호흡을 측정할 수 있다. As here, the sensor unit (161, 162, 163) may include the electrodes (161b, 162b) and the light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63b) that are mechanically installed in the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160). Embodiments of the sensor units 161 , 162 , and 163 may include a metal plate 161a and a reflective plate 163a attached to the flap 130 , and the second member extension 158 and a metal plate installed on the weight 157 ( 162a) can be used to measure respiration.

일 실시예에서 전극(161b, 162b) 및 광 송수신부(163b)는 기구적으로 돌기 형상으로 구성되며 지지부(190)와 마찬가지로 몸체부(110)를 관통하여 프레임부(120)와 체결되며 플랩(130)의 하단부에 설치된 금속판(161a)이나 반사판(163a) 또는 제2부재(155)의 연장부(158) 혹은 중량체(157)에 근접 또는 접촉하면서 착용자의 호흡 상태를 검출한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odes 161b and 162b and the light transmitting/receiving unit 163b are mechanically configured in a protrusion shape, penetrate the body unit 110 like the support unit 190 and are fastened to the frame unit 120, and a flap ( 130), the respiration state of the wearer is detected while approaching or contacting the metal plate 161a or the reflecting plate 163a or the extension 158 of the second member 155 or the weight 157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130).

상기 예의 3개의 센서부(161,162,163)는 상황에 따라 3개 이하의 센서로서 구성할 수 있으며 기구적으로는 한 개의 돌기 형상으로 합체하여 장착하게 함으로서 경제성과 탈부착의 용이성을 함께 구현할 수도 있다. The three sensor units 161 , 162 , and 163 of the above example can be configured as three or less sensors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mechanically, they are combined into one protrusion shape and mounted, so that economy and ease of attachment and detachment can be realized together.

제1센서부(161)는 호흡측정부(160)에서 몸체부(110)와 프레임부(120)를 관통하여 플랩(130) 하단부에 위치한 금속판(161a)과 접촉할 수 있는 전극(161b)과 함께 작용할 수 있다.The first sensor unit 161 passes through the body unit 110 and the frame unit 120 in the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160 to make contact with the metal plate 161a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lap 130 and the electrode 161b and can work together.

제2센서부(162)는 몸체부(110)과 프레임부(120)를 관통하여 중량체(157) 또는 제2부재(155)의 연장부(158)와 접촉할 수 있는 전극(162b)과의 조합으로 작용할 수 있다. The second sensor unit 162 includes an electrode 162b penetrating through the body 110 and the frame 120 to contact the weight 157 or the extension 158 of the second member 155 and can act as a combination of

제3센서부(163)는 몸체부(110)과 프레임부(120)를 관통하여 플랩(130) 하단부에 위치한 반사판(163a)과 조합을 이룬 광 송수신기(163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hird sensor unit 163 may include an optical transceiver 163b in combination with a reflecting plate 163a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flap 130 through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frame portion 120 .

여기에서 제 1센서부(161)에서는 약한 호흡에서도 플랩(130)의 금속판(161a)가 해당 전극(161b)에 접촉 또는 비 접촉을 반복하며 들숨 및 날숨의 타이밍을 검출한다. Here, in the first sensor unit 161, the metal plate 161a of the flap 130 repeats contact or non-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electrode 161b even in weak respiration to detect the timing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반면, 호흡 압력이 일정 이상인 경우 제2 센서부(162)에서는 중량체(157) 또는 제2부재(155)의 연장부(158)가 해당되는 전극(162b)에 접촉 또는 비 접촉을 반복하며 들숨 및 날숨의 호흡량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약한 호흡에서는 플랩(130)의 운동 반경이 제1센서부(161)의 전극(162b)만 접촉 또는 비 접촉을 반복할 정도로 그 운동반경이 작게 되어 제2센서부(162)의 전극(162b)까지는 미치지 못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spiration pressure is above a certain level, in the second sensor unit 162, the weight 157 or the extension 158 of the second member 155 repeatedly contacts or non-contacts the corresponding electrode 162b and inhales. And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respiration rate of the exhalation. That is, in weak respiration, the radius of motion of the flap 130 is small enough to repeat contact or non-contact only with the electrode 162b of the first sensor unit 161, so that the electrode ( 162b) is not reached.

그러나, 제2센서부(162)가 접촉과 비 접촉을 반복하는 경우는 어느 정도 호흡량이 커서 플랩(130)이 제1부재(153)를 통해 중량체(157) 또는 제2부재(155)의 연장부(158)를 몸체(110)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는 경우이다. 호흡이 더욱 커져서 플랩(130)이 더욱 크게 운동하는 경우는 제3센서부(163)로 그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second sensor unit 162 repeats contact and non-contact, the amount of respiration is to a certain extent large, so that the flap 130 moves through the first member 153 to the weight body 157 or the second member 155 . This is a case in which the extension 158 can be pushed toward the body 110 . When the respiration becomes larger and the flap 130 moves larger, the situation may be detected by the third sensor unit 163 .

즉, 제3센서부(163)는 플랩(130)의 하단부에 위치한 반사판(163a)을 플랩(130)이 크게 움직일 경우 프레임 상부를 축으로 원운동하여 광송수신기(163b)에서 송출된 빛이 반사판(163a)에서 돌아오지 못하게 되며 이를 이용해 착용자의 시간단위 당 많은 호흡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at is, the third sensor unit 163 moves the reflecting plate 163a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lap 130 in a circular motion around the frame upper part when the flap 130 moves large, so that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optical transceiver 163b is reflected by the reflecting plate. There is no return at (163a), and this can be used to measure a large amount of respiration per time unit of the wearer.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도 4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측정부(160)의 회로부를 예시한다.4 illustrates the circuit portion of the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센서부(161,162,163)의 전극(161b, 162b)들이나 광송수신기(163b)는 회로부의 센서 인터페이스부(165)와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부(166) 및 무선연결부(167)에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electrodes 161b and 162b of the sensor units 161, 162 and 163 or the optical transmitter and receiver 163b are the sensor interface unit 165 of the circuit unit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unit 166 and the wireless connection unit. (167) can be connected.

회로부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68)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연결부(167)는 CPU부(166)에서 최종적으로 검출한 데이터를 스마트폰(SP)과 같은 지능형 장치에 전달하여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이는 다시 중앙의 서버(S)로 연결되어 더욱 많은 착용자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다. The circuit unit may include a battery 168 for supplying power. The wireless connection unit 167 delivers the data finally detected by the CPU unit 166 to an intelligen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SP) to drive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which are again connected to the central server (S) so that more wearers The data obtained from it is widely available.

여기서 예시한 바와 같이 이 같은 센서부(161,162,163)에서 검출된 신호는 회로부 내부에 위치한 센서인터페이스부(165)를 통해 CPU부(166)에서 착용자의 호흡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를 만든다. As exemplified here, the signals detected by the sensor units 161, 162, and 163 are generated by the CPU unit 166 through the sensor interface unit 165 located inside the circuit unit to determine the wearer's breathing condition.

이 데이터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연결부(167)를 거쳐 스마트폰(SP) 또는 퍼스널컴퓨터 등의 지능을 갖는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이후 착용자의 호흡정보는 스마트 워치나 맥박기, 산소포화도 측정기와 같은 신체에 부착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와 연결되어 착용자의 평상 시나 운동 시의 호흡패턴을 분석하고 다른 생체정보와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위급상황도 판단할 수 있으며 건강증진을 위한 바람직한 호흡방법 등의 의료정보도 제공이 가능하다. 이 같은 정보가 여러 사람들로부터 서버(S)에 집중되어 모아질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개개인의 건강과 관련된 서비스 외에 지역사회나 국가적인 호흡상황을 파악하여 유행병 등의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This data may be connected to an intelligen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SP) or a personal computer through a wireless connection unit 167 such as Bluetooth or Wi-Fi. Afterwards, the wearer's breathing information is connected to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attached to the body, such as a smart watch, pulser, or oxygen saturation meter to analyze the wearer's breathing pattern during normal or exercise and comprehensively judge it with other bio-inform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also possible to judge and provide medical information such as desirable breathing methods for health promotion. When such information is concentrated and collected on the server (S) from several people, in addition to the services related to individual health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ans to effectively cope with situations such as epidemics by grasping the local community or national breathing situation. can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및 플랩 개방 제한부의 들숨 시의 상태도를 예시한다.5 illustrates a state diagram at the time of inspiration of a flap and a flap opening restri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머리가 아래를 향한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플랩 개방제한부(150)는 중량체(157)가 수직하향의 방향을 취함으로써 지렛대의 원리에 따라 제1부재(153)가 플랩(130)을 프레임부(120) 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이 작용한다. 이를 통해, 들숨 시 플랩(130)이 용이하게 폐쇄될 수 있게 한다. Referring to this figure, if the user's head faces downward as an example, the flap opening limiting part 150 is the first member ( The force that pushes the flap 130 in the direction of the frame part 120 is applied by the 153). This allows the flap 130 to be easily closed when breathing in.

