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227B1 - 백홀 링크 구축 방법, 기지국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백홀 링크 구축 방법, 기지국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227B1
KR101952227B1 KR1020177026094A KR20177026094A KR101952227B1 KR 101952227 B1 KR101952227 B1 KR 101952227B1 KR 1020177026094 A KR1020177026094 A KR 1020177026094A KR 20177026094 A KR20177026094 A KR 20177026094A KR 101952227 B1 KR101952227 B1 KR 101952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er
lpn
relay
constructed
off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8181A (ko
Inventor
밍챠오 리
신 시옹
이 시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18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04Traffic adaptive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2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bearer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using selective relaying for reaching a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or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2Manipulation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2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 H04W36/125Reselecting a serving backbone network switching or routing node involving different types of service backb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04W36/385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of the cor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홀 링크 구축 방법, 기지국 및 장치를 제공한다. 방법은: 기지국이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에 따라 제1 LPN에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제1 LPN에 의해 송신된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제1 UE-릴레이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서비스 베어러의 수신된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수신된 제2 S1 구성 정보를 MME를 사용해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에서,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한다.

Description

백홀 링크 구축 방법, 기지국 및 장치
본 발명은 통신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백홀 링크 구축 방법, 기지국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3세대(3G) 이동 통신 기술 또는 4세대(4G) 이동 통신 기술을 개발하는 동안, 운영자는 이동 데이터 서비스 트래픽의 극적인 증가를 위한 소형 셀 배치를 제안한다. 사용자는 특히 실내 또는 실외 핫스팟 시나리오의 소형 셀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즐길 수 있다.
저전력 노드(Low Power Node, 이하 LPN이라 함)는 소형 셀 배치에 사용된다. 저전력 노드의 송신 전력은 매크로 기지국의 송신 전력보다 낮으며, 다수의 저전력 노드가 있을 수 있다. LPN과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로 약칭) 사이의 링크는 액세스 링크로 지칭되고, LPN과 기지국(즉, evolved NodeB, eNB로 약칭) 사이의 링크는 백홀 링크로 지칭된다. 백홀 링크는 무선 백홀 또는 유선 백홀일 수 있다. 다수의 LPN의 백홀 링크는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을 공유한다.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은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스펙트럼 자원(즉, 에어 인터페이스 자원)일 수 있거나 LPM과 기지국 간의 업링크/다운링크 물리 전송 자원(즉, 광섬유 또는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과 같은 유선 전송 자원)일 수 있다.
그렇지만, 소형 셀의 커버리지 반경의 단축은 소형 셀의 커버리지에서의 사용자의 감소를 동반한다. 사용자 기기가 이동하거나 및/또는 서비스 클래스 비율이 변할 때, 소형 셀의 서비스는 명백하게 변동한다. 결과적으로, 소형 셀에서 네트워크에 의해 부과된 백홀 링크 용량 요구 사항에도 명백한 변화가 있다. 소형 셀의 커버리지에 있는 사용자가 대용량 트래픽 서비스를 사용할 때, 대용량 트래픽 서비스에 요구되는 백홀 링크 용량은 저 대역폭 소모 서비스에 요구되는 백홀 용량보다 크다. 따라서, LPN의 다중 백홀 링크는 다중 백홀 링크에 의해 공유되는 업링크/다운 링크 자원에 대한 용량 충격을 야기한다. 결과적으로,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증가하고, 데이터 전송 신뢰도가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 기지국 및 장치를 제공하여 다음과 같은 종래기술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한다: 소형 셀의 커버리지에 있는 사용자가 대용량 트래픽 서비스를 사용할 때, LPN의 다중 백홀 링크는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용량 충격을 야기하므로,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증가한다.
제1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한 기지국을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저 전력 노드(low power node, LPN),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UE-릴레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모듈 -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식별자(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to-be-established bearer)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며, 제1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 중 하나이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임 - ;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제1 LPN의 ID에 따라 제1 LPN에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모듈 -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1 LPN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임 - ; 및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정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제1 LPN에 의해 송신되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제1 UE-릴레이의 ID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며 -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됨 - , 그리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베어러의 수신된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수신된 제2 S1 구성 정보를 MME를 사용해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비스 베어러의 ID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다.
제1 관점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서비스 베어러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DRB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S1 베어러를 포함한다.
제1 관점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하며,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며, 제1 LPN은 각각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각각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된다.
제1 관점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제2 LPN을 획득하기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하기로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제1 LPN은 각각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각각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1 LPN의 제2 구축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며,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다.
제1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업링크 DRB 베어러이거나, 또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업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다.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 내지 제1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해서, 제1 관점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하고,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은 상기 DRB 베어러와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S1 베어러 간의 맵핑 관계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제2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제1 저 전력 노드(LPN)이며, 상기 장치는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저 전력 노드,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UE-릴레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1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 중 하나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 내의 제1 LPN의 식별자(ID)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모듈 -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임 - ;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정 모듈 -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임 - ; 및
상기 기지국에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는 상기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기지국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제2 관점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서비스 베어러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DRB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S1 베어러를 포함한다.
제2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며,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제2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2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백홀 용량이 제한되는 LPN이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며,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다.
제2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업링크 DRB 베어러이거나, 또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업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다.
제2 관점 내지 제2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 내지 제4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해서, 제2 관점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 요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결정 유닛;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고 제1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되는 DRB QoS 요건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결정 유닛 -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DRB QoS 요건이 에어 인터페이스 상태와 매칭하는 제1 구축될 베어러임 - ; 및
상기 제2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결정 유닛
을 포함한다.
제3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제1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이며, 상기 장치는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저 전력 노드(LPN),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UE-릴레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UE-릴레이의 식별자(ID)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모듈 -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식별자(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이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1 LPN에 명령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베어러 구축 모듈; 및
상기 베어러 구축 모듈에 의해 구축된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기지국 및 MME를 사용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모듈 - 상기 서비스 베어러의 ID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임 -
을 포함한다.
제3 관점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베어러 구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코어 네트워크 요소 간의 S1 베어러를 구축하고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제1 LPN 간의 DRB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며,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제3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LPN의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며,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2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백홀 용량이 제한되는 LPN이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1 LPN의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다.
제3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업링크 DRB 베어러이거나, 또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업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다.
제3 관점 또는 제3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 내지 제4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해서, 제3 관점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하고,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은 상기 DRB 베어러와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S1 베어러 간의 맵핑 관계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제4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한 기지국을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저 전력 노드(low power node, LPN),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UE-릴레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기 -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식별자(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며, 제1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 중 하나이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임 - ;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제1 LPN의 ID에 따라 제1 LPN에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송기 -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1 LPN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임 - ; 및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기는 제1 LPN에 의해 송신되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송기는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제1 UE-릴레이의 ID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며 -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됨 - , 그리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베어러의 수신된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수신된 제2 S1 구성 정보를 MME를 사용해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비스 베어러의 ID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다.
제4 관점을 참조해서, 제4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서비스 베어러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DRB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S1 베어러를 포함한다.
제4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4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송기는 상기 수신기가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하며,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며, 제1 LPN은 각각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각각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된다.
제4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4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기가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제2 LPN을 획득하기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송기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하기로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제1 LPN은 각각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각각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1 LPN의 제2 구축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며,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다.
제4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4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업링크 DRB 베어러이거나, 또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업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다.
제4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 내지 제4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해서, 제4 관점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하고,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은 상기 DRB 베어러와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S1 베어러 간의 맵핑 관계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제5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제1 저 전력 노드(LPN)이며, 상기 장치는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저 전력 노드,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UE-릴레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1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 중 하나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 내의 제1 LPN의 식별자(ID)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기 -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임 - ;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세서 -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임 - ; 및
상기 기지국에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송기
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결정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기지국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제5 관점을 참조해서, 제5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서비스 베어러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DRB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S1 베어러를 포함한다.
제5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5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며,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제5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5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2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백홀 용량이 제한되는 LPN이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며,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다.
제5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5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업링크 DRB 베어러이거나, 또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업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다.
제5 관점 또는 제5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 내지 제4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해서, 제5 관점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 요건을 결정하고;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 요건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하며; 그리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DRB QoS 요건이 에어 인터페이스 상태와 매칭하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이다.
제6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제1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이며, 상기 장치는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저 전력 노드(LPN),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UE-릴레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UE-릴레이의 식별자(ID)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기 -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식별자(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이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1 LPN에 명령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구축된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기지국 및 MME를 사용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송기 - 상기 서비스 베어러의 ID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임 -
를 포함한다.
제6 관점을 참조해서, 제6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코어 네트워크 요소 간의 S1 베어러를 구축하고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제1 LPN 간의 DRB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6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6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며,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제6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6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LPN의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며,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2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백홀 용량이 제한되는 LPN이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1 LPN의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다.
제6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6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업링크 DRB 베어러이거나, 또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업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다.
제6 관점 또는 제6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 내지 제4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해서, 제6 관점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하고,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은 상기 DRB 베어러와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S1 베어러 간의 맵핑 관계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제7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은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저 전력 노드(low power node, LPN),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UE-릴레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식별자(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며, 제1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 중 하나이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임 - ;
상기 기지국이 제1 LPN의 ID에 따라 제1 LPN에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1 LPN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임 - ; 및
상기 기지국이 제1 LPN에 의해 송신되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제1 UE-릴레이의 ID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기지국이 제1 UE-릴레이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베어러의 수신된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수신된 제2 S1 구성 정보를 MME를 사용해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서비스 베어러의 ID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임 -
를 포함한다.
제7 관점을 참조해서, 제7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서비스 베어러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DRB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S1 베어러를 포함한다.
제7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7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기지국이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하며,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며, 제1 LPN은 각각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각각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된다.
제7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7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기지국이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제2 LPN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제1 LPN은 각각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각각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1 LPN의 제2 구축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며,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다.
제7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7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업링크 DRB 베어러이거나, 또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업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다.
제7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 내지 제7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해서, 제7 관점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하고,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은 상기 DRB 베어러와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S1 베어러 간의 맵핑 관계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제8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은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저 전력 노드,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UE-릴레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1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 중 하나이며, 상기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은:
상기 제1 LPN이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구성 메시지 내의 제1 LPN의 식별자(ID)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임 - ;
상기 제1 LPN이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임 - ; 및
상기 제1 LPN이 상기 기지국에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기지국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제8 관점을 참조해서, 제8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서비스 베어러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DRB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S1 베어러를 포함한다.
제8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8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며,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제8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8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2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백홀 용량이 제한되는 LPN이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며,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다.
제8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8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업링크 DRB 베어러이거나, 또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업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다.
제8 관점 또는 제8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 내지 제4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해서, 제8 관점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제1 LPN이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LPN이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 요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LPN이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 요건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하는 단계 -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DRB QoS 요건이 에어 인터페이스 상태와 매칭하는 제1 구축될 베어러임 - ; 및
상기 제1 LPN이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9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은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저 전력 노드(LPN),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UE-릴레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이며, 상기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은:
상기 제1 UE-릴레이가 상기 제1 UE-릴레이의 식별자(ID)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식별자(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이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1 LPN에 명령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제1 UE-릴레이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E-릴레이가 상기 베어러 구축 모듈에 의해 구축된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기지국 및 MME를 사용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서비스 베어러의 ID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임 -
을 포함한다.
