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823B1 -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823B1
KR101949823B1 KR1020180012826A KR20180012826A KR101949823B1 KR 101949823 B1 KR101949823 B1 KR 101949823B1 KR 1020180012826 A KR1020180012826 A KR 1020180012826A KR 20180012826 A KR20180012826 A KR 20180012826A KR 101949823 B1 KR101949823 B1 KR 101949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store
consumer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송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웰
Priority to KR1020180012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18Audio watermarking, i.e. embedding inaudible data in the audio signal

Abstract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이 개시된다. 매장 내의 판매대 근처에 설치된 특정 식별코드 판독기를 통해 읽어들인 특정 상품의 상품식별코드에 기초하여, 그 상품식별코드와 연관되어 있는 제1 상품 관련 정보를 특정 식별코드 판독기와 연동되어 있는 매장 내의 하나 이상의 판매대 광고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하나 이상의 판매대 광고장치가 소정 범위의 공간에 고주파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여 고주파 사운드 영역을 형성해두고, 그 고주파 사운드 영역 안으로 진입한 스마트폰에게 고주파 사운드 신호와 대응되는 제2 상품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Method and system for simultaneous advertisement and product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via multi-channels at the time of purchase}
본 발명은 상품 광고 및 상품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장 내 상품 판매대에 접근한 소비자들에게 상품 정보와 광고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판매할 상품들을 판매대에 진열해두고 소비자의 구매 선택을 기다린다. 소비자들은 진열된 상품들에 대한 현명한 소비를 위해 그 상품들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원할 수 있다. 상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부족하여 구매를 주저하거나 포기하는 소비자들도 많다. 상세한 상품 정보는 판매량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에 대한 정보는 여러 가지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상품의 포장지에 인쇄된 정보로 제공된다. 또한,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품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상품 판매대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해두고, 그것을 통해 상품 정보나 홍보 콘텐츠를 출력시키는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이런 형태의 정보 제공은 쌍방향적이지 않고 일방향적이다. 즉, 판매자가 원하는 상품 정보나 광고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일 뿐이다.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가 어떤 것인지를 확인하고, 그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소비자와의 소통이 부족한 방식이다. 그만큼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는 힘이 약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정보 제공 방식은 단일 채널로 제공되었다. 즉, 어떤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 정보는 그 소비자에게만 제공하였다. 그런데 판매대에 진열된 상품에 관한 궁금증은 특정 소비자에게만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어떤 소비자가 알아본 상품 정보는 다른 소비자들에게도 필요하고 유익한 정보일 수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한 상품 정보의 제공이 필요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상품 정보 제공, 광고 방법은 이런 필요성에 부응하지 못했다.
상품의 제조자나 판매자는 매장 내의 소비자들에게 특정 상품에 대하여 광고를 좀 더 적극적으로 수행하기를 원할 수 있다. 특정 상품이 진열된 판매대에 접근하거나 근처에 있는 소비자들은 그 진열 상품에 관심이 있거나 또는 관심을 촉발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관심을 가지도록 유도할 할 수도 있다. 상품 판매대 근처에 있는 소비자들에게만 선별적으로 그 주변 판매대의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할 수 있다. 진열된 상품의 주변 소비자들에게 적극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그들이 해당 상품에 대해 알아보고 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매장 내 특정 소비자가 판매대에 진열된 상품의 정보를 원할 때 해당 상품 정보와 구입 시의 혜택 정보 등을 현장에서 즉시 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매장의 다른 곳에 있는 소비자들에게도 동일 정보를 여러 채널을 통해 동시다발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상품의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고 많은 소비자들을 구매로 유도할 수 있는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장 내 특정 상품이 진열된 판매대에 접근하는 소비자들에게 고주파 사운드에 기반하여 그 진열 상품에 관한 상품 정보와 구입 시 혜택 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제공하여 타겟 광고를 실현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방법은 다채널 광고출력단계와 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채널 광고출력단계는 매장 내의 판매대 근처에 설치된 특정 식별코드 판독기를 통해 읽어들인 특정 상품의 상품식별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식별코드와 연관되어 있는 제1 상품 관련 정보를 상기 특정 식별코드 판독기와 연동되어 있는 매장 내의 하나 이상의 판매대 광고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이다. 상기 정보제공단계는 소정 범위의 공간에 고주파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여 고주파 사운드 영역을 형성해두고, 상기 고주파 사운드 영역 안으로 진입한 스마트폰에게 상기 고주파 사운드 신호와 대응되는 제2 상품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 광고출력단계는, 상기 식별코드 판독기가 특정 상품에 표시된 상품식별코드를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식별코드 판독기가 읽어들인 상기 상품식별코드를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상기 상품식별코드와 연관되어 있는 상기 제1 상품 관련 정보를 출력우선권을 부여하여 상기 식별코드 판독기와 연동되어 있는 제1 판매대 광고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우선권이 부여된 상기 제1 상품 관련 정보를 수신한 상기 제1 판매대 광고장치가 기 출력 중인 콘텐츠 대신에 상기 제1 상품 관련 정보를 우선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방법은, 상기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상기 제1 판매대 광고장치에 대한 상기 제1 상품 관련 정보의 전송과 동기시켜, 상기 제1 상품 관련 정보를 출력우선권을 부여하여 매장 내 다른 