또한, 이 같은 상황에서 착용자가 날숨으로 전환하면 날숨 압력으로 플랩(130)이 개방되며 플랩(130)이 제1부재(153)를 전 방향으로 밀어내고 따라서 중량체(157)가 제1부재(153)의 반대방향인 몸체부(110) 쪽으로 근접하게 된다. 즉, 착용자가 정상적인 강도의 호흡을 하는 경우 중량체(157)는 몸체부(110)에 가까이 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서 도 5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은 왕복운동을 한다. 즉, 이 같은 중량체(157) 및 플랩(130)의 왕복운동은 머리가 위를 향하여 중량체(157)가 날숨 시에도 몸체부(110)에 접촉됨으로써 왕복운동을 방해 받는 경우를 제외하고 일정한 호흡 압력 이상의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들숨과 날숨에 따른 플랩(130)과 중량체(157) 사이의 힘의 불균형에 따라 항상 일어나게 되므로 이들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들숨 및 날숨의 타이밍과 호흡량을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earer switches to exhalation in such a situation, the flap 130 is opened by the exhalation pressure, and the flap 130 pushes the first member 153 in all directions, and thus the weight body 157 moves to the first member ( 153) is approached toward the body portion 110 in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when the wearer breathes with a normal intensity, the weight 157 reciprocates as indicated by an arrow in FIG. 5 as a direction closer to or away from the body 110 . That is,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weight body 157 and the flap 130 is constant except for the case where the head is directed upward and the weight body 157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dy unit 110 even when exhaling, thereby preventing the reciprocation movement. In a normal situation above respiration pressure, it always occurs according to the imbalance of force between the flap 130 and the weight 157 according to the inhalation and exhalation. have.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를 예시한다.6 illustrates a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및 2센서부(161a, 161b, 162a 및 162b)는 도6 의 (a), (b), (c)의 3개의 수단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first and second sensor units 161a, 161b, 162a, and 162b may be configured by one of three means of (a), (b), and (c) of FIG. 6 .

도 6의 (a)에서는 제1센서부(161a, 161b)를 예시하는데 전극과 금속판의 조합으로 플랩(130)이 개방되거나 폐쇄되었을 때 전극 사이의 저항이나 캐패시턴스가 달라지는 현상을 이용하여 들숨 및 날숨의 타이밍과 호흡량을 검출한다. In (a) of FIG. 6 , the first sensor units 161a and 161b are exemplified by us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resistance or capacitance between the electrodes changes when the flap 130 is opened or closed by a combination of an electrode and a metal plate. timing and respiration volume.

즉, 들숨으로 플랩(130)이 폐쇄되면 저항이 줄고 캐패시턴스는 증가하며 날숨으로 플랩(130)이 개방되면 저항이 증가하고 캐패시턴스는 감소하는 현상이다. That is, when the flap 130 is closed by inhalation, the resistance decreases and the capacitance increases, and when the flap 130 is opened by the exhalation, the resistance increases and the capacitance decreases.

이 도면의 (b)에서는 인덕터와 금속판 또는 다른 자성체의 조합으로 플랩(130)이 개방되거나 폐쇄되었을 때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달라지는 현상을 이용하여 들숨 및 날숨의 타이밍과 호흡량을 검출한다. In (b) of this figure, when the flap 130 is opened or closed by a combination of an inductor and a metal plate or other magnetic material, the inductance of the inductor changes using a phenomenon to detect the timing and respiration amount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이 도면의 (c)에서는 광 송수신부(161b)사이의 빛을 차단하는 차단판(161a)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들숨 및 날숨의 타이밍과 호흡량을 검출한다. 이 같은 센싱 방식은 전체 호흡측정부(160)의 설계에 맞추어 전자파의 강도나 습기에 강한 정도 등 사용 상황에 맞추어 각각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설명은 제1센서부(161a, 161b)를 예시로 사용하였으나 제2센서부(162a, 162b)에도 상기 방식 중 한 개를 취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c) of this figure, the timing and respiration amount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are detected by using a blocking plate 161a for blocking light between the light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s 161b. This sensing method can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use situation, such as the strength of electromagnetic waves or moisture resistance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 of the entire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160, respectively. That is, 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uses the first sensor units 161a and 161b as an example, one of the above methods may be used for the second sensor units 162a and 162b as well.

이 도면의 (d)을 참조하면, 광 송수신부(163b)가 플랩(130)의 하단부에 위치한 반사판(163a)을 향하게 되며 플랩(130)이 크게 프레임 상부를 축으로 원운동하여 광송신부(163b)에서 송출된 빛이 반사판(163a)에서 돌아오지 못하는 경우 그 신호를 검출할 수 있어 착용자가 매우 많은 호흡하는 상황을 체크할 수 있다. Referring to (d) of this figure, the light transmitting/receiving unit 163b faces the reflecting plate 163a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lap 130, and the flap 130 largely moves in a circle around the upper frame of the frame, and the light transmitting unit 163b ), when the light emitted from the reflector 163a does not return, the signal can be detec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check a situation in which the wearer breathes a lot.

이 같은 원리로 제1,2,3 센서부(161,162,163)를 활용하면 들숨 및 날숨의 타이밍과 착용자의 호흡량을 측정할 수 있다. By us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nsor units 161, 162, and 163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timing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and the amount of respiration of the wearer.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보호부 및 그 내부에 설치된 센서부를 예시한다.7 illustrates a flap protection unit and a sensor unit installed there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센서부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센서부(262a, 262b)와 제 3센서부(263a, 263b)를 도 6의 예시한 실시예들의 한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플랩보호부(170)에 설치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or unit, as shown in FIG. 7(a) , the second sensor units 262a and 262b and the third sensor units 263a and 263b are combined in one way or a combination of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 6 . It can be installed in the flap protection unit 170 as a.

플랩보호부(170)는 플랩(130)과 플랩개방제한부(도 7에서 미도시)를 보호하기 위해 프레임(120)의 외측에 부착시키는 것이다. The flap protection unit 170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120 to protect the flap 130 and the flap opening limiting unit (not shown in FIG. 7 ).

이 도면의 (a)를 참조하면, 제2 센서부(262a, 262b)와 제 3센서부(263a, 263b)의 전극(262b, 263b)을 플랩보호부(170)의 내측에 위치하고 플랩(130)이 회전운동을 하면서 운동 크기에 따라 플랩보호부(170)의 내측에 설치된 제2 센서부(262a, 262b)와 제 3센서부(263a, 263b)의 전극(262b, 263b)에 플랩(130)의 하단부 외측에 설치된 금속판이나 자성체 또는 차단판(262a, 263a)이 각각 접근 또는 접촉하면서 일어나는 저항, 캐패시턴스, 인덕턴스 또는 빛의 변화를 읽어 낼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this figure, the electrodes 262b and 263b of the second sensor units 262a and 262b and the third sensor units 263a and 263b are positioned inside the flap protection unit 170 and the flap 130 ) while rotating, the flap 130 on the electrodes 262b and 263b of the second sensor units 262a and 262b and the third sensor units 263a and 263b installed inside the flap protection unit 17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vement. ), a change in resistance, capacitance, inductance, or light that occurs as the metal plate or magnetic material or blocking plate 262a, 263a approaches or come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can be read.

기계적으로 유연한 플랩(130)이 회전 운동을 하면서 전극(262b, 263b)들과 겹쳐질 수 있지만 유연하게 휘어지며 각 전극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전극(262b, 263b)들로부터 검출되는 신호는 커넥터(264)를 통해 회로부의 센서인터페이스(도 7에서 미도시)로 전달된다. The mechanically flexible flap 130 may be overlapped with the electrodes 262b and 263b while rotating, but is flexibly bent and passes through each electrode. Signals detected from the electrodes 262b and 263b are transmitted to the sensor interface (not shown in FIG. 7 ) of the circuit unit through the connector 264 .

본 실시 예에서 제2 센서부(262a, 262b)와 제 3센서부(263a, 263b)는 플랩(130)이 최대로 유연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랩(130)의 하단부 중앙과 이에 상응하는 플랩보호부(170)의 내측 중앙을 이용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ensor unit 262a, 262b and the third sensor unit 263a, 263b are preferably installed in a position where the flap 130 is most flexible, and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flap 130 and corresponding The inner center of the flap protection unit 170 may be used.

이 도면의 (b)는 센서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데, 제2 센서부(362a, 362b)와 제 3센서부(363a, 363b)를 플랩보호부(170)의 내부 측면에 플랩(130)의 운동 각도에 따라 광 송신부와 수신부(362b, 363b)를 배치시켜 플랩(130)이 운동하면서 빛을 차단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호흡량을 측정할 수 있다. (b) of this figure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or unit, the second sensor unit (362a, 362b) and the third sensor unit (363a, 363b) on the inner side of the flap protection unit 170 of the flap 130 By disposing the light transmitting unit and the receiving unit 362b and 363b according to the movement angle, the flap 130 blocks the light while moving, and the amount of respiration can be measured using this information.

이때 빛의 차단 시간을 늘리기 위해 플랩(130)의 측면에 반사판(362a, 363a)을 설치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order to increase the blocking time of light, the reflecting plates 362a and 363a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lap 130 .

이 때 측정된 신호를 회로부로 연결시키기 위해 신호선이 플랩보호부(170)의 내측을 통과하여 커넥터(364)와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order to connect the measured signal to the circuit unit, a signal line may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flap protection unit 170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364 .