제9 관점을 참조해서, 제9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제1 UE-릴레이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E-릴레이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코어 네트워크 요소 간의 S1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E-릴레이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제1 LPN 간의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9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9 관점의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며,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제9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9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LPN의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며,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2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백홀 용량이 제한되는 LPN이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1 LPN의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다.
제9 관점의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해서, 제9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업링크 DRB 베어러이거나, 또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업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다.
제9 관점 또는 제9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 내지 제4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해서, 제9 관점의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하고,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은 상기 DRB 베어러와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S1 베어러 간의 맵핑 관계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 기지국, 및 장치에 따르면, 기지국은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에 따라 제1 LPN에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므로, 제1 LPN은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기지국은 제1 LPN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제1 UE-릴레이에 송신하며, 이에 따라 제1 UE-릴레이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UE-릴레이가 네트워크에 배치되고, UE-릴레이 및 제1 LPN의 유휴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백홀 링크가 구축되거나 UE-릴레이 및 제1 LPN의 유휴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제1 LPN의 일부의 E-RAB 베어러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며, 이에 따라 기지국과 LPN 간의 종래의 백홀 링크에 의해 생기는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충격이 감소하며,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충격이 감소하여, 신뢰할만한 데이터 전송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의 기술적 솔루션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창조적 노력 없이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아키텍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의 실시예 1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의 실시예 2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의 실시예 3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의 실시예 4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의 실시예 5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의 실시예 6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의 실시예 7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의 실시예 8에 대한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의 실시예 9에 대한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실시예 1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 1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 2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 3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실시예 2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 4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 5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당업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을 더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당업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기지국(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은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서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섹터를 이용해서 무선 단말과 통신하는 장치라 할 수 있다. 기지국은 수신된 오버-디-에어 프레임(over-the-air frame)과 IP 패킷을 상호 변환하고 무선 단말기와 액세스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라우터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의 나머지 부분은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GSM 또는 CDMA에서의 베이스 트랜스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ST)일 수도 있고, WCDMA에서의 노드B(NodeB)일 수도 있으며, LTE에서의 진화 노드B(evolutional Node B,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다. 이것은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기기 릴레이, 즉 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UE-릴레이는 릴레이 기능을 갖춘 단말일 수 있다. 단말은 무선 단말 또는 유선 단말일 수 있다. 무선 단말은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데이터 접속을 제공하는 장치라 할 수 있고, 무선 접속 기능을 갖춘 휴대용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프로세싱 장치라 할 수도 있다. 무선 단말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예를 들어, Radio Access Network, RAN)를 이용해서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은 이동 전화(또는 "셀룰러" 전화라 할 수도 있음)와 같은 이동 단말 또는 이동 단말을 갖춘 컴퓨터일 수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LPN은 무선 노드(Radio Node, RN으로 약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PN은 피코 기지국(Pico), 펨토셀(Femto), 릴레이 노드(relay) 등이 될 수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코어 네트워크 내의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로 약칭)일 수도 있고, 코어 네트워크 내의 다른 데이터 제어 게이트웨이일 수도 있다. LPN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대한 특정한 내용은 이 애플리케이션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셀에 배치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다.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LPN,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로 약칭)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한다. UE-릴레이는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된다. 또한, 기지국은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기지국은 LPN에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LPN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예를 사용하며, 이하의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은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이다. 그러므로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요소 간의 데이터 베어러는 S1 베어러이고, 기지국과 LPN 간의 데이터 베어러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이다)이다. 진화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로 약칭) 무선 액세스 베어러(E-UTRAN Radios Access Bearer, E-RAB로 약칭)은 S1 베어러 및 DRB를 포함한다. E-RAB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백홀 링크)는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을 공유한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LPN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때, E-RAB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기지국의 다운링크 자원을 점유한다. LPN이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때, E-RAB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을 점유한다. 하나의 LPN은 복수의 E-RAB 베어러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E-RAB 베어러는 기지국과 LPN 간의 백홀 링크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실선은 유선 연결을 나타내고, 파선은 무선 연결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LPN과 UE-중계기 간의 연결 관계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LPN과 UE-중계기 간의 연결 방식은 이 애플리케이션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UE-릴레이가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은 단지 UE-릴레이와 코어 네트워크 요소 간에 데이터 전송 능력이 존재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함이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렇지만, UE-릴레이와 코어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 실제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는지는 UE-릴레이와 코어 네트워크 요소 간의 데이터 베어러에 의존해야 한다. UE-릴레이와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데이터 베어러가 UE-릴레이와 코어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 구축된 후에만 실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UE-릴레이가 LPN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은 단지 UE-릴레이와 LPN 간에 데이터 전송 능력이 존재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그렇지만, UE-릴레이와 LPN 사이에 실제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는지는 UE-릴레이와 LPN 간의 데이터 베어러에 의존해야 한다. UE-릴레이와 LPN은 데이터 베어러가 UE-릴레이와 LPN 사이에 구축된 후에만 실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 UE-릴레이는 데이터 릴레이 기능을 가지면서 코어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기기이다. 그러한 기기를 이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집합적으로 UE-릴레이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을 특정한 실시예들을 사용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특정한 실시예들은 서로 결합될 수 있고 동일한 또는 유사한 개념 또는 프로세스는 일부의 실시예에서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의 실시예 1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101. 기지국은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식별자(Identity, ID로 약칭),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to-be-established bearer)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며, 제1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 중 하나이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다.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 내의 제1 LPN은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서 MME에 의해 결정되는 LPN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LPN은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서 백홀 용량이 제한되는 LPN일 수도 있고, UE-릴레이를 사용해서 고유한 E-RAB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일 수도 있다(즉, 이전에는 LPN과 기지국 사이 또는 LPN과 코어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 베어러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 제1 UE-릴레이는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으면서 MME에 의해 결정되는 UE-릴레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UE-릴레이는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으면서 MME에 의해 결정되는 UE-릴레이일 수도 있고(오프로딩 베어러는 제1 LPN의 하나 이상의 오프로딩될 E-RA 베어러를 오프로딩하는 데 사용된다), 제1 LPN에 대해 고유한 E-RAB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으면서 MME에 의해 결정되는 UE-릴레이일 수도 있다.
또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제1 LPN의 ID를 사용해서,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서 베어러가 현재 구축되어야 하는 LPN을 학습하고, 제1 UE-릴레이의 ID를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LPN에 의해 요구되는 UE-릴레이를 학습하고,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사용해서, 제1 UE-릴레이에 의해 현재 구축되어야 하는 베어러의 ID를 학습하고,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사용해서, 제1 구축될 베어러 내의 S1 베어러에 대해 요구된 정보를 학습할 수 있으며, 제1 구축될 베어러의 QoS 요건 지시자를 사용해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을 학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구축될 베어러의 QoS 요건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의 명시적 QoS 요건일 수도 있고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암시적 QoS 요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축될 베어러가 제1 LPN의 E-RAB 베어러의 오프로딩 베어러일 때, 제1 구축될 베어러의 QoS 요건 지시자는 E-RAB 베어러의 ID일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E-RAB 베어러의 ID를 사용해서 제1 구축될 베어러의 QoS 요건을 암시적으로 통지받는다.
선택적으로, 제1 구축될 베어러와 관련된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전송 계층 주소(코어 네트워크 요소의 IP 주소, 예를 들어, S-GW의 ID 주소) 또는 터널링 프로토콜 터널 엔드 식별자(GPRS tunneling Protocol Tunneling End ID, GTP TEID로 약칭) 또는 둘 모두와 같은 정보일 수 있다.
S102. 기지국은 제1 LPN의 ID에 따라 제1 LPN에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1 LPN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이 제1 LPN의 ID에 따라, 현재의 제1 LPN이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인 것을 학습하게 되면, 기지국은 제1 LPN에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1 LPN에 명령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LPN은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 내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하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LPN은 복수의 제1 구축될 베어러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LPN은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기초해서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참조해서 그리고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참조해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한 후, 제1 LPN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추가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는 제2 구축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의 식별자일 수도 있고, 이하의 계층: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로 약칭) 계층,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로 약칭) 계층,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로 약칭) 계층, 및 물리 계층에서 제2 구축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의 구성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도 있다.
S103. 기지국은 제1 LPN에 의해 송신되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한 후, 제1 LPN은 기지국에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에 의해 결정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사용해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를 학습할 수 있다.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는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으면서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MME에 의해 송신되어 기지국에 의해 수신되는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에 3개의 제1 구축될 베어러가 있다고 가정하면,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는 각각 A, B, C이고, 제1 구축될 베어러의 3편의 제1 S1 구성 정보: A의 제1 S1 구성 정보, B의 제1 S1 구성 정보, C의 제1 S1 구성 정보가 각각 존재한다.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으면서 LPN에 의해 결정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가 A 및 B인 것으로 가정하면,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 내의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는 A 및 B이다.
S104. 기지국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학습하게 된 후, 기지국은 제2 구축될 베어러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제1 구축될 베어러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제1 S1 구성 정보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S103에서의 예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는 A 및 B이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A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B의 제1 S1 구성 정보이다.
S105. 기지국은 제1 UE-릴레이의 ID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수신한 후, 제1 UE-릴레이의 ID에 따라, 기지국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부가하고, 그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제1 UE-릴레이 송신한다. 여기서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실제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으면서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는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즉,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실제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일부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이다. 전술한 예의 설명에 따르면,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A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B의 제1 S1 구성 정보이다).
또한, 제1 UE-릴레이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한다. 선택적으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된 서비스 베어러는 유선 베어러 및 무선 베어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LPN의 유휴 업링크 자원 또는 다운링크 자원은 무선 베어러를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제1 LPN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때,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의 유휴 업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백홀 링크(백홀 링크는 업링크 무선 베어러이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제1 UE-릴레이는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LPN이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다운링크 백홀 링크를 구축하는 데 기지국의 다운링크 자원이 사용되지 않게 하므로, 기지국의 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1 LPN이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때,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의 유휴 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백홀 링크(백홀 링크는 다운링크 무선 베어러이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제1 UE-릴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LPN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업링크 백홀 링크를 구축하는 데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이 사용되지 않게 되므로,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된다.
S106. 기지국은 제1 UE-릴레이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베어러의 수신된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수신된 제2 S1 구성 정보를 MME를 사용해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며, 상기 서비스 베어러의 ID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다.
