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897B1 - 유체 토출용 옷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토출용 옷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897B1
KR101951897B1 KR1020120096547A KR20120096547A KR101951897B1 KR 101951897 B1 KR101951897 B1 KR 101951897B1 KR 1020120096547 A KR1020120096547 A KR 1020120096547A KR 20120096547 A KR20120096547 A KR 20120096547A KR 101951897 B1 KR101951897 B1 KR 101951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discharge
passage
hanger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984A (ko
Inventor
최영광
김정연
정대중
성연수
주원일
정의성
현지훈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03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65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phases,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heat pumps, e.g. pressure or flow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토출용 옷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유체 공급부에서 공급하는 유체가 공급된 유속 이상으로 균일하게 토출되며, 토출된 유체의 유동을 부분적으로 막아 거치된 의류를 효과적으로 건조하고 구김을 제거하는 유체 토출용 옷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유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건조 및 구김 제거가 가능하므로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시간을 감소시켜 보다 효율적인 전력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유체 토출용 옷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A clothes hanger for supplying fluid and an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체 토출용 옷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유체 공급부에서 공급하는 유체가 공급된 유속 이상으로 균일하게 토출되며, 토출된 유체의 유동을 부분적으로 막아 거치된 의류를 효과적으로 건조하고 구김을 제거하는 유체 토출용 옷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의류 처리 장치는 수납실 내에 수납되는 의류에 스팀 또는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는 장치를 말한다.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가 수납되는 수납실, 상기 수납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수납실로 스팀 또는 열풍을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하며, 의류 처리 장치에 내장되는 옷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는 수납실에 수납된 의류에 스팀이 분사되면 물 입자가 섬유 조직에 존재하는 냄새 입자와 결합하고, 냄새 입자와 결합한 물 입자는 열풍에 의한 건조과정에서 의류와 분리되어 배출되는 원리를 사용한다.
또한, 수납실에 수납된 의류에 스팀이 분사되면, 공급된 스팀에 의하여 젖은 의류는 건조 과정에 의해 구김이 완화되거나 또는 제거되어 의류에 잔류하는 구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 내부로 열풍 또는 스팀을 전달할 수 없어 의류 처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종래 의류 처리 장치(20)는 복수개의 통공을 포함하는 옷걸이(10)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개의 통공을 통해 의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면서 의류 내부의 건조 및 구김을 완화하고자 하였다.
다만, 이러한 옷걸이(10)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20)는 상기 복수개의 통공에서 토출되는 열풍이 균일하지 않아 의류의 일부만이 건조되거나 구김이 제거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의류 처리 장치용 옷걸이(10)와 같이 일반적인 옷걸이와 유사한 형상을 채택할 경우, 유체 유동 방향에 따른 단면적이 동일하여 유체 해석상 끝단으로 향할수록 유속이 낮아진다. 유속이 낮아짐에 따라 의류 전체에 열풍이 효과적으로 공급되지 않고 의류의 건조 및 구김이 완화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의류 내부로 공급하는 열풍은 의류의 구조상 개방된 부분(예를 들어, 셔츠 아랫부분 등)을 통해 의류 외측으로 쉽게 유동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경우 의류의 구김 제거 및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체 공급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전력 낭비가 크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 10-2011-0067864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체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유속 이상의 유체를 균일하게 토출 가능한 옷걸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공급되는 유체의 유속 손실이 적은 옷걸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의류를 팽창시키며 유체가 의류 내측에 장시간 머물 수 있는 옷걸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옷걸이를 사용하여 의류 건조 및 구김 제거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유체가 기설정된 속도로 유입되며 유체 배출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유입구가 개방된 제 1 통로; 및 상기 제 1 통로를 통해 유입된 상기 유체가 토출 가능한 복수개의 토출 유도부 및 토출부를 포함하며, 의류가 거치되는 제 2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토출 유도부는 상기 제 2 통로의 양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위치하며, 이로 인하여 상기 복수개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유체가 상기 기설정된 속도 이상의 속도로 의류 내측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토출용 옷걸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토출 유도부는 상기 제 2 통로의 일면에 내측을 향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출 유도부는 상기 유체의 유동 방향에 대향하여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토출부와 연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출 유도부의 상기 개구부 반대측은 만곡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출 유도부의 일면은 상기 유체를 상기 토출부 측으로 유도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타면은 