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306B1 - 도로용 돌출 차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돌출 차선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로용 돌출 차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돌출 차선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306B1
KR101952306B1 KR1020180040133A KR20180040133A KR101952306B1 KR 101952306 B1 KR101952306 B1 KR 101952306B1 KR 1020180040133 A KR1020180040133 A KR 1020180040133A KR 20180040133 A KR20180040133 A KR 20180040133A KR 101952306 B1 KR101952306 B1 KR 101952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ane
protruding
weight
proj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준
Original Assignee
박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범준 filed Critical 박범준
Priority to KR1020180040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3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6Means for dispensing particulate material on to freshly applied markings or into the marking material after discharge thereof, e.g. reflective beads, grip-improving p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돌출 차선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따르면 차선에 요철을 형성하는 돌출부 조성물과, 상기 돌출부 조성물을 덮는 표면부 조성물을 포함하여 차선을 형성함으로써, 요철의 기계적 강도를 개선하면서도 차선의 식별성과 시인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일정한 작업처리로 쉽고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작업에 따른 노동력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 조성물 및 표면부 조성물에 각각 탄소섬유 및 실리콘 화합물을 더 포함하여 전단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을 크게 개선시켜 시공품질을 높이고 돌출부와 표면부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용 돌출 차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돌출 차선 시공방법{A composition of projecting type traffic line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ojecting type traffic lin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도로용 돌출 차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돌출 차선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선에 요철을 형성하는 돌출부 조성물과, 상기 돌출부 조성물을 덮는 표면부 조성물을 포함하여, 요철의 기계적 강도를 개선하면서도 시공성 및 식별성을 개선할 수 있는 도로용 돌출 차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돌출 차선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노면에는 차량의 주행방향을 분리하거나 차량 간의 주행 구간을 분리하기 위하여 중앙선이나 주행차선 등을 각각 색상별(예를 들면 황색, 흰색 등)로 구분하여 표시차선을 도색하게 된다. 나아가 표시차선에는 사람들의 횡단지역임을 표시하는 횡단보도선 등 다양한 형태의 차선을 규정한 후 시공하고 있다.
그런데 노면의 표면에 시공된 표시차선의 경우 주간에는 식별이 용이하지만, 야간 또는 우천 시에는 운전자가 충분히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시인성이 보장되지 못하며, 야간이나 우천 시 운전에 위험성을 가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도로의 노면에 시공되는 표시차선의 도료에 글라스비드(glass bead)를 함유시킨 후 도색하여 아간 및 우천 시 차량의 전조등 또는 가로등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므로 운전자 및 보행자가 표시차선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차선의 도색은 도료를 압축하여 분사하는 형태의 시공방법과, 도료를 용융시킨 후 노면에 흘려 융착시키는 형태의 시공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 도로의 노면에 차선시공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차선표시용 시공 장치를 통해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돌출부 형성을 위한 차선 조성물 및 시공방법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98894 등이 있으며, 상기 특허에서는 주도료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2액형 차선 조성물과, 실란 코팅된 글라스 비드를 이용하여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글라스 비드를 차선 조성물에 혼합하는 것이 아닌, 차선 조성물이 도포된 표면에 글라스 비드를 살포하는 시공방법을 도입하여 요철인 비드의 부착강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997-0003925 (1997년 02월 1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선에 요철을 형성하는 돌출부 조성물과, 상기 돌출부 조성물을 덮는 표면부 조성물을 포함하여, 요철의 기계적 강도를 개선하면서도 시공성 및 식별성을 개선할 수 있는 도로용 돌출 차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돌출 차선의 시공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돌출부 조성물 및 표면부 조성물에 각각 탄소섬유 및 실리콘 화합물을 더 포함하여 전단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을 크게 개선시킨 도로용 돌출 차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돌출 차선의 시공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로용 돌출 차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돌출 차선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아크릴계 중합체 20 내지 50 중량%, 우레탄계 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에폭시계 화합물 0.1 내지 20 중량% 및 메타크릴산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돌출부 조성물;과 아크릴계 중합체 20 내지 50 중량%, 우레탄계 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무기필러 0.1 내지 20 중량%, 에폭시계 중합체 0.1 내지 20 중량%, 안료 0.1 내지 20 중량% 및 메타크릴산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표면부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은 다반응성 에폭시 수지 및 실리콘 결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돌출 차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기필러는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이산화세륨, 산화지르코늄, 산화알루미늄, 산화게르마늄 및 산화아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으며, 상기 다반응성 에폭시 수지는 이소시아네이트 개질된 에폭시 수지, 부타디엔-아크릴니트릴 고무 개질된 에폭시 수지, 다작용기 에폭시-페놀 노보락 수지 및 비스페놀-A계 또는 시클로지방족 에폭시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 결합제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HaR1 bSiOH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C20)알킬이며;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되, a + b = 3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 조성물은 길이 10 내지 100㎛의 탄소섬유 0.1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면부 조성물은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및 실리카 비드 혼합물 0.1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및 실리카 비드는 5 내지 8 : 1 내지 5 중량비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를 이용한 돌출 차선 시공방법으로, 상기 시공방법은,