구체적으로,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한 후, 제1 UE-릴레이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기지국을 사용해서 MME에 송신하며, MME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기지국을 사용해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포워딩한다. 서비스 베어러의 ID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고,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는 UE-릴레이 측 상의 GTP-TE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계층 주소를 반송할 수 있으므로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사용해서 데이터가 송신될 UE 릴레이를 학습하고, 서비스 베어러의 ID를 사용해서 그 데이터를 제1 UE-릴레이에 송신하는 서비스 베어러를 학습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기존의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LPN과 기지국 간의 백홀 링크는 무선 백홀 또는 유선 백홀일 수 있다. 백홀 링크가 무선 백홀일 때, 복수의 무선 백홀이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스펙트럼 자원을 공유한다. 백홀 링크가 유선 백홀일 때, 복수의 유선 백홀이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스펙트럼 자원을 공유한다. 즉, 종래의 백홀 링크는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스펙트럼 자원을 공유한다. LPN의 커버리지 내의 사용자가 대용량 트래픽 서비스를 사용할 때, 요구되는 백홀 용량은 비교적 크다. 그러므로 LPN의 복수의 백홀 링크로 인해 복수의 백홀 링크가 공유하는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용량 충격이 가해진다. 결과적으로, 업링크/다운링크 자원 상의 백홀 부하가 증가하고 데이터 전송 신뢰도가 악화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솔루션에 따르면, UE-릴레이가 네트워크에 배치되고, UE-릴레이 및 LPN의 유휴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일부의 LPN에 대해 E-RAB 베어러가 구축되며, 즉 일부의 LPN의 백홀 링크는 UE-릴레이 및 LPN의 유휴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모두 구축되며(즉, 일부의 LPN과 이전의 제1 기지국 사이에는 베어러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기지국과 LPN 간의 종래의 백홀 링크가 감소하며, 그런 다음 LPN과 기지국 간의 백홀 링크에 의해 생기는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충격이 감소한다. 대안으로,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LPN의 일부의 E-RAB 베어러는 UE-릴레이 및 LPN의 유휴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으며, 즉 오프로딩 베어러는 LPN의 이러한 E-RAB 베어러에 대해 구축될 수 있고 E-RAG 상의 데이터는 오프로딩 베어러를 사용해서 전송될 수 있으므로, E-RAG 베어러에서의 백홀 링크의 용량이 감소하며, 그런 다음 기지국과 LPN 간의 종래의 백홀 링크에 의해 생기는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충격이 감소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은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에 따라 제1 LPN에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므로, 제1 LPN은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기지국은 제1 LPN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제1 UE-릴레이에 송신하며, 이에 따라 제1 UE-릴레이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UE-릴레이가 네트워크에 배치되고, UE-릴레이 및 제1 LPN의 유휴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백홀 링크가 구축되거나 UE-릴레이 및 제1 LPN의 유휴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제1 LPN의 일부의 E-RAB 베어러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며, 이에 따라 기지국과 LPN 간의 종래의 백홀 링크에 의해 생기는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충격이 감소하며,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충격이 감소하여, 신뢰할만한 데이터 전송이 보장된다.
또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서비스 베어러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DRB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S1 베어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의 실시예 2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는 제1 LPN과 각각의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 서비스 베어러가 구축되지 않을 때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는 특정한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201.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하며,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LPN은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해야 한다.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제1 초기 백홀 메시지에 대응하는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제1 초기 백홀 메시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는 구체적으로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하는 능력을 가진 UE-릴레이일 수 있다. LPN의 전송 성능 정보는 LPN의 논-액세스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Non-access stratum Protocol Data Unit, NAS-PDU로 약칭)일 수 있고,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는 구체적으로 UE-릴레이의 NAS-PDU 정보일 수 있다.
S202. 기지국은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며, 제1 LPN은 각각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각각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를 수신한 후, MME는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이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인 것으로 결정하고,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인 것으로 결정한다. 그런 다음, MME는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기지국이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후, 기지국은 제1 LPN의 ID를 사용해서, 베어러가 현재 구축되어야 하는 LPN을 학습하고, 제1 UE-릴레이의 ID를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LPN에 의해 요구되는 UE-릴레이를 학습하고,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사용해서, 제1 UE-릴레이에 의해 현재 구축되어야 하는 베어러의 ID를 학습하고,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사용해서, 제1 구축될 베어러 내의 S1 베어러에 대해 요구된 정보를 학습할 수 있으며, 제1 구축될 베어러의 QoS 요건을 사용해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을 학습할 수 있다.
S203. 기지국은 제1 LPN의 ID에 따라 제1 LPN에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1 LPN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을 포함하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으면서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는 베어러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제1 LPN의 ID를 사용해서, 제1 LPN의 ID에 따라, 베어러가 현재 구축되어야 하는 LPN을 이미 학습하고 있으므로, 기지국은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 및 제1 UE-릴레이의 ID를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부가하고, 그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제1 LPN에 송신할 수 있다. 제1 LPN은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를 학습할 수 있다. DRB QoS 요건은 실제로 제1 구축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다. 그런 다음, 제1 LPN은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예를 들어, 채널 품질 또는 패킷 손실률)를 획득하고, 에어 인터페이스 상태가 그 결정된 DRB QoS 요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즉,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제1 구축될 베어러 중의 DRB 베어러를 구축하기에 적합한지를 판단하여),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하고 그런 다음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한다.
실시예 1에서의 예에 따르면,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에 3개의 제1 구축될 베어러가 있고,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는 각각 A, B, C인 것으로 가정하면, 기지국에 의해 제1 LPN에 송신된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3개의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또한 존재하며,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는 각각 A, B, C이다. 그런 다음, 제1 LPN은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ID가 A 및 B인 제1 구축될 베어러를 구축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결정하고, 제1 LPN은 그 2개의 제1 구축될 베어러를 제2 구축될 베어러로 결정한다.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는 A 및 B이다.
그런 다음, 제1 LPN은 기지국에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한다.
S204. 기지국은 제1 LPN에 의해 송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S205. 기지국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결정한다.
S206. 기지국은 제1 UE-릴레이의 ID에 따라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제1 UE-릴레이에 송신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실제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으면서 제1 LPN에 의해 결정되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이다. 전술한 예에서의 설명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전술한 예서의 A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B의 제1 S1 구성 정보이다.
구체적으로, 제1 UE-릴레이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한다. 선택적으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된 서비스 베어러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DRB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S1 베어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제1 LPN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때,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의 유휴 업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업링크 백홀 링크(즉, 업링크 DRB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제1 UE-릴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LPN이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다운링크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데 기지국의 다운링크 자원이 사용되지 않게 하므로, 기지국의 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1 LPN이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때,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의 유휴 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다운링크 백홀 링크(즉, 다운링크 DRB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제1 UE-릴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LPN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업링크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데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이 사용되지 않게 되므로,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된다. 그러므로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의 업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업링크 DRB 베어러를 구축할 때, 제1 LP에 대해 다운링크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데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이 사용되지 않게 하므로, 기지국의 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된다.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의 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다운링크 DRB 베어러를 구축할 때, 제1 LP에 대해 업링크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데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이 사용되지 않게 되므로,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된다.
S207. 기지국은 제1 UE-릴레이에 의해 송신된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확인 메시지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한 후, 제1 UE-릴레이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확인 메시지에 부가하고, 그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서비스 베어러의 ID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고,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는 UE-릴레이 측 상의 GTP-TE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계층 주소를 반송할 수 있다.
S208. 기지국은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확인 메시지를 MME에 송신하며,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확인 메시지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확인 메시지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베어러 수정 요구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도록 MME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베어러 수정 요구 메시지는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서비스 베어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확인 메시지로부터 읽어내고,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확인 메시지에 부가하며, 그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확인 메시지를 MME에 송신하며, 이에 따라 MME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베어러 수정 요구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며, 베어러 수정 요구 메시지를 사용해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서비스 베어러의 특정한 내용을 지시한다. 이 경우,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베어러 수정 요구 메시지 내의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사용해서 데이터가 송신될 UE 릴레이를 학습하고, 서비스 베어러의 ID를 사용해서 제1 UE 릴레이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베어러를 학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traffic flow template)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은 DRB 베어러와 서비스 베어러 내의 S1 베어러 간의 맵핑 관계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에서 유선 베어러와 무선 베어러 간의 대응관계가 명백하게 학습되고, 데이터 허위 표시가 회피되며, 데이터 전송 신뢰성이 더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에 따르면,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한 후, 기지국은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충족해야 하는 QoS 요건을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제1 LPN에 송신하므로, 제1 LPN은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기지국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면서 제1 LPN에 의해 송신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구성 메시지를 제1 UE-릴레이에 송신하므로, 제1 UE-릴레이는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UE-릴레이가 네트워크에 배치되고, UE-릴레이 및 LPN의 유휴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네트워크 내의 LPN에 대해 E-RAB 베어러가 구축되며, 즉 제1 LPN의 유휴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기지국과 LPN 간의 일부의 백홀 링크가 구축되며, 이에 따라 기지국과 LPN 간의 종래의 백홀 링크의 수가 감소하고, 그런 다음 LPN과 기지국 간의 백홀 링크에 의해 생기는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충격이 감소하며,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하여, 신뢰할만한 데이터 전송이 보장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의 실시예 3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는 기지국이 네트워크 내의 일부의 LPN의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다는 것을 학습한 후, UE-릴레이가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LPN을 오프로딩하는 특정한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301.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제2 LPN을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LPN과의 시그널링 인터랙션에 의해 LPN의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지를 학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LPN은 LPN의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지를 지시하는 명시적 시그널링 메시지를 기지국에 보고할 수도 있고, 백홀 성능에 관한 측정 데이터를 기지국에 보고할 수도 있으며, 기지국은 LPN의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지를 판정하여, LPN의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제2 LPN을 결정한다.
S302.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하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내의 각각의 제2 LPN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해야 한다.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제2 초기 백홀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제2 초기 백홀 메시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는 구체적으로 제2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하는 능력을 가진 UE-릴레이일 수 있다.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는 제2 LPN의 NAS-PDU 정보일 수 있으며,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는 구체적으로 UE-릴레이의 NAS-PDU 정보일 수 있다.
S303. 기지국은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일 수 있다. 제1 LPN은 각각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각각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1 LPN의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를 수신한 후, MME는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제1 LPN이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라는 것으로 결정하고(즉, 제1 LPN이 현재 오프로딩되어야 하는 LPN이라는 것으로 결정한다. 모든 제2 LPN의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어도, MME는 백홀 용량이 크게 제한되어 있지 않은 일부의 제2 LPN이 먼저 오프로딩되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 결정하며, MME는 백홀 용량이 크게 제한되어 있는 제2 LPN을 제1 LPN으로서 먼저 선택하고, 그 제2 LPN을 오프로딩한다),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라는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제1 LPN 및 제1 UE-릴레이를 결정한 후, MME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를 차단하여 제1 LPN의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를 결정한다(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가 현재 구축될 베어러이다). 구체적으로, MME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모든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1 UE 릴레이가 오프로딩을 위한 최대 1M의 유선 광섬유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면(1M의 유선 광섬유는 S1 베어러의 용량 한계로 간주될 수 있다), MME는 제1 LPN의 각각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용량을 알기 때문에, MME는 현재의 제1 UE 릴레이가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를 학습하므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MME에 의해 결정되는 현재의 제1 LPN의 1#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 및 2#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 모두가 매우 과중한 부하를 가져도, 제1 LPN은 여전히 2#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한 부하를 지탱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면, MME는 1#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해서만 오프로딩을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그러므로 1#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가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인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제1 구축될 베어러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고, 즉 제1 구축될 베어러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오프로딩 베어러로서 사용되어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를 오프로딩한다. 즉, 이 실시예에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와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사이에는 맵핑 관계가 존재한다. MME가 제1 LPN, 제1 UE-릴레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한 후, MME는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기지국은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기지국은 제1 LPN의 ID를 사용해서 오프로딩 베어러가 현재 구축되어야 하는 LPN을 학습하고, 제1 UE-릴레이의 ID를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하기 위해 제1 LPN에 의해 요구되는 UE-릴레이를 학습하며,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사용해서 제1 UE-릴레이에 의해 현재 구축될 오프로딩 베어러의 ID를 학습하고(즉, 제1 구축될 베어러가 오프로딩 베어러이다),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의 S1 베어러에 필요한 정보를 학습하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사용해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을 학습하여,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을 학습할 수 있다.
