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700B1 - 장난감 블록 세트 - Google Patents

장난감 블록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700B1
KR101950700B1 KR1020180080674A KR20180080674A KR101950700B1 KR 101950700 B1 KR101950700 B1 KR 101950700B1 KR 1020180080674 A KR1020180080674 A KR 1020180080674A KR 20180080674 A KR20180080674 A KR 20180080674A KR 101950700 B1 KR101950700 B1 KR 101950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asic
connection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훈
김희애
Original Assignee
(주)생각하는 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생각하는 아이 filed Critical (주)생각하는 아이
Priority to KR1020180080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700B1/ko
Priority to PCT/KR2018/014962 priority patent/WO202001339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A63H33/08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rotation, e.g. of bayon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장난감 블록 세트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는, 기본 블록을 포함하는 장난감 블록 세트로서, 기본 블록은, 기본 블록의 중앙부에 기본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본 블록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관통홀, 기본 블록의 외주면에 기본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단면이 원 형태로 이루어지며, 단부에 외측으로 개방되고 제1 폭을 갖는 개구가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제1 기본 연결홈, 및 기본 블록의 외주면에 제1 기본 연결홈과 이격되어 기본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단면이 원 형태로 이루어지며, 단부에 외측으로 개방되고 제1 폭보다 큰 제2 폭을 갖는 개구가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기본 연결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장난감 블록 세트{TOY BLOCK SE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난감 블록 기술과 관련된다.
현재, 여러 개의 조립 블록을 서로 연결하는 형태의 장난감 조립 세트에 대한 실시예들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장난감 조립 세트는 어린이들에게는 각 조립 블록을 연결하고 해제하기가 어렵고, 조립 블록들의 연결은 고정된 어느 한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연성이 부족하다. 그로 인해, 조립된 장난감은 고정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게 되는 바, 어린이들의 창작력을 고취시키기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장난감 조립 세트(선행기술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9190호)는 상호 간의 결합력이 약하여 어린이가 실제 타고 놀 수 있는 장난감을 조립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실제 어린이가 타고 놀 수 있는 장난감 블록 세트의 경우, 종래(선행기술 2,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11328호)에는 각 블록들 간 결합이 너무 꽉 끼도록 조립되어 어린이들이 각 블록을 서로 결합시키거나 결합을 해제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그렇다고 각 블록들 간의 결합이 쉽도록 하면, 블록들 간의 결합력 자체가 약하고 블록들 간의 결합이 의도치 않게 해제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즉, 선행기술 2에는 메인 원통형 블록의 중심부에 정사각 관통공이 형성되고, 정사각 관통공에 서브 정사각 돌기 단부 블록이 결합되도록 하였는데, 이때 서브 정사각 돌기 단부 블록과 정사각 관통공의 크기를 단순히 대응하게 형성하면, 각 블록들 간 결합이 너무 꽉 끼도록 조립되어 어린이들이 각 블록을 서로 결합시키거나 결합을 해제하기가 어렵게 된다.
마찬가지로, 선행기술 2에는 메인 원통형 블록의 외주면에 원형 관통공이 형성되고, 원형 관통공에 서브 원형 바 블록이 결합되도록 하였는데, 원형 바 블록이 원형 관통공에 너무 꽉 끼도록 조립되거나 너무 헐겁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선행기술 2에는 메인 원통형 블록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원형 관통공의 외측으로 개방된 크기가 일정하여, 원형 관통공에 결합되는 블록의 유연성(회전 범위)이 일정하게 제한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9190호(2014.01.22)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11328호(2010.11.22)
개시되는 실시예는 블록 간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어린이의 창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난감 블록 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실시예는 블록 간 결합력이 우수하여 어린이가 실제 타거나 실제 사용할 수 있는 대형 구조물을 만들도록 하면서 조립성을 향상시킨 장난감 블록 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실시예는 블록 간 조립 시 여러 범위의 유연성을 갖도록 하여 조립된 장난감으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난감 블록 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는, 기본 블록을 포함하는 장난감 블록 세트로서, 상기 기본 블록은, 상기 기본 블록의 중앙부에 상기 기본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기본 블록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관통홀; 상기 기본 블록의 외주면에 상기 기본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단면이 원 형태로 이루어지며, 단부에 외측으로 개방되고 제1 폭을 갖는 개구가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제1 기본 연결홈; 및 상기 기본 블록의 외주면에 상기 제1 기본 연결홈과 이격되어 상기 기본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단면이 원 형태로 이루어지며, 단부에 외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1 폭보다 큰 제2 폭을 갖는 개구가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기본 연결홈을 포함한다.
상기 기본 블록은, 상기 관통홀의 양 입구에서 상기 관통홀의 내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구간을 포함하는 경사부; 및 상기 관통홀의 양 입구에 마련된 경사부들 사이에서 상기 관통홀의 내부 측으로 미세 굴곡되어 마련되는 미세 볼록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난감 블록 세트는, 상기 기본 블록의 관통홀로 삽입되는 연결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연결 블록의 표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미세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블록이 상기 관통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미세 돌출부가 상기 미세 볼록 구간에 끼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장난감 블록 세트는, 2개 이상의 상기 기본 블록과 연결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결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블록은,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 측면에서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기본 블록의 관통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연결부; 상기 바디부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축과 수직한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기본 블록의 관통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 모서리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기본 블록 및 상기 제2 기본 블록의 단부가 각각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바디부의 제3 측면에서 상기 제1축 방향의 상기 제1 연결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3 기본 블록의 관통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바디부의 다른 모서리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3 연결 블록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2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바디부의 제4 측면에서 상기 제2축 방향의 상기 제2 연결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4 기본 블록의 관통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4 연결부; 및 상기 바디부의 또 다른 모서리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4 연결 블록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3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바디부의 제5 측면 및 제6 측면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제1축 및 상기 제2축과 각각 수직한 제3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제5 기본 블록의 관통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제5 연결부; 및 상기 연결 블록의 상기 바디부의 제5 측면 및 상기 제6 측면 중 하나 이상과 동일 평면 상에서 상기 제5 연결부와 평행하게 돌출되고, 상기 제5 기본 블록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4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블록의 몸통부의 높이는, 상기 관통홀의 양 입구의 높이보다 작게 마련되고, 상기 미세 볼록 구간의 최저 높이는, 상기 관통홀 내에서 상기 경사부가 끝나는 지점의 높이 보다 작게 마련되며, 상기 연결 블록의 상기 미세 돌출부가 형성된 부분의 높이는 상기 미세 볼록 구간의 최저 높이와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장난감 블록 세트는, 상기 제1 기본 연결홈 또는 상기 제2 기본 연결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블록은,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나 이상의 변에 상기 플레이트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제1 기본 연결홈 또는 상기 제2 기본 연결홈에 삽입되는 결합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의 두께는, 상기 제1 기본 연결홈의 상기 제1 폭을 갖는 개구 보다 작은 크기의 두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블록은, 상기 결합 연결 부재의 양단에서 상기 결합 연결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가 절개되어 마련되고, 상기 결합 연결 부재가 상기 제1 기본 연결홈 또는 상기 제2 기본 