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024B1 -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 - Google Patents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024B1
KR101949024B1 KR1020170084999A KR20170084999A KR101949024B1 KR 101949024 B1 KR101949024 B1 KR 101949024B1 KR 1020170084999 A KR1020170084999 A KR 1020170084999A KR 20170084999 A KR20170084999 A KR 20170084999A KR 101949024 B1 KR101949024 B1 KR 101949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riving
descaler
base
dri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4866A (ko
Inventor
김용정
최인수
김준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84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0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04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4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 B21B45/08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hydrau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3/00Safet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eaker blocks; Devices for freeing jammed rolls for handling cobbles; Overload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2Covers or shie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디스케일러의 상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착되는 상부커버; 및 상기 디스케일러의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커버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서, 비산되는 고압수 및 스케일을 차단함은 물론, 이상 발생시 즉시 조치가 가능하며 수리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Openable cover of descaler}
본 발명은 예컨대 열연 연연속 설비의 디스케일러에 설치되는 개폐가능한 커버에 관한 것이다.
열연 연연속 설비에서, 디스케일러(descaler)는 바(bar)의 접합 전에 선행(先行) 바의 후단부와 후행(後行) 바의 선단부에 생성된 산화 스케일을 순간적으로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바의 표면을 청결을 유지하여 바의 접합 강도를 상승시키는 용도로 설치된 장치이다.
이러한 디스케일러는 접합기에 대해 적정거리에 설치되어야 접합 강도를 상승시키는 최적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협소한 장소에 설치될 수밖에 없으며, 고압수를 분사할 때 비산되는 고압수 및 제거된 미세한 스케일을 차단해 주는 커버가 설치되어야 한다.
통상, 커버는 설비의 베이스에 볼트 고정형으로 설치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커버 내에 설치된 이송롤러, 고압수 분사헤더, 핀치롤 등과 같은 디스케일러의 부품들을 점검하기가 불가능하고 수리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고장 발생시에는 다수의 작업자가 동원되어 커버의 고정볼트를 해체하고 나서, 천장 기중기로 커버를 인출한 후에 해당 부품을 점검 및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 899704 B1
이에 본 발명은, 커버 내에 설치된 부품들의 일상 점검이 가능하여 설비의 장애를 사전 예방할 수 있으며, 부품 이상시 획기적으로 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를 제공하는 데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는, 디스케일러의 상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착되는 상부커버; 및 상기 디스케일러의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커버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적어도 2분할되어 제1커버부재와 제2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제1구동부재와 제2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부재에는 상기 제1구동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디스케일러의 양측 베이스에 각각 지지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블록을 연결하는 제1회전축이 결합하며, 상기 제1회전축에는 상기 제1커버부재의 측면에 부착된 제1지지부재가 고정되게 연결되고, 상기 디스케일러의 적어도 일측 베이스에는 상기 지지블록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구동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1구동부재의 작동로드가 제1구동레버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구동레버의 타단은 상기 제1회전축에 고정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산되는 고압수 및 스케일을 차단함은 물론, 일상 점검이 가능하여 돌발고장 등과 같은 설비의 장애를 사전 예방할 수 있고, 이상 발생시 즉시 조치가 가능하며 수리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를 도시한 일측면도이고, 도 2는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는, 디스케일러(미도시)의 상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착되는 상부커버(20); 및 디스케일러의 베이스(1)에 설치되고, 상부커버에 연결되어 상부커버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4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커버는 디스케일러의 입구와 출구를 차단하도록 대략 게이트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케일러를 그 전후좌우에서 둘러싸는 하부커버(10)가 고정볼트에 의해 디스케일러의 베이스(1)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하부커버의 전후방향으로는 스케일이 제거될 소재가 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2는 디스케일러에 구비된 이송롤러이다.
상부커버(20)는 디스케일러의 상부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커버(10) 상에 안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로 인해, 접합기의 직전에 설치되어 선행하는 소재(미도시)의 후단부와 후행하는 소재의 선단부에 약 300 bar 정도의 고압수를 분사하는 디스케일러를 거의 완벽하게 차폐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고압수 및 스케일의 비산을 방지하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부커버(20)는 적어도 2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케일러의 입구측에 위치한 제1커버부재(21)와, 디스케일러의 출구측에 위치한 제2커버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커버부재(21, 22)는 커버 위에 위치한 다른 장치와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각 회전될 수 있다.