만곡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유체가 유동 방향으로 상기 제 2 통로를 유동할 때에 일부가 상기 토출부로 토출되며, 반대 방향으로 유동할 때에는 상기 토출부로 유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출 유도부의 크기는 상기 제 2 통로 양 끝단을 향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출 유도부는 상기 유체 토출용 옷걸이의 하방으로 유체의 토출을 유도하는 하방 토출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출 유도부는, 상기 제 2 통로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유체의 토출을 유도하는 전후방 토출 유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후방 토출 유도부는 대향하며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후방 토출 유도부는 만곡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출 유도부는, 상기 제 2 통로 길이 방향으로 유체의 토출을 유도하는 측방 토출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방 토출 유도부는 상기 토출부를 향해 그 간격이 좁아지는 한 쌍의 바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통로 내측 중심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통로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을 분기하는 분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출 유도부 및 상기 분기부는 굴곡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체 토출용 옷걸이는, 상기 제 2 통로에 거치된 의류의 개방된 하단부에 배치되는 팽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체 토출용 옷걸이는 상기 유체 토출용 옷걸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팽창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팽창부는 공급된 유체가 상기 의류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유동하는 것을 부분적으로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팽창부는 접힘 가능하며, 상기 팽창부의 접힘 정도에 의해 상기 팽창부가 차단하는 면적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팽창부는 탄성 부재에 의해 접힘 가능하며, 상기 연결부의 길이는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체 토출용 옷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 장치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 및 상기 유체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의류 처리 장치 내로 배출되는 복수개의 유체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유체(예를 들어, 스팀 또는 열풍 등)의 속도가 유입되는 유속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크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가 의류에 보다 강하고 균일하게 공급되어 의류의 건조 및 구김 제거가 효과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유체가 받는 저항이 적으며 유체가 의류 내측에 장시간 머무는 옷걸이의 제공을 통해 의류를 효과적으로 건조 및 구김 제거한다.
또한, 팽창부는 공급된 유체가 의류 내측에 장시간 머물게 할 뿐만 아니라 의류 자체를 당김으로써 구김을 제거한다.
또한, 동일한 유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건조 및 구김 제거가 가능하므로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시간을 감소시켜 보다 효율적인 전력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옷걸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옷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옷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통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속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옷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제 2 통로의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유속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옷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옷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 토출용 옷걸이(100)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토출용 옷걸이(100)는 유입구(111), 복수개의 토출부 및 토출 유도부, 고정부(160), 연결부(170) 및 팽창부(180) 등을 포함한다.
유체 토출용 옷걸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통로(113) 및 제 2 통로(115)를 포함한다.
제 1 통로(113)는 유입구(111)를 포함하며, 유입구(111)에서 의류 처리 장치(200)의 유체 공급부(미도시)가 공급하는 유체가 유입된다. 의류 처리 장치(200)의 유체 공급부(미도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 배출부(211)에 탈착 가능하도록 유입구(111)가 개방된다.
제 1 통로(113)는 유입된 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나, 유동하는 유체의 유속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4를 참조한 발명의 두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통로(113)는 굴곡진 형상이되 옷걸이(100)의 장착 방향에 따라 유입구(111)가 의류 처리 장치(200) 내부에서 상측을 향하거나(도 3) 측면을 향할 수 있다(도 4).
제 2 통로(115)는 제 1 통로(113)와 연결된다. 제 1 통로(113)와 제 2 통로(115)가 연결되는 위치에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나, 발명의 일례로써 제 2 통로(115) 중심부에 제 1 통로(113)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통로(115)는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가 그 형상을 유지하면서 거치 가능하도록 하방으로 경사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통로(115)는 유입된 유체의 토출이 가능한 복수개의 토출 유도부 (133,135,137) 및 토출부(153,155,157)를 포함한다. 이에 대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복수개의 토출 유도부(133,135,137)는 하나 이상의 전후방 토출 유도부(133), 측방 토출 유도부(135) 및 하방 토출 유도부(137)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토출 유도부(133,135,137)는 제 2 통로(115)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를 토출부(153,155,157)를 통해 유체 토출용 옷걸이(1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유체의 유로를 전환시킨다.