연결홈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결합 연결 부재의 양단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절개부; 및 상기 결합 연결 부재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 연결 부재가 상기 제1 기본 연결홈 또는 상기 제2 기본 연결홈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본 연결홈 또는 상기 제2 기본 연결홈의 내벽에 압박을 가하는 하나 이상의 미세 압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난감 블록 세트는, 상기 결합 블록과 하나 이상의 다른 결합 블록을 상호 연결시키는 결합 블록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블록 연결부는, 상기 결합 블록과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결합 블록 사이에서 상기 결합 블록과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결합 블록을 연결시키며, 상기 결합 블록의 결합 연결 부재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 연결홈;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결합 블록의 결합 연결 부재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홈 및 상기 제2 연결홈은 각각, 단부에 외측으로 개방되고 소정 폭을 가지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홈 및 상기 제2 연결홈의 개구는, 상기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큰 크기의 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장난감 블록 세트는, 상기 제1 기본 연결홈 또는 상기 제2 기본 연결홈에 삽입되는 결합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연결 부재는, 상기 결합 연결 부재의 양단에서 상기 결합 연결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가 절개되어 마련되고, 상기 결합 연결 부재가 상기 제1 기본 연결홈 또는 상기 제2 기본 연결홈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결합 연결 부재의 양단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절개부; 및 상기 결합 연결 부재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 연결 부재가 상기 제1 기본 연결홈 또는 상기 제2 기본 연결홈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본 연결홈 또는 상기 제2 기본 연결홈의 내벽에 압박을 가하는 하나 이상의 미세 압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난감 블록 세트는, 상기 기본 블록의 관통홀로 삽입되어 상기 기본 블록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 블록;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기본 연결홈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기본 연결홈 중 어느 하나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블록;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기본 연결홈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기본 연결홈 중 다른 하나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결합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난감 블록 세트는, 일단부가 상기 기본 블록의 관통홀로 삽입되어 상기 기본 블록과 결합되는 바퀴 축부; 상기 바퀴 축부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홀 및 상기 제1 삽입홀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안착 홈을 포함하는 바퀴 블록; 및 상기 바퀴 축부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바퀴 축부를 상기 바퀴 블록에 고정시키는 바퀴 축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난감 블록 세트는, 상기 바퀴 축부의 타단부에서 양 측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고정 돌기; 상기 바퀴 축 고정부에 마련되고, 상기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상기 바퀴 축부의 타단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2 삽입 홀; 및 상기 바퀴 축 고정부에서 상기 제2 삽입 홀의 둘레에 마련되고, 상기 바퀴 축부의 회전 시 상기 고정 돌기가 걸림되도록 마련되는 고정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기본 블록에 결합 블록을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고, 결합 블록이 기본 블록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회전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어린이들이 창작 능력을 발휘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블록들 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각 블록들이 결합된 후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결합이 쉽게 해제되지 않도록 하고 외력이 작용하면 블록 간 결합이 쉽게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사용함에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록 간 결합력을 높여 실제 어린이가 타고 놀거나 실제 사용이 가능한 대형 구조물을 조립할 수 있으며, 블록들의 조립 시 여러 범위의 유연성을 갖도록 하여 조립된 장난감으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린이들의 창작 능력을 고취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의 기본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의 제1 결합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제1 결합 블록이 기본 연결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의 제2 결합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제1 연결 블록을 통해 기본 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연결 블록이 기본 블록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본 블록의 관통홀의 폭 방향의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제2 연결 블록을 통해 기본 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제3 연결 블록을 통해 기본 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제4 연결 블록을 통해 기본 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3축의 각 방향에서 기본 블록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 블록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본 블록들을 상호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제1 결합 블록이 상호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제1 결합 블록들이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유연하게 움직이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서 결합 블록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기본 블록에 바퀴 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기본 블록에 바퀴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3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장남감 블록 세트로 조립한 구조물들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의 기본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본 블록(110)은 소정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 기둥 등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기본 블록(110)의 중앙에는 기본 블록(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홀(111)이 마련될 수 있다. 관통홀(111)은 기본 블록(110)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1)은 사각형 형태(예를 들어, 정사각형 등)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기본 블록(110)은 길이 및 크기에 따라 여러 종류가 마련될 수 있다.
기본 블록(110)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기본 연결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기본 연결홈(113)은 기본 블록(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기본 연결홈(113)은 기본 블록(110)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마련될 수 있다. 기본 연결홈(113)은 제1 기본 연결홈(113-1) 및 제2 기본 연결홈(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본 연결홈(113-1)은 제1-1 기본 연결홈(113-1a) 및 제1-2 기본 연결홈(113-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기본 연결홈(113-1a)은 기본 블록(110)의 외주면에 기본 블록(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2 기본 연결홈(113-1b)은 기본 블록(110)의 외주면에서 제1-1 기본 연결홈(113-1a)의 반대 방향(즉, 180도 방향)에 기본 블록(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1 기본 연결홈(113-1a)과 제1-2 기본 연결홈(113-1b)은 상호 마주보며 마련될 수 있다.
제1-1 기본 연결홈(113-1a)과 제1-2 기본 연결홈(113-1b)은 그 단면이 소정 직경을 가지는 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1 기본 연결홈(113-1a)과 제1-2 기본 연결홈(113-1b)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개방되고 제1 폭(W1)을 갖는 개구(OP1)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기본 연결홈(113-2)은 제2-1 기본 연결홈(113-2a) 및 제2-2 기본 연결홈(113-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기본 연결홈(113-2a)는 기본 블록(110)의 외주면에서 제1-1 기본 연결홈(113-1a)과 수직한 방향(즉, 90도 방향)에 기본 블록(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2 기본 연결홈(113-2b)는 기본 블록(110)의 외주면에서 제2-1 기본 연결홈(113-2a)의 반대 방향(즉, 180도 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1 기본 연결홈(113-2a)과 제1-2 기본 연결홈(113-2b)은 상호 마주보며 마련될 수 있다.
제2-1 기본 연결홈(113-2a)과 제2-2 기본 연결홈(113-2b)은 그 단면이 제1-1 기본 연결홈(113-1a)과 제1-2 기본 연결홈(113-1b)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1 기본 연결홈(113-2a)과 제2-2 기본 연결홈(113-2b)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개방되고 제2 폭(W2)을 갖는 개구(OP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폭은 제1 폭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결합 블록(120, 130) 등이 제1 기본 연결홈(113-1)에 연결되는 경우 보다 제2 기본 연결홈(113-2)에 연결되는 경우가 보다 큰 회전 반경을 가지게 된다.