제2 판매대 광고장치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들의 적어도 일부에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판매대 광고장치와 상기 매장 내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들의 적어도 일부는, 출력 중인 콘텐츠 대신에, 수신한 상기 제1 상품 관련 정보를 우선적으로 출력하여 매장 내 여러 곳에 위치하는 소비자들에게 동시에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방법은, 매장 내 판매대 광고장치가 자신의 화면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화면에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메시지를 내보낼 제1 소비자의 폰 번호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판매대 광고장치가 입력된 제1 소비자의 폰 번호를 상기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전달받은 폰 번호로 현재 출력 중인 상기 제1 상품 관련 정보에 연관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제1 소비자의 폰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1 소비자가 볼 수 있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방법은, 제1 소비자의 폰에 표시된 상기 메시지를 공유하고픈 제2 소비자의 폰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을 제1 소비자의 폰에 표시하는 단계; 제1 소비자가 입력한 제2 소비자의 폰 번호를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상기 메시지를 제2 소비자의 폰 번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단계는, 상기 판매대 광고장치가 고주파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여 소정 범위의 주변 영역을 고주파 사운드 영역으로 형성하는 단계; 소비자의 스마트폰이 상기 고주파 사운드 영역 안으로 진입하였을 때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고주파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여 내장된 고주파기반 상품 프로모션 앱이 작동하여 상기 고주파 사운드 신호의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상품 프로모션 앱이 인식한 고주파 사운드 신호의 태그 정보를 상기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수신된 상기 고주파 사운드 신호의 태그 정보와 연관된 상품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상품 관련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정보를 상기 소비자의 스마트폰 번호로 푸시하여 상기 소비자의 스마트폰에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방법은, 상기 고주파 사운드 영역으로 형성하는 단계에 앞서, 상기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에서, 상기 고주파 사운드 신호의 태그 정보와 상기 상품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상품 관련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정보를 짝을 지어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상기 판매대 광고장치에 상기 고주파 사운드신호와 태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품 관련 정보는 소비자가 상기 스마트폰으로 웹에 연결하여 정보 리뷰 및 검색, 인터랙티브 커뮤니케이션 수행을 수행할 수 있는 웹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 사운드 신호는 인간의 귀에는 들리지 않는 불가청 음성 주파수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을 실현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시스템은 식별코드 판독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 그리고 하나 이상의 판매대 광고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식별코드 판독기는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에 표시된 상품식별코드를 판독하여 통신망을 통해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로 전달한다.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는 매장에 설치된 판매대 광고장치 및 식별코드 판독기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면서 이들과 통신할 수 있고, 특정 식별코드 판독기가 전달하는 상품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상품 관련 정보를 출력우선권을 부여하여 상기 특정 식별코드 판독기와 연동되어 있는 특정 판매대 광고장치에 제공하고, 불가청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 사운드 신호들과 상품판촉 콘텐츠를 서로 대응시켜 저장해두고 판매대 광고장치마다 특정 고주파 사운드 신호와 태그정보를 제공하고, 특정 판매대 광고장치가 형성한 고주파 사운드 영역에 진입하여 특정 고주파 사운드 신호를 인식한 소비자의 스마트폰으로 상기 특정 고주파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상품판촉 콘텐츠를 푸시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광고장치는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지정된 스케줄대로 출력하고 있다가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상기 상품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상품 관련 정보를 출력우선권을 부여하여 제공하면 상기 지정된 스케줄에 우선하여 상기 상품 관련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제공하는 특정 고주파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여 주변에 고주파 사운드 영역을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시스템은 매장 내에 설치되어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상기 상품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상품 관련 정보를 제공하면 이전에 출력하던 것에 우선하여 상기 상품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판매대 광고장치는 자신의 화면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화면에 상기 콘텐츠와 연관된 메시지를 내보낼 제1 소비자의 폰 번호 입력창을 표시하고, 입력된 제1 소비자의 폰 번호를 상기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는 상기 판매대 광고장치로부터 전달받은 폰 번호로 상기 제1 상품 관련 정보에 연관된 메시지를 전송하여 제1 소비자의 폰에 상기 메시지가 표시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매장의 상품진열대에 설치된 판매대 광고장치와 상품 식별코드판독기를 통해 소비자는 자신이 원하는 상품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특정 소비자가 원한 상품 관련 정보를 매장 내 다른 소비자들에게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관련 정보는 소비자의 간단한 터치 조작에 의해 그 소비자 또는 다른 사람의 스마트폰으로도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보다 많은 소비자들이 그 상품에 관심을 갖도록 할 수 있고, 구매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매대 광고장치 주변에 고주파 사운드 영역으로 형성해두고, 그 영역 안으로 진입하는 소비자들의 스마트폰으로 광고주들이 원하는 상품 관련 정보를 푸시할 수 있게 해준다. 이를 통해 타겟 판촉을 실현할 수 있다. 