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101B1 -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이의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이의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3101B1 KR101953101B1 KR1020160115888A KR20160115888A KR101953101B1 KR 101953101 B1 KR101953101 B1 KR 101953101B1 KR 1020160115888 A KR1020160115888 A KR 1020160115888A KR 20160115888 A KR20160115888 A KR 20160115888A KR 101953101 B1 KR101953101 B1 KR 1019531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door environment
- unit
-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ind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 사무실, 빌딩 등과 같은 실내에 설치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가 실내 환경 모니터링 동작을 추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이의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의 외부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고,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외부 네트워크간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며, 통신 단말별 네트워크 접속 이력을 획득 및 제공하는 네트워크 접속 수행부;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를 통해 실내 환경을 센싱 및 통보하되, 상기 통신 단말별 네트워크 접속 이력을 기반으로 사용자 상황을 유추하고, 상기 사용자 상황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제어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 및 상기 네트워크 접속 수행부과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의 동작 전원을 생성 및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의 외부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고,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외부 네트워크간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며, 통신 단말별 네트워크 접속 이력을 획득 및 제공하는 네트워크 접속 수행부;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를 통해 실내 환경을 센싱 및 통보하되, 상기 통신 단말별 네트워크 접속 이력을 기반으로 사용자 상황을 유추하고, 상기 사용자 상황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제어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 및 상기 네트워크 접속 수행부과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의 동작 전원을 생성 및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내 환경 센싱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집, 사무실, 빌딩 등과 같은 실내에 설치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를 통해 실내 환경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이의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공기질은 실외 보다 나쁜 경우가 많은 데, 이는 사람이 실내를 걸어 다니면서 일으키는 먼지, 벽지, 가구 등에서 뿜어져 나오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 등 많은 오염물질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특히, 주방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은 매우 위험하고 많은 양이 발생한다. 최근 이러한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실내 또는 실외 공기질을 모니터링 하는 장치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들 제품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으로 전달된다.
한편, 네트워킹 기술, 기반 소프트웨어, 및 정보 가전기기의 발전과 국내 통신 및 인프라 환경 변화, 소비자의 지능화된 홈네트워킹에 대한 욕구증가 등에 의해 홈 네트워크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가정 및 공공장소에서 액세스 포인트 및 공유기를 활용하고 있다.
현재에서는 두 가지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별도의 장치들이 필요하고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토콜들이 복잡해진다. 또한 이중의 장비들이 필요함에 따라 가격과 가정 내 전력 소모량들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집, 사무실, 빌딩 등과 같은 실내에 설치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가 실내 환경 모니터링 동작을 추가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이의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복수개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사용자 상황 등을 고려하여 수시 조정해줌으로써,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의 전력 소비량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이의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통신 단말과 외부 네트워크의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외부 네트워크간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되, 상기 통신부에 접속된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를 모니터링하는 통신 제어부;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를 구비하는 센싱부; 상기 통신 제어부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제어한 후, 상기 센싱 주기가 조정된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들을 통해 실내 환경 정보를 생성 및 출력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 및 상기 통신 제어부,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 및 상기 센싱부의 동작 전원을 생성 및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의 실내 환경 정보를 사용자 안내하거나 외부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는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를 다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그룹 단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는 상기 통신부에 접속된 통신 단말이 없는 경우, 또는 통신 단말의 접속 이력이 기 설정 시간 이상 없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모두를 끄거나 센싱 주기를 기 설정된 값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는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을 통해 학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기 설정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의 상기 실내 환경 정보를 업로드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의 실내 환경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접속 중인 통신 단말에 공유시켜 주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통신 제어부의 모니터링 결과와 상기 실내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방문한 사용자 각각에 대한 유해 물질 노출량을 계산 및 안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발광 