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847B1 - IoT 기기의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IoT 기기의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847B1
KR101951847B1 KR1020170014647A KR20170014647A KR101951847B1 KR 101951847 B1 KR101951847 B1 KR 101951847B1 KR 1020170014647 A KR1020170014647 A KR 1020170014647A KR 20170014647 A KR20170014647 A KR 20170014647A KR 101951847 B1 KR101951847 B1 KR 101951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packet
visibility
application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9829A (ko
Inventor
한동수
최우현
김정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14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84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9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IoT 시스템 내 IoT 기기에 대한 가시성 정보를 사전에 획득 가능토록 하며, 이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IoT 기기 간의 호환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IoT 지능형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IoT 기기의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ecuring Visibility of IoT Device}
본 실시예는 IoT 기기의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IoT(Internet of Things)에 대한 관심 및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IoT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물들에 대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통신을 가능토록 하는 지능형 정보통신 기술 내지 서비스를 의미한다.
한편, IoT 기술 분야의 급격한 성장세에 따라 IoT 플랫폼의 선정을 위한 기업 간의 경쟁이 본격화되었으며, 그 결과, 현재 동일한 사물에 대해서도 각기 다른 복수 개의 IoT 플랫폼이 지원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각각의 IoT 플랫폼들의 경우 기업 간의 이해 관계 등으로 인해 서로 간의 호환성 즉, 통신을 지원하지 않음에 따라 각각이 다른 IoT 플랫폼에 속한 사물의 상태를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는 곧, 사물과 사물 간의 통신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기술 분야에서 한계점으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IFTTT라는 서비스가 제안되었다. IFTTT는 서로 다른 서비스와 어플들을 Applet이라는 형식을 통해 임으로 연동시켜 주는 웹 서비스로서, IFTTT를 이용하는 경우 간접적으로 서로 다른 IoT 플랫폼 간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IFTTT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IoT 플랫폼들이 IFTTT와 상호 간의 계약이 되어있어야 한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IFTTT의 경우 단지 다른 IoT 플랫폼으로 명령만을 전달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 관련된 사물의 상태에 대해서는 알지 못한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실시예는, IoT 시스템 내 IoT 기기에 대한 가시성 정보를 사전에 획득 가능토록 하며, 이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IoT 기기 간의 호환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IoT 지능형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IoT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에 대한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시그니쳐(Signature)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IoT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한 동작 정보를 나타내는 시맨틱(Semantic)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시점을 기준으로 발생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 및 상기 시맨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IoT 기기의 상태 인지를 위한 가시성(Visibility)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IoT 시스템 내 IoT 기기에 대한 가시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시그니쳐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IoT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한 동작 정보를 나타내는 시맨틱 정보 및 상기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시점을 기준으로 발생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 패킷,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 및 상기 시맨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IoT 기기의 상태 인지를 위한 상기 가시성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IoT 시스템 내 IoT 기기에 대한 가시성 정보를 사전에 획득 가능토록 하며, 이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IoT 기기 간의 호환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IoT 지능형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IoT 기기에 대한 가시성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IoT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시그니쳐 정보를 사전에 수집하여 활용함으로써 가시성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IoT 기기에 대한 가시성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정보들을 활용함으로써 가시성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그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에 대한 가시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시성 정보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의 가시성 정보 획득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대응 데이터 패킷을 산출하는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및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시성 정보의 획득에 따른 효과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한편,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의 (a)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게이트웨이 장치(110) 및 IoT 기기(130a, 130b)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AP를 포함한 통신 중개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는 AP 및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AP 및 통신망을 경유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IoT 시스템에 속한 IoT 기기(130a, 130b)에 대응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미도시)를 탑재하여 원격에서 IoT 기기(130a, 130b)에 대한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IoT 기기(130a, 130b)를 기반으로 한 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 로직을 구비한다. 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IoT 시스템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IoT 기기(130a, 130b)를 기반으로 각각의 IoT 기기에서 기 제공되는 기본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로직뿐만 아니라, 다른 서비스 예컨대, 융복합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로직을 추가로 구비하며, 각각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IoT 기기(130a, 130b)의 가시성 정보 획득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필요 정보들을 게이트웨이 장치(110)로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IoT 기기(130a, 130b)에 대응하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하여 시그니쳐(Signature)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를 게이트웨이 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실행되는 동작들을 정의한 소스 코드 예컨대, UI handler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선택정보를 게이트웨이 장치(110)로 제공한다. 이때,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가시성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대상 IoT 기기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대상 IoT 기기의 상태 제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시맨틱(Semantic)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시맨틱 정보를 게이트웨이 장치(110)로 제공한다. 이때,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선택과 관련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시맨틱 정보는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한 동작 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전등의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이와 관련된 시맨틱 정보로는 "전등을 온 상태로 전환한다"라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의 시맨틱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게이트웨이 장치(110) 상에 직접적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시맨틱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라벨링 과정을 거쳐 사용자가 지정한 양식으로 표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시맨틱 정보의 제공 형태에 따라 사용자는 이후, IoT 기기의 가시성 정보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IoT 기기의 상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게이트웨이 장치(110)로 제공한다.