제1커버부재(21)와 제2커버부재(22)의 서로 마주보는 선단들은 형상맞춤되어 디스케일러의 수밀한 차폐와 더불어, 커버부재들의 원활한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부커버(20)를 구성하는 분할된 제1커버부재(21)와 제2커버부재(22)에는 각각 해당 커버부재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4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수단도 제1구동부재(41)와 제2구동부재(4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커버부재(21)의 회전구동을 위해, 먼저 디스케일러의 양측 베이스(1)에 각각 베어링블록이나 부싱블록 등과 같은 지지블록(33)을 설치하고, 이들 지지블록을 연결하는 제1회전축(31)이 결합하여, 지지블록에 의해 제1회전축이 지지되면서 원활히 회전할 수 있다.
이 제1회전축(31)에는 제1커버부재(21)의 측면에 부착된 제1지지부재(23)가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재의 지지를 보강하기 위해, 제1회전축에는 이 제1회전축에 인접한 제1커버부재의 표면에 장착된 복수의 브라켓(25)이 추가로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회전축(31)에 고정되게 연결된 제1지지부재(23)와 브라켓(25)은 제1회전축이 회전할 때 제1회전축과 동일한 회전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디스케일러의 적어도 일측 베이스(1)에는 지지블록(33)으로부터 이격되어, 예컨대 유압 실린더, 전기식 액츄에이터 등과 같은 제1구동부재(41)가 설치될 수 있다. 제1구동부재는 작동본체(43)와 작동로드(4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작동본체는 상기 베이스에 힌지(45)로 연결되어 어느 정도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구동부재(41)의 작동로드(44)는 제1구동레버(47)의 일단에 핀 결합 등을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이 제1구동레버(47)의 타단은 제1회전축(31)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지지부재(23)와 브라켓(25) 및 제1구동레버(47)는 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해 제1회전축(31)에 고정될 수 있으나, 그 고정방식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상부커버(20) 중 제1커버부재(21)의 제1구동부재(41)에 동력이 공급되면 작동로드(44)가 작동본체(43)에 대해 신장 또는 수축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회전축(31)에 연결된 제1구동레버(47)가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동시에, 지지블록(33)에 의해 원활히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회전축(31)도 동일하게 회전을 하게 되고, 이 제1회전축에 고정되게 연결된 제1지지부재(23)와 브라켓(25)이 동일한 회전각도만큼 회전을 하게 되면서, 결국 제1커버부재(21)가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1커버부재의 개방 또는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커버부재(22)의 회전구동을 위해, 디스케일러의 양측 베이스(1)에는 각각 베어링블록이나 부싱블록 등과 같은 지지블록(33)을 설치하고, 이들 지지블록을 연결하는 제2회전축(32)이 결합하여, 지지블록에 의해 회전축이 지지되면서 원활히 회전할 수 있다.
이 제2회전축(32)에는 제2커버부재(22)의 일면에 용접 등으로 부착된 제2지지부재(24)가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회전축에 고정되게 연결된 제2지지부재는 제2회전축이 회전할 때 제2회전축과 동일한 회전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디스케일러의 적어도 일측 베이스(1)에는 지지블록(33)으로부터 이격되어, 예컨대 유압 실린더, 전기식 액츄에이터 등과 같은 제2구동부재(4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구동부재는 작동본체(43)와 작동로드(4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작동본체는 상기 베이스에 힌지(45)로 연결되어 어느 정도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구동부재(42)의 작동로드(44)는 제2구동레버(48)의 일단에 핀 결합 등을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이 제2구동레버의 타단은 제2커버부재(22)에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렇게 구성된 제2커버부재(22)의 제2구동부재(42)에 동력이 공급되면 작동로드(44)가 작동본체(43)에 대해 신장 또는 수축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구동레버(48)에 의해 회전구동력이 전달된 제2커버부재가 제2지지부재(24)를 매개로 하여 연결된 제2회전축(3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동시에, 지지블록(33)에 의해 원활히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회전축(32)도 동일하게 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커버부재(22)가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2커버부재의 개방 또는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에 의하면, 비산되는 고압수 및 스케일을 차단함은 물론, 커버의 개폐가 가능하기 때문에 일상 점검이 가능하여 돌발고장 등과 같은 설비의 장애를 사전 예방할 수 있고, 이상 발생시 즉시 조치가 가능하며 수리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하부커버 20: 상부커버
21: 제1커버부재 22: 제2커버부재
23: 제1지지부재 24: 제2지지부재
31: 제1회전축 32: 제2회전축
33: 지지블록 40: 구동수단
41: 제1구동부재 42: 제2구동부재
47: 제1구동레버 48: 제2구동레버

Claims (10)

  1. 디스케일러의 상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착되는 상부커버; 및
