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767B1 - 정보통신 기기용 접속 부재 - Google Patents

정보통신 기기용 접속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767B1
KR101949767B1 KR1020120094211A KR20120094211A KR101949767B1 KR 101949767 B1 KR101949767 B1 KR 101949767B1 KR 1020120094211 A KR1020120094211 A KR 1020120094211A KR 20120094211 A KR20120094211 A KR 20120094211A KR 101949767 B1 KR101949767 B1 KR 101949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etal plate
connecting member
connection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8291A (ko
Inventor
허준
황성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4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767B1/ko
Priority to CN201320093910XU priority patent/CN203150778U/zh
Publication of KR20140028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가 삽입, 접속하는 접속홀을 포함하고, 합성수지로 성형된 접속 부재 몸체; 이중사출에 의해 상기 몸체에 수용되며, 상기 접속홀의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금속판을 구비하는 접속 부재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접속 부재는, 이중사출에 의해 합성 수지 재질의 몸체에 금속판을 설치함으로써, 접속 부재 몸체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으므로, 합성 수지 재질로만 제작되는 접속 부재 몸체와 비교하여 소형화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접속 부재의 구조를 통해 접속 부재와 같은 부품들이 정보통신 기기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더라도 기기의 두께, 더 나아가서는 기기의 모서리 부분을 곡면 처리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정보통신 기기용 접속 부재 {CONNECTION MEMBER FOR IM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각종 정보통신 기기에 제공되는 접속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선 이어폰이나 헤드 셋 등을 외부의 기기를 정보통신 기기에 접속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접속 부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음악/동영상 재생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게임 등을 위한 휴대용 게임기와 같은 정보통신 기기는 화면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음향 출력을 위한 스피커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기기는 기기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형태의 입력 장치를 갖추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원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하거나 메뉴를 호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을 통해 구현되는 가상의 자판을 이용하여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다.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나 게임기는 저장된 콘텐츠의 탐색을 위한 버튼 및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 실행할 수 있는 버튼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전자,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기능들이 하나의 단말기,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합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이러한 정보통신 기기를 통한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되면서 충분한 크기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와 동시에 휴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보통신 기기들의 소형, 경량화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충분한 크기의 화면을 확보하면서 정보통신 기기의 소형, 경량화를 위해서, 두께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한편으로, 동일한 크기의 기기라 할지라도, 외관 형상에 따라 사용자에게는 더 작은 느낌을 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기 외관에서, 모서리 부분의 곡면 처리를 통해 그립감을 개선하고 시각적으로도 더 얇아진 느낌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정보통신 기기의 내부에는 흔히, 메인 보드라 불리는 회로 기판이 배치되며, 회로 기판 상에는 메모리 카드 등을 삽입하기 위한 슬롯, 이어 잭, HDMI 단자, 충전 단자 등의 접속 부재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 접속 부재들은 회로 기판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가지게 된다. 특히, 이어 잭, HDMI 단자, 충전 단자 등은 대체로 외부의 부가 장치를 직접 접속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회로 기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됨과 동시에, 기기의 가장자리로 배치된다. 따라서 이어 잭, HDMI 단자, 충전 단자와 같은 부품들 두께가 두꺼울 경우, 기기의 외관에서 모서리 부분을 곡면 처리하는데 장애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기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지 않더라도 기기의 내부에 배치되면서도 두꺼운 부품은 기기의 두께를 줄이는데 장애가 될 뿐만 아니라, 기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더욱이,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단자들을 제외한 몸체가 합성 수지 재질로만 제작되는 접속 부재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안정된 고정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금속 띠를 이용해 감싸진 상태로 기기의 내부에 고정되기도 한다. 그러나 별도의 금속 띠 등을 이용하여 접속 부재를 감싸 기기에 고정하는 경우, 기기의 두께가 증가될 수밖에 없으며, 기기의 모서리를 곡면 처리하는 데에도 장애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정보통신 기기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접속 부재들, 예를 들면, 이어 잭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통신 기기의 두께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접속 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체의 두께를 줄이면서도 내충격성이 강화된 접속 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플러그가 삽입, 접속하는 접속홀을 포함하는 접속 부재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수용되며, 상기 접속홀의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금속판을 구비하는 접속 부재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며, 이중사출에 의해 상기 몸체의 성형과 동시에 상기 금속판이 상기 몸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판은, 상기 접속홀의 둘레 일부분을 둘러싸는 곡면부; 및 상기 곡면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접속홀의 둘레 중, 다른 일부분에 대면하는 경사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금속판은, 상기 곡면부의 양 측단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연장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각각의 상기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부는 상기 곡면부의 양측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금속판은 상기 경사부들의 단부로부터 상기 몸체의 측방향으로 서로 멀어지게 각각 연장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속 부재는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각각 성형된 체결 부재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 부재들 내부로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체결 부재와 체결부를 관통하게 형성된 체결홀을 더 구비한다.
