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505B1 - 모바일 통신 시스템,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모바일 통신 단말기, 및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 내에서 유저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통신 시스템,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모바일 통신 단말기, 및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 내에서 유저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505B1
KR101951505B1 KR1020147007026A KR20147007026A KR101951505B1 KR 101951505 B1 KR101951505 B1 KR 101951505B1 KR 1020147007026 A KR1020147007026 A KR 1020147007026A KR 20147007026 A KR20147007026 A KR 20147007026A KR 101951505 B1 KR101951505 B1 KR 101951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dom acces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iming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3989A (ko
Inventor
유이치 모리오카
Original Assignee
에스씨에이 아이피엘에이 홀딩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1114340.1A external-priority patent/GB2493920B/en
Priority claimed from GB1114339.3A external-priority patent/GB2493919B/en
Application filed by 에스씨에이 아이피엘에이 홀딩스 인크. filed Critical 에스씨에이 아이피엘에이 홀딩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083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모바일 통신 단말기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으로부터의 데이터를 통신하고, 하나 이상의 기지국은 모바일 통신 단말기들과 통신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모바일 통신 단말기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통신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의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는 단계, 및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 내의 선택된 타이밍에서 하나 이상의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유저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타이밍은, 유저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기 위해 제1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다.

Description

모바일 통신 시스템,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모바일 통신 단말기, 및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 내에서 유저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방법{MOBILE COMMUNICATIONS SYSTEM, INFRASTRUCTURE EQUIPMENT,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TO COMMUNICATE USER DATA WITHIN AN UPLINK RANDOM ACCESS CHANNEL}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들에/로부터의 데이터를 통신하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에 의해 정의된 UMTS 및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 LTE) 아키텍처에 기초한 것들 등의 제3 및 제4 세대 모바일 전자통신 시스템들은, 이전 세대들의 모바일 전자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제공된 단순한 음성 및 메시징 서비스들보다 더 복잡한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들에 의해 제공되는 향상된 데이터 레이트 및 개선된 무선 인터페이스에 의해, 유저는, 이전에는 고정된 유선 데이터 접속을 통해서만 이용 가능했었을, 모바일 비디오 스트리밍과 모바일 화상 회의 등의 높은 데이터 레이트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즐길 수 있다. 따라서, 제3 및 제4 세대 네트워크들을 구축하기 위한 요구가 강하고, 이 네트워크들의 커버리지 영역, 즉,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가 가능한 지리적 위치들이, 급속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3 세대와 제4 세대 네트워크의 예상되는 만연된 구축은 더 간단한 단말기들의 부류의 개발과, LTE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용적인 고속의 데이터 속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대신에 강력한 무선 인터페이스와 증가하는 서비스 영역의 편재(ubiquity)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병행적인 개발을 주도했다. 예들로서는, 상대적으로 빈번하지 않은 방식으로 소량의 데이터를 통신하는 반-자율적(semi-autonomous) 또는 자율적 무선 통신 단말기들(즉, MTC 단말기들)로 대표되는 소위 머신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MTC 단말기의 이용은, 종래의 LTE 단말기들의 종래의 "항상-켜짐" 이용의 경우와는 다를 수 있다. MTC 단말기들의 예들로서는, 예를 들어 고객의 집에 설치되고, 가스, 수도, 및 전기 등 고객의 유틸리티 소비에 관련한 정보를 중앙 MTC 서버 데이터에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소위 스마트 미터들을 포함한다. 스마트 미터의 예에서, 미터는 소량의 데이터 송신(예를 들어, 새로운 가격표(price tariffs))을 수신하는 것과, 소량의 데이터 송신(예를 들어, 새로운 판독 내용)을 전송하는 것 둘 다를 할 수 있는데, 이 데이터 송신들은 일반적으로 낮은 빈도 수를 가지며 지연 내성이 있는 송신들이다. MTC 단말기들의 특징들은 예를 들어, 낮은 이동성, 제어된 시간, 시간 허용성, 패킷 스위칭(PS) 전용, 소량의 데이터 송신, 모바일 발신 전용, 낮은 빈도 수의 모바일 종료, MTC 모니터링, 우선 순위 경보, 보안 접속, 특정 위치 트리거, 업링크 데이터를 위한 네트워크 제공 데스티네이션, 낮은 빈도 수의 송신, 및 그룹 기반의 MTC의 특징들(예를 들어, 그룹 기반의 폴리싱(policing) 및 그룹 기반의 어드레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MTC 단말기의 다른 예들로서는 자동 판매기, "위성 항법(sat nav)" 단말기, 및 보안 카메라 또는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개발된 모바일 네트워크들은 일반적으로 높은 속도와 높은 신뢰성의 서비스들에 잘 적합화되며, MTC 서비스들에는 항상 잘 적합화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모바일 통신 단말기가 제공되고, 모바일 통신 단말기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의해 제공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모바일 통신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의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을 이용함으로써,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모바일 통신 단말기는,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 내의 선택된 타이밍에서 하나 이상의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유저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그 타이밍은, 유저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기 위해 제1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다. 그러므로,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 내에서 랜덤 액세스 메시지의 송신 타이밍을 선택하여 유저 데이터를 랜덤 액세스 채널에서 송신할 수 있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음으로써, 단말기는, 예를 들면, 업링크 자원의 요청 등 소정의 표준에 따라 통상적으로 기타 소정의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것인 랜덤 액세스 메시지 외에도,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에서 데이터를 통신하는 것이 허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해결되는 기술적 과제는, 예를 들어 MTC 통신에 이용되는 것들 등 적은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해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들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왜냐하면 예를 들어, LTE 등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가, 유저 데이터의 상당한 양들을 통신하기 위한 업링크 자원들을 요청하기 위해, 랜덤 액세스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을 포함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랜덤 액세스 메시지들은 업링크 자원을 요청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포맷을 갖고 있다. 이해하게 되는 바와 같이, 이것은 일 예이다. 그러나, 어떤 애플리케이션들에서는, 단지 소량의 데이터만 전송될 필요가 있고, 그래서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가 MTC 통신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랜덤 액세스 채널 내에서 랜덤 액세스 메시지의 송신 타이밍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랜덤 액세스 메시지 자체는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를 식별하기 및/또는 업링크 자원에 대한 모바일 단말기의 요청을 식별하기 위한 목적 등의 다른 목적을 위해 데이터를 통신하는 소정의 포맷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일 예에서, 유저 데이터는 랜덤 액세스 채널 내에서 랜덤 액세스 메시지의 상대적 시간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표현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랜덤 액세스 메시지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어떤 서브-프레임들의 랜덤 액세스 채널에서 통신될 수 있지만 다른 것들에서는 통신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들은 쌍을 이루도록 될 수 있고, 랜덤 액세스 메시지는 이진수 "1" 또는 "0"을 표현하도록 서브-프레임들의 쌍들 중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것에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들에서, 램덤 액세스 채널의 일부를 형성하는 랜덤 액세스 시간 및 주파수 자원들의 블록들은, 유저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통신하기 위해 랜덤 액세스 시간 및 주파수 자원들의 블록들의 가용적인 세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하기의 섹션들은 본 기술의 양태들 및 특징들을 형성하는 다른 예의 기술들을 제공한다.
