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851B1 -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851B1
KR101952851B1 KR1020130056377A KR20130056377A KR101952851B1 KR 101952851 B1 KR101952851 B1 KR 101952851B1 KR 1020130056377 A KR1020130056377 A KR 1020130056377A KR 20130056377 A KR20130056377 A KR 20130056377A KR 101952851 B1 KR101952851 B1 KR 101952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pattern
radiator
frame
pattern portion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6187A (ko
Inventor
임대기
홍하룡
남현길
이대규
김남기
전대성
박현도
배상우
조성은
안찬광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6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851B1/ko
Publication of KR20140136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31Telephones, Earphones
    • B29L2031/3437Cellular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안테나 패턴부와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단자부를 구비하는 방사체; 및 상기 연결 단자부가 타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상기 타면의 반대면인 일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방사체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형성되는 몰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면의 중심 부분이 일부 절개되어 일면에서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압착 변형된 코킹부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일면 및 타면 방향에 모두 상기 몰딩 프레임이 형성되어 상기 몰딩 프레임의 내부에 몰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Radiator frame having antenna pattern embeded therein, antenna pattern frame including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reof}
본 발명은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핸드폰, PDA, 네비게이션, 노트북 컴퓨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사회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장치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CDMA, 무선랜, GSM, DMB 등의 기능이 부가되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들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가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안테나는 로드 안테나나 헬리컬 안테나와 같은 외장형 타입에서 단말기 내부에 배치하는 내장형 타입으로 발전되는 경향이다.
외장형 타입은 외부의 충격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내장형 타입은 단말기 자체의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일체화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에는 방사체를 몰드 사출 성형하여 방사체 프레임을 형성하여 이를 직접 활용하거나, 또는, 상기 방사체 프레임을 다시 사출하여 방사체가 안테나 패턴 프레임 또는 전자장치 케이스 내에 매립되도록 하는 방안이 이용되고 있다.
이렇게 방사체가 방사체 프레임 내부에 몰딩 고정되는 경우에는 방사체가 방사체 프레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방사체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스파이크(spike, 방사체 프레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고정 돌기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스파이크가 구비됨으로 인해 방사체와 무관한 추가의 스터브가 구비된 꼴이 될 수 있으며, 방사체의 중앙 부분은 고정되지 않아 들뜸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방사체의 중앙부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종래의 스파이크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사체의 중앙부 구조 변경에 의해 더욱 향상된 방사성능과 더욱 향상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 프레임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안테나 패턴부와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단자부를 구비하는 방사체; 및 상기 연결 단자부가 타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상기 타면의 반대면인 일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방사체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형성되는 몰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면의 중심 부분이 일부 절개되어 일면에서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압착 변형된 코킹부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일면 및 타면 방향에 모두 상기 몰딩 프레임이 형성되어 상기 몰딩 프레임의 내부에 몰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 프레임에서 상기 코킹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 프레임에서 상기 코킹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중심 부분을 폭방향으로 일부 절개한 후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압착 변형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 프레임에서 상기 코킹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길이방향 단면이 'V' 또는 'U'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 프레임에서 상기 코킹부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상기 몰딩 프레임이 일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전자장치 케이스; 상기 전자장치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방사체 프레임; 및 상기 연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방사체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방사체로 신호를 송신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안테나 패턴부와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단자부를 구비하는 방사체와, 상기 연결 단자부가 타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상기 타면의 반대면인 일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방사체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형성되는 몰딩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사체 프레임; 및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일면을 덮어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상기 방사체 프레임과 사이에서 매립되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면의 중심 부분이 일부 절개되어 일면에서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압착 변형된 코킹부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일면 및 타면 방향에 모두 상기 몰딩 프레임이 형성되어 상기 몰딩 프레임의 내부에 몰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에서 상기 코킹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에서 