a) 상기 조성비에 따른 돌출부 조성물을 수용하는 제1호퍼 및 이를 피도포체에 도포하는 도료토출부재를 포함하는 토출시공부를 이용하여 피도포체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돌출부 조성물 및 피도포체를 동시에 덮도록 상기 조성비에 따른 표면부 조성물을 수용하는 제2호퍼 및 이를 상기 돌출부 조성물 및 피도포체에 도포하는 제1도료분사부재를 포함하는 메인분사시공부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 조성물 및 피도포체 표면에 도포하여 표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돌출부 및 표면부를 경화하여 양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는 내부에 상기 표면부의 양측 일부에 적층되는 표시부 조성물을 수용하는 도료탱크 및 상기 표시부 조성물을 도포하는 제2도료분사부재를 포함하는 보조분사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 조성물 및 표면부 조성물은 다반응성 에폭시 수지 및 실리콘 결합제를 포함하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돌출 차선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따르면 차선에 요철을 형성하는 돌출부 조성물과, 상기 돌출부 조성물을 덮는 표면부 조성물을 포함하여 차선을 형성함으로써, 요철의 기계적 강도를 개선하면서도 차선의 식별성과 시인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일정한 작업처리로 쉽고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작업에 따른 노동력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 조성물 및 표면부 조성물에 각각 탄소섬유 및 실리콘 화합물을 더 포함하여 전단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을 크게 개선시켜 시공품질을 높이고 돌출부와 표면부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우천형 돌출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에 의해 차선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의 토출토출부재 및 도료공급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의 프레스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의 도료토출부재 및 브릿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구체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돌출 차선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돌출 차선 조성물은 차선이 형성되는 영역에 일정 크기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돌출부 조성물과 상기 돌출부를 포함하여 도로의 일부를 피복하는 표면부 조성물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부 조성물은 아크릴계 중합체, 우레탄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및 메타크릴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면부 조성물은 아크릴계 중합체, 우레탄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무기필러, 안료 및 메타크릴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분자 내에 아크릴기를 갖고 있으며, 아크릴계 단량체로부터 중합된 중합체라면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제조방법을 한정하지 않으며, 일예로 아크릴계 모노머나 아크릴계 모노머에 다른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의 일예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이드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에스테르, 테트라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실에틸 디이소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알킬에스테르 아크릴산, 하이드록시알킬에스테르 아크릴산, 하이드록시 알킬 에스테르 메타아크릴 산, 부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크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크,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카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이드 비스페놀-A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칠렌글리콜 트리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트리 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트리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이드 비스페놀-A 트리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아크릴디올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비닐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1-메틸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판디올디 메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 메틸 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 메틸아크릴레이트, 옥산디올디 메틸아크릴레이트, 노나네디올디 메틸아크릴레이트, 데칸디올디 메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프로판트리 메타아크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 메타아크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에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카두라아크릴레이트, 카두라메타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메타크릴레이트,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변성 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변성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노말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헥실메타크릴에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터셔리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노말옥틸아크릴에이트, 이소보닐아크리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1관능성 이상의 아크릴 모노머 및 당량체 1종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중 가사시간, 건조시간, 내마모성 및 소지와의 부착력, 인장강도, 접착강도, 굽힘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 등의 측면에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HPMA)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 수지는 분자 내에 아민기, 수산기, 카르복실기 등의 관능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크릴 수지는 분자 내에 힌더드 아민(hindered amine)계 광안정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성 단량체, 산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를 공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성 단량체로는 4-(메타)아크릴로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메타)아크릴로일옥시-1,2,2,6,6-펜타메틸피페리딘, 4-(메타)아크릴로일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등이 있고, 산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말레산 등이 있으며, 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상기 모노머의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가 중합되는 것으로 도료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으나, 바인더 역할을 할 수 있을 정도인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 내지 500,000 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는 전체 돌출부 조성물 및 표면부 조성물 100 중량% 대비 각각 20 내지 5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20 중량% 미만 포함되는 경우 도로 노면과의 부착성이 떨어지고 내구성을 높일 수 없으며, 50 중량% 초과 첨가되는 경우 조성물의 도포 시 조성물이 가는 실 모양으로 날리는 실킹(silking) 현상이 발생하여 차선의 외관이 불량하게 된다.
상기 메카크릴산은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와 혼합되어 시공 후에 도막의 결합강도, 내구성 및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후술할 다른 첨가물과의 밀착력, 결합력, 충격강도 등을 높이기 위해 전체 돌출부 조성물 및 표면부 조성물 100 중량% 대비 각각 0.1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도막의 균열, 벗겨짐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무기필러 등의 마모,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우레탄계 중합체는 우레탄 결합(-NH-CO-)을 포함하는 단위체가 반복 중합된 고분자를 의미하며, 도료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치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우레탄계 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 내지 500,000 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계 중합체는 글리콜과 아민류를 사용하는 하드 세그먼트(hard segment), 폴리머릭 글리콜을 사용하는 소프트 세그먼트(soft segment)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주원료로 합성할 수 있다. 우레탄계 중합체의 합성은 폴리우레탄 글리콜과 쇄연장제의 혼화재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한번에 반응시키는 원-샷(One-Shot)법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과량으로 반응시킨 후 프리폴리머를 다시 쇄연장하는 프리폴리머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합성한다. 