소자,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통신 제어부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의 실내 환경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안내하는 데이터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는 버튼, 스위치, 스크롤 바, 터치 실내 환경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 제어값을 수동 입력받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는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제어값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제어값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제어값은 센서 제어값, 및 사용자 상황, 실내 환경 센서 구동 스케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무선 공유기, 유선 공유기, 액세스 포인트 및 셋탑박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부와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는 상기 무선 공유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상기 셋탑박스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유선 포트에 접속 가능한 USB(Universal Serial Bus) 동글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통신 단말과 외부 네트워크의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부;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를 구비하는 센싱부;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외부 네트워크간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고, 상기 통신부에 접속된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제어한 후, 상기 센싱 주기가 조정된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들을 통해 실내 환경 정보를 생성 및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과 상기 센싱부의 동작 전원을 생성 및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를 다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그룹 단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는 상기 통신부에 접속된 통신 단말이 없는 경우, 또는 통신 단말의 접속 이력이 기 설정 시간 이상 없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모두를 끄거나 센싱 주기를 기 설정된 값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는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을 통해 학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상기 실내 환경 정보를 업로드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환경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접속 중인 통신 단말에 공유시켜 주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 접속된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와 상기 실내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방문한 사용자 각각에 대한 유해 물질 노출량을 계산 및 안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발광 소자,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통신 제어부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의 실내 환경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안내하는 데이터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는 버튼, 스위치, 스크롤 바, 터치 실내 환경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 제어값을 수동 입력받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제어값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제어값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제어값은 센서 제어값, 및 사용자 상황, 실내 환경 센서 구동 스케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무선 공유기, 유선 공유기, 액세스 포인트 및 셋탑박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통신 단말과 외부 네트워크간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면서,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한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상기 통신 단말의 종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상기 통신 단말의 종류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 주기가 조정된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들을 통해 실내 환경을 센싱 및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집, 사무실, 빌딩 등과 같은 실내에 설치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가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실내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내 환경을 센싱하기 위한 실내 환경 센서의 경우, 전력 소모량이 큰 특징이 있음을 고려하여, 사용자 상황 등을 고려하여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능동 조정시켜 줌으로써, 실내 환경 센서로 인한 전력 소모량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동작을 위한 센싱 주기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사용자 안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정보를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저장 및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정보를 근거리 통신망내 통신 단말들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동작을 위한 센싱 주기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사용자 안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정보를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저장 및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정보를 근거리 통신망내 통신 단말들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접속 장치(100)는 무선 공유기, 유선 공유기, 액세스 포인트, 및 셋탑박스 등과 같이 실내(집, 사무실, 빌딩 등)에 위치하는 통신 단말의 외부 네트워크 접속을 지원하는 장치로, 네트워크 접속 수행 파트 이외에 실내 환경 모니터링 파트를 추가 구비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접속 장치(100)는 기존의 통신부(110), 통신 제어부(120), 전원부(130) 및 데이터 입출력부(140) 이외에 센싱부(150) 및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부(111) 및 유선 통신부(112)를 구비하고, 무선 통신부(111)를 통해서는 통신 단말 및 외부 네트워크의 무선 접속을 지원하고, 유선 통신부(112)를 통해서는 통신 단말 및 외부 네트워크의 무선 접속을 지원한다.
통신 단말 및 외부 네트워크의 무선 접속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부(111), 통신 단말 및 외부 네트워크의 유선 접속을 지원하는 유선 통신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20)는 통신부(110)에 접속된 통신 단말과 외부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며, 통신부(110)에 접속된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를 모니터링한다.
