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042B1 -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 - Google Patents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042B1
KR101952042B1 KR1020170159176A KR20170159176A KR101952042B1 KR 101952042 B1 KR101952042 B1 KR 101952042B1 KR 1020170159176 A KR1020170159176 A KR 1020170159176A KR 20170159176 A KR20170159176 A KR 20170159176A KR 101952042 B1 KR101952042 B1 KR 101952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handle
tube
presen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헌
Original Assignee
김도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헌 filed Critical 김도헌
Priority to KR1020170159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2Urinals without flus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보다 위생적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는, 내부에 배뇨공;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가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뇨되는 소변을 받아내는 배뇨부;와, 배뇨부가 내부에 안착 가능하되 일측에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가 돌출되는 손잡이부;와, 손잡이부의 거치가 가능한 걸이부;와,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튜브의 내측이 배뇨부의 외측과 밀착되고 튜브의 외측이 손잡이부의 내측에 밀착되어 배뇨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고정 가능한 비닐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Male urine receiving device}
본 발명은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보다 위생적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에 관한 다수의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6068호'에 남성 소변 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6068호'는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요도에 도뇨관을 삽입시킬 수 있는 남성 소변 보조기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6068호'는 중증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변 보조기로 경증 환자 등에게는 유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5376호'에 휴대용 소변 처리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5376호'는 소변용기에 배뇨되는 소변을 모아 밀폐시켜 전달시킬 수 있는 휴대용 소변 처리 기구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5376호'는 패트병 등의 용기에 소변을 일시적으로 수거하기 위한 휴대용 소변 처리 기구로 경증환자 등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지속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소변 기구라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6068호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5376호
본 발명의 목적은, 경증환자 등 거동이 불편한 남성을 위한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사용이 용이한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거치가 용이한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위생적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는, 내부에 배뇨공;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가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뇨되는 소변을 받아내는 배뇨부;와, 배뇨부가 내부에 안착 가능하되 일측에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가 돌출되는 손잡이부;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손잡이부의 거치가 가능한 걸이부;와,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튜브의 내측이 배뇨부의 외측과 밀착되고 튜브의 외측이 손잡이부의 내측에 밀착되어 배뇨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고정 가능한 비닐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배뇨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단;과, 외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손잡이부의 상부에 걸리는 중단;과, 걸이부의 내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걸이부의 내부에 안착 가능한 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배뇨부는, 배뇨공에 상부의 관경보다 하부의 관경에 확장되어 형성되는 턱인 물끊기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손잡이부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비닐튜브가 측면에서 삽입가능한 튜브삽입슬릿;이 파이프의 일측면 전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C형링;과, C형링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걸이부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파이프의 일측의 길이가 타측의 길이보다 길고 일측에 손잡이의 안착이 가능한 손잡이안착홈이 구비되는 환형링;과, 환형링의 타측에 벽면 또는 수직으로 위치되는 섬유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고정수단은, 환형링의 타측 내주면에 돌출된 돌기로 옷핀 또는 핀의 부설이 가능한 고정돌기;이거나, 환형링의 타측 외주면에 고정되되 하방으로 첨단이 형성되는 고정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설치방법은, 걸이부를 고정수단을 이용해 벽면 또는 수직으로 위치되는 섬유에 고정시키는 걸이부고정단계;와, 비닐튜브를 걸이부의 내부에 하방에서부터 삽입시키는 비닐튜브준비단계;와, 비닐튜브의 상단부를 튜브삽입슬릿을 통해 손잡이부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비닐튜브삽입단계;와, 손잡이부의 내부에 삽입된 비닐튜브의 상단부의 개방된 부분에 배뇨부의 하단을 삽입시킨 후 배뇨부를 손잡이부의 내부에 안착시키는 비닐튜브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는, 경증환자 등의 거동이 불편한 남성에게 유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는, 소변받이 장치의 사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는, 소변받이 장치의 거치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는,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배뇨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걸이부의 입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걸이부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는, 내부에 배뇨공(110)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가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뇨되는 소변을 받아내는 배뇨부(100)와, 배뇨부가 내부에 안착 가능하되 일측에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220)가 돌출되는 손잡이부(200)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손잡이부의 거치가 가능한 걸이부(300)와,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튜브의 내측이 배뇨부의 외측과 밀착되고 튜브의 외측이 손잡이부의 내측에 밀착되어 배뇨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고정 가능한 비닐튜브(4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손잡이부(20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비닐튜브가 측면에서 삽입가능한 튜브삽입슬릿(211)이 파이프의 일측면 전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C형링(210)과, C형링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손잡이(2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걸이부(30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에 손잡이의 안착이 가능한 손잡이안착홈(313)이 구비되는 환형링(310)과, 환형링의 타측에 벽면 또는 수직으로 위치되는 섬유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고정수단은, 환형링타측(312) 내주면에 돌출된 돌기로 옷핀 또는 핀의 부설이 가능한 고정돌기(32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는, 비닐튜브(400)를 배뇨부(100)와 손잡이부(200) 사이에 고정시켜 소변을 받아내고, 배뇨 후 상기 배뇨부(100)와 손잡이부(200)와 비닐튜브(400)를 걸이부(300)에 거치시킬 수 있다. 걸이부는 고정수단을 이용해 벽면이나 수직으로 위치되는 섬유에 고정시킬 수 있다.