이 도면의 (c)는 센서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데 제2 센서부(462a, 462b)와 제 3센서부(463a, 463b)를 플랩보호부(170)의 내부 측면에 플랩(130)의 운동 각도에 따라 광송신부와 수신부(462b, 463b)를 배치시켜 플랩(130)이 운동하면서 광송신부에서 출발한 빛이 반사되어 광수신부에 도달하게 되며 이 정보를 이용하여 호흡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랩(130)의 측면에는 반사판(462a, 463a)을 설치한다. 이 때 측정된 신호를 회로부로 연결시키기 위해 신호선이 플랩보호부(170)의 내측을 통과하여 커넥터(464)와 연결될 수 있다. (c) of this figure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or unit, the second sensor unit (462a, 462b) and the third sensor unit (463a, 463b) on the inner side of the flap protection unit 170 of the flap 130 By arranging the optical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462b and 463b according to the movement angle, the flap 130 moves, the light from the optical transmitter is reflected and reaches the optical receiver, and the amount of respiration can be measured using this information. To this end, reflecting plates 462a and 463a are installed on the sides of the flap 130 . At this time, in order to connect the measured signal to the circuit unit, a signal line may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flap protection unit 170 and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464 .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3개의 센서를 가지고 들숨 및 날숨의 타이밍과 호흡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센서의 숫자는 달리 할 수 있다. 일 예로 스포츠용도에 특화된 마스크는 호흡량이 매우 크게 될 수 있으며 플랩(130)이 충분히 운동할 수 있도록 플랩보호부(170)의 높이도 더욱 높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3개 이상의 센서를 가지고 호흡량을 더욱 정확히 세분하여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대로, 약하거나 정상적인 호흡을 가정하면 센서의 숫자를 줄여 원가를 절감하면서 본 발명이 추구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easuring the timing and respiration volume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using three sensors has been described, but the number of sensors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a mask specialized for sports may have a very large breathing volume, and the height of the flap protection unit 170 may be made higher so that the flap 130 can sufficiently exercis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subdivide and measure the respiration volume with three or more sensors. Conversely, if weak or normal breathing is assumed, the object pursued b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chieved while reducing the cost by reducing the number of sensors.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프레임부(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자석(미도시)이 설치되고, 플랩(130)의 내측면에는 제1자석(미도시)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자석(미도시)이 설치되어 호흡측정부(160)에서 얻어진 데이터와 연계하여 플랩(130)의 폐쇄력이나 개방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호흡이 약한 사람의 경우 플랩(130)을 들숨의 압력만 가지고 완전히 폐쇄시키기 어려운 경우 별도의 CPU부(166)의 제어를 통해 제1자석(미도시)에 전력을 인가함으로써 제2자석(미도시)과의 인력을 강화시켜 플랩(130)의 폐쇄를 도와줄 수 있다. 이 같은 자석부는 도 1에서와 같은 플랩개방제한부(150)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이하 설명하는 도 8에서와 같은 중량체가 없는 플랩개방제한부(250)를 사용한 마스크(200)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first magnet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frame unit 120 , and a second magnet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 (not show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ap 130 . (not shown) may be installed to control the closing force or opening force of the flap 130 in connection with the data obtained from the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160 .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erson with weak breathing, when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close the flap 130 with only the pressure of inhalation, by applying power to the first magnet (not shown) through the control of the separate CPU unit 166, the second magnet ( (not shown) may help to close the flap 130 by strengthening the attractive force. Such a magnet part may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flap opening limiting part 150 as in FIG. 1 or may be used in the mask 200 using the flap opening limiting part 250 without a weight as in FIG. 8 to be described below.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개방 제한부의 정면도를 예시한다.8 illustrates a front view of a flap opening restri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랩(130)이 구비된 마스크(200)는, 관통구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몸체부(110)의 상측 프레임부(120)에 플랩(130)의 상부 에지가 결합되고, 플랩(130)의 개방도를 제한하도록 플랩(130)의 외측면 위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며 이격 설치되는 플랩 개방제한부(2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is figure, in the mask 200 provided with the flap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edge of the flap 130 is located on the upper frame part 120 of the body part 110 so that the through hole can be opened and closed. is coupled, and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lap 130 to limi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ap 130 and includes a flap opening limiting portion 250 that is installed spaced apart.

플랩 개방제한부(250)는, 선형 부재로 구성되며 양 끝단이 각각 프레임부(120) 또는 플랩보호부(이 도면에서 미도시)의 내측에 설치되어 플랩(130)의 일정거리 위에 봉 형태로 가로질러 위치시킨다. 이 같은 플랩개방제한부(25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량체(157)가 없이 마스크를 구성할 수 있다. The flap opening limiting unit 250 is composed of a linear member, and both ends are installed inside the frame unit 120 or the flap protection unit (not shown in this figure), respectively, in the form of a rod over a certain distance of the flap 130 . placed across. In the case of using the flap opening limiting part 250 , the mask can be configured without the weight body 157 .

따라서, 별도의 자이로센서(미도시)를 회로부에 장착하여 착용자의 머리 위치에 따른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검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CPU부에서 제1자석(미도시)으로 보내는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자이로센서(미도시)에서 착용자의 머리가 하방으로 향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CPU부에서 제1자석(미도시)으로 보내는 신호를 강화하여 플랩(130)이 중력으로 밑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며 더욱 안정적으로 플랩(130)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자석부(미도시)는 플랩(130)의 폐쇄를 도와주기 위해 플랩개방제한부(150,250)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CPU부의 제어에 따라 그 자력을 조절할 수 있고 별도의 자이로센서(미도시)를 사용하는 경우 머리의 위치정보로 CPU부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제어의 정확도를 올릴 수 있다.Therefore, a separate gyro sensor (not shown) is mounted on the circuit unit to detec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wearer's head position as an electrical signal, and then the signal sent from the CPU unit to the first magnet (not shown) can be controlled using this. . That is, when the gyro sensor (not shown) determines that the wearer's head is facing downward, the signal sent from the CPU unit to the first magnet (not shown) is strengthened to prevent the flap 130 from sagging downward due to gravity, making it more stable to be able to close the flap 130 . That is, the magnet unit (not shown)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flap opening limiting units 150 and 250 to help close the flap 130, and its magnetic forc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PU unit, and a separate gyro sensor (not shown) In case of using the head position information, it can be utilized in the CPU part and the control accuracy can be increased.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 보호부의 측면도를 예시한다.9 illustrates a side view of a flap pro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플랩보호부(270)의 전면 일부에 플랩보호부 개방창(271)를 두고 평상 시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다가 계단을 오르거나 운동과 같은 상황이 되어 호흡이 급격히 커질 경우에는 플랩보호부 개방창(271)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개방하여 플랩(130)이 더욱 외측으로 휘어지며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날숨 시 더욱 많은 배기량을 달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is figure, the flap protection unit opening window 271 is placed on a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flap protection unit 270 and normally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By opening the protection part opening window 271 upward or downward, the flap 130 can be bent more outwardly and open, so that a greater amount of displacement can be achieved during exhala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층이 구비된 마스크의 배면도의 실시 예를 예시한다.10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rear view of a mask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의 (a)와 (b)에 각각 점착부(300)가 설치된 마스크의 배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내었다. 이에 따르면, 점착부(300)는 몸체부(110) 배면의 주변부에 환형상으로 또는 환형상 중의 일부로서 외부 공기가 새어 들어오기 쉬운 콧등 부위나 턱 주위 부분 등 일부 부위에 설치된다. In (a) and (b) of this figure, a rear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sk provided with the adhesive part 300 are shown, respectively. According to this, the adhesive part 300 is installed in some parts such as the bridge of the nose or the part around the chin where external air easily leaks in an annular shape or as a part of the annular shape on the peripheral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art 110 .

점착부(300)는 예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주변에 위치하고 몸체부(100) 주변의 틈새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adhesive part 300 is positioned around the body part 100 as illustrated, and may prevent the inflow of external air from a gap around the body part 100 .

점착부(300)는 몸체접착층(310)이 몸체부(110)에 직접 영구 부착되고 피부점착층(320)은 피부와 일시적으로 점착된다. 중간층(330)은 몸체접착층(310)과 피부점착층(320) 사이에 위치하며 피부에 좋은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부드러운 쿠션의 성질을 갖는 합성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피부점착층(220)의 외측에는 보호시트(340)가 배치되며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기 전에 제거할 수 있다. In the adhesive part 300 , the body adhesive layer 310 is directly and permanently attached to the body part 110 , and the skin adhesive layer 320 is temporarily attached to the skin. The intermediate layer 330 is located between the body adhesive layer 310 and the skin adhesive layer 320 and may be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having the property of a soft cushion to give a good feeling to the skin. A protective sheet 340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skin adhesive layer 220 and may be removed before the wearer wears the mask.

보호시트(340)도 피부에 접촉하기 용이한 재질로 제작되어 착용자가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호시트(340)를 제거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즉, 착용자가 피부점착층(320)이 피부에 부착되는 것을 싫어하거나 외부 미세먼지 환경에 따라 마스크와 피부 접촉 부위의 틈새를 통해 외부 공기가 어느 정도 새어 들어와도 되는 상황에 따라 착용자의 선택을 넓힐 수 있다. 대형의 관통구가 없는 기존의 마스크에서는 마스크와 피부 접촉 부위의 틈새는 들숨 시 외부공기가 새어 들어오는 통로로서 무익한 것이지만 날숨 시에는 체내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또 다른 배출 통로로서 배기를 용이하게 하는 유익한 역할도 담당한다. The protective sheet 340 is also made of a material that is easy to contact with the skin, so that if the wearer does not want it, it can be used without removing the protective sheet 340 . That is, the wearer's choice can be broaden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which the wearer does not like the adhesion of the skin adhesive layer 320 to the skin or the external air may leak to some extent through the gap between the mask and the skin contact area according to the external fine dust environment. have. In a conventional mask without a large penetration hole, the gap between the mask and the skin contact area is useless as a passage for external air to leak during breathing in. is also responsible

따라서, 기존의 마스크에서는 날숨 시 별도의 배출 공간을 확보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틈새를 막아 버리면 상기 틈새의 순 작용인 배출 통로를 없애버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밖에 없고 이로서 마스크 내부에 체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쌓이게 됨으로써 본 발명에서와 같은 점착부(300)를 채용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있다. Therefore, in the existing mask, if the gap is blocked without securing a separate exhaust space during exhalation, it will inevitably result in the elimination of the exhaust passage, which is a net action of the gap, and thus air discharged from the body inside the mask By being piled up, it is difficult to employ the adhesive part 300 as in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서는 날숨 시 원활하게 공기를 배출 할 수 있는 대형의 관통구와 플랩(130)을 두어 날숨 배출을 원활하게 함으로서 마스크와 피부 접촉 부위의 틈새가 제공하는 순 작용인 날숨 시 배출 공간은 타 마스크와 달리 크게 필요하지 않은 상황이 되며 오히려 상기 틈새의 역작용인 들숨 시의 걸러지지 않은 공기의 유입 경로로서의 부정적인 역할만 남게 된다. However, in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through-hole and flap 130 that can smoothly discharge air during exhalation are provided to facilitate exhalation of exhalation. Unlike other masks, the mask is not greatly needed, and on the contrary, only a negative role is left as an inflow path of unfiltered air during inhalation, which is an adverse action of the gap.