센싱부(150)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의 실내 환경(예를 들어, 화재 발생 여부, VOC, 미세먼지, 방사능 세기, 온도, 습도, 오존, 및 이산화탄소 등)을 센싱하는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151~158)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내 환경 센서(151~158)는 화재 감지 센서(151), VOC(volatile organic compound) 센서(152), 미세먼지 센서(153), 방사능 센서(154), 온도 센서(155), 습도 센서(156), 오존 센서(157), 및 이산화탄소(CO2) 센서(158)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160)는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151~158)의 센싱 결과를 수신 및 분석하여 실내 환경 정보를 생성 및 출력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120)로부터 통신부(110)에 접속된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제어하면서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의 센싱 결과에 기반한 실내 환경 정보를 생성할 수 도 있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내 환경 센서와 같이 실내 환경 센싱을 수행하는 센서는 주로 화학적 반응에 기반한 응답성을 가지는 화학 센서로 구현되는 데, 이는 히터를 내장하여 센서 온도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해야 하는 특징이 있어, 상대적으로 큰 전력 소모량을 가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네트워크 접속 장치가 설치되는 장소는 사용자가 거주 또는 출/퇴근하는 공간이므로, 실내에서 발생 가능한 사용자 상황은 시간별, 사용자별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에 사용자가 없는 상황, 사용자가 실내에서 티비를 시청하는 상황, 사용자가 실내에서 요리하는 상황, 사용자가 취침 상태인 상황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 상황별로 실내 환경 변화 패턴도 달라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용자 상황은 사용자에 의해 항시 휴대 및 사용되는 통신 단말들의 종류를 기반으로 유추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160)는 통신 제어부(120)가 기본적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통신부(110)에 접속된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를 수신 및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사용자 상황을 유추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 상황을 기반으로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151~158) 각각의 센싱 주기를 가변함으로써, 실내 환경 센서 구동에 의한 전력 소비가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해주도록 한다. 특히, 통신부에 접속된 통신 단말이 없는 경우, 또는 통신 단말의 접속 이력이 기 설정 시간 이상 없는 경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모두를 끄거나 센싱 주기를 기 설정된 값으로 증가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160)는 데이터 입출력부(140)를 직접 동작 제어하여 실내 환경 센싱 결과를 사용자에게 시청각적으로 안내하거나, 통신 제어부(120)에 제공하여 통신 제어부(120)가 실내 환경 센싱 결과를 사용자에게 시청각적으로 안내하도록 한다.
더하여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160)는 통신 제어부(120)를 통해 기 설정된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실내 환경 정보를 업로드하거나, 네트워크 접속 장치(100)에 접속된 통신 단말 모두에 실내 환경 정보를 공유시켜 줄 수도 있도록 한다. 즉, 통신 제어부(120)의 통신 기능을 통해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160)에 의해 획득된 실내 환경 정보가 보다 다양한 장치에 제공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160)는 통신부(110)에 접속된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를 기반으로 사용자 실내 방문 시간을 파악한 후, 사용자 실내 방문 시간과 실내 환경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대한 유해 물질 노출량을 계산 및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특정 사용자가 실내에 방문하는 동안 실내의 환경 오염 지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어떤 사용자가 어떤 유해 물질에 얼마의 시간만큼 노출이 되었는지를 쉽게 판단할 수 있게 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각각의 오염에 대한 누적량 또는 위험 노출 정도를 계산 및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전원부(130)는 통신 제어부(120)뿐 만 아니라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160)과 센싱부(121)의 동작 전원도 함께 생성 및 제공하도록 한다.
데이터 입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 패널, 발광 소자,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데이터 출력 수단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통신 제어부(120)의 동작 상태를 시청각으로 통보하도록 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120) 또는 통신 제어부(120) 또는 통신 제어부(120)의 제어하에 실내 환경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안내하기도 한다.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부(140)는 버튼, 스위치, 스크롤 바, 터치 실내 환경 센서와 같은 각종 사용자 제어값 입력 수단을 추가 구비하고, 이를 통해 네트워크 제어값, 센서 제어값, 및 사용자 상황, 실내 환경 센서 구동 스케쥴 등에 대한 정보를 수동 입력받을 수도 있도록 한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동작을 위한 센싱 주기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160)는 통신 단말별 네트워크 접속 이력에 상응하는 사용자 상황을 유추하기 위한 사용자 상황 판단 조건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 상황별 각각에 대응되는 실내 환경 센서 구동 조건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설정 및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160)는 도2에서와 같이 통신 제어부(120)로부터 통신부(110)에 접속된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에 대한 정보(즉, 통신 단말별 네트워크 접속 이력)를 제공받고, 이를 상기의 사용자 상황 판단 조건에 따라 분석하여 현재의 통신 단말별 네트워크 접속 이력에 대응되는 사용자 상황을 파악한다. 