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194Y1 - 조립식 완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194Y1
KR200246194Y1 KR2020010019283U KR20010019283U KR200246194Y1 KR 200246194 Y1 KR200246194 Y1 KR 200246194Y1 KR 2020010019283 U KR2020010019283 U KR 2020010019283U KR 20010019283 U KR20010019283 U KR 20010019283U KR 200246194 Y1 KR200246194 Y1 KR 2002461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binding
spherical connector
ang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경골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경골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경골드
Priority to KR2020010019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1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19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어린아이들의 호기심과 창의력 및 지능개발을 목적으로 각종의 조립체를 조립하여 다양한 모형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완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원형 봉상의 몸체 양단에 선택적으로 날개형의 지지결속편 또는 표면에 다수의 각도조절용 요홈을 구비하는 구형 연결구를 일체로 구성함과 아울러 몸체의 중간에 몸체끼리 상호 십자로 교차되게 결속시키기 위한 반구형의 결속홈을 구성한 것으로, 각 조립체들의 연결각도조절이 자유롭도록 하여 제작할 수 있는 모형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음은 물론 임의 형태로 제작된 모형을 분해하지 않고도 모형의 일부분의 형태를 자유롭게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어린이들의 상상력을 구체화할 수 있는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고력과 창의력 및 지능개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완구{The toys a knockdown system}
본 고안은 어린아이들의 호기심과 창의력 및 지능개발을 목적으로 각종의 조립체를 조립하여 다양한 모형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완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원형 봉상의 몸체 양단에 선택적으로 날개형의 지지결속편 또는 표면에 다수의 각도조절용 요홈을 구비하는 구형 연결구를 일체로 구성함과 아울러 몸체의 중간에 몸체끼리 상호 십자로 교차되게 결속시키기 위한 반구형의 결속홈을 구성한 것으로, 각 조립체들의 연결각도조절이 자유롭도록 하여 제작할 수 있는 모형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음은 물론 임의 형태로 제작된 모형을 분해하지 않고도 모형의 일부분의 형태를 자유롭게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어린이들의 상상력을 구체화할 수 있는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고력과 창의력 및 지능개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가 사용하는 조립식 완구블록은 상하 또는 측면에 조적을 위한 조적돌기와 조적홈으로 이루어진 조적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적수단을 구비한 블록을 이용하여 상상 속의 모형을 구체화 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어린이의 지능발전에 도움을 주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완구블록은 그 조립의 위한 조적수단이 종횡으로만 구비되어 있어 각 블록의 연결 상태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의 직각상태로만 이루어지게 됨으로 상상 속의 모형을 표현함에 있어 구체화 할 수 있는 모형의 형상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형의 구체화가 일정하고 단순한 형태로 된 블록을 종횡으로만 조적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구체화할 수 있는 모형의 종류가 제한되고 이로 인하여 어린이들이 상상할 수 있는 모형의 폭이 제한되고 제작한 모형의 형태 또한 실질감이 떨어져 흥미를 반감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작된 모형은 전체적인 기본 형태를 유지하면서 모형의 일부분만의 연결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 모형의 형태가 고정적이고 경직되어 창의성과 흥미감의 유발이 어렵고 사용효과가 저하되는 폐단이 노출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구조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각 조립체들의 연결각도조절이 자유롭도록 하여 제작할 수 있는 모형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음은 물론 임의 형태로 제작된 모형을 분해하지 않고도 모형의 일부분의 형태를 자유롭게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어린이들의 상상력을 구체화할 수 있는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어 사고력과 창의력 및 지능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조립식 완구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원형 봉상의 몸체 양단에 선택적으로 날개형의 지지결속편 또는 표면에 다수의 각도조절용 요홈을 구비하는 구형 연결구를 일체로 구성함과 아울러 몸체의 중간에 몸체끼리 상호 십자로 교차되게 결속시키기 위한 반구형의 결속홈을 구성함과 아울러 지지결속편의 내면 중앙에는 이에 끼워지는 구형 연결구의 각도조절용 요홈과 결합되는 각도제어용 돌조를 돌출 구성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제 1 조립체를 보이는 사시도.
도 1(b)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제 2 조립체를 보이는 사시도.
도 1(c)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제 3 조립체를 보이는 사시도.
도 1(d)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제 4 조립체를 보이는 사시도.
도 1(e)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제 5 조립체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임의 조립체에 적용되는 지지결속편과 구형연결구의 결속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임의 조립체에 적용되는 지지결속편끼리의 결속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임의 조립체에 적용되는 결속홈끼리의 결합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단면 예시도.