폴리우레탄 에멀젼은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내약품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엘라스토머(Elastomer), 연성 폼(Flexible Foam), 리지스틱 폼(Rigistic Foam), 플라스틱(Plastic), 도료, 접착제, 섬유합성 피혁 등 고분자 재료의 거의 모든 분야에 통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우레탄계 중합체는 전체 돌출부 조성물 및 표면부 조성물 100 중량% 대비 각각 10 내지 4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중량% 미만 첨가되는 경우 인장강도, 내약품성, 내마모성 등의 개선 효과가 미비하며, 40 중량% 초과 첨가되는 경우 연성이 강해져 하중에 의한 돌출부의 변형이 발생하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은 에폭시기를 갖는 단량체라면 종류를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은 에폭시화 지방족 고리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에폭시 화합물, 글리시딜에테르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에폭시 화합물,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에폭시기와 적어도 1개의 방향환을 갖는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의 구체적인 일예로는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3,4-에폭시시클로헥산 카복실레이트,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디시클로펜타디엔디옥시드, 리모넨디옥시드 및 4-비닐시클로헥센디옥시드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노볼락 에폭시, 비스페놀 A계 에폭시, 비스페놀 F계 에폭시, 브롬화 비스페놀계 에폭시,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n-부틸 글리시딜 에테르, 알리파틱 글리시딜 에테르(C12-C14),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o-크레실(Cresyl) 글리시딜 에테르, 노닐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1,4-부탄다이올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및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은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우레탄계 중합체 등에 포함되는 아민, 히드록시, 카르복시 등의 작용기와의 상호작용을 높여 순간 접착력 및 도료의 유지강도를 크게 향상시키기 위해 다반응성 에폭시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반응성 에폭시 수지는 도막의 백색도를 높이고 황변성을 낮추며 조성물의 겔 현상을 없애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다(multi)-사이클릭 공액 다이엔(diene)들의 에폭사이드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사이클릭 공액 다이엔의 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인덴(tetrahydroindene), 메틸테트라이드로인덴(methyltetrahydroindene), 디사이클로펜타디엔(dicyclopentadiene), 비사이클로(2,2,1)-헵타-2,5-디엔(bicyclo(2,2,1)-hepta-2,5-diene), 알킬 노르보르넨(norbornenes), 알킬리덴 노르보르넨(alkylidene norbornenes), 사이클로알킬 노르보르넨(cycloalkenyl norbornenes), 사이클로알킬리덴 노르보르넨(cycloalkenylidene norbornenes)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반응성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계 화합물 100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0.1 중량% 미만 첨가되는 경우 조성물의 유지강도 증가 효과가 미비하며, 10 중량% 초과 첨가되는 경우 관능기간 과도한 반응으로 조성물의 작업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은 화학적 안정성을 포함하는 내후성을 높이기 위해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실리콘 결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HaR1 bSiOH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C20)알킬이며;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되, a + b = 3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의 R1의 예를 들면, 알킬 라디칼,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tert-펜틸 라디칼, 헥실 라디칼, 예컨대 n-헥실 라디칼, 헵틸 라디칼, 예컨대 n-헵틸 라디칼, 옥틸 라디칼, 예컨대 n-옥틸 라디칼 및 이소옥틸 라디칼, 예컨대 2,2,4-트리메틸펜틸 라디칼, 노닐 라디칼, 예컨대 n-노닐 라디칼, 데실 라디칼, 예컨대 n-데실 라디칼; 시클로알킬 라디칼, 예컨대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4-에틸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라디칼, 노르보르닐 라디칼 및 메틸시클로헥실 라디칼; 아릴 라디칼, 예컨대 페닐, 비페닐일, 나프틸 라디칼; 알카릴 라디칼, 예컨대 o-, m-, p-톨릴 라디칼 및 에틸페닐 라디칼; 아랄킬 라디칼, 예컨대 벤질 라디칼, α- 및 ß페닐에틸 라디칼 등을 들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개의 탄소를 갖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 예를 들어 메틸 또는 페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 결합제는 규소 함량이 전체 실리콘 결합제 100 중량% 중 0.1 내지 2 중량%를 차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실리콘 결합제의 첨가량은 전체 에폭시계 화합물 100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 미만 첨가하는 경우 내후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5 중량% 초과 첨가하는 경우 조성물의 연성이 높아져 기계적인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결합제는 다른 조성물과의 가교결합을 위해 하나 이상의 금속 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촉매의 예로는 백금, 로듐, 팔라듐, 루테튬 및 이리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또는 이들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2-C8)알켄, (C3-C7)시클로알켄 등을 포함하는 금속-올레핀 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기필러는 우천 시나 야간 중에 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며, 차량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내마모성, 내후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글래스비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기계 결합제를 일컫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기필러는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이산화세륨, 산화지르코늄, 산화알루미늄, 산화게르마늄 및 산화아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중 이산화규소와 다른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규소는 글라스비드로도 불리는 첨가제로, 재귀반사로 인한 차선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굴절율이 특정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76043과 같이 일반 글라스비드(KS L 2521)와 고굴절비드(재귀반사율 2.2 내지 2.4)를 특정 범위로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글라스비드의 표면에 알루미늄 등을 증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무기필러 중 산화알루미늄은 차선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산화티탄의 경우 보통 섬유 등에 소광제로 첨가되는데, 특히 적외선 영역의 광반사성이 우수하여 노면의 온도상승에 따른 차선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산화지르코늄은 차선의 휘도 및 색도를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므로, 상기 물질들을 상기 이산화규소와 함께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기필러는 표면부 조성물 100 중량% 중 0.1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 미만 첨가하는 경우 차선의 시인성, 내후성 증가 효과가 미비하며, 20 중량% 초과 첨가하는 경우 작업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안료는 상기 표면부 조성물의 색상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백색 계열의 색을 가지나 사용처에 따라 황색 또는 청색 계열의 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료는 상기 무기필러에 포함되는 이산화규소 등을 첨가함에 따라 기본적으로 백색 계열의 색을 가지므로, 원하는 색상을 가지는 안료를 더 첨가함으로써 조성물에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외선을 반사하는 유기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료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안료, 무기안료, 체질안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기안료 및 무기안료는 도로의 특성상 지속적으로 빛과 열을 받거나 타이어와의 마찰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므로 내구성, 특히 내광성, 내산성, 내마찰성 등이 나쁘면 급격하게 변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특성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질안료는 무기필러의 혼합물 및 탄산칼슘, 활석, 규사, 마이카, 카오린 등과 같은 체질안료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체질안료는 도료의 유동성, 점도 등과 같은 물성의 조절 및 도막의 강도, 내구성, 광택 조절 등에 효과가 있다.
