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486B1 -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486B1
KR101950486B1 KR1020180104577A KR20180104577A KR101950486B1 KR 101950486 B1 KR101950486 B1 KR 101950486B1 KR 1020180104577 A KR1020180104577 A KR 1020180104577A KR 20180104577 A KR20180104577 A KR 20180104577A KR 101950486 B1 KR101950486 B1 KR 101950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hydraulic pressure
shape
acoustic detection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창읍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4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0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1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는, 소정의 간격 거리로 이격된 음향 탐지 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 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수중 객체를 탐지하는 음향 탐지부 및 상기 음향 탐지 센서의 외측면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서로 다른 형상으로 마련되어 유압을 수용할 수 있는 유압 관로를 각각 구비하는 유압 호스들을 이용하여 상기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유압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 {Apparatus for transforming array shape of acoustic sensor}
본 발명의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함정에 탑재되어 수중 물체를 탐지하기 위한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나(Sonar)는 수중 음파 전파를 이용하여 수중에 존재하는 물체 및 목표물을 탐지하고 식별하는 장치로서, 수중에서 물체의 위치 탐색 등을 위한 신호탐지, 청음, 통신, 항해 등을 수행하기 위해 수중음향 에너지를 이용하는 장치를 말한다. 즉, 소나는 수중 목표물의 거리 및 방위를 측정하는 음향 탐지기 또는 수중청음기로 정의된다.
이러한 잠수함의 소나(Sonar)는 물속에서 운항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적을 식별할 수 가장 중요한 수단이다. 또한 잠수함의 소나(Sonar)는 탐지 특성 및 운용 특성을 고려하여 수동 소나(Passive Sonar), 방수 소나(Intercept Sonar), 수동 측거 소나(Passive Ranging Sonar), 선측 배열 소나(Flank Array Sonar), 선배열 예인 소나(Towed Array Sonar), 능동 소나(Active Sonar), 기뢰 탐지 소나(Mine Avoidance Sonar) 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소나들을 운용하여 잠수함에서 표적에 대한 수평 방위 및 거리를 도출할 수 있다. 표적의 방위는 함수 수동 소나, 방수 소나, 선측 배열 소나, 선배열 예인 소나 등을 통해서 탐지하게 되며, 표적의 거리는 잠수함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PRS를 운용하거나 TMA(Target Motion Analysis, 함기동 분석)를 통해서 식별할 수 있다.
특히, 선배열 예인 소나의 경우, 종래에 이용되어 왔던 선 배열 예인 소나는 일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수중 물체를 탐지하는데 있어서, 소나가 위치하는 지점으로부터 0 내지 180도 및 180 내지 360도에 따른 구간은 동일한 음향 신호(빔)을 형성하게 됨에 따라 소나를 기준으로 물체의 위치에 대한 좌우구분이 불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직선 형상 대신 구부러진 비대칭 형상을 이용하자는 안에 제기되었으나, 비대칭 형상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형상의 모습을 특정할 수 있어야 하고, 비대칭으로 생기는 빔형상에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여러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선 배열 예인 소나는 형상의 뒤틀림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빔형성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29642호 (공개)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일직선 형상으로만 구현되던 선배열 예인 소나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 변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소나의 배열 형상을 선택적으로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는, 소정의 간격 거리로 이격된 음향 탐지 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 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수중 객체를 탐지하는 음향 탐지부 및 상기 음향 탐지 센서의 외측면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서로 다른 형상으로 마련되어 유압을 수용할 수 있는 유압 관로를 각각 구비하는 유압 호스들을 이용하여 상기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유압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 수용부는, 직선 형상으로 구현되는 제1 유압 관로를 구비하는 제1 유압 호스 및 곡선 형상으로 구현되는 제2 유압 관로를 구비하는 제2 유압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압 호스에 유압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은 일직선으로 배열 고정되고, 상기 제2 유압 호스에 유압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은 곡선으로 배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 호스들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음향 탐지부 및 상기 유압 수용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복수개의 지지부들로 마련되고, 상기 음향 탐지 센서들과 상기 지지부들은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는, 소정의 간격 거리로 이격된 음향 탐지 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 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수중 객체를 탐지하는 음향 탐지부, 상기 음향 탐지 센서의 외측면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서로 다른 형상으로 마련되어 유압을 수용할 수 있는 유압 관로를 각각 구비하는 유압 호스들을 이용하여 상기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유압 수용부 및 상기 각 유압 호스들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 수용부는, 직선 형상으로 구현되는 제1 유압 관로를 구비하는 제1 유압 호스 및 곡선 형상으로 구현되는 제2 유압 관로를 구비하는 제2 유압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압 호스에 유압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은 일직선으로 배열 고정되고, 상기 제2 유압 호스에 유압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은 곡선으로 배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 공급부는,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공급 모터, 상기 유압 호스들의 각 일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압 공급 모터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제1 