게이트웨이 장치(110)는 제어 대상이 되는 IoT 기기들(130a, 130b)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IoT 기기들(130a, 130b)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제어 시 원격지의 사용자 단말기(100)와 IoT 기기(130a, 130b)를 상호 간에 네트워킹(Networking) 하는 중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장치(110)는 가시성 정보 획득 애플리케이션(120, 이하, 가시성 애플리케이션으로 명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을 탑재하여 IoT 기기의 상태 인지를 위한 가시성 정보(Visibility)의 획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가시성 애플리케이션(12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가시성 애플리케이션(120)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 인스톨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 장치(110)에 가시성 애플리케이션(120)이 탑재되는 형태에 대해 설명하자면, 게이트웨이 장치(110)는 가시성 애플리케이션(120)을 임베디드(Embeded) 형태로 탑재한 상태로 구현되거나, 게이트웨이 장치(110) 내에 탑재되는 OS(Operating System)에 임베디드 형태로 탑재되거나,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게이트웨이 장치(110) 내의 OS에 인스톨되는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전술한 방식으로 게이트웨이 장치(110)에 탑재된 가시성 애플리케이션(120)은 게이트웨이 장치(110)에 탑재된 다른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데이터 송수신 애플리케이션 등)과 연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없이 독립적인 기능으로 운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 게이트웨이 장치(110)가 IoT 기기(130a, 130b)에 대한 가시성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게이트웨이 장치(110)는 IoT 기기(130a, 130b)에 대응하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시그니쳐 정보를 수집한다. 한편, 게이트웨이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의 시그니쳐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 시점 및 제공 횟수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110)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이 되는 경우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동작 정보를 나타내는 시맨틱 정보를 수신한다.
게이트웨이 장치(110)는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시점을 기준으로 발생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게이트웨이 장치(110)는 데이터 패킷,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 및 시맨틱 정보를 기반으로 IoT 기기의 상태 인지를 위한 가시성 정보를 생성한다.
게이트웨이 장치(110)는 획득한 IoT 기기에 대한 가시성 정보를 기반으로 IoT 시스템 내 IoT 기기 간 연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게이트웨이 장치(110)가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한 정보들을 기반으로 IoT 기기에 대한 가시성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IoT 기기 간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가시성 애플리케이션(120)은 게이트웨이 장치(110)가 수행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적 기능 또는 하드웨어적 기능을 구비한 형태로 독립적으로 운용되도록 구현되거나 게이트웨이 장치(110)가 수행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적 기능 또는 하드웨어적 기능과 연동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가시성 애플리케이션(120)은 게이트웨이 장치(110)에 탑재되어, 게이트웨이 장치(11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또한, 가시성 애플리케이션(120)은 게이트웨이 장치(110) 내의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가시성 애플리케이션(120)이 수행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자면, 가시성 애플리케이션(120)은 게이트웨이 장치(110) 내에 설치되어, 게이트웨이 장치(110)가 IoT 시스템 내 IoT 기기에 대한 가시성 정보를 획득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는 일종의 프로그램을 말한다.