어떤 예들에서, 통신 단말기는 정기적으로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timing advance information)를 수신하는데, 이것은 송신 타이밍이 유저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해 선택될 수 있기 전에, 랜덤 액세스 채널에서 랜덤 액세스 메시지의 송신 타이밍을 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 예는 모바일인 통신 단말기들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들에서, 특히 MTC 장치들과 같은 더 간단한 통신 단말기들에 해당하는 것들에 대해,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는 예를 들어, 전원을 켤 때 또는 장치 리셋시에 한번 등으로 덜 자주 통신 장치에 통신될 수 있다. 일단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면, 통신 장치는 리셋 컨디션 또는 전원을 끌 때까지 그의 타이밍 어드밴스가 정확하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면 주차 미터 등의 실질적으로 정적인 애플리케이션들에 구축되는 것으로 알려진 MTC 장치들에는 더 간단한 구성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다른 양태들 및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정의되고, 기지국, 통신 단말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및 통신 방법 등의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를 포함한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고, 마찬가지의 부분들은 동일하게 지정된 참조 부호들을 갖는다.
도 1은 LTE 표준에 따른 모바일 네트워크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2는 MTC 장치들 및 서비스들에 적합한 모바일 네트워크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단말기가 e-NodeB에 접속하여 업링크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는 단말기가 LTE 네트워크에서 업링크 자원들을 요청하고 업링크 자원들을 이용하는 종래의 메시지 교환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방법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종래의 업링크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6은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예이다.
도 7은 도 6의 방법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업링크 프레임의 예이다.
도 8은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과 프리앰블 위치결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예이다.
도 9는 도 8의 방법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업링크 프레임의 예이다.
도 10은 도 8의 방법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업링크 프레임의 예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랜덤 액세스 채널로 송신될 데이터를 인코디하기 위한 프리앰블 선택의 예들이다.
도 14는 단말기가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는 방법의 일 예이다.
본 출원은, 2011년 8월 19일자로 출원된 영국 특허 출원 GB1114339.3과 2011년 8월 19일자로 출원된 영국 특허 출원 GB1114340.1의 파리 조약 우선권의 주장으로부터의 혜택을 향유하며, 그 내용들은 본 명세서에 인용되어 포괄된다.
본 기술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3GPP LTE 아키텍처의 문맥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3GPP LTE 아키텍처에서의 구현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대로, 임의의 적합한 모바일 아키텍처도 적절할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설명에서 "eNB" 또는 "e-NodeB"를 지칭할 때, 설명의 목적상 eNB가 이용되고, 당업자는 본 기술들이 다른 타입의 기지국들(예를 들어, GSM의 BTS)과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히 알 것이다.
종래의 네트워크
도 1은 종래의 LTE 모바일 전자통신 네트워크의 기본 기능을 설명하는 개략도를 제공한다. 네트워크는 유저 평면의 트래픽에 대한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103), 및 제어 평면의 시그널링에 대한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기지국(102)을 포함한다(하나의 기지국이 표시됨). LTE에서, 기지국은 e-NodeB라고 지칭되며, 이것은 하기의 설명에서 eNB라고 지칭된다. 각 기지국은 커버리지 영역(103)을 제공하며, 그 영역 내에서 데이터가 모바일 단말기들(또는 UE들)(101)에 또는 그들로부터 통신될 수 있다. 데이터는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무선 다운링크(DL)를 통해 기지국(102)으로부터 모바일 단말기(101)에 송신된다. 데이터는 무선 업링크(UL)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01)로부터 기지국(102)에 송신된다. MME(105), S-GW(103), 및 PDN 게이트웨이(P-GW)(104)를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기들(101)에 그리고 그들로부터 라우팅하고, 인증, 이동성 관리, 및 과금 등과 같은 기능들을 제공한다. P-GW는 하나 이상의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되는데, 이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인터넷, IMS 코어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서, 유저 평면상의 접속들은 보통 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제어 평면상의 접속들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모바일 네트워크는 또한 IP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를 통해 MTC 애플리케이션 서버(120)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다른 예에서, MTC 애플리케이션 서버(120)는 모바일 네트워크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101) 중 하나 이상은, 예를 들면, 자동 판매기 또는 스마트 미터 등 MTC 장치를 형성할 수 있고, MTC 애플리케이션 서버(120)와의 사이에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전송할 수 있다.
하기의 기재는, 모바일 단말기가 모바일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하나 이상의 eNB(102)에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즉, 업링크에서) 종래의 동작의 예의 개요에 대한 설명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공하는데, 이것은 본 기술의 어떤 양태들 및 이점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 3은 단말기가 eNB에 접속하고 업링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예시이다. 방법의 단계 400에서 시작시에, 모바일(또한 UE라고 지칭됨)일 수 있거나 아닐 수도 있는 통신 단말기가 예를 들어 켜질 수 있고, eNB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들어올 수 있거나, 또는 이미 네트워크에 접속되었을 수 있고 새로운 eNB로 핸드오버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단계 402에서 단말기는 그 후 예를 들어 정기적으로 eNB에 의해 전송된 PSS, SSS, 및 PBCH 신호들을 이용하여 eNB와 동기화한다. 단말기가 eNB와 동기화되면, 단말기는 eNB에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업링크 자원을 요청해야 한다. 단계 402에서, 단말기는 RACH 메시지에서 자원 요청을 eNB에 전송한다. RACH는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을 의미하고, 업링크 자원을 할당받지 않고 그러한 자원을 할당받고자 하는 단말기들을 위해 LTE에서 이용된다. LTE에서, 단말기는 특정 시간 및 주파수에서 RACH 채널로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메시지는 프리앰블을 (64개 가능한 것 가운데 선택된 개수) 포함한다. 단계 403에서, eNB가 단말기로부터 RACH 메시지를 수신하면, eNB는 단말기에 응답하여 몇 개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PDCCH 및 PDSCH를 통해 전송하며, 이 파라미터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ㆍ RA-RNTI: RA-RNTI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과, RACH 메시지가 전송된 시간 및 주파수의 조합에 기초한다. 이것은 동일한 프리앰블을 갖는 두 개의 RACH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두 개의 단말기를 구별하기 위해서이다. 그것은 단말기에 대한 식별자로서 이용되어, 단말기는 그가 수신한 응답이 이전에 전송된 그의 RACH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며 다른 단말기에 대한 응답이 아니라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그 응답의 CRC는 RA-RNTI에 의해 스크램블된다.
ㆍ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따라서 단말기는 이 응답 메시지와 관련된 프리앰블이 단말기가 그의 RACH 메시지에 이용한 프리앰블임을 체크할 수 있다.
ㆍ 임시 C-RNTI: 적어도 장래의 다운링크 통신에 이용될 단말기에 대한 임시 식별자.
ㆍ 타이밍 어드밴스: eNB는 eNB에 의해 서빙되는 셀 내의 단말기의 송신이 그것의 평가 위치로부터 그 eNB에 도달하기 위한 지연을 추정하고, 그의 UL 송신이 다른 모든 UL 송신들과, 이들이 eNB에 도달할 때, 정렬되도록 그것의 메시지를 얼마나 많이 시프트해야 하는지에 관한 지시를 단말기에 준다.
ㆍ UL 자원 승인: eNB는 단말기에 그것의 UL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할당된 UL 자원을 단말기에 통지한다.