유압 호스 또는 제2 유압 호스에 공급하기 위하여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 및 유체를 저장하며, 상기 유압 공급 모터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전달 받아 상기 전달 받은 유압을 상기 개폐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유압 호스 또는 제2 유압 호스에 주입시키는 유압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 유압 호스 및 상기 제2 유압 호스의 일단부가 내부에 삽입 가능한 상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유압 호스 연결부 및 상기 유압 공급 모터로부터 공급된 유압을 상기 제1 유압 호스 또는 제2 유압 호스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유압 호스 연결부의 일면에 위치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 호스들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음향 탐지부 및 상기 유압 수용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복수개의 지지부들로 마련되고, 상기 음향 탐지 센서들과 상기 지지부들은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 변형장치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유압 호스들에 의해 소나(sonar)의 배열 형상을 특정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소나의 배열 형상을 비대칭하게 구현할 수 있어, 빔형성 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탐지된 객체들의 위치를 식별하는 경우에 좌/우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운동체로부터 예인되는 형상 변형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 변형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은 상기 센싱부, 유압 공급부 및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형상 변형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의 유압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의 내부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공급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페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의 구성을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 변형장치는 잠수함 또는 수중함(이하, 수중운동체)에 예인되는 형태의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 변형장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1과 같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운동체(10)부터 예인되는 형상 변형장치(20)를 예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형상 변형장치(20)는 수중운동체(10) 내부에 권선이 권취(coiling)된 상태로 감겨져 보관 탑재된 상태로부터 권취되어 있던 음향 탐지 센서(소나) 및 형상 변형장치(20)를 풀러내어(unroll) 형상 변형장치(20)를 예인하며 주행하는 경우 또는 수중운동체(10)가 정지한 상태에서 권취되어 있던 음향 탐지 센서(소나) 및 형상 변형장치(20)를 풀러내어(unroll) 해저에 착저시킴으로써 어뢰(40)를 발사하기 위하여 수중 표적을 탐지하는 경우에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형상 변형장치(20)는 해저면에 위치하는 센싱부와 연결되어 수면 위로 부양하여 수중운동체(10)와 통신하는 통신부(21)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상 변형장치(20)는 수중운동체(10) 내부에 탑재되어 있다가, 목표지점에 도달함과 동시에 분리되어 객체를 탐지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분리되지 않고 수중운동체와 연결된 상태로 해저면에서 객체를 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종래의 일직선 형상으로만 구현되던 선배열 예인 소나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 도2 내지 도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형상 변형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먼저,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 변형장치(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상 변형장치는, 센싱부(100) 및 유압 공급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형상 변형장치는 신호처리부(30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도3은 상기 센싱부(100), 유압 공급부(200) 및 신호처리부(3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형상 변형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신호처리부(300)는 상기 음향 탐지 센서로부터 수중 객체를 탐지한 결과를 전기적인 신호로 인가받아, 인가된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센싱부(100)는 음향 탐지부(110), 유압 수용부(120), 지지부(130) 및 커버부(140)를 포함할 수 있고, 유압 공급부(200)는 유압 공급 모터(210), 유압 공급 호스(220), 유압 완충부(230) 및 개폐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센싱부(1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기 위하여 도4 내지 도6을 참고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의 유압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수용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의 내부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탐지부(110)는 음향 탐지 센서들이 소정의 간격 거리로 이격된 수중 객체를 탐지한다. 여기서, 음향 탐지 센서는 예컨대 소나(Sonar)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의 유압 수용부(120)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마련되는 유압 관로를 각각 구비하는 유압 호스들을 이용하여 음향 탐지부(110)의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유압 수용부(1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형상으로 구현되는 제1 유압 관로를 구비하는 제1 유압 호스(121) 및 제2 형상으로 구현되는 제2 유압 관로를 구비하는 제2 유압 호스(122)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유압 호스(121)는 직선 형상으로 제작된 호스로 구현될 수 있고, 제2 유압 호스(122)는 곡선 형상으로 제작된 호스로 구현되어, 외부로부터 유압이 각 유압 관로(제1 유압 관로 및 제2 유압 관로)로 주입되는 경우, 각 유압 호스의 부피가 팽창하게 됨에 따라 제1 유압 호스(121)는 직선으로 형상이 고정될 수 있고, 제2 유압 호스(121)는 곡선으로 형상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유압 호스(121, 122)는 탄성력이 우수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압 호스는 음향 탐지 센서에 힘을 인가하기 때문에 고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형상 변형장치(2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하고자 하는 유압을 제1 유압 호스(121)와 제2 유압 호스(122) 중 하나의 유압 호스에 선택적으로 공급함에 따라 제1 유압 호스(121)와 제2 유압 호스(122) 사이에 배치되는 음향 탐지 센서들의 배열 형상을 상황에 맞게 변형시킬 수 있다.