상기 안료는 첨가량을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전체 표면부 조성물 100 중량% 대비 0.1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이 색상의 발현 및 작업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상기 조성물에 부착증진제,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소포제, 중합금지제, 분산제, 수분흡수제, 증점제 강도향상제 등 다양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 증진제는 소지와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은 하는 첨가제로서 부착증진제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착 증진제는 도막 건조시 소지와 도막간의 부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며 인산-아크릴계 및 숙시네이트 에스터계, 아크릴레이티이드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감마-메타아크릴로옥사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트리스-오메가-메톡시에톡시 실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아크릴레이티드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를 사용하는 것이 좀더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 방지제 및 자외선 안정제는 산화 방지 및 자외선 흡수 및 차단제로서 산화 방지제는 페놀계, 티오(Thio)계, 인계, 아민계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자외선 안정제는 벤조트리아조계, 벤조페논계, 트리아진계, 오가노니켈계 및 자외선 차단제, 자외선흡수제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 안정제는 도막의 건조시나 건조후 자외선 및 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도막의 색이 바래는 현상을 막아주는데 고분자가 자외선 및 공기에 노출되었을 때 산화환원반응이 진행되는데 이러한 산화방지제(anti oxidant) 및 자외선 안정제는 장기적으로 색이 바래는 현상과 노랗게 변화는 것을 조절하는데 가장 우수하여 자외선 및 공기에 의한 도막의 내후성 측면에서 좋은 물성을 얻을 수 있다. 산화 방지제는 페놀계, 티오(Thio)계, 인계, 아민계 등의 산화방지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외선 안정제는 작용기능별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단제 등으로 나누어지며 벤조트리아조계, 벤조페논계, 트리아진계, 오가노니켈계 및 자외선 차단제, 자외선 흡수제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첨가되는 첨가제는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언급한 첨가제들 이외에도 조성물의 물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돌출차선 조성물은 돌출부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탄소섬유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소섬유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PAN계 탄소 섬유, 피치계 탄소 섬유, 셀룰로오스계 탄소 섬유, 기상 성장계 탄소 섬유, 이들의 흑연화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PAN계 탄소 섬유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를 원료로 하는 탄소 섬유이다. 또한, 피치계 탄소 섬유는 석유 타르나 석유 피치를 원료로 하는 탄소 섬유이다. 또한, 셀룰로오스계 탄소 섬유는 비스코스레이온이나 아세트산셀룰로오스 등을 원료로 하는 탄소 섬유이다. 또한, 기상 성장계 탄소 섬유는 탄화수소 등을 원료로 하는 탄소 섬유이다. 이 중, 강도와 탄성률의 균형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PAN계 탄소 섬유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소 섬유에 니켈이나 구리 등의 금속을 피복한 금속 피복 탄소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소섬유는 인장강도 및 신장률을 개선하기 위해 평균길이가 특정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평균길이가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인 것이 인장강도 및 신장률 향상 측면에서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소섬유는 돌출부 조성물 100 중량% 중에서 0.1 내지 5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돌출부의 기계적인 물성 향상 효과가 미비하며, 5 중량% 초과 첨가하는 경우 점도가 급상승하여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돌출차선 조성물은 전단강도를 항상시키고 포장층의 분리, 소성변형, 피로균열, 포트홀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표면부 조성물에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및 실리카 비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은 주쇄에 질소원자를 포함하며, 조성물 내의 수분, 관능기와 반응하여 망상구조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은 빠르게 경화 및 가교가 일어나므로 추가적인 가교제나 가교 조건을 만족할 필요가 없으며, 온도에 관계없이 가교가 발생하므로 도로와의 경계면, 돌출부와의 접착특성이 향상되고 수평전단응력이나 수직인장응력에 대한 저항성이 커져 차선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은 수분과 경화하는 경우 이산화규소 망상구조를 이루게 되는데, 일종의 실리카 비드와 같은 방오, 방식 등의 내후성이 크게 증가하며, 표면에 노출 시 전반사를 유도하여 차선의 식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실리카 비드는 논슬립성을 개선하여 전단강도 및 내스크래치성을 항상시키고 포장층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외에도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과 혼합 시 조성물의 최대접착강도를 높여 포장파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카 비드는 다른 조성물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을 개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가교제 및 실란 커플링제로 실리카 비드 표면에 일종의 막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막이 다른 성분이 흡착될 수 있는 벨크로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여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빛을 반사시켜 차선의 휘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교제의 일예로는 다작용기 가교제로서는 디올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예컨대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과 같은 트리올, 펜타에리트리톨과 같은 테트롤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에서 선택된 것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타 유용한 가교제로서 폴리비닐 가교제, 예를 들면 치환 및 무치환의 디비닐벤젠; 및 2 작용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교제는 그들의 공지의 용도 및 접착 성질의 보유와 양립하는 농도로 참가된다. 고려해야 할 인자로서는 가교제의 분자량, 다작용기의 정도, 가교제 농도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교 반응은 적절한 열원에의 노출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주로 알콕시실란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일예로는 트리데실트리메톡시실란, 트리데실메틸디메톡시실란, 운데실트리메톡시실란, 디운데실디메톡시실란, 옥타데실디메틸메톡시실란, 옥타데실디메틸에톡시실란, 데실드리메톡시실란, 헥실트리메톡시실란, 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의 알킬알콕시실란계; 옥테닐트리메톡시실란, 헥세닐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의 알케닐실란계; 페닐트리에톡시실란, 벤질트리에톡시실란, 페닐에틸트리에톡시실란, 4급부틸펜틸디메틸메톡시실란 등의 방향족 알콕시실란계; 및 비사이클로헵테닐트리에톡시실란, 비사이클릭헵타닐메틸이메톡시실란, 사이클로헥실디메틸에톡시실란 등의 사이클릭 탄화수소 관능기를 함유한 알콕시실란계;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 (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등의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아클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메타)아크릴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이 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카 비드의 표면개질은 먼저 상기 가교제를 알콜류 등의 용매에 용해한 후, 실리카 비드에 분무하여 가교제를 물리적으로 부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실리카 비드를 상기 실란커플링제에 결합시켜 표면 개질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과 실리카 비드 혼합물은 전체 표면부 조성물 100 중량% 중 0.1 내지 5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 미만 첨가되는 경우 표면부의 기계적 물성 향상 효과가 미비하며, 5 중량% 초과 첨가되는 경우 조성물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작업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혼합하여 사용 시 혼합 비율은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5 내지 8 : 실리카 비드 1 내지 5 중량비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돌출차선 조성물을 이용한 돌출 차선의 시공 방법은,
a) 상기 돌출부 조성물을 피도포체에 도포하여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돌출부 조성물 및 피도포체를 동시에 덮도록 표면부 조성물을 도포하여 표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돌출부 및 표면부를 경화하여 양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를 이용한 돌출 차선 시공방법으로, 상기 시공방법은,