그리고 실내 환경 센서 구동 조건을 기반으로 현재 사용자 상황에 대응되는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조정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3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151~158)을 다수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한 후, 사용자 상황 등을 고려하여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151~158)의 센싱 주기를 그룹 단위로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VOC(volatile organic compound) 센서(152), 미세먼지 센서(153), 방사능 센서(154)를 제1 그룹으로, 온도 센서(155), 습도 센서(156), 오존 센서(157), 이산화탄소(CO2) 센서(158)을 제2 그룹으로 나눈 후, 사용자 상황이 공기 오염 유발 상황인 경우에는 제1 그룹의 실내 환경 센서만을 동작 활성화시키고, 일상 생활 상황인 경우에는 제2 그룹의 실내 환경 센서만을 동작 활성화시키도록 한다. 즉, 사용자 상황이 공기 오염 유발 상황인 경우에는 제1 그룹의 실내 환경 센서들을 이용하여 유해 물질로 인한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 및 통보하도록 하고, 일상 생활 상황인 경우에는 제2 그룹의 실내 환경 센서들을 통해 실내 주거 환경의 산소량, 이산화탄소량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화재 감지 센서(151)과 같이 항시 구동되어야 하는 실내 환경 센서는 상기의 센싱 주기 조정 동작에서 제외시켜 줄 수도 있도록 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입출력부(140)를 통해 사용자 상황 정보 및 실내 환경 센서 구동 스케쥴 정보 중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동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경우에는 수동 입력된 사용자 입력값을 최우선 순위로 하여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151~158) 각각의 센싱 주기를 가변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사용자 상황 유추 결과, 사용자 상황 수동 입력값 및 실내 환경 센서 구동 스케쥴 정보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동시 입력되는 경우에는 정보 이용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 상황 유추 결과, 사용자 상황 수동 입력값, 실내 환경 센서 구동 스케쥴 각각의 우선순위를 사전에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시 입력되는 정보들 중에서 센싱 주기 조정 동작에 활용될 정보 하나를 선택하도록 한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통신부(110)에 접속된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상황을 판단하는 과정을 거쳐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제어하는 경우에 한해 설명하였지만, 필요한 경우 통신부(110)에 접속된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곧바로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 당연할 것이다.
이때, 통신부(110)에 접속된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에 대한 정보에 따른 센서별 센싱 주기, 통신부(110)에 접속된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에 대한 정보에 따른 사용자 상황, 그리고 사용자 상황에 따른 센서별 센싱 주기는 사용자가 임의 설정하는 값일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 등을 통해 이용하여 학습되는 값일 수도 있다.
도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사용자 안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무선 공유기, 유선 공유기, 액세스 포인트, 및 셋탑박스와 같은 장치로, 이들 장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동작 상태를 시각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발광 소자와 청각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스피커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만약, 네트워크 접속 장치가 액세스 포인트로 구현된다면, 액세스 포인트는 도4에서와 같이 상태 LED 각각이 개별 설치된 다수개의 유무선 포트를 구비하게 된다. 그러면,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유무선 포트 각각에 설치된 상태 LED의 색상 가변함으로써, 화재 발생 여부, 실내 공기 오염 정도 등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즉, 화재 발생이 감지된 경우에는 상태 LED 모두의 색상을 빨강색으로 일괄 변경하고, 실내 공기질의 오염 정도에 따라 다수개 상태 LED의 색상을 기 설정된 패턴에 따라 가변함(예를 들어, 온도계 코드 방식으로 순차 가변함)으로써, 실내 환경 정보를 시각적으로 안내해준다. 물론 이와 동시에, 액세스 포인트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실내 환경 정보에 대응되는 각종 알람음을 선택적으로 재생하여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도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정보를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저장 및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접속 장치(100)가 턴온됨과 동시에 통신 제어부(120)와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160)는 동작 활성화되고,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160)는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151~158)를 통해 실내 환경 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S1).
그리고 통신 제어부(120)는 기 설정된 클라우드 서버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서버(200)에 접속한 후(S2, S3),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160)를 통해 획득된 실내 환경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업로드하도록 한다(S4).