즉, 제1 유압 호스(121)에 유압이 공급되면 센싱부(100)의 형상이 직선 형태로 변형되고, 이후 시점에 유압이 제2 유압 호스(122)로 공급되면 센싱부(100)의 형상이 곡선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제1 유압 호스(121) 또는 제2 유압 호스(122)에 유압이 공급되기 전에는 센싱부(100)의 형상이 고정화되지 않기 때문에, 음향 탐지 센서에 어떠한 힘도 인가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6을 참고하여 유압 수용부(11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탐지부(110)는 복수개의 음향 탐지 센서들(111, 112, 113)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음향 탐지 센서의 수는 센싱부의 길이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30)는 제1 유압 호스(121) 및 제2 유압 호스(122)를 고정 지지한다. 지지부(130)도 음향 탐지 센서와 마찬가지로 복수개로 마련되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와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순서가 교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140)는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탐지부(111, 112, 113) 및 유압 수용부(120)를 커버하며, 커버부는 예컨대 전선 피복(sheath)을 제작할 때 사용되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형상 변형장치의 센싱부(100)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유압 호스들에 의해 음향 탐지 센서의 정확한 배열 형상을 특정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센싱부의 형상을 비대칭하게 구현할 수 있어, 빔형성 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탐지된 객체들의 위치를 식별하는 경우에 좌/우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다음으로, 센싱부의 유압 호스들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공급부(200)를 도7 내지 도9를 참고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공급부(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페부(240)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240)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공급부(200)는 유압 공급 모터(210), 유압 공급 호스(220), 유압 완충부(230) 및 개폐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공급 모터(210)는 유압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공급 모터(210)는 유압 공급 모터(210)로부터 발생된 유압을 유압 완충부(230)로 전달하는 연결 호스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완충부(230)는 유체를 저장하며, 유압 공급 모터(210)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전달 받고, 전달된 유압을 개폐부(240)의 동작에 따라 제1 유압 호스(121) 또는 제2 유압 호스(122)에 주입시키도록 할 수 있다. 유압 완충부(230)는 유압을 호스에 주입하기 전 유체(기름)을 저장해두는 곳으로서, 센싱부의 형상을 변형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는 센싱부를 권취하고자 하는 경우에 따라 유압을 거둬들여야 할 때 필요한 유체(기름)을 저장해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240)는 유압 호스들(121, 122)의 각 일단부와 연결되어, 유압 공급 모터(210)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제1 유압 호스(121) 또는 제2 유압 호스(122)에 공급하기 위하여 유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24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8 및 도9를 참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240)는 유압 호스 연결부(241) 및 회전부(2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호스 연결부(241)는 제1 유압 호스(121) 또는 제2 유압 호스(122)의 일단부가 내부에 삽입 가능한 유입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242)는 유압 공급 모터(210)로부터 공급된 유압을 제1 유압 호스(121) 또는 제2 유압 호스(122)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유압 호스 연결부(241)의 일면에 위치하여 회전함에 따라 유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형상 변형장치는 유압 완충부(230)의 일면에 개폐부(240)가 형성되고, 보다 자세하게는 개폐부(240)의 유압 호스 연결부(241)가 위치하도록 한다. 즉, 유압 호스 연결부(241), 회전부(242), 센싱부(100) 순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회전부(242)는 내부에 제1 유압 호스(121)와 제2 유압 호스(122)가 삽입될 수 있는 각 공간을 마련하고, 유압 호스 연결부(241)는 제1 유압 호스(121)와 제2 유압 호스(122) 중 하나의 유압 호스에만 유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내부에 유입구를 마련하여, 본체를 회전하며 선택적으로 제1 유압 호스 또는 제2 유압 호스에 유압을 공급함으로써 센싱부, 즉, 음향 탐지 센서들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회전부(242)는 본체를 회전함에 따라 도9의 (a)와 같이 유압 공급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유압 공급을 모두 차단시키거나, 도9의 (b)와 같이 제1 유압 호스(121)에만 유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개폐구를 개방하거나, 도9의 (c)와 같이 제2 유압 호스(122)에만 유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개폐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동시에 제1 유압 호스(121) 및 제2 유압 호스(122)에 유압이 공급되는 경우는 없다.