전후방 토출 유도부(133)는 측방 토출 유도부(135)의 유체 토출 방향 즉, 제 2 통로(115)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유체의 토출을 유도하며, 전후방 토출부(153)를 통해 유체를 토출한다.
또한, 전후방 토출 유도부(133)는 유체의 유로를 전환하기 위한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나, 발명의 일례로써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 토출 유도부(133)는 만곡형임이 바람직하며 특히, 4분의 1 구면일 수 있다. 이 경우, 각진 형상을 가지는 토출 유도부에 비해 유속의 손실을 감소시키며 유체를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전후방 토출 유도부(133)의 크기 역시 후술할 하방 토출 유도부(137)와 동일하게 제 2 통로(115) 양 끝단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제 2 통로(115) 내측 단면에서 전후방 토출 유도부(133)의 단면적을 제외한 면적이 온전히 유체가 유동하는 면적인데, 전후방 토출 유도부(133)의 크기가 증가하면 유체가 유동하는 면적 자체는 감소한다. 즉, 제 2 통로(115) 양 끝단을 향하여 전후방 토출 유도부(133)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제 2 통로(115) 내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단면적 자체는 감소하므로, 유체의 유속이 증가하게 된다.
측방 토출 유도부(135)는 제 2 통로(115)의 길이 방향으로 유체의 토출을 유도하며, 측방 토출부(155)를 통해 유체를 토출한다.
측방 토출 유도부(135) 역시, 유체의 유속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굴곡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방 토출 유도부(1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바아로 형성되며, 상기 바아 사이의 간격이 제 2 통로(115)의 양 끝단을 향해 갈수록 좁아짐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바아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의 가이드 라인 역할을 하며, 사이 간격을 좁힘으로써 유로가 유동가능한 면적의 간격을 좁아지게하여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방 토출 유도부(137)는 유체 토출용 옷걸이(100)의 하방으로 유체의 토출을 유도하며, 하방 토출부(157)를 통해 유체를 토출한다.
하방 토출 유도부(137)는 전후방 토출 유도부(133)와 같이 유체의 유로를 전환하기 위한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며, 유로를 전환하면서 발생하는 유속의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만곡형임이 바람직하며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분의 1 구면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명의 일례로써 하방 토출 유도부(137)의 크기는 제 2 통로(115)의 양 끝단을 향해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전후방 토출 유도부(133)와 동일한 원리를 따른다.
제 2 통로(115) 양 끝단을 향해 갈수록 하방 토출 유도부(137)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 제 2 통로(115) 단면에서 하방 토출 유도부(137)의 단면을 제외하면 온전히 유체가 유동하는 면적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즉, 제 2 통로(115) 상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단면 자체는 점진적으로 줄어들고, 이로 인해 옷걸이(100)의 끝단을 향하는 유체의 유속은 공급되는 유체의 유속에 비해 증가한다.
복수개의 토출 유도부(133,135,137)는 제 2 통로(115) 상에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발명의 일례로써 복수개의 토출 유도부(133,135,137)가 제 2 통로(115)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 단에 대칭되게 배치될 경우, 옷걸이(100)에 거치된 의류에 균일하게 유체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발명의 일례로써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 토출 유도부(133)는 제 2 통로(115) 상에 쌍을 이루며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방 토출 유도부(13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쌍을 이루며 위치하는 전후방 토출 유도부(133)와 번갈아가며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자유롭게 배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 2 통로(115) 양 끝단을 향해 갈수록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 자체의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위치함에는 변함이 없다.