도 6은 도 4의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각 조립체를 이용하여 조립한 임의의 모형을 보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 1조립체 11 : 몸체
12, 12' : 지지결속편 20 : 제 2조립체
21 : 몸체 22 : 지지결속편
23 : 구형 연결구 24 : 각도조절용 요홈
30 : 제 3조립체 31 : 몸체
32, 32' : 구형 연결구 33 : 각도조절용 요홈
34 : 반구형의 결속홈 40 : 제 4조립체
41 : 몸체 42 : 지지결속편
43 : 구형 연결구 44 : 각도조절용 요홈
45 : 결속홈 50 : 제 5조립체
51 : 몸체 52, 52' : 지지결속편
53 : 결속홈 60 : 각도제어용 돌조
도 1(a)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제 1조립체(10)를 보인 것으로, 원형 봉상의 몸체(11)양단에 한 쌍의 날개형의 지지결속편(12)(12')을 일체로 구성토록 한 것이며,
도 1(b)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제 2조립체(20)를 보인 것으로, 원형 봉상의 몸체(21)양단에 날개형의 지지결속편(22)과 표면에 각도조절용 요홈(24)을 구비시킨 구형 연결구(23)를 일체로 구성토록 한 것이며,
도 1(c)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제 3조립체(30)로서, 원형 봉상의 몸체(31)양단에 표면에 각도조절용 요홈(33)을 구비시킨 구형 연결구(32)(32')를 일체로 구성함과 아울러 몸체(31)의 중간에 반구형의 결속홈(34)을 구성한 것이며,
도 1(d)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제 4조립체(40)로서, 몸체(41)양단에 날개형의 지지결속편(42)과 표면에 각도조절용 요홈(44)을 구비시킨 구형 연결구(43)를 일체로 구성함과 동시에 몸체(41)의 중간에 반구형의 결속홈(45)을 구성한 것이며,
도 1(e)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제 5조립체(50)로서, 원형 봉상의 몸체(51)양단에 한 쌍의 날개형의 지지결속편(52)(52')을 일체로 구성토록 함과 동시에 몸체(51)의 중간에 반구형의 결속홈(53)을 구성한 것이다.
또한 제 1, 2조립체(10)(20)와 제 4, 5조립체(40)(50)에 적용되는 날개형의 지지결속편(12)(12'),(22),(42),(52)의 내면 중앙에는 상기 구형 연결구(23)(32)(32')(43)의 각도조절용 요홈(24)(33)(44)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연결각을 세팅지지하기 위한 각도제어용 돌조(60)를 일체로 구성토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각 조립체(10)(20)(30)(40)(50)들은 내마모성과 내구성이 강한 소재로 구성하게 되며, 특히 구형 연결구(23)(32)(32')(43) 및 지지결속편끼리 탄성적인 결속기능을 하는 지지결속편(12)(12'),(22),(42),(52)은 신축상태가 양호하도록 하여 위치세팅과 착탈이 안정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각 조립체(10)(20)(30)(40)(50)들은 임의의 모형을 만들기 위해필요에 따라 도 2∼도 4에서와 같이 다양한 연결태양을 가지고 조립되는 것으로,??
도 2는 본 고안의 지지결속편(12)(12'),(22),(42),(52)중 하나가 구형 연결구(23)(32)(32')(43)의 하나와 결속되는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조립체(10)와 제 3조립체(30)의 지지결속편(12')과 구형 연결구(32)만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구형 연결구(32)를 한 쌍의 지지결속편(12')의 사이에 밀어 넣으면 지지결속편(12')이 강제적으로 벌려지면서 구형 연결구(32)가 삽입됨과 동시에 지지결속편(12')이 오므라져 구형 연결구(32)를 표면을 가압하여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도 5에서와 같이 각 지지결속편(12')의 내면 중앙에 돌설된 각도제어용 돌조(60)가 구형 연결구(32)의 각도조절용 요홈(33)중 하나에 끼워져 구형 연결구(32) 또는 지지결속편(12')의 유동을 억제시켜 상호 연결된 각도를 홀딩시켜 줌으로써 자중에 의해 무단으로 각도변경이 초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연결각을 변경하기 위해서 가상선과 같이 구형 연결구(32) 또는 지지결속편(12')을 강제적으로 회동시키면 각도제어용 돌조(60)가 구형 연결구(32)의 각도조절용 요홈(33)에 빠져 나오면서 회동에 의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고 외력을 해제하면 해당 위치에서 각도제어용 돌조(60)가 구형 연결구(32)의 각도조절용 요홈(33)중 하나에 다시 끼워져 변경된 위치를 고수하게 되는 것으로, 로봇의 관절과 같이 연결부재들의 각도조절이 자유로워 어린이들의 흥미유발이 가능하고 기본적인 모형의 형태를 변경하지 않고 일부분만의 연결각을 변경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모든 지지결속편끼리의 결속상태를 보이는 사시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조립체(10)의 지지결속편(12)과 제5조립체(50)의 지지결속편(52')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결속편(12)(52')을 서로 엇갈리게 교차시킨 상태에서 단부끼리 대고 밀어주면 각 지지결속편(12)(52')이 가압력에 의해 살짝 벌어지면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조립체의 길이만을 직선으로 연장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각도의 조절이나 변경은 수행 할 수 없다.
도 4는 조립체에 적용되는 결속홈(34)(43)(53)끼리의 결합상태를 보이는 사시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3조립체(30)와 제 5조립체(50)의 결속홈(34)(53)간의 결합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결속홈(34)(53)을 상호 대향되고 직교되게 교차시킨 상태에서 밀어주면 가압력에 의해 결속홈(34)(53)의 연부가 살짝 벌어지면서 도 6과 같이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두 개의 조립체를 고정위치에서 직교되는 상태로 조립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 또한 연결된 각도의 조절이나 변경은 수행 할 수 없다.