S304. 기지국은 제1 LPN에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1 LPN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및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즉,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 내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및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오프로딩 베어러 구축 요구 메시지에 부가하고, 오프로딩 베어러 구축 요구 메시지를 제1 LPN에 송신한다. 제1 LPN은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을 학습하여,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을 학습하며, 그런 다음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를 학습한다. DRB QoS 요건은 실제로 제1 구축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다. 그런 다음, 제1 LPN은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예를 들어, 채널 품질 또는 패킷 손실률)를 획득하고, 에어 인터페이스 상태가 그 결정된 DRB QoS 요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즉,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제1 구축될 베어러 중의 DRB 베어러를 구축하기에 적합한지를 판단하여),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하고 그런 다음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에 의해 MME에 송신된 제2 초기 백홀 메시지에 반송되는 제2 LPN이 각각 A#제2 LPN, B#제2 LPN, 및 C#제2 LPN인 것으로 가정하면, 제2 LPN의 ID는 각각 A, B, C이며, 각각의 제2 LPN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를 포함한다. A#제2 LPN이 제1 LPN이고, A#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는 각각 1#, 2#, 및 3#인 것으로 기지국이 결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MME는 A#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A#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1# 및 2#가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라는 것으로 결정하며, 즉 1# 및 2#가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인 것으로 결정하고, 1#'는 1#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이고, 2#'는 2#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인 것으로 결정한다. 그런 다음, MME는 제1 LPN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1#', 2#', 1#'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2#'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1#, 및 2#를 반송하는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그런 다음, 기지국은 제1 LPN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1#, 및 2#를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부가하고, 그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제1 LPN에 송신하며, 제1 LPN은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1# 및 2#)에 따라,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을 학습하여,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제1 구축될 베어러(1#' 및 2#')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을 학습하며 그런 다음 제1 구축될 베어러(1#' 및 2#')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 요건을 학습한다. 그런 다음, 제1 LPN은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획득하고, 에어 인터페이스 상태가 그 결정된 DRB QoS 요건을 만족하는지를 판정한다(즉,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제1 구축될 베어러 중의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결정한다).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1#'의 DRB QoS와 매칭하는 것으로 제1 LPN이 결정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제1 LPN은 1#'이 제2 구축될 베어러인 것으로 결정하고 1#'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제1 LPN(즉, A#제2 LPN)은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한다.
S305. 기지국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며 제1 LPN에 의해 송신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
S306. 기지국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Q 구성 정보를 결정한다.
S307. 기지국은 제1 UE-릴레이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메시지는 실제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으면서 제1 LPN에 의해 결정되는 일부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예에서의 설명에 따르면,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메시지는 1#'의 제1 S1 구성 정보이다.
구체적으로, 제1 UE-릴레이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한다. 선택적으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된 서비스 베어러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DRB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S1 베어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DRB 베어러일 때,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업링크 DRB 베어러이거나,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업링크 DRB 베어러일 때,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다. 또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된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업링크 베어러일 때, 제1 LPN의 유휴 업링크 자원은 DRB 베어러를 위해 사용되고, 이에 따라 기지국의 다운링크 자원이 제1 LPN에 대해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데 사용되지 않게 된다.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된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베어러일 때, 제1 LPN의 유휴 다운링크 자원은 DRB 베어러를 위해 사용되고, 이에 따라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이 제1 LPN에 대해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데 사용되지 않게 되므로,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된다.
S308. 기지국은 제1 UE-릴레이에 의해 송신된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확인 메시지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한 후, 제1 UE-릴레이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확인 메시지에 부가하고,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서비스 베어러의 ID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고,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는 UE-릴레이 측 상의 GTP-TE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계층 주소를 반송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S309. 기지국은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확인 메시지를 MME에 송신하며,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확인 메시지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확인 메시지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베어러 수정 요구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도록 MME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베어러 수정 요구 메시지는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서비스 베어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확인 메시지로부터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읽어내어,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확인 메시지에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부가하며,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확인 메시지를 MME에 송신하므로, MME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베어러 수정 요구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며, 베어러 수정 요구 메시지를 사용해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서비스 베어러의 특정한 내용을 지시한다. 이 경우,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베어러 수정 요구 메시지 내의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사용해서 데이터가 송신될 UE 릴레이를 학습하고, 서비스 베어러의 ID를 사용해서, 서비스 베어러를 사용해서 현재 오프로딩될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를 학습한다.
선택적으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은 DRB 베어러와 서비스 베어러 내의 S1 베어러 간의 맵핑 관계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에서 유선 베어러와 무선 베어러 간의 대응관계가 명백하게 학습되고, 데이터 허위 표시가 회피되며, 데이터 전송 신뢰성이 더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에 따르면,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한 후, 기지국은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및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제1 LPN에 송신하므로, 제1 LPN은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기지국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며 제1 LPN에 의해 송신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고 제1 LPN에 의해 송신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므로, 제1 UE 릴레이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UE-릴레이가 네트워크에 배치되고, UE-릴레이를 사용하고 제1 LPN의 유휴 업링크-다운링크 자원 및 고정-네트워크 자원을 참조해서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서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며, 이에 따라 기지국과 LPN 간의 종래의 백홀 링크에 의해 생기는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충격이 감소하며,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충격이 감소하여, 신뢰할만한 데이터 전송이 보장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의 실시예 4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구조도에 적용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401. 제1 LPN은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 내의 제1 LPN의 식별자(ID)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제1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 중 하나이고,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제1 LPN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기지국은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런 다음, 기지국이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 내의 제1 LPN의 ID에 따라, 현재의 제1 LPN이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인 것을 학습하고 기지국은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제1 LPN에 송신한다.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 내의 제1 LPN은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서 MME에 의해 결정되는 LPN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LPN은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서 백홀 용량이 제한되는 LPN일 수도 있고, UE-릴레이를 사용해서 고유한 E-RAB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일 수도 있다(즉, 이전에는 LPN과 기지국 사이 또는 LPN과 코어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 베어러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 제1 UE-릴레이는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으면서 MME에 의해 결정되는 UE-릴레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UE-릴레이는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으면서 MME에 의해 결정되는 UE-릴레이일 수도 있고(오프로딩 베어러는 제1 LPN의 하나 이상의 오프로딩될 E-RA 베어러를 오프로딩하는 데 사용된다), 제1 LPN에 대해 고유한 E-RAB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으면서 MME에 의해 결정되는 UE-릴레이일 수도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 내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QoS 요건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의 명시적 QoS 요건일 수도 있고,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암시적 QoS 요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축될 베어러가 제1 LPN의 E-RAB 베어러의 오프로딩 베어러일 때, 제1 구축될 베어러의 QoS 요건 지시자는 E-RAB 베어러의 ID일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E-RAB 베어러의 ID를 사용해서 제1 구축될 베어러의 QoS 요건을 암시적으로 통지받는다. 선택적으로,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전송 계층 주소(코어 네트워크 요소의 IP 주소, 예를 들어, S-GW의 ID 주소)와 같은 정보일 수도 있고 GTP TEID일 수도 있으며 제1 구축될 베어러와 관련된 양자일 수도 있다.
S402. 제1 LPN은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이다.
구체적으로, 제1 LPN은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하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LPN은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에 기초해서 그리고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참조해서 또는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참조해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가 제2 구축될 베어러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한 후, 제1 LPN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추가로 결정한다.
S403. 제1 LPN은 기지국에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기지국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한 후, 제1 LPN은 기지국에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는 제1 LPN에 의해 결정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의 ID를 학습한다.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는 실제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으면서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실시예 1에서의 예를 참조한다.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이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에 대해서는 실시예 1에서의 예를 참조한다.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수신한 후, 기지국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부가하고, 그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제1 UE-릴레이에 송신한다. 여기서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실제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으면서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는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즉,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실제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일부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이다).
또한, 제1 UE-릴레이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한다. 선택적으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된 서비스 베어러는 유선 베어러 및 무선 베어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LPN의 유휴 업링크 자원 또는 다운링크 자원은 무선 베어러를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제1 LPN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때,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의 유휴 업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백홀 링크(백홀 링크는 업링크 무선 베어러이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제1 UE-릴레이는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LPN이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다운링크 백홀 링크를 구축하는 데 기지국의 다운링크 자원이 사용되지 않게 하므로, 기지국의 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1 LPN이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때,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의 유휴 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백홀 링크(백홀 링크는 다운링크 무선 베어러이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제1 UE-릴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LPN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업링크 백홀 링크를 구축하는 데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이 사용되지 않게 되므로,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된다.
또한,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한 후, 제1 UE-릴레이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MME에 송신하고, MME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포워딩한다. 서비스 베어러의 ID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고,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는 UE-릴레이 측 상의 GTP-TE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계층 주소를 반송할 수 있으므로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사용해서 데이터가 송신될 UE 릴레이를 학습하고, 서비스 베어러의 ID를 사용해서 그 데이터를 제1 UE-릴레이에 송신하는 서비스 베어러를 학습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에 따르면,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수신된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하므로, 기지국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제1 UE-릴레이에 송신한다. 이 경우, 제1 UE-릴레이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UE-릴레이가 네트워크에 배치되고, UE-릴레이 및 제1 LPN의 유휴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백홀 링크가 구축되거나 UE-릴레이 및 제1 LPN의 유휴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제1 LPN의 일부의 E-RAB 베어러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며, 이에 따라 기지국과 LPN 간의 종래의 백홀 링크에 의해 생기는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충격이 감소하며,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충격이 감소하여, 신뢰할만한 데이터 전송이 보장된다.
또한,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서비스 베어러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DRB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S1 베어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의 실시예 5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는 제1 LPN과 기지국 사이 또는 제1 LPN과 코어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 베어러가 구축되지 않을 때 제1 LPN이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 내의 내용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특정한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의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구체적으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고,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고, 제1 LPN의 ID는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구체적으로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501. 제1 LPN은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 내에 있으면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 요건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예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다. 그러므로 제1 LPN은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를 직접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DRB QoS 요건은 실제로 제1 구축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다.