한편, 이러한, 가시성 애플리케이션(120)은 앞서 명시된 게이트웨이 장치(110)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IoT 기기(130a, 130b)는 원격제어 대상 객체로서, 네트워크의 자원을 활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 설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IoT 기기(130a, 130b)는 사물인터넷에 기반한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기기라면 어떠한 장치가 사용되어도 무관하다.
도 1의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의 (b)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의 가시성 정보 획득 동작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시성 애플리케이션(120)은 사용자 단말기(100) 상에 탑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IoT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획득한 IoT 기기의 가시성 정보를 게이트웨이 장치(110)로 전송함으로써, 게이트웨이 장치(110)가 IoT 기기에 대한 가시성 정보를 기반으로 IoT 기기 간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의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는 실질적으로 가시성 애플리케이션(120)을 탑재한 단말기의 내부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2에서는 가시성 애플리케이션(120)을 탑재한 단말기가 게이트웨이 장치(110)인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가시성 애플리케이션(120)을 탑재한 단말기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일 수 있다.
이러한, 가시성 애플리케이션(120)을 탑재한 단말기는 별도의 장치인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는 각각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적인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는 가시성 애플리케이션(120)이 별도의 장치로 구현된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는 송수신부(210), 수집부(220), 저장부(230), 분석부(240), 제어부(250) 및 연계부(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은 가시성 애플리케이션(120)을 탑재한 단말기의 구현 형태에 따라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의 단말기의 구현 형태에 따라 도시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성(Configuration)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송수신부(210)는 외부 장치와 연동되어 IoT 기기의 가시성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들을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동되며,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의해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시점으로 기준으로 발생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송수신부(210)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입력된 시맨틱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송수신부(210)는 상기의 시맨틱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로부터 직접 상기의 시맨틱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송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에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선택정보를 수신한다.
수집부(220)는 사용자 단말기(100) 내 IoT 기기(130a, 130b)에 대응하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시그니쳐 정보를 수집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선택에 따른 결과 즉, IoT 기기의 동작 제어와 관련하여 생성된 데이터 패킷인지를 확인하는 데 있어서 기준 데이터로서 사용된다.
수집부(22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연동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한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분석부(240)는 수집부(220)를 이용하여 수집된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 중 사용자가 가시성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IoT 기기(이하, 대상 IoT 기기로 명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와 관련된 시그니쳐 정보를 필터링하여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분석부(240)는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선택정보에 기반하여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이 인지되는 경우 인지결과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 중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시그니쳐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한다.
이후, 분석부(240)는 추출한 시그니쳐 정보를 제어부(250)로 제공함으로써 제어부(250)가 IoT 기기의 가시성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 있어서 그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250)는 IoT 기기의 가시성 정보를 생성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전반적인 절차들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제어부(250)는 수집부(200)를 통해 수집한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와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 패킷 및 시맨틱 정보를 기반으로 IoT 기기의 상태 인지를 위한 가시성 정보를 생성한다.
이하, 제어부(250)가 IoT 기기의 상태 인지를 위한 가시성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250)는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시그니쳐 정보 및 필드 값(Value) 정보를 추출한다.
한편, 제어부(250)가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 패킷의 경우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선택과 관련하여 생성된 데이터 패킷(=대상 IoT 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데이터 패킷)뿐만 아니라 동일 시점에 발생한 다른 데이터 패킷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점에 기인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추출한 데이터 패킷의 시그니쳐 정보와 수집부(200)를 통해 수집한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를 비교하여 데이터 패킷 중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선택과 관련된 대응 데이터 패킷을 산출한다. 이때, 제어부(250)는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와 데이터 패킷의 시그니쳐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와 동일한 시그니쳐 정보를 갖는 데이터 패킷을 대응 데이터 패킷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50)는 수집부(200)를 통해 수집한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 중 앞서 분석부(240)를 통해 필터링된 시그니쳐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의 대응 데이터 패킷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50)는 대응 데이터 패킷이 복수 개가 산출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의 대응 데이터 패킷을 산출하기까지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수행결과에 따라 그 출현 횟수가 최대값을 갖는 대응 데이터 패킷을 최종 대응 데이터 패킷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대상 IoT 기기의 가시성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기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250)는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한 시맨틱 정보와 대응 데이터 패킷에 대응되는 시그니쳐 정보 및 필드 값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IoT 기기의 상태 인지를 위한 가시성 정보를 생성한다.