    상기 디스케일러의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커버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적어도 2분할되어 제1커버부재와 제2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제1구동부재와 제2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부재에는 상기 제1구동부재가 연결되며,
    상기 디스케일러의 양측 베이스에 각각 지지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블록을 연결하는 제1회전축이 결합하며,
    상기 제1회전축에는 상기 제1커버부재의 측면에 부착된 제1지지부재가 고정되게 연결되고,
    상기 디스케일러의 적어도 일측 베이스에는 상기 지지블록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구동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1구동부재의 작동로드가 제1구동레버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구동레버의 타단은 상기 제1회전축에 고정되게 연결된,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부재에는 상기 제2구동부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에는 상기 제1회전축에 인접한 상기 제1커버부재의 표면에 장착된 복수의 브라켓이 추가로 고정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재의 작동본체는 상기 베이스에 힌지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케일러의 양측 베이스에는 각각 지지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블록을 연결하는 제2회전축이 결합하며,
    상기 제2회전축에는 상기 제2커버부재의 일면에 부착된 제2지지부재가 고정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케일러의 적어도 일측 베이스에는 상기 지지블록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구동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구동부재의 작동로드가 제2구동레버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구동레버의 타단은 상기 제2커버부재에 고정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재의 작동본체는 상기 베이스에 힌지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
KR1020170084999A 2017-07-04 2017-07-04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 KR101949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999A KR101949024B1 (ko) 2017-07-04 2017-07-04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999A KR101949024B1 (ko) 2017-07-04 2017-07-04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866A KR20190004866A (ko) 2019-01-15
KR101949024B1 true KR101949024B1 (ko) 2019-02-18

Family

ID=6503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999A KR101949024B1 (ko) 2017-07-04 2017-07-04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02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869Y1 (ko) * 1999-08-16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슬라브의 스케일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974B1 (ko) * 2002-07-13 2008-04-17 주식회사 포스코 롤 표면의 파단 철편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8869Y1 (ko) * 1999-08-16 2000-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슬라브의 스케일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866A (ko) 201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762B2 (en) Sphere-producing/comminution machine
CN109923304A (zh) 风力涡轮机、轴承壳体和用于操作风力涡轮机的方法
WO2012013636A1 (en) Nacelle for a wind turbine
KR101949024B1 (ko) 디스케일러의 개폐가능한 커버
KR20170061164A (ko) 인양 기구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WO2017050839A1 (fr) Système de maintenance pour tunnelier et tunnelier associé
KR20060093559A (ko) 대용량 모터의 분해 점검/보수 방법 및 장치
US20220224809A1 (en) Inspection vehicle
JP5193366B2 (ja) ウォーターボックスのためのパワークランピング
DE102010040901A1 (de) Magnus-Rotor
US8152081B2 (en) Comminuting machine containment system
JP5422568B2 (ja) 充填材分配装置
KR101885617B1 (ko) 샤프트 노를 적재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플랩 및 밸브의 어셈블리
US8579221B2 (en) Cover device for a shredding plant
KR20130104514A (ko)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
CN208858946U (zh) 一种烟道电动翻板阀装置
CN207386973U (zh) 用于辊箱的翻转式装配工具
CN106102936B (zh) 用于从封闭体移除机器人的组件和方法
CN205206343U (zh) 一种工程机械及其臂架机构
KR100848634B1 (ko) 전기 강판의 조이너 연결부 보호 장치
CN209212602U (zh) 一种矿用卧式轴流风机防自转装置
JP4167043B2 (ja) 空調ダクトの吹出・吸込口装置
KR101798398B1 (ko) 시저스 버킷장치용 회전축 구조체
KR20140028551A (ko) 정비용 밸브 고정 장치
JP2011057926A (ja) コロナ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