그 후, 단계 404에서, 단말기는 그것의 UL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할당된 UL 자원을 이용한다. 데이터가 전송되면, 단말기와 eNB는 전송할 데이터를 더 이상 갖고 있지 않다고 가정하여, 그들은 방법이 종료되기(단계 406) 전에 단계 405에서 할당된 임의의 UL(및 아마도 DL) 자원을 해제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방법에 대응하는 간략화된 가능한 콜 흐름을 도시한다. 도 4는 구체적으로 단계 402 내지 단계 405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도시한다. 우선 단말기(101)는 자원을 요청하기 위해 RACH 메시지를 eNB(102)에 전송하고 UL 자원 할당을 포함하는 응답(42)을 수신한다. 그 후 단말기는 업링크에서 데이터(메시지(43))를 전송하기 위해 UL 자원을 이용한다. 도 4의 예에서, UL 데이터 메시지(43)에 이어 그 메시지(43)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다고 확인하는 애크놀로지먼트("ack") 메시지(44)가 뒤따른다. 그 후 더 이상의 메시지들(43)(및 선택적 ack 메시지들(44))이 단말기(101)에 의해 전송될 데이터의 양에 따라 뒤따를 수 있다. UL 자원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면, 단말기(101) 또는 eNB(102)는 메시지(45)로 이러한 UL 자원들의 해제를 트리거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방법 및/또는 도 4의 콜 흐름에 이용하기에 적합한 종래의 업링크 프레임(20)을 예시한다. LTE에서, 프레임(20)은 일반적으로 도 5에서 0부터 9까지 번호가 매겨진 10 개의 서브-프레임(21)으로 분할된다. 도 5의 예에서, RACH(22)는 단말기가 프레임의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RACH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가용적인 자원을 갖는다. 다른 구성들에서, 서브-프레임들의 모두는 아니지만 일부가 RACH 채널에 가용적인 자원을 가지고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어떤 프레임들은 RACH에 할당된 어떠한 자원도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RACH는 짝수 번호의 프레임들의 제1 서브-프레임에만 제공될 수 있다. 종래의 RACH 방법들 및 본 기술들은 모든 서브-프레임 각각에 RACH 자원을 갖는 프레임의 문맥으로 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임의의 RACH 자원이 없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어떤 프레임들이 임의의 RACH 자원을 포함하지 않는 구성에 동일한 원리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 제2 서브-프레임의 RACH 자원은, 단말기(101)가 이 제2 서브-프레임에 구비된 RACH에서 RACH 메시지를 전송한 것을 나타내기 위해 음영 처리되어 있다.
종래의 RACH 절차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가 업링크 자원을 요청하기 위한 제1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그 후 예를 들면, 단말기는 단말기(101)와 eNB(102) 사이에 RRC 접속 등의 관련 업링크 및 다운링크 접속을 셋업하기 위해 시그널링이 더 요구된다. 따라서 소량 메시지의 크기와 비교할 때 관련 시그널링의 양이 많을 수 있다. 단말기(101)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에, 이 종래의 방법은 데이터/시그널링 비율이 그 후 높아짐에 따라 효율적으로 될 수 있다. 그러나 단말기가 전송할 데이터를 소량만 갖고 있다면, 이 방법은 데이터/시그널링 비율이 낮아짐에 따라 비효율적일 수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의 양이 작을수록 덜 효율적으로 되는데, 왜냐하면 시그널링의 양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기 때문이다. MTC 타입 애플리케이션들의 경우에, 단말기는 전송할 소량만의 데이터를 가질 가능성이 크고 일반적으로 데이터는 지연에 민감한 데이터가 아니다. 또한, MTC 타입 애플리케이션들은 그러한 장치들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종래의 모바일 단말기들에 비해 감소된 기능성을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 이것은, MTC 장치들이 종래의 모바일 단말기들보다 더 유비쿼터스 및 실용적으로 될 것이며, 따라서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해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도록 매력적으로 되기 위해서는 제조가 저렴해야 한다고 예상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MTC 타입 서비스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단순화된 단말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소량의 메시지들(또는 매우 소량의 메시지들까지) 및/또는 MTC 통신을 송신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의 섹션들은 본 기술의 양태들 및 특징들을 형성하는 다른 예시적인 기술들을 제공한다.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한 데이터의 송신 및 인코딩
상기의 설명에서 알게 될 바와 같이, 소량의 메시지(또는 매우 소량의 메시지들까지) 및/또는 MTC 통신을 송신하기 위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들의 효율성을 개선하는 방법들을 제공하는 데에 기술적 과제가 제시된다. 다음 섹션들에서는 본 기술의 양태들 및 특징들을 이루는 다른 예시적 기술들을 제공한다.
본 기술에 따르면, 단말기는 적어도 타이밍 선택을 이용하여 eNB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RACH 메시지들을 이용한다. 타이밍 선택은 예를 들어, 짧은 메시지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의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단말기(101)는 MTC 장치이고, 그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가용적인 RACH 메시지들을 재이용한다. 이 방법이 시작하면(단계 600), 단말기(101)는 예를 들어 종래의 방식으로 단계 601에서 eNB와 동기화한다. 그 후 단말기(101)는 RACH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단말기는 단계 602에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인코딩하기 위해 송신 타이밍을 이용한다. 인코딩이 수행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세부 사항은 하기에서 더 설명된다. 이 예에서 단말기(101)는 단계 602에서 전송된 RACH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ack" 메시지를 기대한다. 그러한 ack 메시지는 예를 들어 RACH 응답 메시지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적절한 메시지로 전달될 수 있다. 그 단말기는 단계 603에서 RACH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그러한 애크놀로지먼트(acknowledgement)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RACH 메시지의 송신에 의해 트리거된 타이머의 만료 전에, 단말기가 어떠한 애크놀로지먼트도 수신하지 못했다면, 단말기는 단계 602로 돌아가서 관련 RACH 메시지를 재전송한다. 그러나 단말기가 RACH 메시지에 대한 ack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계 604로 진행할 수 있다. 도 6의 예가 애크놀로지먼트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여부의 체크를 포함하더라도, 이 단계 603은 선택적이다. 또 다른 예에서, 단말기는 어떠한 ack 메시지도 기대하지 않을 수 있고 단계 602로부터 단계 604로 점프할 수도 있다. 단계 604에서, 단말기(101)는 RACH를 통해 전송될 데이터를 더 갖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말기가 전송해야 할 모든 데이터를 이미 다 전송했다면 이 방법은 종료될 수 있다(단계 605). 그러나 단말기(101)가 여전히 이러한 방식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갖고 있는 경우, 이 방법은 단말기(101)가 하나 이상의 RACH 메시지 내에서 계류중인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해 단계 602로 돌아간다.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해 송신 타이밍을 이용함으로써, 단말기(101)는 종래의 RACH 메시지로 나타날 수 있는 것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양호한 역방향 호환성 성능을 제공한다. 송신 타이밍을 이용한 인코딩의 일 예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0부터 9까지 번호가 매겨진 10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20)을 도시하고, 각 서브-프레임은 (예를 들어 종래의) RACH에 할당된 자원들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단말기는 RACH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브-프레임(들)을 선택하여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진 인코딩을 이용하여, 짝수 번째 서브-프레임에서의 RACH 메시지 전송은 "0"으로 인코딩하고, 홀수 번째 서브-프레임에서의 RACH 메시지 전송은 "1"로 인코딩한다. 따라서, 도 7의 예에서, 하나의 프레임 내에 5 비트가 인코딩될 수 있고, 서브-프레임 1, 3, 4, 6, 및 9에서 RACH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기는 "11001"로 인코딩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처음 3 비트는 ID("110"=6)를 인코딩하고, 마지막 2 비트는 상태("01"=배터리 잔량 낮음)를 인코딩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미터는 그의 내부 요소 넘버 6(예를 들어, 가스 미터나 기타 어떤 다른 요소가 아닌 전기 미터)의 배터리 잔량이 낮다고 중앙 서버에 지시할 수 있다.