연계부(260)는 제어부(250)를 이용하여 생성된 IoT 기기의 가시성 정보에 기반하여 IoT 시스템 내 IoT 기기 간 연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하, 연계부(260)가 IoT 시스템 내 IoT 기기 간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계부(260)는 제어부(250)를 이용하여 생성된 IoT 기기의 가시성 정보에 매칭되는 매칭 데이터 패킷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연계부(260)는 매칭 데이터 패킷의 발생이 인지되는 경우 IoT 기기의 가시성 정보에 대응하여 기 입력된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호출하고, 호출된 오픈 API를 이용하여 IoT 시스템 내 다른 IoT 기기와의 연계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의 사용자는 특정 IoT 기기의 상태 즉, 가시성 정보와 관련하여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다른 IoT 기기에 대하여 명령을 전달할 수 있는 API 정보를 사전에 파악하고, 해당 API 정보를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 상에 입력해 둘 수 있다. 예컨대, http://<speaker ip>/start_music을 음악을 트는 API라고 할 때 사용자는 이 정보를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에 입력하고, 해당 API와 관련하여 어떤 가시성 정보와 연계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이때, 사용자가 제1 가시성 정보와 연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연계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입력값은 1, http://<speaker ip>/start_music이 될 수 있다. 이후, 제1 가시성 정보에 매칭되는 데이터 패킷이 발생하는 경우 입력된 API가 호출되어 사용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사전에 IoT 기기에 대한 가시성 정보가 확보됨에 따라 관련된 API 정보만을 알 수 있다면 IoT 시스템 내 다른 IoT 기기와의 상호 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에 대한 가시성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100) 내 IoT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시그니쳐 정보를 수집한다(S302).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용자로부터 특성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는 경우(S304),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한 동작 정보를 나타내는 시맨틱 정보를 수신한다(S306). 단계 S306에서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시맨틱 정보는 라벨링 과정을 거쳐 사용자가 지정된 양식으로 표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용자로부터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시점을 기준으로 발생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S308).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는 단계 S302에서 수집한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 단계 S306에서 수신한 시맨틱 정보 및 단계 S308에서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기반으로 IoT 기기의 상태 인지를 위한 가시성 정보를 생성한다(S310). 단계 S310에서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는 단계 S302에서 수집한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시그니쳐 정보만을 추출하고, 추출한 시그니쳐 정보를 상기의 가시성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는 단계 S310에서 생성한 IoT 기기의 가시성 정보에 기반하여 IoT 시스템 내 IoT 기기 간 연계 서비스를 제공한다(S312). 단계 S312에서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는 단계 S310에서 생성한 IoT 기기의 가시성 정보에 매칭되는 매칭 데이터 패킷의 발생이 인지되는 경우 해당 가시성 정보에 대응하여 기 입력된 오픈 API를 호출하고, 호출된 오픈 API를 이용하여 IoT 시스템 내 다른 IoT 기기와의 연계 서비스를 수행한다.
여기서, 단계 S302 내지 S312은 앞서 설명된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응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3에 기재된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3에 기재된 IoT 기기에 대한 가시성 정보를 획득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D-ROM, RAM, ROM,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시성 정보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가 IoT 기기의 상태 인지를 위해 확보하는 가시성 정보로는 크게 두 가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첫 번째 정보는 시맨틱 정보로서 IoT 기기에 대하여 어떤 동작이 일어났는가를 알려줄 수 있는 정보이다.