따라서, 본 발명은 마스크 배면 주변부에 점착부(300)를 설치하여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로서는 콧등 부위나 턱 주위와 같인 마스크의 형상과 재질에 비추어 특히 외부 공기 유입이 쉬운 취약한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점착부(300)의 채용에 따른 또 다른 부가적인 이점은 마스크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is problem by installing the adhesive part 300 on the periphery of the back of the mask. It can also be used partially. Another additional advantage according to the adoption of the adhesive part 300 is that the mask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down.

통상의 마스크에서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강한 콧등지지 철사나 머리 또는 귀에 연결시키는 고무밴드의 강도를 강하게 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는 점착부(300)를 배면에 환형상으로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마스크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어서 콧등지지 철사나 연결 고무밴드의 강도를 낮게 하여 착용의 쾌적함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외부 공기의 상황과 착용자의 착용 만족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다양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Although a method such as strengthening the strength of a strong nose bridge support wire or a rubber band connected to the head or ears is used to prevent dripping in a conventional mask, the adhesive par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laced on the back side. It can be used wholly or partially in its shape to prevent the mask from flowing down, so it can strengthen the comfort of wearing by lowering the strength of the nose bridge support wire or connecting rubber band. We can provide a variety of products.

또한, 본 마스크는 관통구를 통해 많은 양의 습기가 날숨 시 배출된다. 특히, 겨울철과 같이 외부 온도가 낮을 경우 몸체부(110)의 배면의 관통구 및 그 주변부에 응결되는 습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마스크 배면에 제작 후 발수처리를 하거나 기 발수처리가 된 재질의 부직포나 천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 large amount of moisture is discharged during exhalation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is mask. In particular,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is low, such as in winter, in order to effectively treat the moisture condensing on the through hole on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part 110 and its periphery, water repellent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mask, or a nonwoven fabric made of a material that has been previously water repelled. You can use cloth.

발수 처리된 배면(180)은 응결된 습기를 마스크 내부에 침투시키지 않고 표면에 맺히게 하여 착용자가 운동 및 보행 등으로 흔들릴 경우 마스크 배면(180)의 하단부로 모이게 할 수 있다. 기존의 마스크는 관통구가 없기 때문에 날숨이 마스크 배면 전체에 영향을 주고 이에 따라 응결된 습기도 마스크 배면 전체에 걸쳐서 퍼져있게 된다. 따라서 통상, 습기가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을 줄이기 위해 일부 미세먼지용 마스크에서는 친수 코팅을 하여 마스크 배면 내부로 응결된 습기를 포집하였다. 그러나 이로 인해 포집된 습기는 필터 효율을 저하시키는 부작용 일으키게 되었다. The water-repellent treated back surface 180 may condense the condensed moisture on the surface without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mask, so that when the wearer is shaken due to movement or walking, it can be collected at the lower end of the mask back surface 180 . Since the existing mask does not have a through hole, exhalation affects the entire back surface of the mask, and accordingly, the condensed moisture is also spread over the entire back surface of the mask.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direct contact of moisture with the skin, some masks for fine dust are coated with a hydrophilic coating to collect the moisture that has condensed inside the back of the mask. However, the collected moisture caused the side effect of lowering the filter efficiency.

본 발명에서는 기존 마스크와 달리 날숨이 관통구를 통해 주로 배출되며 따라서 응결되는 습기도 관통구 주변에 많아지게 되어 있으므로 응결되는 습기를 보다 적극적으로 발수 처리하여 후술하는 마스크 배면 하단부에 모이게 하여 포집하면 마스크 배면의 많은 면적에서 습기가 내부로 포집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고 착용자는 보다 쾌적하며 미세먼지 포집 효율이 높은 상태로 착용이 가능하다. 이 같은 구조는 천으로 만든 마스크에서도 같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대로 하단부에 습기의 포집능력이 좋은 흡수부재(290)를 설치하여 마스크 내부를 쾌적하게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ask, exhalation is mainly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us the condensed moisture is also increased around the through ho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henomenon of moisture being captured inside a large area of the back surface, and the wearer is more comfortable and can wear it with high fine dust collection efficiency. This structure can also be applied to a mask made of cloth.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ke the inside of the mask comfortable by installing the absorbent member 290 having a good ability to trap moisture at the lower end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흡수부재(290)의 설치위치는 몸체부(110) 내측면 내에서 응축된 습기가 모일 수 있는 곳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관통구 하측에 위치한 절곡 라인 상에 설치하여 코 또는 입을 통한 들숨/날숨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bsorption member 290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place where moisture condens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 can be collected. In the embodiment of FIG. 10 ,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moisture generated by inhalation/exhalation through the nose or mouth by installing it on the bending line located below the through hol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측정부 및 연장부의 구조도를 예시한다.11 illustrate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and the ex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호흡측정부(160)의 무게를 몸체부(110)가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하 연장부(195)를 두어 그 무게를 착용자의 콧등과 턱으로 분산 시킬 수 있다. 연장부(195)는 호흡측정부(160)의 상하부에 연결되고 콧등 및 턱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클립부(196)에 연결된다. 클립부(196)는 연장부(195)의 일단으로부터 교차하여 연장되고 콧등의 형상에 맞추어 변형되며 턱에 편안하게 걸칠 수 있도록 한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ody part 110 is difficult to bear the weight of the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160, the upper and lower extension parts 195 as shown in this figure are placed and the weight is distributed to the nose bridge and chin of the wearer. can do it The extension portion 195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160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bridge of the nose and the chin, and is connected to the clip portion 196 . The clip part 196 extends crosswise from one end of the extension part 195, is deformed to fit the shape of the bridge of the nose, and can be comfortably worn on the chin.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몸체부(110)의 내부에 VOC, CO2, 미세먼지, 입냄새 등의 센서(미도시)를 부착하여 호흡하는 공기의 질에 대한 정보를 CPU부에서 취득하여 스마트폰 등에 전달하거나 스마트워치(미도시) 등 맥박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치와 함께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건강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센서(미도시)의 부착 위치는 호흡측정부(160)의 기구부나 연장부(195)에도 설치 가능하다. 이 경우 센서(미도시)로부터 신호는 연장부(195) 내부에 신호선을 포함시키고 이를 호흡측정부(160)의 회로부에 연결시킴으로써 CPU부(166)에서 신호를 검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not shown) such as VOC, CO2, fine dust, and bad breath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body unit 110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quality of the air that is breathed from the CPU unit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smart phone Health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to the user by transmitting it to the back or in conjunction with a device that can obtain pulse information, such as a smart watch (not shown).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sensor (not shown) can also be installed in the mechanism part or the extension part 195 of the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160 . In this case, the signal from the sensor (not shown) can be used by detecting the signal in the CPU unit 166 by including a signal line inside the extension 195 and connecting it to the circuit unit of the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160 .

또한 호흡측정부(160)의 기구부나 연장부(195)에는 고체산소(미도시)나 향기테라피에 사용되는 방향제(미도시)를 소형의 패키지에 넣어 이들을 탈착 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olid oxygen (not shown) or fragrance (not shown) used for fragrance therapy can be put in a small package to the mechanism or extension part 195 of the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160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마스크에서 측정한 호흡량의 누적 데이터와 스마트폰 등에서 미세먼지 상황을 보여주는 앱과 연동하여 착용자가 미세먼지 속에서 보낸 시간, 장소, 당시 미세먼지 상황, 누적 호흡량 등을 종합 평가하여 반 영구적으로 사용하는 회로측정부(160)을 제외한 나머지 소모성 부분을 교체할 수 있는 시기를 착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무선연결부(167)를 블루투스 같은 기술로 항상 스마트폰에 링크시켜 놓으면서 미세먼지 앱과 연동시키면 미세먼지가 많은 날 마스크를 놓고 스마트폰만 가지고 외출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and place the wearer spent in the fine dust in conjunction with the accumulated data of the amount of respiration measured by the mask and the app that shows the fine dust situation on a smartphone, etc. can be comprehensively evaluated to inform the wearer when the remaining consumable parts can be replaced except for the semi-permanently used circuit measurement unit 160 . In addition, if the wireless connection unit 167 is always linked to a smartphone with a technology such as Bluetooth and linked with the fine dust app,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the situation of going out with only a smartphone with a mask on a day when there is a lot of fine dust.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및 플랩의 다양한 구조도를 예시한다.12 illustrates various structural diagrams of a frame and a fl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다양한 관통구의 프레임부(220) 및 플랩(230)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frame part 220 and the flap 230 of various through-holes is shown.

이 도면의 (a)는 프레임(220) 내에 일정 형상의 서브 프레임으로서 가로서브프레임(221), 세로 서브프레임(222), 가로와 세로를 합친 크로스서브프레임(223) 및 프레임(220) 내의 일정 형상의 서브 프레임(224)을 나타내었다. (a) of this figure is a sub-frame of a certain shape within the frame 220, and a horizontal sub-frame 221, a vertical sub-frame 222, a cross-sub-frame 223 combined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and a constant within the frame 220 A sub-frame 224 of the shape is shown.

플랩(230)은 프레임(220) 및 서브 프레임(221,222,223,224)에 맞추어 프레임(220) 상부에 설치된다. The flap 230 is installed on the frame 220 in accordance with the frame 220 and the sub-frames 221 , 222 , 223 , 224 .