상기 코킹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중심 부분을 폭방향으로 일부 절개한 후 압착 변형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에서 상기 코킹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길이방향 단면이 'V' 또는 'U'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에서 상기 코킹부의 일면에는 상기 몰딩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전자장치 케이스; 상기 전자장치 케이스에 장착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상기 연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방사체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방사체로 신호를 송신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케이스는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안테나 패턴부와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단자부를 구비하는 방사체와, 상기 연결 단자부가 타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상기 타면의 반대면인 일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방사체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형성되는 몰딩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사체 프레임; 및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일면을 덮어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상기 방사체 프레임과 사이에서 매립되도록 몰드 사출 성형되고, 전자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면의 중심 부분이 일부 절개되어 일면에서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압착 변형된 코킹부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일면 및 타면 방향에 모두 상기 몰딩 프레임이 형성되어 상기 몰딩 프레임의 내부에 몰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전자장치 케이스; 및 상기 연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방사체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방사체로 신호를 송신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방사체의 중앙부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종래의 스파이크를 대체할 수 있는 몰딩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방사체의 중앙부 구조 변경에 의해 더욱 향상된 방사성능과 더욱 향상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에 방사체 프레임이 결합하는 형상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조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습을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 프레임에 제공되는 방사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 프레임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 부분을 절단한 개략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에 안테나 패턴 프레임이 결합하는 형상으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은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조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습을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방사체가 매립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을 도 4의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에 안테나 패턴 프레임이 몰딩된 형상으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은 케이스를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 또는 유사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에 방사체 프레임이 결합하는 형상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조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습을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410)와 배터리 장착부와 방사체 프레임(200)을 덮어주는 배터리 커버(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사체 프레임(200)은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가 몰딩 프레임(210)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에는 면의 중심 부분이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코킹(calking)되어 상기 몰딩 프레임(210)의 내부에 몰딩되는 코킹부(115)를 적어도 하나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킹부(115)가 상기 몰딩 프레임(210)의 내부에 몰딩 고정 됨으로써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는 중심부의 들뜸이 방지되고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사체(100)는 회로기판(500)의 단자(51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단자부(1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단자부(130)가 상기 회로기판(500)의 단자(510)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장착되는 방사체 프레임(300)이 이동통신 단말기(400)에서의 안테나 성능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단자부(130)는 상기 단자(510)와의 연결 신뢰성 확보를 위해 탄성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400) 등의 전자장치에 장착되면 배터리 커버(420)를 덮지 않으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방사체 프레임(200)에서 안테나 패턴부(110)가 노출되는 일면의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 및 상기 몰딩 프레임(210)에는 보호피막(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사체 프레임(200)은 이동통신 단말기(400) 등의 전자장치에 장착되는데, 이 경우 상기 방사체 프레임(200)의 외면에는 추가로 피막 등을 덮을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방사체 프레임(200)에서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가 외부로 노출되는 일면에는 추가로 피막 등을 덮을 수 있다. 비록, 배터리 커버(420)까지 덮은 상태에서는 상기 방사체 프레임(2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문제가 없으나, 배터리 등의 교환을 위해 상기 배터리 커버(420)를 열었을 경우에는 상기 방사체 프레임(200)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이러한 경우에 외형 디지인을 고려하기 위함이다. 