한편, 상기 경사부는 상기 곡면부의 양 측단으로부터 각각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속 부재에 있어, 상기 금속판의 일부분은 상기 몸체에 수용, 은폐되며, 다른 일부분은 상기 몸체의 외주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접속홀의 내벽으로 돌출된 접속 돌기를 제공하는 접속 단자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몸체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접속홀의 내벽으로 연결되는 단자 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단자 홀에 수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 부재는,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되는 이어 잭, 충전단자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 저장 매체가 삽입되는 소켓, 착탈식 안테나가 결합하는 안테나 소켓 중 어느 하나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접속 부재는, 접속 부재 몸체의 내부로 금속판을 설치함으로써, 접속 부재의 크기, 특히, 높이를 줄이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금속판을 설치함으로써, 접속 부재 몸체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으므로, 합성 수지 재질로만 제작되는 접속 부재 몸체와 비교하여 소형화에 유리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부재는 정보통신 기기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더라도 기기의 두께, 더 나아가서는 기기의 모서리 부분을 곡면 처리하기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기의 모서리 부분을 곡면 처리하기 용이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부재는 기기의 두께를 줄이면서 기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재질의 구조물이 몸체에 제공되어 있으므로, 이어폰 플러그 등이 접속된 상태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부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속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속 부재의 몸체를 투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접속 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접속 부재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접속 부재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접속 부재의 몸체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접속 부재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부재(100)는, 예를 들면, 이어폰이나 헤드 셋 접속을 위한 이어 잭을 예로 든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참조번호 '100'을 '이어 잭'이라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어 잭(100)은 몸체(111)의 내부로 수용되는 금속판(102)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금속판(102)이 미리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111)를 성형하는 금형에 미리 투입한 상태로 상기 몸체(111)를 합성 수지 재질로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이중사출은 별도의 조립 과정을 통하지 않고 상기 금속판(102)을 상기 몸체(111)에 일체형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도 1에서는, 상기 몸체(111)와 금속판(102)을 분리 사시도로 도시하여 별도로 제작된 상태에서 조립되는 구조로 보여지지만, 이는 상기 이어 잭(100)의 구조를 좀더 이해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실제로 상기 금속판(102)은 이중사출에 의해 상기 몸체(111)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조임에 유의한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접속 부재로서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되는 이어 잭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전원 연결을 위한 플러그, HDMI 단자나 충전 단자와 같이 정보통신 기기에 설치되면서 외부 기기와의 접속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 저장 매체가 삽입되는 소켓, 착탈식 안테나가 결합하는 안테나 소켓과 같은 접속 부재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접속 부재들 중 합성 수지 재질로 몸체가 제작되는 구성이라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잭과 같이, 금속판을 몸체에 일체형으로 설치함으로써, 강도, 즉, 내충격성을 개선하고,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이어 잭(100)은, 상기 몸체(111)에 이어폰의 플러그(109; 도 2에 도시됨) 등이 삽입, 접속되는 접속홀(1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홀(117)은 상기 몸체(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몸체(111)가 상기 이어 잭(100)의 주요 접속 부분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111)는 합성 수지 재질로 성형된 것으로서, 상기 접속홀(117)의 내부에는 상기 플러그(109)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속 돌기(131)들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접속 돌기(131)는 복수로 설치되며, 적어도 접지를 제공하는 접속 돌기와 음성 