RACH가 모든 서브-프레임이 아닌 단지 일부의 서브-프레임에만 제공되는 예(미도시)에서, 단말기는 RACH 채널 자원 블록(들)의 선택과 관련하여 송신 타이밍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RACH 자원 블록은 단말기들이 그들의 RACH 메시지들을 전송할 수 있도록 업링크에 제공되는 시간 및 주파수 슬롯이다. 사실상, RACH 자원들의 모든 블록들이 RACH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RACH가 세 개의 서브-프레임마다 한 번씩 제공되는 상황에서, 단말기는 "0" 또는 "1"을 인코딩하기 위해 두 개의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RACH 자원들의 한 쌍의 후속 블록들 내에서의 RACH 메시지의 위치결정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서브-프레임 선택 기준보다 오히려 RACH 자원 블록 선택 기준으로 선택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RACH 자원들의 두 블록이 서브-프레임에 제공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 경우에, 단말기는 "0" 또는 "1"을 인코딩하기 위해 서브-프레임 내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자원 블록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두 블록의 RACH 자원들을 포함하는 모든 서브-프레임에 대해 한 비트가 인코딩될 수 있다.
다른 예(미도시)에서는, 프레임 당 한 블록의 RACH 자원만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각 프레임의 두 번째 서브-프레임에 한 블록의 RACH 자원이 있을 수 있다. 그 후 서브-프레임 선택은 프레임보다 더 큰 범위에 걸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 개의 프레임으로 된 그룹에 걸쳐 수행될 수 있는데, 이진 인코딩에 기초한 서브-프레임 선택은 10개의 프레임으로 된 그룹에 5 비트의 가능한 인코딩을 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방법에서, 단말기(101)는 랜덤 액세스 채널 자원의 업링크 블록에서 프리앰블 위치결정을 이용하여 RACH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이 프리앰블 이외의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되는 경우 등에서,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해 블록 랜덤 액세스 자원 내에 이 메시지를 위치시킴으로써 동일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도 8의 예에서, 이 방법은 단계 800에서 시작하고, 단말기(101)는 단계 801에서 eNB와 동기화한다. 그 후 단말기(101)는 타이밍 어드밴스를 예를 들어 eNB로부터, RACH 메시지를 이용하여 취득하므로, 업링크 타이밍과 완전히 정렬될 수 있다. 그 후 단계 803에서 단말기(101)는 RACH 자원 블록에 위치된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RACH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예는 또한 단계 803에서 전송된 데이터에 대한 애크놀로지먼트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선택적 단계 804를 포함한다. 수신된 바가 없다면, 단말기는 단계 803으로 돌아가 데이터를 재전송한다. 그렇지 않다면, 이 방법은 단계 805로 진행하여 단말기(101)가 RACH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아직 갖고 있는지 여부가 결정되다. 데이터를 갖고 있지 않다면, 이 방법은 단계 806에서 종료될 수 있다. 그러나 단말기(101)가 여전히 전송할 데이터를 갖고 있는 경우, 이 방법은 단계 807로 진행하여 단말기(101)가 타이밍 어드밴스를 재취득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단말기(101)가 eNB(10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해서 새로운 타이밍 어드밴스를 요구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위치결정 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대안적으로, 단말기(101)는 예를 들어 스마트 미터 또는 주차 미터 등의 고정적 요소가 될 수도 있는데, 그 경우 단말기는 그가 정지 상태임을 알기 때문에 단계 807은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 현재의 타이밍 어드밴스가 충분히 충족된 것으로 결정되면, 이 방법은 단계 803으로 돌아갈 수 있고 RACH 자원들에서의 프리앰블 위치결정을 이용하여 그 이상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타이밍 어드밴스를 취득해야 한다고 판단되면, 이 방법은 단계 802로 진행하여 단말기(101)는 새로운 타이밍 어드밴스를 취득한다.
도 9는 RACH 자원 내의 프리앰블 위치결정과 서브-프레임들 사이의 RACH 메시지 위치결정, 이 2개의 송신 타이밍 기술의 조합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인코딩하기에 적합한 프레임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에서와 같이, RACH 메시지들의 위치는 "110" 및 "01"을 인코딩한다. 아울러 각각의 서브-프레임에서, RACH 자원 블록(221 내지 225) 내에 RACH 메시지 콘텐츠(즉, 프리앰블들(31 내지 35))의 위치도 데이터를 인코딩한다. 이 예에서, 자원 블록의 처음에 위치한 프리앰블은 "0"을 인코딩하고 자원 블록의 끝에 위치한 프리앰블은 "1"을 인코딩한다. 도 9에서 프레임은 5 개의 RACH 메시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 기술을 이용하여 5 비트가 더 인코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예에서, 프리앰블의 위치는 "01100"을 인코딩하도록 이용되었다(일부 비트들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이 장치가 스마트 미터라면, 예를 들어 12 kWh의 전력 판독 내용을 전송하고 있음을 지시하면서, 이 장치가 배터리 잔량이 낮다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도 10의 예에서, 단말기는 데이터 인코딩을 위해 RACH 자원 블록(221 내지 223) 내의 프리앰블 위치결정만을 이용하며, 이 경우에 그 넘버는 이진수로서 인코딩되지 않고 베이스 3 넘버들로서 인코딩된다. 그 프리앰블이 랜덤 액세스 자원 블록의 프리앰블에 있다면 인코딩된 넘버는 "0"이며, 중간 위치에 있다면 "1"이고, 자원 블록의 끝에 있다면 "2"이다. 또한 도 10의 예에서, 랜덤 액세스 자원의 업링크 블록 몇 개가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 제공된다. 따라서 이 특정 조합은 "201"로 인코딩되는데, 이것은 넘버 19를 베이스-3으로 인코딩한 것이다. 예를 들어, 그 장치는 그의 재고 수준이 현재 19임을 나타내는 자판기가 될 수도 있다.
넘버들을 인코딩할 때 송신 위치결정을 이용한 적절한 인코딩은 임의의 다른 타입이라도 이용될 수 있으며, 비록 이진 인코딩이 데이터의 인코딩, 디코딩, 저장에 폭넓게 활용되기 때문에 더 편리한 것으로 인정될 것이지만, 예를 들어, 베이스-n 인코딩에 의존할 수도 있고, 여기서 n은 2 이상이다.
통신을 위한 데이터 인코딩을 위해 프리앰블 선택을 이용하는 추가적인 인코딩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64개의 프리앰블이 가용적이며, 특정 프리앰블의 선택은 RACH 메시지의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종래의 프리앰블 이용은 64개의 프리앰블 중에서 하나의 프리앰블을 임의로 선택하는 것에 의존하는데, 여기서 그 랜덤성은 RACH 메시지를 동시에 송신하려는 두 개의 단말기 간의 충돌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이용된다. 프리앰블은 또한 RA-RNTI, 즉 RACH 응답을 위해 단말기의 ID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랜덤성 양태 때문에, 프리앰블은 그것의 종래의 이용에서는 어떠한 정보도 전달하지 않는다. 프리앰블 선택을 이용하는 가능한 인코딩 방법의 예들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는데, 프리앰블들은 0부터 63까지 범위의 6 비트 넘버로서 표현되었다. 이 도면들에서 그 6 비트는 비중을 줄여 1에서 6까지의 넘버가 되었다.