가령, 상기 피막은 도장, 도색 등에 의해 액체를 살포하여 즉석에서 형성하거나, 필름, 코팅 등의 기성품을 부착하여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 프레임에 제공되는 방사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방사체 프레임(200)은 방사체(100)가 몰드 사출 성형되어 제조되며, 상기 방사체 프레임(200)에 제공되는 상기 방사체(100)는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110)와 상기 신호가 전자장치의 회로기판(500)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하는 연결 단자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 프레임(200)에 제공되는 방사체(100)는 안테나 패턴부(110), 연결부(120) 및 연결 단자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는 면의 중심 부분이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코킹(calking)되는 코킹부(115)를 적어도 하나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사체(100)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도전체로 이루어져 외부신호를 수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400)와 같은 전자장치의 신호 처리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체(100)는 다양한 대역의 외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미앤더 라인(Meander line)을 이루는 안테나 패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사체(100)는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110)와 상기 외부 신호를 전자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전자장치의 회로기판(500)과 컨택되는 연결 단자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체(100)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와 상기 연결 단자부(130)를 각각 절곡하여 3차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와 상기 연결 단자부(130)는 연결부(1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가 상기 몰딩 프레임(210)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단자부(130)는 상기 몰딩 프레임(210)의 타면에 형성되도록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와 상기 연결 단자부(130)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는 면의 중심 부분이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코킹(calking)되는 코킹부(115)를 적어도 하나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킹부(115)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의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킹부(115)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의 중심 부분을 폭방향으로 일부 절개한 후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압착 변형한 것일 수 있으며, 단면이 'V' 또는 'U'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의 도시에서는 상기 코킹부(115)의 단면이 'V'인 형상만 도시하나, 이는 'U'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상기 연결부(120)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와 상기 연결 단자부(130)를 다른 평면 상에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에 매립되지 않는 상기 연결 단자부(130)를 안테나 패턴부(110)가 형성된 일면의 반대면에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단자부(130)는 안테나 패턴부(110)로 부터 수신된 신호를 전자장치의 회로기판(500)에 송신되도록 하며, 신호전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회로기판(500)의 단자(510)와 탄성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연결 단자부(130)는 탄성력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즉, 안테나 패턴(110)이 매립된 방사체 프레임(200)을 사출 성형한 후 상기 연결 단자부(130)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연결 단자부(130)를 외력을 가하여 구부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부(120)와 상기 연결 단자부(130)의 경계에 일면에서 타면으로 압착에 의해 형성된 보강앰보 등의 보강부(미도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 단자부(130)의 탄성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미도시)로 인해 상기 연결부(120)와 상기 연결 단자부(130)의 경계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연결 단자부(1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미도시)는 상기 연결부(120)와 상기 연결 단자부(130)의 경계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강비드이거나, 상기 연결부(120)와 상기 연결 단자부(130)의 경계를 라운드지게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강부(미도시)는 앞서 언급한 보강비드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연결 단자부(130)의 탄성력을 확보하고 외력에 의한 상기 연결 단자부(1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면 변경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 프레임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 부분을 절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체 프레임(200)은 방사체(100) 및 몰딩 프레임(21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사체(100)의 구성은 앞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몰딩 프레임(210)은 상기 방사체(100)가 몰드 사출 성형되어 제조되며, 상기 연결 단자부(130)는 탄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방사체(100)의 몰드 사출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연결 단자부(130)를 상기 몰딩 프레임(210)에서 이격되도록 회전 절곡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방사체(100)가 탄성체로 구비되므로 자연스럽게 상기 연결 단자부(130)는 탄성을 구비할 수 있다. 기타, 탄성력을 보강하기 위한 구조는 앞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상기 몰딩 프레임(210)은 사출 구조물로,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는 몰딩 프레임(210)의 일면(210a)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 단자부(130)는 상기 일면(210a)의 반대면인 타면(210b)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에 구비되는 코킹부(115)의 일면은 상기 몰딩 프레임(210)에 의해 막힐 수 있다. 즉, 상기 코킹부(115)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와 다른 평면 상에 구비되도록 압착된 것이므로 상기 몰딩 프레임(210)의 형성을 위해 몰딩 수지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코킹부(115)의 일면 부분에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와 동일 평면에 해당하는 부분까지 몰딩 수지가 채워져서 상기 몰딩 프레임(2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에 안테나 패턴 프레임이 결합하는 형상으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은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프레임을 이용하여 제조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습을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600)의 케이스(610)에는 안테나 패턴부(110)를 포함하는 방사체(100)가 매립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이 장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6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400)와 비교할 때, 안테나 패턴부(110)를 몰딩 사출하여 몰딩 프레임(210)을 포함하는 방사체 프레임(200)을 형성하는 1차 몰딩과 상기 방사체 프레임(200)을 몰딩 사출하여 커버 프레임(250)을 형성하는 2차 몰딩 과정을 거치는 이중몰딩 방식으로 안테나 패턴부(110)를 몰드 사출한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1차 몰딩 과정만을 거치 방사체 프레임(200)을 기구적인 방식으로 전자장치의 케이스 내측에 위치하도록 장착하는 방식이다.