이에 따라 제 2 통로(115)로 유입된 유체는 유입된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유동 가능한 단면적이 감소하고, 동일 유량의 법칙에 의해 유속은 유입된 유속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일 수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발명자가 실시한 실험을 나타낸 도 6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위치 유입구 Front Back Down Left Right
속도(m/s) 10 21.1 20.2 22.5 29.7 30.3
즉,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토출부(153,155,157)를 통해서 토출되는 유체의 유속은 유입되는 유체의 유속과 거의 유사하거나 그 이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구현하려는 공급되는 유체의 유속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유속을 가지는 유체의 토출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효과를 내기 위한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며, 발명의 일례로써 제 2 통로(115)의 유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통로(115)의 양 끝단을 향하여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뒷받침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발명자가 실시한 실험을 나타낸 도 9를 참조하면, 도 6과 같이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유속보다 그 이상의 유속으로 유체가 토출됨을 알 수 있다.
분기부(159)는 제 2 통로(115) 내측 중심부에 위치하며 제 1 통로(113)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를 분기한다. 이는 제 2 통로(115)로 유입되는 유량을 양 단에 균일하게 분배하여, 양 단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토출부(153,155,157)에서 유체가 균일하게 토출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분기부(159)는 유체를 분기하기 위한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나, 발명의 일례로써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진 형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굴곡진 형태를 가지는 경우, 유체의 부드러운 유동에 의해 유속의 손실이 감소된다.
고정부(160)는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생략 가능하며 별도의 고정대에 옷걸이(1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160)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연결부(170)는 도 10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토출용 옷걸이(100)에서 연장되며, 팽창부(180)와 연결된다.
연결부(170)는 옷걸이(100)와 팽창부(180)를 연결하기 위한 어떠한 형상이나 구조도 가능하며, 발명의 일례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170)를 포함하는 경우, 거치된 의류의 길이에 따라 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연결부(170) 없이 의류 처리 장치(100) 내에 팽창부(180)가 별도 구비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팽창부(180)는 연결부(170)와 연결되며, 제 2 통로(115)에 거치된 의류의 개방된 하단부에 배치된다. 팽창부(180)는 공급된 유체가 의류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유동하는 것을 부분적으로 막아 유체를 의류에 효과적으로 공급한다.
팽창부(180)는 유체의 유동을 막는 어떠한 형상이나 구조도 가능하며, 발명의 일례로써 도 10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182)에 의해 접힘 가능할 수 있다.
팽창부(180)의 접힘 정도는 거치된 의류 사이즈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므로 팽창부(180)가 유체의 유동을 막는 면적 역시 조절 가능하다. 다시 말하자면, 팽창부(180)가 많이 접히는 경우 팽창부(180)에 의해 막아지는 면적이 다소 작으므로 작은 사이즈의 의류에, 팽창부(180)가 많이 펼쳐지는 경우 팽창부(180)에 의해 막아지는 면적이 다소 넓으므로 큰 사이즈의 의류에 사용이 가능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팽창부(180)는 탄성 부재(182)에 의해 평소에는 접혀있는 상태이나(A),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펼쳐질 수 있다(B). 이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유체의 유동을 부분적으로 막을 뿐만 아니라 거치된 의류를 잡아당기는 효과가 발생하여 구김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발명자가 실시한 실험을 나타낸 표 2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의류 팽창부 존부 실험전 구김등급 실험후 구김등급 등급 개선 차이
셔츠 1벌 O 1.5 등급 4.5 등급 3.0 등급
셔츠 1벌 X 1.5 등급 2.5 등급 1.0 등급
셔츠 1벌 O 1.5 등급 4.5 등급 3.0 등급
셔츠 1벌 X 1.5 등급 3.0 등급 1.5 등급
셔츠 1벌 O 1.0 등급 4.7 등급 3.7 등급
셔츠 1벌 X 1.0 등급 3.0 등급 2.0 등급
상기 실험은 AATCC 인증의 Replicas를 참고하여 교육받은 세 명 이상의 판정단에게 평가를 맡기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진행되며, 의류의 구김 정도를 등급으로 표현하고 1등급은 구김이 가장 심한 단계이며 5등급은 구김이 거의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표 2를 참조하면, 팽창부(180)가 포함된 옷걸이(100)를 사용하는 경우 보통 3.0 등급 이상의 등급 개선 차이를 보이면서 구김 개선 효과가 대폭 증대됨을 알 수 있으나, 비교 실험을 위해 팽창부(180)를 포함하지 않는 옷걸이(100)는 대략 1.0 내지 2.0 등급의 개선만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처리 장치(200)는 전술한 유체 토출용 옷걸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200)는 유체 공급부(미도시), 유체 배출부(211) 및 유체 토출용 옷걸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공급부는 기설정된 속도의 유체를 공급한다.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어떠한 방식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체 배출부(211)는 유체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가 배출된다. 의류 처리 장치(200)는 유체 배출부(211)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처리 장치(200) 내로 유체 공급부가 공급하는 유체를 배출한다.