즉, 근처 판매대에 진열된 특정 상품에 관한 상품 관련 정보, 예컨대 할인 행사 등에 관한 정보를 근처의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어서 그 소비자들의 그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시점 다채널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식별코드 센싱 기반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방법의 기본 개념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식별코드 센싱 기반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를 통해 소비자가 폰으로 상품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식별코드 센싱 기반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를 통해 제1 소비자가 입수한 상품관련 정보를 다른 제2 소비자와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사운드 신호 기반 상품 판매 프로모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주파 사운드 신호 기반 상품 판매 프로모션 방법의 실시에 관련된 시스템에서의 정보 흐름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이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 그리고 제1 및 제2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와 각각 연동되는 제1 및 제2 식별코드 판독기(250, 25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매장 내에는 판매 상품들을 진열해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대가 설치되어 있다. 매장 내의 판매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판매대 광고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매장 내에서 매장 내 상품을 진열해둔 제1 및 제2 상품진열 판매대 각각의 소정 위치에 제1 및 제2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가 설치된 경우를 예시한다. 하지만, 매장에 설치되는 판매대 광고장치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각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는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400)가 제공하는 상품 정보, 상품 판촉 정보(예컨대, 상품 할인, 쿠폰제공, 각종 상품 관련 이벤트 등에 관한 정보), 광고 콘텐츠 등을 미리 지정된 스케줄대로 화면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각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는 자신이 설치된 상품 판매대에 진열된 상품의 가격표를 순환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판매대 앞에 있는 소비자는 손쉽게 상품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다. 또한, 각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는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400)가 제공하는 고주파 사운드 패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광고 콘텐츠와 고주파 사운드 패턴 신호는 1:1로 매핑되어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202), 사용자 인터페이스(204), 통신부(206), 사운드 출력부(208), 데이터 저장부(210), 고주파 사운드 신호 출력부(212), 그리고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202)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04)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202)에 표시되는 화면과 음성 등을 통해 사용자가 판매대 광고장치(200)와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게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206)는 통신망(500)을 통해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4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208)는 가청 주파수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10)는 동작 수행에 필요한 프로그램,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400)가 제공하는 여러 가지 데이터, 정보 등(광고 콘텐츠, 상품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고주파 사운드 신호 출력부(212)는 불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판매대 광고장치(200)의 각 구성요소(202, 204, 206, 208, 210, 21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식별코드 판독기(250, 250-1)는 하나의 판매대 광고장치 또는 이웃하는 복수 개의 판매대 광고장치를 대표하여 그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식별코드 판독기(250, 250-1)는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에 표시된 상품식별코드(예컨대 바코드 또는 QR코드 등)를 판독하여 통신망(500)을 통해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로 전달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는 통신망(500)을 통해 매장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판매대 광고장치(200) 및 식별코드 판독기(250)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는 매장 내의 판매대 광고장치들(200, 200-1) 및 식별코드 판독기들(250, 250-1)의 식별정보를 관리하면서 그것들과 통신할 수 있다.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는 식별코드 판독기(250, 250-1)마다 어떤 판매대 광고장치를 대표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는 상품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상품의 구체적인 상품정보, 광고 콘텐츠, 판촉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는 식별코드 판독기(250, 250-1)가 전달하는 상품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상품의 상품 정보, 광고 콘텐츠, 판촉 정보 등을 특정 판매대 광고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는 식별코드 판독기(250, 250-1)가 전달하는 상품 식별코드별 스캔 회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식별코드의 스캔 회수는 해당 상품에 관한 소비자의 관심도를 나타낼 수 있다.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높은 상품에 대해서는, 그 상품의 정보를 주변에 전파할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소비자들에게 노출되는 빈도를 높게 가져갈 수 있을 것이다.
매장시스템 서버컴퓨터(400)는 또한 광고 콘텐츠와 고주파 사운드 패턴을 1:1로 매핑시켜 관리할 수 있다. 매장시스템 서버컴퓨터(400)는 매핑된 광고 콘텐츠와 고주파 사운드 패턴을 통신망(500)을 통해 매장 내 상품진열 판매대(200, 200-1)에 제공할 수 있다. 매장시스템 서버컴퓨터(400)는 또한 유통시스템 서버 컴퓨터(450)가 제공하는 판매 상품들 각각의 상품정보와 가격정보 등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요청에 응하여 특정 상품의 상품정보와 가격정보 등을 그 요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유통시스템 서버 컴퓨터(450)를 포함할 수 있다. 유통시스템 서버 컴퓨터(450)는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들 각각에 관한 상품정보, 상품가격에 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유통시스템 서버 컴퓨터(450)는 이런 정보를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400)에 제공하여 공유할 수 있다.