그러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실내 환경 정보에 네트워크 접속 장치(100)의 식별 정보 또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 및 관리하여, 차후 사용자 또는 제3의 사용자가 이를 기반으로 필요 정보를 검색 및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200)는 동일 사용자 계정을 사용하는 통신 단말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고, 사용자 계정 정보를 기반으로 다수의 통신 단말에 상기 실내 환경 정보가 자동 공유될 수 있도록 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정보를 근거리 통신망내 통신 단말들과 공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되는 통신 단말은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접속 장치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외부 네트워크 즉, 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장치이다. 따라서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되는 통신 단말은 각종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 접속하여 실내 환경 모니터링용 애플리케이션 실행 파일을 다운로드 및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접속 장치(100), 특히 통신 제어부(120)는 통신 단말의 접속이 감지되면, 해당 통신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동작 활성화시킨 후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160)를 통해 획득된 실내 환경 정보를 푸쉬(push)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근거리 통신망을 형성하고, 근거리 통신망내에 위치하는 통신 단말 모두에 실내 환경 정보를 공유해줌으로써, 사용자는 실내에 입장함과 동시에 자신이 현재 통신 단말을 통해 실내 환경에 대한 각종 정보를 손쉽게 검색 및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통신 단말은 스마트 폰(301), 스마트 냉장고(302), 데스트 톱(303), 스마트 밥솥(304), 프린터(305), 스마트 티비(306), 유선 전화기(307), 노트북, 태블릿 PC 등과 같이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모든 종류의 단말일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통신 제어부(120)과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160) 각각이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7에서와 같이, 같이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장치(100')는 도1에서와 동일하게 통신부(110), 전원부(130), 데이터 입출력부(140), 및 센싱부(150)를 구현하되, 통신 제어부(120)와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130)를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 즉 제어부(170)로 통합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접속 장치(100")는 도8에서와 같이 기존의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유선 포트에 접속 가능한 USB 동글 형태로 구현되는 센싱부(150)와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160)를 구비할 수도 있도록 한다. USB 동글 형태로 구현된 센싱부(150)와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160)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하여,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동작 전원을 제공받아 동작 활성화되며,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통신 기능과 데이터 입출력 기능을 이용하여 앞서 설명된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및 안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은 통신 단말과 외부 네트워크간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면서, 통신 단말별 네트워크 접속 이력(즉,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된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을 모니터링하는 단계(S10), 단계 S10의 단계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조정하는 단계(S20), 그리고 센싱 주기가 조정된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들을 통해 실내 환경을 센싱 및 통보하는 단계(S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센싱 주기 조정 단계(S20)에서는 통신 단말별 네트워크 접속 이력으로부터 사용자 상황을 유추하여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수동 입력한 센서 제어값 및 실내 환경 센서 구동 스케쥴 정보 중 하나를 고려하여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조정할 수도 있다. 뿐 만 아니라,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를 다수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한 후, 그룹 단위로 조정할 수도 있도록 한다.
실내 환경 센싱 및 통보 단계(S30)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마련된 데이터 입출력부를 통해 실내 환경 센싱 결과를 시청각적으로 안내하거나, 기 설정된 클라우드 서버에 자동 업로드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된 통신 단말 모두에 공유해줌으로써, 실내 환경 센싱 결과가 보다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준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4)
- 통신 단말과 외부 네트워크의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외부 네트워크간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되, 상기 통신부에 접속된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를 모니터링하는 통신 제어부;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를 구비하는 센싱부;
상기 통신 제어부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제어한 후, 상기 센싱 주기가 조정된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들을 통해 실내 환경 정보를 생성 및 출력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 및
상기 통신 제어부,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 및 상기 센싱부의 동작 전원을 생성 및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의 실내 환경 정보를 사용자 안내하거나 외부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는 상기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에 상응하는 사용자 상황을 유추하기 위한 사용자 상황 판단 조건에 대한 정보와, 각 사용자 상황에 대응하는 실내 환경 센서 구동 조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는 상기 통신 제어부로부터 상기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상황 판단 조건에 따라 분석하여 사용자 상황을 파악하고, 상기 실내 환경 센서 구동 조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상황에 대응하는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는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를 다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그룹 단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는