유체 토출용 옷걸이(100)는 발명의 일례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배출부(211)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복수개의 토출부(153,155,157)는 전술한 구성요소를 통해 유체 공급부가 공급하는 기설정된 속도 이상의 유체를 토출한다. 또한, 발명의 일례에 따라 팽창부(180)를 포함하는 옷걸이(100)는 거치된 의류의 하단부를 부분적으로 막으면서 팽창시킨다.
의류는 이러한 유체 토출용 옷걸이(100)에 거치된다. 즉, 일정 유속 이상의 유체를 균일하게 공급하고 의류의 개방부를 부분적으로 막는 팽창부를 포함하는 유체 토출용 옷걸이(100)에 거치된 의류는 효과적으로 건조되거나 구김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10 : 종래 옷걸이
20 : 종래 의류 처리 장치
100 : 유체 토출용 옷걸이
111 : 유입구
113 : 제 1 통로
115 : 제 2 통로
133 : 전후방 토출 유도부
135 : 측방 토출 유도부
137 : 하방 토출 유도부
153 : 전후방 토출부
155 : 측방 토출부
157 : 하방 토출부
159 : 분기부
160 : 고정부
170 : 연결부
180 : 팽창부
182 : 탄성 부재
200 : 의류 처리 장치
211 : 유체 배출부

Claims (20)

  1. 유체가 기설정된 속도로 유입되며 유체 배출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유입구가 개방된 제 1 통로; 및
    상기 제 1 통로를 통해 유입된 상기 유체가 토출 가능한 복수개의 토출 유도부 및 토출부를 포함하며, 의류가 거치되는 제 2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토출 유도부는 상기 제 2 통로의 양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위치하며,
    이로 인하여 상기 복수개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유체가 상기 기설정된 속도 이상의 속도로 의류 내측에 공급되며,
    상기 토출 유도부는,
    한 쌍으로 대향하여 위치되며, 상기 제 2 통로 길이 방향과 수직 방향인 전방 및 후방으로 유체의 토출을 유도하는 전후방 토출 유도부;
    상기 제 2 통로 길이 방향으로 유체의 토출을 유도하는 측방 토출 유도부;
    상기 유체 토출용 옷걸이의 하방으로 유체의 토출을 유도하는 하방 토출 유도부; 및
    상기 제 2 통로 내측 중심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통로를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을 분기하는 분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방 토출 유도부 및 하방 토출 유도부는 상기 제 2 통로 양 끝단을 향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측방 토출 유도부는 상기 토출부를 향해 그 간격이 좁아지는 한 쌍의 바아로 형성되며,
    상기 전후방 토출 유도부 및 하방 토출 유도부는 상기 제 2 통로 길이 방향으로 번갈아가며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토출용 옷걸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유도부는 상기 제 2 통로의 일면에 내측을 향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토출용 옷걸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유도부는 상기 유체의 유동 방향에 대향하여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토출부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토출용 옷걸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유도부의 상기 개구부 반대측은 만곡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토출용 옷걸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유도부의 일면은 상기 유체를 상기 토출부 측으로 유도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타면은 만곡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유체가 유동 방향으로 상기 제 2 통로를 유동할 때에 일부가 상기 토출부로 토출되며, 반대 방향으로 유동할 때에는 상기 토출부로 유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토출용 옷걸이.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토출 유도부는 만곡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토출용 옷걸이.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유도부 및 상기 분기부는 굴곡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토출용 옷걸이.