이 도면의 (b)에는 플랩(330)과 플랩(330)위에서 동작하는 작은 서브플랩(331)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내었다. 서브플랩(331)은 플랩(330)위에 배치되어 날숨 시 추가적인 개방구를 제공함으로써 스프츠 등 격심한 호흡 활동 시 더욱 호흡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 도면의 예에서 나타낸 다양한 프레임 및 플랩의 구조에서도 상기 실시 예에서 설명한 플랩 개방 제한부를 각각의 형상에 맞추어 변화시켜 설치 될 수 있다.In (b) of this figure,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flap 330 and the small sub-flap 331 operating on the flap 330 are shown. The sub-flap 331 is disposed on the flap 330 to provide an additional opening when exhaling, thereby making breathing more convenient during intense breathing activities such as sports. Even in the structures of various frames and flaps shown in the examples of this figure, the flap opening limiting portion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installed by changing them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shapes.

도 13은 본 발명의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과 플랩보호부가 구비된 마스크의 구성도를 예시한다.13 illustrate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ask provided with a flap and a flap pro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은 사용자가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예를 개시한다.This figure discloses an example in which the user wears the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개시하는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는 사용자의 얼굴 안면에 장착되며 관통구가 형성된 몸체부(110), 관통구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부(120), 프레임부(120)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플랩(130)을 포함한다. The mask 1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user's face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body portion 110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the frame portion 120 install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and the frame portion 120 . It includes a flap 130 to be installed.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는 사용자 호흡에 따라 플랩(130)의 운동을 지지하는 플랩 개방제한부(150)와 플랩(130)을 보호하는 플랩보호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sk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lap opening limiting part 150 for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flap 130 according to the user's breathing and a flap protecting part 170 protecting the flap 130 .

개시하는 플랩 개방제한부(150)는, 회전축(151)과, 회전축(151)에서 연장되는 제1부재(153) 및 제2부재(155), 제2부재(155)의 일단에 설치되는 중량체(157)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flap opening limiting part 150 to be disclosed is a weight installed at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151 and the first member 153 and the second member 155 and the second member 155 extending from the rotation shaft 151 . It may include a sieve 15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여기서 개시하는 실시예는 도 1에서 예시한 실시예와 유사하나 제 1 부재(153) 상에 하나 이상의 원판(152) 또는 제 1 부재(153)를 전체나 일부를 감싸는 구조의 형상물(15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is similar to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 but on the first member 153, one or more disks 152 or a shape 152 having a structure that surrounds all or part of the first member 153 is formed. may include

제1부재(153)에 하나 이상의 원판(152) 또는 제 1 부재(153)의 전체나 일부를 감싸는 구조의 부재(152)를 포함한 경우 플랩 개방제한부(150)는 마스크(100)가 사용자 호흡에 따라 원활히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first member 153 includes one or more disks 152 or a member 152 having a structure surrounding all or part of the first member 153, the flap opening limiting unit 150 is the mask 100 when the user breathes. It can be opened and closed smoothly according to the

예를 들어 제1부재(153)는 플랩(130) 상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안면이 아래를 향할 경우 플랩(130)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member 153 may be positioned on the flap 130 to support the flap 130 when the user's face faces downward.

설명한 바와 같이 플랩개방제한부(150)는 회전축(151) 및 회전축(151)에서 연장되는 제1부재(153) 및 제2부재(155)을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2부재(155)의 일단에 설치되는 중량체(157)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회전축(151)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제1부재(153) 및 제2부재(155)가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lap opening limiting unit 150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rotation shaft 151 and the first member 153 and the second member 155 extending from the rotation shaft 151 . The first member 153 and the second member are configured to include a weight body 157 installed at one end of the second member 155, and extend in different directions about the rotation shaft 151 by the principle of a lever. (155) can be interlocked to operate.

이 중 제1부재(153)는 사용자의 머리가 아래를 향할 경우 중량체(157)가 아래를 향하면서 제1부재(153)가 플랩(130)을 밀어 올리며 들숨 시 플랩(130)의 폐쇄를 도와줄 수 있다. Of these, the first member 153 pushes up the flap 130 while the weight body 157 faces downward when the user's head faces downward, and closes the flap 130 during inhalation. can help

또한 제1부재(153) 는 날숨 시 플랩(130)이 개방될 때 플랩(130)과 접촉하며 플랩(130)의 개방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부재(153)는 플랩(130)과 접촉하며 플랩(130)의 폐쇄와 개방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member 153 may be in contact with the flap 130 when the flap 130 is opened during exhalation, and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ap 130 may be determined. That is, the first member 153 may be in contact with the flap 130 and serve to control the closing and opening of the flap 130 .

그런데, 플랩(130)과 주변부는 날숨 시 배출되는 체내 습기가 응결될 수 있다. 그런 경우 플랩(130)과 그 플랩(130)의 주변부 사이에 접촉할 때 습기의 점성 저항으로 인하여 플랩(130)의 자유로운 운동이 방해될 수 있다. However, the flap 130 and the peripheral portion may condense moisture in the body discharged during exhalation. In such a case, the free movement of the flap 130 may be hindered due to the viscous resistance of moisture when in contact between the flap 130 and the periphery of the flap 130 .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제1부재(153)에 폭이 얇은 원판(152)을 설치하여 원판(152) 또는 다른 형상의 구조물(152)이 상기 플랩(130)과 제1부재(153)의 접촉점 역할을 하도록 한다.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in disc 152 is installed on the first member 153 so that the disc 152 or a structure 152 of another shape is formed between the flap 130 and the first member 153 . to act as a point of contact.

상기 제1부재(153)는, 제 1부재(153)를 감싸는 하나 이상의 원판 형상의 부재(152)를 포함하고, 원판 형상의 부재(152)는 플랩(130)과 제1부재(153)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The first member 153 includes one or more disk-shaped members 152 surrounding the first member 153 , and the disk-shaped member 152 includes the flap 130 and the first member 153 . The contact area can be minimized.

이렇게 원판(152)이 플랩과 제1부재(153)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켜 극히 작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들 간에 응결된 습기의 점성 저항을 최소화하여 플랩(130)의 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disk 152 can be made extremely small by minimiz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lap and the first member 153 . Through this, the movement of the flap 130 can be made freely by minimizing the viscous resistance of the moisture condensed between them.

결과적으로 하나 이상의 원판(152)은 플랩개방제한부(150)가 설치된 마스크(100)의 플랩(130)이 원활하게 동작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As a result, one or more disks 152 provide a means for smoothly operating the flap 130 of the mask 100 in which the flap opening limiting part 150 is installed.

이 도면에서 원판(152)은 좌우 두 개를 설치한 예를 개시하였으나 플랩(130)과 제1부재(153) 사이에 전체적인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고 플랩(130)의 개폐가 원활하도록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원판(152)이 아닌 다른 형상의 구조물도 가능하다. In this figure, the disc 152 discloses an example in which two left and right are installed, but one or more may be installed to minimize the overall contact area between the flap 130 and the first member 153 and to smoothly open and close the flap 130. can Alternatively, a structure having a shape other than the disk 152 is also possible.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도 (a) 및 측면도 (b)를 각각 예시한 도면이다. 14 is a view each illustrating a front view (a) and a side view (b)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정면도 (a)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는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부(110), 프레임부(120), 프레임부(120)에 설치되는 플랩(130), 및 플랩 개방제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front view (a), the mask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a body portion 110, a frame portion 120, a flap 130 installed on the frame portion 120, and a flap opening restriction as described above. part 150 may be included.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는 사용자 호흡에 따라 플랩(130)의 운동을 제어하는 플랩 개방제한부(150)와 플랩(130)을 보호하는 플랩보호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sk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lap opening limiting unit 150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flap 130 according to the user's breathing and a flap protecting unit 170 protecting the flap 130 .

플랩 개방제한부(150)는 회전축(151) 및 제1부재(153) 및 제2부재(155)와 연결되고 제1부재(153) 상에 매우 작은 소형의 구조물(152)이 설치된다. 여기서 구조물(152)은 원판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lap opening limiting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151 and the first member 153 and the second member 155 , and a very small structure 152 is installed on the first member 153 . Here, the structure 152 may have a shape such as a disk.

정면도 (a) 가 예시하는 바와 같이 플랩(130)은 프레임부(120) 상측에 부착된 상태로 수평방향으로 꺾이며 개방과 폐쇄를 반복한다. 약한 호흡에도 잘 동작하려면 플랩(130)의 상측에 위치한 플랩부착부(131)가 극히 유연하여야 한다. 플랩(130)은 여러 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3개 층을 가질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the front view (a), the flap 130 is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 state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ame unit 120 and repeats opening and closing. In order to work well even with weak breathing, the flap attachment part 131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lap 130 must be extremely flexible. The flap 130 may be formed of several layers, and may generally have three layers.

측면도 (b)를 참조하면, 플랩(130)은 프레임부(120)과 부착되는 플랩부착부(131)와 다 수 개의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 개의 필터들이 3개의 필터(133, 134, 135)로 구성된 예를 개시한다. Referring to the side view (b), the flap 130 may include the frame part 120 and the flap attachment part 131 attached to it, and a plurality of filters. Here,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filters is composed of three filters 133 , 134 , and 135 is disclosed.