이 실시예는 제1 LPN과 기지국 사이에 또는 제1 LPN과 코어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 베어러가 구축되지 않은 시나리오를 포함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실시예 4에 기초해서, 선택적으로, 기지국이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네트워크 내의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제1 초기 백홀 메시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는 구체적으로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하는 능력을 가지는 UE-릴레이일 수 있다. LPN의 전송 성능 정보는 LPN의 NAS-PDU 정보일 수 있고,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는 구체적으로 UE-릴레이의 NAS-PDU 정보일 수 있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를 수신한 후, MME는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이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라는 것으로 결정하고,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라는 것을 결정한다. 그런 다음, MME는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하므로, 기지국은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을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제1 LPN에 송신한다.
S502. 제1 LPN은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획득하고, 에어 인터페이스 상태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 요건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하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면서 DRB QoS 요건이 에어 인터페이스 상태와 매칭하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이다.
구체적으로, 제1 LPN은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예를 들어, 채널 품질 또는 패킷 손실률)를 획득하고, 에어 인터페이스 상태가 그 결정된 DRB QoS 요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즉,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제1 구축될 베어러 중의 DRB 베어러를 구축하기에 적합한지를 판단하여),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 LPN은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능동적으로 측정할 수도 있고 제1 UE-릴레이는 에어 인터페이스 상태를 제1 LPN에 보고할 수도 있다.
S503. 제1 LPN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한다.
제1 LPN이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한 후, 제1 LPN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하여,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제1 UE-릴레이에 송신하도록 기지국을 촉발한다. 또한,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된 서비스 베어러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구축되는 DRB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S1 베어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제1 LPN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때,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의 유휴 업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업링크 백홀 링크(즉, 업링크 무선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제1 UE-릴레이는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LPN에 대해 다운링크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데 기지국의 다운링크 자원이 사용되지 않게 하므로, 기지국의 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1 LPN이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때,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의 유휴 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다운링크 백홀 링크(즉,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제1 UE-릴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LPN에 대해 업링크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데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이 사용되지 않게 되므로,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된다. 그러므로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의 업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업링크 DRB 베어러를 구축할 때, 제1 LPN에 대해 다운링크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데 기지국의 다운링크 자원이 사용되지 않게 하므로, 기지국의 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된다.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의 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다운링크 DRB 베어러를 구축할 때, 제1 LPN에 대해 업링크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데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이 사용되지 않게 되므로,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된다.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실제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으면서 제1 LPN에 의해 결정되는 일부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에 따르면,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한 후, 기지국은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충족해야 하는 QoS 요건을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제1 LPN에 송신하므로, 제1 LPN은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하며,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 경우, 기지국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구성 메시지를 제1 UE-릴레이에 송신하므로, 제1 UE-릴레이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UE-릴레이가 네트워크에 배치되고, UE-릴레이 및 LPN의 유휴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네트워크 내의 LPN에 대해 E-RAB 베어러가 구축되며, 즉 제1 LPN의 유휴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기지국과 LPN 간의 일부의 백홀 링크가 구축되며, 이에 따라 기지국과 LPN 간의 종래의 백홀 링크의 수가 감소하고, 그런 다음 LPN과 기지국 간의 백홀 링크에 의해 생기는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충격이 감소하며,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하여, 신뢰할만한 데이터 전송이 보장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의 실시예 6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는 기지국이 네트워크 내의 제2 LPN의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다는 것을 학습할 때 제1 LPN이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 내의 내용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특정한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2 LPN은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으면서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LPN이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한다.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1 LPN의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구체적으로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다.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구체적으로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기초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601. 제1 LPN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 요건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LPN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의 QoS 요건을 결정할 수 있다.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 실제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QoS 요건이므로, 제1 LPN은 제1 구축될 베어러의 QoS 요건을 학습한다. 그러므로 제1 LPN은 제1 구축될 베어러의 QoS 요건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를 학습할 수 있다. DRB QoS 요건은 실제로 제1 구축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다.
이 실시예는 네트워크 내의 제2 LPN의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시나리오를 포함하며, 제1 UE-릴레이는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실시예 4에 기초해서, 선택적으로, 기지국이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기지국은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제2 LPN을 획득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LPN과의 시그널링 인터랙션에 의해 LPN의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지를 학습하여,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제2 LPN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한다.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한다. 제2 초기 백홀 메시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는 구체적으로 제2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하는 능력을 가지는 UE-릴레이일 수 있다.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는 제2 LPN의 NAS-PDU 정보일 수 있으며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는 구체적으로 UE-릴레이의 NAS-PDU 정보일 수 있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를 수신한 후, MME는 각각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제1 LPN이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인 것으로 결정하고(즉, 제1 LPN이 현재 오프로딩되어야 하는 LPN인 것으로 결정한다. 모든 제2 LPN의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어도, MME는 백홀 용량이 크게 제한되어 있지 않은 일부의 제2 LPN이 먼저 오프로딩되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 결정하며, MME는 백홀 용량이 크게 제한되어 있는 제2 LPN을 제1 LPN으로서 먼저 선택하고, 그 제2 LPN을 오프로딩한다),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인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제1 LPN 및 제1 UE-릴레이를 결정한 후, MME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를 차단하여 제1 LPN의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를 결정한다(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가 현재 구축될 베어러이다). 구체적으로, MME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모든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를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로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1 UE 릴레이가 오프로딩을 위한 최대 1M의 유선 광섬유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면(1M의 유선 광섬유는 S1 베어러의 용량 한계로 간주될 수 있다), MME는 제1 LPN의 각각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용량을 알기 때문에, MME는 현재의 제1 UE 릴레이가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를 학습하므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MME에 의해 결정되는 현재의 제1 LPN의 1#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 및 2#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 모두가 매우 과중한 부하를 가져도, 제1 LPN은 여전히 2#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한 부하를 지탱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면, MME는 1#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해서만 오프로딩을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그러므로 1#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가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인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제1 구축될 베어러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고, 즉 제1 구축될 베어러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오프로딩 베어러로서 사용되어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를 오프로딩한다. 즉, 이 실시예에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와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사이에는 맵핑 관계가 존재한다. MME가 제1 LPN, 제1 UE-릴레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한 후, MME는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기지국은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제1 LPN에 송신하므로, 제1 LPN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 요건을 결정한다.
S602. 제1 LPN은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획득하고, 에어 인터페이스 상태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 요건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하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면서 DRB QoS 요건이 에어 인터페이스 상태와 매칭하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이다.
구체적으로, 제1 LPN은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예를 들어, 채널 품질 또는 패킷 손실률)를 획득하고, 에어 인터페이스 상태가 그 결정된 DRB QoS 요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즉,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제1 구축될 베어러 중의 DRB 베어러를 구축하기에 적합한지를 판단하여),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 LPN은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능동적으로 측정할 수도 있고 제1 UE-릴레이는 에어 인터페이스 상태를 제1 LPN에 보고할 수도 있다.
S603. 제1 LPN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한다.
제1 LPN이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한 후, 제1 LPN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하여,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제1 UE-릴레이에 송신하도록 기지국을 촉발한다. 또한,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서비스 베어러는 이 실시예에서 오프로딩 베어러이다).
선택적으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된 서비스 베어러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구축되는 DRB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S1 베어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DRB 베어러일 때,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업링크 DRB 베어러이거나,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업링크 DRB 베어러일 때,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다. 또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된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업링크 베어러일 때, 제1 LPN의 유휴 업링크 자원은 DRB 베어러를 위해 사용되고, 이에 따라 기지국의 다운링크 자원이 제1 LPN에 대해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데 사용되지 않게 된다.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된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베어러일 때, 제1 LPN의 유휴 다운링크 자원은 DRB 베어러를 위해 사용되고, 이에 따라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이 제1 LPN에 대해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데 사용되지 않게 되므로,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된다.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실제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으면서 제1 LPN에 의해 결정되는 일부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에 따르면,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한 후, 기지국은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및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제1 LPN에 송신하므로, 제1 LPN은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하며,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이 경우, 기지국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구성 메시지를 제1 UE-릴레이에 송신하므로, 제1 UE 릴레이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UE-릴레이가 네트워크에 배치되고, UE-릴레이를 사용하고 제1 LPN의 유휴 업링크-다운링크 자원 및 고정-네트워크 자원을 참조해서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서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며, 이에 따라 기지국과 LPN 간의 종래의 백홀 링크에 의해 생기는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충격이 감소하며,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충격이 감소하여, 신뢰할만한 데이터 전송이 보장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의 실시예 7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701. 제1 UE-릴레이는 제1 UE-릴레이의 식별자(ID)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이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1 LPN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제1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 중 하나이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제1 UE-릴레이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기지국은 MME에 의해 송신되어 수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에 따라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제1 LPN에 송신한다.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1 LPN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LPN은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서 MME에 의해 결정되는 LPN이다. 선택적으로, 제1 LPN은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서 백홀 용량이 제한되는 LPN일 수도 있고, UE-릴레이를 사용해서 고유한 E-RAB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일 수도 있다(즉, 이전에는 LPN과 기지국 사이 또는 LPN과 코어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 베어러가 구축되어 있지 않다). 제1 UE-릴레이는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으면서 MME에 의해 결정되는 UE-릴레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UE-릴레이는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으면서 MME에 의해 결정되는 UE-릴레이일 수도 있고, 제1 LPN에 대해 고유한 E-RAB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으면서 MME에 의해 결정되는 UE-릴레이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제1 구축될 베어러에 관한 전송 계층 주소 또는 GTP TEID와 같은 정보일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제1 LPN의 ID에 따라, 현재의 제1 LPN이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인 것을 학습하게 되면, 기지국은 제1 LPN에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므로, 제1 LPN은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 내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한 후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기지국에 피드백한다. 이 경우, 기지국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부가하고, 그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제1 UE-릴레이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베어러의 식별자일 수도 있고, 다음의 계층: PDCP 계층, RLC 계층, MAC 계층 및 물리 계층에서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베어러의 구성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실제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으면서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는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즉,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실제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일부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이다).
S702. 제1 UE-릴레이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한다.
선택적으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된 서비스 베어러는 유선 베어러 및 무선 베어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LPN의 유휴 업링크 자원 또는 다운링크 자원은 무선 베어러를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제1 LPN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때,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의 유휴 업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백홀 링크(백홀 링크는 업링크 무선 베어러이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제1 UE-릴레이는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LPN이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다운링크 백홀 링크를 구축하는 데 기지국의 다운링크 자원이 사용되지 않게 하므로, 기지국의 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1 LPN이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때,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의 유휴 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백홀 링크(백홀 링크는 다운링크 무선 베어러이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제1 UE-릴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LPN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업링크 백홀 링크를 구축하는 데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이 사용되지 않게 되므로,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된다.
S703. 제1 UE-릴레이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기지국 및 MME를 사용해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며, 서비스 베어러의 ID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다.