제1-1 기본 연결홈(113-1a), 제1-2 기본 연결홈(113-1b), 제2-1 기본 연결홈(113-2a), 및 제2-2 기본 연결홈(113-2b)은 기본 블록(110)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즉, 90도)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기본 블록(110)에 여러 결합 블록들을 다양한 방향(동서남북 방향)에서 각각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본 연결홈은 기본 블록(110)의 외주면에서 60도 간격 또는 120도 간격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의 제1 결합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결합 블록(120)은 기본 블록(110)의 기본 연결홈(1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 블록(120)은 제1 플레이트(121) 및 결합 연결 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1)는 사각형 형태의 평면 플레이트일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제1 결합 블록(120)은 제1 플레이트(121)의 형태(예를 들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등) 및 크기에 따라 여러 종류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1)의 두께는 제1 기본 연결홈(113-1)의 개구(OP1)보다 작은 크기의 두께로 마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결합 블록(120)이 제1 기본 연결홈(113-1) 또는 제2 기본 연결홈(113-2)에 결합되었을 때, 제1 기본 연결홈(113-1) 또는 제2 기본 연결홈(113-2) 내에서 축 회전이 가능하여 유연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결합 연결 부재(123)는 제1 플레이트(121)의 하나 이상의 변에 제1 플레이트(121)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121)가 사각형 형태인 경우, 결합 연결 부재(123)는 제1 플레이트(121)의 4개의 변에 해당 변을 따라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결합 연결 부재(123)는 기본 블록(110)의 기본 연결홈(113)에 삽입되어 기본 블록(110)과 결합될 수 있다. 결합 연결 부재(123)는 기본 연결홈(113)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슬라이드 되어 기본 연결홈(113)으로 삽입될 수 있다.
결합 연결 부재(123)는 기본 연결홈(11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 연결 부재(123)의 양단에는 탄성 절개부(125)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탄성 절개부(125)는 결합 연결 부재(123)의 양단에서 각각 결합 연결 부재(1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가 절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절개부(125)는 결합 연결 부재(123)의 양단의 일부를 평면 플레이트(121)와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하여 마련될 수 있으나, 절개되는 방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 연결 부재(123)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미세 압박 돌기(127)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 압박 돌기(127)는 결합 연결 부재(123)의 양단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즉, 미세 압박 돌기(127)는 탄성 절개부(125)가 형성된 결합 연결 부재(123)의 양단에서 결합 연결 부재(123)의 외주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미세 압박 돌기(127)의 형성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 연결 부재(123)의 양단에 탄성 절개부(125)를 마련함으로써, 결합 연결 부재(123)가 기본 연결홈(113)으로 삽입될 때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고, 결합 연결 부재(123)를 기본 연결홈(113)에서 보다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결합 연결 부재(123)의 외주면에 미세 압박 돌기(127)를 마련함으로써, 결합 연결 부재(123)가 기본 연결홈(113)에 삽입된 경우, 미세 압박 돌기(127)가 기본 연결홈(113)의 내벽에 밀착되어 결합 연결 부재(123)가 기본 연결홈(113) 내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결합 연결 부재(123)에 마련되는 탄성 절개부(125) 및 미세 압박 돌기(127)를 통해, 제1 결합 블록(120)을 기본 블록(110)에 결합시키는 것이 쉬워질 뿐 아니라, 제1 결합 블록(120)과 기본 블록(110)이 결합되면 제1 결합 블록(120)과 기본 블록(110) 간의 결합력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결합 해제를 위해 외력을 가하면, 제1 결합 블록(120)과 기본 블록(11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기본 블록(110)에서 기본 연결홈(113)의 단면을 원 형태로 마련하고, 제1 결합 블록(120)에서 제1 플레이트(121)의 두께를 제1 기본 연결홈(113-1)의 개구(OP1)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제1 결합 블록(120)이 기본 연결홈(113)에 결합되는 경우, 제1 결합 블록(120)이 어느 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본 연결홈(113)을 축으로 일정 정도 회전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제1 결합 블록이 기본 연결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제1 결합 블록(120)의 결합 연결 부재(123)가 제1 기본 연결홈(113-1)에 삽입되어 결합된 경우, 제1 결합 블록(120)의 제1 플레이트(121)의 두께가 제1 기본 연결홈(113-1)의 개구(OP1)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제1 결합 블록(120)은 제1 기본 연결홈(113-1) 내에서 제1 각도 범위(θ1)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제1 결합 블록(120)의 결합 연결 부재(123)가 제2 기본 연결홈(113-2)에 삽입되어 결합된 경우, 제2 기본 연결홈(113-2)은 제1 기본 연결홈(113-1)의 개구(OP1)보다 큰 개구(OP2)를 가지고 있는 바, 제2 결합 블록(120)은 제2 기본 연결홈(113-2) 내에서 제1 각도 범위(θ1) 보다 큰 제2 각도 범위(θ2)로 회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기본 블록(1100에 결합되는 제1 결합 블록(120) 등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장난감 블록 세트를 통해 조립되는 장난감들의 연결 구성 간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장난감을 여러 형태로 움직이도록 표현하여 어린이들의 창작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기본 연결홈(113-1)에 연결되는 제1 결합 블록(120)은 제1 각도 범위(θ1)로 회전 가능하고, 제2 기본 연결홈(113-2)에 연결되는 제1 결합 블록(120)은 제2 각도 범위(θ1)로 회전 가능함에 따라, 각 결합 블록에 서로 다른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어린이가 장난감 블록 세트를 통해 보다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의 제2 결합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결합 블록(130)은 기본 블록(110)의 기본 연결홈(1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 블록(130)은 제2 플레이트(131) 및 결합 연결 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31)는 적어도 일부 구간이 굴곡된 면을 가지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플레이트(131)는 소정 곡률을 가지며 마련될 수 있다.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제2 결합 블록(130)은 제2 플레이트(131)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여러 종류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31)의 두께는 제1 기본 연결홈(113-1)의 개구(OP1)보다 작은 크기의 두께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 연결 부재(133)는 제2 플레이트(131)의 하나 이상의 변에 제2 플레이트(131)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결합 연결 부재(133)는 제2 플레이트(131)의 양측 가장 자리를 따라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결합 연결 부재(133)는 기본 연결홈(113)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슬라이드 되어 기본 연결홈(113)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결합 연결 부재(133)에 마련되는 탄성 절개부(125) 및 미세 압박 돌기(127)를 통해, 제2 결합 블록(130)을 기본 블록(110)에 결합시키는 것이 쉬워질 뿐 아니라, 제2 결합 블록(130)과 기본 블록(110)이 결합되면 제2 결합 블록(130)과 기본 블록(110) 간의 결합력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결합 해제를 위해 외력을 가하면, 제2 결합 블록(130)과 기본 블록(11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결합 연결 부재(133)는 제1 결합 블록(120)의 결합 연결 부재(123)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제1 연결 블록을 통해 기본 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기본 블록(110-1)과 제2 기본 블록(110-2)은 제1 연결 블록(141)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 블록(141)은 제1 기본 블록(110-1)과 제2 기본 블록(110-2)을 일직선 형태로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 블록(141)은 기본 블록(110)의 관통홀(1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결 블록(121)은 기본 블록(110)과 대응되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연결 블록(121)은 관통홀(111)과 대응되는 형상의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결 블록(141)은 관통홀(111)의 양단 입구의 크기보다 미세하게 