a) 상기 조성비에 따른 돌출부 조성물을 수용하는 제1호퍼 및 이를 피도포체에 도포하는 도료토출부재를 포함하는 토출시공부를 이용하여 피도포체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돌출부 조성물 및 피도포체를 동시에 덮도록 상기 조성비에 따른 표면부 조성물을 수용하는 제2호퍼 및 이를 상기 돌출부 조성물 및 피도포체에 도포하는 제1도료분사부재를 포함하는 메인분사시공부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 조성물 및 피도포체 표면에 도포하여 표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돌출부 및 표면부를 경화하여 양생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4a 내지 4e는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에 의해 차선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의 토출토출부재 및 도료공급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는, 구동부(90)의 전방에 결합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일 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돌출부 조성물(제1도료)이 저장되고 하부에 제1배출구(21a)가 형성되는 제1호퍼(21), 상기 제1호퍼(21)의 제1배출구(21a)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중앙으로 연장되는 도료공급관(22) 및 상기 도료공급관(22)을 통해 공급되는 돌출부 조성물을 연직 하방으로 압력을 가하여 토출시키는 도료토출부재(23)를 포함하는 토출시공부(20),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되며 내부에 표면부 조성물(제2도료)이 저장되고 하부에 제2배출구(31a)가 형성되는 제2호퍼(31) 및 상기 제2호퍼(31)의 제2배출구(31a)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호퍼(31)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표면부 조성물을 노면으로 분사하는 제1도료분사부재(32)를 포함하는 메인분사시공부(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2호퍼(31)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되며 내부에 표시부 조성물(제3도료)이 저장되고 하부에 제3배출구(41a)가 형성되는 도료탱크(41) 및 상기 도료탱크(41)의 제3배출구(41a)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도료탱크(41)를 통해 공급되는 표시부 조성물을 노면으로 분사하는 제2도료분사부재(42)를 포함하는 보조분사시공부(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도료분사부재(42)에서 분사되는 표시부 조성물은 적어도 상기 제2도료분사부재(42)에서 분사되는 상기 표시부 조성물의 양측 일부에 적층되도록 분사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시공부(20)에서 토출되는 돌출부 조성물에 의해 1차적으로 돌출차선(6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메인분사시공부(30)에서 분사되는 표면부 조성물에 의해 2차적으로 표시차선(7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분사시공부(40)에서 분사되는 표시부 조성물에 의해 3차적으로 식별차선(80)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토출시공부(20)에서 토출되는 돌출부 조성물은 지면으로부터 0.5 내지 2㎝ 돌출되어 일정한 두께를 갖는 차선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토출시공부(20)에서 토출되는 돌출부 조성물은 적어도 상기 표면부 조성물 및 표시부 조성물보다 높은 점성을 갖는 비가열도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토출시공부(20)에는 상기 돌출부 조성물이 설정된 양만큼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개폐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폐밸브는 미리 설정된 제어 값에 따라 상기 돌출부 조성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에는 본 발명의 차선 시공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부(9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복수의 체결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90)로는 대차 및 차량(예를 들면 트랙터, 트럭 등) 등이 결합되어 시공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구동 장비에는 도료탱크, 가열버너, 연료통, 가스통, 에어컴프레셔, 컨트롤러 등 상기 토출시공부(20), 메인분사시공부(30) 및 보조분사시공부(40)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원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메인분사시공부(30) 및 보조분사시공부(40)에 동력원인 유체를 공급할 수 있는 유체공급원(11)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유체공급원(11)은 상기 메인분사시공부(30) 및 보조분사시공부(40)에 가열연료인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료탱크(41)에 저장되는 표시부 조성물은 상기 제2호퍼(31)에 저장되는 표면부 조성물과 다른 색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료탱크(41)에 저장된 표시부 조성물이 상기 제2호퍼(31)에 저장되는 표면부 조성물의 양측에 분사되어 상기 표면부 조성물의 색상의 식별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 조성물과 표면부 조성물은 서로 대비되는 색상,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 조성물이 흰색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표면부 조성물은 검정색으로 구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도료분사부재(42)는 적어도 상기 제1도료분사부재(32) 보다 후방에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2도료분사부재(42)에서 분사되는 표시부 조성물이 상기 제1도료분사부재(32)에서 분사되는 표면부 조성물의 양측 일부에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에는 상기 개폐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도 4d 및 4e와 같이 보조분사시공부의 유무와 관계없이 상기 개폐밸브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주행 방향을 따라 점차 많은 양의 제1도료가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출부 조성물의 토출량이 처음에는 적다가 점차 많아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차량이 차선을 변경함에 따라 상기 돌출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시공부(20)에서 토출되는 돌출부 조성물의 토출 간격과 상기 메인분사시공부(30)에서 분사되는 표면부 조성물의 분사 간격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출시공부(20)에서 토출되는 돌출부 조성물과 이웃하는 다른 돌출부 조성물의 사이에 토출간격(a)이 형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인분사시공부(30)에서 분사되는 표면부 조성물과 이웃하는 다른 표면부 조성물의 사이에 분사간격(c)이 형성되도록 제어하되, 복수의 토출간격(a)의 사이에는 적어도 상기 토출간격(a)보다 큰 간격을 갖도록 구성되는 정지간격(b)이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지간격(b)과 이웃하는 다른 정지간격(b)의 사이에는 상기 토출간격(a)이 2 내지 4회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토출시공부(20)에서 토출되는 돌출부 조성물은 상기 토출간격(a)으로 3회 내지 5회 토출되고, 상기 돌출부 조성물이 토출간격(a)으로 3회 내지 5회 토출된 이후에는 상기 정지간격(b)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면부 조성물이 1번 분사되는 동안 상기 돌출부 조성물은 4회 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면부 조성물이 1번 분사되는 동안 상기 돌출부 조성물이 2회 이하로 토출되는 경우 상기 돌출차선(50)의 수가 너무 적어 차량의 라이트가 반사되는 량이 미미한 수준이 되며, 상기 표면부 조성물이 1번 분사되는 동안 상기 돌출부 조성물이 6회 이상으로 토출되는 경우 상기 돌출차선(50)의 수가 너무 많아 차량의 라이트가 반사되는 량이 많아지게 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게 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90)의 이동 속도 및 이동 시간에 따라 이동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토출간격(a), 정지간격(b) 및 분사간격(c)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제어부는 본 발명의 차선 시공장치가 이동하는 속도 및 이동하는 시간에 따라 상기 차선 시공장치가 이동한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돌출부 조성물이 토출되는 토출간격(a), 상기 돌출부 조성물이 토출되지 않는 정지간격(b) 및 상기 표면부 조성물이 분사되는 분사간격(c)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의 프레스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에는, 프레임(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토출시공부(20)와 메인분사시공부(30)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2실린더(51) 및 상기 제2실린더(51)에 의해 연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타단에는 복수의 돌출부로 구성되는 스탬프(52a)가 형성되는 제2실린더로드(52)를 포함하는 프레스부(5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스부(50)는 상기 토출시공부(20)와 메인분사시공부(3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프레스부(50)가 상기 스탬프(52a)를 이용하여 토출시공부(20)에 의해 토출되는 돌출부 조성물을 프레스함으로써, 상기 돌출부 조성물이 상기 스탬프(52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돌출부가 복수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스탬프(52a)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 형상이 차선을 따라 진행하는 차량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차량의 전조등 또는 가로등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프레스부(50)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부 조성물의 요철부에 의해 반사되어 운전자 및 보행자가 차선을 더욱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탬프(52a)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차량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만 형성될 뿐 아니라,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차량의 전조등 또는 가로등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어 운전자 및 보행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스부(50)가 상기 