구체적으로,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한 후, 제1 UE-릴레이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기지국을 사용해서 MME에 송신하며, MME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기지국을 사용해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포워딩한다. 서비스 베어러의 ID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고,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는 UE-릴레이 측 상의 GTP-TE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계층 주소를 반송할 수 있으므로 코어 네트워크 요소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사용해서 데이터가 송신될 UE 릴레이를 학습하고, 서비스 베어러의 ID를 사용해서 그 데이터를 제1 UE-릴레이에 송신하는 서비스 베어러를 학습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제1 UE-릴레이에 송신하므로, 제1 UE-릴레이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 및 제1 LPN의 업링크 자원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솔루션에 따르면, UE-릴레이가 네트워크에 배치되고, UE-릴레이 및 제1 LPN의 유휴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일부의 LPN에 대해 백업 링크가 구축되거나, UE-릴레이 및 LPN의 유휴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LPN의 일부의 E-RAB 베어러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므로, 기지국과 LPN 간의 종래의 백홀 링크에 의해 생기는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충격이 감소하며, 기지국과 LPN 간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되어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이 보장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해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의 가능한 실시에서, 이 실시예는 제1 LPN과 기지국 사이에 또는 제1 LPN과 코어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 베어러가 구축되지 않을 때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는 특정한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이 경우, S702는 구체적으로: 제1 UE-릴레이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코어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 S1 베어러를 구축하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제1 LPN 간의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명시적 QoS 요건일 수 있고,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구체적으로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결정되고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고, 제1 LPN의 ID는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LPN은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를 직접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DRB QoS 요건은 실제로 제1 구축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다.
이 실시예는 제1 LPN과 기지국 사이에 또는 제1 LPN과 코어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 베어러가 구축되지 않은 시나리오를 포함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실시예 7에 기초해서, 선택적으로, 기지국이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할 수 있다. 제1 초기 백홀 메시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는 구체적으로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하는 능력을 가지는 UE-릴레이일 수 있다. LPN의 전송 성능 정보는 LPN의 NAS-PDU 정보일 수 있고,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는 구체적으로 UE-릴레이의 NAS-PDU 정보일 수 있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를 수신한 후, MME는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이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라는 것으로 결정하고,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라는 것을 결정한다. 그런 다음, MME는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하므로, 기지국은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을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제1 LPN에 송신한다.
또한, 제1 LPN은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예를 들어, 채널 품질 또는 패킷 손실률)를 획득하고, 에어 인터페이스 상태가 그 결정된 DRB QoS 요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즉,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제1 구축될 베어러 중의 DRB 베어러를 구축하기에 적합한지를 판단하여),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 LPN은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능동적으로 측정할 수도 있고 제1 UE-릴레이는 에어 인터페이스 상태를 제1 LPN에 보고할 수도 있다.
제1 LPN이 제2 구축될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한 후, 제1 LPN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하여,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제1 UE-릴레이에 송신하도록 기지국을 촉발한다. 이 경우, 제1 UE-릴레이는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하고, 즉, 제1 UE-릴레이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코어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 S1 베어러를 구축하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제1 LPN 사이에 DRB 베어러를 구축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가 제1 LPN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때,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의 유휴 업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백홀 링크(백홀 링크는 업링크 무선 베어러이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제1 UE-릴레이는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LPN이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다운링크 백홀 링크를 구축하는 데 기지국의 다운링크 자원이 사용되지 않게 하므로, 기지국의 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1 LPN이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때,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의 유휴 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백홀 링크(즉, 다운링크 DRB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제1 UE-릴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LPN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업링크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데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이 사용되지 않게 되므로,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된다. 그러므로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의 업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업링크 DRB 베어러를 구축할 때, 제1 LP에 대해 다운링크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데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이 사용되지 않게 하므로, 기지국의 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된다.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의 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제1 LPN에 대해 다운링크 DRB 베어러를 구축할 때, 제1 LP에 대해 업링크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데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이 사용되지 않게 되므로, 기지국 업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된다.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실제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으면서 제1 LPN에 의해 결정되는 일부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백홀 오프로딩 구성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은 DRB 베어러와 서비스 베어러 내의 S1 베어러 간의 맵핑 관계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에서 유선 베어러와 무선 베어러 간의 대응관계가 명백하게 학습되고, 데이터 허위 표시가 회피되며, 데이터 전송 신뢰성이 더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제1 UE-릴레이에 송신하므로, 제1 UE-릴레이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솔루션에 따르면, UE-릴레이가 네트워크에 배치되고, UE-릴레이 및 LPN의 유휴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일부의 LPN에 대해 E-RAB 베어러가 구축되며, 즉 일부의 LPN의 백홀 링크는 UE-릴레이 및 LPN의 유휴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을 사용해서 모두 구축되며(즉, 일부의 LPN과 이전의 제1 기지국 사이에는 베어러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기지국과 LPN 간의 종래의 백홀 링크가 감소하며, 그런 다음 LPN과 기지국 간의 백홀 링크에 의해 생기는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충격이 감소하고,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하며,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이 보장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해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의 다른 가능한 실시에서, 이 실시예는 기지국이 네트워크 내의 제2 LPN의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다는 것을 학습할 때, 제1 UE-릴레이가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LPN을 오프로딩하는 특정한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이 경우, S702는 구체적으로: 제1 UE-릴레이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코어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 S1 베어러를 구축하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제1 LPN 간의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LPN의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고,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구체적으로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한다.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며, 제1 구축될 베어러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2 LPN은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으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LPN이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LPN은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QoS 요건을 결정할 수 있다.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은 실제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QoS 요건이므로, 제1 LPN은 제1 구축될 베어러의 QoS 요건을 학습한다. 그러므로 제1 LPN은 제1 구축될 베어러의 QoS 요건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를 학습할 수 있다. DRB QoS 요건은 실제로 제1 구축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다.
이 실시예는 네트워크 내의 제1 LPN의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고, 제1 UE-릴레이가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해야 하는 시나리오를 포함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실시예 7에 기초해서, 선택적으로, 기지국이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기지국은 네트워크 내의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제2 LPN을 획득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은 LPN과의 시그널링 인터랙션에 의해 LPN의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지를 학습하여,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제2 LPN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한다. 제2 초기 백홀 메시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는 구체적으로 제2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하는 능력을 가진 UE-릴레이일 수 있다.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는 제2 LPN의 NAS-PDU 정보일 수 있고,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는 구체적으로 UE-릴레이의 NASP-PDU일 수 있다.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를 수신한 후, MME는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제1 LPN이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라는 것으로 결정하고(즉, 제1 LPN이 현재 오프로딩되어야 하는 LPN이라는 것으로 결정한다. 모든 제2 LPN의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어도, MME는 백홀 용량이 크게 제한되어 있지 않은 일부의 제2 LPN이 먼저 오프로딩되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 결정하며, MME는 백홀 용량이 크게 제한되어 있는 제2 LPN을 제1 LPN으로서 먼저 선택하고, 그 제2 LPN을 오프로딩한다),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라는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제1 LPN 및 제1 UE-릴레이를 결정한 후, MME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를 차단하여 제1 LPN의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를 결정한다(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가 현재 구축될 베어러이다). 구체적으로, MME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모든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1 UE 릴레이가 오프로딩을 위한 최대 1M의 유선 광섬유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면(1M의 유선 광섬유는 S1 베어러의 용량 한계로 간주될 수 있다), MME는 제1 LPN의 각각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용량을 알기 때문에, MME는 현재의 제1 UE 릴레이가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를 학습하므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MME에 의해 결정되는 현재의 제1 LPN의 1#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 및 2#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 모두가 매우 과중한 부하를 가져도, 제1 LPN은 여전히 2#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한 부하를 지탱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면, MME는 1#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해서만 오프로딩을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그러므로 1#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가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인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제1 구축될 베어러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오프로딩 베어러로서 사용되어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를 오프로딩한다. 즉, 이 실시예에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와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사이에는 맵핑 관계가 존재한다.
그런 다음, MME는 기지국에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므로, 기지국은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을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제1 LPN에 송신한다. 이 경우, 제1 LPN은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 내의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를 학습한다. 또한, 제1 LPN은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예를 들어, 채널 품질 또는 패킷 손실률)를 획득하고, 에어 인터페이스 상태가 그 결정된 DRB QoS 요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즉,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제1 구축될 베어러 중의 DRB 베어러를 구축하기에 적합한지를 판단하여), 제2 구축될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제1 LPN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하여,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제1 UE-릴레이에 송신하도록 기지국을 촉발한다. 이 경우, 제1 UE-릴레이는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하고, 즉, 제1 UE-릴레이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코어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 S1 베어러를 구축하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제1 LPN 사이에 DRB 베어러를 구축한다.
즉,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된 서비스 베어러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DRB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S1 베어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DRB 베어러일 때,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업링크 DRB 베어러이거나,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업링크 DRB 베어러일 때,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다. 또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된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업링크 베어러일 때, 제1 LPN의 유휴 업링크 자원은 DRB 베어러를 위해 사용되고, 이에 따라 기지국의 다운링크 자원이 제1 LPN에 대해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데 사용되지 않게 된다.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된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베어러일 때, 제1 LPN의 유휴 다운링크 자원은 DRB 베어러를 위해 사용되고, 이에 따라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이 제1 LPN에 대해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데 사용되지 않게 되므로,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에 대한 백홀 부하가 감소된다.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실제로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으면서 제1 LPN에 의해 결정되는 일부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백홀 오프로딩 구성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은 DRB 베어러와 서비스 베어러 내의 S1 베어러 간의 맵핑 관계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에서 유선 베어러와 무선 베어러 간의 대응관계가 명백하게 학습되고, 데이터 허위 표시가 회피되며, 데이터 전송 신뢰성이 더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구성 메시지를 제1 UE-릴레이에 송신하므로, 제1 UE-릴레이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UE-릴레이가 네트워크에 배치되고, UE-릴레이를 사용하고 제1 LPN의 유휴 업링크-다운링크 자원 및 고정-네트워크 자원을 참조해서 네트워크 내에 있으면서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며, 이에 따라 기지국과 LPN 간의 종래의 백홀 링크에 의해 생기는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충격이 감소하며, 기지국의 업링크-다운링크 자원에 대한 충격이 감소하여, 신뢰할만한 데이터 전송이 보장된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의 실시예 8에 대한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는 제1 LPN과 기지국 사이에 또는 제1 LPN과 코어 네트워크 요소 사이에 베어러가 구축되지 않을 때 제1 UE-릴레이가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하는 특정한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도 9a,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801.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한다.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S802. MME는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제1 LPN을 결정하고,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구축되어야 하는 제1 UE-릴레이를 결정하며, 제1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한다.
S803. MME는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고,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다.
S804. 기지국은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 내의 제1 LPN의 ID에 따라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제1 LPN에 송신한다.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을 포함한다.
S805. 제1 LPN은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한다.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따라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이다.
S806. 제1 LPN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S807. 기지국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결정한다.
S808. 기지국은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송신한다.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S809. 제1 UE-릴레이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한다.