유통시스템 서버 컴퓨터(450)와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는 각각 별도의 서버 컴퓨터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하나의 서버 컴퓨터에 통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매장에는 소비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2)들이 적어도 한 곳 이상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2)들은 통신망(500)을 통해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400)에 연결될 수 있다.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2)들마다 표출시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2)는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400)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400)와 각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 식별코드 판독기(250, 250-1),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2)들은 통신망(500)을 통해 서로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통신망(500)은 예컨대 유선 인터넷 및/또는 무선 인터넷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매장 내 장치들 간의 통신 연결 방식과 수단들은 잘 알려져 있으므로, 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식별코드 센싱 기반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방법의 기본 개념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품을 판매하는 매장에는 도 1과 같은 시스템(100)이 구축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도면에 표시된 상품진열 판매대(200, 200-1),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2), 식별코드 판독기(250) 등의 설치 대수는 매장의 필요와 능력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매장을 방문한 소비자들은 상품진열 판매대에 진열된 상품들 중에서 좀 더 자세한 상품 정보가 제공되기를 원하는 상품이 있을 수 있다. 소비자는 그런 상품을 집어 들어 그 상품의 포장지에 표시된 식별코드(예컨대,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를 제1 식별코드 판독기(250)에 갖다 댈 수 있다. 그러면 제1 식별코드 판독기(250)가 그 상품의 식별코드를 판독할 수 있다 (S100 단계).
제1 식별코드 판독기(250)는 판독한 그 상품의 식별코드를 매장 시스템의 서버 컴퓨터(400)에 전송할 수 있다(S110 단계). 이 때, 제1 식별코드 판독기(250)의 식별정보도 함께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 컴퓨터(400)는 매장 내 어느 식별코드 판독기(250)로부터 어떤 상품의 식별코드가 수신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는 상품식별코드를 전달한 제1 별코드 판독기(250)와 연동되어 있는 제1 판매대 광고장치(200)에 상기 상품식별코드와 연관시켜 저장해둔 소정의 상품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20 단계). 상기 소정의 상품 관련 정보는 해당 상품식별코드가 부여된 상품 자체에 관한 상세 정보, 판촉 정보, 홍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는 상기 소정의 상품 관련 정보에 출력우선권을 부여하여 제1 판매대 광고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출력우선권에 의해, 제1 판매대 광고장치(200)는 상기 소정의 상품 관련 정보를 전달받기 전에 미리 정해진 스케줄대로 수행하던 콘텐츠의 출력을 즉시 중단하고, 상기 출력우선권이 부여된 상기 소정의 상품 관련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제1 판매대 광고장치(200)는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400)가 제공하는 상기 소정의 상품 관련 정보를 통신부(206)를 통해 전달받아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전달받은 상품 관련 정보를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202)와 사운드 출력부(208)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1 판매대 광고장치(200)가 다른 콘텐츠를 출력 중이라도 그 출력을 즉시 중단하고, 곧바로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400)가 출력우선권을 부여하여 제공하는 상기 소정의 상품 관련 정보를 우선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S130 단계). 즉, 제1 판매대 광고장치(200)는 매장의 정책에 따라 미리 정해진 콘텐츠 예를 들어 매장 또는 상품의 홍보 콘텐츠, 진열된 상품들의 가격 정보, 진열된 상품의 판촉 행사 안내 등의 자료를 미리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제1 판매대 광고장치(200)는 이런 콘텐츠를 루틴하게 출력하고 있는 중이라도, 그 근처의 소비자가 특정 상품에 관한 정보를 원하면 곧바로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를 통해 해당 상품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우선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비자는 제1 식별코드 판독기(250)를 이용하여 그 근처에 위치하는 제1 판매대 광고장치(200)를 통해 원하는 상품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소비자가 원했던 상기 식별코드를 가진 상품에 관한 정보는 다른 소비자에게도 필요할 정보일 수 있다. 판매자의 입장에서도, 어느 하나의 소비자가 원한 상품 정보를 다른 소비자들에게도 같이 제공하여 그 상품의 판매를 촉진하고자 하는 바램이 있을 수 있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여,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는 상기 상품식별코드에 연관된 상품 관련 정보를 제1 판매대 광고장치(200) 뿐만 아니라 매장 내의 다른 판매대 광고장치(200-1) 및/또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2)에도 동기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S140 단계).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상품식별코드에 연관된 상품 관련 정보에 출력우선권을 부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매장 내의 다른 판매대 광고장치(200-1) 및/또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2) 역시 출력중인 콘텐츠의 출력을 중단하고, 곧바로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400)가 제공하는 상기 상품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매장 내의 어떤 소비자가 원하는 특정 상품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는 그 정보를 원했던 소비자가 위치한 지점의 제1 판매대 광고장치(200)뿐만 아니라 그 매장 내의 다른 위치에 있는 판매대 광고장치(200-1)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2)들에게도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소비자가 원했던 상품 관련 상세 정보를 매장 내의 여러 채널을 통해 다른 많은 소비자들에게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 식별코드 센싱 기반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를 통해 소비자가 폰으로 상품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도 1 및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절차를 수행한 결과, 제1 판매대 광고장치(200)의 화면에는 소비자가 요구한 상품 관련 정보(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S200 단계).