실시예의 필터들은 미세먼지를 여과하기 위한 멜트브로운(meltblown filter; MB) 필터(133)를 포함한다. 그리고 플랩(130)의 내측과 외측에는 피부와 MB필터(133)를 보호하며 그 필터기능을 보조하는 별도의 스펀본드(spunbond; SB) 필터(134, 135)들을 포함한다. 또한 피부 측 스펀본드(SB) 필터(134)의 내측에 프레임(120)과 밀착도를 강화하기 위해 얇은 비닐막(미도시)을 프레임(120) 주변으로 둘러싸는 구조(미도시)를 추가로 택할 수도 있다. 실시예는 사용자의 피부 측 SB 필터(134) 한 층을 플랩부착부(131)로 이용하면 플랩(130) 소재의 유연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재질의 유연성을 더하기 위해 SB 필터가 생산될 때 부여된 방향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filters of the embodiment include a meltblown filter (MB) filter 133 for filtering fine dust. And,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flap 130 include separate spunbond (SB) filters 134 and 135 to protect the skin and the MB filter 133 and assist the filter function. In addition, a structure (not shown) surrounding the frame 120 with a thin vinyl film (not shown) to strengthen the adhesion with the frame 120 on the inside of the skin-side spunbond (SB) filter 134 may be additionally selected. may be In the embodiment, if one layer of the user's skin-side SB filter 134 is used as the flap attachment part 131 , it can help the flexibility of the material of the flap 130 . For example, to add flexibility to these materials, the directionality given when SB filters are produced can be us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5는 위에서 설명한 스펀본드(spunbond; SB) 필터와 플랩의 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unbond (SB) filter and the flap described above.

플랩(130) 상에는 수직융착부(136)와 수평융착부(139) 중 적어도 하나의 융착부가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수직융착부(136) 또는 수평융착부(139)의 방향을 이 도면 및 다음의 설명과 같이 하여 플랩(130)의 운동이 유연하도록 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vertical fusion part 136 and the horizontal fusion part 139 may be generated on the flap 130 .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the vertical fusion part 136 or the horizontal fusion part 139 may be as shown in this figure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make the movement of the flap 130 flexible.

스펀본드(SB) 필터는 생산 시부터 필터의 롤(236)이 회전하는 방향(화살표 137 방향) 쪽으로 유연한 특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수평융착부(139)를 롤(236)이 회전하는 방향(화살표 137 방향)에 일치시키면 스펀본드(SB) 필터를 포함하는 플랩도 수평방향으로 유연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The spunbond (SB) filter has a flexible characteristic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ll 236 of the filter rotates (arrow 137 direction) from the time of production. Accordingly, when the horizontal fusion portion 139 is aligned with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ll 236 (arrow 137 direction), the flap including the spunbond (SB) filter may also have a flexible characteristic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즉 멜트브로운(MB) 필터 및 스펀본드(SB) 필터의 생산 시 필터 롤(236)의 방향(화살표 137 방향)을 플랩(130)의 수평 방향(화살표 138 방향)과 나란히 되도록 마스크 플랩을 형성할 수 있다. 이같이 플랩의 수평방향(화살표 138 방향)을 필터생산 시 롤(236)의 방향(화살표 137 방향)과 일치시키면 플랩(130)이 수평방향으로 유연하여 잘 휘어지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약한 호흡에서도 플랩이 잘 개방 및 폐쇄가 될 수 있다. That is, when producing a melt blown (MB) filter and a spunbond (SB) filter, the mask flap is form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filter roll 236 (arrow 137 direction) is aligned with the horizontal direction (arrow 138 direction) of the flap 130 . can do. In this way, if the horizontal direction (arrow 138 direction) of the flap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arrow 137 direction) of the roll 236 during filter production, the flap 130 is flexi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it can be bent well. It can be well open and closed.

여기에 더해 사용자의 피부 측 스펀본드(SB) 필터(134)의 일면만을 플랩부착부(131)로 사용하면 플랩(130)의 유연도를 더욱 극대화하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f only one side of the user's skin side spunbond (SB) filter 134 is used as the flap attachment part 131,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urther maximize the flexibility of the flap 130.

즉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플랩은 스펀본드(spunbond) 필터와 멜트브로운 필터(meltblown)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플랩의 수평 방향(화살표 138 방향)과 상기 스펀본드 필터의 생산 시 회전하는 방향(화살표 137 방향)인 롤투롤(Roll to Roll) 방향이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flap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formed of a spunbond filter and a meltblown filter,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lap (arrow 138 direction) and the rotation direction (arrow) of the spunbond filter when producing the spunbond filter 137), the Roll to Roll direction can be matched.

또한 스펀본드(spunbond) 필터는 기구적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미세한 패턴을 그 표면에 융착시킨다. 융착 과정에서 미세한 패턴이 깊게 새겨진 면과 얕게 새겨진 면이 각각 존재한다. 피부 측 스펀본드(SB) 필터(134)가 프레임부(120)과 접촉하는 면은 상기 패턴이 얕게 새겨진 면을 선택함으로서 스펀본드(SB) 필터(134)와 프레임부(120) 상호간의 밀착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unbond filter fuses a fine pattern on its surface to maintain its mechanical shape. During the fusion process, there is a surface that is deeply engraved with a fine pattern and a surface that is shallowly engraved. The surface of the skin-side spunbond (SB) filter 134 in contact with the frame portion 120 is selected to have a shallowly engraved surface, thereby increasing the degree of adhesion between the spunbond (SB) filter 134 and the frame portion 120. can be improved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플랩에 대한 상세한 예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16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exemplary view of the flap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 도면의 예 중 (a)에서 플랩 (130)은 플랩부착부(131), 스펀본드(SB) 필터(134,135), 스펀본드 필터(134) 상에 위치한 수평융착부(139), 수직융착부(136) 및 주변융착부(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펀본드(SB) 필터(134)는 사용자 피부 측의 필터이며 스펀본드(SB) 필터(135)는 마스크 외측의 필터일 수 있다. In the example of this figure (a), the flap 130 is a flap attachment part 131, a spunbond (SB) filter 134,135, a horizontal fusion part 139 located on the spunbond filter 134, a vertical fusion part 136 and a peripheral fusion portion 132 . Here, the spunbond (SB) filter 134 may be a filter on the user's skin side, and the spunbond (SB) filter 135 may be a filter outside the mask.

일반적으로 부직포 마스크는 초음파 융착을 통해 제조되며 초음파 에너지를 공급하는 돌기 형상의 금속이 접촉하는 개시면과 융착 대상이 되는 필터들을 통과하여 마무리되는 최종 마무리 면이 존재한다. 융착 시 부직포가 녹으면서 부피가 줄고 이후 융착부위 주변에는 기구적 변형이 일어난다. 이와 같은 기구적 변형은 통상 융착개시면이 융착마무리면 보다 더욱 크게 일어난다. In general, a nonwoven mask is manufactured through ultrasonic fusion, and there is a starting surface in which the protrusion-shaped metal that supplies ultrasonic energy comes into contact with and a final finishing surface finished by passing through filters to be fused. During fusion, the nonwoven fabric melts and reduces its volume, and then mechanical deformation occurs around the fusion site. Such mechanical deformation usually occurs larger than the surface of the welding initiation surface compared to the surface of the welding finishing surface.

플랩부착부(131) 일단에는 수평융착부(139)가 위치할 수 있다. 수평융착부(139)는 피부 측의 스펀본드 필터(134)를 융착개시면으로 배치된다 그러면 수평융착부(139)는 융착 시 부피가 줄어들고 따라서 플랩(130)이 프레임부(120)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응력을 만들 수 있다. 이 같은 현상을 이용하여 수평융착부(139)는 플랩(130)이 프레임부(120)에 더욱 용이하게 접촉하도록 해 마스크(100)의 밀폐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A horizontal fusion part 139 may be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flap attachment part 131 . The horizontal fusion part 139 is arranged with the spunbond filter 134 on the skin side as the fusion start surface. Then, the horizontal fusion part 139 decreases in volume during fusion, and thus the flap 130 is bent in the frame part 120 direction. It can create stress. By using this phenomenon, the horizontal fusion part 139 may enhance the sealing property of the mask 100 by allowing the flap 130 to more easily contact the frame part 120 .

또한, 이 도면의 (a)에서 주변융착부(132)는 플랩(130)의 주변부에 위치하며 3개의 다른 필터(133,134,135)를 묶어두는 역할을 한다. 그 형태는 플랩(130) 위에 필터의 미세한 홈처럼 융착된 직선으로 형성된다. 주변융착부(132)는 융착 시 부피가 줄어들며 휘어지는 기구적 형상의 변화를 이용하여 피부 측 스펀본드(SB) 필터(134)가 프레임부(120)과 안정적으로 접촉하며 밀폐도를 극대화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대로 초음파 융착 시 융착이 개시되는 면에는 이를 통과하여 융착이 마무리되는 면보다 부피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더욱 많은 기구적 변형이 일어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주변 융착부(132)는 피부 측 스펀본드(SB) 필터(134)를 시작면으로 하여 융착이 3개 필터(133,134,135)를 뚫고 외측 스펀본드(SB) 필터(135)에서 마무리가 되게 한다. 이렇게 하면 3개 필터(133,134,135)를 융착시키면서도 플랩(130)의 주변부 형상이 프레임부(120) 방향으로 휘게 되어 프레임부(120)와 접촉 면적이 늘어남으로서 결과적으로 플랩(130)의 밀폐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 of this figure, the peripheral fusion portion 132 is located on the periphery of the flap 130 and serves to bind three other filters 133, 134, and 135 together. The shape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fused like a fine groove of a filter on the flap 130 . The peripheral fusion part 132 uses a change in the mechanical shape that reduces the volume and bends during fusion so that the skin-side spunbond (SB) filter 134 is in stable contact with the frame part 120 to maximize the sealing degree. As described above, during ultrasonic welding, more mechanical deformation occur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volume is reduced on the surface where the welding is started than the surface on which the welding is finished passing through it. Therefore, the peripheral fusion portion 132 uses the skin-side spunbond (SB) filter 134 as the starting surface, the fusion penetrates the three filters 133, 134, and 135, and is finished in the outer spunbond (SB) filter 135. In this way, while the three filters 133, 134, and 135 are fused, the shape of the periphery of the flap 130 is bent in the frame part 120 direction,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frame part 120 is increased, and consequently, the sealing degree of the flap 130 is maximized. can do.