S810.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확인 메시지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S811. 기지국은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확인 메시지를 MME에 송신하며,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확인 메시지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S812. MME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베어러 수정 요구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며, 상기 베어러 수정 요구 메시지는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서비스 베어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S801 내지 S812의 특정한 실시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특정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이의 실시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의 실시예 9에 대한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는 네트워크 내의 일부의 LPN의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다는 것을 기지국이 학습한 후, UE-릴레이가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LPN을 오프로딩하는 특정한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901.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제2 LPN을 획득한다.
S902.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한다.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한다.
S903. MME는 제2 초기 백홀 메시지에 따라 제1 LPN, 제1 UE-릴레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MME는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제1 LPN을 결정하고,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제1 UE-릴레이를 결정하고,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를 결정하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제1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한다.
S904. MME는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한다.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다.
S905. 기지국은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 내의 제1 LPN의 ID에 따라 제1 LPN에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한다.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한다.
S906. 제1 LPN은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한다.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따라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이다.
S907. 제1 LPN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S908. 기지국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결정한다.
S909. 기지국은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송신한다.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S910. 제1 UE-릴레이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한다.
S911.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확인 메시지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S912. 기지국은 MME에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포함한다.
S913. MME는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반송하는 베어러 수정 요구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며, 상기 베어러 수정 요구 메시지는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서비스 베어러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S901 내지 S913의 특정한 실시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특정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이의 실시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방법 실시예의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는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을 내리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방법 실시예의 단계가 수행된다.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 예를 들어, ROM, RAM, 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를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실시예 1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기지국은 도 1에 도시된,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저 전력 노드(low power node, LPN),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UE-릴레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수신 모듈(10), 송신 모듈(11), 및 결정 모듈(12)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10)은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식별자(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to-be-established bearer)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며, 제1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 중 하나이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이다.
송신 모듈(11)은 수신 모듈(10)에 의해 수신되는 제1 LPN의 ID에 따라 제1 LPN에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1 LPN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이다.
수신 모듈(10)은 제1 LPN에 의해 송신되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결정 모듈(12)은 수신 모듈(10)에 의해 수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 모듈(11)은 수신 모듈(10)에 의해 수신되는 제1 UE-릴레이의 ID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며 -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됨 - , 그리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베어러의 수신된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수신된 제2 S1 구성 정보를 MME를 사용해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비스 베어러의 ID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지국은 전술한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다. 이의 실시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서비스 베어러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DRB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S1 베어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가능한 실시에서, 송신 모듈(11)은 수신 모듈(10)이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며, 제1 LPN은 각각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각각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다른 가능한 실시에서, 선택적으로, 결정 모듈(12)은 수신 모듈(10)이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제2 LPN을 획득하기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송신 모듈(11)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하기로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한다.
제1 LPN은 각각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각각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1 LPN의 제2 구축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며,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다.
또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업링크 DRB 베어러이거나, 또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업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다.
또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traffic flow templat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하고,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은 상기 DRB 베어러와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S1 베어러 간의 맵핑 관계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지국은 전술한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다. 이의 실시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 1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장치는 제1 LPN일 수 있으며, 상기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저 전력 노드,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UE-릴레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1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 중 하나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수신 모듈(20), 결정 모듈(21), 및 송신 모듈(22)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20)은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 내의 제1 LPN의 식별자(ID)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이다.
결정 모듈(21)은 수신 모듈(20)에 의해 수신된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이다.
송신 모듈(22)은 기지국에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는 상기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기지국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다. 이의 실시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서비스 베어러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DRB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S1 베어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가능한 실시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며,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다른 가능한 실시에서,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2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백홀 용량이 제한되는 LPN이다.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한다.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며,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다.
또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업링크 DRB 베어러이거나, 또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업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다. 이의 실시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 2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해서, 결정 모듈(21)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 요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결정 유닛(211);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고 제1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되는 DRB QoS 요건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결정 유닛(212) -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DRB QoS 요건이 에어 인터페이스 상태와 매칭하는 제1 구축될 베어러임 - ; 및 상기 제2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결정 유닛(21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다. 이의 실시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 3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장치는 제1 UE-릴레이일 수 있으며, 상기 장치는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저 전력 노드(LPN),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UE-릴레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수신 모듈(30), 베어러 구축 모듈(31), 및 송신 모듈(32)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30)은 제1 UE-릴레이의 식별자(ID)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식별자(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이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1 LPN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베어러 구축 모듈(31)은 수신 모듈(30)에 의해 수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 모듈(32)은 베어러 구축 모듈(31)에 의해 구축된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기지국 및 MME를 사용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비스 베어러의 ID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다. 이의 실시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베어러 구축 모듈(31)은 구체적으로, 수신 모듈(30)에 의해 수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코어 네트워크 요소 간의 S1 베어러를 구축하고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제1 LPN 간의 DRB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가능한 실시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다.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다른 가능한 실시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LPN의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다.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2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백홀 용량이 제한되는 LPN이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한다.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1 LPN의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다.
또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업링크 DRB 베어러이거나, 또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업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다.
또한,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하고,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은 상기 DRB 베어러와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S1 베어러 간의 맵핑 관계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다. 이의 실시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실시예 2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기지국은 도 1에 도시된,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저 전력 노드(low power node, LPN),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UE-릴레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수신기(40), 전송기(41), 및 프로세서(42)를 포함한다.
수신기(40)는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식별자(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며, 제1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 중 하나이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이다.
전송기(41)는 수신기(40)에 의해 수신되는 제1 LPN의 ID에 따라 제1 LPN에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1 LPN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이다.
수신기(40)는 제1 LPN에 의해 송신되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세서(42)는 수신기(40)에 의해 수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송기(41)는 수신기(40)에 의해 수신되는 제1 UE-릴레이의 ID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며 -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됨 - , 그리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베어러의 수신된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수신된 제2 S1 구성 정보를 MME를 사용해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비스 베어러의 ID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지국은 전술한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다. 이의 실시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서비스 베어러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DRB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S1 베어러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전송기(41)는 수신기(40)가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며, 제1 LPN은 각각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각각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42)는 수신기(40)가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제2 LPN을 획득하기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전송기(41)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하기로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한다.
제1 LPN은 각각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각각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1 LPN의 제2 구축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며,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다.
또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업링크 DRB 베어러이거나, 또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업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다.
또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하고,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은 상기 DRB 베어러와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S1 베어러 간의 맵핑 관계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지국은 전술한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다. 이의 실시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 4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장치는 제1 LPN일 수 있으며, 상기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저 전력 노드,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UE-릴레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1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 중 하나이다. 장치는 수신기(50), 프로세서(51), 및 전송기(52)를 포함한다.
수신기(50)는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 내의 제1 LPN의 식별자(ID)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이다.
프로세서(51)는 수신기(50)에 의해 수신된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이다.
전송기(52)는 기지국에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결정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기지국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다. 이의 실시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서비스 베어러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DRB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S1 베어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가능한 실시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며,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다른 가능한 실시에서,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2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백홀 용량이 제한되는 LPN이다.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한다.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며,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다.
또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업링크 DRB 베어러이거나, 또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업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다.
또한, 프로세서(51)는 구체적으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 요건을 결정하고;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 요건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하며; 그리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DRB QoS 요건이 에어 인터페이스 상태와 매칭하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다. 이의 실시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 5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장치는 제1 UE-릴레이일 수 있으며, 상기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저 전력 노드(LPN),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UE-릴레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이다. 상기 장치는 수신기(60), 프로세서(61), 및 전송기(62)를 포함한다.
수신기(60)는 제1 UE-릴레이의 식별자(ID)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식별자(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이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1 LPN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프로세서(61)는 수신기(60)에 의해 수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송기(62)는 프로세서(61)에 의해 구축된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기지국 및 MME를 사용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비스 베어러의 ID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다. 이의 실시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61)는 구체적으로: 수신기(60)에 의해 수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코어 네트워크 요소 간의 S1 베어러를 구축하고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제1 LPN 간의 DRB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가능한 실시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다.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다른 가능한 실시에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LPN의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다.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2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백홀 용량이 제한되는 LPN이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한다.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1 LPN의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다.
또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업링크 DRB 베어러이거나, 또는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가 업링크 DRB 베어러이면,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DRB 베어러는 다운링크 DRB 베어러이다.
또한,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하고,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은 상기 DRB 베어러와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S1 베어러 간의 맵핑 관계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다. 이의 실시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전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수정하거나, 또는 기술적 특징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등가의 대체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54)

  1.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한 기지국으로서,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저 전력 노드(low power node, LPN),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UE-릴레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기지국은,
    상기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모듈 -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식별자(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to-be-established bearer)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며, 제1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 중 하나이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임 - ;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제1 LPN의 ID에 따라 제1 LPN에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모듈 -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1 LPN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임 - ; 및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정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제1 LPN에 의해 송신되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제1 UE-릴레이의 ID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며 -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됨 - , 그리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베어러의 수신된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수신된 제2 S1 구성 정보를 MME를 사용해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비스 베어러의 ID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인, 기지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베어러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DRB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S1 베어러를 포함하는, 기지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하며,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며, 제1 LPN은 각각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각각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는, 기지국.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이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제2 LPN을 획득하기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하기로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제1 LPN은 각각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각각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1 LPN의 제2 구축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며,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인, 기지국.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traffic flow templat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하고,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은 상기 DRB 베어러와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S1 베어러 간의 맵핑 관계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는, 기지국.
  6.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제1 저 전력 노드(LPN)이며, 상기 장치는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저 전력 노드,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UE-릴레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1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 중 하나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 내의 제1 LPN의 식별자(ID)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모듈 -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임 - ;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정 모듈 -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임 - ; 및
    상기 기지국에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는 상기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기지국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베어러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DRB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S1 베어러를 포함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며,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2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백홀 용량이 제한되는 LPN이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며,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인,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 요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결정 유닛;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고 제1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되는 DRB QoS 요건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결정 유닛 -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DRB QoS 요건이 에어 인터페이스 상태와 매칭하는 제1 구축될 베어러임 - ; 및
    상기 제2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결정 유닛
    을 포함하는, 장치.