두 번째 정보는 메시지 포맷으로서 어떠한 메시지 포맷의 데이터 패킷이 IoT 기기로 전달되는 경우 상태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알려줄 수 있는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시지 포맷 정보로서는 데이터 패킷 내 시그니쳐 정보와 필드 값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의 가시성 정보 획득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IoT 기기의 가시성 정보 획득방법은 크게 4가지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첫 번째 단계(Static Analysis)는 사용자 단말기 내 IoT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하여 시그니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UI Analysis)는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 중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시그니쳐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이다.
세 번째 단계(Dynamic Packet Analysis)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패킷 중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선택과 관련된 대응 데이터 패킷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네 번째 단계(Visibility Element)는 각 단계에서 산출한 정보들을 기반으로 IoT 기기의 가시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도 6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한편, 도 6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기 설정된 분석 프로그램인 Extractocol을 활용하는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의 경우 IoT 기기의 가시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100) 내 IoT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하여 시그니쳐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하여 실행되는 모든 동작들을 정의한 소스 코드 예컨대, UI handler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대응 데이터 패킷을 산출하는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 중 사용자가 가시성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대상 IoT 기기와 관련된 시그니쳐 정보를 필터링하는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의해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선택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다. 이후,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선택정보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 중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시그니쳐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대상 IoT 기기의 가시성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로서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정보로서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UI Handler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캡처하고, 화면 분석 프로그램 예컨대, UI Automator Viewer를 이용하여 캡처된 화면 내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소스 코드인 UI Handler 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100)는 추출한 UI Handler 정보를 상기의 선택정보로서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로 송신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패킷 중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선택과 관련된 대응 데이터 패킷을 산출하는 방법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추출한 시그니쳐 정보와 앞서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 중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추출된 시그니쳐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시그니쳐 정보와 동일한 시그니쳐 정보를 갖는 데이터 패킷을 대응 데이터 패킷으로 산출한다.
한편,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는 대응 데이터 패킷이 복수 개가 산출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의 대응 데이터 패킷을 산출하기까지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수행결과에 따라 그 출현 횟수가 최대값을 갖는 대응 데이터 패킷을 최종 대응 데이터 패킷으로 산출함으로써 이후 획득되는 가시성 정보에 대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및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시성 정보의 획득에 따른 효과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는 획득한 IoT 기기의 가시성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가시성 정보에 매칭되는 매칭 데이터 패킷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는 매칭 데이터 패킷의 발생이 인지되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 가능한 형태로 통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IoT 기기에 대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200)는 매칭 데이터 패킷의 발생이 인지되는 경우 IoT 기기의 가시성 정보에 대응하여 기 입력된 오픈 API를 호출하고, 호출된 오픈 API를 이용하여 IoT 시스템 내 다른 IoT 기기와의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기 110: 게이트웨이 장치
120: 가시성 정보 획득 애플리케이션 130a,130b: IoT 기기
200: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 210: 송수신부
220: 수집부 230: 저장부
240: 분석부 250: 제어부
260: 연계부

Claims (11)

  1.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IoT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에 대한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시그니쳐(Signature)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IoT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한 동작 정보를 나타내는 시맨틱(Semantic)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시점을 기준으로 발생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 및 상기 시맨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IoT 기기의 상태 인지를 위한 가시성(Visibility)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성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시그니쳐 정보 및 필드 값(Value)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데이터 패킷의 시그니쳐 정보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패킷 중 상기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선택과 관련된 대응 데이터 패킷을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시맨틱 정보 및 상기 대응 데이터 패킷에 대응되는 시그니쳐 정보 및 필드 값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IoT 기기의 상기 가시성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데이터 패킷을 산출하는 과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와 상기 데이터 패킷의 시그니쳐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와 동일한 시그니쳐 정보를 갖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대응 데이터 패킷으로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데이터 패킷을 산출하는 과정은,
    상기 대응 데이터 패킷이 복수 개가 산출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대응 데이터 패킷을 산출하기까지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수행결과에 따라 그 출현 횟수가 최대값을 갖는 대응 데이터 패킷을 최종 대응 데이터 패킷으로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을 인지하고, 인지결과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 중 상기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시그니쳐 정보만을 추출하여 상기 가시성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로서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맨틱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라벨링(Labeling) 과정을 거쳐 사용자가 지정한 양식으로 표기되어 제공되는 상기 시맨틱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성 정보에 기반하여 IoT 시스템 내 IoT 기기 간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가시성 정보에 매칭되는 매칭 데이터 패킷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매칭 데이터 패킷의 발생이 인지되는 경우 상기 가시성 정보에 대응하여 기 입력된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호출하는 과정; 및
    상기 오픈 API를 이용하여 IoT 시스템 내 다른 IoT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IoT 시스템 내 IoT 기기에 대한 가시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에 대응하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동작 특성을 나타내는 시그니쳐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IoT 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한 동작 정보를 나타내는 시맨틱 정보 및 상기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시점을 기준으로 발생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데이터 패킷,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 및 상기 시맨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IoT 기기의 상태 인지를 위한 상기 가시성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을 인지하고, 인지결과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시그니쳐 정보 중 상기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시그니쳐 정보만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성 정보에 기반하여 IoT 시스템 내 IoT 기기 간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성 정보 획득장치.