이렇게, 회전부(242)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1 유압 호스(121) 또는 제2 유압 호스(122)에 유압 공급 모터(210)로부터 발생된 유압을 공급함으로써, 센싱부의 형상(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수중운동체
20: 형상 변형 장치
30: 정박장치
40: 어뢰
100: 센싱부
110: 음향 탐지부
111, 112, 113: 음향 탐지 센서
120: 유압 수용부
121, 122: 유압 호스
130: 지지부
140: 커버부
200: 유압 공급부
210: 유압 공급 모터
220: 유압 공급 호스
230: 유압 완충부
240: 개폐부

Claims (12)

  1. 소정의 간격 거리로 이격된 음향 탐지 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 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수중 객체를 탐지하는 음향 탐지부; 및
    상기 소정의 간격 거리로 이격된 음향 탐지 센서들의 외측면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서로 다른 형상으로 마련되어 유압을 수용할 수 있는 유압 관로를 각각 구비하는 유압 호스들을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간격 거리로 이격된 음향 탐지 센서들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유압 수용부;
    를 포함하는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수용부는,
    직선 형상으로 구현되는 제1 유압 관로를 구비하는 제1 유압 호스; 및
    곡선 형상으로 구현되는 제2 유압 관로를 구비하는 제2 유압 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압 호스에 유압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음향 탐지 센서들의 배열 형상은 일직선으로 배열 고정되고,
    상기 제2 유압 호스에 유압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음향 탐지 센서들의 배열 형상은 곡선으로 배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호스들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음향 탐지부 및 상기 유압 수용부를 커버하는 커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개의 지지부들로 마련되고,
    상기 음향 탐지 센서들과 상기 지지부들은 교번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
  6. 소정의 간격 거리로 이격된 음향 탐지 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 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수중 객체를 탐지하는 음향 탐지부; 및
    상기 소정의 간격 거리로 이격된 음향 탐지 센서들의 외측면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서로 다른 형상으로 마련되어 유압을 수용할 수 있는 유압 관로를 각각 구비하는 유압 호스들을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간격 거리로 이격된 음향 탐지 센서들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유압 수용부; 및
    상기 각 유압 호스들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공급부;
    를 포함하는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수용부는,
    직선 형상으로 구현되는 제1 유압 관로를 구비하는 제1 유압 호스; 및
    곡선 형상으로 구현되는 제2 유압 관로를 구비하는 제2 유압 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압 호스에 유압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음향 탐지 센서들의 배열 형상은 일직선으로 배열 고정되고,
    상기 제2 유압 호스에 유압을 공급하는 경우, 상기 음향 탐지 센서들의 배열 형상은 곡선으로 배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공급부는,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공급 모터;
    상기 유압 호스들의 각 일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유압 공급 모터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제1 유압 호스 또는 제2 유압 호스에 공급하기 위하여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 및
    유체를 저장하며, 상기 유압 공급 모터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전달 받아 상기 전달 받은 유압을 상기 개폐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유압 호스 또는 제2 유압 호스에 주입시키는 유압 완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 유압 호스 및 상기 제2 유압 호스의 일단부가 내부에 삽입 가능한 상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유압 호스 연결부; 및
    상기 유압 공급 모터로부터 공급된 유압을 상기 제1 유압 호스 또는 제2 유압 호스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유압 호스 연결부의 일면에 위치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회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호스들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음향 탐지부 및 상기 유압 수용부를 커버하는 커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개의 지지부들로 마련되고,
    상기 음향 탐지 센서들과 상기 지지부들은 교번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