소비자는 판매대 광고장치(200)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202)에 출력되는 상품 관련 정보(콘텐츠)를 보다가 그 정보를 자신의 스마트폰에서도 볼 수 있기를 원할 수 있다. 그 경우, 소비자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202) 화면을 터치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202)와 제어부(220)는 화면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S210 단계).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2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202) 화면에 지금 표시되고 있는 상품 정보를 내보낼 스마트폰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폰 번호 입력창을 표시할 수 있다(S220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204)는 그 휴대폰 입력창에 표시되는 안내 문구를 나타내는 언어를 선택할 수 있게 언어선택 메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휴대폰 입력창에서 소비자가 자신의 폰 번호를 입력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204)는 입력된 폰 번호를 제1 판매대 광고장치(200)의 제어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그 폰 번호를 통신부(206)를 통해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로 전송되게 할 수 있다(S230 단계).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는 전달받은 폰 번호로 상품관련정보 연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240 단계). 여기서, 상품관련정보 연관 메시지는 예컨대 해당 상품의 정보를 정리해둔 웹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링크정보 또는 UR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소비자는 자신의 스마트폰(300)에 수신된 메시지에 표시된 링크정보 또는 URL 정보를 통해서 해당 상품의 정보를 검색해볼 수 있다(S250 단계). 이를 통해 소비자는 원하는 상품에 대하여 보다 자세한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식별코드 센싱 기반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를 통해 제1 소비자가 입수한 상품관련 정보를 다른 제2 소비자와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는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도 1 및 2와 함께 참조하면, 제1 소비자의 스마트폰(300) 화면에 표시된 상품관련정보 연관 메시지는 해당 상품 정보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기를 원하는지 여부를 제1 소비자에게 묻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S300 단계).
제1 소비자 그 질의 메시지에 대하여 공유하겠다는 의사를 표현하면, 공유하기를 위하는 제2 소비자의 폰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이 제1 소비자의 스마트폰에 표시될 수 있다(S310 단계).
그 입력 창에서 제1 소비자가 공유대상자인 제2 소비자의 스마트폰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소비자의 스마트폰(300)은 입력된 제2 소비자의 스마트폰 번호를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로 전달할 수 있다(S320 단계).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는 해당 상품관련정보 연관메시지를 제2 소비자의 스마트폰 번호로 전송할 수 있다(S330 단계).
그에 따라 제2 소비자의 스마트폰(300-1)에는 해당 상품관련정보 연관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다. 제2 소비자는 자신의 스마트폰(300-1)에 수신된 상품관련정보 연관메시지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의 정보를 좀 더 자세히 검색해볼 수 있다(S340 단계).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사운드 신호 기반 상품 판매 프로모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주파 사운드 신호 기반 상품 판매 프로모션 방법의 실시에 관련된 시스템에서의 정보 흐름을 나타낸다.
도 6과 7 그리고 도 1 및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매장 관리 서버 컴퓨터(400)는 유통시스템 서버 컴퓨터(450)로부터 쿠폰정보, 상품 관련 각종 콘텐츠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매장관리 서버 컴퓨터(400)는 그 쿠폰정보와 각종 콘텐츠 정보를 고주파 사운드 신호에 대응시켜 자체의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해둘 수 있다(S410 단계). 이 고주파 사운드 신호는 사람이 들을 수 없는 불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
매장관리 서버 컴퓨터(400)는 각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에 특정 패턴의 고주파 사운드 신호를 태그 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S420 단계). 어느 판매대 광고장치에 어떤 패턴의 고주파 사운드 신호를 제공할지는 각 판매대에 진열된 상품의 종류에 따라 정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매장관리 서버 컴퓨터(400)는 소정의 고주파 생성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불가청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여러 구간으로 구분하여 여러 개의 구별 가능한 패턴의 고주파 사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고주파 사운드 신호와 이의 태그 정보를 특정 상품에 관련된 정보(이하 '상품 관련 정보'라 함)와 짝을 지어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관련 정보는 예컨대 특정 상품의 할인 행사, 쿠폰 발행, 기타 판촉이벤트 등에 관한 정보, 홍보 정보, 상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고 별로 고유한 불가청 고주파 사운드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품 정보 또는 광고 콘텐츠마다 고유한 패턴의 고주파 사운드 신호를 만들 수 있다.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는 이를 매장 내 특정 판매대 광고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각 판매대 광고장치(200 또는 200-1)에는 미리 설정된 광고 콘텐츠 및/또는 상품 정보 및/또는 상품 판촉 정보, 그리고 이와 매핑된 고주파 사운드 신호와 태그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각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는 통신부(206)를 통해 고주파 사운드 신호와 태그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저장부(21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고주파 사운드 신호를 고주파 사운드 신호 출력부(21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430 단계). 즉, 각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는 미리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광고 콘텐츠들을 재생하면서, 재생되는 광고 콘텐츠와 매핑된 고주파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에 표시되는 광고 콘텐츠에 맞춰 매핑된 특정 음향 패턴의 고주파 사운드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불가청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 사운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고주파 사운드 영역의 크기는 출력하는 고주파 사운드 신호의 세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컨대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로부터 대략 10~20미터의 반경을 갖는 영역일 수 있다.
이렇게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가 고주파 사운드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에서, 매장 내에서 이동하던 소비자가 사운드 태그 영역 내로 진입할 수 있다. 그러면, 그 소비자의 스마트폰(300)에 설치되어 있는 고주파 사운드 기반 프로모션 애플리케이션(이하, '프로모션 앱'이라 함)이 자동으로 실행되면서, 그 고주파 사운드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S440 단계).