도 11의 예에서 비트 1 내지 비트 3으로 데이터를 그리고 비트 4 내지 6으로 랜덤 성분을 인코딩하기 위해 프리앰블이 선택된다. 이러한 인코딩 방법은 프리앰블에 3 비트의 인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음으로써, RACH 메시지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비트 수를 증가시킨다. 또한 다른 예들에서, 데이터 인코딩에 할당된 프리앰블 비트 수는 3과 다를 수 있으며, 0(프리앰블 내에 데이터 인코딩 없음)으로부터 6(랜덤 성분 없음)까지 다양할 수 있다. 당업자는 이것이 예를 들어, 특정 상황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몇 개의 MTC 장치가 동일한 시간 간격 내에 데이터 통신을 시도할 수 있고, 그 데이터가 유사할 가능성이 크고, 예를 들어, 모든 스마트 미터들의 메시지들의 첫 번째 비트들이 동일한 첫 번째 비트들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면, 대략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단말기들 사이에 충돌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충돌은 업링크 전송 실패를 야기하고, 이에 따라 업링크 스루풋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충돌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프리앰블 내에 랜덤 성분을 포함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는 인코딩하는 비트 수를 증가시키는, 하나의 프리앰블에서 인코딩된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과, 랜덤 비트 수를 증가시시키는, 프리앰블들 간의 충돌을 더욱 방지하는 것 사이에 균형이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2의 예에서, 비트 1은 프리앰블이 종래의 RACH 업링크 자원 요청에 이용되는지의 여부를 인코딩하기 위해 이용되거나(값: "0"), 또는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해 이용된다(값: "1"). 즉, 프리앰블 자체는 종래의 프리앰블로서 해석되어야 하는지 또는 인코딩 프리앰블로서 해석되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지시를 포함한다. 그 예에서 첫 번째 비트가 "0"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단말기는 "0"으로 시작하는 32개의 가능한 프리앰블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종래의 방식으로 그 프리앰블을 이용한다. 비트 1이 "1"로 설정되어 있다면, 이것은 이 프리앰블이 종래의 방식으로 이용되지 않고,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을 지시한다. 프리앰블의 나머지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인코딩 비트 및 대응하는 개수의 랜덤 비트의 조합을 전달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12에서, 도시된 프리앰블은 두 개의 인코딩 비트(비트 2 내지 3)와 세 개의 랜덤 비트(비트 4 내지 6)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인코딩 비트들과 랜덤 비트들 간의 균형은 예를 들어, 원하는 스루풋 및 충돌 가능성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이 프리앰블 구성은 예를 들어, 업링크 자원을 요청할 때 종래의 RACH 메시지들을 위해, 그리고 인코딩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이 둘 다의 목적을 위해 프리앰블들을 이용하고 있을 수 있는 단말기에 유용할 수 있으며, 그러한 단말기는 두 가지 타입의 프리앰블들을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RACH 메시지 단위마다 어느 것을 이용하는지를 동적으로 지시할 수도 있다.
도 13의 예에서, 처음 3 비트(비트 1 내지 3)는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것과 프리앰블이 데이터 인코딩에 이용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것 둘 다를 위해 이용된다. 이 3 비트는 총 8 가지의 조합을 커버할 수 있으며, 이 조합 중에서 하나는 종래의 방식으로 이용되는 프리앰블을 위해 예약된다. 그러므로 이 처음 3 비트는 인코딩 비트들로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프리앰블이 종래의 프리앰블로서 또는 인코딩 프리앰블로서 해석되어야 하는지의 지시자로서 작용한다.
일 예("예 A")에서, 단말기는 도 9 및 도 12에서 이용된 기술들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내에, 단말기는 5 개의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으며(서브-프레임의 쌍에 한 개, 각 서브-프레임은 RACH 자원들의 하나의 블록을 포함함), 각 프리앰블은 서브-프레임들 쌍들 내의 그 위치에 의해 한 비트, 프리앰블 위치결정(RACH 자원 블록 내의 프리앰블의 위치)을 이용하여 한 비트, 그리고 프리앰블 선택을 이용하여 두 비트를 인코딩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단말기가 인코딩할 수 있는 비트 수는 프레임 당 "5 x (1+1+2) = 20 비트"이다. LTE에서 프레임은 총 길이 10 ms를 갖고, 이것은 인코딩 방법들의 이 특별한 조합에 대해 2kbps의 비트레이트를 제공한다.
또 다른 예("예 B")에서, RACH 자원 블록들은 프레임 당 두 개의 서브-프레임 내에서만 가용적이며, 단말기는 서브-프레임 선택 기술, 프리앰블 위치결정, 프리앰블 선택 기술들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프리앰블은 도 11의 예에 따르지만 네 개의 인코딩 비트와 랜덤 성분용 두 개의 비트를 갖는다. 그 경우, 단말기는 프레임 당 하나의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으며, 각 프리앰블은 서브-프레임 선택에 한 비트, 서브-프레임 내의 프리앰블 위치결정에 한 비트, 프리앰블 선택에 네 비트를 인코딩할 수 있어서, 즉, 프레임 당 "1 x (1+1+4) = 6 비트"를 인코딩할 수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LTE에서 스루풋은 0.6 kbps가 될 것이다.
또 다른 예("예 C")에서, 단말기는 RACH 자원 블록 선택과 프리앰블 위치결정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는데, 그 둘 다는 도 9에 따른다. RACH 자원 블록 선택은 도 9의 예에서 서브-프레임 선택과 동등한데, 왜냐하면, RACH 자원 블록을 포함하는 각 서브-프레임이 정확히 그러한 블록을 한 개 포함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상황에서, 단말기는 프레임 당 다섯 개의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으며, 각 프리앰블은 서브-프레임들의 각 쌍 내의 그의 위치로 1 비트와 프리앰블 위치결정으로 1 비트를 인코딩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가 한 프레임에서 인코딩할 수 있는 비트 수는 프레임 당 "5 x (1+1) = 10 비트"이고, 즉 1 kbps의 스루풋을 준다.
그러나 이러한 인코딩의 결과로 나타나는 오버헤드는 선택된 인코딩 방법에 따라 오히려 낮을 수도 있거나 또는 높을 수도 있다. 이 오버헤드는 프리앰블당 인코딩되는 비트 수에 의존하며, 이것은 전송된 전체 비트 수 대비 유효(즉, 인코딩 비트) 수를 지시할 것이다. 예 A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에 의해 전송된 6 비트 프리앰블마다 3 비트가 인코딩되는데, 1 비트는 서브-프레임 선택, 1 비트는 프리앰블 위치결정, 1 비트는 프리앰블 선택으로 인코딩되어, 이것은 결과적으로 50%의 유효성과 50%의 오버헤드가 된다. 현실적으로 오버헤드는, 단말기가 타이밍 어드밴스를 얻기 위해 우선 (어느 데이터도 인코딩하지 않은) 첫 번째 RACH 메시지를 전송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약간 낮을 수 있다. 그러나 정지 상태인 단말기의 경우, 이것은 무시될 수 있는데, 이는 사실 한 번만 설정될 수 있고 드물게만 갱신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 B에서 각 프리앰블은 6 비트를 인코딩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효성이 100%이고, 오버헤드가 0%이다. 유효성이 100%보다 높을 수 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예를 들어 프리앰블의 6 비트 모두가 데이터 인코딩에 이용되고, 단말기도 서브-프레임 선택과 프리앰블 위치결정을 이용한다면, 각 프리앰블은 프리앰블 자체가 6 비트로 구성되더라도 8 비트를 인코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유효성은 137%가 될 것이고, 오버헤드는 -37%가 될 것이다. 예 C에서, 각 프리앰블은 두 개의 타이밍 선택 방법의 조합을 이용하여 2비트를 인코딩한다. 따라서 유효성은 37%이고, 오버헤드는 63%이다.