한편 본 고안에 적용된 지지결속편(12)(12'),(22),(42),(52)은 각 조립체의 몸체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각 조립체를 이용하여 임의의 모형을 제작한 것을 보이는 것으로 지지결속편끼리의 결속을 통한 조립체간의 직선길이의 연장과 결속홈끼리의 결속을 통한 조립체간의 십자 연결 및 지지결속편과 구형연결구를 통한 피봇타입의 관절연결 등 다양한 연결방식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연결방식의 다양화와 일부 연결부재의 자유로운 각도 조절을 가능케 함으로써 제작 가능한 모형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음은 물론 임의 형태로 제작된 모형을 분해하지 않고도 모형의 일부분의 형태를 자유롭게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어린이들의 상상력을 구체화할 수 있는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어 사고력과 창의력 및 지능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원형 봉상의 몸체(11)양단에 한 쌍의 날개형의 지지결속편(12)(12')을 일체로 구비하는 제 1조립체(10)와;
    원형 봉상의 몸체(21)양단에 날개형의 지지결속편(22)과 표면에 각도조절용 요홈(24)을 구비시킨 구형 연결구(23)를 일체로 구비하는 제 2조립체(20)와;
    원형 봉상의 몸체(31)양단에 표면에 각도조절용 요홈(33)을 구비시킨 구형 연결구(32)(32')를 일체로 구성함과 아울러 몸체(31)의 중간에 반구형의 결속홈(34)을 구비하는 제 3조립체(30)와;
    몸체(41)양단에 날개형의 지지결속편(42)과 표면에 각도조절용 요홈(44)을 구비시킨 구형 연결구(43)를 일체로 구성함과 동시에 몸체(41)의 중간에 반구형의 결속홈(45)을 구비하는 제 4조립체(40)와;
    원형 봉상의 몸체(51)양단에 한 쌍의 날개형의 지지결속편(52)(52')을 일체로 구성토록 함과 동시에 몸체(51)의 중간에 반구형의 결속홈(53)을 구비하는 제 5조립체와;
    상기 제 1, 2조립체(10)(20)와 제 4, 5조립체(40)(50)의 날개형의 지지결속편(12)(12'),(22),(42),(52)의 내면 중앙에 일체로 돌설되며 상기 구형 연결구(23)(32)(32')(43)의 각도조절용 요홈(24)(33)(44)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연결각을 세팅지지하기 위한 각도제어용 돌조(60)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완구.
KR2020010019283U 2001-06-22 2001-06-22 조립식 완구 KR200246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283U KR200246194Y1 (ko) 2001-06-22 2001-06-22 조립식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283U KR200246194Y1 (ko) 2001-06-22 2001-06-22 조립식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194Y1 true KR200246194Y1 (ko) 2001-10-17

Family

ID=7306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283U KR200246194Y1 (ko) 2001-06-22 2001-06-22 조립식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1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969B1 (ko) * 2015-07-10 2017-05-29 박경보 창의력 개발용 조립식 완구 세트
KR102350879B1 (ko) * 2021-08-04 2022-01-13 박성우 방향 전환이 용이한 회동 가능한 커튼봉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969B1 (ko) * 2015-07-10 2017-05-29 박경보 창의력 개발용 조립식 완구 세트
KR102350879B1 (ko) * 2021-08-04 2022-01-13 박성우 방향 전환이 용이한 회동 가능한 커튼봉 구조
WO2023013888A1 (ko) * 2021-08-04 2023-02-09 박성우 방향 전환이 용이한 회동 가능한 커튼봉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04253C (en) A toy building set
US6461215B1 (en) Toy building set comprising a tubular, elongated, flexible toy building element, and such a toy building element
US7798884B2 (en) Toy construction system
KR101773024B1 (ko) 컨넥터 및 그를 포함하는 조립 완구 세트
EP3319700B1 (en) Toy construction set
US9101851B2 (en) Toy connector system
WO2009103967A1 (en) Toy construction system
US20170014727A1 (en) Joint brick for building block
US6948998B2 (en) Interconnectable model construction elements
KR101748424B1 (ko) 조립식 완구의 연결 부재
KR200246194Y1 (ko) 조립식 완구
KR101506114B1 (ko) 조립식 관절완구
US5908342A (en) Three dimensional connector
EP3600585B1 (en) Toy construction set with articulating linkable elements
KR200384320Y1 (ko) 자석놀이완구의 관절 연결 구조
CN2394683Y (zh) 三度空间益智积木
CN219595847U (zh) 一种新型积木人仔
CN220047071U (zh) 一种人偶玩具的腿部组装连接结构
CN220632974U (zh) 关节积木结构及玩具
KR200179488Y1 (ko) 완구용 골격프레임
KR101950700B1 (ko) 장난감 블록 세트
KR100915515B1 (ko) 유아용 블록완구
KR200177872Y1 (ko) 완구용 골격프레임
CZ32803U1 (cs) Dětská stavebnice
WO1992021417A1 (en) Building-blocks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