그렇게 실행된 프로모션 앱은 소비자의 스마트폰(300)에서 인식된 고주파 사운드 신호의 태그 정보를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로 전송할 수 있다(S450 단계). 이에 의해,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는 특정 판매대 상품 광고장치(200)가 형성한 고주파 사운드 신호 영역 안으로 어떤 소비자의 스마트폰(300)이 진입했음을 알 수 있다. 그 스마트폰(300)의 번호도 알 수 있다.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400)는 소비자의 스마트폰(300)이 보내온 그 고주파 사운드 신호의 태그정보와 매핑된 상품 관련 정보 또는 이 상품 관련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정보를 데이터 저장소로부터 읽어와서 그 소비자의 스마트폰으로 푸시할 수 있다(S460 단계).
푸시된 정보는 스마트폰(300)에 수신되어 화면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푸시된 정보는 소비자가 스마트폰으로 웹에 연결하여 정보 리뷰 및 검색, 인터랙티브 커뮤니케이션 수행을 수행할 수 있는 웹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소비자는 화면에 출력된 정보를 통해 예컨대 특정 상품에 관련된 정보, 예컨대 특정 상품의 할인 행사, 쿠폰 발행, 기타 판촉이벤트 등에 관한 정보, 홍보 정보, 상품 정보 등에 접근할 수 있다(S470 단계). 소비자는 자신의 스마트폰(300)으로 프로모션 정보를 이용하여 웹에 연결하여 정보 리뷰 및 검색, 인터랙티브 커뮤니케이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에 표시된 정보를 소비자가 클릭하면, 할인행사 쿠폰을 발급하거나, 여러 가지 판촉 안내 등에 관한 정보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 소비자의 상품 구매를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고방법을 적용함으로써, 광고주는 원하는 광고뿐만 아니라 상품 판촉을 위한 프로모션 정보까지 소비자에게 노출시킬 수 있어 광고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소비자의 입장에서도 이런 정보(상품 할인과 같은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고 구매와 관련한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매장의 상품진열대에 설치된 판매대 광고장치(200)는 그 근처의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다른 위치에 있는 판매대 광고장치(200-1) 및/또는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2)에도 동일한 상품 관련 정보를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즉, 어떤 소비자가 상품 구매 시점에 원하는 상품 관련 정보를 매장 내 다수의 채널을 통해 동시에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 매장 내의 다수의 소비자들에게 그 특정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많은 소비자들이 그 상품에 관심을 갖도록 할 수 있고, 구매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상품의 광고주는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를 이용하여 그 주변을 고주파 사운드 영역으로 형성해두고, 그 영역 안으로 진입하는 소비자들의 스마트폰으로 광고주들이 원하는 상품 관련 정보를 푸시할 수 있게 해준다. 그 상품은 그 영역에 있는 상품 진열대에 진열된 특정 상품일 수 있다. 진열된 특정 상품에 관한 상품 관련 정보, 예컨대 할인 행사 등에 관한 정보를 근처의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어서 그 소비자들의 그 특정 상품에 대한 구매율을 높일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는 일상적으로는 매장에서 정해둔 스케줄에 따른 각종 광고의 출력, 진열된 상품 가격의 표시 등과 같은 루틴한 출력을 수행하다가, 소비자가 특정 상품에 관한 상세 정보를 원하면 그에 응하여 그 상품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는 소비자가 그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를 통해 볼 수 있는 정보를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며, 나아가 공유하고픈 다른 사람의 스마트폰으로도 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는 주변을 고주파 사운드 영역으로 형성함으로써 근처의 소비자들의 스마트폰에 광고주가 원하는 정보를 푸시할 수 있는 매개 고리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들, 예컨대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400), 판매대 광고장치(200, 200-1),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200-2), 식별코드 판독기(250, 250-1)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상품을 판매대에 진열해두고 소비자의 구매 선택을 얻는 오프라인 매장에 적용될 수 있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구매시점 다채널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시스템
200, 200-1: 판매대 광고장치 200-2: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250, 250-1: 식별코드 판독기 300, 300-1: 소비자 스마트폰
400: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 450: 유통시스템 서버 컴퓨터

Claims (12)

  1. 매장 내의 하나 이상의 상품 진열 판매대 근처에 각각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판매대 광고장치, 매장 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대 광고장치와 짝을 이뤄 상기 하나 이상의 상품 진열 판매대 근처에 각각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 판독기,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대 광고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 판독기와 통신할 수 있는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는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대 광고장치와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 판독기 각각의 식별정보 및 대표하는 판매대 광고장치의 식별정보, 그리고 판매하는 상품들의 상품정보, 상품 판촉 정보, 광고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상품 관련 정보를 해당 상품의 상품식별코드와 연관시켜 저장하여 관리하는 단계;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대 광고장치 각각에 소정의 상품 관련 정보와 상기 소정의 상품 관련 정보의 출력 스케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대 광고장치 각각에서,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제공해준 상기 상품 관련 정보를 상기 출력 스케줄에 따라 출력하는 단계;