예 A 내지 예 C의 스루풋과 오버헤드에 대한 요약은 하기와 같다.
예: A B C
스루풋(kbps): 2 0.6 1
오버헤드: 50% 0% 63%
이러한 방법들에 의해 달성된 스루풋은,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50 Mbps 내지 80 Mbps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LTE 최대 업링크 스루풋에 비해 매우 낮다. 그러나, MTC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송신할 데이터를 소량만 가지며 일반적으로 지연-내성이 있다고 간주되므로, 이러한 장치들은 아마도 낮은 스루풋에 쉽게 대처할 수 있다.
당업자가 인식하게 될 바와 같이, 인코딩 방법들의 가능한 조합들의 범위는 스루풋과 효율성의 관점에서 광대한 수의 가능한 결과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당업자는 예를 들어, 스루풋, 오버 헤드, 전력 소비, 및 단말기 및/또는 eNB상의 임의의 구현 제약 또는 비용을 고려하여, 그가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양태들을 고려할 때, 당업자는 어떤 상황들에서 종래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량의 데이터가 송신되려고 할 때, 종래의 방법에 의한 데이터/시그널링 비율은 당업자가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LTE에 관련된 시그널링의 양이 송신될 데이터의 실제 양에 비해 많은 경우에 짧은 메시지에 대해서는,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해 랜덤 액세스 채널 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하기 위해 단말기에 요구되는 컴포넌트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단말기의 복잡도가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MTC 단말기는, 종래의 프로토콜 스택들이, 적어도 구현된다면, 매우 기본적인 방식으로 구현되는 한정된 프로토콜 구현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복잡도 및 비용의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한 데이터의 수신 및 디코딩
일단 메시지가 단말기(101)에 의해 전송되었다면, 그것은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통해 송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는 eNB(102)에 도달한다. eNB(102)가 단말기에 의해 이용된 인코딩 방법을 인식하면, 단순히 프리앰블 내의 해당 비트들을, 있다면, 디코딩함으로써, 그리고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선택된 타이밍을 식별함으로써, 즉, 선택된 타이밍이 랜덤 액세스 자원 블록의 선택, 서브-프레임 선택, 및/또는 랜덤 액세스 자원들의 블록 내에서의 메시지 위치결정과 관련되는지 식별함으로써, 수신된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간단히 디코딩할 수 있다. 그 후 eNB는 예를 들어, eNB(102)가 갖고 있을 수 있는 단말기의 식별자의 임의의 지시와 함께, 디코딩된 데이터를 (예를 들어, 모바일 네트워크 없이 또는 그 내의) MTC 애플리케이션 서버(120)에 전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eNB는 예를 들어, S-GW(103), P-GW(104), 또는 MME(105) 등의 다른 노드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이 다른 노드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그의 데스티네이션, 예를 들어, MTC 애플리케이션 서버(120)에 라우팅하는 것을 담당할 것이다. 다른 예에서, eNB는 디코딩된 데이터 자체 내에서 데이터 처리를 위한 명령 및/또는 데스티네이션을 검색할 수 있다.
eNB가, 단말기가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종래의 랜덤 액세스 메시지로서 또는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해 이용된 메시지로서 전송하고 있는지 여부를 알도록, 그리고 나중의 경우에, 데이터가 인코딩된 방법을 알도록 하기 위해, 여러 가지 옵션들이 적절하게 고려될 수 있다.
다양한 상황들이 고려될 수 있다. 단말기는 모든 랜덤 액세스 메시지에서 데이터 인코딩을 이용하기 위해 "하드-코딩될" 수 있으며, 어떤 때는 종래의 방식으로 그리고 어떤 때는 인코딩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랜덤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고 있을 수 있으며, 또는 항상 종래의 방식으로 랜덤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인코딩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랜덤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고 있을 수 있는 임의의 단말기에 대해, 인코딩 방법은 미리 "하드 코딩"될 수 있거나 또는 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eNB는 인코딩된 데이터를 식별하고 그것을 정확하게 디코딩하기 위해 이러한 정보의 일부 또는 모두를 알 필요가 있을 수 있다.
eNB는 상이한 방식들로 관련 정보 중 일부 또는 모두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특정 인코딩 방법을 이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만 랜덤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는 MTC 장치로서 플래그될 수 있다. eNB는 예를 들면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HSS/HLR로부터 이 "플래깅(flagging)" 정보를 검색할 수 있거나, 또는 이 정보 자체를 저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말기는 모바일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기존의 성능 메시지 또는 다른 타입의 성능 메시지 중 어느 것으로, 그의 성능을 지시하기 위해 메시지를 eNB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능들은 월의 일(들), 일의 시간 등의 시간 간격,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시간 간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RACH 메시지 자체는 임의의 인코딩된 데이터 및/또는 이용된 인코딩 방법의 존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입하는 랜덤 액세스 메시지의 처리 방법의 예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우선, eNB(102)는 단계 1400에서 단말기(101)로부터 RACH 메시지를 수신한다.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기가 단지 인코딩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만 RACH 메시지를 이용하는 단말기로서 목록에 있는지 여부가 1401에서 체크될 수 있다. 그것이 목록에 있다면, 방법은 단계 1406으로 진행하여 RACH 메시지가 디코딩된다. 그것이 목록에 없다면, 성능 발견 방법 도중에 단말기가 그 자체를 인코딩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RACH를 이용하는 단말기로서 식별했는지가 단계 1402에서 체크될 수 있다. 단계 1402에서 체크에 대한 대답이 예라면, 단계 1403에서 단말기가 모든 RACH 메시지에서 인코딩된 데이터의 전송을 선언했는지 여부가 체크될 수 있다. 대답이 예라면, RACH 메시지는 단계 1406에서 디코딩될 수 있다. 단계 1402 및 1043의 체크들 중 어느 것의 대답이 아니오라면, 방법은 단계 1404로 진행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RACH 메시지가 인코딩된 데이터를 포함한다는 임의의 지시가 있는지 여부가 체크된다. 이러한 지시는(예를 들어 도 12에서 "비트 1"을 참조) 메시지 자체에서 전달될 수 있거나, 또는 이전의 메시지에, 예를 들어, 이 단말기로부터 다음 10 개의 랜덤 액세스 메시지가 인코딩된 데이터를 포함할 것이라고 공고하기 위해 첫 번째 메시지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지시가 제공된다면, 방법은 단계 1406으로 진행하여 RACH 메시지가 디코딩된다. 그러한 지시가 발견될 수 없다면, 방법은 단계 1405로 진행하여 RACH 메시지가 종래의 RACH 메시지로서 처리된다.