상기 통신부에 접속된 통신 단말이 없는 경우, 또는 통신 단말의 접속 이력이 기 설정 시간 이상 없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모두를 끄거나 센싱 주기를 기 설정된 값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제1항, 제2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는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을 통해 학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기 설정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의 상기 실내 환경 정보를 업로드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의 실내 환경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접속 중인 통신 단말에 공유시켜 주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통신 제어부의 모니터링 결과와 상기 실내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방문한 사용자 각각에 대한 유해 물질 노출량을 계산 및 안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발광 소자,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통신 제어부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의 실내 환경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안내하는 데이터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는 버튼, 스위치, 스크롤 바, 터치 실내 환경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 제어값을 수동 입력받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는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제어값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제어값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어값은
센서 제어값, 및 사용자 상황, 실내 환경 센서 구동 스케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무선 공유기, 유선 공유기, 액세스 포인트 및 셋탑박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와 상기 실내 환경 모니터링부는
상기 무선 공유기, 상기 액세스 포인트, 상기 셋탑박스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유선 포트에 접속 가능한 USB(Universal Serial Bus) 동글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통신 단말과 외부 네트워크의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부;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를 구비하는 센싱부;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외부 네트워크간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고, 상기 통신부에 접속된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제어한 후, 상기 센싱 주기가 조정된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들을 통해 실내 환경 정보를 생성 및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과 상기 센싱부의 동작 전원을 생성 및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에 상응하는 사용자 상황을 유추하기 위한 사용자 상황 판단 조건에 대한 정보와, 각 사용자 상황에 대응하는 실내 환경 센서 구동 조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상황 판단 조건에 따라 분석하여 사용자 상황을 파악하고, 상기 실내 환경 센서 구동 조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상황에 대응하는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파악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를 다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그룹 단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 접속된 통신 단말이 없는 경우, 또는 통신 단말의 접속 이력이 기 설정 시간 이상 없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모두를 끄거나 센싱 주기를 기 설정된 값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제13항, 제14항,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는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을 통해 학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상기 실내 환경 정보를 업로드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환경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접속 중인 통신 단말에 공유시켜 주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 접속된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와 상기 실내 환경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방문한 사용자 각각에 대한 유해 물질 노출량을 계산 및 안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발광 소자,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제어부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실내 환경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안내하는 데이터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는 버튼, 스위치, 스크롤 바, 터치 실내 환경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 제어값을 수동 입력받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제어값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제어값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어값은
센서 제어값, 및 사용자 상황, 실내 환경 센서 구동 스케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무선 공유기, 유선 공유기, 액세스 포인트 및 셋탑박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환경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접속 장치. -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통신 단말과 외부 네트워크간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면서, 상기 네트워크 접속 장치에 접속한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상기 통신 단말의 종류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의 유무 또는 통신 단말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된 사용자 상황 판단 조건에 따라 분석하여 사용자 상황을 파악하고, 미리 저장된 실내 환경 센서 구동 조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상황에 대응하는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센싱 주기에 따라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 각각의 센싱 주기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 주기가 조정된 복수개의 실내 환경 센서들을 통해 실내 환경을 센싱 및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접속 장치의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5888A KR101953101B1 (ko) | 2016-09-08 | 2016-09-08 |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이의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 |
US15/691,166 US10648685B2 (en) | 2016-09-08 | 2017-08-30 | Network access apparatus and method for indoor environment monitoring of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5888A KR101953101B1 (ko) | 2016-09-08 | 2016-09-08 |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이의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8334A KR20180028334A (ko) | 2018-03-16 |
KR101953101B1 true KR101953101B1 (ko) | 2019-03-05 |
Family