    매장 내의 판매대 근처에 설치된 식별코드 판독기를 통해 읽어들인 특정 상품의 상품식별코드와 연관되어 있는 상품 관련 콘턴츠를 상기 식별코드 판독기와 연동되어 있는 매장 내의 하나 이상의 판매대 광고장치를 통해 우선적으로 출력하는 다채널 광고출력단계; 그리고
    소정 범위의 공간에 고주파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여 고주파 사운드 영역을 형성해두고,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상기 고주파 사운드 영역 안으로 진입한 스마트폰에게 상기 고주파 사운드 신호와 대응되는 제2 상품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채널 광고출력단계는, 매장 내의 고객이 임의의 상품 진열 판매대 근처에 설치된 제1 식별코드 판독기에 특정 상품의 상품식별코드를 접근시키면, 상기 제1 식별코드 판독기가 상기 특정 상품에 표시된 상품식별코드를 읽어들이는 단계; 상기 제1 식별코드 판독기가 읽어 들인 상기 상품식별코드를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상기 상품식별코드와 연관되어 있는 제1 상품 관련 정보를 출력우선권을 부여하여 상기 제1 식별코드 판독기와 연동되어 있는 제1 판매대 광고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판매대 광고장치가 상기 출력우선권이 부여된 상기 제1 상품 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곧바로 상기 출력 스케줄에 따라 기 출력 중이던 상품 관련 정보 대신에, 그 수신된 상기 제1 상품 관련 정보를 우선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상기 제1 판매대 광고장치에 대한 상기 제1 상품 관련 정보의 전송과 동기시켜, 상기 제1 상품 관련 정보를 출력우선권을 부여하여 매장 내 다른 제2 판매대 광고장치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들의 적어도 일부에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판매대 광고장치와 상기 매장 내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출력우선권이 부여된 상기 제1 상품 관련 정보를 수신하면, 곧바로 상기 출력 스케줄에 따라 기 출력 중이던 상품 관련 정보 대신에, 그 수신된 상기 제1 상품 관련 정보를 우선적으로 출력하여 매장 내 복수의 곳에 위치하는 소비자들에게 동시에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대 광고장치 각각에서, 화면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화면에 상기 제1 상품 관련 정보와 연관된 메시지를 내보낼 제1 소비자의 폰 번호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폰 번호 입력창에 제1 소비자의 폰 번호가 입력되면, 해당 판매대 광고장치가 입력된 제1 소비자의 폰 번호를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전달받은 제1 소비자의 폰 번호로 현재 출력 중인 상기 제1 상품 관련 정보에 연관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제1 소비자의 폰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1 소비자가 볼 수 있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제1 소비자의 폰에 표시된 상기 메시지를 공유하고픈 제2 소비자의 폰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을 제1 소비자의 폰에 표시하는 단계; 제1 소비자가 입력한 제2 소비자의 폰 번호를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상기 메시지를 제2 소비자의 폰 번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단계는, 상기 판매대 광고장치가 고주파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여 소정 범위의 주변 영역을 고주파 사운드 영역으로 형성하는 단계; 소비자의 스마트폰이 상기 고주파 사운드 영역 안으로 진입하였을 때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고주파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여 내장된 고주파기반 상품 프로모션 앱이 작동하여 상기 고주파 사운드 신호의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상품 프로모션 앱이 인식한 고주파 사운드 신호의 태그 정보를 상기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수신된 상기 고주파 사운드 신호의 태그 정보와 연관된 상품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상품 관련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정보를 상기 소비자의 스마트폰 번호로 푸시하여 상기 소비자의 스마트폰에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사운드 영역으로 형성하는 단계에 앞서, 상기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에서, 상기 고주파 사운드 신호의 태그 정보와 상기 상품 관련 정보 또는 상기 상품 관련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정보를 짝을 지어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매장 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상기 판매대 광고장치에 상기 고주파 사운드신호와 태그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관련 정보는 소비자가 상기 스마트폰으로 웹에 연결하여 정보 리뷰 및 검색, 인터랙티브 커뮤니케이션 수행을 수행할 수 있는 웹 연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사운드 신호는 인간의 귀에는 들리지 않는 불가청 음성 주파수 대역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방법.