방식에 차이는 있지만,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400)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600)는 모두 방사체 프레임(200)을 구비하는 것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은 상기 안테나 패턴부(110)가 몰딩 프레임(210)과 커버 프레임(250) 사이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사체(1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따른 전자장치(400)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사체(100)는 회로기판(500)의 단자(51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단자부(1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단자부(130)가 상기 회로기판(500)의 단자(510)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자장치 케이스(610)에 장착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이 이동통신 단말기(600)에서의 안테나 성능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단자부(130)는 상기 단자(510)와의 연결 신뢰성 확보를 위해 탄성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의 적어도 일측에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4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메인케이스(520)와의 체결을 위해 체결부(320)가 구비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체결부(320)는 상기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메인케이스(500)는 상기 체결부(320)와 대응되는 체결라인홈(525)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부(320)가 상기 체결라인홈(525)에 삽입되고 슬라이딩되어 체결될 수 있다. 다만,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320)가 상기 메인케이스(520)에 형성되고 체결라인홈(525)이 상기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전자장치 케이스(300)에 형성되어 슬라이딩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체결 방식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안테나 패턴(100) 및 상기 안테나 패턴(100)을 몰드 사출하여 방사체 프레임(200)을 형성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즉, 상기 방사체 프레임(200)을 몰딩 사출하여 커버 프레임(250)을 형성하는 2차 몰딩 과정을 거치는 이중몰딩 방식으로 안테나 패턴부(110)를 몰드 사출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방사체가 매립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을 도 4의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은 방사체 프레임(200) 및 커버 프레임(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250)은 상기 방사체 프레임(200)과 대응되는 형상의 방사체 수용홈을 가지는 별도의 사출물로 제공하고, 상기 방사체 수용홈에 상기 방사체 프레임(200)을 접착시켜서 안테나 패턴 방사체가 매립된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패턴 방사체가 매립된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의 제조방법은 상기 방사체(100)와 상기 몰딩 프레임(210)을 일체화한 방사체 프레임(200)을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조금형에 배치하고 수지재를 유입시켜서 방사체 프레임(200)을 수지재가 경화하여 형성되는 커버 프레임(250)과 일체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사체 프레임(200)을 몰드 사출하여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은 이동통신 단말기(400) 등의 전자장치에 장착되는데, 이 경우 상기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의 외면에는 추가로 피막 등을 덮을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커버 프레임(250)의 외면에는 추가로 피막 등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외형 디지인을 고려하기 위함이다. 가령, 상기 피막은 도장, 도색 등에 의해 액체를 살포하여 즉석에서 형성되거나, 필름, 코팅지 등의 기성품을 부착하여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에 안테나 패턴 프레임이 몰딩된 형상으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은 케이스를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700)의 케이스(710)에는 안테나 패턴부(110)를 포함하는 방사체(100)가 매립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300)이 매립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700)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600)와 비교할 때, 이중몰딩 방식으로 안테나 패턴부(110)를 몰드 사출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안테나 패턴부(110)를 몰딩 사출하여 몰딩 프레임(210)을 포함하는 방사체 프레임(200)을 형성하는 1차 몰딩과 상기 방사체 프레임(200)을 몰딩 사출하여 케이스 프레임(710)을 형성하는 2차 몰딩 과정을 거친다는 점에서 차별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600)는 2차 몰딩의 결과물이 커버 프레임(250)이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700)는 2차 몰딩의 결과물이 케이스 프레임(710), 즉, 케이스 자체인 것에서 차별된다. 그 이외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인 이동통신 단말기(600)의 제조는 2차 몰딩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추가로 구비되는 부분이 케이스(710) 자체일 수 있다.
100: 방사체 110: 안테나 패턴부
120: 연결부 130: 연결 단자부
200: 방사체 프레임 210: 몰딩 프레임
220: 방사체 지지부 250: 커버 프레임
300: 안테나 패턴 프레임
400, 600, 700: 이동통신 단말기

Claims (14)

  1.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안테나 패턴부와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단자부를 구비하는 방사체; 및
    상기 연결 단자부가 타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상기 타면의 반대면인 일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방사체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형성되는 몰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면의 중심 부분이 일부 절개되어 일면에서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압착 변형된 코킹부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일면 및 타면 방향에 모두 상기 몰딩 프레임이 형성되어 상기 몰딩 프레임의 내부에 몰딩되는 방사체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방사체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중심 부분을 폭방향으로 일부 절개한 후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압착 변형한 것인 방사체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길이방향 단면이 'V' 또는 'U' 형상인 방사체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상기 몰딩 프레임이 일면으로 노출되는 방사체 프레임.