작은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 블록(141)의 일측은 제1 기본 블록(110-1)의 관통홀(111)에 삽입되고, 제1 연결 블록(141)의 타측은 제2 기본 블록(110-2)의 관통홀(111)에 삽입되어 제1 기본 블록(110-1)과 제2 기본 블록(110-2)을 일직선 형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 블록(141)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미세 돌출부(142)가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미세 돌출부(142)는 제1 연결 블록(141)의 제1 측면에서 제1 연결 블록(141)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미세 돌출부(142)는 제1 연결 블록(141)의 제1 측면과 반대되는 제2 측면에서 제1 연결 블록(141)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 결합 블록(120)의 제1 플레이트(121)에는 제1 연결 블록(141) 등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제1 연결 블록(141)과 대응하는 형태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121)의 중앙부에 제1 연결 블록(141)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플레이트(121)에서 관통홀이 형성되는 부분은 제1 플레이트(121)의 다른 부분의 두께 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121)에서 관통홀이 형성되는 부분은 제1 플레이트(121)의 일면 및 타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서 제1 플레이트(121)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제1 플레이트(121)의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연결 블록(141) 내지 제4 연결 블록(147) 등이 삽입될 때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연결 블록이 기본 블록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제1 연결 블록 및 기본 블록의 길이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본 블록의 관통홀의 폭 방향의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징의 설명을 위해 도면을 과장하여 표시 하였는 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기본 블록(110)의 관통홀(113)은 기본 블록(110)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기본 블록(11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3)은 관통홀(113) 내에서 높이가 상이한 하나 이상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관통홀(113) 내의 양 단부에는 경사부(113a)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13a)는 관통홀(113)의 양 입구에서 관통홀(113)의 내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경사부(113a)는 관통홀(113)의 양 입구에서 관통홀(113)의 내부로 갈수록 관통홀(113) 내 높이가 작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113)의 양 입구의 높이가 h1인 경우, 경사부(113a)가 끝나는 지점의 관통홀(113) 내의 높이는 h2가 될 수 있으며, h2는 h1 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113)의 양 입구에 경사부(113a)를 마련함으로써, 제1 연결 블록(141)을 관통홀(113)의 내부로 삽입하기가 용이해진다.
또한, 관통홀(113)은 관통홀(113)의 양 단부에 마련된 경사부(113a) 사이에서 미세 볼록 구간(113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관통홀(113) 내부는 평평하게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관통홀(113)의 내부 측으로 미세하게 굴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미세 볼록 구간(113b)의 최저 높이를 h3이라고 하는 경우, h3은 h2 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 블록(141)의 몸통부의 높이는 관통홀(113) 내 최저 높이(h3) 보다 작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 블록(141)의 몸통부의 높이가 h4인 경우, h4는 h3 보다 작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 블록(141)에서 미세 돌출부(142)가 형성된 부분의 높이(h5)는 관통홀(113) 내 최저 높이(h3)와 같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 블록(141)의 몸통부의 높이(h4)는 관통홀(113)의 양 입구의 높이(h1) 보다 작게 마련되고, 관통홀(113)의 양 입구에 경사부(113a)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어린이)가 제1 연결 블록(141)을 관통홀(113)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관통홀(113) 내부에 미세 볼록 구간(113b)이 형성되고, 제1 연결 블록(141)의 미세 돌출부(142)가 형성된 부분의 높이(h5)가 관통홀(113) 내 미세 볼록 구간(113b)의 최저 높이(h3)와 같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 연결 블록(141)이 미세 돌출부(142)와 미세 볼록 구간(113b) 간의 마찰로 인해 별도의 외력이 없으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기본 블록(110)의 관통홀(111)의 양 입구에 경사부(113a)를 형성하고, 관통홀(111)의 내부에 미세 볼록 구간(113b)을 마련하며, 제1 연결 블록(141)의 몸통부를 관통홀(113) 내 최저 높이 보다 작게 하고, 제1 연결 블록(141)에 미세 돌출부(142)를 형성함으로써, 제1 연결 블록(141)이 기본 블록(110)의 관통홀(111)로 삽입될 때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면서, 제1 연결 블록(141)이 관통홀(111) 내부에서 끼임되어 제1 연결 블록(141)과 기본 블록(110) 간의 결합력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결합 해제를 위해 외력을 가하면, 제1 연결 블록(141)과 기본 블록(11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제2 연결 블록을 통해 기본 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연결 블록(143)은 바디부(143a), 제1 연결부(143b), 제2 연결부(143c), 및 안착부(143d)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143b)와 제2 연결부(143c)는 각각 바디부(143a)의 서로 다른 측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연결 블록(143)은 2개의 기본 블록(110)을 서로 수직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연결부(143b) 및 제2 연결부(143c)의 단면적은 제1 연결 블록(141)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부(143d)는 바디부(143a)의 일 모서리에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143d)는 제1 안착부(143d-1) 및 제2 안착부(143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착부(143d-1)와 제2 안착부(143d-2)는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43d-1)는 제1 연결부(143b)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안착부(143d-2)는 제2 연결부(143c)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43d-1)는 제1 연결부(143b)에 제1 기본 블록(110-1)이 삽입되는 경우, 제1 기본 블록(110-1)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안착부(143d-2)는 제2 연결부(143c)에 제2 기본 블록(110-2)이 삽입되는 경우, 제2 기본 블록(110-2)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 블록(143)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미세 돌출부(142)가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미세 돌출부(142)는 제1 연결부(143b) 및 제2 연결부(143c)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 블록(143)은 제3 연결부(143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연결부(143e)는 제1 연결부(143b)와 제2 연결부(143c)와 각각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143b)가 바디부(143a)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연결부(143c)가 바디부(143a)에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3 연결부(143e)가 바디부(143a)에서 z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143d)는 제3 안착부(143d-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안착부(143d-3)는 제1 연결부(143b)의 일면(또는 제2 연결부(143c)의 일면)에서 제3 연결부(143e)와 평행하게 돌출될 수 있다. 