  10. 매장 내의 하나 이상의 상품 진열 판매대 근처에 각각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판매대 광고장치;
    매장 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대 광고장치와 짝을 이뤄 상기 하나 이상의 상품 진열 판매대 근처에 각각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 판독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대 광고장치,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 판독기,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며,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대 광고장치와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 판독기 각각의 식별정보 및 대표하는 판매대 광고장치의 식별정보, 그리고 판매하는 상품들의 상품정보, 상품 판촉 정보, 광고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상품 관련 정보를 해당 상품의 상품식별코드와 연관시켜 저장하여 관리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대 광고장치 각각에 소정의 상품 관련 정보와 상기 소정의 상품 관련 정보의 출력 스케줄을 제공하며; 식별코드 판독기가 전달하는 상품식별코드와 연관되어 있는 제1 상품 관련 정보를 출력우선권을 부여하여 상기 식별코드 판독기와 연동되어 있는 판매대 광고장치 매장 내 다른 판매대 광고장치와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들의 적어도 일부에 전송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대 광고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제1 소비자의 폰 번호로 현재 출력 중인 상기 제1 상품 관련 정보에 연관된 메시지를 전송하며; 불가청 주파수 대역의 고주파 사운드 신호들과 상품판촉 콘텐츠를 서로 대응시켜 저장해두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대 광고장치마다 특정 고주파 사운드 신호와 태그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의 스마트폰이 특정 판매대 광고장치가 형성한 고주파 사운드 영역에 진입하였을 때, 특정 고주파 사운드 신호를 인식한 상기 소비자의 스마트폰으로 상기 특정 고주파 사운드 신호에 대응되는 제2 상품 관련 정보를 푸시하여 제공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식별코드 판독기 각각은 소비자가 접근시킨 상품에 표시된 상품식별코드를 판독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로 전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대 광고장치 각각은,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제공해준 상기 상품 관련 정보를 상기 출력 스케줄에 따라 출력하고;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제공하는 특정 고주파 사운드 신호를 소정 범위의 공간에 출력하여 고주파 사운드 영역을 형성해두고; 화면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화면에 상기 제1 상품 관련 정보와 연관된 메시지를 내보낼 제1 소비자의 폰 번호 입력창을 표시하고, 표시된 폰 번호 입력창에 제1 소비자의 폰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제1 소비자의 폰 번호를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로 전달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판매대 광고장치와 상기 하나 이상의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는 상기 매장시스템 서버 컴퓨터가 상기 상품식별코드와 연관되어 있는 상기 제1 상품 관련 정보를 출력우선권을 부여하여 제공한 것을 수신하였을 때, 곧바로 상기 출력 스케줄에 따라 기 출력 중이던 상품 관련 정보 대신에 그 수신된 상기 제1 상품 관련 정보를 우선적으로 출력하여 매장 내 복수의 곳에 위치하는 소비자들에게 동시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12826A 2018-02-01 2018-02-01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949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826A KR101949823B1 (ko) 2018-02-01 2018-02-01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826A KR101949823B1 (ko) 2018-02-01 2018-02-01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823B1 true KR101949823B1 (ko) 2019-05-02

Family

ID=66581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826A KR101949823B1 (ko) 2018-02-01 2018-02-01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8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1999A (ko) * 2021-10-29 2023-05-09 최윤서 입력 신호 제어를 통한 맞춤형 굿즈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4607A (ko) * 2008-02-01 2009-08-05 김동갑 포스를 이용한 판매시점에서 분류별 광고
KR20100104059A (ko) * 2009-03-16 201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판매 장치 및 그의 광고 제공 방법
KR20120087776A (ko) * 2011-10-20 2012-08-07 (주)인터랙티비 저주파통신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KR20160015367A (ko) * 2013-06-05 2016-02-12 이베이 인크. 미래의 상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4607A (ko) * 2008-02-01 2009-08-05 김동갑 포스를 이용한 판매시점에서 분류별 광고
KR20100104059A (ko) * 2009-03-16 201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판매 장치 및 그의 광고 제공 방법
KR20120087776A (ko) * 2011-10-20 2012-08-07 (주)인터랙티비 저주파통신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KR20160015367A (ko) * 2013-06-05 2016-02-12 이베이 인크. 미래의 상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1999A (ko) * 2021-10-29 2023-05-09 최윤서 입력 신호 제어를 통한 맞춤형 굿즈 시스템
KR102598200B1 (ko) * 2021-10-29 2023-11-03 최윤서 입력 신호 제어를 통한 맞춤형 굿즈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2424B2 (en) Communication with shoppers in a retail environment
US20150317682A1 (en) Advertising beacon for retail environments
Bonetti et al. A review of consumer-facing digital technologies across different types of fashion store formats
WO2012027730A1 (en) Location aware mobile marketplace application and system
KR20100012577A (ko) 오프라인 매장에서 쌍방향 광고방법과 광고시스템, 그리고이를 위한 광고장치
JP2006508419A (ja) 顧客プロフィールをもとに価格を設定する顧客操作型受発注システム
KR101487596B1 (ko) 중소시장 활성화를 위한 고객 맞춤형 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US11127047B2 (en) Digital promotion system using digital collectibles
KR101882699B1 (ko) 온라인 판매 프로모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60359A (ko) 동영상 기반 상품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7199170A (ja) 情報配信システム、サーバ、情報提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765415B1 (ko) 판매자와 판매대행자 간의 연결 및 수익공유를 제공하는 판매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US20140164122A1 (en) Smart Device Location in Retail Environments
KR20150022064A (ko) 미러월드 기반 인터랙티브 온라인 쇼핑몰 제품의 판매 지원 시스템
US201302186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on and delivery of a targeted advertisement to a shopping cart
KR101949823B1 (ko) 구매시점 다채널 동시 광고 및 상품정보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200083679A (ko) 시간을 단위로 하는 판촉 포인트의 유통 방법 및 유통 관리 시스템
KR20120000140A (ko) 스마트폰용 쿠폰데이터 처리시스템 및 방법
KR20140114959A (ko) 전통시장의 판매정보 통합 관리시스템
KR101613002B1 (ko) 포인트 지급을 통한 마케팅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097696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쇼핑몰 운영방법
WO2014182005A1 (ko) 지역정보통합센터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중개시스템 및 방법
US10503354B2 (en) System for controlling mobile information output by using multiple access icons, and method therefor
US20180330394A1 (en) Payment-linked promo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90030154A (ko) 온라인 상의 상품 판매를 통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쇼핑몰 서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