  6. 전자장치 케이스;
    상기 전자장치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사체 프레임; 및
    상기 연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방사체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방사체로 신호를 송신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7.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안테나 패턴부와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단자부를 구비하는 방사체와, 상기 연결 단자부가 타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상기 타면의 반대면인 일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방사체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형성되는 몰딩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사체 프레임; 및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일면을 덮어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상기 방사체 프레임과 사이에서 매립되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면의 중심 부분이 일부 절개되어 일면에서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압착 변형된 코킹부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일면 및 타면 방향에 모두 상기 몰딩 프레임이 형성되어 상기 몰딩 프레임의 내부에 몰딩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중심 부분을 폭방향으로 일부 절개한 후 압착 변형한 것인 안테나 패턴 프레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길이방향 단면이 'V' 또는 'U' 형상인 안테나 패턴 프레임.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부의 일면에는 상기 몰딩 프레임이 구비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12. 전자장치 케이스;
    상기 전자장치 케이스에 장착되는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상기 연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방사체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방사체로 신호를 송신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13.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 패턴부와 상기 안테나 패턴부와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단자부를 구비하는 방사체와, 상기 연결 단자부가 타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상기 타면의 반대면인 일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방사체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형성되는 몰딩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사체 프레임; 및
    상기 방사체 프레임의 일면을 덮어 상기 안테나 패턴부가 상기 방사체 프레임과 사이에서 매립되도록 몰드 사출 성형되고, 전자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패턴부는 면의 중심 부분이 일부 절개되어 일면에서 타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압착 변형된 코킹부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코킹부는 상기 안테나 패턴부의 일면 및 타면 방향에 모두 상기 몰딩 프레임이 형성되어 상기 몰딩 프레임의 내부에 몰딩되는 전자장치 케이스.
  14. 제13항에 기재된 전자장치 케이스; 및
    상기 연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방사체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방사체로 신호를 송신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0130056377A 2013-05-20 2013-05-20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1952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377A KR101952851B1 (ko) 2013-05-20 2013-05-20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377A KR101952851B1 (ko) 2013-05-20 2013-05-20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187A KR20140136187A (ko) 2014-11-28
KR101952851B1 true KR101952851B1 (ko) 2019-02-27

Family

ID=52456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377A KR101952851B1 (ko) 2013-05-20 2013-05-20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85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840B1 (ko) * 2002-12-27 2005-04-22 차경완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와 그 제조방법
JP2008098815A (ja) * 2006-10-10 2008-04-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装置
KR20100117009A (ko) * 2009-10-12 2010-1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장치 케이스, 그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187A (ko) 201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666B1 (ko)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전자장치 케이스, 이의 제조방법,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제조 금형 및 전자장치
KR101133325B1 (ko) 안테나 방사체, 다수의 안테나 패턴 방사체가 매립되는 전자장치의 케이스 제조방법 및 전자장치 케이스
EP2302733A2 (en) Antenna pattern frame, method and mol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nic device case, and electronic device
CN101872888A (zh) 电子装置外壳及其制造方法和模具以及移动通信终端
KR101397824B1 (ko)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방사체 프레임의 제조금형
KR101101468B1 (ko) 전자장치 케이스 및 이의 제조금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397747B1 (ko)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KR101915577B1 (ko) 차량용 통합 안테나
KR101952852B1 (ko)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1630126B1 (ko) 안테나 패턴을 구비하는 방사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1179357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안테나 패턴 프레임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케이스 및 전자장치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1412888B1 (ko)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방사체 프레임 제조 금형
KR101952851B1 (ko)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1113346B1 (ko) 안테나 방사체가 매립되는 전자장치 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KR101025941B1 (ko) 안테나 방사체 및 이를 이용한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방법
US20160219135A1 (en) Radiator frame having antenna pattern embedded therei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adiator fr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adiator frame
KR101952849B1 (ko) 안테나 패턴을 구비하는 방사체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1643928B1 (ko) 안테나 구조체
KR101598293B1 (ko) 안테나 패턴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1328245B1 (ko)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전자장치 케이스,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안테나 패턴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KR101651902B1 (ko) 안테나 구조체의 제조 방법
KR20150014117A (ko)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방사체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101471422B1 (ko) 안테나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133314B1 (ko) 안테나 패턴이 매립되는 전자장치의 케이스, 이의 제조금형 및 제조방법
KR20160046766A (ko) 안테나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