제3 안착부(143d-3)는 제1 안착부(143d-1) 및 제2 안착부(143d-2)와 각각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안착부(143d-3)는 제3 연결부(143e)에 삽입되는 제3 기본 블록(미도시)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제3 연결 블록을 통해 기본 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연결 블록(145)은 바디부(145a), 제1 연결부(145b), 제2 연결부(145c), 제3 연결부(145d), 및 안착부(145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145b), 제2 연결부(145c), 및 제3 연결부(145d)는 각각 바디부(145a)의 서로 다른 측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연결부(145d)는 제1 연결부(145b)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연결 블록(145)은 3개의 기본 블록(110)을 서로 수직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연결부(145b), 제2 연결부(145c), 및 제3 연결부(145d)의 단면적은 제1 연결 블록(141)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부(145e)는 바디부(145a)의 양 모서리에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145e)는 제1 안착부(145e-1), 제2 안착부(145e-2), 및 제3 안착부(145e-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안착부(145e-2)는 제1 안착부(145e-1) 및 제3 안착부(145e-3)와 각각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45e-1) 및 제3 안착부(145e-3)는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45e-1)는 제1 연결부(145b)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45e-1)는 제1 연결부(145b)에 제1 기본 블록(110-1)이 삽입되는 경우, 제1 기본 블록(110-1)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안착부(145e-2)는 제2 연결부(145c)의 일단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각각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안착부(145e-2)는 제2 연결부(145c)에 제2 기본 블록(110-2)이 삽입되는 경우, 제2 기본 블록(110-2)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안착부(145e-3)는 제3 연결부(145d)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3 안착부(145e-3)는 제3 연결부(145d)에 제3 기본 블록(110-3)이 삽입되는 경우, 제3 기본 블록(110-3)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3 연결 블록(145)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미세 돌출부(142)가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미세 돌출부(142)는 제1 연결부(145b), 제2 연결부(145c), 및 제3 연결부(145d)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연결 블록(145)은 제4 연결부(145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연결부(145f)는 제1 연결부(145b), 제2 연결부(145c), 및 제3 연결부(145d)와 각각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145b)가 바디부(145a)에서 y축의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연결부(145c)가 바디부(145a)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3 연결부(145d)가 바디부(145a)에서 y축의 제2 방향(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4 연결부(145f)가 바디부(145a)에서 z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145e)는 제4 안착부(145e-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안착부(145e-4)는 제2 연결부(145c)의 일면(또는 제1 연결부(145b)의 일면 또는 제3 연결부(145d)의 일면)에서 제4 연결부(145f)와 평행하게 돌출될 수 있다. 제4 안착부(145e-4)는 제1 안착부(145e-1), 제2 안착부(145e-2), 및 제3 안착부(145e-3)와 각각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4 안착부(145e-4)는 제4 연결부(145f)에 삽입되는 제4 기본 블록(미도시)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제4 연결 블록을 통해 기본 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4 연결 블록(147)은 바디부(147a), 제1 연결부(147b), 제2 연결부(147c), 제3 연결부(147d), 제4 연결부(147e), 및 안착부(147f)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147b), 제2 연결부(147c), 제3 연결부(147d), 및 제4 연결부(147e)는 각각 바디부(147a)의 서로 다른 측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연결부(147d)는 제1 연결부(147b)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4 연결부(147e)는 제2 연결부(147c)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4 연결 블록(147)은 4개의 기본 블록(110)을 서로 수직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연결부(147b), 제2 연결부(147c), 제3 연결부(147d), 및 제4 연결부(147e)의 단면적은 제1 연결 블록(141)과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부(147f)는 바디부(147a)의 각 모서리에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147f)는 제1 안착부(147f-1), 제2 안착부(147f-2), 제3 안착부(147f-3), 및 제4 안착부(147f-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착부(147f-1)는 제2 안착부(147f-2) 및 제4 안착부(147f-4)와 각각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47f-1)는 제3 안착부(147f-3)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안착부(147f-2)는 제1 안착부(147f-1) 및 제3 안착부(147f-3)와 각각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안착부(147f-2)는 제4 안착부(147f-4)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47f-1)는 제1 연결부(147b)의 일단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각각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47f-1)는 제1 연결부(147b)에 제1 기본 블록(110-1)이 삽입되는 경우, 제1 기본 블록(110-1)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안착부(147f-2)는 제2 연결부(147c)의 일단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각각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안착부(147f-2)는 제2 연결부(147c)에 제2 기본 블록(110-2)이 삽입되는 경우, 제2 기본 블록(110-2)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안착부(147f-3)는 제3 연결부(147d)의 일단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각각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3 안착부(147f-3)는 제3 연결부(147d)에 제3 기본 블록(110-3)이 삽입되는 경우, 제3 기본 블록(110-3)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4 안착부(147f-4)는 제4 연결부(147e)의 일단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각각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4 안착부(147f-4)는 제4 연결부(147e)에 제4 기본 블록(110-4)이 삽입되는 경우, 제4 기본 블록(110-4)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4 연결 블록(147)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미세 돌출부(142)가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미세 돌출부(142)는 제1 연결부(147b), 제2 연결부(147c), 제3 연결부(147d), 및 제4 연결부(147e)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연결 블록(147)은 제5 연결부(147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5 연결부(147g)는 제1 연결부(147b), 제2 연결부(147c), 제3 연결부(147d), 및 제4 연결부(147e)와 각각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147b)가 바디부(147a)에서 x축의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연결부(147c)가 바디부(147a)에서 y축의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3 연결부(147d)가 바디부(147a)에서 x축의 제2 방향(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4 연결부(147e)가 바디부(147a)에서 y축 의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5 연결부(147g)가 바디부(147a)에서 z축 방향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부(147f)는 제5 안착부(147f-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안착부(147f-5)는 제1 연결부(147b) 및 제3 연결부(147d)의 일면(또는 제2 연결부(147c) 및 제4 연결부(147e)의 일면)에서 제5 연결부(147g)와 평행하게 돌출될 수 있다. 제5 안착부(147f-5)는 제1 안착부(147f-1) 내지 제4 안착부(147f-4)와 각각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5 안착부(147f-5)는 제5 연결부(147g)에 삽입되는 제5 기본 블록(미도시)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4 연결 블록(147)은 제6 연결부(147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6 연결부(147h)는 z축 방향에서 제5 연결부(147g)와 반대 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6 연결부(147h)에도 제6 연결부(147h)에 삽입되는 제6 기본 블록(미도시)의 단부가 안착되는 제6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x축, y축, 및 z축의 어느 방향에서도 기본 블록들을 연결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형태의 장난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본 블록들을 상호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기본 블록(110-1)과 제2 기본 블록(110-2)은 독립적으로 마련된 결합 연결 부재(153)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결합 연결 부재(153)는 제1 기본 블록(110-1)과 제2 기본 블록(110-2)을 일직선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결합 연결 부재(153)의 일측은 제1 기본 블록(110-1)의 어느 하나의 기본 연결홈(113)에 삽입되고, 결합 연결 부재(153)의 타측은 제2 기본 블록(110-2)의 어느 하나의 기본 연결홈(113)에 삽입되어 제1 기본 블록(110-1)과 제2 기본 블록(110-2)을 일직선 형태로 연결시킬 수 있다.