주변융착부(132)는 플랩(130) 상에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플랩(130)의 일면에 직선, 면 또는 원형으로 융착을 할 수도 있으며 원 형상의 융착이 형성된 경우 원판융착부가 플랩(130) 일면에 위치할 수 있다.The peripheral fusion portion 13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on the flap 130 . For example, fusion may be per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lap 130 in a straight line, a surface, or a circle, and when the fusion in a circular shape is formed, a disk fusion part may be located on one surface of the flap 130 .

수평융착부, 수직융착부, 주변융착부, 또는 원판융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랩의 일면에 직선 또는 면의 형태로 융착이 형성되어 위치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fusion part, the vertical fusion part, the peripheral fusion part, or the disk fusion part may be positioned so that the fusion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lap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or a surface.

이 도면 예 중 (b)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플랩(130) 내측의 수직융착부(136)는 플랩(130)이 개방될 때 힌지(hinge) 역할을 하며 수평으로 구부러지는 플랩부착부(131) 하단을 제외한 플랩(130)의 다른 부분이 쉽게 수평방향으로 휘거나 말리지 않도록 하여 가급적 직선형태를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As illustrated in (b) of this drawing example, the vertical fusion part 136 inside the flap 130 serves as a hinge when the flap 130 is opened and the flap attachment part 131 is bent horizontally. It serves to make a straight shape as much as possible by preventing the other parts of the flap 130 from being easily bent or ro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xcept for the lower end.

그러면 플랩(130)은 사용자의 호흡에 따라 운동할 경우 플랩보호부(170)와 닿는 면적이 최소화 될 수 있다. 플랩(130)과 플랩보호부(170)가 닿는 면적이 최소화될 경우 플랩(130) 및 그 주변부에 응결된 습기와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된다. 그러면 플랩(130)의 사용자의 호흡에 따라 운동할 경우 플랩(130)이 말려 움직이지 않는 등 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n, when the flap 130 is exercised according to the user's breathing,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flap protection unit 170 can be minimized. Whe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lap 130 and the flap protection unit 170 is minimize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lap 130 and the moisture condensed on the periphery thereof is minimized. Then, when exercising according to the user's breathing of the flap 130, the flap 130 may be rolled up and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such as movement.

이 도면 (b)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수직융착부(136)가 피부 측 스펀본드(SB) 필터(134)를 융착개시면으로 설치되면 융착 시 부피가 줄어들며 플랩(130)이 프레임부(120) 방향으로 휘어지는 응력을 생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랩(130)이 더욱 안정적으로 프레임부(120)에 접촉하여 밀폐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this figure (b), when the vertical fusion part 136 is installed with the skin-side spunbond (SB) filter 134 as the fusion start surface, the volume is reduced during fusion, and the flap 130 is the frame part 120. It can create stress that bends in the direction. Accordingly, the flap 130 may more stably contact the frame portion 120 so that the sealing force can be strengthened.

이 도면의 (c)에서는 이와 같이 움직이는 플랩(130)에 대해 플랩보호부(170)을 설치한 측면도를 나타낸다. 플랩(130) 내측의 수직융착부(136)는 플랩(130)이 개방될 때 쉽게 수평방향으로 휘거나 말리지 않도록 하여 가급적 직선형태를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c) of this figure shows a side view in which the flap protection unit 170 is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flap 130 moving in this way. The vertical fusion part 136 inside the flap 130 serves to prevent it from being easily bent or ro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flap 130 is opened to make a straight shape as much as possible.

이 도면에서 플랩개방제한부(150)와 연결된 제1부재(153) 상에 원판(152)이 위치할 수 있다. 제2부재(155)상의 일단에는 중량체(157)가 사용자의 호흡에 따라 플랩(130)을 닫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부재(153) 상에 원판(152)은 사용자의 호흡에 따라 플랩(130)이 과도하게 열리는 경우에 응결 습기에 따른 점성이 생기더라도 플랩보호부(170)와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해 플랩(130) 운동이 방해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In this figure, the disc 152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member 153 connected to the flap opening limiting unit 150 . At one end of the second member 155 , a weight 157 serves to close the flap 130 according to the user's breathing. The disc 152 on the first member 153 prevents contact with the flap protection unit 170 even if viscosity occurs due to condensation moisture when the flap 130 is excessively opened according to the user's breathing. This may serve to prevent the flap 130 from being disturbed.

이 도면의 (c)에서 원판(152)이 플랩(130)과 접촉하는 부위에는 따로 원판 융착부(미도시)를 두어 원판(152)와 플랩(130) 간의 접촉면적을 더욱 줄일 수 있다. 특히 부직포로 제작된 플랩(130)의 외측 스펀본드(SB) 필터(135) 표면에 묻어있을 수 있는 보푸라기 등이 원판(152)과 접촉하며 만들 수 있는 저항을 줄일 수 있다.In (c) of this figur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disc 152 and the flap 130 can be further reduced by separately providing a disc fusion portion (not shown) at a portion where the disc 152 is in contact with the flap 130 .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sistance that can be made in contact with the original plate 152 , such as lint, which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outer spunbond (SB) filter 135 of the flap 130 made of the nonwoven fabric.

참고로 수직융착부(136)는 설명한 3개 필터(133,134,135)를 대상으로 플랩 방향의 수직으로 생성되는데 이 도면의 (c)에서 수직융착부(136)가 융착된 상태를 빗금으로 나타내었다. For reference, the vertical fusion part 136 is generated vertically in the flap direction for the three filters 133, 134, and 135 described.

한편 이 도면의 예 중 (d)는 위에서 개시한 바와 같이 플랩(130)이 수평방향으로 특히 유연하게 제작되고 수직융착부(136)가 없는 경우의 플랩(130)의 동작을 예시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xample of this figure (d)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the flap 130 when the flap 130 is particularly flexi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re is no vertical fusion portion 136 as disclosed above.

플랩 (130)상에 수직융착부(136)가 없는 경우는 플랩(130)은 날숨 시 과도하게 휘어지며 응결 습기와의 점성저항이 커져 플랩(130)은 플랩보호부(170)와 넓은 면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호흡과 응결 습기에 따른 점성저항으로 플랩(130)의 운동이 제한을 받을 수 있다.When there is no vertical fusion part 136 on the flap 130, the flap 130 is excessively bent during exhalation, and the viscous resistance with condensed moisture increases, so the flap 130 has a large area with the flap protection part 170. can be contacted In this case, the movement of the flap 130 may be restricted due to viscous resistance according to the user's breathing and condensed moisture.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플랩잠금장치와 그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ap locking device for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n operation thereof.

이 도면에서 예시한 실시예에서 프레임부(120)는 플랩(130)을 닫히게 할 수 있는 플랩잠금장치(360)를 구비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this figure, the frame unit 120 may include a flap locking device 360 capable of closing the flap 130 .

프레임부(120)의 일 측면에 플랩잠금장치(360)를 포함할 수 있는데 플랩잠금장치(360)는 핸들(361)과 잠금면(36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120)는 잠금축(363)을 상부에 포함할 수 있다. A flap locking device 360 may be included on one side of the frame unit 120 . The flap locking device 360 may include a handle 361 and a locking surface 362 . In addition, the frame part 120 may include a lock shaft 363 thereon.

사용자는 핸들(361), 잠금면(362), 및 잠금축(363)의 조작을 통해 플랩(130)의 개방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핸들(361)을 상측으로 움직이면 잠금면(362)이 플랩(130)의 외측에 놓여 플랩(130)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user may control the opening of the flap 130 through manipulation of the handle 361 , the locking surface 362 , and the locking shaft 363 . For example, when the user moves the handle 361 upward, the locking surface 362 may be placed on the outside of the flap 13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flap 130 .

사용자는 잠금축(363)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핸들(361)을 제어하여 잠금면(362)이 플랩(130)과 접촉하도록 하여 플랩(130)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제어할 수 있다.The user can control the ro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flap 130 by controlling the handle 361 moving about the lock shaft 363 so that the lock surface 36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ap 130 .

다른 예로 사용자가 핸들(361)을 하측으로 움직이면 잠금면(362)이 플랩(130)의 상면에 위치함으로써 플랩(130)이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moves the handle 361 downward, the locking surface 362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p 130 , thereby controlling the flap 130 not to be opened.

따라서, 외부에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 등 날숨의 압력으로 플랩(130)이 개방되고, 플랩(130)을 통해 외부에서 미세먼지가 마스크(100) 내부로 들어올 수 있는 위험성이 있을 때 사용자는 플랩잠금장치(360)를 통해 플랩(130)을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re is a risk that the flap 130 is opened by the pressure of exhalation, such as when a strong wind blows outside, and there is a risk that fine dust may enter the inside of the mask 100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flap 130, the user locks the flap The flap 130 can be controlled to close via the device 360 .

사용자는 지하철 내와 같이 사람들이 극히 밀집되어 있어서 본 마스크(100) 착용자의 날숨 호흡을 타인들이 느낄 수 있거나 타인에게 불편을 주는 경우 플랩잠금장치(360)를 닫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시한 마스크의 예를 플랩(130)이 없는 일반 마스크와 유사한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user may close the flap locking device 360 if people can feel the exhalation breathing of the mask 100 wearer or cause inconvenience to others because people are extremely dense, such as in the subway. Therefore, the user can use the disclosed example of the mask with a function similar to that of a general mask without the flap 130 .