KR1020180104577A 2018-09-03 2018-09-03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 KR101950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577A KR101950486B1 (ko) 2018-09-03 2018-09-03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577A KR101950486B1 (ko) 2018-09-03 2018-09-03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486B1 true KR101950486B1 (ko) 2019-02-20

Family

ID=6556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577A KR101950486B1 (ko) 2018-09-03 2018-09-03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48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2239A (ko) * 1995-10-26 1997-05-28 배순훈 선배열 음향탐지기의 센서부
KR19980025956U (ko) * 1996-11-06 1998-08-05 박병재 차량의 워터 재킷의 밀봉 수단
KR19990054181A (ko) * 1997-12-26 1999-07-15 전주범 음파탐지기의 음향센서부
KR20120003326A (ko) * 2010-07-02 2012-01-10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음향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배열 음향센서 시스템
KR20160107820A (ko) * 2015-03-05 2016-09-19 국방과학연구소 삼중 음향 센서 배열을 이용한 방위 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29642A (ko) 2016-09-13 2018-03-21 주식회사 한화 매설형 수중음향센서 전원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매설형 수중음향센서 전원공급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2239A (ko) * 1995-10-26 1997-05-28 배순훈 선배열 음향탐지기의 센서부
KR19980025956U (ko) * 1996-11-06 1998-08-05 박병재 차량의 워터 재킷의 밀봉 수단
KR19990054181A (ko) * 1997-12-26 1999-07-15 전주범 음파탐지기의 음향센서부
KR20120003326A (ko) * 2010-07-02 2012-01-10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음향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배열 음향센서 시스템
KR20160107820A (ko) * 2015-03-05 2016-09-19 국방과학연구소 삼중 음향 센서 배열을 이용한 방위 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29642A (ko) 2016-09-13 2018-03-21 주식회사 한화 매설형 수중음향센서 전원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매설형 수중음향센서 전원공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2557A (en) Marine seismic system
US10545253B2 (en) AUV based seismic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US9335233B2 (en) In-pipe leak detection based on pressure gradient
US9459363B2 (en) Method and system of performing geophysical surveys with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US20100188931A1 (en) Design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ubmarine and other water craft sonar sensors, arrays and/or hydrophones
KR101950486B1 (ko) 음향 탐지 센서의 배열 형상을 변형시키는 형상 변형장치
KR101939766B1 (ko) 수중 객체 탐지 시스템
KR102590598B1 (ko) 잠수함 센서 조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잠수함 센서 조출 방법
US6058072A (en) Velocity reduction method to reduce the flow-induced noise of towed sensor systems
US4725990A (en) Marine shear cable
US6088297A (en) Acoustic sound speed profiling system
US6370085B1 (en) Extendable hull-mounted sonar system
KR101692469B1 (ko) 슬레드를 이용한 해저 전력케이블 손상점 탐지시스템 및 손상점 탐지방법
CN102511011A (zh) 改善用于地下勘测且设置有承载结构的罗盘的精度
US6046963A (en) Deployable hull array system
JP7169577B2 (ja) 漏洩検知方法及び漏洩検知装置
KR101692471B1 (ko) Rov를 이용한 해저 전력케이블 손상점 탐지시스템 및 손상점 탐지방법
KR100484533B1 (ko) 반구형 관측영역을 갖는 무인잠수정의 초협대역 초음파위치추적장치
KR102637125B1 (ko)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표적 탐지 장치 및 표적 탐지 방법
KR102367434B1 (ko) 수중 운동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8174166B1 (en) Uniformly distributed lead zirconate titanate strain sensor
KR102422634B1 (ko) Tas 예인구 해수 유입 방지장치
KR102322175B1 (ko) 잠수함 탐지용 센서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잠수함 탐지방법
CN109031313A (zh) 一种可区分左右舷的曲线型标量水听器阵列
USH462H (en) Marine cable geophon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