결합 연결 부재(153)는 기본 연결홈(11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 연결 부재(153)의 양단에는 탄성 절개부(155)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탄성 절개부(155)는 결합 연결 부재(153)의 양단에서 각각 결합 연결 부재(1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가 절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결합 연결 부재(153)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미세 압박 돌기(157)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 압박 돌기(157)는 결합 연결 부재(153)의 양단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즉, 미세 압박 돌기(157)는 탄성 절개부(155)가 형성된 결합 연결 부재(153)의 양단에서 결합 연결 부재(153)의 외주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결합 연결 부재(153)를 도시하였으나, 2개 이상의 결합 연결 부재(153)를 통해 제1 기본 블록(110-1)과 제2 기본 블록(110-2)을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기본 블록(110-1)과 제2 기본 블록(110-2)을 제1 연결 블록(141) 및 하나 이상의 결합 연결 부재(153)를 함께 사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결합 연결 부재(153)는 길이 및 직경에 따라 여러 종류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제1 결합 블록이 상호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제1 결합 블록들이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유연하게 움직이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2개의 제1 결합 블록(120-1, 120-2)은 결합 블록 연결부(161)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결합 블록 연결부(161)는 한 쌍의 연결홈(161-1, 161-2)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블록 연결부(161)는 제1-1 결합 블록(120-1) 및 제1-2 결합 블록(120-2) 사이에서 제1-1 결합 블록(120-1) 및 제1-2 결합 블록(120-2)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블록 연결부(161)의 제1 연결홈(161-1)은 제1-1 결합 블록(120-1)의 결합 연결 부재(123)가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블록 연결부(161)의 제2 연결홈(161-2)은 제1-2 결합 블록(120-1)의 결합 연결 부재(123)가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홈(161-1)과 제2 연결홈(161-2)은 좌우 대칭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홈(161-1) 및 제2 연결홈(161-2)은 결합 연결 부재(12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연결홈(161-1) 및 제2 연결홈(161-2)의 단부에는 각각 소정 폭을 갖는 개구(OP3)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홈(161-1) 및 제2 연결홈(161-2)의 개구(OP3)는 결합 블록 연결부(1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홈(161-1) 및 제2 연결홈(161-2)의 개구(OP3)는 제1 결합 블록(120)의 제1 플레이트(121)의 두께보다 큰 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1 결합 블록(120-1)의 결합 연결 부재(123)는 제1 연결홈(161-1)의 일단부로 삽입되어 제1 연결홈(161-1)을 따라 슬라이드 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2 결합 블록(120-2)의 결합 연결 부재(123)는 제2 연결홈9161-2)의 일단부로 삽입되어 제2 연결홈(161-2)을 따라 슬라이드 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홈(161-1) 및 제2 연결홈(161-2)의 개구(OP3)는 제1 결합 블록(120)의 제1 플레이트(121)의 두께보다 큰 폭으로 마련됨에 따라, 제1-1 결합 블록(120-1) 및 제1-2 결합 블록(120-2)은 결합 블록 연결부(161)에 연결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 범위에서 회전 가능한 유연성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는, 결합 블록 연결부(161)가 2개의 제1 결합 블록(120-1, 120-2)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 블록 연결부(161)는 2개의 제2 결합 블록(130)을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결합 블록 연결부(161)는 제1 결합 블록(120)과 제2 결합 블록(130)을 서로 연결할 수도 있으며,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장난감 블록 세트의 구성들을 연결할 수 있다.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결합 블록 연결부(161)는 길이 및 크기에 따라 여러 종류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블록 연결부(161)는 제1 연결홈(161-1) 내지 제3 연결홈(16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홈(161-1), 제2 연결홈(161-2) 및 제3 연결홈(161-3)은 각각 120도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홈(161-1), 제2 연결홈(161-2) 및 제3 연결홈(161-3)에는 각각 서로 다른 결합 블록(120-1, 120-2, 120-3)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 블록 연결부(161)는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의 연결홈을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블록 연결부(161)는 제1 연결홈(161-1) 내지 제4 연결홈(16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홈(161-1) 내지 제4 연결홈(161-4)은 각각 90도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기본 블록에 바퀴 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기본 블록에 바퀴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기본 블록의 일측에 바퀴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도 21 및 도 22을 참조하면, 바퀴 부재(170)는 바퀴 블록(171), 바퀴 축부(173), 및 바퀴 축 고정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바퀴 부재(170)는 기본 블록(1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바퀴 블록(171)은 원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퀴 블록(171)의 중심에는 바퀴 축부(173)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 홀(171a)이 마련될 수 있다. 바퀴 블록(171)의 양 측면에는 안착 홈(171b)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 홈(171b)은 제1 삽입 홀(171a)의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바퀴 축부(173)는 제1 바퀴 축부(173-1) 및 제2 바퀴 축부(17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퀴 축부(173-1)는 기본 블록(11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바퀴 축부(173-1)는 기본 블록(110)의 관통홀(111)에 삽입되어 기본 블록(11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바퀴 축부(173-1)의 단면적은 제1 연결 블록(141)과 대응되는 크기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바퀴 축부(173-2)는 제1 바퀴 축부(173-1)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바퀴 축부(173-2)는 바퀴 블록(171)의 제1 삽입 홀(171a)로 삽입되어 바퀴 블록(171)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퀴 축부(173-2)가 제1 삽입 홀(171a)로 삽입되는 경우, 제1 바퀴 축부(173-1)의 단부는 바퀴 블록(171)의 일측면(기본 블록(110)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안착 홈(171b)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바퀴 축부(173-2)의 단부의 양 측에는 고정 돌기(173-2a)가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바퀴 축부(173-2)가 제1 삽입 홀(171a)로 삽입된 경우, 제2 바퀴 축부(173-2)의 단부는 바퀴 블록(171)의 타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바퀴 축 고정부(175)는 바퀴 블록(171)의 타측면에서 제2 바퀴 축부(173-2)의 단부와 결합되어 바퀴 축부(173)를 고정시킬 수 있다. 바퀴 축 고정부(175)의 일측면은 바퀴 블록(171)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안착 홈(171b)에 안착될 수 있다. 바퀴 축 고정부(175)에는 제2 바퀴 축부(173-2)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 홀(175a)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삽입 홀(175a)은 양측에 고정 돌기(173-2a)가 형성되는 제2 바퀴 축부(173-2)의 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바퀴 축부(173-2)의 단부는 제2 삽입 홀(175a)에 삽입되는 경우, 바퀴 축 고정부(175)의 타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바퀴 축 고정부(175)의 타측면에는 고정 홈(175b)이 형성될 수 있다. 바퀴 축부(173)가 회전되는 경우, 제2 바퀴 축부(173-2)의 단부는 고정 홈(175b) 내에서 회전하게 되며, 고정 돌기(173-2a)가 고정 홈(175b)에 걸림되어 바퀴 축부(173)가 빠지지 않게 된다. 즉, 제2 바퀴 축부(173-2)의 단부가 회전하는 경우, 고정 돌기(173-2a)의 위치가 제2 삽입 홀(175a)을 벗어나게 되며, 이 경우, 고정 돌기(173-2a)가 고정 홈(175b) 상에 안착되어 바퀴 축부(173)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개시되는 실시예에서, 장난감 블록 세트는 바퀴 부재(170)를 구비함으로써, 이동 가능한 형태의 장난감을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 블록 들 상호 간의 견고한 결합으로 인해 어린이가 실제 타고 이동할 수 있는 대형 장난감도 만들 수 있게 된다.