  14. 유체가 기설정된 속도로 유입되며 유체 배출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유입구가 개방된 제 1 통로; 및
    상기 제 1 통로를 통해 유입된 상기 유체가 토출 가능한 복수개의 토출 유도부 및 토출부를 포함하며, 의류가 거치되는 제 2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토출 유도부는 상기 제 2 통로의 양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위치하며,
    이로 인하여 상기 복수개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유체가 상기 기설정된 속도 이상의 속도로 의류 내측에 공급되며,
    상기 유체 토출용 옷걸이는,
    상기 제 2 통로에 거치된 의류의 개방된 하단부에 배치되는 팽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팽창부는 공급된 유체가 상기 의류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유동하는 것을 부분적으로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토출용 옷걸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토출용 옷걸이는,
    상기 유체 토출용 옷걸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팽창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토출용 옷걸이.
  16. 삭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접힘 가능하며, 상기 팽창부의 접힘 정도에 의해 상기 팽창부가 차단하는 면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토출용 옷걸이.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탄성 부재에 의해 접힘 가능하며, 상기 연결부의 길이는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토출용 옷걸이.
  1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제 9 항,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제 17 항 및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체 토출용 옷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처리 장치는,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 및
    상기 유체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유체가 상기 의류 처리 장치 내로 배출되는 복수개의 유체 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KR1020120096547A 2012-06-28 2012-08-31 유체 토출용 옷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KR101951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190 2012-06-28
KR20120070190 2012-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984A KR20140003984A (ko) 2014-01-10
KR101951897B1 true KR101951897B1 (ko) 2019-02-26

Family

ID=5014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547A KR101951897B1 (ko) 2012-06-28 2012-08-31 유체 토출용 옷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8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477B1 (ko) * 2017-09-26 2023-12-13 코웨이 주식회사 복수의 외기 유입부를 제어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205716B1 (ko) * 2018-05-08 2021-01-21 코웨이 주식회사 재순환 모듈을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627701B1 (ko) 2018-08-20 202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CA3140068A1 (en) 2019-05-16 2020-11-19 Prive Products, Llc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n ice straw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043B1 (ko) * 2004-07-21 201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장형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6136A (ko) * 1997-04-02 1998-11-16 박영원 스팀다림장치용 행거
KR101467777B1 (ko) * 2008-04-01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00124158A (ko) * 2009-05-18 2010-11-26 이주협 행어의 균일분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043B1 (ko) * 2004-07-21 2012-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장형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984A (ko) 201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406B1 (ko) 의류 처리 장치용 옷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KR101951897B1 (ko) 유체 토출용 옷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US6973740B2 (en) Stationary clothes drying apparatus
JP2024057076A (ja) 衣類処理装置
EP3164539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060077904A (ko) 의복처리장치
KR101455995B1 (ko)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PL178723B1 (pl) Urządzenie do suszenia ubrań ochronnych
KR20150053382A (ko) 건조가능한 수건걸이
JP2009082688A (ja) 衣類を乾燥並びにアイロン掛けするための吹込みモデルの分配装置
HU219758B (hu) Berendezés védőöltözetek, kabátok vagy más öltözeti cikkek szárítására
KR20170100151A (ko) 스팀을 통한 살균 및 탈취가 가능한 다기능 옷케어장치
US11008698B2 (en) Garment steamer
ITBO20000716A0 (it) Apparecchiatura per la rifinitura mediante cucitura del bordo frontale di panni sezionati da un telo svolto da una bobina , in particolare p
KR20090109949A (ko) 소방용 방화복 등 다목적 건조기
KR20180052960A (ko) 의류처리장치
KR100637881B1 (ko) 신발 건조장치
JP2014239740A (ja) 衣類ケア装置
KR20210141250A (ko) 의류관리시스템
KR20210009205A (ko) 주름 생성을 위한 의류관리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ATE510948T1 (de) Wäschetrockner, der einen dampferzeuger umfasst
KR20160019729A (ko) 의류처리장치
JP5938575B2 (ja) 手乾燥装置
KR102583087B1 (ko) 에어샷 옷걸이 및 이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080110038A (ko) 다목적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