출력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접속 돌기가 일반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이어폰에 마이크로 폰이 내장된 경우, 음성 입력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접속 돌기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어폰 라인 상에, 통화 시작/종료 키와 음량 조절 키 등이 설치된 원격 조정기가 설치된 경우, 이러한 조정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접속 돌기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접속홀(117)의 입구 주위에서, 상기 몸체(111)의 외주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서리 부분이 곡면으로 처리된 이동통신 단말기 등, 정보통신 기기의 내부에 상기 이어 잭(100)을 배치할 경우, 상기 접속홀(117)의 입구 주위에서 상기 몸체(111)의 경사면은 기기의 모서리 부분의 곡면에 대체로 부합하는 곡률을 가지게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11)에는 체결 부재(113)가 형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되겠지만, 상기 체결 부재(113)는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체결 부재(113) 또한 합성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몸체(111)의 성형과 동시에 상기 몸체(111)의 양측에 각각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몸체(111)와 체결 부재(113)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동일한 공정을 통해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111)와 체결 부재(113)를 하나의 성형체(101)로 성형함에 있어, 외주면에는 홈이나 돌기들을 형성하여 상기 이어 잭(100)이 설치되는 기기의 내부에서 다른 구조물과 맞물리는 결속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 부재(113)에는 상기 몸체(111)와 이어지는 부분에서 홈들이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홈들이 기기의 내부에 형성된 구조물과 맞물려 상기 이어 잭(100)을 기기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체결 부재(113)는 상기 몸체(111)를 회로 기판 또는 기기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즉, 도시되지는 않지만, 스크루(screw) 등을 상기 체결 부재(113)를 관통하여 회로 기판 또는 기기의 내부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몸체(111)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체결 부재(113)에는 체결홀(1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홀(115)은 상기 접속홀(117)이 연장된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111)에는 단자 홀(139)들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 홀(139)은 상기 몸체(111)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일정한 경로를 따라 상기 접속홀(117)의 내벽으로 연결된다. 상기 단자 홀(139)에는 접속 단자들이 배치되며, 상기 접속 단자의 일단에 각각 상기 접속 돌기(131)가 형성된다. 상기 접속 단자는 금속성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접속 단자의 타단(133)은 상기 몸체(111)의 저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몸체(111)의 저면으로 돌출된 상기 접속 단자의 타단(133)은 회로 기판에 제공되는 신호라인 또는 접지면에 접속된다. 이로써, 상기 접속홀(117)에 삽입, 접속되는 이어폰 등의 플러그(109)는 상기 접속 단자들을 통해 상기 몸체(111)가 배치된 회로 기판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접속 단자의 타단(133)이 회로 기판에 납땜에 의해 접속, 고정된다면, 상기 접속 단자의 타단(133)은 상기 이어 잭(100)을 회로 기판에 고정하는 수단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다만, 별도의 체결 구조나 결속 구조를 제공하여 상기 이어 잭(100)을 기기의 내부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어폰 플러그(109) 등이 삽입되면서 상기 이어 잭(100)에 외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안정된 고정 구조를 제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금속판(102)은 상기 몸체(111)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접속홀(117)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금속판(102)의 일부는 상기 몸체(111)에 은폐되며, 다른 일부분은 상기 몸체(111)의 외주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접속홀(117)의 내벽은 상기 몸체(111)를 이루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금속판(102)은 상기 접속홀(117)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판(102)은 상기 접속홀(117)의 둘레 일부분을 감싸는 곡면부(121)와, 상기 곡면부(12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접속홀(117)의 둘레의 다른 일부분을 감싸는 경사부(125)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곡면부(121)는 상기 접속홀(117)의 둘레 일부분을 감싸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몸체(111)의 두께, 구체적으로는 상기 몸체(111)의 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낮추게 된다. 