토출시공부(20)와 메인분사시공부(30)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은, 상기 토출시공부(20)에서 토출된 돌출부 조성물에 표면부 조성물이 분사되기 전, 상기 프레스부(50)의 상기 스탬프(52a)에 의해 상기 돌출부 조성물이 프레스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 같은 형상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돌출부 조성물에 표면부 조성물이 분사되기 전에 상기 프레스부(50)가 상기 돌출부 조성물을 프레스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7a 및 도 7b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의 도료토출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7a 및 7b에 따르면, 본 발명의 도료토출부재(23)는, 연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도료공급관(22)과 연통되는 도료토출관(23a), 상기 도료토출관(23a)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실린더(23b) 및 상기 제1실린더(23b)에 의해 연직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도료토출관(23a)의 내부로 압력을 가하는 제1실린더로드(2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료토출관(23a)의 말단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브릿지(23d)가 형성되어 상기 도료토출관(23a)을 통해 토출되는 돌출부 조성물이 상기 브릿지(23d)에 의해 갈라져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료토출관(23a)을 통해 토출되는 돌출부 조성물이 상기 브릿지(23d)에 의해 갈라져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돌출부 조성물이 상기 브릿지(23d)에 의해 갈라져서 토출되는 경우, 상기 갈라진 복수의 돌출부 조성물이 지면에 맞닿아 주변으로 퍼지게 되면서 서로 다시 합쳐지게 되는데, 상기 복수의 돌출부 조성물이 합쳐진 이음부의 돌출부 조성물의 양이 상기 복수의 돌출부 조성물 각각의 중심부의 돌출부 조성물 양보다 적도록 구성되어, 상기 돌출부 조성물의 단면 형상이 곡선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돌출부 조성물이 갈라져서 토출되어 상기 돌출부 조성물의 단면 형상이 곡선을 이루게 되는 경우, 차량의 전조등 또는 가로등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돌출부 조성물의 곡선에 의해 반사되어 운전자 및 보행자가 차선을 더욱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 조성물은 상기 브릿지(23d)에 의해 갈라져 토출된 상태에서 지면과 맞닿아 점차 다시 합쳐질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돌출부 조성물의 조성물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브릿지(23d)는 상기 차량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만 형성될 뿐 아니라,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차량의 전조등 또는 가로등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어 운전자 및 보행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부 조성물은 15 내지 30℃에서 존치시켜 일정 점도를 유지토록 한 다음 피도포체에 도포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도포체는 일반적인 노면을 의미할 수 있으며, 주된 노면으로는 아스팔트로 포장된면, 콘크리트로 포장된 면, 금속 면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아스팔트의 경우, 시공 후 3 개월 이상 지났을 경우이거나 혹서기가 아닌 경우에 a) 단계의 돌출부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이 위로 떠오르는 유분으로 인한 부착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의 경우, 타설 후 한 달 이상 양생된 이후에 a) 단계의 돌출부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이 부착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피도포체의 함수율이 0.001 내지 5%인 상태에서 a) 단계의 돌출부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부 조성물은 온도와 같은 작업환경, 조성물 자체의 점도, 차선의 도포 두께에 따라 도포 조건을 다르게 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도포 두께가 0.5 내지 2㎝가 되도록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도포 두께를 유지하기 위해 조성물의 도포 속도,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8에 따르면, 본 발명의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도료공급관(22)을 통해 공급된 돌출부 조성물을 토출시켜 돌출차선(60)을 형성하는 돌출차선형성단계(S10), 상기 돌출차선의 상부에 표면부 조성물을 분사하여 표시차선(70)을 형성하는 표시차선형성단계(S20) 및 표시차선의 양 측에 표시부 조성물을 분사하여 식별차선(80)을 형성하는 식별차선형성단계(S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돌출차선형성단계(S10) 이후, 제2실린더로드(52)를 연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제2실린더로드(52)의 타단에 형성되는 스탬프(52a)가 상기 돌출차선을 프레스하는 프레스단계(S1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돌출차선형성단계(S10)는 돌출부 조성물을 토출하여 돌출차선(60)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돌출차선(60)은 돌출부 조성물이 지면으로부터 0.5 내지 2㎝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비교적 표면부 조성물 및 표시부 조성물보다 높은 점성을 갖는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차선 시공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 조성물을 형성하는 돌출차선(60)의 단면 형상이 점차 두꺼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전조등 또는 가로등에서 조사되는 빛이 용이하게 반사되도록 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가 차선을 더욱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단계(S13)는 제2실린더로드(52)의 타단에 형성되는 스탬프(52a)가 지면에 토출된 돌출부 조성물을 프레스하여 상기 돌출부 조성물에 요철부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제2실린더로드(52)의 스탬프(52a)에 형성된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프레스단계(S13)에 의해 상기 돌출부 조성물이 프레스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작업 환경이나 실시 환경에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도료토출관(23a)의 말단에 하나 또는 복수의 브릿지(23d)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도료토출관(23a)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돌출부 조성물이 복수로 갈라진 상태로 토출된 이후 지면에서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돌출부 조성물의 단면 형상이 곡선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차선형성단계(S20)는 글라스비드(Glass bead)가 함유된 표면부 조성물을 상기 돌출차선(60)의 상부에 분사하여 차량의 전조등 또는 가로등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도록 하는 표시차선(7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표면부 조성물의 도포 조건 또한 상기 돌출부 조성물과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때 도포두께는 100 내지 1,000㎛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은 차선의 시인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 표면부 조성물과 다른 색상의 안료를 혼합한 표시부 조성물을 표면부의 단축방향 양측면에 도포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조성물은 상기 표면부 조성물과 동일 또는 상이한 조성물을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차선의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차선 또는 피도포체와 보색 관계의 안료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차선의 색상이 파란색인 경우, 파란색의 보색인 주황색의 안료를 혼합하여 도포하는 것이 좋다.
상기 표시부 조성물은 상기 표면부 조성물과 동일 또는 상이한 도포 및 경화 조건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면부 조성물과 동일하게 100 내지 1,000㎛의 도포 두께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별차선형성단계(S30)는 상기 빛이 반사되는 표시차선(70)의 양 측에 상기 표면부 조성물과 동일 유사한 조성물로 이루어지되, 서로 대비되는 색상을 갖는 표시부 조성물을 상기 표시차선(70)의 양 측에 분사하여 식별차선(8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c) 단계의 양생은 경화 및 건조를 포함하며, 양생 시간은 한정하지 않으나 1 내지 5일, 경화 시간은 상온(20 내지 25℃)일 때 5 내지 20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경화 완료 이후에 건조를 더 거침으로써 내구성, 내마모성, 논슬립성, 충격강도, 노면과의 접착성, 전단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도막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도포된 차선은 돌출부와 표면부의 반사각도 차이에 의하여 시인성이 크게 증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차선에 형성된 돌출부가 일종의 요철로 작용하여 차량이 차로를 벗어나게 되면 소음과 진동으로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할 수 있으며, 우천 시 차량과의 마찰력을 높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작업성)
에어리스 스프레이로 도장 후에 외관을 관찰하여 하기와 같은 평가 기준을 통해 평가하였다.