또한 이 방법은 예를 들어, 단계 1401 등의 하나 이상의 단계를 제거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단말기가 항상 종래의 방식으로 RACH 메시지들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식별되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가능하다면 단계 1405로 점프하도록 하는 제1 체크 단계 등의 추가의 단계들을 추가하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그것이 단말기(101)에 그리고 eNB(102)에 미리 정의되어 있다면, eNB가 어느 인코딩 방법이 이용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유사한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결론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LTE 환경에서 유리하게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이 환경에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LTE 환경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다른 적합한 환경, 특히 단말기가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적어도 타이밍 선택을 이용할 수 있는 임의의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변형들이 본 발명의 예들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체로 감소된 성능의 단말기들의 측면에서 정의되었지만, 개인 전화기 등의 통상의 단말기들을 포함한, 임의의 적합한 단말기가 본 개시에 따른 짧은 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 및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각 요소에 대해 하나만의 노드가 표현되고 논의되었다. 그러나, 당업자는 각 노드 하나보다 더 많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 네트워크는 복수의 eNB, MME, S-GW 및/또는 P-GW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다른 양태들 및 특징들이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정의된다. 다양한 변형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전술한 실시예들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타입들의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들과의 응용을 찾고, LTE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27)

  1.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의해 제공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모바일 통신 단말기로서,
    이러한 통신은,
    상기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 메시지들을 송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의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 내의 선택된 타이밍에서 유저 데이터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상기 유저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은,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가 상기 유저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지국은 시간상 인접한 서브-프레임들에서 업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할 타이밍을 선택하고, 상기 유저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가용적인 상기 서브-프레임들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서브-세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바일 통신 단말기들이 상기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랜덤 액세스 메시지들을 전송하도록 랜덤 액세스 자원들의 블록들의 세트가 상기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에 제공되고,
    상기 타이밍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는, 상기 유저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랜덤 액세스 자원들의 블록들의 세트로부터 랜덤 액세스 자원들의 블록들의 서브-세트를 선택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바일 통신 단말기들이 상기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랜덤 액세스 메시지들을 전송하도록 랜덤 액세스 자원들의 블록들의 세트가 상기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에 제공되고,
    상기 타이밍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는, 상기 유저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기 위해 랜덤 액세스 자원들의 하나의 블록 내의 자원들의 서브-세트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랜덤 액세스 자원들의 하나의 블록 내에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을 선택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들 각각은 넘버들의 서브-세트 중의 넘버를 포함하고, 상기 넘버는,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가 송신했던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들 각각에 대해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의 응답을 인식함에 있어서 그 응답이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들 각각에 대한 것임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가 이용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랜덤 액세스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유저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넘버들의 서브-세트 내의 넘버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는 성능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성능 메시지는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유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성능의 지시(indication)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의 지시는 서브-프레임 타이밍 선택 방법을 이용하는 성능, 랜덤 액세스 자원들의 블록의 타이밍 선택을 이용하는 성능, 랜덤 액세스 자원들의 블록의 타이밍 내의 타이밍 선택을 이용하는 성능, 및 랜덤 액세스 넘버 선택을 이용하는 성능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성능 메시지는 상기 성능이 정적 또는 동적임을 선택적으로 지시하고, 상기 성능에 대한 시간 간격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는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통해 상기 유저 데이터가 통신되고 있다는 것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자(indicator)를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에 포함시키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는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유저 데이터 통신과 연관된 랜덤 액세스 자원들에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그 자원들은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유저 데이터 통신에 선택적으로 전용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timing advance information)를 수신하고, 타이밍 어드밴스 및 선택된 송신 시간에 따라 초기화 후에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들의 송신 타이밍의 타이밍을 적합화(adapt)시키도록 구성되며, 그 후 상기 타이밍 어드밴스 정보가 변경되지 않는다고 가정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시스템은 3GPP 호환 시스템을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LTE 호환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e-NodeB를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은 RACH인, 모바일 통신 단말기.
  14. 모바일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으로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으로부터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기지국은 모바일 통신 단말기들과 통신하기 위해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의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 내의 선택된 타이밍에서 유저 데이터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상기 유저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은,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가 상기 유저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는, 통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지국은 시간상 인접한 서브-프레임들에서 업링크 송신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할 타이밍을 선택하는 것은, 상기 유저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가용적인 상기 서브-프레임들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서브-세트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모바일 통신 단말기들이 상기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랜덤 액세스 메시지들을 전송하도록 랜덤 액세스 자원들의 블록들의 세트가 상기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에 제공되고,
    송신할 타이밍을 선택하는 것은, 상기 유저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기 위해 랜덤 액세스 자원들의 블록들의 세트로부터 랜덤 액세스 자원들의 블록들의 서브-세트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모바일 통신 단말기들이 상기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랜덤 액세스 메시지들을 전송하도록 랜덤 액세스 자원들의 블록들의 세트가 상기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에 제공되고,
    송신할 타이밍을 선택하는 것은, 상기 유저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기 위해 랜덤 액세스 자원들의 하나의 블록 내의 자원들의 서브-세트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랜덤 액세스 자원들의 하나의 블록 내에서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시간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18.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들 각각은 넘버들의 서브-세트 중의 넘버를 포함하고, 상기 넘버는,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가 송신했던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들 각각에 대한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의 응답을 인식함에 있어서 그 응답이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들 각각에 대한 것임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가 이용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하나 이상의 랜덤 액세스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유저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기 위해 상기 넘버들의 서브-세트 내의 넘버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9.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로부터 성능 메시지를 상기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성능 메시지는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유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의 성능의 지시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의 지시는 서브-프레임 타이밍 선택 방법을 이용하는 성능, 랜덤 액세스 자원들의 블록의 타이밍 선택을 이용하는 성능, 랜덤 액세스 자원들의 블록의 타이밍 내의 타이밍 선택을 이용하는 성능, 및 랜덤 액세스 넘버 선택을 이용하는 성능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성능 메시지는 상기 성능이 정적 또는 동적임을 선택적으로 지시하고, 상기 성능에 대한 시간 간격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통신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 의해 지시자를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는, 상기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통해 유저 데이터가 통신되고 있다는 것을 지시하는, 통신 방법.
  22.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3GPP 호환 네트워크인, 통신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e-NodeB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채널은 RACH인, 통신 방법.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147007026A 2011-08-19 2012-08-10 모바일 통신 시스템,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모바일 통신 단말기, 및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 내에서 유저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방법 KR101951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114340.1A GB2493920B (en) 2011-08-19 2011-08-19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GB1114339.3A GB2493919B (en) 2011-08-19 2011-08-19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infrastructure equipment,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GB1114340.1 2011-08-19
GB1114339.3 2011-08-19
PCT/GB2012/051945 WO2013027018A1 (en) 2011-08-19 2012-08-10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infrastructure equipment,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to communicate user data within an uplink random access chan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989A KR20140083989A (ko) 2014-07-04