즉, 상기 몸체(111)를 합성 수지 재질로만 제작할 경우, 내충격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 충분한 높이로 제작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접속홀(117)의 내벽과 상기 몸체(111)의 외주면 사이에 충분한 두께가 확보되어야 한다. 반면에,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금속판(102)의 곡면부(121)를 이중사출하여 상기 접속홀(117)의 둘레 일부를 감싸게 구성함으로써, 합성 수지 재질로 제작된 상기 몸체(111)의 취약한 내충격성을 보완할 수 있다. 이로써, 높이는 낮추면서도 상기 몸체(111)는 충분한 내충격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11)의 높이는 낮추지 않더라도, 상기 금속판(102)과 몸체(111)를 이중사출한다면 적어도 상기 몸체(111), 나아가서는 상기 이어 잭(100)의 내충격성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사부(125)는 상기 곡면부(121)의 양 측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25)들은 서로 마주보게 또는 일측의 경사부에 대하여 다른 일측의 경사부가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경사부(125)를 형성함으로써, 또한, 상기 경사부(125)를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함으로써, 상기 금속판(102)이 상기 몸체(111)에 견고하게 결합한다. 이때, 상기 단자 홀(139)을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경사부(125)들은 상기 접속홀(117)의 내벽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금속판(102)은 연장부(1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23)는 상기 곡면부(121)의 양 측단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경사부(125)는 각각의 상기 연장부(123)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게 또는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연장부(123)가 상기 곡면부(121)의 양 측단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경사부(125)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나란하게 연장되더라도 상기 경사부(125)와 상기 접속홀(117)의 내벽 사이에 상기 단자 홀(139)을 형성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121), 연장부(123) 및 경사부(125)는 대체로 상기 몸체(111)의 내부로 수용되어 상기 몸체(111)의 내충격성을 강화함과 아울러, 특히, 경사부는 상기 금속판(102)과 몸체(111)의 결합을 공고하게 한다. 한편, 상기 금속판(102)은 상기 경사부(125)들의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체결부(12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27)는 상기 연장부(123)와 평행하게, 아울러,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 부재(113)의 내부로 수용된다. 상기 체결 부재(113)의 내부에는 상기 경사부(125)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127)는 상기 체결 부재(113)의 강도, 즉, 내충격성을 강화하게 될 것이다. 상기 체결부(127)에는 또 다른 체결홀(129)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 부재(113)에 형성된 체결홀(115)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27)에 형성된 체결홀(129) 또한 상기 금속판(102), 나아가서는 상기 이어 잭(100)을 회로 기판 또는 기기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도 5와 도 6에서 참조번호 '115'와 '129'를 병기한 것은 상기 체결 부재(113)에 형성된 체결홀(115)과 상기 체결부(127)에 형성된 체결홀(129)이 동심원 상으로 정렬된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어 잭(100)은 금속판(102)을 이용하여 합성 수지 재질의 성형체(100) 강도, 다시 말해서, 내충격성을 보강하게 된다. 따라서 합성 수지만으로 제작하는 것보다 이어 잭의 높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 등 정보통신 기기의 가장자리에 배치하더라도, 기기의 모서리 부분을 곡면으로 제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잭(200)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어 잭(200)은 선행 실시 예의 이어 잭(100)과 비교할 때, 성형체(101)의 체결 부재(113)와 금속판(102)의 체결부(127)가 형성되지 않은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선행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의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몸체(211)는 대체로 장방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몸체(211)에 형성된 접속홀(117)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금속판(202)이 상기 몸체(211)에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 잭(200)의 성형체(201)은 상기 몸체(211)만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211)의 내부에 상기 금속판(202)이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211)는 합성 수지 재질을 사출성형하여 제작되며, 상기 금속판(202)이 이미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211)를 성형하는 금형에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211)를 성형하게 된다. 이러한 이중사출에 의해 별도의 조립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상기 몸체(211)의 성형과 동시에 상기 금속판(202)은 상기 몸체(211)에 수용, 고정된다.