5 : 표면에 별다른 이상이 없는 경우
4 : 실킹 현상이 미세하게 나타나는 경우
3 : 실킹 현상으로 인해 도막이 평활하지 않은 경우
2 : 실킹 현상과 함께 표면에 기포가 잔존하는 경우
1 : 실킹 현상과 크레이터링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부착성)
아스팔트에 1㎜ 두께로 도장하여 건조한 후, 칼로 X자로 긁고 모서리 부분을 칼로 도려낼 때 아스팔트와 도막이 분리되는 경우 ×분리되지 않는 경우 ○로 평가하였다.
(인장강도)
KS F 4922(폴리우레아 수지 도막 방수재)에 의거하여 인장강도를 시험하였다.
(전단강도)
100㎜ ×100㎜ 정사각형 시편에 대하여 만능재료시험기를 사용하여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시험방법은 KS F 4932에 따라 재하속도는 1㎜/min, 시험온도는 20℃에서 실시하였다.
(내마모성)
테이버(Taber) 마모 시험기에 시편을 올려 CS-10으로 100회 회전하여 중량의 감량을 측정하였다.
(황변성)
컴퓨터식 색차계를 통하여 초기 Y값(황색 정도)를 찍은 후 UV조사기를 통해 2lamp, 광량 160W, 라인 speed 10rpm으로 30회 통과시켰다. 이 때 다시 컴퓨터식 색차계를 통하여 Y값을 찍어 초기 Y값과의 차이를 계산하였다.
(실시예 1)
먼저 돌출부 조성물로, 아크릴계 중합체(Polymethylmethacrylate 200336, ALDRICH) 40 중량%, 메타크릴산 15 중량%, 우레탄계 중합체(Polyurethane, 81367, Aldrich) 30 중량% 및 다반응성 에폭시 수지로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와 실리콘 결합제로 디헥실실라놀이 97 : 3 중량비로 혼합된 에폭시계 화합물 15 중량%를 혼합하여 1,000 rpm에서 30분간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표면부 조성물로 아크릴계 중합체(Polymethylmethacrylate 200336, ALDRICH) 30 중량%, 메타크릴산 15 중량%, 우레탄계 중합체(Polyurethane, 81367, Aldrich) 20 중량%, 이산화티탄 15 중량%, 탄산칼슘계 안료(렉셈) 10 중량% 및 상기 돌출부 조성물과 동일한 조성의 에폭시계 화합물 10 중량%을 혼합하고 1,000 rpm에서 30분간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돌출부 조성물을 아스팔트에 15 ㎜ 두께로 도포하여 돌출부를 형성한 후, 그 위에 다시 표면부 조성물을 800㎛의 두께로 도포하였다. 그리고 상온(20℃)에서 3일간 정치하여 시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돌출부 조성물 제조 시 아크릴계 중합체를 37 중량% 첨가하고, 길이 30㎛의 탄소섬유를 3 중량%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표면부 조성물 제조 시 아크릴계 중합체를 37 중량% 첨가하고, 중량평균분자량 10,000의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과 평균입경 20㎛의 실리카 비드가 7 : 3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3 중량%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돌출부 조성물 제조 시 아크릴계 중합체를 37 중량% 첨가하고, 길이 30㎛의 탄소섬유를 3 중량% 첨가하고, 표면부 조성물 제조 시 아크릴계 중합체를 37 중량% 첨가하고, 중량평균분자량 10,000의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과 평균입경 20㎛의 실리카 비드가 7 : 3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3 중량%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돌출부 조성물, 표면부 조성물에 첨가되는 에폭시계 화합물로 일반 에폭시 화합물(SikaCor 100 EM)을 동일 조성비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시편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작업성 4 4 5 5 3
부착성
인장강도
(N/㎟)
15.4 22.2 16.2 22.4 13.4
전단강도
(N/㎟)
16.1 17.5 22.4 22.6 12.9
내마모성
(㎎)
45 44 30 28 57
황변성
(△Y)
1.2 1.1 1.2 1.1 2.0
상기 표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선 조성물은 기존의 차선 조성물인 비교예에 비해 전 측정 항목에서 더 우수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특히 돌출부 조성물에 탄소섬유를 더 첨가한 실시예 2, 4나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등을 더 첨가한 실시예 3, 4는 다른 실시예 및 비교예에 비해 더욱 우수한 인장강도 또는 전단강도를 보이고 있으며, 내마모성 및 황변성 측면에서도 높은 수치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프레임 11 : 유체공급원
20 : 토출시공부
21 : 제1호퍼 22 : 도료공급관
23 : 도료토출부재
23a : 도료토출관 23b : 제1실린더
23c : 제1실린더로드 23d : 브릿지
30 : 메인분사시공부
31 : 제2호퍼 31a : 제2배출구
32 : 제1도료분사부재
40 : 보조분사시공부
41 : 도료탱크 41a : 제3배출구
42 : 제2도료분사부재
50 : 프레스부
51 : 제2실린더 52 : 제2실린더로드
52a : 스탬프
60 : 돌출차선 70 : 표시차선
80 : 식별차선 90 : 구동부

Claims (10)

  1. 아크릴계 중합체 20 내지 50 중량%, 우레탄계 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에폭시계 화합물 0.1 내지 20 중량% 및 메타크릴산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돌출부 조성물;과
    아크릴계 중합체 20 내지 50 중량%, 우레탄계 중합체 10 내지 40 중량%, 무기필러 0.1 내지 20 중량%, 에폭시계 중합체 0.1 내지 20 중량%, 안료 0.1 내지 20 중량% 및 메타크릴산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표면부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은 다반응성 에폭시 수지 및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실리콘 결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돌출 차선 조성물.