KR101951505B1 true KR101951505B1 (ko) 2019-02-22

Family

ID=46796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026A KR101951505B1 (ko) 2011-08-19 2012-08-10 모바일 통신 시스템,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모바일 통신 단말기, 및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 내에서 유저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5) US9699812B2 (ko)
EP (2) EP2745604B1 (ko)
JP (2) JP6138125B2 (ko)
KR (1) KR101951505B1 (ko)
CN (2) CN103918341B (ko)
BR (1) BR112014003260A2 (ko)
RU (1) RU2014110364A (ko)
WO (2) WO20130270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14110364A (ru) * 2011-08-19 2015-09-27 Ска Ипла Холдингз Инк Система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оборудование инфраструктуры, терминал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пользователя по восходящему каналу произвольного доступа
US10306594B2 (en) 2012-10-30 2019-05-28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coverage enhancements
US9706522B2 (en) 2013-03-01 2017-07-11 Intel IP Corporatio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traffic offloading
JP6110739B2 (ja) * 2013-06-25 2017-04-05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ユーザ端末、及びプロセッサ
US10700830B2 (en) * 2014-10-21 2020-06-3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nvey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a preamble transmission
US9923836B1 (en) * 2014-11-21 2018-03-20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 delay based scheduler for an access node
US10098123B2 (en) 2015-02-11 2018-10-09 Qualcomm Incorporated Service type indicator in master information block (MIB)
KR102006425B1 (ko) 2015-03-28 2019-08-0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무선 액세스 방법 및 장치, 통신 시스템, 그리고 단말
WO2017007074A1 (ko) * 2015-07-03 2017-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32548B1 (ko) * 2015-11-12 2017-05-0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WO2017191833A1 (ja) * 2016-05-06 2017-11-09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6144442B1 (ja) * 2017-03-10 2017-06-07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及び基地局
JP7280247B2 (ja) 2017-09-06 2023-05-2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用マルチ接続ユーザデバイス
CN117715230A (zh) * 2017-11-17 2024-03-15 华为技术有限公司 随机接入信号的发送方法、接收方法和相关装置
JPWO2019194296A1 (ja) * 2018-04-04 2021-01-07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60812A1 (en) 1998-05-19 1999-11-25 Ericsson, Inc. Access request in a predetermined random access channel slot to convey additional information
WO2001074107A1 (en) 2000-03-28 2001-10-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se of time offsets to encode information in a random access channel
US20070230600A1 (en) 2006-03-27 2007-10-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andom access structure for wireless networks
EP2434828A1 (en) 2010-09-22 2012-03-28 Alcatel Lucent Machine type communications in a radio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73013A (fr) 1965-11-06 1967-03-17 Bull General Electric Perfectionnements aux mémoires matricielles à noyaux magnétiques
DE1481982A1 (de) 1965-12-01 1969-07-17 Borgs Fabriks Ab Flugzeugschranke
US6535547B1 (en) * 1999-06-02 2003-03-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ndom acces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JP2002078007A (ja) 2000-08-29 2002-03-15 Sanyo Electric Co Ltd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携帯無線端末
EP1251708A1 (en) * 2001-04-18 2002-10-23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S.p.A. Method for reducing the radio channel access dela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TE286331T1 (de) * 2001-06-27 2005-01-15 Nokia Corp Verfahren zur adaptiven einstellung der sendeparameter für eine aufwärtssendungsprozedur eines zufallzugriffskanals in einem drahtlosen kommunikationssystem
FI115021B (fi) * 2002-12-20 2005-02-15 Nokia Corp Suora ylössuuntainen pääsy
WO2007108476A1 (ja) * 2006-03-20 2007-09-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無線通信移動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DK2030394T3 (da) * 2006-06-09 2014-10-27 Tq Lambda Llc Fremgangsmåde til transmission af data i et mobilkommunikationssystem
MX2009008273A (es) * 2007-02-12 2009-08-12 Lg Electronics Inc Metodos y procedimientos para acceso de alta velocidad de equipo de usuario.
EP2177060B1 (en) * 2007-08-10 2018-07-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utran and handover
KR101519345B1 (ko) * 2008-01-01 2015-05-21 주식회사 팬택 랜덤 액세스 요청 송수신 및 랜덤 액세스 응답 송수신 방법
WO2009099312A2 (en) * 2008-02-10 2009-08-13 Lg Electronics Inc. Random access channel frequency allocation
US8570977B2 (en) * 2008-03-24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64659B2 (en) * 2009-02-02 2015-02-24 Lg Electronics Inc. Random access channel resource allocation
JP5132723B2 (ja) * 2010-02-15 2013-01-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参照信号送信方法、移動局装置及び基地局装置
EP4033824A1 (en) 2010-03-12 2022-07-27 BlackBerry Limited Communication sta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n a random access channel
EP2367394B1 (en) * 2010-03-12 2015-11-25 BlackBerry Limited Base st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transmissions on an enhanced random access channel
US8462722B2 (en) * 2010-03-26 2013-06-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ccess control for machine-type communication devices
EP2369890A1 (en) * 2010-03-26 2011-09-28 Panasonic Corporation Connection peak avoidance for machine-type-communication (MTC) devices
CN102202412B (zh) * 2010-06-03 2014-03-12 开曼群岛威睿电通股份有限公司 移动通信装置及其用于机器类型通信数据的传输方法
US20110310854A1 (en) * 2010-06-17 2011-12-22 Jialin Zou Method of determining access tim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20120033613A1 (en) * 2010-08-04 2012-02-09 National Taiwan University Enhanced rach design for machine-type communications
US9351289B2 (en) * 2011-06-06 2016-05-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and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receiv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and base station
KR102023016B1 (ko) * 2011-06-28 2019-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 전송/수신 방법 및 장치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3013697A1 (en) * 2011-07-22 2013-01-31 Alcatel Lucent Machine type communications in a radio network
RU2014110364A (ru) * 2011-08-19 2015-09-27 Ска Ипла Холдингз Инк Система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оборудование инфраструктуры, терминал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пользователя по восходящему каналу произвольного доступа
CN103139784B (zh) * 2011-12-02 2015-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收发转化时间的处理方法及装置
CN103188811B (zh) * 2011-12-31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子帧信息的方法、用户设备及基站
CN103796327A (zh) * 2012-10-29 2014-05-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子帧调度方法、系统及网络设备、终端
JPWO2015174060A1 (ja) * 2014-05-16 2017-04-20 日本電気株式会社 異種ネットワーク用基地局、移動通信デバイス及び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60812A1 (en) 1998-05-19 1999-11-25 Ericsson, Inc. Access request in a predetermined random access channel slot to convey additional information
WO2001074107A1 (en) 2000-03-28 2001-10-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se of time offsets to encode information in a random access channel
US20070230600A1 (en) 2006-03-27 2007-10-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andom access structure for wireless networks
EP2434828A1 (en) 2010-09-22 2012-03-28 Alcatel Lucent Machine type communications in a radio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85575A1 (en) 2014-07-03
CN103918341A (zh) 2014-07-09
US10299294B2 (en) 2019-05-21
CN103918341B (zh) 2017-10-13
EP2745604B1 (en) 2022-04-27
JP2014527365A (ja) 2014-10-09
EP2745605A1 (en) 2014-06-25
CN103891387B (zh) 2018-01-16
US20140192764A1 (en) 2014-07-10
US9629183B2 (en) 2017-04-18
BR112014003260A2 (pt) 2017-03-07
JP2014529235A (ja) 2014-10-30
CN103891387A (zh) 2014-06-25
WO2013027018A1 (en) 2013-02-28
JP6138125B2 (ja) 2017-05-31
KR20140083989A (ko) 2014-07-04
US9961700B2 (en) 2018-05-01
EP2745605B1 (en) 2021-09-29
EP2745604A1 (en) 2014-06-25
JP6100780B2 (ja) 2017-03-22
US20170181195A1 (en) 2017-06-22
US20170245308A1 (en) 2017-08-24
US10492228B2 (en) 2019-11-26
WO2013027016A1 (en) 2013-02-28
US9699812B2 (en) 2017-07-04
RU2014110364A (ru) 2015-09-27
US20180295652A1 (en)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505B1 (ko) 모바일 통신 시스템,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모바일 통신 단말기, 및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 내에서 유저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방법
KR101942596B1 (ko) 모바일 통신 시스템, 기반 설비, 및 자원 스케줄링을 위한 단축 식별자를 사용하는 방법
US8526986B2 (en) Optimized random access channel (RACH) access
EP2127442B1 (en) Methods and procedures to allocate UE dedicated signatures
US9936518B2 (en) Method for transport block transmission and blind reception
US20120033613A1 (en) Enhanced rach design for machine-type communications
KR20220034715A (ko)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972079A1 (en) Method and procedures for unsynchronized, synchronized and synchronization stand by communications in e-utra systems
US11979915B2 (en) Communications methods and infrastructure equipment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data transmission without a radio connection
GB2493920A (en) Transmitting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data on a random access channel (RACH)
GB2493919A (en) Transmitting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data on a random access channel (RACH)
WO2020064950A1 (en) Methods, terminal device and infrastructure equipment using transmission on a preconfigured uplink re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