KR1020170014647A 2017-02-01 2017-02-01 IoT 기기의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51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647A KR101951847B1 (ko) 2017-02-01 2017-02-01 IoT 기기의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647A KR101951847B1 (ko) 2017-02-01 2017-02-01 IoT 기기의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829A KR20180089829A (ko) 2018-08-09
KR101951847B1 true KR101951847B1 (ko) 2019-05-10

Family

ID=63251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647A KR101951847B1 (ko) 2017-02-01 2017-02-01 IoT 기기의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8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518B1 (ko) * 2020-11-30 2022-08-11 주식회사 쉬프트베리 네트워크 제어 서버 및 방법
CN114610412B (zh) * 2022-03-16 2024-03-15 杭州每刻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可见性分层管理方法和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594B1 (ko) 2014-01-21 2015-12-04 한국과학기술원 서비스 의도에 기반하여 동적 매쉬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729B1 (ko) * 2009-04-09 2011-06-2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의 시스템온칩 및 주문형반도체 기반의 악성코드 검출 장치
KR102318442B1 (ko) * 2013-06-18 2021-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KR20170124187A (ko) * 2016-05-02 2017-11-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통신 프로토콜 자동 호환 기능을 갖는 IoT 플랫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594B1 (ko) 2014-01-21 2015-12-04 한국과학기술원 서비스 의도에 기반하여 동적 매쉬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829A (ko)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716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억세스 포인트를 검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57065B1 (ko) 휴대단말기의 캐릭터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5493621B (zh) 终端、服务器及终端控制方法
CN103152244B (zh) 一种控制即时通信平台通信的方法、装置和通信系统
CN109495870B (zh) 蓝牙测试的方法和装置
CN106101743B (zh) 全景视频识别方法及装置
CN105744352B (zh) 电视的无线网络连接方法及电视
CN104601715B (zh) 一种基于二维码的文件共享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04580534B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2710549B (zh) 通过摄像建立通信连接关系的方法、终端及系统
CN105912699A (zh) 一种数据分析方法及装置
EP30517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network
CN105630462B (zh) 一种违规音视频节目取证方法和装置
WO2015176287A1 (zh) 应用文本信息进行通信的方法及装置
CN110389697B (zh) 数据交互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101951847B1 (ko) IoT 기기의 가시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N111428454A (zh) 可配置化报告生成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3973550A (zh) 一种快速智能识别即时通讯应用id号并进行即时通讯的方法、系统和装置
CN108205455B (zh) 应用的功能实现方法及装置、终端
CN109756635B (zh) 基于web的电话客服模拟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04079953B (zh) 基于视频信息分享操作的方法和系统
CN103686404B (zh) 一种移动终端播放机顶盒画面的方法和系统
WO2019000877A1 (zh) 音频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5314427B (zh) 一种协议测试方法、电子设备及芯片系统
CN116431504A (zh) 自动化测试方法、系统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