수직으로 위치되는 섬유는, 이를테면 침대 측면에 위치되는 침대시트 또는, 커튼 또는, 벽면에 부착된 부직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C형링(210)의 측면에는 튜브삽입슬릿(211)이 구비되는데, 튜브삽입슬릿(211)의 구체적 용도는, 하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설치방법에서 설명된다.
손잡이안착홈(313)은 돌출된 손잡이(220)를 수용하는데, 이에 더해 걸이부(300) 내부에 삽입된 손잡이부(200)의 안착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조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배뇨부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배뇨부(100)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단(120)과, 외측으로 중단돌출부(131)가 형성되어 손잡이부의 상부에 걸리는 중단(130)과, 걸이부의 내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걸이부의 내부에 안착 가능한 하단(14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배뇨부(100)는, 배뇨공에 상부의 관경보다 하부의 관경에 확장되어 형성되는 턱인 물끊기턱(150)을 더 포함한다.
배뇨부(100)의 상단(120)의 내주면은 깔대기 형상의 깔대기내면(121)을 형성하여 배뇨되는 소변을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배뇨부(100)의 중단(130)에는 외측으로 중단돌출부(131)가 형성되는데, 중단돌출부(131)의 하부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배뇨부(100)의 하단(140)의 일부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면 형성되는 하단볼록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볼록부(141)는 배뇨부(100)의 하단(140)이 손잡이부(200)의 내부에 삽입될 시 마찰력을 증대시켜 고정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때 손잡이부(200)는 C형링(210)의 확장을 통해 하단볼록부(141)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물끊기턱(150)은 배뇨되는 소변이 배뇨부(100) 외부로 튀는 것과 소변으로 인해 배뇨부(100)의 내주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상부의 관경보다 하부의 관경에 확장되어 형성되는 물끊기턱(150)의 하부면은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물끊기의 효과는 더욱 커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걸이부의 입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걸이부의 환형링(310)은, 환형링일측(311)의 길이가 환형링타측(31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환형링일측(311)에는 손잡이안착홈(313)이 구비되어 손잡이부(200)의 거치시 손잡이부(200)의 손잡이(220)가 위치된다. 따라서 손잡이부(200)의 거치시 환형링일측(311)에는 상대적으로 더 큰 하중이 걸리게 되어 쳐짐이 심하게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고정수단이 환형링타측(312)에 설치되므로 환형링타측(312)이 회전축이 되고 환형링일측(311)이 하방으로 쳐지는 현상을 예상할 수 있다.
환형링일측(311)의 길이를 환형링타측(31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시킴으로써, 환형링일측(311)이 하방으로 쳐지는 경우에도 환형링(310)의 상부면을 수평되게 유지시켜서 걸이부(300)의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걸이부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고정수단은, 환형링타측(312) 외주면에 고정되되 하방으로 첨단이 형성되는 고정핀(322)일 수 있다.
고정핀(322)은 침대시트 등 수직으로 위치되는 섬유에 걸이부(300)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2개 이상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동일한 높이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의 설치방법은, 걸이부를 고정수단을 이용해 벽면 또는 수직으로 위치되는 섬유에 고정시키는 걸이부고정단계;와, 비닐튜브를 걸이부의 내부에 하방에서부터 삽입시키는 비닐튜브준비단계;와, 비닐튜브의 상단부를 튜브삽입슬릿을 통해 손잡이부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비닐튜브삽입단계;와, 손잡이부의 내부에 삽입된 비닐튜브의 상단부의 개방된 부분에 배뇨부의 하단을 삽입시킨 후 배뇨부를 손잡이부의 내부에 안착시키는 비닐튜브고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를 설치한 이후, 대상 남성이 소변을 보조자 하는 경우 손잡이를 파지하여 배뇨를 시킬 수 있게 되고, 배뇨 후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를 걸이부에 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비닐튜브는 오염이 되면 교체가 용이하여 종래 소변받이 장치들의 고질적인 문제인 위생문제도 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는, 배뇨되는 소변을 받아내는 배뇨부;와, 배뇨부가 내부에 안착 가능하되 일측에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가 돌출되는 손잡이부;와, 손잡이부의 거치가 가능한 걸이부;와, 배뇨부와 손잡이부 사이에 고정 가능한 비닐튜브;;를 포함하여,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보다 위생적인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배뇨부
110...배뇨공
120...상단
121...깔대기내면
130...중단
131...중단돌출부
140...하단
141...하단볼록부
150...물끊기턱
200...손잡이부
210...C형링
211...튜브삽입슬릿
220...손잡이
300...걸이부
310...환형링
311...환형링일측
312...환형링타측
313...손잡이안착홈
321...고정돌기
322...고정핀
400...비닐튜브
401...비닐튜브개방부

Claims (7)