  11.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제1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이며, 상기 장치는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저 전력 노드(LPN),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UE-릴레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이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UE-릴레이의 식별자(ID)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 모듈 -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식별자(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이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1 LPN에 명령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베어러 구축 모듈; 및
    상기 베어러 구축 모듈에 의해 구축된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기지국 및 MME를 사용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 모듈 - 상기 서비스 베어러의 ID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임 -
    을 포함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 구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코어 네트워크 요소 간의 S1 베어러를 구축하고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제1 LPN 간의 DRB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며,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LPN의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며,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2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백홀 용량이 제한되는 LPN이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1 LPN의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인, 장치.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하고,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은 상기 DRB 베어러와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S1 베어러 간의 맵핑 관계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
  16. 백홀 링크 구축 방법으로서,
    상기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은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저 전력 노드(low power node, LPN),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UE-릴레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식별자(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며, 제1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 중 하나이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임 - ;
    상기 기지국이 제1 LPN의 ID에 따라 제1 LPN에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1 LPN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임 - ; 및
    상기 기지국이 제1 LPN에 의해 송신되고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반송하는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제1 UE-릴레이의 ID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기지국이 제1 UE-릴레이에 의해 송신되는 서비스 베어러의 수신된 ID 및 서비스 베어러의 수신된 제2 S1 구성 정보를 MME를 사용해서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서비스 베어러의 ID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임 -
    를 포함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베어러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DRB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S1 베어러를 포함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하며,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며, 제1 LPN은 각각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각각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백홀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제2 LPN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를 MME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제1 LPN은 각각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각각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1 LPN의 제2 구축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며,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인, 백홀 링크 구축 방법.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traffic flow templat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하고,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은 상기 DRB 베어러와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S1 베어러 간의 맵핑 관계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
  21. 백홀 링크 구축 방법으로서,
    상기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은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저 전력 노드,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UE-릴레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1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 중 하나이며, 상기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은,
    상기 제1 LPN이 MME에 의해 송신된 백홀 오프로딩 구축 구성 메시지 내의 제1 LPN의 식별자(ID)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백홀 오프로딩 구축 요구 메시지는 제1 LPN의 ID,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서비스 품질(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임 - ;
    상기 제1 LPN이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임 - ; 및
    상기 제1 LPN이 상기 기지국에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확인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기지국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며,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베어러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DRB 베어러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되는 S1 베어러를 포함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며,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2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백홀 용량이 제한되는 LPN이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이며,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인, 백홀 링크 구축 방법.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LPN이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에 따라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LPN이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에 따라,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 요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LPN이 제1 LPN과 제1 UE-릴레이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의 상태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DRB QoS 요건에 따라 제2 구축될 베어러를 결정하는 단계 -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DRB QoS 요건이 에어 인터페이스 상태와 매칭하는 제1 구축될 베어러임 - ; 및
    상기 제1 LPN이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
  26. 백홀 링크 구축 방법으로서,
    상기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은 소형 셀을 배치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기기 릴레이(UE-릴레이), 적어도 하나의 저 전력 노드(LPN), 기지국,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및 코어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UE-릴레이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UE-릴레이는 LPN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제1 UE-릴레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 중 하나이며, 상기 백홀 링크 구축 방법은,
    상기 제1 UE-릴레이가 상기 제1 UE-릴레이의 식별자(ID)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식별자(ID),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 구성 정보를 포함하며, 제2 구축될 베어러는 상기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에 있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 및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에 따라 제1 LPN의 제1 구축될 베어러로부터 제1 LPN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에 의해 구축될 수 있는 베어러이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ID, 제1 구축될 베어러의 ID, 및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를 반송하며,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요구 메시지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데이터 DRB 구성 정보를 결정하도록 제1 LPN에 명령하는 데 사용됨 - ; 및
    상기 제1 UE-릴레이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E-릴레이가 상기 서비스 베어러의 ID 및 상기 서비스 베어러의 제2 S1 구성 정보를 기지국 및 MME를 사용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서비스 베어러의 ID는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임 -
    을 포함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E-릴레이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 및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LPN에 대해 서비스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E-릴레이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제1 S1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코어 네트워크 요소 간의 S1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E-릴레이가 제2 구축될 베어러의 DRB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UE-릴레이와 제1 LPN 간의 DRB 베어러를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이며,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각각의 제1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를 포함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제1 구축될 베어러가 만족해야 하는 QoS 요건에 대한 지시자는 제1 LPN의 제2 구축될 베어러의 ID이며,
    제1 LPN은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2 LPN으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오프로딩 베어러가 구축되어야 하는 LPN이며, 제1 LPN의 ID는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제2 LPN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PN으로부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백홀 용량이 제한되는 LPN이며,
    제1 UE-릴레이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 내의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LPN에 대해 오프로딩 베어러를 구축할 수 있는 UE-릴레이이며, 제1 UE-릴레이의 ID는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각각의 UE-릴레이의 ID에 따라 MME에 의해 결정되며, 각각의 제2 초기 백홀 메시지는 하나의 제2 LPN의 ID, 적어도 하나의 UE-릴레이의 ID, 제2 LPN의 전송 성능 정보, 각각의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 제2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를 포함하며,
    제1 구축될 베어러는 MME에 의해 결정되면서 제1 LPN의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프로딩 베어러이며, 제2 오프로딩될 베어러는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의 ID 및 제1 UE-릴레이의 전송 성능 정보 및/또는 제1 LPN의 전송 성능 정보에 따라 제1 LPN의 제1 오프로딩될 베어러로부터 MME에 의해 결정되고 제1 UE-릴레이를 사용해서 오프로딩될 수 있는 오프로딩될 베어러인, 백홀 링크 구축 방법.
  30.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로딩 베어러 구성 메시지는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을 더 포함하고, 제1 UE-릴레이의 트래픽 흐름 템플릿은 상기 DRB 베어러와 상기 서비스 베어러 내의 S1 베어러 간의 맵핑 관계를 구축하도록 제1 UE-릴레이에 명령하는 데 사용되는, 백홀 링크 구축 방법.
  31.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가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
  32.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가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
  33.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가 제26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KR1020177026094A 2015-02-17 2015-02-17 백홀 링크 구축 방법, 기지국 및 장치 KR101952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5/073218 WO2016131188A1 (zh) 2015-02-17 2015-02-17 回程链路的建立方法、基站和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181A KR20170118181A (ko) 2017-10-24
KR101952227B1 true KR101952227B1 (ko) 2019-05-20

Family

ID=5668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094A KR101952227B1 (ko) 2015-02-17 2015-02-17 백홀 링크 구축 방법, 기지국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92082B2 (ko)
EP (1) EP3253098B1 (ko)
JP (1) JP6490245B2 (ko)
KR (1) KR101952227B1 (ko)
CN (1) CN106465128B (ko)
BR (1) BR112017017674A2 (ko)
WO (1) WO20161311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189B1 (ko) * 2016-03-11 2020-02-20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액세스 망 슬라이싱 제어 장치와 그 장치가 무선 베어러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WO2018006215A1 (zh) * 2016-07-04 2018-01-11 华为技术有限公司 管理终端设备的imsi状态的方法、装置及系统
KR102119635B1 (ko) * 2016-09-29 2020-06-08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백홀 링크 설정 방법 및 장치
US10321503B2 (en) * 2016-12-11 2019-06-1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remote unit to a mobile core network via a standalone untrusted non-3GPP access network
US10264596B1 (en) * 2017-03-22 2019-04-16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WCD core-network connection based on communications served by base station for which WCD provides wireless backhaul connectivity
WO2019028778A1 (zh) * 2017-08-10 2019-02-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传输控制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19157728A1 (zh) 2018-02-14 2019-08-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972201A (zh) * 2018-09-29 2020-04-0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配置节点数据收发的方法和设备
US11297669B2 (en) * 2018-11-02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ing in relay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CN111757499A (zh) * 2019-03-28 2020-10-0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资源管理方法、控制信息传输方法、以及信息配置方法
US11985540B2 (en) * 2021-12-28 2024-05-14 T-Mobile Innovations Llc Control-plane overload manag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4200A1 (ja) 2012-10-05 2014-04-10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通信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20140177840A1 (en) 2012-12-20 2014-06-26 T-Mobile Usa, Inc. Cellular Backhaul Load Distribution
CN104113881A (zh) 2013-04-16 2014-10-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资源管理方法、宏基站及低功率节点
US20150045032A1 (en) 2012-03-22 2015-02-1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ffloading backhaul traffic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5138B2 (en) * 2008-08-25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Relay architecture framework
JP2010283793A (ja) * 2009-06-08 2010-12-16 Ntt Docomo Inc 移動通信方法及びリレーノード
WO2011111214A1 (ja) 2010-03-11 2011-09-15 富士通株式会社 中継局、基地局、移動局、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8787303B2 (en) * 2010-10-05 2014-07-22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ata traffic offloading at a router
CN103229557B (zh) 2010-12-01 2016-03-16 日本电气株式会社 中继基站、移动终端
US9113412B2 (en) * 2011-12-12 2015-08-18 Qualcomm Incorporated Low power node dormant state
WO2013141552A1 (ko) * 2012-03-19 2013-09-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로밍 시스템에서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3141572A1 (ko) 2012-03-19 2013-09-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EP2868140A1 (en) * 2012-06-29 2015-05-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relay node for implementing multiple wireless backhauls
US11405841B2 (en) * 2012-07-20 2022-08-02 Qualcomm Incorporated Using UE environmental status information to improve mobility handling and offload decisions
WO2014043665A2 (en) * 2012-09-17 2014-03-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Self-optimization of backhaul radio reseources and small cell backhaul delay estimation
KR20140073377A (ko) * 2012-12-06 2014-06-16 주식회사 팬택 이종 네트워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 베어러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105191216B (zh) * 2013-03-15 2019-03-08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多流聚合的缓冲区状态报告的系统和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45032A1 (en) 2012-03-22 2015-02-1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ffloading backhaul traffic
WO2014054200A1 (ja) 2012-10-05 2014-04-10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通信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20140177840A1 (en) 2012-12-20 2014-06-26 T-Mobile Usa, Inc. Cellular Backhaul Load Distribution
CN104113881A (zh) 2013-04-16 2014-10-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资源管理方法、宏基站及低功率节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31188A1 (zh) 2016-08-25
EP3253098B1 (en) 2019-05-22
BR112017017674A2 (pt) 2018-07-17
US20170347302A1 (en) 2017-11-30
EP3253098A4 (en) 2018-02-14
JP6490245B2 (ja) 2019-03-27
CN106465128A (zh) 2017-02-22
CN106465128B (zh) 2019-11-29
EP3253098A1 (en) 2017-12-06
KR20170118181A (ko) 2017-10-24
JP2018509115A (ja) 2018-03-29
US10292082B2 (en) 201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227B1 (ko) 백홀 링크 구축 방법, 기지국 및 장치
US110393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lecting path for IAB relay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8031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te/nr 인터워킹의 지원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JP6662477B2 (ja) 最適化されたue中継
US10412650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129451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노드를 사용하는 방법
KR20220114000A (ko) 사이드링크 릴레이 아키텍처 중의 스위칭 방법과 장치
JP6844649B2 (ja) 第1の無線局、制御プレーン機能ノード、及びこれらの方法
US10342061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CN111989981A (zh) 在cp-up分离中保持连接时丢弃缓冲数据的方法和设备
CN108184249B (zh) 回程链路的信息传输方法及系统、代理设备、接入设备
US9775180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9344922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WO2022022484A1 (zh) 一种逻辑信道lch的配置的方法、通信装置和通信系统
JP2011171994A (ja) 中継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20150296495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9775052B2 (en) Superordinate base station, subordinate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17616806A (zh) 用于处置节点迁移的第一节点、第二节点以及由此执行的方法
US202304133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WO2022082543A1 (zh) Iab节点的移植方法及装置
CN117121556A (zh) 用于时间敏感联网的切换技术
WO2016165050A1 (zh) 一种传输数据的装置、系统和方法
WO2022205389A1 (zh) 条件重配置的方法及装置
KR102049391B1 (ko) 이종 네트워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변경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