도 23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장남감 블록 세트로 조립한 구조물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난감 블록 세트로 어린이가 실제 타고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수단(킥 보드 형태)을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난감 블록 세트로 사람이 실제 앉을 수 있는 의자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난감 블록 세트로 실제 사용이 가능한 보관함을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시되는 실시예에서는, 장난감 블록 세트에서 각 구성 요소 간 견고한 결합력으로 인해, 사용자가 실제 타고 달릴 수 있는 킥 보드부터 실생활에 사용이 가능한 의자 또는 보관함 등 대형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들의 창작 능력을 고취시킬 수 있을 분만 아니라 다양한 조형 활동이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도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난감 블록 세트는 유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동물이나 곤충 등을 조립할 때 그 움직임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난감 블록 세트로 사용자(어린이 포함)가 실제 앉고 사용할 수 있는 의자 및 식탁과 같은 대형 구조물을 조립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기본 블록
111 : 관통홀
113 : 기본 연결홈
113a : 경사부
113b : 미세 볼록 구간
113-1 : 제1 기본 연결홈
113-1a : 제1-1 기본 연결홈
113-1b : 제1-2 기본 연결홈
113-2 : 제2 기본 연결홈
113-2a : 제2-1 기본 연결홈
113-2b : 제2-2 기본 연결홈
120 : 제1 결합 블록
121 : 평면 플레이트
123 : 결합 연결 부재
125 : 탄성 절개부
127 : 미세 압박 돌기
130 : 제2 결합 블록
131 : 곡면 플레이트
133 : 결합 연결 부재
141 : 제1 연결 블록
141 a : 바디부
141b : 제1 연결부
141c : 제2 연결부
142 : 미세 돌출부
143 : 제2 연결 블록
143a : 바디부
143b : 제1 연결부
143c : 제2 연결부
143d : 안착부
143e : 제3 연결부
143d-1 : 제1 안착부
143d-2 : 제2 안착부
143d-3 : 제3 안착부
145 : 제3 연결 블록
145a : 바디부
145b : 제1 연결부
145c : 제2 연결부
145d : 제3 연결부
145e : 안착부
145f : 제4 연결부
145e-1 : 제1 안착부
145e-2 : 제2 안착부
145e-3 : 제3 안착부
145e-4 : 제4 안착부
147 : 제4 연결 블록
147a : 바디부
147b : 제1 연결부
147c : 제2 연결부
147d : 제3 연결부
147e : 제4 연결부
147f : 안착부
147g : 제5 연결부
147f-1 : 제1 안착부
147f-2 : 제2 안착부
147f-3 : 제3 안착부
147f-4 : 제4 안착부
147f-5 : 제5 안착부
153 : 결합 연결 부재
155 : 탄성 절개부
157 : 미세 압박 돌기
161 : 결합 블록 연결부
161-1, 161-2 : 한 쌍의 연결홈
170 : 바퀴 부재
171 : 바퀴 블록
171a : 제1 삽입 홀
171b : 안착 홈
173 : 바퀴 축부
173-1 : 제1 바퀴 축부
173-2 : 제2 바퀴 축부
173-2a : 고정 돌기
175 : 바퀴 축 고정부
175a : 제2 삽입 홀
175b : 고정 홈

Claims (18)

  1. 기본 블록을 포함하는 장난감 블록 세트로서,
    상기 기본 블록은,
    상기 기본 블록의 중앙부에 상기 기본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기본 블록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관통홀;
    상기 기본 블록의 외주면에 상기 기본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단면이 원 형태로 이루어지며, 단부에 외측으로 개방되고 제1 폭을 갖는 개구가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제1 기본 연결홈;
    상기 기본 블록의 외주면에 상기 제1 기본 연결홈과 이격되어 상기 기본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단면이 상기 제1 기본 연결홈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 형태로 이루어지며, 단부에 외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제1 폭보다 큰 제2 폭을 갖는 개구가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기본 연결홈; 및
    상기 제1 기본 연결홈 및 상기 제2 기본 연결홈 중 하나 이상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결합되는 결합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본 연결홈은 상기 결합 블록의 결합 시 상기 제1 폭을 갖는 개구에 의해 제1 회전 각도 범위를 제공하고, 상기 제2 기본 연결홈은 상기 결합 블록의 결합 시 상기 제2 폭을 갖는 개구에 의해 상기 제1 회전 각도 범위 보다 넓은 제2 회전 각도 범위를 제공하는, 장난감 블록 세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본 블록은,
    상기 관통홀의 양 입구에서 상기 관통홀의 내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구간을 포함하는 경사부; 및
    상기 관통홀의 양 입구에 마련된 경사부들 사이에서 상기 관통홀의 내부 측으로 미세 굴곡되어 마련되는 미세 볼록 구간을 포함하는, 장난감 블록 세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난감 블록 세트는,
    상기 기본 블록의 관통홀로 삽입되는 연결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연결 블록의 표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미세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블록이 상기 관통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미세 돌출부가 상기 미세 볼록 구간에 끼임되도록 마련되는, 장난감 블록 세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난감 블록 세트는,
    2개 이상의 상기 기본 블록과 연결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결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블록은,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제1 측면에서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기본 블록의 관통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연결부;
    상기 바디부의 제2 측면에서 상기 제1축과 수직한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기본 블록의 관통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 모서리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기본 블록 및 상기 제2 기본 블록의 단부가 각각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1 안착부를 포함하는, 장난감 블록 세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바디부의 제3 측면에서 상기 제1축 방향의 상기 제1 연결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3 기본 블록의 관통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3 연결부; 및
    상기 바디부의 다른 모서리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3 기본 블록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2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장난감 블록 세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바디부의 제4 측면에서 상기 제2축 방향의 상기 제2 연결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4 기본 블록의 관통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4 연결부; 및
    상기 바디부의 또 다른 모서리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4 기본 블록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3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장난감 블록 세트.