ID=61910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5888A KR101953101B1 (ko) | 2016-09-08 | 2016-09-08 |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이의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648685B2 (ko) |
KR (1) | KR10195310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3101B1 (ko) * | 2016-09-08 | 2019-03-05 |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이의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 |
JP2019110493A (ja) * | 2017-12-20 | 2019-07-04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
WO2020106711A1 (en) * | 2018-11-20 | 2020-05-28 | Commscope Technologies Llc | Port occupancy detection for high density panels |
CN112097368A (zh) * | 2020-08-21 | 2020-12-18 | 深圳市建滔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云端深度学习的空调功耗调节方法及装置 |
KR102501189B1 (ko) * | 2020-11-23 | 2023-02-21 | 주식회사 가온글로벌 | 맨홀 복합 정보 수집 시스템 및 장치 |
CN113219345A (zh) * | 2021-03-25 | 2021-08-06 | 樊林 | 一种基于大数据的环保监测系统 |
KR20230115878A (ko) * | 2022-01-27 | 2023-08-0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2m 시스템에서 장치 그룹을 캘리브레이션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2500056B1 (ko) * | 2022-02-21 | 2023-02-16 | 가락전자 주식회사 | 경보 방송 방법 및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360461B2 (en) * | 2004-09-23 | 2008-04-22 | Aircuity, Inc. | Air monitoring system having tubing with an electrically conductive inner surface for transporting air samples |
EP1856453B1 (en) * | 2005-03-10 | 2016-07-13 | Aircuity Incorporated | Dynamic control of dilution ventilation in one-pass, critical environments |
KR20090040650A (ko) | 2007-10-22 | 2009-04-27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이통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기청정도를 모니터링하고,환기 기구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
US9055475B2 (en) * | 2013-03-15 | 2015-06-09 | Qualcomm Incorporated | Power optimizations for challenging WAN service conditions |
TWI508627B (zh) * | 2013-03-22 | 2015-11-11 | Internat Mobile Iot Corp | 照明控制系統 |
US10574474B2 (en) * | 2014-03-07 | 2020-02-25 | Ubiquiti Inc. | Integrated power receptacle wireless access point (AP) adapter devices |
KR101591934B1 (ko) * | 2014-03-27 | 2016-02-18 | 플러스기술주식회사 | 인터넷 주소를 이용한 단말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
KR101532174B1 (ko) * | 2014-07-08 | 2015-06-26 | 김영웅 | 공기질측정장치와 무선단말기를 연동한 공기질 알림장치 및 그 공기질 알림방법 |
US9310253B2 (en) * | 2014-07-14 | 2016-04-12 | Fred Katz | Single technology micro-motion occupancy sensor system |
KR20160074829A (ko) * | 2014-12-18 | 2016-06-29 |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 실내 주거 환경 센싱 및 로깅 방법 및 시스템과 실내 주거 환경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시스템 |
KR20160134023A (ko) * | 2015-05-14 | 2016-11-23 |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 복합 환경 센서 |
KR101953101B1 (ko) * | 2016-09-08 | 2019-03-05 |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이의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 |
-
2016
- 2016-09-08 KR KR1020160115888A patent/KR10195310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8-30 US US15/691,166 patent/US1064868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648685B2 (en) | 2020-05-12 |
US20190353365A9 (en) | 2019-11-21 |
KR20180028334A (ko) | 2018-03-16 |
US20190063771A1 (en) | 2019-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3101B1 (ko) |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이의 실내 환경 모니터링 방법 | |
CA2975986C (en) | Passive indoor occupancy detection and location tracking | |
US9547980B2 (en) |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EP3055844B1 (en) | Smart-home hazard detector providing useful follow up communications to detection events | |
US10001790B2 (en) | Security system with integrated HVAC control | |
Wang et al. | Anycontrol--iot based home appliances monitoring and controlling | |
US20140188287A1 (en) | iComfort: Method to measure and control your micro-climate using a smart phone | |
WO2016109198A1 (en) |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light sources according to location | |
WO2016048607A1 (en) |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depleted batteries | |
US20150112456A1 (en) | Modular wall module platform for a building control system | |
US20200182502A1 (en) | Network system | |
KR20090040650A (ko) | 이통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기청정도를 모니터링하고,환기 기구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 |
Toylan et al. | Design and application of a KNX‐based home automation simulator for smart home system education | |
JP5951536B2 (ja) | 電源遠隔制御システム | |
JP2013077901A (ja) | 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 |
JP6898315B2 (ja) | 空気処理装置の遠隔制御及び無線揮発性組成物ディスペンサの温度センサの使用による温度制御 | |
CA2964013C (en) | Method and system for home automation via thermostat | |
TW202114389A (zh) | 家電設備系統、控制方法、及控制程式 | |
TW201701171A (zh) | 電子機器控制系統、電子機器控制方法及通訊終端 | |
KR20120051123A (ko)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환경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 |
US10642234B2 (en) | System for managing the energy consumption of a building | |
KR102107651B1 (ko) | 공기조화 유닛의 관리 시스템 | |
KR20200076560A (ko) | 센서 일체형 통신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
JP2019029679A (ja) | リモコン装置および操作装置 | |
TWI612818B (zh) | 電視控制家電之系統及其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