    [화학식 1]
    HaR1 bSiOH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C20)알킬이며;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되, a + b = 3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필러는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이산화세륨, 산화지르코늄, 산화알루미늄, 산화게르마늄 및 산화아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돌출 차선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반응성 에폭시 수지는 이소시아네이트 개질된 에폭시 수지, 부타디엔-아크릴니트릴 고무 개질된 에폭시 수지, 다작용기 에폭시-페놀 노보락 수지 및 비스페놀-A계 또는 시클로지방족 에폭시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돌출 차선 조성물.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조성물은 길이 10 내지 100㎛의 탄소섬유 0.1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돌출차선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 조성물은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및 실리카 비드 혼합물 0.1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돌출차선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퍼하이드로폴리실라잔 및 실리카 비드는 5 내지 8 : 1 내지 5 중량비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돌출차선 조성물.
  8.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를 이용한 돌출 차선 시공방법으로, 상기 시공방법은,
    a) 제 1항 내지 제 3항, 제 5항 내지 제 7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돌출부 조성물을 수용하는 제1호퍼 및 이를 피도포체에 도포하는 도료토출부재를 포함하는 토출시공부를 이용하여 피도포체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돌출부 조성물 및 피도포체를 동시에 덮도록 제 1항 내지 제 3항, 제 5항 내지 제 7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따른 표면부 조성물을 수용하는 제2호퍼 및 이를 상기 돌출부 조성물 및 피도포체에 도포하는 제1도료분사부재를 포함하는 메인분사시공부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 조성물 및 피도포체 표면에 도포하여 표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돌출부 및 표면부를 경화하여 양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도로용 돌출차선 조성물을 이용하는 돌출 차선 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는 내부에 상기 표면부의 양측 일부에 적층되는 표시부 조성물을 수용하는 도료탱크 및 상기 표시부 조성물을 도포하는 제2도료분사부재를 포함하는 보조분사시공부를 더 포함하는 도로용 돌출차선 조성물을 이용하는 돌출 차선 시공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조성물 및 표면부 조성물은 다반응성 에폭시 수지 및 실리콘 결합제를 포함하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도로용 돌출차선 조성물을 이용하는 돌출 차선 시공방법.
KR1020180040133A 2018-04-06 2018-04-06 도로용 돌출 차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돌출 차선 시공방법 KR101952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133A KR101952306B1 (ko) 2018-04-06 2018-04-06 도로용 돌출 차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돌출 차선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133A KR101952306B1 (ko) 2018-04-06 2018-04-06 도로용 돌출 차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돌출 차선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306B1 true KR101952306B1 (ko) 2019-02-26

Family

ID=6556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133A KR101952306B1 (ko) 2018-04-06 2018-04-06 도로용 돌출 차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돌출 차선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3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583A (ko) * 2020-12-14 2022-06-21 (주)우창건설 우천형 재귀반사 도료 및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925Y1 (ko) 1994-01-27 1997-04-24 아메리킨 스탠다아드 인코로레이팃드 샤워기 행거
JP2004107964A (ja) * 2002-09-17 2004-04-08 Asahi Kasei Chemicals Corp 防汚性能を有する路面標示
KR20140125404A (ko) * 2012-01-30 2014-10-28 헴로크세미컨덕터코포레이션 반응기에서의 표면의 복구 및/또는 보호 방법
KR101755026B1 (ko) * 2016-12-19 2017-07-07 김준혁 차선 도색용 상온 경화성 도료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925Y1 (ko) 1994-01-27 1997-04-24 아메리킨 스탠다아드 인코로레이팃드 샤워기 행거
JP2004107964A (ja) * 2002-09-17 2004-04-08 Asahi Kasei Chemicals Corp 防汚性能を有する路面標示
KR20140125404A (ko) * 2012-01-30 2014-10-28 헴로크세미컨덕터코포레이션 반응기에서의 표면의 복구 및/또는 보호 방법
KR101755026B1 (ko) * 2016-12-19 2017-07-07 김준혁 차선 도색용 상온 경화성 도료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583A (ko) * 2020-12-14 2022-06-21 (주)우창건설 우천형 재귀반사 도료 및 시공방법
KR102517066B1 (ko) 2020-12-14 2023-03-31 주식회사 동아에이블 우천형 재귀반사 도료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4141B (zh) 用于低沾污冷塑性材料标记的反应性树脂密封材料
KR101558876B1 (ko) 내 마모성이 우수한 노면 표지용 수용성 도료 조성물
RU2560383C2 (ru) Связующее для выполнения разметки проезжей части, пригодной для быстрого возобновления движения транспорта
KR101327331B1 (ko) 내구성 및 우천 시 야간 시인성이 우수한 도로용 차선 및 이의 시공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노면 표시 조성물
KR102159619B1 (ko) 젖은 노면에서 재귀반사성이 우수한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노면 표지
KR101768081B1 (ko) 내수성 및 비드부착력이 우수한 도로노면 표지용 아크릴 에멀젼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KR101913666B1 (ko)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28416B1 (ko) 상온경화형 노면표지용 차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
KR102530680B1 (ko) 시인성이 우수한 차선 도색공법
KR102196705B1 (ko) 유리알 부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친환경 도로차선표시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차선도색 시공방법
KR101952306B1 (ko) 도로용 돌출 차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돌출 차선 시공방법
KR101176043B1 (ko) 혼합 비드를 함유하는 도로의 차선용 액상 도료 조성물
KR102264658B1 (ko) 초발수성 도로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표시선 시공장치
KR20210154114A (ko) 시인성이 우수한 차선용 시트
KR101940652B1 (ko) 돌출형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
KR102566744B1 (ko) 내구성이 우수한 노면표시선용 도료 조성물
CN110951295B (zh) 用于多功能标记物的反应树脂密封材料
KR102264893B1 (ko) 축광안료를 함유하는 졸음 방지용 도로 표시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도로 표시선 시공 방법
KR102482273B1 (ko) 미끄럼 저항 성능이 우수한 노면 표지용 융착식 테이프
KR102237548B1 (ko) 초발수성 도로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표시선 시공장치
KR101690472B1 (ko) 상온 경화형 차선도색 조성물
KR101766716B1 (ko) 내수성 및 비드부착력이 우수한 도로노면 표지용 아크릴 에멀젼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KR100352666B1 (ko) 노면 표시선의 도장 방법
KR102146482B1 (ko) 고시인성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로 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43892B1 (ko) 속건성, 시공성 및 재귀반사비드와의 결합력이 우수한 도로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