  7.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바디부의 제5 측면 및 제6 측면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제1축 및 상기 제2축과 각각 수직한 제3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나 이상의 제5 기본 블록의 관통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제5 연결부; 및
    상기 연결 블록의 상기 바디부의 제5 측면 및 상기 제6 측면 중 하나 이상과 동일 평면 상에서 상기 제5 연결부와 평행하게 돌출되고, 상기 제5 기본 블록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4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장난감 블록 세트.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의 몸통부의 높이는, 상기 관통홀의 양 입구의 높이보다 작게 마련되고,
    상기 미세 볼록 구간의 최저 높이는, 상기 관통홀 내에서 상기 경사부가 끝나는 지점의 높이 보다 작게 마련되며,
    상기 연결 블록의 상기 미세 돌출부가 형성된 부분의 높이는 상기 미세 볼록 구간의 최저 높이와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장난감 블록 세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 블록은,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하나 이상의 변에 상기 플레이트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제1 기본 연결홈 또는 상기 제2 기본 연결홈에 삽입되는 결합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의 두께는, 상기 제1 기본 연결홈의 상기 제1 폭을 갖는 개구 보다 작은 크기의 두께로 마련되는, 장난감 블록 세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합 블록은,
    상기 결합 연결 부재의 양단에서 상기 결합 연결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가 절개되어 마련되고, 상기 결합 연결 부재가 상기 제1 기본 연결홈 또는 상기 제2 기본 연결홈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결합 연결 부재의 양단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절개부; 및
    상기 결합 연결 부재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 연결 부재가 상기 제1 기본 연결홈 또는 상기 제2 기본 연결홈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본 연결홈 또는 상기 제2 기본 연결홈의 내벽에 압박을 가하는 하나 이상의 미세 압박 돌기를 포함하는, 장난감 블록 세트.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장난감 블록 세트는,
    상기 결합 블록과 하나 이상의 다른 결합 블록을 상호 연결시키는 결합 블록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장난감 블록 세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결합 블록 연결부는,
    상기 결합 블록과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결합 블록 사이에서 상기 결합 블록과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결합 블록을 연결시키며,
    상기 결합 블록의 결합 연결 부재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1 연결홈;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결합 블록의 결합 연결 부재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결홈을 포함하는, 장난감 블록 세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홈 및 상기 제2 연결홈은 각각, 단부에 외측으로 개방되고 소정 폭을 가지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홈 및 상기 제2 연결홈의 개구는, 상기 플레이트의 두께보다 큰 크기의 폭으로 마련되는, 장난감 블록 세트.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난감 블록 세트는,
    상기 제1 기본 연결홈 또는 상기 제2 기본 연결홈에 삽입되는 결합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연결 부재는,
    상기 결합 연결 부재의 양단에서 상기 결합 연결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가 절개되어 마련되고, 상기 결합 연결 부재가 상기 제1 기본 연결홈 또는 상기 제2 기본 연결홈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결합 연결 부재의 양단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절개부; 및
    상기 결합 연결 부재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결합 연결 부재가 상기 제1 기본 연결홈 또는 상기 제2 기본 연결홈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본 연결홈 또는 상기 제2 기본 연결홈의 내벽에 압박을 가하는 하나 이상의 미세 압박 돌기를 포함하는, 장난감 블록 세트.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난감 블록 세트는,
    상기 기본 블록의 관통홀로 삽입되어 상기 기본 블록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 블록;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기본 연결홈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기본 연결홈 중 어느 하나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블록;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기본 연결홈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기본 연결홈 중 다른 하나에 슬라이드 삽입되는 결합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장난감 블록 세트.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난감 블록 세트는,
    일단부가 상기 기본 블록의 관통홀로 삽입되어 상기 기본 블록과 결합되는 바퀴 축부;
    상기 바퀴 축부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홀 및 상기 제1 삽입홀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안착 홈을 포함하는 바퀴 블록; 및
    상기 바퀴 축부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바퀴 축부를 상기 바퀴 블록에 고정시키는 바퀴 축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장난감 블록 세트.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장난감 블록 세트는,
    상기 바퀴 축부의 타단부에서 양 측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고정 돌기; 및
    상기 바퀴 축 고정부에 마련되고, 상기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상기 바퀴 축부의 타단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제2 삽입 홀; 및상기 바퀴 축 고정부에서 상기 제2 삽입 홀의 둘레에 마련되고, 상기 바퀴 축부의 회전 시 상기 고정 돌기가 걸림되도록 마련되는 고정 홈을 더 포함하는, 장난감 블록 세트.
  18. 기본 블록을 포함하는 장난감 블록 세트로서,
    상기 기본 블록은,
    상기 기본 블록의 중앙부에 상기 기본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기본 블록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관통홀;
    상기 기본 블록의 외주면에 상기 기본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단면이 원 형태로 이루어지며, 단부에 외측으로 개방되고 소정 폭을 갖는 개구가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기본 연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장난감 블록 세트는,
    2개 이상의 상기 기본 블록과 연결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결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블록은,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제1 측면에서 제1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기본 블록의 관통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연결부;
    상기 바디부의 제2 측면에서 상기 제1축과 수직한 제2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기본 블록의 관통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 모서리에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 기본 블록 및 상기 제2 기본 블록의 단부가 각각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제1 안착부를 포함하는, 장난감 블록 세트.
KR1020180080674A 2018-07-11 2018-07-11 장난감 블록 세트 KR101950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674A KR101950700B1 (ko) 2018-07-11 2018-07-11 장난감 블록 세트
PCT/KR2018/014962 WO2020013398A1 (ko) 2018-07-11 2018-11-29 장난감 블록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674A KR101950700B1 (ko) 2018-07-11 2018-07-11 장난감 블록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700B1 true KR101950700B1 (ko) 2019-02-21

Family

ID=6558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674A KR101950700B1 (ko) 2018-07-11 2018-07-11 장난감 블록 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0700B1 (ko)
WO (1) WO202001339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2069A (ko) * 1995-12-11 1999-09-27 브라운 매튜 피. 디. 조립시스템
WO2005016478A2 (fr) * 2003-07-17 2005-02-24 Moreigne Jean-Francois Ensemble pour un jeu de construction comportant au moins un element d'assemblage
KR20100011328U (ko) 2009-05-12 2010-11-22 이광원 탈것용 조립식 완구 블록 세트
KR20110028698A (ko) * 2009-09-14 2011-03-22 강현자 조립 완구
KR20140009190A (ko) 2010-10-21 2014-01-22 레고 에이/에스 장난감 조립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2177A (ja) * 2007-04-27 2008-11-13 Mass-Set Co Ltd 子供用施設におけるブロック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2069A (ko) * 1995-12-11 1999-09-27 브라운 매튜 피. 디. 조립시스템
WO2005016478A2 (fr) * 2003-07-17 2005-02-24 Moreigne Jean-Francois Ensemble pour un jeu de construction comportant au moins un element d'assemblage
KR20100011328U (ko) 2009-05-12 2010-11-22 이광원 탈것용 조립식 완구 블록 세트
KR20110028698A (ko) * 2009-09-14 2011-03-22 강현자 조립 완구
KR20140009190A (ko) 2010-10-21 2014-01-22 레고 에이/에스 장난감 조립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13398A1 (ko)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6507B2 (en) Building toy block set
KR101773024B1 (ko) 컨넥터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 완구 세트
US20070077854A1 (en) Sectional three-dimensional model
US5518434A (en) Snap fit and twistable toy construction modules
JPS58500840A (ja) 構築又は組立てセットの要素部片及び付属品
US20050155308A1 (en) Magnetic construction modules for creating three-dimensional assemblies
KR101866659B1 (ko) 조립식 블록완구 세트
EP1246677B1 (en) A toy building element with transversal openings
GB2426213A (en) Toy construction system with jaw components
US4740189A (en) Construction toy assembly
US20170014727A1 (en) Joint brick for building block
US11351473B2 (en) Toy building element and toy building set
EP2609974B1 (en) Assembled toy
US6948998B2 (en) Interconnectable model construction elements
KR101950700B1 (ko) 장난감 블록 세트
US5908342A (en) Three dimensional connector
US10286332B2 (en) Toy construction set with articulating linkable elements
EP3600585B1 (en) Toy construction set with articulating linkable elements
CN211836313U (zh) 拼接积木组件及拼接结构
KR100902755B1 (ko)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
KR200246194Y1 (ko) 조립식 완구
US11433317B1 (en) Building toy set
KR200186381Y1 (ko) 조립완구
CN212262385U (zh) 一种智力积木
JP3060834U (ja) 立体交差式多片組合せ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