또한, 약한 날숨으로 플랩(130)이 개방될 때 외부의 날벌레가 자체 힘으로 날숨의 기류를 이기며 마스크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충망과 같은 미세한 공기 개방구조(미도시)를 플랩보호부(170) 또는 프레임부(120) 내측에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lap 130 is opened with a weak exhalation, a fine air opening structure (not shown) such as an insect screen is installed in the flap protection part 170 ) or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side the frame unit 120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explaining, not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200: 플랩이 구비된 마스크
110: 몸체부
120,220: 프레임부
130,230,330: 플랩
131: 플랩부착부
133: 멜트브로운(meltblown filter; MB) 필터
132: 주변융착부
134,135: 스펀본드(spunbond; SB) 필터
136: 수직융착부
137: 롤이 회전하는 방향
138: 플랩의 수평방향
139: 수평융착부
150,250: 플랩개방제한부
151: 회전축
152: 원판
153: 제1부재
155: 제 2부재
157: 중량체
160: 호흡측정부
161 (161a, 161b), 162 (162a, 162b), 163 (163a, 163b), 262 (262a, 262b), 263 (263a, 263b), 362(362a, 362b), 363 (363a, 363b), 462 (462a, 462b), 463 (463a, 463b): 센서부
165: 센서인터페이스부
166: CPU부
167: 무선연결부
168: 배터리
170,270: 플랩보호부
180: 발수 처리된 배면
190: 지지부
195: 연장부
196: 클립부
236: 롤
264, 364, 464: 커넥터
271: 플랩보호부 개방창
290: 흡수부재
300: 점착부
310: 몸체 접착부
320: 피부 점착부
330: 중간층
340: 보호시트
360: 플랩잠금장치
361: 핸들
362: 잠금면
363: 잠금축
100,200: mask with flap
110: body part
120, 220: frame part
130,230,330: flap
131: flap attachment part
133: meltblown filter (MB) filter
132: peripheral fusion part
134,135: spunbond (SB) filter
136: vertical fusion
137: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ll rotates
138: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lap
139: horizontal fusion part
150,250: flap opening limiting part
151: rotation shaft
152: disc
153: first member
155: second member
157: heavy body
160: respiration measurement unit
161 (161a, 161b), 162 (162a, 162b), 163 (163a, 163b), 262 (262a, 262b), 263 (263a, 263b), 362 (362a, 362b), 363 (363a, 363b), 462 (462a, 462b), 463 (463a, 463b): sensor unit
165: sensor interface unit
166: CPU unit
167: wireless connection unit
168: battery
170,270: flap protection
180: water-repellent treated back
190: support
195: extension
196: clip part
236: roll
264, 364, 464: connector
271: flap protection opening window
290: absorption member
300: adhesive
310: body adhesive part
320: skin adhesion part
330: middle layer
340: protective sheet
360: flap lock
361: handle
362: lock surface
363: lock shaft

Claims (8)

안면에 장착되며 관통구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에 부착되어 연결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되어 사용자의 호흡에 따라 개폐되는 플랩(flap); 및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되어 상기 호흡에 따른 상기 플랩의 개방을 제한하는 플랩 개방제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플랩 개방제한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플랩 상으로 연장되는 제1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는 상기 플랩 상측에서 플랩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 상에 상기 플랩과 상기 제1부재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원형 부재를 포함하는, 플랩을 구비한 마스크.
a body portion mounted on the face and including a through hole;
a frame part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and attached to and connected to the body part;
a flap that is detached from the frame and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user's breathing; and
a flap opening limiting part connected to the frame part to limit the opening of the flap according to the respiration; including,
The flap opening limiting portion includes a rotation shaft and a first member extending on the flap about the rotation shaft,
wherein the first member is formed to support the flap above the flap and includes a circular member on the first member configured to minimize a contact area between the flap and the first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상기 플랩의 일단에 상기 플랩이 상기 프레임부에 접촉하도록 하는 플랩부착부를 포함하는 플랩을 구비한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flap mask having a flap including a flap attachment part at one end of the flap so that the flap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rame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필터링이 가능한 소재의 다수 필터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 필터들은 멜트브로운(meltblown filter) 필터 및 스펀본드(spunbond) 필터를 포함하는, 플랩을 구비한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flap is made of a plurality of filters of filterable material,
wherein the plurality of filters comprises a meltblown filter and a spunbond filt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spunbond) 필터는 상기 플랩의 일면을 이루고, 상기 스펀본드 필터 상에 플랩부착부가 구비되어 상기 플랩부착부가 상기 프레임부에 탈부착되도록 하는, 플랩을 구비한 마스크.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punbond filter forms one surface of the flap, and a flap attachment part is provided on the spunbond filter so that the flap attachment par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ame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스펀본드(spunbond) 필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랩의 수평방향과 상기 스펀본드 필터의 롤투롤(Roll to Roll) 방향이 일치하는, 플랩을 구비한 마스크.
2. The method of claim 1
The flap is made of a spunbond filter and
A mask having a flap, in which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lap coincides with the roll-to-roll direction of the spunbond fil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상기 플랩의 일면에 상기 플랩의 필터 방향과 수평인 수평융착부, 상기 플랩의 필터 방향과 수직인 수직융착부, 상기 플랩의 주위에 형성된 주변융착부, 또는 상기 플랩 일면에 형성된 원판융착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융착부, 상기 수직융착부, 상기 주변융착부, 또는 상기 원판융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직선 또는 면의 형태로 융착이 상기 플랩의 일면에 형성되는, 플랩을 구비한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flap is a horizontal fusion part horizontal to the filter direction of the flap on one surface of the flap, a vertical fusion part perpendicular to the filter direction of the flap, a peripheral fusion part formed around the flap, or a disk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lap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fusion part,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fusion part, the vertical fusion part, the peripheral fusion part, or the disc fusion part is a mask having a flap, wherein the fusion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lap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or a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플랩의 개폐를 제어하는 플랩잠금장치를 포함하는, 플랩을 구비한 마스크.
The method of claim 1,
A mask having a flap, wherein the frame part includes a flap locking device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flap.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잠금장치는, 핸들, 잠금면 및 잠금축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잠금축을 중심으로 상기 핸들을 제어하여 상기 잠금면이 상기 플랩과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플랩을 개폐시키는 플랩을 구비한 마스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lap locking device includes a handle, a locking surface and a locking shaft,
A mask having a fl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ap by allowing a user to control the handle around the lock shaft so that the lock surfac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ap.
KR1020200066825A 2020-06-03 2020-06-03 Mask with a flap KR1023749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825A KR102374964B1 (en) 2020-06-03 2020-06-03 Mask with a fl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825A KR102374964B1 (en) 2020-06-03 2020-06-03 Mask with a fla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9996A true KR20210149996A (en) 2021-12-10
KR102374964B1 KR102374964B1 (en) 2022-03-16

Family

ID=78865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825A KR102374964B1 (en) 2020-06-03 2020-06-03 Mask with a fl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964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8519B1 (en) * 1992-05-29 2000-06-1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Unidirectional fluid valve
JP2001309990A (en) * 2000-04-28 2001-11-06 Koken Ltd Mask
KR20020082927A (en) * 2001-04-24 2002-11-01 삼성전자 주식회사 Face mask for using in clean room
KR20150100286A (en) * 2014-02-25 2015-09-02 김병욱 Mask for exercise
KR20170105866A (en) * 2016-03-10 2017-09-20 박예진 Mask
KR101953127B1 (en) * 2018-09-11 2019-03-05 비클시스템주식회사 Facial mask
KR102035719B1 (en) * 2019-05-22 2019-10-23 박종석 A mask having an open filter
KR102059923B1 (en) * 2019-03-19 2019-12-27 박종석 A mask having an open filte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8519B1 (en) * 1992-05-29 2000-06-1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Unidirectional fluid valve
JP2001309990A (en) * 2000-04-28 2001-11-06 Koken Ltd Mask
KR20020082927A (en) * 2001-04-24 2002-11-01 삼성전자 주식회사 Face mask for using in clean room
KR20150100286A (en) * 2014-02-25 2015-09-02 김병욱 Mask for exercise
KR20170105866A (en) * 2016-03-10 2017-09-20 박예진 Mask
KR101953127B1 (en) * 2018-09-11 2019-03-05 비클시스템주식회사 Facial mask
KR102059923B1 (en) * 2019-03-19 2019-12-27 박종석 A mask having an open filter
KR102035719B1 (en) * 2019-05-22 2019-10-23 박종석 A mask having an open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964B1 (en)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990B1 (en) Mask with a flap
KR102059923B1 (en) A mask having an open filter
EP1529453B1 (en) Facemask structure improvement
US20190174845A1 (en) Protective mask with embedded nose pad
WO2004101074A1 (en) See-through mask
KR101943059B1 (en) Mask with replacable filter
KR20200079480A (en) Face mask with transparent plastic piece
KR102035719B1 (en) A mask having an open filter
AU2014309237B2 (en)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KR102242736B1 (en) Fever detection mask
CN111358084A (en) Mask
EP3099239A1 (en) Respiratory therapy systems, sensors arrangements and methods
KR20210115373A (en) A protection against dust mask
KR102374964B1 (en) Mask with a flap
CN205794905U (en) Single use medical mask
KR101083435B1 (en) Anti-fog mask
CN209300310U (en) Outdoor use mask
TWM599176U (en) Mask
KR102286176B1 (en) Nose mask for fine dust
CN212117184U (en) Multifunctional mask protective cover
RU2740137C1 (en) Protective mask (versions)
KR102327702B1 (en) functional mask with mineral powder coating filter
KR20210108910A (en) Mask with Enhanced Adsorption Function and Skin Adhesion Film for Moisture Absorption
KR102497384B1 (en) System for health examination using mask
KR20210107233A (en)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