  1. 내부에 배뇨공이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가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뇨되는 소변을 받아내는 배뇨부; 상기 배뇨부가 내부에 안착 가능하되 일측에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가 돌출되는 손잡이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손잡이부의 거치가 가능한 걸이부; 및,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튜브의 내측이 상기 배뇨부의 외측과 밀착되고 상기 튜브의 외측이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에 밀착되어 상기 배뇨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고정 가능한 비닐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배뇨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단과, 외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걸리는 중단과, 상기 걸이부의 내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걸이부의 내부에 안착 가능한 하단을 포함함에 더해, 상기 배뇨공에 상부의 관경보다 하부의 관경에 확장되어 형성되는 턱인 물끊기턱을 포함하되 상기 물끊기턱의 하부면은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비닐튜브가 측면에서 삽입가능한 튜브삽입슬릿이 파이프의 일측면 전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C형링과, 상기 C형링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파이프의 일측의 길이가 타측의 길이보다 길고 일측에 상기 손잡이의 안착이 가능한 손잡이안착홈이 구비되는 환형링과,
    상기 환형링의 타측에 벽면 또는 수직으로 위치되는 섬유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환형링의 타측 내주면에 돌출된 돌기로 옷핀 또는 핀의 부설이 가능한 고정돌기이거나,
    상기 환형링의 타측 외주면에 고정되되 하방으로 첨단이 형성되는 고정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
  7. 삭제
KR1020170159176A 2017-11-27 2017-11-27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 KR101952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176A KR101952042B1 (ko) 2017-11-27 2017-11-27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176A KR101952042B1 (ko) 2017-11-27 2017-11-27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042B1 true KR101952042B1 (ko) 2019-02-25

Family

ID=65585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176A KR101952042B1 (ko) 2017-11-27 2017-11-27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0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118Y1 (ko) * 1996-06-04 2000-07-01 김광무 환자용 배뇨기
JP2001292930A (ja) * 2000-04-13 2001-10-23 Unimekkusu Kk 簡易小便器
JP3169530U (ja) * 2011-05-24 2011-08-04 株式会社丸計 尿袋安定具
KR101666068B1 (ko) 2014-09-30 2016-10-13 이이레 남성 소변 보조기
KR101735376B1 (ko) 2016-10-10 2017-05-15 (주)새한포리머 휴대용 소변 처리 기구
JP2017093829A (ja) * 2015-11-25 2017-06-01 晋作 川畑 簡易小便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118Y1 (ko) * 1996-06-04 2000-07-01 김광무 환자용 배뇨기
JP2001292930A (ja) * 2000-04-13 2001-10-23 Unimekkusu Kk 簡易小便器
JP3169530U (ja) * 2011-05-24 2011-08-04 株式会社丸計 尿袋安定具
KR101666068B1 (ko) 2014-09-30 2016-10-13 이이레 남성 소변 보조기
JP2017093829A (ja) * 2015-11-25 2017-06-01 晋作 川畑 簡易小便器
KR101735376B1 (ko) 2016-10-10 2017-05-15 (주)새한포리머 휴대용 소변 처리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477B2 (en) Stethoscope protective device
US8091848B1 (en) Hands free specimen holder apparatus and method
US20090076413A1 (en) Device and system for specimen collection
US10258532B2 (en) Portable urinal mounting assembly
US20180008238A1 (en) Bodily fluids specimen collection device
US20150351728A1 (en) Urine sample device
JPH08505061A (ja) 尿失禁管理用の改良されたパッドおよびパッドチューブコネクタ
JPS61199861A (ja) 排尿器具
KR101952042B1 (ko) 남성용 소변받이 장치
JP2007275522A (ja) 尿器
US20110071434A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Urine and Other Bodily Fluids
KR101963361B1 (ko) 남성용 소변받이
CN204890409U (zh) 消化内科病床
CN205031475U (zh) 内科卧床男性病患接尿装置
CN103735343B (zh) 婴儿留尿器
CN213910297U (zh) 一种泌尿外科用排石装置
CN208081578U (zh) 一种新型导尿装置
CN209899893U (zh) 一种利于患者使用的尿壶
WO2016182297A1 (ko) 남성용 소변 유도 배출구
CN214859718U (zh) 引流袋挂钩
CN201091654Y (zh) 方便排尿器
US10744026B2 (en) Urine directional system
US20220133523A1 (en) Device for catching urine sample
CN216021151U (zh) 一种用于医学检验科留尿管
CN217138539U (zh) 一种卧床病人便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