상기 금속판(202)은 상기 접속홀(117)의 둘레의 일부분을 감싸는 곡면부(121)와, 상기 곡면부(121)의 양단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연장부(123)들과, 각각의 상기 연장부(123)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경사부(125)들을 구비한다. 상기 몸체(211)의 내부에서 상기 경사부(125)들은 각각 상기 접속홀(117)의 둘레의 다른 일부분을 감싸게 또는 대면하게 위치되며, 서로 마주보거나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어 잭(200)은, 몸체(211)에 형성된 접속홀(117)의 둘레에 금속판(102)을 배치하여,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내충격성을 개선하게 된다. 따라서 합성 수지만으로 제작하는 것보다 이어 잭의 높이를 줄일 수 있으며, 높이를 줄이더라도 합성 수지만으로 제작된 이어 잭보다 개선된 내충격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부재는 이어 잭뿐만 아니라, 충전단자 또는 다른 정보 단말기를 케이블로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커넥터, 저장 매체가 삽입되는 소켓, 착탈식 안테나가 결합하는 안테나 소켓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이어 잭 101: 성형체
111: 몸체 113: 체결 부재
102: 금속판 121: 곡면부
125: 경사부

Claims (12)

  1. 정보통신 기기용 접속 부재에 있어서,
    플러그가 삽입, 접속하는 접속홀을 포함하는 접속 부재 몸체;
    상기 몸체에 수용되며, 상기 접속홀의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금속판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판은,
    상기 접속홀의 둘레 일부분을 둘러싸는 곡면부;
    상기 곡면부의 양 측단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상기 접속홀의 내벽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접속홀의 둘레 중 다른 일부분에 대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며, 이중사출에 의해 상기 몸체의 성형과 동시에 상기 금속판이 상기 몸체에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곡면부의 양측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금속판은 상기 경사부들의 단부로부터 상기 몸체의 측방향으로 서로 멀어지게 각각 연장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 측면에 각각 성형된 체결 부재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 부재들 내부로 각각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와 체결부를 관통하게 형성된 체결홀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곡면부의 양 측단으로부터 각각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9. 제1 항, 제2 항 및 제5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의 일부분은 상기 몸체에 수용, 은폐되며, 다른 일부분은 상기 몸체의 외주면으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10. 제1 항, 제2 항 및 제5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홀의 내벽으로 돌출된 접속 돌기를 제공하는 접속 단자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접속홀의 내벽으로 연결되는 단자 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단자 홀에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12. 제1 항, 제2 항 및 제5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되는 이어 잭, 충전단자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 저장 매체가 삽입되는 소켓, 착탈식 안테나가 결합하는 안테나 소켓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KR1020120094211A 2012-08-28 2012-08-28 정보통신 기기용 접속 부재 KR101949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211A KR101949767B1 (ko) 2012-08-28 2012-08-28 정보통신 기기용 접속 부재
CN201320093910XU CN203150778U (zh) 2012-08-28 2013-03-01 便携式终端的连接部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211A KR101949767B1 (ko) 2012-08-28 2012-08-28 정보통신 기기용 접속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291A KR20140028291A (ko) 2014-03-10
KR101949767B1 true KR101949767B1 (ko) 2019-02-19

Family

ID=4897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211A KR101949767B1 (ko) 2012-08-28 2012-08-28 정보통신 기기용 접속 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9767B1 (ko)
CN (1) CN20315077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737B1 (ko) * 2014-12-03 2016-09-0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커넥터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커넥터
CN105720350B (zh) * 2014-12-04 2019-10-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天线及电子设备
KR102464856B1 (ko) * 2022-06-27 2022-11-09 (주)대현하이텍 이종 재질의 일체형 이중 사출 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0611A (ja) * 2009-11-05 2011-05-19 Sumitomo Wiring Syst Ltd 機器用コネクタ
KR101136735B1 (ko) * 2010-10-20 2012-04-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이어폰 잭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0611A (ja) * 2009-11-05 2011-05-19 Sumitomo Wiring Syst Ltd 機器用コネクタ
KR101136735B1 (ko) * 2010-10-20 2012-04-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이어폰 잭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291A (ko) 2014-03-10
CN203150778U (zh)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1309B2 (en) Wired headset with integrated switch
US8867770B2 (en) Speaker-connector module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120056789A1 (en) Antenna booster case for enhancing transmission/reception sensibility of mobile device
US10158163B2 (en) Mobile terminal
US850894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N108769879B (zh) 后音腔组件及电子设备
US20120270610A1 (en) Mobile terminal without microphone hole
KR101949767B1 (ko) 정보통신 기기용 접속 부재
KR20140126603A (ko) 이어폰용 방수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US20170048600A1 (en) Sound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1136735B1 (ko) 이어폰 잭용 커넥터
KR10103963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스피커 장치
JP2017011466A (ja) 携帯機器
US20070036387A1 (en) Speaker with reduced height
KR101773502B1 (ko) 리셉터클 커넥터
JP2020512792A (ja) モバイル端末外部アセンブリおよびモバイル端末保護スリーブ
JP3989453B2 (ja) 中間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94428A (ko) 모듈 장착 구조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JP2006014196A (ja) 携帯端末装置
JP3989454B2 (ja) 中間ユニット
CN215773449U (zh) 一种多功能音箱
KR101496191B1 (ko) 안테나가 내장된 보호케이스
CN219087294U (zh) 骨传导耳机
CN211182624U (zh) 一种可出音的连接器母座及移动终端
KR101927137B1 (ko) 인터페이스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